KR20080099146A - 내시경용 처치구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처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146A
KR20080099146A KR1020080041214A KR20080041214A KR20080099146A KR 20080099146 A KR20080099146 A KR 20080099146A KR 1020080041214 A KR1020080041214 A KR 1020080041214A KR 20080041214 A KR20080041214 A KR 20080041214A KR 20080099146 A KR20080099146 A KR 20080099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heath
wire
incis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3936B1 (ko
Inventor
쯔또무 나까무라
게이따 스즈끼
유우따 무야리
šœ스께 모또스기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9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나이프와, 나이프가 접속된 와이어와, 와이어가 삽입 관통되는 시스와, 시스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본체와, 와이어가 고정되고 본체의 축선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는, 와이어 또는 나이프에 설치되고 와이어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스토퍼와, 시스에 설치되고 스토퍼와 접촉하여 와이어의 전방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규제하는 제1 전방 규제부 및 제2 전방 규제부를 구비하고, 스토퍼는, 본체를 시스에 대해 소정의 회전 각도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전방 규제부와 제2 전방 규제부 사이를 이동 가능하며, 스토퍼를 제1 전방 규제부 또는 제2 전방 규제부에 접촉시킨다. 이 구성에 의해, 절개부의 시스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2 이상의 단계로 조정 가능하다.
Figure P1020080041214
처치구, 나이프, 와이어, 시스, 스토퍼

Description

내시경용 처치구{ENDOSCOPIC INSTRUMENT}
본 발명은 내시경 장치의 작업용 채널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내시경용 처치구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7년 5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7-122524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경내시경적으로 체강 내에 삽입하고, 고주파 전류를 통전하여 점막 등을 절제하는 니들 나이프(예를 들어,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소61-191012호 공보 참조) 등을 구비한 처치구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처치구는, 내시경의 채널에 삽입되는 절연성의 시스 내에 삽입 관통된 와이어의 선단에, 처치를 행하는 니들 나이프 등의 절개부가 장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절개부는 와이어의 기단이 고정된 조작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시스의 선단으로부터 돌출 및 출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처치구는 절개부의 돌출 길이가 일반적으로 짧아, 돌출 길이의 조정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내시경이 복잡하게 커브하면서 체강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조작 부재의 조작량과 선단 부재의 돌출 및 출몰량이 1대 1로 대응하지 않는 경우 도 많다. 이로 인해, 절개부는, 완전히 돌출시킨 상태와, 시스 내에 수용한 상태의 2단계로밖에 정확하게 조정할 수 없는 것이 현재 상태이다.
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시스 내에 위치하는 전극 또는 조작부에, 시스의 내경보다도 직경이 큰 계지부를 설치함으로써, 절개부의 진퇴에 저항을 가하여, 돌출 길이의 미세 조정을 가능하게 한 내시경용 절개 도구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544호 공보 참조 이하 특허 문헌 2라 칭함).
그러나, 특허 문헌 2의 절개 도구로 절개부의 돌출 길이를 조정하는 경우, 선단을 경사 후방으로부터 비춘 내시경의 영상을 보면서 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돌출 길이는 0.5 밀리미터 정도의 작은 피치로 조정되기 때문에, 상기 방법에서는 소망의 돌출 길이로 확실하게 조정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절개부의 시스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2 이상의 단계로 조정, 유지 가능한 내시경용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내시경적으로 체강 내에 삽입되어 절개 처치를 행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가 전단에 접속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삽입 관통되는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스와, 상기 시스의 후단이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본체와, 상기 와이어의 후단이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축선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이며, 상기 절개부 또는 상기 와이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스토퍼와, 상기 시스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여 상기 와이어의 전방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규제하는 제1 전방 규제부와, 상기 제1 전방 규제부보다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여 상기 와이어의 전방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규제하는 제2 전방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본체를 상기 시스에 대해 축선 주위로 소정의 회전 각도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전방 규제부와 상기 제2 전방 규제부 사이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스토퍼를 상기 제1 전방 규제부 또는 상기 제2 전방 규제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절개부를 다른 2 이상의 길이만큼 상기 시스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와이어의 미끄럼 이동 방향에 있어서, 후술하는 슬라이더가 배치된 측을「후방」혹은「후단」이라 칭하고, 절개부가 배치된 측을「전방」혹은「전단」이라 칭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용 처치구에 따르면, 본체를 시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스토퍼를 제1 전방 규제부 및 제2 전방 규제부 중 어느 한쪽에 접촉시킴으로써, 절개부가 다른 2 이상의 길이로 시스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스토퍼 및 상기 제1 전방 규제부에는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 및 피결합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를 상기 시스에 대해 축선 주위로 소정의 회전 각도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결합부와 상기 피결합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1 전방 규제부와 상기 제2 전방 규제부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스토퍼 및 상기 제1 전방 규제부 중 한쪽은 나사홈을 갖고, 다른 쪽은 상기 나사홈과 서로 결합하는 나사산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제1 전방 규제부 및 상기 제2 전방 규제부는, 상기 시스의 내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와 결합하는 결합홈이며, 상기 시스의 내면에 형성된 캠 홈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결합홈과 결합하는 결합 볼록부를 갖고, 상기 결합 볼록부가 상기 캠 홈 상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전방 규제부와 상기 제2 전방 규제부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제1 전방 규제부 및 상기 제2 전방 규제부는, 상기 시스에 고정된 돌출 길이 조정 부재의 후단측에 형성된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이며, 상기 제1 접촉 면 및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돌출 길이 조정 부재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경내시경적으로 체강 내에 삽입되어 절개 처치를 행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가 전단에 접속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삽입 관통되는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스와, 상기 시스의 후단이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본체와, 상기 와이어의 후단이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축선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이며, 상기 절개부 또는 상기 와이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스토퍼와, 상기 시스의 전단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의 전방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규제하는 나사 결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및 상기 나사 결합 부재 중 한쪽은 나사홈을 갖고, 다른 쪽은 상기 나사홈과 서로 결합하는 나사산을 갖고, 상기 스토퍼와 상기 나사 결합 부재의 나사 결합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절개부의 상기 시스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무단계로 조정하여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는 다수개 코일 또는 다수개 다층 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내시경용 처치구에 따르면, 절개부의 시스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2 이상의 단계로 조정,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 조직의 형상 등에 맞추어, 절개부를 적절한 돌출 길이로 조정하여 처치를 행할 수 있 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처치구(이하, 단순히「처치구」라 칭함)에 대해,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의 처치구(1)를 일부 단면에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처치구(1)는, 전단에 고주파 나이프(절개부)(2)가 장착된 와이어(3)와, 와이어(3)의 외주를 피복하는 시스(4)와, 와이어(3) 및 시스(4)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주파 나이프(이하, 단순히「나이프」라 칭함)(2)는 막대 형상의, 예를 들어 3 밀리미터의 길이의 금속 부재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주파 전원이 통전되어, 체강 내 조직의 절개 처치 등을 행한다. 나이프(2)는, 막대 형상의 것 대신에, 주걱 형상, 혹은 후크 형상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도2는 처치구(1)의 선단 부근의 확대도이다. 와이어(3)는 토크 전달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시스(4)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와이어(3)의 전단과 나이프(2)의 후단 사이에는, 나이프(2)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스토퍼(6)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6)는 와이어(3)에 배치되어도 좋고, 나이프(2)에 배치되어도 좋다. 와이어(3)의 전단 부근에는, 2개의 눈금(3A, 3B)이, 예를 들어 1 밀리미터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시스(4)의 외측으로부터 육안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스(4)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성 및 가요성을 갖는 투명한 관상 부 재이다. 시스(4)의 전단에는, 선단 부재(7)가 압입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선단 부재(7)는 수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성을 갖는 부재이며, 시스(4)의 외측에 위치하는 대략 원반 형상의 원반부(제2 전방 규제부)(7A)와, 시스(4)의 내부에 고정된 원통부(제1 전방 규제부)(7B)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원반부(7A)의 중앙에는, 나이프(2)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7C)이 형성되어 있다.
도3a는 도2의 A-A선에 있어서의 원통부(7B)의 단면도, 도3b는 스토퍼(6)를 시스(4)의 전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스토퍼(6)는, 나이프(2)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중심부(6A)와, 중심부(6A)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플랜지부(결합부)(6B)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7B)에는 대략 장방형의 돌출 길이 조정 구멍(7D)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 길이 조정 구멍(7D)은, 단면이 대략 원형인 중앙부(7E)와, 중앙부(7E)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주연부(피결합부)(7F)를 갖는다. 중앙부(7E)의 내경은 스토퍼(6)의 중심부(6A)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중심부(6A)는 중앙부(7E) 내를 전후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플랜지부(6B)는 주연부(7F) 내를 전후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5)는, 시스(4)가 고정된 본체(8)와, 와이어(3)가 고정된 슬라이더(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8)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며, 슬라이더(9)를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8A)이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본체(8)의 전단에는 원반 형상의 계지부(10A)를 갖는 관상의 회전자(10)가, 본체(8)에 대해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 하게 고정되어 있다. 회전자(10)의 전단에는 시스(4)의 후단이 고정되어 있다. 즉, 시스(4)는, 회전자(10)를 개재하여, 본체(8)에 대해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본체(8)의 후단에는, 조작시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링(8B)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9)는, 본체(8)의 외주를 둘러싸는 통 형상부(11A) 및 조작시에 손가락을 거는 핸들(11B)을 갖는 조작 부재(11)에, 도시하지 않은 고주파 전원과 접속되는 플러그(12)가 장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회전자(10)에 삽입 관통된 와이어(3)의 후단은, 강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버클링 방지 파이프(13)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와이어(3) 및 버클링 방지 파이프(13)의 후단은, 가이드 홈(8A)의 내부에서,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플러그(12)와 접속 고정되어 있다. 즉, 슬라이더(9) 및 와이어(3)는 가이드 홈(8A)을 따라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본체(8)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조작 부재(11)에는, 조작 부재(11)를 본체(8)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다이얼(14)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다이얼(14) 대신에, 본체(8) 및 조작 부재(11)의 임의의 위치에, 쌍으로 되는 결합 형상을 형성하여 조작 부재(11)를 본체(8)에 고정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처치구(1)의 사용시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내시경의 삽입부를 환자 등의 체강 내에 삽입하고, 삽입부의 선단을 처치 대상의 조직 부근까지 이동시킨다.
사용자는, 처치구(1)의 슬라이더(9)를 최대한 전방[링(8B)측]으로 당겨 후퇴 시켜, 나이프(2)를 시스(4)의 내부에 수납한다. 시스(4)의 전단을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시경(100)의 조작부에 개구한 겸자 구멍(101)으로부터 작업용 채널(102)에 삽입하고, 삽입부(103)의 선단으로부터 처치구(1)의 전단을 돌출시킨다. 그리고 플러그(12)에, 도시하지 않은 전원 코드를 접속한다. 전원 코드는, 처치구(1)를 내시경(100)에 삽입하기 전에 미리 접속해 두어도 좋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더(9)를 압입하여, 스토퍼(6)가 선단 부재(7)에 접촉할 때까지 와이어(3)를 전진시키면, 시스(4)의 전단으로부터 나이프(2)가 돌출된다. 사용자는 시스(4) 또는 본체(8)를 조작함으로써, 나이프(2)의 돌출 길이를 다른 2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도2는 스토퍼(6)의 플랜지부(6B)가 선단 부재(7)의 원통부(7B) 후단과 접촉하는 제1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형태에 있어서는, 원통부(7B)에 의해 와이어(3)의 전방으로의 미끄럼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때, 나이프(2)의 돌출 길이는, 예를 들어 1.5 밀리미터로 유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1 형태로부터, 사용자가 회전자(10) 또는 시스(4)를 유지하면서, 본체(8)를 시스(4)에 대해 축선 주위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더(9)도 본체(8)와 함께 회전하고, 도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3) 및 스토퍼(6)가 선단 부재(7)에 대해 회전 이동한다.
이 조작에 의해 스토퍼(6)의 플랜지부(6B)와, 선단 부재(7)의 돌출 길이 조정 구멍(7D)의 주연부(7F)와의 위치를 일치시키도록, 본체(8)를 소정의 회전 각도만큼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플랜지부(6B)와 주연부(7F)가 결합하여, 스토퍼(6)가 돌출 길이 조정 구멍(7D) 내에 진입 가능해진다. 사용자가 슬라이더(9)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스토퍼(6)는 돌출 길이 조정 구멍(7D) 내를 전방으로 이동하여, 선단 부재(7)의 원반부(7A)에 접촉하여 접촉한다. 이 상태가, 도5b에 도시하는 제2 형태이다.
제2 형태에 있어서는, 와이어(3)는 원반부(7A)에 의해 전방으로의 미끄럼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때, 나이프(2)의 돌출 길이는 제1 형태보다 길고, 예를 들어 2.0 밀리미터로 유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때, 와이어(3)에 형성된 눈금 중, 전단측의 눈금(3A)은, 제2 형태에 있어서 선단 부재(7)의 내부에 위치하여, 시스(4)의 외측으로부터 육안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한 조작에 의해 나이프(2)의 돌출 길이를 소망의 길이로 조정한 후, 필요에 따라서 고정 다이얼(14)을 이용하여 슬라이더(9)를 본체(8)에 고정한다. 그리고, 고주파 전류를 나이프(2)에 통전하고, 대상 조직에 대해 절개나 절제 등의 처치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의 처치구(1)에 따르면, 본체(8)를 시스(4)에 대해 소정의 회전 각도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토퍼의 플랜지부(6B)와 돌출 길이 조정 구멍(7D)의 주연부(7F)가 결합한다. 이에 의해, 스토퍼(6)와 선단 부재(7)의 접촉 부위를 원통부(7B) 후단으로부터 원반부(7A)로 이동시킬 수 있고, 나이프(2)의 시스(4)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다른 2단계로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조정,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 조직의 형상 등에 따라서, 적절한 돌출 길이로 나이프(2)를 조절하여 처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3)에 형성된 눈금(3A, 3B)이, 시스(4)의 외부로부터 육안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육안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의 개수나 선단 부재(7)의 상대 위치 등에 의해, 나이프(2)가 어떠한 형태로 있는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와이어(3)의 전방으로의 미끄럼 이동이, 원통부(7B) 후단과 원반부(7A)의 2군데에서 규제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 대신에, 도6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원통부(7B)의 내부에, 돌출 길이 조정 구멍(7D)과 같은 형상의 돌출 길이 조정 구멍을 갖는 복수의 전방 규제 부재(15)를, 인접하는 돌출 길이 조정 구멍의 주연부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다르도록 2 이상 배치하여, 와이어(3)의 전방으로의 미끄럼 이동이 3군데 이상에서 규제되도록 처치구(1)를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나이프(2)의 돌출 길이를 또한 다단계로 조정,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스(4)를 고정한 상태에서 본체(8)를 회전 조작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 대신에, 본체(8)를 고정한 상태에서, 시스(4)를 회전 조작시킴으로써 시스와 본체의 상대 회전을 행해도 좋다.
또한, 와이어에 형성하는 눈금의 수나 설치 간격도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식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6)의 시스(4)에 대한 상대 이동시에, 플랜지부(6B)와, 돌출 길이 조정 구멍(7D)의 주연 부(7F)의 위치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스토퍼(6) 및 선단 부재(7)에, 시스(4)의 외부로부터 육안 확인 가능한 마크를 형성해도 좋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처치구에 대해,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처치구(21)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처치구(1)의 다른 점은, 선단 부재 및 스토퍼에 서로 결합하는 나사홈 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상술한 처치구(1)와 공통인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공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7은 처치구(21)의 선단 주변의 확대도이다. 처치구(21)의 스토퍼(22)는 플랜지부를 갖지 않고,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 부재(나사 결합 부재)(23)는,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부재(7)와 마찬가지로, 원반부(23A)와 원통부(23B)를 갖지만, 원통부(23B)에는, 돌출 길이 조정 구멍 대신에, 내주면에 나사홈(23C)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22)의 외주면에는 나사홈(23C)과 결합 가능한 나사산(22A)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홈 및 나사산은, 서로 결합 가능하면, 어느 쪽이 어느 부재에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처치구(21)의 사용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조작으로, 내시경을 환자 등의 체내에 삽입하고, 선단으로부터 처치구(1)의 전단을 돌출시킨다.
사용자가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조작으로, 시스(4)와 본체(8)를 상대 회전 시키면, 스토퍼(22)의 나사산(22A)과 선단 부재(23)의 나사홈(23C)이 결합하고, 스토퍼(22)가 원통부(23B) 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해진다. 상대 회전량(회전 각도)을 조절하여 스토퍼(22)와 선단 부재(23)의 나사 결합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나이프(2)의 돌출 길이를 무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나사산(22A)과 나사홈(23C)이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더(9)를 미끄럼 이동시킬 수 없게 되므로, 나이프(2)의 돌출 길이가 소망의 길이로 유지된다.
본 실시 형태의 처치구(21)에 따르면, 시스(4)와 본체(8)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토퍼(22)가 선단 부재(23)의 원통부(23B) 내에서 서서히 전진 또는 후퇴한다. 따라서, 스토퍼(22)와 선단 부재(23)의 나사 결합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나이프(2)의 돌출 길이의 미세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나사산(22A)과 나사홈(23C)이 나사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시스(4)와 본체(8)의 상대 회전에 의해서만 와이어(3)를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나이프(2)의 돌출 길이 조정 후, 슬라이더(9)의 흔들림 등에 의해 나이프(2)가 전후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어, 안정적으로 처치 등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원통부(23B)의 내면의 대략 전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다. 이것 대신에, 도8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원통부(23B)의 내주 한 둘레분 정도 길이의 나사산(제1 전방 규제부)(24)을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부위에 형성하고, 스토퍼(25)의 외주면에 나사산(24)과 동일한 정도의 길이의 나사홈(25A)을 형성하여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나사산(2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 있어서는 스토퍼(25)가 미끄럼 이동 가능해지므로, 적 은 회전 조작으로 나이프(2)의 돌출 길이를 복수 단계로 조정 및 유지 가능하게 처치구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25)의 미끄럼 이동 방향의 길이는, 각 나사산(24)의 간격보다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처치구에 대해, 도9 및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처치구(31)와 상술한 내시경용 처치구(1)의 다른 점은, 선단 부재 및 스토퍼의 형상이다.
또한, 상술한 처치구(1)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공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9는 처치구(31)의 선단 부근의 확대도이다. 처치구(31)의 스토퍼(32)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접촉부(3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단 부재(33)는, 원반부(33A)의 후단측에, 접촉부(32A)와 접촉하여 와이어(3)의 전방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규제하는 3개의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다.
도10은 선단 부재(33)의 원반부(33A)의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형상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시스(4)에 압입되는 원통부(33B)를 제외하고 도시하고 있다. 원반부(33A)의 시스측에는, 나이프(2)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33C)을 중심으로, 제1 접촉면(34), 제2 접촉면(35) 및 제3 접촉면(36)의 3개의 대략 부채형 접촉면이, 주위 방향에 있어서 각각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 접촉면의 형상은 대략 부채형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각각의 면적이 달라도 좋다.
각 접촉면은, 원반부(33A)의 선단측 단부면(도10에 있어서의 바닥면)으로부 터의 거리(이하,「두께」라 칭함)가 각각 예를 들어 0.5 밀리미터씩 다르고, 원반부(33A)의 후단측은, 전체적으로 나선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처치구(31)의 사용시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조작으로, 내시경(100)의 삽입부(103)의 선단으로부터 처치구(31)의 전단을 돌출시킨다.
사용자가 슬라이더(9)를 조작시켜 와이어(3)를 전진시키면, 스토퍼(32)의 접촉부(32A)가 제1 접촉면(34), 제2 접촉면(35), 제3 접촉면(36)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와이어(3)의 전방으로의 미끄럼 이동이 규제된다. 처치구(31)에 있어서는,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32A)와 제1 접촉면(34)이 접촉하는 상태에 있어서, 나이프(2)의 돌출 길이가 가장 짧은, 예를 들어 1.0 밀리미터로 유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사용자가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조작으로 시스(4)와 본체(8)를 상대 회전 시키면, 스토퍼(32)와 선단 부재(33)가 상대 이동하여, 접촉부(32A)와 각 접촉면(34, 35, 36)의 위치 관계가 변화된다. 이 조작에 의해 접촉부(32A)의 전방의 접촉면을 변화시켜 다시 접촉시키면, 조작 전후에 있어서 접촉부(32A)가 접촉하는 접촉면의 두께의 차만큼 나이프(2)가 전진 또는 후퇴하여 돌출 길이가 변화된다.
본 실시 형태의 처치구(31)에 따르면, 선단 부분의 구조를 비교적 적은 부품 개수로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32)와 선단 부재(33)를 접촉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와이어(3)의 회전 조작을 행하므로, 본체(8)의 상대 회전이 와이어(3)에 전달되기 쉽다. 따라 서, 보다 적은 회전 조작량으로 와이어(3) 및 스토퍼(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처치구에 대해, 도11 및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처치구(41)와 상술한 내시경용 처치구(1)의 다른 점은, 선단 부재 및 스토퍼의 형상이다.
또한, 상술한 처치구(1)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공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11은 처치구(41)의 선단 부근의 확대도이다. 처치구(41)의 스토퍼(42)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플랜지부(결합 볼록부)(42A)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42A)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둥근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면, 후술하는 나이프(2)의 돌출 길이 조정 조작시에 미끄럼 이동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선단 부재(43)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내면에 스토퍼와 접촉하는 2쌍의 고정홈과, 고정홈을 연결하는 캠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12는 선단 부재(43)의 내면을 전개하여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후단측의 고정홈(결합홈)(44A)과, 전단측의 고정홈(44B)은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캠 홈(45)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스토퍼(42)의 플랜지부(42A)는 각각 고정홈(44A)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처치구(41)의 사용시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스토퍼(42)의 플랜지부(42A)가 고정홈(44A)에 접촉하여 와이어(3)의 전방으로의 미끄럼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나이프(2)의 돌출 길이는 예를 들어 1.0 밀리미터로 유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사용자가,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조작으로, 시스(4)와 본체(8)를 상대 회전시키면 스토퍼(42)가 회전한다. 이때, 플랜지부(42A)는 이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캠 홈(45) 상을 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스토퍼(42) 및 와이어(3)는 선단 부재(43) 내에서 전방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고정홈(44B)까지 이동한다.
도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42A)가 고정홈(44B)에 도달하여 접촉하면, 와이어(3)의 전방으로의 미끄럼 이동이 규제되어 나이프(2)가 고정된다. 이때, 나이프(2)의 돌출 길이는, 예를 들어 2.0 밀리미터로 유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처치구(41)는 상술한 조작에 의해, 나이프(2)의 돌출 길이를 다른 2단계로 조정,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처치구(41)에 따르면, 미리 플랜지부(42A)가 고정홈 및 캠 홈에 결합하고 있으므로, 스토퍼를 전방의 고정홈(44B)을 향해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해 플랜지부와 결합부의 위치 맞춤 등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용이한 조작으로 나이프(2)의 돌출 길이가 조정 가능한 처치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를 최대 1회전 정도의 회전량으로 고정홈(44B)까지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적은 회전 조작으로 돌출 길이의 조정이 가능한 처치구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와이어(3)로서 다수개 코일 또는 다수개 다층 코일을 이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와이어(3)의 토크 전달성이 향상되어, 나이프의 돌출 길이 조정을 위한 상대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와 제1 및 제2 전방 규제부가 시스의 선단 부근에서 접촉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스토퍼와 제1 접촉 부재를 더욱 후방에서 접촉시켜 와이어의 전방으로의 미끄럼 이동이 규제되어도 좋다. 단, 처치구는 내시경에 삽입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외부 시스의 중간 부분은 굴곡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적절하게 나이프의 돌출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굴곡하기 어려운 외부 시스의 선단 부근에서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처치구를 일부 단면에서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도1의 내시경용 처치구의 선단 부근의 확대도.
도3a는 도2의 A-A선에 있어서의 선단 부재의 단면도.
도3b는 스토퍼를 시스의 선단측에서 본 도면.
도4는 도1의 내시경용 처치구를 내시경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5a 및 도5b는 도1의 내시경용 처치구의 선단 부근의 사용시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도1의 내시경용 처치구의 변형예의 선단 부근의 확대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처치구의 선단 부근의 확대도.
도8은 도1의 내시경용 처치구의 변형예의 선단 부근의 확대도.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처치구의 선단 부근의 확대도.
도10은 도1의 내시경용 처치구의 선단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내시경용 처치구의 선단 부근의 확대도.
도12는 도1의 내시경용 처치구의 선단 부재의 내면을 전개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처치구
2 : 나이프
3 : 와이어
4 : 시스
6 : 스토퍼
7 : 선단 부재
8 : 본체
9 : 슬라이더
10 : 회전자
11 : 조작 부재

Claims (7)

  1. 경내시경적으로 체강 내에 삽입되어 절개 처치를 행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가 전단에 접속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삽입 관통되는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스와, 상기 시스의 후단이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본체와, 상기 와이어의 후단이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축선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이며,
    상기 절개부 또는 상기 와이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스토퍼와,
    상기 시스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여 상기 와이어의 전방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규제하는 제1 전방 규제부와,
    상기 제1 전방 규제부보다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여 상기 와이어의 전방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규제하는 제2 전방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본체를 상기 시스에 대해 축선 주위로 소정의 회전 각도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전방 규제부와 상기 제2 전방 규제부 사이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스토퍼를 상기 제1 전방 규제부 또는 상기 제2 전방 규제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절개부를 다른 2 이상의 길이만큼 상기 시스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및 상기 제1 전방 규제부에는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 및 피결합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를 상기 시스에 대해 축선 주위로 소정의 회전 각도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결합부와 상기 피결합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1 전방 규제부와 상기 제2 전방 규제부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및 상기 제1 전방 규제부 중 한쪽은 나사홈을 갖고, 다른 쪽은 상기 나사홈과 서로 결합하는 나사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규제부 및 상기 제2 전방 규제부는, 상기 시스의 내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와 결합하는 결합홈이며, 상기 시스의 내면에 형성된 캠 홈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결합홈과 결합하는 결합 볼록부를 갖고, 상기 결합 볼록부가 상기 캠 홈 상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전방 규제부와 상기 제2 전방 규제부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규제부 및 상기 제2 전방 규제부는, 상기 시스에 고정된 돌출 길이 조정 부재의 후단측에 형성된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이며,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돌출 길이 조정 부재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6. 경내시경적으로 체강 내에 삽입되어 절개 처치를 행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가 전단에 접속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삽입 관통되는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스와, 상기 시스의 후단이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본체와, 상기 와이어의 후단이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축선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이며,
    상기 절개부 또는 상기 와이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스토퍼와,
    상기 시스의 전단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의 전방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규제하는 나사 결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및 상기 나사 결합 부재 중 한쪽은 나사홈을 갖고, 다른 쪽은 상기 나사홈과 서로 결합하는 나사산을 갖고, 상기 스토퍼와 상기 나사 결합 부재의 나사 결합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절개부의 상기 시스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무단계로 조정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다수개 코일 또는 다수개 다층 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KR1020080041214A 2007-05-07 2008-05-02 내시경용 처치구 KR100983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22524 2007-05-07
JP2007122524A JP5111931B2 (ja) 2007-05-07 2007-05-07 内視鏡用処置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146A true KR20080099146A (ko) 2008-11-12
KR100983936B1 KR100983936B1 (ko) 2010-09-27

Family

ID=39723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214A KR100983936B1 (ko) 2007-05-07 2008-05-02 내시경용 처치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48073B2 (ko)
EP (1) EP1990018B1 (ko)
JP (1) JP5111931B2 (ko)
KR (1) KR100983936B1 (ko)
CN (2) CN1013012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8391B2 (ja) * 2007-04-27 2012-10-17 直久 矢作 内視鏡用処置具
JP5111931B2 (ja) * 2007-05-07 2013-01-09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JP4701320B2 (ja) * 2008-12-09 2011-06-15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処置具
US8518035B2 (en) * 2008-12-22 2013-08-27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Electrosurgical rotating cutting device
WO2010074153A1 (ja) * 2008-12-24 2010-07-01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処置具
US8974488B2 (en) * 2009-04-20 2015-03-10 Achieva Medical Limited Delivery assembly for occlusion device using mechanical interlocking coupling mechanism
EP2401977B1 (en) * 2009-12-22 2013-02-13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US8465488B2 (en) * 2010-03-16 2013-06-18 Olympus Medical Systems Corporation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JP5671360B2 (ja) * 2011-02-07 2015-02-18 Hoya株式会社 内視鏡の外付けチャンネル
CN102106755A (zh) * 2011-03-15 2011-06-29 李刚 一种微创腔镜电极
WO2014007170A1 (ja) * 2012-07-06 2014-01-09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処置具の進退補助具
US9717556B2 (en) 2012-12-21 2017-08-01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Collet for an endoscopic needle knife
JP5670002B1 (ja) * 2013-02-27 2015-02-18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処置具の進退補助具
FR3004115B1 (fr) * 2013-04-04 2016-05-06 Nestis Catheter d'injection de fluide a deux gaines coulissantes
EP2889005B1 (de) * 2013-12-27 2016-08-31 ERBE Elektromedizin GmbH Medizinisches Instrument mit verstellbarem Werkzeug
JP6192550B2 (ja) * 2014-01-29 2017-09-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装置及び医療システム
JP2016002402A (ja) * 2014-06-19 2016-01-12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高周波処置具
JP2015016359A (ja) * 2014-09-25 2015-01-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術具システム
EP3222241A4 (en) * 2014-11-18 2018-08-01 Olympus Corporation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CN105934189B (zh) * 2014-12-26 2018-01-30 奥林巴斯株式会社 处置器具和医用系统
US11446081B2 (en) 2015-10-20 2022-09-20 Lumedi Ltd. Medical instruments for performing minimally-invasive procedures
CN108472055B (zh) 2015-10-20 2022-04-15 卢门迪公司 用于执行微创手术的医疗器械
US11504104B2 (en) 2015-10-20 2022-11-22 Lumendi Ltd. Medical instruments for performing minimally-invasive procedures
JP6655398B2 (ja) * 2016-01-13 2020-02-26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JP2017225515A (ja) * 2016-06-20 2017-12-28 清明 本間 医療処置装置用操作部
WO2018040061A1 (zh) * 2016-09-02 2018-03-08 杭州安杰思医学科技有限公司 一种内镜用组织切开装置
KR101889921B1 (ko) * 2016-12-06 2018-08-21 해성옵틱스(주) 니들형 내시경
CN108272503B (zh) * 2018-03-07 2024-04-19 南微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双通道注液的双极高频电刀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1012A (ja) 1985-02-20 1986-08-2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の駆動用電解液
JPH032252Y2 (ko) 1985-05-20 1991-01-22
US4708137A (en) * 1985-05-20 1987-11-24 Olympus Optical Co., Ltd. High-frequency incision device
JP2944682B2 (ja) 1989-09-18 1999-09-06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タ抜け保護機能付装置
JPH03102785U (ko) * 1990-02-08 1991-10-25
JPH0542166A (ja) * 1991-08-20 1993-02-23 Inter Noba Kk 高周波アブレーシヨン用電極カテーテル
US5599300A (en) * 1992-05-11 1997-02-04 Arrow Precision Products, Inc. Method for electrosurgically obtaining access to the biliary tree with an adjustably positionable needle-knife
US6668441B1 (en) * 2000-06-07 2003-12-3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crew mounting installation method
DE60114857T2 (de) * 2000-08-14 2006-09-07 Boston Scientific Ltd., Saint Michael Lenkbares sphinkterotom
JP4414669B2 (ja) 2002-04-12 2010-02-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切開具
JP3947790B2 (ja) * 2002-06-13 2007-07-25 博徳 山本 内視鏡用処置具
JP4495501B2 (ja) * 2004-03-31 2010-07-07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突没型処置具
JP4774272B2 (ja) * 2005-10-19 2011-09-14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高周波切開具
JP4731274B2 (ja) * 2005-10-19 2011-07-20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高周波切開具
JP4425227B2 (ja) * 2006-02-28 2010-03-03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JP5111931B2 (ja) * 2007-05-07 2013-01-09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90018A3 (en) 2009-01-21
CN201194838Y (zh) 2009-02-18
JP2008272365A (ja) 2008-11-13
CN101301221B (zh) 2010-12-01
EP1990018A2 (en) 2008-11-12
KR100983936B1 (ko) 2010-09-27
US8048073B2 (en) 2011-11-01
CN101301221A (zh) 2008-11-12
US20080281153A1 (en) 2008-11-13
JP5111931B2 (ja) 2013-01-09
EP1990018B1 (en)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936B1 (ko) 내시경용 처치구
KR101030609B1 (ko) 내시경용 처치구
JP4731274B2 (ja) 内視鏡用高周波切開具
JP6173651B1 (ja) 組織締付具留置装置
JP6129439B1 (ja) 内視鏡用処置具
US9730727B2 (en) Puncture treatment tool
JP6116776B1 (ja) 内視鏡用処置具
EP1985250B1 (en) Endoscopic instrument with projection length adjusting member for the high frequency tool
WO2012114786A1 (ja) 内視鏡用処置具
JP2008173472A (ja) 医療装置、内視鏡用処置具、及び内視鏡装置
EP2022431B1 (en) Operation section structure of treatment instrument for endoscopic use
JP4819983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6266756B2 (ja) 外装管及び内視鏡用外科手術装置
JP6087040B1 (ja) 内視鏡用処置具
JP4436696B2 (ja) 高周波処置具
JP2009213506A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