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818A - 전자부품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테스트용핸들러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테스트용핸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818A
KR20080093818A KR1020070038048A KR20070038048A KR20080093818A KR 20080093818 A KR20080093818 A KR 20080093818A KR 1020070038048 A KR1020070038048 A KR 1020070038048A KR 20070038048 A KR20070038048 A KR 20070038048A KR 20080093818 A KR20080093818 A KR 20080093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latch member
guide hole
moving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4734B1 (ko
Inventor
강경원
문정용
범희락
송재명
김형희
Original Assignee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8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734B1/ko
Priority to TW097110764A priority patent/TWI382489B/zh
Priority to US12/102,409 priority patent/US20080260976A1/en
Priority to CN2008100891759A priority patent/CN101290328B/zh
Publication of KR20080093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25Test clips, e.g. for 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수납 장치는: 전자부품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적어도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고정홈을 가로지르며 설치된 힌지축; 그 일측이 상기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선회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전자부품을 고정 및 상기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랫치 부재와; 상기 고정홈 내부에서 승하강 하며, 상기 힌지축을 상하로 선회 운동시키는 이동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이 임계 높이보다 낮게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랫치 부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임계 높이 보다 높게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랫치 부재가 상기 이동 블록의 승, 하강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선회운동 하도록 하는 회전제어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부품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A receiver of an electronic element and handler includ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전자부품 수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수납 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부품 수납 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수납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테스트 트레이와, 전자부품 수납장치와, 푸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전자부품 100: 전자부품 수납 장치
110: 하우징 111: 수납부
116: 고정홈 120: 힌지축
130: 랫치 부재 131: 결합부
135: 고정부 140: 이동 블록
142: 다리부 144: 본체부
150: 회전제어장치 151: 이동 봉
153: 상측 돌출부 154: 이동 방지부
156: 가이드 홀 157: 제1 가이드홀부
158: 제2 가이드홀부 180: 압축 스프링
205: 테스트 트레이 210: 고객 트레이
220: 고객 트레이 250: 전자부품 픽커
281: 로딩부 282: 언로딩부
290: 푸시 장치 291: 푸시 플레이트
292: 푸시 핀
본 발명은 전자부품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에 설치된 것으로 트레이에 전자부품을 고정하고, 상기 트레이에 고정된 전자부품을 고정 해제하는 전자부품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비메모리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부품들은 생산 후 여러 가지 테스트를 거친 후에 출하된다.
상기 전자부품들은 테스트 핸들러에 의하여 공급되어서 별도 또는 내부의 테스트 장비에 의하여 테스트 된다. 이 경우, 상기 테스트 핸들러는 상기 전자부품 등을 일종의 지그인 테스트 트레이에 담아 상기 테스트 장치에 공급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전자부품을 분류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테스트 핸들러는 테스트할 전자부품을 테스트 트레이에 수납하고, 상기 테스트 트레이 소켓에 수납된 전자부품들을 테스트 장치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스트 핸들러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로부터 테스트 완료된 전자부품을 픽업하여 고객 트레이에 공급한다.
이 경우 상기 핸들러는, 테스트 트레이의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위치에 설치된 전자부품 수납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전자부품 수납 장치는, 전자부품이 테스트 트레이의 소켓에 수납될 경우에 상기 전자부품이 움직이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수납된 전자부품을 다른 수납부로 이동 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전자부품 고정을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부품 수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 수납 장치(1)는 전자부품 수납 브래킷(10)을 구비한다.
전자부품 수납 브래킷(10)은 트레이의 소켓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것으로, 랫치 고정부(14)와 랫치 버턴부(12)를 구비한다. 랫치 고정부(14)는 상기 트레이 소켓에 수납된 전자부품과 접촉하여 고정한다. 랫치 버턴부(12)는 상기 랫치 고정부(14)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랫치 버턴부(12)가 외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밀어짐으로써, 상기 랫치 고정부(14)가 상기 전자부품과 비 접촉되어 고정을 해제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랫치 고정부(14) 및 랫치 버턴부(12)가 전자부품 수납 브래킷(10)에 힌지 결합되고, 복원력부(18)는 힌지 축(17)에 결합되어서 상기 랫치 고정부(14)를 일 방향으로 복원력을 줄 수 있다.
랫치 고정부(14)는 푸시 핀(20)이 랫치 버턴부(12)를 밀지 않는 통상적인 경우에 상기 수납홈(19)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전자부품을 고정한다. 상기 푸시 핀(20)이 상승하여 랫치 버턴부(12)를 밀 경우에는, 상기 랫치 고정부(14)가 힌지 축(17)을 따라서 회전하여 수납홈(19)으로 삽입됨으로써 전자부품을 고정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푸시 핀(20)이 하강하게 되면, 복원력부(18)에 의하여 랫치 고정부(14)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전자부품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자부품 수납장치는 힌지 장치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소자를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일시적으로 랫치 고정부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어서, 상기 소자를 고정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소자가 흔들리게 되어서, 상기 소자가 트레이의 정위치에 안착되어 있지 못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자부품 픽커로 상기 소자를 픽업하는 경우에 에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부품을 트레이에 고정 및 고정해제가 간단히 되는 동시에,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고정된 전자부품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조를 가진 전자부품 수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수납 장치는: 전자부품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적어도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고정홈을 가로지르며 설치된 힌지축과; 그 일측이 상기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선회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전자부품을 고정 및 상기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랫치 부재와; 상기 고정홈 내부에서 승하강 하며, 상기 힌지축을 상하로 선회 운동시키는 이동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이 임계 높이보다 낮게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랫치 부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임계 높이 보다 높게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랫치 부재가 상기 이동 블록의 승, 하강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선회운동 하도록 하는 회전제어장치;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실시예를 따른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는: 제1 고객 트레이로부터 테스트할 복수의 전자부품들을 테스트 트레이의 전자부품 수납 장치로 이동하는 로딩 작업이 행해지는 로딩부와;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전자부품 수납 장치로부터 테스트가 완료된 복수의 전자부품들을 테스트 결과에 따라 제2 고객 트레이로 이동하는 언로딩 작업이 행해지는 언로딩부와; 상기 로딩부와 제1 고객 트레이 사이, 언로딩부와 제2 고객 트레이 사이로 전자부품들을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 픽커와;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하측에 배치되며, 승, 하강 하면서 상기 전자부품 수납장치가 상기 전자부품을 고정 및 상기 고정을 해제하도록 하는 푸시 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전자부품 수납 장치는: 전자부품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적어도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고정홈을 가로지르며 설치된 힌지축과; 그 일측이 상기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선회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전자부품을 고정 및 상기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랫치 부재와; 상기 고정홈 내부의 상기 랫치 부재 상측에서 승, 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홈에 결합된 것으로, 하측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서 상기 랫치 부재를 지지하는 이동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이 임계 높이만큼 상승하지 않는 경우 상기 랫치 부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임계 높이 이상 상승하는 경우 상기 랫치 부재가 상기 이동 블록의 승, 하강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선회운동 하도록 하는 회전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수납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부품 수납 장치를 결합하여 일부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 수납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힌지축(120)과, 랫치 부재(130)와, 이동 블록(140)과, 회전제어장치(150)를 구 비한다.
하우징(110)은 수납부(111)와, 고정홈(116)을 구비한다. 수납부(111)에는 전자부품(S)이 수납된다. 이 경우 상기 수납부(111)의 중앙에는 수납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홀 외곽을 따라서 전자부품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16)은 상기 수납부(111)의 적어도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고정홈(116)은 하측으로부터 인입된 형상을 할 수 있다.
힌지축(120)은 상기 고정홈(116)을 가로지르며 설치된다.
랫치 부재(130)는 고정홈(116) 에 수납되어, 상기 수납부(111)에 안착된 전자부품(S)을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랫치 부재(130)의 일측이 상기 힌지축(120)에 힌지 결합되어서 상하로 선회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전자부품(S)을 고정 및 상기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부품(S)은 수납부에 배치된 전자부품 안착부(114)에 안착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수납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도 2 내지 도 4e를 참고하면, 예를 들어서, 상기 랫치 부재(130)가 하측으로 회전 완료한 경우에는, 랫치 부재(130)가 상기 전자부품(S)의 상면을 누름으로써 고정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랫치 부재(130)가 상측으로 선회하면, 랫치 부재(130)가 상기 전자부품(S)을 누르지 않게 되어서 상기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회전제어장치(150)는, 상기 이동 블록(140)이 임계 높이만큼 상승하지 않는 한, 상기 랫치 부재(130)가 힌지축(120)을 중심으로 상측 및 하측으로 회전하지 않 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장치(150)는, 상기 이동 블록(140)이 상기 임계 높이 이상 상승한다면, 상기 랫치 부재(130)가 상기 이동 블록(140)의 승, 하강에 따라 힌지축(120)을 중심으로 상, 하측으로 선회운동 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 블록(140)이 임계 높이만큼 상승하지 않는 한 외부의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랫치 부재(130)가 회전하지 않게 되어서 상기 전자부품(S) 고정을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제어장치(150)는 이동 봉(151)과, 가이드 홀(15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봉(151)은 상기 이동 블록(140)과 결합된다. 가이드 홀(156)은 상기 랫치 부재(130)의 중앙부에 상기 이동 봉(151)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특히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홀부(157)와, 제2 가이드홀부(158)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가이드홀부(157)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가이드홀부(158)는 상기 제1 가이드홀부(157)로부터 상기 수납부(111) 방향으로 경사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블록(140)에 결합된 이동 봉(151) 이 상기 제1 가이드홀부(157)의 하측 단부(157b)로부터 상측 단부(157u)까지 상승하거나, 상기 제1 가이드홀부(157)의 상측 단부(157u)로부터 하측 단부(157b)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이동 블록(140)이 이와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랫치 부재(130)에는 어떠한 방향으로도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서, 상기 랫치 부재(130)는 선회 운동을 하지 않게 된다.
이와 달리, 도 4c, 도 4d 및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봉(151) 이 상승하여, 제1 가이드홀부 상측 단부(157u)(제2 가이드홀부 하측 단부(158b))와 상기 제2 가이드홀부(158)의 상측 단부(158u) 사이에서 승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홀(156)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의 분력이 가해짐과 동시에 수납부(111) 방향 또는 수납부(111) 반대방향으로의 측방향 분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랫치 부재(130)가 선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임계 높이는, 상기 이동 봉(151)이 상기 제1 가이드홀부(157)와 제2 가이드홀부(158)의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의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제어장치(150)는 상측 돌출부(153)와, 이동 방지부(15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측 돌출부(153)는 상기 랫치 부재(13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동 방지부(154)는 상기 랫치 부재의 상측 돌출부(153)에 대응되도록 상기 이동 블록(140)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상측 돌출부(153)보다 하우징(110) 외측 방향에 인접 배치된다. 이 경우 상측 돌출부(153)는 상기 랫치 부재(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동 방지부(154)가 이동 블록(14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임계 높이는, 상기 상측 돌출부(153)의 상측 단부가 상기 이동 방지부(154)의 하측 단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경우이다. 즉, 이동 봉(151)이 제1 가이드홀부(157)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상측 돌출부(153)의 상측 단부가 이동 방지부(154)의 하측 단부보다 높게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 봉(151)이 제1 가이드홀부(157)에 삽입된 경우, 상기 렛치 부재에 외부 충격이 직 접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상기 상측 돌출부(153)가 상기 이동 방지부(154)에 걸리게 되어서, 상기 랫치 부재(130)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이동 블록(140)은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44)와, 다리부(142)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부(144)는 상기 고정홈(116) 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다리부(142)들은 상기 본체부(144)의 양 단부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하측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이동 봉(151)과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랫치 부재(130)는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142)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결합부(131)와, 홀 형성부(133)와, 고정부(135)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131)는 상기 힌지 축(120)과 결합된다. 홀 형성부(133)는 가이드 홀(156)이 형성된다. 고정부(135)는 상기 결합부(131)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135)는, 적어도 상기 이동 봉(151)이 상기 제1 가이드홀부(157)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납부(111)로 돌출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고정부(135)는 그 단부가 하측으로 구부려진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하측으로부터 다리부(142)를 상측으로 밀게 되면 다리부(142)와 결합된 이동 봉(151)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이동 봉(151)이 삽입되어 있는 랫치 부재(130)가 선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 블록(140)이 견고하게 고정홈에 결합되고, 랫치 부재(130)를 가운데에 두고 양측에 다리부(142)가 위치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 블록(140)이 상승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랫치 부재(130)가 더 안정적으로 선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 블록(140)은, 도 3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 푸시 장치(170)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 푸시 장치(170)는 상기 이동 블록(140)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전자부품 푸시 장치(170)는 상기 이동 블록(140)의 다리부(142) 하측에 승, 하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서, 상승하면서 상기 이동 블록(140)의 다리부(142)를 상측으로 밀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 봉(151)이 상기 제2 가이드홀부(158)의 상측 단부(158u)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랫치 부재(130)는 상기 수납부(111)에 수납되는 전자부품(S)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수납부(111)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전자부품(S)을 전자부품 수납 장치(100)에 수납시키거나, 전자부품 수납 장치(100)에 수납된 전자부품(S)을 픽업하여 외부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랫치 부재(130)가 상기 전자부품(S)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고정홈(116)의 내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고정홈(116)의 내측 상단부와 상기 이동 블록(140) 사이를 연결하는 압축 스프링(180)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홈(116) 내의 상측 단면과 이동 블록(140)의 상측 단부에는 각각 상기 압축 스프링(180)이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14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 스프링(180)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이동 블록(140)이 하측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 블록(140)이 하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면, 상기 이동 블록(140)과 결합된 이동 봉(151)이 제1 가이드홀부(157)의 하측 단부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랫치 부재(130)가 선회하여 전자부품(S)을 고정하는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전자부품 수납 장치(100)의 동작을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외부에 배치된 전자부품(S)을 전자부품 수납 장치(100)의 수납부(111) 내로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 푸시 장치(170)가 상승하여 이동 블록(140)의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142)를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이에 따라서 상기 이동 블록(140)에 결합된 이동 봉(151)이 랫치 부재(130)의 가이드 홀(156)에 삽입된 채로 상승하여 상기 제2 가이드홀부(158)의 상측 단부(158u)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서 상기 랫치 부재(130)가 선회하여서 수납부(111)로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그 후에 상기 전자부품(S)이 하우징(110)의 수납부(111)에 안착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부품 푸시 장치(170)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전자부품 푸시 장치의 하강에 따라서 이동 블록(140) 및 상기 이동 블록(150)과 결합된 이동 봉(151)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서, 결과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봉(151)이 제1 가이드홀부(157)의 하측 단부(157b)로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랫치 부재(130)가 하측으로 선회하게 되어서 상기 전자부품(S)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랫치 부재(130)가 상기 전자부품(S)을 고정한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 있게 되더라도, 상기 이동 블록(140)이 임계 높이에 도달하지 않는 한 상기 랫치 부재(130)가 선회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이동 블록(140)이 임계 높이에 도달하지 않는다면, 상기 랫치 부재(130)의 상측 돌출부(153)가 상기 이동 방지부(154)와 맞물리게 되어서 더욱더 상기 랫치 부재(13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랫치 부재(130)가 보다 견고하게 상기 전자부품(S)을 고정할 수 있다.그 후에, 상기 전자부품(S)을 전자부품 수납 장치(100)로부터 외부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부품 푸시 장치(170)가 상승하여 상기 이동 블록(14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셔 상기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테스트 트레이와, 전자부품 수납장치와, 푸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러는 로딩부(281)와, 언로딩부(282)와, 픽커부(250)와, 푸시 장치 (290; 도 6 참조)을 구비한다. 로딩부(281)에서는 로딩 작업이 행해진다. 상기 로딩 작업이란, 제1 고객 트레이(210)에 수납된 테스트용 전자부품(S; 도 3 참조)들을 로딩부에 배치된 테스트 트레이(205)로 이송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1 고객 트레이(210)는 핸들러 본체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에 테스트할 전자부품(S)들이 다수 개 수납되어 있다.
언로딩부(282)에서는 언로딩 작업이 행해진다. 상기 언로딩 작업이란, 테스트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로부터 제2 고객 트레이(220)로 전자부품(S)들을 이송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고객 트레이(220)에는 테스트 완료된 전자부품(S)들이 테스트 결과에 따라 분류되며, 따라서 제2 고객 트레이(22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테스트 트레이(205)는, 전자부품을 수납 고정하는 전자부품 수납 장치(100)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로딩 작업은 상기 제1 고객 트레이(210)로부터 전자부품 수납 장치(100)로 전자부품을 이동시키는 작업을 의미하고, 언로딩 작업은 상기 전자부품 수납 장치(100)로부터 제2 고객 트레이(220)로 전자부품을 이동시키는 작업을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 픽커(250a, 250b, 250c, 250d)는 상기 테스트될 전자부품(S)을 상기 제1 고객 트레이(210)로부터 테스트 트레이(205)의 전자부품 수납 장치(100)로 이송하고, 상기 테스트 완료된 전자부품(S)을 테스트 트레이(205)의 전자부품 수납 장치(100)로부터 상기 제2 고객 트레이(220)로 이송 수납하는 기능을 한다.
도 5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전자부품 픽커가, 상기 제1 고객 트레이(210)와 제1버퍼부(260a) 사이를 이동하는 제1 전자부품 픽커(250a)와, 제1버퍼부(260a)와 교환부(230) 사이를 이동하는 제2 전자부품 픽커(250b)와, 교환부(230)와 제2버퍼부(260b) 사이를 이동하는 제3 전자부품 픽커(250c)와, 제2버퍼부(260b)와 제2 고객 트레이(220) 사이를 이동하는 제4 전자부품 픽커(250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 픽커들은 X, Y축 이동장치(271, 272)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부품 픽커들이 4개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 이상이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 경우, 상기 로딩 작업에서의 테스트 트레이(205)가, 언로딩 작업에서의 테스트 트레이(205)가 될 수 있다. 즉, 언로딩 작업후의 테스트 트레이는 다시 로 딩부로 이동하여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서 로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로딩 작업 및 언로딩 작업이 한곳에서 이루어진다면, 그 로딩, 언로딩 작업이 행해지는 위치를 교환부(230)로 일컫는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교환부(230)가 로딩부(281) 및 언로딩부(282)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고객 트레이(210)와 교환부(230) 사이 및 제2 고객 트레이(220)와 교환부(230) 사이에는 버퍼부(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객 트레이(210)와 교환부(230) 사이에 배치된 제1버퍼부(260a)에는 상기 제1 고객 트레이(210)로부터 교환부(230)로 이송되는 전자부품(S)들이 일시적으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 고객 트레이(220)와 교환부(230) 사이에 배치된 제2버퍼부(260b)에는 테스트 트레이(205)로부터 제2 고객 트레이(220)로 이송되는 전자부품(S)들이 일시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버퍼부(260)들은 각각 테스트 트레이(205)에 수납되는 위치에 맞추어 적어도 전, 후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는 테스트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테스트부(240)는 통상 핸들러의 후방부에 다수개로 분할된 밀폐 챔버들을 구비하여, 상기 밀폐 챔버들 내에 고온 또는 저온의 환경을 조성한 뒤 전자부품(S)이 장착된 테스트 트레이(205)들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며 소정의 온도 조건하에서 전자부품(S)의 성능을 테스트한다.
전자부품 수납 장치(100)는 테스트 트레이(205)에 설치되어서, 전자부품(S)을 고정하거나, 상기 고정을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트레이(205)는 트레이 프레 임(206)과, 상기 전자부품 수납 장치(100)가 실장되는 트레이 소켓부(207)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부품 수납 장치(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수납 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힌지축(120)과, 랫치 부재(130)와, 이동 블록(140)과, 회전제어장치(150)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전자부품(S)을 수납하는 수납부(111)와, 상기 수납부(111)의 적어도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116)을 구비한다. 힌지축(120)은 상기 고정홈(116)을 가로지르며 설치된다.
랫치 부재(130)는 그 일측이 상기 힌지축(120)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선회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수납부(111)에 수납된 전자부품(S)을 고정 및 상기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동 블록(140)은 상기 고정홈(116) 내부에서 승, 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홈(116)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푸시 장치에 의하여 상측으로 밀리지 않는 경우 하측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서 상기 랫치 부재(130)가 하측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한다.
회전제어장치(150)는 상기 이동 블록(140)이 임계 높이만큼 상승하지 않는 경우 상기 랫치 부재(130)가 힌지축(120)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이동 블록(140)이 상기 임계 높이 이상 상승하는 경우 상기 랫치 부재(130)가 상기 이동 블록(140)의 승, 하강에 따라 힌지축(120)을 중심으로 상하로 선회운동 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제어장치(150)는, 상기 이동 블록(140)과 결합된 이동 봉(151)과 가이드 홀(15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156)은, 상기 랫치 부재(130)의 중앙부에 상기 이동 봉(151)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홀부(157)와, 상기 제1 가이드홀부(157)로부터 상기 수납부(111) 방향으로 경사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가이드홀부(158)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임계 높이는, 상기 이동 봉(151)이 상기 제1 가이드홀부(157)의 상측 단부(157u)에 위치하는 경우의 높이이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봉(151)이 상기 제2가이드홀부(158)의 상측 단부(158u)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랫치 부재(130)는 상기 수납부(111)에 수납되는 전자부품(S)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수납부(111)로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장치(150)는, 상기 랫치 부재(13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측 돌출부(153)와, 상기 이동 블록(140)으로부터 상기 상측 돌출부(153)에 대응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이동방지부(15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방지부(154)는 상기 상측 돌출부(153)보다 하우징(110) 내측에 배치된다. 이경우 상기 임계 높이는, 상기 상측 돌출부(153)의 상측 단부의 높이가 상기 이동 방지부(154)의 하측 단부와 동일 높이에 위치한 경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부품 수납 장치(100)의 구조 및 기능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푸시 장치(29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플레이트(291)와, 푸시 핀(292)과, 푸시 플레이트 이동 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푸시 플레이트(291)는 테스트 트레이(205)의 하측에 배치된 것으로, 상면에 푸시 핀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 핀(292)들은 상기 이동 블록(140) 각각을 상측으로 밀 수 있도록 상기 푸시 플레이트에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푸시 플레이트 이동 장치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291)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하나의 푸시 플레이트에 각각 전자부품 수납 장치(100)에 대응되는 복수의 푸시 핀들이 형성되어서, 상기 푸시 플레이트를 승, 하강함에 따라서 복수의 전자부품(S)을 고정 및 고정해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시 플레이트(291)는 복수의 가이드 핀(293)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293)들은 상기 푸시 핀(292)과 인접하여 상기 푸시 핀(292)보다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승 시에 상기 테스트 트레이(205) 또는 전자부품 수납 장치(100)의 안내 홀에 삽입되어서 상기 푸시 핀이 설정된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가이드 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푸시 핀이 보다 정확한 위치에서 이동 블록(140)을 밀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푸시 플레이트를 승하강 시킴으로써, 복수의 이동 블록(140)들을 동시에 밀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복수의 전자부품(S)들이 동시에 고정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시에 이동 블록을 승, 하강시키면서 랫치 부재를 상, 하측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전자부품을 트레이에 간단하게 고정 및 고정해제 할 수 있는 동시에, 고정시에 회전제어장치에 의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고정된 전자부품이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트레이 이동시를 비롯한 열악한 상황하에서도 전자부품이 흔들리지 않게 되어 픽업시 전자부품의 위치에러가 발생하지않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전자부품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적어도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고정홈을 가로지르며 설치된 힌지축;
    그 일측이 상기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선회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전자부품을 고정 및 상기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랫치 부재;
    상기 고정홈 내부에서 승하강 하며, 상기 힌지축을 상하로 선회 운동시키는 이동 블록; 및
    상기 이동 블록이 임계 높이보다 낮게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랫치 부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임계 높이 보다 높게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랫치 부재가 상기 이동 블록의 승, 하강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선회운동 하도록 하는 회전제어장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수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고정홈 내의 상기 랫치 부재 상측에서 승, 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며, 하측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면서 상기 랫치 부재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수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장치는, 상기 이동 블록과 결합된 이동 봉과; 상기 랫치 부재의 중앙부에 상기 이동 봉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홀;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홀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홀부와; 상기 제1 가이드홀부로부터 상기 수납부 방향으로 경사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가이드홀부;를 구비하며,
    상기 임계 높이는, 상기 이동 봉이 상기 제1 가이드홀부 및 상기 제2 가이드홀부가 만나는 지점의 높이에 있는 경우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수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장치는:
    상기 랫치 부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측 돌출부와;
    상기 이동 부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측 돌출부에 대응되며, 상기 상측 돌출부보다 하우징 외측 방향에 인접 배치된 이동 방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이동봉이 임계 높이 내인 경우에 상기 상측 돌출부를 지지하여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랫치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수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높이는, 상기 상측 돌출부의 상측 단부가 상기 이동 방지부의 하측 단부와 동일 높이에 위치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수납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고정홈 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 단부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하측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이동 봉과 결합된 다리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랫치 부재는 상기 다리부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힌지 축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이동 봉이 상기 임계 높이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납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수납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봉이 상기 제2가이드홀부의 상측 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랫치 부재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전자부품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수납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수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의 내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고정홈의 내측 상단부와 상기 이동 블록 사이를 연결하는 압축 스프링이 개재되고,
    상기 이동 블록 하측에는, 상기 이동 블록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전자부품 푸시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수납 장치.
  9. 제1 고객 트레이로부터 테스트할 복수의 전자부품들을 테스트 트레이의 전자부품 수납 장치로 이동하는 로딩 작업이 행해지는 로딩부;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전자부품 수납 장치로부터 테스트가 완료된 복수의 전자부품들을 테스트 결과에 따라 제2 고객 트레이로 이동하는 언로딩 작업이 행해지는 언로딩부;
    상기 로딩부와 제1 고객 트레이 사이, 언로딩부와 제2 고객 트레이 사이로 전자부품들을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 픽커; 및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하측에 배치되며, 승, 하강하면서 상기 전자부품 수납장치가 상기 전자부품을 고정 및 상기 고정을 해제하도록 하는 푸시 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전자부품 수납 장치는:
    전자부품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적어도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고정홈을 가로지르며 설치된 힌지축;
    그 일측이 상기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선회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전자부품을 고정 및 상기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랫치 부재;
    상기 고정홈 내부의 상기 랫치 부재 상측에서 승, 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홈에 결합된 것으로, 하측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서 상기 랫치 부재를 지지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이동 블록이 임계 높이만큼 상승하지 않는 경우 상기 랫치 부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임계 높이 이상 상승하는 경우 상기 랫치 부재가 상기 이동 블록의 승, 하강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선회운동 하도록 하는 회전제어장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장치는: 상기 이동 블록과 결합된 이동 봉과 상기 랫치 부재의 중앙부에 상기 이동 봉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홀부와, 상기 제1 가이드홀부로부터 상기 수납부 방향으로 경사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가이드홀부를 구비하는 가이드홀을 구비하며,상기 임계 높이는, 상기 이동 봉이 상기 제1 가이드홀부의 상측 단부에 위치하는 경우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봉이 상기 제2가이드홀부의 상측 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랫 치 부재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전자부품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수납부로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장치는:
    상기 랫치 부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측 돌출부와
    상기 이동 부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측 돌출부에 대응되며, 상기 상측 돌출부보다 하우징 내측에 배치된 이동 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이동봉이 임계 높이 내인 경우에 상기 상측 돌출부를 지지하여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랫치부재에 의해 고정되며,상기 임계 높이는, 상기 상측 돌출부의 상측 단부의 높이가 상기 이동 방지부의 하측 단부와 동일 높이에 위치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장치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 하측에 배치된 푸시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블록을 상측으로 밀 수 있도록 상기 푸시 플레이트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푸시 핀들과
    상기 푸시 플레이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푸시 플레이트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KR1020070038048A 2007-04-18 2007-04-18 전자부품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테스트용핸들러 KR100894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048A KR100894734B1 (ko) 2007-04-18 2007-04-18 전자부품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테스트용핸들러
TW097110764A TWI382489B (zh) 2007-04-18 2008-03-26 承載模組、承載盤與搬運機
US12/102,409 US20080260976A1 (en) 2007-04-18 2008-04-14 Carrier for carrying a packaged chip and handler equipped with the carrier
CN2008100891759A CN101290328B (zh) 2007-04-18 2008-04-17 用于承载封装芯片的承载器及装备有该承载器的处理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048A KR100894734B1 (ko) 2007-04-18 2007-04-18 전자부품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테스트용핸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818A true KR20080093818A (ko) 2008-10-22
KR100894734B1 KR100894734B1 (ko) 2009-04-24

Family

ID=3987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048A KR100894734B1 (ko) 2007-04-18 2007-04-18 전자부품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테스트용핸들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260976A1 (ko)
KR (1) KR100894734B1 (ko)
CN (1) CN101290328B (ko)
TW (1) TWI3824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146Y1 (ko) 2009-07-29 2012-07-12 세크론 주식회사 전자 부품 수납 장치
TW201235281A (en) * 2011-02-18 2012-09-01 Chroma Ate Inc Vibration homing shuttle and semiconductor element testing platform with the shuttle
KR101205950B1 (ko) * 2011-04-29 2012-11-28 미래산업 주식회사 메모리카드용 테스트 핸들러
US8826857B2 (en) * 2011-11-21 2014-09-09 Lam Research Corporation Plasma processing assemblies including hinge assemblies
KR101664220B1 (ko) * 2011-11-29 2016-10-11 (주)테크윙 테스트핸들러 및 그 작동방법
TWI567845B (zh) * 2013-02-25 2017-01-21 泰克元有限公司 用於測試處理機的振動裝置
CN113270345B (zh) * 2021-05-17 2022-02-18 深圳市芯电易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半导体芯片封装装置及封装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7633B2 (ja) * 1994-02-24 1997-10-27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ソケットにおけるic保持装置
KR100276826B1 (ko) * 1998-04-20 2001-01-15 윤종용 패키지되지않은칩을테스트하기위한케리어
US6369595B1 (en) * 1999-01-21 2002-04-09 Micron Technology, Inc. CSP BGA test socket with insert and method
US6636060B1 (en) * 1999-07-16 2003-10-21 Advantest Corporation Insert for electric devices testing apparatus
JP4721580B2 (ja) * 2001-09-11 2011-07-13 株式会社センサータ・テクノロジーズジャパン ソケット
KR100471357B1 (ko) * 2002-07-24 2005-03-10 미래산업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JP3803099B2 (ja) * 2002-12-17 2006-08-02 山一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KR100495819B1 (ko) * 2003-06-14 2005-06-16 미래산업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소자 안착장치
US6873169B1 (en) * 2004-03-11 2005-03-29 Mirae Corporation Carrier module for semiconductor device test handler
JP4068610B2 (ja) * 2004-10-01 2008-03-26 山一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キャリア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KR100675343B1 (ko) * 2004-12-20 2007-01-29 황동원 반도체용 테스트 및 번인 소켓
KR100641320B1 (ko) * 2005-01-28 2006-11-06 미래산업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소켓 어셈블리
KR100682543B1 (ko) * 2005-06-02 2007-02-15 미래산업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US7253653B2 (en) * 2005-02-25 2007-08-07 Mirae Corporation Test tray for handler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KR100652404B1 (ko) * 2005-03-05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핸들러용 테스트 트레이
JP2007109607A (ja) * 2005-10-17 2007-04-26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電子デバイス用ソケット
KR100795491B1 (ko) * 2006-07-14 2008-01-16 미래산업 주식회사 카드형 패키지용 캐리어 모듈
KR100860597B1 (ko) * 2007-04-18 2008-09-26 미래산업 주식회사 전자부품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테스트용핸들러
KR100899942B1 (ko) * 2007-05-31 2009-05-28 미래산업 주식회사 테스트 핸들러, 그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및테스트트레이 이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90328B (zh) 2012-06-06
KR100894734B1 (ko) 2009-04-24
CN101290328A (zh) 2008-10-22
TW200843022A (en) 2008-11-01
TWI382489B (zh) 2013-01-11
US20080260976A1 (en)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665B1 (ko) 핸들러용 전자부품 고정해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핸들러
KR100894734B1 (ko) 전자부품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테스트용핸들러
US6651817B2 (en) Test tray insert of test handler
US8277162B2 (en) Unit for opening insert for test tray and method of mount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KR100702587B1 (ko) 슬라이드 래치부재가 구비된 인서트
KR100639704B1 (ko) 독립적 동작이 가능한 레치를 갖는 반도체 패키지 수납용인서트
KR100682543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KR100707241B1 (ko) 반도체 패키지 수납용 인서트
KR100792730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KR100860597B1 (ko) 전자부품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테스트용핸들러
KR100835246B1 (ko) 캐리어 모듈, 그를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및 그를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0899927B1 (ko) 캐리어모듈 개방장치, 그를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및그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0465372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KR100905933B1 (ko) 일체형 래치가 구비된 인서트 장치
KR100577756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KR20060062244A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KR101028774B1 (ko) 테스트 트레이 랫치 해제 유닛
KR100958278B1 (ko) 에스에스디(ssd) 언로딩장치
KR100570201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KR101362524B1 (ko) 전자 부품 수납 장치
KR100822281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모듈
KR100551993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KR20050009066A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US7556518B2 (en) Burn-in socket having loading plate with uneven seating surface
KR102640942B1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테스트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