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396A - 휠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휠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396A
KR20080092396A KR1020087018786A KR20087018786A KR20080092396A KR 20080092396 A KR20080092396 A KR 20080092396A KR 1020087018786 A KR1020087018786 A KR 1020087018786A KR 20087018786 A KR20087018786 A KR 20087018786A KR 20080092396 A KR20080092396 A KR 20080092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uspension
piston
arm
wheel
a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펠릭스 하우슬러
크리스토프 엘베르스
시몬 아라마흐
크누트 하이드지크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92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6Attaching arms to sprung or unsprung part of vehicle,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ttachment means controlled by an external actuator, e.g. a fluid or electrical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07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means for adjusting the wheel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60G7/003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adjustabl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 B60G2200/14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with two lateral arms forming a parallelogr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camber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1Pivoted lever mechanism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e.g. Watt lin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 B60G2206/1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of adjustable length
    • B60G2206/1116Actively adjustable during driving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제 1 및 하나 이상의 제 2 암(1, 2)이 각각 차량 휠(3)을 지지하는 휠 지지체(4)와 피벗 방식으로 결합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휠 서스펜션은 휠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보상 수단(5, 6)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라 암들(1, 2) 각각이 하나의 보상 수단(5, 6)을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의 보상 수단과 연결되고, 하나의 휠의 보상 수단들(5, 6)은 각각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7, 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암, 차량 휠, 휠 지지체, 보상 수단, 결합 부재.

Description

휠 서스펜션{WHEEL SUSPENSION SYSTEM}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휠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안전성 및 쾌적성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휠 서스펜션에 작용하는 방해는 점점 더 짧은 단위 시간 내에 점점 더 양호하게 보상되어야 한다. 예컨대, 측력 영향 및 차체의 요동에 의해, 도로 표면에 대한 차량 휠의 기울어짐이 변한다. 차량 휠에 주어지는 기울어짐은 타이어 접촉 면을 변화시키므로, 차량 휠이 지면에 양호하게 접촉하지 않게 된다.
지금까지 공지된 2중 컨트롤 암 축은 예컨대, 커브 주행시 컨트롤 암의 상이한 길이 또는 배치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반대 방향의 네거티브 기울어짐을 발생시켜, 휠 위치에 의도적으로 영향을 줌으로써 상기 기울어짐을 보상한다. 그러나, 이는 개별 차량 휠들이 예컨대 평탄하지 않은 도로 표면을 주행할 때 생길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측면에서 편향을 갖는 경우, 차량의 직선 주행 동안 단점을 야기한다. 또한, 이러한 2중 컨트롤 암 휠 서스펜션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타이어 마모가 나타나고 타이어의 유용한 측력 포텐셜이 사라진다.
EP 1 070 609 B1은 2중 컨트롤 암 축으로서 구현된 휠 서스펜션을 개시한다. 이러한 해결책의 특수성은, 상부 및 하부 암의 차체 측 단부들의 피벗 방식 연결을 형성하는 스티어링 로커(rocker)가 보상 수단으로서 사용됨으로써, 2개의 암 단부가 하나의 공통 스티어링 로커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 암의 마주 놓인, 휠 측 단부들은 각각 휠 지지체에 고정된다.
차량용 다른 휠 서스펜션은 US 6,929,271 B2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간행물에 개시된 휠 서스펜션은 예컨대 휠 기울어짐과 같은 휠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보상 수단으로서 안정화기를 갖는다. 2개의 서로 마주 놓인 휠들, 즉 2개의 차량 측면의 휠들이 연결되고 전방 휠과 후방 휠이 결합된다. 이 해결책에서는 보상 수단으로서 차량의 안정화기 내에 통합된, 2중으로 작용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이 사용된다.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은 예컨대 커브 주행시 바람직하지 않은 휠 운동을 보상한다. US 6,929,271 B2에 공지된 휠 서스펜션은 차량 휠을 지지하는 휠 지지체와 피벗 방식으로 결합되는 컨트롤 암을 갖는다.
상기 공지된 해결책들에서는 공통적으로, 차량 휠에 작용하는 힘 및 그것으로부터 결과하는, 차량 휠들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위가 다수의 차량 휠들의 결합에 의해 보상되고, 이를 위해 적합한 보상 수단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선 주행시 휠 서스펜션의 운동이 도로 표면에 차량 휠의 최적 지지를 가능하게 하고 편향 시에 차량 휠의 위치 에러를 방지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제 1 암 및 제 2 암이 각각 차량 휠을 지지하는 휠 지지체에 피벗 방식으로 결합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으로서, 상기 서스펜션이 예컨대 기울어짐과 같은 휠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보상 수단을 포함하는, 휠 서스펜션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암들 각각이 보상 수단을 갖거나 또는 보상 수단과 연결되고 하나의 차량 휠의 보상 수단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개선된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실시예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휠 서스펜션은 각각 상응하게 설치된 차량 휠에서 상기 휠에 관련한 각각의 암에 상기 보상 수단을 갖는다. 휠 위치의 상호 보상을 위한 차량의 다수의 휠들 간의 연결은 본 발명의 대상이 아니지만, 본 발명을 추가로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도로에 대한 차량 휠의 기울어짐을 줄이거나 방지함으로써, 극단의 주행 상황에서 위험이 현저히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휠 서스펜션을 구비한 차량의 주행 특성은 "오버 스티어링"으로부터 "중립 특성"을 지나 "언더 스티어링"까지 임의로 변할 수 있다. 또한, 평탄하지 않은 도로에서 직선 주행시 예컨대 기울어짐 및 트랙 폭 변동에 의해 생기는 방해가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차량 타이어와 도로 사이의 접촉 면이 최적화된다. 이는 타이어 마모를 감소시키고, 정지 마찰을 개선하고, 그에 따라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전체적으로 상승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휠 서스펜션은 기계식, 유압식, 공압식 또는 전동기 작동식 보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기계식 및 유압식 실시예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그것이 간단히 실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보상 수단이 유압식으로 작용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이다.
전체 휠 서스펜션을 가급적 컴팩트하게 형성하기 위해, 피스톤-실린더 유닛이 암의 일체형 부품인 것이, 즉 암과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유닛이 암의 제조 시에 이미 제조되었는지의 여부 또는 상기 유닛이 차량 내로 암의 조립 시에야 상응하는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지의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암의 높은 고유 중량의 단점은 각각의 차량 휠의 기울어짐의 동적 조절의 장점에 비해 미미하다.
암의 결합에 따라, 피스톤-실린더 유닛으로서 단순하게 작용하는 피스톤이 2중으로 작용하는 피스톤과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2중으로 작용하는 피스톤은 각각 2개 이상의 챔버를 형성하고, 더 효율적이고, 더 큰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적절한 피스톤-실린더 유닛의 선택은 다이내믹 및 기대되는 부하에 주어지는 요구에 따라 이루어진다.
2중으로 작용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휠 서스펜션에 사용되면, 각각의 피스톤-실린더 유닛의 "크로스" 연결이 바람직하다. 제 1 암의 피스톤-실린더 유닛은 제 2 암의 피스톤-실린더 유닛과 마찬가지로 휠 지지체 측, 외부 챔버와 차체 측, 내부 챔버를 갖는다. 결합 부재는 각각 제 1 암의 내부 챔버와 제 2 암의 상응하는 외부 챔버 사이의 연결 및/또는 그 반대로의 연결을 형성한다.
휠 서스펜션을 다수 암 축 또는 2중 컨트롤 암 축에 사용하면, 전술한 이유로 적어도 제 1 암의 피스톤-실린더 유닛과 하나 이상의 제 2 암의 피스톤-실린더 유닛이 상이한 치수로 설계된다. 제 1 암의 피스톤-실린더 유닛은 제 2 암의 피스톤-실린더 유닛보다 더 작은 치수로 설계되며, 제 2 암의 피스톤-실린더 유닛보다 더 작은 횡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해결책에 의해, 공지된 2중 컨트롤 암 축의 상부 컨트롤 암의 단축 실시예와 유사한 변형예가 제시된다.
피스톤-실린더 유닛이 각각 그 중립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기 위해, 각각의 피스톤-실린더 유닛은 상응하는 복원력의 형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피스톤을 가질 수 있다.
유압식으로 작용하는 보상 수단을 가진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가능성에 부합한다. 다른 바람직한 변형예는, 주행 동안 주어지는 휠 위치를 보정하기 위해 기계식 부재를 포함하는 휠 서스펜션이다. 보상 수단으로는 회전 암이 사용될 수 있다. 회전 암으로는 예컨대 3개의 연결 점을 가진 삼각형 암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휠 서스펜션의 각각의 암이 차량 휠로부터 먼 그 측면에서, 즉 차체 측에서 적어도 각각 하나의 상기 회전 암과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각 제 1 암과 상응하는 제 2 암의 회전 암이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회전 암의 상이한 치수 설계는 측력 영향 하에서 소정 휠 위치 보정을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놓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는 각각 조인트로서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회전 암이 암들, 각각의 결합 부재 및 차체와의 연결을 위한 조인트를 갖는다. 선행기술에 따라 조인트에 대한 충분한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는, 예시로만 볼 슬리브 조인트, 회전 슬라이딩 베어링, 슬리브 고무 스프링 또는 다른 탄성 중합체 베어링과 같은 회전 조인트가 언급된다. 상기 조인트는 각각 하나의 자유도 또는 2개의 자유도를 갖는다.
회전 암의 바람직한 구조에서는 제 1 상부 회전 암의 연결 점들 사이의 간격이 제 2 하부 회전 암의 연결 점들 사이의 간격보다 크다.
마찬가지로, 회전 암의 연결 점들의 간격의 비가 다른 회전 암의 연결 점들의 간격의 비와 편차를 갖는다.
결합 부재로는 진자 지지체가 사용될 수 있다. 컨트롤 암으로서 작용하는 암들은 본 발명에 따른 휠 서스펜션의 부분들, 다수 암 축 또는 하나의 중앙 암 축의 부품일 수 있다. 개별 휠 서스펜션은 다른 휠 서스펜션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 가능성에 대한 큰 장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며, 단지 본 발명에 따른 휠 서스펜션의 몇몇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동일한 또는 동일 작용의 부품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방식을 나타내기 위해, 도면은 매우 개략적인 원리도로 도시되며, 이 원리도에서는 스프링, 댐퍼 및 다른 휠 서스펜션 부품과 같은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은 부품은 생략되었다. 그러나, 이는 이러한 부품이 본 발명에 따른 휠 서스펜션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은 유압식 보상 수단으로서 단순 작용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을 가진, 변위되지 않은 휠 서스펜션의 개략도.
도 2는 차량 휠의 변위된 위치에서 도 1에 따른 휠 서스펜션.
도 3은 유압식 보상 수단으로서 2중 작용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을 가진, 변위되지 않은 휠 서스펜션의 개략도.
도 4는 차량 휠의 변위된 위치에서 도 3에 따른 휠 서스펜션.
도 5는 차체에 대한 유압식 보상 수단의 고정을 가진 휠 서스펜션.
도 6은 기계식 보상 수단으로서 회전 암을 가진, 변위되지 않은 휠 서스펜션의 개략도.
도 7은 차량 휠의 변위된 위치에서 도 6에 따른 휠 서스펜션.
도 8은 기계식 보상 수단으로서 다수의 회전 암을 가진, 변위되지 않은 휠 서스펜션의 사시도.
도 1에 도시된, 변위되지 않은 휠 서스펜션의 개략도는 휠 지지체(4)에 장착된 차량 휠(3)을 포함한다. 휠 지지체(4)는 제 1 암(1)에 피벗 방식으로 그리고 제 2 암(2)에 피벗 방식으로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암은 개별 휠 서스펜션의 특별한 구성인, 2중 컨트롤 암-휠 서스펜션의 상부 컨트롤 암(1) 및 하부 컨트롤 암(2)을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휠 서스펜션의 특수성은, 암들(1, 2)이 각각 유압식 보상 수 단(5, 6)으로서 사용되는, 단순하게 작용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피스톤-실린더 유닛들(5, 6)은 예컨대 커브 주행시에 생기는 휠 기울어짐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휠 위치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시된 변형예에서, 암들(1, 2) 각각에는 별도의 피스톤-실린더 유닛(5, 6)이 통합된다. 즉, 본 경우, 암(1, 2) 및 관련 피스톤-실린더 유닛(5, 6)은 각각 하나의 유닛을 형성한다. 제 1 암(1)의 피스톤-실린더 유닛(5)은 결합 부재(7)에 의해 제 2 암(2)의 피스톤-실린더 유닛(6)에 연결된다. 여기서, 결합 부재로는 유압 라인(7)이 사용된다. 피스톤-실린더 유닛(5)은 피스톤(9)에 의해 2개의 챔버(11, 12)로 세분된다. 변위된 피스톤(9)을 항상 그 중립 초기 위치로 되돌리기 위해, 챔버(11)는 스프링(13)을 가지며, 상기 스프링은 한편으로는 챔버 벽에 대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피스톤(9)에 대해 지지된다. 피스톤-실린더 유닛(10)은 피스톤-실린더 유닛(5)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피스톤-실린더 유닛(6)은 피스톤(10)을 가지며, 상기 피스톤(10)은 피스톤-실린더 유닛(6)을 2개의 챔버(11', 12')로 세분하고, 스프링(14)에 의해 제 위치로 유지된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A)의 방향으로 제 1 암(1)의 피스톤-실린더 유닛(5)의 피스톤(9)의 운동에 의해, 유압액이 제 2 암(2)의 피스톤-실린더 유닛(6)의 챔버(11')로부터 유압 라인(7)을 통해 제 1 암(1)의 피스톤-실린더 유닛(5)의 챔버(12) 내로 송출된다.
역방향으로 피스톤 운동이 이루어지면, 유압액은 반대로 송출된다. 따라서, 피스톤-실린더 유닛들(5, 6) 사이의 보상이 이루어진다. 피스톤-실린더 유닛(5)이 피스톤-실린더 유닛(6)에 비해 작은 체적을 갖기 때문에, 차량 휠(3)에 작용하는 측력(Fs)에 의해 변위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6)의 하부 피스톤(10)의 체적이 피스톤 실린더-유닛(5)의 작은 피스톤(9)의 큰 이동 거리를 발생시키며, 따라서 2개의 암(1, 2)의 상이한 거리가 주어진다. 결과적으로, 차량 휠(3)에 소정 네거티브 기울어짐이 생긴다. 암의 지지점들은 그 위치를 피스톤 직경 및 변위된 체적에 따라 변동시킨다.
차량 휠(3)에 측력(Fs)이 작용할 때 암들(1, 2)의 거리의 상이함은 도 2에 도시된다. 여기서, 피스톤-실린더 유닛(5)의 피스톤(9)으로부터 뒤로 물러난 거리는 화살표 B-B'로 그리고 피스톤-실린더 유닛(6)의 피스톤(10)의 거리는 화살표 C-C'로 표시된다. 차량 휠(3)은 약간의 네거티브 기울어짐을 가지며, 이는 차량 휠(3)에 파선 및 화살표 D-D'로 표시된다. 도 2에 도시된 휠 서스펜션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3은 유압식 보상 수단으로서 2중으로 작용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5, 6)을 가진, 변위되지 않은 휠 서스펜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피스톤(9)은 피스톤-실린더 유닛(5)을 2개의 챔버(11, 12)로 세분한다. 챔버들(11, 12) 각각에서 스프링(13)은 하나의 피스톤 측면에 그리고 스프링(19)은 다른 피스톤 측면에 배치된다. 피스톤(10)은 피스톤-실린더 유닛(6)을 2개의 챔버(11', 12')로 세분한다. 챔버들(11', 12') 각각에서 스프링(14)은 하나의 피스톤 측면에 그리고 스프링(20)은 다른 피스톤 측면에 배치된다.
스프링들(13, 19; 14, 20)은 피스톤(9, 10)을 그 중립 초기 위치에 위치 설정한다.
피스톤-실린더 유닛(5)의 챔버(12)는 유압 라인(7)을 통해 피스톤-실린더 유닛(6)의 챔버(11')와 연결된다. 추가로, 상기 휠 서스펜션은 다른 결합 부재(8)를 갖는다. 유압 라인(8)으로서 형성된 결합 부재는 피스톤-실린더 유닛(5)의 챔버(11)를 피스톤-실린더 유닛(6)의 챔버(12')와 연결한다. 따라서, 챔버들은 " 크로스" 결합된다.
도 4는 차량 휠의 변위된 위치에서, 도 3에 따른 휠 서스펜션을 도시한다. 도 2와 관련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에서도 암들(1, 2)의 상이한 거리가 화살표 B-B' 및 C-C'로 표시된다. 차량 휠(3)에는 소정 네거티브 기울어짐이 나타난다. 수직선에 대한 차량 휠(3)의 기울어짐은 화살표 D-D'로 표시된다.
도 5에는 차체(18)에 대한 유압식 보상 수단(5, 6)의 매우 간단한 고정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휠 서스펜션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된다.
암들(1, 2)은 휠 지지체 측에서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피스톤-실린더 유닛(5, 6)의 실린더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휠 지지체 측에서 각각의 피스톤(9, 10)에 장착된다. 실린더, 즉 피스톤-실린더 유닛(5, 6)의 하우징은 차체(18)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휠 서스펜션의 이러한 변형예는 매우 간단히 구현되기 때문에 큰 장점을 갖는다.
이하, 도 6 및 도 7과 관련해서, 본 발명에 따른 휠 서스펜션의 다른, 매우 바람직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는 기계식 보상 수단으로서 회전 암을 구비한, 변위되지 않은 기계식 휠 서스펜션이, 도 7에는 차량 휠(3)의 변위된 위치에서, 도 6에 따른 휠 서스펜션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휠 서스펜션의 특수성은 암들(1, 2)이 차체 측에서 별도의 회전 암(5, 6)을 통해 차체에 연결된다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에서 상부 회전 암(5)은 진자 지지체의 형태인 결합 부재(7)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를 통해 상부 회전 암(5)이 하부 회전 암(6)에 연결된다. 회전 암들(5, 6)의 피벗 방식 지지부(15, 16, 17 및 15', 16', 17')는 음향 절연 및 진동 댐핑을 보장하는 탄성 중합체 지지부이다. 동시에, 상기와 같은 탄성 중합체 지지부의 회전에 대한 저항에 의해 복원 모멘트(M)가 형성된다.
측력(Fs)이 가해지면, 먼저 회전 암(6)에 있는 하부 컨트롤 암(2)의 연결 점(17')이 차량 중심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7에는 이것이 화살표 E-E'로 표시된다. 이러한 운동은 진자 지지체(7)를 통해 회전 암(5)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회전 암(5)에 있는 상부 컨트롤 암(1)의 연결 점(17)도 차량 중심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는 도 7에 화살표 F-F'로 표시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부 회전 암(5)은 하부 회전 암(6) 보다 큰 치수로 설계된다. 회전 암(5, 6)의 이러한 상이한 구조에 의해, 상부 연결 점(17)이 하부 연결 점(17') 보다 더 많이 차량 중심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는 소정의 추가 기울어짐을 야기한다. 이는 하부 컨트롤 암(2)에서의 힘(축 구조에 의존)이 상부 컨트롤 암에서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에 가능하다. 차량 휠의 전술한 기울어짐은 도 7에서 파선 및 화살표 G-G'로 표시된다.
도 8은 기계식 보상 수단으로서 다수의 회전 암(5, 6, 25)을 가진, 변위되지 않은 휠 서스펜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여기서, 회전 암(25)은 암(1)에, 회전 암(6)은 암(2)에 그리고 이 경우 거의 중심에 도시된 회전 암(5)은 추가의 암(24)에 연결된다. 암들(1, 2)은 삼각형 구조를 가진 컨트롤 암으로서 형성된다. 암(24)은 휠 측에서 볼-앤드-소켓 조인트에 의해 휠 지지체(4)에 장착된다. 중심에 도시된 회전 암(5)과 회전 암(6) 사이에 결합 부재로서 진자 지지체(7)가 배치된다. 회전 암(25)도 결합 부재로서 진자 지지체(8)를 가지며, 회전 암(25)에 마주 놓인, 상기 진자 지지체(8)의 단부는 진자 지지체(7)와 연결되는 하나의 공통 축에서 회전 암(6)에 고정된다. 이러한 휠 서스펜션에 의해, 차량 휠(3)의 기울어짐뿐만 아니라 트랙 변동도 보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특히 차량의 고유 스티어링 특성(오버 스티어링 또는 언더 스티어링)이 조절될 수 있다.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제 1 및 하나 이상의 제 2 암(1, 2, 24)이 각각 차량 휠(3)을 지지하는 휠 지지체(4)와 피벗 방식으로 결합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으로서, 상기 휠 서스펜션은 휠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보상 수단(5, 6, 25)을 포함하는, 휠 서스펜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암 및 제 2 암(1, 2, 24)이 하나의 보상 수단(5, 6, 25)을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의 보상 수단(5, 6, 25)과 연결되고, 하나의 휠의 2개 이상의 보상 수단들(5, 6)은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7, 8)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수단(5, 6)은 유압식으로 작용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5, 6)은 상기 암(1, 2)의 일체형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들(5, 6)은 2중으로 작용하는 피스톤들(9, 10)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들은 각각 2개 이상의 챔버(11, 12 또는 11', 1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암(1)의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5) 및 제 2 암(2)의 피스톤-실린더 유닛(6)은 각각 하나의 휠 지지체 측, 즉 외부 챔버(11 또는 11') 및 차체 측, 즉 내부 챔버(12 또는 12')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7, 8)는 각각 상기 제 1 암(1)의 상기 내부 챔버(12 또는 12')와 상기 제 2 암(2)의 상응하는 상기 외부 챔버(11 또는 11') 사이의 연결 및/또는 그 반대로의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7, 8)는 유압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암(1)의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5) 및 제 2 암(2)의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6)은 상이한 치수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8. 제 7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암(1)의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5)은 상기 제 2 암(2)의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6)보다 작은 치수로 설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2 암(2)의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6)보다 작은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9. 제 2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들(5, 6)은 복원력의 형성을 위한 스프링들(13, 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수단들(5, 6, 25)은 회전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암은 각각 3개 이상의 연결 점(15, 16, 17 또는 15', 16', 17')을 가진 삼각형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각각의 회전 암(5, 6)은 상기 암들(1, 2), 상기 결합 부재(7, 8) 및 차체(18)와의 연결을 위한 조인트들(15, 16, 17 또는 15', 16', 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들은 회전 조인트 또는 탄성 중합체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14. 제 10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암들(5, 6, 25)은 상이한 치수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15. 제 10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암(5)의 연결 점들(15, 17) 사이의 간격은 상기 회전 암(6)의 연결 점들(15', 17')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16. 제 10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암(5)의 상기 연결 점들(15, 17)의 간격 대 상기 연결 점들(15, 16)의 간격의 비는 상기 회전 암(6)의 상기 연결 점들(15', 17')의 간격 대 상기 연결 점들(15', 16')의 간격의 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17. 제 10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는 진자 지지체(7,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18. 제 10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들(1, 2, 24)은 컨트롤 암 또는 트랙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 서스펜션은 다수 암 축 또는 중앙 암 축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 서스펜션은 개별 휠 서스펜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
KR1020087018786A 2006-02-10 2007-01-30 휠 서스펜션 KR200800923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06513.1 2006-02-10
DE102006006513A DE102006006513A1 (de) 2006-02-10 2006-02-10 Radaufhäng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396A true KR20080092396A (ko) 2008-10-15

Family

ID=37907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786A KR20080092396A (ko) 2006-02-10 2007-01-30 휠 서스펜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78511B2 (ko)
JP (1) JP2009525906A (ko)
KR (1) KR20080092396A (ko)
CN (1) CN101378947B (ko)
DE (1) DE102006006513A1 (ko)
WO (1) WO20070903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46241A1 (de) * 2006-09-28 2008-04-03 Zf Friedrichshafen Ag Einzelradaufhängung
DE102006052252A1 (de) 2006-11-03 2008-05-08 Zf Friedrichshafen Ag Einzelradaufhängung
DE102006059778B3 (de) * 2006-12-15 2008-07-10 Zf Friedrichshafen Ag Radaufhängung
DE102006061975B4 (de) * 2006-12-21 2008-11-20 Zf Friedrichshafen Ag Radaufhängung
SE531036C2 (sv) * 2007-04-02 2008-11-25 Bae Systems Haegglunds Ab Hjulupphängning för hjulfordon
FR2916413B1 (fr) * 2007-05-23 2010-01-15 Michelin Soc Tech Montage de roue d'un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actionneur binaire de reglage de la position angulaire du plan d'une roue.
WO2009126787A2 (en) * 2008-04-10 2009-10-15 Sacli Suspension, Llc Suspension system providing two degrees of freedom
DE102008063603A1 (de) * 2008-12-18 2010-06-24 Schaeffler Kg Querlenker für eine Radaufhängung
JP5325653B2 (ja) * 2009-05-19 2013-10-23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電動モータ駆動式車両用の駆動ユニット防振保持装置
US8205892B2 (en) * 2010-07-30 2012-06-26 Deere & Company Method of automatically changing wheel toe angle
CN101979268B (zh) * 2010-09-25 2012-09-05 合肥工业大学 一种汽车转向轮摆振控制方法
FR2999476A1 (fr) * 2012-12-18 2014-06-2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permettant de modifier la demi largeur d'un train roulant de vehicule lors d'un braquage des roues
KR101539027B1 (ko) * 2013-12-24 2015-07-29 한국과학기술원 인휠모터 구동 자동차의 조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향 제어방법
DE102016001417A1 (de) * 2016-02-05 2017-02-02 Audi Ag Vorrichtung zur Verstellung des Sturzes an einem Rad eines Kraftfahrzeugs
EP3568308B1 (en) * 2017-01-13 2021-01-20 Triggo S.A. Vehicle suspension system
CN116729043A (zh) 2017-01-19 2023-09-12 多夫泰克有限公司 用于控制车辆悬架设置的机电装置
CN107244201B (zh) * 2017-05-05 2019-04-02 清华大学 360度全向单边独立悬架系统
IT201700083402A1 (it) * 2017-07-21 2019-01-21 Ari Automotive Res Innovation S A S Di Francesca Bianco & C Sospensione provvista di dispositivo reattivo ai carichi.
JP6489180B2 (ja) * 2017-09-04 2019-03-2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WO2019078119A1 (ja) 2017-10-19 2019-04-25 日本精工株式会社 伸縮リンク及びサスペンション
KR102463210B1 (ko) * 2018-06-05 2022-11-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CN111301080B (zh) * 2018-12-12 2021-07-20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吸收轴向位移的轮子悬挂系统
CN109720409A (zh) * 2019-01-23 2019-05-07 湖北火鑫消防车辆装备有限公司 车轮倾角调节系统
US20220204078A1 (en) * 2020-12-31 2022-06-30 Ree Automotive Ltd. Steering and suspension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1036A (en) * 1948-08-14 1952-12-09 Ina Imp & Exp Company Vehicle suspension
US2678830A (en) * 1950-02-03 1954-05-18 Cigan Andrew Automotive frame suspension
US4700972A (en) * 1985-06-20 1987-10-20 Young Colin G Computerized, central hydraulic, electronic variable suspension
JPS62125907A (ja) * 1985-11-28 1987-06-08 Isuzu Motors Ltd 可変サスペンシヨンジオメトリ装置
DE3818240A1 (de) * 1988-05-28 1989-12-07 Schwartz Helma Sicherheitsfahrwerk fuer sportwagen, schnelle pkw,s und busse, mit konstantlenker, fliehkraftgesteuerter konterlenkung und automatischer vorspurvergroesserung
FR2641503B1 (fr) 1989-01-09 1991-05-03 Peugeot Suspension a carrossage variable pour vehicule automobile
DE3918359A1 (de) 1989-06-06 1990-12-1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Radaufhaengung fuer fahrzeuge
JPH06183234A (ja) 1992-06-29 1994-07-05 Fujio Inoue 車輌用サスペンション
JPH0664422A (ja) * 1992-08-19 1994-03-08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3100636B2 (ja) * 1992-12-02 2000-10-16 ヒュンダイ モーター カンパニー 車両用懸架装置
JPH06183242A (ja) * 1992-12-17 1994-07-05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0139520B1 (ko) * 1992-12-28 1998-07-01 전성원 자동차의 현가장치
US5415426A (en) * 1993-03-29 1995-05-16 Strasser; James P. Flex arm suspension
EP0682604B1 (en) * 1993-12-10 1999-09-22 Hyundai Motor Company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US5498019A (en) * 1994-12-15 1996-03-12 Adato; Henri Suspension system for controlling lateral displacement of a wheel
EP0783414B1 (en) * 1995-05-22 2001-04-11 Hyundai Motor Company A vehicle suspension system for a steerable wheel
JP3834920B2 (ja) * 1997-03-26 2006-10-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のキャンバ角制御装置
DE19857394C2 (de) * 1998-12-12 2000-11-23 Daimler Chrysler Ag Regelbares Aufhängungssystem für ein aktives Fahrwerk eines Kraftfahrzeugs
SE516990C2 (sv) * 1998-12-29 2002-04-02 Volvo Car Corp Arrangemang för hjulupphängning i fordon
FR2796594A1 (fr) 1999-07-23 2001-01-26 Michelin & Cie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systeme de controle de l'angle de carrossage des roues du vehicule en virage
US6929271B2 (en) 2001-11-09 2005-08-16 Illinois Tool Works Inc. Hydraulically compensated stabilizer system
US20030111812A1 (en) 2001-12-19 2003-06-19 Carlstedt Robert P. Adjustable suspension assembly control arms
FR2849406A1 (fr) * 2002-12-27 2004-07-02 Michelin Soc Tech Dispositif de support d'une roue a triple charniere, dispositif de suspension et vehicule comprenant ledit, dispositif de support
JP2007008309A (ja) * 2005-06-30 2007-01-18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7038879A (ja) * 2005-08-03 2007-02-15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78511B2 (en) 2011-02-01
DE102006006513A1 (de) 2007-08-23
US20090096183A1 (en) 2009-04-16
JP2009525906A (ja) 2009-07-16
CN101378947B (zh) 2012-06-13
CN101378947A (zh) 2009-03-04
WO2007090372A1 (de)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2396A (ko) 휠 서스펜션
US8434581B2 (en) Suspension device having anti-roll compensation
US7559562B2 (en) 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
US8056912B2 (en) Multi-link suspension device and method for suspending wheels
JP3200435B2 (ja) 車両の車輪組用懸架システム
US7246808B2 (en) Wheel suspension for vehicles
US8087682B2 (en) Suspension device for a wheel and method for supporting a wheel
US10807430B2 (en) Axle/suspension systems
EP1888355B1 (en) Suspension systems
KR20080089609A (ko) 자동차용 휠 서스펜션
JP2010512272A (ja) ホイールサスペンション
US7784807B2 (en) Wheel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CN110481255B (zh) 后轮悬架装置和汽车
US6739608B2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JP4888189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90091298A (ko) 휠 서스펜션
JP3551630B2 (ja)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
JPH02300516A (ja) 車両部品用弾性撓み型自在軸受
KR100345125B1 (ko) 차량용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의 토션 빔 마운팅 구조
KR20070104053A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101104614B1 (ko)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
JP2003118345A (ja) ストラット式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30024376A (ko) 킹핀축 가변이 가능한 스트러트 인슈레이터 마운트 구조
JP4483701B2 (ja) 多軸車両の油圧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941721B1 (ko) 에어 서스펜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