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1977A - 고기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고기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1977A
KR20080091977A KR1020070035170A KR20070035170A KR20080091977A KR 20080091977 A KR20080091977 A KR 20080091977A KR 1020070035170 A KR1020070035170 A KR 1020070035170A KR 20070035170 A KR20070035170 A KR 20070035170A KR 20080091977 A KR20080091977 A KR 20080091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harcoal
air
roasting
diffu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7590B1 (ko
Inventor
이임경
Original Assignee
이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임경 filed Critical 이임경
Priority to KR1020070035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590B1/ko
Publication of KR2008009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숯이 충진되어 숯불을 발생시키는 숯통이 안치되어 숯불에 의해 구이판에서 구워지는 고기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여 상기 숯통으로 순환시키어 고기를 구울때 발생되는 연기를 완전 연소하여 매연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된 고기구이장치로써, 특히 상기 구이판의 전체 면적에 고르게 숯불의 열기가 전달되도록 불길을 확산할 수 있으며, 발생되는 연기를 숯통의 열기로 원할하게 순환시키어 완전연소하므로써 고기를 구울때 연기가 발생되지 않아 청결하게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2)를 가지는 몸체(3)를 가지며, 상기 몸체(3)의 공간부(2)에는 숯(4)이 충진되어 숯불을 발생시키는 숯통(5)이 안치되는 안치판(6)이 마련되어 있고, 몸체(3)의 측판(7)과 전면판(8)은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공기 순환로(9)가 형성되어 있어 전면 일측에 마련된 환풍기(10)에 의해 측판(7)에 형성된 흡입공(11)으로 흡인되는 공기를 전면판(8)으로 인도하여 전면판(8)과 연결된 순환관(12)으로 공기를 유도하여 순환관(12)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13)을 통해 상기 숯통(5)의 저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연기성분이 숯불의 열기에 의해 연소되면서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된 통상의 고기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3)의 공간부(2)에는 상기 숯통(5)의 상측에 상기 전면판(8)의 공기순환로(9)와 연통되며 다수의 공기 방출공(14)이 형성된 방출관915)이 마련되고; 상기 방출관(15)의 상부에는 방출공(14)에서 방출되는 순환공기가 충돌하여 외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확산하도록 저면 이 일정한 경사도를 가지는 역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일정한 너비를 가지는 턱(16)이 형성된 확산부재(17)가 구비되며; 상기 확산부재(17)의 상부면에 고기가 얹어지며 중앙에 기름유도로(18)가 형성된 유도판(19)을 가지는 망상의 구이판(20)을 포함하고 있는 고기구이장치를 제공한다.
구이판, 고기구이장치, 고기구이기, 공기순환로, 고기구이판.

Description

고기구이장치{A DEVICE OF ROAST MEA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고기구이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동 사용상태 측단면 예시도,
도 3은 동 개략 평단면 예시도,
도 4는 동 사용상태 정면 예시도,
도 5는 동 작용 상태 예시도,
[도면 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기구이장치, 2 : 공간부,
3 : 몸체, 4 : 숯,
5 : 숯통, 6 : 안치판,
7 : 측판, 8 : 전면판,
9 : 공기순환로, 10 : 환풍기,
11 : 흡입공, 12 : 순환관,
13 : 통공, 14 : 방출공,
15 ; 방출관, 16 : 턱,
17 : 확산부재, 18 : 기름유도로,
19 : 유도판, 20 : 구이판,
21 : 걸림편, 22 : 내입편,
23 : 통공, 24 : 연통공,
25 : 후면판, 26 : 축,
27 : 레버, 28 : 링크,
29 : 기름받이판, 30 : 기름저장판,
31 : 기름유출공, 32 : 유도공,
33 : 공기유입공, 34 : 조절스위치.
본 발명은 고기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숯이 충진되어 숯불을 발생시키는 숯통이 안치되어 숯불에 의해 구이판에서 구워지는 고기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여 상기 숯통으로 순환시키어 고기를 구울때 발생되는 연기를 완전 연소하여 매연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된 고기구이장치로써, 특히 상기 구이판의 전체 면적에 고르게 숯불의 열기가 전달되도록 불길을 확산할 수 있으며, 발생되는 연기를 숯통의 열기로 원할하게 순환시키어 완전연소하므로써 고기를 구울때 연기가 발생되지 않아 청결하게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된 고기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숯불로 굽는 장치는 여러 종류의 것이 있으며, 근자에는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를 흡인하여 숯불의 열기로 순환시키어 연소시키므로써 청결하게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된 공기순환식 고기구이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순환식 고기구이장치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는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는 숯이 충진되어 숯불을 발생시키는 숯통이 안치되는 안치판이 마련되어 있고, 몸체의 측판과 전면판은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공기 순환로가 형성되어 있어 전면 일측에 마련된 환풍기에 의해 측벽으로 흡인되는 공기를 전면판으로 인도하여 전면판과 연결된 순환관으로 공기를 유도하여 순환관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숯통의 저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연기성분이 숯불의 열기에 의해 연소되어 외부로 연기가 발산되지 않아 청결하게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구이판에서 발생되는 연기는 상기한 측판에 형성된 유입공으로 흡입되어 외부로 연기가 번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기구이장치는 연기가 함유된 공기의 재연소가 숯통의 하부에 형성된 순환관에 의해서만 순환되어 연소되므로써 연소효율이 높지 않아 완전연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숯통의 열기가 수직상승하여 숯통과 근접된 부위의 구이판 부분만 가열되어 고기가 고르게 구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숯이 충진되어 숯불을 발생시키는 숯통이 안치되어 숯불에 의해 구이판에서 구워지는 고기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여 상기 숯통으로 순환시키어 고기를 구울때 발생되는 연기를 완전 연소하여 매연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된 고기구이장치로써, 특히 상기 구이판의 전체 면적에 고르게 숯불의 열기가 전달되도록 불길을 확산할 수 있으며, 발생되는 연기를 숯통의 열기로 원할하게 순환시키어 완전연소하므로써 고기를 구울때 연기가 발생되지 않아 청결하게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된 고기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기구이장치는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는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는 숯이 충진되어 숯불을 발생시키는 숯통이 안치되는 안치판이 마련되어 있고, 몸체의 측판과 전면판은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공기 순환로가 형성되어 있어 전면 일측에 마련된 환풍기에 의해 측판으로 흡인되는 공기를 전면판으로 인도하여 전면판과 연결된 순환관으로 공기를 유도하여 순환관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숯통의 저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연기성분이 숯불의 열기에 의해 연소되면서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된 통상의 고기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의 공간부에는 상기 숯통의 상측에 상기 전면판의 공기순환로와 연통되며 다수의 공기 방출공이 형성된 방출관이 마련되고; 상기 방출관의 상부에는 방출공에서 방출되는 순환공기가 충돌하여 외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확산하도록 저면이 일정한 경사도를 가지는 역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일정한 너비를 가지는 턱이 형성된 확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확산부재의 상부면에 고기가 얹어지며 중 앙에 기름유도로가 형성된 유도판을 가지는 망상의 구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기구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고기구이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의 고기구이장치(1)는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2)를 가지는 몸체(3)를 가지며, 상기 몸체(3)의 공간부(2)에는 숯(4)이 충진되어 숯불을 발생시키는 숯통(5)이 안치되는 안치판(6)이 마련되어 있고, 몸체(3)의 측판(7)과 전면판(8)은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공기 순환로(9)가 형성되어 있어 전면 일측에 마련된 환풍기(10)에 의해 측판(7)에 형성된 흡입공(11)으로 흡인되는 공기를 전면판(8)으로 인도하여 전면판(8)과 연결된 순환관(12)으로 공기를 유도하여 순환관(12)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13)을 통해 상기 숯통(5)의 저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연기성분이 숯불의 열기에 의해 연소되면서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된 통상의 고기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3)의 공간부(2)에는 상기 숯통(5)의 상측에 상기 전면판(8)의 공기순환로(9)와 연통되며 다수의 공기 방출공(14)이 형성된 방출관(15)이 마련되고; 상기 방출관(15)의 상부에는 방출공(14)에서 방출되는 순환공기가 충돌하여 외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확산하도록 저면이 일정한 경사도를 가지는 역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일정한 너비를 가지는 턱(16)이 형성된 확산부재(17)가 구비되며; 상기 확산부재(17)의 상부면 에 고기가 얹어지며 중앙에 기름유도로(18)가 형성된 유도판(19)을 가지는 망상의 구이판(2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확산부재(17)의 상면에는 "ㄱ"자상의 걸림편(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이판(20)의 유도판(19)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편(21)의 종단이 내입되어 결착되는 "ㄴ"자상의 내입편(22)이 형성되어 상기 구이판(20)의 하부에 상기 확산부재(17)가 결착되어 고정되어 잇다.
그리고 상기한 확산부재(17)의 측면에는 내부와 연통하는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어 확산부재(17)의 내부로 공기를 순환시키어 확산부재(17)의 내부공기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냉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숯통(5)의 측면에는 다수의 연통공(24)이 형성되어 있어 숯통(5)의 내부에 발생생되는 열기를 상기 방출관(15)으로 용이하게 유도하여 방출관(15)을 가열하므로써 방출관(15)에 의해 방출되는 순환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방출관(15)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방출관(15)의 종단은 몸체(3)의 후면판(25)에 축(26)고정되는 레버(27)의 축(26)의 상측에 링크(28)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또 다른 방출관(15)은 상기 축(25)의 하측에 또 다른 링크(28)로 연결되어 레버(27)의 회동시에 상기 방출관(15)이 서로 근접되거나 이격되므로써 상기 숯통(5)은 원활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몸체(3)의 전면판(8)과 후면판(25)의 일측 부위에는 구이판(20)의 유도판(19)의 기름유도로(18)를 통해 자유낙하하는 기름을 받을 수 있도록 된 기름받이판(29)이 구비되어 있으며, 기름받이판(29)의 모서리부위에는 몸체(3)의 바닥면에 구비된 기름저장판(30)으로 자유낙하되도록 기름유출공(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기름저장판(30)은 몸체(3)의 측판(7)을 통해 외측으로 출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몸체(3)의 상측에는 전면판(8)과 후면판(25)에 유도공(32)이 형성되어 있어 전면판(8)의 공기순환로(9)와 연결되어 방출되는 공기에 의해 구이판(20)의 상측으로 일종의 공기막을 형성하도록하여 구이판(20)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상부로 발산되지 않고 몸체(3)의 측판(7)에 형성된 흡입공(11)으로 흡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몸체(3)의 측판(7)의 하측부위와 후면판(25)에는 다수의 공기유입공(33)이 형성되어 있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한 몸체(3)를 냉각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몸체(3)가 숯통(5)의 열기에 가열된 상태에서 온도를 내리어 인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고기구이장치(1)는 먼저 상기한 구이판(20)에 형성된 유도판(19)의 내입편(22)에 확산부재(17)의 걸림편(21)을 결착하여 고정으로 하고, 상기한 레버(27)를 일측부로 당기어 상기 방출관(15)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간격을 벌린 후 숯(4)이 출진된 숯통(5)을 상기 방출관(15)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안치판(6)에 안치하고 상기 레버(27)를 반대측으로 회전시키어 상기 방출관(15)을 서로 근접되도록 한 후 상기 구이판(20)을 몸체(3)의 상부면에 거 치한 후 상기 숯통(5)의 숯(4)에 불을 발화하여 숯불이 발생되도록 하여 구이판(20)에 고기를 굽도록 되어 있다.
이때 몸체(3)에 마련된 조절스위치(34)를 이용하여 환풍기(10)를 가동하여 구이판(20)의 고기가 구워질 때 발생되는 연기는 몸체(3)의 측판(7)에 형성된 흡입공(11)으로 통하여 흡입하도록 하여 연기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하며, 흡입공(11)으로 통해 흡인되는 공기는 환풍기(10)를 통해 전면판(8)으로 유도되어 순환관(12)과 방출관(15)으로 유도된 후 숯통(5)의 하부와 숯통(5)의 상부로 방출된다.
이때 흡입공(11)을 통하여 외부의 신선한 공기도 동시에 순환하여 순환공기중에 산소가 충분히 함유되도록 되어 있어 숯불의연소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순환관(12)에서 방출되는 순환공기는 숯통(5)으로 유입되어 숯통(5) 안에서 연소되며, 방출관(15)에서 방출되는 순환공기는 숯통(5)에 발생되는 숯열에 의해 연소되면서 그 상부에 위치하는 확산부재(17)의 저면측면에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면서 외측면으로 확산이 된다.
이때 확산부재(17)의 저면 외주면에는 일정한 너비를 가지는 턱(16)이 형성되어 있어 외측부로 보다 원활하게 확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확산부재(17)에 의해 구이판(20)의 저면에 고르게 열기가 유도되어 고기를 보다 원활하게 구울 수 있으며, 고기를 구울때 발생되는 연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판(7)의 흡입공(11)으로 통해 또 다시 재순환되어 연소되므로써 종국에는 완전연소가 이루어져 고기를 청결하게 구울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기구이장치는 숯이 충진되어 숯불을 발생시키는 숯통이 안치되어 숯불에 의해 구이판에서 구워지는 고기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여 상기 숯통으로 순환시키어 고기를 구울때 발생되는 연기를 완전 연소하여 매연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된 고기구이장치로써, 특히 상기 구이판의 전체 면적에 고르게 숯불의 열기가 전달되도록 불길을 확산할 수 있으며, 발생되는 연기를 숯통의 열기로 원할하게 순환시키어 완전연소하므로써 고기를 구울때 연기가 발생되지 않아 청결하게 고기를 구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2)를 가지는 몸체(3)를 가지며, 상기 몸체(3)의 공간부(2)에는 숯(4)이 충진되어 숯불을 발생시키는 숯통(5)이 안치되는 안치판(6)이 마련되어 있고, 몸체(3)의 측판(7)과 전면판(8)은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공기 순환로(9)가 형성되어 있어 전면 일측에 마련된 환풍기(10)에 의해 측판(7)에 형성된 흡입공(11)으로 흡인되는 공기를 전면판(8)으로 인도하여 전면판(8)과 연결된 순환관(12)으로 공기를 유도하여 순환관(12)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13)을 통해 상기 숯통(5)의 저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연기성분이 숯불의 열기에 의해 연소되면서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된 통상의 고기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3)의 공간부(2)에는 상기 숯통(5)의 상측에 상기 전면판(8)의 공기순환로(9)와 연통되며 다수의 공기 방출공(14)이 형성된 방출관(15)이 마련되고;
    상기 방출관(15)의 상부에는 방출공(14)에서 방출되는 순환공기가 충돌하여 외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확산하도록 저면이 일정한 경사도를 가지는 역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일정한 너비를 가지는 턱(16)이 형성된 확산부재(17)가 구비되며;
    상기 확산부재(17)의 상부면에 고기가 얹어지며 중앙에 기름유도로(18)가 형성된 유도판(19)을 가지는 망상의 구이판(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확산부재(17)의 상면에는 "ㄱ"자상의 걸림편(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이판(20)의 유도판(19)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편(21)의 종단이 내입되어 결착되는 "ㄴ"자상의 내입편(22)이 형성되어 상기 구이판(20)의 하부에 상기 확산부재(17)가 결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확산부재(17)의 측면에는 내부와 연통하는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어 확산부재(17)의 내부로 공기를 순환시키어 확산부재(17)의 내부공기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냉각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숯통(5)의 측면에는 다수의 연통공(24)이 형성되어 있어 숯통(5)의 내부에 발생생되는 열기를 상기 방출관(15)으로 용이하게 유도하여 방출관(15)을 가열하므로써 방출관(15)에 의해 방출되는 순환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방출관(15)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방출관(15)의 종단은 몸체(3)의 후면판(25)에 축(26)고정되는 레버(27)의 축(26)의 상측에 링크(28)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또 다른 방출관(15)은 상기 축(25)의 하측에 또 다른 링크(28)로 연결되어 레버(27)의 회동시에 상기 방출관(15)이 서로 근접되거나 이격되므로써 상기 숯통(5)은 원활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3)의 전면판(8)과 후면판(25)의 일측 부위에는 구이판(20)의 유도판(19)의 기름유도로(18)를 통해 자유낙하하는 기름을 받을 수 있도록 된 기름받이판(29)이 구비되어 있으며, 기름받이판(29)의 모서리부위에는 몸체(3)의 바닥면에 구비된 기름저장판(30)으로 자유낙하되도록 기름유출공(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장치
KR1020070035170A 2007-04-10 2007-04-10 고기구이장치 KR100877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170A KR100877590B1 (ko) 2007-04-10 2007-04-10 고기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170A KR100877590B1 (ko) 2007-04-10 2007-04-10 고기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977A true KR20080091977A (ko) 2008-10-15
KR100877590B1 KR100877590B1 (ko) 2009-01-09

Family

ID=40152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170A KR100877590B1 (ko) 2007-04-10 2007-04-10 고기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5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36Y1 (ko) * 2011-05-24 2013-03-25 김병두 세척이 용이한 다용도 구이장치
WO2013073751A1 (ko) * 2011-11-15 2013-05-23 Song Kyoung-Woon 무연 숯불구이 장치
EP3568640A4 (en) * 2017-01-12 2020-08-26 Biolite, Inc. SMOKE FREE FIREPLA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938B1 (ko) * 2004-03-06 2004-12-24 김진석 할로겐 램프에 의해 참숯을 가열하는 로스터 및 가열방법
KR100628997B1 (ko) * 2004-04-23 2006-09-27 이익로 상부에 개폐식 도어가 장착된 구이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36Y1 (ko) * 2011-05-24 2013-03-25 김병두 세척이 용이한 다용도 구이장치
WO2013073751A1 (ko) * 2011-11-15 2013-05-23 Song Kyoung-Woon 무연 숯불구이 장치
KR101315045B1 (ko) * 2011-11-15 2013-10-08 송경운 무연 숯불구이 장치
EP3568640A4 (en) * 2017-01-12 2020-08-26 Biolite, Inc. SMOKE FREE FIREPLACE
US11359816B2 (en) 2017-01-12 2022-06-14 Biolite, Inc. Smokeless fire p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590B1 (ko) 200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997B1 (ko) 상부에 개폐식 도어가 장착된 구이기
JP2007533395A (ja) 上部に開閉式ドアが取り付けられたロースター
WO2014059680A1 (zh) 一种烧烤炉具
KR101394563B1 (ko) 휴대용 바비큐 구이 장치
KR100877590B1 (ko) 고기구이장치
KR101721805B1 (ko) 바베큐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KR101809322B1 (ko) 가스로 숯불을 달군상태에서 자연유지토록 하는 꼬치구이기
KR101114290B1 (ko) 전기 로스터
KR101509970B1 (ko) 가스 겸용 숯불구이기
KR101398520B1 (ko) 사용이 편리한 고기구이기
CN105212777B (zh) 烧烤装置
KR100794233B1 (ko) 직화구이기
KR101036899B1 (ko) 구이기
KR20040107460A (ko) 숯불구이장치
KR101050480B1 (ko) 전기 로스터
KR20120009813A (ko) 에어커튼이 구비된 구이 장치
KR20110002207A (ko) 숯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가능한 고기구이기
KR102056542B1 (ko) 무화염 숯불구이장치
TW201701810A (zh) 可攜式焙燒裝置及使用該焙燒裝置的焙燒方法
KR101850525B1 (ko) 사용이 편리한 고기구이기
KR20140039856A (ko) 무연 숯불구이기
KR101721369B1 (ko) 보조요리를 겸하는 구이 화덕
KR102148014B1 (ko)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KR102415462B1 (ko) 다목적 화덕
CN107198466A (zh) 一种健康环保截油板烹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