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1385A - 인공 모발, 인공 모발을 가지는 가발 및 인공 모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공 모발, 인공 모발을 가지는 가발 및 인공 모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1385A
KR20080091385A KR1020087021130A KR20087021130A KR20080091385A KR 20080091385 A KR20080091385 A KR 20080091385A KR 1020087021130 A KR1020087021130 A KR 1020087021130A KR 20087021130 A KR20087021130 A KR 20087021130A KR 20080091385 A KR20080091385 A KR 20080091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hair
hair
artificial
natural
w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6527B1 (ko
Inventor
유타카 시라카시
다카유키 와타나베
오사무 아사쿠라
아케미 이리쿠라
가즈미 이이
무쓰코 와타나베
히로미 고지마
노부요시 이마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080091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83Filaments for making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4Pig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인공 모발 다발(10)이,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1)과 폴리아미드 수지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5)을 혼합하여 되고, 제1의 인공 모발(1)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하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와,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고, 이 굴곡 강성치는, 습도 40% 하에서 약 6.5∼7.8×10-3gf·㎠/가닥의 범위에 있어, 제1의 인공 모발(1)이 제2의 인공 모발(5)의 집속성을 억제하고, 제1 및 제2의 인공 모발(5)이 천연 모발과 같이 거동한다.
인공 모발, 가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굴곡 강성치, 집속성

Description

인공 모발, 인공 모발을 가지는 가발 및 인공 모발의 제조방법{ARTIFICIAL HAIR, WIG HAVING ARTIFICIAL HAIR AND METHOD OF PRODUCING ARTIFICIAL HAIR}
본 발명은, 두발, 즉 천연 모발에 근사한 느낌(feeling)과 물성치를 가지는 인공 모발과 이 인공 모발을 붙인 가발, 및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발, 즉 천연 모발은 80∼100 ㎛ 정도의 직경을 가지고, 천연적으로 또는 퍼머넌트 처리 등으로 컬(curl)이 붙어 있지만, 비에 노출되거나 머리 감기에 의해 컬이 풀어지고 펴짐이 생기는 특성을 가진다. 또, 습도의 높고 낮음에 의해서도 두발은 촉촉한 감(moist feeling) 또는 촉감(tactile feeling) 등의 느낌, 혹은 굴곡 강성 등의 물성치가 변화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가발에 이용되는 모발로서는, 될 수 있는 한 사람의 천연 모발에 가까운 특성을 가지도록, 인간 또는 동물로부터 채취한 천연 모발이 소재로서 예로부터 제조에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천연 모발 소재의 조달상의 제약 및 기타의 이유로 합성 섬유를 가발용 모발 소재로 하여 제조하는 경우가 많아져,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의 합성 섬유가 인공 모발의 소재로서 다용(多用)되고 있다.
폴리아크릴계 섬유에 의한 인공 모발은, 융점이 낮고, 내열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퍼머 세팅 후의 형태 유지성이 나쁘고, 예를 들어, 온수에 노출될 경우 섬유에 제공된 컬 등의 가공이 풀어지는 등의 약점이 있다. 또, 촉촉한 감이나 촉감 등의 느낌도 두발과는 달라서 인성(toughness)이 부족하기 때문에, 위화감을 부정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강도, 내열성이 모두 우수한 소재이지만, 천연 모발에 비해 흡습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예를 들면 높은 습도의 환경 하에서는 천연 모발과 다른 외관, 감촉, 물성을 나타내어, 가발용의 모발로서 이용하면 위화감을 준다. 천연 모발은 비에 젖거나 머리를 감거나 하여 습기에 노출되면 컬이 풀어져 펴짐이 생긴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흡습성과 보습력이 매우 적고, 그 때문에 컬 유지성이 풍부하다는 특질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펴짐이 대부분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인공 모발을 만들고, 일단 컬 붙임의 처리를 행한 후에는, 습도가 높아져도 부여한 컬이 잘 풀어지지 않는데, 이것이 오히려 천연 모발의 거동과 크게 달라 부자연감이 현저해진다. 이와 같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습도의 고저에 따라 촉촉한 감이나 촉감 등의 느낌 또는, 컬 유지력 등의 물성치가 변화되는 천연 모발과 같은 거동을 나타낼 수 없다.
이에 더하여, 천연 모발과 같은 80∼100㎛ 정도의 직경으로 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천연 모발에 비해 굴곡 강성치가 지나치게 높다. 굴곡 강성치라 함은, 섬유의 촉감이나 텍스쳐 등 느낌에 관련된 물성치로, 굽힐 때에 필요한 힘인데, 천단(川端)식 측정법에 의해 수치화할 수 있는 것으로 섬유직물 산업에 널리 알려져 있는 물성치이다 (비특허 문헌1). 1 가닥의 섬유 또는 모발의 굴곡 강성치를 측정 할 수 있는 장치도 개발되어 있다 (비특허 문헌2). 이 굴곡 강성치는 굽힘 강도라고도 불리우며 인공 모발에 단위 크기의 굽힘 모멘트를 가하였을 때, 그에 의해 생긴 곡률 변화의 역수로 정의된다.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가 클수록, 굽힘에 강하고 휘지 않는, 즉, 단단하여 굽히기 어려운 인공 모발이다. 반대로 이 굴곡 강성치가 작을수록 굽히기 쉽고, 유연한 인공 모발이라 할 수 있다.
천연 모발과 같은 직경 80∼100㎛ 정도의 폴리에스테르로 인공 모발을 하였을 경우, 그 굴곡 강성치는 천연 모발에 비해 대단히 높으므로, 가발 베이스에 심어서 제공하면 윗쪽을 향하여 일어섬(standing)이 지나치게 크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모발의 감촉은 천연 모발에 비해 뻣뻣한 경질감이 높아, 천연 모발과 같은 적당한 유연함을 표현할 수 없다. 따라서, 자신의 모발과 가발의 모발을 혼합하여 장착하는 소위, 자기 모발 활용형의 가발의 모발로서, 폴리에스테르계의 모발을 사용했을 경우,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모발은, 유연한 자기 모발에 적응되지 않고, 적정한 정도로 누워 있는 자기 모발의 사이에서 보풀이 일도록 일어서 버린다. 이러한 자기 모발과 폴리에스테르계의 모발과의 분리 경향은, 습기가 높아질수록 현저해진다.
이에 대하여,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만든 인공 모발은 상기 폴리아크릴이나 폴리에스테르로 만든 인공 모발에 비해, 상기 천연 모발에 가까운 외관, 물성을 가지고 있고, 특히 표면 처리에 의해 부자연스러운 광택을 없애는 본 출원인의 발명에 의해, 우수한 가발이 제공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폴리아미드계 섬유 중에서 지방족의 폴리아미드는 특히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인공 모발로서 바람직 하다. 그러나, 지방족 폴리아미드로 만든 섬유는, 천연 모발에 비해 굴곡 강성치가 낮기 때문에,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해도 일어섬이 좋지 않아 가발 베이스를 따라 옆으로 누워 버린다. 이 때문에, 지방족 폴리아미드로 만든 인공 모발은 강인함(腰感)이 부족하고 볼륨감에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출원인은 예의 연구의 결과,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와 방향족의 폴리아미드 수지를, 초심 이중 구조로 함으로써, 습도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천연 모발과 지극히 유사하는 거동을 나타내는 인공 모발을 만드는 것에 성공하였다 (2005년 2월 15일자 특원 2005-38415). 이 기술에 의해,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모발에서는 천연 모발과 같은 굴곡 강성치를 달성할 수 있다.
인공 모발에 관한 그 밖의 기술로서, 헤어 드라이어나 컬링 아이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만든 인공 모발과 나일론 섬유로 만든 인공 모발을 다발로 하고 서로 섞어 인공모 다발을 만들고, 이 인공모 다발로부터 몇 가닥씩 인발(引拔)하여 가발에 심어 설치하는 기술(특허 문헌 2)이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형성한 인공 모발에 천연 모발을 혼합시킴으로써 보습성을 확보하고, 가발 전체의 색조 및 광택을 천연 모발에 근접시키는 기술(특허 문헌 3)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혼합하여 용융 방사함으로써, 적당한 모요(毛腰)를 갖게 한 칫솔 또는 화장 브러시 등의 브러시용 털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5에는, 수송용 차량의 카시트 표피재 또는 도어 내장재 등의 차량 내장재로서, 소프트한 촉감을 얻기 위해서, 폴 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여 블랜드된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단섬유가 공개되어 있다. 특허 문헌 6에는, 부드럽고 스트레치성이 우수한 직물을 제공하기 위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블랜드하여 얻어지는 가연 가공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7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소정의 질량비로 혼합한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부직포가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일본 특개소 64-6114호 공보
특허문헌 2:일본 특개평 9-324314호 공보
특허문헌 3:실용신안 등록 제3021160호 공보
특허문헌 4:특개 2004-166966호 공보
특허문헌 5:특개 2004-84119호 공보
특허문헌 6:특개 2000-273727호 공보
특허문헌 7:특허 제3458924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川端 季雄, 섬유기계학회지 (섬유공학), 26, 10, pp. 721-728, 1973
비특허 문헌 2: 카토테크 주식회사 KES-SH 싱글헤어벤딩 테스터 취급 설명서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전술한 바와 같이, 가발에 사용하는 인공 모발은, 천연 모발이 가지는 느낌(외관, 촉감, 질감)에 가능한 한 가까워지도록 여러가지 연구되어 있다. 또, 흡습성이나 인장 강도, 탄성율, 혹은 굴곡 강성 등의 물성치도 천연 모발의 그것과 비교하여 뒤지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천연 모발 보다 우수한 물성치를 가지는 것이 요구된다. 본 출원인의 상기 폴리아미드계 섬유가 초심 구조로 이루어진 인공 모발은, 상기와 같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인 80∼100㎛ 정도의 직경의 것으로 천연 모발에 지극히 가까운 느낌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매우 우수한 소재다. 그러나,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하는 인공 모발을 가발 베이스에 붙였을 경우, 시간이 경과하면, 인공 모발 끼리 서로 복수개로 서로 달라 붙어서 집속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 때마다 정성스럽게 브러싱하여 집속된 모발을 풀어내야 한다. 또,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인공 모발은 천연 모발과 마찬가지로 흡습성을 가지기 때문에, 습도가 높으면 서로 섬유끼리 특성상 달라 붙어서 다발 상태로 되기 쉽다. 이러한 경향은 습도가 높아질수록 현저해진다. 이 때문에,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이 예를 들면 비에 젖거나 머리를 감아 습도를 흡수함으로써 집속되었을 경우, 가발 장착자는 집속 상태의 모발을 머리빗 또는 브러시로 풀어서 헤어 스타일을 정돈하려고 해도, 인공 모발의 한가닥 한가닥이 풀어지기 어려워, 소망하는 헤어 스타일을 얻는 데에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특성은, 상기 지방족과 방향족의 폴리아미드 수지로 초심의 이중 구조로 한 인공 모발의 경우도 동일하여,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인공 모발의 집속성을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고, 습도가 높을 수록, 인공 모발 끼리 밀착해 버려, 다발 상태 또는 줄기 상태(筋狀)로 집속하는 것을 막기 어렵다.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제의 모발과 나일론 섬유제의 모발을 서로 섞어서 가발 베이스에 붙였을 경우는, 나일론 섬유 끼리의 집속성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나일론 섬유는 천연 모발과 같은 거동으로 가발 베이스 상에서 도복(倒伏)하는 반면, 폴리에스테르의 인공 모발은 일어서서 천연 모발 또는 나일론 섬유와 잘 혼합되지 않아, 분리된 외관을 가진다. 이러한 경향은 습기가 높을수록 현저해져, 습기가 많은 상태에서는 나일론 섬유 끼리는 흡습력에 의해 천연 모발과 동일하게 두피에 펼쳐져 붙어 누워 버리지만,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굽힘 강성치가 높고 또한 흡습성에 떨어지기 때문에, 위쪽으로 일어선 채의 상태로 되므로, 자연감이 나오지 않고 가발 장착이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천연 모발에 근사한 느낌과 물성치, 특히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한 인공 모발의 일부가 부자연스럽게 일어서는 일 없이, 머리 모양의 유지성이 우수하고, 사람 모발과 동일한 컬 특성을 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인공 모발 끼리가 습도의 영향을 받아도 집속하지 않고 찰랑 찰랑한 감을 주고, 나아가, 천연 모발에 근사하는 굴곡 강성을 가지며, 천연 모발과 동일한 거동을 나타낼 수 있는 인공 모발과, 이를 이용한 가발 및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 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의 집속 상태는,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의 분자 구조에 기인하여 쉽게 집속하거나,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 끼리의 표면에 있어서의 분자 결합력, 소위 반데르 발스 힘에 의한 것이라고 추측하고, 다양한 실험을 행한 바,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 단독이 아니고, 다른 합성 섬유,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인공 모발과 혼합하여 가발 베이스에 붙임으로써 집속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나아가,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을 천연 모발 유사의 굴곡 강성치로 하기 위해서는, 섬유를 초부와 심부의 이중 구조로 하고 초심비 등을 조정함에 의해 매우 우수한 특성을 얻을 수 있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인공 모발의 경우에는, 그 직경을 제어하거나 혹은 다른 합성 수지와의 용융 방사에 의해 얻어진다고 하는 지견을 얻고, 본 발명을 완성되는 것에 이르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섬유로 되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인공 모발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섬유로 되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 예를 들어, 섬유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치수를 평균 직경으로 50∼70㎛ 의 범위로 함으로써,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진다.
상기 인공 모발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섬유로 되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진다. 이 경우, 섬유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치수를 평균 직경으로 50∼100㎛ 의 범위로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구성에 있어서, 섬유의 굴곡 강성치는, 바람직하게는, 습도 40%에 있어서 6.5~7.8×10-3gf·㎠/가닥의 범위이다. 섬유의 표면에는,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미세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되는 섬유의 단면 치수를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로 함으로써,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인공 모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굴곡 강성이 높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굴곡 강성이 낮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의해, 굴곡 강성이 자연히 조절되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로 할 수 있으므로, 천연 모발에 근사하는 형상과 특성을 가지는 인공 모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의 인공 모발은 굴곡 강성치가 천연 모발에 근사하므로, 특히, 외관, 촉감, 질감 등의 느낌이 천연 모발에 매우 가까운 자연스러운 인공 모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인공 모발이 가발 베이스로부터 일어서는 것은 천연 모발이 두피로부터 일어서는 것과 동일한 거동을 나타내므로, 자연감을 실현되어 가발을 장착하고 있는 것이 육안으로 확인되기 어렵다. 인공 모발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미세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면, 조사된 광이 난반사하므로 광택이 억제되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광택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인공 모발 다발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을 폴리아미드 수지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에 분산시켜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다발 상태로 하여 되고, 나아가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의 인공 모발이 천연 모발과 동일한 정도의 단면 치수 및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의 인공 모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진다. 이 제1의 인공 모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치수는, 평균 직경으로 50∼70㎛ 의 범위이다. 상기 제2의 인공 모발은, 바람직하게는, 심(芯)부와 상기 심부를 덮는 초부로 이루어지는 초/심 구조를 가지고, 심부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고, 초부가 상기 심부보다도 굴곡 강성이 낮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다. 제2의 인공 모발은, 바람직하게는,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 및 굴곡 강성치를 가지고, 습도 40%로 6.5~7.8×10-3gf·㎠/가닥의 범위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 중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을 적당히 혼합시켜 두고, 이것을 적당히 분산 상태로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함으로써, 제2의 인공 모발 자체의 집속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의 인공 모발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소재로 하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만을 소재로 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짐으로써, 외관, 촉감, 질감 등의 느낌이 천연 모발에 지극히 가까운 자연스러운 인공 모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구성에 따른 가발은, 가발 베이스와 이 가발 베이스에 심어서 설치되는 인공 모발을 포함하고, 인공 모발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과 폴리아미드 수지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을 이용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의 인공 모발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를 가지는 것에 의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구성에 따른 가발은, 가발 베이스와 이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되는 인공 모발을 포함하고, 인공 모발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과 폴리아미드 수지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을 이용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의 인공 모발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의 인공 모발은, 바람직하게는, 심부와 심부를 덮는 초부로 이루어지는 초/심 구조를 가지고, 심부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고, 초부가 심부보다도 굴곡 강성이 낮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가발에 상기 구성의 인공 모발을 이용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찰랑찰랑한 감을 나타내고, 천연 모발에 가까운 거동을 보이는 가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이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과 적당히 서로 섞여서 심어 설치되므로, 제2의 인공 모발의 집속성이 억제되고, 습기의 다소에 관계 없이 세팅된 헤어 스타일의 불량이 생기지 않으며, 가발 장착자는 마치 머리 부분으로부터 자연적으로 육성된 자기 모발인 것과 같은 외관에 의해 가발 장착이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에 따른 제1의 구성은,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 및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인공 모발을 얻기 위하여, 원료가 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하여 착색용 원료를 첨가하고 용융해서 토출하는 제1의 공정과, 토출한 사상(絲狀) 용융물을 고화하는 제2의 공정과, 고화된 사상 부재를 연신해서 소정의 직경으로 하는 제3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의 구성은,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인공 모발을 얻기 위해서, 원료가 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착색용 원료를 소정의 질량비로 용융해서 토출하는 제1의 공정과, 토출한 사상 용융물을 고화하는 제2의 공정과, 고화한 사상 부재를 연신하여 소정의 직경으로 하는 제3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의 구성에 있어서, 제2의 공정 및 제3의 공정 중 어느 것에서, 알카리 감량 처리를 행하여 인공 모발의 표면에 미세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도 천연 모발과 같은 특성을 가지는 인공 모발을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폴리아미드 수지로 되는 인공 모발 중에 혼합시킴에 의해, 폴리아미드 수지의 인공 모발의 집속성을 억제하는 인공 모발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느낌 (외관, 촉감, 질감) 및 물성, 특히 굴곡 강성치가 천연 모발에 가까운 폴리에스테르 수지제의 인공 모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인공 모발은, 폴리아미드 수지의 인공 모발의 집속성을 억제하므로, 폴리아미드 수지의 인공 모발을 심어 설치한 가발에 있어서 모발로서 적절한 개수를 혼합하여 이용함으로써, 폴리아미드 수지의 인공 모발이 집속하여 다발 상태로 되지 않고, 한가닥 한가닥 흩어진다. 따라서 상기 인공 모발은 폴리아미드 수지의 인공 모발을 찰랑 찰랑한 상태로 하여 천연 모발과 동일한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발에 의하면,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한 모발이 가발 장착자 자신의 모발과 같은 거동을 나타내므로, 가발 장착이 노출되어 보이기 어려운, 외관상 우수한 돋보임을 가질 수 있다.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인공 모발은 천연 모발보다 높은 굴곡 강성치를 가지므로, 가발 베이스로부터의 일어섬이 크고, 또, 동일한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되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가 낮은 것과 만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인공 모발이 일어서서 눈에 띄어, 가발 장착이 육안으로 쉽게 확인되고, 헤어 스타일로서의 통일성도 가질 수 없다. 반대로,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인공 모발이 천연 모발보다 낮은 굴곡 강성치인 경우, 가발 베이스를 따라서 누운 상태가 되므로, 천연 모발의 굴곡 강성치에 가까운 폴리아미드 수지의 인공 모발의 일어섬이 두드러지고, 일어선 모발과 누운 상태의 모발이 혼재하게 된다. 그 결과, 가발 장착이 육안으로 쉽게 확인되고, 헤어 스타일로서의 통일성도 가질 수 없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을 따른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인공 모발은,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므로,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되어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인공 모발과 같은 정도로 일어선 결과, 가발 장착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인공 모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은,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섬유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되고, 또한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실질적으로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머이다. 또,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라는 것은, 가장 적절하게는, 습도 40%에서 6.5∼7.8×10-3gf·㎠/가닥이며, 습도 80%에서 3.9∼5.8×10-3gf·㎠/가닥이다.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인공 모발을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된 인공 모발에 분산시켜 소정의 비율로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하면,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된 인공 모발의 집속성을 억제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인공 모발이,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인공 모발 및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발 장착자의 머리 부분로부터 육성되어 있는 천연 모발 및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되는 폴리아미드계의 인공 모발과 같은 거동을 나타내어, 예를 들어, 가발 베이스에 붙인 폴리아미드계의 인공 모발 또는 가발 장착자의 두피로부터 육성되어 있는 천연 모발과 위로 나 있는 상태가 같아져, 통일적 외관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공 모발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 모발의 제1의 형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착색 안료를 포함한 섬유로 되며, 상기 섬유는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를 가지고, 또한,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성분으로 하는 인공 모발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이 인공 모발(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진원(眞圓)이어도, 어느 방향으로 편평한 타원형 또는, 고치형이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1의 형태의 인공 모발(1)의 단면 치수는 평균 직경을 50∼70㎛ 로 한다. 인공 모발(1)의 단면의 평균 직경이 50 ㎛ 미만에서는 굴곡 강성치가 천연 모발의 그것보다 낮아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했을 경우에 가발 베이스를 따라 누운 상태가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평균 직경이 70㎛ 를 넘으면 굴곡 강성치가 천연 모발 보다 지나치게 높아서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했을 때에 가발 베이스로부터의 일어섬이 커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 모발의 제2의 형태는, 폴리에스테르계의 합성 섬유로 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섬유의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소정의 비율로 포함시킴으로써,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이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실질적으로, 테레프탈산과 1,4-부탄디올을 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머이다. 이 제2의 형태의 인공 모발은, 도 1과 동일하게, 그 단면이 진원이어도, 어느 방향으로 편평한 타원형 또는 고치형이여도 좋다. 그 단면 치수는, 50∼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인공 모발에서는, 천연 모발과 같이 80∼100㎛의 직경으로 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이어서, 인공 모발의 제3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3의 형태에 의한 인공 모발(2)을 나타내는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과는 다르게, 이 인공 모발(2)의 표면에는 미세한 요철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철부(2a)를 표면에 가지는 인공 모발(2)에서는 난반사가 생기기 때문에, 인공 모발(2)의 표면에 있어서 광택이 생기기 어려워, 소위 광택 제거 효과가 출현할 수 있다. 요철부(2a)는, 광이 난반사되도록 가시광 파장 정도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철부(2a)는, 예를 들면 인공 모발을 방사한 후에, 수산화 나트륨 용액 등에 침지하여 알카리 감량 가공을 하고, 수세, 건조를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블라스트 처리에 의해 요철부(2a)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인공 모발(2)의 성분은, 제1의 형태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고, 제2의 형태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소정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의 각 형태에 있어서의 인공 모발에는, 소정의 착색을 행하는 안료가 성분으로서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되는 섬유는 굴곡 강성이 강하여, 인공 모발의 소재로서 부적절하였지만, 본 발명의 인공 모발(1),(2)는, 상기 섬유를 천연 모발보다 약간 가늘거나 혹은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굴곡 강성치가 천연 모발의 그것에 가까워,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외관, 감촉, 질감을 얻을 수 있다. 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되는 섬유로 함으로써, 천연 모발과 실질적으로 같은 정도의 직경에서 굴곡 강성치가 천연 모발의 그것에 가까워,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외관, 감촉, 질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의 형태의 인공 모발(이후,「제1의 인공 모발」이라 칭함)과,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의 인공 모발이 서로 섞어서 가발 베이스에 붙게 됨으로써, 제1 및 제2의 인공 모발 한가닥 한가닥이 흩어져서 찰랑 찰랑하게 되므로, 제2의 인공 모발의 집속성을 억제할 수 있다. 소망하는 헤어 스타일로 정돈했을 때, 집속에 의한 부자연스러움을 방지하고, 가발에 자연스러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인공 모발 다발(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인공 모발 다발(10)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인공 모발 다발(10)은, 도 3이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섬유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1)의 소정 개수를, 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로 되는 복수개의 제2의 인공 모발(5)에 분산시켜 섞어서 다발 상태로 하고, 이들 제1 및 제2의 인공 모발을 가발 베이스에 적절하게 분산시키면서 랜덤하게 붙이도록 한 것이다. 제2의 인공 모발(5)로서의 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는,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 및 굴곡 강성치를 가진다.
상기 인공 모발 다발(10)에 있어서는, 제2의 인공 모발(5)의 열수축률이 제1의 인공 모발(1)의 그것과 같은 정도 또는 그것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인공 모발 다발(10)에 대하여 열에 의한 컬 붙임 처리를 실시해도 제1의 인공 모발(1)과 제2의 인공 모발(5)가 같은 정도로 수축하므로, 파상(波狀)의 단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파상의 단의 발생 원인은 하기와 같다. 제2의 인공 모발(5)의 열수축률이 제1의 인공 모발(1)의 그것보다도 높을 경우, 인공 모발 다발(10)에 대하여 열에 의한 컬 붙임 처리를 실시하면, 제2의 인공 모발(5)에 인접한 제1의 인공 모발(1)은, 제2의 인공 모발(5)과 동일하게 수축하고자 한다. 그러나, 제2의 인공 모발(5)의 수축은 제1의 인공 모발(1)의 수축에 비해 크기 때문에, 수축이 작은 제1의 인공 모발(1)이 잡아 당겨져서 꼬임(kink) 또는 쳐짐(slack)이 발생하여, 소정의 깨끗한 컬을 부여할 수 없게 되며, 이것이 파상의 단으로 되어 나타난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제2의 인공 모발(5)의 바람직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제2의 인공 모발(5)의 길이 방향의 수직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의 인공 모발(5)은, 그 표면이 초부(5A)이고, 초부(5A)의 내부에 심부(5B)를 가지는 초/심 구조를 가지고, 모두 폴리아미드 수지로 된다. 초/심 구조는 도시한 경우, 거의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심부(5B) 및 초부(5A) 모두 대략 동심원 형상 이외의 이형(異形) 형상이어도 좋고, 제2의 인공 모발(5)의 단면 형상은, 원, 타원, 고치형 등이어도 좋다.
상기 심부(5B)의 재료가 되는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강도와 강성이 높은 반방향족의 폴리아미드 수지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테레프탈산과의 교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고분자(예를 들어, 나일론6T),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디프산과 메타 크실렌디아민을 아미드 결합으로 교호로 결합시킨 고분자 (예를 들면, 나일론MXD6)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고분자 재료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분자 재료에 비해, 헤어 세트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한편,「나일론」은 듀폰사의 등록상표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나일론」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용어를 사용한다.
Figure 112008061443516-PCT00001
Figure 112008061443516-PCT00002
상기 초부(5A)의 재료가 되는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심부(5B)의 재료보다도 굴곡 강성이 낮은, 예를 들어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로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카프로락탐의 개환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예를 들면 나일론 6, 또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과의 교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예를 들면 나일론66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8061443516-PCT00003
Figure 112008061443516-PCT00004
제2의 인공 모발(5)의 초부(5A)의 표면이 평활할 경우는 부자연스러운 광택이 생기므로, 이러한 광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소위 광택 제거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제2의 인공 모발(6)의 변형예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제2의 인공 모발(6)의 초부(5A)의 표면에는 광택 제거 효과가 발현되도록 미세한 요철부(5C)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세한 요철부(5C)는, 제2의 인공 모발(6)의 방사 중 또는 방사 후의 섬유를 모래, 얼음, 드라이 아이스 등의 미소 분말에 의한 블라스트 처리에 의해 부여할 수 있다. 제2의 인공 모발(6)의 방사 중에 형성할 경우에는, 제2의 인공 모발(6)의 최외 표면에 구상(球狀)의 결정을 형성하면 좋다. 구정(球晶) 형성과, 상기 모래, 얼음, 드라이 아이스 등의 미소 분말에 의한 블라스트 처리를 조합한 처리여도 좋다. 구정 형성 및/또는 블라스트 처리로 형성한 요철부는, 광이 난반사되도록, 가시광 파장의 정도보다도 큰 요철부(5C)가 되도록 형성하면 좋다. 이 제2의 인공 모발(5),(6)도, 장착자의 기호에 따라 착색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착색은 방사 시의 원료가 되는 폴리머의 혼련 중에 안료 및/또는 염료를 배합해도 좋고, 방사 후에 염색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제2의 인공 모발(5),(6)은, 심부(5B)에 굴곡 강성이 높은 폴리아미드를 이용하고, 초부(5A)에는 심부(5B)보다도 굴곡 강성이 낮은 폴리아미드를 이용한 초/심 구조로 함으로써, 온도나 습도에 따라 강성이 변 화하여, 천연 모발에 보다 가까운 거동을 나타내는 인공 모발로 할 수 있다
인공 모발 다발(10)에 있어서의 제1의 인공 모발(1),(2)는, 제2의 인공 모발(5),(6)과의 혼합 비율이 10∼60 중량%의 범위가 좋고, 특히 20∼30 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범위에서는 폴리아미드계 섬유가 집속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1의 인공 모발(1),(2), 다시 말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혼합 비율이 10 중량% 미만에서는, 폴리아미드계 섬유가 집속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제1의 인공 모발)의 혼합 비율이 60 중량%를 넘으면, 폴리아미드계 섬유는 집속하지 않지만,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제1의 인공 모발)가 눈에 띄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폴리아미드계 섬유에 비하여 흡습성이 나쁘기 때문에, 2 종류의 섬유로 되는 인공 모발 다발(10)은 흡습성의 차이로 인해, 습도의 변화에 따라 다른 거동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에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을 혼합했을 경우 집속하기 어렵게 되는 것은,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에 화학 구조가 다른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이 혼합된 것과,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은 정(正)의 전하를 띠기 쉽고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은 부(負)의 전하를 띠기 쉽다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고 추측된다.
인공 모발 다발(10)이, 제1의 인공 모발(1),(2)과 제2의 인공 모발(5),(6)을 바람직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제2의 인공 모발(5),(6)이 집속하지 않고, 또한, 제1의 인공 모발(1),(2) 및 제2의 인공 모발(5),(6)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질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가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발(2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인공 모발(1),(2)을 이용한 가발(20)은, 가발 베이스(11)에, 제1의 인공 모발(1),(2)과 제2의 인공 모발(5),(6)이 소정의 비율로 심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1의 인공 모발(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섬유로 되고, 또한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이다. 제2의 인공 모발(5),(6)은 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로 되고, 또한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 및 굴곡 강성치를 가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심부(5B)가 강성이 높은 폴리아미드 수지, 초부(5A)가 심부(5B) 보다 강성이 낮은 폴리아미드 수지로 된다.
가발 베이스(21)에 심어 설치되는 제1의 인공 모발(1),(2)과 제2의 인공 모발(5),(6)과의 혼합 비율은, 임의의 영역에 있어서, 제1의 인공 모발(1),(2)이 20±5 중량% 정도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범위에서 혼합하면 가발 베이스(21)에 심어 설치되어 있는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5),(6)이 집속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1의 인공 모발의 혼합비율이 20±5중량% 미만에서는, 폴리아미드계 섬유가 집속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제1의 인공 모발)의 혼합비율이 20±5 중량%를 넘으면, 폴리아미드계 섬유는 집속하지 않지만,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제1의 인공 모발)가 눈에 띄어 바람직하지 않다.
가발 베이스(21)는 네트 베이스 또는 인공 피부 베이스로 구성할 수 있다. 도시한 경우에는, 가발 베이스(21)가 네트 부재로 구성되어, 제1의 인공 모발(1),(2) 및 제2의 인공 모발(5),(6)이 네트 부재를 구성하는 종횡의 필라멘트에 심어 설치되어 있다. 가발 베이스(21)는, 네트형 베이스와 인공 피부 베이스를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가발의 디자인이나 용도에 맞춘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의 인공 모발(1),(2) 및 제2의 인공 모발(5),(6)은, 바람직하게는, 표면의 경면 광택을 억제할 수 있어, 천연 모발에 근사한 광택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및 제2의 인공 모발의 색은, 장착자의 희망에 따라, 흑색, 자색, 블론드 등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탈모부 주변의 자기 모발에 맞춘 색의 인공 모발을 선택하면 자연감이 증가한다. 멋내기용 가발 또는 붙임 머리로 할 경우는, 본 발명의 인공 모발에 자기 모발과 다른 착색으로 메쉬 형상으로 하거나, 인공 모발에 기단(基端)부로부터 선단(先端)부에 걸쳐, 예를 들어 색조의 농담(濃淡)을 변화시킨다든가 색채를 서서히 변화시켜 그라데이션(gradation)을 실시해도 좋다.
도 7 (A)는 본 발명의 가발(20)을, (B)는 비교예로서의 가발(25)을, 각각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7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발(20)에서는, 제1의 인공 모발(1),(2)을, 천연 모발과 같은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제2의 인공 모발(5),(6)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제1의 인공 모발(1),(2)과 제2의 인공 모발(5),(6)은 동일하게, 가발 베이스(21)에 심어 설치되어 양자를 준별(峻別)할 수 없다. 나아가, 제2의 인공 모발(5),(6)을 형성하는 폴리아미드계 섬유가 집속하지 않는, 우수한 가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하 여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발 베이스(21)에, 제2의 인공 모발(5),(6)과 함께,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으로 50∼70㎛의 범위 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만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3)을 심어 설치한 종래의 가발(20)에서는, 인공 모발(3)이, 제2의 인공 모발(5),(6)과 다른 굴곡 강성치를 가지므로, 가발 베이스(21)로부터의 일어섬이 커서, 제2의 인공 모발(5),(6)과는 분리된 외관을 나타내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장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의 제조에 이용하는 장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 장치(30)는, 원료가 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펠렛 또는 착색 원료를 포함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펠렛을 넣어 두는 원료조(31)와, 원료를 용융해서 혼련하는 용융 압출기(32)와, 용융 압출기(32)에서 혼련한 용융액을 토출구(32A)로부터 토출한 사상 용융물을 고화하는 온욕부(33)와, 그 후, 각 단이 연신 롤러(34,36,38,40) 및 건열조 (35,37,39)로 이루어지는 3단의 연신 열처리 공정을 거치고, 인공 모발(1)을 권취하는 권취기(41)와, 실 표면에 추가로 미세구멍(2a)를 형성하기 위한 알카리 감량부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융 압출기(32)는, 원료가 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펠렛이나 착색 원료를 포함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펠렛 등을 용융시키기 위한 가열 장치와, 균일해지도록 분산시켜 교반하기 위한 혼련기와, 용융액을 토출 구(32A)로 송액(送液)하는 기어 펌프를 구비하고 있다.
토출부(32)의 토출구(32A)에는 소정의 직경의 구멍이 소정의 개수로 구비되어 있고, 토출부(32)의 토출구(32A)로부터 나온 섬유는 도시한 바와 같이, 순서대로, 온욕부(33), 제1 연신 롤러(34), 제1 건열조(35), 제2 연신 롤러(36), 제2 건열조(37), 제3 연신 롤러(38), 제3 건열조(39), 제4 연신 롤러(40)를 거친 후에, 권취기(41)에 감기고, 그 후 알카리 감량부 (도시하지 않음)에서 알칼리 감량 처리를 행한다. 제1 연신 롤러(34)∼제4 연신 롤러(40)는 고화한 사(絲)부재에 대하여 연신 처리를 실시한다. 우선, 제2 연신 롤러(36)의 롤러 속도를 제1 연신 롤러(34)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증가시킴에 의해 사부재에 대하여 제1 연신 처리를 행하고, 이어서, 제3 연신 롤러(38)의 롤러 속도를 제2 연신 롤러(36)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증가시킴에 의해 사부재에 대하여 제2 연신 처리를 행하고, 그 후, 제4 연신 롤러(40)의 롤러 속도를 제3 연신 롤러(38)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감소시킴 의해 섬유에 준 긴장을 완화하여 치수를 안정시키는 이완 연신 처리가 행해진다. 제4 연신 롤러(40)로부터 권취기(41)의 사이에, 정전 방지용 오일링(oiling)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알카리 감량부(45)의 모식도이다. 알카리 감량부(45)는, 알카리 수용액을 포함하는 처리액을 저장하는 액 저장부 (46)와, 이 액 저장부(46)에 섬유(100)의 일부를 침지하도록 섬유(100)를 매달고 회전하는 회전통부(47)와, 이 회전통부(47)의 상방에 배치되고 회전통부(47)에 매달려 있는 섬유(100)에 대하여 처리액을 분사하는 샤워부(4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액 저장부(46)에는, 폴리 에스테르계 섬유를 에칭하기 위한 알카리 수용액과 가수분해 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촉진제를 포함하는 처리액이 저장되어, 처리액 중에 섬유(100)의 일부를 침지함으로써, 섬유(100)의 표면을 에칭한다. 회전통부(47)는, 세쌍의 관부를 회전축 방향으로 연설(延設)하고, 또한 각 쌍의 관부가 서로 대략 삼각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배열 설치되어 구성되고, 각 관부에는 회전축의 방향과 반대쪽에 복수개의 분사구(47a)가 설치되어, 관부 내에 유입된 처리액을 회전 외측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알카리 감량부(45)에 있어서, 연장 및 이완 처리된 섬유(100)에 대하여 에칭처리를 실시한다. 즉, 섬유(100)의 일부를 처리액에 침지함으로써, 섬유가 균일하게 에칭되어 섬유 직경이 작아진다. 도 9에 굵은 화살표로 나타내진 방향으로, 회전통부(47)가 회전함으로써 섬유(100)가 도면에 실선에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이 때, 회전통부(47)의 각 분사구(47a) 또는 샤워부(48)로부터 분사된 처리액이, 회전통부(47)에 걸린 섬유(100)의 외주 표면에 부착된다. 회전통부(47)의 우측에서는, 섬유(100)의 이동 방향(실선으로 표시한 화살표의 방향)과 처리액의 자중에 의한 이동 방향(점선으로 표시한 화살표의 방향)이 일치하여 섬유의 이동 방향을 따라, 다시 말해, 처리액의 흐름에 따라 에칭 처리가 실시된다. 한편, 회전통부(47)의 좌측에서는, 섬유(100)의 이동 방향과 처리액과의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섬유의 이동 방향에 거슬러서 에칭된다. 이와 같이, 섬유(100)의 표면에 부착된 처리액은 처리액의 자중에 의해 섬유의 표면을 섬유의 축 방향, 다시 말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직 하방으로 흐르고, 이 흐름의 방향을 따르도록 에칭 처 리가 실시된다. 따라서, 섬유(100)는 알카리 감량 처리에 의해 가늘게 되고, 또한 섬유의 표면에 그 축 방향으로 미세 구멍이 형성된다.
도 8에 나타낸 장치 시스템(30)에 의한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성분으로 하고 착색 원료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섬유로 되는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제조 장치(30)에 있어서, 원료조(31)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베이스로 하여 착색 안료를 포함한 착색용 수지 펠렛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넣는다. 착색용 수지 펠렛의 혼합비율을 변경시킴으로써 최종 제품인 인공 모발의 모발 색을 바꿀 수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에 대한 착색용 수지 펠렛의 혼합 비율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착색용 수지 펠렛을 질량비로 40:60을 최대로 한다.
원료조(31) 내의 펠렛을 용융 압출기(32)로 보내고, 이 펠렛을 용융 압출기(32)에서 혼련하여 그 용융액(31A)을 토출구(32A)로부터 토출시켜, 온욕부(33)에 의해 사상 용융물을 고화시킨다. 온욕부(33)의 온도는, 생산성의 면에서 40℃ 전후가 바람직하다. 온욕부(33)의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용융한 수지를 토출시킨 후, 온욕부(33)에 접촉할 때에 사상 용융물의 최초로 물에 닿는 외부와 내부에 관하여, 급냉에 의해 내부의 수지의 결정화가 진행되고 외부의 결정화는 진행되지 않는 결과, 분자 구조의 차이가 생기고, 이것이 원인으로 「실의 물결침(waving)」이 생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온욕부(33)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사상 용융물의 결정화가 과도하게 진행되어, 사상 용융물의 연신에 대한 내구성이 약해지고, 연신 시에 사절(絲切)이 생기는 경향이 있어서 생산성이 나빠진다.
고화된 사부재에 대하여, 제1 연신 롤러(34) 및 제2 연신 롤러(36)에 의해 제1 단계의 연신 처리를 실시하고, 제2 연신 롤러(36)및 제3 연신 롤러(38)에 의해 제2 단계의 연신 처리를 실시하고, 제3 연신 롤러(38)및 제4 연신 롤러(40)에 의해 이완 처리를 실시한다. 제1 및 제2의 연신 처리에 의해, 연신 배율로서 합계 배율을 6배로 한다.
이어서, 연신 처리가 실시된 섬유에 대하여 알카리 감량 처리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등의 알카리 용액에 가수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한 촉진제를 혼합한 처리액을 액 저장부(46) 내에 저장하고, 회전통부(47)에 걸린 섬유(100)의 일부를 침지하는 동시에, 침지하지 않은 섬유(100)의 부분에 처리액을 회전통부(47)의 분사구 또는 샤워부(48)로부터 분사한다. 섬유(100)의 표면에 부착한 처리액은 처리액의 자중으로 섬유의 표면을 섬유의 축방향, 즉, 길이 방향을 따라 연직 하방으로 흐르고, 이 흐름의 방향을 따르도록 에칭 처리가 실시된다. 따라서, 섬유(100)는 알카리 감량 처리에 의해 섬유(100)가 가늘어지고, 또한, 섬유의 표면에 축 방향으로 미세구멍이 형성된다. 이 때 처리액은, 가수분해를 촉진하기 위해서 소정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섬유에 부착한 알카리를 중화한 후 세정 처리를 행하여 인공 모발을 얻을 수 있다.
토출구(32A)에 제공된 구멍의 직경 또는 온욕(33)의 온도 등의 방사 조건, 제1 ∼ 제4 연신 롤러의 속도, 제1 ∼ 제3의 건열조의 온도 등의 연신 조건, 나아가, 알카리 감량 조건을 조정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착색 안료를 성분 으로 한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 섬유가,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와 굴곡 강성치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인공 모발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 인취(引取) 속도를 27.9m/분, 최종 권취 속도를 155m/분으로 함으로서, 알카리 감량 후의 굴곡 강성치가 6.5×1O-3gf·㎠/가닥인 인공 모발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성분으로 하고, 거기에 착색 안료를 포함한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제조 장치(30)에 있어서, 원료조(31)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베이스로 하여 착색 안료를 포함한 착색용 수지 펠렛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시켜 넣는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총 펠렛에 대한 착색용 수지 펠렛의 혼합 비율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총 펠렛:착색용 수지 펠렛을 질량비로 40:60을 최대로 한다. 온욕의 온도는 40℃ 전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착색 안료만을 성분으로 하는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원료조(31) 내의 펠렛을 용융 압출기(32)로 보내고, 펠렛을 용융 압출기(32)로 혼련한 용융액(31A)을 토출구(32A)로부터 토출시켜, 온욕부(33)에 의해 사상 용융물을 고화한다. 고화한 사부재에 대하여, 전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단계의 연신 처리, 제2 단계의 연신 처리 및 이완 처리를 실시하 고, 알카리 감량 처리를 실시한다. 그 후, 섬유에 부착한 알카리를 중화한 후 세정 처리를 행하여 인공 모발을 얻을 수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의 혼합비를 조정함으로써,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인공 모발이 얻어진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질량비는 15:85 내지 25:75의 범위, 특히 20:80이 바람직하다. 질량비가 15:85 미만에서는 굴곡 강성치가 높고, 반대로, 질량비가 25:75를 넘으면 굴곡 강성치가 낮다. 상기범위로부터 벗어난 인공 모발을 가발에 이용하면, 상기 인공 모발과 가발 장착자의 천연 모발과의 거동이 상이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토출구(32A)에 제공된 구멍의 직경 또는 온욕(33)의 온도 등의 방사 조건, 제1 내지 제4 연신 롤러의 속도, 제1 내지 제3의 건열조의 온도 등의 연신 조건, 나아가 알카리 감량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최적인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인공 모발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인공 모발 다발을 구성하는 제2의 인공 모발(5),(6)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2의 인공 모발(5),(6)의 제조에 이용하는 장치(50)의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조 장치에 이용하는 토출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 장치(50)는, 초부(5A)가 되는 폴리아미드 수지용의 제1의 원료조(51)와, 심부(5B)가 되는 폴리아미드 수지용의 제2의 원료조(52)와, 이들의 원료조(51),(52)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용융하여 혼련하는 용융 압출기 (51D),(52D)와, 용융 압출기 (51D),(52D)에서 혼련한 용융액(51A),(52A)를 토출부(53)의 토출 구(53C)로부터 토출하는 사상 용융물을 고화하는 동시에,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온욕부(54)와, 그 후, 각 단이 연신 롤러(55),(57),(59) 및 건열조 (56),(58),(60)로 이루어지는 3단의 연신 열처리 공정부를 거치고, 실 표면에 요철부(5C)를 붙이기 위한 블라스트기(63)와, 블라스트기(63)에 의해 소망하는 정도로 광택 제거된 인공 모발을 감는 권취기(6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용융 압출기 (51D),(52D)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펠렛을 용융하기 위한 가열 장치와, 균일해지도록 분산시켜 교반하기 위한 혼련기와, 용융액(51A),(52A)을 토출부(53)로 송액하는 기어 펌프(51B),(52B)를 구비하고 있다.
토출부(53)의 토출구(53C)로부터 나온 섬유는 도시한 대로 온욕, 연신, 건열기구를 거친 후, 정전 방지용 오일링 장치(61)와, 치수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인공 모발에 준 긴장을 완화하는 연신 롤러(62)와, 표면 처리용의 블라스트 (63)를 통하여 권취기(64)에 권취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부(53)는,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 설치되는 2중의 토출구를 가지고, 그 중심원부(53B)로부터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용융액(52A)를, 그리고, 중심원부(53B)를 둘러싸는 외환부(53A)로부터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용융액(51A)를, 각각 토출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어서, 상기 제조 장치(50)에 의한 제2의 인공 모발(5),(6)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조 장치(50)를 이용하여, 용융 압출기(51D),(52D)에서, 각 폴리아미드 수지를 각각 알맞은 온도로 용융하여 토출부(53)로 송액하고, 토출구의 중심원부(53B)로부터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용융액(52A)와, 외환부(53A) 로부터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용융액(51A)를 토출구(53C)로부터 토출시켜, 초/심 구조의 실로 하여, 인공 모발(5),(6)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용융액(51A)을 기어 펌프(51B)로 일정 시간 송액한 용량과,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용융액(52A)를 기어 펌프(52B)로 송액한 용량과의 비율을, 본 발명에서는 초/심 용량비라고 칭한다. 인공 모발(5)의 굴곡 강성치를 천연 모발의 굴곡 강성치에 근사하도록 하기 위해, 초부와 심부의 중량비인 초/심 중량비는 10/90 ∼ 35/65가 바람직한 범위가 된다. 이러한 초부와 심부의 중량비를 얻기 위한 제조 조건은, 초/심 용량비로서 1/2 ∼ 1/7이 바람직한 값이 되고, 이 범위가 인공 모발(5),(6)의 굴곡 강성치 등의 물성치에 바람직하다. 이 초/심 용량비가 1/2보다 커지면, 즉 초부(5A)의 비율이 커지면, 인공 모발(5),(6)의 심부(5B)의 굴곡 강성치의 증가에 기여하는 효과가 작아진다. 초/심 용량비가 1/7보다 작아지면, 즉 심부(5B)의 비율이 커지면, 굴곡 강성치가 지나치게 커져서 천연 모발에 근사하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인공 모발(5),(6)의 방사 시의 연신 배율은 5 ∼ 6배로 할 수 있다. 이 연신 배율은, 종래의 나일론6 단독의 인공 모발의 연신 배율보다도 약 2배 정도의 값이다. 제2의 인공 모발(5),(6)은, 방사 시의 연신 배율, 사 직경, 굴곡 강성치 등을, 소망하는 설계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인공 모발(5),(6)의 초/심의 형상은, 방사 시의 조건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대략 동심원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인공 모발용 방사에서는, 토출구(53C)로부터 인출한 실을 온욕부(54) 중에서 80℃ 이상의 물속을 통과시킴에 의해 초부(5A)의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의 표면에 요철부(5C)로 되는 구정을 발생 성장시킬 수 있어, 천연 모발과 같은 외관을 주고, 부자연스러운 광택을 제거한 광택 제거 인공 모발(6)을 제조할 수 있다.
실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부(5C)를 부여하는 방법은, 상기 구정의 발생 성장에 의한 것 이외에, 방사 후의 실 표면을 모래, 얼음, 드라이 아이스 등의 미립자로 블라스트하는 방법, 또는, 실 표면을 약품 처리하는 방법 중 어느 것 또는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인공 모발(5),(6)로서 바람직한 색, 외관을 주기 위해서, 방사 시에 안료 및/또는 염료를 배합할 수 있고, 방사 종료 후에 인공 모발(5),(6)자체를 염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제2의 인공 모발(5),(6)은, 굴곡 강성이 상이한 폴리아미드 수지에 의한 초/심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종래의 직쇄 포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단체(單體)의 인공 모발보다도 굴곡 강성이 높은 인공 모발(5),(6)을, 재현성 좋게 제조할 수 있다. 인공 모발(5)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부(5C)를 형성하면, 천연 모발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광택을 부여하여, 모발로서의 자연스러운 외관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인공 모발 다발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4] 도 3에 나타낸 제2의 인공 모발의 바람직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제2의 인공 모발의 길이 방향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 제2의 인공 모발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 본 발명의 가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A)는 본 발명의 가발을, (B)는 비교예로서의 가발을, 각각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8] 본 발명의 인공 모발의 제조에 이용하는 일련의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9] 알카리 감량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 본 발명의 인공 모발 다발을 구성하는 제2의 인공 모발의 제조에 이용하는 제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1] 도 10의 제조 장치에 이용하는 토출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인공 모발의 주사 전자 현미경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인공 모발에 관하여, 인공 모발의 단면 직경에 대한 굴곡 강성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질량에 관한 혼합 비율에 대한 굴곡 강성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15]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비율이 20%, 60%인 경우의, 알카리 감량 처리 전후에서의 굴곡 강성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16] 각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에 대한 열수축률을 나타낸 도이다.
※ 부호의 설명
1, 2: 제1의 인공 모발
2a: 미세구멍
5, 6: 제2의 인공 모발
5A: 초부
5B: 심부
5C: 요철부
10: 인공 모발 다발
20: 가발
21: 가발 베이스
30, 50: 제조 장치
31, 51, 52: 원료조
31A, 51A, 52A: 용융액
32, 51D, 52D: 용융 압출기
32A, 53C: 토출구
33, 54: 온욕부
34, 36, 38, 40, 55, 57, 59, 62: 연신 롤러
35, 37, 39, 56, 58, 60: 건열조
41, 64: 권취기
45:알카리 감량부
46: 액저장부
47: 회전 통부
47a: 분사구
48: 샤워부
51B, 52B: 기어 펌프
53: 토출부
53A: 외환(外環)부
53B: 중심원부
61: 정전 방지용 오일링 장치
63: 블라스트기
100:섬유
실시예 1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방사기(30)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성분으로 하는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인공 모발의 원료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東洋紡(주) 제조, 밀도 1.40g/㎤, 융점 255℃)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베이스에 흑색, 황색, 오렌지색, 적색의 안료 중량%이, 각각 6%, 6%, 5%, 5%인 착색용 수지 펠렛을 이용하였다
방사 조건은, 펠렛의 용융 온도를 토출구로부터의 토출온도로 270℃로 해서 토출구에는 구경 0.7mm의 구멍을 15개 구비한 구금(口金)을 준비하였다. 온욕(33)의 온도는 40℃로 했다.
연신 조건에 대해서는, 제1 연신 롤러(34) 내지 제4 연신 롤러(40)의 각 롤러의 속도를 조정하여, 알카리 감량 처리 후의 인공 모발의 단면 평균 직경이 65㎛가 되도록 했다. 즉, 제2 연신 롤러(36)의 롤러 속도를 제1 연신 롤러(34)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4.6배로 하고 제3 연신 롤러(38)의 롤러 속도를 제2 연신 롤러(36)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1.3배로 하고 제4 연신 롤러(40)의 롤러 속도를 제3 연신 롤러(38)의 롤러 속도에 대하여 0.93배로 하였다. 또, 제1 연신 온도로서 제1 건열조(35)의 온도를 130℃, 제2 연신 온도로서 제2 건열조(37)의 온도를 180℃, 이완 연신 온도로서 제3 건열조(39)의 온도를 180℃로 했다.
알카리 감량 처리의 조건은, 알카리 수용액으로서 5중량%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가수분해 촉진제로서 카치오졸 (高松油脂(주) 제조)을 0.5중량%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것을 이용하였다. 욕비(浴比)는 피처리물:처리액의 질량비=1:30, 처리 온도는 약 100℃, 처리 시간 60분으로서 알카리 감량율이 10~20%가 되도록 했다.
표 1은 알카리 감량 처리의 유무에 의한 인공 모발의 각 물성치를 나타낸 표이다.
알칼리 감량처리 사 직경(㎛) 강도(kgf/㎟) 신도(%)
75.1 84.7 19.6
66.1 63.4 12.2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알카리 감량 처리를 행함으로써 인공 모발의 직경은 75.1㎛로부터 66.1㎛로 감소하였다. 강도는 84.7kgf/㎟으로부터 63.4kgf/㎟으로 감소하였다. 신도는 19.6%로부터 12.2%로 감소하였다.
도 12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공 모발의 주사 전자 현미경상을 나타낸다. 전자의 가속 전압은 15kV로 배율은 800배이다. 도 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공 모발의 표면에 그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 즉 섬유의 축 방향에 세로 길이(縱長)의 미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미세 구멍에 의해 광택 제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인공 모발의 단면 치수는 평균 직경으로 약 65㎛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연신 조건을 바꾸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 50㎛인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연신 조건을 바꾸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 55㎛인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연신 조건을 바꾸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 60㎛인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연신 조건을 바꾸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 70㎛인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 내지 5에 대한 비교예 1 내지 3을 나타낸다.
(비교예 1)
연신 조건을 바꾸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 45㎛인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연신 조건을 바꾸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 75㎛인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연신 조건을 바꾸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 80㎛인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 으로 제조한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의 결과를 나타낸다. 굴곡 강성치의 측정은, 온도 22℃, 습도 40%의 환경 하에서 수행하였다. 섬유의 굴곡 강성의 측정은 직물에 관하여 천단식 측정법과 그 원리가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를 개량한 싱글 헤어 벤딩 테스터 (카토테크(주)제, 모델 KES-FB2-SH)를 이용하여,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시료가 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의 인공 모발 및 천연 모발의 어느 경우에도, 각 1cm의 1 가닥에 대하여, 모발 전체를 일정 곡률까지 원호 상태로 등속도로 굽히고, 이에 수반되는 미소한 굴곡 모멘트를 검출하여, 굴곡 모멘트와 곡률의 관계를 측정했다. 이로부터, 굴곡 모멘트/곡률 변화에 의해 굴곡 강성치를 구하였다. 대표적인 측정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측정 조건)
척(chuck)간 거리:1cm
토크 검출기: 토션 와이어(스틸 와이어)의 비틀림 검출 방식
토크 감도: 1.0gf·㎝ (풀 스케일 1OV에 있어서)
곡률: ±2.5cm-1
굴곡 변위속도: 0.5㎝-1/sec
측정 사이클: 1 왕복
여기서, 척은, 상기 1cm의 각 모발을 끼워넣는 기구이다.
표 2는,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으로 제조한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3은,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으로 제조한 인공 모발에 관하여, 인공 모발의 단면 직경에 대한 굴곡 강성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의 세로축은 굴곡 강성치(gf·㎠/가닥)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인공 모발의 단면 평균 직경(㎛)이다.
단면 평균 직경(㎛) 굴곡 강성치 10-3 (gf·㎠/가닥)
실시예 1 65 7.44
실시예 2 50 6.7
실시예 3 55 6.86
실시예 4 60 7.12
실시예 5 70 7.67
비교예 1 45 6.37
비교예 2 75 8.06
비교예 3 80 8.35
표 2 및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인공 모발은, 단면 치수가 커지면 굴곡 강성치가 직선적으로 증가했다. 다시 말해, 평균 직경이 45㎛, 50㎛, 55㎛, 60㎛, 65㎛, 70㎛, 75㎛, 80㎛로 증가함에 따라서, 각각, 굴곡 강성치가, 6.37×10-3gf·㎠/가닥, 6.70×10-3gf·㎠/가닥, 6.86×10-3gf·㎠/가닥, 7.12×10-3gf·㎠/가닥, 7.44×10-3gf·㎠/가닥, 7.67×10-3gf·㎠/가닥, 8.06×10-3gf·㎠/가닥, 8.35×10-3gf·㎠/가닥으로 증가하였다. 천연 모발의 굴곡 강성치는 개체 차이도 크므로, 연령층 20∼50 세대 각 층의 남성 25명, 여성 38명으로부터 두발을 채취하고, 그 중 직경 80㎛인 실험 자료에 관한 굴곡 강성치를 같은 측정 환경 하, 다시 말해, 온도 22℃, 습도 40%의 환경 하에서 실행하였다. 최대치는 7.4×10-3gf·㎠/가닥이고, 최소값은 6.6×10-3gf·㎠/가닥이며, 그 평균값은 7.1×10-3gf·㎠/가닥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온도 22℃, 습도 40%의 환경 하에서는 약 6.5∼7.8×10-3gf·㎠/가닥의 범위이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이다. 이들의 결과에 근거하면,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인공 모발의 경우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지만,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인공 모발의 경우, 천연 모발의 굴곡 강성치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성분으로 하는 인공 모발에서는,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소유하기 위해서는, 50∼70㎛ 이면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으로 제조한 인공 모발은, 모두 실시예 1과 같이 미세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주사 전자 현미경상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도 8에 나타낸 제조 장치(30)를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2)을 제조하였다. 인공 모발의 원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東洋紡(주)제, 밀도 1.4Og/㎤, 융점 255℃)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미츠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주)제조, 밀도 1.31g/㎤, 융점 224℃)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베이스에 흑색, 황색, 오렌지색, 적색 각 안료 중량%가, 6:6:5:5인 착색용 수지 펠렛을 이용하였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에 대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의 혼합비율을 질량비로 0∼75%로 변화시켜, 7 종류의 인공 모발을 제조하였다. 방사 조건, 연신 조건, 알카리 감량 처리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표 3은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이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합 비율을 파라미터로 하여, 알카리 감량 처리 전후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표 3을 그래프화한 것으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질량에 관한 혼합 비율에 대한 굴곡 강성치를 나타낸다. 세로축은 굴곡 강성치(gf·㎠/가닥)이며, 가로축은 질량에 관한 펠렛 전체에 대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비PBT/(PET+PBT)(%)이다. 플롯 중, ◆은 알카리 감량 처리전에서의 값, ■은 알카리 감량 처리 후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측정 조건은, 온도 22℃, 습도는 40%였다.
PBT 혼합비율(%) 굴곡 강성치×10-3(gf·㎠/가닥)
알칼리 감량 처리 전 알칼리 감량 처리 후
0 19.79 11.66
10 18.07 9.70
20 16.35 8.32
30 14.64 7.68
50 11.10 6.40
60 9.88 5.75
75 6.79 4.78
표 3 및 도 1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공 모발의 성분에 대해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비율을 증가시키면, 알카리 감량의 전과 후 어느 것에 있어서도 굴곡 강성치는 감소했다. 알카리 감량 처리 전에서는, 굴곡 강성치는, 혼합비율이 20%에서는 약 1.6×10-2gf·㎠/가닥이었지만, 혼합비율을 75%까지 증가시키자 약 6.7×10-3gf·㎠/가닥까지 단조(單調) 감소하였다. 알카리 감량 처리 후에는, 굴곡 강성치는, 혼합 비율이 0%에서는 약 1.2×10-2gf·㎠/가닥이었지만, 혼합비율을 20%까지 증가시키자 약 8.3×10-3gf·㎠/가닥까지 단조하게 감소하고, 혼합비율이 60%에서는 약 5.7×10-3gf·㎠/가닥이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비율이 다른 7 종류의 인공 모발의 단면 직경은, 알카리 감량 처리 전에서는 평균 81.3㎛이며, 알카리 감량 처리 후에는 평균 71.1㎛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를 저감시킬 수 있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6.5∼7.8×10-3gf·㎠/가닥)를 가지는 인공 모발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알카리 감량 처리를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비율을 약 70∼80%, 알카리 감량 처리를 행할 경우에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비율을 약 20∼60%로 하면 좋음을 확인하였다.
도 15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 비율이 20%, 60%인 경우의, 알카리 감량 처리 전후에서의 굴곡 강성치를 나타낸다. 세로축은 굴곡 강성치(gf·㎠/가닥), 가로축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비율이다. 도 1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알카리 감량 처리를 행함으로써, 굴곡 강성치는, 혼합비율이 20%에서는 약 1.6×10-2gf·㎠/가닥이었지만 약 8.3×10-3gf·㎠/가닥까지 감소했다. 혼합비율이 60%에서는 약 9.8×10-3gf·㎠/가닥이었지만 약 5.7×10-3gf·㎠/가닥까지 감소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비율이 20% 및 60%의 인공 모발의 단면직경은, 알카리 감량 처리 전에서는 평균 80.4㎛이며, 알카리 감량 처리 나중에는 평균 71.1 ㎛이었다.
이상으로부터, 인공 모발의 단면 직경을 감소시키고, 또한,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감소시키기 위해, 알카리 감량 처리가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수지로 되는 인공 모발의 제조가 있어 유효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고, 알카리 감량 처리를 행하여 굴곡 강성치가 약 6.5×10-3gf·㎠/가닥이고 직경이 약 66㎛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에 대하여 열처리를 행하였다. 상기 열처리는 컬 붙임 처리의 모의 실험으로서, 인공 모발을 직경 30mm의 파이프에 감아 붙인 상태로 180℃의 환경 하에 2시간 유지함으로써 행하였다. 열처리 후의 인공 모발의 수축률을 측정한 바, 0.77%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되, 실시예 7과는 달리 알카리 감량 처리를 행하지 않고 굴곡 강성치가 약 1.2×10-2gf·㎠/가닥, 직경 약 75㎛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인공 모발에 대하여, 실시예 7과 동일한 열처리를 행하였다. 열처리한 인공 모발의 수축률을 측정한 바, 1.55%이었다.
실시예 7 및 8을 비교하면, 알카리 감량 처리를 행함으로써 열처리에 의한 열수축률이 반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이어서, 인공 모발 다발의 제2의 인공 모발에 미리 열처리를 실시하고, 제1의 인공 모발과 섞어서 컬 붙임 처리를 수행하는 유사실험으로서, 제2의 인공 모발에 있어서의 전처리의 유무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초/심 구조로 굴곡 강성치가 3.9∼7.8×10-3gf·㎠/가닥인 인공 모발에 대하여 제1의 열처리를 수행하고, 그 후 제2의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인공 모발의 심부는, 폴리아미드 수지로서의 나일론 MXD6 (미츠비시 가스 화학사 제조, 상품명 MX나일론)으로 형성되고, 초부는 나일론 6 및 나일론 66의 공중합체 (NY6/66) 및 착색원료를 포함한 나일론6 (NY6)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열처리는 전처리에 상당하는 것으로, 인공 모발을 파이프에 감지 않고 연신한 상태로 160℃의 환경 하에 30분 유지하였다. 제2의 열처리는 본 처리에 상당하는 컬 붙임 처리로서, 실시예 3 및 4의 열처리와 동일하게 인공 모발을 직경 30mm의 파이프에 둘러 감은 상태로 180℃의 환경 하에서 2시간 유지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9에 대한 비교예 4를 나타낸다. 비교예 4에서는, 실시예 9와 같은 인공 모발에 대하여 제1의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제2의 열처리를 행하였다.
실시예 9 및 비교예 4의 결과를 설명한다. 표 4는, 실시예 9 및 비교예 4의 결과를 나타내는 표로서, 각각의 인공 모발에 있어서의 열수축률을 나타내고, 실시예 9의 결과로서 제1의 열처리 후의 값 및 제1 및 제2의 열처리 후의 값과, 비교예 4의 결과로서 제2의 열처리만 행한 후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표 4를 그래프로 한 것으로, 각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에 대한 열수축률을 나타낸다. 세로축은 열수축률(%)이며, 가로축은 굴곡 강성치(gf·㎠/가닥)이다. 한편, 플롯◆은 제1의 열처리 후의 굴곡 강성치를 나타내고, 플롯■은 제1 및 제2의 열처리 후의 굴곡 강성치를 나타내고, 플롯▲은, 비교예 4의 결과로서, 제2의 열처리만 행한 후의 굴곡 강성치를 나타내고 있다.
굴곡 강성치×10-3 (gf·㎠/가닥) 열 수축율(%)
실시예 9 비교예 4
제1의 열처리 후 제2의 열처리 후 제2의 열처리만
3.90 3.11 0.17 1.12
5.20 3.54 0.53 1.03
6.50 3.63 0.08 1.12
7.80 4.58 0.18 1.38
표 4 및 도 16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1의 열처리를 실시해도 제2의 열처리만을 실시해도 또 쌍방의 열처리를 실시해도 인공 모발은 열수축한다. 실시예 9의 결과, 다시 말해, 굴곡 강성치가 클수록 제1의 열처리에 의한 열수축률이 커서, 굴곡 강성치가 약 3.9×10-3gf·㎠/가닥의 인공 모발에서는 약 3%이지만, 굴곡 강성치가 약 7.8×10-3gf·㎠/가닥의 인공 모발에서는 약 4.6%이었다. 또, 제1 및 제2의 열처리 후에 의한 열수축률은, 굴곡 강성치의 값에 따르지 않고 1% 미만이며, 0.53~0.08%의 범위이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4의 결과, 다시 말해, 제2의 열처리만을 실시하면, 열수축률은 굴곡 강성치에 그다지 의존하지 않고, 약 1~1.4%였다.
실시예 7과 실시예 9 및 비교예 4를 대비한다. 실시예 7의 결과에 의하면 제1의 인공 모발로서의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의 열수축률은 0.77%이며, 비교예 4의 결과에 의하면 제2의 인공 모발로서의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의 열수축률은 1%이상인 것으로부터, 제2의 인공 모발이 제1의 인공 모발보다도 크게 줄어든다. 따라서 실시예 7에서 이용한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과 비교예 4에서 이용한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을 섞어서 본 처리를 행하면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에 인접해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이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과 동일하게 수축하고자 한다. 그러나,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에 전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과 섞어서 본 처리를 행하면,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보다도 수축성이 작은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은,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과 동일하게 수축할 수 없다. 그 결과, 인공 모발 다발에 파상의 단차가 생겨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9의 결과에 의하면 제2의 인공 모발로서의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의 열수축률은 0.5% 이하이고, 실시예 7의 결과에 의하면 제1의 인공 모발로서의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의 열수축률은 0.77%로서, 양자의 열수축률의 차이는 작다. 따라서, 제2의 인공 모발로서의 폴리아미드계 인공 모발에 대하여 미리 전처리를 행하여 열수축시켜 둠으로써, 제1의 인공 모발인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을 섞어서 컬 붙임 처리를 수행해도, 제1의 인공 모발과 제2의 인공 모발이 같은 정도로 수축하므로, 파상의 단차가 생기지 않는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인공 모발 다발을 구성할 경우, 제2의 인공 모발로서의 폴리아미드 섬유에 대하여 미리 열처리를 수행함에 의해 제1의 인공 모발과 같은 정도 또는 그 이하의 열수축률로 함으로써, 인공 모발 다발에 컬 붙임 처리를 행할 때 제1의 인공 모발에 파상의 단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여 용융 방사하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를 가지도록 연신 처리 및 알카리 감량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또한,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치수 및 굴곡 강성치를 가지도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소정 의 질량비로 용융 방사하여 인공 모발로 함으로써, 천연 모발과 같은 느낌을 가지는 인공 모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되는 인공 모발은, 그 자체는 집속하지 않아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되는 인공 모발의 집속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천연 모발의 굴곡 강성치와 같은 정도로 할 수 있다. 나아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되는 인공 모발을 제1의 인공 모발로 하여,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되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치수 및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제2의 인공 모발 중에 소정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서, 제2의 인공 모발의 집속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인공 모발을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한 가발에서는, 가발 장착자가 소망하는 헤어 스타일을 정리하면, 제2의 인공 모발이 집속하지 않고, 또한, 제1의 인공 모발 및 제2의 인공 모발의 굴곡 강성치를 천연 모발에 근사시킬 수 있으므로, 천연 모발과 동일하게 거동하여 자연스러운 느낌으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는, 적절하게,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9)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섬유로 되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모발.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섬유로 되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를 가짐에 의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모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으로 50∼70㎛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모발.
  4.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섬유로 되고,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모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으로 50∼100㎛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모발.
  6.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굴곡 강성치가, 습도 40% 하에서 6.5∼7.8×10-3gf·㎠/가닥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모발.
  7.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표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미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모발.
  8.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을 폴리아미드 수지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에 분산시키고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다발 상태로 하여 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인공 모발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 및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모발 다발.
  9.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을 폴리아미드 수지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에 분산시키고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다발 상태로 하여 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인공 모발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모발 다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인공 모발이, 심부와 상기 심부를 덮는 초부로 이루어지는 초/심 구조를 가지고, 상기 심부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초부가 상기 심부보다도 굴곡 강성이 낮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모발 다발.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인공 모발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 및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모발 다발.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강성치가, 습도 40% 하에서 6.5∼7.8×10-3gf·㎠/가닥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모발 다발.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인공 모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치수가, 평균 직경으로 50∼7O㎛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모발 다발.
  14. 가발 베이스와 상기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되는 인공 모발을 포함하는 가발로서, 상기 인공 모발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과 폴리아미드 수지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을 이용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인공 모발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를 가짐으로써,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15. 가발 베이스와 상기 가발 베이스에 심어 설치되는 인공 모발을 포함하는 가발로서, 상기 인공 모발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제1의 인공 모발과 폴리아미드 수지로 되는 제2의 인공 모발을 이용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인공 모발이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인공 모발이, 심부와 상기 심부를 덮는 초부로 이루어지는 초/심 구조를 가지고, 상기 심부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초부가 상기 심부보다도 굴곡 강성치가 낮은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17.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단면 치수 및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으로서,
    원료가 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하여 착색용 원료를 첨가하고 용융하여 토출하는 제1의 공정과,
    토출한 사상 용융물을 고화하는 제2의 공정과,
    고화된 사상 부재를 연신하여 소정의 직경으로 하는 제3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
  18. 천연 모발과 같은 정도의 굴곡 강성치를 가지는 인공 모발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원료가 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착색용 원료를 소정의 질량비로 용융해서 토출하는 제1의 공정과,
    토출한 사상 용융물을 고화하는 제2의 공정과,
    고화된 사상 부재를 연신하여 소정의 직경으로 하는 제3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모발의 제조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공정 및 제3의 공정 중 어느 것에서, 알카리 감량 처리를 행하여 인공 모발의 표면에 미세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모발의 제조 방 법.
KR1020087021130A 2006-01-30 2007-01-23 인공 모발, 인공 모발을 가지는 가발 및 인공 모발의 제조방법 KR101036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21539 2006-01-30
JPJP-P-2006-00021539 2006-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385A true KR20080091385A (ko) 2008-10-10
KR101036527B1 KR101036527B1 (ko) 2011-05-24

Family

ID=3830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130A KR101036527B1 (ko) 2006-01-30 2007-01-23 인공 모발, 인공 모발을 가지는 가발 및 인공 모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080314402A1 (ko)
EP (1) EP1980166B1 (ko)
JP (1) JP4823237B2 (ko)
KR (1) KR101036527B1 (ko)
CN (1) CN101374432B (ko)
AU (1) AU2007208839B2 (ko)
CA (1) CA2636318A1 (ko)
DK (1) DK1980166T3 (ko)
ES (1) ES2648980T3 (ko)
NO (1) NO344050B1 (ko)
PT (1) PT1980166T (ko)
RU (1) RU2008126197A (ko)
TW (1) TWI353820B (ko)
WO (1) WO200708637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4965A (ko) * 2012-08-31 2015-04-27 후지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인공 모발 및 이를 이용한 가발
KR20230069327A (ko) * 2021-11-12 2023-05-19 김가혜 제모실습용 모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6215203A1 (en) * 2005-02-15 2006-08-24 Unihair Co., Ltd Artificial hair and wig using the same
JP5063242B2 (ja) * 2006-08-14 2012-10-31 株式会社アデランス 人工毛髪及びそれを用いたかつら
US20110073122A1 (en) * 2008-06-05 2011-03-31 Sayuri Shigematsu Wig base
CN102368919A (zh) * 2009-02-04 2012-03-07 爱德兰丝株式会社 假发
CN101897489B (zh) * 2009-05-27 2012-11-14 香港理工大学 具有形状记忆功能的假发、制作方法及其应用
US20150361595A1 (en) * 2014-06-11 2015-12-17 Noble Fiber Technologies, Llc Antimicrobial Multicomponent Synthetic Fib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0757975B2 (en) 2014-07-11 2020-09-01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 removable heater
CN105019142B (zh) * 2015-06-30 2017-08-29 河南工程学院 一种高孔容微纳米pet纤维的制备方法
US10888132B2 (en) 2016-08-23 2021-01-12 Denka Company Limited Fibers for artificial hair
CN107815874A (zh) * 2017-11-10 2018-03-20 义乌市丝黛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拒水拒油假发及其制备方法
CN109457357A (zh) * 2018-10-19 2019-03-12 山东超亚刷丝有限公司 一种生产制造鳞片刷丝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9449A (en) * 1969-08-27 1973-04-24 Kanegafuchi Spinning Co Ltd Polyamide fibers composed of the polyamide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reof
JPS536253B1 (ko) * 1970-04-18 1978-03-06
JPS5222300B2 (ko) * 1973-01-12 1977-06-16
US4316924A (en) * 1979-03-26 1982-02-23 Teijin Limited Synthetic fur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JPH01282309A (ja) * 1988-05-09 1989-11-14 Unitika Ltd 人工毛髪用ポリアミド繊維
US5234370A (en) * 1991-10-24 1993-08-10 Mattel, Inc. Posable doll hair and method of manufacture for the same
US5895718A (en) * 1996-04-19 1999-04-20 The Pilot Ink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and temperature-dependent shape-transformable/fixable products making use of the same
JPH09324314A (ja) * 1996-06-05 1997-12-16 Art Neichiyaa:Kk かつら及び人工毛
JPH1161558A (ja) * 1997-08-26 1999-03-05 Toray Ind Inc 長短複合糸とその製造方法
US6296934B1 (en) * 1999-03-12 2001-10-0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Glitter containing filaments for use in brushes
JP2002161423A (ja) * 2000-11-22 2002-06-04 Artnature Co Ltd 人工毛髪
TW576719B (en) * 2001-01-29 2004-02-21 Kaneka Corp Artificial hair and its processing method
JP2002242017A (ja) * 2001-02-15 2002-08-28 Pilot Ink Co Ltd 色彩互変性かつら
KR20040017283A (ko) * 2001-07-19 2004-02-26 가네가후치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그것을 사용한 인공 모발
CN1646740A (zh) * 2002-02-22 2005-07-27 株式会社钟化 耐火聚酯纤维及包含该纤维的人造毛发
WO2004013389A1 (ja) * 2002-08-01 2004-02-12 Kaneka Corporation スタイラビリティが改善されたアクリル系合成繊維
US20060188715A1 (en) * 2003-07-14 2006-08-24 Fuji Chemical Industries, Ltd. Artificial hai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EP1679013A1 (en) * 2003-10-17 2006-07-12 Kaneka Corporation Fiber for hair use improved in curling property and head decoration product comprising the same
WO2005089821A1 (ja) * 2004-03-19 2005-09-29 Kaneka Corporation 難燃性ポリエステル系人工毛髪
US20070122614A1 (en) * 2005-11-30 2007-05-31 The Dow Chemical Company Surface modified bi-component polymeric fiber
JP4756694B2 (ja) * 2006-02-14 2011-08-24 株式会社ユニヘアー かつらの製造方法
KR101028791B1 (ko) * 2006-02-17 2011-04-12 가부시키가이샤 유니헤어 가발
US20080293326A1 (en) * 2007-05-22 2008-11-27 The Pilot Ink Co., Ltd. Hair for toy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4965A (ko) * 2012-08-31 2015-04-27 후지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인공 모발 및 이를 이용한 가발
KR20230069327A (ko) * 2021-11-12 2023-05-19 김가혜 제모실습용 모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527B1 (ko) 2011-05-24
TW200735798A (en) 2007-10-01
PT1980166T (pt) 2018-02-09
US20080314402A1 (en) 2008-12-25
EP1980166A4 (en) 2012-03-21
TWI353820B (en) 2011-12-11
AU2007208839B2 (en) 2011-03-03
JP4823237B2 (ja) 2011-11-24
AU2007208839A1 (en) 2007-08-02
CN101374432A (zh) 2009-02-25
DK1980166T3 (en) 2018-02-12
RU2008126197A (ru) 2010-03-10
JPWO2007086374A1 (ja) 2009-06-18
NO20083423L (no) 2008-10-23
ES2648980T3 (es) 2018-01-09
EP1980166A1 (en) 2008-10-15
CA2636318A1 (en) 2007-08-02
WO2007086374A1 (ja) 2007-08-02
EP1980166B1 (en) 2017-11-08
NO344050B1 (no) 2019-08-26
CN101374432B (zh)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527B1 (ko) 인공 모발, 인공 모발을 가지는 가발 및 인공 모발의 제조방법
KR100924319B1 (ko) 인공 모발 및 인공 모발을 사용한 가발
JP5063242B2 (ja) 人工毛髪及びそれを用いたかつら
KR101989959B1 (ko) 인공 모발 및 이를 이용한 가발
CN109072498A (zh) 膨体纱
TWI432150B (zh) 人工毛髮用纖維及其製造方法
TWI423772B (zh) 假髮
CN100525664C (zh) 人工毛发和使用了该人工毛发的假发
JPH0319911A (ja) 凹凸形状表面を有する合成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10726B2 (ko)
JPS60151337A (ja) 毛皮様立毛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