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248A - 단추달이 재봉기 - Google Patents

단추달이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248A
KR20080089248A KR1020080028904A KR20080028904A KR20080089248A KR 20080089248 A KR20080089248 A KR 20080089248A KR 1020080028904 A KR1020080028904 A KR 1020080028904A KR 20080028904 A KR20080028904 A KR 20080028904A KR 20080089248 A KR20080089248 A KR 20080089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button
needle
cam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6812B1 (ko
Inventor
신이치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9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14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perforated or press butt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with mechanisms for needle-bar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추구멍의 간격에 따른 피치 조정의 폭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과의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단추달이 재봉기를 제공한다.
단추달이 재봉기(100)는, 단추 유지기구(40)와, 바늘땀 형성기구와, 좌우 이동용 홈 캠(51)과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과 ‘X’자 재봉용 홈 캠(55)을 갖는 캠기구와, 바늘수 조절기구(30)와, 2개의 요동부재(56, 57)와, 재봉 선택기구(58)를 구비하고, 요동부재(56, 57)의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는 그 선단부가 서로 마주보며, 상기 원호형상 가이드는 바늘수 조절기구(30)에 의한 정지전의 최종 바늘로부터 정지후의 제 1 바늘로의 바늘 낙하 위치를 전환시키기 위한 요동방향이 동일하고, 단추달이 재봉기(100)에 의해 단추를 꿰매어 달 때에는,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 중 어느 한쪽의 캠부가 선택된 경우라도, 동일한 단추구멍으로부터 바늘 낙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단추달이 재봉기{BUTTONING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피봉제물에 대하여 단추를 꿰매어 다는 단추달이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4개의 구멍을 갖는 단추를 꿰매어 달기 위해서는 2종류의 운침(運針) 방법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행한 바늘땀의 조합에 의한 재봉이고, 다른 하나는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자형상의 재봉이다. 도 13의 (a)의 재봉은, 좌우에 인접하는 한쪽의 2개의 구멍에 교대로 소정 횟수의 바늘을 낙하한 후에 앞뒤방향으로 단추를 이동시키고, 좌우에 인접하는 다른 2개의 구멍에 교대로 소정 횟수의 바늘을 낙하하여 재봉을 종료한다. 또한, 도 13의 (b)의 재봉은, 대각으로 위치하는 2개의 구멍에 교대로 소정 횟수의 바늘을 낙하한 후에 앞뒤방향으로 단추를 이동시키고, 대각으로 위치하는 다른 2개의 구멍에 교대로 소정 횟수의 바늘을 낙하하여 재봉을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2종류의 재봉에 대응한 이동을 전환할 수 있도록 단추 유지기구에 전달하는 재봉 선택기구를 구비한다(예컨대,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도 11은 특허문헌 1에 기초한 종래기술의 재봉 선택기구의 구성의 일부를 나 타내는 상면도이다. 재봉 선택기구(200)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재봉에서의 앞뒤방향의 단추의 이동을 결정하는 홈 캠(203)과, 도 13의 (b)에 나타내는 재봉에서의 앞뒤방향의 단추의 이동을 결정하는 홈 캠(204)과, 각 홈 캠(203, 204)의 각각에 의해 요동하는 요동부재(201, 202)와, 요동부재(201, 202)에 설치된 원호형상 가이드(208, 209)와, 홈 캠(203, 204)의 회전축이 되는 축(205)과, 요동부재(201, 202)의 원호형상 가이드(208, 209)에 걸림결합되는 이송피스(206)와, 이송피스(206)를 요동부재(201, 202)의 원호형상 가이드(208, 209)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조절레버(207)를 구비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송조절레버(207)는 단추 유지기구에 연결되고, 재봉 선택기구(200)는, 단추의 좌우방향으로의 변위를 결정하는 캠과, 캠의 변위를 단추 유지기구에 전달하는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도 13의 (a) 및 도 13의 (b)의 재봉에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재봉 선택기구(200)에서, 홈 캠(203)은 도 13의 (a)의 재봉에 대응한 요동을 요동부재(201)에 전달하고, 홈 캠(204)은 도 13의 (b)의 재봉에 대응한 요동을 요동부재(202)에 전달한다. 이에 대해, 조절 레버(207)를 조작하여, 이송피스(206)를 원호형상 가이드(208 또는 209) 중 어느 한쪽에 걸림결합시켜, 원하는 한쪽의 재봉을 수행하도록 이송조절레버(207)에 앞뒤 이동을 전달시키고, 단추 유지기구에 단추달기의 봉제에 따른 동작을 수행시킨다.
도 12를 이용하여 특허문헌 2의 구성을 설명하면, 재봉 선택기구(200A)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재봉에서의 앞뒤방향의 단추의 이동을 결정하는 홈 캠(203A)과, 도 13의 (b)에 나타내는 재봉에서의 앞뒤방향의 단추의 이동을 결정하는 홈 캠(204A)과, 각 홈 캠(203A, 204A)의 각각에 의해 요동하는 요동부재(201A, 202A)와, 요동부재(201A, 202A)에 설치된 원호형상 가이드(208A, 209A)와, 홈 캠(203A, 204A)의 회전축이 되는 축(205)과, 요동부재(201A, 202A)의 원호형상 가이드(208A, 209A)에 걸림결합되는 이송피스(206)와, 이송피스(206)를 요동부재(201A, 202A)의 원호형상 가이드(208A, 209A)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조절레버(207)를 구비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도 11의 설명과 동일한 단추 유지기구를 좌우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링크기구 등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재봉 선택기구(200A)에 의해 단추 유지기구에 이동이 전달되는 구조는 재봉 선택기구(200)에서 원호형상 가이드(208, 209)를 갖는 요동부재(201, 202)가 재봉 선택기구(200A)의 원호형상 가이드(208A, 209A)를 갖는 201A, 202A로 바뀌는 것과, 홈 캠(203, 204)이 홈 캠(203A, 204A)으로 바뀌는 것을 제외하고는 재봉 선택기구(200)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H10(1998)-099571호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7-029630호
그러나, 상술한 어떠한 단추달이 재봉기라도, 단추구멍의 폭에 따른 바늘땀 피치의 조정은, 원호형상 가이드에서의 이송피스의 걸림결합 위치에서 결정된다. 상기 걸림결합 위치가 각 요동부재의 요동 지지점으로부터 떨어지면 피치는 커지고, 가까워지면 피치는 작아진다. 따라서, 단추구멍의 간격이 큰 단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림결합 위치의 폭을 크게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요동부재의 원호형상 가이드의 스트로크를 충분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도 11에 나타낸 특허문헌 1에 기초한 단추달이 재봉기(200)에서는, 재봉 선택기구(200)의 요동부재(201)의 원호형상 가이드(208, 209)는 인접되어 있기 때문에, 요동부재(201)의 원호형상 가이드(208)의 스트로크(T)를 충분히 확보할 수가 없었다. 한편, 요동부재(201)의 원호형상 가이드(208)의 스트로크(T)를 충분히 확보하면, 요동부재(201)의 원호형상 가이드(208)의 연장 설치에 수반하여 요동부재(202)의 원호형상 가이드(209)의 스트로크가 제한되게 되어, 요동부재(201, 202)의 양쪽 모두 충분한 원호형상 가이드(208, 209)의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도 12에 나타낸 특허문헌 2에 기초한 단추달이 재봉기(200A)에서는, 각 홈 캠(203A, 204A)을 축(205)의 양 단부에 배치함으로써, 요동부재(201A, 202A)의 요동 지지점간의 거리를 특허문헌 1에 기초한 단추달이 재봉기에 비해 크게 취할 수 있으며, 원호형상 가이드(208A, 209A)의 스트로크를 충분 히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초한 단추달이 재봉기(200A)에서는,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단추달기의 바늘 낙하 순번은, 도 13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개시위치(제 1 바늘) 및 종료위치(제 16 바늘)가 양쪽의 재봉에서 다르다. 이 때문에, 재봉 선택기구(200A)의 홈 캠(203A, 204A)의 홈은, 1개의 단추달기가 종료한 후에 즉시 다음의 단추달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종료위치(제 16 바늘)의 다음에는 개시위치(제 1 바늘)의 위치로 단추 유지기구가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홈 캠(203A, 204A)에 의해 요동하는 요동부재(201A, 202A)가 종료위치(제 16 바늘)로부터 개시위치(제 1 바늘)로 요동할 때에,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원호형상 가이드(208A, 209A)가 서로 스치게 된다. 이때, 단추달기의 재봉부착에 대하여 도 13의 (a)의 재봉과 도 13의 (b)의 재봉을 전환하고 싶은 경우, 이송피스(206)를 원호형상 가이드(208A, 209A)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타이밍은 요동부재(201A, 202A)의 원호형상 가이드(208A, 209A)가 동일 원주 상에 따른 타이밍에만 된다.
따라서, 단추달기의 종료 및 개시시에 약간이라도 홈 캠(203A, 204A)의 정지위치가 어긋나면 요동부재(201A, 202A)의 원호형상 가이드(208A, 209A)는 서로 대폭 어긋나게 되어, 이송피스(206)를 전달할 수가 없게 된다. 이로써, 재봉이 확실하게 전환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단추구멍의 간격 에 따른 피치 조정의 폭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용이하고 확실하게 재봉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단추달이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재봉바늘을 소정의 위치에서 상하로 이동시켜 바늘땀을 형성하는 바늘땀 형성기구(17, 19)와, 단추를 유지하면서 재봉바늘의 상하 이동 위치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단추 유지기구(40)와, 단추 유지기구에 서로 다른 2종류의 이송 운동을 시키는 2개의 캠부(54, 55)와, 단추를 꿰매어 다는 소정 바늘수에서 상기 바늘땀 형성기구 및 상기 양 캠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30)과, 상기 단추 유지기구와 연결되어 회동 조작이 가능한 재봉 선택기구(58)와, 상기 2개의 캠부 중 한쪽에 서로 독립적으로 걸림결합되는 동시에, 걸림결합되는 캠부에 종동(從動)하여 요동함으로써 상기 단추 유지기구에 이송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2개의 요동부재(56, 57)와, 상기 재봉 선택기구의 회동경로에 따르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동부재에 각각 설치된 원호형상 가이드부재(56a, 57a)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원호형상 가이드부재가 서로 마주보도록 동일 원호 상에 연장설치되고, 상기 재봉 선택기구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재봉 선택기구를 어느 한쪽의 원호형상 가이드부재에 걸림결합되도록 전환함으로써, 상기 단추 유지기구가 어느 한쪽의 선택된 캠부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단추달이 재봉을 수행하는 단추달이 재봉기로서, 상기 양 캠부는, 상기 재봉 선택기구의 조작에 의해 어떠한 캠부가 선택된 경우라도, 제 1 바늘과 최종 바늘의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단추구멍에 바늘이 낙하되도록 각 캠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그리고,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단추를 꿰매어 달 때의 제 1 바늘에서 바늘 낙하가 이루어지는 구멍과 최종 바늘에서 바늘 낙하가 이루어지는 구멍이 각각 2종류의 재봉, 예컨대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에서 일치하므로, 단추를 다 꿰매어 단 후의 재봉기가 정지할 때의 2개의 요동부재의 원호형상 가이드의 각 선단부의 앞뒤 이동방향은 항상 일치한다. 따라서, 각 가이드가 그 요동방향에 대하여 동일 위치에 배열된 상태가 되어, 1개의 단추달기의 개시전후에서 각 가이드가 동일 원주 상을 따라 배열되는 상태, 즉 재봉 선택기구가 한쪽의 가이드로부터 다른 쪽의 가이드로 전달되는데 가장 적합한 상태에 대하여 각 가이드의 정지위치가 어긋났다고 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서로 다르게 가이드의 선단이 어긋나지 않고, 동일한 방향으로 어긋나므로, 재봉 선택기구를 항상 확실하고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재봉 선택기구가 한쪽의 가이드로부터 다른 쪽의 가이드로 전달될 때에 재봉 선택기구가 다른 쪽의 가이드에 충돌함으로써 재봉 선택기구 및 각 가이드에 파손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어, 보다 신뢰성이 높은 단추달이 재봉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의 전체적인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단추달이 재봉기(1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단추달이 재봉기(100)의 측면도이며, 도 2는 사시도이다.
단추달이 재봉기(100)는, 재봉기의 각 구성을 수납하거나 유지하는 프레임(20)과, 각 구성의 구동원이 되는 도시하지 않은 재봉기 모터와, 재봉기 모터로부터의 출력 토크를 각 구성에 전달하는 도시하지 않은 주축과, 재봉기 모터로부터 주축으로의 동력전달의 접속과 절단을 전환시키는 클러치기구(25)와, 재봉바늘(17)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기구(35) 및 재봉바늘(17)에 협동하여 환봉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회전식 루퍼(19; 도 4 참조)를 갖는 도시하지 않은 루퍼기구로 이루어진 바늘땀 형성기구와, 피봉제물인 천에 꿰매어 달 재봉부착물을 유지하는 단추 유지기구(40)와, 봉제시에 재봉바늘과 재봉부착물을 상대적으로 위치결정하는 이동기구(50)와, 재봉부착물을 꿰매어 다는 데 필요한 바늘수를 설정하기 위한 「정지수단」으로서의 바늘수 조절기구(30)를 구비한다. 즉, 정지수단은 단추를 꿰매어 다는 소정 바늘수에서 상기 바늘땀 형성기구 및 후술하는 캠부(54, 55)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프레임)
프레임(2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제적으로 대략 'コ'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를 구성하는 재봉기 베드부(21)와, 재봉기 베드부(21)의 일단부로부터 세워져 설치된 기립몸체부(22)와, 기립몸체부(22)로부터 재봉기 베드부(21)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아암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재봉기 베드부(21)의 길이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과 직교하여 재봉바늘(17)이 상하로 이동하는 방향을 Z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한다.
(각 축의 연결)
재봉기 베드부(21)내에는, 주축이 회전가능하게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재봉기 모터로부터 클러치기구(25)를 통해 회전구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재봉기 베드부(21)내에는, 루퍼기구의 루퍼축이 회전가능하게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주축으로부터 나사 기어를 통해 주축과 등속으로 회전구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재봉기 베드부(21)내에는, 바늘수 조절기구(30)의 감속축(31)이 회전가능하게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루퍼축의 기립몸체부(22)측의 단부에 부착된 웜기어에 의해 소정의 감속비로 회전구동력이 부여된다.
더욱이, 재봉기 베드부(21)내에는, 연동축(34)이, 바늘수 조절기구(30)를 클러치기구(25)에 연동하도록, X축 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바늘수 조절기구)
도 3에서는, 재봉기 베드부(21)에 설치된 바늘수 조절기구(30)만을 도시한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늘수 조절기구(30)는, 루퍼축에 부착된 도시하지 않은 웜기어와, 웜기어에 맞물리는 평기어를 구비하며 주축에 대하여 소정의 감속비로 회전구동을 수행하는 전술한 감속축(31)과, 감속축(31)의 일단부에 설치된 대략 원판형상의 판 캠(32)과, 클러치기구(25)와의 연동을 도모하기 위한 연 동축(34)과, 기단부가 연동축(34)의 일단부에 고정 지지되는 동시에 요동단부가 판 캠(32)의 외주에 걸림결합되는 조절아암(33)과, 조절아암(33)을 판 캠(32)의 외주를 향해 가압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33a)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바늘수 조절기구(30)의 웜기어와 감속축의 평기어는, 피치와 톱니수가 다른 별개의 것과 교환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감속축의 감속비를 조절할 수 있다. 감속축(31)은, 재봉부착물을 꿰매어 달기 위한 바늘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예컨대, 재봉부착물이 4개의 실 통과구멍을 갖는 단추이며, 2개의 구멍마다 8바늘의 바늘수로 꿰매어 달아지는 경우에는 합계 16바늘의 바늘수를 필요로 하므로 감속비는 16이 되는 웜기어와 평기어가 사용된다.
즉, 감속축(31)은 주축에 대하여 기어의 선택에 의해 설정된 감속비로 회전구동을 수행하게 된다.
판 캠(32)은, 감속축(31)에 고정 유지되어 함께 회전을 수행하는 동시에, 그 형상이 거의 원형이며 그 외주의 일부에 오목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아암(33)은, 연동축(34)에 고정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연동축(34)을 중심으로 요동을 수행한다. 또한, 조절아암(33)은, 그 요동단부가 판 캠(32)의 외주에 가압되어 있으며, 회전하는 판 캠(32)의 오목부(32a)가 다다랐을 경우에만 판 캠(32)의 중심측을 향해 요동을 수행한다.
판 캠(32)의 오목부(32a)는, 재봉부착물을 꿰매어 다는 데 필요로 하는 일련의 바늘수를 카운트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카운트에 따라 운침의 일시적인 정지가 실행된다. 감속축(31)은 주축에 대하여 16의 감속비로 회전하기 때문에, 16바늘에서 1회전하고, 16바늘마다 운침을 정지시킨다. 이로써, 판 캠(32)을 구비하는 바늘수 조절기구(30)는 「정지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전술한 4개의 구멍을 가진 단추를 꿰매어 달 경우에는 판 캠(32)이 일주(一周)하면 1개의 단추에 대한 재봉부착이 완료되므로, 오목부(32a)는 판 캠(32)의 외주의 일부분에 설치된다. 또한, 판 캠(32)의 오목부(32a)의 수는 감속축(31)의 회전량과 단추를 꿰매어 다는 데 필요로 하는 바늘수와의 관계에 기초한 것이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즉, 감속축(31)의 감속비를 1개의 단추를 꿰매어 다는 데 필요로 하는 바늘수의 정수배로 하고, 상기 정수배와 동일한 개수의 오목부(32a)를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해도 된다.
(클러치기구)
클러치기구(25)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된 바늘수를 카운트하는 바늘수 조절기구(30)에 연동되어 재봉기 모터와 주축과의 구동력의 접속과 절단을 전환시키는 것이며, 재봉기 모터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타이밍 벨트를 통해 회전구동되는 주동(主動)풀리(26)와, 주동풀리(26)에 대하여 접촉과 분리가 가능한 종동풀리(27)와, 선단부가 상하로 요동함으로써 종동풀리(27)의 접촉과 분리를 전환시키는 전환레버(28)와, 접촉상태로부터 분리상태로 전환되어 타성 회전하는 종동풀리(27)를 제지시키는 브레이크 레버(2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환레버(28)와 브레이크 레버(29)는 일체적으로 연동축(34)에 고정 지지되어 있으며, 연동축(34)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전환레버(28)는, 연동축(34)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에 의해 그 요동단부가 상측위치와 하측위치로 전환되어, 상측위치(도시한 상태)에서 주동풀리(26)를 종동풀리(27)측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하측위치에서 가압상태를 해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동축(34)에는 조절아암(33)에 연결되고, 조절아암(33)이 판 캠(32)의 오목부(32a)와 걸림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전환레버(28)를 하측위치로 전환하고, 오목부(32a)로부터 빠져 있을 때에는 전환레버(28)를 상측위치로 전환시킨다.
즉, 조절아암(33)이 오목부(32a)에 걸림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주동풀리(26)로부터 종동풀리(27)로의 동력전달이 절단되고, 조절아암(33)이 오목부(32a)로부터 빠져 있을 때에는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브레이크 레버(29)는, 연동축(34)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에 의해 그 요동단부가 상하로 이동하고, 하강함으로써 종동풀리(27)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종동풀리(27)는 주축에 고정 지지되어 있으며, 주동풀리(26)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은 종동풀리(27)를 통해 주축에 전달된다.
또한, 종동풀리(27)의 외주의 소정 위치에는 끼움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을 수행하는 종동풀리(27)의 끼움결합부가 브레이크 레버(29)의 선단부와 걸림결합되면 종동풀리(27)에 제동이 작용한다.
또한, 전술한 전환레버(28) 및 브레이크 레버(29)는,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기동페달에 의해 각각의 요동단부가 상방을 향해 요동조작된다. 즉, 재봉기 모터의 기동시에 있어서, 바늘수 조절기구(30)의 조절아암(33)의 선단부가 판 캠(32)의 오목부(32a)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주축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기동페달에 의해 인위적으로 전달한다.
일단, 주축으로 동력이 전달되면, 주축으로부터 루퍼축을 통해 감속축도 회전을 개시하기 때문에 기동페달로부터 발을 떨어뜨려도 조절아암(33)은 판 캠(32)의 오목부(32a)로부터 빠진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주축이 설정된 바늘수 만큼의 회전을 수행하면, 다시 판 캠(32)의 오목부(32a)에 조절아암(33)이 끼움결합되므로 주동풀리(26)로부터 종동풀리(27)로의 동력전달이 절단된다. 그리고, 종동풀리(27)는 타성회전을 수행하는데, 그 외주에 있는 끼움결합부가 브레이크 레버(29)의 선단부에 다다르면 상기 선단부와 걸림결합되고, 제동력이 작용하여 종동풀리(27) 및 주축의 타성회전이 정지된다.
(바늘땀 형성기구)
바늘땀 형성기구의 상하이동기구(35)는, 기립몸체부(22) 내를 상하를 따라 배치되는 동시에 편심 캠(도시생략)을 통해 주축에 하단부가 연결된 도시하지 않은 로드와, 재봉바늘(17)을 유지하는 동시에 아암부(23)의 선단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바늘대(36)와, 아암부(23)의 내부에서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요동아암(37)을 구비하고 있다.
로드의 상단부는 요동아암(37)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요동아암(37)의 타단부는 그 요동에 의한 상하이동 변위만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로 바늘대(36)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주축과 동일한 주기로 상하 이동을 수행하는 로드의 상하이동 구동력이 요동아암(37)을 통해 바늘대(36)에 전달되고, 재봉바늘(17)은 주축의 회 전에 동기하여 상하로 이동한다.
도 4에서 바늘판(18)은 생략되어 있다.
바늘땀 형성기구의 루퍼기구는, 전술한 루퍼축과, 재봉기 베드부(21)의 선단 상면에 설치된 바늘판(18)의 하측에서 루퍼축에 지지된 루퍼(19)를 구비하고 있다.
루퍼(19)는, 바늘판(18)의 하방까지 하강한 재봉바늘(17)로부터 재봉실을 포착하기 위한 첨예한 칼끝을 가지며, 루퍼축에 의해 전체 회전의 주회 운동을 수행하는 칼끝이 상방에 위치할 때 재봉실을 포착하고,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재봉실의 루프를 하방으로 잡아늘인다. 그리고, 다시 칼끝이 상방을 향하고, 다음에 하강한 재봉바늘(17)로부터 재봉실을 포착하였을 때에, 전회(前回)의 재봉실의 루프를 칼끝으로부터 해방함으로써 상기 루프에 다음의 루프를 빠져나오게 하여,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단사 환봉을 수행한다.
(단추 유지기구)
단추를 유지하는 단추 유지기구(4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 베드부(21)의 상면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그 선단부가 X-Y 평면을 따라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재봉기 베드(21) 위에서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추 유지기구(40)는, 선단측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핀칭 클로(claw)(41, 41)와 상기 핀칭 클로(41, 41)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을 구비한다. 단추(B)를 꿰매어 다는 경우에는, 단추(B)는 각 핀칭 클로(41, 41)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핀칭 클로(41, 41)는, 재봉부착물의 종류(단추의 크기 등)에 따라 그 선단부의 구조가 다른 것이 사용된다.
또한, 단추달이 재봉기(100)는, 정사각형의 4개의 정점 위치에 각각 구멍이 형성된 4개의 구멍을 가진 단추를 재봉부착 대상으로 하고, 단추 유지기구(40)는, 단추 유지위치인 각 핀칭 클로(41, 41)의 사이에서 4개의 구멍을 가진 단추의 각 구멍의 형성위치가 되는 정사각형의 2변이 X축 방향으로 평행이 되고, 다른 2변이 Y축 방향으로 평행이 되는 방향에서 단추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추 유지기구(40)의 바닥판(42)에는 긴 구멍(42a)이 형성되고, 긴 구멍(42a)에는 피스(43)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걸림결합되어 있다. 피스(43)는 프레임(2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바닥판(42)은 후술하는 이동기구(50)의 앞뒤 이동기구에 의해 전달되는 앞뒤 이동에 의해 긴 구멍(42a)과 피스(43)가 슬라이딩 이동하고, 거의 Y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또한, 이동기구(50)의 좌우 이동기구에 의해 전달되는 좌우 이동에 의해 피스(43)의 축(43a)을 회전축으로 하여 바닥판(42)의 선단부(42b)는 거의 X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즉, 소정 위치를 상하로 이동하는 재봉바늘(17)의 바늘 낙하 위치에 대하여 재봉부착물을 유지하는 단추 유지기구(40)가 X-Y 평면을 따라 상대 이동함으로써, 단추(B)가 꿰매어 달아진다.
(이동기구)
이동기구(50)는, 단추 유지기구(40)의 단추 유지위치를 거의 X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기구와, 단추 유지기구(40)의 단추 유지위치를 거의 Y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앞뒤 이동기구를 구비한다.
(좌우 이동기구)
좌우 이동기구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X축 방향을 따른 방향의 단추 유지기구(40)의 이동에 대하여 단추달기의 바늘땀 형성에 따른 캠 홈을 갖는 「캠기구」로서의 좌우 이동용 홈 캠(51)과, 좌우 이동용 홈 캠(51)의 캠 홈의 형상에 따라 요동하는 요동아암(52)과, 요동아암(52)과 단추 유지기구(40)의 바닥판(42)을 연결함으로써 단추 유지기구(40)에 거의 X축 방향을 따른 방향의 이동을 전달하는 좌우 이동 전달부재(53)를 구비한다.
요동아암(52)은, 그 하부에 롤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는 이송 캠 롤러축(52a)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요동아암(52)의 롤러는 좌우 이동용 홈 캠(51)의 캠 홈과 걸림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가 캠 홈의 형상에 따른 거의 X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요동아암(52)의 선단부는 거의 X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요동한다. 또한, 좌우 이동 전달부재(53)는 그 일단이 요동아암(52)의 선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단추 유지기구(40)의 바닥판(42)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추 유지기구(40)의 피스(43)의 축(43a)을 회전축으로 하여 단추 유지기구(40)는 좌우로 요동한다.
또한, 좌우 이동 전달부재(53)의 타단과 단추 유지기구(40)의 바닥판(42)과의 연결위치는 변경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좌우의 요동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피스(43)의 축(43a)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바닥판(42)과 좌우 이동 전달부재(53)의 타단이 연결되면 좌우 이동 스트로크는 작아지고, 피 스(43)의 축(43a)에 가까운 위치에서 바닥판(42)과 좌우 이동 전달부재(53)의 타단이 연결되면 좌우 이동 스트로크는 커진다.
또한, 좌우 이동용 홈 캠(51)에 형성된 홈의 형상과 단추 유지기구(40)의 이동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앞뒤 이동기구)
앞뒤 이동기구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추달기에서의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에 대응한 「캠부」 및 「캠기구」로서의 2개의 앞뒤 이동용 홈 캠(54, 55)과, 2개의 앞뒤 이동용 홈 캠(54, 55)에 형성된 캠 홈의 형상에 따라 재봉기 베드부(21)에 축지지된 요동 지지점축(56d, 57d)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2개의 요동부재(56, 57)와,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을 전환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재봉 선택기구(58)와, 단추 유지기구(40)를 거의 Y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2개의 앞뒤 이동 지지부재(59a, 59b)를 구비한다. 또한, 2개의 요동부재(56, 57)는 각각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를 가지며,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의 선단부는 서로 마주보고 있다.
2개의 앞뒤 이동용 홈 캠은, 대략 ‘U’자 재봉의 바늘땀 형성에 따른 캠 홈을 갖는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과, ‘X’자 재봉의 바늘땀 형성에 따른 캠 홈을 갖는 ‘X’자 재봉용 홈 캠(55)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앞뒤 이송 캠(54, 55)은 캠부로서 단추 유지기구에 서로 다른 2종류의 이송 운동을 시킨다. 2개의 앞뒤 이동용 홈 캠(54, 55) 및 전술한 좌우 이동용 홈 캠(51)은 모두 동심에서 감속축(31)에 고정 지지되어 있는 원판형상의 캠이며, 이들은 모두 그 둘레면에 종절 인 롤러를 X축 방향에 대하여 유도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홈 캠(51, 54, 55)은 동축상에 고정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동기가 도모되어 있다. 즉, 봉제개시의 제 1 바늘째로부터 최종 바늘까지의 각 바늘 낙하 위치(단추의 각 구멍)로의 이동이 각 바늘마다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쪽 앞뒤 이동 홈 캠(54, 55) 및 좌우 이동 홈 캠(51)은, 소정 바늘수가 형성되는 동안에 1회전하도록 감속회전된다.
2개의 요동부재(56, 57)는, 각각의 하부에 롤러(56c, 57c)가 설치되어 있고(도 9 참조), 롤러(56c, 57c)는 이송 캠 롤러축(56b, 57b)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요동부재(56)의 롤러(56c)는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의 캠 홈과 걸림결합되어 있으며, 감속축(31)이 회전함으로써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이 회전하고, 요동부재(56)의 롤러(56c)가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의 캠 홈을 따라 요동하면, 원호형상 가이드(56a)의 요동단부는 거의 Y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요동한다. 또한, 요동부재(57)의 롤러(57c)는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5)의 캠 홈과 걸림결합되어 있으며, 감속축(31)이 회전함으로써 ‘X’자 재봉용 홈 캠(55)이 회전하고, 요동부재(57)의 롤러(57c)가 ‘X’자 재봉용 홈 캠(55)의 캠 홈을 따라 요동하면, 요동부재(57)의 원호형상 가이드(57a)의 요동단부는 거의 Y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2개의 요동부재(56, 57)는, 상기 2개의 캠(54, 55) 중 한쪽에 서로 독립적으로 걸림결합되는 동시에, 걸림결합되는 한쪽의 캠에 종동하여 요동함으로써 상기 단추 유지기구(40)에 이송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재봉 선택기구(58)는,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걸림결합되는 이송피스(58a)와, 피스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조절레버(58b)를 구비한다. 또한, 이송조절레버(58b)의 회동 지지점은 2개의 앞뒤 이동 지지부재(59a, 59b)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송조절레버(58b)는 앞뒤 이동 지지부재(59b)를 통해 단추 유지기구(40)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재봉 선택기구(58)는 베드부(21)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앞뒤 이동 지지부재(59a)의 타단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고,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의 한쪽으로부터 전달된 거의 Y축 방향을 따른 방향의 요동운동을 단추 유지기구(40)에 전달한다. 재봉 선택기구(58)는 상기 단추 유지기구(40)와 연결되어 회동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이송조절레버(58b)를 회동시킴으로써, 이송피스(58a)를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를 따라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이송피스(58a)와 각 요동부재(56, 57)의 각각의 요동 지지점축(56d, 57d)과의 거리가 변화된다. 이에 따라, 각 요동부재(56, 57)의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로부터 재봉 선택기구(58)를 통해 단추 유지기구(40)에 초래되는 앞뒤 이동의 스트로크가 변화된다. 이송피스(58a)가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 중 어느 한쪽과, 그 요동 지지점축(56d, 57d)에 가까운 위치에서 걸림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원호형상 가이드를 갖는 요동부재로부터 초래되는 앞뒤 이동 스트로크는 작다. 또한, 이송피스(58a)가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 중 어느 한쪽과, 그 요동 지지점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걸림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원호형상 가이드를 갖는 요동부재로부터 초래되는 앞뒤 이동 스트로크는 크다. 즉, 이송조절레버(58b)를 회동시킴으로써 이송 피스(58a)와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 중 어느 한쪽이 걸림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앞뒤 이동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송조절레버(58b)를 회동시킴으로써, 이송피스(58a)가 걸림결합되는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를 전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대략 ‘U’자 재봉을 수행하기 위해 이송피스(58a)와 원호형상 가이드(56a)를 걸림결합시킨 상태로부터, ‘X’자 재봉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이송조절레버(58b)를 조작하여 이송피스(58a)를 원호형상 가이드(56a)로부터 원호형상 가이드(57a)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그 반대도 당연히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이송피스(58a)는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 중 어느 쪽과 걸림결합할지 전환할 수 있다. 즉, 이송조절 레버(58b)를 조작함으로써,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 중 어느 한쪽에 대응한 단추 유지기구(40)의 이동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의 바늘 낙하 위치)
다음으로,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의 단추(B)에 대한 바늘 낙하 위치와 좌우 이동용 홈 캠(51),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 및 ‘X’자 재봉용 홈 캠(55)의 홈 형상과의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의 (a)는 단추(B)에 대한 대략 ‘U’자 재봉, 도 7의 (b)는 ‘X’자 재봉의 바늘 낙하 순번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7에서의 부호 1~16은 단추달기에서의 재봉바늘의 바늘 낙하 순번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바늘 낙하 순번에 대응한 좌우 이동용 홈 캠(51),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 및 ‘X’자 재봉용 홈 캠(55)의 홈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의 (a)는 좌 우 이동용 홈 캠(51)의 홈 형상을, 도 8의 (b)는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의 홈 형상을, 도 8의 (c)는 ‘X’자 재봉용 홈 캠(55)의 홈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8의 (b) 및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 및 ‘X’자 재봉용 홈 캠(55)의 각각의 형상은, 각 홈 캠(54, 55)에 의해 요동하는 각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의 연장형성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에, 단추 유지기구(40)의 앞뒤 어느 한쪽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각각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추(B)의 바늘 낙하 위치는, 단추 유지기구(40)의 이동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즉, 단추(B)를 유지한 단추 유지기구(40)가 이동기구(50)에 의해 요동함에 따라 단추(B)가 재봉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에 대하여 상대 이동함으로써 단추(B)가 꿰매어 달아진다.
먼저, 도 7에 나타낸 단추(B)의 좌우 바늘 낙하 위치와 도 8의 (a)에 나타낸 좌우 이동용 홈 캠(51)의 홈 형상과의 대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 (b)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추달기에서의 바늘낙하 위치의 좌우 이동은 항상 일정하다. 즉, 제 1, 3, 5, 7, 8, 9, 11, 13, 15, 16 바늘은 항상 도 7의 (a), (b)의 우측으로 바늘이 낙하되고, 제 2, 4, 6, 10, 12, 14 바늘은 항상 좌측으로 바늘이 낙하된다. 이때, 바늘 낙하 위치의 좌우 이동은 도 8의 (a)에 나타낸 좌우 이동기구의 좌우 이동용 홈 캠(51)의 홈 형상에 따른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낸 단추(B)의 뒤쪽 및 앞쪽의 바늘 낙하 위치와 도 8의 (b), (c)에 나타낸 앞뒤 이동용 홈 캠의 홈 형상과의 대응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늘 낙하 위치의 앞뒤 이동은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에서 다르다. 대략 ‘U’자 재봉에서는, 제 1 ~ 제 8 바늘이 도 7의 (a), (b)의 뒤쪽에서 이루어지고, 제 9 ~ 16 바늘이 앞쪽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X’자 재봉에서는 제 1, 3, 5, 7, 8, 10, 12, 14 바늘이 도 7의 (a), (b)의 뒤쪽에서 이루어지고, 제 2, 4, 6, 9, 11, 13, 15, 16 바늘이 앞쪽에서 이루어진다. 이때, 단추달기에서의 재봉부착 패턴이 대략 ‘U’자 재봉이 될지 ‘X’자 재봉이 될지는 재봉 선택기구(58)의 이송조절레버(58b)에 의해 이송피스(58a)가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 중 어느 한쪽과 걸림결합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즉, 이송피스(58a)가 원호형상 가이드(56a)와 걸림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8의 (b)에 나타낸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의 홈 형상에 따른 이동이 되고, 이송피스(58a)가 원호형상 가이드(57a)와 걸림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8의 (c)에 나타낸 ‘X’자 재봉용 홈 캠(55)의 홈 형상에 따른 이동이 된다. 또한, 도 8의 (b) 및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 및 ‘X’자 재봉용 홈 캠(55)의 각각의 형상은, 각 홈 캠(54, 55)에 의해 요동하는 각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의 연장형성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에, 단추 유지기구(40)의 앞뒤 중 어느 한쪽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각각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 중 어느 한쪽의 경우라도, 제 1 바늘, 즉 개시시의 바늘 낙하 위치는 우측 뒷쪽이다. 또한, 제 16 바늘, 즉 종료시의 바늘 낙하 위치는 우측 앞쪽이다. 즉, 단추달기에서의 바늘 낙하 위치의 개시위치 및 종료위치는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에서 동일하다.
여기서, 단추 유지기구(40)의 좌우 이동은 항상 일정하므로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 중 어느 한쪽의 경우라도 변화되지 않는다. 즉, 단추달기에서의 바늘 낙하 위치의 개시위치 및 종료위치가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에서 동일한 것은, 앞뒤 이동에 대하여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의 홈 형상과 ‘X’자 재봉용 홈 캠(55)의 홈 형상에 의해 이루어지는 단추 유지기구(40)의 봉제종료시로부터 봉제개시시까지의 이동방향이 동일함으로 나타낸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감속축(31)은 단추(B)를 꿰매어 다는 데 필요로 하는 바늘수(16바늘)만큼의 운침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일주하도록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2개의 앞뒤 이동용 홈 캠 및 좌우 이동용 홈 캠(51)은, 꿰매어 다는 데 필요로 하는 전체 바늘수만큼을 이동시키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즉, 1개의 단추를 꿰매어 단 후에 다음의 단추를 꿰매어 달 때에는 각 홈 캠에 대하여 제 16 바늘을 위한 이동을 수행하는 홈 형상으로부터 제 1 바늘을 위한 이동을 수행하는 홈 형상으로 천이한다.
그리고, 바늘수 조절기구(30)는, 제 16 바늘의 바늘 낙하후, 다음 봉제의 제 1 바늘의 바늘 낙하 이전에 재봉기 모터로부터의 동력전달을 절단한다.
이로써, 단추달기에서의 바늘 낙하 위치의 개시위치 및 종료위치가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에서 동일한 것은,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 및 ‘X’자 재봉용 홈 캠(55)이 각각 갖는 홈 형상에 의해 제 16 바늘로부터 제 1 바늘로 천이할 때에 각 요동부재에 전달되는 요동방향이 동일함을 나타낸다.
(단추달기 개시 전후의 원호형상 가이드의 요동방향)
다음에, 상술한 단추(B)의 재봉부착 개시 전후에서의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의 요동방향과 재봉 선택기구(58)와의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단추(B)의 재봉부착 개시 전후에서의 대략 ‘U’자 이동용 홈 캠(54) 및 ‘X’자 이동용 홈 캠(55)의 홈 형상과 각 요동부재의 롤러(56c, 57c)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단추(B)의 재봉부착 개시 전후에서의 각 요동부재 및 이송피스(58a)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의 (a)는 최종바늘(제 16 바늘)의 바늘 낙하시의 해당 위치관계, 도 10의 (b)는 단추달기 개시전(종료시)의 해당 위치관계, 도 10의 (c)는 단추달기 개시시(제 1 바늘)의 바늘 낙하시의 해당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술한 단추달기가 종료하고, 감속축(31)이 이상적인 정지관계에서 정지한 경우,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 및 ‘X’자 재봉용 홈 캠(55)의 캠 홈과 각각의 캠 홈에 걸림결합되는 요동부재(56, 57)의 롤러(56c, 57c)와의 위치관계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관계에 있다. 이 때, 롤러(56c, 57c)의 중심은 단추 유지기구(40)를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로부터 최초의 바늘 낙하로 앞뒤 이동시키는 전환도중의 정확히 중간위치인 도 9의 (b)의 선상에 있다. 이때, 요동부재(56, 57)의 위치관계는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어 있으며, 요동부재(56, 57)의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는 동일 원주 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이송조절레버(58b)에 지지되는 피스(58a)의 회동축 흔적은 이때의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를 따라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재봉 선택기구(58)의 이송피스(58a)가 이송조절레버(58b)에 의해 회동함으로써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 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즉, 1개의 단추달기에서의 재봉부착 바늘수가 종료하면 정지수단(30)에 의해 자동적으로 감속축(31)에 전달되는 회전력이 도중에서 끊어짐으로써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 및 ‘X’자 재봉용 홈 캠(55)의 회전이 정지하고, 요동부재(56, 57)의 위치관계가 도 10의 (b)와 같이 됨에 따라 재봉 선택기구(58)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단추달기에서의 바늘 낙하의 최종 위치(제 16 바늘)에서 롤러(56c, 57c)의 중심은 도 9의 (a)의 선상에 있으며, 이때의 요동부재(56, 57)의 위치관계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또한, 상술한 단추달기가 종료한 후의 다음의 단추달기에서의 바늘 낙하의 개시위치(제 1 바늘)에서 롤러(56c, 57c)의 중심은 도 9의 (c)의 선상에 있으며, 이때의 요동부재(56, 57)의 위치관계는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즉, 1개의 단추달기가 완료된 후에 다음의 단추달기를 개시하기까지 이루어지는 요동부재(56, 57)의 요동방향은, 거의 Y축 방향을 따른 방향에 대하여 동일하다. 이때, 요동부재(56, 57)의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의 선단부는 항상 거의 X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동일선상에 있다. 이로써, 도 10의 (a), (c)의 위치에 요동부재(56, 57)가 위치하는 경우에도 이송피스(58a)는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즉, 본래 도 9의 (b)의 선상에 중심이 오는 롤러(56c, 57c)가 어떠한 이유에 의해 감속시의 정지위치가 어긋나버려 그 바로 앞위치인 도 9의 (a) 혹은 도 9의 (c)의 선상의 위치, 또 그 사이의 어느 한쪽의 부분에 위치한다고 해도, 요동부 재(56, 57)의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의 선단부는 항상 거의 X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동일선상에 있다. 이에 따라, 단추달기 종료후의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 및 ‘X’자 재봉용 홈 캠(55)의 정지위치가 어긋난 경우라도, 재봉 선택기구(58)에 의한 단추 유지기구(40)의 앞뒤이동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단추달이 재봉기의 동작설명)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단추달이 재봉기(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재봉부착물로서 단추(B)를 꿰매어 다는 경우에는, 단추 유지기구(40)를 재봉기 베드부(21)의 상면에 장착하고, 그 한 쌍의 핀칭 클로(41)의 사이에 단추를 끼워 유지시키고, 단추 유지기구(40)와 바늘판(12)의 사이에는 재봉부착될 천(C)을 세팅한다. 이때, 재봉 선택기구(58)의 이송조절레버(58b)를 조작하여, 대략 ‘U’자 재봉을 수행할지 ‘X’자 재봉을 수행할지 결정한다. 가령, 대략 ‘U’자 재봉을 수행할 경우에는 이송피스(58a)가 원호형상 가이드(56a)와 걸림결합되도록 이송조절레버(58b)를 조작한다.
또한, 단추(B)의 단추구멍의 스트로크에 따라, 좌우 이동 전달부재(53)와 바닥판(42)과의 연결위치 및 재봉 선택기구(58)의 위치를 조절하여, 단추(B)의 단추구멍에 적합한 단추 유지기구(40)의 좌우 이동 및 앞뒤 이동 스트로크를 설정한다.
이어서, 재봉기 모터의 구동을 개시하고, 기동페달을 밟으면, 조절아암(33)이 판 캠(32)의 오복부(32a)로부터 빠지고, 이에 따르는 연동축(34)의 회동에 의해, 전환레버(28)와 브레이크 레버(29)가 상방으로 회동하여 주축, 루퍼축, 감속축(31)에 회전동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단추(B)가 소정의 이동을 수행하여 운침 이 이루어지고, 루퍼(13)에 의해 바늘땀이 순서대로 형성된다.
그 후, 조절아암(33)이 판 캠(32)의 오목부(32a)에 끼움결합되고, 이에 따르는 연동축(34)의 회동에 의해, 전환레버(28)와 브레이크 레버(29)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주축, 루퍼축, 감속축(31)에 회전 동력이 절단된다. 그리고, 타성회전하는 종동풀리(27)가 끼움결합부까지 회전하면, 브레이크 레버(29)에 의해 회전이 제지된다.
한편, 연동축(34)의 회동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주지의 실 절단기구의 가동메스에 왕복 회동 동작의 구동력이 주축으로부터 전달되고, 타성회전하는 종동풀리(27)가 제지되기까지의 동안에, 최종 바늘의 루프의 일단이 절단되고, 1개의 단추에 대한 재봉부착 작업이 종료한다. 다음의 단추에 대한 재봉부착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단추(B)가 꿰매어 달아진 천(C)을 재봉기(100)로부터 분리하고, 다음에 꿰매어 달 단추와 천을 세팅한다.
이때, 단추의 종류가 바뀌는 등의 이유에 의해 단추구멍의 스트로크가 바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이동 전달부재(53)와 바닥판(42)과의 연결위치를 조절하여 단추 유지기구(40)의 좌우 이동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동시에, 재봉 선택기구(58)를 조작하여 단추 유지기구(40)의 앞뒤 이동 스트로크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단추구멍의 스트로크에 적합한 단추 유지기구(40)의 이동량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을 전환하는 경우에는, 재봉 선택기구(58)를 조작하여, 이송피스(58a)를 원호형상 가이드(56a 또는 57a) 중 어느 한 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전달하도록 회동시킨다. 가령, 대략 ‘U’자 재봉으로부터 ‘X’자 재봉으로 전환할 경우에는, 이송피스(58a)를 원호형상 가이드(56a)로부터 원호형상 가이드(57a)로 전달하도록 이송조절레버(58b)를 조작한다.
그 후, 다시 기동 페달을 밟음으로써 단추의 재봉부착이 상술한 바와 동일한 순서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한 단추달이 재봉기의 작용효과)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추의 재봉부착에서의 바늘 낙하의 제 1 바늘 및 최종 바늘이 대략 ‘U’자 재봉 혹은 ‘X’자 재봉의 어느 한쪽이라도 동일한 단추구멍이 되기 때문에, 1개의 단추를 다 꿰매어 단 후에 재봉기(100)가 정지하기 직전까지 2개의 요동부재(56, 57)의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의 요동단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각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가 요동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에 배열된 상태로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1개의 단추달기의 개시전후에서 각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가 동일 원주상을 따라 배열되는 상태, 즉 재봉 선택기구(58)가 한쪽의 원호형상 가이드(56a 또는 57a)로부터 다른 쪽의 원호형상 가이드(57a 또는 56a)로 전달되는 데 가장 적합한 상태에 대하여 각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의 정지위치가 어긋났다고 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서로 다르게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의 선단이 어긋나지 않고, 동일한 방향으로 어긋나기 때문에,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 사이의 어긋남을 적게할 수 있으며, 보다 용이하게 재봉 선택기구(58)를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전환작업을 항상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단추달이 재봉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재봉 선택기구(58)가 한쪽의 원호형상 가이드(56a 또는 57a)로부터 다른쪽의 원호형상 가이드(56a 또는 57a)로 전달될 때에 이송피스(58a)가 다른 쪽의 원호형상 가이드(56a 또는 57a)에 충돌함으로써 재봉 선택기구(58) 및 각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에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어, 보다 신뢰성이 높은 단추달이 재봉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기타)
또한,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과 ‘X’자 재봉용 홈 캠(55)이 설치되는 위치는 서로 교체해도 된다. 이 경우, 각 홈 캠(54, 55)에 형성된 홈 형상은, 각 홈 캠(54, 55)의 배치위치와 각 홈 캠(54, 55)에 의해 요동하는 요동부재(56, 57)에 의해 단추 유지기구(40)에 초래되는 앞뒤 이동과의 관계에 기초하여 각각의 홈 캠에 의해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이동용 홈 캠을 1개 설치하고, 앞뒤 이동용 홈 캠이 대략 ‘U’자 재봉용과 ‘X’자 재봉용에 대응하여 2개 설치되어 있는데, 좌우 이동용 홈 캠을 대략 ‘U’자 재봉용과 ‘X’자 재봉용에 대응하여 2개 설치하고, 앞뒤 이동용 홈 캠을 1개로 해도 상관없다. 그리고, 이 경우, 앞뒤 이동용 홈 캠과 좌우 이동용 홈 캠의 배치가 교체되어, 요동부재(56, 57)는 각 좌우 이동용 홈 캠과 걸림결합되고, 각 요동부재(56, 57)의 원호형상 가이드(56a, 57a)와 걸림결합되는 재봉 선택기구(58)는, Y축 방향의 변위를 X축 방향의 변위로 변환하도록 예컨대 벨 크랭크 등을 통해 단추 유지기구(40)의 바닥판(42)과 연결된다. 또한, 앞뒤 이동용 홈 캠은, 요동아암(52)과 걸림결합되고, 상기 요동아암(52)과 연결된 이동 전달부재(53)는, X축 방향의 변위를 Y축 방향의 변위로 변환하도록 예컨대 벨 크랭크 등을 통해 단추 유지기구(40)의 바닥판(42)과 연결된다.
또한, 이 경우, 각 재봉의 바늘 낙하는, 도 7의 (a), (b)에 나타낸 상태에 대하여 모두 시계방향 또는 모두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킨 상태에서의 순번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각 캠의 홈은 그 재봉의 순번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실시형태는 본원 발명의 특징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실시형태를 취해도 상관없다. 예컨대, 홈 캠을 판 캠으로 바꿔도 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단추달이 재봉기(10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단추달이 재봉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단추달이 재봉기(100)를 X축 방향에 대하여 도 2의 반대측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재봉바늘(17)과 바늘판(18)의 아래에 설치된 루퍼(19)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단추 유지기구(40)의 선단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단추 유지기구(40)와 프레임(20) 내에 설치된 이동기구(5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단추(B)에 대한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의 바늘 낙하 순번을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a)는 단추(B)에 대한 대략 ‘U’자 재봉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X’자 재봉의 바늘 낙하 순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바늘 낙하 순번에 대응한 좌우 이동용 홈 캠(51),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 및 ‘X’자 재봉용 홈 캠(55)의 홈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a)는 좌우 이동용 홈 캠(51)의 홈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54)의 홈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X’자 재봉용 홈 캠(55)의 홈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단추(B)의 재봉부착 개시 전후에서의 대략 ‘U’자 이동용 홈 캠(54) 및 ‘X’자 이동용 홈 캠(55)의 홈 형상과 각 요동부재의 롤러(56c, 57c)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단추(B)의 재봉부착 개시 전후에서의 각 요동부재 및 이송피스(58a)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a)는 최종 바늘(제 16 바늘)의 바늘 낙하시의 해당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단추달기 개시전(종료시)의 해당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단추달기 개시시(제 1 바늘)의 바늘 낙하시의 해당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특허문헌 1에 기초한 종래기술의 재봉 선택 기구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2는 특허문헌 2에 기초한 종래기술의 이송 조절 기능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3은 종래기술에 따른 대략 ‘U’자 재봉과 ‘X’자 재봉의 바늘 낙하 순번을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a)는 단추(B)에 대한 대략 ‘U’자 재봉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X’자 재봉의 바늘 낙하 순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낸 이송기구(200A)의 원호형상 가이드(208A, 209A)의 요동방향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7 : 재봉바늘 19 : 루퍼
25 : 클러치기구 30 : 바늘수 조절기구
31 : 감속축 32 : 판 캠
33 : 조절아암 34 : 연동축
35 : 바늘땀 형성기구 40 : 단추 유지기구
41 : 핀칭 클로 42 : 바닥판
43 : 피스 50 : 이동수단
51 : 좌우 이동용 홈 캠 52 : 요동아암
54 : 대략 ‘U’자 재봉용 홈 캠(캠부)
55 : ‘X’자 재봉용 홈 캠(캠부) 56, 57 : 요동부재
56a, 57a : 원호형상 가이드

Claims (1)

  1. 재봉바늘을 소정의 위치에서 상하로 이동시켜 바늘땀을 형성하는 바늘땀 형성기구와,
    단추를 유지하면서 재봉바늘의 상하 이동 위치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단추 유지기구와,
    단추 유지기구에 서로 다른 2종류의 이송 운동을 시키는 2개의 캠부와,
    단추를 꿰매어 다는 소정 바늘수에서 상기 바늘땀 형성기구 및 상기 양 캠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과,
    상기 단추 유지기구와 연결되어 회동 조작이 가능한 재봉 선택기구와,
    상기 2개의 캠부 중 한쪽에 서로 독립적으로 걸림결합되는 동시에, 걸림결합되는 캠부에 종동(從動)하여 요동함으로써 상기 단추 유지기구에 이송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2개의 요동부재와,
    상기 재봉 선택기구의 회동경로에 따르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동부재에 각각 설치된 원호형상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원호형상 가이드부재가 서로 마주보도록 동일 원호 상에 연장설치되고, 상기 재봉 선택기구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재봉 선택기구를 어느 한쪽의 원호형상 가이드부재에 걸림결합되도록 전환시킴으로써, 상기 단추 유지기구가 어느 한쪽의 선택된 캠부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단추달기 재봉을 수행하는 단추달이 재봉기로서,
    상기 양 캠부는, 상기 재봉 선택기구의 조작에 의해 어떠한 캠부가 선택된 경우라도, 제 1 바늘과 최종 바늘의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단추구멍에 바늘이 낙하되도록 각 캠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달이 재봉기.
KR1020080028904A 2007-03-30 2008-03-28 단추달이 재봉기 KR101426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92775A JP5074074B2 (ja) 2007-03-30 2007-03-30 ボタン付けミシン
JPJP-P-2007-00092775 2007-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248A true KR20080089248A (ko) 2008-10-06
KR101426812B1 KR101426812B1 (ko) 2014-08-05

Family

ID=3997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904A KR101426812B1 (ko) 2007-03-30 2008-03-28 단추달이 재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74074B2 (ko)
KR (1) KR101426812B1 (ko)
CN (1) CN101275340B (ko)
TW (1) TWI4213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26164B (zh) * 2011-10-06 2014-02-11 Kaulin Mfg Co Ltd 用於鈕釦輸送之同步進給定位裝置
CN107964738B (zh) * 2017-12-28 2020-07-24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钉扣机及其送料传动机构
JP7142472B2 (ja) * 2018-06-12 2022-09-27 Juki株式会社 クランプ治具及びクランプ補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0734B2 (ja) * 1989-12-25 1996-09-04 ジューキ株式会社 サイクルミシン用布送りカム
JP3691914B2 (ja) * 1996-09-30 2005-09-07 ジューキ株式会社 サイクルミシンの送り装置
JP4107763B2 (ja) * 1999-01-27 2008-06-25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布送り装置
JP4386538B2 (ja) * 1999-05-07 2009-12-16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布送り装置
CN2522442Y (zh) * 2001-10-09 2002-11-27 上海上工松达机械有限公司 钉扣机的线迹加固机构
JP4942960B2 (ja) * 2005-07-29 2012-05-30 Juki株式会社 布送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74074B2 (ja) 2012-11-14
TWI421386B (zh) 2014-01-01
KR101426812B1 (ko) 2014-08-05
CN101275340A (zh) 2008-10-01
TW200912073A (en) 2009-03-16
CN101275340B (zh) 2013-06-19
JP2008246034A (ja)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191B1 (ko) 다두 자수 미싱
US4343250A (en) Lock stitching and over-lock stitching sewing machine
JP6108742B2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US4301756A (en) Device for the interruption of the embroidery needle movement on embroidery- or sewing machines
CN106544793B (zh) 缝纫机
US5040476A (en) Switching device for normal and embroidery stitching in a sewing machine
JP5925603B2 (ja) ミシン
KR20080089248A (ko) 단추달이 재봉기
JP4261698B2 (ja) ミシンの布送り機構
KR101252055B1 (ko) 재봉기
US6814015B2 (en) Looper and knife driv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
WO2015033996A1 (ja) ミシン
KR101296278B1 (ko) 환봉 재봉기
JPH0444025B2 (ko)
CN115182110A (zh) 一种模块化缝纫机
JP3897641B2 (ja) ミシン
US3428006A (en) Buttonhole sewing machine which automatically forms barring and covering stitches
US7677187B2 (en) Pattern generat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
JP3731944B2 (ja) 環縫いの結び目形成方法及び環縫いミシン
US1179378A (en) Buttonhole cutting and stitching machine.
KR100657034B1 (ko) 직물 표면용 루프 또는 파일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CN2527577Y (zh) 一种新型缝合机
JP2000167273A (ja) ミシンの送り発生装置
JP6374745B2 (ja) ミシン
RU2267567C2 (ru) Приводной механизм петлеобразовате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