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174A -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및 히트 펌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및 히트 펌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174A
KR20080089174A KR1020080021110A KR20080021110A KR20080089174A KR 20080089174 A KR20080089174 A KR 20080089174A KR 1020080021110 A KR1020080021110 A KR 1020080021110A KR 20080021110 A KR20080021110 A KR 20080021110A KR 20080089174 A KR20080089174 A KR 20080089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refrigerant
compression mechanism
compressor
stag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야 모로즈미
겐시 우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제네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제네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제네랄
Publication of KR2008008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1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04C29/042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by injecting a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04C18/3441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04C18/344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the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member, forming the inlet and outlet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1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1/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with compressor of rotary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1/1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with multi-stage com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3Economi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2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at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젝션 냉매와 압축기를 열교환하여 압축기를 냉각하고, 압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흡입측에 접속하여 인젝션 냉동 사이클측의 저압 냉매를 저단측 압축기구부로 유도하는 제 1 흡입관과,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측과 고단측 압축기구부의 흡입측을 연통하는 중간 연락 통로와, 밀폐용기에 접속되어 고단측 압축기구부로부터 밀폐용기 내부로 토출된 고압 냉매를 인젝션 냉동 사이클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관과, 인젝션 냉동 사이클측의 습윤 냉매인 중간압 인젝션 냉매를 중간 연락 통로로 유도하는 제 2 흡입관을 가진,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중간압 인젝션 냉매와, 밀폐용기의 내부 또는 밀폐용기의 외면부와의 사이에서 중간압 인젝션 냉매가 흡열하는 열교환을 촉진하는 수단을 제 2 흡입관에 구비한다.

Description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및 히트 펌프 시스템{2 STAGE-COMPRESSION TYPE ROTARY COMPRESSOR CORRESPONDING TO INJECTION AND HIT PUMP SYSTEM THEREWITH}
본 발명은,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및 히트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스 인젝션 사이클의 주된 목적은, 압축 과정의 도중에서도 냉매를 흡입함으로써, 방열기를 흐르는 냉매 순환량을 업하여, 방열능력(난방능력, 급탕능력)을 향상하는 것이다. 특히 한랭지에서는, 압축기의 기본 흡입 가스가 희박해져 순환량이 저감하므로, 인젝션에 의한 순환량 향상은 유효하게 된다. 또 증발기를 흐르는 냉매 순환량은 압축 도중에의 인젝션의 유무에 관계없이, 압축기의 기본 배제 용적과 회전수로 결정되므로 동일해지나, 증발기 입구의 냉매가 기액 분리기에 의한 액화 또는 내부 열교환에 의한 추가 과냉각에 의해 증발능력(냉방능력)도 커진다.
이러한 가스 인젝션 사이클에서는, 압축기에 인젝션하는 냉매에 소량의 액체 냉매를 혼입하면, 압축기의 냉각 효과 등에 의해 압축기의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압축기는, 운전 압력비가 커질수 록, 회전수가 높아질수록 온도가 상승하므로, 압축기의 신뢰성상, 운전 압력비 및 회전수가 제한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 효과에 의해, 상기 제한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4-85019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11-132575
그러나, 종래의 가스 인젝션 사이클 기술에 의하면, 인젝션 냉매에 혼입하는 액체 냉매를 지나치게 많게 하면, 윤활유의 점도 저하에 의한 윤활 불량 및 시일 불량과, 또한 액체 냉매를 많이 혼입하면 액체 압축에 의한 베어링 하중의 증대 등 신뢰성이 저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즉, 가스 인젝션 사이클 기술에서는, 압축기에 흡입되는 인젝션 냉매에 혼입하는 액체 냉매의 양에 관하여 적정 범위가 있고, 상기 종래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스 인젝션 사이클에서의 가변 가능한 팽창 밸브나 유량 제어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인젝션 냉매의 액체 냉매 혼합율을 적정 범위로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스 인젝션 사이클 기술에서는 압축기의 구조의 개선에 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고, 압축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신뢰 성을 확보하면서, 더욱 압축기의 효율 향상을 실현하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열교환 효율이 우수한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및 히트 펌프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는, 인젝션 냉동 사이클을 이용한 히트 펌프 시스템에 사용되고, 밀폐용기와, 저단측 압축기구부와, 고단측 압축기구부와, 저단측 압축기구부와 고단측 압축기구부를 구동하는 모터와,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흡입측에 접속하여 인젝션 냉동 사이클측의 저압 냉매를 저단측 압축기구부로 유도하는 제 1 흡입관과,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측과 고단측 압축기구부의 흡입측을 연통하는 중간 연락 통로와, 밀폐용기에 접속되어 고단측 압축기구부로부터 밀폐용기 내부로 토출된 고압 냉매를 인젝션 냉동 사이클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관과, 인젝션 냉동 사이클측의 습윤 냉매인 중간압 인젝션 냉매를 중간 연락 통로로 유도하는 제 2 흡입관을 가지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중간압 인젝션 냉매와, 밀폐용기의 내부 또는 밀폐용기의 외면부와의 사이에서 중간압 인젝션 냉매가 흡열하는 열교환을 촉진하는 수단을 제 2 흡입관 또는 중간 연락 통로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흡열하는 냉매는 중간압 인젝션 냉매 외에,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 냉매이어도 좋다.
이 발명에 의하면, 고단측 압축기구부에서의 토출가스보다 저온의 인젝션 냉 매 또는 저단측 압축기구부에서의 토출가스로, 고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가스의 열 및 압축기 내에서 발생하는 슬라이딩 손실이나 모터 손실에 의한 손실열을 흡열하여, 압축기 전체를 냉각할 수 있고, 압축기 전체의 온도를 더욱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 압력비의 한계를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낮은 외기 온도 조건에서도 충분한 난방 분출 온도를 얻을 수 있다. 또 압축기의 회전수의 한계를 더욱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난방 능력도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응축기에서의 방열량에 대하여 2상(二相)상태에서 방열하는 열량의 비율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응축기에서의 열교환 성능이 향상되어,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에서의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 토출가스 온도를 낮게 억제하기 위하여, 압축기의 토출과 응축기를 접속하는 배관의 온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속배관에서의 방열을 저감할 수 있고, 따라서 응축기에서의 난방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공조기 이외의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급탕기에서는, 공조기의 난방능력에 상당하는 것이 급탕능력이 되어, 동일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및 히트 펌프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기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 하기의 실시예에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실시예 1)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공조기의 기본이 되는 구성 및 그 냉동 사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에 나타내는 실시예 1에 관한 공조기는, 인젝션 냉매의 엔탈피 증가수단으로서 내부 열교환기를 이용한 인젝션 사이클을 채용하고, 또, 본 발명에 관한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를 이용하여 구성한 히트 펌프 시스템이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관한 공조기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이하, 압축기라 부른다)(11)와, 응축기(방열기)(13)와, 제 1 팽창 기구부(15)와, 제 2 팽창 기구부(17)와, 증발기(흡열기)(19)와, 기본 사이클 배관(21)을 구비한다.
압축기(11)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와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를 구비한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이고, 응축기 압력과 증발기 압력과의 중간 압력이 되는 인젝션 냉매를 흡입하는 제 2 흡입관(23)을,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와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를 연락하는 중간 연락 통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압축기(11)는, 공급 전원 주파수에 의해 회전수를 가변할 수 있는 이른바 인버터 압축기이다.
제 1 팽창 기구부(15)는, 외기 온도 및 실내 설정 온도에 의하여 응축기(방열기)(13)의 압력과 증발기(흡열기)(19)의 압력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가변 스로틀 기구이다. 또, 제 2 팽창 기구부(17)는, 인젝션 냉매량을 최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가변 스로틀 기구이다. 기본 사이클 배관(21)은, 상기 구성부를 순서대로 접속하여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배관이다.
또, 이 공조기는, 분기관(25)과, 인젝션 배관(27)과, 내부 열교환기(29)를 구비하고 있다. 분기관(25)은, 기본 사이클 배관(21)의 응축기(방열기)(13)와 제 1 팽창기구부(15)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냉매를 기본 사이클과 인젝션 사이클로 분기시킨다. 인젝션 배관(27)은, 제 2 팽창 기구부(17)를 거쳐 분기관(25)과 제 2 흡입관(23)을 접속한다. 내부 열교환기(29)는, 분기관(25)과 제 1 팽창기구부(15)와의 사이의 기본 사이클 배관(21a)과, 제 2 팽창 기구부(17)와 제 2 흡입관(23)과의 사이의 인젝션 배관(27a)과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또, 이 공조기에서는, 냉방과 난방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본 사이클의 냉매의 흐름 방향을 반전하기 위한 사방(四方)밸브(33)가 압축기(11)에 접속되어 있다. 사방밸브(33)을 반전하면, 응축기와 증발기의 기능이 반대가 된다. 즉 응축기(19), 증발기(13)가 된다. 도 1a에서 상기 사방밸브(33)의 상태는, 사방밸브(33)와 분기관(25)의 사이에 접속되는 열교환기를 응축기로 하고 있으므로, 이것을 실내기에 배치하면 난방운전이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사방밸브(33)와 분기관(25)의 사이에 접속되는 열교환기를 실내기에 배치하는 것으로 하여 난방운전시에만 인젝션 가능한 예이나, 본 구성에 기본 사이클상의 제 1 팽창 기구부(15)와 내부 열교환기 및 분기관(25)에 대하여, 응축기(13)와 증발기(19)를 반대로 접속하는 변환 배관을 추가하면, 냉방시에도 인젝션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열교환기에서의 기본 사이클 냉매와 인젝션 냉매의 흐름을 병행류로 하고 있으나 대향류로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1a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공조기에서의 난방운전시의 냉매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축기(11)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는, 응축기(방열기)(13)에서 공기와 열교환하여 방열하고, 액화한다. 여기서, 액화한 냉매 중, 일부 냉매는 분기관(25)에서 분기되어 인젝션 배관(27)을 흐르는 인젝션 냉매가 되고, 그 밖의 냉매는 기본 사이클 배관(21)을 흐르는 기본 사이클용 냉매가 된다.
인젝션 배관(27)으로 흐른 인젝션 냉매는, 제 2 팽창 기구부(17)에서 중간 압력까지 감압되어 중간 온도의 2상 상태가 되고, 내부 열교환기(29) 내의 인젝션 배관(27a)을 흐를 때에, 상기 내부 열교환기(29) 내의 기본 사이클 배관(21a)을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함으로써 흡열하여 건조도를 크게 한다. 그 후, 인젝션 냉매는 압축기(11)의 내부에서,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로부터 압축기(11)의 밀폐용기 내에 토출된 토출가스와 열교환함으로써 흡열하여 더욱 건조도를 크게 한다. 그리고, 인젝션 냉매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의 토출가스와 합류하여, 전체로서 가스화 한 상태에서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에 흡입된다.
한편, 기본 사이클 배관(21)을 흐르는 냉매는, 내부 열교환기(29) 내의 기본 사이클 배관(21a)을 흐를 때에, 상기 내부 열교환기(29) 내의 인젝션 배관(27a)을 흐르는 중간 온도의 인젝션 냉매와 열교환함으로써 방열하고, 과냉각도를 크게 한다. 그 후, 기본 사이클 배관(21)을 흐르는 냉매는 제 1 팽창 기구부(15)에서 감압되어 저온 저압 2상 상태가 되고, 증발기(흡열기)(19)에서 공기와 열교환함으로써 흡열하여, 과열상태가 된다.
그리고, 과열상태가 된 냉매는, 사방밸브(33)을 거쳐 압축기(11)의 제 1 흡입관(31)을 통하여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 흡입된다.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 흡입된 냉매는,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압축되고,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토출된 상태에서 인젝션 냉매와 합류하여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에 흡입된다.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에 흡입된 냉매는, 상기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에서 최종 토출압의 고압까지 압축되어 압축기(11)의 밀폐용기 내에 토출된다. 압축기(11)의 밀폐용기 내에 토출된 냉매는, 인젝션 냉매와 상기 밀폐용기 내에서, 열교환하고 나서 압축기(11)에서 토출관을 통하여 밀폐용기 밖으로 토출된다.
다음에, 실시예 1에 관한 공조기의 압축기(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b는, 실시예 1에 관한 공조기의 압축기(1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압축기(11)는, 원통 형상의 밀폐용기(100)를 세로 놓기로 배치하고, 밀폐용기(100)의 내부에 압축부(120)와, 상기 압축부(120)를 구동하는 모터(110)를 수용한 구성을 가진다.
모터(110)의 스테이터(111)는, 밀폐용기(100)의 내주면에 가열끼워맞춰져(shrinkage fit) 고정되어 있다. 모터(110)의 로터(113)는, 스테이터(111)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모터(110)와 압축부(120)를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구동축(115)에 가열끼워맞춰져 고정되어 있다.
압축부(120)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와,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의 위쪽에 위치하는 고단측 압축기구부(11H)가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c 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 및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저단측 압축기구부(11L)는, 저단측 실린더(121L)를 주체로 하여 구성된다. 또,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는, 고단측 실린더(121H)를 주체로 하여 구성된다.
저단측 실린더(121L) 및 고단측 실린더(121H)는, 각각 모터(110)와 동심의 위치에 실린더 보어(구멍)(123L, 123H)를 가진다. 각각의 실린더 보어(123L, 123H) 내에는, 보어 지름 보다도 작은 외경의 원통 형상의 피스톤(1251, 125H)이 각각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실린더(121L, 121H)와 피스톤(1251, 125H)과의 사이에, 냉매를 압송하는 작동 공간이 형성된다.
2개의 실린더(121L, 121H)는, 실린더 보어(구멍)(123L, 123H)에서 같은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실린더 두께 전역에 이르는 홈을 각각 가지고 있고, 이 홈 내에 각각 판 형상의 베인(vane)(127L, 127H)이 삽입되어 있다. 베인(127L, 127H)과 밀폐용기(10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스프링(1291, 129H)이 각각 삽입되어 있고, 이 스프링(1291, 129H)의 탄성력에 의하여 베인(127L, 127H)의 한쪽 끝이 각각 피스톤(1251, 125H)의 외주면에 가압되고, 이에 따라 작동 공간이 각각 흡입실(1311, 131H)과 압축실(1331, 133H)로 구획된다.
저단측 실린더(121L) 및 고단측 실린더(121H)에는, 각각의 흡입실(1311, 131H)에 냉매를 흡입하기 위하여, 흡입실(1311, 131H)에 연통하는 흡입구멍(1351, 135H)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저단측 실린더(121L)와 고단측 실린더(121H)와의 사이에는, 중간 칸막이 판(150)이 설치되어, 저단측 실린더(121L)의 작동 공간의 위쪽과 고단측 실린더(121H)의 작동 공간의 아래쪽을 폐색하고 있다. 저단측 실린더(121L)의 아래쪽에는 저단측 단판(160L)이 설치되어, 저단측 실린더(121L)의 작동공간의 아래 쪽을 폐색하고 있다. 또, 고단측 실린더(1211)의 위쪽에는 고단측 단판(160H)이 설치되어, 고단측 실린더(121H)의 작동 공간의 위쪽을 폐색하고 있다.
저단측 단판(160L)의 아래쪽에는 저단측 머플러 커버(170L)가 설치되어, 저단측 단판(160L)과의 사이에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을 형성한다. 그리고,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의 토출은,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에 개구하고 있다. 즉, 저단측 단판(160L)에는, 저단측 실린더(121L)의 작동 공간과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을 연통하는 저단측 토출구멍(190L)이 설치되고, 또한 이 저단측 토출구멍(190L)에는, 역류를 방지하는 저단측 토출밸브(200L)가 설치되어 있다.
도 1d는, 실시예 1에 관한 압축기(11)의 저단측 단판(160L)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저단측 단판(160L)의 횡단면도이다. 도 1e 및 도 1f는, 저단측 토출밸브(200L)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d 및 도 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은 좌우가 연통상태로 이루어진 하나의 공간이고,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의 토출측과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의 흡입측을 연락하는 중간 연락 통로의 일부이다.
또, 도 1e 및 도 1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단측 토출밸브(200L) 위에는, 저단측 토출밸브(200L)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하여 토출밸브 가드(guard)(201L)가 리벳(20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저단측 단판(160L)의 외주 벽부에는,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의 냉매를 토출하는 저단측 머플러 토출구멍(210L)이 설치되어 있다.
고단측 단판(160H)의 위쪽에는 고단측 머플러 커버(170H)가 설치되어, 고단측 단판(160H)과의 사이에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180H)를 형성한다. 고단측 단판(160H)에는, 고단측 실린더(121H)의 작동 공간과 고단측 머플러 커버(170H)를 연통하는 고단측 토출구멍(190H)이 설치되고, 또한 이 고단측 토출구멍(190H)에는, 역류를 방지하는 고단측 토출밸브(200H)가 설치되어 있다. 또, 고단측 토출밸브(200H) 위에도, 상기 고단측 토출밸브(200H)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하여 토출밸브 가드(201H)가 리벳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단측 단판(160H)과 고단측 머플러 커버(170H)와의 사이에는, 밀폐용기(100)의 내벽 방향으로 개구하여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180H)과 밀폐용기(100)의 내부를 연통하는 고단측 머플러 토출구멍(210H)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고단측 머플러 토출구멍(210H)과 대향하는 밀폐용기(100)의 외면부에는, 고단측 머플러 토출구멍(210H)에서 토출된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2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저단측 실린더(121L), 저단측 단판(160L), 저단측 머플러 커버(170L), 고단측 실린더(121H), 고단측 단판(160H), 고단측 머플러 커버(170H) 및 중간 칸막이판(150)은, 볼트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이 볼트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 압축부 중에서, 고단측 단판(160H)의 바깥 둘레부가 밀폐용기와 스폿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고, 압축부를 밀폐용기에 대하여 고정하고 있다.
또,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의 흡입측, 즉 흡입구멍(135L)에는 인젝션 사이클에서의 기본 사이클의 저압 냉매를 흡입하기 위한 제 1 흡입관(31)이 접속관(103)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인젝션 냉매를 흡입하기 위한 제 2 흡입관(23)은, 압축부(120)와 모터(110)와의 사이에 배치된 파이프로서 연장되어, 그 끝이 중간 연락관(230)에 접속된다.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의 토출측, 즉 저단측 머플러 토출구멍(210L)은, 밀폐용기(100)의 외부에서 대략 U자 형상으로 설치된 중간 연락관(230)에, 접속관(105)을 거쳐 접속한다. 중간 연락관(230)의 다른 끝은,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의 흡입구멍(135H)에, 접속관(107)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즉,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의 토출측과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를 연락하는 중간 연락 통로는,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 저단측 머플러 토출구멍(210L), 중간 연락관(230),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의 흡입구멍(35H)으로 구성된다. 또, 중간 연락관(230)의 U자 형상의 대략 중앙부에는, 제 2 흡입관(23)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중간 연락관(230)에서 제 2 흡입관(23)이 접속되는 부분보다도 상류측의 외면, 즉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 가까운 측의 외면에는,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에서 토출된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240)가 설치되어 있다.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의 토출은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180H)에 개구되고,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180H)의 토출은 밀폐용기(100) 내에 개구되어 있다. 밀폐용기(100)의 상부에는, 밀폐용기(100) 내부의 냉매를 냉동 사이클측으로 토출하는 토출관(101)이 접속되어 있다.
압축기(11)의 밀폐용기(100) 내에는, 대략 고단측 실린더(121H)의 높이까지 윤활유가 봉입되어 있고, 구동축의 아래쪽에 설치된 임펠러 펌프(도시 생략)에 의하여 압축부를 순환하고, 슬라이딩 부분의 윤활 및 미소 간극에 의하여 압력을 구획하고 있는 부분의 시일을 하고 있다.
압축기(11)의 본체의 측면에는, 독립된 밀폐용기로 이루어지는 어큐뮬레이터(250)가 어큐뮬레이터 홀더(251)와 어큐뮬레이터 밴드(253)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어큐뮬레이터(250)의 상부에는 냉동 사이클측과 접속하는 시스템 접속관(255)이 설치되고, 어큐뮬레이터(250)의 하부에는 한쪽 끝이 어큐뮬레이터(250)의 내부의 위쪽까지 연장됨과 동시에 다른 끝이 압축기(11) 본체의 접속관(103)에 접속되는 제 1 흡입관(3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a 및 그 설명에서는, 어큐뮬레이터(250)의 기재는 생략하고 있다.
다음에, 도 1b를 참조하여, 압축기(11) 내에서의 냉매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증발기(흡열기)(19)에서 과열상태가 된 기본 사이클용 냉매는, 사방밸브(33), 어큐뮬레이터를 거쳐 제 1 흡입관(31)에 보내진다. 그리고, 제 1 흡입관(31)에서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 들어간 기본 사이클용 냉매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중간압까지 압축되어,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에 토출된다.
한편, 제 2 흡입관(23)에서 흡입되는 인젝션 냉매는, 압축기(11)의 내부에서,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에서의 토출가스와 열교환함으로써 흡열하여 건조도를 크게 하고 나서 중간 연락관(230)의 U자 형상의 대략 중앙부로 보내지고,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의 토출가스(냉매)와 합류한다.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의 토출 냉매는 어느 정도의 과열도를 가진 상태이다. 이에 따라, 합류한 냉매는 모두 가스화하나,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의 토출 냉매의 과열도보다도 작은 과열도의 상태가 된다. 이 합류한 냉매는 중간 연락관(230)을 통하여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에 흡입되고, 최종 토출압인 고압까지 압축된 후에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180H)을 통하여 밀폐용기(100)의 내부로 토출된다. 밀폐용기(100)의 내부로 토출된 토출가스(냉매)는, 또한 토출관(101)을 통하여 밀폐용기(100)의 외부로 토출된다. 여기서 인젝션 냉매는 압축기(11)의 내부에서 흡열되기 때문에, 제 2 흡입관(23)에 흡입되기 전의 인젝션 냉매의 상태는, 종래 예보다도 건조도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압축기(11)에서는,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로부터 토출된 토출가스(냉매)는, 인젝션 냉매와 열교환함으로써 냉각되고나서 밀폐용기(100)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에 따라 밀폐용기(100) 전체의 온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에서는, 운전 압력비의 한계를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낮은 외기 온도 조건에서도 충분한 난방 분출 온도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에서는, 압축기(11)의 회전수의 한계를 더욱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난방능력도 향상된다.
여기서,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에 흡입되는 냉매가, 약간의 과열도가 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로부터 토출된 토출가스의 온도를 검지함으로써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에 흡입되는 냉매의 상태를 추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관한 압축기(11)에서는, 고단측 압축기구부(11H) 로부터 토출된 직후의 상태와, 밀폐용기(100)로부터 토출되는 상태에서는 냉매의 온도가 다르다. 이 때문에, 온도 센서를 밀폐용기(100)의 상부 또는 토출관(101)에 설치한 경우에는,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로부터의 토출가스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관한 압축기(11)에서는,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의 토출가스를 직접 밀폐용기(100)에 분사하여, 이것에 대향하는 밀폐용기(100)의 외면에 온도 센서(220)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로부터 토출된 토출가스의, 보다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하게 얻기 위한 유효한 수단이 된다.
또,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 흡입되는 냉매의 과열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 흡입되는 냉매(흡입 냉매)의 온도(흡입 냉매 온도)를 증발기(흡열기)(19)와 제 1 흡입관(31)과의 사이에서 직접 측정하거나, 또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의 토출가스의 온도(토출가스 온도)를 토출가스가 인젝션 냉매와 합류하는 것 보다 상류측이고, 또한 상기 토출가스가 압축기(11)의 내부에서 열교환하는 것 보다도 상류측에서 측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관한 압축기(11)에서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 에서의 토출가스의 온도를, 상기 토출가스가 인젝션 냉매와 합류하는 것보다도 상류측이고, 또한 압축기(11) 내에서 열교환하는 것보다도 상류측에 온도 센서(220)를 설치하여 토출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고 있다.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의 흡입 냉매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방법에서는, 흡입 냉매가 습윤 상태가 된 경우에 그 건조 도를 검지할 수 없으므로, 토출가스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 쪽이, 과도적으로 흡입 냉매가 습윤 상태가 되었을 때의 회피 제어를 생각하면 유리해진다.
이상의 실시예 1의 효과를, 압력-엔탈피 선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g은, 종래의 내부 열교환식 가스 인젝션 사이클을 나타낸 압력-엔탈피 선도이다. 도 1h는, 실시예 1의 내부 열교환식 가스 인젝션 사이클을 나타낸 압력-엔탈피 선도로서, 인젝션 냉매로 압축기를 냉각한 경우를 나타낸 압력-엔탈피 선도이다. 또, 도 1g 및 도면 1h는, 냉매로서 R410A를 이용한 경우의 냉동 사이클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1g 및 도 1h에서, 각 기호는 하기의 조건에서의 냉매의 상태를 나타낸다.
S1 : 압축기의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흡입,
D1 : 압축기의 고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
D2 : 밀폐용기에서의 토출(= 응축기 입구)
C1 : 응축기 출구
E : 제 1 팽창기구 출구(= 증발기 입구)
F : 증발기 출구
C2 : 인젝션 사이클에서의 기본 사이클 냉매의 내부 열교환기 출구
M : 인젝션 사이클에서의 인젝션 냉매의 제 2 팽창기구(인젝션용 팽창 밸브) 출구
G : 인젝션 사이클에서의 인젝션 냉매의 내부 열교환기 출구
J : 인젝션 사이클에서의 인젝션 냉매가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가스와 합류하기 직전
B : 인젝션 사이클에서의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
K : 인젝션 사이클에서의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가스가 인젝션 냉매와 합류하기 직전
1 : 인젝션 사이클에서의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가스와 인젝션 가스가 합류한 상태
S2 : 인젝션 사이클에서의 고단측 압축기구부의 흡입
실시예 1에 대응한 도 1h에서는, 가스 인젝션 사이클에서, 인젝션 냉매의 내부 열교환기 출구(G)와 고단측 토출가스(D1)에서 열교환한다(열교환 2). 열교환 2의 결과, 각각 (G)에서 (J)에, (D1)에서 (D2)로 상태가 변화한다. 이에 따라 실시예 1에서는(도 1h), 본 발명의 열교환을 하지 않은 종래의 내부 열교환식 가스 인젝션 사이클의 경우(도 1g)와 비교하여 밀폐용기(100)에서의 토출가스(D2)온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는 밀폐용기(100) 전체의 온도가 저하된다.
여기서 도 1h에서는, 난방 능력에 대응하는 엔탈피차가 도 1g와 비교하여 작아진다. 그러나,
Q1 = 인젝션 냉매의 열교환 전(M)과 열교환 후(G)와의 엔탈피차 × 인젝션 냉매 질량 유량
Q2 = 기본 사이클 냉매의 열교환 전(C1)과 열교환 후(C2)와의 엔탈피차 × 기본 사이클 냉매 질량 유량
이라고 하면, 내부 열교환기(29)에서 행하여지는 열교환(1)에서의 열교환량(1) = Q1 = Q2이고, 인젝션 냉매의 열교환 전(M)과 열교환 후(G)와의 엔탈피차가 도 1g 보다 작아지는 분 만큼 인젝션 냉매 질량 유량을 늘리는 것이 가능해지고, 난방 능력은 같아진다. 또, 난방 능력에 대응하는 열교환역 즉 (D2)와 (C1)과의 엔탈피차 중, 2상 상태의 비율이 증가하므로, 열교환 효율이 좋아지고, 시스템으로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중간 연락관(230)의 일부를 상기의 제 2 흡입관(23)과 같이 압축기(11)의 내부에 배치하여,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토출되어 중간 연락관(230)을 흐르는 냉매를 압축기(11)의 내부에서,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로부터의 토출가스와 열교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중간 연락관(230)의 일부를 상기 제 2 흡입관(23)과 같이 압축기(11)의 내부에 배치하여,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토출된 냉매와 인젝션 냉매가 합류하여 중간 연락관(230)을 흐르는 냉매를 압축기(11)의 내부에서,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로부터의 토출가스와 열교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공조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실시예 2에 관한 공조기에서의 압축기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실시예 2에 관한 압축기(11)의 저단측 단판(160L)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저단측 단판(160L)의 횡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의 냉동 사이클의 구성은, 압축기의 일부분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기한 실시예 1에서의 설명을 참조하는 것으로 하고,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압축기(11) 내에서의 냉매의 열교환을 행하기 위하여 제 2 흡입관(23)이 밀폐용기(100)의 내부에서 압축부(120)와 모터(110)와의 사이에 배치된 파이프로서 연장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실시예 2에서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와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를 접속하는 중간 연락 통로의 일부인 연락관(230a)을 밀폐용기(100)의 바닥부의 윤활유 속에 배치하고 있다.
즉, 실시예 1에서는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은 좌우가 연통상태로 이루어진 하나의 공간인 것에 대하여, 실시예 2에서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머플러실은 격리되어 2개의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a)과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2개의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a, 180Lb)은, 중간 연락관(230)의 일부인 연락관(230a)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의 토출가스는,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a)에 토출된 후, 연락관(230a)을 통하여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b)에 흐르고 나서 중간 연락관(230)으로 보내진다. 한편, 제 2 흡입관(23)은, 중간 연락관(230)의 하류측인, 중간 연락관(230)의 U자 형상의 대략 중앙부에 접속된다.
또, 압축기에서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도 2a에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부호를 붙임으로써,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2a를 참조하여, 압축기(11) 내에서의 냉매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증발기(흡열기)(19)에서 과열상태가 된 기본 사이클용 냉매는, 사방밸브(33), 어큐뮬레이터를 거쳐 제 1 흡입관(31)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제 1 흡입관(31)으로부터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 들어간 기본 사이클용 냉매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중간압까지 압축되어,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에 토출된다.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에 토출된 토출가스(냉매)는, 중간 연락관(230)의 일부인 연락관(230a)으로 보내지고, 이곳을 통과하는 사이에 밀폐용기(100)의 바닥부의 윤활유와 열교환하여 제 2 흡입관(23)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제 2 흡입관(23)을 통하여 흡입된 인젝션 냉매와, 중간 연락관(230)의 U자 형상의 대략 중앙부에서 합류하여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에 흡입된다.
그 후, 이 합류한 냉매는,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에서 최종 토출압인 고압까지 압축된 후에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180H)을 통하여 밀폐용기(100)의 내부로 토출된다.
밀폐용기(100)의 내부로 토출된 토출가스(냉매)는, 또한 토출관(101)을 통하여 밀폐용기(100)의 외부로 토출된다. 여기서,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의 토출가스는, 흡열하여 과열도가 커지고 나서 인젝션 냉매와 합류하기 때문에, 인젝션 냉매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의 토출가스의 과열도의 증가에 대응한 분 만큼만 종래보다도 건조도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압축기(11)에서는, 밀폐용기(100)의 바 닥부의 윤활유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토출된 토출가스(냉매)와 열교환함으로써 냉각된다. 이에 따라 밀폐용기(100) 전체의 온도가 저하된다. 또, 윤활유와 인젝션 냉매가 직접 열교환함으로써 윤활유의 온도를 더욱 낮게 할 수 있고, 슬라이딩부의 눌어붙음 방지 효과가 더욱 커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에서는, 운전 압력비의 한계를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낮은 외기 온도 조건에서도 충분한 난방 분출 온도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에서는, 압축기(11)의 회전수의 한계를 더욱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난방력도 향상된다.
이상의 실시예 2의 효과를, 도 1g 및 도 2c에 나타내는 압력-엔탈피 선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c는, 실시예 2의 내부 열교환식 가스 인젝션 사이클을 나타낸 압력-엔탈피 선도이며,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가스로 압축기를 냉각한 경우를 나타낸 압력-엔탈피 선도이다. 또한, 도 2c는, 냉매로서 R410A를 이용한 경우의 냉동 사이클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에 대응한 도 2c에서는, 가스 인젝션 사이클에서,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가스(B)와 고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가스(D1)로 열교환한다. 열교환의 결과, 각각 (B)에서 (K)로, (D1)에서 (D2)로 상태가 변화된다. 이에 따라 실시예 2에서는 (도 2c), 본 발명의 열교환을 하지 않은 종래의 내부 열교환식 가스 인젝션 사이클의 경우 (도 1f)에 비하여 밀폐용기(100)에서의 토출가스(D2) 온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실시예 2에서는 밀폐용기(100) 전체의 온도가 저하된다. 또, 난방능력에 대응하는 열교환역 즉 (D2)와 (C1)과의 엔탈피차 중, 2상 상태의 비율이 증가하 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이 좋아지고, 시스템으로서 효율이 향상된다. 또, 압축기(11)의 기동시에서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의 토출가스 온도는, 윤활유의 온도보다 높고,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방식에서는, 기동시에 윤활유를 가열한다. 이에 따라 윤활유에 녹아들어 있는 냉매를 윤활유로부터 분리하여 윤활유의 점도를 상승시키는 시간을 단축 가능하고, 압축기(11)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제 2 흡입관(23)의 일부를 밀폐용기(100)의 바닥부의 윤활유 속에 배치하여, 인젝션 냉매를 윤활유와 열교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중간 연락관(230)의 일부를 밀폐용기(100)의 바닥부의 윤활유 속에 배치하여,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토출된 냉매와 인젝션 냉매가 합류하여 중간 연락관(230)을 흐르는 냉매를 윤활유와 열교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공조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 3에 관한 공조기에서의 압축기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의 냉동 사이클의 구성은, 압축기의 일부분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기한 실시예 1에서의 설명을 참조하는 것으로 하고,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다.
본 실시예에 관한 압축기(11)에서는, 압축기(11) 내에서의 냉매의 열교환을 행하기 위하여 제 2 흡입관(23)이 밀폐용기(100)의 내부에 있어서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180H) 중에 배치된 파이프로서 연장되고,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의 흡입측[흡입실(131H)]에 접속되어 있다.
또, 압축기에서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도 3에서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압축기(11) 내에서의 냉매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증발기(흡열기)(19)에서 과열상태가 된 기본 사이클용 냉매는, 사방밸브(33), 어큐뮬레이터를 거쳐 제 1 흡입관(31)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제 1 흡입관(31)에서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 들어간 기본 사이클용 냉매는, 저단측 압축기구(11L)에서 중간압까지 압축되고,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에 토출되어, 중간 연락관(230)을 통하여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에 흡입된다.
한편, 제 2 흡입관(23)을 흘러 온 인젝션 냉매는,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180H)에서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의 토출가스와 직접 열교환함으로써 흡열하여 건조도를 크게 하고 나서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의 흡입측[흡입실(131H)]으로 보내지고,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의 토출가스(냉매)와 합류한다. 이에 따라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의 토출가스의 열을 확실하게 흡열할 수 있다.
이 합류한 냉매는 최종 토출압인 고압까지 압축된 후에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180H)을 통하여 밀폐용기(100)의 내부로 토출된다. 밀폐용기(100)의 내부로 토출된 토출가스(냉매)는, 또한 토출관(101)을 통하여 밀폐용기(100)의 외부로 토출된다. 여기서 인젝션 냉매는 압축기(11)의 내부에서 흡열되기 때문에, 제 2 흡입관(23)에 흡입되기 전의 인젝션 냉매의 상태는, 종래예 보다도 건조도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압축기(11)에서는, 고단측 압축기구 부(11H)로부터 토출된 토출가스(냉매)는, 인젝션 냉매와 열교환함으로써 냉각되고 나서 밀폐용기(100)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에 따라 밀폐용기(100) 전체의 온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에서는, 운전 압력비의 한계를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낮은 외기 온도 조건에서도 충분한 난방 분출 온도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에서는, 압축기(11)의 회전수의 한계를 더욱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난방 능력도 향상된다.
또, 중간 연락관(230)의 일부를 상기 제 2 흡입관(23)과 같이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180H) 중에 배치하여,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토출되어 중간 연락관(23)을 흐르는 냉매를 압축기(11)의 내부에서,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에서의 토출가스와 열교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중간 연락관(230)의 일부를 상기 제 2 흡입관(23)과 같이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180H)의 중에 배치하여,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토출된 냉매와 인젝션 냉매가 합류하여 중간 연락관(230)을 흐르는 냉매를 압축기(11)의 내부에서,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에서의 토출가스와 열교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공조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 4에 관한 공조기에서의 압축기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의 냉동 사이클의 구성은, 압축기의 일부분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기한 실시예 1에서의 설명을 참조하는 것으로 하고,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압축기(11)에서는, 압축기(11) 내에서의 냉매의 열교환을 행하기 위하여 제 2 흡입관(23)이 밀폐용기(100)의 바닥부의 윤활유 저장부(260) 속에 배치된 파이프로서 연장되고,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에 접속되어 있다.
또, 압축기에서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도 4에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부호를 붙임으로써,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압축기(11) 내에서의 냉매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증발기(흡열기)(19)에서 과열상태가 된 기본 사이클용 냉매는, 사방밸브(33), 어큐뮬레이터를 거쳐 제 1 흡입관(31)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제 1 흡입관(31)에서 저단측 압축기구부(11L)로 들어간 기본 사이클용 냉매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중간압까지 압축되고,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에 토출된다.
한편, 제 2 흡입관(23)을 흘러 온 인젝션 냉매는, 밀폐용기(100)의 바닥부의 윤활유 저장부(260) 중에 배치된 파이프로 보내지고, 이곳을 통과하는 사이에 밀폐용기(100)의 바닥부의 윤활유와 열교환함으로써 흡열하여 건조도를 크게 하고 나서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로 보내진다. 그리고, 인젝션 냉매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토출된 토출가스(냉매)와 합류한다. 합류한 가스는 중간 연락관(230)을 통하여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로 흡입된다.
그 후, 이 합류한 냉매는,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에서 최종 토출압인 고압까지 압축된 후에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180H)을 통하여 밀폐용기(100)의 내부로 토출된다. 밀폐용기(100)의 내부로 토출된 토출가스(냉매)는, 또한 토출관(101)을 통하여 밀폐용기(100)의 외부로 토출된다. 여기서 인젝션 냉매는 압축기(11)의 내 부에서 흡열되기 때문에, 제 2 흡입관(23)에 흡입되기 전의 인젝션 냉매의 상태는, 종래예 보다도 건조도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압축기(11)에서는, 밀폐용기(100)의 바닥부의 윤활유는 인젝션 냉매와 열교환함으로써 냉각된다. 이에 따라 밀폐용기(100) 전체의 온도가 저하된다. 또, 윤활유와 인젝션 냉매가 직접 열교환함으로써 윤활유의 온도를 더욱 낮게 할 수 있고, 슬라이딩부의 눌어붙음 방지 효과가 더욱 커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에서는, 운전 압력비의 한계를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낮은 외기 온도 조건에서도 충분한 난방 분출 온도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에서는, 압축기(11)의 회전수의 한계를 더욱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난방능력도 향상된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공조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 5에 관한 공조기에서의 압축기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의 냉동 사이클의 구성은, 압축기의 일부분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기한 실시예 1에서의 설명을 참조하는 것으로 하고,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압축기(11)에서는, 냉매의 열교환을 행하기 위하여 제 2 흡입관(23)이 밀폐용기(100)의 외면에 나선 형상으로 배치된 파이프로서 연장되고, 중간 연락관(230)의 U자 형상의 대략 중앙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 압축기에서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 5 에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부호를 붙임으로써,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압축기(11) 내에서의 냉매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증발기(흡열기)(19)에서 과열상태가 된 기본 사이클용 냉매는, 사방밸브(33), 어큐뮬레이터를 거쳐 제 1 흡입관(31)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제 1 흡입관(31)에서 저단측 압축기구부(11L)로 들어간 기본 사이클용 냉매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중간압까지 압축되어,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에 토출되고, 중간 연락관(230)을 통하여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로 흡입된다.
한편, 제 2 흡입관(23)을 흘러 온 인젝션 냉매는, 밀폐용기(100)의 바깥 둘레부에 배치된 파이프 부분을 통과할 때에 밀폐용기(100)를 거쳐 내부의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의 토출가스와 열교환함으로써 흡열하여 건조도를 크게 하고 나서 중간 연락관(230)의 U자 형상의 대략 중앙부로 보내지고,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의 토출가스(냉매)와 합류한다.
이 합류한 냉매는 최종 토출압인 고압까지 압축된 후에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180H)을 통하여 밀폐용기(100)의 내부로 토출된다. 밀폐용기(100)의 내부로 토출된 토출가스(냉매)는, 또한 토출관(101)을 통하여 밀폐용기(100)의 외부로 토출된다. 여기서 인젝션 냉매는 밀폐용기(100)의 바깥 둘레부를 통과할 때에 흡열되기 때문에, 제 2 흡입관(23)으로 흡입되기 전의 인젝션 냉매의 상태는, 종래예 보다도 건조도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압축기(11)에서는, 고단측 압축기구 부(11H)에서 토출된 토출가스(냉매)는, 인젝션 냉매와 밀폐용기(100)를 거쳐 열교환함으로써 냉각되고 나서 밀폐용기(100)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에 따라 밀폐용기(100) 전체의 온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에서는, 운전 압력비의 한계를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낮은 외기 온도 조건에서도 충분한 난방 분출 온도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에서는, 압축기(11)의 회전수의 한계를 더욱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난방 능력도 향상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압축기(11)에서는, 압축기 내부 구조를 간소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간 연락관(230)의 일부를 상기 제 2 흡입관(23)과 같이 밀폐용기(100)의 외면에 배치하여, 저단측 압축기구(11L)에서 토출되어 중간 연락관(230)을 흐르는 냉매를 압축기(11)의 외면의 일부와 열교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중간 연락관(230)의 일부를 상기 제 2 흡입관(23)과 같이 밀폐용기(100)의 외면에 배치하여,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토출된 냉매와 인젝션 냉매가 합류하여 중간 연락관(230)을 흐르는 냉매를 압축기(11)의 외면의 일부와 열교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6)
실시예 6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공조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 6에 관한 공조기에서의 압축기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의 냉동 사이클의 구성은, 압축기의 일부분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기한 실시예 1에서의 설명을 참조하 는 것으로 하고,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압축기(11)는 실시예 5의 변형예로, 제 2 흡입관(23)을 압축기(11)의 밀폐용기(100)의 바깥 둘레부에 설치한 외면 열교환실(270)에 접속하고, 외면 열교환실(270)은 중간 연락관(230)의 U자 형상의 대략 중앙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외면 열교환실(270)은, 밀폐용기(100)의 바깥 둘레부의 일부를 예를 들면 금속부재에 의하여 덮음으로써, 밀폐용기(100)의 외면부의 일부를 전열면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또, 압축기에서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도 6에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부호를 붙임으로써,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압축기(11) 내에서의 냉매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증발기(흡열기)(19)에서 과열상태가 된 기본 사이클용 냉매는, 사방밸브(33), 어큐뮬레이터를 거쳐 제 1 흡입관(31)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제 1 흡입관(31)에서 저단측 압축기구부(11L)로 들어간 기본 사이클용 냉매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중간압까지 압축되어,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에 토출되고, 중간 연락관(230)을 통하여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로 흡입된다.
한편, 제 2 흡입관(23)을 흘러 온 인젝션 냉매는, 밀폐용기(100)의 바깥 둘레부에 설치한 외면 열교환실(270)을 통과할 때에 밀폐용기(100)를 거쳐 내부의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의 토출가스와 열교환함으로써 흡열하여 건조도를 크게 하고 나서 중간 연락관(230)의 U자 형상의 대략 중앙부로 보내지고, 저단측 압축기구 부(11L)에서의 토출가스(냉매)와 합류한다.
이 합류한 냉매는 최종 토출압인 고압까지 압축된 후에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180H)을 통하여 밀폐용기(100)의 내부로 토출된다. 밀폐용기(100)의 내부로 토출된 토출가스(냉매)는, 또한 토출관(101)을 통하여 밀폐용기(100)의 외부로 토출된다. 여기서 인젝션 냉매는 밀폐용기(100)의 바깥 둘레부를 통과할 때에 흡열되기 때문에, 제 2 흡입관(23)으로 흡입되기 전의 인젝션 냉매의 상태는, 종래예 보다도 건조도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압축기(11)에서는, 고단측 압축기구부(11H)에서 토출된 토출가스(냉매)는, 인젝션 냉매와 밀폐용기(100)를 거쳐 열교환함으로써 냉각되고 나서 밀폐용기(100)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에 따라 밀폐용기(100) 전체의 온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에서는, 운전 압력비의 한계를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낮은 외기 온도 조건에서도 충분한 난방 분출 온도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에서는, 압축기(11)의 회전수의 한계를 더욱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난방 능력도 향상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압축기(11)에서는, 압축기 내부 구조를 간소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간 연락관(230)의 일부를 밀폐용기(100)의 바깥 둘레부에 설치한 외면 열교환실(270)로 하여,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토출되어 중간 연락관(230)을 흐르는 냉매를 압축기(11)의 외면의 일부와 열교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중간 연락관(230)의 일부를 상기 제 2 흡입관(23)과 같이 밀폐용 기(100)의 바깥 둘레부에 설치한 외면 열교환실(270)로 하여,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토출된 냉매와 인젝션 냉매가 합류하여 중간 연락관(230)을 흐르는 냉매를 압축기(11)의 외면의 일부와 열교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7)
실시예 7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공조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실시예 7에 관한 압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실시예 7에 관한 압축기의 저단측 단판(端板)(160L)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저단측 단판(160L)의 횡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의 냉동 사이클의 구성은, 압축기의 일부분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기한 실시예 1에서의 설명을 참조하는 것으로 하고,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에서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제 2 흡입관(23)이 밀폐용기(100)의 내부에서 압축부(120)와 모터(110)와의 사이에 배치된 파이프로서 연장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실시예 7에서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흡입관(23)은,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은 좌우가 연통 상태로 이루어진 하나의 공간인 것에 대하여, 실시예 7에서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머플러실은 격리되어 2개의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c)과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d)로 이루어진다. 2개의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c, 180Ld)은, 저단측 압축기구부(11L)과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를 접속하는 중간 연락 통로 의 일부인 연락관(230a)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연락관(230a)은 밀폐용기(100)의 바닥부의 윤활유 속에 배치되어 있다.
또, 압축기(11)에서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도 7a에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부호를 붙임으로써,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다.
다음에,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고, 압축기(11) 내에서의 냉매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증발기(흡열기)(19)에서 과열상태가 된 기본 사이클용 냉매는, 사방밸브(33), 어큐뮬레이터를 거쳐 제 1 흡입관(31)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제 1 흡입관(31)에서 저단측 압축기구부(11L)로 들어간 기본 사이클용 냉매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중간압까지 압축되어,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c)로 토출된다.
한편, 제 2 흡입관(23)을 흘러 온 인젝션 냉매는,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c)로 보내지고,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토출된 토출가스(냉매)와 합류한다. 합류한 가스는, 밀폐용기(100)의 바닥부의 윤활유 속에 배치된 연락관(230a)으로 보내지고, 이곳을 통과하는 사이에 밀폐용기(100)의 바닥부의 윤활유와 열교환함으로써 흡열하여 건조도를 크게 하고 나서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d)로 보내진다. 그리고, 중간 연락관(230)을 통하여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로 흡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압축기(11)에서는, 인젝션 냉매와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의 토출가스와는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c) 내에서 합류하고 나서, 윤활유 속에 배치되어 있는 연락관(230a)으로 흐른다. 그리고, 이 합류 한 가스는, 밀폐용기(100)의 바닥부의 윤활유와 열교환하여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d)로 흐르고, 중간 연락관(230)을 통하여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로 흡입된다.
이에 따라, 밀폐용기(100)의 바닥부의 윤활유는 이 합류한 가스와 열교환함으로써 냉각되어, 밀폐용기(100) 전체의 온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에서는, 운전 압력비의 한계를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낮은 외기 온도 조건에서도 충분한 난방 분출 온도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에서는, 압축기(11)의 회전수의 한계를 더욱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난방 능력도 향상된다.
이상의 실시예 7의 효과를, 도 1g 및 도 7c에 나타내는 압력-엔탈피 선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c는, 실시예 7의 내부 열교환식 가스 인젝션 사이클을 나타낸 압력-엔탈피 선도로, 인젝션 냉매와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토출된 토출가스(냉매)가 합류한 냉매로 압축기를 냉각한 경우를 나타낸 압력-엔탈피 선도이다. 또한, 도 7c는, 냉매로서 R410A를 사용한 경우의 냉동 사이클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7에 대응한 도 7c에서는, 인젝션 사이클에서의 인젝션 가스와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가스가 합류한 냉매(L)와, 고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가스(D1)로 열교환한다. 열교환의 결과, 각각 (L)에서 (S2)로, (D1)에서 (D2)로 상태가 변화한다. 이에 따라 실시예 7에서는(도 7c), 본 발명의 열교환을 하지 않은 종래의 내부 열교환식 가스 인젝션 사이클의 경우(도 1g)에 비하여 밀폐용기(100)에서의 토출가 스(D2) 온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실시예 7에서는 밀폐용기(100) 전체의 온도가 저하된다. 또, 난방능력에 대응하는 열교환역, 즉 (D2)와 (C1)과의 엔탈피차 중, 2상 상태의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이 좋아지고, 시스템으로서 효율이 향상된다.
(실시예 8)
실시예 8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공조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실시예 8에 관한 압축기(1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실시예 8에 관한 압축기(11)의 저단측 단판(160L)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저단측 단판(160L)의 횡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의 냉동 사이클의 구성은, 압축기의 일부분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기한 실시예 1에서의 설명을 참조하는 것으로 하고,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에서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제 2 흡입관(23)이 밀폐용기(100)의 내부에서 압축부(120)와 모터(110)와의 사이에 배치된 파이프로서 연장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실시예 8에서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흡입관(23)은,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저단측 머플러 커버(170L)에 핀(280)을 설치하고 있다.
또, 도 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은 좌우가 연통 상태로 이루어져, 중간 연락관(230)과 접속하는 하나의 공간인 것에 대하여, 실시예 8에서의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c)은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매의 흐 름이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 내를 대략 한바퀴 순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압축기(11)에서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도 8a에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부호를 붙임으로써,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압축기(11) 내에서의 냉매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증발기(흡열기)(19)에서 과열상태가 된 기본 사이클용 냉매는, 사방밸브(33), 어큐뮬레이터를 거쳐 제 1 흡입관(31)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제 1 흡입관(31)에서 저단측 압축기구부(11L)로 들어간 기본 사이클용 냉매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중간압까지 압축되고,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e)로 토출된다.
한편, 제 2 흡입관(23)을 흘러 온 인젝션 냉매는,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e)로 보내지고,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토출된 토출가스(냉매)와 합류한다. 합류한 가스는,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e)에서 밀폐용기(100)의 바닥부의 윤활유와 열교환함으로써 흡열하여 건조도를 크게 하고 나서 중간 연락관(230)을 통하여 고단측 압축기구부(11H)로 흡입된다. 여기서, 인젝션 냉매의 온도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의 토출가스 온도보다 낮기 때문에, 인젝션 냉매를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e)로 인젝션 하는 것 만으로도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180Le)의 온도가 내려가고, 윤활유와의 열교환이 촉진된다. 이것도 본 발명의 범위이나,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저단측 머플러 커버(170L)에 핀(280)을 설치함으로써, 더욱 열교환이 촉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압축기(11)에서는, 밀폐용기(100)의 바닥부의 윤활유는, 저단측 압축기구부(11L)에서 토출된 토출가스(냉매)와 인젝션 냉매가 합류한 가스와 열교환함으로써 냉각된다. 이에 따라 밀폐용기(100) 전체의 온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에서는, 운전 압력비의 한계를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낮은 외기 온도 조건에서도 충분한 난방 분출 온도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공조기에서는, 압축기(11)의 회전수의 한계를 더욱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난방 능력도 향상된다.
또, 일반적으로 저단측 머플러 커버(170L)는 철계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되나, 저단측 머플러 커버(170L)를, 열전도율이 더욱 큰 구리, 황동, 알루미늄 등의 재료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열교환을 촉진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도 유효하다.
또, 기본이 되는 가스 인젝션 사이클에서 내부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방열기 하류의 팽창 기구에 의해 중간 압력까지 감압한 후에 기액 분리기로 가스와 액을 분리하고, 가스 및 일부의 적정량의 액체를 동시에 인젝션시키는 방식의 사이클이어도 효과는 동일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1∼8에서의 도면에서는 단열재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으나, 실제 운용에서는 압축기(11)를 단열제로 덮은 상태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는, 낮은 외기 온도 조건에서의 사용에 유용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공조기의 기본이 되는 구성 및 그 냉동 사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공조기의 압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공조기의 저단측 압축기구부 및 고단측 압축기구부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공조기에서의 압축기의 저단측 단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저단측 단판의 횡단면도,
도 1e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공조기에서의 압축기의 저단측 토출밸브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f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공조기에서의 압축기의 저단측 토출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g은 종래의 내부 열교환식 가스 인젝션 사이클을 나타낸 압력-엔탈피 선도,
도 1h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내부 열교환식 가스 인젝션 사이클을 나타낸 압력-엔탈피 선도로서, 인젝션 냉매로 압축기를 냉각한 경우를 나타낸 압력-엔탈피 선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공조기의 압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공조기에서의 압축기의 저단측 단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저단측 단판의 횡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내부 열교환식 가스 인젝션 사이클을 나타낸 압력-엔탈피 선도로서,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가스(냉매)로 압축기를 냉각한 경우를 나타낸 압력-엔탈피 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공조기의 압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공조기의 압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공조기의 압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관한 공조기의 압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한 공조기의 압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한 공조기에서의 압축기의 저단측 단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저단측 단판의 횡단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내부 열교환식 가스 인젝션 사이클을 나타낸 압력-엔탈피 선도로서, 인젝션 냉매와 저단측 압축기구부로부터 토출된 토출가스(냉매)가 합류한 냉매로 압축기를 냉각한 경우를 나타낸 압력-엔탈피 선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관한 공조기의 압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관한 공조기에서의 압축기의 저단측 단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저단측 단판의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압축기 11H : 고단측 압축기구부
11L : 저단측 압축기구부 13 : 응축기(방열기)
15 : 제 1 팽창 기구부 17 : 제 2 팽창 기구부
21 : 기본 사이클 배관 21a : 기본 사이클 배관
23 : 제 2 흡입관 25 : 분기관
27 : 인젝션 배관 27a : 인젝션 배관
29 : 내부 열교환기 31 : 제 1 흡입관
33 : 사방밸브 100 : 밀폐용기
101 : 토출관 103 : 접속관
105 : 접속관 107 : 접속관
110 : 모터 111 : 스테이터
113 : 로터 115 : 구동축
120 : 압축기구부 120 : 압축부
121L : 실린더 121H : 고단측 실린더
121L : 저단측 실린더 123L : 실린더 보어
125L : 피스톤 127L : 베인
129L : 스프링 131L : 흡입실
131H : 흡입실 133L : 압축실
135L : 흡입구멍 150 : 중간 칸막이판
160H : 고단측 단판 160L : 저단측 단판
170H : 고단측 머플러 커버 170L : 저단측 머플러 커버
180H :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 180L :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
180La :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 180Lb :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
180Lc :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 180Ld :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
180Le :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 190H : 고단측 토출구멍
190L : 저단측 토출구멍 200H : 고단측 토출밸브
200L : 저단측 토출밸브 203 : 리벳
210H : 고단측 머플러 토출구멍 210L : 저단측 머플러 토출구멍
220 : 온도 센서 230 : 중간 연락관
230a : 연락관 240 : 온도 센서
250 : 어큐뮬레이터 251 : 어큐뮬레이터 홀더
253 : 어큐뮬레이터 밴드 255 : 시스템 접속관
260 : 윤활유 저장부 270 : 외면 열교환실
280 : 핀

Claims (14)

  1. 인젝션 냉동 사이클을 이용한 히트 펌프 시스템에 사용되고,
    밀폐용기와,
    저단측 압축기구부와,
    고단측 압축기구부와,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와 고단측 압축기구부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흡입측에 접속하여 상기 인젝션 냉동 사이클측의 저압 냉매를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로 유도하는 제 1 흡입관과,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측과 상기 고단측 압축기구부의 흡입측을 연통하는 중간 연락 통로와,
    상기 밀폐용기에 접속되어 상기 고단측 압축기구부로부터 상기 밀폐용기 내부로 토출된 고압 냉매를 상기 인젝션 냉동 사이클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관과,
    상기 인젝션 냉동 사이클측의 습윤 냉매인 중간압 인젝션 냉매를 상기 중간연락 통로로 유도하는 제 2 흡입관을 가지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중간압 인젝션 냉매와,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 또는 상기 밀폐용기의 외면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중간압 인젝션 냉매가 흡열하는 열교환을 촉진하는 수단을 상기 제 2 흡입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2. 인젝션 냉동 사이클을 이용한 히트 펌프 시스템에 사용되고,
    밀폐용기와,
    저단측 압축기구부와,
    고단측 압축기구부와,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와 고단측 압축기구부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흡입측에 접속하여 상기 인젝션 냉동 사이클측의 저압 냉매를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로 유도하는 제 1 흡입관과,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측과 상기 고단측 압축기구부의 흡입측을 연통하는 중간 연락 통로와,
    상기 밀폐용기에 접속되어 상기 고단측 압축기구부로부터 상기 밀폐용기 내부로 토출된 고압 냉매를 상기 인젝션 냉동 사이클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관과,
    상기 인젝션 냉동 사이클측의 습윤 냉매인 중간압 인젝션 냉매를 상기 중간 연락 통로로 유도하는 제 2 흡입관을 가지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 또는 상기 밀폐용기의 외면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흡열하는 열교환을 촉진하는 수단을 상기 중간 연락 통로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3. 인젝션 냉동 사이클을 이용한 히트 펌프 시스템에 사용되고,
    밀폐용기와,
    저단측 압축기구부와,
    고단측 압축기구부와,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와 고단측 압축기구부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흡입측에 접속하여 상기 인젝션 냉동 사이클측의 저압 냉매를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로 유도하는 제 1 흡입관과,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측과 상기 고단측 압축기구부의 흡입측을 연통하는 중간 연락 통로와,
    상기 밀폐용기에 접속되어 상기 고단측 압축기구부로부터 상기 밀폐용기 내부로 토출된 고압 냉매를 상기 인젝션 냉동 사이클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관과,
    상기 인젝션 냉동 사이클측의 습윤 냉매인 중간압 인젝션 냉매를 상기 중간 연락 통로로 유도하는 제 2 흡입관을 가지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중간압 인젝션 냉매가 합류한 냉매와,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 또는 상기 밀폐용기의 외면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상기 중간압 인젝션 냉매가 합류한 냉매가 흡열하는 열교환을 촉진하는 수단을 상기 중간 연락 통로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을 촉진하는 수단은, 상기 고단측 압축기구부로부터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로 토출된 고압 냉매 중에 배치된 상기 제 2 흡입관의 일부 또는 상기 중간 연락 통로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측에 상기 고단측 압축기구부로부터 고압 냉매가 토출되는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을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을 촉진하는 수단은, 상기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 내에 배치된 상기 제 2 흡입관의 일부 또는 상기 중간 연락 통로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 내에 봉입된 윤활유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을 촉진하는 수단은, 상기 윤활유 속에 배치된 상기 제 2 흡입관의 일부 또는 상기 중간 연락 통로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을 촉진하는 수단은, 상기 밀폐용기의 외면부에 배치된 상기 제 2 흡입관의 일부 또는 상기 중간 연락 통로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을 촉진하는 수단은, 상기 밀폐용기의 외면부의 일부를 덮어 밀폐용기의 외면부의 일부를 전열면으로 하여 형성된 외면 열교환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측에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로부터 냉매가 토출되는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을 구비하고,
    상기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 내에 상기 제 2 흡입관을 개구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10. 제 2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을 형성하는 머플러 부재에 상기 저단측 토출 머플러실의 외부와의 열교환을 촉진하는 열교환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11. 제 2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 부재는, 철계금속보다 열전도율이 큰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12.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단측 압축기구부의 토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단측 압축기구부로부터 고압 냉매가 토출되는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과,
    상기 고단측 토출 머플러실로부터 상기 밀폐용기의 내면을 향하여 상기 고압 냉매를 토출하는 토출구멍과,
    상기 밀폐용기를 거쳐 상기 토출구멍에 대향하는 상기 밀폐용기의 외면부에 배치된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13.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락 통로의 일부인 중간 연락관을 상기 밀폐용기의 외부에 배치하고,
    상기 중간 연락관에서의 상기 제 2 흡입관의 접속부보다 상기 저단측 압축기구부측의 외면에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14. 압축기와, 방열기와, 제 1 팽창기구와, 흡열기와, 상기 압축기와 방열기와 제 1 팽창기구와 흡열기 순으로 접속하여 냉매를 순환시키는 기본 사이클 배관과, 상기 기본 사이클 배관에서의 상기 방열기와 상기 제 1 팽창기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분기관과, 제 2 팽창기구와, 상기 제 2 팽창기구를 거쳐 상기 분기관과 상기 압축기를 접속하여 인젝션 냉매를 순환시키는 인젝션 배관과, 상기 기본 사이클 배관에서의 상기 분기관과 상기 제 1 팽창기구와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인젝션 배관에서의 상기 제 2 팽창기구와 상기 압축기와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한 히트 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로서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0080021110A 2007-03-30 2008-03-06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및 히트 펌프 시스템 KR200800891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94695 2007-03-30
JP2007094695A JP2008248865A (ja) 2007-03-30 2007-03-30 インジェクション対応2段圧縮ロータリ圧縮機および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174A true KR20080089174A (ko) 2008-10-06

Family

ID=3967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110A KR20080089174A (ko) 2007-03-30 2008-03-06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및 히트 펌프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57211B2 (ko)
EP (1) EP1975414B1 (ko)
JP (1) JP2008248865A (ko)
KR (1) KR20080089174A (ko)
CN (1) CN10127556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2363A1 (en) * 2012-02-14 2013-08-22 Lg Electronics Inc. Twin rotary compressor and heat pump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8865A (ja) * 2007-03-30 2008-10-16 Fujitsu General Ltd インジェクション対応2段圧縮ロータリ圧縮機および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JP4814167B2 (ja) * 2007-07-25 2011-11-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多段圧縮機
KR101528645B1 (ko) 2009-04-09 2015-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식 2단 압축기
CN102803734B (zh) 2009-06-11 2015-06-10 三菱电机株式会社 制冷剂压缩机以及热泵装置
CN102022332B (zh) * 2009-09-15 2012-08-22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双缸旋转压缩机及其控制方法
JP2011094810A (ja) * 2009-09-30 2011-05-12 Fujitsu General Ltd 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装置
KR101681585B1 (ko) * 2009-12-22 201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식 로터리 압축기
AU2011245855B2 (en) * 2010-04-28 2014-04-17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dryer
CN102345941B (zh) * 2010-08-03 2014-08-13 昆山台佳机电有限公司 一种中央空调制冷剂侧切换的满液式水源热泵机组
CN103492720B (zh) * 2010-08-30 2016-08-03 海客尔技术公司 通过液体喷射进行冷却的压缩机
JP5287831B2 (ja) * 2010-10-29 2013-09-11 株式会社デンソー 二段昇圧式冷凍サイクル
JP5734031B2 (ja) * 2011-03-09 2015-06-10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空調装置
EP2728277B1 (en) * 2011-06-29 2020-03-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device
JP5599514B2 (ja) * 2011-08-22 2014-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二段圧縮機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
JP5240332B2 (ja) * 2011-09-01 2013-07-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5403029B2 (ja) * 2011-10-07 2014-01-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CN103375405A (zh) * 2012-04-26 2013-10-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系统和热泵热水器
WO2013168193A1 (ja) * 2012-05-09 2013-11-14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媒圧縮機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
JP2013245594A (ja) * 2012-05-24 2013-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密閉形回転式冷媒圧縮機
KR101973202B1 (ko) * 2012-07-11 2019-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N102778067B (zh) * 2012-08-06 2014-08-27 大连三洋压缩机有限公司 一种变频涡旋并联机组的制冷系统及其工作方法
CN104797893B (zh) * 2012-11-21 2016-08-24 三菱电机株式会社 空气调节装置
JP6012756B2 (ja) * 2012-11-21 2016-10-2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WO2015051540A1 (zh) * 2013-10-11 2015-04-16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热泵系统
CN103557628A (zh) * 2013-10-11 2014-02-05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热泵系统
US9696074B2 (en) * 2014-01-03 2017-07-04 Woodward, Inc. Controlling refrigeration compression systems
KR102148716B1 (ko) * 2014-01-23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동장치 및 압축기
JP6602395B2 (ja) * 2016-01-20 2019-11-06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AU2017200660B2 (en) * 2016-04-12 2022-07-21 Fujitsu General Limited Rotary compressor
RU170001U1 (ru) * 2016-04-25 2017-04-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энергет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ПО "КГЭУ") Ротационно-пластинчатый компрессор
CN105864041B (zh) * 2016-05-24 2017-11-21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107144053B (zh) * 2017-07-10 2023-09-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冷媒加热装置、方法以及空调机组
EP3730794B1 (en) * 2017-12-22 2024-05-01 Daikin Industries, Ltd. Compressor
CN109386909B (zh) * 2018-10-22 2020-10-1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室外机、回油控制方法及空调器
JP6886129B2 (ja) * 2019-03-26 2021-06-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1403A (en) * 1963-08-28 1965-06-29 Gen Electric Hermetically sealed multiple compressor unit
US4045974A (en) * 1976-08-11 1977-09-06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ination motor cooler and storage coil for heat pump
JPS5733758A (en) 1980-08-08 1982-0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oler for compressor
JPS61285352A (ja) 1985-06-11 1986-12-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スクリユ式ヒ−トポンプ
JPS63117192A (ja) 1986-11-04 1988-05-21 Sanyo Electric Co Ltd 回転圧縮機の冷却装置
JPS6490961A (en) * 1987-09-30 1989-04-10 Daikin Ind Ltd Refrigeration circuit
US5239833A (en) * 1991-10-07 1993-08-31 Fineblum Engineering Corp. Heat pump system and heat pump device using a constant flow reverse stirling cycle
JPH06185835A (ja) * 1992-12-18 1994-07-08 Toshiba Corp 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そのインバータ装置により制御されるエアコンディショナ
US5328338A (en) * 1993-03-01 1994-07-12 Sanyo Electric Co., Ltd. Hermetically sealed electric motor compressor
JPH06300366A (ja) * 1993-04-14 1994-10-28 Matsushita Refrig Co Ltd 冷凍装置
JPH0933123A (ja) * 1995-07-19 1997-02-07 Daikin Ind Ltd 極低温冷凍装置
US6178758B1 (en) * 1996-10-16 2001-01-30 Electrolux Siegen Gmbh Refrigerating system
DE19708428C2 (de) * 1997-03-01 2001-08-16 Bitzer Kuehlmaschinenbau Gmbh Kälteanlage
US6185949B1 (en) * 1997-09-15 2001-02-13 Mad Tech, L.L.C. Digital control valve for refrigeration system
JP3161389B2 (ja) 1997-10-23 2001-04-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151120B2 (ja) * 1998-08-07 2008-09-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2段圧縮機
JP2000073974A (ja) * 1998-08-26 2000-03-07 Daikin Ind Ltd 2段圧縮機及び空気調和装置
JP2000097177A (ja) 1998-09-22 2000-04-04 Sanyo Electric Co Ltd 回転式圧縮機及び冷凍回路
JP3039864B1 (ja) * 1999-07-06 2000-05-08 農林水産省食品総合研究所長 トリカフェオイルアルダル酸、その製造法及びその用途
DE20003123U1 (de) * 2000-02-21 2000-04-20 Wolf Heinz Schalldämpfer für einen Luftverdichter, insbesondere für Fahrzeuge
JP3370046B2 (ja) * 2000-03-30 2003-01-27 三洋電機株式会社 多段圧縮機
US7128540B2 (en) * 2001-09-27 2006-10-31 Sanyo Electric Co., Ltd. Refrigeration system having a rotary compressor
JP4179595B2 (ja) 2002-08-26 2008-11-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TWI308631B (en) * 2002-11-07 2009-04-11 Sanyo Electric Co Multistage compression type rotary compressor and cooling device
US6929056B2 (en) * 2002-12-06 2005-08-16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Tank manifold for internally mounted radial flow intercooler for a combustion air charger
JP2004293813A (ja) * 2003-03-25 2004-10-21 Sanyo Electric Co Ltd 冷媒サイクル装置
US20050235672A1 (en) * 2004-04-26 2005-10-27 Hsu John S Motor frame cooling with hot liquid refrigerant and internal liquid
KR20050121053A (ko) * 2004-06-21 2005-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기
JP2006052934A (ja) * 2004-07-12 2006-02-23 Sanyo Electric Co Ltd 熱交換装置および冷凍装置
US20060201175A1 (en) * 2005-03-10 2006-09-14 Hussmann Corporation Strategic modular refrigeration system with linear compressors
JP4387974B2 (ja) * 2005-04-25 2009-1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6343017A (ja) * 2005-06-08 2006-12-21 Sanyo Electric Co Ltd 冷凍装置
JP4673136B2 (ja) * 2005-06-09 2011-04-20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スクリュー圧縮機
US7591147B2 (en) * 2006-11-01 2009-09-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lectric motor cooling jacket resistor
JP5040104B2 (ja) * 2005-11-30 2012-10-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US7647790B2 (en) * 2006-10-02 2010-01-1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Injection system and method for refrigeration system compressor
US7633193B2 (en) * 2007-01-17 2009-12-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hermal and secondary flow management of electrically driven compressors
US7704056B2 (en) * 2007-02-21 2010-04-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wo-stage vapor cycle compressor
JP2008248865A (ja) * 2007-03-30 2008-10-16 Fujitsu General Ltd インジェクション対応2段圧縮ロータリ圧縮機および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2363A1 (en) * 2012-02-14 2013-08-22 Lg Electronics Inc. Twin rotary compressor and heat pump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36184A1 (en) 2008-10-02
EP1975414A3 (en) 2014-12-03
JP2008248865A (ja) 2008-10-16
CN101275568A (zh) 2008-10-01
EP1975414B1 (en) 2017-01-04
EP1975414A2 (en) 2008-10-01
CN101275568B (zh) 2012-08-29
US8857211B2 (en)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9174A (ko) 인젝션 대응 2단 압축 로터리 압축기 및 히트 펌프 시스템
US20080078191A1 (en) Rotary compressor and heat pump system
AU2009323588B2 (en) Refrigerating apparatus
JP5306478B2 (ja) ヒートポンプ装置、二段圧縮機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の運転方法
JP2009127902A (ja) 冷凍装置及び圧縮機
US20090007590A1 (en) Refrigeration System
WO2016201623A1 (zh) 制冷循环装置
EP2835496A1 (en) Compresso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JP3726541B2 (ja) 冷凍空調装置
JP5321697B2 (ja) インジェクション対応2段圧縮ロータリ圧縮機
JP2010059859A (ja) インジェクション対応2段圧縮ロータリ圧縮機
JP5659908B2 (ja) ヒートポンプ装置
JP4300712B2 (ja) 冷蔵庫
JP5599514B2 (ja) 二段圧縮機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
JP3491323B2 (ja) 空調装置
CN112752934B (zh) 多级压缩系统
JP6702401B1 (ja) 多段圧縮システム
JP2020094762A (ja) 多段圧縮システム
JPH07234037A (ja) 熱ポンプ装置
WO2023248325A1 (ja) 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3695963B2 (ja) 回転式圧縮機
CN211823240U (zh) 一种液体冷却电机的复叠制冷系统
CN112412785B (zh) 压缩机及冷冻循环装置
WO2020067197A1 (ja) 多段圧縮システム
JP2005264829A (ja) 流体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