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8534A - 필름 건조 방법과 장치 및 용액 캐스팅 방법 - Google Patents

필름 건조 방법과 장치 및 용액 캐스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534A
KR20080088534A KR1020080029388A KR20080029388A KR20080088534A KR 20080088534 A KR20080088534 A KR 20080088534A KR 1020080029388 A KR1020080029388 A KR 1020080029388A KR 20080029388 A KR20080029388 A KR 20080029388A KR 20080088534 A KR20080088534 A KR 20080088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olding member
carrier body
drying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2974B1 (ko
Inventor
토시카즈 나카무라
모리타카 카토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8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2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14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using gases or vapours other than air or steam, e.g. inert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핀 텐터에서 습윤필름의 단부를 핀으로 꽂은 상태에서 상기 습윤필름을 반송하는 동시에 건조시킨다. 복수의 핀을 핀 플레이트에 고정시킨다. 상기 핀 플레이트는 핀 캐리어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핀 캐리어는 레일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핀 캐리어의 이동은 상기 레일에 의해 안내된다. 스팀 세정부에서, 핀 ,핀 플레이트및 핀 캐리어들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스팀 송풍에 의해 제거한다. 제트가스 세정부에서는, 스팀 세정후 남아있는 이물질 및 수분은 질소가스 송풍에 의해 날려보내고 제거한다.
Figure P1020080029388
필름 건조 방법, 필름 건조장치, 용액 캐스팅 방법

Description

필름 건조 방법과 장치 및 용액 캐스팅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FILM AND SOLUTION CASTING METHOD}
본 발명은 필름의 양측단부를 유지한 상태로 필름을 반송하면서 필름을 건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고, 그 방법 및 장치를 도입한 용액 캐스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 필름은 뛰어난 광투과성과 가요성을 갖고 얇고 가벼운 필름을 형성한다. 따라서 폴리머 필름은 광학기능성 필름으로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등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필름은 전술의 특성에 더하여 강도와 저복굴절율을 갖고 있다. 이러한 셀룰로오스계 에스테르 필름은 감광성필름을 비롯하여 최근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LCDs)의 구성부재인 편광필터용 보호 필름 및 광학 보상 필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폴리머 필름의 제조 방법의 하나로서 용액 캐스팅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용액 캐스팅 방법에 의하면, 폴리머와 용매를 함유하는 도프를 캐스팅 다이로부터 지지체 위로 캐스트하여 캐스팅 필름을 형성한다. 상기 캐스팅 필름이 자가 지지성을 획득한 후에 상기 캐스팅 필름을 습윤필름으로서 지지체로부터 박리한다. 습윤 필름의 양쪽 측단부(이하 "단부"라 한다)를 유지하면서 텐터로 상기 습윤필름을 반송한다. 상기 텐터에서는 반송 중인 습윤필름을 건조시킨다. 이리하여, 필름이 제조된다. 필름의 단부를 절단한 후에, 상기 필름을 건조장치에서 건조를 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필름을 권취 장치로 권취한다.
텐터에서 습윤필름은 필름의 단부를 클립이나 핀 등의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하면서 반송시키고,상기 필름에 건조풍을 송풍하는 상태로 건조된다. 상기 유지수단은 체인 등의 엔드리스 루프 이동부에 고정되어 순환된다. 따라서, 상기 유지부재가 고온의 건조풍에 노출되어 텐터 출구 근방에서 유지부재의 온도가 상승한다. 고온의 유지부재에 의해 들어오는 필름이 유지되면, 필름에 함유된 용매가 끓게 되어 발포가 발생한다. 그 결과, 필름이 절단될 수도 있다. 필름이 냉각 및 겔화에 의해 자가 지지성을 획득하게 하는 용액 캐스팅 방법에서는, 핀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필름을 유지한다. 핀의 온도가 높다면 핀이 필름에 꽂힌 때에 핀의 온도로 인해 필름에 함유된 수지(폴리머)가 분말로 고화되어 캡 상으로 핀은 덮게 된다. 캡 상의 분말은 벗겨져서 텐터에 고장을 일으키고 필름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들어오는 필름의 단부를 유지하기 전에 필름을 냉각 덕트로 통과시켜서 유지부재를 냉각시킨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평9-85846호)
그러나 상기 냉각 덕트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한다. 상기 텐터는 습윤필름으로부터 증발된 용매증기로 가득 차 있다. 텐터 내의 고온 분위기에서는 습윤필름 내의 가소제와 UV흡수제 또한 용매와 함께 증발되고, 이러한 증기는 용매증기 중에 혼합된다. 상기 증기가 클립 또는 핀의 이동에 따라 냉각 덕트 내로 들어간다. 냉각 덕트에서 용매 증기는 냉각되어 액화되거나 고화된다. 그러한 액화 또는 고화된 용매는 이물질로서 핀과 핀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상기 이물질에는 가소제와 UV흡수제 등의 첨가제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핀 플레이트의 부담이 증가한다. 필름의 반송용으로 사용되는 안내 롤러와 안내 롤러에 사용되는 베어링에 상기 이물질이 퇴적되면, 필름의 반송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없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증발하기 어려운 가소제 및 UV흡수제를 사용; 텐터의 건조 온도의 저온화; 텐터에서의 건조시간의 장기화 등의 수단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변화들의 결과로서 새로운 문제들이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변화들은 제조된 필름의 품질에 영향을 주거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한편, 브러시 등을 이용하여 핀 플레이트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브러시의 막힘 및/또는 브러시의 이물질이 다시 핀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현상이 생길 수도 있고, 핀 플레이트에 브러시가 닿을 수 없는 영역이 생길 수도 있다.
텐터에서는, 용매증기로부터 응축 및 흡착에 의해 용매를 회수한다. 용매가 제거된 가스를 텐터로 보내어 재사용한다. 용매가 회수되는 동안, 가소제 및 UV흡수제도 또한 회수된다. 그러나 핀 플레이트 등에 부착되는 이물질의 양을 영으로 줄일 수는 없다.
세정용매를 이용하여 핀 플레이트 등을 세정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그러 나 이러한 세정용매는 세정효과가 약하고 반송용 안내 롤러와 베어링에 제공된 윤활유의 오일 성분을 용해시켜 버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세정용매가 텐터 내에서 증발되면, 용매 증기로부터 세정용매를 회수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정기적으로 필름의 제조 라인을 정지하고, 오프라인에서 핀 플레이트의 세정을 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의 반송을 저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필름의 반송을 안정시킨 필름 건조 방법 및 장치와 용액 캐스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및 이외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건조 방법은 건조 단계 및 가스 송풍 세정 단계를 포함한다. 건조단계에서, 필름의 양쪽 측단부를 유지부재로 고정한다. 필름은 1쌍의 엔드리스 루프 이동부에 의해 반송된다. 각각의 엔드리스 루프 이동부는 복수의 유지부재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캐리어 본체로 구성된다. 필름을 반송하면서 필름에 건조풍을 송풍하여 필름을 건조시킨다. 가스 송풍세정단계에서는, 상기 필름을 유지부재로부터 해방시킨 후 상기 유지부재 및 상기 캐리어 본체에 가스를 송풍함으로써 유지부재 및 캐리어 본체를 세정한다.
상기 필름 건조 방법은 상기 가스 송풍세정단계 전에 스팀 세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 세정 단계에서는, 상기 필름을 유지부재로부터 해방시킨 후, 상기 유지부재 및 상기 캐리어 본체에 스팀을 송풍하여 유지부재 및 캐리어본체를 세정한다. 상기 필름 건조 방법은 상기 유지부재가 필름을 유지하는 구간에서 상기 캐리어 본체를 덮는 덕트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가스 퍼지하는 가스퍼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덕트에서 불활성 가스의 공급 위치 및 회수 위치는 상기 필름을 유지부재로부터 해방하는 필름해방위치 위치 근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액 캐스팅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지지체 위에 폴리머와 용매를 함유하는 도프를 도프하여 캐스팅 필름을 형성하고; 상기 캐스팅 필름을 상기 지지체로부터 습윤필름으로서 박리하고; 상기 습윤필름을 필름의 양쪽 측단부를 유지부재로 유지한 상태로, 상기 유지부재가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는 캐리어 본체를 각각 갖는 1쌍의 엔드리스 루프 이동부에 의해 상기 습윤필름을 반송하면서, 상기 습윤필름에 건조풍을 송풍하여 습윤필름을 건조시킨다.
본 발명의 필름 건조장치는 필름 반송을 위한 1쌍의 엔드리스 루프 이동부, 건조부, 및 가스 송풍 세정부를 갖는다. 각 엔드리스 루프 이동부는 필름의 양쪽 측단부를 유지하는 유지부재를 갖는 캐리어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지부재는 캐리어 본체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다. 건조부에서는 유지부재에 의해 유지되면서 반송되는 상기 필름에 건조풍을 송풍하여 필름을 건조시킨다. 가스 송풍 세정부에서는 상기 필름이 유지부재로부터 해방된 후 상기 유지부재 및 상기 캐리어 본체에 가스송풍하여 유지부재 및 캐리어 본체를 세정한다. 상기 필름 건조장치는 상기 가스송풍 세정부로부터 상기 캐리어 본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상류 측에 설치된 스팀 세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 세정부는 상기 유지부재 및 상기 캐리어 본체에 스팀을 송풍하여 유지부재 및 캐리어 본체를 세정한다.
상기 필름 건조장치는 덕트, 불활성 가스 공급부, 및 불활성 가스 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덕트는 건조부에 위치하는 상기 캐리어 본체 및 레일을 덮는다. 상기 불활성 가스공급부는 덕트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고, 덕트의 불활성 가스를 정화한다. 상기 불활성 가스 순환부는 상기 불활성 가스 공급부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유지된 덕트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회수하고, 상기 회수된 불활성 가스를 상기 불활성 가스 공급부로 공급한다. 상기 덕트에서 불활성 가스의 공급 위치 및 회수 위치는 리턴 경로 부재의 근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턴 경로 부재는 상기 건조부의 출구 측 레일의 끝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의 반송을 저해하는 이물질이 제거되고, 따라서 필름이 안정적으로 반송된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제조 설비(10)는 캐스팅챔버(11), 전달부(12), 핀 텐터(13), 클립 텐터(14), 엣지 슬리팅 장치(15), 건조장치(16), 냉각장치(17) 및 권취장치(18)로 구성된다.
캐스팅챔버(11)에는 공급 블록(21), 드럼(22), 캐스팅 다이(23), 박리 롤러(26), 응축기(27) 및 회수 장치(28)가 설치된다. 도프는 도프 제조 설비(20)로부터 공급 불록(21)으로 공급된다. 상기 도프는 캐스팅 다이(23)을 통하여 지지체인 드럼(22)위로 캐스트된다. 드럼(22) 위에 형성된 캐스팅 필름(24)은 박리 롤러(26)를 사용하여 습윤필름(25)로서 박리한다. 응축기(27)는 캐스팅 필름(24) 및 습윤필름(25)으로부터 증발한 용매증기를 응축시키고 액화시킨다. 액화된 용매는 회수 장치(28)에 의하여 회수된다. 드럼(22)에 열전달매체 공급장치(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열전달매체 공급장치는 드럼(22)내부에 열전달매체를 공급하여 드럼(22) 의 표면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조정한다. 캐스팅챔버(11)에는 그 내부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온도 조절 장치(30)가 부착되어 있다.
공급 블록(21)의 내부에는 도프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캐스팅 다이(23)에는 감압챔버(2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감압챔버(32)는 드럼(22)의 회전방향에 대한 비드의 상류 구간에서 감압하여, 드럼(22)에 대한 비드의 접촉을 안정시킨다. 상기 비드는 캐스팅 다이(23)의 방전 포트와 드럼(22)사이의 도프이다. 상기 감압챔버(32)에는 재킷(도시 생략)을 부착하여 감압챔버(32)의 온도를 소정의 값으로 조정한다.
상기 드럼(22)는 연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스틸의 드럼이다. 상기 드럼(22)의 표면은 연마 가공되어 있다. 이에 의해, 드럼(22)위로 평면성이 우수한 캐스팅 필름(24)이 형성된다. 본 실시에 있어서, 상기 드럼(22)은 지지체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지지체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1쌍의 롤러에 감겨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엔드리스 캐스팅 벨트를 지지체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지지체의 폭은 도프의 캐스팅 폭보다 1.1~2.0배 정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부재의 재질은 내부식성, 고강도를 갖는 지지체,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인 것이 바람직하다.
캐스팅 다이(23)의 형상, 재질, 크기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옷걸이 형 캐스팅 다이를 이용하면 도프의 캐스팅 폭을 거의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캐스팅 다이(23)의 방전 포트의 폭은 도프의 캐스팅 폭보다 1.1~2.0배 정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내구성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캐스팅 다 이(23)의 재질을 석출경화된 스테인리스 스틸이 바람직하고, 디클로로메탄, 메탄올및 물의 혼합액에 3개월 동안 침지된 후에도 기액계면에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내부식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해질 용액에서의 부식실험에서 SUS316과 거의 동등한 내부식성을 가지는 재료도 적합할 수 있다. 내열성의 관점에서, 열팽창계수가 2×10-5(℃-1) 이하인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캐스팅 다이(23)의 방전 포트의 선단에는 내마모성 향상을 위한 경화 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세라믹스 코팅, 경화 크롬 도금, 질화처리 등을 사용해도 좋다. 경화층으로서 세라믹스를 사용할 경우에는 세라믹스는 연마할 수 있지만 부스러지지 않고, 공극률이 낮고 내부식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다. 캐스팅 다이에 대한 밀착도는 높으나 도프에 대한 밀착도는 낮은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텅스텐카바이드(WC), Al2O3, TiN, Cr2O3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WC가 특히 바람직하다. WC코팅은 공지의 용사법에 의해 수행해도 좋다.
전달부(12)에는 복수의 롤러(35)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35)는 드럼(22)으로부터 박리된 습윤필름(25)을 핀 텐터(13)로 반송한다. 이하, 습윤필름(25)의 반송 방향을 A방향이라고 한다. 습윤필름(25)의 반송경로 위쪽에는 송풍기(36)를 설치한다. 상기 송풍기(36)는 습윤필름(25)에 건조풍을 송풍하여 습윤필름(25)의 건조를 촉진시킨다.
핀 텐터(13)에는 습윤필름(25)의 양쪽 측단부(이하 "단부"라 한다.)가 핀으 로 꽂혀서 유지되고, 상기 핀으로 유지한 상태로 습윤필름(25)을 반송한다. 핀 텐터(13)에 대해 후술한다. 건조풍 덕트 (52, 53)(도 3 참조)으로부터 습윤필름(25)에 건조풍을 송풍하여 습윤필름(25)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고, 이에 의해 습윤필름(25)의 건조가 촉진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건조풍은 배기구(60a)(도 3 참조)를 통해 건조풍 순환 장치(60)(도 3 참조)로 보내진다. 상기 건조풍 순환 장치(60)는 건조풍으로부터 용매 및 가소제를 흡착 회수하고 나서, 흡착 후의 회수된 건조풍을 건조풍 덕트(52,53)로 공급한다.
클립 텐터(14)는 핀 텐터(13)의 하류에 설치된다. 클립 텐터(14)에서는, 상기습윤필름(25)의 단부를 유지하면서 반송하고 건조시킨다. 클립 텐터(14)안에서 건조풍 덕트(도시 생략)는 상부 및 하부 각각에 배치되어 습윤필름(25)이 건조풍 덕트 사이에 놓이도록 한다. 습윤필름(25)은 상기 건조덕트에 의해 건조된다. 이에 의해 필름(37)을 제조한다. 상기 클립 텐터(14)는 필요에 따라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 클립 텐터(14)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핀 텐터 (13)으로부터 나온 필름(37)은 건조장치(16)로 보내진다.
상기 필름(37)은 상기 클립 텐터(14)로부터 엣지 슬리팅 장치(15)로 보내진다. 상기 엣지 슬리팅 장치(15)는 필름(37)의 단부를 잘라낸다. 분쇄기(66)은 상기 엣지 슬리팅 장치(1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쇄기(66)는 잘려진 필름(37)의 단부를 칩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필름(37)은 건조장치(16)로 보내진다. 상기 건조장치(16)의 내부에는 복수의 롤러(6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름(37)은 롤러 (67)에 의해 반송되면서 건조된다. 상기 건조장치(16)에서 필름(37)으로부터 증발한 용 매 가스는 건조장치(16) 바깥쪽에 배치된 회수 장치(69)에 의해 흡착 회수된다. 흡착에 의해 용매 가스로부터 용매 성분이 제거된 후에, 상기 가스는 건조장치(16)로 보내진다. 건조장치(16)을 나온 필름(37)은 냉각장치(17)로 보내진다. 상기 냉각장치(17)에서 필름(37)은 거의 실온까지 냉각된다. 상기 엣지 슬리팅 장치는 핀 텐터(13)의 출구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 상기 필름(37)은 엣지 슬리팅 장치에 의해 단부가 절단된 후에 클립 텐터로 보내진다.
상기 필름(37)은 냉각장치(17)로부터 권취축(70)을 구비하고 있는 권취 장치(18)로 보내진다. 상기 필름(37)은 상기 권취축(70)에서 롤 형태로 권취된다. 상기 권취 장치(18)는 프레스 롤러(71)를 가진다. 상기 프레스 롤러(71)는 권취 압력을 조정하면서 필름(37)을 권취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 텐터(13)은 습윤필름(25)의 가장자리(25a)를 유지한 상태로 습윤필름(25)을 A방향으로 반송한다. 그와 동시에 핀 텐터(13)은 폭 방향(이하 "B방향"이라고 한다)으로 상기 습윤필름(25)을 소정의 연신율로 연실한다.
상기 핀 텐터(13)는 브러시 롤러(40), 집진 장치(42), 레일(44), 스프로킷(리턴 경로 부재)(46~48), 건조풍 덕트(52, 53), 레일 커버(덕트)(54), 및 핀 캐리어(엔드리스 루프 이동부)(58)을 가진다. 스프로킷(46~48)은 핀 캐리어(58)의 리턴 경로를 결정한다.
브러시 롤러(40)은 핀 텐터(13)의 입구(13a)의 근방에 배치된다. 상기 브러시 롤러(40)은 핀 텐터(13)에 들어간 습윤필름(25)의 단부(25a)에 꽂히는 핀 (72)(도 4 참조)에 사용된다. 집진 장치(42)는 핀 텐터(13)의 출구(13b)의 근방에 배치되어 단부(25a)의 먼지를 흡인에 의해 제거한다.
레일(44)는 습윤필름(25)의 반송로의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레일(44)간의 거리 및 레일(44)간의 거리의 확장은 습윤필름(25)의 연신율에 따라서 결정된다. 도 2에 묘사된 연신상태는 어느 정도 과장된 것이다. 도 2는 패턴 확장의 예를 보여준다. 패턴 확장은 필름의 광학 특성을 고려하여 채택되어도 좋다. 각각의 레일(44)은 상하로 배치되는 1쌍의 레일(44a, 44b)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로킷(46, 47)은 핀 텐터(13)의 입구(13a)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로킷(48)은 핀 텐터(13)의 출구(13b)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로킷(46)의 이(59)(도 5 참조)는 핀 캐리어(58)의 피팅홈(74b)(도 5 참조)에 맞물린다. 동일한 방식으로, 스프로킷(47, 48)의 이(도시 생략)도 핀 캐리어(58)의 피팅홈(74b)에 맞물린다. 핀 캐리어(58)는 레일(44)위에서 서로 연결된다. 스프로킷(48)이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상기 핀 캐리어(58)는 레일(44)에 따라 이동한다. 상기 핀 캐리어(58)의 이동에 따라 스프로킷(46, 47)이 회전한다.
건조풍 덕트(52)는 습윤필름(25)의 반송경로를 따라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건조풍 덕트(53)은 습윤필름(25)의 반송경로를 따라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건조풍 덕트(52)는 습윤필름(25)의 하면에 건조풍을 송풍한다. 상기 건조풍 덕트(53)는 습윤필름(25)의 상면에 건조풍을 송풍한다. 건조풍 덕트(52, 53)로부터 송풍되는 건조풍의 온도는 40℃ 이상 200℃ 이하의 범위에서 소정의 온도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습윤필름(25)의 건조가 촉진되고 습윤필름(25)로부터 용매 증기가 증발한다.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커버(54)는 레일(44a,44b) 및 핀 캐리어(58)의 일부를 덮는다. 상기 레일 커버(54)내에서 레일(44a)은 내부 상면에, 레일(44b)은 내부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핀 캐리어(58)은 레일(44a)과 레일(44b)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레일 커버(54)에는 핀 캐리어(58)의 이동 방향에 따라 슬릿(54)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54a)은 차폐부재(75)로 덮여 있어서, 레일 커버(54)안으로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 및 냉각가스가 새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차폐부재(75)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프로킷(46) 부근에 위치한 각각의 레일 커버(54)에는 슬릿(5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로킷(46)은 슬릿(54b)으로 들어간다. 이는 스프로킷(47) 부근에 위치한 레일 커버(54)에 대해서도 동일한 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 캐리어(58)는 핀(72), 핀 플레이트(73), 캐리어 본체(74), 차폐부재(75)와 안내 롤러(76~79)로 구성된다.
각각의 핀 플레이트(73)에는 복수의 핀(72)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핀 플레이트(73)은 차폐부재(75)의 차폐부(75a)에 고정되어 있다. 캐리어 본체(74)의 측면에는 차폐부재(75)를 지지하기 위한 돌기부(7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74a)에 차폐부재(75)가 고정된다. 캐리어 본체(74)의 하면의 중앙부에는 피팅홈(7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피팅홈(74b)는 스프로킷(46, 47, 48)의 이와 맞물린다.
상기 차폐부재(75)는 레일 커버(54)의 슬릿(54a)을 통해, 캐리어 본체(74)의 돌기부(74a)에 고정되어 있다. 차폐부재(75)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확장되어 레일 커버(54)의 슬릿(54a)을 덮는 차폐부(75a)를 갖고 있다. 차폐부(75a)에 의해 습윤필름(25)로부터 증발한 용매증기를 함유하는 건조풍이 레일 커버(54)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75a)는 스팀 세정 구간(82)(도 7 참조)에서 핀(72) 및 핀 플레이트(73)을 스팀 세정할 때 스팀이 레일 커버(54)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팀 세정 구간(8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안내 롤러(76, 77)는 캐리어 본체(74)의 상부 표면에 레일(44a)의 간격만큼 벌려서 배치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안내 롤러(78, 79)는 캐리어 본체(74)의 하면에 레일(44b)의 폭만큼 벌려서 배치된다. 상기 안내 롤러(76, 77)는 레일(44a)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안내 롤러(78, 79)는 레일(44b)를 유지하고 있다. 안내 롤러(76~79)는 캐리어 본체(74)가 레일(44a, 44b)을 따라서 이동할 때 캐리어 본체(74)를 안내한다.
각 캐리어 본체(74)의 이동방향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연결 브래킷(도시 생략)이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연결 브래킷에는 연결 핀(도시 생략)이 수평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연결 핀을 통해 캐리어 본체(74)가 연결되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 브래킷과 연결 핀을 사용하여 블럭형태로 캐리어 본체를 연결하는 대신에 체인을 이용하여 핀 캐리어를 구성하여도 좋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 텐터(13)에는 핀 캐리어(58)의 주행 방향에 따라 가스 퍼지 구간(81), 스팀 세정 구간(82), 제트 가스 세정 구간(83), 제 1 냉각 구간(84), 드라이 아이스 세정 구간(85), 제 2 냉각 구간(86)이 구비된다. 상기 스팀 세정 구간(82), 제트 가스 세정 지역(83), 및 드라이 아이스 세정 구간(85)에 서 세정에 의해 제거되는 이물질의 대부분은 습윤필름(25)로부터 증발된 용매 증기에 함유되는 성분이고, 구체적으로는 액화 또는 고화된 도프의 첨가제이다. 상기 첨가제는 TPP(트리페닐포스페이트)와 같은 가소제, 벤조트리아졸 UV흡수제 등이다. 이물질에는 또한 액화 또는 고화된 광학특성조절제도 함유되어 있다.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 퍼지 구간(81)에서 레일 커버(54)에는 가스 공급용의 노즐(90)과 가스 배출용의 배기관(91)이 연결되어 있다. 노즐(90)의 배출공과 배기관(91)의 흡기공은 레일 커버(54)의 내부를 향하여 있다. 상기 가스 퍼지 구간(81)에는 질소 가스 공급부(94), 흡인 장치(95) 및 필터(9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질소 가스 공급부(94)는 노즐(9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흡인 장치(95)는 배기관(9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흡인 장치(95)는 필터(96)를 사이에 두고, 질소 가스 공급부(94)와 연결되어 있다.
가스 퍼지를 행하기 위해, 질소 가스가 질소 가스 공급부(94)로부터 노즐(90)에 공급된다. 이 질소 가스는 노즐(90)의 배출공을 통해 레일 커버(54) 내부로 공급된다. 노즐(90)을 통해 질소 가스가 송풍됨에 따라 레일 커버(54) 내부의 압력이 상승한다. 그와 동시에 캐리어 본체(74), 안내 롤러(76~79) 및 레일 (44a, 44b)에 부착된 이물질이 질소 가스에 의해 제거된다. 흡인 장치(95)는 배출 기관(91)의 흡기공을 통해 가압 상태의 레일 커버(54) 내부로부터 질소 가스를 흡인하여, 이물질을 축적시킨다. 필터(96)은 흡인 장치(95)로 흡인된 질소 가스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나서, 상기 질소 가스는 질소 가스 공급부(94)에 보내진다.
핀 텐터(13)의 가스 퍼지 구간(81)에서, 습윤필름(25)의 단부(25a)가 핀(72)으로부터 해방되는 구간에서는 특히 용매 증기의 농도가 높아진다. 레일 커버(54)내부에 용매 증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질소 가스를 공급하여 레일 커버(54) 내부의 압력을 올린다. 만일 레일 커버(54) 내부로 용매 증기가 들어가서, 액화 또는 고화되어 이물질로서 안내 롤러(76~79)에 부착된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이물질은 질소 가스의 송풍에 의해 제거된다. 제거된 이물질은 흡인 장치(95)에 의해 레일 커버(54)로부터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핀 캐리어(58)의 이동을 저해하는 이물질이 제거된다. 그 결과로서 핀 캐리어(58)은 레일(44)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한다.
가스퍼지는 습윤필름(25)가 반송되는 구간에 한하지 않는다. 가스 퍼지는 핀 캐리어(58)가 이동하는 전 구간에 걸쳐 행해져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즐(90) 및 배기관(91)은 레일 커버(54)의 반대 측에 위치한다. 배기관(91)은 핀 캐리어(58)의 이동방향에서 노즐(90)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할 수도 있다. 노즐(90)과 배기관(91)이 분리되어 위치하는 것에 의해, 레일 커버(54) 내부 압력을 핀 텐터(13) 내부보다 높게 설정하여 효율적이다. 가스 퍼지 구간(81)에서는 노즐(90) 및 배기관(91)이 핀 캐리어(58)의 이동 방향에 대해 적당한 간격으로 구비되어도 좋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팀 세정 구간(82)에는 노즐(120a~120c)이 설치되 어 있다. 상기 노즐(120a~120c)은 스팀 송풍에 사용된다. 노즐(120a)의 배출공은 핀(72) 및 핀 플레이트(73)를 향해 있다. 노즐(120b, 120c)의 배출공은 레일(44a, 44b), 캐리어 본체(74), 안내 롤러(76~79)를 향해 있다. 스팀 세정 구간(82)에는 스팀 공급부(1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팀 공급부(122)는 노즐(120a~120c)에 연결되어 있다.
스팀 세정을 행하기 위해, 상기 스팀 공급부(122)로부터 노즐(120a~120c)로 스팀이 공급된다. 상기 스팀은 노즐(120a)의 배출공으로부터 핀(72)과 핀 플레이트(73)로 송풍된다. 상기 스팀은 노즐(120b, 120c)의 배출공으로부터 레일(44a, 44b), 케리어 본체(74) 및 안내 롤러(76~79)로 송풍된다. 이것에 의해 핀(72), 핀 플레이트(73), 레일(44a, 44b), 캐리어 본체(74) 및 안내 롤러(76~79)에 붙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물질의 제거는 스팀의 사용에 한하지 않는다.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액체를 함유하는 증기를 사용해도 좋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트 가스 세정 구간(83)에는 제트가스를 송풍하기 위한 노즐(125a~125c)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질소 가스가 제트가스로서 이용된다. 노즐(125a)의 배출공은 핀(72) 및 핀 플레이트(73)를 향하여 있다. 노즐(125b, 125c)의 배출공은 레일(44a, 44b), 캐리어 본체(74) 및 안내 롤러(76~79)를 향하여 있다. 제트 가스 세정 구간(83)에는 질소 가스 공급부(127)가 설치되어 있다. 질소 가스 공급부(127)은 노즐(125a~125c)와 연결되어 있다.
제트 가스 세정을 하기 위해 질소 가스를 질소 가스 공급부(127)로부터 노즐(125a~125c)로 공급한다. 이 질소 가스는 노즐(125a)의 배출공으로부터 핀(72) 및 핀 플레이트(73)로 송풍되고 노즐(125b, 125c)의 배출공으로부터 레일(44a, 44b), 캐리어 본체(74), 안내 롤러(76~79)에 송풍된다.
이 질소 가스에 의해 스팀 세정 후 핀(72) 및 핀 플레이트(73) 위에 남은 수분과 이물질이 제거된다. 상기 질소 가스의 유속은 10m/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1 냉각 구간(84)에 1쌍의 핀 커버(130)가 설치되어 있다. 각 핀 커버(130)은 각각 레일(44) 위의 핀 캐리어(58)의 핀(72) 및 핀 플레이트(73)을 덮고 있다. 이 핀 커버(130)의 반대면에는 공급슬릿(130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냉각 구간(84)에서는 각각의 레일 커버(54)에 노즐(132)가 연결되어 있다. 노즐(132)의 배출공은 레일 커버(54)의 내부를 향하여 있다. 제 1 냉각 구간(84)에는 냉각풍 공급부(1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냉각풍 공급부(134)는 공급 슬릿(130a)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냉각 구간(84)에서, 레일 커버(54)의 내부 및 핀 커버(130)의 내부의 전체 온도를 거의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냉각풍 공급부(134)로부터 냉각풍이 공급된다. 냉각풍은 소정의 온도, 예를 들면, -30℃ 이상 30℃ 이하이다. 이것에 의해 레일 커버(54)의 내부 및 핀 커버(130)의 내부 전체의 온도가 TPP의 융점 이하, 즉 50℃ 이하가 된다. 핀 캐리어(58) 및 레일(44a, 44b)의 온도는 상기 전체 온도와 거의 동일하다. 습윤필름(25)로부터 용매와 함께 증발한 TPP 등이 핀 캐리어(58)의 이동에 따라 제 1 냉각 구간(84)안에 들어가 버렸을 경우에는 이러한 TPP 등이 핀 캐리어(58), 레일(44a, 44b)에서 석출될 것이다.
제 2 냉각 구간(86)에서는, 핀(72) 및 핀 플레이트(73)만이 냉각풍으로 냉각한다. 제 2 냉각 구간(86)은 핀 커버(130)가 설치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냉각 구간(84)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냉각 구간(86)에서는 핀(72) 및 핀 플레이트(73)의 냉각이 촉진되어 핀(72) 및 핀 플레이트(73)의 표면온도가 35℃ 이상 50℃이하가 된다. 이것에 의해 단부(25a)로 핀(72)을 꽂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라이 아이스 세정 구간(85)에는 노즐(140a~140c)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140a~140c)에서 드라이 아이스 입자를 송풍한다. 노즐(140a)의 배출공은 핀(72) 및 핀 플레이트(73)를 향하여 있다. 노즐 (140b, 140c)의 배출공은 레일(44a, 44b), 캐리어 본체(74), 안내 롤러(76~79)를 향하여 있다. 이 드라이 아이스 세정 구간(85)에는 에어 공급부(142)와 드라이 아이스 생성부(1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 공급부(142)는 배관(145)을 통해 노즐(140a~140c)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드라이 아이스 입자 생성부(143)은 배관(146)을 통해 배관(145)과 연결되어 있다.
드라이 아이스 세정을 하기 위해, 에어 공급부(142)는 에어를 배관(145)에 공급한다. 드라이 아이스 입자 생성부(143)는 드라이 아이스 입자를 생성한다. 이 드라이 아이스 입자는 배관(146)을 통해 배관(145)의 에어와 혼합된다. 에어와 드라이 아이스 입자가 혼합된 혼합 에어(148)은 노즐(140a)을 통해, 핀(72) 및 핀 플레이트(73)에 송풍되고 노즐(140b, 140c)을 통해 레일(44a, 44b), 캐리어 본체(74) 및 안내 롤러(76~79)에 송풍된다. 드라이 아이스 생성부(143)를 사용하는 대신에, 드라이 아이스는 노즐 내에 CO2 가스와 압축 에어를 도입하여, 드라이 아이스 입자를 형성해도 좋다.
이 혼합 에어(148)를 송풍하는 경우 드라이 아이스 입자가 핀(72), 핀 플레이트(73), 레일(44a, 44b), 캐리어 본체(74), 안내 롤러(76~79)에 부착되어 있었던 이물질과 충돌한다. 이 충돌에 의해 이물질은 분쇄되어 제거된다. 제거된 이물질은 혼합 에어(148)을 타고 집진기(도시 생략)로 집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드라이 아이스 입자를 함유하는 혼합 에어(148)을 송풍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러나 이물질에 충돌해서 승화하는 성질을 가지는 입자라면 이러한 드라이 아이스에 한하지 않는다. 드라이 아이스 입자를 송풍하는 것은 에어를 사용하는데 한하지 않는다. 대신에,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를 사용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노즐(90, 120a~120c, 125a~125c, 132, 40a~140c)및 배기관(91)의 레이아웃과 설치개수는 도면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변경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습윤필름(25)은 단부(25a)의 유지 후 해방 전에 그것을 반전시키지 않고 반송한다. 그러나 습윤필름을 반송하는 방법은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습윤필름을 수 회 반전시키면서 반송하는 다단계 반송방식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스 퍼지 구간(81) 및 제트 가스 세정 구간(83)에 있어서 질소가스가 사용된다. 질소 가스 대신에, 다른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여도 좋다. 질소 가스 대신에 에어를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그 에어에 포함되는 가소제와 UV흡수제의 농도가 100pp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농도는 10ppb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농도는 1ppb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핀, 핀 플레이트, 안내 롤러 등을 세정한다. 또한, 스프로킷의 이를 세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프로킷의 이를 세정함으로써 스프로킷의 이와 핀 캐리어의 피팅홈의 맞물림이 향상된다. 따라서 핀 캐리어는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한다. 스프로킷에 부착된 이물질이 세정에 의해 제거되어, 필름이 스프로킷과의 접촉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4종의 세정, 즉, 가스 퍼지, 질소 가스 송풍에 의한 제트가스 세정, 스팀 송풍에 의한 스팀 세정 및 드라이 아이스 입자가 혼합된 에어의 송풍에 의한 드라이 아이스 세정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들 4종의 세정을 모두 할 필요는 없다. 필요하다면 가스 퍼지 이외의 세정을 선택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가스 퍼지와 그 외의 상기 3종의 세정 방법중 어느 하나와의 조합, 또는 (가스 퍼지와 그외의 상기 3종의 세정 방법중) 어느 2종과의 조합으로 수행해도 좋다. 가스 퍼지를 상시 행하여도 좋고, 가스 퍼지 이외에 상기 3종의 세정을 필요에 따라 간헐적으로 행해도 좋다. 간헐적으로 세정하기 위해, 상기 3종의 세정을 동시에 행하여도 좋고, 또는 각각의 세정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행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본 발명의 핀 텐터(13)는 상기 필름 제조 설비(10)에 도입된다. 그러나 제조 설비는 상기에 한하지 않는다. 핀 텐터는 웹을 제조하는 웹 제조 설비 등의 다른 제조 설비에서 실시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핀 텐터에 적용한다. 그러나 상기에 한하지 않는다. 클립 텐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클립을 가지는 캐리어 본체로 엔드리스 루프 이동부가 구성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조되는 필름(37)의 폭은 1400mm 이상 25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37)의 폭이 250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로 제조되는 필름(37)의 두께는 20μm 이상 1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37)의 두께는 20μm 이상 8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37)의 두께는 30μm 이상 70μm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1종의 도프로부터 단층의 필름을 제조한다.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캐스팅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효과를 발휘한다. 이 경우에는 소정의 수의 도프를 동시 혹은 순차로 캐스팅하는 공지의 방법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캐스팅 다이, 감압챔버, 및 유지부재의 구조, 코-캐스팅, 박리, 연신, 각 공정의 건조 조건, 취급법, 컬링, 평면성 교정 후의 권취방법, 용매 회수 방법, 필름 회수 방법이 일본특허공개 제2005-104148호의 [0617]~[0889]단락에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재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완성된 필름의 성능, 컬의 정도, 두께 및 이들의 측정방법은 일본특허공개 제 2005-104148호의 [1073]~[1087]단락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재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완성된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표면 처리를 실시하면, 편광필터 등의 광학 부재와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진공 글로우 방전처리, 대기압 플라즈마 방전처리, 자외선 조사처리, 코로나 방전처리, 화염처리, 산처리 및 알칼리처리가 있고, 이들 중에서 1종 이상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성된 필름(37)은 적어도 한 면에 소정의 기능층을 구비하여 기능성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기능의 예로는 대전 방지층, 경화 수지층, 반사 방지층, 접착용이층, 방현층, 광학보상층 등이 있다. 예를 들면, 완성된 필름(37)에 반사 방지층을 구비하여 반사 방지 필름이 제조된다.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은 빛의 반사를 방지하여 고화질을 제공한다. 상기 필름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기능층 및 그 형성 방법은 일본특허공개 제 2005-104148호의 [0890]~[1072]단락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들 기재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특허공개 제 2005-10414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TN형, STN형, VA형, OCB형, 반사형 및 기타 형태의 액정표시장치에 상기 폴리머 필름을 이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프 제조 설비(20)에서 제조되는 도프의 원료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프의 원료로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사용하면, 투명도가 높은 필름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도프에 함유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부티레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의 저급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우수한 광학 투명도를 갖는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가 바람 직하고,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도프는 폴리머로서 TAC를 함유한다. 90질량% 이상의 TAC 입자가 직경 0.1~4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도가 높은 필름을 얻기 위하여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의 아실기에 대한 히드록시기의 치환도는 하기 식 (a)~(c)의 모두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2.5≤A+B≤3.0
(b) 0≤A≤3.0
(c) 0≤B≤2.9
상기 식 (a)~(c)에서, A는 아세틸기에 대한 히드록시기 중의 수소원자의 치환도이고, B는 탄소수 3~22의 아실기에 대한 히드록시기 중의 수소원자의 치환도이다.
상기 셀룰로오스는 β-1,4 결합하고 있는 글루코오스 단위로 구성되고, 각각의 글루코오스 단위는 2위, 3위 및 6위에 유리된 히드록시기를 가지고 있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는 히드록시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에스테르화되어 상기 히드록시기가 탄소수 2 이상의 아실기로 치환된 폴리머이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에서 상기 아실기에 대한 치환도는 2위, 3위 또는 6위에서의 히드록시기의 에스테르화도 이다. 따라서 같은 위치에서 히드록시기 100% 치환된 경우, 그 위치의 치환도는 1이다.
글루코오스 단위마다 2위, 3위 또는 6위에서의 히드록시기에 대한 아실기의 치환도를 각각 DS2, DS3 및 DS6으로 표시할 때, 2위, 3위 및 6위에서의 히드록시기 에 대한 아실기의 전체 치환도(즉, DS2+DS3+DS6의 값)는 2.00~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22~2.9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2.40~2.88이다. 또한, DS6/(DS2+DS3+DS6)는 0.2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0.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0.31~0.34이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에는 1종 이상의 아실기가 함유되어도 좋다. 2종 이상의 아실기를 사용하는 경우, 그들 중 1개가 아세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히드록시기의 아세틸기에 대한 전체 치환도와 2위, 3위 또는 6위에서의 히드록시기에 대한 아세틸기 이외의 아실기의 치환도를 각각 DSA와 DSB로 표시하면, D0SA+DSB의 값은 2.22~2.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SA+DSB의 값이 2.40~2.88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DSB는 0.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7 이상이다. 또한, DSB 중 6위에서 히드록시기에 대한 치환기의 비율이 20%인 것이 바람직하며, 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3%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의 6위에서의 DSA+DSB의 값은 0.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80 이상이며, 특히 0.85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건을 충족하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를 사용하여 용해성이 우수한 도프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를 함유하는 비염소계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우수한 용해성을 갖고, 저점도이며, 여과성이 우수한 도프를 제조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의 원료인 셀룰로오스는 코튼 린터 또는 펄프로부터 얻을 수 있다.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아실기로서는 지방족기 또는 아릴기가 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의 예로는, 알킬카르보닐에스테르, 알케닐카르보닐에스테르, 방향족 카르보닐에스테르, 방향족 알킬카르보닐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는 다른 치환기를 가진 에스테르이어도 좋다. 바람직한 치환기로는 프로피오닐기, 부타노일기, 펜타노일기, 헥사노일기, 옥타노일기, 데카노일기, 도데카노일기, 트리데카노일기, 테트라데카노일기, 헥사데카노일기, 옥타데카노일기, 이소부타노일기, t-부타노일기, 시클로헥산카르보닐기, 올레일기, 벤조일기, 나프틸카르보닐기, 신나모일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로피오닐기, 부타노일기, 도데카노일기, 옥타데카노일기, t-부타노일기, 올레일기, 벤조일기, 나프틸카르보닐기, 신나모일기 등이 보다 바람직하고, 프로피오닐기 및 부타노일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에 대해서는 일본특허공개 제 2005-104148호 공보의 [0140]~[0195] 단락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기재도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도프의 원료 중 하나인 용매는 폴리머를 용해시킬 수 있는 유기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도프는 용매에 폴리머를 용해 또는 분산시켜서 제조된 혼합물이다. 따라서, 폴리머에 대해 낮은 용해성을 가지는 용매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도프 제조를 위한 바람직한 용매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방향족 탄화수소(예를 들면, 벤젠, 툴루엔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류(예를 들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 름, 클로로벤젠 등), 알코올류(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n-부탄올, 디에틸렌글리콜 등), 케톤류(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등), 에테르류(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틸셀로솔브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매들 중에서 2종 이상의 용매를 혼합한 혼합 용매를 이용해도 좋다. 상기 용매 화합물 중에서도 디클로로메탄이 바람직하다. 디클로로메탄의 사용시, 용해도가 우수한 도프를 얻을 수 있고, 캐스팅 필름에 함유되는 용매를 단시간 내에 증발시켜서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할로겐화 탄화수소류로는, 탄소수 1~7인 것이 바람직하다. TAC의 용해성, 지지체로부터 캐스팅 필름의 박리성(박리의 용이성에 대한 지표), 기계적 강도 및 필름의 광학 특성의 관점에서, 디클로로메탄과 함께 탄소수 1~5의 알코올의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코올의 함유량은 용매에서 전체 용매 화합물에 대해 2~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2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탄올, 에탄올, n-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지 않는 도프를 제조해도 좋다. 이 경우, 탄소수 4~12의 에테르류, 탄소수 3~12의 케톤류, 탄소수 3~12의 에스테르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용매를 사용해도 좋다. 에테르류, 케톤류, 및 에스테르류는 환상 구조를 가져도 좋다. 이들 관능기(-O-, -CO-, 및 -COO-) 중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1종 이상의 용매 화합물이 유기 용매에 함유되어도 좋다. 상기 용매는 알코올성 히드록시기와 같은 다른 관능기를 함유하여도 좋다. 2종 이상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용매 화합물의 경우, 그 탄소수가 관능기 중 임의의 하나를 갖는 화합물의 규정 범위 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도프에 필요에 따라 가소제, UV흡수제, 열화 방지제, 윤활제, 및 박리 촉진제와 같은 공지의 첨가물을 첨가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공지의 가소제로서 트리페닐포스페이트, 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등의 인산에스테르 가소제, 디에틸프탈레이트등의 프탈산에스테르계 가소제,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프에는 필름의 굴절률을 조정하고 필름끼리의 접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립자를 첨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자로서는 이산화실리콘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산화실리콘 유도체"는 이산화실리콘 및 삼차원의 망상구조를 갖는 실리콘 수지가 포함된다. 상기 이산화실리콘 유도체는 그 표면이 알킬화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화 미립자와 같이 소수화 미립자는 용매에 대한 분산성이 뛰어나다. 그 결과, 미립자의 응집이 도프를 제조하고,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투명도가 높고 표면 결함이 적은 필름이 제조된다.
표면이 알킬화된 상기 미립자의 예로는, 표면에 옥틸기가 도입된 이산화실리콘 유도체로서 시판되고 있는 Aerosil R805(Degussa Japan, Co., Ltd.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의 효과를 확보하면서, 투명도가 높은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 도프의 고형분에 대한 미립자의 함유량은 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립자가 빛의 통과를 저해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균 입경은 1.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0μm이며, 0.4~0.8μ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투명도가 우수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TA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용매와 혼합되는 도프의 총량에 대하여 TAC의 비율이 5~4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7~25중량%이다. 첨가제(주로 가소제)의 비율은 도프 중에 함유되는 폴리머와 기타 첨가제들을 포함한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1~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 가소제, UV흡수제, 열화 방지제, 윤활제, 박리 촉진제, 광학 이방성 조절제, 리타데이션 조절제, 염료, 및 박리제 등의 각종 첨가제, 및 미립자에 대해서는 일본특허공개 제 2005-104148호의 [0196]~[0516]단락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들 기재를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소재, 원료, 첨가제의 용해 방법 및 첨가 방법, 여과 방법 및 소포법을 포함한 TAC을 이용한 도프의 제조방법은 일본특허공개 제 2005-104148호의 [0517]~[0616]단락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기재도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의 필름 제조 설비(10)를 이용하여 필름(37)을 제조하였다. 적당량의 도프를 도프 제조 설비(10)으로부터 공급 블록(21)을 통해 캐스팅 다이(23)에 공급하 였다. 상기 캐스팅 다이(23)로부터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드럼(22) 위로 상기 도프를 캐스팅하였다. 이렇게 하여 캐스팅 필름(24)을 형성하였다. 캐스팅 다이(23)의 방전 포트는 폭이 1.8m인 슬릿이었다. 캐스팅 시 도프의 온도는 36℃였다. 상기 공급 블록(21)의 내부온도는 36℃였다. 감압챔버(32)의 압력은 600Pa로 설정하였고, 드럼(22)의 회전방향에 대해 비드로부터 상류구간의 압력을 감소시켰다.
드럼(22)은 회전수의 조절이 가능한 스텐인리스 스틸 드럼이었다. 열전달매체 공급장치(도시 생략)로부터 냉매를 드럼(22)의 내부에 공급하였다. 이렇게 하여, 드럼(22)의 표면온도를 -10℃로 조절하였다. 온도조절장치(30)을 사용하여 캐스팅실(11)의 내부온도를 상시 35℃로 유지하였다.
상기 캐스팅 필름(24)을 냉각 및 겔화시켰다. 캐스팅 필름(24)이 자가지지 성을 갖게 되었을 때 박리 롤러(26)를 사용하여 캐스팅 필름(24)을 습윤필름(25)으로서 박리하였다. 그 후에 상기 습윤필름(25)를 전달부(12)로 보냈다. 상기 습윤필름(25)은 복수의 롤러(35)로 유지하면서 전달부(12)를 통해 반송하였다. 반송 중에 송풍기(36)로부터 40℃로 조정된 건조풍을 공급하여 전달부(12) 및 필름(37)을 건조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습윤필름(25)의 단부(25a)에 핀(72)(도 4 참조)를 꽂아 유지하였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습윤필름(25)을 반송하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습윤필름(25)의 반송경로 상부에 건조풍 덕트(52)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 건조풍 덕트(53)를 설치하였다. 제 1 냉각구간(84)에서, 핀 캐리어(58), 핀(72) 및 핀 플레이트(73)을 냉각풍으로 냉각시켰다. 제 2 냉각지역(86)에서, 핀(72) 및 핀 플레이트(73)을 냉각풍으로 냉각시켰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습윤필름(25)을 핀 텐터(13)로부터 클립텐터(14)로 보냈다. 클립텐터(14)에서, 습윤필름(25)의 단부(25a)를 유지하면서 반송하였다. 상기 반송 중에 습윤필름(25)을 건조시켰다. 이에 의해, 필름(37)을 얻었다. 필름(37)의 측부(25a)를 엣지 슬리팅 장치(15)를 사용하여 필름(37)의 양쪽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50mm의 위치의 라인을 따라 절단하였다. 상기 엣지 슬리팅 장치(15)는 필름(37)의 전단이 클립텐터(14)의 출구로부터 30초 이내에 도달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NT형 커터였다. 절단한 필름(37)의 측부를 커터 블로어(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분쇄기(66)에 보냈다. 절단한 측부를 평균 대략 80mm2 정도의 칩으로 분쇄하였다.
엣지 슬리팅 장치(15)와 건조장치(16) 사이에 예비건조챔버(도시 생략)를 설치하였다. 예비건조챔버에 100℃의 건조풍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필름(37)을 예열한다. 그 후에, 필름(37)을 건조장치(16)에 보냈다. 건조장치(16)에서 필름(37)을 복수의 롤러(67)에 걸쳐서 반송하였다. 반송 중에 필름(37)을 건조하였다. 건조장치(16)의 내부온도를 필름(37)의 표면온도가 140℃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건조장치(16)에서의 필름(37)의 건조시간을 10분으로 하였다. 필름(37)의 표면온도는 필름(37)의 반송경로 바로 위와 근방에 설치한 온도계(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건조장치(16)에서 필름(37)으로부터 증발된 용매증기는 회수장치(69)를 사용하여 회수하였다. 회수장치(69)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흡착제 및 건조 질소로 이 루어진 탈착제를 가졌다. 상기 용매 증기를 회수한 후, 수분량이 0.3중량% 이하가 될 때까지 용매 증기 내의 수분을 제거하였다.
건조장치(16)와 냉각장치(17) 사이에 습도조절챔버(도시 생략)을 설치하였다. 필름(37)에 온도 50℃, 이슬점 20℃인 에어를 공급하였다. 그리고 나서, 필름(37)에 직접 90℃, 습도 70%의 에어를 송풍하여 필름(37)의 컬을 교정하였다. 다음으로, 필름(37)을 냉각장치(17)로 보냈다. 30℃ 이하가 될 때까지 필름(37)을 서서히 냉각하였다.
필름(37)을 권취장치(18)로 보냈다. 프레스 롤러(71)를 사용하여 필름(37)에 50N/m의 압력을 가하면서 권취축(70)으로 권취하였다. 권취축(70)의 직경은 169mm이었다. 권취 시작 시의 장력을 300N/m로 하였다. 권취 종결시의 장력을 200N/m로 하였다. 이렇게 하여 롤 형태의 필름(37)을 권취하였다.
완성된 필름(37)의 폭은 1700mm이었다. 완성된 필름(37)의 두께는 80μm이었다. 캐스팅 필름(24) 및 필름(37)의 평균 건조 속도를 필름 제조 공정 전체에 걸쳐 20중량%/분으로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도프의 원료의 4가지 조성물은 다음과 같다.
[조성물 1]
메틸렌클로라이드 83.5중량부
메탄올 16중량부
부탄올 0.5중량부
물(외부 퍼센트) 0.2~1.0중량부
[조성물 2]
메틸렌클로라이드 84.5중량부
메탄올 13.5중량부
부탄올 2중량부
물(외부 퍼센트) 0.2~1.0중량부
[조성물 3]
메틸렌클로라이드 85중량부
메탄올 12중량부
부탄올 3중량부
물(외부 퍼센트) 0.2~1.0중량부
[조성물 4]
메틸렌클로라이드 92중량부
메탄올 8중량부
부탄올 0중량부
물(외부 퍼센트) 0.2~1.0중량부
또한, 상기 각 [조성물 1]~[조성물 4]에 이하의 재료들을 더하였다.
TAC 100중량부
가소제 A 7.6중량부
가소제 B 3.8중량부
UV흡수제a 0.7중량부
UV흡수제b 0.3중량부
시트르산 에스테르 혼합물 0.006중량부
미립자 0.05중량부
상기 TAC는 치환도 2.84, 점도평균중합도 306, 수분함유량 0.2중량%, 6중량%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의 점도 315mPa·s, 평균입자직경 1.5mm 및 평균입자의 표준편차 0.5mm를 만족시키는 분말이다. 상기 가소제 A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이다. 상기 가소제 B는 디페닐포스페이트이다. 상기 UV제"a"는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이며, UV제"b"는 2-(2'-히드록시-3',5'-디-tert-아밀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이다. 상기 시트르산 에스테르 혼합물은 시트르산, 시트르산모노에틸에스테르, 시트르산디에틸에스테르 및 시트르산트리에틸에스테르의 혼합물이다.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15nm, 모스경도가 약 7인 이산화실리콘이다. 도프의 제조시에는 리타데이션 조절제(N-N'-디-m-톨릴-N''-p-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2,4,6-트리아민)를 그 함량이 완성된 필름(37)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4.0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핀 텐터(13)에 있어서 핀(72), 핀 플레이트(73) 등의 세정을 이하의 실시예 1~4, 비교예 1 및 참고예 1, 2(표 1 참조)에 기재한 대로 하였다.
[실시예1]
제트가스 세정 구간(83)에서, 질소가스를 핀(72), 핀 플레이트(73), 캐리어 본체(74), 레일(44a, 44b), 안내 롤러(76~79)에 송풍하였다 (이하 제트가스 세정이라고 한다).
[실시예2]
제트가스 세정에 부가하여, 스팀 세정 구간(82)에서, 노즐(120a~120c)을 의해 핀(72), 핀 플레이트(73), 레일(44a, 44b), 캐리어 본체(74), 및 안내 롤러(76~79)을 향해 스팀을 송풍하였다(이하 스팀 세정이라고 한다).
[실시예3]
제트가스 세정 및 스팀 세정에 부가하여, 레일 커버(54, 55)의 내부를 질소가스로 퍼지 하였다(이하 가스 퍼지라 한다).
[실시예4]
제트가스 세정, 스팀 세정 및 가스퍼지에 부가하여, 드라이 아이스 세정 구간(85)에서, 드라이 아이스 입자를 혼합시킨 혼합 에어(148)을 핀(72), 핀 플레이트(73), 캐리어 본체(74), 레일(44a, 44b), 안내 롤러(76~79)에 송풍하였다(이하 드라이 아이스 세정이라고 한다).
[비교예1]
핀(72), 핀 플레이트(73), 캐리어 본체(74), 레일(44a, 44b), 안내 롤러(76~79)에 대하여, 제트가스 세정, 스팀 세정, 가스 퍼지 및 드라이 아이스 세정을 행하지 않았다.
[참고예1]
드라이 아이스 세정만을 실시하였다.
[참고예2]
드라이 아이스 세정 및 가스 퍼지만을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1]~[실시예4], [비교예1], 및 [참고예1]~[참고예2]의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표1에서, E1~E4는 [실시예1]~[실시예4]를 표시한다. CE1은 [비교예1]를 표시한다. RE1과 RE2는 [참고예1]~[참고예2]를 표시한다. "제트 가스"는 제트가스 세정을 표시한다. "스팀"은 스팀 세정을 표시한다. "드라이 아이스"는 드라이 아이스 세정을 표시한다. "Y"는 세정 또는 가스 퍼지를 실시하였음을 표시한다. "N"은 세정 또는 가스 퍼지를 실시하지 않았음을 표시한다.
Figure 112008022908115-PAT00001
표1에서, 핀 플레이트 세정효과는 핀 플레이트(73)에 부착된 이물질이 어느 정도 제거되었는지를 나타낸다. 안내 롤러 세정효과는 안내 롤러(76~79)에 부착된 이물질이 어느 정도 제거되었는지를 나타낸다. 효과의 평가에서, "A"는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고, 핀 플레이트(73) 또는 안내 롤러(76~79)를 1년 반 이상동안 보수 유지할 필요가 없음을 나타낸다. "B"는 핀 플레이트(73) 또는 안내 롤러(76~79)를 1년 반 이상동안 보수 유지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이물질이 제거된 것을 나타내고, "C"는 핀 플레이트(73) 또는 안내 롤러(76~79)가 1년 이상 1년 반 이내에는 보수 유지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이물질이 제거된 것을 나타낸다. "D"는 핀 플레이트(73) 또는 안내 롤러(76~79)가 반년 이상 1년 이내에는 보수 유지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이물질이 제거된 것을 나타낸다. "E"는 핀 플레이트(73) 또는 안내 롤러(76~79)가 반년 이내에는 보수 유지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이물질이 제거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반년을 초과하여 보수 유지가 불필요할 정도일 경우를 효과적인 것이라고 판정한다. 제트가스 세정뿐만 아니라 스팀 세정, 가스 퍼지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도 세정 효과가 향상된다. 특히 가스 퍼지를 더함으로써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된다. 참고예 1에서 증명되듯이 드라이 아이스 세정만으로도 제트가스 세정과 같은 정도의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의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충분히 기재하고 있으나 본 발명 다양한 변화,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변화와 변형이 아니라면, 그것들 또한 여기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의 상기 주제들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할 때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의 내용이 더욱 명확해지지만, 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여러 도면에 걸쳐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도 1은 필름 제조 설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핀 텐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핀 텐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레일, 레일 커버 및 핀 캐리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스프로킷의 이와 핀 캐리어의 홈이 맞물린 상태에서의 레일, 레일 커버 및 핀 캐리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가스 퍼지 구간 내의 레일, 레일 커버 및 핀 캐리어의 도 3의 라인VI-VI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스팀 세정 구간 내의 레일, 레일 커버 및 핀 캐리어의 도 3의 라인VII-VII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트 가스 세정 구간 내의 레일, 레일 커버 및 핀 캐리어의 도 3의 라인VIII-VIII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1 냉각 구간 내의 레일, 레일 커버 및 핀 캐리어의 도 3의 라인IX-IX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드라이 아이스 세정 구간 내의 레일, 레일 커버 및 핀 캐리어의 도 3의 라인X-X의 단면도이다.

Claims (9)

  1. 필름의 양쪽 측단부를 유지부재로 유지한 상태에서 각기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상기 유지부재를 갖는 캐리어 본체가 구비된 한쌍의 엔드리스 루프 이동부를 사용하여 상기 필름을 반송하는 동안, 상기 필름에 건조풍을 송풍함으로써 상기 필름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이 상기 유지부재로부터 해방되고 난 후 상기 유지부재 및 상기 캐리어 본체로 가스를 송풍하여 상기 유지부재 및 상기 캐리어 본체를 세정하는 세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건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상기 유지부재로부터 해방된 후, 상기 세정단계 전에 상기 유지부재 및 상기 캐리어 본체로 스팀을 송풍하여 상기 유지부재 및 상기 캐리어 본체를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건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상기 유지부재로 유지하고 있는 구간에서 상기 캐리어 본체를 덮고 있는 덕트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덕트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퍼지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건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상의 상기 불활성 가스의 공급위치 및 회수위치는 상기 필름이 상기 유지부재로부터 해방되는 필름 해방 위치 근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건조 방법.
  5.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지지체 위에 폴리머 및 용매를 함유하는 도프를 캐스팅 하여 캐스팅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스팅 필름을 상기 지지체로부터 습윤필름으로서 박리하는 단계;
    상기 습윤필름의 양쪽 측단부를 유지부재로 유지한 상태에서 각기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상기 유지부재를 갖는 캐리어 본체가 구비된 한쌍의 엔드리스 루프 이동부를 사용하여 상기 습윤필름을 반송하는 동안, 상기 습윤필름에 건조풍을 송풍함으로써 상기 습윤필름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습윤필름이 상기 유지부재로부터 해방되고 난 후 상기 유지부재 및 상기 캐리어 본체로 가스를 송풍하여 상기 유지부재 및 상기 캐리어 본체를 세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캐스팅 방법.
  6. 각기 필름의 양쪽 측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재를 갖는 캐리어 본체가 구비된, 필름을 반송하기 위한 한쌍의 엔드리스 루프 이동부로서, 상기 유지부재가 상기 캐리어 본체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엔드리스 루프 이동부;
    상기 유지부재에 의해 유지되고 반송되는 상기 필름에 건조풍을 송풍하여 상기 필름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부; 및
    상기 유지부재로부터 상기 필름을 해방한 후에 상기 유지부재 및 상기 캐리어 본체에 가스를 송풍하여 상기 유지부재 및 상기 캐리어 본체를 세정하기 위한 가스 송풍 세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건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본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상기 가스 송풍 세정부로부터 상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재 및 상기 캐리어 본체로 스팀을 송풍하여 상기 유지부재 및 상기 캐리어 본체를 세정하기 위한 스팀 세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건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캐리어 본체 및 레일을 덮기 위한 덕트;
    상기 덕트 내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덕트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퍼지하기 위한 불활성 가스 공급부; 및
    상기 불활성 가스 공급부에 의해 상기 덕트를 가압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덕트로부터 상기 불활성 가스를 회수하여, 회수된 상기 불활성 가스를 상기 불활성 가스 공급부로 보내기 위한 불활성 가스 순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건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상의 불활성 가스의 공급위치 및 회수위치는 상기 건조부의 상기 레일의 출구측 단부에 설치된 리턴 경로 부재의 근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건조장치.
KR1020080029388A 2007-03-29 2008-03-28 필름 건조 방법과 장치 및 용액 캐스팅 방법 KR101462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89607 2007-03-29
JPJP-P-2007-00089607 2007-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534A true KR20080088534A (ko) 2008-10-02
KR101462974B1 KR101462974B1 (ko) 2014-11-19

Family

ID=3979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388A KR101462974B1 (ko) 2007-03-29 2008-03-28 필름 건조 방법과 장치 및 용액 캐스팅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235982A1 (ko)
JP (1) JP5001197B2 (ko)
KR (1) KR101462974B1 (ko)
CN (1) CN10127580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180A (ko) * 2011-03-29 2012-10-1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건조 장치, 막의 건조 방법 및 용액제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9165B2 (ja) * 2010-03-10 2014-04-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テンタ装置及びテンタ装置内での異物除去方法並びに溶液製膜設備
CN102889753A (zh) * 2011-07-21 2013-01-23 江苏考普乐新材料股份有限公司 粉末涂料的片料半成品干燥工艺
CN112611171A (zh) * 2020-12-07 2021-04-06 江苏众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氟化钙的烘干工艺
CN114179250A (zh) * 2021-11-29 2022-03-15 威海光威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预浸机
JP2023125376A (ja) * 2022-02-28 2023-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742B2 (ja) * 1989-05-12 1994-09-14 共和真空技術株式会社 凍結真空乾燥装置および凍結真空乾燥方法
JPH1177719A (ja) * 1997-09-12 1999-03-23 Konica Corp セルローストリアセテートフィルム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FR2797782B1 (fr) * 1999-08-27 2001-11-02 Patrick Duhaut Film de protection a membrane semi-permeable, notamment selectivement permeable a la vapeur d'eau
FR2797781B1 (fr) * 1999-08-27 2002-11-08 Patrick Duhaut Procede de sechage par membrane semi-permeable
JP2003112105A (ja) 2001-10-04 2003-04-15 Konica Corp イナート乾燥装置、シール装置、乾燥方法及び画像形成材料の製造方法
JP2003019757A (ja) 2002-06-17 2003-01-21 Fuji Photo Film Co Ltd ウエブ又はシートの乾燥装置
JP3714550B2 (ja) 2002-06-17 2005-11-0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ウエブ又はシートの乾燥装置
US20070110894A1 (en) * 2003-03-07 2007-05-17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drying coating film, and optical film
JP2004322536A (ja) * 2003-04-25 2004-11-18 Fuji Photo Film Co Ltd 溶液製膜方法及び光学用ポリマーフィルム、偏光板保護膜、偏光板、光学機能性膜、液晶表示装置
JP4315378B2 (ja) * 2004-03-26 2009-08-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861540B1 (ko) * 2004-09-27 2008-10-0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텐터 장치 및 필름 건조 방법
JP4901249B2 (ja) * 2006-03-17 2012-03-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リマーフイルム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180A (ko) * 2011-03-29 2012-10-1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건조 장치, 막의 건조 방법 및 용액제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35982A1 (en) 2008-10-02
CN101275808B (zh) 2012-06-13
KR101462974B1 (ko) 2014-11-19
CN101275808A (zh) 2008-10-01
JP5001197B2 (ja) 2012-08-15
JP2008265294A (ja)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9335B2 (ja) 溶液製膜方法
KR101376122B1 (ko) 폴리머 필름의 제조방법
JP2008265293A (ja) フィルム乾燥方法及び装置並びに溶液製膜方法
KR20080088534A (ko) 필름 건조 방법과 장치 및 용액 캐스팅 방법
JP5479165B2 (ja) テンタ装置及びテンタ装置内での異物除去方法並びに溶液製膜設備
KR101258567B1 (ko) 폴리머 필름의 제조방법 및 폴리머 필름의 제조장치
JP4915812B2 (ja) 溶液製膜方法及び洗浄装置
CN101396864B (zh) 针式拉幅机和溶液流延法
JP2006265405A (ja)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66982A (ja) 溶液製膜方法及び洗浄装置
JP2008188941A (ja) 溶液製膜方法及び溶液製膜設備
JP2007261068A (ja) テンタの送風装置及びポリマ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8265292A (ja) フィルム乾燥方法及び装置並びに溶液製膜方法
JP4528231B2 (ja) 溶液製膜設備及び方法
JP2006188048A (ja) 溶液製膜装置及び方法
JP2009078443A (ja) ウェブ乾燥方法、溶液製膜方法及びピンテンタ
JP2008265291A (ja) フィルム乾燥方法及び装置並びに溶液製膜方法
JP2009236419A (ja) 湿潤フィルムの乾燥装置及び方法
JP2008246705A (ja) 溶液製膜方法及び溶液製膜設備
JP5153393B2 (ja)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038914B2 (ja) 溶液製膜方法
JP2009028899A (ja) 溶液製膜方法及び設備
JP2007290362A (ja) 溶液製膜設備及び溶液製膜方法
JP2009226824A (ja) 溶液製膜方法及び溶液製膜設備
JP2006272740A (ja) ポリマーフイルムの製造設備およ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