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7122A - 내연 기관용 캠축 조절기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용 캠축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7122A
KR20080087122A KR1020087017558A KR20087017558A KR20080087122A KR 20080087122 A KR20080087122 A KR 20080087122A KR 1020087017558 A KR1020087017558 A KR 1020087017558A KR 20087017558 A KR20087017558 A KR 20087017558A KR 20080087122 A KR20080087122 A KR 20080087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shaft adjuster
housing
spring
camshaft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714B1 (ko
Inventor
알리 바이라크다르
Original Assignee
쉐플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쉐플러 카게 filed Critical 쉐플러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87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ydraulic chambers with variable volume to transmit the rotating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ydraulic chambers with variable volume to transmit the rotating force
    • F01L2001/3445Details relating to the hydraulic means for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 F01L2001/34483Phaser return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 기관용 캠축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캠축 조절기에서, 위치적 규정을 위해 모멘트 조건과 캠축 조절기의 영향에 영향을 주는 스프링 요소는 통상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 요소(29)는 캠축 조절기(1) 내의 하우징(4) 외측에 배열되고, 스프링 요소(29)의 스프링 기부점은 하우징(4)을 관통하고 로터(6)의 회전에 대해 고정되도록 연결된 핀을 통해 지지된다.
내연 기관, 캠축 조절기, 하우징, 캠축, 로터, 스프링 요소

Description

내연 기관용 캠축 조절기 {Camshaft adjus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선행 기술 조항에 따른 내연 기관용 캠축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 연소 챔버의 대전,
- 연소 조건,
- 성능 데이터 및
- 배기 가스값에 영향을 미치도록, 예컨대 인출 수단을 거쳐 내연 기관의 크랭크축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요소와 캠축 사이의 상대적 각 위치는 제어 장치에 따른 목표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는 캠축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6,311,654 B1호는 중앙 나사를 통해 회전에 대해 고정되도록 캠축에 나사 결합되는 로터로 형성된 출력 요소를 수납하는 캠축 조절기의 하우징을 체인 스프로켓(chain sprocket)이 구동하는 베인-셀(vane-cell) 설계에서의 캠축 조절기를 개시한다. 로터에 할당된 베인은 압력 챔버의 유압 부하에 따라, 하우징과 구동 기어에 대해 "앞선(early)" 방향 또는 "늦은(late)" 방향으로 로터가 조절되고 그에 따라 캠축이 조절될 수 있는 방식으로 하우징의 압력 챔버 내에 배치된 다. 상기 특허에는 압력 챔버에 부하를 가하는 유압 펌프가 통상 캠축에 의해 구동되고, 이는 일부 환경에서 내연 기관이 저속일 때 유압 매체의 유동이 감소되는 결과를 갖는 문제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캠축 조절기의 바람직하지 못한 조절을 초래할 수 있다.
상술된 유형의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일본 특허 제A 9 264 110호에는 구동 요소와 출력 요소 사이에 비틀림 스프링을 연결하는 것이 제안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비틀림 스프링은 체인 스프로켓 상의 일 기부점에서 캠축 조절기의 하우징 내에 지지되고, 비틀림 스프링의 다른 기부점은 로터 상에 지지된다.
이러한 해결 방법은 바람직하지 못한 작동 상태와 캠축 조절기의 고장도 유발할 수 있는 바이패스가 비틀림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통해 캠축 조절기의 압력 챔버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6,311,654 B1호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미국 특허 제6,311,654 B1호는 압력 챔버와 베인을 비틀림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하도록 배열하는 것을 제안하였으며, 그 결과 하우징 내의 반경 방향으로 중간의 공간에서 적절한 밀봉이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로 캠축 조절기의 전체 반경 방향 구조의 크기가 증가된다. 이렇게 증가된 반경 방향 치수는 먼저 압력 챔버가, 그리고 그 후 비틀림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반경 방향으로 어느 정도 중첩되도록 서로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게 배열되는 미국 특허 제6,311,654 B1호에 따라 해결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거쳐 각각의 압력 챔버들 사이에서의 유압 매체의 전달은 압력 챔 버와 수용 공간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연결된 원형인 환형 분할 디스크(circularly annular dividing disc)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독일 특허 제40 32 586 A1호는 대략적인 평균 토크(mean torque)를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비틀림 스프링 장치가 구동 기어와 캠축 사이의 조절 챔버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어 피스톤을 통해 작동되는 비틀림 스프링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개선점은, 여러 방향으로의 조절을 위해서, 토크가 대향 방향을 갖는 캠축 조절기 내에서 발생해야 하지만, 일부의 환경에서 다른 방향에 대한 토크의 크기는 상이하며, 그 결과로, 예컨대 구동 동작 및/또는 마찰 조건의 결과로, 다른 조절 방향에 대한 토크 요구에 대한 평균 모멘트(mean moment)는 0이 아니게 된다는 점을 기초로 한다. 캠축 조절기 내에 생성되는 모멘트를 일부 환경에서 더 큰 절대 극단이 아닌 주 모멘트로부터 요구되는 극단의 차이로 제한하기 위해, 상기 특허는 구동 스프로켓과 캠축 사이에서 조절 챔버에 평행하게 연결된 비틀림 스프링 장치로 형성된 에너지 축적기에 의해 평균 모멘트를 제공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비틀림 스프링 장치는 캠축 조절기와 별개로 형성된다.
독일 특허 제690 28 063 T2호는 캠축 조절기에 대한 모멘트 조건에 영향을 주도록 비틀림 스프링 요소의 사용을 더욱 개선한 것을 개시한다.
독일 특허 제198 20 638 T1호는 가위 톱니(scissor gearwheel)로 알려진 것의 톱니 유격(tooth play)을 보상하기 위한 캠축 조절기 내의 비틀림 스프링의 사용을 개시하며, 이는 미국 특허 제5,056,613호, 제4,747,321호, 제4,739,670, 제3,365,973호 및 제2,607,238호에도 개시되어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 조립체,
- 요구된 반경 방향 및/또는 축 방향 설치 공간,
- 캠축 조절기 내의 모멘트 조건의 영향 및/또는
- 캠축 조절기의 구동 요소 및/또는 출력 요소에 대한 스프링 요소의 연결에 관하여 개선된 캠축 조절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 제1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법의 상세는 종속 청구항 제2항 내지 제14항의 특징에 따라 초래된다.
본 발명은 우선 일부 경우에 구동 요소와 캠축 자체 사이에서 캠축 조절기의 모멘트 조건에 영향을 주도록 스프링 요소를 연결하는 것이 불리하다는 발견을 기초로 한다. 이러한 유형의 연결은 스프링 요소를 캠축에 연결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을 요구하며, 이러한 수단은 캠축 제조 비용, 중량, 관성 모멘트 및/또는 캠축의 설치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로, 이러한 유형의 스프링 요소는 캠축 조절기의 제조 중 미리 장착될 수 없으며, 단지 캠축 조절기가 캠축과 조립될 때에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국 특허 제6,311,654 B1호에 따른 개선점에 대해서, 스프링 요소가 캠축 조절기의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야 하는 발견에 기초한다. 이는 스프링 요소가 예컨대, 하우징 부품을 정확하게 위치시켜 개방 하우징에 대해 고정돼야 하며 동시에 하우징의 내부로의 접근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결과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 내에 배열되는 비틀림 스프링은 스프링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통해 각각의 압력 챔버들 사이에서 유압 매체가 전달되는 위험과 관련하여 미국 특허 제6,311,654 B1호에 개시된 문제의 원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 요소는 하우징과 출력 요소 사이에서 작용한다. 이때, 스프링 요소는 하우징 또는 출력 요소에 직접 지지될 수 있거나, 또는 그 사이에 연결된 하우징 또는 출력 요소에 회전에 대해 고정되도록 연결될 수 있는 부품과 함께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외측에 스프링 요소를 배열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것은 특히, 상기 하우징의 경계(closure)를 포함하는 하우징 내에 배치된 출력 요소에 의해 하우징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며, 후속하는 스프링 요소 장착에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캠축이 존재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캠축에 연결되어야만 하는 구조적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캠축 조절기의 제조 중에 미리 스프링 요소가 장착된다.
하우징의 외측에 스프링 요소가 장치되는 개선점과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매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a) 예컨대, 출력 요소는 특히 중공 원통형이며,
- 내측으로부터 외향하는 하우징을 통해 외측에 배치된 원주면과 하우징 사이에서 밀봉 기능을 갖도록 연장되고,
-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외부 원주면의 영역에서 스프링 요소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 캠축과 함께 캠축 조절기를 장착하기 위해 내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캠축을 수용하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b) 본 발명의 대안적이거나 또는 누적된 개선점에서, 스프링 기부점은 섹션 요소 상에서 지지된다. 지지 요소는 하우징 내에 배열된 출력 요소에 회전에 대해 고정되도록 연결된다. 이때, 출력 요소는 섹션 요소를 구비한 다중 편 구성 또는 단일 편 구성일 수 있다. 지지 요소는 이러한 절단부를 통해 연장하여, 하우징 외측에서 지지 요소에 가해지는 힘은 절단부를 통해 출력 요소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벽의 절단부는 하우징과 지지 요소간의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여 하우징과 출력 요소간의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요소는 스프링 요소와 별개로 형성되거나 또는 스프링 요소와 일체로 형성되어, 휨 탄성이 주로 스프링 요소에 의해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개별 강도가 세로로 연결됨으로써 스프링 요소 및 지지 요소 모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간단한 구조적 방식으로 사전 규정될 수 있는 기계적 특성에 대한 특정 반완성 제품은 지지 요소가 핀으로 형성될 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점에서, 이러한 유형의 핀을 출력 요소, 특히 베인 셀 설계에서 캠축 조절기의 로터에 간단하게 연결하는 것은 가압 연결 끼워 맞춤(press joint fit)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제안에 따르면, 예컨대, 만곡된 홈 또는 "바나나형" 홈 형상인 절단부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우징 벽 내에 제공되어, 하우징과 지지 요소 간의 상대적인 이동이 이러한 유형의 절단부 또는 홈에서 가능하게 된다.
캠축 조절기의 압력 챔버로부터 유압 매체의 유출, 특히 각각의 압력 챔버들간의 유압 매체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술된 절단부의 주변 영역에서 하우징과 로터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는 것을 추가로 제안한다. 이러한 밀봉은,
- 도입부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 측 상에서의 압력 챔버의 반경 방향 오프셋과 다른 측 상에서의 절단부에 의해 밀봉 영역이 그 사이에 연결되고,
- 라비린스 밀봉(labyrinth seal), 밀봉 링과 같은 밀봉 세척기 또는 밀봉 요소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임의의 스프링이 인장 또는 압축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 요소, 스프링 강과 같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나선형 스프링, 또는 예컨대 엘라스토머 요소로서 적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제안에 따르면, 스프링 요소는 나선형 비틀림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 요소는 캠축 조절기의 원주 방향으로, 양호하게는 360°보다 큰 각도만큼 연장한다.
스프링 요소는 캠축 조절기의 일축 상에 배열될 수 있다. 하지만, 스프링 요소는 실린더 헤드와 대면하는 캠축 조절기의 단부측에 배열되어, 스프링 요소가 캠축 조절기의 하우징과 실린더 헤드 사이에 배치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린더 헤드와 대향하여 실린더 헤드에서 먼 쪽을 대면하는 캠축 조절기의 단부측은 중앙 나사를 통한 캠축 조절기와 캠축의 조립, 유압 매체의 공급 또는 단부측 조절 유닛과 같은 다른 기능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압축된 개선점은 스프링 요소가 캠축 조절기의 구동 기어의 내측에 반경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캠축 조절기의 구동 요소는 스프링 요소를 수용하는 중앙 보어 또는 환영 홈을 가질 수 있다. 보어 또는 환형 홈은 캠축 조절기의 설치 공간의 증가가 반드시 요구되는 스프링 요소 수용 공간 및 이러한 기능들 없이도 스프링 요소의 보호부 및/또는 안내부로 작용할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오염 또는 기계적 장애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커버에 의해 축방향으로의 쏠림(drifting) 또는 편향이 제한되어, 스프링 요소는 하우징과 커버링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점에서, 스프링 요소는 출력 요소, 지지 요소 및/또는 장착(및 분해)를 위해, 간단한 방식으로 기부점의 영역 내에서 이러한 유형의 부품에 회전에 대해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하우징 또는 부품 내로 후크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스프링 요소는 예컨대, 러그(lug), 저널(journal) 또는 브라켓(bracket) 내로 후크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형 스프링 기부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 요소의 탄성 하중에 의한 스프링 요소의 이동이 이러한 유형의 후크형 스프링 기부점을 해제시키기 위해 요구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때, 관련 부품으로부터 스프링 요소를 해제하기에 충분한 힘을 사전 규정하고 예컨대, 내연 기관의 작동 중 스프링 요소의 의도되지 않은 해제가 방지될 수 있도록 스프링 요소 전체가 탄성인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프링 요소가 스프링 기부점의 주변 영역에서 반경 방향으로 정지부 상에 지지되는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유형의 지지는 동일 방향으로 작용하며, 이 방향으로 스프링 기부점의 관련 부품 내로의 후크식 고정도 해제된다. 이로 인해, 스프링 요소의 전체적인 강성이 스프링 요소의 해제에 중요하지 않으며, 오히려 스프링 요소의 해제를 위한 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특히 그 힘을 상승시키는 변경된 경계 조건이 정지부의 마모의 결과로 스프링 요소의 해제에 유효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진전은 특허 청구항, 명세서 및 도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특징 및 여러 특징의 조합의 명세서에 대한 도입부에 개시된 장점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이들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의해 달성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또한, 특징들은 도면, 특히 도시된 형상과 서로에 대한 복수의 부품의 상대적 치수와 그들의 상대적 배열 및 작동적 연결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의 특징 또는 여러 특허 청구항의 특징의 조합 역시 특허 청구항의 선택된 역참조(back-reference)로부터 벗어나는 방식으로 가능하며, 역시 본원에서 제시되었다. 또한, 이것은 각 도면에 도시되거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유형의 특징과 관계된다. 또한, 이러한 특징들은 여러 특허 청구항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특허 청구항 내에 열거된 특징들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후속하는 명세서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식적으로 도시된 관련 도면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도1은 캠축과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캠축 조절기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2는 스프링 요소를 덮는 커버가 없을 때, 실린더 헤드와 대면하는 측으로부터 본, 캠축 조절기의 단부측면도이다.
도3은 스프링 요소를 덮는 커버가 있을 때의 도2에 따른 단부도이다.
도1은 캠축 조절기(1)가 캠축(2)과 조립된, 캠축 조절기(1)의 종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캠축 조절기(1)는 공지된 베인 셀 설계다. 캠축 조절기(1)는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체인 스프로켓(3)으로 형성된 구동 요소를 갖는다. 체인 스프로켓(3)은 본원에서는 체인인 견인 수단(도시 안됨)을 통해 크랭크축에 연결된 다른 체인 스프로켓에 회전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동-연결된다. 체인 스프로켓(3)은 하우징(4) 또는 하우징(4)의 일부에 회전에 대해 고정되도록 연결된다. 캠축(2)에 회전에 대해 고정되도록 연결된 로터(6)는 캠축 조절기(1)의 종방향 축(5-5)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우징(4) 내에 배열된다. 하우징(6) 내에 압력 챔버(7)가 제공되며, 로터(6)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압력 챔버(7) 베인이 하우징(4)에 대한 로터(6)의 회전과 관련된 유압 매체에 의한 부하에 따라 피봇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압력 챔버(7)는 캠축 조절기(1)의 단부측 공급 채널을 통해 압력에 의해 부하를 받는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나삿니를 가지며 양 단부측 상에서 중앙 보어로 나사 결합되는, 캠축(2)의 중앙 나사(8)에 의해, 로터(6)와 캠축(2)이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로터(6)는 캠축의 단부면(9)과 중앙 나사(8)의 헤드(10) 사이에서 포획 및 클램핑되 며, 선택적으로는 그 사이에 연결되는 추가 부품(18)과 함께 포획 및 클램핑된다. 중앙 나사(8)는 캠축(2)으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측에 단부측 블라인드 보어(end-side blind bore)(11)를 가지며, 단부측 블라인드 보어(11)에는 유압 요소가 유압 매체에 의한 캠축 조절기(1)의 적절한 부하를 위해 수용된다. 유압 매체는 특히 적절한 반경 방향 채널에서 블라인드 보어(11)로부터 압력 챔버(7)로 공급된다.
하우징(4)은 대략 축방향으로 배향된 기부 림(12, base limb)과 반경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향된 측부 림(13, 14)을 갖는 대략 U자형 반부로 형성된다. 측부 림(13, 14)은 반경 방향으로 내향하는 방식으로 로터(6) 주위에 접촉된다. 측부 림(13, 14)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면(15, 16)은 간극과, 캠축(2)의 원주면(17)과의 접촉면 또는 밀봉면과, 회전에 대해 고정되도록 로터(6)에 연결된 부품(18)을 형성한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측부 림(13, 14)은 두 개의 사실상 원형인 환형 디스크(circularly annular disc)(23, 24)와 함께 형성된다. 디스크(24), 돌출부(22) 및 체인 스프로켓(3)은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일체로 형성된다.
기부 림(12)은 원주 방향으로 압력 챔버(7)의 경계를 정하기 위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배향된 돌기들을 갖는 하우징(4)의 중공 원통형 외부 케이싱에 의해 형성된다. 그 결과, 하우징(4)은 개별적으로 형성되지만 서로에 대해 밀봉되는 디스크(23, 24)와 외부 캐이싱을 갖는다. 밀봉부(19)는 측부 림(13, 14)과 측부 림에 대해 피봇될 수 있는 로터(6) 사이에 배열되어, 밀봉부(19)는 윤활제의 압력 챔버로부터 인접한 압력 챔버로의 통과 및/또는 캠축 조절기(1)의 반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에서의 이동을 방지한다. 밀봉 링과 같은 추가의 밀봉 요소 또는 라비린스 밀 봉 등의 배치도 가능하다.
로터(6)는 종방향 축(5-5)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되고 관통 보어 또는 블라인드 보어로 형성될 수 있는 보어(20)를 갖는다. 종방향 축(5-5)으로부터 보어(20)의 종방향 축의 간격은 캠축 조절기의 영역 내의 캠축(2)의 직경보다 크지만, 압축 챔버(7)의 내측 경계에 대한 직경보다는 작다. 원통형 핀(21)으로 형성된 지지 요소는 정확한 끼워 맞춤, 특히 압입(press fit)에 의해 보어(20)에 삽입된다. 핀(21)은 실린더 헤드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쪽에서 디스크(24)의 절단부(cut-out)(25)를 통해 비접촉 방식으로, 특히 유격(26)을 가지고 연장하고 실린더 헤드와 대면하는 쪽의 단부 영역(27)과 함께 디스크(24)로부터 돌출한다. 단부 영역(27)은 돌출부(22)의 내측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보어(38) 내에 배열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25)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28)으로 형성된다. 스프링 요소(29)는 원주 방향에서 여려 번 선회하여 연장되는 나선형 비틀림 스프링(32)을 통해 서로 탄성적으로 연결된 후크형 스프링 기부점(30, 31)을 갖는다. 대략 180°의 원주 방향 각도만큼 후크형 방식으로 만곡되고 단부 영역(27)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후크형 스프링 기부점(30)은 단부 영역(27) 주위에 결합되는 반면에, 후크형 스프링 기부점(31)은 대략 90°의 원주 방향 각도로 후크형 방식으로 만곡되고 돌출부(22)의 돌기(33) 내로 후크식으로 고정되며, 이때 돌기(33)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배향된다. 스프링 요소(29)는 탄성 재료, 특히 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 비틀림 스프링(32)의 스프링 와이어는 대체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정지부(34)가 종방향 축(5-5)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대략 60°정도 돌기(33)에 대해 오프셋된 방식으로, 비틀림 스프링(32)이 지지되는 외부측 상의 돌기(33)의 내부 반경에 대략적으로 상응하는 반경에 배열된다. 스프링 요소(29)를 장착하기 위해, 스프링 요소(29)의 후크형 스프링 기부점(30)은 캠축 조절기(1) 자체의 사실상 마지막 장착과 하우징(4)의 마지막 조립에 대해 핀(21)의 단부 영역(27)으로 후크식으로 고정된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32)의 관련 영역은 정지부(34) 상에 위치된다. 후크형 스프링 기부점(31)은 돌기(33)와 정지부(34)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비틀림 스프링(32)의 영역의 부하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그 후, 후크형 스프링 기부점(31)은 돌기(33) 내로 후크식으로 고정되거나 클립핑(clipping)된다. 또한, 핀(21)과 유사하게 형성된 다른 핀(35)이 대응 절단부(36)를 통해 연장하고 비틀림 스프링(32)이 반경 방향 외부측에 지지되는 영역 내에서 비틀림 스프링의 다른 부분 영역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틀림 스프링(32)은 로터(6)와 하우징(4) 사이의 피봇을 방해하는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선회부들 사이에 반경 방향 유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37)는 내측 상에서 돌출부(22) 내로 반경 방향으로 도입된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커버는 원형인 환형 디스크-형상의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내부 보어는 핀(35, 21)의 외부측의 반경보다 약간 큰 반경을 갖는다. 커버(37)는 외측에서 방사상 실린더 헤드 방향으로 만곡된다. 커버(37)는 돌출부(22)로의 삽입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되고, 도1에 도시된 작동 위치에 대해 마찰 끼워 맞춤에 의해 돌출부(22)의 내측 보어(38)에 위치가 고정되는 방식으로 돌기(22)의 내측 보어(38)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가압되어 지지된다. 돌출부(22)는 추가적인 형태-끼워 맞춤 연결(form-fitting connection)에 적합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 부호
1 캠축 조절기
2 캠축
3 체인 스프로켓
4 하우징
5 종방향 축
6 로터
7 압력 챔버
8 중앙 나사
9 단부면
10 헤드
11 블라인드 보어
12 기부 림
13 측부 림
14 측부 림
15 단부면
16 단부면
17 원주면
18 부품
19 밀봉부
20 보어
21 핀
22 돌출부
23 디스크
24 디스크
25 절단부
26 유격
27 단부 영역
28 홈
29 스프링 요소
30 스프링 기부점
31 스프링 기부점
32 비틀림 스프링
33 돌기
34 정지부
35 핀
36 절단부
37 커버
38 보어

Claims (14)

  1. 내연 기관용 캠축 조절기(1)이며,
    a) 피동 하우징(4)과,
    b) 회전에 대해 고정되도록 캠축(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캠축 조절기(1)의 조절 이동을 위해 하우징(4)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출력 요소[로터(6)]와,
    c) 피동 하우징(4)과 출력 요소[로터(6)] 사이에서 작동하는 스프링 요소(29)를 포함하는 캠축 조절기(1)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29)는 상기 하우징(4) 외측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절기.
  2.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 기부점(30)이 지지 요소[핀(21)] 상에 지지되며,
    상기 지지 요소는
    a) 상기 하우징(4) 내에 배열된 출력 요소[로터(6)]에 회전에 대해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b) 상기 하우징(4)의 벽의 절단부(25)를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4)과 지지 요소[핀(21)] 사이에 상대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절기.
  3. 제2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핀(21)]는 베인 셀 설계에서 캠축 조절기(1)의 로터(6)로 형성되는 출력 요소에 대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절기.
  4. 제3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는 핀(21)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절기.
  5. 제4항에 있어서, 핀(21)은 가압 연결 끼워 맞춤에 의해 로터(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절기.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4)의 벽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고 지지 요소[핀(21)]가 통과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한 절단부(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절기.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부(19)가 절단부(25)의 주변 영역에서 로터(6)와 하우징(4)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절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29)는 나선형 비틀림 스프링(32)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절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29)는 실린더 헤드를 대면하는 캠축 조절기(1) 측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절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29)는 캠축 조절기(1)의 구동 요소 또는 구동 기어[체인 스프로켓(3)]의 내측에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절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캠축 조절기(1)의 구동 요소[돌출부(22)]는 스프링 요소(29)를 수용하는 중앙 보어(38) 또는 환형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절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29)는 하우징(4)과 커버링[커버(37)]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절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29)는 출력 요소[로터(6)] 내로 후크식으로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형 스프링 기부점(30, 31), 지지 요소[핀(21)] 및/또는 이러한 유형의 부품에 회전에 대해 고정되도록 연결된 하우징(4) 또는 부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절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29)는 스프링 기부점(30)의 주변 영역에서 반경 방향으로 정지부(34) 상에 지지되고, 반경 방향으로 출력 요소[로터(6)], 지지 요소[핀(21)] 또는 하우징(4)으로의 스프링 기부점(30)의 후크식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축 조절기.
KR1020087017558A 2006-01-21 2006-12-06 내연 기관용 캠축 조절기 KR101304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02993.3 2006-01-21
DE102006002993A DE102006002993A1 (de) 2006-01-21 2006-01-21 Nockenwellenverstell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PCT/EP2006/069360 WO2007082600A1 (en) 2006-01-21 2006-12-06 Camshaft adjus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122A true KR20080087122A (ko) 2008-09-30
KR101304714B1 KR101304714B1 (ko) 2013-09-06

Family

ID=3798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558A KR101304714B1 (ko) 2006-01-21 2006-12-06 내연 기관용 캠축 조절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00154732A1 (ko)
EP (1) EP1979582B1 (ko)
JP (1) JP2009523943A (ko)
KR (1) KR101304714B1 (ko)
CN (1) CN101360890B (ko)
AT (1) ATE479827T1 (ko)
DE (2) DE102006002993A1 (ko)
PL (1) PL1979582T3 (ko)
WO (1) WO20070826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1078A1 (de) * 2008-04-09 2009-10-15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Verändern der Nockenwellenphasenlage
DE102008048386B4 (de) * 2008-09-22 2016-12-01 Hilite Germany Gmbh Flügelzellennockenwellenversteller
DE102008051142B4 (de) * 2008-10-09 2021-02-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wellenversteller
DE102008056796A1 (de) * 2008-11-11 2010-05-12 Schaeffler Kg Rotationskolbenversteller mit Drehfeder
JP4895234B2 (ja) * 2009-04-09 2012-03-14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EP2282021B1 (en) * 2009-08-06 2012-05-09 Delphi Technologies, Inc. Harmonic drive camshaft phaser with improved radial stability
DE102009039385A1 (de) * 2009-08-29 2011-03-03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teuerventil
JP5513841B2 (ja) * 2009-10-26 2014-06-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弁開閉時期制御装置
DE102010005602A1 (de) * 2010-01-25 2011-07-2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91074 Nockenwellenversteller
DE102010006415A1 (de) 2010-02-01 2011-08-04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91074 Vorrichtung zum Verändern der Steuerzeiten von Gaswechselventil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0009394A1 (de) * 2010-02-26 2011-09-0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varibalen Einstellung der Steuerzeiten von Gaswechselventilen einer Brennkraftmaschine
JP5182326B2 (ja) 2010-06-09 2013-04-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流量制御弁
DE102010060620B4 (de) * 2010-11-17 2014-02-13 Hilite Germany Gmbh Schwenkmotorversteller
DE102011003556B4 (de) * 2011-02-03 2022-03-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r Veränderung der relativen Winkellage einer Nockenwelle gegenüber einer Kurbelwelle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1003769A1 (de) * 2011-02-08 2012-08-0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Nockenwellenversteller mit einer Feder
JP5500393B2 (ja) 2011-08-08 2014-05-21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DE102011081971A1 (de) 2011-09-01 2013-03-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wellenversteller
DE102011088295A1 (de) 2011-12-12 2013-06-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wellenversteller
DE102012200683B4 (de) 2012-01-18 2017-01-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wellenversteller
DE102012201550B4 (de) * 2012-02-02 2015-05-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wellenversteller mit einem Rückschlagventil
DE102012202520B4 (de) 2012-02-20 2016-03-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Zentralventil für einen Nockenwellenversteller
DE102012206567A1 (de) 2012-04-20 2013-10-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ederaufhängung eines hydraulischen Nockenwellenverstellers
DE102012213401B4 (de) 2012-07-31 2016-08-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wellenversteller
DE102012213402B4 (de) 2012-07-31 2017-06-0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wellenversteller
DE102012214760A1 (de) 2012-08-20 2014-02-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Zentralschraube zur Befestigung eines Nockenwellenverstellers mit einer Nockenwelle mit einem Klemmelement
DE102012214764B4 (de) * 2012-08-20 2018-04-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Befestigungsanordnung zur Verbindung eines Nockenwellenverstellers mit einem Nockenwellenende einer Nockenwelle
DE102012217393A1 (de) 2012-09-26 2014-03-27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Nockenwellenversteller
DE102012218403A1 (de) 2012-10-10 2014-04-10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Hydraulischer Nockenwellenversteller mit Federdeckel sowie Federdeckel mit integrierter Federaufnahme und variabler Federvorspannkraft
DE102013200767B4 (de) 2013-01-18 2016-04-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wellenversteller und Federkassette für einen Nockenwellenversteller
DE102013206672A1 (de) 2013-04-15 2014-10-16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Nockenwellenversteller
DE102013207383B4 (de) 2013-04-24 2022-03-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wellenverstelleinrichtung
DE102013212943B4 (de) * 2013-07-03 2017-01-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nbindung eines Verstellaktuators an ein Zentralventilsystem für einen trockenen Riementrieb
DE102013217145A1 (de) 2013-08-28 2015-03-05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Nockenwellenversteller
DE102013218031B4 (de) 2013-09-10 2020-09-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wellenversteller und Federdeckel
DE102013219139B4 (de) 2013-09-24 2020-09-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wellenversteller
US9470117B2 (en) 2014-05-30 2016-10-1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rapped support pin for spiral spring retention in a camshaft phaser
US9334763B1 (en) 2014-11-21 2016-05-1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upport pin for spring guidance in a camshaft phaser
DE202015008578U1 (de) 2015-01-08 2016-03-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Montagehilfe für einen Nockenwellenversteller sowie Verfahren zur Montage des Nockenwellenverstellers an einem nockenwellenfesten Abschnitt
DE102015200140B4 (de) 2015-01-08 2021-07-0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ckenwellenversteller mit Montagehilfe sowie Verfahren zur Montage des Nockenwellenverstellers an einem nockenwellenfesten Abschnitt
WO2018220789A1 (ja) * 2017-06-01 2018-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DE102017116730B3 (de) * 2017-07-25 2018-12-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Elektromechanischer Nockenwellenversteller und Montageverfahren
DE102019106338B4 (de) * 2019-03-13 2020-09-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ellgetriebe
CN112797862B (zh) * 2020-12-28 2022-09-27 中国化学工程第十三建设有限公司 联轴器安装对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5857A (en) * 1990-07-17 1992-03-17 Eaton Corporation Self actuator for cam phasers
JP3076390B2 (ja) * 1991-03-26 2000-08-14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カムタイミング制御装置
US6311654B1 (en) * 1998-07-29 2001-11-06 Denso Corporation Valve timing adjusting device
JP4142204B2 (ja) * 1999-05-19 2008-09-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弁作動特性可変装置
DE10007200A1 (de) * 2000-02-17 2001-08-23 Schaeffler Waelzlager Ohg Vorrichtung zum Verändern der Steuerzeiten von Gaswechselventilen einer Brennkraftmaschine
US6439184B1 (en) * 2001-01-31 2002-08-27 Denso Corporation Valve timing adjusting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296718B2 (ja) * 2001-03-30 2009-07-15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DE10215879A1 (de) 2002-04-11 2003-10-23 Ina Schaeffler Kg Vorrichtung zum Verändern der Steuerzeiten von Gaswechselventilen einer Brennkraftmaschine, insbesondere Einrichtung zur hydraulischen Drehwinkelverstellung einer Nockenwelle gegenüber einer Kurbelwelle
US6732690B2 (en) * 2002-05-21 2004-05-11 Delphi Technologies, Inc. Camshaft phaser having an external bias spring
US6722330B2 (en) * 2002-05-21 2004-04-20 Delphi Technologies, Inc. Retention bolt for a cam phaser
JP2005061261A (ja) * 2003-08-08 2005-03-10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CN1670350A (zh) * 2004-03-19 2005-09-21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用于内燃机的气门正时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DE102004019773A1 (de) * 2004-04-23 2005-11-1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Hydraulische Einrichtung zur stufenlos variablen Nockenwellenverstellung
JP2005325758A (ja) * 2004-05-13 2005-11-24 Denso Corp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4177297B2 (ja) * 2004-06-25 2008-11-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US7063058B1 (en) * 2005-04-29 2006-06-20 Delphi Technologies, Inc. Camshaft phaser bias spring mechanism
US7363897B2 (en) * 2006-06-06 2008-04-29 Delphi Technologies, Inc. Vane-type cam phaser having bias spring system to assist intermediate position pin loc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60890A (zh) 2009-02-04
PL1979582T3 (pl) 2011-04-29
EP1979582B1 (en) 2010-09-01
DE102006002993A1 (de) 2007-08-09
JP2009523943A (ja) 2009-06-25
KR101304714B1 (ko) 2013-09-06
EP1979582A1 (en) 2008-10-15
WO2007082600A1 (en) 2007-07-26
US20100154732A1 (en) 2010-06-24
CN101360890B (zh) 2011-11-23
DE602006016649D1 (de) 2010-10-14
ATE479827T1 (de)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714B1 (ko) 내연 기관용 캠축 조절기
US8375906B2 (en) Camshaft phaser for a concentric camshaft
EP2100057B1 (en) Pulley tensioner for a belt drive for use in contact with oil.
US8316889B2 (en) Control valve for a camshaft adjuster
JP2011241823A (ja) 油圧バルブ
US8113159B2 (en) Camshaft phaser and drive adapter for a concentric camshaft
US8336512B2 (en) Camshaft phaser for a concentric camshaft
US20130324269A1 (en) Camshaft phaser having a spring
US10309270B2 (en) Camshaft adjuster
JP2009162111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CN113614337A (zh) 工作油控制阀和阀正时调整装置
JP2005325758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US20100095919A1 (en) Electromagnet mounting and control system for a variable camshaft phaser containing magneto-rheological fluid
JP6558470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システム
JP2008536047A (ja) 内燃機関のガス交換弁の制御時間を可変設定する装置
CN102089501A (zh) 凸轮轴调节器
CN104685167A (zh) 凸轮轴调节器
EP2631439B1 (en) Device for controlling valve opening/closing timing
KR101291503B1 (ko) 내연기관의 가스 교환 밸브 제어 시간의 가변 설정 장치
WO2011036720A1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4771168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US20020000213A1 (en) Valve timing adjust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80245328A1 (en) Valve Timing Adjusting Device
US11313256B2 (en) Valve opening-closing timing control apparatus
JP2012241651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