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461A - 천공 밴드 구동부를 갖는 롤러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천공 밴드 구동부를 갖는 롤러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2461A
KR20080082461A KR1020080018911A KR20080018911A KR20080082461A KR 20080082461 A KR20080082461 A KR 20080082461A KR 1020080018911 A KR1020080018911 A KR 1020080018911A KR 20080018911 A KR20080018911 A KR 20080018911A KR 20080082461 A KR20080082461 A KR 20080082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and
spring steel
roller blind
drive devic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버트 발터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8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7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a buckle-proof guided flexible actuating element acting on the draw bar for pushing or push-pulling, e.g. a Bowden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bstract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는 태엽 장치 스프링과 유사하게 나선형으로 사전형성된 스프링 강 밴드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보유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강 밴드는 종방향으로 동일 거리로 천공되고 기어형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고 갈고리형 와이어와 유사하게 구성된 구동 기어에 대해서 이동하고, 상기 구동 기어의 돌출부들은 상기 스프링 강 밴드의 구멍과 결합한다. 상기 롤러 블라인드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장력 또는 압력은 스프링 강 밴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롤러 블라인드, 구동 장치, 스프링 강 밴드, 하우징, 기어형 모터, 구동 기어

Description

천공 밴드 구동부를 갖는 롤러 블라인드{Roller blind with perforated band drive}
본 발명은 천공 밴드 구동부를 갖는 롤러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원격 제어 윈도우 쉐이드는 동력 구동부(motorized drive)를 필요로 한다. 롤러 블라인드는 단단하지 않은 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권취 샤프트에 대해서 롤러 블라인드의 원격 에지가 적당한 방식으로 상기 권취 샤프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밀쳐질 수 없다.
이것은 윈도우 쉐이드용 권취 샤프트가 당기술에 공지된 구성에서 스프링 구동부에 의해서 롤러 블라인드의 권취 방향으로 예비응력을 받기 때문이다. 윈도우 전방에서 롤러 블라인드를 풀기 위하여, 롤러 블라인드는 그 단부가 안내 레일에 안내되는 풀 로드(pull rod)를 구비한다. 안내 레일은 전체 둘레에 톱니결합하는 톱니형 랙(rack)을 버클링(buckling)없이 동시에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톱니형 랙들은 구동 모터의 대응 기어휠과 맞물리고 따라서 스프링 구동에 대항해서 풀 로드를 권취 샤프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전체 둘레에 톱니결합하는 톱니형 랙들은 톱니형 랙의 아이들 세그먼트(idle segment)가 특수 저장 튜브에서 안내되도록 모든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휨 저항한다. 상기 저장 튜브는 후방 윈도우 밑, 덮개 또는 실내의 차체에 설치되므로 실질적인 설치 비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환경에 기초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컴팩트한 디자인의 차량 윈도우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를 계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구동 장치로써 성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는 그 길이에 걸쳐 동일 간격으로 천공된 스프링 강 밴드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강 밴드는 완화 상태에서 나선형 밴드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사전형성된다. 그와 같이 얻어진 평탄한 나선형 스프링의 권취부는 공간 이유 때문에 서로 평탄하게 놓여진다. 상기 스프링 강 밴드의 비작동 단부는 나선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롤러 블라인드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단부가 나선부의 외측에 놓여진다.
상기 스프링 강 밴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동 장치는 외부 원주부 상의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한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스프링 강 밴드의 천공부와 포지티브방식(positively)으로 결합한다. 상기 구동 기어는 기어형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고 스프로켓(sprocket)과 유사하게 구성되며, 상기 기어형 모터의 출력 샤프트 상에는 구동 기어가 배열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강 밴드와 구동 기어를 결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디자인으로 인하여, 상기 롤러 블라인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프링 강 밴드의 아이들 세그먼트(idle segment)는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따라서 공간 절약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다. 아이들 세그먼트를 수용하기 위하여, 구동 모터의 기어 하우징 인근에 작은 챔버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이것은 아이들 튜브들을 설치하기 위한 기술에서 필요한 추가 설치 단계를 제거할 수 있다.
스프링 강 밴드는 사전형성된 형태로 인해서 나선부(spiral)를 형성하는 본래의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나선부는 임의의 유극을 가지고 일반적으로 비제한 방식으로 대응 챔버에 수용된다. 천공 밴드는 상기 챔버 안으로 뒤로 가압될 때, 상기 스프링 강 밴드의 굽힘력은 불가피하게 상기 벨트가 나선형 롤을 형성하게 하고 그 반경방향 성장(radial growth)으로 인해서 상기 나선형 롤을 보충하게 한다.
만약, 천공 밴드가 나선형으로 사전형성되지 않는다면, 나선부를 형성하는 힘은 추력으로부터 얻어져야 하고, 천공 밴드는 상기 추력으로 챔버 안으로 뒤로 가압된다. 이러한 일은 즉시 나선부가 하우징에서 끼워지게 한다. 이러한 자체 로킹의 결과는 나선부 형태의 스프링 강 밴드의 구성으로 인해서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스프링 강 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큰 추력을 버클 방지 방식(buckle-proof fashion)으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강 밴드가 단지 종방향으로 굴곡지면 유리하다. 여기서, 곡률축이 나선형 구조의 측부 상에 놓여지는 것이 양호하 다.
상기 롤러 블라인드의 자유 에지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서 당겨지거나 또는 밀쳐질 수 있다.
압력이 인가될 때, 버클링 없이 상기 스프링 강 밴드를 안내하기 위해서 안내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강 밴드의 작용 세그먼트의 일반적인 연장을 유발하는 안내 수단은 스프링 강 밴드가 인장 부하에 영향을 받을 때 실용적이다.
상기 안내 수단은 또한 안내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레일은 언더컷(undercut) 없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강 밴드의 좁은 측은 홈 슬롯의 방향으로 지향된다.
상기 안내 레일은 역시 언더컷 안내 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강 밴드의 하나의 평탄측은 이 경우에 홈 슬롯의 방향으로 지향된다.
상기 스프링 강 밴드는 직접 또는 로프를 통해서 롤러 블라인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장치는 기어형 모터가 고정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스프링 강 밴드가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 강 밴드가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은 임의의 감기는 각도(wrap angle) 만큼 구동 기어 주위로 연장되는 채널로 단순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채널의 일벽은 구동 기어의 외부 원주 면에 의해서 형성되고 타벽은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홈을 수용하는데, 구동 기어의 돌출부들은 감기는 영역에서 스프링 강 밴드의 후방측에 대해서 돌출할 때, 상기 홈을 통해서 연장된다.
상기 감기는 각도가 매우 작게 유지된다면, 상기 새로운 구동 장치는 과부하방지 장치(overload protection) 또는 항 걸림 방지장치(anti-catching protection)를 구성할 수 있다. 만약, 구동 기어 상의 스프링 강 밴드용 압력 수단과 보호장치들이 그에 따라서 설계된다면, 돌출부들은 추력을 제한하고 항 걸림 방지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스프링 강 밴드를 뒤로 밀어내고 그에 의해서 천공부의 구멍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돌출부들이 구형 캡, 원뿔 또는 절두 원뿔의 형태로 구성되면 양호한 조건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들의 높이는 스프링 강 밴드 두께의 0.8 내지 1.5 배일 수 있다.
새로운 구동 장치는 차량의 여러 유형의 윈도우 블라인드에 적합할 수 있다. 풀 로드가 윈도우 블라인드에 할당되면 실용적이며, 상기 풀 로드는 롤러 블라인드가 추출되고 후퇴할 때 가장 큰 거리를 이동하는 에지에 고정된다.
상기 풀 로드는 일측 또는 양측 상의 안내 레일 상에서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풀 로드는 상기 구동 장치와 협력한다.
본 발명의 구동 장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로드르 포함하는 윈도우 블라인드와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윈도우 블라인드는 예를 들어 측면 윈도우 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지지 로드 또는 로드들은 하측 윈도우 에지 밑의 안내 요소들에서 수직으로 안내된다. 그들의 가동 자유 단부는 지지 로드가 임의의 추가 안내 요소들 없이 풀 로드를 하측 윈도우 에지로부터 상측 윈도우 에지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풀 로드에 연결된다. 이 경우에, 지지 로드는 상기 지지 로드에 의해서 풀 로드에 작용하는 압력 뿐 아니라 필요한 측방 안내력을 흡수한다.
지지 로드는 본 발명의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추출되고 후퇴한다. 이 경우에, 구동 장치는 풀 로드에 대해서 지지 로드의 먼 단부 상에 결합한다.
본 발명의 구동 장치는 항상 차문 안쪽(door paneling)에 있는 지지 로드의 단부가 윈도우 블라인드의 추출 위치 또는 후퇴 위치에 위치하는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제한구성은 종속항의 대상이 된다.
도면의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형태를 공개하고 있으며, 당기술에 숙련된 기술자는 이러한 관점에서 상세한 설명을 보충하는 도면으로부터 기술되지 않은 상세한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여러 변형구성들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하다.
동봉된 도면들은 반드시 실제 크기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다. 특정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임의의 영역을 크게 확대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은 크게 간략화되었고 실용적인 실시예의 모든 상세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용어들 "상부" 및 "바닥" 또는 "전방" 및 "후방"은 차량에 대한 정상 설치 위치 또는 통상적인 용어를 지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실시예들은 도면에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컴팩트한 디자인의 차량 윈도우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승용차의 후방 시트 영역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 도면은 도시되지 않은 좌측 내측의 거울상에서 나타나는 우측 내부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만약, 다르게 표시되지 않는다면, 차체의 우측에 대한 설명은 차체 좌측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보강재 및 설치 수단과 같은 차체 구조들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도면에서는 단순하게 도시되었다.
도시된 차체 섹션(1)은 루프(2)를 포함하고, C-칼럼(3)은 상기 루프(2)로부터 도시생략된 바닥 그룹으로 측방향의 하향으로 연장된다. 당업자는 대응 C-칼럼이 차량의 도시생략 측에 배열된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내측 상에서, C-칼럼(3)은 트림 패널(trim panel;4)을 구비한다.
후방 에지에서, 루프(2)는 후방 윈도우(5)로 변이(transition)되며, 그 상측은 상측 윈도우 에지(6)에 의해서 한정된다. 그러나, 서로 거울상의 대칭으로 구현되는 측방향 에지의 섹션(7)은 도면에 도시되고, 여기서 상기 섹션은 코너 영역(8)에서 상측 윈도우 에지(6)로 변이된다.
후방 윈도우(5)의 폭은 상측 윈도우 에지(6)의 영역 보다 차체의 벨트라 인(beltline) 보다 크다. 우측 후방 도어(11)가 편리하게 힌지결합된 B-칼럼(9)은 C-칼럼(3)로부터 임의의 거리에 배열된다. 우측 후방 도어(11)는 수직 브레이스(brace;13)에 의해서 필수 직사각형 섹션(14)과 대략 삼각형 섹션(15)으로 분할되는 윈도우 컷아웃(window cutout;12)을 수용한다.
내부는 시트면(16)을 갖는 후방 벤치 시트(15)와 등받이(17)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면(16)은 바닥 그룹(18) 상에 놓여진다.
후방 윈도우 쉘프(shelf;19)는 후방 등받이(17)의 상측 후방 에지와 후방 윈도우(5) 사이로 연장된다.
후방 윈도우(5)는 후방 윈도우 블라인드(21)를 구비하고, 도 1에는 단지 롤러 블라인드(22)만 도시된다. 측면 윈도우(12)는 윈도우 블라인드를 구비하는데, 즉 직사각형 윈도우 섹션(14)의 롤러 블라인드(22)와 삼각형 섹션(15)의 롤러 블라인드(24)를 구비한다.
도 2는 후방 윈도우 블라인드(21)의 디자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도면에 따르면, 후방 윈도우 블라인드(21)는 서로 거울상의 대칭으로 구현되는 두개의 안내 레일(27,28), 롤러 블라인드(22) 뿐 아니라 권취 샤프트(31) 및 두개의 구동 요소(32,33)를 포함한다. 두개의 안내 레일(27,28)은 서로 대략 평행한 후방 윈도우(5)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평면에서 굴곡지며, 곡률면은 후방 윈도우(5)의 내측 상에서 도 2의 투영면과 평행하게 놓여진다.
두개의 안내 레일은 서로 거울상의 대칭의 형태로 구현되기 때문에, 하나의 안내 레일을 단순히 상세하게 기술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도 2에 따르면, 안내 레 일(28)은 홈 슬롯(35)을 갖는 대향 안내 레일(27)의 방향으로 개방된 언더컷 없는 안내 홈(34)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 레일(27,28)은 풀 로드(36)를 안내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풀 로드의 단부는 두개의 안내 레일(27,28)의 홈(34)을 관통한다. 풀 로드(36)와 롤러 블라인드(22) 사이의 연결은 롤러 블라인드의 전방 에지에 관형 루프(37)를 제공함으로써 구현되고, 상기 루프를 통해서 풀 로드(36)가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풀 로드(36)는 단순한 평탄 금속 로드의 형태로 구현된다. 안내 홈(34)의 폭은 평탄측 상의 풀 로드(36)의 두께에 대응한다.
풀 로드(36)에 대해서 롤러 블라인드(22)의 먼 단부는 권취 샤프트(31) 상에 고정되고, 롤러 블라인드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그 크기는 후방 윈도우(5)의 크기와 일치한다. 권취 샤프트(31)는 저널(journal;38,39)에 의해서 후방 윈도우 쉘프(19) 밑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권취 샤프트는 관형 방식으로 구현되고 내부에서 스프링 구동부(41)를 수용하고, 상기 스프링 구동부는 기준 심볼(42)에 의해서 표시된 위치에서 권취 샤프트(31) 상에 고정되고 타단부(43)에서 회전식의 단단한 저널(38)에 연결된다. 스프링 구동부(41)는 롤러 블라인드(22)가 권취 샤프트(31) 상에 감기는 방향으로 권취 샤프트(31)에 예비응력을 부가한다.
두개의 구동 장치(32,34)에 대한 하기 설명은 도 3을 참조한다.
구동 장치(33)는 단부(46,47)를 갖는 스프링 강 밴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천공 밴드(45)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강 밴드는 균일 간격의 구멍(48)의 형태의 종방향 천공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멍(48)은 둥근 구멍의 형태로 구현된다.
스프링 강 밴드(4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응력 상태로 나선부(49)를 형성하도록 예비형성된다. 그에 따라 형성된 평탄 나선형 스프링의 개별층은 나선부(49) 내에서 서로 밀착하게 인접하도록 배열된다. 단부(47)는 나선부(49) 내에 위치한다.
스프링 강 밴드(45)는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의 종방향과 평행하게 놓여지는 곡률축에 대해서 약간 굴곡지도록 예비형성될 수 있다. 곡률축은 스프링 강 밴드(45)가 나선부 안으로 감겨지는 위치에서 보이지 않고; 이 경우에 오목부측이 나선부(49)를 대면한다.
상기 천공 밴드(45)는 기어형 모터(50)에 의해서 구동되고, 구동 기어(52)는 상기 기어형 모터의 출력 샤프트(51) 상에 설치되어서 상기 출력 샤프트와 함께 회전한다. 구동 기어(52)는 기본적으로 원통형 디스크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형 디스크의 외부 원주면(53)은 동일 간격으로 배열되는 돌출부(54)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54)는 구형 캡, 절두 원뿔 또는 첨형 원뿔 형태를 가진다. 구동 기어(52)의 원주면(53)을 따른 그들 간격은 구멍(48) 사이의 간격과 일치한다.
기어형 모터(50)는 특수하게 설계된 인테리어(56)를 포함하는 하우징(55)에 플랜지 결합된다. 인테리어(56)는 안내 레일(28)에 인접하게 위치한 단부 상에서 나선부(47)를 수용하기 위한 대략 원통형 챔버(57)를 형성한다. 대향 단부에서, 인테리어(56)는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내벽(59)에 의해서 한정된 다른 대략 원통형 챔버(58)를 포함한다. 구동 기어(52)는 챔버(58)에서 회전한다. 구동 기어(51)의 축은 나선부(57)와 평행하게 정렬되고 상측(61)에서 종결되는 하우징 분할벽(60)에 의해서 상기 나선부로부터 분리된다.
챔버(58)는 하측을 향하여 즉, 관찰자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개방되므로, 천공 밴드(45)는 상기 위치에서 챔버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나선부(49)는 챔버(57)에 놓여진다. 천공 밴드(45)의 외층은 분할벽(60)의 상측(61)에 대해서 상기 챔버로부터 구동 기어(52)로 연장된다. 천공 밴드(45)는 챔버(58)에서 약 180도 만큼 구동 기어(52) 주위에서 감겨진다. 그리고 하측 상의 하우징(55)으로부터 안내 레일(28)의 홈 슬롯(34) 안으로 연장된다.
챔버벽(59)은 스프링 강 밴드(45)이 구동 기어(52) 주위를 감싸는 위치에서 구동 기어(52)의 원주면(53)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약간 이격된다. 챔버벽(59)과 외부 원주면(53) 사이의 간격은 돌출부(54)의 높이 보다 작다. 돌출부(54)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대응홈이 구동 기어(52)의 원주 방향으로 챔버벽(59)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홈은 단면 도시로 인해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챔버벽(59)은 따라서 돌출부(54)들이 압력하에서 구멍(48)과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즉, 돌출부(54)들이 상기 구멍(48)으로부터 분리되는 정도의 압력 조건에서 스프링 강 밴드(45)가 외부 원주면(58)을 들어올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압력 수단으로 작용한다.
도 2에 따른, 스프링 강 밴드(45)의 능동 자유 단부(46)는 즉 리벳(63)에 의해서 안내 홈(34)에 위치한 풀 로드(36)의 단부에 압축 방지 및 인장 방지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2에 따른, 스프링 강 밴드(45)의 평탄측은 언더컷을 포함하지 않는 안내 홈(34)의 평탄측과 평행하게 놓여진다.
구동 장치(32)는 안내 레일(27)의 바닥 단부 위에 즉, 후방 윈도우 쉘프(19) 밑에 위치하고 구동 장치(33)의 거울상의 대칭으로 구현된다.
상기 기술되지 않은 개별 부품들 사이의 기하학적 배정(geometric assignment)의 형태는 하기 기능 설명에 기재되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기능 설명에 있어서, 롤러 블라인드(22)는 권취 샤프트(31) 상에 완전히 감겨지는 것 즉, 풀 로드(36)를 구비한 에지가 후방 윈도우 쉘프(19)의 슬롯에 위치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 강 밴드(45)는 챔버(57)에서 가능한 멀리 감겨진다. 이 위치에서 나선부(47)의 외경은 챔버(57)의 직경 보다 작다. 스프링 강 밴드(45)는 나선형으로 사전형성되므로, 나선부(47)만이 챔버(57)의 벽 즉, 스프링 강 밴드(45)가 나선부(49)로부터 풀려지는 영역의 분할벽(60)에 인접한다. 특유의 탄성으로 인해서, 스프링 강 밴드는 단부(47)로부터 권취되는 일정한 성질을 가지므로, 나선부(48)는 상측(61) 부근에서 나선부(49)에 의해서 인접하는 분할벽(60)을 향하여 일정하게 가압한다.
스프링 강 밴드(45)는 분할벽(61)의 상측에 의해서 한정된 챔버(58)의 슬롯을 통해서 챔버(57)로부터 연장되고, 스프링 강 밴드는 챔버벽(59)에 의해서 상기 위치에서 구동 기어(51)의 외부 원주면(52)에 항상 인접하도록 유지된다.
스프링 강 밴드(45)는 그때 하측에 인접한 안내 레일(28) 안으로 연장된다. 스프링 강 밴드(45)는 안내 레일(28)과 하우징의 하측 사이에 위치한 영역에서 추가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안내 동작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안내 수단은 스프링 강 밴드(45)를 더욱 잘 도시하기 위하여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시된 위치로부터 윈도우 블라인드(21)를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두개의 구동 장치(32,33)의 양 기어형 모터(50)가 동시에 그러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차량의 대응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도 3에 도시된 구동 장치(33)에 대해서, 구동 기어(5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돌출부(54)와 구멍(48) 사이의 포지티브 결합(positive engagement)으로 인하여, 구동 기어(52)는 스프링 강 밴드(45)를 나선부(49)로부터 풀고 안내 레일(28)에서 스프링 강 밴드(45)를 전진시킨다. 스프링 강 밴드(45)는 평탄측에 대해서 버클 방지 방식으로 구현되므로, 풀 로드(36)를 스프링 구동부(41)의 힘에 대항하여 전방에서 가압한다. 스프링 강 밴드(45)의 기하학적 형태로 인해서, 좁은측은 홈 슬롯(35)으로부터 측방으로 분리될 수 없다.
양 기어형 모터(48)는 동일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기어형 모터(50)는 풀 로드(36)를 전방으로 균일하게 밀어내고, 풀 로드는 권취 샤프트(31)와 평행하게 두개의 안내 레일(27,28)의 먼 단부를 향하여 이동한다. 두개의 안내 레일(27,28)의 먼 단부들은 후방 윈도우(5)의 상측에 즉, 루프 부근에서 위치한다.
추출 이동 동안, 스프링 강 밴드(45)에 의해서 작용하는 추력은 평탄측 상의 스프링 강 밴드(45)를 버클링시키는 경향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버클링은 스프링 강 밴드(45)가 종방향으로 오목하게 사전형성되므로, 부분 원통형 채널이 안내 홈(34)의 측부 또는 측면과 연결하여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롤러 블라인드(22)를 권취 샤프트(31)로부터 풀기위해 필요한 추력을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윈도우 블라인드(21)가 완전히 추출될 때, 나선부(49)의 두번 또는 세번의 턴(turn)에 이르는 작은 세그먼트가 나선부(49)의 재권취를 단순하게 하기 위하여 챔버(57)에 남아있다.
롤러 블라인드(22)를 후퇴시키기 위하여, 기어형 모터(48)는 회전의 대향 방향으로 작동한다. 구동 장치(33)에 대해서, 구동 기어(52)는 반시계 방향으로 복귀한다. 이 운동 동안, 스프링 강 밴드(45)의 작용 세그먼트는 구동 기어(52)의 방향으로 안내 레일(28)로부터 후퇴된다. 롤러 블라인드(22)의 대응 에지는 두개의 구동 장치(32,33)의 양 스프링 강 밴드(45)의 상기 동시 복귀 운동을 추종한다. 스프링 구동부(41)는 권취 샤프트(31)의 방향으로 풀 로드(36)의 이동에 따라서 권취 샤프트(31) 상의 롤러 블라인드(22)를 권취한다. 스프링 구동부는 전체적인 이동중에 영구적인 인장 상태로 남아있다.
스프링 강 밴드(45)의 아이들 세그먼트는 외부 원주면(53)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분할벽(61)에 의해서 형성된 슬롯을 통해서 챔버(57) 안으로 뒤로 가압된다. 이 챔버에서, 스프링 강 밴드(45)는 직경이 증가하는 나선부(49)로 자동으로 재권취된다. 나선부(49)를 권취하는데 구동력이 필요하지 않다. 스프링 강 밴드(45)는 태엽 장치 스프링과 유사하게 구현되는 스프링 강 밴드(45)의 사전형성된 형태로 인해서 나선부(49) 상에 또는 나선부(49) 안으로 권취된다. 구동 장치(33)의 스프링 강 밴드(45)가 사전형성된 형태로 인해서 테이블 상에 자유롭게 놓여진다면, 완전히 풀려진 이후에 나선형 구조 형태를 다시 자동으로 취한다.
도 3을 고려할 때, 당기술에 숙련된 기술자는 구동 장치(32)는 각 안내 레일(27,28)의 바닥 단부의 영역에 배열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구동 장치(32,33)는 권취 샤프트(31)에 대해서 안내 레일(27,28)의 먼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프링 강 밴드(45)는 롤러 블라인드(29)를 추출하기 위하여, 풀 로드(36)를 압력 보다 장력에 영향을 받게 한다.
가장 양호한 장치는 차체 내의 각 공간 상태에 따라 좌우된다.
또한, 후방 윈도우에 관해서 기술된 구동부의 유형은 루프 윈도우 블라인드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당업자는 스프링 강 밴드(45)가 도시된 평탄측을 갖는 롤러 블라인드의 평면과 평행하게 배열될 필요는 없지만, 롤러 블라인드의 평면과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하기 기술되는 바와 같이, 언더컷 안내 홈(34)을 활용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측면 윈도우 블라인드(25)는 상기 구동 장치(33)를 사용하지만, 다른 안내 장치를 갖는다. 도 4는 측면 도어(11)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내부 트림 패널(65)은 상기 측면 도어(11)로부터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측면 윈도우 블라인드(25)는 롤러 블라인드(67)의 한 에지가 고정되고 도어에 수용되는 권취 샤프트(66)를 포함한다. 롤러 블라인드(67)의 자유 단부는 상기 실시예의 풀 로드(36)의 기능과 일치하는 기능을 갖는 풀 로드(68)에 연결된다.
상기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풀 로드(68)는 안내 레일(27 또는 28)에 의해서 안내되지 않고 지지 로드(69)에 의해서 안내된다. 지지 로드(69)는 윈도우(14)의 하측 에지와 대략 수직하게 연장되고 도어의 내부를 관통하는 직선형 로드로 구성된다.
지지 로드(69)는 상기 기술한 유형의 구동 장치(33)에 의해서 이동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컷 안내 홈(72)을 수용하는 안내 튜브(71)는 구동 장치(33)의 언더컷 하우징(55) 밑으로 연장된다. 안내 홈(72) 안으로 개방되고 지지 로드(69)가 유극이 거의 없이 미끄럼 방식으로 수용되는 다른 홈(73)은 안내 홈(72)에 측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열된다. 안내 홈(72)은 버클링 없이 스프링 강 밴드(45)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에는, 단지 구동 장치(33)의 스프링 강 밴드(45)와 구동 기어(52) 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고 도 3과 연관하여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프링 밴드 나선부(49)가 수용되고 챔버(57)를 갖는 하우징(55)은 도 4에 도시되지만 도 5에는 도시생략된 구동 장치(33)에도 역시 제공된다.
스프링 강 밴드(45)의 작용 세그먼트는 언더컷 홈(72)에서 연장되고, 구동 단부(46)는 필수적으로 지지 로드(69)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롤러 블라인드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롤러 블라인드가 후퇴할 때, 풀 로드(68)는 하측 윈도우 에지의 높이에 위치한다. 지지 로드(69)는 가능한 멀리 안내 튜브(71) 안으로 관통하고 따라서 짧은 거리 만큼 하우징(55)의 상측 에지에 대해서 단지 돌출하기만 한다. 따라서, 스프링 강 밴드(45)의 작용 세그먼트의 대부분은 안내 튜브(71)에 위치한다. 상기 실시예와 같이, 나선부(49)의 작은 세그먼트는 챔버(57)에 남아있다.
측면 윈도우를 차양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스프링 강 밴드(45)의 작용 세그먼트가 스프링 강 밴드(45)와 구동 기어(52) 사이의 포지티브 결합으로 인하여 안내 튜브(71)로부터 추출되도록, 대응 구동 모터(50)를 작동시킨다. 이로 인해서, 작용 세그먼트의 단부(46)에 단단하게 결합된 지지 로드(69)의 상향 이동 즉, 윈도우(14)의 상측 에지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스프링 강 밴드(45)가 상기와 같이 이동하는 동안, 아이들 세그먼트는 하우징(55) 내부, 특히 안에 제공된 챔버(47)에서 상기 방식으로 나선부 안으로 권취된다. 스프링 강 밴드(45)는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가 외부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도 3에 따른 나선형 구성을 취하는 경향을 가지도록,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나선형으로 사전형성된다.
안내 튜브(71)로부터 스프링 강 밴드(45)를 추출하는 동작은, 풀 로드(68)가 상측 윈도우 에지의 영역에 위치할 때까지 지속된다. 이 위치에서, 예를 들어, 스프링 강 밴드(45) 또는 풀 로드(43) 상의 제한 정지부가 지지 로드(69)가 안내 튜브(71)로부터 추가로 추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구동 장치(33)도 차단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 장치(33)는 하측 윈도우 에지의 부근 즉, 안내 튜브(71)의 상단부에 위치한다. 롤러 블라인드(67)가 추출되는 동안, 스프링 강 밴드(45)는 장력을 발생시키고, 스프링 강 밴드(45)의 작용 세그먼트는 롤러 블라인드를 후퇴시키기 위하여 압력의 영향을 받는다. 후퇴 동작은 동일 방식으로 반대 방향으로 발생하고, 스프링 강 밴드(45)는 안내 채널(72) 안으로 가압된다. 이 과정 동안, 스프링 강 밴드(45)는 지지 로드(69)를 안내 튜브(71) 안으로 다시 돌아가게 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 기어(52)의 감기는 각도는 대략 180도이다. 당업자는 감기는 각도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기는 각도는 단지 두개의 돌출부(53)들이 스프링 강 밴드(45)와 동시에 결합할 때까지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 그래픽 도시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스프링 강 밴드(45)는 구동 기어(52)를 지나서 접선 방향으로 실용적으로 연장하고 감기는 각도는 거의 0이 된다. 그러나, 스프링 강 밴드(45)는 서로 이격된 적당한 제한 정지부들에 의해서 구동 기어(52)의 외부 원주면(53)과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소수의 동시 결합된 돌출부(54)는 상기 돌출부(54)가 단지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만을 가진다면, 과부하 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절두 원뿔 또는 구형 캡 형태로 구현되는 돌출부(54)들의 플랭크들이 경사져 있는 경우에, 스프링 강 밴드(45)에 대한 보유력이 소정 제한값을 초과한다면, 돌출부(54)가 구멍(48)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한다. 효과적인 항걸림 방지 장치는 새로운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천공부는 스프링 강 밴드의 종축 상의 둥근 구멍 형태로 구현될 필요가 없다는 것은 명백하다. 천공부는 에지 천공부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프링 강 밴드의 일 에지 또는 양 에지는 직사각형 개방 에지 노치들을 갖는다.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는 태엽 장치 스프링과 유사하게 나선형으로 사전형성된 스프링 강 밴드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보유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스프링 강 밴드는 종방향으로 동일간격으로 천공되고 갈고리형 와이어(barbed wire)와 유사하게 구현되고 기어형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구동 기어에 대해서 이 동하고, 상기 구동 기어의 돌출부들은 스프링 강 밴드의 구멍과 결합한다. 롤러 블라인드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압력 또는 장력은 스프링 강 밴드의 도움으로 발생될 수 있다.
도 1은 승용차의 후방 시트 영역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후방 윈도우 블라인드를 크게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후방 윈도우 블라인드를 작동시키는 두개의 구동 장치중 하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지지 로드를 갖는 윈도우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부분 단면 우측 후방 도어를 크게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윈도우 블라인드 구동부를 단순하게 도시한 도면.

Claims (25)

  1. 롤러 블라인드(21,25)가 이동하거나 또는 권취될 수 있는 롤러 블라인드(22,67)를 형성하고, 롤러 블라인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회퇴하는 동안 가장 긴 거리를 이동하는, 롤러 블라인드의 에지가 구동 장치(32,33)에 의해서 동력이 전달되는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21,25)용 구동 장치(32,33)로서,
    등간격의 분배 구멍(48) 또는 리세스의 종방향 천공부를 구비하고 평탄한 나선형 스프링(49)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사전형성되는 스프링 강 밴드(45)로서, 스프링 층들이 비응력 상태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49)에 위치한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의 단부(47)는 비작동 단부이고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의 외부 단부(46)는 롤러 블라인드(22,67) 상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작용하는 구동 단부인 스프링 강 밴드(45)와;
    구동 기어(52)의 외부 원주부(53)가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의 천공부(48)와 포지티브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설계된 다수의 돌출부(54)를 구비한 구동 기어(52)와;
    기어형 모터(50)의 출력 샤프트(51)가 상기 구동 기어(52)에 견고하게 연결된 기어형 모터(50); 및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와 상기 구동 기어(52)를 결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59)을 포함하는,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층들은 서로의 위에 직접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는 종축에 대해서 굴곡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가 상기 롤러 블라인드(22,67)의 추출 동안 인장력을 받는 방식으로 상기 롤러 블라인드(22,67)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가 상기 롤러 블라인드(22,67)의 추출 동안 압력을 받는 방식으로 상기 롤러 블라인드(22,67)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 강 밴드가 압력을 받을 때, 버클링 없이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에 대해서 안내 수단(27,28,71)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27,28,71)은 안내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27,28)은 언더컷 없는 안내 홈(34)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의 하나의 좁은 측은 상기 홈 슬롯(35)의 방향으로 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71)은 언더컷 안내 홈(72)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의 하나의 평탄 측은 상기 홈 슬롯의 방향으로 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의 구동 단부(46)를 롤러 블라인드(22,67)와 연결하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형 모터(50)가 설치되는 하우징(55)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와 상기 구동 기어(42)를 결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5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와 상기 구동 기어(42)를 결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59)은 상기 돌출부(54)가 과부하의 경우에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의 천공부(48)로부터 분리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와 상기 구동 기어(42)를 결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59)은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과 상기 구동 기어(42) 사이의 접촉점의 양측 상에 놓여지는 위치에서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의 평탄측 상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3)는 구형 캡, 원뿔 또는 절두 원뿔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3)의 높이는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의 0.8배 내지 1.5배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러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동 장치(3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블라인드.
  17. 제 16 항에 있어서,
    풀 로드(36,68)는 상기 롤러 블라인드(22,67)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블라인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풀 로드(36)의 적어도 한 단부는 안내 레일(27,28)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블라인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풀 로드(36)의 양 단부들은 안내 레일(27,28)에서 안내되고,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동 장치(32,33)는 각 안내 레일(27,28)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블라인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로드(69)가 제공되고, 안내 장치(71)가 상기 지지 로드에 할당되어서 상기 롤러 블라인드(67)의 추출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지지 로드(69)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블라인드.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로드(69)는 탄성적으로 굽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블라인드.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로드(69)의 하단부는 상기 스프링 강 밴드(4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블라인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동 장치(3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블라인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동 장치(32,33)는 풀 로드(68)에 대해서 지지 로드(69)의 먼 단부가 추출 위치에 위치하는 장소 부근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블라인드.
  25. 제 22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동 장치(32,33)는 풀 로드(68)에 대해서 지지 로드(69)의 먼 단부가 후퇴 위치에 위치하는 장소 부근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블라인드.
KR1020080018911A 2007-03-07 2008-02-29 천공 밴드 구동부를 갖는 롤러 블라인드 KR200800824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11465A DE102007011465B4 (de) 2007-03-07 2007-03-07 Rollo mit Lochbandantrieb
DE102007011465.8 2007-03-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461A true KR20080082461A (ko) 2008-09-11

Family

ID=39047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911A KR20080082461A (ko) 2007-03-07 2008-02-29 천공 밴드 구동부를 갖는 롤러 블라인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216973A1 (ko)
EP (1) EP1967400A3 (ko)
JP (1) JP2008260516A (ko)
KR (1) KR20080082461A (ko)
CN (1) CN101260780B (ko)
DE (3) DE202007015432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48207B3 (de) * 2005-10-07 2006-11-23 Webasto Ag Rollo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7012978A1 (de) * 2007-03-14 2008-09-18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Seilantrieb
KR100999156B1 (ko) 2008-11-03 2010-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루프용 롤 블라인더 장치
KR100997248B1 (ko) 2010-03-02 2010-11-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DE102010018259B4 (de) * 2010-04-26 2011-12-01 Webasto Ag Fahrzeugrolloanordnung, Baugruppe mit einer Fahrzeugrolloanordnung, und Dachanordnung
US8807196B2 (en) * 2010-05-04 2014-08-19 Qmotion Incorporated Modular anti-reversible power spr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20103256A (ko) * 2011-03-10 2012-09-19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차량용 롤 블라인드
DE102013102838A1 (de) * 2013-03-20 2014-09-25 Webasto SE Rolloanordnung mit Seitenführung
DE102015118775B4 (de) * 2015-11-03 2019-02-21 Macauto Industrial Co., Ltd. Laderaumabdeckung
JP6629049B2 (ja) * 2015-11-18 2020-01-15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ェード装置
DE102015015081A1 (de) * 2015-11-19 2017-05-24 Eshehawi Khaled Automatisches Steuern für getönte Autofensterscheiben
FR3058445B1 (fr) 2016-11-10 2020-07-17 Flexoma Dispositif de manœuvre d'un systeme d'occultation d'une baie et installation d'occultation mettant en œuvre un tel dispositif
KR101930344B1 (ko) 2017-08-04 2018-12-18 민인영 스크린 고정부재가 구비된 천장, 경사 및 곡면용 롤 스크린 블라인드
DE102019106299A1 (de) * 2019-03-12 2020-09-17 Hs Products Engineering Gmbh Antriebsvorrichtung für den Antrieb einer Rollovorrichtung eines rahmenlosen Fahrzeugfensters
EP4185161A1 (en) * 2020-07-21 2023-05-31 Dawn Tech Ltd An electric spiraling piston and systems devices apparatuses and methods utilizing same
CN115500678B (zh) * 2022-08-31 2023-12-26 乐屋(广东)高新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窗帘导轨
CN116019343A (zh) 2022-12-07 2023-04-28 宁波森瑞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方便快速装配的电动天棚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937A (en) * 1903-09-12 1905-07-18 Curtain Supply Co Shade-holding device.
US1944454A (en) * 1933-02-06 1934-01-23 Park Thomas Pneumatic curtain control for motor cars
NL109683C (ko) * 1958-11-21
DE3226400A1 (de) * 1982-07-15 1984-01-19 Baumeister & Ostler, 7307 Aichwald Fensterrollo,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DE3328888C1 (de) * 1983-08-10 1985-05-09 Hörmann KG Antriebs- und Steuerungstechnik, 4834 Harsewinkel Antrieb für das Öffnen und Schließen einer Tür oder eines Tores
DE3612165A1 (de) * 1986-04-11 1987-10-22 Baumeister & Ostler Fuehrungsloses fensterrollo,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CH674397A5 (ko) * 1987-06-19 1990-05-31 Griesser Ag
NL8802303A (nl) * 1988-09-16 1990-04-17 Schoen Siegfried Joachim Elektro-motorisch aangedreven zonwering.
US5003417A (en) * 1988-12-16 1991-03-26 Datatape Incorporated Spring dampener assembly for a sprocket driven belt drive system
US5076633A (en) * 1991-02-11 1991-12-31 Hsu Chi Hsueh Automatic sun screen for motor vehicles
DE9204311U1 (ko) * 1992-03-30 1992-05-21 Perfecta - Rolladen Gmbh, 8851 Westendorf, De
JP3291193B2 (ja) * 1996-01-12 2002-06-10 シュウテック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被覆装置
CN2298954Y (zh) * 1997-03-12 1998-12-02 程冰杰 车辆电动遮阳帘
CN2338200Y (zh) * 1998-06-29 1999-09-15 郑博文 汽车后窗电动遮阳帘
DE10125066B4 (de) * 2000-06-16 2009-11-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usstattungsteil für ein Fahrzeug
DE20309690U1 (de) * 2003-06-24 2003-09-11 Kuhlemann Horst Sonnenschutzrollo,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fenster
DE102004049059A1 (de) * 2003-10-28 2005-06-02 Fkt Gmbh Technische Produkte Rollo
DE10353778A1 (de) * 2003-11-18 2005-06-23 Bos Gmbh & Co. Kg Fahrzeugrollo mit vereinfachter Ankoppelung der Führungsschienen
JP4560442B2 (ja) * 2005-05-23 2010-10-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開閉装置
DE202006011248U1 (de) * 2006-07-19 2006-09-2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ensterrollo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sowie Fahrzeugtür
US7493933B2 (en) * 2006-08-15 2009-02-24 Li Xinian Retractable window shade
ATE505354T1 (de) * 2006-09-27 2011-04-15 Bos Gmbh Manuell betätiges fensterrollo
DE102007012281A1 (de) * 2007-03-09 2008-09-11 Bos Gmbh & Co. Kg Automatisch betätigbares Seitenfensterroll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67400A2 (de) 2008-09-10
CN101260780A (zh) 2008-09-10
DE202007015432U1 (de) 2008-02-07
JP2008260516A (ja) 2008-10-30
EP1967400A3 (de) 2012-06-13
CN101260780B (zh) 2011-08-17
DE102007011465A1 (de) 2008-10-02
DE102007011465B4 (de) 2010-08-05
US20080216973A1 (en) 2008-09-11
DE102007063705B4 (de)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2461A (ko) 천공 밴드 구동부를 갖는 롤러 블라인드
US7717158B2 (en) Side window roll-up shade with cable drive
KR100876847B1 (ko) 차량용 분할 차창 차양장치
JP4713775B2 (ja) 車両窓用日除けブラインドを格納した自動車及びルーフに格納できる車両窓用日除けブラインド
KR100844282B1 (ko) 권취식 윈도우 셰이드를 구비한 윈도우
KR100844281B1 (ko) 트랙션 로드용 센터링 디바이스를 구비한 권취식 윈도우셰이드
US6347825B2 (en) Side window blind with slot covering
US7537039B2 (en) Window blind driven by a window lifter
KR100859676B1 (ko) 바우덴 케이블을 갖는 후방 윈도우 차양
US7896057B2 (en) Roller blind for complete shading of a motor vehicle window
DE10057763C2 (de) Doppelrollo mit vereinfachtem Antrieb
KR20010078789A (ko) 후방 창의 롤-업식 블라인드
KR101477997B1 (ko) 구동 포크에서 마찰력이 감소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
US20080216972A1 (en) Automatically actuable side window roller blind
DE102006024538A1 (de) Rollo mit geräuschfreiem Spiralfederantrieb
DE10005970A1 (de) Seitenfensterrollo
KR20070014982A (ko) 매끄러운 가압 요소를 가진 롤러 블라인드
CN101186178A (zh) 卷起式天窗遮阳板
JP2007008456A (ja) 作動要素と嵌合する終端ストッパを有する自動車用ウィンドウシェード
DE10324545B4 (de) Wickelwelle mit externem Federantrieb
DE202006017863U1 (de) Rollo mit geräuschfreiem Spiralfederantri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