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0624A - 발포혼합물의 금형 캐비티에 대한 충전방법 및주형조형장치 - Google Patents

발포혼합물의 금형 캐비티에 대한 충전방법 및주형조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0624A
KR20080080624A KR1020087016758A KR20087016758A KR20080080624A KR 20080080624 A KR20080080624 A KR 20080080624A KR 1020087016758 A KR1020087016758 A KR 1020087016758A KR 20087016758 A KR20087016758 A KR 20087016758A KR 20080080624 A KR20080080624 A KR 20080080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oam mixture
water
stirring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1024B1 (ko
Inventor
토시히코 젠포
유스케 카토
노리히로 아사노
카즈유키 니시카와
토시오 칸노
신지 소노야마
Original Assignee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0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5/0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22C5/12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for filling fl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2Sand moulds or like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11/00Mould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parts of same
    • B22C11/02Machines in which the moulds are moved during a cycle of successive operations
    • B22C11/08Machines in which the moulds are moved during a cycle of successive operations by non-rotary conveying means, e.g. by travell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15/00Mould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compacting mechanism; Accessories therefor
    • B22C15/23Compacting by gas pressure or vacuum
    • B22C15/24Compacting by gas pressure or vacuum involving blowing devices in which the mould material is supplied in the form of loose particles
    • B22C15/245Blow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5/0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22C5/04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by grinding, blending, mixing, kneading, or stirring
    • B22C5/0409Blending, mixing, kneading or stirring;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 Mold Materials And Core Material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함 주형을 유발하지 않는 발포혼합물의 금형 캐비티에 대한 충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여 얻은 발포혼합물을, 수평분할금형의 캐비티에 압입방식에 의해 충전하는 방법으로서, 수평분할금형의 형맞춤부분에서의 측부위치에 상기 캐비티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형성해 두고, 상단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이루며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수납하여 교반하는 동시에 측벽에 발포혼합물의 배출구를 관통시켜 뚫은 교반조 및 교반조 내의 발포혼합물을 밀어올리는 밀어올림기구를 구비한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배출구를 수평분할금형의 주입구에 접속하고, 밀어올림기구를 작동하여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발포혼합물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배출구로부터 배출시켜 주입구에 주입하여, 발포혼합물에 의해 캐비티 내의 공기를 밀어내면서 캐비티 내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포혼합물의 금형 캐비티에 대한 충전방법 및 주형조형장치{METHOD FOR FILLING FOAMING MIXTURE INTO MOLD CAVITY, AND MOLD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발포혼합물의 금형 캐비티에 대한 충전방법 및 주형조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여 얻은 발포혼합물을, 수평분할금형 또는 수직분할금형의 캐비티에 압입방식에 의해 충전하는 방법 및 이러한 충전방법을 실시하여 주형을 조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먼저 주형조형장치의 하나로서,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여 얻은 혼합물을, 가열된 금형의 캐비티에 압입방식에 의해 충전하여 주형을 조형하는 주형조형장치로서, 직육면체를 이루는 동시에 상하로 관통하는 중공을 갖는 중공 직육면체의 하단개구부를 바닥판으로 폐쇄하며 상기 바닥판에 상기 혼합물을 사출하는 사출구멍을 투설(透設)하고, 상기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는 교반조로서의 기능과, 상기 혼합물을 압입하기 위해 이를 수납하는 압입통으로서의 기능을 아울러 갖는 혼합물 수납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사출구멍을 폐쇄할 수 있는 플러그수단을 더 설치한 것을 제안한 바 있다.
특허문헌 1 : WO 2005/089984 A1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주형조형장치에서는, 혼합물을 금형의 캐비티에 압입하였을 때에 캐비티 내의 공기가 결함 주형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결함 주형을 유발하지 않는 발포혼합물의 금형 캐비티에 대한 충전방법 및 상기 충전방법을 실시하여 주형을 조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청구항 1에서의 발포혼합물의 금형 캐비티에 대한 충전방법은,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여 얻은 발포혼합물을, 수평분할금형의 캐비티에 압입방식에 의해 충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형맞춤부분에서의 측부위치에 상기 캐비티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형성해 두고, 상단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이루며 상기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수납하여 교반하는 동시에 측벽에 발포혼합물의 배출구를 관통시켜 뚫은 교반조 및 교반조 내의 발포혼합물을 밀어올리는 밀어올림기구를 구비한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상기 배출구를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상기 주입구에 접속하고, 상기 밀어올림기구를 작동하여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상기 발포혼합물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시켜 상기 주입구에 주입하여, 상기 발포혼합물에 의해 상기 캐비티 내의 공기를 밀어내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서의 발포혼합물의 금형 캐비티에 대한 충전방법은, 입자형상 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여 얻은 발포혼합물을, 수직분할금형 또는 수평분할금형의 캐비티에 압입방식에 의해 충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직분할금형의 형맞춤부분에서의 하부위치 또는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하면에 상기 캐비티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형성해 두고, 상단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이루며 상기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수납하여 교반하는 교반조 및 교반조 내의 발포혼합물을 밀어올리는 밀어올림기구를 구비한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상기 상단 개구를 상기 수직분할금형 또는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상기 주입구에 접속하고, 상기 밀어올림기구를 작동하여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상기 발포혼합물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상기 주입구에 주입하여, 상기 발포혼합물에 의해 상기 캐비티 내의 공기를 밀어내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은, 그 배출구를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주입구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수평이동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고, 상단 개구부를 상기 수직분할금형의 주입구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수평분할금형 또는 상기 수직분할금형의 가열은, 전기히터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은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여 얻은 발포혼합물을, 수평분할금형의 캐비티에 압입방식에 의해 충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형맞춤부분에서의 측부위치에 상기 캐비티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형성해 두고, 상단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이루며 상기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수납하여 교반하는 동시에 측벽에 발포혼합물의 배출구를 관통시켜 뚫은 교반조 및 교반조 내의 발포혼합물을 밀어올리는 밀어올림기구를 구비한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상기 배출구를 상기 수평분할 금형의 상기 주입구에 접속하고, 상기 밀어올림기구를 작동하여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상기 발포혼합물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시켜 상기 주입구에 주입하여, 상기 발포혼합물에 의해 상기 캐비티 내의 공기를 밀어내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채우기 때문에, 발포혼합물의 상기 캐비티 내에 대한 충전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결함 주형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우수한 실용적 효과를 거둔다.
또한, 청구항 2는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여 얻은 발포혼합물을, 수직분할금형 또는 수평분할금형의 캐비티에 압입방식에 의해 충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직분할금형의 형맞춤부분에서의 하부위치 또는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하면에 상기 캐비티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형성해 두고, 상단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이루며 상기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수납하여 교반하는 교반조 및 교반조 내의 발포혼합물을 밀어올리는 밀어올림기구를 구비한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상기 상단 개구를 상기 수직분할금형 또는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상기 주입구에 접속하고, 상기 밀어올림기구를 작동하여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상기 발포혼합물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상기 주입구에 주입하여, 상기 발포혼합물에 의해 상기 캐비티 내의 공기를 밀어내면서 상기 캐비티내를 채우기 때문에, 발포혼합물의 상기 캐비티 내에 대한 충전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결함 주형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실용적 효과를 거둔다.
도 1은 청구항 1의 방법을 실시하는 주형조형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 부분의 도면이다.
도 3은 청구항 2의 방법을 실시하는 주형조형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 부분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일부 단면 좌측면도이다.
도 6은 일부 단면된 도 3의 C-C선 단면 부분의 도면이다.
도 7은 청구항 2의 방법을 실시하는 주형조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도 8은 일부 단면된 도 7의 D-D선 단면 부분의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을 실시하는 주형조형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주형조형장치는, 형맞춤부분에서의 좌측부위치에 캐비티(1)에 연통하는 주입구(2)를 가지며 주형압출기구(3)를 구비한 수평분할금형(4)과, 수평분할금형(4)을 개폐하는 수평분할금형 개폐기구(5)와, 상단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수납하여 교반하는 동시에 우측벽 상부에 발포혼합물의 배출구(6)를 관통시켜 뚫은 교반조(7) 및 교반조(7) 내의 발포혼합물을 밀어올리는 밀어올림기 구(8)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구(6)를 상기 수평분할금형(4)의 주입구(2)에 접속가능하게 구성한 발포혼합물 주입수단(9)과, 별도 설치되어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9)의 교반조(7) 내에 수납된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는 교반수단(10)과, 별도 설치되어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9)의 교반조(7)의 상단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폐쇄수단(1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분할금형(4)은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분할금형 개폐기구(5)는, 상기 수평분할금형(4)의 하부몰드(12)를 상면에 부착시킨 베이스(base, 13)와, 베이스(13) 상면의 4 모서리에 세워져 설치된 4개의 가이드 로드(14·14)와, 가이드 로드(14·14)의 상단간에 가설된 천정 프레임(15)과, 상기 가이드 로드(14·14)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설되며 상기 수평분할금형(4)의 상부몰드(16)를 하면에 부착시킨 승강 프레임(17)과, 상기 천정 프레임(15)의 상면 중앙부에 장착되어 피스톤 로드의 하단을 상기 승강 프레임(17)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부착한 하향 실린더(18)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분할금형(4)의 상부몰드(16)는 실린더(18)의 신축작동에 의해 상기 승강 프레임(17)을 통해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3)의 중앙부에는 상기 주형 압출기구(3)의 하부 부분을 밀어올리는 상향 실린더(19)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17)에는 상기 주형압출기구(3)의 상부 부분을 복수의 압축코일스프링(20·20)을 통해 밀어내리는 밀어내림기구(2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9)의 상기 밀어올림기구(8)는, 상기 교반 조(7) 내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내장된 바닥판(bottom plate, 23)과, 상기 교반조(7)의 바닥부에 상향으로 장착되어 피스톤 로드의 상단에 상기 바닥판(23)을 고정부착한 실린더(2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9)은 상기 수평분할금형(4)의 좌측위치에 캐리어(25)를 통해 우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캐리어(25)는, 복수의 V홈이 있는 차륜(26·26)을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27) 상에 실어 주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한 쌍의 레일(27)은 상기 베이스(13)의 좌측면에 부설된 보조대(28)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교반조(7)의 좌측 외면에는, 지지부재(29)를 통해 상기 보조대(28) 상에 장착된 횡방향 실린더(30)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9)은 실린더(30)의 신축작동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교반수단(10)은, 상기 수평분할금형 개폐기구(5)의 천정 프레임(15)에 장착된 지지부재(31)를 통해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9)의 상방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교반 블레이드(32)와, 교반 블레이드(32)를 회전시키는 하향 모터(33)와, 모터(33)를 승강시키는 하향 실린더(3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폐쇄수단(11)은, 상기 수평분할금형 개폐기구(5)의 천정 프레임(15)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9)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고, 덮개(35)와, 덮개(35)를 승강시키는 하향 실린더(3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분할금형(4)과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9)의 사이에는 상기 교반조(7)의 배출구(6)를 폐쇄하는 플러그수단(37)이 별도 설치되어 있으며, 플러그수단(37)은, 피스톤 로드를 상기 배출구(6)에 출입가능하도록 한 횡방향 실린더로 이루어진 플러그 본체(38)와, 플러그 본체(38)를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고정부착한 횡방향 실린더(39)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주형을 조형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평분할금형(4)의 상·하부 몰드(16·12)를 미리 소요 온도로 가열한 후, 먼저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발포혼합물 주입수단(9)의 교반조(7)에 투입하는 동시에, 플러그수단(37)의 플러그 본체(38)의 피스톤 로드를 교반조(7)의 배출구(6)에 삽입한다. 이어서, 교반수단(10)의 실린더(34)를 신장작동하여 교반 블레이드(32)를 교반조(7)에 진입시킨 후, 모터(33)를 구동하여 교반 블레이드(32)를 회전시킴으로써,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여 발포혼합물을 생성하고, 발포혼합물의 생성이 완료된 후, 모터(33)의 구동을 정지하는 동시에, 실린더(34)를 수축작동하여 교반 블레이드(32)를 원래대로 되돌린다. 다음에, 플러그 본체(38)의 피스톤 로드를 배출구(6)로부터 빼낸 후, 플러그수단(37)의 실린더(39)를 수축작동하여 플러그 본체(38)를 수평분할금형(4)과 발포혼합물 주입수단(9)의 사이로부터 후퇴시키고, 계속해서 실린더(30)를 신장작동하여 발포혼합물 주입수단(9)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교반조(7)의 배출구(6)를 수평분할금형(4)의 주입구(2)에 접속한다. 이어서, 실린더(36)를 신장작동시켜 덮개(35)를 하강시키고, 교반조(7)의 상단 개구를 폐쇄한다.
이어서, 밀어올림기구(8)의 실린더(24)를 신장작동하여 바닥판(23)을 상승시킴으로써, 교반조(7) 내의 발포혼합물을 배출구(6)로부터 밀어내어 주입구(2)를 통 해 수평분할금형(4)의 캐비티(1) 내에 주입한다. 캐비티(1) 내에 주입된 발포혼합물은, 수평분할금형(4)의 상·하부 몰드(16·12)의 맞춤부분이나, 상·하부 몰드(16·12)와 주형압출기구(3)의 압출핀과의 틈새로부터 캐비티(1)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캐비티(1) 내를 채우게 된다. 이렇게 하여, 캐비티(1) 내의 발포혼합물이 수평분할금형(4)의 열에 의해 고화(固化)된 후, 수평분할금형 개폐기구(5)의 실린더(18)를 수축작동하여 상부몰드(16)를 하부몰드(12)로부터 분리하여 상승시키는 동시에, 밀어내림기구(21)의 압축코일스프링(20·20)에 의해 주형압출기구(3)의 상부 부분을 밀어내려, 고화된 발포혼합물을 상부몰드(16)로부터 분리하는 동시에 하부몰드(12)에 남기고, 계속해서 실린더(19)를 신장작동하여 주형압출기구(3)의 하부 부분을 밀어올려, 고화된 발포혼합물을 하부몰드(12)로부터 분리 상승시킴으로써 원하는 주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을 실시하는 주형조형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주형조형장치는, 형맞춤부분에서의 하부위치에 캐비티(51)에 연통하는 주입구(52)를 형성하고 주형압출기구(53)를 구비한 수직분할금형(54)과, 수직분할금형(54)을 개폐하는 수직분할금형 개폐기구(55)와, 상단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수납하여 교반하는 교반조(56) 및 교반조(56) 내의 발포혼합물을 밀어올리는 밀어올림기구(57)를 구비하며 상기 교반조(56)의 상단 개구를 상기 수직분할금형(54)의 주입구(52)에 접속가능하게 구성한 발포혼합물 주입수단(58)과, 별도 설치되어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 단(58)의 교반조(56) 내에 수납된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는 교반수단(59)과, 별도 설치되어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58)의 교반조(56)의 상단 개구와 상기 수직분할금형(54)의 주입구(52)를 연결하는 연결수단(6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분할금형(54)은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분할금형 개폐기구(5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U’자형상을 이루는 기대(機臺; 61)와, 기대(61)의 좌측부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수직분할금형(54)의 좌측몰드(62)를 부착시킨 고정 다이베이스(die base, 63)와, 상기 기대(61)의 우측부 상면에 장착된 프레임(64)과, 상기 고정 다이베이스(63)와 상기 프레임(64)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소요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어 가설된 2개의 타이 바(tie bar; 65·65)와, 2개의 타이 바(65·65)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설되며 상기 수직분할금형(54)의 우측몰드(66)를 전(前)면에 부착시킨 가동 다이베이스(67)와, 상기 프레임(64)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동 다이베이스(67)를 왕복으로 이동시키는 횡방향 실린더(68)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분할금형(54)의 우측몰드(66)는 실린더(68)의 신축작동에 의해 상기 가동 다이베이스(67)를 통해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다이베이스(63)에는 상기 주형압출기구(53)의 왼쪽 부분을 압축코일스프링(69·69)을 통해 밀어내는 좌측 압출기구(7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다이베이스(67)의 중앙부에는 상기 주형압출기구(53)의 오른쪽 부분을 밀어내는 횡방향 실린더(7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58)의 상기 밀어올림기구(57)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교반조(56) 내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내장된 바닥판(72)과, 상기 교반조(56)의 바닥부에 상향으로 장착되어 피스톤 로드의 상단에 상기 바닥판(72)을 고정부착한 실린더(7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58)은 상기 수직분할금형(54)의 하방위치에 캐리어(74)를 통해 출입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캐리어(74)는, 복수의 V홈이 있는 차륜(75·75)을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76) 상에 실어 주행하고, 별도 설치한 모터(77)의 출력축에 끼워 장착한 피니온(78)을 캐리어(74)에 장착한 랙(79)에 맞물리게 하여 피니온(78)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레일(76)은 상기 기대(61)의 좌측부에 장착된 보조대(80)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74) 상면의 전후 양측에는 2개의 특수 실린더(81·81)가 지지부재(82·82)를 통해 장착되어 있으며, 각 특수 실린더(81)는 실린더 본체가 왕복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교반수단(59)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분할금형 개폐기구(55)의 고정 다이베이스(63)에 장착된 지지부재(83)를 통해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58)의 상방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교반 블레이드(84)와, 교반 블레이드(84)를 회전시키는 하향 모터(85)와, 모터(85)를 승강시키는 하향 실린더(8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6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하는 연통구멍(87)을 갖는 본체(88)와, 2개의 상기 특수 실린더(81·81)의 실린더 본체간 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88)를 코일 스프링(89·89)을 개재시켜 지지하는 지지기구(90)로 구성되어 있고, 도 3에 있어서 특수 실린더(81·81)의 작동에 의해 독립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수단(60)의 상방에는, 상기 본체(88)의 관통구멍(87)을 청소하는 클리닝수단(91)이, 상기 고정 다이베이스(63)에 장착된 지지부재(92)를 통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클리닝수단(91)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향 실린더(93)와, 실린더(93)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고정부착된 클리닝 로드(9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58)의 하방에서의 상기 수직분할금형(54)의 바로 아래 위치에는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58) 및 상기 연결수단(60)을 밀어올려 연결수단(60)을 상기 수직분할금형(54)의 하면에 맞닿게 하는 상향 실린더(95)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3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주형을 조형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직분할금형(54)의 좌·우측 몰드(62·66)를 미리 소요 온도로 가열한 후, 먼저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발포혼합물 주입수단(58)의 교반조(56)에 투입한다. 이어서, 교반수단(59)의 실린더(86)를 신장작동하여 교반 블레이드(84)를 교반조(56)에 진입시킨 후, 모터(85)를 구동하여 교반 블레이드(84)를 회전시킴으로써,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여 발포혼합물을 생성하고, 발포혼합물의 생성이 완료된 후, 모터(85)의 구동을 정지하는 동시에, 실린더(86)를 수축작동하여 교반 블레이드(84)를 원래대로 되돌린다. 이어서, 모 터(77)를 정회전 구동하여 캐리어(74)에 의해 발포혼합물 주입수단(58)을 수직분할금형(54)의 하방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연결수단(6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계속해서 특수 실린더(81·81)를 작동하여 연결수단(60)을, 상기 본체(88)의 관통구멍(87)이 수직분할금형(54) 주입구(52)의 바로 아래에 오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어서, 실린더(95)를 신장작동하여 발포혼합물 주입수단(58) 및 본체(88)를 상승시켜 발포혼합물 주입수단(58)의 교반조(56)의 상단 개구부를 본체(88)를 통해 주입구(52)에 접속하고, 계속해서 밀어올림기구(57)의 실린더(73)를 신장작동하여 바닥판(72)을 상승시킴으로써, 교반조(56) 내의 발포혼합물을 교반조(56)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밀어내는 동시에 수직분할금형(54)의 주입구(52)를 통해 캐비티(51) 내에 주입한다. 캐비티(51) 내에 주입된 발포혼합물은, 수직분할금형(54)의 좌·우측 몰드(62·66)의 맞춤부분이나, 좌·우측 몰드(62·66)와 주형압출기구(53)의 압출핀과의 틈새로부터 캐비티(51)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캐비티(51) 내를 채우게 된다. 발포혼합물의 캐비티(51) 내에 대한 충전완료후, 실린더(95)를 수축작동하여 발포혼합물 주입수단(58) 및 본체(88)를 하강시키고, 계속해서 모터(77)를 역회전 구동하여 캐리어(74)에 의해 발포혼합물 주입수단(58) 및 연결수단(60)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하여, 캐비티(51) 내의 발포혼합물이 수직분할금형(54)의 열에 의해 고화된 후, 실린더(68)를 수축작동하여 우측몰드(66)를 좌측몰드(62)로부터 분리시키는 동시에, 압출기구(70)의 압축코일스프링(69·69)에 의해 주형압출기 구(53)의 왼쪽 부분을 밀어내어, 고화된 발포혼합물을 좌측몰드(62)로부터 밀어내는 동시에 우측몰드(66)에 남기고, 계속해서 실린더(71)를 신장작동하여 주형압출기구(53)의 오른쪽 부분을 밀어내어, 고화된 발포혼합물을 우측몰드(66)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원하는 주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금형으로서 수직분할금형(54)을 채용하고 있으나, 수평분할금형에서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수평분할금형을 이용한 주형조형장치는, 본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몰드(101)의 하면에 캐비티(102)에 연통하는 복수의 주입구(103)를 가지고 주형압출기구(104)를 구비하며 가열가능하게 구성된 수평분할금형(105)과, 상기 수평분할금형(105)을 개폐하는 수평분할금형 개폐기구(106)와, 상단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수납하여 교반하는 교반조(107) 및 교반조(107) 내의 발포혼합물을 밀어올리는 밀어올림기구(108)를 구비하며 상기 상단 개구를 상기 수평분할금형(105)의 주입구(103)에 접속가능하게 구성한 발포혼합물 주입수단(109)과, 별도 설치되어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109)의 교반조(107) 내에 수납된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는 교반수단(110)과, 별도 설치되어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109)의 교반조(107)의 상단 개구와 상기 수평분할금형(105)의 상기 주입구(103)를 연결하는 연결수단(111)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분할금형 개폐기구(106)는, 상기 수평분할금형(105)의 하부몰드(101)를 상면에 부착시킨 베이스(112)와, 베이스(112) 상면의 4 모서리에 세워져 설치된 4개의 가이드 로드(113·113)와, 가이드 로드(113·113)의 상단간에 가설된 천정 프레임(114)과, 상기 가이드 로드(113·113)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설되며 상기 수평분할금형(106)의 상부몰드(115)를 하면에 부착시킨 승강 프레임(116)과, 상기 천정 프레임(114)의 상면 중앙부에 장착되어 피스톤 로드의 하단을 상기 승강 프레임(116)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부착시킨 하향 실린더(117)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분할금형(105)의 상부몰드(115)는 실린더(117)의 신축작동에 의해 상기 승강 프레임(116)을 통해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2)에는 상기 주형압출기구(104)의 하부 부분을 복수의 압축코일스프링(118·118)을 통해 밀어올리는 밀어올림기구(119)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116)의 중앙부에는 상기 주형압출기구(104)의 상부 부분을 밀어 내리는 하향 실린더(12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109)의 하방에서의 상기 수평분할금형(105)의 바로 아래 위치에는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109) 및 상기 연결수단(111)을 밀어올려 연결수단(111)을 상기 수평분할금형(105)의 하면에 맞닿게 하는 상향 실린더(1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발포혼합물 주입수단(109), 교반수단(110) 및 연결수단(111)은, 상술한 발포혼합물 주입수단(58), 교반수단(59) 및 연결수단(60)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은 수평분할금형(105)의 상·하부 몰드(115·101)를 미리 소요 온도로 가열한 후,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발포혼합물 주입수단(109)의 교반조(107)에 투입한다. 이어서, 상기 수직분할금형(54)을 사용한 주형조형장치와 마찬가지로 하여,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여 발포혼합물을 생성하고, 발포혼합물의 생성이 완료된 후, 발포혼합물 주입수단(109) 및 연결수단(111)을 수평분할금형(105)의 하방위치로 이동시키고, 계속해서 연결수단(111)을 수평분할금형(105)의 바로 아래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실린더(121)를 신장작동하여 발포혼합물 주입수단(109)의 교반조(107)의 상단 개구부를 연결수단(111)을 통해 수평분할금형(105)의 주입구(103)에 접속시킨 후, 발포혼합물 주입수단(109)에 의해 수평분할금형(105)의 캐비티(102) 내에 발포혼합물을 주입한다. 캐비티(102) 내에 주입된 발포혼합물은, 수평분할금형(105)의 상·하부 몰드(115·101)의 맞춤부분이나, 상·하부 몰드(115·101)와 주형압출기구(104)의 압출핀과의 틈새로부터 캐비티(102)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캐비티(102) 내를 채우게 된다. 발포혼합물의 캐비티(102) 내에 대한 충전완료후, 실린더(121)를 수축작동하여 발포혼합물 주입수단(109) 및 연결수단(111)을 하강시키고, 계속해서 발포혼합물 주입수단(109) 및 연결수단(111)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하여, 캐비티(102) 내의 발포혼합물이 수평분할금형(105)의 열에 의해 고화된 후, 수평분할금형 개폐기구(106)의 실린더(117)를 수축작동하여 상부몰드(115)를 하부몰드(101)로부터 분리하여 상승시키는 동시에, 밀어올림기구(119)의 압축코일스프링(118)에 의해 주형압출기구(104)의 하부 부분을 밀어 올려, 고화된 발포혼합물을 하부몰드(101)로부터 분리하는 동시에 상부몰드(115)에 남기고, 계속해서 실린더(120)를 신장작동하여 주형압출기구(104)의 상부 부분을 밀어 내려, 고화된 발포혼합물을 상부몰드(115)로부터 분리 하강시킴으로써 원하는 주형을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여 얻은 발포혼합물을, 수평분할금형의 캐비티에 압입방식에 의해 충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형맞춤부분에서의 측부위치에 상기 캐비티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형성해 두고,
    상단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이루며 상기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수납하여 교반하는 동시에 측벽에 발포혼합물의 배출구를 관통시켜 뚫은 교반조 및 교반조 내의 발포혼합물을 밀어올리는 밀어올림기구를 구비한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상기 배출구를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상기 주입구에 접속하고,
    상기 밀어올림기구를 작동하여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상기 발포혼합물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시켜 상기 주입구에 주입하여,
    상기 발포혼합물에 의해 상기 캐비티 내의 공기를 밀어내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혼합물의 금형 캐비티에 대한 충전방법.
  2. 입자형상 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여 얻은 발포혼합물을, 수직분할금형 또는 수평분할금형의 캐비티에 압입방식에 의해 충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직분할금형의 형맞춤부분에서의 하부위치 또는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하면에 상기 캐비티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형성해 두고,
    상단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이루며 상기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 인더 및 물을 수납하여 교반하는 교반조 및 교반조 내의 발포혼합물을 밀어올리는 밀어올림기구를 구비한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상기 상단 개구를 상기 수직분할금형 또는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상기 주입구에 접속하고,
    상기 밀어올림기구를 작동하여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상기 발포혼합물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상기 주입구에 주입하여,
    상기 발포혼합물에 의해 상기 캐비티 내의 공기를 밀어내면서 상기 캐비티 내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혼합물의 금형 캐비티에 대한 충전방법.
  3. 제 1항의 발명을 실시하여 주형을 조형하는 장치로서,
    형맞춤부분에서의 측부위치에 캐비티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가지고 주형압출기구를 구비하며 가열 가능하게 구성된 수평분할금형과,
    상기 수평분할금형을 개폐하는 수평분할금형 개폐기구와,
    상단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이루며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수납하여 교반하는 동시에 측벽에 발포혼합물의 배출구를 관통시켜 뚫은 교반조 및 교반조 내의 발포혼합물을 밀어올리는 밀어올림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구를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주입구에 접속가능하게 구성한 발포혼합물 주입수단과,
    별도 설치되어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교반조 내에 수납된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는 교반수단과,
    별도 설치되어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교반조의 상단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폐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조형장치.
  4. 제 2항의 발명을 실시하여 주형을 조형하는 장치로서,
    형맞춤부분에서의 하부위치에 캐비티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형성하고 주형압출기구를 구비하며 가열가능하게 구성된 수직분할금형과,
    상기 수직분할금형을 개폐하는 수직분할금형 개폐기구와,
    상단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이루며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수납하여 교반하는 교반조 및 교반조 내의 발포혼합물을 밀어올리는 밀어올림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상단 개구를 상기 수직분할금형의 주입구에 접속가능하게 구성한 발포혼합물 주입수단과,
    별도 설치되어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교반조 내에 수납된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는 교반수단과,
    별도 설치되어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교반조의 상단 개구와 상기 수직분할금형의 상기 주입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조형장치.
  5. 제 2항의 발명을 실시하여 주형을 조형하는 장치로서,
    하부몰드의 하면에 캐비티에 연통하는 주입구를 가지고 주형압출기구를 구비하며 가열가능하게 구성된 수평분할금형과,
    상기 수평분할금형을 개폐하는 수평분할금형 개폐기구와,
    상단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이루며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수납하여 교반하는 교반조 및 교반조 내의 발포혼합물을 밀어올리는 밀어올림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상단 개구를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주입구에 접속가능하게 구성한 발포혼합물 주입수단과,
    별도 설치되어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교반조 내에 수납된 입자형상골재, 수용성 바인더 및 물을 교반하는 교반수단과,
    별도 설치되어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의 교반조의 상단 개구와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상기 주입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조형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은, 수평이동에 의해 그 배출구가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상기 주입구에 접속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조형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은,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에 의해 그 상단 개구부가 상기 수직분할금형 또는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상기 주입구에 접속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조형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혼합물 주입수단은,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에 의해 그 상단 개구부가 상기 수직분할금형 또는 상기 수평분할금형의 상기 주입구에 접속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조형장치.
  9. 제 3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분할금형 또는 상기 수직분할금형은,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조형장치.
KR1020087016758A 2005-12-14 2006-11-08 발포혼합물의 금형 캐비티에 대한 충전방법 및주형조형장치 KR101021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60005A JP4441916B2 (ja) 2005-12-14 2005-12-14 発泡混合物の金型キャビティへの充填方法および鋳型造型装置
JPJP-P-2005-00360005 2005-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624A true KR20080080624A (ko) 2008-09-04
KR101021024B1 KR101021024B1 (ko) 2011-03-09

Family

ID=38162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758A KR101021024B1 (ko) 2005-12-14 2006-11-08 발포혼합물의 금형 캐비티에 대한 충전방법 및주형조형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906049B2 (ko)
EP (1) EP1961505B1 (ko)
JP (1) JP4441916B2 (ko)
KR (1) KR101021024B1 (ko)
CN (1) CN101330994B (ko)
AU (1) AU2006324794B2 (ko)
BR (1) BRPI0619860B1 (ko)
EA (1) EA014048B1 (ko)
ES (1) ES2416714T3 (ko)
WO (1) WO20070694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415B1 (ko) * 2011-02-25 2014-01-02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 가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5575B2 (ja) * 2012-01-25 2015-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離型方法
JP5755574B2 (ja) * 2012-01-25 2015-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離型装置
JP5829946B2 (ja) * 2012-02-22 2015-1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離型装置
JP5767139B2 (ja) * 2012-02-29 2015-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砂型造型装置及び砂型の造型方法
JP5958966B2 (ja) * 2013-03-25 2016-08-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造型装置および造型方法
JP6558858B2 (ja) * 2016-04-08 2019-08-14 新東工業株式会社 混練機構、造型装置及び発泡混合物の製造方法
JP6733564B2 (ja) * 2017-01-24 2020-08-05 新東工業株式会社 鋳型造型装置
CN109175263B (zh) * 2018-11-20 2020-05-26 亚威新材料(徐州)有限公司 一种砂型模具制造机
JP7310666B2 (ja) 2020-03-16 2023-07-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中子成形装置
CN111300693B (zh) * 2020-04-09 2022-05-31 江苏九铸合金新材料有限公司 合金模具制造工艺及其制得的模具
CN112922178B (zh) * 2021-03-03 2022-04-22 绍兴文理学院 一种预制空心板泡沫堵头联动填充装置
CN113908601B (zh) * 2021-11-25 2022-10-25 深圳市世博房地产代理有限公司 一种生物质能发酵工程施工废水处理装置
CN115256712B (zh) * 2022-06-09 2024-05-17 李剑 一种多个模具循环运功的硫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0728A (en) * 1972-09-15 1974-05-14 A Jacobs Injection molding machine
CN85202077U (zh) * 1985-06-05 1987-03-25 王亚非 一种气体冲击造型机
JP2519416B2 (ja) * 1986-03-20 1996-07-31 大和工業株式会社 ダイカスト法およびダイカスト装置
DE60127231T2 (de) * 2000-04-13 2007-07-05 Sintokogio, Ltd., Nagoya Kompressionsverfahren für giess-sand und vorrichtung dafür
US6572362B2 (en) * 2001-08-01 2003-06-0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in alternate planes
WO2004041460A1 (ja) * 2002-11-08 2004-05-21 Sintokogio, Ltd. 乾燥骨材混合物、その乾燥骨材混合物を用いた鋳型造型方法及び鋳造用中子
PL1749598T3 (pl) * 2004-03-23 2011-04-29 Sintokogio Ltd Urządzenie do wytwarzania formy odlewniczej i jednostka formy metalowej do zastosowania w ni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415B1 (ko) * 2011-02-25 2014-01-02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 가류 장치
US8636491B2 (en) 2011-02-25 2014-01-2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Tire vulcan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01424A1 (en) 2010-01-07
AU2006324794A1 (en) 2007-06-21
EP1961505A1 (en) 2008-08-27
AU2006324794B2 (en) 2011-03-10
EP1961505B1 (en) 2013-05-01
US7906049B2 (en) 2011-03-15
ES2416714T3 (es) 2013-08-02
CN101330994B (zh) 2011-09-28
JP4441916B2 (ja) 2010-03-31
JP2007160354A (ja) 2007-06-28
KR101021024B1 (ko) 2011-03-09
EA200801335A1 (ru) 2009-02-27
BRPI0619860B1 (pt) 2014-06-17
EP1961505A4 (en) 2010-03-17
BRPI0619860A2 (pt) 2011-10-25
EA014048B1 (ru) 2010-08-30
WO2007069411A1 (ja) 2007-06-21
CN101330994A (zh)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024B1 (ko) 발포혼합물의 금형 캐비티에 대한 충전방법 및주형조형장치
KR100847607B1 (ko) 주형 조형장치 및 이에 사용하는 금형장치
EP1880781B1 (en) Flaskless molding method
CN108274700B (zh) 一种新型汽车模具
JPWO2005058528A1 (ja) 鋳枠無し上・下鋳型の造型方法、その装置及びマッチプレートの交換方法
KR20070006844A (ko) 무틀식 상·하 주형의 조형방법 및 그 장치
CN204367280U (zh) 用于生产汽车方向盘的聚氨酯发泡模架
CN101422941A (zh) 聚氨酯发泡平台
US4154287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usible patterns
CN216373039U (zh) 一种用于箱式发泡机的搅拌桶组件及箱式发泡机
CN106881805B (zh) 带梁发泡多滑块随动机构箱体发泡模具
CN218650085U (zh) 压型装置及灌装机
CN216267190U (zh) 一种基于微发泡工艺的注塑机装置
CN220261890U (zh) 一种验孕棒外壳注塑成型装置
CN115401764B (zh) 一种玻璃窑炉唇砖生产用去泡平整设备及方法
CN217617678U (zh) 一种汽车摆臂成型模具
CN216100082U (zh) 一种汽车部件生产用立式注射成型机
CN210281311U (zh) 一种晶体谐振器的基座底座装模装置
CN219325442U (zh) 一种脱模彻底的塑料注塑模具
CN215619235U (zh) 一种键盘底盘生产用原料混合装置
CN216267148U (zh) 一种固定洒料杆的层压机开式浇注装置
GB2141651A (en) Core making apparatus
JPS58107253A (ja) 中子造型装置
JPH0225609Y2 (ko)
RU5568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упаковочного издел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