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849A - 감압 접착제용 이형 라이너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감압 접착제용 이형 라이너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849A
KR20080078849A KR1020087015185A KR20087015185A KR20080078849A KR 20080078849 A KR20080078849 A KR 20080078849A KR 1020087015185 A KR1020087015185 A KR 1020087015185A KR 20087015185 A KR20087015185 A KR 20087015185A KR 20080078849 A KR20080078849 A KR 20080078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layer
adhesive
adhesive tape
maj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1703B1 (ko
Inventor
파누 케이. 졸러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80078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5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positioned between the surface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0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said adhesive tape,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2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said adhesive tape, threads or the like being multi-lay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3/00Use of EP, i.e. epoxy resin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a c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7/00Presence of halogenated polymer
    • C09J2427/005Presence of halogenated polymer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C09J2483/005Presence of polysiloxane in the release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24Halogen containing compound
    • Y10T428/1429Fluor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52Polymer derived only from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감압 접착제("PSA")를 그 각각의 면 상에 갖는 양면 테이프 및 양면 테이프의 하나 또는 양 면 상의 감압 접착제("PSA")와 접촉하는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를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 조립체가 개시된다. 양면 접착 테이프 조립체의 롤이 또한 개시된다. 양면 접착 테이프 조립체의 제조 및 사용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양면 접착 테이프, 감압 접착제, 이형 라이너, 이형층, 배킹층

Description

감압 접착제용 이형 라이너 및 사용 방법{RELEASE LINER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METHOD OF USE}
본 발명은 이형 라이너(release liner)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분배되기 전에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는 양면 감압 접착제 테이프, 시트 등을 지지하기 위한 이형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층으로 쉽게 층분리되거나(delaminated) 달리 분리될 수 있는 그러한 이형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이형 라이너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착 테이프는 다양한 산업 및 자동차 적용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 양면 접착 테이프는 다양한 기재들 또는 표면들을 함께 접합하는 데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산업 및 자동차 적용 분야에 유용하다. 양 면 상에 감압 접착제(PSA)를 가진 양면 접착 테이프(예컨대, 각각의 면 상에 감압 접착제를 가진 폼 코어(foam core)의 형태)는 유사하거나 상이한 재료의 기재들을 함께 접합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양면 부착 테이프는 전형적으로 넓은 폭의 시트를 일치하는 폭의 이형 라이너 상으로 적층하여 접착 시트 조립체를 형성하고 이어서 롤로 권취시킴으로써 제조된다. 그 후, 형성된 넓은 폭의 접착 롤 조립체는, 접착 테이프의 의도 된 용도(들)에 따라 동일한 폭이나 다양한 폭들을 갖는 더 좁은 폭을 가진 복수의 테이프 조립체의 롤로 (예컨대, 슬리팅(slitting)에 의해) 변형되거나 분리된다.
이러한 양면 접착 테이프 조립체의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개선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감압 접착제("PSA")를 그 각각의 면 상에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 및 양면 접착 테이프의 하나 또는 둘다의 외부 접착 표면에 부착되는 층분리 가능한(delaminatable) 이형 라이너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접착 테이프 조립체는 2개의 라이너를 가진 양면 코팅된 테이프 롤에 비해 우수한 롤 안정성을 갖는(즉, 롤이 그의 외주연부 에지를 따라 현수되어 유지된 때 롤이 풀릴 가능성이 작은) 테이프의 롤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은 PSA를 각각의 면 상에 갖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테이프 조립체의 보다 안정한 롤, 특히 보다 안정한 폭이 좁은 유성형 롤(planetary roll)에 대한 필요성을 충족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를 포함하는 양면 PSA 테이프 조립체를 제공하며,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부분들은 접착 테이프를 하나 이상의 기재에 적용하기 위해 단계적인 순서로 쉽고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예시적인 접착 테이프 조립체는 감압 접착제를 각각 포함하는 전방 및 후방 접착면을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 및 접착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고 그 접착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그 접착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를 포함하며,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는 이형 라이너의 노출된 면 상의 제1 주 이형 표면, 이형 라이너의 반대편 면 상의 제2 주 이형 표면, 및 제1 및 제2 주 이형 표면들 사이의 약화면(plane of weakness)을 포함하고, 이형 라이너는 제1 주 이형 표면 및 제1 주 이형 표면 반대편의 제1 후방측 표면을 포함하는 제1 층분리 층과 제2 주 이형 표면 및 제2 주 이형 표면 반대편의 제2 후방측 표면을 포함하는 제2 층분리 층을 형성하도록 제1 및 제2 주 이형 표면들 사이에서 약화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쉽게 층분리될 수 있으며, 접착 테이프 조립체는 (i) 제1 후방측 표면과 제2 후방측 표면 사이의 제1 접합 강도 및 (ii) 제1 주 이형 표면과 전방 접착면 사이의 제2 접합 강도를 갖고, 제2 접합 강도는 제1 접합 강도보다 낮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에서, 예시적인 접착 테이프 조립체는 감압 접착제를 각각 포함하는 전방 및 후방 접착면을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 양면 접착 테이프의 전방 접착면이 그 표면에 영구적으로 접합된 기재, 및 양면 접착 테이프의 후방 접착면과 접촉하고 후방 접착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후방 접착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를 포함하며,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는 이형 라이너의 하나의 면 상의 제1 주 이형 표면, 이형 라이너의 반대편 면 상의 제2 주 이형 표면, 및 제1 및 제2 주 이형 표면들 사이의 약화면을 포함하고, 이형 라이너는 제1 주 이형 표면 및 제1 주 이형 표면 반대편의 제1 후방측 표면을 포함하는 제1 층분리 층과 제2 주 이형 표면 및 제2 주 이형 표면 반대편의 제2 후방측 표면을 포함하는 제2 층분리 층을 형성하도록 제1 및 제2 주 이형 표면들 사이에서 약화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쉽게 층분리될 수 있으며, 제2 주 이형 표면 은 후방 접착면과 접촉하고 후방 접착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후방 접착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고, 제1 주 이형 표면은 노출되어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는 아크릴 또는 다른 적합한 감압 접착제(PSA)를 각각 포함하는 전방 및 후방 접착면을 포함한다. 접착 테이프는 아크릴 또는 다른 적합한 폼 코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전방 접착면과 후방 접착면이 폼 코어의 대향하는 면들을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배킹층과 제2 배킹층이, 예컨대 테이프의 접착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고 그 접착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그 접착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압출되거나 적층된 층 또는 코팅 형태로 그 상에 이형 재료를 갖는다.
접착 테이프 조립체는 제2 배킹층으로부터의 제1 배킹층의 분리 시에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제1 및 제2 배킹층 중 적어도 하나에 열 접합되거나 달리 접착되는 탭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탭은 탭을 당김으로써 탭이 접합되어 있는 배킹층의 접착 테이프로부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작동식으로 구성되어 있다(예컨대, 치수설정됨).
접착 테이프 조립체는 소정의 폭을 갖고서 롤로 권취되어,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두 이형층(즉, 제1 및 제2 이형층)이 접착 테이프의 외부 접착 표면과 접촉하고 형성된 롤이 외주연부 에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결과로서, 롤의 직경은 예컨대 롤 폭의 적어도 약 20배일 수 있으며, 롤은 외주연부 에지를 따라 현수되어 유지된 때 풀리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양면 감압 접착제 테이프를 하나 이상의 표면, 예를 들어 운송 수단(예컨대, 자동차, 비행기, 선박 등의 차체) 또는 건물의 표면에 접착되는, 예컨대 내부 또는 외부 차체 몰딩, 창유리 등과 같은 제품 상의 표면, 및 대향하는 기재들 상의 다른 별개의 표면들 등에 영구적으로 접착하거나 달리 적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접착 테이프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접착면의 감압 접착제를 (예컨대, 접착 테이프 조립체를 권취해제시킴으로써) 접착 테이프 조립체의 길이를 따라 노출시키는 단계와, 각각의 길이의 접착 테이프 조립체의 접착면의 노출된 감압 접착제를, 다른 접착면의 노출되지 않는 감압 접착제 상에는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가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기재에 전형적으로 영구적으로 접착되도록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접착 테이프 조립체가 유성형 또는 다른 원하는 롤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대개 바람직하다. 테이프 조립체가 롤 형태로 제공된 때, 방법은 접착 테이프 조립체의 접착면의 감압 접착제를 노출시키기 위해 롤을 권취해제시키는 단계와, 선택적으로 접착 테이프 조립체를 원하는 길이의 별개의 부분으로 절단하는 단계와, 그 후 접착 테이프 조립체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기재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각의 별개의 길이는 운송 수단, 빌딩 또는 다른 기재 상에 구성요소를 접착하는 데 적합한 길이 및 폭을 가질 수 있다.
방법은 이전에 외부 부분과 접촉하고 그 외부 부분에 접합되어 있으며 그 외부 부분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내부 부분(즉, 제2 또는 제1 층분리 층)의 이전에 노출되지 않은 후방측 표면을 노출시키도록 접 착 테이프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길이 상의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외부 부분(즉, 제1 또는 제2 층분리 층)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외부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내부 부분(즉, 제2 또는 제1 층분리 층)에 의해 덮인 접착 테이프를 그 상에 갖는 제1 기재를 포함하는 물품 조립체가 형성된다. 물품 조립체는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내부 부분의 제거에 앞서 추가로 처리(예컨대, 도장)될 수 있으며, 그 후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내부 부분을 제거하고 제2 기재를 각각의 길이의 접착 테이프 조립체의 다른 접착면 상의 노출된 감압 접착제 표면과 접촉하게 하며 각각의 길이의 접착 테이프 조립체의 다른 접착면의 노출된 감압 접착제를 제2 기재에 전형적으로 영구적으로 접착되도록 적용함으로써 후속하여 제2 기재에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착 테이프는 제1 기재와 제2 기재 사이에, 전형적으로는 함께 영구적으로 접착되도록 적용된다.
접착 테이프로부터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내부 부분(즉, 제2 또는 제1 층분리 층)을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본 발명의 방법은 접착 테이프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길이를 따라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내부 부분(즉, 제2 또는 제1 층분리 층)의 후방측 표면에 탭을 열 접합시키거나 달리 접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탭은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내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접착 테이프로부터 당겨져 제거되기 전에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내부 부분으로부터 탈착되지 않도록 충분하게 접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내부 부분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탭이 사용될 수 있다.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외부 부분이 접착 테이프로부터 제거되기 전후에, 탭은 접착 테이프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길이의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내부 부분에 접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탭이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내부 부분의 후방측 표면에 접합된 때,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외부 부분과 내부 부분은 동시에 제거되기보다는 순차적으로 제거되며, 노출된 제1 접착면이 제1 기재에 전형적으로는 영구적으로 접착되도록 적용된 후에만 제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각각의 길이의 접착 테이프 조립체 상의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내부 부분을 그에 접합된 탭을 당김으로써 제거하여 각각의 길이의 접착 테이프 조립체의 다른 접착면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각각의 길이의 접착 테이프 조립체의 다른 접착면의 노출된 감압 접착제를 제2 기재, 예를 들어 운송 수단(예컨대, 자동차, 비행기, 선박의 일부), 건물 등의 표면에, 전형적으로는 영구적으로 접착되도록 적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착 테이프는 제1 기재와 제2 기재 사이에, 전형적으로는 함께 영구적으로 접착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양면 감압 접착제 테이프를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적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I) 접착 테이프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 여기서, 접착 테이프 조립체는 감압 접착제를 각각 포함하는 전방 및 후방 접착면을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 및 양면 접착 테이프의 후방 접착면과 접촉하고 후방 접착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후방 접착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를 포함하며,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는 이형 라이너의 하나의 면 상의 제1 주 이형 표면, 이형 라이너의 반대편 면 상의 제2 주 이형 표면, 및 제1 및 제2 주 이형 표면들 사이의 약화면을 포함하고, 이형 라이너는 제1 주 이형 표면 및 제1 주 이형 표면 반대편의 제1 후방측 표면을 포함하는 제1 층분리 층과 제2 주 이형 표면 및 제2 주 이형 표면 반대편의 제2 후방측 표면을 포함하는 제2 층분리 층을 형성하도록 제1 및 제2 주 이형 표면들 사이에서 약화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쉽게 층분리될 수 있으며, 제2 주 이형 표면은 후방 접착면과 접촉하고 후방 접착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후방 접착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고, 제1 주 이형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노출되어 있음 - 와, (II) 접착 테이프의 전방 접착면을 제1 기재에 적용하는 단계와, (III) 제1 층분리 층을 제2 층분리 층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제1 층분리 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와, (IV) 제2 층분리 층의 제2 후방측 표면에 탭을 접합하여 제2 층분리 층이 탭을 당김으로써 테이프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양면 감압 접착제 테이프가 2개의 이형층으로 쉽게 층분리될 수 있는 양면 이형 라이너에 해제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예시적인 감압 접착제 테이프 조립체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
도 2는 롤 형태의 도 1의 테이프 조립체의 측면도.
도 3은 롤 형태의 도 1의 테이프 조립체의 평면도.
도 4는 롤 형태의 도 1의 테이프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라이너 제거 탭이 감압 테이프로부터의 층분리된 이형 라이너의 내부 부분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층분리된 이형 라이너의 내부 부분의 노출된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기재에 영구적으로 접착된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테이프 조립체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테이프 조립체의 하나의 PSA 층이 기재에 영구적으로 접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접합된 탭형 테이프 조립체의 사시도.
본 발명은 특정 실시 형태에 관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재배열 및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11)는 적어도 2개의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 11B)으로 구성된다. 예시적인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11)에서, 외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은 제1 이형층(release layer)(13)과 제1 배킹층(backing layer)(15)을 포함한다. 층(13, 15)은 각각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의 제1 주 이형 표면(17)과 제1 후방측 표면(19)을 형성한다. 내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은 제2 이형층(12)과 제2 배킹층(14)을 형성한다. 층(12, 14)은 각각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의 제2 주 이형 표면(16)과 제2 후방측 표면(18)을 형성한다. 접착 테이프 조립체(20)는 본 발명에 따라,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11)를 형성하고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11)를 양면 접착 테이프(22)의 외부 접착 표면(28)에 해제가능하게 접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테이프(22)는, 감압 접착제의 PSA 층(26)에 의해 형성되는 전방 접착면 또는 접착 표면(24), 및 동일하거나 상이한 감압 접착제의 PSA 층(30)에 의해 형성되는 후방 접착면 또는 접착 표면(28)을 포함한다.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11)는 롤 형태로 있을 때(예컨대, 도 2 참조) PSA 층(30, 26)과 접촉하고 PSA 층에 접합되어 있으며 PSA 층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11)는 테이프(22)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어서,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11) 또는 그의 일부분(예컨대, 외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 내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 또는 둘 모두)의 제거에 의해 양면 접착 테이프(22)에 대한 심각한 손상이 초래되지 않는다(즉, 테이프의 응집 파괴(cohesive failure), 상당한 인열(tearing) 또는 상당한 영구 신장이 초래되지 않음). 전형적으로, 외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과 내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 사이의 접합 강도는 내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과 양면 접착 테이프(22) 사이의 접합 강도보다 낮아서, 외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이 내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과 양면 접착 테이프(22) 사이의 접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서 내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과 양면 접착 테이프(22) (즉, 테이프(22)의 표면(24)) 사이의 접합 강도는 외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과 내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 사이의 접합 강도보다 낮아서, 롤 형태로 있을 때 외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이 외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과 내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 사이의 접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서 양면 접착 테이프(22) (즉, 테이프(22)의 표면(24))로부터 해제가능하게 분리되는 것이 전형적으로 바람직하다.
I. 접착 테이프 조립체 구성요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접착 테이프 조립체(20)는 다수의 개별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가능한 층들 및 층 구성요소들의 설명이 제공된다.
A. 배킹층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 조립체는 도 1의 예시적인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11)와 같은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를 포함한다. 각각의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는 도 1의 예시적인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1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배킹층(15, 14)과 같은 제1 및 제2 배킹층을 포함한다. 각각의 배킹층은 전형적으로 다양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필름 또는 폼 재료를 포함한다. 각각의 배킹층의 조성 및 구조(예컨대, 두께)는 배킹층이 접착 테이프 조립체로부터 해제가능하게 제거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배킹층에 충분한 인장 및 인열 강도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또한, 각각의 배킹층의 조성 및 구조(예컨대, 표면 특징)는 제1 배킹층의 후방측 표면 또는 제2 배킹층의 후방측 표면을 화학적으로 개질시킬(즉, 코팅을 적용할) 필요 없이 제1 배킹층의 후방측 표면과 제2 배킹층의 후방측 표면(즉, 제1 및 제2 배킹층(15, 14) 각각의 후방측 표면(19, 18)) 사이에 원하는 정도의 접합 강도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접합 강도는 본 명세서에서 접착 테이프 조립체의 "제1 접합 강도"로 지칭된다.
제1 및 제2 배킹층(15, 14)을 형성하는 데 적합한 재료는, 제1 및 제2 배킹층들(15, 14) 사이의 원하는 접합 강도, 제1 및 제2 배킹층(15, 14)의 두께, 제1 및 제2 배킹층(15, 14)의 원하는 이형 특성, 및 이형층이 이후에 제1 및/또는 제2 배킹층(15, 14)의 주 표면 상에 적용되는 경우의 이형층 조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수의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킹층(14)을 형성하는 데 적합한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TPO(열가소성 올레핀); 이들의 임의의 조합; 및 전술한 재료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또는 폼, 예컨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층과 폴리에틸렌 층의 적층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배킹층(15)을 형성하는 데 적합한 재료는 폴리올레핀,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및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예컨대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이들의 임의의 조합; 및 전술한 재료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또는 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약 0.96 g/cc 초과의 전형적인 밀도를 갖고; 중밀도 폴리에틸렌은 약 0.93 g/cc 내지 약 0.94 g/cc 범위의 전형적인 밀도를 가지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약 0.90 g/cc 내지 약 0.92 g/cc 범위의 전형적인 밀도를 갖고; 선형 저밀도 및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약 0.90 g/cc 미만의 밀도를 갖는다. 폴리에틸렌은 종래의 촉매 및 메탈로센 촉매의 사용을 포함하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각각의 층을 위한 재료는 제1 및 제2 배킹층들 사이의 접합 강도와, 각각의 이형 표면과 이들이 각각 접합되는 접착 표면 사이의 접합 강도의 원하는 균형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재료의 선택은, 각각의 층의 각각의 재료가 서로에 대해 갖는 자연적 친화력(natural affinity) 및 각각의 재료의 고유 모듈러스(modulus) 또는 강성과, 처리 방법에 기초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배킹층이 서로에 대한 충분한 접착력을 가져서 후속 처리 동안의 취급에 의해 층들이 영구적으로 층분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로 하는 접착력의 크기는 이러한 공정에서 행해지는 취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형태에서, 제1 및 제2 배킹층을 가진 이형 라이너는, 약 15.2 ㎝ (6 in) x 약 60.9 ㎝ (24 in)의 치수를 가지며 손에 의해 인장 상태로 유지되는 라이너의 스트립이 2개 층의 층분리 없이 약 180도만큼 비틀릴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한 접착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로 잘 접착되지 않는, 즉 화학적으로 비상용성인 재료들의 접착력은 층들 중 하나로부터의 일부 재료를 다른 층의 재료와 혼합하여 2가지 재료의 상용성을 개선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상용성 단량체들이 또한 덜 상용성인 단량체들과 공중합되어 덜 상용성인 단량체만의 층으로부터 제조된 다른 층에 더욱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는 공중합체 층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폴리프로필렌의 중합체로 제조된 층 상으로 압출 코팅될 때 충분하게 접착되지 않을 수 있지만, 열가소성 올레핀(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에는 충분하게 접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이형 라이너의 스트립의 비틀림을 허용할 수 있다.
층들 사이의 접합 강도를 조절하는 대안적인 방법은, 제2 층 상으로 가열 용융 코팅되는 제1 배킹층의 용융 온도가 제2 배킹층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다. 층들 사이의 접합을 생성하는 데에 열이 필요하지만, 층들을 함께 적층하기 위한 열량은 일반적으로 2개의 층 모두를 용융시킬 만큼은 아니다. 다른 층에 비해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하나의 층을 선택함으로써, 더 낮은 용융 온도의 재료가 다른 층 상으로 그에 융합됨(fusing)이 없이 가열 용융 코팅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약 16.7℃ (30℉)의 용융 온도 차이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는 약 27.8℃ (50℉), 55.6℃ (100℉) 또는 그 이상의 용융 온도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용융 온도 차이가 매우 작거나 없는 실시 형태는 층들용으로 화학적으로 비상용성인 조성물을 사용하거나 2개의 층들의 적층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층분리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및 제2 배킹층(15, 14)은, 제1 및 제2 배킹층(15, 14)이 제1 또는 제2 배킹층을 인열시키지 않고서 접착 테이프 조립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충분한 인장 및/또는 인열 강도를 제공하는 층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각각의 제1 및 제2 배킹층(15, 14)은 약 1.27 ㎜ (50 밀(mil))까지의 층 두께를 가지며, 가장 전형적으로는 약 25 ㎛ (1.0 밀) 내지 약 0.25 ㎜ (10 밀) 범위의 층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형태에서, 제1 배킹층(15)은 약 25 ㎛ (1.0 밀) 내지 약 0.13 ㎜ (5 밀) 범위의 층 두께를 갖는 반면, 제2 배킹층(14)은 약 25 ㎛ (1.0 밀) 내지 약 0.25 ㎜ (10 밀) 범위의 층 두께를 갖는다. 예시적인 추가의 실시 형태에서, 제1 배킹층(15)은 약 38 ㎛ (1.5 밀) 범위의 층 두께를 가지며, 제2 배킹층(14)은 약 0.13 ㎜ (5 밀) 범위의 층 두께를 갖는다.
각각의 제1 및 제2 배킹층(15, 14)은, 필름 또는 폼의 외부 표면을 변경하기 위해 추가로 표면 처리되거나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전술한 하나 이상의 필름 또는 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다의 제1 및 제2 배킹층(15, 14)의 하나 또는 둘다의 주 외부 표면은 약 0.0003 N (30 다인(dyne)) 이상의 표면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코로나(corona) 처리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코로나 처리 및 다른 표면 처리는, 그 개시 내용이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4,822,451호에 개시된 표면 처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표면 처리는 (i) 제1 배킹층(14)과 제2 배킹층(15) 사이의 표면 접합 및/또는 (ii) 후술하는 이형층(예컨대, 실리콘 이형 재료)과 같은 후속적으로 적용되는 층과 배킹층 사이의 표면 접합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및 제2 배킹층(15, 14)은 전형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다른 표면과 접촉하고 그 표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그 표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후방측 주 표면(예컨대, 제2 배킹층(14)의 표면(18) 및 제1 배킹층(15)의 표면(19))을 포함한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제2 배킹층(14)의 표면(18)과 제1 배킹층(15)의 표면(19) 사이의 접합 정도는 제2 배킹층(14)과 제1 배킹층(15)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제2 배킹층(14)과 제1 배킹층(15)은 후술하는 90도 박리 접착력 시험 방법(90 Degree Peel Adhesion Test Method)을 사용할 때 약 1.0 이상에서 약 78.7 g/㎝ (200 g/in)까지의 제2 배킹층(14)과 제1 배킹층(15) 사이의 제1 접합 강도를 제공하는 재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 제2 배킹층(14)과 제1 배킹층(15)은 약 3.94 g/㎝ (10 g/in) 이상의 제2 배킹층(14)과 제1 배킹층(15) 사이의 제1 접합 강도를 제공하는 재료를 포함한다. 제2 배킹층(14)과 제1 배킹층(15)이 추가적인 표면 처리 및/또는 제2 배킹층(14)과 제1 배킹층(15) 사이의 층의 도움 없이 이들 사이에 전술한 제1 접합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제2 배킹층(14)과 제1 배킹층(15)은 제2 배킹층(14)의 표면(18)과 제1 배킹층(15)의 표면(19) 사이에 전술한 제1 접합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배킹층(14)의 표면(18)과 제1 배킹층(15)의 표면(19)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방측 표면(즉, 표면(18) 및/또는 표면(19))에 대한 탭의 부착을 방해할 수 있는 실리콘 이형 재료 또는 임의의 다른 재료가 실질적으로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배킹층(14)과 제1 배킹층(15)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의 선택에서는 제2 배킹층(14)과 제1 배킹층(15)의 재료의 용융점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형태에서, 제1 배킹층(15)은 제1 용융점을 갖고 제2 배킹층은 제2 용융점을 가지며, 여기서 제2 용융점은 제1 용융점보다 10℃ (50℉) 이상 높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추가의 실시 형태에서, 제2 용융점은 제1 용융점보다 37.8℃ (100℉) 이상 높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형태에서, 제2 배킹층(14) (또는 제1 배킹층(15))은 약 175℃까지의 후성형(post-formation) 처리 온도(즉, 주어지는 적용예 동안 노출되는 온도)를 견딜 수 있는 내열성 필름 재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예시적인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11)를 제조하는 공정 중에 제1 배킹층(15) (또는 제2 배킹층(14))이 제2 배킹층(14) (또는 제1 배킹층(15)) 상으로 압출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접합 가능한 탭이 제2 배킹층(14) (또는 제1 배킹층(15))의 주 외부 표면에 접합되는 적용예의 경우에 바람직하다. 제2 배킹층(14)과 제1 배킹층(15)은 주어지는 적용예에 따라 달라지는 용융점을 가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제2 배킹층(14)은 약 130℃ 이상의 용융점을 가지며, 제1 배킹층(15)은 약 90℃ 이상의 용융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추가의 실시 형태에서, 제1 배킹층(15)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포함하고, 제2 배킹층(14)은 3개의 별개의 층을 갖는 다층 구조를 포함하며, 여기서 3개의 별개의 층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의 제1 및 제2 투명 외부층과 제1 및 제2 투명 외부층들 사이에 위치된 착색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의 중간층을 포함한다. 적합한 착색제는 안료(예컨대, 카본 블랙(carbon black)), 염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B. 이형층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는 전형적으로 도 1의 예시적인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11)에 도시된 이형층(12, 13)과 같은 이형층 형태의 2개의 주 최외측 이형 표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형층(12, 13)은 각각 이형층으로서 기능하고 그들 개개의 배킹층(14, 15)과 일체로 유지되기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이형층(12, 13)은 양면 PSA 테이프(22)의 PSA 층 중 하나와 접촉하고 그 층에 접합되며 그 층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의도된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인(예컨대, 패턴화된) 코팅 또는 층 형태의 이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형 재료는 각각 이형층(12, 13) 상으로 코팅되거나, 그 일부로서 압출되거나, 그 일부로서 적층되거나, 그 표면(16, 17)을 형성하도록 달리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제1 및 제2 배킹층(14, 15)을 위한 재료는 이들이 서로로부터 층분리 가능하도록 그리고 각각의 층이 별도의 이형층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양면 감압 접착제 테이프로부터의 충분한 이형 특성을 갖는 노출된 외부 표면(16, 18)을 갖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배킹층 및 적합한 열가소성 올레핀 배킹층을 가진 이형 라이너가 낮은 점착성 내지 중간 정도의 점착성을 갖는 아크릴 감압 접착제가 양면 코팅된 테이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이형 재료는 폴리올레핀, 실리콘, 플루오로카본, 저접착성 백사이즈(backsize) (예컨대,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용으로 제조된 것), 퍼플루오로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소정의 감압 접착제용의 이형 재료의 선택에 도움이 되는 당업계의 일반적 지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레이트 PSA는 폴리올레핀, 실리콘 및 플루오로카본으로부터 제조된 이형 재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점착성 부여된 블록 공중합체 PSA는 폴리우레아 또는 폴리우레탄 백사이즈와 실리콘 및 플루오로카본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고접합 강도 감압 접착제(후술함)와 접촉하는 각각의 이형층의 이형 재료는 실리콘과 플루오로카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또한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가 그러한 고접합 강도 PSA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저접착성 백사이즈 및 그 혼합물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이형 재료는 전형적으로 폴리아미드, PE, PP, EVA, TPO 또는 PE/PP로 제조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중합체 탭이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이형면에 충분하게 열 접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가 탭의 당김에 의해 제거되는 것(즉, 탭은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가 제거되기 전에 당겨져 제거됨)을 일관되게 허용하는 양 및 특성을 가진 재료이다.
이형층(12, 13)은 동일한 이형 재료를 포함할 수 있거나, 상이한 이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형태에서, 각각의 이형층(12, 13)은 실리콘, 플루오로카본, 저접착성 백사이즈,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조합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추가의 실시 형태에서, 각각의 이형층(12, 13)은 실리콘 이형 재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형층(12)은 경화성 에폭시 실리콘 성분, 예컨대 지이 실리콘즈(GE Silicones) (미국 코네티컷주 윌톤)로부터 GE UV9430이라는 상표명으로 구매가능한 광경화성 지환족 에폭시 작용성 다이메틸실리콘 중합체, 지이 실리콘즈(미국 코네티컷주 윌톤)로부터 GE UV9315라는 상표명으로 구매가능한 에폭시 작용성 선형 폴리다이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형 라이너(13)는 실리콘 수지, 예컨대 겔레스트, 인크.(Gelest, Inc.) (미국 펜실베니아주 모리스빌)로부터 GELEST DMS S12라는 상표명으로 구매가능한 실라놀 말단 폴리다이메틸실록산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형층(12, 13) 각각의 주 이형 표면(16, 17)과 인접한 접착 표면(즉, 접착 표면(28, 24)) 사이의 접합 정도는 이형층(12, 13)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 및 접착층(26, 30)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PSA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바와 같이, "제2 접합 강도"라는 용어는 주 이형 표면(17)과 접착 테이프 조립체(20)의 전방 접착면(24) 사이의 접합 강도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 "제3 접합 강도"라는 용어는 주 이형 표면(16)과 접착 테이프 조립체(20)의 후방 접착면(28) 사이의 접합 강도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이형층(12, 13)은 90도 박리 접착력 시험을 사용할 때 약 1.97 g/㎝ (5.0 g/in) 이상에서 약 78.7 g/㎝ (200 g/in)까지의 주 이형 표면(17)과 전방 접착면(24) 사이의 제2 접합 강도 및 주 이형 표면(16)과 후방 접착면(28) 사이의 제3 접합 강도를 제공하는 재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 이형층(12, 13)은 90도 박리 접착력 시험을 사용할 때 약 2.76 g/㎝ (7.0 g/in) 이상의 주 이형 표면(17)과 전방 접착면(24) 사이의 제2 접합 강도 및 주 이형 표면(16)과 후방 접착면(28) 사이의 제3 접합 강도를 제공하는 재료를 포함한다.
제1 주 이형 표면(17)과 전방 접착면(24) 사이의 제2 접합 강도는 제1 후방측 표면(19)과 제2 후방측 표면(18) 사이의 제1 접합 강도보다 낮아서, 접착 테이프 조립체(20)가 롤 형태로 있을 때 층분리 가능한 라이너(11)가 접착 테이프(22)의 한 면 상에 있도록 전방 접착면(24)이 이형 표면(17)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후방측 표면(19)과 제2 후방측 표면(18) 사이의 제1 접합 강도는 제2 주 이형 표면(16)과 후방 접착면(28) 사이의 제3 접합 강도보다 낮아서,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이 제2 주 이형 표면(16)과 후방 접착면(28) 사이의 접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서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외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과 내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 사이(즉, 제2 배킹층(14)의 표면(18)과 제1 배킹층(15)의 표면(19) 사이)의 제1 접합 강도는 내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 (즉, 이형층(12)의 이형 표면(16))과 양면 접착 테이프(22) (즉, 접착층(30)의 접착 표면(28)) 사이의 제3 접합 강도보다 낮아서, 외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이 내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과 양면 접착 테이프(22) 사이의 접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서 내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외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 (즉, 이형층(13)의 이형 표면(17))과 양면 접착 테이프(22) (즉, 테이프(22)의 표면(24)) 사이의 제2 접합 강도는 외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과 내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 사이(즉, 제2 배킹층(14)의 표면(18)과 제1 배킹층(15)의 표면(19) 사이)의 제1 접합 강도보다 낮아서, 롤 형태로 있을 때 외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 (즉, 이형층(13)의 이형 표면(17))이 외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과 내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 사이의 접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서 양면 접착 테이프(22) (즉, 테이프(22)의 표면(24))로부터 해제가능하게 분리되는 것이 전형적으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 이형층(12)과 인접한 PSA 층(30) 사이의 제3 접합 강도는 90도 접착력 시험을 사용할 때 약 3.94 g/㎝ (10 g/in) 이상에서 약 78.7 g/㎝ (200 g/in)까지인 반면, 이형층(13)과 인접한 PSA 층(26) 사이의 제2 접합 강도는 동일한 시험을 사용할 때 약 12.7 ㎝ (5.0 in) 이상에서 약 254 ㎝ (100 in)까지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접합 강도는 약 1.57 g/㎝ (4 g/in) 내지 4.72 g/㎝ (12 g/in)일 수 있다. 범위들이 중첩될 수는 있지만, 각각의 특정 실시 형태는 제1 접합 강도보다 낮은 제2 접합 강도 및 제3 접합 강도보다 낮은 제1 접합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 90도 접착력 시험을 사용할 때, 제2 접합 강도는 약 2.36 g/㎝ (6 g/in) 내지 약 2.76 g/㎝ (7 g/in)이고, 제1 접합 강도는 약 3.94 g/㎝ (10 g/in) 내지 약 7.87 g/㎝ (20 g/in)이며, 제3 접합 강도는 약 15.7 g/㎝ (40 g/in) 내지 약 23.6 g/㎝ (60 g/in)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 90도 접착력 시험을 사용할 때, 이형층(12)과 인접한 PSA 층(30) 사이의 제3 접합 강도는 약 19.7 g/㎝ (50 g/in)이고, 이형층(13)과 인접한 PSA 층(26) 사이의 제2 접합 강도는 약 2.76 g/㎝ (7.0 g/in)이며, 제2 배킹층(14)과 제1 배킹층(15) 사이의 제1 접합 강도는 약 3.94 g/㎝ (10 g/in)이다.
C. 선택적인 중간층
몇몇 실시 형태에서,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 11B) 중 하나 또는 둘다는 배킹층(14, 15)과 이형층(12, 13)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선택적인 중간 지지층(도시 안됨)을 포함하여,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 11B)에 대한 추가적인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지지는, 예컨대 접착 테이프(22)로부터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 및/또는 11B)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 11B) 중 하나 또는 둘다를 적합한 중간층의 추가에 의해 접착 테이프(22)보다 강성이 되게 함으로써,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 11B)을 접착 테이프(22)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대개 쉬워진다. 중간층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5,167,99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필름, 예컨대 압출된 또는 용매 코팅된 필름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구멍 또는 천공부를 그 내부에 갖는 웨브, 예컨대 부직, 편직, 직조 또는 기타 웨브일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또는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을 포함하는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 및/또는 11B)을 위한 중간층에 의해 만족스러운 결과가 얻어졌다.
D. 접착 테이프 층
전술한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는 임의의 양면 감압 접착제(PSA) 테이프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특히 PSA 테이프가 적어도 하나의 고접합 강도 PSA를 포함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이러한 테이프의 예는 감압 접착제의 단일 층을 갖는 접착제 전달 테이프(adhesive transfer tape), 또는 감압 접착제의 2개 이상의 층들 사이에 배킹층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는 양면 코팅된 테이프를 포함한다. 양면 코팅된 테이프는 서로 접착되어 테이프를 형성하는 감압 접착층의 2개의 층만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주 표면의 접착제는 동일할 수 있거나, 접착제들이 상이한 유형의 표면을 갖는 기재인 2개의 기재, 예컨대 금속 표면과 같은 고에너지 표면 대 폴리올레핀 표면과 같은 저에너지 표면을 함께 접착하도록 제형화되는 경우에서 그러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착들이 상이할 수도 있다. 양면 코팅된 테이프는 2개의 접착제들 사이에 중간층(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중간층(3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층은 테이프 배킹용의 임의의 적합한 구조물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의 예는 중합체 필름, 중합체 폼, 금속 포일, 종이, 부직포 직물, 직포 직물, 세라믹 직포 또는 부직포 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합한 중합체 필름은 이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이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단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중합체 폼은 폴리에틸렌 폼, 폴리우레탄 폼, 폴리아크릴레이트 폼, 네오프렌 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임의의 적합한 PSA의 사용을 고려한다. PSA는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폴리아크릴레이트 중합체와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천연 고무, 블록 공중합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접착제는 테이프의 최종 용도를 위한 원하는 접착성 및 모듈러스 특성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만큼의 점착성 부여제 및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는 벌크 중합(bulk polymerization), 용매 중합(solvent polymerization), 유화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가교결합되거나 가교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가교결합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 예컨대 화학 가교결합, 열 가교결합, 방사선 가교결합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테이프(22)의 접착층(26, 30) 중 하나 또는 둘다를 위한 감압 접착제는 폴리올레핀 표면(예컨대, 폴리에틸렌 및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에 접합된 후에 약 30 ㎝/분 (분당 12 인치)의 제거 속도로 폴리올레핀 표면으로부터 제거될 때, 약 336 g/㎝ (인치당 30 온스) 초과의 접합 강도를 나타내거나 제거력을 필요로 하는 고접합 강도 PSA일 수 있다. 고접합 강도 PSA는 또한 적어도 24시간 동안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표면에 접합되어 있은 후에 약 30 ㎝/분 (분당 12 인치)의 제거 속도로 LDPE 표면으로부터 제거될 때, 약 357 g/㎝ (인치당 2.0 파운드) 이상, 그리고 몇몇 경우에서는 약 1.78 ㎏/㎝ (10.0 lb/in) 이상의 접합 강도를 나타내거나 제거력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서 특징지워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접합 강도 감압 접착제는, 예컨대 모두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 PCT 특허 공개 WO 00/06637호(1999년 7월 30일자로 출원된 PCT 출원 제US 99/17344호)와 미국 특허 제6,103,152호에 기술된 공정 및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 조립체의 접착 테이프에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다른 PSA는, 모두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 PCT 특허 공개 WO 01/57151호(2001년 1월 30일자로 출원된 PCT 출원 제2001/02976호), 미국 특허 제6,630,531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0229000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일부(예컨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가 접착 테이프(22)의 PSA 층(예컨대, 층(26))으로부터 훨씬 쉽게 제거되게 하고 그럼으로써 잔여 테이프 조립체(즉,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이 없는 접착 테이프 조립체(20))를 사용하는 공정을 더욱 더 용이하게 하도록, PSA 층과 인접한 이형층 사이의 접합 강도가 약 11.2 g/㎝ (1.0 oz/in) 이하가 되도록 이형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접착층이 전술한 것과 같은 고접합 강도 PSA를 포함할 때, 이러한 낮은 라이너 이형력(release force)을 얻도록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모든 이형층(예컨대, 이형층(12, 13))에 실리콘 또는 유사한 이형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SA 층(26)은 그 자신의 이형 라이너 상에 공급되고 후속하여 원하는 테이프 구성에 따라 PSA 층(30)(또는 중간층(36))에 접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PSA 층(30)이 유사하게 공급될 수 있다. 감압 접착제 층(26, 30) 중 적어도 하나가, 예컨대 금속 재료, 세라믹 재료 및/또는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재료의 표면에 쉽게 접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중합체 재료는, 예컨대 자동차 차체의 측면에 사용되는 차체 측면 몰딩 및 클래딩(cladding)과 같은 자동차 외부 트림 부품을 제조하는 데에, 그리고 기타 플라스틱 물품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감압 접착제 층(26, 30) 중 적어도 하나가, 예컨대 산토프렌(SANTOPRENE)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몬산토(Monsanto)에 의해 제조됨), 에틸렌 프로필렌 다이엔 단량체(EPDM),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광범위한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 올레핀계 탄성중합체의 표면에 쉽게 접합될 수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중합체 재료에의 PSA의 접합을 증진시키기 위해 접착 프로모터(promoter) (예컨대,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쓰리엠 컴퍼니(3M Company)에 의해 제조된 3M 4298UV 어드히젼 프로모터(Adhesion Promoter))가 사용될 수 있다. 탄성중합체 재료는, 예컨대 자동차 도어 및 윈도우를 밀봉하는 웨더스트립(weatherstrip)을 제조하는 데에, 그리고 다른 탄성중합체 물품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어 왔다.
도 2를 참조하면, PSA 층(26)의 접착 표면(24)은 접착 테이프 조립체(20)가 롤(32)로 권취된 때 제1 이형층(13)의 제1 주 이형 표면(17)과 접촉한다. 롤(32)은 (1) PSA 층(26)의 접착 표면(24)과 제1 이형층(13)의 제1 이형 표면(17) 사이의 접합 강도, (2) 제1 배킹층(15)의 표면(19)과 제2 배킹층(14)의 표면(18) 사이의 접합 강도, 및 (3) 제2 이형층(12)의 제2 이형 표면(16)과 PSA 층(30)의 접착 표면(28) 사이의 접합 강도에 의해 원하는 수준의 롤 안정성을 나타낸다.
적어도 약 0.38 ㎜ (15 밀) 이상의 두께를 갖는 테이프(예컨대, 전형적으로 폼 테이프)로 제조되는 2개의 라이너를 가진 양면 PSA 테이프 조립체의 유성형 롤은 특히 롤 불안정성 문제를 일으키기 쉬울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 롤이 단일 롤 상의 테이프와 동일한 길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더 얇은 테이프를 가진 테이프 조립체에 비해서 직경이 더 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폭이 좁은 그러한 테이프 조립체는 롤 불안정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더욱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 조립체는, 비슷한 길이의 테이프 조립체가 상대적으로 폭이 더 좁고 접착 테이프가 적어도 약 0.38 ㎜ (15 밀)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경우에도 롤 불안정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더 작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접착 테이프 조립체(20)가 약 0.132 ㎝ (0.052 in)의 총 두께(t)를 갖고 PSA 층(26)의 접착 표면(24)이 제1 이형층(13)의 제1 이형 표면(17)과 접촉하는 상태에서 테이프 단부(29)를 갖는 롤(32)로 권취된 때, 롤(32)이 접착 테이프 조립체(20) 폭(w)의 적어도 약 20배인 직경(d)을 갖는 경우에도 이 롤은 롤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즉, 롤(32)을 형성하는 코일은 롤(32)이 그의 외주연부 에지를 따라 현수되어 유지된 때 실질적으로 포개져 단축되거나 풀리지 않음). 이는 제1 PSA 면과 제2 PSA 면 및 각각의 PSA 면에 해제가능하게 접합된 이형 라이너를 가진 양면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는 종래의 접착 테이프 조립체의 롤이 롤 안정성 문제를 겪어 왔던 최소 직경 대 폭 비율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폭이 좁은 롤(32)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접착 테이프 조립체(20)의 일례는 폭(w)이 약 2.54㎝ (1 in)까지이고 두께가 약 0.132 ㎝ (0.052 in)이며 길이가 약 33 m (36 야드) 내지 약 132 m (144 야드) 범위이고, 더 긴 길이(즉, 약 20 내지 약 70 범위의 직경 대 폭 비율)가 가능한 것으로 여겨진다. 많은 적용예의 경우, 본 접착 테이프 조립체는 폭(w)이 약 1.27 ㎝ (0.5 in)까지이고 두께가 약 0.132 ㎝ (0.052 in)이며 길이가 약 33 m (36 야드) 내지 약 132 m (144 야드) 범위이고, 더 긴 길이(즉, 약 20 내지 약 70 범위의 직경 대 폭 비율)가 가능한 것으로 여겨진다.
E. 선택적인 탭 구성요소
본 발명의 몇몇 실시 형태에서, 접착 테이프(22)로부터의 층분리 가능한 라이너의 일부(예컨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의 분리 및/또는 층분리 가능한 라이너의 다른 부분(예컨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으로부터의 층분리 가능한 라이너의 일부(예컨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선택적인 탭이 배킹층(14, 15) 중 적어도 하나의 후방측 표면(예컨대, 후방측 표면(18, 19, 또는 18과 19 둘다))에 부착될 수 있다. 탭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접착 테이프 조립체(20)는 전방 접착 표면(24)이 기재(50)의 표면(51)에 영구적으로 접착되도록 기재(50)에 부착된다.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 및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의 제1 및 제2 후방측 표면(19, 18)이 노출되도록 부분적으로 제거된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층분리 가능한 라이너(11)의 형성 전에 또는 형성 중에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의 제1 후방측 표면(19)에 제2 탭이 부착되어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이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상태로 놓이도록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을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으로부터 분리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탭(40)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의 제2 후방측 표면(18)에 부착된다. 전형적으로, 탭(40)은 주어진 후방측 표면에 열 접합된다. 일단 부착되면, 탭(40)은 접착 테이프(22)의 후방 접착 표면(28)으로부터의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의 제2 주 이형 표면(16)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의 제거에 의해 양면 접착 테이프(22)에 대한 심각한 손상이 초래되지 않도록(즉, 테이프의 응집 파괴, 상당한 인열 또는 상당한 영구 신장이 초래되지 않도록) 제형화된다.
탭(40)은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탭(40)은, 도 5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탭(40)을 당김으로써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11)의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 (또는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이 접착 테이프(22)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2 후방측 층(14)의 제2 후방측 표면(18) (또는 제1 후방측 층(15)의 제1 후방측 표면(19))에 열 접합되도록 작동식으로 구성되어 있다(예컨대, 치수설정되고 제형화됨). 이러한 탭(40)은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11)의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 (또는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이 더욱 쉽게 제거되게 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PE, PP, TPO 또는 PE/PP 제2 후방측 층(14) (또는 제1 후방측 층(15))에 열 접합되도록 의도된 탭(40)에 적합한 재료는 폴리아미드, PE, PP, TPO, EVA 및 PE/PP를 포함할 수 있다. PP 제2 후방측 층(14) (또는 제1 후방측 층(15))에 열 접합되도록 의도된 탭(40)에 적합한 재료는 폴리아미드, TPO, PP 및 PE/PP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제2 후방측 층(14) (또는 제1 후방측 층(15))에 열 접합되도록 의도된 탭(40)에 적합한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탭은 또한 적합한 감압 접착제로 코팅된 배킹을 가진 테이프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감압 접착제는 탭이 층의 표면에 적용되어 당겨질 때 적절한 층이 테이프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제거되는 재료의 층에 대한 충분한 접합 강도를 갖는다. 적합한 배킹 재료는 층을 제거하는 데 필요한 접합 강도보다 큰 인장 강도를 갖는다. 적합한 재료의 예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이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종이, 폴리아미드 등을 포함한다. 감압 접착제는 제거될 층에 대해 잘 접합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적합한 접착제는 아크릴 접착제, 점착성 부여된 블록 공중합체 접착제, 실리콘 접착제 등을 포함한다.
III. 접착 테이프 조립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 조립체는 다양한 종래의 공정 단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킹층(14, 15)은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의 분리될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도록 공압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배킹층(14, 15)은 층들 중 하나(예컨대, 제1 배킹층(15))를 다른 층(예컨대, 제2 배킹층(14)) 상으로 또는 그 반대로 압출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당업계에 잘 알려진 종래의 구매가능한 압출기 및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블로운 필름 압출(blown film extrusion) 장비 및 기술이 2개 이상의 층(예컨대, 층(14, 15))을 동시에 공압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압출기는 그 대응하는 층을 공통 다이를 통해 가압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양한 층이 이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함께 적층될 수 있다. 블로운 필름 압출에서, 적층된 층들은 튜브의 형태로 압출된다. 이어서, 이 튜브를 붕괴시켜 평탄하게 압연하고, 에지를 트리밍하여(trim) 배킹층(14, 15)을 형성한다. 이어서, 배킹층(14, 15)을 전술한 바와 같은 이형층으로 선택적으로 코팅하고, 그 후 이어서 양면 접착 테이프(22)에 적층하여 테이프 조립체(20)를 형성한다. 이형 재료가 예컨대 실리콘 또는 플루오로카본을 포함하는 경우, 이형 재료는 배킹층(14, 15) 상으로 용매 기재 코팅, 수 기재 코팅 또는 100% 고형물 코팅(즉, 고형물이 용매가 없는 형태의 액체 중에 있음)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IV. 접착 테이프 조립체의 사용 방법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접착 테이프 조립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일 실시 형태에서, 접착 테이프 조립체를 사용하는 방법은 양면 감압 접착제 테이프를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 방법은 (1) 접착 테이프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 여기서, 접착 테이프 조립체는 감압 접착제를 각각 포함하는 전방 및 후방 접착면을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 및 양면 접착 테이프의 후방 접착면과 접촉하고 후방 접착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후방 접착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를 포함하며,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는 이형 라이너의 하나의 면 상의 제1 주 이형 표면, 이형 라이너의 반대편 면 상의 제2 주 이형 표면, 및 제1 및 제2 주 이형 표면들 사이의 약화면을 포함하고, 이형 라이너는 제1 주 이형 표면 및 제1 주 이형 표면 반대편의 제1 후방측 표면을 포함하는 제1 층분리 층과 제2 주 이형 표면 및 제2 주 이형 표면 반대편의 제2 후방측 표면을 포함하는 제2 층분리 층을 형성하도록 제1 및 제2 주 이형 표면들 사이에서 약화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쉽게 층분리될 수 있으며, 제2 주 이형 표면은 후방 접착면과 접촉하고 후방 접착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후방 접착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고, 제1 주 이형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노출되어 있음 - 와, (2) 접착 테이프의 전방 접착면을 제1 기재에 적용하는 단계와, (3) 제1 층분리 층을 제2 층분리 층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제1 층분리 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와, (4) 제2 층분리 층의 제2 후방측 표면에 탭을 접합하여 제2 층분리 층이 탭을 당김으로써 테이프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예시적인 방법에서, 접착 테이프 조립체는 롤 형태일 수 있다(도 2 참조). 접착 테이프 조립체가 롤 형태인 경우에, 상기 예시적인 방법은 롤을 권취해제하여 접착 테이프의 전방 접착면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예시적인 방법은 제1 층분리 층(예컨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이 제2 층분리 층(예컨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의 제2 후방측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고 탭이 제2 층분리 층(예컨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에 부착된 때 하나 이상의 처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은 제1 기재 및 제2 층분리 층의 제2 후방측 표면에 페인트를 적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선택적인 처리 단계 후에, 방법은 탭을 당겨서 제2 층분리 층(예컨대,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을 접착 테이프 조립체로부터 제거하여 후방 접착면의 감압 접착제를 노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접착면의 노출된 감압 접착제는 접착 테이프가 제1 기재와 제2 기재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2 기재와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 형태에서, 제1 기재는 탄성중합체 물품을 포함하며, 제2 기재는 차량의 도장된 또는 비도장 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 조립체의 다른 사용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품 조립체(44)는 전방 접착면(24)을 통해 예컨대 플라스틱 또는 탄성중합체 물품(42) (예컨대, 자동차 차체의 측면에 사용되는 차체 측면 몰딩 및 클래딩 등과 같은 자동차 외부 트림 부품; 자동차 도어 및 윈도우 등을 밀봉하는 웨더스트립; 및 다른 플라스틱 및 탄성중합체 함유 물품)에 접합되는 접착 테이프(22)를 포함하며,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 (예컨대, 제2 이형층(12) 및 제2 배킹층(14))은 테이프(22)의 후방 접착면(28)에 해제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탭(40)이 제2 배킹층(14)의 후방측 표면(18)에 접합되어 있다. 제2 배킹층(14)의 후방측 표면(18)에는, 예컨대 제2 배킹층(14)의 후방측 표면(18)에 대한 탭(40)의 접착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상당하게 억제할 수 있는 실리콘과 같은 이형 재료가 실질적으로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탭(40)과 제2 배킹층(14) 사이의 접합은 도 6에서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탭(40)을 당김으로써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11)의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이 접착 테이프(22)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하게 강해야 한다. 또한, 특히 탭(40)이 제1 배킹층(15)의 후방측 표면(19)에 접합되도록 의도된 경우, 제1 배킹층(15)의 후방측 표면(즉, 후방측 표면(19))에 유사하게 이형 재료가 없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탭(40) (즉, 후방측 표면(19 및/또는 18)에 접합된 탭)의 사용에 의해 대응하는 층분리 가능한 부분(즉, 각각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 및/또는 11B))이 더욱 쉽게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11)의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이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으로부터 제거되어 접착 테이프(22)의 접착면(24)으로부터 분리된 후의 물품(42)을 도시한다. 대안적으로, 롤(32)은 접착 테이프(22)의 후방면(28)이 노출되도록 권취해제될 수 있다(즉, 롤(32)을 권취해제시킨 후 제1 이형층(13)의 제1 이형 표면(17)은 PSA 층(26)의 전방 접착 표면(24)과 여전히 접촉하고 있음).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접착 테이프(22)의 후방면(28)이 물품(42)에 접합된 후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11)의 층분리 가능한 부분(11B)이 먼저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적용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22)로부터의 층분리 가능한 부분(11A)의 제거를 돕기 위해 탭(40)을 제1 배킹층(15)의 후방측 표면(19)에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하기의 시험 방법을 사용하였다.
90도 박리 접착력 시험 방법:
2.5 ㎝ (1 in) 폭 x 15 ㎝ (6 in) 길이의 샘플을 샘플 접착 테이프 조립체 또는 일 편의 라이너로부터 절단한다. 이 시험은 0.005 m/s (분당 12 인치)의 조오(jaw) 분리 속도로 인스트론(Instron)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90도 각도에서 수행한다.
라이너용 샘플 제조: 제2 층의 외부 표면(16)을 아크릴 감압 접착제 테이프를 사용하여 약 0.127 ㎜의 두께를 갖는 양극산화 알루미늄 패널에 적층하고 6.8 ㎏ 금속 롤러로 압연한다. 제1 배킹층(15)을 제2 배킹층(14)으로부터 수동으로(즉, 손톱 또는 면도날로) 분리하여 층분리를 시작한다. 대략 2.5 ㎝의 제1 배킹층을 층분리시킨다. 배킹의 층분리된 부분을 인장 시험기의 상부 조오 내에 위치시키고, 패널을 하부 조오의 고정구 내에 수평으로 위치시킨다. 5개의 시험 샘플에 대한 평균 박리력을 기록한다.
테이프용 샘플 제조: 테이프의 스트립을 0.127 ㎜ 두께의 양극산화 알루미늄 패널에 접착하고 6.8 ㎏ 롤러로 압연한다. 시험 테이프를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라이너와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한 후, 이형 라이너의 모든 층을 상부 조오 내에서 함께 클램핑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을 인장 시험기 내에 위치시킨다. 5초의 시험 시간에 걸친 적산 평균을 사용하여 이형 라이너에 대한 평균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TPO(미국 텍사스주 휴스톤 소재의 에퀴스타 케미칼스, 엘피.(Equistar Chemicals, LP)로부터 입수가능한 플렉사텐(FLEXATHENE™) TP38NC01X01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의 3개의 층을 블로운 필름 압출기 상에서 공압출하여 3층 열가소성 올레핀(TPO) 필름을 제조하였다. 필름의 총두께는 약 0.127 ㎜ (5 밀)였으며, 중간층은 적색 안료를 포함하는 반면 외부 층은 실질적으로 투명하였다. 각각의 층은 약 0.038 ㎜ (1.5 밀)였다.
LDPE(미국 텍사스주 휴스톤 소재의 에퀴스타 케미칼스, 엘피.로부터 입수가능한 페트로텐(PETROTHENE™) 951 저밀도 폴리에틸렌)를 블로운 필름 압출기 상에서 압출하여 0.025 ㎜ (1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을 제조하였다.
블로운 필름들을 평탄한 필름으로 변형시키고, 0.012 ㎜ (0.5 밀) LDPE(페트로텐™ 951 저밀도 폴리에틸렌)를 0.127㎜ (5 밀) TPO 필름 상으로 압출함으로써 서로에 대해 적층하고, 닙 롤(nip roll)을 사용하여 이에 0.025 ㎜ (1 밀)의 LDPE 필름을 적층하였다. 압출 동안, 용융된 LDPE는 LDPE 필름에 융합되면서 TPO 필름에 층분리 가능하게 접착된다. 생성된 적층체는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 의 쓰리엠 컴퍼니로부터 입수가능한 아크릴릭 폼 테이프(Acrylic Foam Tape) 4220과 같은 아크릴 감압 접착제 테이프에 적합한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이형 라이너를 약 0.0003 N (30 다인) 이상의 표면 에너지로 코로나 처리하였다. 그 요지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6,835,422호에 따라 제조된 실리콘 코팅을 이형 라이너의 폴리에틸렌 표면 상에 코팅하였다. 이 이형 라이너는 벗겨낼 수 있는 테이프에 적합한 이형 라이너이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실리콘 코팅된 이형 라이너를 UV 경화성 에폭시 실리콘 이형 재료로 코팅하였다. 조성물은 40 부의 UV9430 에폭시 실리콘, 60 부의 UV9315 에폭시 실리콘 및 2 부의 UV9380C 광촉매를 함유하였다. 모든 성분은 미국 뉴욕주 워터포드 소재의 지이 실리콘즈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실시예 4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를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TPO 필름에의 LDPE 필름의 적층 동안, 0.013 ㎜ (0.5 밀) 두께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필름의 2.5 ㎝ (1 in) 폭의 스트립을 TPO 필름을 가로질러 배치하여, LDPE 압출물과 LDPE 필름이 PMMA 스트립 상에 적층되도록 한다. 적층 후, 필름 적층체를 스톡 롤(stock roll)로 롤링하며, 이때 대략 6.1 m (20 피트)의 PMMA 필름 스트립을 롤로 롤링한다. 스톡 롤을 이형 재료(예컨대, 실시예 2 및 3의 실리콘)로 하나 또는 양 면 상에 선택적으로 코팅하고 이어서 양면 코팅된 테이프에 적층 하여 테이프 스톡 롤을 형성한다. 이어서, 테이프 스톡 롤을 대략 6.1 m (20 피트) 길이의 폭이 보다 좁은, 예컨대 1 ㎝의 롤로 슬리팅한다. 각각의 롤 상의 PMMA 스트립 부분은 후속 처리 동안 폴리에틸렌 이형층의 층분리를 개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탭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와 실시예로 과도하게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실시예 및 실시 형태는 단지 예로서 제공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하기의 본 명세서에 기술된 청구의 범위 및 그의 등가물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7)

  1. 감압 접착제를 각각 포함하는 전방 및 후방 접착면을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의 상기 전방 접착면이 그 표면에 영구적으로 접합된 기재, 및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의 상기 후방 접착면과 접촉하고 후방 접착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후방 접착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는 상기 이형 라이너의 일 면 상의 제1 주 이형 표면, 상기 이형 라이너의 반대편 면 상의 제2 주 이형 표면, 및 상기 제1 및 제2 주 이형 표면들 사이의 약화면(plane of weakness)을 포함하고,
    상기 이형 라이너는 상기 제1 주 이형 표면 및 상기 제1 주 이형 표면 반대편의 제1 후방측 표면을 포함하는 제1 층분리 층과 상기 제2 주 이형 표면 및 상기 제2 주 이형 표면 반대편의 제2 후방측 표면을 포함하는 제2 층분리 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주 이형 표면들 사이에서 상기 약화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쉽게 층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주 이형 표면은 상기 후방 접착면과 접촉하고 후방 접착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후방 접착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고, 상기 제1 주 이형 표면은 노출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라이너는 상기 약화면을 따라 상기 이형 라이너가 층분리된 때 각각 제1 층분리 층 및 제2 층분리 층을 형성하는 제1 배킹층 및 제2 배킹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킹층 및 제2 배킹층은 그 각각의 후방측 표면을 따라 서로 접합되어 있고 서로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2개의 별개의 층인 접착 테이프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라이너는 상기 배킹층의 후방측 표면을 함께 접합시키는 중간 접합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킹층의 후방측 표면은 서로 직접 접촉하는 접착 테이프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라이너는,
    상기 제1 주 이형 표면을 형성하는 제1 주 표면을 가진 제1 이형층, 및
    상기 제2 주 이형 표면을 형성하는 제2 주 표면을 가진 제2 이형층을 추가로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이형층은 실리콘, 플루오로카본, 저접착성 백사이즈,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조합을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이형층은 실리콘 이형 재료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형층은 에폭시 작용성 폴리다이메틸실록산 중합체, 에폭시 작용성 선형 폴리다이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이형층은 실라놀 말단 폴리다이메틸실록산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방측 표면에 접합되는 탭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탭은 상기 탭을 당김으로써 상기 접착 테이프로부터의 상기 제2 배킹층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작동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제2 후방측 표면에 열 접합되며, 상기 제2 후방측 표면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층과 폴리에틸렌 층의 적층체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탭은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는 폼 코어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전방 접착면과 상기 후방 접착면이 폼 코어의 대향하는 면들을 형성하는 접착 테이프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감압 접착제는 폴리올레핀 표면에 접합된 후에 약 30 ㎝/분의 제거 속도로 폴리올레핀 표면으로부터 제거될 때 약 112 g/㎝ 초과의 접합 강도를 나타내는 고접합 강도 감압 접착제인 접착 테이프 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감압 접착제는 적어도 24시간 동안 저밀도 폴리에틸렌 표면에 접합되어 있은 후에 약 30 ㎝/분의 제거 속도로 저밀도 폴리에틸렌 표면으로부터 제거될 때 약 357 g/㎝ 이상의 접합 강도를 나타내는 고접합 강도 감압 접착제인 접착 테이프 조립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킹층은 제1 용융점을 갖고 상기 제2 배킹층은 제2 용융점을 가지며, 상기 제2 용융점은 상기 제1 용융점보다 10℃ (50℉) 이상 높은 접착 테이프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킹층은 제1 용융점을 갖고 상기 제2 배킹층은 제2 용융점을 가지며, 상기 제2 용융점은 상기 제1 용융점보다 37.7℃ (100℉) 이상 높은 접착 테이프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킹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코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킹층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층과 폴리에틸렌 층의 적층체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조립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차량의 차체 부분인 접착 테이프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탭과 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이형 라이너가 상기 제1 및 제2 주 이형 표면들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층분리되었고, 상기 제1 층분리 층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되었으며, 상기 탭은 상기 탭을 당김으로써 상기 제2 층분리 층이 상기 접착 테이프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제2 후방측 표면에 접합되는 접착 테이프 조립체.
  18. 양면 접착 테이프 및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는 감압 접착제를 각각 포함하는 전방 및 후방 접착면을 포함하며, 상기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는 양면 접착 테이프의 후방 접착면과 접촉하고 후방 접착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후방 접착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고,
    상기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는 이형 라이너의 일 면 상의 제1 주 이형 표면, 이형 라이너의 반대편 면 상의 제2 주 이형 표면, 및 제1 및 제2 주 이형 표면들 사이의 약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이형 라이너는 제1 주 이형 표면 및 제1 주 이형 표면 반대편의 제1 후방측 표면을 포함하는 제1 층분리 층과 제2 주 이형 표면 및 제2 주 이형 표면 반대편의 제2 후방측 표면을 포함하는 제2 층분리 층을 형성하도록 제1 및 제2 주 이형 표면들 사이에서 약화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쉽게 층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주 이형 표면은 후방 접착면과 접촉하고 후방 접착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후방 접착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고, 제1 주 이형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노출되어 있음 - 와,
    접착 테이프의 전방 접착면을 제1 기재에 적용하는 단계와,
    제1 층분리 층을 제2 층분리 층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제1 층분리 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와,
    제2 층분리 층의 제2 후방측 표면에 탭을 접합하여 제2 층분리 층이 탭을 당김으로써 테이프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면 감압 접착제 테이프를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적용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 조립체는 롤 형태이며,
    롤을 권취해제하여 접착 테이프의 전방 접착면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양면 감압 접착제 테이프를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적용하는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제1 기재 및 선택적으로 제2 층분리 층의 제2 후방측 표면에 페인트를 적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양면 감압 접착제 테이프를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적용하는 방법.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탭을 당겨서 제2 층분리 층을 접착 테이프 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와,
    접착 테이프의 후방 접착면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접착 테이프의 후방 접착면을 제2 기재에 접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양면 감압 접착제 테이프를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적용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제1 기재는 탄성중합체 물품을 포함하며, 제2 기재는 차량의 도장된 또는 비도장 표면을 포함하는, 양면 감압 접착제 테이프를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적용하는 방법.
  23. 감압 접착제를 각각 포함하는 전방 및 후방 접착면을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 및
    상기 접착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고 그 접착면에 접합되어 있으며 그 접착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층분리 가능한 이형 라이너는,
    상기 이형 라이너의 노출된 면 상의 제1 주 이형 표면,
    상기 이형 라이너의 반대편 면 상의 제2 주 이형 표면, 및
    상기 제1 및 제2 주 이형 표면들 사이의 약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이형 라이너는 상기 제1 주 이형 표면 및 상기 제1 주 이형 표면 반대편의 제1 후방측 표면을 포함하는 제1 층분리 층과 상기 제2 주 이형 표면 및 상기 제2 주 이형 표면 반대편의 제2 후방측 표면을 포함하는 제2 층분리 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주 이형 표면들 사이에서 상기 약화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쉽게 층분리될 수 있으며,
    (i) 상기 제1 후방측 표면과 상기 제2 후방측 표면 사이의 제1 접합 강도 및 (ii) 상기 제1 주 이형 표면과 상기 전방 접착면 사이의 제2 접합 강도를 갖고, 상기 제2 접합 강도가 상기 제1 접합 강도보다 낮은 접착 테이프 조립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 이형 표면과 상기 후방 접착면 사이의 제3 접합 강도를 갖고, 상기 제1 접합 강도는 상기 제3 접합 강도보다 낮은 접착 테이프 조립체.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제1 배킹층이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며, 제2 배킹층이 3개의 별개의 층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상기 3개의 별개의 층은 제1 및 제2 투명 외부층과 상기 제1 및 제2 투명 외부층들 사이에 위치된 착색제를 함유하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조립체.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형층은 에폭시 작용성 폴리다이메틸실록산 중합체, 에폭시 작용성 선형 폴리다이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이형층은 실라놀 말단 폴리다이메틸실록산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조립체.
  27.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의 접착 테이프 조립체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롤.
KR1020087015185A 2005-12-23 2006-12-19 감압 접착제용 이형 라이너 및 사용 방법 KR101401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399605P 2005-12-23 2005-12-23
US60/753,996 2005-12-23
PCT/US2006/048494 WO2007075724A2 (en) 2005-12-23 2006-12-19 Release liner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method of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849A true KR20080078849A (ko) 2008-08-28
KR101401703B1 KR101401703B1 (ko) 2014-05-30

Family

ID=3821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185A KR101401703B1 (ko) 2005-12-23 2006-12-19 감압 접착제용 이형 라이너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359530B2 (ko)
EP (1) EP1963451B1 (ko)
JP (1) JP5676081B2 (ko)
KR (1) KR101401703B1 (ko)
CN (1) CN101384682B (ko)
BR (1) BRPI0620331B1 (ko)
CA (1) CA2634736A1 (ko)
MX (1) MX2008008245A (ko)
PL (1) PL1963451T3 (ko)
WO (1) WO200707572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450108T3 (pl) 2004-12-16 2017-04-28 Saint-Gobain Abrasives, Inc. Zespół zbiornika dostarczającego ciecz i wkładki do pistoletów natryskowych
US9359530B2 (en) * 2005-12-23 2016-06-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lease liner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method of use
US11040360B2 (en) 2006-06-20 2021-06-22 Saint-Gobain Abrasives, Inc. Liquid supply assembly
DK2029285T3 (da) 2006-06-20 2013-03-11 Saint Gobain Abrasives Inc Væsketilførselsanordning
JP5145337B2 (ja) * 2007-08-01 2013-02-13 清原株式会社 装飾用棒状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143065A1 (en) * 2014-03-18 2015-09-24 Immunolight, Llc Improved adhesive bond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US10087343B2 (en) * 2007-08-06 2018-10-02 Immunolight, Llc Adhesive bond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DE102008021842A1 (de) 2008-04-30 2009-11-05 Tesa Se Polyolefinfolie und Verwendung derselben
RU2544159C2 (ru) * 2009-03-31 2015-03-10 Авери Деннисон Корпорейшн Повторно запечатываемый ламинат для термосвариваемой упаковки
JP2010241967A (ja) * 2009-04-07 2010-10-28 Nitto Denko Corp 再剥離性粘着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被着体の加工方法
US9335198B2 (en) 2011-05-06 2016-05-10 Saint-Gobain Abrasives, Inc. Method of using a paint cup assembly
CN102250559B (zh) * 2011-05-25 2013-10-23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喷涂用遮蔽材料的制备方法
CA2838949C (en) 2011-06-30 2019-04-02 Saint-Gobain Abrasives, Inc. Paint cup assembly
JP5231670B1 (ja) * 2011-10-20 2013-07-10 株式会社フジクラ ディスプレイ装置用加飾フィルム及び保護パネル
WO2013101946A1 (en) 2011-12-30 2013-07-04 Saint-Gobain Abrasives, Inc. Convertible paint cup assembly with air inlet valve
US20140190616A1 (en) * 2013-01-09 2014-07-10 ST Global Partners, LLC Double-sided adhesive membrane for finish material installation
FR3005661B1 (fr) * 2013-05-16 2016-06-10 Novacel Sa Film adhesif sensible a la pression et son utilisation pour la protection de surfaces
CN104228246A (zh) 2013-06-13 2014-12-24 美国圣戈班性能塑料公司 基于聚氨酯分散液的泡棉密封垫片和粘合胶带
US20150030794A1 (en) * 2013-07-24 2015-01-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dhesive tape release liner
US20160174643A1 (en) * 2013-08-07 2016-06-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rdrobe tape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4512076B (zh) * 2013-09-26 2018-05-22 美国圣戈班性能塑料公司 超薄泡棉垫片和粘合胶带
JP2015147847A (ja) * 2014-02-05 2015-08-20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シート用基材および表面保護シート
CN106795398A (zh) * 2014-08-18 2017-05-31 艾利丹尼森公司 粘合带和散热器组件
KR20170101245A (ko) * 2014-12-19 2017-09-05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접착성 테이프
HUE061754T2 (hu) * 2016-01-14 2023-08-28 Nitto Denko Corp Eljárás felületmódosított termoplasztikus gyanta elõállítására
US10292518B1 (en) 2016-05-09 2019-05-21 Optimum Technologies, Inc. Rug tab, rug tab ki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835069B2 (en) 2016-05-09 2020-11-17 Optimum Technologies, Inc. Reinforced rug tab, reinforced rug tab ki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967605B2 (en) * 2017-03-17 2021-04-06 The Boeing Company Decorative laminates having an open-cell foam layer
US10046551B1 (en) * 2017-07-05 2018-08-14 Sian-De Wei Recycling method for detaching the cloth material from the E.V.A. insole residual product
JP7240806B2 (ja) * 2017-10-06 2023-03-16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フィルム付き粘着シート
DE102018211824A1 (de) * 2018-07-17 2020-01-23 Tesa Se Releaseliner mit partieller Silikonbeschichtung
DE102018216112A1 (de) * 2018-09-21 2020-03-26 Tesa Se Klebeband mit geformter Abziehlasch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Klebebandes
SG11202101260XA (en) * 2018-12-11 2021-03-30 Gcp Applied Tech Inc Preapplied membrane with anti-submarining layer
JP2024520225A (ja) 2021-04-08 2024-05-2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ハンドテープアプリケータ及びそれを含む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6655A (en) 1954-02-15 1957-12-17 Shawinigan Resins Corp Low adhesion coatings on adhesive tapes and liners
US2862613A (en) 1955-10-20 1958-12-02 Norton Co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US4274661A (en) * 1971-06-23 1981-06-23 Monarch Marking Systems, Inc. Composite web of pressure sensitive labels
JPS5245763U (ko) * 1975-09-27 1977-03-31
JPS5245763A (en) 1975-10-09 1977-04-11 Nobuo Koyama Sludgelike waste drier
US4287255A (en) 1979-09-06 1981-09-01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Reinforced adhesive tapes
CA1168934A (en) * 1980-05-03 1984-06-12 Christopher J. Swinmurn Device for enclosing objects
CA1175330A (en) 1982-09-01 1984-10-02 David Bray Method of manufacturing adhesive tape
US4778703A (en) 1987-04-02 1988-10-18 Compac Corporation Adhesive tape for insulation application
US4822451A (en) 1988-04-27 1989-04-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ocess for the surface modification of semicrystalline polymers
US5167995A (en) 1990-06-08 1992-12-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ow temperature shock resistant release liner
JPH06505883A (ja) 1991-03-28 1994-07-07 レイラス オイ 皮下用カプセルの製造方法
US5178924A (en) 1991-06-17 1993-01-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lease liner
JPH0680846A (ja) 1991-11-22 1994-03-22 Taoka Chem Co Ltd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系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ロール加工法
NZ250994A (en) * 1993-05-27 1995-09-26 Ndm Acquisition Corp Wound dressing comprising a hydrogel layer bound to a porous backing layer which is bound to a thin film layer by adhesive
US5491013A (en) 1994-08-31 1996-02-13 Rexam Industries Corp. Static-dissipating adhesive tape
US5525375A (en) 1995-06-05 1996-06-11 Moore Business Forms, Inc. Process for producing hot melt release coating
US5932352A (en) 1995-11-21 1999-08-03 Higgins; David Edward Release film
NO306205B1 (no) 1996-01-11 1999-10-04 Borealis As Plastpall
NL1004127C2 (nl) 1996-09-27 1998-03-31 Johannes Antonius Maria Reinde Prelaminaat.
NL1007603C2 (nl) 1997-11-24 1999-05-26 Johannes Wilhelmus Gerar Hooft Bevestigingsmiddel.
JP4117935B2 (ja) * 1998-01-30 2008-07-16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剥離ライナ及びそれを有する両面粘着テープ
US6365254B1 (en) * 1998-02-02 2002-04-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oll stabilizing release liner
US6632311B1 (en) 1998-06-23 2003-10-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pe roll tab application method and article
US6103152A (en) 1998-07-31 2000-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rticles that include a polymer foam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6451398B1 (en) * 1998-11-24 2002-09-17 Michael S. Sylvester Double-sided self-adhesive reinforced foam tape
JP2001003010A (ja) 1999-06-16 2001-01-09 Nitto Denko Corp 感圧性両面接着シート及び感圧性接着部材
US6521309B1 (en) * 1999-11-11 2003-02-18 Tyco Adhesives Lp Double-sided single-lin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6258427B1 (en) 1999-12-29 2001-07-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ushable double-sided release liner
US20030211308A1 (en) 2001-02-02 2003-11-13 Khandpur Ashish K Adhesive for bonding to low surface energy surfaces
US6630531B1 (en) 2000-02-02 2003-10-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for bonding to low surface energy surfaces
JP2001240825A (ja) * 2000-02-25 2001-09-04 Oji Tac Hanbai Kk 貼替防止用粘着テープ
US6469372B2 (en) 2000-05-16 2002-10-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atched thermal expansion carrier tape assemblage for semiconductor devices
US6951676B2 (en) * 2000-09-25 2005-10-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utt splicing tapes and butt splicing methods
US6780484B2 (en) 2001-02-02 2004-08-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article and method of preparing
US6756101B2 (en) * 2001-07-16 2004-06-29 Specialty Tapes, Division Of Rsw Tape for use with high-speed web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30010422A1 (en) * 2001-07-16 2003-01-16 John Starkey High-speed web-splicing tape and method of use thereof
JP3754660B2 (ja) * 2002-06-11 2006-03-15 株式会社カトー精工 離型用タブ付き両面粘着シート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
CN1977014B (zh) * 2004-04-30 2011-06-22 3M创新有限公司 成卷稳定的双面压敏粘合带组件
DE102005057932A1 (de) * 2005-12-02 2007-06-06 Tesa Ag Rolle einer Etikettenbahn in Form einer archimedischen Spirale aus hintereinander angeordneten Etiketten
US9359530B2 (en) * 2005-12-23 2016-06-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lease liner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method of use
CN105682933B (zh) * 2013-11-05 2017-08-25 芝加哥标记标签有限公司 包括可隐藏标签的标签样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84682A (zh) 2009-03-11
BRPI0620331A2 (pt) 2011-11-08
EP1963451A2 (en) 2008-09-03
CA2634736A1 (en) 2007-07-05
JP5676081B2 (ja) 2015-02-25
EP1963451B1 (en) 2017-08-09
US20160264824A1 (en) 2016-09-15
CN101384682B (zh) 2013-01-02
US9359530B2 (en) 2016-06-07
WO2007075724A3 (en) 2008-08-07
KR101401703B1 (ko) 2014-05-30
US20090145542A1 (en) 2009-06-11
WO2007075724A2 (en) 2007-07-05
BRPI0620331B1 (pt) 2018-02-14
US10081133B2 (en) 2018-09-25
JP2009521563A (ja) 2009-06-04
PL1963451T3 (pl) 2017-12-29
MX2008008245A (es)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1133B2 (en) Release liner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method of use
KR101495972B1 (ko) 롤 안정화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조립체
KR0181504B1 (ko) 저온 쇼크 내성 박리 라이너
JPH09502213A (ja) 再剥離可能な泡粘着テープ
TW200948925A (en) Stretch releasable adhesive
RU2226467C2 (ru) Чувствительная к давлению ламинированная лента из бумаги и пластиковой пленки
KR20010040520A (ko) 롤 안정용 박리 라이너
JP4703069B2 (ja) 剥離ライナー、及び感圧性両面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EP3060390B1 (en) Label assembly and method of dispensing low-stiffness labels
JP2003147295A (ja) 粘着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771380B2 (ja) 共押出フィルムおよび複合材料の製造方法
JP4003099B2 (ja) 自動車塗膜保護用粘着フィルム
JP2010006925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H07179830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070020473A (ko) 롤 안정화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조립체
WO2021003320A1 (en) Tape
JPS60188487A (ja) 粘着テ−プ
JPH10212462A (ja) 塗装用マスキングテープ
JPH10219203A (ja) 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