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899A - 부착 테이프의 접속 장치,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부착 테이프의 접속 장치,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899A
KR20080076899A KR1020087008189A KR20087008189A KR20080076899A KR 20080076899 A KR20080076899 A KR 20080076899A KR 1020087008189 A KR1020087008189 A KR 1020087008189A KR 20087008189 A KR20087008189 A KR 20087008189A KR 20080076899 A KR20080076899 A KR 20080076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acf
acf tape
hold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6613B1 (ko
Inventor
고조 오다와라
신지로 츠지
유이치 다카쿠라
마사유키 이다
료우이치로 가타노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6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8Attaching, e.g. pasting, the replacement web to the expiring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8Attaching, e.g. pasting, the replacement web to the expiring web
    • B65H19/1842Attaching, e.g. pasting, the replacement web to the expiring web standing splicing, i.e. the expiring web being stationary during splicing contact
    • B65H19/1852Attaching, e.g. pasting, the replacement web to the expiring web standing splicing, i.e. the expiring web being stationary during splicing contact taking place at a distance from the replacement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2Form of splice
    • B65H2301/4623Spaced article or web portions, i.e. gap between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3Splicing splicing means, i.e. means by which a web end is bound to another web end
    • B65H2301/4631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61Display device manufacture, e.g. liquid crystal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Adhesive Tape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가늘고 취급하기 어려운 ACF 테이프 등을 용이하게 이어 붙일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ACF(212)을 구비하는 2개의 ACF 테이프(210)끼리를 접속하는 장치로서, 한쪽의 ACF 테이프(210)를 유지하는 제1 유지 수단과, 다른 쪽의 ACF 테이프(210)를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과, 상기 ACF 테이프(210)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배치부(115)와, 겹쳐진 ACF 테이프(210)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1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부착 테이프의 접속 장치, 부착 장치{ADHESIVE TAPE-JOINING DEVICE AND ADHESIVE TAPE-ADHERING DEVICE}
본 발명은, ACF 테이프 등의 부착 테이프의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상기 부착 테이프의 접속 장치를 구비하고, 유리 패널 등의 기판에 피부착재를 부착하는 장치, 특히, ACF을 유리 패널의 단자 부분에 부착하는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이용되는 유리 패널의 단자 부분에, 화상 형성용의 전자 부품을 장착하여 도통을 확보하기 위해, 유리 패널의 단자 부분에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 이방 도전성 필름)을 부착하고, 부착된 ACF에 전자 부품을 실장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ACF은, 긴 베이스 테이프로 불리는 수지제의 테이프의 일면에 ACF이 설치된, ACF 테이프로서 공급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ACF 테이프는, 당해 ACF 테이프마다 유리 패널에 압착되어, 베이스 테이프만이 벗겨내어짐으로써, ACF을 유리 패널에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ACF의 유리 패널로의 부착은, 공업적으로는 ACF 부착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ACF을 공급하기 위한 ACF 테이프는, 릴에 감겨진 상태로 ACF 부착 장치에 공급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의 디스플레이의 대형화에 따라, 한장의 유리 패널에 필요한 ACF의 길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릴에 감겨진 긴 ACF 테이프여도, 단기간에 모두 사용되어 버려, 릴의 교환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종래, 릴을 교환할 때에는, ACF 부착 장치의 가동을 정지시켜 ACF 테이프용의 릴을 교환한 후, ACF 테이프를 사람의 손에 의해 릴로부터 인출하고, ACF 부착 장치에 존재하는 테이프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잡한 경로를 설치하여 ACF 테이프를 세팅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서는, ACF 테이프의 세팅에 상당한 시간을 요하므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이 끝난 ACF 테이프에 추가용 ACF 테이프를 이어 붙여, 1릴당의 권수를 늘린 다음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이 방법에 의하면, 이미 테이프 경로가 확립되어 있는 사용이 끝난 ACF 테이프에 추가용 테이프가 이어 붙여지므로, 사용이 끝난 ACF 테이프를 인출함에 따라, 추가용 ACF 테이프가 테이프 경로를 통과한다. 따라서, ACF 테이프를 새롭게 테이프 경로에 따라 설치할 필요는 없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허공보 2004-202738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 문헌 1에서는 ACF 테이프를 이어 붙이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만, 어떠한 장치에 의해 이어 붙이는지의 구체적인 기재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ACF 테이프는, 폭이 1mm∼2mm 정도, 두께는 50μm 정도밖에 되지 않는, 이른바 얇고 약한 상태이기 때문에, 가령 사람의 손에 의해 이들을 접속하는 작업은 대단히 곤란하고, 매우 장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 이 ACF 테이프의 접속을 ACF 부착 장치로 행하는 경우, 이 작업을 행하기 위해 ACF 부착 장치의 가동을 장시간 정지시키지 않을 수 없어, ACF 부착 장치의 가동률 향상 효과는 크게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ACF 테이프를 맞댄 상태로 접속하는 경우, ACF 테이프끼리의 폭 방향의 어긋남이 매우 발생하기 쉽고, 또, 이어 붙여진 ACF 테이프의 직선성을 유지하는 것도 매우 곤란해진다.
또, ACF 테이프의 접속에 어긋남이나 틀어짐이 생긴 경우, 특히, 이어 붙여진 ACF 테이프에 폭 방향의 어긋남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롤러를 경유하여 구성되는 테이프 경로를 통과할 때에 이어 붙여진 ACF 테이프가 롤러로부터 탈락할 위험성이 증대한다. 이와 같이, ACF 테이프가 테이프 경로로부터 탈락하면, 사람의 손에 의해 테이프 경로를 재구성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ACF 테이프를 이어 붙인 의미가 몰각하여, ACF 부착 장치의 가동률이 저하해 버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부착 테이프끼리를 접속할 때의 폭 방향의 어긋남 등을 될 수 있는 한 억제하고, 또, 직선성을 유지하면서, 기계적으로 부착 테이프끼리를 접속하여 부착 테이프의 추가 등의 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부착 테이프의 접속 장치의 제공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 ACF 부착 장치의 가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추가용 테이프를 정확하게 접속하여, ACF 테이프의 교환 작업의 자동화가 도모되는 부착 장치의 제공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또, ACF 테이프를 다량으로 보유하여 ACF 테이프의 교환이 자동화되고, 장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계속 가동할 수 있는 부착 장치의 제공을 제3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는, 피부착재를 구비하는 2개의 부착 테이프끼리를 접속하는 장치로서, 한쪽의 부착 테이프의 단부를 유지하는 제1 유지 수단과, 다른 쪽의 부착 테이프의 단부를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과, 상기 부착 테이프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배치 수단과, 겹쳐진 부착 테이프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 수단은, 다른 쪽의 부착 테이프에 대해 한쪽의 부착 테이프를 근접시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착 테이프의 단부를 절단하는 절단 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가압된 부착 테이프를 초음파에 의해 접속하는 초음파 접속 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또, 상기 가압된 부착 테이프를 가열에 의해 접속하는 열 압착 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상기 구성의 접속 장치에 의하면, 폭 방향의 어긋남 등을 될 수 있는 한 억제하고, 또, 직선성을 유지하면서, 부착 테이프끼리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접속 장치에 사용되는 부착 테이프로서, 상기 부착 테이프에 설치되는 피부착재와는 다른 접착제가 단부에 설치된 부착 테이프를 채용하면, 상기 접속 장치를 가열 장치나 초음파 진동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이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부착 테이프의 단부에 점착 테이프를 설치하는 장치로서, 부착 테이프의 단부의 2개소를 각각 유지하는 2개의 유지 수단과, 유지된 부착 테이프를 상기 유지 수단의 사이에서 절단하는 절단 수단과, 상기 절단된 부착 테이프를 소정 간격 떼어놓는 이동 수단과, 떼어진 부착 테이프의 사이를 한쪽 면에 접착제를 구비한 점착 테이프로 가교형상으로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한 접착제 설치 장치를 채용하면, 범용적인 부착 테이프로부터 상기 부착 테이프를 간편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당해 접속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다른 부재에 당해 부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설비를 사용하는 경우, 당해 설비의 가동 중에 설비 바깥에서 절차를 행하는 이른바 외측 절차가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방법은, 피부착재를 구비하는 2개의 부착 테이프끼리를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한쪽의 부착 테이프의 단부를 유지하고, 다른 쪽의 부착 테이프의 단부를 유지하고, 상기 부착 테이프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하고, 겹쳐진 부착 테이프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장치는, 부착 테이프에 의해 공급되는 피부착재를 기판에 부착하는 부착 장치로서, 사용 중인 부착 테이프의 종단부를 유지하는 제1 유지 수단과, 추가용 부착 테이프의 시단부(始端部)를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과, 상기 사용 중인 부착 테이프의 종단부와 상기 추가용 부착 테이프의 시단부를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배치 수단과, 겹쳐진 부착 테이프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부착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사용 중인 부착 테이프에 추가용 부착 테이프를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부착 장치의 가동률의 저하를 가급적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부착 테이프는 릴에 감겨진 상태로 공급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유지 수단은,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릴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릴 유지 수단과, 상기 릴의 회전을 허부(許否)하는 걸림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부착 테이프를 유지함으로써, 추가용 부착 테이프를 느슨해지지 않게 세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부착 장치의 가동률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를 복수개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배치 수단은, 상기 지지 수단에 지지되는 베이스부를 이동시켜 상기 부착 테이프끼리를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부착 장치는 추가용 부착 테이프를 복수 유지할 수 있고, 추가용 부착 테이프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장기에 걸쳐 안정적인 가동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베이스부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매거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지지 수단으로부터 베이스부를 떼어놓은 상태로, 릴 등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거진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매거진은 부착 장치가 가동 중에 교환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어떤 매거진이 유지하고 있는 릴로부터 부착 테이프가 인출되어 부착 장치에 공급되고 있는 경우에도, 다른 매거진을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 장치가 가동 중에 부착 장치의 외부에서 매거진에 추가용 부착 테이프를 장전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부착 테이프 장전 후의 매거진을 부착 장치에 세팅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용 부착 테이프를 세팅하기 위해 부착 장치의 가동을 정지시킬 필요가 전혀 없어진다. 따라서, 장기에 걸쳐 부착 장치가 계속 가동되는 것이 더욱 가능해진다.
또,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제2 유지 수단에 유지되는 추가용 부착 테이프에 대해, 제1 유지 수단에 유지되는 사용 중인 부착 테이프를 근접시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사용 중인 부착 테이프를 추가용 부착 테이프에 근접시킬 때에, 이미 인출되어 있는 부착 테이프를 되돌릴 수 있기 때문에, 부착 테이프에 늘어남이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고, 정확하게 2개의 부착 테이프를 압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해 추가용 부착 테이프가 가압될 때에, 추가용 부착 테이프에 대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 유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일정한 장력이 유지된 사용 중인 부착 테이프를 추가용 부착 테이프에 근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2개의 부착 테이프를 압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릴과 분리하기 위해 부착 테이프의 단부를 절단하는 절단 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접속에 사용되지 않는 부착 테이프의 단부를 짧게 할 수 있고, 자유단이 부착 장치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가급적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착 테이프의 추가 방법은, 부착 테이프에 의해 공급되는 피부착재를 기판에 부착하는 부착 장치에 부착 테이프를 추가하는 방법으로서, 사용 중인 부착 테이프의 종단부를 유지하고, 추가용 부착 테이프의 시단부를 유지하고, 상기 부착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하고, 겹쳐진 부착 테이프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여, 부착 테이프끼리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추가용 부착 테이프를 접속된 사용 중인 부착 테이프에 따라 소정 길이 인출하고, 상기 기판과는 다른 가(假)부재에 피부착재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피부착재의 단부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 중인 부착 테이프에 구비되는 피부착재의 끝 가장자리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부착 테이프 접속 공정의 개시 타이밍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가늘고 얇은 부착 테이프끼리여도, 용이하고 정확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사용 중인 부착 테이프의 종단부와 추가용 부착 테이프의 시단부를 정확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의 ACF 테이프의 접속 양태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ACF 테이프의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b)는 더욱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그 및 그 동작을 간이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접속부 및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접속부 및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접속부 및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접속부 및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접속부 및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접속부 및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접속부 및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배치부만(플레이트 고정부를 제외한다)을 추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유지 플레이트와, 당해 유지 플레이트에 릴이 축 지지되고, 릴로부터 인출된 ACF 테이프의 시단이 제2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접속된 상태의 ACF 테이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a)는, 다른 양태의 ACF 테이프의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b)는 또 다른 양태의 ACF 테이프의 단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간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접속부 및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접속부 및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접속부 및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접속부 및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접속부 및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접속부 및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접속부 및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유지 플레이트와, 당해 유지 플레이트에 릴이 축 지지되고, 릴로부터 인출된 ACF 테이프의 시단이 제2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4는, ACF 테이프의 경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5는, ACF 테이프의 추가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6은, 접속된 상태의 ACF 테이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7은, 추가용 ACF 테이프가 이어 붙여진 후의 이른바 파기의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8은, 파기 공정 실시 중의 부착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 부착 장치 110 : 접속 장치(접속부)
111 : 제1 유지부 112 : 협지부(挾持部)
113 : 제1 절단부 114 : 제2 유지부
115 : 배치부 116 : 가압부
117 : 가압체 118 : 제2 절단부
119 : 탄성체 121 : 유지 베이스
122 : 실린더 123 : 오목부
124 : 볼록부 125 : 슬릿
130 : 공급부 131 : 유지 플레이트
132 : 축 지지부 133 : 걸림부
134 : 롤러 135 : 매거진
136 : 매거진 이동부 137 : 플레이트 고정부
140 : 권취부 141 : 텐션 롤러
142 : 검출기 150 : 부착부
151 : 재치부(載置部) 151 : 상기 재치부
152 : 가압부 152 : 당해 가압부
170 : 파기부 171 ; 가부재
190 : 반송부 191 : 테이블
192 : 로봇 200 : 유리판
210 : ACF 테이프 211 : 베이스 테이프
212 : ACF 213 : 점착 테이프
214 : 릴 223 : 양면 테이프
233 : 접착제 300 : 지그
301 : 테이프 유지구 302 : 제1 커터
303 : 제2 커터 304 : 점착 테이프 배치구
305 : 압착구 306 : 제3 커터
307 : 이동구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110)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서 접속되는 부착 테이프의 하나인 ACF 테이프(210)를 설명한다.
도 2(a)는, ACF 테이프(210)의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b)는 더욱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ACF 테이프(210)는, 베이스 테이프(211)와, 베이스 테이프(211)의 한 면에 설치된 ACF(212)(Anisotropic Conductive Film : 이방 도전성 필름)을 구비하고 있다.
또, ACF 테이프(210)의 단부에는 ACF(212)이 존재하지 않는 베이스 테이프(211)만의 부분이 존재하고 있다.
베이스 테이프(211)는, 폭이 1mm∼2mm 정도, 두께는 수십 미크론 정도의 긴 테이프이다. 또, 베이스 테이프(211)는 미사용시에는 ACF(212)을 유지할 필요가 있고, ACF(212)을 부착할 때에는 베이스 테이프(211)로부터 ACF(212)을 박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소재로서는, 연신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채용된다.
ACF(212)은, 필름형상의 절연 수지 재료 중에 미세한 도전성 입자를 분산시킨 소재이고, 압력과 온도를 가함으로써, 접착과 동시에 전극 사이에 끼워진 도전 입자를 통해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는 전기적 접속이 실현되고, 그 이외의 방향으로는 절연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필름이다.
상기 도면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ACF 테이프(210)의 시단부는, 베이스 테이프(211)가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부분이 점착 테이프(213)에 의해 가교형상으로 접속된 부분이 존재하고 있다.
이 점착 테이프(213)는, 베이스 테이프(211)를 접속할 수 있는 점착력을 구비한 접착제를 한쪽 면에 구비한 테이프이고, 베이스 테이프(211)와 동일하게 이하의 폭을 갖고 있다.
이상과 같이, 베이스 테이프(211)의 단부의 중간에 점착 테이프(213)를 배치하면, ACF 테이프(210)의 최단부(最端部)에 점착력이 없는 베이스 테이프(211)의 부분이 존재하게 되므로, ACF 테이프(210)의 단부의 유지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점착 테이프(213)를 베이스 테이프(211)의 단부에 장착하기 위한 접착제 설치 장치로서의 지그(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그(300) 및 그 동작을 간이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300)는, 베이스 테이프(211)를 유지하는 2개의 테이프 유지구(301)와, 당해 테이프 유지구(301)를 소정 간격 떼어놓고, 또, 맞닿게 할 수 있는 이동구(307)와, 베이스 테이프(211)를 절단하는 절단 수단으로서의 제1 커터와, 점착 테이프(213)를 절단하는 2개의 제2 커터와, 점착 테이프(213)를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점착 테이프 배치구(304)와, 점착 테이프(213)를 베이스 테이프(211)에 압착하는 압착구(305)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유지구(301)는, 베이스 테이프(211)의 한 면만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점착 테이프(213)를 다른 면으로부터 압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테이프 유지구(301)는, 상면에 진공 흡착용의 흡착구(도시 생략)를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흡착구와 진공계를 접속하는 경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유지구(301)는, 진공 흡착에 의한 유지뿐만 아니라, 부착 테이프(213)를 고정 가능하면 다른 방법으로 유지해도 상관없다.
또, 2개의 테이프 유지구(301)는, 베이스 테이프(211)를 각각 유지한 상태로, ACF 테이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떼어놓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 커터(302)는, 압착구(305)의 대략 중앙부에 칼날부를 아래로 향하게 해서 장착되어 있다. 이 제1 커터(302)는, 테이프 유지구(301)의 하나와의 사이에서 베이스 테이프(211)를 끼워 넣음으로써 베이스 테이프(211)를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제2 커터(303)는, 압착구(305)의 양단에 각각 칼날부를 아래로 향하게 해서 장착되어 있다. 이 제2 커터(303)는, 점착 테이프 배치구(304)로부터 점착 테이프(213)를 분리하기 위해, 점착 테이프 배치구(304)와의 사이에서 점착 테이프(213)를 끼워 넣음으로써 점착 테이프(213)를 절단하는 것이다.
점착 테이프 배치구(304)는, 점착 테이프(213)를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고, 압착구(305)의 압착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출몰 가능하게 됨과 더불어, 압착구(305)를 따라 압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압착구(305)는, 테이프 유지구(301)에 대해 접착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제1 커터(302), 제2 커터(303)에 대해 절단력을 부여하며, 소정 위치에 배치된 점착 테이프(213)를 베이스 테이프(211)에 압착하여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지그(300)에 의한 점착 테이프(213)의 부착 방법을 설명한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 상태로 배치되는 2개의 테이프 유지구(301)에 대해, 상기 테이프 유지구(301)가 나열되는 방향과 ACF 테이프(210)의 길이 방향이 일치하도록, ACF 테이프(210)의 단부에 있는 베이스 테이프(211)만의 부분을 2개의 테이프 유지구(301)에 배치한다. 그리고, 테이프 유지구(301)에 진공 흡착에 의해 베이스 테이프(211)를 유지시킨다.
다음에,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구(305)를 테이프 유지구(301)에 압착하여, 제1 커터(302)에 의해 베이스 테이프(211)를 절단한다. 압착구(305)의 양단에는 테이프 유지구(301)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테이프(211)를 절단할 때에, 당해 돌출부가 베이스 테이프(211)를 누름으로써 제2 커터(303)로부터 베이스 테이프(211)를 보호하고 있다.
다음에,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구(305)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다.
다음에,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유지구(301)를 이동구(307)를 이용하여 ACF 테이프(2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벌린다. 절단된 베이스 테이프(211)는 각각의 테이프 유지구(301)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 유지구(301)를 벌림으로써 베이스 테이프(211)가 분리된다. 또, 이것과 동시 또는 전후하여, 점착 테이프 배치구(304)를 돌출시킨다.
다음에, 도 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커터(306)를 슬라이드시켜, 베이스 테이프(211)의 폭에 합치하도록 점착 테이프(213)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다.
다음에, 도 3(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 배치구(304)와 함께 압착구(305)를 테이프 유지구(301)에 대해 압착한다. 이에 의해, 점착 테이프(213)가 분리된 베이스 테이프(211)를 접속하도록 가교형상으로 부착된다. 또, 이 압착 공정에 있어서, 제2 커터(303)에 의해 점착 테이프(213)가 절단된다.
다음에, 도 3(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구(305)와 점착 테이프 배치구(304)가 테이프 유지구(301)로부터 떨어져, 점착 테이프(213)의 부착이 종료된다.
이상의 지그(300) 및 방법을 채용하면, 매우 얇고 가는 ACF 테이프(210)의 단부의 중간에 점착 테이프(213)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어, 범용적인 ACF 테이프(210)여도, 범용적인 점착 테이프(213)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접속 장치(110)에 사용할 수 있다.
도 4∼도 10은, ACF 테이프(210)에 의해 공급되는 ACF(212)을 유리판(200)에 부착하는 부착 장치(100)에 장착된 상태의 접속 장치(1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장치(110)는, 부착 장치(100)에서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의 종단부와 추가용 ACF 테이프(210)의 시단부를 접속하는 장치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접속 장치(110)는, 제1 유지부(111)와, 제1 절단부(113)와, 제2 유지부(114)와, 제2 절단부(118)와, 배치 부(115)와, 가압부(11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유지부(111)는, 사용 종료 직전이 된 ACF 테이프(210)의 종단을 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것이고, 2개의 협지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2개의 협지부(112)는, ACF 테이프(210)의 두께 방향의 표리(表裏)에 각각 배치되도록 돌출 가능하고, 또, ACF 테이프(210)를 협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몰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경우, 2개의 협지부(112) 선단 근방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원반형상의 탄성체(119)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탄성체(119)로 ACF 테이프(210)를 협지함으로써, 어긋나지 않고 강고하게 ACF 테이프(210)을 협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탄성체(119)의 유무나 형상 등은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절단부(113)는, 상기 탄성체(119)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협지부(112)가 ACF 테이프(210)를 협지하는 동시에, 협지부(112)의 협지력을 이용하여 ACF 테이프(210)를 절단할 수 있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협지부(112)의 한쪽에 커터가 장착되고, 다른 쪽에는 당해 커터를 받치는 판형상의 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ACF 테이프(210)를 협지하기 위한 힘을 이용하여, 탄성체(119)로부터 릴측의 ACF 테이프(210)를 절단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2 유지부(114)는, 후술하는 유지 플레이트(131)에 설치되고, 유지 플레이트(131)에 축 지지된 릴(214)에 유지되는 추가용 ACF 테이프(210)의 시단을 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것이다.
제2 유지부(114)의 유지 구조는, 유지 베이스(121)에 대해 돌출 방향으로 가압된 실린더(122)와 유지 플레이트(131)에 고정된 유지 베이스(121)의 사이에서 ACF 테이프(210)를 협지하도록 되어 있다.
가압부(116)는, 후술하는 배치부(115)에 의해 겹쳐진 ACF 테이프(210)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고, 2개의 가압체(117)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압체(117)의 선단에는 상호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123)와 볼록부(12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123)의 바닥면과 볼록부(124)의 선단면의 사이에 겹쳐진 ACF 테이프(210)가 끼워 넣어져, 압력이 가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ACF 테이프(210)의 시단부에는 점착 테이프(2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력이 가해지는 것만으로 ACF 테이프(210)끼리의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또, ACF 테이프(210)의 폭에 상당하고, ACF 테이프(210)를 끼워 통하게 할 수 있는 슬릿(125)이, 각각의 가압체(117)의 선단에, 2개소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릿(125)은, ACF 테이프(210)끼리를 가압할 때에, ACF 테이프(210)를 가이드하여, ACF 테이프(210)의 폭 방향의 위치를 정확하게 합치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제2 절단부는, 추가용 ACF 테이프(210)측의 상기 가압체(117)의 하부에 설치된 칼날부와, 추가용 ACF 테이프(210)의 안쪽에 배치되는 받침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가압부(116)로 ACF 테이프(210)끼리를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칼날부와 받침판 의 사이에서 추가용 ACF 테이프(210)의 제2 유지부(114)측을 절단하는 것이다.
도 11은, 배치부(115)만(플레이트 고정부(137)를 제외한다)을 추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배치부(115)는, 제1 유지부(111)와 제2 유지부(114)에 유지되는 2개의 ACF 테이프(210)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겹치게 하는 것이고,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플레이트(131)와, 유지 플레이트(131)를 유지하는 매거진(135)과, 매거진 이동부(136)와, 플레이트 고정부(137)(도 11에서는 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도 12는, 유지 플레이트(131)와, 당해 유지 플레이트(131)에 릴(214)이 축 지지되고, 릴(214)로부터 인출된 ACF 테이프(210)의 시단이 제2 유지부(114)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유지 플레이트(131)는, 대략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에는 상기 제2 유지부(11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유지 플레이트(131)는, 축 지지부(132)와, 걸림부(133)와, 2개의 롤러(134)를 구비하고 있다.
축 지지부(132)는, 유지 플레이트(131) 상에서 상기 릴(214)을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부(133)는, 릴(214)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에 대해 접착 분리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 플레이트(131) 상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릴(214)의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상기 릴(214)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한편, 상기 릴(214)의 주변 가장자리와 접촉함으로써 릴(214)의 회전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133)는 릴(214)의 외주에 접촉하여 릴의 회전을 정지할 뿐만 아니라, 유지 플레이트(131) 이외의 장소에 설치되어, 릴(214)의 축 지지부(132)와 벨트 등을 통해 접속되어, 축 부분에서 릴(214)의 회전을 정지해도 된다.
롤러(134)는, 릴(214)로부터 인출된 ACF 테이프(210)의 궤도를 규정하는 것이고, 유지 플레이트(13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릴(214)로부터 인출된 ACF 테이프(210)의 시단부는, 최단부가 제2 유지부(114)에 의해 유지 플레이트(131)에 고정되고, 릴(214)은 걸림부(133)에 의해 회전이 규제될 수 있기 때문에, 임의로 설정하는 적정한 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또한, 2개의 롤러(134) 사이에서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유지된다.
매거진(135)은, 상기 ACF 테이프(210)와 릴(214)이 장착된 유지 플레이트(131)를 5장 유지하는 프레임이고, 유지 플레이트(131)를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매거진 이동부(136)는, 볼나사에 의해 매거진(135)을 유지 플레이트(131)의 두께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인코더에 의한 피드백 제어에 의해 매거진(135)의 위치를 소정의 제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레이트 고정부(137)(도 4∼도 10 참조)는, 유지 플레이트(131)를 사이에 끼워 고정하는 것이고, 매거진(135)이 이동할 때 이외는, 유지 플레이트(131)의 하부를 사이에 끼워 유지부 레이트를 고정한다. 또, 매거진(135)이 이동할 때는, 플 레이트 고정부(137)가 이동하여 상기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상의 배치부(115)는, 다음과 같이 해서 ACF 테이프(210)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겹치게 한다.
즉, 매거진 이동부(136)에 의해 매거진(135)이 이동하여, 유지 플레이트(131)에 유지되는 ACF 테이프(210)가 제1 유지부(111)에 유지되는 ACF 테이프(210)와 서로 겹쳐지는 위치에 세트된다. 또한, 플레이트 고정부(137)가 유지 플레이트(131)를 고정하여 정확하게 위치 결정한다.
이상에 의해 ACF 테이프(210)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떼어놓은 상태로 정확하게 겹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상기 구성의 접속 장치에 있어서의 ACF 테이프(210)의 접속 공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유지부(111)가 돌출되어,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의 단부를 사이에 끼워 유지함과 더불어, 제1 절단부가 ACF 테이프(210)의 릴(214)쪽 부분을 절단한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고정부(137)가 이동하여, 유지 플레이트(131)의 고정을 해제한 후, 매거진 이동부(136)가 작동하여 다음의 유지 플레이트(131)를 소정 위치에 세트한다. 그리고, 플레이트 고정부(137)가 다시 이동하여 새로운 유지 플레이트(131)를 고정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의 종단부와 추가용 ACF 테이프(210)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떼어놓은 상태로 정확하게 겹 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용 ACF 테이프(210)측에 있는 가압체(117)가 이동하여 추가용 ACF 테이프(210)에 맞닿게 함과 더불어, 반대측의 가압체(117)는,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를 잡아당기면서 추가용 ACF 테이프(210)에 압착하여 가압해, ACF 테이프(210)끼리를 접속한다.
또한, 도 8, 도 9에 있어서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가 도중에 끊어진 상태로 기재되어 있지만, 이것은 작도(作圖) 상의 문제이며, 실제로는, 절단된 ACF 테이프(210)의 단부는 2개의 협지부(112)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이 공정에 있어서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는 잡아당겨지게 되지만 도시 생략의 댄서 롤러에 의해 적정한 장력이 유지된다. 한편, 제2 유지부(114)와 걸려진 릴(214)에 의해 당겨진 상태로 유지되는 ACF 테이프(210)는 잡아당겨지지 않기 때문에, 폭 방향의 어긋남을 억제하면서 ACF 테이프(210)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절단부에 의해 추가용 ACF 테이프(210)의 제2 유지부(114)측이 절단된다.
마지막으로, 제1 유지부(111)와 가압부(116)가 열려 ACF 테이프(210)가 개방된다.
이상의 접속 장치 및 접속 방법에 의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늘고 얇은 ACF 테이프(210)의 단부끼리를 폭 방향의 어긋남을 될 수 있는 한 억제하면서 정확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ACF 테이프(210)는, 단부에 접속용의 점착 테이프(213)를 가교형상으로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ACF 테이프(210)의 단부의 ACF(212)과는 반대의 면에, 양면에 점착력을 구비한 양면 테이프(223)를 구비해도 되고, 또,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ACF 테이프(210)의 단부 자체에 접착제(233)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ACF 테이프(210)의 선단에 양면 테이프(223)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그(300)를 이용하면 된다. 이동구(307)는 불필요해져, 테이프 유지구(301)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요컨대, 도 3(b)에 있어서 베이스 테이프(211)를 절단하지 않는다. 도 3(d)의 공정은 불필요하다. 도 3(e), 도 3(f), 도 3(g)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213) 대신에 양면 테이프(223)로 한다. 이상으로 하면, ACF 테이프(210)의 선단에 양면 테이프(223)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양면 테이프(223)를 ACF 테이프(210)에 장착할 때, 양면 테이프(223)의 ACF 테이프(210)와는 반대면에는 양면 테이프(223)와 착탈 용이한 보호 필름(도시 생략)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에 의해, 압착구(305)와 양면 테이프(223)가 접착하지 않기 때문에, 양면 테이프(223)를 ACF 테이프(210)에 장착하는 작업을 용이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2 유지부(114)로부터 ACF 테이프(210)를 개방하기 위해 ACF 테이프(210)를 절단하였지만, 제2 유지부(114)의 ACF 테이프(210)의 유지를 종료시키고 개방시켜도 상관없다.
또, 점착력을 이용하여 ACF 테이프(210)를 접속하는 경우는, 가압부(116)에 의한 가압만으로 접속이 완료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압체(117)의 선단에 초음파 진동자나 가열부를 설치하여, ACF 테이프(210)의 단부끼리를 초음파 접합에 의해 접속하거나, 열 압착으로 접속해도 상관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착 테이프로서 ACF 테이프(210)를 예시하였지만, 부착 테이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NCF(Non Conductive Film : 비도전성 필름) 등을 구비한 테이프여도 상관없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장치(100)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 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간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 장치(100)는, ACF 테이프(210)에 의해 공급되는 ACF(212)을 기판으로서의 유리판(200)에 부착하는 부착 장치(100)로서,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의 종단부와 추가용 ACF 테이프(210)의 시단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접속 장치)(110)와, 추가용 ACF 테이프(210)를 공급하는 공급부(130)와, ACF 테이프(210)를 감아 소정량 내보내는 권취부(140)와, 유리판(200)에 ACF 테이프(210)를 부착하는 부착부(150)와, 불필요한 ACF(212)을 파기하기 위한 파기부(170)와, 유리판(200)을 반송하는 반송부(190)를 구비하고 있다.
부착부(150)는, 유리판(200) 단부의 위쪽에 배치된 ACF 테이프(210)를 유리판(200)에 압착하여, ACF(212)을 유리판(200) 단부에 부착하는 것이고, 유리 판(200) 단부가 놓여져 유리판(200)의 아래쪽으로부터 유리판(200) 단부를 지지하는 재치부(151)와,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유리판(200)의 단부와 ACF 테이프(210)를 사이에 끼워 상기 재치부(151)의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152)를 구비하고 있다.
파기부(170)는, 접속된 ACF 테이프(210)의 접속 부분이 부착부(150)에 도달했을 때에, ACF(212)의 초기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단부 근방의 ACF(212)을 버리는 것이고, 재치부(151)의 위쪽에 배치되는 위치와, 재치부(151)의 옆쪽에 배치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가부재(171)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부(190)는, 유리판(200)의 단부를 부착부(150)에 반송하여, 요컨대 유리판(200)을 회전시켜 상기 단부와는 다른 단부를 부착부(150)에 반송할 수 있는 것이고, 유리판(200)을 올려놓는 것과 더불어 유리판(200)을 θ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테이블(191)과, 테이블(191)을 수평면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XY 로봇(192)을 구비하고 있다.
도 16∼도 22는, 접속부(접속 장치)(110) 및 공급부(130)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접속부(접속 장치)(110)는, 제1 유지부(111)와, 제1 절단부(113)와, 제2 유지부(114)와, 제2 절단부(118)와, 배치부(115)와, 가압부(11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유지부(111)는, 사용 종료 직전이 된 ACF 테이프(210)의 종단을 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것이고, 2개의 협지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2개의 협지부(112)는, ACF 테이프(210)의 두께 방향의 표리에 각각 배치되도록 돌출 가능하고, 또, ACF 테이프(210)를 협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몰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2개의 협지부(112) 선단 근방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원반형상의 탄성체(119)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탄성체(119)로 ACF 테이프(210)를 협지함으로써, 어긋나지 않고 강고하게 ACF 테이프(210)를 협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탄성체(119)의 유무나 형상 등은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절단부(113)는, 상기 탄성체(119)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협지부(112)가 ACF 테이프(210)를 협지하는 동시에, 협지부(112)의 협지력을 이용하여 ACF 테이프(210)를 절단할 수 있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협지부(112)의 한쪽에 커터가 장착되고, 다른 쪽에는 당해 커터를 받치는 판형상의 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ACF 테이프(210)를 협지하기 위한 힘을 이용하여, 탄성체(119)로부터 릴(214)측의 ACF 테이프(210)를 절단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2 유지부(114)는, 후술하는 유지 플레이트(131)에 설치되고, 유지 플레이트(131)에 축 지지된 릴(214)에 유지되는 추가용 ACF 테이프(210)의 시단을 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것이다.
제2 유지부(114)의 유지 구조는, 유지 베이스(121)에 대해 돌출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 실린더(122)와 유지 플레이트(131)에 고정된 유지 베이스(121)의 사이에 서 ACF 테이프(210)를 협지하도록 되어 있다.
배치부(115)는,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후술하는 공급부(130)가 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후술하는 공급부(130)의 항에서 상술한다.
가압부(116)는, 배치부(115)에 의해 겹쳐진 ACF 테이프(210)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고, 2개의 가압체(117)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압체(117)의 선단에는 상호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123)와 볼록부(12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123)의 바닥면과 볼록부(124)의 선단면의 사이에 겹쳐진 ACF 테이프(210)가 끼워 넣어져, 압력이 가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ACF 테이프(210)의 시단부에는 점착 테이프(2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력이 가해지는 것만으로 ACF 테이프(210)끼리의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또, ACF 테이프(210)의 폭에 상당하고, ACF 테이프(210)를 끼워 통하게 할 수 있는 슬릿(125)이, 각각의 가압체(117)의 선단에 2개소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릿(125)은, ACF 테이프(210)끼리를 가압할 때에, ACF 테이프(210)를 가이드하여, ACF 테이프(210)의 폭 방향의 위치를 정확하게 합치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제2 절단부(118)는, 추가용 ACF 테이프(210)측의 상기 가압체(117)의 하부에 설치된 칼날부와, 추가용 ACF 테이프(210)의 안쪽에 배치되는 받침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가압부(116)로 ACF 테이프(210)끼리를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칼날부와 받침판의 사이에서 추가용 ACF 테이프(210)의 제2 유지부(114)측을 절단하는 것이다.
도 23은, 유지 플레이트(131)와, 당해 유지 플레이트(131)에 릴(214)이 축 지지되고, 릴(214)로부터 인출된 ACF 테이프(210)의 시단이 제2 유지부(114)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로서의 유지 플레이트(131)는, 대략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에는 상기 제2 유지부(11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유지 플레이트(131)는, 축 지지부(132)와, 걸림부(133)와, 2개의 롤러(134)를 구비하고 있다.
축 지지부(132)는, 유지 플레이트(131) 상에서 상기 릴(214)을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부(133)는, 릴(214)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에 대해 접착 분리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 플레이트(131) 상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릴(214)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상기 릴(214)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한편, 상기 릴(214)의 주변 가장자리와 접촉함으로써 릴(214)의 회전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133)는 릴(214)의 외주에 맞닿게 하여 릴의 회전을 정지할 뿐만 아니라, 유지 플레이트(131) 이외의 장소에 설치되어, 릴(214)의 축 지지부(132)와 벨트 등을 통해 접속되어, 축 부분에서 릴(214)의 회전을 정지해도 된다.
롤러(134)는, 릴(214)로부터 인출된 ACF 테이프(210)의 궤도를 규정하는 것이고, 유지 플레이트(13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릴(214)로부터 인출된 ACF 테이프(210)의 시단부는, 최 단부가 제2 유지부(114)에 의해 유지 플레이트(131)에 고정되고, 릴(214)은 걸림부(133)에 의해 회전이 규제될 수 있기 때문에, 임의로 설정하는 적정한 장력이 걸린 상태이고, 또한, 2개의 롤러(134) 사이에서 당겨진 상태로 유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 장치(100)의 경우, 상기 ACF 테이프(210)와 릴(214)이 장착된 유지 플레이트(131)를 5장 유지할 수 있는 지지 수단으로서의 매거진(135)이 2개 구비되어 있다(도 15 참조). 이들 매거진(135)의 한쪽에 구비되는 릴(214)로부터 ACF 테이프(210)가 인출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쪽의 매거진(135)을 부착 장치(100)로부터 떼어내고, 또, 부착 장치(100)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한쪽의 매거진(135)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 요컨대 부착 장치(100)가 가동 중에 다른 쪽의 매거진(135)을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용 ACF 테이프(210)를 부착 장치(100)의 외부에서 매거진(135)에 장전하여, 당해 매거진(135)을 부착 장치(100)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ACF 테이프(210) 보충을 위해 부착 장치(100)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또, 매거진(135)은, 상기 유지 플레이트(131)를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는 프레임으로서, 매거진 이동부(136)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매거진 이동부(136)는, 볼나사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매거진(135)을 유지 플레이트(131)의 두께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인코더에 의한 피드백 제어에 의해 매거진(135)의 위치를 소정 정밀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매거진 이동부(136)와, 매거진(135)과, 유지 플레이트(131)에 의해 공급부(130)가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이 공급부(130)에 의해, 하나의 릴(214)로부터 ACF 테이프(210)가 모두 인출되면, 매거진(135)이 매거진 이동부(136)에 의해 평행 이동하여, 추가용 ACF 테이프(210)가 공급 위치에 세트된다.
이 공급부(130)는 또한, 유지 플레이트(131)를 사이에 끼워 고정하는 플레이트 고정부(137)(도 16∼도 22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플레이트 고정부(137)는, 매거진(135)이 이동할 때 이외는, 공급 위치에 존재하는 유지 플레이트(131)의 하부를 사이에 끼워 유지부 레이트를 고정하는 것이고, 매거진(135)이 이동할 때는, 플레이트 고정부(137)가 이동하여 상기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이 공급부(130)는, 배치부(115)로서도 기능한다. 즉, 매거진 이동부(136)에 의해 매거진(135)이 이동되어 추가용 ACF 테이프(210)가 공급 위치에 세팅되는 것은, 유지 플레이트(131)를 이동시켜 ACF 테이프(210)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위치에 세트하는 것과 다름없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수단으로서 유지 플레이트(131)가 착탈 가능한 매거진(135)을 이용하였지만, 지지 수단으로서는, 유지 플레이트(131)를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도 24는, ACF 테이프(210)의 경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 장치(100)는, 방향 전환점으로서의 롤러(134)가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고, 이들 롤러(134)에 ACF 테이프(210)를 통과 시킴으로써, 소기의 테이프 경로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부착 장치(100)는, 상기 롤러(134) 중 어느 하나를, 텐션 롤러(141)로서 구비하고 있다. 이 텐션 롤러(141)는, ACF 테이프(210)의 경로 상에 있어서, 항상 일정한 장력을 ACF 테이프(210)에 부여하도록, 소정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롤러(134)이다.
또, 부착 장치(100)는, 테이프 경로의 유지 플레이트(131) 근방에, ACF 테이프(210) 상의 ACF의 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ACF 검출기(142)를 구비하고 있다. 이 ACF 검출기(142)는, 광선의 반사나 투과 상태를 검지함으로써 ACF이나 점착 테이프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다.
또, 부착 장치(100)는, 권취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권취부(140)는, 사용이 끝난 ACF 테이프(210)를 감을 수 있는 릴(214)을 구비하고, 소정량의 ACF 테이프(210)를 인출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부착 장치(100)는, 권취부(140) 외에 진공 흡인이나 박스에 수납하는 등 임의의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부착 장치(100)에 의하면, 부착 장치(100)가 유지하는 ACF 테이프(210)를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와 추가용 부착 테이프를 이어 붙일 수 있기 때문에, ACF 테이프(210)를 추가하기 위해 부착 장치(100)를 정지시키지 않고 연속한 조업(操業)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에 추가용 ACF 테이프(210)를 이어 붙이기 때문에,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를 감아 가는 것만으로, 추가용 ACF 테이프(210)가 그것에 추종하여 테이프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복잡한 테이프 경로를 자동적으로 구성시키기 위한 대규모의 장치가 필요 없고, 장치의 대형화나 장치 비용의 증가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ACF 테이프(210)는, 단부에 접속용의 점착 테이프(213)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가압부(116)에 의한 가압만으로 접속이 완료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압체(117)의 선단에 초음파 진동자나 가열부를 설치하고, ACF 테이프(210)의 단부끼리를 초음파 접합에의해 접속하거나 열 압착으로 접속해도 상관없다.
또, 제2 유지부(114)로부터 ACF 테이프(210)를 개방하기 위해 ACF 테이프(210)를 절단하였지만, 제2 유지부(114)의 ACF 테이프(210)의 유지를 종료시키고 개방시켜도 상관없다.
또, 장착 장치는 다량의 ACF 테이프(210)를 장시간에 걸쳐 유지하게 되어, ACF(212)이 열화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당해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매거진(135) 근방을 냉각하는 냉각 장치를 구비해도 상관없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부착 장치(100)에 있어서의 ACF 테이프(210)의 추가 공정을 설명한다.
도 25는, ACF 테이프(210)의 추가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ACF 검출기(142)가 ACF 테이프(210)에 있어서의 ACF(212)의 종단을 검출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ACF 테이프(210)의 추가 공정이 개시된다(S201).
다음에, 제1 유지부(111)가 돌출하여(도 17 참조),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의 단부를 사이에 끼워 유지함과 더불어(S202), 제1 절단부(113)가 ACF 테이프(210)의 릴(214)쪽 부분을 절단한다(S203)(도 18 참조). 이 상태에 있어서도 텐션 롤러(141)는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에는 일정한 장력이 가해지고 있다.
다음에, 플레이트 고정부(137)가 이동하여, 유지 플레이트(131)의 고정을 해제한 후(S204), 매거진 이동부(136)가 작동하여 다음의 유지 플레이트(131)를 공급 위치에 오도록 매거진(135)을 슬라이드시키고(S205), 플레이트 고정부(137)가 다시 이동하여 새로운 유지 플레이트(131)를 고정한다(S206)(도 19 참조).
이상의 공정에 의해,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의 종단부와 추가용 ACF 테이프(210)의 단부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의 종단부는, 제1 유지부(111)에 의해 유지됨과 더불어, 텐션 롤러(141)에 의해 소정 장력으로 당겨진 상태로 이루어져 있고, 추가용 ACF 테이프(210)의 시단부는, 제2 유지부(114)에 의해 유지됨과 더불어, 롤러(134)에 의해 경로가 규제되면서, 릴(214)이 걸림부(133)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당겨진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겹쳐진 ACF 테이프(210)끼리의 폭 방향의 위치가 정확하게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추가용 ACF 테이프(210)측에 있는 가압체(117)가 이동하여 추가용 ACF 테이프(210)에 맞닿게 함과 더불어, 반대측의 가압체(117)는,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를 잡아당기면서 추가용 ACF 테이프(210)에 압착하여 가압해, ACF 테이 프(210)끼리를 접속한다(S207)(도 20 참조).
또한, 도 20, 도 21에 있어서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가 도중에 끊어진 상태로 기재되어 있지만, 이것은 작도 상의 문제이며, 실제로는, 절단된 ACF 테이프(210)의 단부는 2개의 협지부(112)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이 공정에 있어서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는 잡아당겨지게 되지만, 텐션 롤러(141)가 ACF 테이프(210)를 일정한 장력으로 유지하는 장력 유지 수단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ACF 테이프(210)의 늘어남이나 변형이 없고, 폭 방향으로 어긋남 없이 ACF 테이프(210)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접속(S207)에 이어 제2 절단부(118)에 의해 추가용 ACF 테이프(210)의 제2 유지부(114)측이 절단된다(S208)(도 21 참조).
마지막으로, 제1 유지부(111)와 가압부(116)가 열려 ACF 테이프(210)가 개방된다(S209)(도 22 참조).
이상에 의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 중인 ACF 테이프(210)의 종단부에 추가용 ACF 테이프(210)의 시단부가 이어 붙여진 상태가 된다.
또, 상기와 같이 ACF 테이프(210)끼리를 접속함으로써, ACF(212)이 존재하는 측으로부터 점착 테이프(213)에 의해 베이스 테이프(211)끼리를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ACF 테이프(210)를 보내어도, ACF 테이프(21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선단부가 롤러(134)에 걸리는 일이 없다.
다음에, 추가용 ACF 테이프(210)가 이어 붙여진 후의 이른바 파기의 공정을 설명한다.
도 27은, 추가용 ACF 테이프(210)가 이어 붙여진 후의 이른바 파기의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어 붙여진 ACF 테이프(210)가 권취 장치 등에 의해 소정 위치까지 송출된다(S301)(도 28).
다음에, 재치부(151)의 옆쪽으로부터 가부재(171)가 요동하면서 재치부(151)의 위쪽에 배치된다(S302).
다음에, 가압부(152)가 강하하여, 당해 가압부(152)와 재치부(151)가 가부재(171)와 ACF 테이프(210)를 동시에 협지하여 가압한다. 이에 의해, ACF 테이프(210)에 설치되어 있는 ACF(212)이 가부재(171)에 부착된다(S303).
다음에, 가압부(152)가 상승한 후, 가부재(171)가 원래의 재치부(151) 옆쪽에 수납되어(S304), 이른바 파기의 공정이 종료된다.
이상에 의해, 추가용 ACF 테이프(210)에 설치되어 있는 ACF(212)의 단부의 위치를 명확하게 할 수 있고, 이후의 공정에 있어서 ACF(212)을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요컨대, 센서만으로 단부를 판별하는 경우는, 센서의 응답 시간 등의 영향에 의해 정지 위치에 간과할 수 없는 오차가 생기기 때문에, 상기 파기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착 테이프로서 ACF 테이프(210)를 예시하였지만, 부착 테이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NCF(Non Conductive Film : 비도전성 필름) 등을 구비한 테이프여도 상관없다.
본 발명은, ACF 테이프 등의 부착 테이프를 이어 붙일 때에 이용되는 접속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 테이프에서 공급되는 피부착재를 기판에 부착하는 부착 장치에 적용할 수 있고, 특히, ACF 테이프로 유리 기판에 ACF을 부착하는 부착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베이스 테이프의 양단부를 제외한 한 면에 ACF이 설치된 ACF 테이프를 기판 상에 공급함과 더불어 ACF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상기 ACF 테이프를 기판에 가압하여 ACF을 기판에 부착하는 ACF 부착 장치로서,
    사용 중인 ACF 테이프 종(終)단부의 베이스 테이프를 유지하는 제1 유지 수단과,
    추가용 ACF 테이프 시(始)단부의 베이스 테이프를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과,
    상기 사용 중인 ACF 테이프 종단부의 베이스 테이프와 상기 추가용 ACF 테이프 시단부의 베이스 테이프를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배치 수단과,
    겹쳐진 ACF 테이프 단부의 베이스 테이프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F 부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CF 테이프는 릴에 감겨진 상태로 공급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유지 수단과, 상기 릴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릴 유지 수단과, 상기 릴의 회전을 허부(許否)하는 걸림 수단을 설치한 베이스부를 복수개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배치 수단은, 상기 지지 수단에 지지되는 베이스부를 이동시켜 상기 ACF 테이프끼리를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ACF 부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베이스부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매거진인 ACF 부착 장치.
  4. 베이스 테이프의 양단부를 제외한 한 면에 ACF이 설치된 ACF 테이프를 기판 상에 공급함과 더불어 ACF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상기 ACF 테이프를 기판에 가압하여 ACF을 기판에 부착하는 ACF 부착 방법으로서,
    사용 중인 ACF 테이프의 ACF 끝 가장자리를 검출하는 경우에,
    사용 중인 ACF 테이프 종단부의 베이스 테이프를 유지하고,
    추가용 ACF 테이프 시단부의 베이스 테이프를 유지하고,
    상기 ACF 테이프 단부의 베이스 테이프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하고,
    겹쳐진 ACF 테이프 단부의 베이스 테이프끼리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ACF 테이프끼리를 접속하고,
    상기 추가용 ACF 테이프를 이용하여 ACF의 부착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F 테이프 부착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또한,
    접속된 상기 사용 중인 ACF 테이프에 따라 상기 추가용 ACF 테이프를 소정 길이 인출하고,
    상기 기판과는 다른 가부재에 ACF을 부착하는 ACF 테이프 부착 방법.
KR1020087008189A 2005-12-16 2006-11-15 부착 테이프의 접속 장치, 부착 장치 KR101236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64080 2005-12-16
JPJP-P-2005-00364080 2005-12-16
JP2005364081 2005-12-16
JPJP-P-2005-00364081 2005-12-16
PCT/JP2006/322723 WO2007069421A1 (ja) 2005-12-16 2006-11-15 貼着テープの接続装置、貼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899A true KR20080076899A (ko) 2008-08-20
KR101236613B1 KR101236613B1 (ko) 2013-02-22

Family

ID=38162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189A KR101236613B1 (ko) 2005-12-16 2006-11-15 부착 테이프의 접속 장치,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62450B2 (ko)
KR (1) KR101236613B1 (ko)
CN (1) CN101267998B (ko)
TW (1) TW200725770A (ko)
WO (1) WO20070694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481A (ko) * 2020-10-23 2022-05-03 주식회사 진영엠에스씨 멀티 테이프 부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8557A1 (fr) * 2006-09-28 2008-04-03 Panasonic Corporation Dispositif de collage de feuilles adhésives et procédé de collage
CN101652303B (zh) * 2007-03-30 2012-02-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操作装置、粘接带贴合装置及带构件的追加方法
US7875138B2 (en) * 2007-10-03 2011-01-25 Panasonic Corporation Adhesive tape applying apparatus and tape splicing method
CN102770951A (zh) * 2010-02-25 2012-11-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带贴附装置、带保持单元及带贴附方法
JP2012004336A (ja) * 2010-06-17 2012-01-05 Panasonic Corp テープ貼付け装置およびテープ貼付け方法
JP5782309B2 (ja) * 2011-06-30 2015-09-24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薬剤包装装置
US8894797B2 (en) * 2012-05-24 2014-11-2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Method of splicing polarized films
TWI599478B (zh) 2012-10-19 2017-09-21 Nitto Denko Corp Thin glass long body
CN103395508B (zh) * 2013-08-15 2015-06-17 友达光电(苏州)有限公司 贴胶治具
CN105098251B (zh) * 2014-05-09 2017-12-19 有量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电极片的贴胶方法及装置
US10457512B2 (en) 2016-09-19 2019-10-29 New Era Converting Machinery, Inc. Automatic lapless butt material splice
US10150178B2 (en) * 2016-11-07 2018-12-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ibration welding
CN106739395A (zh) * 2017-02-14 2017-05-31 山东赢创机械有限公司 Peva膜热压复合机
CN107826841A (zh) * 2017-12-05 2018-03-23 海安交睿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薄膜拼接产线自动切断薄膜和贴胶带机构
CN207918128U (zh) * 2018-01-19 2018-09-28 深圳市海目星激光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胶纸反折机构
CN113291900B (zh) * 2021-04-22 2023-03-24 金东纸业(江苏)股份有限公司 一种接纸装置及复卷机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4460A (ko) 1971-09-03 1973-05-18
JPS4834459A (ko) 1971-09-06 1973-05-18
JP3025976B2 (ja) * 1991-04-24 2000-03-27 株式会社西村製作所 ウエブ材料巻取機のリードペーパー自動接合方法および装置
FI98720C (fi) 1992-05-07 1997-08-11 Kone Oy Menetelmä hissiryhmän ohjaamiseksi
JP2578845Y2 (ja) * 1992-07-29 1998-08-20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自動基板裁断装置における位置決め機能を有する搬送機
JPH077024A (ja) 1993-06-17 1995-01-10 Sumitomo Electric Ind Ltd GaAs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7024U (ja) * 1993-06-29 1995-01-31 日立電線株式会社 ケーブル用テープ供給装置
JP2720292B2 (ja) * 1994-04-21 1998-03-04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Tabテープの供給側若しくは巻取側におけるリール交換方法
JP3390552B2 (ja) * 1994-12-08 2003-03-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記録シートおよびシート巻取体製造装置
US5810966A (en) * 1994-12-08 1998-09-22 Dai Nippon Printing Co., Ltd. Sheet roll producing apparatus
JP2000289900A (ja) * 1999-04-06 2000-10-17 Daisey Machinery Co Ltd テープ継ぎ装置
JP3796173B2 (ja) * 2001-12-28 2006-07-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接合シート貼付装置
JP3994809B2 (ja) * 2002-07-09 2007-10-24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電子回路部品の打ち抜き装置及びその供給リール交換方法
JP4239585B2 (ja) 2002-12-24 2009-03-18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剤テープの接続方法及び接着剤テープ接続体
JP4477823B2 (ja) 2002-12-20 2010-06-09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剤テープの接続方法及び接着剤テープ接続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481A (ko) * 2020-10-23 2022-05-03 주식회사 진영엠에스씨 멀티 테이프 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6613B1 (ko) 2013-02-22
US8062450B2 (en) 2011-11-22
CN101267998A (zh) 2008-09-17
WO2007069421A1 (ja) 2007-06-21
TW200725770A (en) 2007-07-01
US20090288777A1 (en) 2009-11-26
CN101267998B (zh)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613B1 (ko) 부착 테이프의 접속 장치, 부착 장치
JP4549432B2 (ja) 粘着テープ貼付装置及びテープ接続方法
WO2011001692A1 (ja) テープ貼り付け装置
TW200918430A (en) Working apparatus, apparatus for bonding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adding tape member
KR20090055573A (ko) 점착 시트 첩부 장치 및 첩부 방법
JP2003161935A (ja) 偏光板貼付装置
TW201203408A (en) FPD module assembling apparatus
TW200848346A (en) Apparatus for cutting an adhesive film, equipment for sticking an adhesive film having the same, method for cutting an adhesive film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sticking an adhesive film using the same
JP3595125B2 (ja) 貼着物の貼着装置
JP4834522B2 (ja) Acfテープの接続装置、acfテープ、および、acfテープの接続方法
JP4778404B2 (ja) 貼着装置
KR100671269B1 (ko) 테이프 부착방법 및 장치
JPH08133560A (ja) 粘着性テープ片の貼着装置および貼着方法
JP2010023131A (ja) フィルムの貼り付け装置及び貼り付け方法
JP2003198197A (ja) 加圧装置及び加圧方法
JP5370280B2 (ja) テープ貼付け装置およびテープ貼付け方法
JP2008159617A (ja) テープの交換方法及び装置
JPH09211485A (ja) 貼着物用貼着装置
JP5240909B2 (ja) 基板への異方性導電膜の貼り付け装置及び貼り付け方法
JP2018080257A (ja) 両面粘着シート貼付装置
JP2012039043A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JP2022158935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2012134292A (ja) Fpdモジュールの組立装置
JP2005126203A (ja) 接着テープ貼付装置
KR20220136202A (ko) 전자 부품 실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