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849A - 빌트인 후방 시야 미러 기능을 구비한 도어 장착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빌트인 후방 시야 미러 기능을 구비한 도어 장착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849A
KR20080075849A KR1020087012816A KR20087012816A KR20080075849A KR 20080075849 A KR20080075849 A KR 20080075849A KR 1020087012816 A KR1020087012816 A KR 1020087012816A KR 20087012816 A KR20087012816 A KR 20087012816A KR 20080075849 A KR20080075849 A KR 20080075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eans
control
movement
vehic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트랑 레이스
장-자크 리카에르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080075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K35/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10), 지지체(10) 상의 제어 수단(11)을 포함하는 차량용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11)은 후방 시야 미러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지지체(10) 상의 선택 수단(21)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선택 수단(21)은 후방 시야 미러의 움직임이 상기 제어 수단(11)에 의해 제어되는 후방 시야 미러 제어를 위한 제 1 모드 또는 후방 시야 미러의 움직임이 상기 지지체(10)상에 배치되지 않은 다른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후방 시야 미러의 제어를 위한 제 2 모드 사이에서 선택되도록 사용자게 의해 작동된다.
후방 시야 미러, 장착 플레이트

Description

빌트인 후방 시야 미러 기능을 구비한 도어 장착 플레이트{Door mounting plate with built-in rear-view mirror func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특히 차량용의, 전기 동력을 받는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드 차량의 전기 동력을 받는 장치의 개수의 증가는 이들을 제어하는데 사용디는 장치의 개수의 증가를 수반한다.
예를 들어, 근래의 차량은 차량의 외부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미러들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와, 전기적인 상기 외부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와, 차량의 전기 윈도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와, 차량의 전기 도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 등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의 개수의 증가는 공간에 대한 조건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나타낸다.
제어 장치의 개수의 증가에 관한 또다른 문제점은 차량에 사용되는 전기 케이블의 길이의 증가이다.
또다른 문제점은 차량의 제조시에 이러한 제어 장치를 장착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서 전기 동력을 받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향상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의 해결될 수 있는 수단에 의해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지체와,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지지체상의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장치는 제 1 제어 모드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상기 지지체 상의 선택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움직임은 상기 제어 수단 또는 제 2 제어 모드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움직임은 상기 지지체상에 배치되지 않은 다른 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그러나 비-제한적인 특징은 아래와 같다.
- 상기 장치는 차량의 윈도우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제 2 제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상기 지지체상에 배치되며;
- 상기 장치는 상기 전기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미러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제 3 제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 3 제어 수단은 상기 짖체상에 배치되며,
- 상기 지지체는 단일 부재로 형성되며;
- 상기 지지체는 차량의 도어 상에서 고정되도록 설계되며;
- 상기 제 1 제어 수단 및 제 1 선택 수단은 동일한 조립체 내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 상기 조립체는 3개의 위치를 가진 로커 버튼(rocker button)을 포함하며;
-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의 윈도우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작동되어지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며;
- 상기 장치는 상기 차량의 전기 도어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제 4 제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제 4 제어 수단은 상기 지지체상에 배치되며;
- 상기 장치는 상기 제 2 제어 수단 및/또는 제 4 제어 수단을 비활성화(deactivation)시키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제 5 제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5 제어 수단은 제 2 및 제 4 제어 수단을 동시에 비활성화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제 5 수단은, 예를 들어, 2위치 로커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2 및 제 4 제어수단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차량의 후방 도어 및 차량의 후방 전기 윈도우는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된다. 제 2 위치는 상기 제 2 및 제 4 제어 수단이 활성화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후방 도어 및 차량의 후방 전기 윈도우는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움직임" 이라는 용어는 차량 본체에 대하여 부속품(accessories)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의미한다.
다른 특징 및 장점은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기능적인 다이아그램을 나타내는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예시적이며 비제한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도록 설계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이러한 부속품들을 움직이도록 차량의 다양한 부속품의 전기적인 모터를 구동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부속품들은 전방 및/또는 후방 윈도우, 차량의 좌우 후방 시야 미러 유닛, 차량의 좌우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미러들, 및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 도어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상측", "하측", "전방", "후방", "우측", "좌측" 이라는 기준은 차량, 특히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시트에 있어서 관찰자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으로 이해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장치(1)는 지지체(10) 및, 다양한 부속품들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 수단은 상기 지지체(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체(10)는 일체형 지지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일체형 지지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몰딩에 의해 형성된 단일 부재를 포함하는 지지체, 또는 다수의 부품을 포함하는 지지체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지지체의 모든 부품은 지지체가 일체로 되도록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치(1)는 차량의 좌우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움직임(상기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이 고정되는 차량 도어에 대하여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제 1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제어 수단(11)을 작동시킴으로써 좌우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은 내외로 접힐 수 있게 된다.
상기 장치(1)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제 1 선택 수단(21)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제 1 선택 수단(21)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을 위한 다수의 제어 모드로부터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을 위한 움직임 제어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선택 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는,
-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움직임이 상기 제 1 제어 수단(11)에 의해 제어되는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을 위한 제 1 제어 모드; 및
- 상기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움직임이 상기 지지체(10)상에 배치되지 않은 후방 미러 유닛을 위한 다른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을 위 한 제 2 제어 모드로부터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을 위한 제어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체(10) 상에 배치되지 않은 다른 수단은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하기 위한 원격 제어부이다.
이 경우,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움직임은 상기 원격 제어부를 작동함으로써 제어되며, 상기 차량의 도어를 해제하도록 상기 원격 제어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좌우 후방 시야 미러 유닛들은 외부로 접히게 되며,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그도록 원결 제어부를 작동시키면 좌우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은 내부로 접히게 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을 위한 제 2 제어 모드가 선택되면, 좌우 후방 시야 미러 유닛들의 외측 방향 접힘 또는 내측 방향 접힘은 "자동적"으로 행해지는데, 환언하면, 이러한 것은 이러한 후방 시야 미러 유닛들의 움직임을 제어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지로부터 직접 유래한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제어하기를 원하는 차량의 다른 기능(예를 들어 도어의 잠금/해제)과 관련된다.
반대로, 후방 시야 미러 유닛들을 위한 제 1 제어 모드가 선택되면, 차량의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움직임은 제 1 제어 수단(11)을 작동시킴으로써 이러한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움직임을 제어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미로부터 직접 기인한다. 이러한 것은 "수동" 모드로 지칭된다.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을 위한 상기 제 1 제어 모드가 선택되며, 좌우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움직임은 제 1 제어 수단(11)에 의해 배타적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 시야 미러 유닛들의 움직임은 더 이상 다른 기능과 관련 이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부를 작동시켜서 차량의 도어를 잠그는 것(또는 해제하는 것)은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을 위한 제 1 제어 모드가 선택될 때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을 내측으로 접고(또는 외측으로 접고) 외측으로 접는 것(또는 내측으로 접는것)을 포함하지 않는다.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을 위한 제 2 제어 모드가 선택되면, 좌우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움직임은 상기 지지체(10) 상에 배치되지 않은 다른 제어 수단에 의해 배타적으로 제어된다.
상기 제 1 선택 수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차량의 기능에 대한 보다 큰 제어를 할 수 있게 되는데, 특히 이러한 제1 선택 수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 양자 중 어느 것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자신을 발견하게 되는 상황에 가장 적합한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을 위한 제어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제 1 제어 수단(11) 및 제 1 선택 모드(21)는 하나의 조립체 하나이며 동일한 조립체(20) 내에서 일체로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립체(20)는 3개의 고정된 위치를 가진 로커 버튼일 수 있는데, 이러한 위치들은 특정 제어와 관련된다. 이로 인하여 후방 시야 미러 유닛들의 2가지 움직임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간편하게 된다.
예를 들어, 그것을 위치시키도록 로커 버튼의 사용자에 의한 작동이;
- 제 1 고정 위치에서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수동 모드를 선택하게 되고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을 외측으로 접게 되며;
- 제 2 고정 위치에서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수동 모드를 선택하게 되며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을 내측으로 접게 되며;
- 제 3 고정 위치에서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자동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1)는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 윈도우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제 2 제어 수단(12)을 추가로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제어 수단(12)을 작동시킴으로써,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 윈도우의 상측 운동 또는 하측 운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제어 수단(12)은 고정된 하나의 위치만을 가지는 3-위치 로커 버튼일 수 있는데, 이렇나 버튼이 고정 위치에 있으면 어떠한 움직임도 발생하지 않게 되며, 다른 2가지 위치 중 하나 또는 다른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러한 버튼을 작동시키면 사용자가 제 2 제어 수단을 계속 작동시키는 한(사용자가 제 2 제어 수단에서 누르는 것을 멈추면 윈도우의 움직임은 차단된다) 상측 또는 하측으로 차량의 윈도우가 이동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제어 수단(12)은 고정된 하나의 위치만을 가지는 5-위치 로커 버튼일 수 있는데, 이러한 버튼들이 이러한 고정 위치에 있을 때는 어떠한 움직임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전의 3개의 위치에 대하여 추가적인 2개의 위치는 한번의 누름에 응답하여 윈도우를 바로 올리거나 내리는 가능성에 대응한다.
상기 제 2 제어 수단(12)은 2개 또는 4개의 로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버튼은 차량의 하나의 윈도우를 제어하는 것에 관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우측 또는 좌측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미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 3 제어 수단(13)을 추가로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3 제어 수단(13)을 작동시킴으로써, 미러의 측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2개의 상호 수직 축에 대하여 수방 시야 미러 유닛의 미러들을 피봇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제어 수단(13)은 그중 하나의 위치만이 고정되는 5개의 위치들을 가진 원형 노브(knob)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원형 노브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에는 어떠한 움직임도 발생하지 않으며, 이러한 노브를 비고정 위치에 대한 다른 4 개의 위치 중 하나에 오게 하도록 원형 노브를 사용자가 작동시키면 2개의 축 중 하나와 다른 하나에 대하여 미러는 피봇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제 3 제어 수단(13)을 작동시킴으로서 움직이고자 하는 미러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작동되는 제 2 선택 수단(2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선택 수단(22)은 3개의 고정 위치를 가진 로커 버튼을 포함하는데, 3개의 위치 중 2개의 위치는 미러의 선택과 관련되며, 세번째 위치는 상기 제 3 제어 수단(13)을 비활성화시키게 되어, 상기 제 2 선택 수단(22)이 제 3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 3 제어 수단(13)의 작동은 2개의 미러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움직임을 야기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로커 버튼을 아래의 고정 위치로 움직이도록 로커 버든을 사용자가 작동시키면,
- 제 1 고정 위치에서는, 사용자는 좌측 후방 시야 미터 유닛의 미러를 선택하게 되며(따라서 상기 제 2 선택 수단(22)이 이러한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제 3 제어 수단의 작동은 좌측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미러를 움직이게 한다),
- 제 2 고정 위치에서는, 사용자는 우측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미러를 선택하게 되며(따라서, 제 3 제어 수단(13)의 움직임은 우측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미러를 움직이게 한다),
- 제 3 고정 위치 또는 중립 위치에서는, 사용자는 제 3 제어 수단을 비활성화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차량이 전방 및/또는 후방 측면 도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제 4 제어 수단(14)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4 제어 수단(14)을 작동시킴으로써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 측면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전술한 제어 수단, 예를 들어 윈도우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제어 수단(12) 및/또는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 도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제 4 제어 수단(14)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제 5 제어 수단(15)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5 제어 수단(15)은 2개의 고정 위치를 가진 로커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로커 버튼을 아래의 고정 위치로 위치시키도록 작동시키면,
- 제 1 고정 위치에서는, 사용자는 제 2 제어 수단(12) 및/또는 제 4 제어 수단을 활성화하게 되며.
- 제 2 고정 위치에서는, 사용자는 상기 제 2 제어 수단(12) 및/또는 제 4 제어 수단(14)을 비활성화하게 된다.
제 2 및/또는 제 4 제어 수단을 비활성화시키는 기능과는 별도로, 제 5 제어 수단은 상기 지지체상에 배치되지 않으며 제어될 차량의 후방 전기 윈도우 및/또는 도어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보조 제어 수단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후방 도어는 차량의 후방에 착석한 승객이 후방 전기 윈도우 및/또는 도어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하는 보조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 수단을 비활성화하도록 제 5 제어 수단을 작동시키면 상기 보조 제어 수단을 비활성화된다.
다수의 제어수단이 차량의 도어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지지체에 장착된다는 사실로 인하여 인간공학적이며 사용하기 쉬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모든 제어 수단은 동일한 사용자 접근 가능 위치에 놓이게 된다.
다수의 제어 수단이 차량의 도어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지지체상에 장착됨으로써, 제어 수단을 장착하기 위하여 차량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길이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교시 내용과 장점을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는한 많은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제어 수단 및 선택 수단에 대한 다수의 버튼이 제어될 다수의 전기 부속품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장치를 위한 원하는 인간 공학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모든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장치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도면부호
1 장치
10 지지체
20 조립체
11 제 1 제어 수단
12 제 2 제어 수단
13 제 3 제어 수단
14 제 4 제어 수단
15 제 5 제어 수단
21 제 1 선택 수단
22 제 2 선택 수단

Claims (10)

  1. 지지체(10) 및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지지체(10)상의 제어 수단(11)을 포함하는 제어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움직임이 제어 수단(11)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제어 모드, 또는
    -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움직임이 상기 지지체(10) 상에 배치되지 않은 다른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제 2 제어 모드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지지체(10) 상의 선택 수단(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차량의 윈도우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제 2 제어 수단(12)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 2 제어 수단(12)은 상기 지지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후방 시야 미러 유닛의 미러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제 3 제어 수단(13)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3 제어 수단(13)은 상기 지지체(13)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는 단일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는 차량의 도어상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수단(11) 및 상기 제 1 선택 수단(21)은 하나이며 동일한 조립체(20) 내에서 일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20)는 3개의 위치를 가진 로커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수단(12)은 차량의 윈도우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차량의 전기 도어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제 4 제어 수단(14)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4 제어 수단(14)은 상기 지지체(10)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 2 제어 수단(12) 및/또는 상기 제 4 제어 수단(14)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제 5 제어 수단(15)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KR1020087012816A 2005-11-29 2006-11-14 빌트인 후방 시야 미러 기능을 구비한 도어 장착 플레이트 KR200800758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12066A FR2894043B1 (fr) 2005-11-29 2005-11-29 Dispositif pour la commande d'accessoires motorises electriquement dans un vehicule
FR05-12066 2005-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849A true KR20080075849A (ko) 2008-08-19

Family

ID=3675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816A KR20080075849A (ko) 2005-11-29 2006-11-14 빌트인 후방 시야 미러 기능을 구비한 도어 장착 플레이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80297929A1 (ko)
EP (1) EP1954520A1 (ko)
JP (1) JP2009517282A (ko)
KR (1) KR20080075849A (ko)
CN (1) CN101316735A (ko)
BR (1) BRPI0619000A2 (ko)
FR (1) FR2894043B1 (ko)
RU (1) RU2413634C2 (ko)
WO (1) WO2007063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1939B1 (fr) * 2012-06-15 2015-05-15 Renault Sa Garniture clippee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en materiau polymere et porte equipee de cette garniture
JP6280815B2 (ja) 2014-05-26 2018-02-1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ドアガラス昇降用スイッチ構造
CN106240473A (zh) * 2016-08-26 2016-12-21 广东东箭汽车用品制造有限公司 电动外后视镜控制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4163A (en) * 1963-12-23 1966-05-31 Gen Motors Corp Six-way seat adjuster switch with centering means
US5097362A (en) * 1989-07-19 1992-03-17 Lynas Robert M Rearview mirror targeting and repositioning system
JP2585113B2 (ja) * 1989-12-20 1997-02-26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ドアロック連動式電動格納ミラーシステム
US5394400A (en) * 1993-06-21 1995-02-28 Eaton Corporation Multiaddress remote control of vehicular accessories without microprocessors
KR960007597B1 (en) * 1993-10-12 1996-06-07 Cho Sung Ho Back mirror for a vehicle
US5568120A (en) * 1994-12-06 1996-10-22 Ford Motor Company Anti-theft system with remote controlled verification of arming
JP3465735B2 (ja) * 1995-10-02 2003-11-10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制御装置
US5952630A (en) * 1996-09-11 1999-09-14 Textron Automotive Company Inc. Armrest electrical switch array
US5937065A (en) * 1997-04-07 1999-08-10 Eaton Corporation Keyless motor vehicle entry and ignition system
JP4167320B2 (ja) * 1998-03-31 2008-10-15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ヤレス制御装置およびその携帯機
US20050242923A1 (en) * 1998-04-16 2005-11-03 David Pearson Passive entry systems for vehicles and other applications
US7106171B1 (en) * 1998-04-16 2006-09-12 Burgess James P Keyless command system for vehicles and other applications
US6760579B1 (en) * 1998-11-27 2004-07-06 Fujitsu Ten Limited Receiving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frequency converters for use with a vehicle
US6657316B1 (en) * 1998-12-23 2003-12-02 Johnson Contols Interiors Technology Corporation Window control apparatus
US6236850B1 (en) * 1999-01-08 2001-05-22 Trw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venience function control with increased effective receiver seek time and reduced power consumption
JP2001118467A (ja) * 1999-10-15 2001-04-27 Yazaki Corp スイッチ装置
US6792295B1 (en) * 2000-01-12 2004-09-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Wireless device for use with a vehicle embedded phone
US6536825B2 (en) * 2000-05-09 2003-03-25 Lear Corporation Control panel for a vehicle
US6639511B2 (en) * 2000-07-05 2003-10-28 Denso Corporation Anti-theft system for vehicles having remote-controlled engine starting function
FR2819933B1 (fr) * 2001-01-24 2005-01-28 Dav Platine de commutation pour organes electriques d'un vehicule
US6631096B2 (en) * 2001-02-02 2003-10-07 Trw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ntrusion and non-intrusion events
DE10116269B4 (de) * 2001-03-31 2008-12-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Ein- und Ausklappen von Fahrzeugaußenspiegeln
JP2004522309A (ja) * 2001-06-22 2004-07-2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家電機器用コントロールパネル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6719358B2 (en) * 2001-09-04 2004-04-13 Lear Corporation Control panel for a vehicle
US6926431B1 (en) * 2002-04-09 2005-08-09 Magna Donnelly Mirrors North America, L.L.C. Vehicular mirror assembly incorporating multifunctional illumination source
US20030231131A1 (en) * 2002-06-12 2003-12-18 Dimig Steven J.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6856239B1 (en) * 2002-11-18 2005-02-15 Lear Corporation Vehicle proximity door opener
JP4168771B2 (ja) * 2003-02-07 2008-10-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の遠隔操作用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FR2852745B1 (fr) * 2003-03-18 2005-08-05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Contacteur pour la commande de leve-vitres
US6847288B1 (en) * 2003-06-17 2005-01-25 Baschnagel, Iii Robert J. Side mirror retracting vehicle alarm system
US7015791B2 (en) * 2003-08-19 2006-03-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Keyless entry module and method
US6980095B2 (en) * 2004-03-17 2005-12-27 Lear Corporation Illuminated vehicle remote entry device
US7002089B2 (en) * 2004-04-30 2006-02-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Layered switch assembly
US7084360B2 (en) * 2004-07-28 2006-08-01 Lear Corporation Elastomeric vehicle control switch
US7292137B2 (en) * 2005-05-13 2007-11-06 Lear Corporation Energy efficient passive ent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94043A1 (fr) 2007-06-01
CN101316735A (zh) 2008-12-03
BRPI0619000A2 (pt) 2016-09-06
FR2894043B1 (fr) 2008-01-25
US20080297929A1 (en) 2008-12-04
RU2413634C2 (ru) 2011-03-10
RU2008126319A (ru) 2010-01-10
EP1954520A1 (fr) 2008-08-13
JP2009517282A (ja) 2009-04-30
WO2007063233A1 (fr)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6067B2 (en) Control panel for a vehicle
JP4652957B2 (ja) 車両用スイッチ制御装置
JPS6121843A (ja) 乗員用備品自動復元装置
GB2428816A (en) Control of folding seat in vehicle based on weight sensors.
US4791537A (en) Vehicle accessory assembly with sliding door for mounting on a visor or other interior panel
KR20080075849A (ko) 빌트인 후방 시야 미러 기능을 구비한 도어 장착 플레이트
CN112135751B (zh) 用于座椅、特别是车辆座椅的枢转配件以及座椅
JP2004276912A (ja) 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JP4722046B2 (ja) シート及びその方法
US6882267B2 (en) Device controller
JP2008019625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4296889B2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
JPH09175288A (ja) スライド式ドアスイッチモジュール
EP0351468A1 (en) Vehicle accessory assembly with sliding door for mounting on a visor or other interior panel
JP2848050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04525021A (ja) 車両の空調を操作するための部品を含んでなるパネル
KR100747223B1 (ko) 자동차용 다기능 복합 스위치
JPH03540A (ja) ヘッドレスト制御システムおよび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KR19980059293A (ko) 위치제어가 가능한 센터판넬
JPH09109743A (ja) 車両用シートのポジション設定装置
JPH035251A (ja) ヘッドレスト制御システムおよび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JPH07335079A (ja) 車載パワーウィンド用スイッチ
JPH03261B2 (ko)
FR2840728A1 (fr) Dispositif de manoeuvre pour la commande, notamment, de leve-vitre et retroviseur dans un vehicule
GB2445306A (en) Control of folding seat in vehicle based on weight 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