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374A - 전극,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냉음극 형광 램프 - Google Patents

전극,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냉음극 형광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374A
KR20080073374A KR1020087018187A KR20087018187A KR20080073374A KR 20080073374 A KR20080073374 A KR 20080073374A KR 1020087018187 A KR1020087018187 A KR 1020087018187A KR 20087018187 A KR20087018187 A KR 20087018187A KR 20080073374 A KR20080073374 A KR 20080073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thode fluorescent
weight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카즈 스기무라
히토시 하타
하루시게 스기무라
사토시 다무라
구니오 다카하시
가즈히코 야마기시
히로아키 니시카타
Original Assignee
엔이씨 라이팅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쇼메이 프레시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라이팅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쇼메이 프레시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라이팅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3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675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672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675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 H01J61/067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n emiss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 H01J61/366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 H01J61/76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filling of permanent gas or gases only
    • H01J61/78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filling of permanent gas or gases only with cold cathode; with cathode heated only by discharge, e.g. high-tension lamp for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9Hollow cathodes

Landscapes

  • Discharge Lamp (AREA)

Abstract

기밀하게 밀봉되어, 희가스 및 수은 가스가 봉입된 유리관 (2) 의 내부 공간 (5) 내에, 니켈 (Ni) 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트륨 (Y) 및 산화이트륨 (YOx) 의 쌍방, 혹은 일방이 분산된 통형상 전극 (7) 이 대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Figure P1020087018187
냉음극 형광 램프, 전극, 이트륨, 산화 이트륨, 니켈

Description

전극,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냉음극 형광 램프{ELECTRODE,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본 발명은, 냉음극 형광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음극 형광 램프의 암흑 공간에 있어서의 시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방전 램프는, 열전자, 광전자, 고전계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 자연계의 우주선에 포함되는 전자 등을 방전의 계기가 되는 전자 (초기 전자) 로서 이용하고 있다. 종래의 방전 램프 중, 광전자를 초기 전자로서 이용하는 방전 램프는, 외부로부터의 빛이 완전 혹은 거의 완전하게 차단된 공간 (암흑 공간) 에 설치되면, 시동 (점등) 이 곤란, 혹은 불능이 된다. 왜냐하면, 광전자는 물론, 우주선조차도 방전 램프에 도달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방전 램프의 일종인 냉음극 형광 램프에는, 이하의 이유로부터 암흑 공간에 있어서의 시동 특성의 향상이 강하게 요구된다. 냉음극 형광 램프는, 액정 표시 기기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원으로서 요즘 널리 이용되고 있다. 백라이트 유닛의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기밀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하우징 내에 설치된 냉음극 형광 램프에 외광이 도달하는 일은 거의 없다. 즉, 백라이트 유 닛용의 광원으로서 사용되는 냉음극 형광 램프는, 암흑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그래서 종래에는, 일함수가 낮은 물질인 세슘 화합물의 막 또는 층 (이하 정리하여 「세슘 화합물층」이라고 기재한다) 을 전극의 표면에 형성하여 시동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1-15065 호 참조).
그러나, 전극의 표면에 세슘 화합물층을 형성하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세슘 화합물은 알칼리 금속이기 때문에, 세슘 화합물이 방전관 (유리관) 에 봉입되어 있는 수은과 반응하여 아말감을 형성한다. 이 결과, 유리 관 내의 수은이 소모되어, 램프 수명이 짧아진다. 또, 한 쌍의 전극의 일방에 세슘 화합물층을 형성하면, 램프 점등 중의 그 전극의 온도가 타방에 비해 낮아진다. 이 결과, 유리관 내에 봉입되어 있는 수은이, 세슘 화합물층이 형성되어 있는 전극측으로 기울어져, 램프 휘도가 불균일해진다. 또한 세슘 화합물층은, 전극의 외주면에, 액상의 세슘 화합물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필요한 양의 세슘 화합물을 전극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시동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냉음극 형광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하는 과정에서, 이트륨 (Y) 에 주목하였다. 이트륨을 이용하여 전자 방출성을 개선한 전극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3604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1390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73533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전극은, 그 표면에 이트륨의 층 또는 막이 형성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방 전 램프의 전극에 내(耐)스퍼터성이 강하게 요구되는 것으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전극은, 램프 점등 중에, 아르곤 (Ar) 이나 네온 (Ne) 의 충돌에 의해 스퍼터링된다. 따라서, 스퍼터링에 의해, 전극 표면에 형성된 이트륨의 층 또는 막이 없어져, 효과를 계속적으로 얻을 수 없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들은, 더욱 연구를 거듭하여 본원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의 전극은, 냉음극 형광 램프에 사용되는 전극이다. 본 발명의 전극의 주성분은 니켈 (Ni) 이며, 또한, 본 발명의 전극에는, 이트륨 (Y) 및 산화이트륨 (YOx) 의 쌍방, 혹은 일방이 분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극의 제조 방법은, 이트륨 (Y) 및 산화이트륨 (YOx) 의 쌍방, 혹은 일방과 니켈 (Ni) 을 용융시켜, 이트륨 (Y) 및 산화이트륨 (YOx) 의 쌍방, 혹은 일방이 분산된 니켈기의 금속 재료를 얻는 공정과, 상기 금속 재료를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는, 상기 본 발명의 전극 또는 상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전극을 구비한다.
상기 및 그 이외의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하기의 기재 및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의 참조에 의해 명확해진다.
냉음극 형광 램프의 암흑 공간에 있어서의 시동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는 내스퍼터성에 관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예의 냉음극 형광 램프 (1) 의 구조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냉음극 형광 램프 (1) 는, 붕·규산 유리에 의해 형성된 유리관 (2) 을 갖는다. 유리관 (2) 의 양단은, 밀봉 유리 (비드 유리 (3)) 에 의해 기밀하게 밀봉되어 있다. 유리관 (2) 의 외경은, 1.5∼6.0mm 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1.5∼5.0mm 의 범위 내이다. 유리관 (2) 의 재료는, 납 유리, 소다 유리, 저연 유리 등이어도 된다.
유리관 (2) 의 내벽면 (4) 에는,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도시되지 않은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있다. 형광체층을 형성하고 있는 형광체는, 할로인산염 형광체나 희토류 형광체 등의 기존 또는 신규의 형광체로부터, 냉음극 형광 램프 (1) 의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또한 형광체층은, 2 종류 이상의 형광체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형광체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내벽면 (4) 으로 둘러싸인 유리관 (2) 의 내부 공간 (5) 에는, 희가스 (아르곤 가스, 또는 아르곤 가스와 크세논 가스나 네온 가스 등의 혼합 가스) 및 수은이 소정량 봉입되어 있다. 또한 내부 공간 (5) 내는, 대기압의 수십분의 1 정도로 감압되어 있다.
유리관 (2) 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한 쌍의 전극 유닛 (6)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 유닛 (6) 은, 통형상 전극 (7) 및 통형상 전극 (7) 의 저면부 (8) 에 접합된 리드선 (9) 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전극 유닛 (6) 의 통형상 전극 (7) 은, 내부 공간 (5) 의 단부보다 약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서로의 개구부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리드선 (9) 은, 그 일단이 대응하는 통형상 전극 (7) 의 저면부 (8) 에 용접되어 있다. 리드의 타단은, 비드 유리 (3) 를 관통하여 유리관 (2) 의 외부에 인출되어 있다. 리드선 (9) 은, 비드 유리 (3) 와 열팽창 계수가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도전성 재료 (본 예에서는 코바르) 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도 2 는, 냉음극 형광 램프 (1) 가 구비하는 전극 유닛 (6) 의 확대 사시도이다. 전극 유닛 (6) 을 구성하고 있는 통형상 전극 (7) 은, 길이 방향의 일방에 개구부 (10) 가 형성되고, 타방이 저면부 (8) 에 의해 폐색된 컵상의 형상을 갖는다. 이 통형상 전극 (7) 은, 판형상 또는 선형상 (와이어형상) 의 금속 재료를 프레스 가공 또는 헤더 가공하여 도시되어 있는 형상으로 한 것이다.
상기 금속 재료는, 산화이트륨 (YOx) 을 분산시킨 니켈기의 금속 재료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화이트륨의 분말과 니켈 (Ni) 의 분말이 혼합된 혼합 분말을 용융 용해시켜 일체화시킨 금속 재료이다. 이 금속 재료는, 니켈 99.3 중량% (0.01% 이하의 코발트를 함유한다), 산화이트륨 0.55 중량%, 망간 0.1 중량%, 불순물 (탄소, 규소, 구리, 황, 마그네슘, 철) 0.05 중량% 의 혼합비를 갖는다. 이 금속 재료로부터 만들어진 통형상 전극 (7) 도 실질적으로 상기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다. 또한, 산화이트륨은, 그 성질상, 금속 재료의 결정립계 영역에 선택적으로 석출되고 있다.
통형상 전극 (7) 이 상기 조성을 갖기 때문에, 본 예의 냉음극 형광 램프 (1) 는, 암흑 공간 중이라도 시동성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는, 통형상 전극 (7) 중에 분산되어 있는 산화이트륨으로부터는 상시 전자가 방출되고 있다. 따라서, 그 전자를 초기 전자로 하여, 통형상 전극 (7) 에 대한 전장 인가와 거의 동시에 방전이 개시된다 (냉음극 형광 램프 (1) 가 점등된다). 또한 통형상 전극 (7) 은, 그 표층부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균일하게 산화이트륨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통형상 전극 (7) 의 표층부의 산화이트륨이 스퍼터에 의해 소모되어도, 내부의 산화이트륨이 순서대로 표층부에 나타난다. 따라서, 양호한 시동성이 장기간에 걸쳐 계속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한 시험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이 시험에서는, 본 예의 냉음극 형광 램프 (1) 와 동일한 냉음극 형광 램프 (시험 대상) 를 10 개 준비하였다. 0.1 룩스 이하의 암흑 공간 중에서, 각 냉음극 형광 램프에 전압을 인가하고, 전압 인가로부터 점등까지의 시간 (시동 시간) 을 계측하였다. 또, 표면에 세슘 화합물층이 형성된 니켈 전극을 구비한 냉음극 형광 램프 (비교 대상 1) 를 10 개 준비하였다. 또, 세슘 화합물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단순한 니켈 전극을 구비한 냉음극 형광 램프 (비교 대상 2) 를 10 개 준비하였다. 비교 대상 1 및 2 의 시동 시간을 상기와 동일한 조건 하에서 측정하였다.
Figure 112008053074270-PAT00001
표 1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는, 니켈 전극을 구비한 냉음극 형광 램프 (비교 대상 2) 에 비해 시동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어 있다. 또한 세슘 화합물층이 형성된 전극을 구비한 냉음극 형광 램프 (비교 대상 1) 와 비교해도, 동등하거나 그 이상으로 시동성이 향상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가 구비하는 통형상 전극 (7) 의 내부에는, 산화이트륨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으므로, 비교 대상 1 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시동성이 장기간에 걸쳐 계속된다.
또, 상기 시험 그 외의 시험에 의해,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가 내스퍼터성에 관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종래의 방전 램프의 전극에는, 순니켈 또는 니켈기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전극이 이용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니켈 99.7 중량%, 망간 0.1 중량%, 철 0.1 중량%, 불순물 (탄소, 규소, 구리, 황) 0.1 중량% 의 혼합비를 갖는 니켈기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전극이 이용되고 있었다. 순니켈이나 니켈기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전극에는, 다음의 이점이 있다. (1) 유리관의 단부를 기밀하게 밀봉하기 위한 밀봉재로서 일반적인 코바르와의 용접이 용이하다. (2) 관전류가 4.0∼5.0mA 가 되는 조건 하에서의 사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갖는다. (3) 가공이 용이하고 또한 저렴하다.
그러나, 액정 표시 기기의 대화면화나 고휘도화에 수반하여, 냉음극 형광 램프에는, 5.0mA 이상의 관전류에 대한 대응이 촉구되었다. 그리고, 관전류가 증대하면, 전극의 부하도 증대하므로, 전극의 내스퍼터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냉음극 형광 램프의 전극에는, 니켈에 비해 내스퍼터성이 우수한 몰리브덴 (Mo) 이나 니오브 (Nb) 등의 고융점 소결 금속이 사용되게 되었다. 한편, 고융점 소결 금속제의 전극에는, 리드선과의 용접시나 유리관으로의 장착시에 산화된다는 새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 니켈에 비해 재료 단가가 현저하게 고가일뿐만 아니라, 가공도 곤란하고 고비용이라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고, 또한, 내스퍼터성에도 우수한 전극을 실현시키는 본 발명에 의하면, 냉음극 형광 램프의 시동성에 관한 상기 문제뿐만 아니라, 내스퍼터성에 관한 상기 문제도 동시에 해결된다.
표 2 에, 도 1 에 나타내는 통형상 전극 (7) 에 함유되는 산화이트륨의 양(혼합비) 을 여러가지로 변화시키면서, 그 통형상 전극 (7) 의 내스퍼터성 및 냉음극 형광 램프 (1) 의 시동성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다. 표 중 「○」는, 시험 결과가 양호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는 보통 (종래와 동일한 정도) 인 것을, 「×」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던 것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중에 나타나고 있는 산화이트륨 (Y0x) 의 양 (중량%) 은, 통형상 전극 (7) 에 산화이트륨 및 이트륨의 쌍방이 분산되어 있는 경우, 양자를 합친 양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8053074270-PAT00002
표 2 로부터, 산화이트륨의 혼합비가 0.02 중량%∼1.50 중량% 의 범위 내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혼합비가 0.15 중량%∼1.20 중량% 의 범위 내에서는, 내스퍼터성 및 시동성의 쌍방이 항상 양호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산화이트륨의 일례로서 이트리아 (Y2O3) 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전극에 분산되는 산화이트륨은, 이트리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트륨은 활성이 높고, 산화되기 쉬운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니켈과 혼합시킬 때에는, 산화이트륨의 형태로 혼합하는 것이 편리하다. 다만, 금속 이트륨 (Y) 과 니켈과 혼합시킨 금속 재료에 의해 전극을 형성해도 된다. 또, 산화이트륨 및 이트륨과 니켈을 혼합시킨 금속 재료에 의해 전극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이트륨과 니켈과 혼합시켜 금속 재료를 제조하는 과정 및 그 외의 과정에 있어서, 이트륨이 산화이트륨으로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제조된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전극에는 이트륨 및 산화이트륨의 쌍방이 분산되어 있다. 요컨데, 전극에 산화이트륨이 분산되어 있는 경우, 그 산화이트륨은, 산화이트륨의 형태로 니켈에 혼합된 것이어도 되고, 금속 재료의 제조 과정 그 외에 있어서 형성된 산화이트륨이어도 된다.
전극의 조성은, 상기 조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니켈 97.35 중량% (0.01% 이하의 코발트를 함유한다), 이트륨 또는 산화이트륨 0.55 중량%, 망간 2.0 중량%, 및 불순물 (탄소, 규소, 구리, 황, 마그네슘, 철) 0.1 중량% 의 혼합비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 전극의 형상은, 상기 통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판형상, 기둥형상 이 외의 원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냉음극 형광 램프와 실시형태 1 의 냉음극 형광 램프는, 전극 유닛을 구성하고 있는 통형상 전극의 조성만이 상이하다. 그래서, 통형상 전극의 조성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하고,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예의 냉음극 형광 램프가 구비하는 통형상 전극에는, 이트륨 및 산화이트륨의 쌍방, 혹은 일방에 추가하여,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 (본 예에서는, 티탄 (Ti)) 이 분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예의 냉음극 형광 램프가 구비하는 통형상 전극은, 니켈 99.35 중량% (0.01% 이하의 코발트를 함유한다), 이트륨 또는 산화이트륨 0.55 중량%, 티탄 0.05 중량%, 불순물 (탄소, 규소, 구리, 황, 마그네슘, 철) 0.05 중량% 의 혼합비를 갖는 금속 재료에 의해 만들어져 있고, 실질적으로 그 금속 재료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다.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을 분산시킴으로써, 암흑 공간에 있어서의 시동성이 더욱 향상된다. 그 이유는,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에 의해, 산화되어 있던 이트륨의 일부가 환원되기 때문이다. 또,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에 의해 내스퍼터성이 향상되는 것도 확인되고 있다.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으로는, 티탄 외에, 망간 (Mn), 지르코늄 (Zr) 또는 하프늄 (Hf) 을 들 수 있다. 표 3 에, 산화이트륨의 혼합비를 일정하게 하고,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의 종류 및 혼합비를 여러가지로 변화시키면서, 통형상 전극의 내스퍼터성 및 냉음극 형광 램프의 시동성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다. 표 중 「◎」은, 시험 결과가 매우 양호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동일하게, 「○」은 양호한 것을, 「△」는 보통 (종래와 동일한 정도) 인 것을, 「×」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던 것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중에 나타나 있는 산화이트륨 (YOx) 의 양 (중량%) 은, 통형상 전극 (7) 에 산화이트륨 및 이트륨의 쌍방이 분산되어 있는 경우, 양자를 합친 양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8053074270-PAT00003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냉음극 형광 램프와 실시형태 1, 2 의 냉음극 형광 램프란, 전극 유닛을 구성하고 있는 리드선의 구조만이 상이하다. 그래서, 리드선의 구조에 대한 보고 이하에 설명하고, 실시형태 1, 2 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리드선 (9b) 은, 코바르로 이루어지는 외측부 (33) 의 내측에, 구리 (Cu)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내측부 (32) 가 형성된 다층 구조 (2층 구조) 를 갖는다. 내측부 (32) 는, 주로 전극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리드선 (9b) 의 후단에는, 니켈철 합금의 주위를 구리로 피복한 듀메트 (34) 가 접합되어 있다. 리드선 (9b) 은, 듀메트 (34) 를 통하여, 전원 장치 (도시 생략) 에 접속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통형상 전극 (7) 은 실시형태 1 또는 2 에서 설명한 금속 재료와 동일한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예의 냉음극 형광 램프의 시동성 및 내스퍼터성은, 실시형태 1 또는 2 의 냉음극 형광 램프와 완전히 동일하다. 또, 통형상 전극 (7) 의 융점은 니켈의 융점과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통형상 전극 (7) 과 리드선 (9b) 의 접합에 과도한 고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용접시의 열에 의해 리드선 (9b) 의 내측부 (32) 가 과열되어,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 외부에 분출되어 버릴 가능성은 매우 낮다.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형태는 특정 용어를 이용하여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재는 예시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하기의 청구의 범위의 요지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방전 램프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방전 램프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종래의 방전 램프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13)

  1. 냉음극 형광 램프에 사용되는 전극으로서,
    주성분인 니켈 (Ni) 의 결정립계 영역에 이트륨 (Y) 이 석출되어 있는, 전극.
  2. 냉음극 형광 램프에 사용되는 전극으로서,
    주성분인 니켈 (Ni) 의 결정립계 영역에 산화 이트륨 (YOx) 이 석출되어 있는, 전극.
  3. 냉음극 형광 램프에 사용되는 전극으로서,
    주성분인 니켈 (Ni) 의 결정립계 영역에 이트륨 (Y) 및 산화 이트륨 (YOx) 이 석출되어 있는, 전극.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Y) 의 혼합비가, 0.02 중량%∼1.50 중량% 인, 전극.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이트륨 (YOx) 의 혼합비가, 0.02 중량%∼1.50 중량% 인, 전극.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Y) 및 산화이트륨 (YOx) 의 혼합비가, 0.02 중량%∼1.50 중량%인, 전극.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이 추가로 혼합되어 있는, 전극.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이, 티탄 (Ti), 망간 (Mn), 지르코늄 (Zr) 또는 하프늄 (Hf) 중 어느 하나인, 전극.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이 티탄 (Ti) 으로서, 그 혼합비가 0.009 중량%∼0.800 중량% 인, 전극.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이 망간 (Mn) 으로서, 그 혼합비가 1.1 중량%∼4.0 중량% 인, 전극.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이 지르코늄 (Zr) 또는 하프늄 (Hf) 으로서, 그 혼합비가 0.05 중량%∼1.10 중량% 인, 전극.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폐색된 통형상의 형상을 갖는, 전극.
  13. 기밀하게 밀봉된 내부 공간을 갖는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상기 내부 공간내에 봉입된 희가스 및 수은 가스와, 상기 유리관의 내벽면에 형성된 형광체층을 갖는 냉음극 형광 램프로서,
    상기 유리관의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극이 대향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냉음극 형광 램프.
KR1020087018187A 2005-10-26 2006-10-25 전극,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냉음극 형광 램프 KR200800733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11371 2005-10-26
JP2005311371 2005-10-2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036A Division KR100960545B1 (ko) 2005-10-26 2006-10-25 전극,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냉음극 형광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374A true KR20080073374A (ko) 2008-08-08

Family

ID=3796774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187A KR20080073374A (ko) 2005-10-26 2006-10-25 전극,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냉음극 형광 램프
KR1020087018188A KR20080073375A (ko) 2005-10-26 2006-10-25 전극,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냉음극 형광 램프
KR1020077010036A KR100960545B1 (ko) 2005-10-26 2006-10-25 전극,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냉음극 형광 램프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188A KR20080073375A (ko) 2005-10-26 2006-10-25 전극,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냉음극 형광 램프
KR1020077010036A KR100960545B1 (ko) 2005-10-26 2006-10-25 전극,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냉음극 형광 램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218928A1 (ko)
EP (1) EP1947676A4 (ko)
JP (1) JP4546524B2 (ko)
KR (3) KR20080073374A (ko)
CN (1) CN101053057A (ko)
TW (1) TW200805424A (ko)
WO (1) WO20070496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7058A1 (en) * 2007-09-13 2010-11-04 Nec Lighting, Ltd.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KR100911665B1 (ko) * 2007-10-23 2009-08-10 금호전기주식회사 냉음극 형광램프용 전극체
JP4945803B2 (ja) * 2008-02-20 2012-06-06 Nec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冷陰極蛍光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2109A (ja) * 1991-02-27 1992-09-28 Toshiba Corp 冷陰極蛍光ランプ用電極材料およびそれからなる電極
JP3339263B2 (ja) 1995-07-24 2002-10-28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半導体単結晶層の形成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US6000982A (en) * 1995-07-31 1999-12-14 Casio Computer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d-cathode for a discharge device
JP3107743B2 (ja) * 1995-07-31 2000-11-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放出性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冷陰極蛍光管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JPH09113908A (ja) 1995-10-20 1997-05-02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US5962977A (en) * 1996-12-20 1999-10-05 Ushiodenki Kabushiki Kaisha Low pressure discharge lamp having electrodes with a lithium-containing electrode emission material
JP2922485B2 (ja) * 1996-12-20 1999-07-26 ウシオ電機株式会社 低圧放電ランプ
JP3952582B2 (ja) 1998-03-20 2007-08-01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01015065A (ja) 1999-06-29 2001-01-19 Nec Lighting Ltd 冷陰極蛍光ラ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46306A (ja) * 2002-10-28 2004-05-20 Itec Tsuritani Co Ltd 冷陰極放電管用電極
JP2004259678A (ja) * 2003-02-27 2004-09-16 Tokyo Cathode Laboratory Co Ltd 放電管用電極部材および製造方法、これを用いる放電管並びに液晶ディスプレイ
JP4296389B2 (ja) * 2003-03-03 2009-07-15 東邦金属株式会社 放電ランプ用電極
JP2005032657A (ja) * 2003-07-09 2005-02-03 Hamamatsu Photonics Kk 焼結型陰極
JP2005071972A (ja) * 2003-08-07 2005-03-17 Omc Co Ltd 冷陰極管の電極とその製造方法
JP2005183172A (ja) * 2003-12-19 2005-07-07 Erebamu:Kk 放電ランプ
JP4544868B2 (ja) * 2004-01-14 2010-09-15 日立粉末冶金株式会社 冷陰極蛍光ランプ用電極材の製造方法および放電電極の製造方法
JP4367954B2 (ja) * 2005-05-25 2009-11-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極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47676A4 (en) 2011-03-30
KR20080073375A (ko) 2008-08-08
JP4546524B2 (ja) 2010-09-15
WO2007049636A1 (ja) 2007-05-03
US20090218928A1 (en) 2009-09-03
TW200805424A (en) 2008-01-16
CN101053057A (zh) 2007-10-10
JPWO2007049636A1 (ja) 2009-04-30
KR100960545B1 (ko) 2010-06-03
EP1947676A1 (en) 2008-07-23
KR20070063025A (ko) 200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651B1 (ko) 냉음극 방전램프
JP2002289138A (ja) 冷陰極蛍光ランプ
KR100960545B1 (ko) 전극,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냉음극 형광 램프
JP4199022B2 (ja) 冷陰極蛍光ランプ
JPH11354079A (ja) 放電ランプ
JP4267039B2 (ja) 冷陰極蛍光ランプ
JP2008218071A (ja) 蛍光管
JPH07130329A (ja) 放電ランプおよび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0133201A (ja) 冷陰極蛍光ランプの電極
JP2003187740A (ja) 冷陰極形電極、放電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3697019B2 (ja) 蛍光ランプ用電極、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3673624B2 (ja) エミッタ、電極、冷陰極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01210271A (ja) 冷陰極形電極、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H1021873A (ja) 放電ランプ用電極、放電ランプ用電極の製造方法、放電ランプおよびバックライト装置ならびに照明装置
JP2801791B2 (ja) 放電ランプ用電極
JP2939421B2 (ja) 冷陰極型小型蛍光管
JP2003197147A (ja) 冷陰極低圧放電管
JPH1173912A (ja) 低圧放電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H11233063A (ja) 冷陰極放電ランプ
JPH0721976A (ja) 小型低圧放電ランプおよび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0011949A (ja) 平面型蛍光灯
KR20050052117A (ko) 냉음극 형광 램프
JP2003016994A (ja) 冷陰極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H0620644A (ja) 放電管
JP2004363115A (ja) 冷陰極蛍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