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723A -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 - Google Patents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723A
KR20080070723A KR1020087012800A KR20087012800A KR20080070723A KR 20080070723 A KR20080070723 A KR 20080070723A KR 1020087012800 A KR1020087012800 A KR 1020087012800A KR 20087012800 A KR20087012800 A KR 20087012800A KR 20080070723 A KR20080070723 A KR 20080070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flange
socket
coupling device
inner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1457B1 (ko
Inventor
마사히로 하스누마
Original Assignee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0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3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at least one of the lift valves being of the sleeve type, i.e. a sleeve is telescoped over an inner cylindric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3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at least one of the valves having an axial b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3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with two lift valves being actuated to initiate the flow through the coupling after the two coupling parts are locked against withdraw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6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20Safety or protectiv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켓(10)과 플러그(70)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소켓 및 플러그 각각의 유로를 서로 연결시키는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5)의 플러그가, 유체가 통과하는 내부통로(78)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 스페이서(74)와, 이 내부 스페이서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플러그 칼라(73)와, 플러그의 기단에 설치되어 있어 플러그를 관로와 연결시키는 플랜지(75)를 적어도 가진다. 플러그 칼라와 플랜지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체의 유량이 큰 경우에도 플러그가 견고하게 지지되게 한다. 내부 스페이서는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유체이송, 커플링 장치, 플러그, 소켓

Description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PLUG FOR COUPLING DEVICE FOR TRANSFERRING FLUID}
본 발명은 유체 즉, 반도체 제조시에 사용하는 에칭액과 같은 고순도 약액(藥液) 등의 액체, 가스, 그 밖의 유동체를, 생산공장의 저장탱크로부터 수송트랙의 컨테이너로 이송할 때 등에 사용하는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소켓의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허 제2921654호에는, 상기 용도에 사용되는 커플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플링 장치는, 소켓(고정된 암형(雌形) 커플러)과 플러그(이동가능한 숫형(雄形) 커플러)를 포함하고 있다. 이 소켓 및 플러그에는 관로(管路)가 각각 접속된다.
소켓은 그 주위에 사이드 플랜지(side flange)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사이드 플랜지를 마운트 패널에 설치함으로써 소켓이 관로에 접속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어서, 다른 관로에 접속되어 있는 플러그가 소켓의 삽입구에 삽입되고, 이 플러그 및 소켓이 동일 직선상에 배치된다. 그 후, 소켓에 미리 조립된 내부 기구부가 동작하여, 소켓 및 플러그 각각의 관로가 서로 연결되고 유체가 이송된다.
하지만, 플러그에는 관로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한 상태로 유체를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이송하는 경우에는, 플러그 후단에 설치된 플랜지 등의 중량에 의해 플러그 자체에 모멘트가 발생하여, 플러그 자체의 밸브 밀봉성이 악화되는 것도 말할 것도 없고, 소켓과의 밀봉성도 악화되어 버릴지 모른다.
또한, 플러그는 유체의 이송이 요구될 때마다 소켓에 삽입되기 때문에, 소켓과 맞물리는 플러그의 일부분은 비교적 마모되기 쉽다는 문제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유체의 유량이 비교적 큰 경우에도, 소켓 내에서 견고하게 지지되는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첫번째 태양에 따르면, 소켓과 플러그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소켓 및 상기 플러그 각각의 유로를 서로 연결시키는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에 있어서, 이 플러그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가 제공된다.
두번째 태양에 따르면, 소켓과 플러그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소켓 및 상기 플러그 각각의 유로를 서로 연결시키는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유체가 통과하는 내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 스페이서(inner spacer)와, 이 내부 스페이서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플러그 칼라(plug collar)와, 상기 플러그의 기단(基端)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를 관로와 연결시키는 플랜지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칼라와 상기 플랜지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가 제공된다.
즉, 첫번째 및 두번째 태양에서는, 플러그의 외주부가 금속으로 보강되기 때문에 플러그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고, 그 결과 유체의 유량이 비교적 큰 경우에도 플러그가 견고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플러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두번째 태양에서 내부 스페이서는 내약품성을 구비한 수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번째 태양에 따르면, 두번째 태양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스페이서의 기단에는 둘레방향으로 뻗은 고리형상의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고리형상 돌출부는 상기 플러그 칼라의 기단과 상기 플랜지의 고리형상 단차부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 있다.
즉, 세번째 태양에서는, 내부 스페이서가 플러그 칼라의 기단과 플랜지의 고리형상 단차부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내부 스페이서를 견고하게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세번째 태양에 의해, 2분할 구성으로 하지 않고, 플랜지를 단일부재로서 제조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플러그의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네번째 태양에 따르면, 두번째 또는 세번째 태양에 있어서, 또한 상기 내부 스페이서의 상기 내부통로와 연결되는 내부통로를 구비한 플러그 선단부를 구비하고, 이 플러그 선단부와 상기 내부 스페이서의 사이에는 밀봉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네번째 태양에서는, 플러그 안을 흐르는 유체가 플러그 선단부와 내부 스페이서의 사이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번째 태양에 따르면, 두번째 내지 네번째 중 어느 한 태양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연결하였을 때, 조작자의 손가락을 삽입하기에 적당한 간격이 상기 플러그의 상기 플랜지와 상기 소켓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즉, 다섯번째 태양에서는, 조작자가 플러그를 쉽게 쥘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의 접속/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섯번째 태양에 따르면, 두번째 내지 다섯번째 중 어느 한 태양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스페이서는, 상기 플러그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이 제1 부분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조립상태에 있는 상기 플러그로부터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플랜지만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여섯번째 태양에서는, 플러그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치수가 다른 플랜지로 교체할 수 있다.
일곱번째 태양에 따르면, 여섯번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는 밀봉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일곱번째 태양에서는, 밀봉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소켓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소켓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하우징의 기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b는 코킹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의 길이방향 단면도 이다.
도 5는 플러그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플러그와 소켓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유체가 유통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커플링 장치가 배치되는 흐름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나타내는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9a의 경우와 다른 플랜지에 설치되는 플러그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나타내는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소켓 11: 전면커버
12, 13, 14, 15: 하우징 구성부 14a: 단차부
15a: 고리형상 홈 15b: 선단
16: 후면커버 16a: 고리형상 돌기
16b: 구멍 17: 사이드 플랜지
18: 마운트 패널 19: 삽입구
20: 내부통로 21: 벨로우즈 홀더
21': 벨로우즈 홀더용 슬라이딩 이동실
22: 기단 어댑터 22a: 폭확장부분
23: 벨로우즈 24: 단차부
25: 샤워링 25a: 세정실
26: 피스톤 27: 슬라이딩 이동실
28: 급배기구 28, 29: 흡배기 노즐
31, 32: 볼트 33: 연접막대
35: 지지 플레이트 38: 스프링
39: 제1 밸브체 39c: 지지 샤프트
40: 연결구멍 41: 제1 밸브시트
42: 배수로 43: 샤워노즐
46: 분사구 47: 밀봉부
50: 배출구멍 51, 52: 위치센서
55: 지표 58: 스프링
59: 제2 밸브체 60: 연결구멍
70: 플러그 71: 플러그 선단부
71a: 기단 72a, 72b: 더블너트
73: 플러그 칼라 73a: 기단 플랜지
74: 내부 스페이서 74a: 플랜지
74b: 기단 75: 플러그 플랜지(플랜지)
75a: 단차부 75b: 구멍
76: 볼트 77: 제2 밸브시트
78: 내부통로 81: 고리형상 돌기
82: 고리형상 오목부 101, 102: 밀봉부
103: 보유부 741: 제1 내부 스페이서 부분(제1 부분)
742: 제2 내부 스페이서 부분(제2 부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아래의 도면에서 같은 부재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이 도면들은 축척을 적절히 변경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소켓의 길이방향 단면도(斷面圖)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소켓의 단면도(端面圖)이다. 소켓(10)의 하우징은 서로 일체로 조립되는 하우징 구성부(12, 13, 14, 15)를 주로 포함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구성부(12)의 일단에는 전면커버(11)가 고정되며, 또한 다른 하우징 구성부(15)의 일단에는 후면커버(16)가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면커버(11), 하우징 구성부(12, 13, 14, 15) 및 후면커버(16)에 의해 소켓(10)의 하우징이 구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의 구성부품들은 내약품성을 가지는 수지재료 예를 들어, 불소계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플랜지(17)가 하우징 구성부(12)와 하우징 구성부(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플랜지(17)는 소켓(10)을 마운트 패널(18)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하우징 구성부(12) 및 전면커버(11) 등으로 형성되는 삽입구(19)에는, 후술하는 플러그(70)가 끼워져 들어간다.
각 하우징 구성부(12, 13, 14, 15)의 단면의 외주면 근방 및 사이드 플랜지(17)의 단면의 내주면 근방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켓(10)의 하우징을 조립할 때는, 하우징 구성부(14, 15)의 포셋(faucet) 부분을 맞추면서, 하우징 구성부(14, 15)의 복수개의 구멍 각각에 연접막대(連接棒; 33)를 삽입한다. 이어서, 볼트(34)를 사이드 플랜지(17) 및 하우징 구성부(13)의 구멍에 삽입하고 연접막대(33)의 일단에서 나사결합한다. 이어서, 볼트(31)를 후면커버(16) 및 하우징 구성부(15)의 구멍에 삽입하고 연접막대(33)의 타단에서 나사결합한다. 최종적으로, 볼트(32)를 하우징 구성부(12)의 구멍에 삽입하고 사이드 플랜지(17)에 나사결합한다. 이에 의해, 소켓(10)의 하우징을 조립한다.
연접막대는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켓(10)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소켓(10) 사용시에 조작자가 사이드 플랜지(17)에 비교적 큰 부하를 가했을 경우에도, 사이드 플랜지(17)가 회전하지 않고, 또한 밀봉성의 저하나 덜컥거림이 소켓의 하우징에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로우즈 홀더(bellows holder; 21)가 하우징 구성부(14) 및 하우징 구성부(15)의 내주면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 어 있다. 벨로우즈 홀더(21)의 내측에는 벨로우즈(23)가 배치되어 있다. 벨로우즈(23)의 일단은 후면커버(16)에 맞물리는 기단 어댑터(22)와 일체로 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 어댑터(22)의 폭확장부분(22a)이 후면커버(16)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져 들어가 있다. 폭확장부분(22a)은 하우징 구성부(15)의 단차부(24)에도 맞닿아 있기 때문에, 기단 어댑터(22)는 소켓(10) 내에 고정상태로 배치된다.
벨로우즈 홀더(21)의 선단측 외주면에는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 피스톤(26)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구성부(15)의 선단(15b)과 하우징 구성부(14)의 단차부(14a)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실(27)이 형성되어 있고, 벨로우즈 홀더(21)와 일체화된 피스톤(26)은 이 슬라이딩 이동실(27)을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 단차부(14a) 및 선단(15b)은 피스톤(26)의 스톱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단차부(14a)와 선단(15b) 사이의 거리로부터 피스톤(26)의 두께를 뺀 길이가 피스톤(26)의 스트로크(stroke)에 상당한다.
벨로우즈(23)의 타단은 샤워링(showering; 25)에 연결되어 있다. 불소계 수지 또는 염화비닐 등으로 형성되는 샤워링(25)은 벨로우즈 홀더(21)에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26)의 슬라이딩 이동시에, 샤워링(25)은 하우징 구성부(14) 및 하우징 구성부(13)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한편, 벨로우즈 홀더(21)는 피스톤(26)의 슬라이딩 이동시에, 하우징 구성부(15)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또한, 이 단차부(24) 근방에는 벨로우즈 홀더(21)의 슬라이딩 이동실(21')에 고여있는 유체를 배출하는 배수로(drain; 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배기구(28a, 29a)가 각각 슬라이딩 이동실(27)의 양단부로부터 하우징 구성부(14)의 외주면까지 뻗어 있으며, 흡배기 노즐(28, 29)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26)은 슬라이딩 이동실(27)에 있어서 흡배기구(28a, 29a)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급배기구(28)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실(27) 내에 공기압이 공급되면, 피스톤(26)이 공기에 의해 밀려 단차부(14a)에 도달할 때까지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 때, 슬라이딩 이동실(27) 내의 공기는 급배기부(29)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급배기구(28, 29)에서의 공기압 출입관계가 바뀌면, 피스톤(26) 및 벨로우즈 홀더(21)가 각각 선단(15a) 및 단차부(24)에 도달할 때까지 소켓(10)의 기단을 향하여 이동한다.
샤워링(25)의 중앙 부근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1 밸브시트(4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밸브체(39)는 제1 밸브체(39)와 벨로우즈(23)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38)에 의해 제1 밸브시트(41)를 향하여 압착되고 있으며, 통상은 제1 밸브시트(41)의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밸브체(39)에는 연결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밸브체(39)가 스프링(38)의 압착작용에 반하여 밀리면, 연결구멍(40) 및 제1 밸브시트(41)의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샤워링(25)의 선단측 안쪽에는, 단면이 원형인 세정실(25a)이 형성되어 있다. 세정실(25a)의 내면에는 그 접선방향으로 개구되는 분사구(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분사구(46)는 샤워링(25)의 외주부에 고정된 샤워노즐(43)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세정실(25a)의 내주면에는 밀봉부(47) 예를 들어, O-링이 배치되어 있으 며, 세정실(25a)은 밀봉부(47)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확장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구성부(13)에는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까지 뻗는 배출구멍(50)이 형성되어 있고, 분사구(46)로부터 분사된 세정액은 배출구멍(50)으로부터 배출된다.
그런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로우즈 홀더(21)의 외주부에는 2개의 지표(55)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지표(55)는 절결부이다. 단, 벨로우즈 홀더(21)의 슬라이딩 이동 작용을 방해하지 않는 한은, 절결부와 다른 별도의 지표(55)를 사용하여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로우즈 홀더(21)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51, 52)가 소켓(10)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엄밀히 말하면, 이 위치센서(51, 52)는 하우징 구성부(15)에 설치되어 있고, 위치센서(51, 52)의 선단은 벨로우즈 홀더(21)의 슬라이딩 이동실(21')의 내주면까지 또는 이 내주면의 직전까지 뻗어 있다. 따라서, 벨로우즈 홀더(21)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라도, 벨로우즈 홀더(2)의 둘레면이 위치센서(51, 52)의 선단에 접촉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센서(51, 52)는 벨로우즈 홀더(21)에 설치된 지표(55)를 검출하는 광센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벨로우즈 홀더(21)와 피스톤(26)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지표(55)를 통하여 벨로우즈 홀더(21)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피스톤(26)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은 종래기술에서는, 피스톤(26)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이동실(27) 내에 피스톤(26)용 위치센서를 배치하였다. 그런데, 슬라이딩 이동 실(27) 내에 위치센서를 배치하는 경우, 급배기구(28, 29)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실(27)이 가압되면, 위치센서가 떨어져 나갈 위험이 있다. 또한, 위치센서가 떨어져 나가지 않는 경우에도, 이 위치센서의 설치구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실(27)의 공기가 누설되어, 슬라이딩 이동실(27)의 압력을 정밀하게 조정하기 어려워질 가능성도 있다. 또한, 슬라이딩 이동실(27) 내의 가압의 영향 등을 직접적으로 받음으로써, 위치센서의 감도저하도 염려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위치센서(51, 52)의 선단이 슬라이딩 이동실(27) 내의 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장소 즉, 벨로우즈 홀더(21)용 슬라이딩 이동실(21')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벨로우즈 홀더(2)용 슬라이딩 이동실(21')에는 배수로(4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벨로우즈 홀더(21)용 슬라이딩 이동실의 압력은 피스톤 슬라이딩 이동시에 변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26)의 슬라이딩 이동시에도, 위치센서(51, 52)에는 슬라이딩 이동실(27)의 압력이 실리지 않는다. 따라서, 위치센서의 빠짐 및 위치센서의 감도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26)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위치센서(51, 52)의 설치장소로부터 공기가 누설되지 않아, 슬라이딩 이동실(27)의 압력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센서(51, 52)는 내부통로(20)에서 보았을 때 지지 플레이트(35)와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소켓(10)의 사용시에, 이 위치센서(51, 52)는 소켓(10)의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벨로우즈 홀더(21)의 외주부에 설치된 지표(55)도 소켓(10)의 위쪽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경우, 아래쪽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이동실(21') 내의 그리스(grease)가 지표(55)(절결부)에 유입될 가능성, 및 유입한 그리스에 의해 위치센서(51, 52)가 오동작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또한, 도 1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후면커버(16)의 기단에는 지지 플레이트(35)가 2개의 볼트(3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5)에는 긴 원형의 2개의 개구부(36)가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볼트(39b)를 개구부(36)에 통과시켜, 지지 플레이트(35)에 지지 샤프트(39c)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지 플레이트(35)는 비교적 강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소켓(10)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부품 중 적어도 일부는, 포셋 형식으로 조립되어 있다. 도 3a는 하우징의 기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a에 나타내는 후면커버(16)의 주위부에는 고리형상 돌기(16a)가 미리 형성되어 있다. 한편, 후면커버(16)와 맞닿는 하우징 구성부(15)에는 고리형상 돌기(16a)에 끼워맞추는 고리형상 홈(1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리형상 돌기(15a, 16a)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우징 구성부(15)와 후면커버(16)를 조립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의 센터링(centering)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부품 예를 들어, 하우징 구성부(13, 14)에도 마찬가지의 고리형상 돌기 또는 고리형상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품들의 센터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어서 이 부품(12, 13, 14, 15, 16)을 볼트(31, 32)로 나사결합함으로써 밀봉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하우징 제조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소켓(10) 내의 슬라이딩 이동부 예를 들어, 샤워링(25)과 피스톤(26) 사이도 마찬가지로 포셋 형식에 의해 조립되는 것으로 한다. 당연하겠지만, 소켓(10)의 고정된 모든 부품이 포셋 형식으로 조립되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소켓(10)의 하우징과 슬라이딩 이동부 즉, 피스톤(26) 및 샤워링(25) 등과의 사이 및 삽입구(19)의 내측에는, 공기밀봉 및 물밀봉 유지를 위하여 밀봉부 예를 들어, O-링을 적절히 설치하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10)의 기단에는 플랜지(3)를 구비한 관로(2)가 접속된다. 소켓(10)과 관로(2)의 접속은 볼트(83)와 너트(89)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볼트(83)의 머리부분은 코킹(caulking)되어 있다. 즉, 도 3b에 상세도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83)는 조립전에 후면커버(16)의 구멍(16b)에 삽입된 후, 그 머리부분(83a)이 구멍(16b) 안에서 눌려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지 않는 경우, 볼트의 머리가 플랜지(3)와 후면커버(16) 사이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플랜지(3)와 후면커버(16)는 볼트의 머리 만큼 이간(離間)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볼트(83)의 머리부분(83a)이 후면커버(16) 안에 위치하는 동시에, 머리부분(83a)을 코킹하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플랜지(3)와 후면커버(16) 사이의 거리를 가능한 한 근접시킬 수 있으며, 관로(2)를 설치한 소켓(10)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소켓(10)의 원위단(遠位端)에 발생하는 모멘트를 보다 줄일 수 있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플러그(70)는, 내부통로(78)가 형성되어 있는 수지제 내부 스페이서(74)와, 내부 스페이서(74)의 외주부를 피복하는 금속제 플러그 칼라(73)를 포함하고 있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내부 스페이서(74)는 그 기단(74b)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장소에 플랜지(74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플러그 칼라(73)도 그 기단에 기단 플랜지(73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플러그(70)는 금속제 플러그 플랜지(75)를 포함하고 있다. 플러그 플랜지(75)의 중심에 위치하는 개구부에는, 내부 스페이서(74)의 플랜지(74a)와 기단(74b)의 형상에 대응한 단차부(75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 스페이서(74)가 플러그 칼라(73)에 삽입되면, 내부 스페이서(74)의 플랜지(74a)가 플러그 칼라(73)의 기단 플랜지(73a)에 맞닿아 정지한다. 이 때, 내부 스페이서(74)의 선단은 플러그 칼라(73)의 선단을 넘어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이어서, 플러그 플랜지(75)를 기단측으로부터 플러그 칼라(73)를 향하여 끼워넣고, 볼트(76)에 의해 플러그 칼라(73)와 플러그 플랜지(75)를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내부 스페이서(74)의 플랜지(74a)는 플러그 칼라(73)의 기단 플랜지(73a)와 플러그 플랜지(75)의 단차부(75a) 사이에 끼워져 들어가 고정된다. 이어서, 내부 스페이서(74)의 선단에는 플러그 선단부(71)가 삽입되고, 더블너트(72a, 72b)에 의해 고정된다.
도시하지 않은 종래기술에서는, 플러그 플랜지가 반달형의 2개의 부재를 조립함으로써 형성되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플러그 플 랜지(75)를 단일 부재로서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플러그 플랜지(75)를 2분할 구성으로 할 필요가 없고, 그 결과 플러그(70)의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플러그 플랜지(75)가 파손되었을 때 등에 플러그 플랜지(75)를 쉽게 교체하고, 또한 규격(외경)이 상이한 다른 플러그 플랜지(75') 예를 들어, JIS·ANSI·DIN으로 교체하는 것도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금속제 플러그 칼라(73) 및 플러그 플랜지(75)에 의해, 특히 플러그 칼라(73)에 의해, 플러그(70)의 외주부가 보강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플러그(70)는 종래기술에서의 전체 수지제 플러그(도시하지 않음)와 비교하여 강성이 높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70)를 소켓(10)에 끼워넣은 후에 대유량으로 유체를 이송하는 경우에도, 플러그(70)가 소켓(10) 내에서 견고하게 지지되고, 또한 플러그(70)가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선단부(71)의 선단은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2 밸브시트(77)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2 밸브체(59)는, 제2 밸브체(59)와 내부 스페이서(74)의 선단과의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58)에 의해 제2 밸브시트(77)를 향하여 눌려 있으며, 통상은 제2 밸브시트(77)의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밸브체(59)에는 연결구멍(6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밸브체(59)가 스프링(58)의 압착작용에 반하여 밀리면, 연결구멍(60) 및 제2 밸브시트(77)의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70)의 기단에는 플랜지(4)를 구비한 관로(1)가 접속된다. 플러그(70)와 관로(1)의 접속은 볼트(84)와 너트(88)에 의해 이루어진다. 볼트(84)의 머리부분은 플러그 플랜지(75)의 구멍(75b) 안에 배치되어 있고,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코킹되어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볼트(84)의 머리부분이 플러그 플랜지(75)의 표면으로부터 플러그(70)의 선단측으로 돌출하는 것이 방지되어, 조작자가 쉽게 플러그(70)를 쥘 수 있게 하고 있다.
도 5는 플러그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스페이서(74)의 외주면에는 고리형상 오목부(85)가 형성되어 있고, 밀봉부(86) 예를 들어, O-링이 고리형상 오목부(85) 안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밀봉부(86)는 유체가 플러그 선단부(71)와 내부 스페이서(74)의 사이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플러그 선단부(71)의 기단(71a)에는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고리형상 돌기(81)가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리형상 돌기(81)에 대응하는 내부 스페이서(74)의 부분에는, 고리형상 돌기(81)를 수용하는 고리형상 오목부(82)를 형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고리형상 돌기(81) 및 고리형상 오목부(82)는, 밀봉부(86)보다 반경방향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가 밀봉부(86)를 넘어 누설되었을 경우에도, 고리형상 돌기(81) 및 고리형상 오목부(82)에 의해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며, 각각 플러그와 소켓이 연결된 상태 및 유체가 유통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소켓(10)의 사이드 플랜지(17)를 마운트 패널(18)에 설치하고, 볼트/ 너트(18a)로 고정한다. 이어서, 후면커버(16)에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35)를 볼트/너트(39b)에 의해 지지 샤프트(39c)의 일단에 고정한다. 지지 샤프트(39c)는 약 L자 형상의 부재이며, 지지 샤프트(39c)의 타단을 볼트/너트(39a)로 마운트 패널(18)에 고정한다. 한편, 지지 샤프트(39c)의 타단을 도시하지 않은 다른 외부부재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되고, 지지 샤프트(39c)가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이어서, 관로(1)가 접속된 플러그(70)를 소켓(10)의 삽입구(19)에 끼워넣는다. 이에 의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70)의 더블너트(72a)의 선단이 하우징 구성부(13)의 단면과 맞닿고, 플러그(70)의 플러그 선단부(71)가 하우징 구성부(13) 및 샤워링(25) 안으로 돌출하게 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70)가 소켓(10)에 끼워져 들어가면, 소켓(10)의 전면커버(11)와 플러그(70)의 플러그 플랜지(75)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된다. 이 틈은 사람의 손가락을 충분히 삽입할 수 있을 정도로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조작자가 플러그를 쉽게 쥘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플러그(70)의 삽입작용 및 해제작용을 쉽게 할 수 있다.
이어서, 급배기구(28)로부터 공기가 슬라이딩 이동실(27) 안으로 공급되면, 피스톤(26) 그리고 이것과 일체로 된 벨로우즈 홀더(21) 및 샤워링(25)이 선단측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리고, 플러그 선단부(71)의 외주면이 밀봉부(47)에 맞닿은 후, 제1 밸브체(39) 및 제2 밸브체(59)가 서로 스프링(38, 58)에 반하여 눌린다. 이에 의해, 제1 밸브시트(41)와 제2 밸브시트(77)가 서로 맞닿아 연결구멍(40) 및 연결구멍(60) 모두가 개방되게 된다. 그 결과, 관로(1)를 통과하여 공급 되는 유체가, 기단 어댑터(22)의 내부통로(20)를 통과하여 관로(2)까지 이송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플랜지(17)를 마운트 패널(18)에 고정하는 동시에, 지지 플레이트(35) 및 지지 샤프트(39c)를 이용하여 소켓(10)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유체이송시 특히, 유체의 유량이 비교적 큰 경우에도, 소켓(10)이 마운트 패널(18)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 때문에, 사이드 플랜지(17)와 마운트 패널(18) 사이에 실리는 부하에 의해 이것들이 장기간에 걸쳐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다.
유체를 원하는 양 만큼 이송하면, 공기가 급배기구(29)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실(27)로 공급됨으로써, 피스톤(26), 벨로우즈 홀더(21) 및 샤워링(25)이 소켓(10)의 기단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그 결과, 제1 밸브체(39) 및 제2 밸브체(59)가 서로 이간되고, 스프링(38, 58)의 압착작용에 의해 제1 밸브시트(41) 및 제2 밸브시트(77)에 착좌(着座)하게 된다. 이에 의해, 연결구멍(40) 및 연결구멍(60)은 폐쇄되고 유체의 이송이 종료된다.
또한, 피스톤(26) 등이 초기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샤워링(25)의 세정실(25a)을 세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샤워노즐(43)로부터 세정수가 제트 분사되면, 분사구(46)가 샤워링(25)의 내측면의 접선방향을 향해 있기 때문에, 세정수는 그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선단부로 향하고, 테이퍼면에 이르러 플러그(70)의 외주면에 따라 진행한다. 이에 의해 플러그(70)의 외주면은 강한 물의 세정력에 의해 남김없이 확실하게 세정된다. 그 후, 세정수는 테이퍼면을 따라 선단 측으로 보내지고 배출구멍(50)으로 배출된다.
한편,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피스톤(26)이 후퇴위치에 있을 때에도, 세정실(25a)은 슬라이딩 이동실(27)의 길이방향 위치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장소에 위치해 있다. 그리고, 피스톤(26)이 가장 먼쪽까지 슬라이딩 이동할 때(도 7 참조)에는, 세정실(25a)은 슬라이딩 이동실(27)로부터 더 이간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이동실(27) 안에서 사용되는 윤활제 예를 들어, 그리스가 세정실(25a)까지 유입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지지 플레이트(35)와 지지 샤프트(39c)가 별도의 부재인 것으로 기재하였는데, 지지 플레이트(35)와 지지 샤프트(39c)가 일체의 부재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커플링 장치가 배치되는 흐름도이다. 도 8에서는 소켓(10)으로부터 뻗은 관로(2)가 공급 밸브(supply valve; 2a)를 통하여 약액의 근원(source)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70)로부터 뻗은 관로(1)는 밸브를 통하여 수송탱크(99)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70)가 소켓(10)에 접속된 커플링 장치의 사용시에, 약액은 소켓(10) 및 플러그(70)를 통과하여 수송탱크(99)까지 공급된다. 한편,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배기구(28, 29)는 속도제어기, 실린더 조작용 밸브 및 압력 레귤레이터를 통하여 공기원(空氣源)에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샤워노즐(43)에는 압력센서(90a)를 구비한 배관(90)이 접속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관(90)은 질소용 분기관(91) 및 순수(純水)용 분기관(92)으로 분기되어 있으며, 분기관(91, 92)에는 역지밸브(check valve; 95) 및 스톱밸브(93) 그리고 역지밸브(96) 및 스톱밸브(9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출구멍(50)으로부터 뻗은 배관(90')에는 배수밸브(drain valve; 97)와 배수트랩(drain trap; 98)이 설치되어 있으며, 배관(90')은 세정수 배수로에 접속되어 있다.
소켓(10)의 샤워링(25)을 세정하는 경우에는, 스톱밸브(94)를 개방하고, 순수를 분기관(92) 및 배관(90)을 통하여 샤워노즐(43)로부터 샤워링(25)의 세정실(25a)까지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는 분기관(91, 92)의 양쪽에 역지밸브(95, 96)가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시에 분기관(92)을 흐르는 순수가 역지밸브(95)를 넘어 분기관(91)의 상류까지 유입되지 않는다.
순수가 세정실(25a) 및 플러그(70)의 외주면 등을 세정한 후에는, 순수는 배출구멍(50)으로부터 배관(90')을 통하여 배수트랩(98)까지 공급된다. 특정 약액을 이송하기 위하여 소켓(10)을 사용한 후에는, 이 약액이 세정실(25a)의 내벽이나 플러그(70)의 외주면 등에 찌꺼기로 고착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찌꺼기가 순수에 의해 밀려나가고, 찌꺼기를 포함한 폐액은 배수트랩(98)에 의해 트랩된다.
세정작용이 끝나면, 분기관(92)의 스톱밸브(94)가 폐쇄되고, 이어서 분기관(91)의 스톱밸브(93)가 개방된다. 그 후, 질소가스가 분기관(91) 및 배관(90)을 통하여 샤워노즐(43)로부터 세정실(25a)로 공급된다. 이 때에도, 분기관(92)의 역지밸브(96)에 의해 질소가스가 역지밸브(96)를 넘어 분기관(92)의 상류까지 유입하지 않는다. 세정실(25a) 안에 남을 수 있는 세정용 순수는 질소가스의 공급에 의해 배출구멍(50)을 통하여 밀려나가 배수트랩(98)에서 트랩되거나, 또는 세정실(25a) 내에서 증발한다. 그 후, 스톱밸브(93)를 폐쇄하면, 소켓(10)은 다시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수송탱크(99)로부터의 약액을 소켓(10) 및 소켓(10) 측 부재에 마찬가지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하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에 나타내는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들에 나타내는 플러그(70a)의 내부 스페이서(74)는 플러그(70a) 선단측의 제1 내부 스페이서 부분(741)과, 플러그(70a) 기단측의 제2 내부 스페이서 부분(742)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내부 스페이서 부분(742)은 제1 내부 스페이서 부분(741)과 플러그 플랜지(7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내부 스페이서 부분(741) 및 제2 내부 스페이서 부분(742)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맞닿아 배치되어 있고, 내부통로(78)를 함께 형성하고 있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내부 스페이서 부분(741)의 기단과 제2 내부 스페이서 부분(742)의 선단의 사이에는, 밀봉부(101) 예를 들어, O-링이 배치되어 있다. 엄밀하게는 밀봉부(101)는 제2 내부 스페이서 부분(742)의 선단면에 형성된 고리형상 오목부 안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내부 스페이서 부분(741)의 선단면에 맞물리는 플러그 선단부(71)의 단면에 밀봉부(102) 예를 들어, O-링이 배치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러그 선단부(71)의 내주면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보유부(103)가 플러그 선단부(71) 내부의 단차에 배치되 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보유부(103)는 스프링(58)의 일단을 보유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 9a에서 스프링(58)은 제2 밸브체(59)와 보유부(103) 사이에서 보유된다. 바꿔말하면,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내부 스페이서(74)의 선단이 스프링(58)을 보유하지 않는다(도 4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의 플러그(70a)의 조립시에는, 보유부(103)에 의해 제2 밸브체(59) 및 스프링(58)을 플러그 선단부(71) 안에 보유한다. 이어서, 제1 내부 스페이서 부분(741)을 플러그 칼라(73)의 선단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이어서, 제1 내부 스페이서 부분(741)의 선단을 플러그 선단부(71)에 조립하고, 더블너트(72a, 72b)에 의해 고정한다. 그 후, 제2 내부 스페이서 부분(742)을 기단 플랜지(73a) 측으로부터 플러그 칼라(73)에 삽입하고, 플러그 플랜지(75)를 제2 내부 스페이서 부분(742)에 조립한다. 최종적으로 플러그 칼라(73)와 플러그 플랜지(75)를 볼트(76)로 결합한다.
조립상태의 플러그(70a)에서는 더블너트(72a) 및 볼트(76)에 의해 조여져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내부 스페이서 부분(741, 742)은 서로 길이방향으로 눌려 있다. 따라서, 제1 내부 스페이서 부분(741)과 제2 내부 스페이서 부분(742) 사이에서의 밀봉부(101)의 밀봉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 이유로, 플러그 선단부(71)와 제1 내부 스페이서 부분(741) 사이의 밀봉부(102)의 밀봉성능은, 도 4에 나타내는 플러그 선단부(71)와 내부 스페이서(74) 사이의 밀봉부의 밀봉성능보다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9a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플러그(70a)로부터 볼트(76)를 제거 하면, 플러그 플랜지(75) 및 제2 내부 스페이서 부분(742) 만을 플러그(70a)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도, 플러그(70a)에서의 다른 부재는 서로 조립된 상태 그대로로서 분리되지 않는다. 반대로, 도 4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볼트(76)를 제거하여 내부 스페이서(74)를 플러그(70)로부터 분리시키면, 스프링(58) 및 제2 밸브체(59)도 플러그(7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도 10a는 도 9a의 경우와 다른 플랜지에 설치되는 플러그의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 나타내는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10a에 나타내는 플러그(70a)는, 플러그 플랜지(75) 및 플랜지(4)의 치수를 제외하고 도 9의 경우와 같다. 즉,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플러그 플랜지(75a) 및 플러그(4')는,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플러그 플랜지(75) 및 플랜지(4)보다 직경이 크다.
도 9a에 나타내는 플러그 플랜지(75) 및 제2 내부 스페이서 부분(742)을 플러그(70a)로부터 제거하고, 이어서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큰 직경의 플러그 플랜지(75a)를 제2 내부 스페이서 부분(742)과 함께 플러그(70a)에 조립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서는 플러그(70a)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치수가 다른 플러그 플랜지(75a)를 플러그(70a)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치수가 다른 플랜지(4')가 설치된 다른 관로(1)에 플러그(70a)를 적용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한편, 도 9a로부터 알 수 있듯이, 플러그 플랜지(75) 및 제2 내부 스페이서 부분(742)을 제거한 경우에도, 스프링(58)이 플러그(70a)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9a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58)을 제1 내부 스페이서 부분(741)의 선단에 의해 보유하도록 하여도 되며, 그와 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 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7)

  1. 소켓과 플러그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소켓 및 상기 플러그 각각의 유로를 서로 연결시키는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
  2. 소켓과 플러그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소켓 및 상기 플러그 각각의 유로를 서로 연결시키는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유체가 통과하는 내부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 스페이서;
    상기 내부 스페이서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플러그 칼라; 및
    상기 플러그의 기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를 관로와 연결시키는 플랜지;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칼라와 상기 플랜지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스페이서의 기단에는 둘레방향으로 뻗은 고리형상의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리형상 돌출부는 상기 플러그 칼라의 기단과 상기 플랜지의 고리형상 단차부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 있는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내부 스페이서의 상기 내부통로와 연결되는 내부통로를 구비한 플러그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선단부와 상기 내부 스페이서의 사이에는 밀봉부가 형성되어 있는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연결하였을 때, 조작자의 손가락을 삽입하기에 적당한 간격이 상기 플러그의 상기 플랜지와 상기 소켓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스페이서는, 상기 플러그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조립상태에 있는 상기 플러그로부터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플랜지만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는 밀봉부가 형성되어 있는 유체이송 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
KR1020087012800A 2005-12-05 2006-12-05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 KR101321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51239 2005-12-05
JPJP-P-2005-00351239 2005-12-05
PCT/JP2006/324626 WO2007066797A1 (ja) 2005-12-05 2006-12-05 流体移送用カップリング装置のプラ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723A true KR20080070723A (ko) 2008-07-30
KR101321457B1 KR101321457B1 (ko) 2013-10-25

Family

ID=3812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800A KR101321457B1 (ko) 2005-12-05 2006-12-05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42209B2 (ko)
JP (1) JP5046958B2 (ko)
KR (1) KR101321457B1 (ko)
DE (1) DE112006003344B4 (ko)
TW (1) TWI392822B (ko)
WO (1) WO200706679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888B1 (ko) * 2012-06-27 2014-06-12 주식회사 파카하니핀 커넥터 잔류 압력 제거 기능을 갖는 퀵 커플링 장치
WO2020091163A1 (ko) * 2018-10-30 2020-05-07 광성지엠(주) 밸브 부재가 구비된 유압 플랜지 및 이를 구비한 천공 로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1905B2 (ja) * 2008-02-18 2012-10-17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流体通路接続装置
CN102272507B (zh) * 2008-11-27 2013-07-10 卡特彼勒作业机具有限公司 受压流体联结器、接收受压流体联结器及其组件
EP2230435A1 (en) * 2009-03-16 2010-09-22 Caterpillar Work Tools B. V. Extendable fluid coupler
US10088084B2 (en) 2013-12-18 2018-10-02 Worldwide Machining & Welding, Inc. Flanged fittings for pipeline
FR3017181B1 (fr) * 2014-02-03 2016-08-05 Gaztransport Et Technigaz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connecter deux circuits de fluide
DE102015205037A1 (de) * 2015-03-19 2016-09-22 Krones Ag Kupplung, Verfahren und Getränkeverarbeitungsanlage
JP6486797B2 (ja) * 2015-08-26 2019-03-20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連結装置
JP7168972B2 (ja) * 2018-07-13 2022-11-10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体移送用コネクタのプラグ、流体移送用コネクタのソケット及び流体移送用コネクタ並びに流体移送用コネクタの接続方法
JP7150310B2 (ja) 2018-07-27 2022-10-11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体移送用コネク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7150311B2 (ja) * 2018-07-27 2022-10-11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体移送用コネクタ
JP2022181522A (ja) * 2021-05-26 2022-12-08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および液体供給方法
JP2023020204A (ja) * 2021-07-30 2023-02-09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および液体供給装置の制御方法
US11975958B2 (en) * 2022-08-31 2024-05-0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utomatic fluid replacement device and fluid convey join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6958A (en) * 1934-07-31 1935-01-08 Cooperstein Abraham Service glass
US2986958A (en) * 1956-11-15 1961-06-06 Mueller Co Drilling machine
US3207184A (en) * 1962-09-10 1965-09-21 Eastern Co Pipe coupling
US3179446A (en) * 1963-11-04 1965-04-20 Dresser Ind Extension fitting having initial flexible lip seal gasket
US3425452A (en) * 1966-02-01 1969-02-04 Carrier Corp Coupling
US4019541A (en) * 1975-09-08 1977-04-26 Koppl Leo T Removable plug for pipe junc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US4064912A (en) * 1975-11-05 1977-12-27 Petrone Joseph A Gas main stopper
JPS5841430Y2 (ja) * 1977-10-27 1983-09-19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のプラグ
JPS6141514Y2 (ko) * 1981-04-09 1986-11-26
DE3231950A1 (de) 1982-08-27 1984-03-01 Neotecha AG, 8634 Hombrechtikon Kupplung, insbesondere schnellverschluss-kupplung fuer einen schlauchanschluss an einem behaelter
JPH0312434Y2 (ko) * 1987-08-11 1991-03-25
JPH0422156Y2 (ko) * 1987-10-14 1992-05-20
JPH0733031Y2 (ja) * 1989-03-07 1995-07-31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JP2921654B2 (ja) 1995-04-27 1999-07-19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体移送用カップリング装置
GB9607598D0 (en) * 1996-04-12 1996-06-12 Glynwed Foundry Prod Ltd Pipe fitting
JP3526739B2 (ja) * 1998-03-31 2004-05-17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JP4522568B2 (ja) 2000-10-26 2010-08-11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体管コネクタ用プラグ
TWI404880B (zh) * 2005-12-05 2013-08-11 Surpass Ind Co Ltd 流體輸送用之結合裝置之插入座
JP4986520B2 (ja) * 2006-07-10 2012-07-25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体移送用カップリン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888B1 (ko) * 2012-06-27 2014-06-12 주식회사 파카하니핀 커넥터 잔류 압력 제거 기능을 갖는 퀵 커플링 장치
WO2020091163A1 (ko) * 2018-10-30 2020-05-07 광성지엠(주) 밸브 부재가 구비된 유압 플랜지 및 이를 구비한 천공 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7066797A1 (ja) 2009-05-21
TW200730758A (en) 2007-08-16
US8342209B2 (en) 2013-01-01
JP5046958B2 (ja) 2012-10-10
DE112006003344T5 (de) 2008-10-16
US20090272450A1 (en) 2009-11-05
DE112006003344B4 (de) 2021-09-09
TWI392822B (zh) 2013-04-11
WO2007066797A1 (ja) 2007-06-14
KR101321457B1 (ko) 201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457B1 (ko)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
KR20080081903A (ko)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소켓
CA2151425C (en) Quick coupling for pressurized fluids
US20100148502A1 (en) Pipe joint, refrigeration device, heat pump hot water supply device, closing valve, water supply piping, method of connecting piping, and in-the field piping method
US9353742B2 (en) Check valve
JP5650987B2 (ja) 燃料タンク
KR20220145404A (ko) 관 이음매
RU2336453C2 (ru) Быстро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 встроенным обратным клапаном
RU2461763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CN211738042U (zh) 阀座-笼组件和阀
KR200448968Y1 (ko) 체크밸브가 구비된 수도계량기
KR100605095B1 (ko) 퀵 커플러 장치
KR20170026148A (ko) 연결장치
KR20200097198A (ko) 유체 이송용 커넥터
US11156297B2 (en) Diaphragm-sealed double-seat valve and drive
US20190170032A1 (en) Arrangement for removing blow-by gases from a crankcas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955576B1 (ko) 배관용 소켓-플러그 조립체
US20070075287A1 (en) Regulator union swivel connection
JP3780365B2 (ja) 燃料フィルタ連結口の逆流防止装置
JPH01199092A (ja) 流体管の配管構造及びこれに使用する流体排出装置
JP4545301B2 (ja) 急速継手
JP2007292127A (ja) カップリング取付用の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装置
KR20120046372A (ko) 누수방지장치 및 그것을 가지는 연결관
KR200254120Y1 (ko) 관체 연결용 니플
KR0162688B1 (ko) 카트리지 탱크의 밸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