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6372A - 누수방지장치 및 그것을 가지는 연결관 - Google Patents
누수방지장치 및 그것을 가지는 연결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6372A KR20120046372A KR1020100107976A KR20100107976A KR20120046372A KR 20120046372 A KR20120046372 A KR 20120046372A KR 1020100107976 A KR1020100107976 A KR 1020100107976A KR 20100107976 A KR20100107976 A KR 20100107976A KR 20120046372 A KR20120046372 A KR 201200463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let
- connection pipe
- water
- shaft
- pa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29/04—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a cut-off device in each of the two pipe ends, the cut-off devices being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04—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by means of a by-pass condu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1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by means of a plu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정수기 밸브 등과 같은 밸브 구조체 또는 연결관에 출수 튜브를 끼웠을 때에만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흐르게 하고, 출수 튜브를 끼우지 않았을 때에는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흐르지 않게 하는 누수방지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누수방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누수방지장치는 출수 튜브(500)와 연결되는 연결관(200) 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누수방지 몸체(10); 상기 누수방지 몸체(10)의 중공보다 단면적이 작아 상기 중공을 관통하는 샤프트(20); 상기 연결관(200)의 출수구의 대향 위치에 있는, 상기 중공을 벗어나는 상기 샤프트(20)의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패킹(30); 상기 연결관(200)의 출수구 방향에 있는, 상기 중공을 벗어나는 상기 샤프트(20)의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며, 상기 연결관(200) 내를 따라 흘러가는 출수가 관통하는 출수관통공(41)이 형성된 접촉판(40); 및 상기 중공 내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누수방지 몸체(10)와 결합하고 또한 상기 접촉판(40)과 결합하는 탄성체(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누수방지장치 및 그것을 가지는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 밸브, 냉장고 밸브, 세탁기 밸브, 식기세척기 밸브, 냉매 밸브, 가스 밸브, 퀵커넥터, 원터치 피팅 니플, 정수기 필터, 유량계 등과 같은 밸브 구조체 또는 연결관에 출수 튜브를 끼웠을 때에만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흐르게 하고, 출수 튜브를 끼우지 않았을 때에는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흐르지 않게 하는 누수방지장치 및 그것을 가지는 연결관 또는 밸브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과 같은 유체의 이동 및 흐름 제어를 위하여, 정수기 밸브, 냉장고 밸브, 세탁기 밸브, 식기세척기 밸브, 냉매 밸브, 가스 밸브 등과 같은 밸브 구조체와 퀵커넥터, 니플 등과 같은 연결관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정수기 밸브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수기 밸브 구조는 입수부(100)와 출수부(200) 그리고 밸브 구조 부분(300)으로 구성된다.
입수부와 출수부는 각각 입수 튜브(400) 및 출수 튜브(500)가 끼워지는 연결관(100 및 200)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연결관의 입수구 및 출수구 각각에는 입수 튜브(400) 및 출수 튜브(500)가 끼워진다. 입수 튜브(400) 및 출수 튜브(500) 각각에는 록킹 슬리브(410 및 510)가 설치된다. 입수 연결관(100) 및 출수 연결관(200)에는 이음고리(110 및 210)가 각각 설치되어 입수 튜브(400) 및 출수 튜브(500)의 록킹 슬리브(410 및 510)과 체결된다. 그리고 입수 튜브(400)와 입수 연결관(100) 간의 밀폐 그리고 출수 튜브(500)와 출수 연결관(200) 간의 밀폐를 위하여 입수 연결관(100) 및 출수 연결관(200)에는 오링(120 및 22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밸브 구조 부분(300)은 입수 연결관(100)으로 들어온 물을 출수 연결관(200) 쪽으로 흐르게 하거나 그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그러한 부분은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밸브 몸체(310)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310) 내에는 출수 연결관(200)과 연결된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몸체(310) 상부에는 오리피스를 막거나 개방하는 오리피스 패킹(322)가 결합된 플란자(3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플란자(320)는 스프링(324)에 의하여 밀려남에 의하여 오리피스를 막는다. 플란자(320)의 둘레에는 몰딩보빈(330)이 설치되어 있다. 몰딩보빈(330)의 작동에 의하여 플란자(320)를 후퇴시켜 스프링(324)을 압축시키거나 스프링(324)의 탄성력에 의하여 플란자(320)가 밀려나게 된다. 몰딩보빈(330)은 앵글(340)에 의하여 보호된다. 밸브 몸체(310) 내부에는 몸체 캡(312)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몸체 캡(312)은 몸체 패킹(314)에 의하여 밸브 몸체(310) 내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정수기 밸브 구조에 있어서, 사용자가 출수 튜브(200)를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 먼저 밸브(300)를 닫아 출수구 쪽으로 유체가 흐르지 않게 한 다음에 출수 튜브(200)를 교체한다. 만약 밸브를 닫지 않은 상태에서 출수 튜브를 교체하는 작업을 하면 그 과정에서 출수구 쪽으로 유체가 흘러나와 불편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출수 튜브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출수 튜브를 출수구에 확실하게 체결시키지 못한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르는 사이에 누수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한편, 밸브 구조체가 아닌 퀵커넥터 또는 니플과 같은 연결관의 경우에는 그 자체에 밸브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것과 연결된 밸브 구조체에서 밸브를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0092894호(2009년 09월 02일 공개)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니플을 개시한다. 이러한 니플에는 입구의 록킹부재에 튜브가 삽입되면 물이 흐르고 튜브가 분리되면 물이 차단되도록 하는 밸브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밸브수단은 오링의 내경보다 크게 외경이 형성되어 오링과 밀착하면 물이 차단되도록 하는 체크볼을 포함한다. 이러한 체크볼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항상 오링 측으로 밀리는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튜브가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체크볼이 오링에 밀착되므로 물이 흐르는 유로를 차단하게 되고, 튜브가 끼워지면 튜브의 힘에 의하여 체크볼이 오링으로부터 밀려 유로가 개방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니플의 벽에 매우 작은 우회유로를 형성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사용시 유체의 흐름양이 너무 적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06909호(2003년 02월 27일 등록)는 정수기용 급수밸브를 개시한다. 이러한 급수밸브는 밸브와 니플을 일체화한 것으로서, 니플에 급수호스를 결합하면 밸브가 개방되고, 급수호스를 분리하면 밸브가 폐쇄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급수밸브는 상수를 수도꼭지로 공급하면서 동시에 정수기로 상수를 공급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상수를 정수기로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니플과 연동적으로 밸브구조를 형성하는 것이어서 정수기로 들어가는 물의 흐름은 수직적이며, 그 구조가 본 발명의 것과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 밸브, 냉장고 밸브, 세탁기 밸브, 식기세척기 밸브, 냉매 밸브, 가스 밸브, 퀵커넥터, 원터치 피팅 니플, 정수기 필터, 유량계 등과 같은 밸브 구조체 또는 연결관에 출수 튜브를 끼웠을 때에만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흐르게 하고, 출수 튜브를 끼우지 않았을 때에는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흐르지 않게 하는 누수방지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누수방지장치 및 그것을 가지는 연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는 출수 튜브와 연결되는 연결관 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누수방지 몸체; 상기 누수방지 몸체의 중공보다 단면적이 작아 상기 중공을 관통하는 샤프트; 상기 연결관의 출수구의 대향 위치에 있는, 상기 중공을 벗어나는 상기 샤프트의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패킹; 상기 연결관의 출수구 방향에 있는, 상기 중공을 벗어나는 상기 샤프트의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며, 상기 연결관 내를 따라 흘러가는 출수가 관통하는 출수관통공이 형성된 접촉판; 및 상기 중공 내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누수방지 몸체와 결합하고 또한 상기 접촉판과 결합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누수방지장치는 상기 연결관의 출수구로부터 상기 출수 튜브가 상기 연결관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체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접촉판은 상기 출수구 쪽으로 밀리고 그에 따라 상기 패킹은 상기 누수방지 몸체와 접촉하여 출수의 유로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연결관 내를 흘러가는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흘러가지 못하게 하고, 상기 연결관의 출수구로부터 상기 출수 튜브를 상기 연결관에 결합시키면, 상기 접촉판은 상기 출수 튜브에 의하여 상기 누수방지 몸체 쪽으로 밀리고 그에 따라 상기 패킹은 상기 출수구의 반대 방향으로 밀려 상기 누수방지 몸체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출수의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관 내를 흘러가는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흘러가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는 형태의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수방지 몸체의 내주연을 따라 걸림턱 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걸림턱 또는 걸림돌기에 의하여 상기 누수방지 몸체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은 중앙부에 샤프트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에는 패킹 결합홈이 샤프트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샤프트와 상기 패킹의 결합은 상기 샤프트 결합공에 의하여 상기 패킹이 상기 샤프트의 패킹 결합홈에 끼워져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수방지 몸체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그것의 외주연을 따라 오링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오링 결합홈에는 탄성재질의 오링이 결합하여, 상기 누수방지 몸체와 상기 연결관 간을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누수방지장치가 내부에 결합된 연결관을 제공한다. 이러한 연결관은 입수부와 출수부만으로 이루어진 퀵커넥터와 같은 연결관뿐만 아니라 입수부와 출수부 그리고 그들 사이에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 구조 부분을 포함하는 밸브 구조체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누수방지장치는 정수기 밸브, 냉장고 밸브, 세탁기 밸브, 식기세척기 밸브, 냉매 밸브, 가스 밸브, 퀵커넥터, 원터치 피팅 니플, 정수기 필터, 유량계 등과 같은 밸브 구조체 또는 연결관에 출수 튜브를 끼웠을 때에만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흐르게 하고, 출수 튜브를 끼우지 않았을 때에는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흐르지 않게 하는 우수한 누수방지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는 입수부와 출수부가 수평적으로 연결된 연결관의 출수부 쪽에 설치되는데 적합한 새로운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출수 튜브가 끼워졌을 때 출수구 쪽으로의 유체 흐름을 크게 방해하지 않으면서 출수 튜브가 끼워지지 않았을 때 확실하게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정수기 밸브 구조체의 단면도로서, 출수 튜브가 제대로 끼워져 있을 때 유체가 정상적으로 흐르는 정상 상태 그리고 출수 튜브가 잘못 끼워졌을 때에도 유체가 흘러 누수가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가 설치된 정수기 밸브 구조체의 단면도로서, 출수 튜브가 제대로 끼워져 있을 때 유체가 정상적으로 흐르는 정상 상태 그리고 출수 튜브가 잘못 끼워졌을 때에는 유체를 차단하여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가 설치된 정수기 밸브 구조체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수기 밸브 구조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 부분을 확대한 확대단면도로서, 출수 튜브가 제대로 끼워졌을 때 출수구 쪽으로 유로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정수기 밸브 구조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 부분을 확대한 확대단면도로서, 출수 튜브가 잘못 끼워졌을 때 출수구 쪽으로의 유로가 차단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가 설치된 퀵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가 설치된 정수기 밸브 구조체의 단면도로서, 출수 튜브가 제대로 끼워져 있을 때 유체가 정상적으로 흐르는 정상 상태 그리고 출수 튜브가 잘못 끼워졌을 때에는 유체를 차단하여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가 설치된 정수기 밸브 구조체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수기 밸브 구조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 부분을 확대한 확대단면도로서, 출수 튜브가 제대로 끼워졌을 때 출수구 쪽으로 유로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정수기 밸브 구조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 부분을 확대한 확대단면도로서, 출수 튜브가 잘못 끼워졌을 때 출수구 쪽으로의 유로가 차단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가 설치된 퀵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누수방지장치는 정수기 밸브, 냉장고 밸브, 세탁기 밸브, 식기세척기 밸브, 냉매 밸브, 가스 밸브, 퀵커넥터, 원터치 피팅 니플, 정수기 필터, 유량계 등과 같은 밸브 구조체 또는 연결관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누수방지장치는 출수 튜브를 끼웠을 때에만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흐르게 하고, 출수 튜브를 끼우지 않았을 때에는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흐르지 않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누수방지장치는 물, 오일 등과 같은 액체 및 기체를 포함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는 설명의 편의상, 물에 관한 흐름 제어를 예시로서 설명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물은 유체의 대표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물로만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가 설치된 정수기 밸브 구조체의 단면도로서, 출수 튜브가 제대로 끼워져 있을 때 유체가 정상적으로 흐르는 정상 상태 그리고 출수 튜브가 잘못 끼워졌을 때에는 유체를 차단하여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누수방지장치가 설치된 정수기 밸브 구조체에서, 출수 튜브가 제대로 끼워져 있을 때에는 출수구 쪽으로의 유로가 형성되어 유체가 출수구 쪽으로 정상적으로 흐른다. 한편, 출수 튜브가 끼워지지 않았거나 잘못 끼워졌을 때에는 출수구 쪽으로의 유로가 차단되어 유체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가 설치된 정수기 밸브 구조체의 상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수기 밸브 구조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 부분을 확대한 확대단면도으로서, 출수 튜브가 제대로 끼워졌을 때 출수구 쪽으로 유로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5는 도 3의 정수기 밸브 구조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 부분을 확대한 확대단면도으로서, 출수 튜브가 잘못 끼워졌을 때 출수구 쪽으로의 유로가 차단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정수기 밸브 구조 부분은 종래기술에서 적용하는 것과 동일하며, 그것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바와 같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누수방지장치는 출수 튜브(500)와 연결되는 출수부 연결관(200) 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누수방지 몸체(10)를 가진다. 이러한 누수방지 몸체(10)는 통상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원통형의 중공을 가진다. 누수방지 몸체(10)가 출수부 연결관(20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출수부 연결관(200) 내부에는 그 내주연을 따라 걸림턱(230)이 형성되어 있다. 누수방지 몸체(10)는 또한 그것의 외주연을 따라 오링 결합홈을 가진다. 이러한 오링 결합홈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의 오링이 결합하여 누수방지몸체(10)와 출수부 연결관(200) 사이를 밀폐시킨다. 누수방지 몸체(10)는 출수부 연결관(200) 내에 끼워질 때 출수부 연결관(200)에 형성된 걸림턱(230)에 걸려 더 이상 전진하지 않고 고정되며 또한 출수구 쪽으로 흐르는 유체의 힘에 대하여 오링의 마찰력이 저항하므로 출수 튜브(500)가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뒤로 크게 밀리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누수방지 장치는 또한 샤프트(20)를 가진다. 샤프트(20)는 누수방지 몸체(10)의 중공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고 있고 또한 누수방지 몸체(10)의 중공을 관통한다.
이러한 샤프트(20)는 출수부 연결관(200)의 출수구의 반대 위치에서, 특히 누수방지 몸체(10)의 중공을 벗어나는 위치에서 패킹(30)과 결합한다. 샤프트(20)는 패킹(30)과 결합하기 위하여, 그것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 패킹 결합홈을 가지고, 패킹(30)은 샤프트(20)와 결합하기 위하여, 그것의 중앙부에 형성된 샤프트 결합공을 가진다. 따라서, 샤프트(20)와 패킹(30)의 결합은 패킹(30)이 샤프트 결합공에 의하여 사프트(20)의 패킹 결합홈에 끼워짐으로써 수행된다. 패킹(30)은 통상적으로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만들어진다.
샤프트(20)는 또한 출수부 연결관(200)의 출수구 방향에서, 특히 누수방지 몸체(10)의 중공을 벗어나는 위치에서 접촉판(40)과 결합한다. 접촉판(40)에는 출수부 연결관(200) 내를 따라 흘러가는 출수가 관통하는 출수관통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출수관통공(41)은 누수방지 몸체(10)의 중공과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출수관통공(41)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와 결합하는 부분과 접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나, 그 부분과 소정거리 이격된 곳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통상적으로 복수개로 형성된다. 접촉판(40)의 크기는 출수부 연결관(200)의 내경과 대체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접촉판(40)은 출수 튜브(500)와 접촉하여 힘을 받을 수 있다면 출수부 연결관(200)의 내경보다 작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누수방지 장치는 또한 스프링(50)과 같은 탄성체를 가진다. 이러한 스프링(50)은 샤프트(2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누수방지 몸체(10)의 중공 내의 소정 위치에서 누수방지 몸체(10)와 결합하고 또한 접촉판(40)과도 결합한다. 이 때, 스프링(50)이 누수방지 몸체(10)와 결합하기 위하여, 누수방지 몸체(10)의 내주연을 따라 걸림턱(12) 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50)은 이러한 걸림턱(12) 또는 걸림돌기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누수방지 몸체(10)와 결합한다. 한편, 스프링(50)과 접촉판(40) 간의 결합은 스프링(50)이 접촉판(40)에 의하여 지지됨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더 나아가서는 스프링(50)이 접촉판(40)에 마련된 걸림공에 걸림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누수방지장치는 출수부 연결관(200)의 출수구로부터 출수 튜브(500)가 출수부 연결관(200)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50)의 작용에 의하여 접촉판(40)은 출수구 쪽으로 밀리고 그에 따라 패킹(30)은 누수방지 몸체(10)와 접촉하여 출수의 유로를 폐쇄한다. 그럼으로써 출수부 연결관(200) 내를 흘러가는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흘러가지 못하게 된다. 한편, 출수부 연결관(200)의 출수구로부터 출수 튜브(500)를 출수부 연결관(200)에 결합시키면, 접촉판(40)은 출수 튜브(500)에 의하여 누수방지 몸체(10) 쪽으로 밀리고 그에 따라 패킹(30)은 출수구의 반대 방향으로 밀려 누수방지 몸체(10)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출수의 유로가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출수부 연결관(200) 내를 흘러가는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흘러가게 된다. 이 때, 유로는 누수방지 몸체(10)와 패킹(30) 사이의 공간, 누수방지 몸체(10)의 중공 그리고 이것에 연결된 접촉판(40)의 출수관통공(41)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작동함으로써, 본 발명의 누수방지장치는 출수 튜브가 끼워졌을 때 출수구 쪽으로의 유체 흐름을 크게 방해하지 않으면서 출수 튜브가 끼워지지 않았을 때 확실하게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수부와 출수부가 수평적으로 연결된 연결관의 출수부 쪽에 설치되는데 적합한 새로운 형태를 가지는 누수방지장치를 제안한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가 설치된 퀵커넥터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는데, 이러한 퀵커넥터는 정수기 밸브 구조체에서 밸브 구조 부분을 제거하고 입수부와 출수부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연결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퀵커넥터에서 본 발명의 누수방지장치의 설치 및 작동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0: 누수방지 몸체 12: 걸림턱
20: 샤프트 30: 패킹
40: 접촉판 41: 출수관통공
50: 스프링 60: 오링
100: 입수부 연결관 110, 210: 이음고리
120, 220: 오링 200: 출수부 연결관
230: 연결관 걸림턱 300: 밸브 구조 부분
400: 입수 튜브 410, 510: 록킹 슬리브
500: 출수 튜브
20: 샤프트 30: 패킹
40: 접촉판 41: 출수관통공
50: 스프링 60: 오링
100: 입수부 연결관 110, 210: 이음고리
120, 220: 오링 200: 출수부 연결관
230: 연결관 걸림턱 300: 밸브 구조 부분
400: 입수 튜브 410, 510: 록킹 슬리브
500: 출수 튜브
Claims (6)
- 출수 튜브(500)와 연결되는 연결관(200) 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누수방지 몸체(10); 상기 누수방지 몸체(10)의 중공보다 단면적이 작아 상기 중공을 관통하는 샤프트(20); 상기 연결관(200)의 출수구의 대향 위치에 있는, 상기 중공을 벗어나는 상기 샤프트(20)의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패킹(30); 상기 연결관(200)의 출수구 방향에 있는, 상기 중공을 벗어나는 상기 샤프트(20)의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며, 상기 연결관(200) 내를 따라 흘러가는 출수가 관통하는 출수관통공(41)이 형성된 접촉판(40); 및 상기 중공 내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누수방지 몸체(10)와 결합하고 또한 상기 접촉판(40)과 결합하는 탄성체(50)를 포함하는 누수방지장치이고,
상기 누수방지장치는 상기 연결관(200)의 출수구로부터 상기 출수 튜브(500)가 상기 연결관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체(50)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접촉판(40)은 상기 출수구 쪽으로 밀리고 그에 따라 상기 패킹(30)은 상기 누수방지 몸체(10)와 접촉하여 출수의 유로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연결관(200) 내를 흘러가는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흘러가지 못하게 하고, 상기 연결관(200)의 출수구로부터 상기 출수 튜브(500)를 상기 연결관에 결합시키면, 상기 접촉판(40)은 상기 출수 튜브(500)에 의하여 상기 누수방지 몸체(10) 쪽으로 밀리고 그에 따라 상기 패킹(30)은 상기 출수구의 반대 방향으로 밀려 상기 누수방지 몸체(10)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출수의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관(200) 내를 흘러가는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흘러가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는 형태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 몸체의 내주연을 따라 걸림턱(12) 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걸림턱 또는 걸림돌기에 의하여 상기 누수방지 몸체와 결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30)은 중앙부에 샤프트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20)에는 패킹 결합홈이 샤프트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샤프트와 상기 패킹의 결합은 상기 샤프트 결합공에 의하여 상기 패킹이 상기 샤프트의 패킹 결합홈에 끼워져서 수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 몸체(10)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그것의 외주연을 따라 오링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오링 결합홈에는 탄성재질의 오링이 결합하여, 상기 누수방지 몸체와 상기 연결관 간을 밀폐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장치. - 출수 튜브(500)와의 결합을 위하여 출수구에 이음고리(210)를 가지는 연결관(200)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0)은 상기 연결관 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누수방지 몸체(10); 상기 누수방지 몸체의 중공보다 단면적이 작아 상기 중공을 관통하는 샤프트(20); 상기 연결관의 출수구의 대향 위치에 있는, 상기 중공을 벗어나는 상기 샤프트의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패킹(30); 상기 연결관의 출수구 방향에 있는, 상기 중공을 벗어나는 상기 샤프트의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며, 상기 연결관 내를 따라 흘러가는 출수가 관통하는 출수관통공(41)이 형성된 접촉판(40); 및 상기 중공 내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누수방지 몸체와 결합하고 또한 상기 접촉판과 결합하는 탄성체(50)를 포함하는 누수방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방지장치는 상기 연결관의 출수구로부터 상기 출수 튜브가 상기 연결관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체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접촉판은 상기 출수구 쪽으로 밀리고 그에 따라 상기 패킹은 상기 누수방지 몸체와 접촉하여 출수의 유로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연결관 내를 흘러가는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흘러가지 못하게 하고, 상기 연결관의 출수구로부터 상기 출수 튜브를 상기 연결관에 결합시키면, 상기 접촉판은 상기 출수 튜브에 의하여 상기 누수방지 몸체 쪽으로 밀리고 그에 따라 상기 패킹은 상기 출수구의 반대 방향으로 밀려 상기 누수방지 몸체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출수의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관 내를 흘러가는 출수가 출수구 쪽으로 흘러가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7976A KR20120046372A (ko) | 2010-11-02 | 2010-11-02 | 누수방지장치 및 그것을 가지는 연결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7976A KR20120046372A (ko) | 2010-11-02 | 2010-11-02 | 누수방지장치 및 그것을 가지는 연결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6372A true KR20120046372A (ko) | 2012-05-10 |
Family
ID=4626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7976A KR20120046372A (ko) | 2010-11-02 | 2010-11-02 | 누수방지장치 및 그것을 가지는 연결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4637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6563B1 (ko) * | 2022-12-27 | 2023-06-23 | (주)월드이엔씨 | 스크롤 압축기를 이용하는 히트펌프 |
-
2010
- 2010-11-02 KR KR1020100107976A patent/KR2012004637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6563B1 (ko) * | 2022-12-27 | 2023-06-23 | (주)월드이엔씨 | 스크롤 압축기를 이용하는 히트펌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91294B2 (en) | Quick connect and quick disconnect system | |
JP2008232361A5 (ko) | ||
WO2019118832A8 (en) | Faucet with integrated push-to-connect fitting | |
KR20080081903A (ko) |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소켓 | |
KR20080070723A (ko) |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의 플러그 | |
US11964245B2 (en) | Chemical injection system for connection to a chemical tank and a process line | |
KR20170056944A (ko) |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 |
KR20120046372A (ko) | 누수방지장치 및 그것을 가지는 연결관 | |
US10982881B2 (en) | Water heater fitting for draining a water heater | |
KR101094800B1 (ko) | 드레인 밸브 | |
CN203770791U (zh) | 排污过滤器 | |
US10428499B2 (en) | Backflow preventer for water distribution installations | |
KR100865415B1 (ko) | 급수제어가 가능한 수도관 분기용 급수장치 | |
KR101829280B1 (ko) | 관개용 여과장치 | |
JP2018105382A (ja) | 通水器具及び給湯装置 | |
ES2369426T3 (es) | Grifo. | |
JP2003314816A (ja) | 配管接続具 | |
KR200332291Y1 (ko) | 역류방지용 커넥터 | |
KR101179375B1 (ko) | 감압밸브 | |
JPS6353424B2 (ko) | ||
KR200180746Y1 (ko) | 수격 흡수기 | |
KR101599630B1 (ko) | 패킹이 필요없는 개폐용 밸브 | |
JP2001165378A (ja) | 水栓ジョイントボックス | |
KR100609888B1 (ko) | 수도계량기 조립체 | |
JP2001082666A (ja) | 配管用ヘッダ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