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505A - 휴대용 수납체의 핸들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수납체의 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505A
KR20080069505A KR1020070126085A KR20070126085A KR20080069505A KR 20080069505 A KR20080069505 A KR 20080069505A KR 1020070126085 A KR1020070126085 A KR 1020070126085A KR 20070126085 A KR20070126085 A KR 20070126085A KR 20080069505 A KR20080069505 A KR 20080069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ortable storage
arm
assembled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9335B1 (ko
Inventor
다케시 기요사와
준이치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80069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2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과제) 휴대용 수납체의 핸들장치를 구성하는 핸들 본체를, 미사용시에는 도복(倒伏)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함과 아울러 사용을 중지한 때에는 상기 도복위치로 천천히 회동 복귀하도록 한다.
(해결수단) 1쌍의 암부(10,10) 사이에 걸쳐서 파지부(11)를 가지며, 상기 암부(10)가 휴대용 수납체(B)의 외면부(Ba)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휴대용 수납체(B)에 기복(起伏) 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 본체(1)와, 상기 핸들 본체(1)를 그 파지부(11)가 휴대용 수납체(B)의 외면부(Ba)에 접하는 도복위치에 탄지력에 의해서 위치하게 하는 탄지수단(2)과, 상기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 기립된 핸들 본체(1)의 그 파지를 해제한 때의 상기 탄지력에 의한 핸들 본체(1)의 도복위치를 향한 회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제동수단(3)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수납체의 핸들장치{HANDLE DEVICE OF PORTABLE HOUSING BODY}
본 발명은 슈트 케이스 등의 휴대용 수납체의 외면부에 부착되어 이 휴대용 수납체의 운반 등의 용도로 제공되는 핸들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슈트 케이스 등의 휴대용 수납체에 구비되는 핸들(손잡이)은, 일반적으로 파지부(把持部)의 양단에 구비된 암부를 휴대용 수납체의 외면부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래서, 핸들의 미사용시에는 핸들이 제멋대로 놀게 되어 방해가 되는 일도 적지 않고, 또 휴대용 수납체를 차량 등으로 운반할 때에는 이음(異音)을 일으키는 적도 있었다.
이와 같은 핸들의 미사용시에는 탄지수단에 의해서 핸들이 도복(倒伏)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둔다면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없어지게 되는데, 단순히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핸들의 파지(把持)를 해제함과 동시에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핸들이 도복위치로 회동하기 때문에, 충격음이 발생하거나 핸들 측 혹은 휴대용 수납체의 외면부에 손상을 입힌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러한 종류의 휴대용 수납체의 핸들장치를 구성하는 핸들 본체를, 미사용시에는 도복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함과 아울러 사용을 중지한 때에는 파지의 해제와 동시에 상기 도복위치로 천천히 회동 복귀하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수납체의 핸들장치를, 1쌍의 암부 사이에 걸쳐서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암부가 휴대용 수납체의 외면부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휴대용 수납체에 기복(起伏) 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 본체와, 상기 핸들 본체를 그 파지부가 휴대용 수납체의 외면부에 접하는 도복위치에 탄지력에 의해서 위치하게 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 기립된 핸들 본체의 그 파지(把持)를 해제한 때의 상기 탄지력에 의한 핸들 본체의 도복위치를 향한 회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제동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핸들 본체는 이것을 회동시켜서 기립하지 않는 한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휴대용 수납체의 외면부에 파지부를 접하게 하는 도복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므로, 이 핸들 본체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핸들 본체가 제멋대로 노는 일이 없으며 방해되는 일도 없다. 또, 핸들 본체를 파지하고서 회동시켜 기립한 후, 그 파 지를 해제하면, 탄지수단에 의해서 핸들 본체를 강제적으로 도복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이 회동이 제동수단에 의해서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동수단을, 핸들 본체의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회전체와 이 회전체의 축받이체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체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점성유체의 저항을 부여하는 댐퍼장치로 하여 두면, 댐퍼장치와 핸들 본체를 합리적으로 배치하여 이 핸들 본체의 회동에 제동을 부여할 수 있다.
핸들장치에 있어서의 핸들 본체의 1쌍의 암부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이, 댐퍼장치의 회전체 및 축받이체 중 어느 일측을 상기 암부 측에 조립하고 또한 이것들의 타측을 휴대용 수납체 측에 조립함에 의해서 휴대용 수납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하면, 핸들 본체를 구성하는 1쌍의 암부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을 댐퍼장치를 통해서 휴대용 수납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 경우, 핸들 본체의 1쌍의 암부 중 일측이, 댐퍼장치의 회전체 및 축받이체 중 어느 일측을 상기 암부 측에 조립하고 또한 이것들의 타측을 휴대용 수납체 측에 조립함에 의해서 휴대용 수납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음과 아울러, 탄지수단을 핸들 본체의 1쌍의 암부 중 타측의 축부에 감겨지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하도록 하여 두면, 부품수를 과대하게 하는 일 없이, 미사용시에는 도복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되고, 또한 사용을 중지한 때에는 파지의 해제와 동시에 상기 도복위치로 천천히 회동 복귀하는 핸들 본체를 구비한 핸들장치를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휴대용 수납체의 외면부에 고정되는 부착베이스를 통해서 핸들 본체가 휴대 용 수납체에 구비되도록 하여 둠과 아울러, 상기 부착베이스를 상기 핸들 본체의 암부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단부부품과 커버부품으로 구성하고, 상기 커버부품과 단부부품을 이것들의 일측에 형성한 걸어맞춤돌조를 이것들의 타측에 형성한 피걸어맞춤부에 탄성적으로 걸어 맞춤으로써 조립하도록 하여 두는 것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용 수납체의 핸들장치에서는, 이 핸들장치를 구성하는 핸들 본체를, 미사용시에는 도복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함과 아울러 사용을 중지한 때에는 파지의 해제와 동시에 상기 도복위치로 천천히 회동 복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핸들장치(H)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용 수납체(B)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상기 핸들장치(H)의 요부를 이 핸들장치(H)를 구성하는 핸들 본체(1)의 회동축선(x)을 따르는 방향에서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더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고, 도 4는 도 3의 부분을 구성하는 각 부재를 분리시킨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 및 도 6은 핸들장치(H)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들 도면에서는 특히 댐퍼장치(3')를 해칭으로 처리하여 그 내부구성을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핸들장치(H)는 휴대용 수납체(B)의 외면부(Ba)에 부착되어 이 휴대용 수납체(B)의 운반 등의 용도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휴대용 수납체(B)로서는 적어도 핸들장치(H)가 구비되는 개소를 금속 또는 경질 수지에 의해서 구성한 것을 예정하고 있다. 전형적으로는, 상기 휴대용 수납체(B)로서는 하드셀 타입의 가방, 예를 들면 아타셰 케이스, 슈트 케이스, 트렁크 등을 예정하고 있다.
상기 핸들장치(H)는 핸들 본체(1)와 탄지수단(2)과 제동수단(3)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 본체(1)는 1쌍의 암부(10,10) 사이에 걸치는 파지부(11)를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파지부(11)는 손으로 쥘 수 있는 봉형상으로 구성된다. 1쌍의 암부(10)는 상기 파지부(11)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각각 만곡되어 동일한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핸들 본체(1)는 상기 1쌍의 암부(10,10)를 휴대용 수납체(B)의 외면부(Ba)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이 휴대용 수납체(B)에 기복(起伏) 가능하게 구비된다.
핸들 본체(1)는 1쌍의 암부(10,10)의 선단 측을 각각 휴대용 수납체(B) 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되, 파지부(11)를 휴대용 수납체(B)의 외면부(Ba)에 접하게 한 도복(倒伏)위치(도 1의 위치)에서 하나의 회동축선(x)을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기립할 수 있도록 휴대용 수납체(B)에 구비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휴대용 수납체(B)의 외면부(Ba)에 고정되는 부착베이스(4)를 통해서 핸들 본체(1)가 휴대용 수납체(B)에 구비되도록 되어 있다.
부착베이스(4)는 1쌍의 암부(10,10) 사이에 걸치는 길이를 구비함과 아울러, 일면측을 의장면(40)으로 하고, 타면측을 휴대용 수납체(B)에 대한 부착면(41)으로 하고, 또한 양단에 각각 핸들 본체(1)의 암부(10)의 받이부(42)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1쌍의 암부(10,10) 중 일측{이하, 일측 암부(10)라고도 한다}은 부착베이스(4)의 일측 받이부(42)에 조립된 후술하는 댐퍼장치(3')를 통해서 부착베이스(4)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또 1쌍의 암부(10,10) 중 타측{이하, 타측 암부(10)라고도 한다}은 상기 일측 암부(10)를 향해서 돌출형성되는 축부(10a)를 부착베이스(4)의 타측 받이부(4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함으로써 부착베이스(4)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착베이스(4)는 상기 받이부(42)를 구비한 1쌍의 단부부품(43,43)과, 이 1쌍의 단부부품(43,43)을 각각 수납하며 1쌍의 암부(10,10) 사이에 걸치는 커버부품(44)으로 구성되어 있다.
휴대용 수납체(B)에는 단부부품(43)이 나사고정에 의해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커버부품(44)의 단부에는 휴대용 수납체(B)의 외면부(Ba) 측으로 개방된 삽입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단부부품(43)과 커버부품(44)은 상기 삽입부(44a)에 단부부품(43)을 삽입함으로써 조립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커버부품(44)의 단부와 단부부품(43)의 일부를, 이 커버부품(44)의 삽입부(44a)에 대한 단부부품(43)의 삽입시에, 단부부품(43)의 상기 회동축선(x)을 따르는 방향에 있는 양 측부에 각각 형성한 걸어맞춤돌조(43a)를 커버부품(44)의 단부에 형성한 창구멍형상을 이루는 피걸어맞춤 부(44b)에 탄성적으로 걸어 맞춤으로써 원터치로 조립하고 있다.
상기 핸들 본체(1)를 예를 들어 아타셰 케이스에 구비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아타셰 케이스의 힌지 측에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측부의 중앙에 구비되어 이 아타셰 케이스의 핸들로서 이용되는 것이 된다. 또, 상기 핸들 본체(1)를 캐스터가 달린 슈트 케이스에 구비하는 경우에는, 보디의 상부나 보디의 두께방향에 있는 측부에 구비되어 이 슈트 케이스의 톱 핸들이나 메인 핸들로서 이용되는 것이 된다.
탄지수단(2)은 상기 핸들 본체(1)의 파지부(11)를 휴대용 수납체(B)의 외면부(Ba)에 접하게 하는 도복위치에 탄지력에 의해서 위치하게 하는 것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탄지수단(2)을 상기 1쌍의 암부(10,10) 중 타측에 구비되는 축부(10a)에 감겨지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0)에 의해서 구성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20)은 부착베이스(4)의 타측 받이부(42) 내에 수납되며, 그 일단(20a)을 받이부(42)의 내벽에 고정시키고 또한 타단(20b)을 축부(10a)에 고정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20)은, 핸들 본체(1)를 도복위치에서 회동시켜서 기립하면, 코일부(20c)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핸들 본체(1)를 도복위치로 되돌리려는 방향으로 그 탄지력을 핸들 본체(1)에 작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동수단(3)은, 상기 탄지수단(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시켜서 기립한 핸들 본체(1)에 대해서 그 파지(把持)를 해제하였을 때, 상기 탄지력에 의한 핸들 본체(1)의 도복위치를 향한 회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동수단(3)을, 핸들 본체(1)의 회동축선(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회전체(30)와 이 회전체(30)의 축받이체(31)를 구비함과 아울러 이 회전체(30)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도시하지 않은 점성유체의 저항을 부여하는 댐퍼장치(3')에 의해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핸들 본체(1)의 1쌍의 암부(10,10) 중 일측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댐퍼장치(3')의 회전체(30) 및 축받이체(31) 중 어느 일측을 상기 암부(10) 측에 조립하고 또한 이것들의 타측을 휴대용 수납체(B) 측에 조립함에 의해서, 휴대용 수납체(B)에 조립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댐퍼장치(3')의 회전체(30)가 암부(10) 측에 조립되고, 축받이체(31)가 부착베이스(4), 즉 휴대용 수납체(B) 측에 조립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댐퍼장치(3')는 원통형상의 내통부(30a)와 원통형상의 외통부(30b)를 양자의 사이에 틈새(30c)를 형성한 상태로 양자의 일단측에서 일체로 연접시켜서 이루어지는 회전체(30)와, 원통형상의 내통부(31a)와 원통형상의 외통부(31b)를 양자의 사이에 틈새(31c)를 형성한 상태로 양자의 일단측에서 일체로 연접시켜서 이루어지는 축받이체(31)를, 축받이체(31)의 틈새(31c)에 회전체(30)의 외통부(30b)가 삽입됨과 동시에 축받이체(31)의 내통부(31a)의 내측에 회전체(30)의 내통부(30a)가 삽입되도록 조립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점성유체로서는 실리콘 오일이나 그리스 등이 이용되며, 축받이체(31)의 틈새(31e)에 충전된다. 도면부호 32는 상기 점성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 링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회전체(30)와 축받이체(31)를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한 후, 회전체(30)의 내통부(3Oa)의 자유단부(30d)를 외측방향으로 코킹하여 축받이체(31)에 있어서의 내통부(31a)와 외통부(31b)가 연접되는 연접측의 내통부(31a)의 단부에 걸어 붙임으로써, 양자의 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축받이체(31)에 대해서 회전체(30)가 회전 또는 상대적으로 회전되면, 축받이체(31)의 틈새(31c) 내에 충전된 점성유체가 회전체(30)의 외통부(30b)의 이동의 저항이 되므로, 이것에 의해서 회전체(30)의 회전, 즉 핸들 본체(1)의 회동에 제동이 부여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댐퍼장치(3')의 축받이체(31)의 외통부(31b)의 외면에는 핸들 본체(1)의 회동축선(x)을 따르는 리브(31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부착베이스(4)의 일측 받이부(42)는, 부착베이스(4)의 일단부에서 개방되어 상기 회동축선(x)을 따라서 연속하는 오목부(42a)로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오목부의 입구(42b)에서 오목부의 내부(42c)를 향해서 연속하는 상기 리브(31d)의 삽입홈(42d)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부착베이스(4)의 일측 받이부(42)에 그 삽입홈(42d)에 리브(31d)가 끼워지도록 하면서 축받이체(31)의 연접측을 먼저 하여 댐퍼장치(3')를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일측 받이부(42)에 댐퍼장치(3')가 수납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댐퍼장치(3')의 축받이체(31)가 부착베이스(4)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핸들 본체(1)의 1쌍의 암부(10,10) 중 일측 암부(10)에는 상기 회동축 선(x)을 따르는 관통구멍(10b)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일측 암부(10)의 타측 암부(10) 측을 향하는 일측에는 상기 관통구멍(10b)을 사이에 둔 양측에 접속용 돌기부(1O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댐퍼장치(3')의 회전체(30)에 있어서의 외통부(30b)와 내통부(30a)의 연접측에는 내통부(30a)의 관통구멍을 사이에 둔 양측에 접속용 돌기부(30e)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일단측이 폐색된 폐색부(12a)에 장공(12b)을 구비하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댐퍼장치(3')를 내측에 수납한 상태로 이 댐퍼장치(3')와 함께 부착베이스(4)의 일측 받이부(42)에 수납되는 커플링체(12)의 상기 장공(12b)에 외측에서 암부(10)의 접속용 돌기부(10c)를 삽입함과 동시에 내측에서 회전체(30)의 접속용 돌기부(30e)를 삽입한 후, 샤프트(13)를 서로 연이어 통하는 암부(10)의 관통구멍(10b)과 커플링체(12)의 장공(12b)과 댐퍼장치(3')의 회전체(30)의 내통부(30a)의 관통구멍을 통해서 부착베이스(4)의 일측 받이부(42)의 오목부 내부(42c)의 축받이 오목부(42e)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일측 암부(10)를 부착베이스(4), 즉 휴대용 수납체(B)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함과 아울러, 일측 암부(10)와 댐퍼장치(3')의 회전체(30)를 일체화하고 있다.
핸들 본체(1)는 이것을 회동시켜서 기립하지 않는 한 탄지수단(2)의 탄지력에 의해서 휴대용 수납체(B)의 외면부(Ba)에 파지부(11)를 접하게 하는 도복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므로, 이 핸들 본체(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핸들 본체(1)가 제멋대로 노는 일이 없으며 방해되는 일도 없다. 또, 핸들 본체(1)를 파지하고서 회동시켜 기립한 후, 그 파지를 해제하면, 탄지수단(2)에 의해서 핸들 본체(1)를 강제적으로 도복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이 회동이 제동수단(3)에 의해서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동수단(3)인 댐퍼장치(3')의 회전체(30)는 핸들 본체(1)의 회동축선(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므로, 댐퍼장치(3')와 핸들 본체(1)를 합리적으로 배치하여 이 핸들 본체(1)의 회동에 제동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 본체(1)를 구성하는 1쌍의 암부(10,10) 중의 일측 암부(10)를 댐퍼장치(3')를 통해서 휴대용 수납체(B)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고 있고, 또 1쌍의 암부(10,10) 중의 타측 암부(10)에서 탄지수단(2)으로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20)에 의해서 상기 핸들 본체(1)를 도복위치를 향해서 탄지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과대하게 하는 일 없이, 미사용시에는 도복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되고, 또한 사용을 중지한 때에는 파지의 해제와 동시에 상기 도복위치로 천천히 회동 복귀하는 핸들 본체(H)를 구비한 핸들장치(H)를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휴대용 수납체(B)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핸들장치(H)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핸들장치(H)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4는 핸들장치(H)의 요부 분해 사시 구성도
도 5는 핸들장치(H)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 구성도
도 6은 핸들장치(H)의 요부 단면 구성도(도 5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단면)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H - 핸들장치 B - 휴대용 수납체
Ba - 외면부 1 - 핸들 본체
10 - 암부 11 - 파지부
2 - 탄지수단 3 - 제동수단

Claims (5)

1쌍의 암부 사이에 걸쳐서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암부가 휴대용 수납체의 외면부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휴대용 수납체에 기복 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 본체와,
상기 핸들 본체를 그 파지부가 휴대용 수납체의 외면부에 접하는 도복위치에 탄지력에 의해서 위치하게 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 기립된 핸들 본체의 그 파지를 해제한 때의 상기 탄지력에 의한 핸들 본체의 도복위치를 향한 회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제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납체의 핸들장치.
청구항 1에 있어서,
제동수단은, 핸들 본체의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회전체와 이 회전체의 축받이체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체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점성유체의 저항을 부여하는 댐퍼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납체의 핸들장치.
청구항 2에 있어서,
핸들 본체의 1쌍의 암부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이, 댐퍼장치의 회전체 및 축받이체 중 어느 일측을 상기 암부 측에 조립하고 또한 이것들의 타측을 휴대용 수납체 측에 조립함에 의해서, 휴대용 수납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납체의 핸들장치.
청구항 2에 있어서,
핸들 본체의 1쌍의 암부 중 일측이, 댐퍼장치의 회전체 및 축받이체 중 어느 일측을 상기 암부 측에 조립하고 또한 이것들의 타측을 휴대용 수납체 측에 조립함에 의해서, 휴대용 수납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음과 아울러,
탄지수단을 핸들 본체의 1쌍의 암부 중 타측의 축부에 감겨지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납체의 핸들장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휴대용 수납체의 외면부에 고정되는 부착베이스를 통해서 핸들 본체가 휴대용 수납체에 구비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부착베이스가 상기 핸들 본체의 암부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단부부품과 커버부품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품과 단부부품이 이것들의 일측에 형성한 걸어맞춤돌조를 이것들의 타측에 형성한 피걸어맞춤부에 탄성적으로 걸어 맞춤으로 써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납체의 핸들장치.
KR1020070126085A 2007-01-23 2007-12-06 휴대용 수납체의 핸들장치 KR100909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12441A JP4928282B2 (ja) 2007-01-23 2007-01-23 携行用収納体用ハンドル装置
JPJP-P-2007-00012441 2007-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505A true KR20080069505A (ko) 2008-07-28
KR100909335B1 KR100909335B1 (ko) 2009-07-24

Family

ID=3909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085A KR100909335B1 (ko) 2007-01-23 2007-12-06 휴대용 수납체의 핸들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928282B2 (ko)
KR (1) KR100909335B1 (ko)
CN (2) CN201022448Y (ko)
TW (1) TWI369188B (ko)
WO (1) WO20080908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5247A (ja) * 2007-08-21 2009-03-05 Zero One Design:Kk 把手
JP5426341B2 (ja) * 2009-12-03 2014-02-26 河西工業株式会社 収納ボックスの把手取付構造
CN101791167B (zh) * 2010-01-21 2011-12-21 成都熊谷加世电器有限公司 自复位式提把
CN105639956A (zh) * 2016-03-30 2016-06-08 平湖市大明皮件有限公司 一种多功能拉杆箱
CN110774248A (zh) * 2019-11-04 2020-02-11 国网青海省电力公司海西供电公司 工具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727A (ja) * 1981-07-17 1983-01-27 Polyurethan Eng:Kk 板状品の連続成形機におけるコンベア駆動方法
JPS5814727U (ja) * 1981-07-22 1983-01-29 川辺 史郎 部品の取り付け構造
JP4393619B2 (ja) * 1999-04-19 2010-01-06 株式会社ニフコ 把手
JP2002052970A (ja) * 2000-08-10 2002-02-19 Nifco Inc 回転体の制動構造、及びその回転体の制動構造を備えたアシストグリップ
US7103939B2 (en) 2003-11-03 2006-09-12 Illinois Tool Works Inc Pin-less damper assembly for an assist grip ha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28282B2 (ja) 2012-05-09
TWI369188B (en) 2012-08-01
WO2008090847A1 (ja) 2008-07-31
CN201022448Y (zh) 2008-02-20
CN101228987A (zh) 2008-07-30
KR100909335B1 (ko) 2009-07-24
TW200841839A (en) 2008-11-01
JP2008178451A (ja)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70334B2 (ja) 携帯型電子機器のヒンジ構造
KR100909335B1 (ko) 휴대용 수납체의 핸들장치
US7644963B2 (en) Hooking device
JP3733117B2 (ja) ダンパヒンジ
US5887927A (en) Folding handle device
JP2009101999A (ja) ドリンク容器のためのホルダ
JP3966842B2 (ja) 開閉制動装置
US20010045299A1 (en) Lid or door structure and hinge structure
JP2746847B2 (ja) 多節ヒンジ装置
JP3464935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
JP3211200B2 (ja) 開閉用ヒンジ構造
JP4335858B2 (ja) ホルダー
JPH024989Y2 (ko)
JP4393675B2 (ja) 開閉蓋構造
JPH0221106B2 (ko)
JP4179408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H08105256A (ja) 扉状開閉体のロック構造
JP2590837Y2 (ja) 錠装置
JP2560246Y2 (ja) 蝶 番
KR200270241Y1 (ko) 차량 도어 섀시의 테이프 부착용 지그
JP5322498B2 (ja) 鞄用ロック装置
KR101876077B1 (ko) 자동차 수납체용 판 스프링 조립체
JP2529817B2 (ja) 平面ハンドル
JP3750809B2 (ja) 回動抵抗付与ダンパ
JP2720024B2 (ja) 蓋蝶番機構における蝶番金具の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