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904A -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의 편직 방법 및 그사안내구 - Google Patents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의 편직 방법 및 그사안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904A
KR20080068904A KR1020087013318A KR20087013318A KR20080068904A KR 20080068904 A KR20080068904 A KR 20080068904A KR 1020087013318 A KR1020087013318 A KR 1020087013318A KR 20087013318 A KR20087013318 A KR 20087013318A KR 20080068904 A KR20080068904 A KR 20080068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guide
knitting
yarns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9274B1 (ko
Inventor
구오빈 수
Original Assignee
구오빈 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오빈 수 filed Critical 구오빈 수
Publication of KR20080068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8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hread guide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6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4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with one or more yarns appearing predominantly on one face, e.g. plated or paralleled ya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직 산업의 평형 위편(flat weft-knitting)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회전(semi-turn 또는 semi-twist) X사, 반회전 Y사의 편직 패턴 구조를 갖는 니트웨어를 연속적으로 편직할 수 있는 평형 위편기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방법 및 그 특별한 목적을 위한 사안내구(yarn guiding mouth)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안내구에는 서로 평행한 두개 또는 세개의 안내홀들이 제공된다. X사와 Y사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두개의 안내홀을 통해 각기 개별적으로 공급된다. 다른 양태로서, X사, Y사 및 C사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세개의 안내홀을 통해 각기 개별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Z사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두개 또는 세개의 안내홀들의 외측을 통해 공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형 위편기를 이용하여 표면이 하나의 반회전에 의한 X사와 다른 반회전에 의한 Y사, 또는 주요 부분의 X사와 작은 부분의 Y사, 또는 주요 부분의 하나의 반회전에 의한 X사와 C사 및 다른 반회전에 의한 Y사와 C사, 또는 상기한 여러 패턴들을 포함하고 내측면은 Z사로 이루어지는 등의 편직물을 편직함에 있어, 실 또는 사안내구를 교환할 필요성이 없게 된다.
편직, 위편기, 사안내구

Description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의 편직 방법 및 그 사안내구{METHOD FOR KNITTING OUT SEMI-TURN X YARN SEMI-TURN Y YARN STRUCTURAL TEXTURE AND YARN GUIDING MOUTH THEREOF}
본 발명은 편직 산업의 평형 위편(flat weft-knitting)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회전(semi-turn 또는 semi-twist) X사, 반회전 Y사의 3차원 직물 외양을 갖는 니트웨어를 연속적으로 편직할 수 있는 평형 위편기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방법 및 그 특별한 목적의 사안내구(yarn guiding mouth)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평형 위편기(flat weft-knitting machine)는 플랫 머신(flat machine)과 케뎅 머신(Kedeng machine)을 포함하며, 기계적 평형 위편기는 수동식과 전기 구동식의 두 종류로 구분된다.
위편기에 구비되는 사안내구(yarn guiding mouth)는 오직 두 가지 형식을 갖는다.
그 한 형식은 일반적인 사안내구로서, 도 1a 및 도 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고정바(1), 베이(bay)(2), 안내홀(3) 및 베이를 통해 평형 위편기에 설치되는 사안내구 헤드(4)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사안내구는 현재 위편기(자동식 또 는 수동식)의 80% 정도에 사용된다.
또 다른 형식은 일반적인 부가사(附加絲) 안내구(replenishing yarn guiding mouth)로서, 도 2a 및 도 2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고정바(1), 베이(2), 안내홀(3) 및 주사(主絲) 안내구(5), 부가사 안내구(6)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내홀(3)은 주사 안내구(5)의 상면 측에서 개방되며, 주사 안내구(5)와 부가사 안내구(6)(즉, 부가사 홀(replenishing yarn hole(7)) 사이에는 갭이 존재하고, 주사(즉, 지사(地絲), X사)는 주사 안내구(5)를 통과하며, 부가사(즉, 보조사, 첨사(添絲), Z사)는 부가사 홀(7)을 통과한다. Z사는 항상 X사 보다 높게 위치된다. 이러한 부가사 안내구는 주로 부가사 패턴을 편직하는데 사용된다. 패턴이 단면(single-sided) 패턴이거나 스트라이프 패턴(stripe pattern)일 때, X사는 항상 정면 상에 위치되고, Z사는 항상 배면 상에 위치된다. 한편, 패턴이 십핑 코드(Siping code)이거나 양면 패턴일 때, X사는 표면에, 그리고 Z사는 내측면에 위치된다. 환언하면, 부가사가 코팅된 주사는 주사에 의해 코팅된다. 그에 따라, 탄성 의류, 팬츠, 옷 깃, 옷 자락, 소매 끝단, 옷단 등의 편직에 적용 가능하며, 그 적용율은 20% 정도이다.
이상과 같은 두 가지 형식의 사안내구는 생산에 널리 사용되며, 현재까지 다른 형식의 사안내구는 개발되지 않고 있다.
색 밴드를 편직하는 종래 기술들은 기기들이 사안내구를 변환하는 동안, 실을 수동적으로 교환해야 한다. 특히, 하나의 실, 하나의 색상 패턴을 생산할 때 기기들은 X사로의 변경 그리고 Y사로의 변경을 달성하기 위해 사안내구를 변환해야 하며, 작업자들은 사안내구의 변환 주기를 기억에 의존한다. 가장 작은 밴드들은 각 회전 마다 실이나 색상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편직된다. 그러나, 이 방법의 단점은 기억이 부정확하기 쉽고, 옷 깃을 니들링(needling)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다소 품질이 낮은 제품을 생산하기 쉽다. 그러나, 컴퓨터 제어 편직 방법을 이용하면, 동일 제품을 수동 방법으로 제조하는데 비해 두배의 작업 시간과 함께 그 소요 비용이 매우 높다. 해당 작업 시간의 비용은 수동 방식의 비용 대비 두배가 되어 왔으며, 물론 제조 비용도 두배 정도로 상승되었다.
종래의 편직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1) 편직물의 단색에 채용되는 안내구, 즉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은 통상의 사안내구
(2) X, Y 칼라사는 함께 편직되며, 그 편직된 표면이 불규칙적으로 변경된다. 이 방법은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통상의 사안내구를 사용한다.
(3) 도 2는 X사를 정면에서 집어넣고, Y사를 그 반대편에서 집어넣어 부가사구를 통해 편직한 패턴을 보여주며, 이 방법은 스판덱스 사, 글로브, 양말, 탄성 팬츠, 자켓 깃, 옷단 등을 편직하기 위한 나일론 사 등의 탄성 사를 부가할 수 있다.
(4) 다른 편직 방법은 일회전의 X사와 다른 회전의 Y에 대한 것으로, 사 교환 장치가 수동적으로 적용되거나 컴퓨터 기반의 자동 사안내구가 적용된다. 사 교환 및 안내구, 바늘 조절 수단이 자카드(Jacquard)와 같은 다른 편직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structural texture)을 편직하는 방법 및 그 사안내구(또는, 실 가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해당 방법은 실 및 사안내구의 교환이 필요하지 않으며, 그 교환을 기억할 필요성도 없다. 따라서, 그에 의한 제조는 보통의 부가사구가 하는 것과 같은 동일 작업시간을 소요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을 편직하는 방법은, X사와 Y사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두개의 안내홀을 통해 독립적으로 공급되거나, 택일적으로, X사, Y사 및 C사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세개의 안내홀을 통해 독립적으로 공급되며, Z사가 상기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두개 또는 세개의 안내홀의 외측을 통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X사와 Y사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두개의 안내홀을 통해 독립적으로 공급되며, 상기 두개의 안내홀은 주사 안내홀과 보조사 홀로서 이용되되,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하나의 안내홀의 외측 에지가 상기 안내홀의 내측 에지 보다 높게 위치되고, 다른 안내홀의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의 높이가 동일한 조건 하에서, 링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X사가 상기 Y사 보다 높게 위치되면, 패턴이 표면 또는 정면 상의 Y사와 내측면 또는 배면 상의 X사로 이루어지며; 링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Y사가 상기 X사 보다 높게 위치되면, 패턴이 표면 또는 정면 상의 X사와 내측면 또는 배면 상의 Y사로 이루어지며; 다른 반회전 편직에서 상기 X사와 상기 Y사가 동일 높이를 가지면, 링을 형성한 후에 패턴이 X사와 Y사로 동시에 불규칙 분포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그 결과, 전체적인 편직 외양이 하나의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 또는 Y사 패턴과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와 Y사의 공존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반면,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상기 안내홀들의 외측 에지들이 상기 두개 안내홀들의 내측 에지들 보다 높게 위치되는 조건 하에서, 링을 형성하기 전에 반회전 편직에서 상기 X사가 상기 Y사 보다 높게 위치되면, 패턴이 표면 또는 정면 상의 Y사와 내측면 또는 배면 상의 X사로 이루어지며; 링을 형성하기 전에 반회전 편직에서 상기 Y사가 상기 X사 보다 높게 위치되면, 패턴이 표면 또는 정면 상의 X사와 내측면 또는 배면 상의 Y사로 이루어지며; 그 결과, 전체적인 편직 외양이 반회전 X사와 반회전 Y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X사와 상기 Y사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두개의 상기 안내홀을 통해 독립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Z사가 상기 두개의 안내홀의 외측을 통해 공급되며, 상기 Z사의 높이가 상기 X사 또는 상기 Y사의 가장 높은 부분과 같거나, 상기 X사와 상기 Y사 보다 약간 높은 경우,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하나의 안내홀의 외측 에지가 그 내측 에지 보다 높고, 다른 안내홀의 외측 에지가 그 내측 에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때, 편직되는 전체적인 패턴 외양이 표면 또는 정면은 반회전 X사, 반회전 X사 더하기 Y사 또는 반회전 Y사, 반회전 X사 더하기 Y사로 이루어지고, 내측면 또는 배면은 Z사 또는 주요 부분으로서 Z사 및 작은 부분으로서 X사 더하기 Y사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한편,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상기 두개 안내홀의 외측 에지가 상기 두개 안내홀의 내측 에지 보다 높을 때, 편직되는 전체적인 패턴 외양이 표면 또는 정면은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로 이루어지고, 내측면 또는 배면은 Z사 또는 주요 부분으로서 Z사 및 작은 부분으로서 X사 더하기 Y사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X사, 상기 Y사 및 상기 C사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세개의 안내홀을 통해 독립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두개 안내홀 중의 하나의 외측 에지가 그 내측 에지 보다 높게 위치되며, 다른 두개의 안내홀의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가 동일 높이이고, 링을 형성하기 전에 반회전 과정에 의해 상기 X사는 상기 Y사와 상기 C사 보다 높게 위치되면, 직물은 표면 또는 정면 상의 Y사와 C사 및 내측면 또는 배면 상의 X사로 이루어지고, 다른 반회전 과정에 의해 상기 Y사, 상기 X사 및 상기 C사는 링을 형성하기 전에 동일 높이를 가지며, 직물은 표면 또는 내측면 및 정면 또는 배면 상에 불규칙 분포 패턴을 갖도록 동시에 형성되는 X사, Y사 및 C사로 이루어지고, 그 결과, 편직되는 전체 외양이 표면 또는 정면은 하나의 반회전 편직에 의한 Y사 더하기 C사 및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 Y사, C사 공존 패턴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면 또는 배면은 하나의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 더하기 Y사 및 C사 공존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반면, 상기 X사, 상기 Y사 및 상기 C사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세개의 안내홀을 통해 독립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두개 안내홀의 외측 에지가 그들의 내측 에지 보다 높게 위치되며, 중간에 위치된 안내홀의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가 동일 높이이고, 그에 따라, 링을 형성하기 전에 반회전 과정에 의해 상기 X사는 상기 Y사와 상기 C사 보다 높게 위치되며, 직물은 표면 또는 정면 상의 Y사 더하기 C사 및 내측면 또는 배면 상의 X사로 이루어지고, 다른 반회전 과정에 의해 링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Y사는 상기 X사와 상기 C사 보다 높게 위치되며, 직물은 표면 또는 정면 상의 X사 더하기 C사 및 내측면 또는 배면 상의 Y사로 이루어지고, 그 결과, 편직되는 전체 외양이 표면 또는 정면은 하나의 반회전 편직에 의한 Y사 더하기 C사 및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 더하기 C사로 이루어지고, 내측면 또는 배면은 하나의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 및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Y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X사, 상기 Y사 및 상기 C사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세개의 안내홀을 통해 독립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Z사가 상기 세개의 안내홀의 외측을 통해 공급되며, 상기 Z사의 높이가 상기 X사, 상기 Y사의 가장 높은 부분과 같거나, 상기 X사, 상기 Y사, 상기 C사 보다 약간 높은 경우,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두개 안내홀 중의 하나의 외측 에지가 그것의 내측 에지 보다 높고, 다른 두개의 안내홀의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가 동일 높이를 가질 때, 편직되는 전체 외양이 표면 또는 정면은 하나의 반회전 편직에 의한 Y사 더하기 C사 또는 X사 더하기 C사 및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 더하기 Y사 더하기 C사로 이루어지고, 내측면 또는 배면은 Z사 또는 Z사의 주요 부분과 X사의 작은 부분, Y사 더하기 C사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반면, 상기 X사, 상기 Y사 및 상기 C사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세개의 안내홀을 통해 독립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두개 안내홀의 외측 에지가 그들의 내측 에지 보다 높고, 중간에 위치된 안내홀의 외측과 내측 에지가 동일 높이를 가질 때, 편직되는 전체 외양이 표면 또는 정면은 하나의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 더하기 C사 또는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Y사 더하기 C사로 이루어지고, 내측면 또는 배면은 Z사 또는 Z사의 주요 부분과 X사의 작은 부분과 Y사 더하기 C사 패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을 편직하기 위한 사안내구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두개 또는 세개의 홀을 갖는 안내홀들; 을 포함하며, 길이방향에 따른 단면 형상에서, 상기 안내홀이 두개인 경우에는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상기 두개의 안내홀 중의 하나의 안내홀의 외측 에지가 그 내측 에지 보다 높고, 다른 하나의 안내홀의 외측과 내측 에지가 동일 높이를 가지며, 결과적으로, 상기 두개 안내홀들의 외측 에지들이 그들의 내측 에지들 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안내홀이 세개인 경우에는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두개 안내홀 중의 하나의 외측 에지가 그 내측 에지 보다 높게 위치되고, 다른 두개의 안내홀의 외측과 내측 에지가 동일 높이를 갖거나, 왼쪽과 오른쪽의 두개 안내홀의 외측 에지들이 그들의 내측 에지들 보다 높게 위치되며, 중간에 위치된 안내홀의 외측과 내측 에지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홀들은 통상의 사안내구의 사안내구 헤드나 통상의 부가사 안내구의 주사 안내구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두개의 안내홀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하나 또는 두개의 안내홀의 표면이 경사면 또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세개의 안내홀이 적용되는 경우, 왼쪽과 오른쪽의 두개 안내홀의 출구 중에서 그 하나의 표면이 경사면 또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고, 두개 안내홀의 출구 중의 다른 하나의 표면이 평면 형상이거나, 왼쪽과 오른쪽의 두개 안내홀의 출구 중에서 그 두개의 표면이 경사면 또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간에 위치된 안내홀의 표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안내홀과 보조사 홀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홀이 통상적인 사안내구의 주사 안내구 상에 설치되고, 상기 안내홀의 출구 표면이 경사 면 또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들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 기간에 대한 가닥의 '일회전(one turn)'(또는, 일꼬임(one twist))은, 위편기의 헤드가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오른쪽의 시작점으로부터 왼쪽으로 움직인 후 다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여 시작점으로 복귀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반회전(semi-turn)'(또는, 반꼬임(semi-twist))은 위편기의 헤드가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또는 일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움직이는 과정을 의미한다.
'X사', 'Y사', 'C사', 'Z사'는 각각 서로 다른 실을 나타낸다. 예컨대, 서로 다른 원료물질, 다른 재질, 다른 색상, 다른 반사성, 다른 수축률, 다른 흡수성, 다른 보온성, 다른 두께 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회전 X사'는 위편기의 헤드가 두개의 평행한 X사 패턴들을 형성하기 위해 왕복적인 움직임으로 작동함을 의미한다.
'반회전 X사'는 위편기의 헤드가 X사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헤드, '바늘(needle)', '바늘 지지대(needle board)', '사안내구' 및 '링(circle)'은 편직산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메인 보드(main board)는 바늘 지지대, 헤드, 바늘 및 다른 부속품들로 구성된다.
메인 보드는 헤드를 통해 왕복적으로 움직인다.
바늘 지지대는 바늘을 바늘 홈(needle groove) 내로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헤드의 삼각 도구(triangular device)는 헤드가 메인 보드의 레일(rail) 상에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움직일 때 링을 이루는 편직 과정을 종료하기 위해 바늘을 바늘 홈 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헤드는 외력에 의한 구동에 의해 바늘 레일(needle rail)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바늘 지지대 상에 설치된다.
헤드의 삼각 도구는 링을 이루는 편직 과정의 종료를 위해 바늘이 바늘 홈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바늘 후크(needle hook), 래치(latch) 또는 삽입 텅(tongue), 바늘 바(needle bar) 및 바늘 힐(needle heel)을 포함하는 바늘은 편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여러 코일(coil)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자동 개폐를 실시하는 래치 기능에 의해 홈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움직인다.
사안내구는 실이 바늘 후크 내로 정확히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상적인 사안내구의 구조를 보여주며, 여기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통상적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의 구조를 보여주며, 여기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의 구조를 보여주며, 여기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의 구조를 보여주며, 여기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의 구조를 보여주며, 여기서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편직되는 패턴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편직되는 패턴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a-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의 구조를 보여주며, 여기서 도 10a는 정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 대한 저면도이며, 도 10c는 사시도이다.
도 11a-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의 구조를 보여주며, 여기서 도 11a는 단면도이고, 도 11b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투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바 2 : 그루브
3 : 안내홀 4 : (사안내구) 헤드
5 : 주사 안내구 6 : 부가사 안내구
7 : 부가사 홀 8 : (안내홀) 내측 에지
9 : (안내홀) 외측 에지 10 : X사
11 : Y사 12 : 바늘
13 : (안내홀) 출구 14 : 바늘 지지대
15 : 계단 형상부 16 : X사 안내홀
17 : C사 안내홀 18 : Y사 안내홀
19 : C사 a : 경사면
b : 경사면 c : 편직기 헤드 이동방향
본 발명은 평형 위편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반회전 편직에 의해 X사와 Y사 패턴들의 외양을 갖도록 연속적으로 편직할 수 있다.
(Ⅰ) 도 3 및 도 6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는, 고정바(1), 그루브(2), 안내홀들(3), 사안내구 헤드(4)를 포함한다.
안내홀들(3)은 평행하게 위치되며, 왼쪽 안내홀(13)의 출구 표면은 경사진 경사면(a)으로 형성된다.
단면 형상에 있어, 출구 측에서 왼쪽 안내홀의 외측 에지는 내측 에지 보다 높게 형성되며, 오른쪽 안내홀의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X사(10)와 Y사(11) 두 가닥은 두개의 서로 평행한 안내홀들(3)을 통해 각기 공급되어 바늘 지지대(14) 상의 바늘(12)로 인입된다.
바늘(12) 헤드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c방향) 움직일 때, X사(10)는 반회전의 과정에서 Y사(11) 보다 높게 위치된다. 링을 이룬 후에 패턴은 정면 상의 Y사와 배면 상의 X사를 나타낸다.
바늘(12) 헤드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일 때, X사(10)와 Y사(11)는 반회전의 다른 과정에서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정면과 배면 양측의 패턴은 불규칙한 분포의 X사(10)와 Y사(11)의 공존 상태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편직 외양은 하나의 반회전 편직 과정의 X사 또는 Y사 패턴과 다른 반회전 편직 과정의 X사와 Y사가 공존하는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환언하면, 외양에 있어, 한 종류의 실은 약 2/3를, 그리고 다른 한 종류의 실은 약 1/3을 차지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및 동작 방법은 통상적인 사안내구에 적용되는 것과 유사하나 다음의 사항들이 유의되어야 한다.
(1) 사안내구와 클립(또는, 그리퍼) 간의 거리가 정확하게 설정된다면, 두 가닥의 실은 서로 꼬여질 수 없다.
(2) 스킵 드래프트(skip draft)는 적절한 텐션(tension)을 가져야 한다. 사 안내구와 바늘 간의 거리는 잘 조정될 것이다. 양측은 기본적으로 서로 일치될 필요가 있다.
(3) 사안내구로부터 바늘까지의 거리는 적정해야 한다. 왼쪽과 오른쪽 양측은 일치될 필요가 있다.
(4) 사안내구와 바늘 간의 수직방향 거리는 코팅이 부적당하게 실시되거나 런(run)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수준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안내구가 평형 위편기에 적용되면, 하나의 반회전 편직 과정에 의한 표면 상의 X사 패턴들과 다른 반회전 편직 과정에 의한 불규칙한 X사 또는 Y사 패턴들은 연속적으로 편직될 수 있다.
이것은 종래의 사안내구 및 방법들과 결합되면, 모든 종류의 니트웨어를 제조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Ⅱ) 도 4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안내구는, 고정바(1), 그루브(2), 안내홀들(3), 사안내구 헤드(4)를 포함하며, 여기서 안내홀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두개로 구비된다.
안내홀들(13)의 두개 출구의 표면은 경사진 경사면(b)으로 형성된다.
수직방향에 따른 단면도로부터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안내홀들의 두개 출구의 외측 에지들은 그들의 내측 에지 보다 높게 위치된다.
X사(10)와 Y사(11)의 두 가닥은 왼쪽과 오른쪽에 서로 평행하도록 위치된 두개의 안내홀들을 통해 공급되어, 바늘(12)로 인입된다.
바늘(12)은 바늘 지지대(14) 상에 위치된다.
X사(10)와 Y사(11)는 편직되기 위해 두개의 안내홀을 통해 각기 개별적으로 통과된다.
편직되는 전체적인 패턴 외양은 정면과 배면 양측 상의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로 보여질 수 있으며, 즉 하나의 반회전에 의한 X사와 다른 반회전에 의한 Y사로 보여질 수 있다.
그 외, 시험 동작 및 디버그(debug) 방법은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도 7은 헤드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c방향) 움직임에 따른 사안내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두개의 안내홀은 기기의 다른 타입 및 안내홀(8)의 내측 에지와 안내홀(9)의 외측 에지의 높이가 기기의 모델에 기반하여 설정되어야 함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안내구는 종래의 통상적인 사안내구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참조번호 10은 X사를, 11은 Y사를 나타내며, X사(10)와 Y사(11)는 왼쪽 안내홀(9)의 외측 에지와 오른쪽 안내홀(8)의 내측 에지를 통해 안내되면서 홀들을 통과한 후 링을 형성하기 위해 바늘(12)로 인입되며, 그에 따라 두개의 실 공급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헤드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편직되는 패턴은 하나 의 반회전 편직에 의한 배면 상의 X사와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정면 상의 Y사로 이루어지며, 즉 실과 사안내구의 교환 없이 계속적인 반복을 통해 편직되는 정면 상의 반회전 X사와 배면 상의 반회전 Y사로 이루어진다.
안내홀들의 두개 출구 측의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의 높이가 서로 다름에 따라 헤드가 왼쪽으로 움직이든 오른쪽으로 움직이든 그 이동 방향에 관계없이 계속적으로 패턴을 편직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의 패턴은 하나의 반회전에 의한 정면 상의 X사와 배면 상의 Y사 또는 다른 반회전에 의한 배면 상의 X사와 정면 상의 Y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표면 패턴들을 도 8과 도 9에 나타낸다.
안내홀들의 두개 출구의 내측과 외측 에지의 높이가 같기 때문에, X사와 Y사의 높이는 동일하며, 그에 따라 불규칙 X사의 패턴 또는 불규칙 Y사의 패턴이 반회전에 의해 편직될 수 있다.
도 8은 정면도이고, 도 9는 배면도이며, 본 발명은 옷 깃, 소매단과 같은 니트 및 옷을 편직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그 외, 시험 동작 및 디버그 방법은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사안내구 또는 통상적인 사안내구를 채택하여 니트웨어를 편직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컴퓨터 기반의 자카드 평직기 및 다른 여러 형태의 편직 방법이 몸체 상부, 소매, 옷 깃, 사이드 부분과 같은 부분적인 패션 디자인의 패턴을 형성하거나 어떠한 편직 방법과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전체적인 몸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원료물질들은 면, 폴리에스테르 파이버, 모, 캐시미어, 실크 함유 캐시미어를 포함하는 두 물질의 실, 새틴 염색, 한 가닥 또는 두 가닥진 X사와 Y사, 한 가닥의 X사와 Y사의 혼합물일 수 있다.
선택된 원료물질들은 개념 상, 아이디어 상, 수축, 손에 의해 감촉, 체 감각 및 감촉, 처짐감, 땀 흡수성, 보온성 등을 고려하여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가닥이 꼬인 실은 서로 결합되어 함께 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결과적으로 표면 상의 편직된 패턴들은 다른 수축률을 갖도록 균일하게 형성된다.
패턴 외양의 색에 대해 살펴 보면, 보조적으로 서로 다른 색이 적용될 수 있으며, 즉 X사는 밝은 청색으로 하고, Y사는 밝은 핑크색으로 하면, 일정 거리에서 해당 색들은 보여지지 않고 회색으로 보여질 수 있다. 즉, 새로운 색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광택성 및 형광성을 채택하면, 단색사 결합에 따른 넓은 영역은 옷의 넓은 부분이나 작은 부분과 함께 단부, 옷 깃, 소매, 옷단 부분에 적용 가능하다.
밴드(band), 칼라 스트립(color strip)은 컴퓨터 디자인 기능을 갖는 평형 위편기를 이용하여 편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안내구가 평형 위편기에 적용되면, 반회전 X사와 반회전 Y의 외양 패턴들은 실과 사안내구의 교환 없이 편직될 수 있다. 이것은 여러 종류의 의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Ⅲ) 도 5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는, 고정바(1), 그루브(2), 안내홀들(3), 부가사 안내구(6)를 포함하며, 여기서 부가사 안내구(6)는 서로 평행한 두개의 안내홀이 형성되는 주사 안내구(5)를 구비한다.
주사 안내구(5)와 부가사 안내구(6) 간의 갭은 보조사 홀(7)에 따라 결정된다.
도 6과 도 7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에 따른 단면 형상에 의하면, 안내홀들의 두개의 출구에서 하나 또는 모두의 외측 에지는 그것의 내측 에지 보다 높게 위치된다.
세 가닥의 실이 공급되는 경우, Z사의 높이는 항상 X사 및 Y사의 가장 높은 부분과 일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안내구를 이용하여 결과적으로 편직되는 패턴은 표면 또는 정면에서의 반회전 X사 또는 반회전 Y사 및, 내측면 또는 배면의 주요 부분(most part)(약 2/3)에서의 Z사 및, 내측면 또는 배면의 작은 부분(small part)(약 1/3)에서의 반회전 X사 또는 Y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다른 패턴들이 편직되므로, 그에 따른 효과도 당연히 차별화된다.
십핑 코드 또는 양면 시츄에이션(situation)은 표면 및 배면 상의 패턴들을 갖는다. 일면 시츄에이션은 정면 및 배면 상의 패턴들을 갖는다. 두가지 색을 갖는 두가지 종류의 원료물질은 탄성 나일론, 스판덱스 사를 포함하는 X사, Y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원료물질에 의해 편직되는 패턴들은 탄성 의류, 옷 깃, 소매 단, 의류의 단추 또는 단추 구멍 주위의 앞 부분, 옷단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통상적이거나 다른 사안내구 및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사안내구와 또한 결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을 달성할 수 있다.
홀을 통해 실을 바늘에 꿰는 방법은 주사 안내구 외측의 보조사 홀(7)이 Z사를 꿰는데 이용되고, 주사 안내구 상의 두개의 안내홀이 X사와 Y사를 꿰는데 이용된다.
디버그 방법은 안내홀들을 통해 실을 꿰는 방법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및 제2 실시예를 동일하게 참조 가능하며,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을 꿰는 방법은 보조사 홀(7)의 외측이 X사, Y사, 스판덱스 사, 나일론 사와 다른 텐션을 갖는 Z사를 꿰는데 이용된다는 것이다.
다른 두개의 안내홀들이 주사의 두 종류로서의 X사와 Y사를 꿰는데 이용된다.
세 가닥의 실이 채용될 때, Z사는 항상 X사 및 Y사 보다 약간 높게 위치된다.
본 발명의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의 채용에 의해 편직되는 패턴 또는 3차원 조직은 반회전 X사와 반회전 Y사로 표면 또는 정면이 구성되고, 내측면 또는 배면은 모두 Z사로 구성된다.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하나의 안내홀의 외측 에지가 안내홀의 내측 에지 및 다른 하나의 안내홀의 외측 에지 보다 높게 위치됨과 아울러, 그것의 내측 에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때, 편직되는 전체적인 외양 패턴은 표면 또는 정면 상의 하나의 반회전에 의한 X사, 내측면 또는 배면 상의 다른 반회전(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에 의한 X사와 Y사 및, 하나의 반회전에 의한 Y사, 다른 반회전(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에 의한 X사와 Y사, 내측면 또는 배면 상의 Z사 또는 2/3 정도의 Z사와 1/3 정도의 X사와 Y사(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로 이루어진다.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두개의 안내홀의 외측 에지들이 모두 내측 에지들 보다 높게 위치될 때, 편직되는 전체적인 외양 패턴은 표면 또는 정면은 반회전 X사 또는 반회전 Y사로 이루어지고, 내측면 또는 배면은 Z사 또는 주요 부분의 Z사와 작은 부분의 X사 더하기 Y사로 이루어진다.
(Ⅳ) 도 10a-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는 상기한 제2 실시예의 것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다.
해당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는, 고정바(1), 안내홀(3), 사안내구 헤드(4), 계단 형상부(15)를 포함하며, 여기서 계단 형상부(15)는 안내홀(13)의 출구 측 표면 상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안내홀(13)의 출구 측은 계단 형상을 갖는다.
안내홀들(13)의 두개의 출구에서 안내홀(9)의 외측 에지는 안내홀(8)의 내측 에지 보다 높게 위치된다.
편직을 위해 X사와 Y사의 두 가닥은 각기 서로 평행하게 왼쪽과 오른쪽에 위치된 두개의 안내홀(3)을 통해 안내되면서 공급되며, 편직되는 패턴들은 정면 및 배면 상의 하나의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 또는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Y사로 이루어지며, 즉 반회전 X사 또는 반회전 Y사의 외양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버그 방법은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참조될 수 있다.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두개 안내홀들의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의 높이가 서로 같지 않음에 따라, 링을 형성한 후에 편직되는 패턴은 바늘 헤드의 움직임 방향에 관계없이 정면 상의 X사, 배면 상의 반회전 Y사 또는 정면 상의 Y사 또는 배면 상의 반회전 X사로 이루어진다.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두개의 안내홀들의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의 높이가 서로 동일함과 함께, X사와 Y사가 같은 높이를 가질 때, 편직되는 패턴은 불규칙적인 반회전 효과를 갖는 X사 또는 Y사로 이루어진다.
(Ⅴ) 도 11a-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는 상기한 제2 실시예의 것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다.
해당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는, 고정바(1), 사안내구 헤드(4), 바늘(12) 및 X사 안내홀(16), C사 안내홀(17), Y사 안내홀(18)를 갖는 안내홀들을 포함한다.
세개의 안내홀들의 단면 형상을 참조하면,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왼쪽과 오 른쪽의 두개의 안내홀들의 하나의 외측 에지는 그것의 내측 에지 보다 높게 위치되며, 해당 두개의 안내홀들의 다른 두개의 외측 에지는 동일한 높이를 갖거나, 해당 두개의 안내홀들의 두개의 외측 에지들은 그들의 내측 에지 보다 높게 위치되며, 중간에 위치된 하나의 안내홀의 두개의 에지들은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세개의 안내홀을 통해 X사, Y사, C사가 각기 개별적으로 공급될 때, 왼쪽과 오른쪽에 위치된 두개의 안내홀에서 하나의 외측 에지는 그것의 내측 에지 보다 높게 위치되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그 외 두개의 안내홀의 외측과 내측 에지들은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링을 형성하기 전에 반회전 과정에서 X사는 Y사와 C사 보다 높게 위치되며, 편직물은 정면 상의 Y사, C사(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 배면 상의 Y사로 형성된다. 다른 반회전 편직에 따라 Y사, X사, C사는 링을 형성하기 전에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편직물은 정면과 배면이 불규칙한 분포를 갖는 X사, Y사, C사의 공존 상태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편직 외양은 표면과 정면은 반회전 편직(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에 의한 Y사와 C사 또는 다른 반회전 편직(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에 의한 X사, Y사 및 C사의 공존 상태로 이루어지며, 내측면과 배면 측의 패턴은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와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Y사와 C사의 공존 상태(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로 이루어진다.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세개의 안내홀을 통해 X사, Y사, C사가 각기 개별적으로 공급될 때,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두개 안내홀의 외측 에지들 은 그들의 내측 에지들 보다 높게 위치되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중간에 위치된 안내홀의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링을 형성하기 전에 반회전 과정에서 X사는 Y사와 C사 보다 높게 위치되며, 편직물은 정면이 Y사와 C사(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로 형성되고, 배면 측 패턴이 X사로 형성된다.
다른 반회전 편직 과정에 따라, Y사는 링을 형성하기 전에 X사 및 C사 보다 높게 위치되며, 편직물은 정면이 X사와 C사(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로 형성되고, 배면이 Y사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편직되는 전체 외양은 표면 또는 정면은 하나의 반회전 편직(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에 의한 Y사와 C사 및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와 C사로 이루어진다.
내측면 또는 배면의 패턴은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와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Y사로 이루어진다.
도 11a는 헤드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즉, c방향으로 움직일 때에 대한 단면도이며, 여기서 안내홀은 기기의 종류에 따라 설계되며, 안내홀(8)의 내측 에지와 안내홀(9)의 외측 에지의 높이는 기기의 모델을 기반하여 설계된다.
도면 참조번호 10은 X사, 11은 Y사, 19는 C사를 나타내며, 이들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세개의 안내홀들(X사 안내홀(16), Y사 안내홀(18), C사 안내홀(17)을 통해 공급되며, X사(10)와 Y사(11)는 왼쪽 안내홀(9)의 외측 에지와 오른쪽 안내홀(8)의 내측 에지에 의해 안내되면서 홀을 통과한 다음, 바늘(12)로 인입되며, 그것에 의해 두개의 서로 다른 실 공급 각도가 창출된다.
헤드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편직되는 패턴들은 배면 상의 반회전 X사, 정면 상의 반회전 Y사로 이루어진다. 반면, 헤드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편직되는 패턴들은 정면 상의 반회전 X사 더하기 C사, 배면 상의 반회전 Y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과정은 실이나 사안내구의 교환 없이 실시될 수 있다.
안내홀들의 두개의 출구에서의 외측 에지들과 내측 에지들의 높이가 서로 다름에 따라, 헤드 움직임 방향에 관계 없이, 패턴을 편직하는 것이 가능하며, 편직되는 패턴은 정면 상의 X사와 C사, 하나의 반회전에 의한 배면 상의 Y사 또는 정면 상의 Y사와 C사, 다른 반회전에 의한 배면 상의 X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사안내구는 실을 꿰기 위한 다음의 네가지 조건들에 따라서 하나 또는 두개의 안내홀을 통해 실을 안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1) C사, (2) X사와 Y사, (3) C사와 X사 또는 C사와 Y사, (4) X사, Y사 및 C사.
(Ⅵ) 도 1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는 상기한 제3 실시예의 것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다.
해당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는, 고정바(1), 부가사 안내구(6), X사 안내홀(16), C사 안내홀(17), Y사 안내홀(18)을 포함한다.
부가사 안내구(6)는 세개의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안내홀들(X사 안내홀(16), C사 안내홀(17) 및 Y사 안내홀(18))을 구비하는 주사 안내구(5)를 갖는다.
주사 안내구(5)와 부가사 안내구(6)(즉, 부가사 홀(7)) 간에는 갭이 존재한다.
X사, Y사 및 C사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세개의 안내홀을 통해 각기 공급되며, Z사는 세개의 안내홀들의 외측으로 공급된다. Z사의 높이는 X사 및 Y사의 가장 높은 부분과 비교하여 차이를 갖지 않는다.
이러한 사안내구는 실의 공급을 위해 X사 안내홀(16), C사 안내홀(17), Y사 안내홀(18) 및 보조사 홀(7)을 채용한다.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왼쪽과 오른쪽에 위치된 두개의 안내홀 중에서 하나의 것의 외측 에지가 그것의 내측 에지 보다 높게 위치될 때, 다른 두개의 안내홀의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예컨대, 반회전 과정 중의 X사는 Y사 및 C사 보다 높게 위치된다. 다른 반회전 과정에 따라 Y사, X사 및 C사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편직에 따른 전체적인 외양은 표면 또는 정면은 하나의 반회전 편직에 의한 Y사와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C사(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 분포)와 X사, Y사와 C사의 공존 상태(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 분포)로 형성된다. 반면, 내측면 또는 배면의 패턴은 약 2/3 정도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는 Z사와 약 1/3 정도의 작은 부분을 차지하는 X사 더하기 Y사와 C사 공존 상태(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로 형성된다.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세개의 안내홀을 통해 X사, Y사 및 C가 각기 개별적으로 공급될 때,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왼쪽과 오른쪽에 위치된 두개 안내홀의 외측 에지들은 그들의 내측 에지들 보다 높게 위치되고, 중간에 위치된 안내홀의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는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즉 반회전 과정에 따른 X사가 Y사와 C사 보다 높게 위치된다. 다른 반회전 과정에 따라 Y사는 X사와 C사 보다 높게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편직에 따른 전체적인 외양은 표면 또는 정면은 하나의 반회전 편직(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 분포)에 의한 X사와 C사,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Y사와 C사(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 분포)로 형성된다. 반면, 내측면 또는 배면의 패턴은 약 2/3 정도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는 Z사와 약 1/3 정도의 작은 부분을 차지하는 X사 더하기 Y사와 C사 공존 상태(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로 형성된다.
이들 중에서 표면과 내측면은 십핑 코드 또는 양면 패턴이다. 정면과 배면은 싱글 또는 리브(rib) 패턴 또는 3차원 조직이다.
재질은 스판덱스 사, 나일론 사, 탄성 사 또는 X사, Y사 및 C사의 세가지 색상을 포함하는 세가지 종류의 실 재질로 각기 채택될 수 있다. 패턴들은 탄성 의류 또는 옷 깃, 소매, 단추 및 단추 구멍 측 부분과 같은 의류의 정면부, 하부측 옷단과 같은 보조물을 편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보다 다양한 스타일을 설계하고, 예상되지 않은 효과를 갖는 편직물을 편직할 수 있도록 다른 통상적인 사안내구 또는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일반적인 사안내구 또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홀을 통해 실을 꿰는 방법은 주사 안내구 외측의 보조사 홀(7)이 Z사를 꿰기 위한 것이고, 주사 안내구 상의 세개의 안내홀들이 X사, Y사 및 C사를 꿰기 위한 것이다.
디버그 방법은 안내홀들을 통해 실을 꿰는 방법을 제외하고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안내구를 동일하게 참조 가능하며,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을 꿰는 방법은 보조사 홀(7)의 외측이 X사, Y사 및 C사와 다른 텐션을 갖는 Z사를 꿰기 위한 것이다. 스판덱스 사, 나일론 사가 일반적으로 채용된다. 다른 세개의 안내홀들은 X사, Y사 및 C사의 세개의 주사를 꿰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안내구는 편직을 위해 실을 꿰기 위한 다음의 열두가지 조건들에 따라서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하나 또는 두개 또는 세개의 안내홀을 통해 실을 안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1) Z사와 X사, (2) Z사와 Y사, (3) Z사, X사 및 Y사, (4) Z사, C사 및 Y사, (5) Z사, C사 및 X사, (6) Z사와 C사, (7) C사, (8) X와 C사, (9) Y사와 C사, (10) X사와 Y사, (11) Z사, X사, Y사 및 C사, (12) X사, Y사 및 C사.
도 1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사안내구와 비교하여 제7 실시예에 따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는 다음과 같다.
안내홀(3)이 주사 안내구(5) 상에 형성된다. 안내홀(13)의 출구 표면은 경사면(또는, 계단 형상)으로 변경되며, 즉 안내홀들(높이는 고정바(1) 상에 구비된 부가사 안내구(6)와 같음)의 왼쪽과 오른쪽 두개에서 일측의 것은 다른 측의 것 보다 높게 위치된다.
편직되는 전체적인 외양은 표면 또는 정면은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와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와 Z사로 이루어진다. 반면, 내측면 또는 배면은 반회전 편직에 따른 Z사와 다른 반회전 편직에 따른 X사 더하기 Z사로 이루어진다.
1.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이 하나의 반회전에 의한 X사와 다른 반회전에 의한 Y사로 이루어거나, 약 2/3 정도의 주요 부분이 X사이고 약 1/3 정도의 작은 부분이 Y사이거나, 주요 부분이 반회전에 의한 X사와 C사 및 다른 반회전에 의한 Y사와 C사이거나, 외양 패턴이 상기한 다양한 패턴들을 포함하고 내측면이 Z사로 이루어지는 편직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실과 사안내구의 교환 없이 반회전 기술을 이용하여 실을 연속적으로 편직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평형 위편기가 제공될 수 있다.
2.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하나의 안내홀의 외측과 내측의 에지들의 높이가 서로 다르고, 안내홀의 에지들의 또 하나의 높이가 서로 동일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보통의 보조사 편직 기능과 동일한 정도의 효율성이 제공될 수 있도록, 실이나 사안내구의 교환 없이 하나의 반회전에 의한 X사 또는 Y사의 규칙적 패턴과 다른 반회전에 의한 X사 더하기 Y사의 불규칙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사안내구(도 3)가 평형 위편기에 적용될 수 있다.
3. 본 발명에 따르면, 보통의 부가사 안내구처럼 두개의 안내홀을 통해 X사와 Y사를 이끄는 편직 방법들을 위한 사안내구(도 4, 도 10a-c)가 플레인(plain) 위편기에 적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이나 사안내구의 교환이나 사안내구의 교환 주기를 작업자가 기억할 필요 없이 표면과 배면 상에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가 형성되는 3차원 직물을 편직할 수 있다.
외양에서 색상을 갖는 직물을 위한 '반회전'은 색상을 위한 '일회전'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며, 직관적으로 반회전의 색상 변환은 섬세한 작업이고, 다른 원료물질들, 다른 재질, 다른 색상, 다른 반사성, 다른 수축률, 다른 흡수성 및 보온성을 위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새로운 개념, 새로운 아이디어, 진보된 외양, 좋은 촉감을 갖는 완전히 새로운 제품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안내구는 보통의 사안내구, 부가사 안내구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다양한 스타일의 의류 등을 디자인할 수 있도록 컴퓨터 편직기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사안내구는 반회전 편직을 달성하기 위해 기기류들을 사용하는 것에 변경될 수 있다. 기계적 및 수동적 양 측면에서 비용은 수배에서 10배 정도로 매우 높으며, 제품 불량률도 매우 높다. 본 발명은 외양이 서로 같지 않은 다양한 패턴들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즉, 각각은 1×1 니들, 2×2 니들과 같은 단면 조직과 같은 독자적인 스타일을 갖는다.
4. 본 발명에 따른 사안내구(도 5)가 플레인(plain) 위편기에 적용되면, X사와 Y사는 두개의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안내홀들을 통해 각기 공급되며, Z사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안내홀들의 외측 또는 주사 안내구의 외측을 통해 공급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조사 공급 기능을 갖는 사안내구가 핑(Ping) 위편기에 적용됨에 있어, 실의 교환을 필요로 하지 않음과 아울러, 표면 또는 정면에서의 하나의 반회전에 의한 X사 또는 Y사, 내측면 또는 배면에서의 다른 반회전에 의한 Z사를 연속적으로 편직하기 위한 사안내구의 변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5. 본 발명에 따른 사안내구(도 11a-b)는 플레인(plain) 위편기에 적용될 수 있다. X사, Y사 및 Z사는 실 및 사안내구의 교환 없이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세개의 안내홀들을 통해 각기 개별적으로 공급된다. 보통의 통상적인 보조사 편직 기능과 비교하여 동일한 효율성으로, 정면 또는 표면 상의 하나의 반회전(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에 의한 X사 더하기 C사와 배면 또는 내측면 상의 Y사, 또는 정면 또는 표면 상의 다른 반회전(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에 의한 Y사 더하기 C사와 배면 또는 내측면 상의 X사의 연속적인 편직이 가능하다.
6. 본 발명에 따른 사안내구(도 12)가 핑 위편기에 적용되면, 실 및 사안내구의 교환 없이, X사, Y사 및 C사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세개의 안내홀들을 통해 각기 개별적으로 공급되며, Z사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세개의 안내홀들의 외측을 통해 공급된다.
표면 또는 정면에서의 하나의 반회전(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에 의한 X사 더하기 C사, 다른 반회전에 의한 Y사 더하기 C사 그리고 내측면 또는 배면에서의 Z사 또는 주요 부분(약 2/3)의 Z사와 작은 부분(약 1/3)의 반회전 X사 또는 반회전 Y사(실 두께에 따라 규칙 없음), 그와 다르게 표면 또는 정면에서의 하나의 반회전(실 두께에 따라 불규칙)에 의한 Y사 더하기 C사 또는 X사 더하기 C사, 다른 반회전에 의한 X사 더하기 Y사 더하기 C사 그리고 내측면 또는 배면에서의 Z사 또는 주요 부분(약 2/3)의 Z사와 작은 부분(약 1/3)의 X사, Y사 및(또는) C사(실 두께에 따라 규칙 없음)로 이루어지는 연속적인 편직이 가능하다. 이것은 보통의 보조사 편직 기술과 비교하여 동일한 효율성을 갖는다.
7. 본 발명을 다른 패턴 또는 옷 깃, 소매단, 커프, 단추 또는 단추 구멍 주위의 의류 정면부, 포켓과 같은 3차원 조직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다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단면 제품의 정면과 배면 측 패턴들은 서로 다른 촉감을 가질 수 있다.

Claims (10)

  1. X사와 Y사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두개의 안내홀을 통해 독립적으로 공급되거나,
    택일적으로, X사, Y사 및 C사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세개의 안내홀을 통해 독립적으로 공급되며,
    Z사가 상기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두개 또는 세개의 안내홀의 외측을 통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을 편직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사와 Y사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두개의 안내홀을 통해 독립적으로 공급되며,
    상기 두개의 안내홀은 주사 안내홀과 보조사 홀로서 이용되되,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하나의 안내홀의 외측 에지가 상기 안내홀의 내측 에지 보다 높게 위치되고, 다른 안내홀의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의 높이가 동일한 조건 하에서,
    링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X사가 상기 Y사 보다 높게 위치되면, 패턴이 표면 또는 정면 상의 Y사와 내측면 또는 배면 상의 X사로 이루어지며;
    링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Y사가 상기 X사 보다 높게 위치되면, 패턴이 표면 또는 정면 상의 X사와 내측면 또는 배면 상의 Y사로 이루어지며;
    다른 반회전 편직에서 상기 X사와 상기 Y사가 동일 높이를 가지면, 링을 형성한 후에 패턴이 X사와 Y사로 동시에 불규칙 분포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그 결과, 전체적인 편직 외양이 하나의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 또는 Y사 패턴과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와 Y사의 공존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반면,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상기 안내홀들의 외측 에지들이 상기 두개 안내홀들의 내측 에지들 보다 높게 위치되는 조건 하에서,
    링을 형성하기 전에 반회전 편직에서 상기 X사가 상기 Y사 보다 높게 위치되면, 패턴이 표면 또는 정면 상의 Y사와 내측면 또는 배면 상의 X사로 이루어지며;
    링을 형성하기 전에 반회전 편직에서 상기 Y사가 상기 X사 보다 높게 위치되면, 패턴이 표면 또는 정면 상의 X사와 내측면 또는 배면 상의 Y사로 이루어지며;
    그 결과, 전체적인 편직 외양이 반회전 X사와 반회전 Y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을 편직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사와 상기 Y사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두개의 상기 안내홀을 통해 독립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Z사가 상기 두개의 안내홀의 외측을 통해 공급되며, 상기 Z사의 높이가 상기 X사 또는 상기 Y사의 가장 높은 부분과 같거나, 상기 X사와 상기 Y사 보다 약간 높은 경우,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하나의 안내홀의 외측 에지가 그 내측 에지 보다 높고, 다른 안내홀의 외측 에지가 그 내측 에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때,
    편직되는 전체적인 패턴 외양이 표면 또는 정면은 반회전 X사, 반회전 X사 더하기 Y사 또는 반회전 Y사, 반회전 X사 더하기 Y사로 이루어지고, 내측면 또는 배면은 Z사 또는 주요 부분으로서 Z사 및 작은 부분으로서 X사 더하기 Y사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한편,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상기 두개 안내홀의 외측 에지가 상기 두개 안내홀의 내측 에지 보다 높을 때,
    편직되는 전체적인 패턴 외양이 표면 또는 정면은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로 이루어지고, 내측면 또는 배면은 Z사 또는 주요 부분으로서 Z사 및 작은 부분으로서 X사 더하기 Y사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을 편직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사, 상기 Y사 및 상기 C사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세개의 안내홀을 통해 독립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두개 안내홀 중의 하나의 외측 에지가 그 내측 에지 보다 높게 위치되며, 다른 두개의 안내홀의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가 동일 높이이고,
    링을 형성하기 전에 반회전 과정에 의해 상기 X사는 상기 Y사와 상기 C사 보다 높게 위치되면,
    직물은 표면 또는 정면 상의 Y사와 C사 및 내측면 또는 배면 상의 X사로 이루어지고,
    다른 반회전 과정에 의해 상기 Y사, 상기 X사 및 상기 C사는 링을 형성하기 전에 동일 높이를 가지며,
    직물은 표면 또는 내측면 및 정면 또는 배면 상에 불규칙 분포 패턴을 갖도록 동시에 형성되는 X사, Y사 및 C사로 이루어지고,
    그 결과, 편직되는 전체 외양이 표면 또는 정면은 하나의 반회전 편직에 의한 Y사 더하기 C사 및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 Y사, C사 공존 패턴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면 또는 배면은 하나의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 더하기 Y사 및 C사 공존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반면, 상기 X사, 상기 Y사 및 상기 C사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세개의 안내홀을 통해 독립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두개 안내홀의 외측 에지가 그들의 내측 에지 보다 높게 위치되며, 중간에 위치된 안내홀의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가 동일 높이이고,
    그에 따라, 링을 형성하기 전에 반회전 과정에 의해 상기 X사는 상기 Y사와 상기 C사 보다 높게 위치되며,
    직물은 표면 또는 정면 상의 Y사 더하기 C사 및 내측면 또는 배면 상의 X사로 이루어지고,
    다른 반회전 과정에 의해 링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Y사는 상기 X사와 상기 C 사 보다 높게 위치되며,
    직물은 표면 또는 정면 상의 X사 더하기 C사 및 내측면 또는 배면 상의 Y사로 이루어지고,
    그 결과, 편직되는 전체 외양이 표면 또는 정면은 하나의 반회전 편직에 의한 Y사 더하기 C사 및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 더하기 C사로 이루어지고, 내측면 또는 배면은 하나의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 및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Y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을 편직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사, 상기 Y사 및 상기 C사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세개의 안내홀을 통해 독립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Z사가 상기 세개의 안내홀의 외측을 통해 공급되며, 상기 Z사의 높이가 상기 X사, 상기 Y사의 가장 높은 부분과 같거나, 상기 X사, 상기 Y사, 상기 C사 보다 약간 높은 경우,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두개 안내홀 중의 하나의 외측 에지가 그것의 내측 에지 보다 높고, 다른 두개의 안내홀의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가 동일 높이를 가질 때,
    편직되는 전체 외양이 표면 또는 정면은 하나의 반회전 편직에 의한 Y사 더하기 C사 또는 X사 더하기 C사 및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 더하기 Y사 더하기 C사로 이루어지고, 내측면 또는 배면은 Z사 또는 Z사의 주요 부분과 X사의 작은 부 분, Y사 더하기 C사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반면, 상기 X사, 상기 Y사 및 상기 C사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세개의 안내홀을 통해 독립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두개 안내홀의 외측 에지가 그들의 내측 에지 보다 높고, 중간에 위치된 안내홀의 외측과 내측 에지가 동일 높이를 가질 때,
    편직되는 전체 외양이 표면 또는 정면은 하나의 반회전 편직에 의한 X사 더하기 C사 또는 다른 반회전 편직에 의한 Y사 더하기 C사로 이루어지고, 내측면 또는 배면은 Z사 또는 Z사의 주요 부분과 X사의 작은 부분과 Y사 더하기 C사 패턴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을 편직하는 방법.
  6.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두개 또는 세개의 홀을 갖는 안내홀들; 을 포함하며,
    길이방향에 따른 단면 형상에서, 상기 안내홀이 두개인 경우에는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상기 두개의 안내홀 중의 하나의 안내홀의 외측 에지가 그 내측 에지 보다 높고, 다른 하나의 안내홀의 외측과 내측 에지가 동일 높이를 가지며, 결과적으로, 상기 두개 안내홀들의 외측 에지들이 그들의 내측 에지들 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안내홀이 세개인 경우에는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두개 안내홀 중의 하나의 외측 에지가 그 내측 에지 보다 높게 위치되고, 다른 두개의 안내홀의 외측과 내측 에지가 동일 높이를 갖거나, 왼쪽과 오른쪽의 두개 안 내홀의 외측 에지들이 그들의 내측 에지들 보다 높게 위치되며, 중간에 위치된 안내홀의 외측과 내측 에지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을 편직하기 위한 사안내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홀들은 통상의 사안내구의 사안내구 헤드나 통상의 부가사 안내구의 주사 안내구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을 편직하기 위한 사안내구.
  8. 제 6 항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두개의 안내홀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안내홀의 출구 측에서 하나 또는 두개의 안내홀의 표면이 경사면 또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을 편직하기 위한 사안내구.
  9. 제 6 항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세개의 안내홀이 적용되는 경우,
    왼쪽과 오른쪽의 두개 안내홀의 출구 중에서 그 하나의 표면이 경사면 또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고, 두개 안내홀의 출구 중의 다른 하나의 표면이 평면 형상이거나,
    왼쪽과 오른쪽의 두개 안내홀의 출구 중에서 그 두개의 표면이 경사면 또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간에 위치된 안내홀의 표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을 편직하기 위한 사안내구.
  10. 제 6항에 있어서,
    안내홀과 보조사 홀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홀이 통상적인 사안내구의 주사 안내구 상에 설치되고,
    상기 안내홀의 출구 표면이 경사 면 또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을 편직하기 위한 사안내구.
KR1020087013318A 2005-11-02 2006-10-23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의 편직 방법 및 그사안내구 KR101029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B2005100476131A CN100368614C (zh) 2005-11-02 2005-11-02 能编织出半转是x纱半转是y纱结构组织的方法
CN200510047613.1 2005-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904A true KR20080068904A (ko) 2008-07-24
KR101029274B1 KR101029274B1 (ko) 2011-04-18

Family

ID=36760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318A KR101029274B1 (ko) 2005-11-02 2006-10-23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의 편직 방법 및 그사안내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54114B2 (ko)
EP (1) EP1964954A4 (ko)
KR (1) KR101029274B1 (ko)
CN (2) CN100368614C (ko)
WO (1) WO20070513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5351B2 (en) * 2010-11-16 2016-02-09 Velcro Industries B.V. Knitting with yarns of differing stretch properties
CN102493111A (zh) * 2011-12-08 2012-06-13 四川省纺织科学研究院 一种多组分原料的单层针织物的复合成型方法
WO2017189530A2 (en) * 2016-04-27 2017-11-02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raiding multiple ends into a braided structure
CN106868655B (zh) * 2017-04-13 2023-09-26 江西省山星纺机实业有限公司 一种环锭纺细纱机叶子板式的假捻装置
CN108179540B (zh) * 2018-02-09 2023-05-16 福建睿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纱嘴组件以及横机
TWI724452B (zh) * 2019-07-09 2021-04-11 佰龍機械廠股份有限公司 可變換紗線位置的緯編機針織結構
CN111118723B (zh) * 2020-01-15 2024-04-26 中山龙族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起底板抽送丝装置
TWI739310B (zh) * 2020-02-19 2021-09-11 王子明 喂紗裝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89411863A (en) * 1894-06-19 1894-07-21 Gustav Friedrich Grosser Improvements in or connected with Knitting Machines.
DE441766C (de) * 1926-04-16 1927-03-12 Kurt Plaschke Fa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reifaediger Plattierware auf flachen Kulierwirkstuehlen
US1745619A (en) * 1928-03-15 1930-02-04 Standard Trump Bros Machine Co Process of knitting plated fabrics
US1811849A (en) * 1928-04-20 1931-06-30 Standard Trump Bros Machine Co Process of knitting plated fabric
US3157035A (en) * 1962-07-30 1964-11-17 M K M Knitting Mills Inc Plating attachment for knitting machine
US3757537A (en) * 1971-02-23 1973-09-11 O York Knitting machine
CH532145A (de) * 1971-05-24 1972-12-31 Tesalon Anstalt Vorrichtung für die Erzeugung von gemusterten Strickwaren
US3800564A (en) * 1971-10-13 1974-04-02 Pilot Res Corp Yarn pl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3826110A (en) * 1972-04-03 1974-07-30 Oakdale Knitting Co Yarn feeding and control mean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FR2277918A1 (fr) * 1974-07-08 1976-02-06 Caulliez & Delaoutre Procede et dispositif d'alimentation de metiers a tricoter par au moins trois fils (simples ou retors) simultanes et tricots ainsi obtenus
GB2033931B (en) 1977-10-08 1982-07-07 Ramaswamy S Weft knitting
DE3324245C2 (de) * 1983-07-06 1986-03-20 Memminger Gmbh, 7290 Freudenstadt Fadenzufuhreinrichtung für Strick- oder Wirkmaschinen
US4998418A (en) * 1988-08-08 1991-03-12 Knittex Fashions, Inc. Feed finger for knitting machines
JPH0949154A (ja) * 1995-08-07 1997-02-18 Takeshi Yamamura 横編み機による柄出し方法、およびそれ用の横編み機のキャリア装置
CN2258504Y (zh) 1996-01-16 1997-07-30 萧世贤 针织机用喂纱头
CN1236834A (zh) * 1998-05-27 1999-12-01 陈焕光 导纱嘴及其制造方法
TW394272U (en) 1998-06-24 2000-06-11 Chin Lam Knitting Entpr Co Ltd Yarn feeder structure improvement for knitting machine
IL141796A0 (en) * 1998-09-14 2002-03-10 Du Pont Adjustable plating yarn carrier assembly for knitting plated fabric
CN2396077Y (zh) 1999-10-27 2000-09-13 李义有 针织机导纱梭
WO2001040560A1 (en) 1999-11-30 2001-06-07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lating yarn carrier assembly
CN2405944Y (zh) * 1999-12-01 2000-11-15 李宾 双眼导纱片
CN2435414Y (zh) * 2000-03-03 2001-06-20 张光远 一种针织横机的双导纱梭嘴
EP1176243A1 (de) 2000-07-29 2002-01-30 Terrot Strickmaschinen GmbH Rundstrickmaschine
JP2002088624A (ja) * 2000-09-13 2002-03-27 Hiroshi Setsukawa 横編み機のヤーンフィーダ及びヤーンフィーダを用いた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2003013343A (ja) * 2001-07-02 2003-01-15 Hiroshi Setsukawa 横編機における給糸装置、縞柄を有する筒状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WO2003010378A1 (fr) * 2001-07-24 2003-02-06 Shima Seiki Mfg., Ltd. Dispositif d'alimentation de fil d'un metier trame et procede d'alimentation de fil destine a un tel metier
JP2003055866A (ja) * 2001-08-20 2003-02-26 Hakuryu Kikaisho Kofun Yugenkoshi 丸編み機の給糸器の構造
JP2003183952A (ja) 2001-12-12 2003-07-03 Maruwa Knit Co Ltd シングルニット編地、丸編機の編針、および編成方法
CN1252335C (zh) * 2002-04-02 2006-04-19 大渝机械(厦门)有限公司 针织机的喂纱器
CN1485484A (zh) 2002-09-29 2004-03-31 萧世贤 横编织机的喂纱器
CN2583137Y (zh) * 2002-09-29 2003-10-29 萧世贤 横编织机的喂纱器
US7036342B1 (en) * 2005-09-19 2006-05-02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Yarn fe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44573A1 (en) 2009-02-19
CN100368614C (zh) 2008-02-13
US7654114B2 (en) 2010-02-02
KR101029274B1 (ko) 2011-04-18
CN1772991A (zh) 2006-05-17
EP1964954A1 (en) 2008-09-03
WO2007051398A1 (fr) 2007-05-10
EP1964954A4 (en) 2012-08-22
CN101297070A (zh)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274B1 (ko)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의 편직 방법 및 그사안내구
CN103541146B (zh) 一种双色或多色提花经编布的形成方法及其形成的经编布
CN103556384B (zh) 一种单色或多色双层间隔提花经编布及其编织方法
WO2023005780A1 (zh) 隔针技术编织全成形产品的工艺方法
CN107794621A (zh) 一种隐藏提字松紧织带的制造方法
CN101979741A (zh) 提花毛绒织物的生产方法
CN104452075A (zh) 一种经编双色成形鞋面的制作方法
CN102953224A (zh) 碳纤维经编不到绒面料的制造方法
CN205636025U (zh) 单面可呈色彩变换的双层网布
CN110938933A (zh) 具有形状记忆功能的纤维制品及其制备方法
CN110512342A (zh) 一种纬编单面褶皱高弹面料及生产工艺
CN108790332A (zh) 一种水滴形网孔网布及制作方法
CN211142440U (zh) 一种缝盘机挂衣针
KR101888462B1 (ko) 기능성 편직물용 환편기
CN205152528U (zh) 一种新型牛仔面料
JP7121228B2 (ja) 巻き縫い掛合による彩色糸の織物、編物の製造方法
Fayez et al. Advanced Technology in Fabric Manufacturing
CN218749693U (zh) 高强度针织面料
CN104911783A (zh) 一种纺织布料及其纺织工艺
CN202989470U (zh) 一种带有花版编织装置的针织机
CN213476447U (zh) 一种新型复合绣花面料
CN200974899Y (zh) 一种能编织出半转有x纱半转有y纱结构组织的导纱嘴
JP2003041465A (ja) 玉虫色の光彩を有する経編地
CN218026601U (zh) 一种自由设置毛高层的三贾卡网布及其鞋面
CN219731221U (zh) 一种改良的莫代尔混纺纤维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