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2538A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2538A
KR20080062538A KR1020060138476A KR20060138476A KR20080062538A KR 20080062538 A KR20080062538 A KR 20080062538A KR 1020060138476 A KR1020060138476 A KR 1020060138476A KR 20060138476 A KR20060138476 A KR 20060138476A KR 20080062538 A KR20080062538 A KR 20080062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device
storage node
layer
form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호진
박철환
김재수
이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138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2538A/ko
Priority to US11/779,093 priority patent/US7576383B2/en
Priority to CN2007101417731A priority patent/CN101211922B/zh
Publication of KR20080062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538A/ko
Priority to US12/499,248 priority patent/US772318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65Electrodes comprising a noble metal or a noble metal oxide, e.g. platinum (Pt), ruthenium (Ru), ruthenium dioxide (RuO2), iridium (Ir), iridium dioxide (Ir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 H01L28/90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 H01L28/91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made by depositing layers, e.g. by depositing alternating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extending over the tran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은,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가 형성된 반도체기판 상에 식각정지막과 몰드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몰드절연막 및 식각정지막을 식각하여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를 노출시키는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홀 측면 상단부에 테이퍼진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홀 표면 및 테이퍼진 산화막 상에 스토리지 노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몰드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스토리지 노드 상에 유전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전막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apacitor of semiconductor device}
도 1a 내지 도 1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반도체기판 101 : 버퍼산화막
102 : 식각정지막 104 : PSG막
105 :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 106 : PE-TEOS막
108 : 몰드절연막 110 : 하드마스크막
112 : 테이퍼링(tapering) 산화막 114 : 스토리지노드용 금속막
116 : 유전막 118 : 상부전극
120 : 캐패시터 H : 홀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스토리지 노드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가 진행됨에 따라 소자 크기도 점점 작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디램과 같은 메모리 소자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장소로서 기능하는 캐패시터의 폭(width) 또한 작아지고 있다.
상기 캐패시터는 스토리지노드(storage Node)와 플레이트 노드(plate node) 사이에 유전체(dielectric)막이 개재된 구조로서, 이러한 구조를 갖는 캐패시터의 저장 용량(캐패시턴스)은 노드의 표면적과 유전체막의 유전율에 비례하고, 노드 간의 간격, 즉, 유전체막의 두께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고용량의 캐패시터를 얻기 위해서는 유전율이 큰 유전체막을 사용하거나, 노드 표면적을 확대시키거나, 또는, 노드 간의 거리를 줄이는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노드 간의 거리, 즉, 유전체막의 두께를 줄이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고용량의 캐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한 연구는 유전율이 큰 유전체막을 사용하거나, 노드 표면적을 넓히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노드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스토리지노드의 형태를 오목(concave) 또는 실린더(cylinder) 형태의 3차원 구조로 형성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며, 이 중에서도 실린더 형태의 스토리지노드는 오목 형태의 스토리지노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넓은 노드 면적을 갖기 때문에 고집적 소자에 적용하기에 유리하다.
그러나, 자세하게 도시하고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실린더 형태 의 스토리지노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몰드절연막을 제거하는 딥-아웃(dip-out)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딥-아웃 공정의 건조시, 순수(DIW)의 표면장력 및 스토리지노드의 증가된 높이로 인하여 스토리지노드의 쓰러짐 및 스토리지노드 간의 브릿지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토리지노드의 쓰러짐 및 스토리지노드 간의 브릿지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값 이상의 셀 간의 공간확보 및 실린더 높이의 감소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반도체 소자의 집적화에 따른 디자인 룰(Design rule)의 감소에 따라서 마스크 상태에서부터, 셀 간의 공간이 감소하게 되어 공지된 기술의 실린더 형성공정으로는 셀 간의 공간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안정적인 실린더를 형성할 수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들로 인하여 캐패시터의 용량을 확보하기가 어려우며, 반도체 소자의 수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토리지노드 간의 쓰러짐 및 브릿지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실린더를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캐패시터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수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은,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가 형성된 반도체기판 상에 식각정지막과 몰드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몰드절연막 및 식각정지막을 식각하여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를 노출시키는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홀 측면 상단부에 테이퍼진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홀 표면 및 테이퍼진 산화막 상에 스토리지 노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몰드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 노드 상에 유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전막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식각정지막은, 질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몰드절연막은, PE-TEOS 또는 PSG 및 PE-TEOS의 이중막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막은,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산화막은, 상기 홀 상부에 50∼500Å의 두께, 상기 홀 하부에는 10∼1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산화막은, PE-TEOS, PE-USG, 03-USG, LP-TEOS, HTO 및 SiON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막은, 상기 몰드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 후, 스토리지 노드 상단부에 20∼100Å의 두께가 잔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후, 그리고, 상기 스토리지 노드를 형성하는 단계 전,
상기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 표면에 TiSix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토리지 노드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상기 금속 스토리지 노드는, TiN, WN, TaN, Pt 및 비정질 Si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전막은, ZrO2, Al2O3, Al2O3/ZrO2 레미네이트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전막은, 200∼480℃의 범위에서 ALD(Atomic layer deposition)의 방법으로 형성한다.
상기 ALD를 이용하여 유전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Zr 소오스로는 Zr[N(CH3)]2, Zr[N(CH2CH3)]2 및 Zr[N(CH3)(CH2CH3)]2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Al 소오스로는 (CH3)3를 이용하며, O 소오스로는 O3 가스 또는 H2O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상기 상부전극은, Ti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전극은,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및 PVD(Plasma vapor deposition)의 이중막 또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 및 PVD(Plasma vapor deposition)의 이중막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홀이 구비된 몰드절연막 상에 상기 홀 상단에서의 두께가 하단부에서의 두께보다 더 두껍도록 테이퍼링(tapering) 산화막을 증착하고, 상기 몰드절연막을 상기 산화막이 테이퍼지도록 식각하여 실린더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스토리지노드의 쓰러짐이 주로 발생하는 실린더 상부의 공간을 테이퍼링 산화막을 이용하여 상기 홀 상단부에서의 두께가 하단부에서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테이퍼지도록 실린더를 형성하여 종래기술로 형성된 실린더보다 높은 종횡비를 갖는 실린더를 형성함으로써, 스토리지노드간의 쓰러짐 및 스토리지노드간의 브릿지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캐패시터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수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MIM 캐패시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를 참조하면, 스토리지노드 콘택 플러그(105)가 형성된 반도체기판(100) 상에 버퍼산화막(101) 및 질화막으로 이루어진 식각정지막(102)을 형성하고, 상기 식각정지막(102) 상에 몰드절연막(108)을 형성하고 나서 상기 몰드절연막 상에 α-카본으로 이루어진 하드마스크막(11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몰드절연막은 PE-TEOS 막 또는 PSG(104) 및 PE-TEOS(106)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하드마스크막(110)을 마스크패턴으로 이용하여 상기 하드마스크막(110), 몰드절연막(108) 및 식각정지막(102)을 상기 식각정지막(102)이 노출될때까지 식각하여 홀(H)을 형성한다.
도 1d를 참조하면, 상기 홀(H) 표면 및 몰드절연막(108) 상에 상기 홀(H) 상단부에서의 두께가 하단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도록 테이퍼링(Tapering) 산화막(112)을 증착한다.
여기서, 상기 테이퍼링 산화막(112)은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홀(H) 상부에 50∼500Å 정도의 두께로, 상기 홀(H) 하부에는 10∼100Å의 두께로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테이퍼링 산화막(112)은, PE-TEOS, PE-USG, 03-USG, LP-TEOS, HTO 및 SiON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하도록 한다.
도 1e를 참조하면, 상기 홀(H) 표면 및 몰드절연막(108) 상에 증착된 상기 테이퍼링 산화막(112)을 전면식각하고 상기 전면식각한 테이퍼링 산화막(112) 상에 스토리지노드용 금속막(114)을 형성하여 스토리지노드용 전극을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리지노드용 전극은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금속 스토리지 전극은, TiN, WN, TaN, Pt 및 비정질 Si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하도록 한다.
도 1f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리지노드용 금속막(114) 및 상기 테이퍼링 산화막(112)을 몰드절연막(108)이 노출될때까지 식각하고, 스토리지 노드와 플러그와 접촉저항을 낮추기 위해 상기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105) 표면에 TiSix(도시안됨)를 형성한다.
도 1g를 참조하면, 상기 몰드절연막(108)을 딥-아웃(Dip-out) 공정을 수행하여 실린더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몰드절연막(108)을 제거시, 20∼100Å 정도의 두께가 잔류된 상기 테이퍼링 산화막을 세정 공정을 통하여 제거하도록 한다.
도 1h를 참조하면, 상기 몰드절연막(108)이 제거되어 형성된 실린더를 포함한 기판(100) 상에 유전막(116) 및 상부전극(118)을 차례대로 형성하여 캐패시터(120)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유전막(116)은 ZrO2, Al2O3, Al2O3/ZrO2 레미네이트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하도록 하며, 200∼480℃ 정도의 범위에서 ALD(Atomic layer deposition)의 방법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ALD를 이용하여 유전막을 형성하는 방법에서, Zr 소오스로는 Zr[N(CH3)]2, Zr[N(CH2CH3)]2 및 Zr[N(CH3)(CH2CH3)]2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Al 소오스로는 (CH3)3를 이용하며, O 소오스로는 O3 가스 또는 H2O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부전극(118)은,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및 PVD(Plasma vapor deposition)의 이중막 또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 및 PVD(Plasma vapor deposition)의 이중막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TiN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스토리지노드의 쓰러짐이 주로 발생하는 실린더 상부의 공간을 테이퍼링 산화막을 이용하여 상기 홀 상단부에서의 두께가 하단부에서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테이퍼지도록 실린더를 형성하여 종래기술로 형성된 실린더보다 높은 종횡비를 갖는 실린더를 형성함으로써, 스토리지노드간의 쓰러짐 및 스토리지노드간의 브릿지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캐패시터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수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여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정신과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단부에서의 두께가 하단부에서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테이퍼지도록 실린더를 형성하여 종래의 그것보다 높은 종횡비를 갖는 실린더를 형성함으로써, 스토리지 노드간의 쓰러짐 및 스토리지 노드간의 브릿지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캐패시터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수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5)

  1.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가 형성된 반도체기판 상에 식각정지막과 몰드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몰드절연막 및 식각정지막을 식각하여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를 노출시키는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홀 측면 상단부에 테이퍼진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홀 표면 및 테이퍼진 산화막 상에 스토리지 노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몰드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 노드 상에 유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전막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정지막은, 질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절연막은, PE-TEOS 또는 PSG 및 PE-TEOS의 이중막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은,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은, 상기 홀 상부에 50∼500Å의 두께, 상기 홀 하부에는 10∼1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은, PE-TEOS, PE-USG, 03-USG, LP-TEOS, HTO 및 SiON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은, 상기 몰드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 후, 스토리지 노드 상단부에 20∼100Å의 두께가 잔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후, 그리고, 상기 스토리지 노드를 형성하는 단계 전,
    상기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 표면에 TiSix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노드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스토리지 노드는, TiN, WN, TaN, Pt 및 비정질 Si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막은, ZrO2, Al2O3, Al2O3/ZrO2 레미네이트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막은, 200∼480℃의 범위에서 ALD(Atomic layer deposition)의 방 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13. 제 11 또는 12 항에 있어서,
    상기 ALD를 이용하여 유전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Zr 소오스로는 Zr[N(CH3)]2, Zr[N(CH2CH3)]2 및 Zr[N(CH3)(CH2CH3)]2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Al 소오스로는 (CH3)3를 이용하며, O 소오스로는 O3 가스 또는 H2O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극은, T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극은,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및 PVD(Plasma vapor deposition)의 이중막 또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 및 PVD(Plasma vapor deposition)의 이중막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20060138476A 2006-12-29 2006-12-29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80062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476A KR20080062538A (ko) 2006-12-29 2006-12-29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US11/779,093 US7576383B2 (en) 2006-12-29 2007-07-17 Capacitor having tapered cylindrical storage n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07101417731A CN101211922B (zh) 2006-12-29 2007-08-21 具有渐缩的圆柱形存储节点的电容器及其制造方法
US12/499,248 US7723183B2 (en) 2006-12-29 2009-07-08 Capacitor having tapered cylindrical storage n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476A KR20080062538A (ko) 2006-12-29 2006-12-29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538A true KR20080062538A (ko) 2008-07-03

Family

ID=3958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476A KR20080062538A (ko) 2006-12-29 2006-12-29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576383B2 (ko)
KR (1) KR20080062538A (ko)
CN (1) CN1012119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6730B1 (en) * 1999-04-06 2002-02-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pixel TFT formed in a display region and a drive circuit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region on the same substrate
KR100881728B1 (ko) * 2007-05-04 2009-02-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루테늄전극을 구비한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9176819A (ja) * 2008-01-22 2009-08-06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81844A (ja) * 2010-03-03 2011-09-15 Elpida Memory Inc 電極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
KR101845977B1 (ko) * 2011-11-21 2018-04-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8319B1 (ko) 2012-11-30 201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US9230966B2 (en) * 2014-04-09 2016-01-05 Nanya Technology Corp.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8538710B (zh) * 2018-04-04 2021-05-11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刻蚀设备及刻蚀方法
CN108550568B (zh) * 2018-04-26 2020-04-10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电容器阵列及其形成方法、半导体器件
US11164874B2 (en) * 2018-12-19 2021-11-02 Xia Tai Xin Semiconductor (Qing Da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TWI713980B (zh) * 2019-01-21 2020-12-21 力晶積成電子製造股份有限公司 記憶體結構及其製造方法
KR20210047739A (ko) 2019-10-22 2021-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적회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7537B1 (en) * 2000-01-18 2002-07-09 Micron Technology, Inc. Metal oxynitride capacitor barrier layer
KR100475272B1 (ko) * 2002-06-29 2005-03-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TWI271872B (en) * 2002-12-30 2007-01-21 Hynix Semiconductor Inc Capaci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050066189A (ko) 2003-12-26 2005-06-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00545866B1 (ko) * 2004-04-27 2006-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666387B1 (ko) * 2005-05-20 200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전성 패턴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23183B2 (en) 2010-05-25
CN101211922A (zh) 2008-07-02
US20090269902A1 (en) 2009-10-29
US20080157093A1 (en) 2008-07-03
CN101211922B (zh) 2011-02-09
US7576383B2 (en) 200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2538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US7910452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cylinder-type capacitor utilizing a connected ring structure
US8017491B2 (en) Method for fabricating capacitor
US8163623B2 (en) Using a mesh to form a lower electrode in a capacitor
KR100587086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US7951682B2 (en) Method for fabricating capacitor in semiconductor device
US8153486B2 (en) Method for fabricating capacitor
US20080124885A1 (en) Method of fabricating capacitor and electrode thereof
KR100811255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00842911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00863521B1 (ko) 원통형 전하저장전극을 구비하는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587071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00960924B1 (ko) 반도체 소자의 mim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575883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01044005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90037257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90037261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60074989A (ko) 케미컬침투방지막을 이용한 반도체메모리장치의 제조 방법
KR20060074978A (ko) 메모리장치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20050003002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40059973A (ko) 반도체 장치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60077477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20050002982A (ko) 캐패시턴스를 증대시킬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제조방법
KR20060022074A (ko)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KR20060041349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205

Effective date: 2010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