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469A -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469A
KR20080056469A KR1020060129415A KR20060129415A KR20080056469A KR 20080056469 A KR20080056469 A KR 20080056469A KR 1020060129415 A KR1020060129415 A KR 1020060129415A KR 20060129415 A KR20060129415 A KR 20060129415A KR 20080056469 A KR20080056469 A KR 20080056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emiconductor substrate
forming
common source
sourc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9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6469A/ko
Publication of KR20080056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33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e.g. MN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floating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이 장치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보다 리세스된 제 2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 제 2 영역의 반도체 기판에 공통 소오스 영역 및 공통 소오스 영역 양측으로부터 이격된 제 1 영역의 반도체 기판에 제 1 및 제 2 드레인 영역들, 공통 소오스 영역과 일부 중첩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반도체 기판 상의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을 포함한다.
스플릿 게이트(split gate), 터널 절연막, 부유 게이트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h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은 휘발성(volatile)과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한다. 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저장된 데이터도 소멸한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한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마스크롬(Mask Rom), 피롬(PROM), 이피롬(EPROM), 이이피롬(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을 포함한다.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구조는 적층 게이트(stack gate) 구조와 스플릿 게이트(split gate) 구조를 포함한다. 데이터를 소거하는 경우, 적층 게이트 구조의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과잉 소거의 문제를 가질 수 있다. 과잉 소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스플릿 게이트 구조의 플래시 메모리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에 공통 소오스 영역(3)이 제공된다.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3) 양측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반도체 기판(1)에 제 1 및 제 2 드레인 영역들(4)이 있다.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3) 양측의 반도체 기판(1) 상에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3)과 일부 중첩된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5)이 있다. 상기 제 1 드레인 영역(4)과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3) 사이 및 상기 제 2 드레인 영역과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3) 사이의 반도체 기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5)과 일부 중첩된 반도체 기판(1) 상의 제 1 및 제 2 제어 게이트들(6)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5)과 상기 반도체 기판(1) 사이에 터널 절연막들(7)이 개재된다. 상기 제 1 제어 게이트(6)와 상기 제 1 부유 게이트(5) 사이 및 상기 제 2 제어 게이트(6)와 상기 제 2 부유 게이트(5) 사이에 개재된 게이트 층간 절연막들(9)이 있다.
데이타를 프로그램하는 것은 제어 게이트(6) 및 공통 소오스 영역(3)에 프로그램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채널 핫전자(channel-hot electron: CHE)가 반도체 기판(1)으로부터 터널 절연막들(7)을 통과하여, 상기 부유 게이트들(5)에 주입된다. 데이타를 소거하는 것은 드레인 영역(4) 및 공통 소오스 영역(3)은 접지되고, 제어 게이트(6)에 소거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부유 게이트(5)에 축적된 전자는 파울러-노더하임 터널(Fowler-Nordheim: FN)에 의하여 터널 절연막(9)을 통과하여 제어 게이트(6)로 이동한다.
데이터의 프로그램 시, 공통 소오스 영역(3)과 부유 게이트(5)사이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가 크면, 공통 소오스 영역(3)에 낮은 전압을 인가하더라도 프로그램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턴스(capacitance)을 크게 하기 위해, 공통 소오스 영역(3)과 부유 게이트(5)의 중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데이타의 소거 시, 상기 부유 게이트(5)와 공통 소오스 영역(3)의 중첩 면적이 증가하면, 상기 부유 게이트(5)는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3)의 접지 전압과 비슷한 낮은 전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게이트(6)와 부유 게이트(5) 간에는 높은 전압차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부유 게이트(5)에서 제어 게이트(6)로의 FN 터널이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다.
프로그램/소거 동작시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유 게이트(5)와 공통 소오스 영역(3)간 중첩되는 부분의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부유 게이트(5)와 공통 소오스 영역(3) 간 중첩 부분이 증가함에 따라, 공통 소오스 영역(3)과 드레인 영역(4)간의 거리도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채널 효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플릿 게이트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을 제공한다. 이 장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보다 리세스된 제 2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상기 제 2 영역의 반도체 기판에 공통 소오스 영역;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 양측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 1 영역의 반도체 기판에 제 1 및 제 2 드레인 영역들;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과 일부 중첩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반도체 기판 상의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 상기 제 1 드레인 영역과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 사이 및 상기 제 2 드레인 영역과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 사이에 제공된,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과 중첩된 제 1 영역의 반도체 기판 상의 제 1 및 제 2 제어 게이트들;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과 상기 반도체 기판 사이의 터널 절연막들; 상기 제 1 제어 게이트와 상기 제 1 부유 게이트 사이 및 상기 제 2 제어 게이트와 상기 제 2 부유 게이트 사이의 게이트 층간 절연막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경계의 반도체 기판의 측벽들이 라운드질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은 상기 측벽들을 덮을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반도체 기판를 리세스하여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보다 리세스된 제 2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 2 영역의 반도체 기판에 공통 소오스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 양측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 1 영역의 반도체 기판에 제 1 및 제 2 드레인 영역들을 형성하고;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과 일부 중첩된,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드레인 영역과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 사이 및 상기 제 2 드레인 영역과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 사이에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과 중첩된 제 1 영역의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및 제 2 제어 게이트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과 상기 반도체 기판 사이에 터널 절연막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제어 게이트와 상기 제 1 부유 게이트 사이 및 상기 제 2 제어 게이트와 상기 제 2 부유 게이트 사이의 게이트 층간 절연막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세스 공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을 노출하고; 열 산화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노출된 반도체 기판에 제 1 산화막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마스크 패턴 및 상기 제 1 산화막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경계의 반도체 기판의 측벽들이 라운드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유 게이트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절연막 및 제 1 도전막을 형성하고; 산화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노출된 제 1 도전막 상에 제 2 산화막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 및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 하부의 제 1 도전막을 제거하여 제 2 산화 패턴 및 제 1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 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은 상기 제 1 영역의 제 1 도전 패턴의 가장자리에 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게이트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 2 산화 패턴 및 제 1 도전 패턴을 갖는 반도체 기판 상에 상기 제 2 절연막 및 제 2 도전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도전막 상에 제 3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3 마스크 패턴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절연막 및 제 2 도전막을 패터닝하여 제 2 절연 패턴 및 제 2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 및 상기 제 1 및 제 2 드레인 영역들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 1 영역의 반도체 기판을 덮는 제 4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4 마스크 패턴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 사이의 반도체 기판에 제 1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 4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고; 상기 제 2 영역의 반도체 기판을 덮는 제 5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5 마스크 패턴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게이트 일측의 반도체 기판에 제 2 및 제 3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일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일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또는 막) 및 트렌치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또한, 층(또는 막)이 다른 층(또는 막)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또는 막)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또는 막)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은 제 1 영역(A) 및 제 2 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B)은 상기 제 1 영역(A)보다 낮은 상부면을 갖도록 리세스된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 1 영역(A)은 상기 리세스된 영역 외의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A) 및 제 2 영역(B)의 경계의 반도체 기판(100)에 라운드진 측벽들이 있다. 상기 라운드진 측벽들은 반도체 장치의 신뢰성 및 수율의 향상에 효과적이다.
상기 제 2 영역(B)의 반도체 기판(100)에 공통 소오스 영역(116)이 제공된다.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116) 양측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 1 영역(A)의 상기 반도체 기판(100)에 제 1 및 제 2 드레인 영역들(118)이 있다.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116) 양측의 반도체 기판(100) 상에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116)과 일부 중첩된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108a)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108a)은 상기 측벽을 덮고, 상기 제 1 영역(A)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108a) 상에 절연막(108b)이 있다.
상기 제 1 드레인 영역(118)과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116) 사이 및 상기 제 2 드레인 영역(118)과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116) 사이의 반도체 기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108a)과 일부 중첩된 반도체 기판(100) 상의 제 1 및 제 2 제어 게이트들(114)이 있다.
상기 제 1 영역(A)의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108a)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게이트들(114)을 향하는 팁(108c)이 있다. 반도체 장치의 소거 동작시, 상기 팁(108c)에 전하가 집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저전압에서 FN 터널이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108a)과 상기 반도체 기판(100) 사이에 터널 절연막들(107)이 개재된다. 상기 제 1 제어 게이트(114)와 상기 제 1 부유 게이트(112) 사이 및 상기 제 2 제어 게이트(114)와 상기 제 2 부유 게이트(112) 사이에 게이트 층간 절연막들(112)이 개재된다.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 1 영역(A)을 덮고, 제 2 영역(B)을 노출하는 제 1 마스크 패턴(104)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마스크 패턴(104)은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기판(100)과 상기 제 1 마스크 패턴(104) 사이에 버퍼막(1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막(102)은 산화막일 수 있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마스크 패턴(104)을 갖는 반도체 기판(100)에 산화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노출된 반도체 기판(100)에 산화막(10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화 공정은 열 산화 공정일 수 있다. 상기 산화막(106), 상기 제 1 마스크 패턴(104), 및 상기 버퍼막(102)을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제 2 영역(B)에 리세스된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제거 공정은 습식 식각 공정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는 건식 식각 공정에 의해서도, 제 1 영역(A) 및 제 2 영역(B)의 경계의 반도체 기판의 측벽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식각에 의하면, 상기 제 1 영역(A) 및 상기 제 2 영역(B)의 경계의 반도체 기판의 측벽들은 거칠고 손상된 면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영역(A) 및 제 2 영역(B)의 경계의 반도체 기판(100)의 측벽들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거칠고 손상된 면들이 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장치의 신뢰성 및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영역(A) 및 제 2 영역(B)을 갖는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 1 절연막(107)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연막(107)은 산화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된 산화막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절연막(107) 상에 제 1 도전막(108)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도전막(108)은 폴리 실리콘막일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상기 제 1 도전막(108) 상에 제 2 마스크 패턴(11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110)은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110)은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A, B)의 경계의 반도체 측벽 상에 형성된 제 1 도전막(108)을 노출한다.
도 3f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110)을 갖는 반도체 기판(100)에 산화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노출된 제 1 도전막(108)에 제 2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절연막은 산화막일 수 있다.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110)이 제거된다. 상기 제 2 절연막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110) 하부의 제 1 도전막(108)이 식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도전 패턴(108a) 및 상기 제 1 도전 패턴(108a) 상에 제 2 절연 패턴(108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08a)은 부유 게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08a)과 상기 반도체 기판(100) 사이의 제 1 절연막(107)은 터널 절연막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110)은 질화막이므로 상기 산화공정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출된 제 1 도전막(108)의 중심부에서 산화막은 활발히 성장할 수 있다.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110)에 근접한 제 1 도전막(108) 부분의 산화막 성장이 느릴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 1 도전 패턴(108a)의 가장자리에 팁(108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팁(108c)에 전하가 집중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장치의 소거 동작시 비교적 저전압에서 FN 터널이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다.
도 3g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도전 패턴(108a)을 갖는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 3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절연막은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된 산화막일 수 있다. 상기 제 3 절연막을 갖는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 3 도전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도전막은 폴리 실리콘막일 수 있다. 상기 제 3 절연막 및 제 3 도전막을 패터닝하여 제 3 절연 패턴(112) 및 제 3 도전 패턴(114)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도전 패턴(114)은 상기 제 2 도전 패턴(108a)의 일부와 상기 제 1 영역(A)의 반도체 기판(100)을 덮는다. 상기 제 3 도전 패턴(114)은 제어 게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제 3 도전 패턴(114)과 상기 제 2 도전 패턴(108a) 사이의 제 3 절연 패턴(112)은 게이트 층간 절연막일 수 있다.
도 2를 재차 참조하면, 상기 제 1 영역(A)의 반도체 기판(100)을 덮는 제 4 마스크 패턴(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108a) 사이의 반도체 기판(100)이 노출된다. 상기 제 4 마스크 패턴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108a) 사이의 상기 제 2 영역(B)의 반도체 기판(100)에 제 1 불순물 영역(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불순물 영역(116)은 공통 소오스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불순물 이온을 주입한 후 열 처리하여 상기 제 1 불순물 영역(116)이 확산되어 상기 제 2 영역(B)의 제 2 부유 게이트들(108a)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4 마스크 패턴이 제거된다. 상기 제 2 영역(B)의 반도체 기판(100)을 덮는 제 5 마스크 패턴(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 5 마스크 패턴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게이트들(114) 일측의 반도체 기판(100)에 제 2 및 제 3 불순물 영역(1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및 제 3 불순물 영역들(118)은 제 1 및 제 2 드레인 영역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A, B) 경계의 반도체 기판(100)의 측벽들을 덮는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108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측벽의 면적에 대응되게,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108a)의 하부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108a)와 공통 소 오스 영역(116)간 중첩되는 부분의 면적이 증가될 수 있어 커패시턴스가 증가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측벽의 길이에 대응되게, 채널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채널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한 일 실시예들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측벽의 면적에 대응되게,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의 하부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와 공통 소오스 영역 간 중첩되는 부분의 면적이 증가될 수 있어 커패시턴스가 증가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에 비하여 낮은 전압에서 프로그램/소거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측벽의 길이에 대응되게, 채널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채널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Claims (8)

  1.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보다 리세스된 제 2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
    상기 제 2 영역의 반도체 기판에 공통 소오스 영역;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 양측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 1 영역의 반도체 기판에 제 1 및 제 2 드레인 영역들;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과 일부 중첩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반도체 기판 상의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
    상기 제 1 드레인 영역과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 사이 및 상기 제 2 드레인 영역과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 사이에 제공된,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과 중첩된 제 1 영역의 반도체 기판 상의 제 1 및 제 2 제어 게이트들;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과 상기 반도체 기판 사이의 터널 절연막들;
    상기 제 1 제어 게이트와 상기 제 1 부유 게이트 사이 및 상기 제 2 제어 게이트와 상기 제 2 부유 게이트 사이의 게이트 층간 절연막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경계의 반도체 기판의 측벽들이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은 상기 측벽들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반도체 기판를 리세스하여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보다 리세스된 제 2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 2 영역의 반도체 기판에 공통 소오스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 양측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 1 영역의 반도체 기판에 제 1 및 제 2 드레인 영역들을 형성하고;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과 일부 중첩된,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드레인 영역과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 사이 및 상기 제 2 드레인 영역과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 사이에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과 중첩된 제 1 영역의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및 제 2 제어 게이트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과 상기 반도체 기판 사이에 터널 절연막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제어 게이트와 상기 제 1 부유 게이트 사이 및 상기 제 2 제어 게이트와 상기 제 2 부유 게이트 사이의 게이트 층간 절연막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공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을 노출하고;
    열 산화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노출된 반도체 기판에 제 1 산화막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마스크 패턴 및 상기 제 1 산화막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경계의 반도체 기판의 측벽들이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게이트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절연막 및 제 1 도전막을 형성하고;
    산화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노출된 제 1 도전막 상에 제 2 산화막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 및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 하부의 제 1 도전막을 제거하여 제 2 산화 패턴 및 제 1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도전 패턴은 상기 제 1 영역의 제 1 도전 패턴의 가장자리에 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게이트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 2 산화 패턴 및 제 1 도전 패턴을 갖는 반도체 기판 상에 상기 제 2 절연막 및 제 2 도전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도전막 상에 제 3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3 마스크 패턴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절연막 및 제 2 도전막을 패터닝하여 제 2 절연 패턴 및 제 2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소오스 영역 및 상기 제 1 및 제 2 드레인 영역들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 1 영역의 반도체 기판을 덮는 제 4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4 마스크 패턴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부유 게이트들 사이의 반도체 기판에 제 1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 4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고;
    상기 제 2 영역의 반도체 기판을 덮는 제 5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5 마스크 패턴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게이트 일측의 반도체 기판에 제 2 및 제 3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KR1020060129415A 2006-12-18 2006-12-18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방법 KR20080056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415A KR20080056469A (ko) 2006-12-18 2006-12-18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415A KR20080056469A (ko) 2006-12-18 2006-12-18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469A true KR20080056469A (ko) 2008-06-23

Family

ID=3980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415A KR20080056469A (ko) 2006-12-18 2006-12-18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64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873B1 (ko) * 2008-11-06 2011-06-02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443507B1 (ko) * 2012-12-14 2014-09-22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873B1 (ko) * 2008-11-06 2011-06-02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443507B1 (ko) * 2012-12-14 2014-09-22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그 제조방법
US9431107B2 (en) 2012-12-14 2016-08-3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10043919B2 (en) 2012-12-14 2018-08-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10510902B2 (en) 2012-12-14 2019-12-1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10770598B2 (en) 2012-12-14 2020-09-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11251314B2 (en) 2012-12-14 2022-02-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474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ash EEPROM cell
KR100206985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TWI408800B (zh) 非揮發性記憶體單元及其製造方法
KR100221619B1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방법
KR0144421B1 (ko) 플레쉬 이.이.피.롬의 제조방법
US7485917B2 (en) Split gate flash memory cel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308128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34162B1 (ko) 스플리트 게이트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58003B1 (ko) 복수개의 유전체 나노클러스터들을 채택하는 비휘발성메모리 셀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100684897B1 (ko) 스플릿 게이트형 비휘발성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US7186615B2 (en) Method of forming a floating gate for a split-gate flash memory device
KR20080056469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방법
KR100683389B1 (ko) 플래시 메모리의 셀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US7019354B2 (e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cell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795907B1 (ko) 이이피롬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100799055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및 그 형성 방법
CN100536115C (zh) 分离式栅极快闪存储单元及其形成方法
US6709925B1 (en) Split-gate flash memory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80069481A (ko) 매몰형 스플릿 게이트를 구비한 불휘발성 메모리소자 및 그제조방법
JP2004080015A (ja) その場でドープされる小さなポリシリコンスペーサーを用いて非対称不揮発性メモリデバイスを形成する方法
KR0135239B1 (ko) 플래쉬 이이피롬 셀 및 그 제조방법
KR100823165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형성방법
KR101079878B1 (ko) 분리형 게이트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
KR100841854B1 (ko) 반도체 소자의 플로팅게이트의 형성방법
KR100451491B1 (ko) 플래쉬이이피롬셀및그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