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2450A - 악음장치(樂音裝置) - Google Patents

악음장치(樂音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2450A
KR20080052450A KR1020070125626A KR20070125626A KR20080052450A KR 20080052450 A KR20080052450 A KR 20080052450A KR 1020070125626 A KR1020070125626 A KR 1020070125626A KR 20070125626 A KR20070125626 A KR 20070125626A KR 20080052450 A KR20080052450 A KR 20080052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usical instrument
plate
musical
inc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3001B1 (ko
Inventor
타쿠야 사토
카쓰히코 토리이
코지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280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13974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53535A external-priority patent/JP50379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53536A external-priority patent/JP503793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80052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46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membrane, e.g. a drum; Pick-up means for vibrating surfaces, e.g. housing of an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Abstract

 본 발명은 악음(樂音)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악기의 향판(響板 soundboard)이 진동되어서 이 향판에서 악음이 발음·방음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는 이러한 향판(진동판)이 진동되는 장치에 있어서는, 피아노의 향판에 전자구동체가 접합되고, 상기 전자구동체에 악음신호가 송신되었을 때 전자구동체가 아니라 향판이 진동되면서 향판에서 악음이 발음·방음된다.
그런데, 이러한 향판(진동판)에 의해 음을 발음·방음되면 실제 어쿠스틱(acoustic) 악기의 악음과는 약간의 차이가 생기기 마련이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악음장치의 배면, 표면 또는/및 전면에서 주파수대역이 서로 상이한 음이 분리되면서 방사되며, 악음장치에서 모든 방향으로 음이 방사되면서 확산되므로 임장감(臨場感)이 있는 연주가 실현된다.
또한, 향판의 진동이 공진하지 않고, 향판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으므로 실제 어쿠스틱 악기의 악음이 실현된다.
또한, 향판이 악음장치 본체에 접촉하지 않고, 해당 개재체의 두께를 압축한 상태로, 향판을 당접체에 접촉시켜 고정함으로써 향판에서의 진동이 악음장치 전체로 직접 전달되는 일이 없어진다.
악음장치, 진동판, 향판, 방음체

Description

악음장치(樂音裝置){MUSICAL TONE APPARATUS}
본 발명은 악음(樂音)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악기의 향판(響板 soundboard)이 진동되어서 이 향판에서 악음이 발음·방음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는 이러한 향판(진동판)이 진동되는 장치에 있어서는, 피아노의 향판에 전자구동체가 접합되고, 상기 전자구동체에 악음신호가 송신되었을 때 전자구동체가 아니라 향판이 진동되면서 향판에서 악음이 발음·방음된다.
그런데, 이러한 향판(진동판)에 의해 음을 발음·방음되면 실제 어쿠스틱(acoustic) 악기의 악음과는 약간의 차이가 생기기 마련이었다.
건반 후방으로 음을 방사하는 후방 방음체와, 이 건반 상방으로 상기 배면 방음체와 주파수대역이 다른 음을 방사하는 상방 방음체와, 이 건반의 전방으로 상기 배면 방음체 및 상면 방음체와 주파수대역이 다른 주파수대역의 음을 방사하는 전방 방음체를 갖추었다.
이것에 의해, 악음장치의 배면, 상면, 전면에서 각각 주파수대역이 서로 상이한 음이 분리되면서 방사되므로 악음장치에서 전방향을 향해 음이 방사되며 확산됨으로써 임장감(臨場感)이 넘치는 연주가 실현되고, 더구나 방사방향이 서로 상이하면 음의 주파수대역이 달라지기 때문에, 악음장치에서의 방향이 서로 상이하면 들리는 음질/음색/음고가 달라져 확산성과 임장감이 넘치는 연주가 실현된다.
본 발명은, 악음장치 본체에 설치된 향판의 에지부분이 접촉되는 당접체(當接體)와, 상기 당접체와 상기 향판의 에지 사이에 끼워져 가요성을 갖는 개재체와, 상기 향판이 악음장치 본체와 전혀 접촉되지 않고, 상기 개재체, 당접체 및 향판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해당 개재체의 두께가 0% 내지 90% 압축된 상태가 되도록 향판을 당접체에 접촉시켜 고정하는 고정 기구를 갖추고 있다.
이것에 의해, 향판에서의 진동이 악음장치 전체로 직접 전달되지 않고, 개재체, 당접체 및 향판 사이에서 공진이 발생하지 않으며, 향판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어쿠스틱 악기의 악음에 가까워진다.
본 발명은, 전자구동체가 향판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고, 향판의 표면에 복수개의 가늘고 긴 향봉(響棒 soundstick, rib)이 설치되고, 상기 향봉의 설 치 간격은 불균일하며, 상기 전자구동체는 이 각각의 향봉 사이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자구동체가 향판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향판의 진동이 공진하지 않고, 향판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실제 어쿠스틱 악기의 악음에 가까워진다.
또한, 향판 표면에 복수개의 가늘고 긴 향봉이 설치되고, 상기 향봉의 설치 간격은 불균일하므로, 향봉 각각의 간격의 향판 부분에서 발생되는 악음의 높이에 차이가 생기고, 향판의 진동이 공진하지 않으며, 향판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어쿠스틱 악기의 악음에 가까워진다.
더구나, 전자구동체는 이들 각각의 향봉 사이에 설치되므로 전자구동체에 의해 향판이 진동된 후 이 향판의 진동이 향봉을 통해서 향판 전체로 전달되며, 향판보다 향봉에 먼저 음이 전달되는 일 없이 향판 전체로 음이 균일하게 전달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공진이란 악음장치에서 발생되는 악음에 변이를 일으키는 이상 공진을 의미하며, 공명과는 달리 본 악음장치의 향판(11), 전면판(6), 바닥판(2), 당접틀(3), 우측 아래 내측판(4), 좌측 아래 내측판(5), 중천판(7) 등 각 부분에서 공명은 적극적으로 또는 소극적으로 허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악음장치의 배면, 표면 또는/및 전면에서 주파수대역이 서로 상이한 음이 분리되면서 방사되며, 악음장치에서 모든 방향으로 음이 방사되 면서 확산되므로 임장감이 있는 연주가 실현된다.
또한, 향판의 진동이 공진하지 않고, 향판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으므로 실제 어쿠스틱 악기의 악음이 실현된다.
또한, 향판이 악음장치 본체에 접촉하지 않고, 해당 개재체의 두께를 압축한 상태로, 향판을 당접체에 접촉시켜 고정함으로써 향판에서의 진동이 악음장치 전체로 직접 전달되는 일이 없어진다.
청구항1
고음역으로부터 저음역까지, 음고가 서로 다른 복수의 악음 출력 지시를 행하는 건반과, 건반 후방으로 음을 방사하는 후방 방음체와, 이 건반 상방으로 상기 배면 방음체와 주파수대역이 다른 음을 방사하는 상방 방음체와, 이 건반의 전방으로 상기 배면 방음체 및 상면 방음체와 주파수대역이 다른 주파수대역의 음을 방사하는 전방 방음체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청구항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의 근방에 보면대가 설치되고,
상기 상면방음체는 복수개 설치되고, 이들 복수의 상면방음체의 일부는 상기 보면대의 배후에 배치되고, 이 복수개의 상면방음체의 다른 일부는 상기 보면대의 앞쪽 또는 옆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상면 방음체에서의 음은, 세워진 보면대에서 반사되고, 또는 반사되지 않고, 악음장치의 후방과 상방으로 음이 방사되면서 확산되어, 임장감이 있는 연주가 실현된다.
청구항3
제1항에 있어서, 악음장치의 배면에 벽이 접근되어 있음을 검출하여, 상기 상면방음체, 전면방음체 또는 배면방음체에서 방사되는 음의 주파수성분 중에서 고음역, 중음역 또는 저음역의 성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본 악음장치가 벽 가까이에 설치되었을 때, 상면방음체, 전면방음체 또는 배면방음체에서 방사되는 음의 방음량이 저하되고, 벽의 반사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방음체, 상면방음체 및 전면방음체의 적어도 1개는, 진동되면서 음을 방사하는 악기의 향판이며, 이 향판이 설치되는 측의 반대측에는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이 삽통공에서의 음과 향판에서의 음과는 위상이 반전되고 서로 반대측으로 방사되어, 삽통공에서의 음과 향판에서의 음은 서로 상쇄되지 않고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향판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청구항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방음체, 상면방음체 및 전면방음체의 적어도 1개는, 진동되면서 음을 방사하는 악기의 향판과, 상기 향판에 설치되고 복수 종류의 악음으로 이루어지는 악음신호를 기계적 변화로 변환하여 상기 악기의 향판을 구동시켜서 음을 방사시키는 전자구동체로 구성되며, 다른 적어도 1개는 스피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악음장치의 일부 방향으로는, 스피커에 의한 음이 방사되고, 악음장치의 다른 방향으로는 향판에 의한 어쿠스틱한 음이 방사된다.
청구항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방음체, 상면방음체 및 전면방음체의 적어도 1개는, 진동되면서 음을 방사하는 악기의 향판이며, 다른 적어도 1개는 복수의 스피커이며, 이 복수의 스피커에는 음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채널 신호가 각각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악음장치의 일부 방향으로는, 스피커에 의한 음상을 갖는 음이 방사되고, 악음장치의 다른 방향으로는, 향판에 의한 어쿠스틱한 음이 방사된다.
청구항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판이 설치되는 악음장치 본체의, 향판이 설치되는 측과 반대측의 내면과 향판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양쪽 내면을 연결하는 가늘고 긴 연결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연결체에 의해, 향판의 진동/음이 원활하게 반대측 내면으로 전달되고, 반대측이 진동하여 향판의 진동/음이 상쇄되거나 장애가 되는 일이 방지되고, 악음장치 전체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청구항8
진동되면서 음을 방사하는 악기의 향판과, 복수 종류의 악음으로 이루어지는 악음 신호를 기계적 변화로 변환하고 상기 악기의 향판을 구동시켜서 음을 방사시키는 전자구동체에 있어서, 이 전자구동체가 상기 향판의 중심에서 빗나간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향판의 표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늘고 긴 향봉에 있어서, 이 향봉 상호간의 간격은 불균일하며,
상기 전자구동체는 이 각 향봉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청구항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장치는 고음역으로부터 저음역까지 서로 음고가 다른 복수의 악음의 출력을 지시하는 건반을 갖추고, 상기 전자구동체는 상기 향판상의 상기 건반에 있어서 약간 저음역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건반의 중앙보다 저음역측에서 주로 악음이 방사되며, 저음에 중점을 둔 악음장치가 실현된다.
청구항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장치는 고음역으로부터 저음역까지 음고가 다른 복수의 악음의 출력을 지시하는 건반을 갖추고, 상기 향봉 상호간의 간격은 상기 건반의 저음역측에 갈 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향판에 있어서, 건반의 저음역측에 갈수록 저음역의 악음의 비율이 증가되고, 실제 건반악기의 연주 상태에 가까운 진동·감촉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장치는 고음역으로부터 저음역까지 음고가 다른 복수의 악음의 출력을 지시하는 건반을 갖추고, 상기 전자구동체에서는 주로 저음역의 악음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건반의 저음역측에서 실제로 저음역의 악음이 방사되며, 실제 건반악기의 연주 상태에 가까운 진동·감촉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향판이 설치되는 악음장치 본체의, 향판이 설치되는 측과 반대측의 내면과 향판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양쪽 내면을 연결하는 가늘고 긴 연결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향판의 진동/음이 향판의 반대측에 잘 전달되며, 향판의 반대측에서도 음이 잘 나온다. 따라서, 향판의 진동이 공진하지 않고, 향판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어쿠스틱 악기의 악음에 가까워진다.
청구항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구동체는, 상기 향판의 중심에서 윗쪽에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향판의 진동이 공진하지 않고, 향판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어쿠스틱 악기의 악음에 가까워진다.
청구항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향판이 설치되어 있는 악음장치 본체의, 향판이 설치되는 측, 윗쪽, 아랫쪽, 오른쪽, 왼쪽이 틈 없이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향판의 좌우 상하에서 향판으로부터의 음이 새지 않으며, 향판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청구항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향판이 설치되는 악음장치 본체의, 향판이 설치되는 측과 반대측에는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악음장치의 향판의 반대측에 향판의 음이 방사되며, 이 방사음과 향판에서의 음과는 서로 상쇄하거나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고, 향판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변이되거나 음량이 감소하는 일이 없어지고, 향판의 진동이 악음장치의 전면에도 방사되고, 실제 어쿠스틱 건반악기와 비슷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16
진동되어서 음을 방사하는 악기의 향판과, 복수 종류의 악음으로 이루어지는 악음신호를 기계적 변화로 변환하고 상기 악기의 향판을 구동시켜서 음을 방사시키는 전자구동체와, 악음장치 본체에 설치된 상기 향판의 에지가 접촉하는 당접체와, 이 당접체와 상기 향판의 에지 사이에 끼워져 있는 가요성을 갖는 개재체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청구항17
진동되면서 음을 방사하는 악기의 향판과, 복수 종류의 악음으로 이루어지는 악음신호를 기계적 변화로 변환하고 상기 악기의 향판을 구동시켜서 음을 방사시키는 전자구동체와, 악음장치 본체에 설치된 상기 향판의 에지와 접촉하는 당접체와, 이 당접체와 상기 향판의 에지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는 가요성을 갖는 개재체와, 상기 향판은 악음장치 본체에 전혀 접촉하지 않는 상태이며, 상기 개재체, 당접체 및 향판에 틈이 없는 상태이며, 해당 개재체의 두께를 0.1% 내지 90% 압축하는 상태로 향판을 당접체에 접촉시켜 고정하는 고정 기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청구항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향판의 전주(全周) 에지에는 상기 개재체가 틈 없이 개재되고, 해당 향판의 전주(全周) 에지와 악음장치 본체와의 사이가 틈 없이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향판의 주위에서 향판으로부터의 음이 새지 않고, 향판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청구항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향판이 설치되어 있는 악음장치 본체의, 향판을 설치하는 측, 윗쪽, 아랫쪽, 오른쪽, 왼쪽은 틈이 없고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향판의 좌우 상하에서 향판으로부터의 음이 새지 않고, 향판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청구항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향판이 설치되어 있는 악음장치 본체의, 향판을 설치하는 측과 반대측에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악음장치의 향판의 반대측에 향판에서의 음이 방사되며, 이 방사음과 향판에 서의 음과는 서로 상쇄하지 않고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향판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으며 음량이 감소되지 않으며, 향판의 진동이 악음장치의 전면에도 방사되고, 어쿠스틱 건반악기의 감촉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체는 상기 가요성 외에 탄성 또는/및 쿠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향판의 음이 악음장치 본체에 전달되지 않고, 향판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청구항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체의 두께는, 0.1% 내지 50%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당접체, 개재체 및/또는 향판에 틈이 생기지 않고, 이들 사이에서 이상한 진동/음/공진이 발생하지 않고, 향판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청구항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장치는 건반악기이며, 상기 향판은 이 건반악기의 악음장치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악음장치의 정면측의 건반의 아랫쪽에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향판의 진동이 건반에 전파되어, 실제 어쿠스틱 건반악기와 비슷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건반(22)의 배면측에 설치된 전자구동 유닛(14) 및 향판(11)에서 저음역의 악음이 방사되고, 건반(22)의 상면측에 설치된 상면 스피커(31L,31R,32L,32R)에서 중음역의 악음이 방사되고, 건반(22)의 전면측에 설치된 전면 트위터(33L,33R)에서 고음역의 악음이 방사된다.
전자구동 유닛(14)은 향판(11)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므로 향판(11)의 진동이 공진하지 않게 된다. 향판(11)의 표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늘고 긴 향봉(13) 상호간의 간격은 불균일하며, 향봉(13) 사이의 향판(11)부분에서 발생되는 악음에 높이 차이가 생기므로 향판(11)의 진동이 공진하지 않게 된다. 전자구동 유닛(14)은 향봉(13) 사이에 설치되고, 향판(11)이 전자구동 유닛(14)에 의해 진동된 후에 이 향판(11)의 진동이 향봉(13)을 통해서 향판(11) 전체에 전달되며, 향판(11)보다 향봉(13)에 먼저 음이 전달되는 일 없이 향판(11) 전체에 음이 균일하게 전달된다.
악음장치에 수직으로 설치된 사각형의 당접틀(3)의 뒷면과 향판(11)의 외주 에지의 전면 사이에는 가요성, 탄성 및 쿠션성을 갖는 개재대(8)가 끼워져 있으며, 향판(11)이 당접틀(3)에 접촉되어 있다.이것에 의해, 향판(11)에서의 진동이 악음장치 전체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일이 없고, 개재대(8), 당접틀(3) 및 향판(11) 사이에서 공진이 발생하지 않으며,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어쿠스틱 악기의 악음에 가까워진다.
(1) 악음장치
도1은 악음장치의 배면, 도2는 정면, 도3과 도4 및 도5는 종단면 및 횡단면을 나타낸다. 가늘고 긴 한쌍의 나무 등으로 된 악음장치의 다리부분(1,1)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다리부분(1,1) 사이를 연결하도록 나무 등으로 된 바닥판(2)이 나사못, 볼트 또는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바닥판(2)은 수평으로 배치되는 가늘고 긴 사각형 모양이며, 후방 에지에는 사각형의 나무 등으로 된 당접틀(3)이 수직방향으로 나사못, 볼트 또는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바닥판(2)의 좌우 양단과 사각형 당접틀(3)의 좌우 양쪽 에지면에는 나사못, 볼트 또는 접착제 등으로, 나무 등으로 된 우측판(4)과 좌측판(5)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바닥판(2)의 전방 에지와 우측 아래 내측판(4)과 아래 내측판(5)의 전방 에지에는, 나무 등으로 된 전면판(6)이 나사못, 볼트 또는 접착제 등으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수직으로 된 우측 아래 내측판(4), 아래 내측판(5), 전면판(6), 상기 당접틀(3)의 상방 에지는 같은 높이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위에는 뚜껑을 덮듯이 나무 등으로 된 중천판(7)이 나사못, 볼트 또는 접착제 등으로 설치되어 있다.
가요성, 탄성 또는/및 쿠션성을 갖는 개재대(8)를 사이에 끼워, 상기 당접틀(3)의 뒷면(배면도 포함. 이하 같음)에는 나무 등으로 된 향판(11)의 에지의 전면이 접촉된다. 향판(11)의 외측 에지는 상기 당접틀(3)의 외측 에지보다 작거나 약간 작기 때문에 향판(11)은 악음장치 본체 즉 상기 바닥판(2), 당접틀(3), 우측 아래 내측판(4), 아래 내측판(5), 전면판(6), 중천판(7)에 전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향판(11)의 음/진동이 악음장치 본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으며,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상기 향판(11)은 당접틀(3)에 나사못(23) 등으로 접촉시켜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개재대(8)의 두께는 0%∼90%로 압축된다. 따라서, 상기 개재대(8), 당접틀(3) 및 향판(11) 사이에는 틈이 없다. 이것에 의해, 상기 개재체, 당접체 및 향판이 서로 진동으로 부딪치지 않으며, 이상진동/이상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상기 향판(11) 및 당접틀(3)의 전주(全周) 에지에는 상기 개재대(8)가 틈 없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악음장치 본체와 상기 향판(11) 사이는 틈없이 밀폐되어 있다. 또한 향판(11)이 설치되는 악음장치 본체의, 향판(11)이 설치되는 쪽/뒷쪽, 윗쪽, 아랫쪽, 오른쪽, 왼측, 즉 상기 바닥판(2), 당접틀(3), 우측 아래 내측판(4), 아래 내측판(5), 전면판(6), 중천판(7)과 향판(11)과의 사이는 틈 없이 밀봉되어 있다.
따라서, 향판(11)의 상하, 좌우 및 앞쪽의 전주(全周) 에지와 악음장치 본체, 즉 상기 당접틀(3) 사이는 틈 없이 밀봉된다. 이것에 의해, 향판(11)의 주위에서 음이 샐 일이 없으며,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향판(11)의 주위에서 음이 새면, 이 누설음은 향판(11)의 내측에서 방사된 것이 되며, 이 누설음의 위상과 향판(11) 외측에서의 음파의 위상은 역전(invert)되어 있으므로, 향판(11)의 주위에서 음이 새면 향판(11)의 외면에서의 음을 상쇄하게 된다. 밀봉함으로써 이러한 상쇄 현상을 막을 수 있으며,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상기 전면판(6)의 높이는 낮고 상측 에지에는 잘려진 곳이 있으므로 이 전면판(6)과 상기 중천판(7) 사이에 틈이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 통하는 삽통공(揷通孔)(9)이 형성된다. 이 삽통공(9) 안에는 양끝과 가운데에 수직의 기둥이 4개 세워져, 이것에 의해 3개의 삽통공(9)으로 분할되며, 이 삽통공(9)은 메시 천으로 덮어져 있다. 이 삽통공(9)은, 본 악음장치 본체의 향판(11)이 설치되는 쪽과 반대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향판(11)에서의 음이 삽통공(9)에서 방사된다. 이 삽통공(9)에서의 음은 향판(11)의 내측에서 방사되며, 향판(11)의 외측에서의 음과는 위상이 반전되어 있다. 그러나, 삽통공(9)에서의 음은 향판(11)의 외면과 반대쪽으로 방사되며, 향판(11)의 외면과 같은 방향으로 방사되지 않으므로, 삽통공(9)에서의 음과 향판(11)에서의 음은 서로 상쇄되지 않으며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상기 중천판(7) 위에는 기구상자(mechanic box)(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구상자(21)의 전면에는 건반(22) 및 판넬 스위치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기구상자(21)의 좌우 양측면 및 상기 우측 아래 내측판(4), 좌측 아래 내측판(5)의 외측에는, 우측 외측판(24), 좌측 외측판(25)이 접합되어 있다. 이 기구상자(21) 안에 는, 악음 제어회로, 필터, 앰프, 스피커 등이 내장되며, 건반(22) 및 판넬 스위치군의 조작에 따른 악음신호가 생성된다.
따라서, 상기 악음장치는 건반악기이며, 상기 향판(11)은, 이 건반악기의 악음장치의 뒷면측/배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악음장치의 정면측의 건반(22)의 아랫쪽에 상기 삽통공(9)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삽통공(9)에서 방사된 음(진동도 포함. 이하 같음)이, 건반(22) 등에도 전달되고, 실제 어쿠스틱 악기, 예를 들어 그랜드 피아노와 업라이트 피아노 등의 연주와 비슷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2) 향판 (11)( 배면방음체 )
도3 및 도5는 악음장치의 종단면을 나타낸다. 진동되고 음을 방사하는 악기의 나무 등으로 된 향판(11)(배면방음체)은 사각형 모양으로, 이 향판(11)의 외측 에지는 상기 당접틀(3)의 외측 에지보다 작거나 약간 작다. 향판(11)의 사변의 외주 에지의 뒷면측에는, 나무 등으로 된 틀봉(12…)이 나사못, 볼트 또는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향판(11)의 음이 향판(11)의 네구석까지 원활하게 전달되며,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확산되므로,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2개 내지 8개,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7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4개 내지 6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5개의 나무 등으로 된 향봉(13)이 나사못, 볼트 또는 접착제 등으로 이 향판(11)의 뒷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향판(11)의 음이 향판(11)의 일부에 편중되는 일 없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확산되며,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상기 향봉(13…)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20도 내지 70도, 바람직하게는 30도 내지 6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40도 내지 50도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향판(11)의 음이 수평방향 또는/및 수직방향으로 편중되는 일 없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확산되고,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그리고, 향판(11)은 직사각형이므로 향판(11)의 음은 원래 수평방향 또는/및 수직방향으로 편중되는 성질을 갖는다.
상기 향판(11)에는 곧은 결(grain)이 존재하며, 이 곧은 결은 경사진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상기 향봉(13…)의 각각은, 이들 곧은 결과 거의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향판(11)의 음은 곧은 결에 따라 전파되기 쉽지만, 이들 각각의 향봉(13…)에 의해 곧은 결을 넘어서 음이 전파되며, 향판(11)의 음이 편중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확산되며,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이 향봉(13…)의 양끝 에지는, 상기 틀봉(12…)까지 달해 있다. 이것에 의해, 향판(11)의 끝 에지까지 향판(11)의 음이 수평방향 또는/및 수직방향으로 편중되지 않으므로,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향봉(13…)의 양끝은 두께가 얇게 만들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향봉(13…) 자체의 공진이 방지되며,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상기 향봉(13…) 각각의 간격은 10cm 내지 30cm이며, 등간격이 아니라 부등 간격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향봉(13…)이 진동의 절(node)이 되며, 향봉(13…) 각각의 사이에서 같은 주파수의 음이 공진하지 않으며,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이러한 향봉(13…)은 향판(11)의 뒷면측이 아니라 전면측 또는 양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향봉(13…)의 간격은, 악음장치의 왼쪽, 즉 도1의 오른쪽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진다. 또한, 향판(11)의 도1의 우측 아래 구석의 삼각형의 크기는, 향판(11)의 도1의 좌측 위 구석의 삼각형의 크기보다 크다. 이것에 의해, 향판(11)의 오른쪽 방향으로 갈 수록 음고가 낮은 저음이 보다 많이 방사된다.
상기 건반(22)에 의해, 고음역부터 저음역까지의 음고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악음의 출력이 지시된다. 건반(22)의 도2의 왼쪽, 도1의 오른쪽으로 갈수록 보다 음고가 낮은 악음의 저음이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건반(22)의 저음을 출력하는 조작을 행하는 측에 가까운 향판(11)의 부분에서 저음이 보다 많이 방사된다. 따라서, 피아노 등 어쿠스틱 악기에 가까운 조작 감촉을 얻을 수 있다.
피아노 등 어쿠스틱 악기에 있어서는, 조작하는 건반(22) 자체에, 발음하고 있는 악음의 진동이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이 전달된 진동은, 건반(22)의 저음역이 조작되어 있으면 이 저음역의 건반에 저음의 진동이 전달되며, 건반(22)의 고음역이 조작되어 있으면 이 고음역의 건반에 고음의 진동이 전달되며, 건반(22)의 중음역이 조작되어 있으면 이 중음역의 건반에 중음의 진동이 전달된다. 이것은,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어쿠스틱 악기의 라이브 연주 감각이 본 악음장치에서는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향봉(13…) 각각의 간격은 불균일하기 때문에, 향봉(13…) 사이의 향판(11) 부분에서 발생되는 악음의 높이에 차이가 생기고, 향판(11)의 진동이 공진하는 일이 없어져,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거나 음량이 감소되는 일이 없어지고, 실제 어쿠스틱 악기의 악음에 가까운 음을 실현할 수 있다.
향판(11)의 종:횡 비율은 「1:2.5」이지만, 「1:0.25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0.5내지 4」,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3」,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5」이다. 향봉(13)의 간격은, 전자구동 유닛(14)의 지름의 「1 내지 3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3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배」,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1배」이다. 향봉(13)의 갯수가 많아지면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음량이 저하된다. 향봉(13)의 갯수가 적어지면 향판(11)의 음질이 향상된다.
(3)전자구동 유닛(14)( 전자구동체 / 배면방음체 )
도1 및 도4 등에는, 전자구동 유닛(14)의 향판(11)에 대한 설치 위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향판(11)의 향봉(13…) 사이의 전면(상/표면)에는, 전자구동 유닛(전자구동체/배면방음체)(14)이 나사못, 볼트 등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설치 기구는, 특원 2006-181135호, 특원 2006-160054호, 특원 2006-151287호, 특원 2006-141954호, 특원 2006-135899호 등에 제시되어 있다.
전자구동 유닛(14)의 외형은 원기둥형의 본체 케이스와 이 본체 케이스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원형의 평탄한 진동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자구동 유닛(14) 안에는 코일과 자석이 내장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 및 진동판의 한편에 코일이 연결되어, 다른 한편에 자석이 연결된다.
상기 코일에 여러 종류의 악음으로 구성된 악음신호가 흐르면, 코일에 발생되는 자계와 자석의 자계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코일 또는 자석이 진동/구동/변위되며,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진동판이 진동/구동/변위된다. 진동판은 상기 향판(11)에 직접 또는 연결부재를 개재하여 접합(설치/연결/접착을 포함)된다. 따라서, 전자구동 유닛(14)에 의해, 여러 종류의 악음으로 구성된 악음신호가 기계적 변화로 변환되고, 악기의 향판(11)이 구동되어 음이 방사된다.
이것에 의해, 진동판 및 향판(11)이 전자구동되어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전자구동 유닛(14)은, 스피커와는 달리, 그것 자체는 발음/방음하지 않고, 접합된 다른 물건을 전자구동하여 진동시켜서 발음/방음시킨다. 이러한 전자구동 유닛(14)은, 특개평 8-146949호 공보, 특개평 8-111896호 공보 등에 공개되어 있다.
이 전자구동 유닛(1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음이 주로 출력 방사된다. 이 전자구동 유닛(14)은, 도1에서 향판(11)의 중심에서 약간 오른쪽 위로 벗어난 위치의 내면, 향봉(13…)과 반대측에 설치되며, 상기 건반(22)의 저음역측에 가까운 위치의 향판(11)에 전자구동 유닛(14)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향판(11)의 중심에서 도1의 오른쪽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저음이 출력 방사된다. 따라서, 건반(22)의 저음을 출력하는 조작을 행하는 측에 가까 운 향판(11) 부분에서 저음이 보다 많이 방사된다. 따라서, 피아노 등 어쿠스틱 악기와 가까운 조작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자구동 유닛(14)은, 향판(11)의 중심에서 도1의 윗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향판(11)의 약간 윗쪽에서 저음이 출력 방사되며, 피아노 등 어쿠스틱 악기와 가까운 발음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왜냐하면, 실제 그랜드 피아노나 업라이트 피아노에서는, 악기의 아랫쪽이 아니라 중앙부근에 현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중앙 부근에서 음이 나오기 때문이다.
또한, 전자구동 유닛(14)이 향판(11)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향판(11)의 진동이 공진하지 않으며,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으므로 어쿠스틱 악기의 악음에 가까운 음을 실현할 수 있다.
이 전자구동 유닛(14)은, 향봉(13)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향판(11)을 전자구동 유닛(14)으로 진동시킨 후, 이 향판(11)의 진동이 향봉(13…)을 통해서 향판(11) 전체로 전달되며, 향판(11)보다 향봉(13)에 먼저 음이 전달되는 일 없이 향판(11) 전체에 음이 균일하게 전달된다.
이 전자구동 유닛(14)을 사이에 끼워진 상기 2개의 향봉(13,13) 중, 윗쪽의 향봉(13)에 약간 가까운 위치에 이 전자구동 유닛(14)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2개의 향봉(13,13) 사이의 향판(11) 부분의 진동이 공진하는 일이 없어지며, 이 향판(11) 부분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으므로, 어쿠스틱 악기의 악음에 가까운 음을 실현할 수 있다.
이 전자구동 유닛(14)은, 향판(11)의 중심에서 도1의 윗쪽으로 빗나간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악음장치 앞의 전면판(6) 윗쪽의 삽통공(9)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삽통공(9)에서 방사되는 음/악음이 보다 커진다. 다만, 전자구동 유닛(14)은 삽통공(9)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4)상면 스피커(31L,31R,32L,32R)( 표면방음체 )
도7은 악음장치의 상면을 나타낸다. 상기 악음장치의 상면이며, 건반(22)의 근방에는 평판상의 보면대(36)가 설치되며, 악음장치의 상면에서 세웠다 눕혔다 할 수 있다. 이 보면대(36)의 길이는, 악음장치의 상면 길이의 거의 절반으로, 보면대(36)의 높이는, 기구상자(21)의 높이와 거의 같거나 악음장치 상면의 안길이보다 약간 작다. 세워진 보면대(36)는, 뒷쪽/후방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악음장치 상면 뒷쪽의 기구상자(21) 안에는, 4개의 구멍이 만들어져, 4개의 상면 스피커(표면방음체)(31L,31R,32L,32R)가 직선상에 위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4개의 상면 스피커(31L,31R,32L,32R) 중, 안쪽의 2개(31L,31R)는 상기 보면대(36)의 후방/뒷쪽에서, 보면대(36)의 좌우 에지보다 안쪽, 보면대(36)의 배후에 위치하고 있다. 외측의 2개(32L,32R)는, 상기 보면대(36)의 후방/뒷쪽으로, 보면대(36)의 좌우 에지에서 외측, 보면대(36)의 옆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안쪽 2개의 상면 스피커(31L,31R)에서의 음은, 세워진 보면대(36)에서 반사되고 뒷쪽/후방으로 주로 방사되며, 외측 2개의 상면 스피커(32L,32R)에서의 음은, 세워진 보면대(36)와 별다른 상관없이 윗쪽으로 주로 방사된다. 이것에 의해, 악음장치의 후방과 상방으로 음이 방사되면서 확산되므로, 임장감이 있는 연주가 실현된다.
게다가, 안쪽 2개의 상면 스피커(31L,31R)에는, 음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채널 신호가 각각 보내지므로, 안쪽의 2개(31L,31R)로 음상이 형성된다. 외측 2개의 상면 스피커(32L,32R)에도, 역시 음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채널 신호가 각각 보내지므로, 외측 2개의 상면 스피커(32L,32R)로 음상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악음장치의 후방과 상방에 음상이 형성되며, 임장감이 있는 연주가 실현된다.
이 4개의 상면 스피커(31L,31R,32L,32R)에는 같은 주파수대역의 악음신호가 보내진다. 따라서, 악음장치의 후방과 상방에 같은 주파수대역의 음상이 형성되므로, 임장감이 있는 연주가 실현된다. 그러나, 안쪽 2개의 상면 스피커(31L,31R)와 외측 2개의 상면 스피커(32L,32R)에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의 악음신호가 보내질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악음장치의 후방과 상방에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의 음상이 형성되므로, 임장감이 있는 연주가 실현된다.
다만, 상면 스피커(31L,31R,32L,32R)의 수는 더 많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보면대(36)의 뒷쪽/후방의 상면 스피커(31L,31R)의 수를 늘릴 수도 있고, 보면대(36)의 옆의 상면 스피커(32L,32R)의 수를 늘릴 수도 있다. 또한, 상면 스피커(31L,31R,32L,32R)의 어떤 하나 또는 양쪽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상면 스피커(31L,31R,32L,32R)는 보면대(36)의 앞쪽에 설치될 수도 있고, 악음장치의 전면측 또는 뒷면측/배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면 스피 커(31L,31R,32L,32R)를 트위터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피커는 트위터도 포함한다.
(5)전면 트위터(33L,33R)( 전면방음체 )
상기 악음장치의 전면의 기구상자(21) 안에는 2개의 구멍이 만들어지고 2개의 전면 트위터(33L,33R)가 좌우로 이격되면서 앞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2개의 전면 트위터(33L,33R)에는, 음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채널 신호가 각각 보내지므로, 2개의 전면 트위터(33L,33R)에 의해 악음장치 전방에 음상이 형성되므로, 임장감이 있는 연주가 실현된다.
이 전면 트위터(33L,33R)는, 상기 외측의 상면 스피커(32L,32R)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면 스피커(31L,31R,32L,32R)에 의해 형성되는 음상보다, 전면 트위터(33L,33R)에 의해 형성되는 음상이, 악음장치에서 보다 이격되면서 형성되고, 악음장치의 수직방향보다 수평방향에서 음상이 확산된다.
이 전면 트위터(33L,33R)에 보내지는 악음신호의 주파수대역은, 상기한 4개의 상면 스피커(31L,31R,32L,32R)에 보내지는 악음신호의 주파수대역보다 높다. 이것에 의해, 악음장치의 전방과 상방/후방에, 서로 상이한 주파수대역의 음상이 형성되므로, 임장감이 있는 연주가 실현된다. 더구나 방사 방향에 따라 음의 주파수대역이 서로 상이하므로 악음장치에서의 방향에 따라 들리는 음고가 달라지므로, 확산성과 임장감이 있는 연주가 실현된다.
그리고, 전면 트위터(33L,33R)는, 상기 외측의 상면 스피 커(31L,31R,32L,32R) 또는 상면 스피커(31L,31R)보다 더욱 안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전면 트위터(33L,33R)의 수는 더 많을 수도 있다. 게다가, 전면 트위터(33L,33R)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전면 트위터(33L,33R)는, 스피커도 무방하다.
상기 상면 스피커(31L,31R,32L,32R)의 앞쪽 위에는 단차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기구상자(21)의 단차 부분의 수직면에는 방열망(radiator net)(3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방열망(37)에서는, 기구상자(21) 안의 악음 제어회로(구동회로), 필터, 앰프, 상면 스피커(31L,31R,32L,32R), 전면 트위터(33L,33R) 등에서 발생한 열이 방사된다.
(6) 연결봉 (16)( 연결체 )
상기 향판(11)의 내면 중심과, 향판(11)과 반대측의 전면판(6)의 내면 사이에는, 양쪽 내면을 잇는 바른 연결봉(16)이 끼워져 있다. 이 연결봉(16)은, 향판(11)의 내면과 전면판(6)의 내면에 대하여, 접착제, 나사못, 볼트 등으로 고정되거나, 향판(11)과 전면판(6)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이 연결봉(16)은, 상기 향봉(13)과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나무 외에 금속, 수지 등으로 만들어져, 가늘고 긴 사각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연결봉(16)에 의해, 향판(11)의 진동/음이 원활하게 전면판(6)으로 전달되고, 이것에 의해, 전면판(6)이 진동하여 향판(11)의 진동/음이 상쇄되거나 장애가 되는 일이 방지되며, 악음장치 전체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향판(11)의 중심은, 전면판(6)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으므로, 연결봉(16)이 향판(11)의 중심 또는 전면판(6)의 중심에 설치된 경우에도 향판(11)과 전면판(6)이 공진하지 않으며, 악음장치 전체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이러한 연결봉(16)은, 향판(11)의 중심 외에 전면판(6)의 중심, 향판(11)/전면판(6)의 중심에서 상/하/좌/우/좌측 위/좌측 아래/우측 위/우측 아래로 빗나간 위치, 상방 에지/하방 에지/좌측 에지/우측 에지/좌측 아래 구석/좌측 아래 구석/우측 위 구석/우측 아래 구석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연결봉(16)이 향판(11)의 중심 및 전면판(6)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으면, 향판(11)과 전면판(6)이 공진하지 않으며, 악음장치 전체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게다가, 이 연결봉(16)은, 삽통공(9)의 아랫쪽의 중앙/중앙 약간 오른쪽/중앙 약간 왼쪽/오른쪽 끝/왼쪽 끝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연결봉(16)이 삽통공(9) 부근에 설치되어 있으면, 삽통공(9)에서의 방사 음량이 커진다.
이러한 연결봉(16)은, 향판(11)의 향봉(13)의 뒷쪽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향판(11)의 진동/음이 보다 빠르게 전면판(6)에 전파된다. 또한, 이 연결봉(16)은, 전자구동 유닛(14)의 배면과 전면판(6) 내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전자구동 유닛(14) 상/하/좌/우/좌측 위/좌측 아래/우측 위/우측 아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전자구동 유닛(14)의 진동/음이 보다 빠르게 전면판(6)에 전파된다.
이러한 연결봉(16)은, 향판(11), 전면판(6), 전자구동 유닛(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거나 경사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 연결봉(16)은 향봉(13)보다 굵을 수도 가늘 수도 있다. 연결봉(16)은 똑바른 것이나 만곡된 것이나 무방하다.
연결봉(16)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반원형, 반월형, 부채형 등, 가늘고 길면 어떤 형상이라도 좋다. 연결봉(16)의 굵기는 균일할 수도 있고, 가늘고 굵음이 번갈아지거나 중앙이 가늘어지거나 굵어지거나, 끝이 굵거나 가늘어지는 등 굵기가 변화되어도 좋다.
이러한 연결봉(16)이 연결되는 향판(11)과 악음장치 본체와의 사이는, 가요성, 탄성 또는/및 쿠션성을 갖는 개재대(8)가 끼워져 있므로, 향판(11)의 진동/음이 연결봉(16)을 통해서 악음장치 본체로 전파되어도 개재대(8)에 의해 향판(11)에 이 진동/음이 다시 전달되지 않으며, 향판(11)이 공진되지 않고, 악음장치 전체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연결봉(16)의 양끝과 향판(11) 또는/및 전면판(6) 사이에 개재대(8)가 끼워져 있어도 좋다. 또한, 연결봉(16)이 길이 방향으로 분할되고, 이 복수개의 연결봉(16) 사이에도 개재대(8)가 끼워져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향판(11)의 진동에 저항/제동이 걸리지 않는다.
이 연결봉(16)으로 이어져 연결되는 향판(11)과 전면판(6)은, 향판(11)이 보다 유연하며 전면판(6)이 보다 단단하다. 이것에 의해, 향판(11)이 보다 음/진동에 대하여 즉응성/응답성이 좋아져, 전면판(6)의 잔향이 보다 길어진다. 또한, 반대로 향판(11)이 보다 단단하며 전면판(6)이 보다 유연할 수도 있고, 양자의 단단함이 같아도 좋다.
(7)개재대( 개재체 )(8)
상기 개재대(개재체)(8)는, 발포 우레탄 수지, 고무, 발포 우레탄, 우레탄 elastomer, 스티렌계 폴리머, 에폭시, 염화 비닐, 초산 비닐, 합성 고무 등의 가요성, 탄성 또는/및 쿠션성을 갖는 연질 수지, 천, 종이, 펄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개재대(8)의 밀도(density)는 예를 들어 240kg/m3, 25% 압축 하중(compressive load)은 예를 들어 0.04Mpa, 인장강도(tensile strength)는 예를 들어 0.54Mpa, 신장율(elogation pereentage)은 예를 들어 115%, 인열강도(tear strength)는 예를 들어 1.8N/mm, 압축 잔류왜곡(compressive residual strain)은 예를 들어 2.7%(70도×22hr, 50% 압축으로 측정), 압축 영구왜곡(compressive permanent set)은 예를 들어 7.6%, 두께공차(thick tolerance)는 예를 들어 ±10%이다. 이 개재대(8)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mm 내지 10.0mm, 바람직하게는 2.0mm 내지 7.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mm 내지 4.0mm이다.
후술하는 압축된 상태에서는, 개재대(8)의 두께는 적어도 0.5mm 이상 필요하다. 후술하는 0%(0.1% 내지 1.0%) 압축일 때는, 개재대(8)의 두께는 적어도 0.5mm 이상 필요하다. 후술하는 90% 압축일 때는, 개재대(8)의 두께는 적어도 5.0mm 이 상 필요하다.
상기 향판(11)은 당접틀(3)에 나사못 등으로 접촉시켜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개재대(8)의 두께는, 0% (0.1% 내지 1.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0.1% 내지 1.0%) 내지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0.1% 내지 1.0%)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0.1% 내지 1.0%)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0.1% 내지 1.0%) 내지 45%, 보다 바람직하게는 0% (0.1% 내지 1.0%)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0.1% 내지 1.0%) 내지 35%, 보다 바람직하게는 0% (0.1% 내지 1.0%)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0.1% 내지 1.0%) 내지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0% (0.1% 내지 1.0%)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0.1% 내지 1.0%)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 (0.1% 내지 1.0%) 내지 10% 압축된다.
또는 상기 개재대(8)의 두께는, 0% (0.1% 내지 1.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0% (0.1% 내지 1.0%)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0.1% 내지 1.0%) 내지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0.1% 내지 1.0%)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5%,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5%,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 압축된다.
이 개재대(8)의 두께의 압축율이 작으면 상기 개재대(8), 당접틀(3) 및 향판(11) 사이에서 서로가 진동으로 부딪칠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0%일 때도 서로 부딪칠 가능성은 별로 없다. 이 개재대(8)의 두께의 압축율이 크면 상기 향판(11)에서 당접틀(3)로 진동이 전달되기 쉬워져,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변이되거나 음량이 감소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압축율이 90%를 초과하지 않고, 두께가 0.5mm 이상이면,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 효과는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개재대(8), 당접틀(3) 및 향판(11) 사이에 틈이 없어진다. 이것에 의해, 상기 개재대(8), 당접틀(3) 및 향판(11)이 서로 진동으로 인해 부딪칠 일이 없어져, 이상진동/이상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상기 악음장치 본체의 당접틀(3)과 향판(11) 사이에는, 이 가요성, 탄성 또는/및 쿠션성이 있는 개재대(8)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향판(11)은 악음장치 본체 즉 당접틀(3)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향판(11)의 음/진동이 악음장치 본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으며,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이러한 개재대(8)가 없으면, 향판(11)의 진동에 저항/제동이 걸려 음량이 저하되지만, 이러한 개재대(8)가 있으면 향판(11)의 진동에 저항/제동이 걸리지 않고, 음량이 커진다.
(8) 삽통공 (9)
도6은 향판(11)에서 방사되는 음의 주파수특성을 나타낸다. 도6의 실선은 삽 통공(9)이 있을 때의 특성을 나타내며, 파선은 삽통공(9)이 없을 때의 특성을 나타낸다. 삽통공(9)을 악음장치 본체의 전면에 설치하면, 향판(11)의 주파수특성에 있어서, 130Hz 내지 150Hz(140Hz 부근)에서 180Hz 부근의 음량이 증가된다.
이 삽통공(9)에서의 음과 향판(11)에서의 음은 같지만, 삽통공(9)에서의 음은 향판(11)의 내측에서 방사된 것으로, 향판(11)의 외측에서의 음과는 서로 위상이 반전되어 있다. 삽통공(9)에서의 음은 향판(11)의 외면과 반대측으로 방사되며, 향판(11)의 외면과 같은 방향으로 방사되지 않으며, 이들 음은 서로 상쇄되지 않고 악영향을 서로 미치지 않으므로,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이 쓸데없이 변이되지 않고 음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이러한 삽통공(9)의 위치는, 전면판(6)의 상방 에지이며, 건반(22) 아래 또는 위 등 건반(22)에 보다 가까운 장소가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연주자 자신이 자기가 치고 있는 음으로 감싸지는 듯한 감촉을 얻을 수 있고, 어쿠스틱 악기에 가까운 연주 감촉을 얻을 수 있다.
이 삽통공(9)은 상술한 바와 같이 3개로 분할되며, 삽통공(9)의 갯수는 3개이며, 각 삽통공(9)의 세로 방향의 길이는 약7cm로, 각 삽통공(9)의 가로 방향의 길이는 전면판(6)의 폭의 거의 1/3이다. 이 삽통공(9)의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삽통공(9)의 갯수를 늘리면, 상기 130Hz 내지 150Hz(140Hz 부근)에서 180Hz 부근보다 저음의 음량이 증가되는 등, 특정 주파수성분이 증감되어 주파수특성이 다양하게 변화된다.
이 삽통공(9)의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의 크기를 작게 하거나 삽통공(9) 의 갯수를 줄이면, 상기 130Hz 내지 150Hz(140Hz 부근)에서 180Hz 부근보다 고음의 음량이 더욱 증가되는 등, 특정 주파수성분이 증감되고, 주파수특성이 다양하게 변화된다. 이렇게 하여, 도6의 주파수특성 전체를 평탄하게 하거나 또는 이퀄라이저 역할을 하도록 이 삽통공(9)의 크기와 갯수가 결정된다.
이 삽통공(9)은, 전면판(6)의 중앙, 좌측, 우측 아랫쪽, 중앙에서 약간 왼쪽, 중앙에서 약간 오른쪽, 중앙에서 약간 아랫쪽, 중앙에서 약간 윗쪽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삽통공(9)의 형상은 수직방향, 경사 방향,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게다가, 삽통공(9)은 단수 또는 복수를 불문하며, 삽통공(9)의 일부 또는 전체가 생략될 수도 있다.
(9)구동회로
도8은, 전자구동 유닛(14), 상면 스피커(31L,31R,32L,32R), 전면 트위터(33L,33R)의 구동회로(악음 제어회로)를 나타낸다. 팬포트 회로(41)에서는, 디지털로부터 변환된 아날로그의 음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좌우 채널 악음신호가 출력된다.
팬포트 회로(41)에서의 왼쪽의 악음신호L은, 왼쪽 DSP필터(42L)로 필터 제어되며,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쪽4밴드 이퀄라이저(43L)로 주파수특성이 평탄화되며, 왼쪽 앰프(44L)로 증폭되고, 왼쪽의 2개 상면 스피커(31L, 32L)에서 방음출력된다. 또한, 왼쪽 앰프(44L)의 출력은, 왼쪽 네트워크 필터(45L)로 필터 제어되며, 왼쪽의 전면 트위터(33L)에서 방음출력된다.「DSP」는 digital signal processor를 의미한다.
팬포트 회로(41)에서의 오른쪽 악음신호(R)는, 오른쪽 DSP필터(42R)로 필터 제어되며,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 4밴드 이퀄라이저(43R)로 주파수특성이 평탄화되며, 오른쪽 앰프(44R)로 증폭되고, 오른쪽 2개의 상면 스피커(31R, 32R)에서 방음출력된다. 또한, 오른쪽 앰프(44R)의 출력은, 오른쪽 네트워크 필터(45R)로 필터 제어되며, 오른쪽 전면 트위터(33R)에서 방음출력된다.
또한, 팬포트 회로(41)에서의 왼쪽 악음신호(L)와 오른쪽 악음신호(L)는 합성되고,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3밴드 이퀄라이저(46)로 주파수특성이 평탄화되며, 앰프(47)로 증폭되고, 상기 전자구동 유닛(14)에 보내지고 상기 향판(11)에서 방음출력된다.
네트워크 필터(45L, 45R)에서는 고음이 추출되고 중음과 저음이 제거되며,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6kHz 내지 15kHz의 음이, 왼쪽 4밴드 이퀄라이저(43L) 및 오른쪽 4밴드 이퀄라이저(43R)로 주파수특성이 평탄화되며, 전면 트위터(33L,33R)에서 출력된다.
왼쪽 DSP필터(42L) 및 오른쪽 DSP필터(42R)에서는, 레지스터(48)에서 보내지는 필터 설정 데이타에 근거하여 컷오프 주파수 또는/및 감쇠량이 제어되며,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180Hz 내지 6kHz의 음이, 왼쪽 4밴드 이퀄라이저(43L) 및 오른쪽 4밴드 이퀄라이저(43R)로 주파수특성이 평탄화되고, 상면 스피커(31L,31R,32L,32R)에서 출력된다.
또한, 왼쪽 DSP필터(42L) 및 오른쪽 DSP필터(42R)에서는, 레지스터(48)에서 보내진 필터 설정 데이타에 근거하여,컷오프 주파수 또는/및 감쇠량이 제어되며,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50Hz 내지 180Hz의 음이 3밴드 이퀄라이저(46)에서 주파수특성이 평탄화되고, 전자구동 유닛(14) 및 향판(11)에서 출력된다.
악음장치 전면의 판넬 스위치군에는, 본 악음장치가 벽에 근접된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에 조작될 전환스위치(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환스위치(49)의 온 데이타는, 디코더(50)에서 컷오프 주파수 변경 또는/및 감쇠량 변경의 필터 제어 데이타로 변환되고, 상기 레지스터(48)에 스토어된다.
또한, 본 악음장치의 배면 또는 상면에는, 초음파 센서 또는 가늘고 긴 돌기 등에 의한 벽 접근 센서(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벽 접근 센서(51)의 온 데이타는, 디코더(50)에서 컷오프 주파수 변경 또는/및 감쇠량 변경의 필터 제어 데이타로 변환되고, 상기 레지스터(48)에 스토어된다.
이 필터 제어 데이타에 의해, 예를 들어, 180Hz 내지 6kHz의 중음 성분의 감쇠량/레벨이 낮춰져, 이것에 의해, 본 악음장치가 벽에 접근된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에 상면 스피커(31L,31R,32L,32R)에서의 중음역의 방음량이 저하된다.
이러한 왼쪽 DSP필터(42L) 및 오른쪽 DSP필터(42R)는, 내측의 상면 스피커(31L,31R)의 입력단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보면대(36)의 배면의 중음역의 음량만이 감소되고, 벽에 반사되는 음량이 저하된다. 또한, 이러한 왼쪽 DSP필터(42L) 및 오른쪽 DSP필터(42R)는, 왼쪽 상면 스피커(32L,32R)의 입력단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보면대(36)의 외측 옆의 중음역의 음량만이 감소되고, 벽에 반사되는 음량이 저하된다.
게다가, 이러한 왼쪽 DSP필터(42L) 또는 오른쪽 DSP필터(42R)는, 전자구동 유닛(14)의 입력단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악음장치의 배면의 향판(11)에서 방사되는 저음역의 음량만이 감소되고, 벽에 반사되는 음량이 저하된다. 또한, 이러한 왼쪽 DSP필터(42L) 및 오른쪽 DSP필터(42R)는, 전면 트위터(33L,33R)의 입력단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악음장치 전면의 고음역의 음량만이 감소되고, 벽에 반사되는 음량이 저하된다.
도6의 주파수특성은, 전면 트위터(33L,33R), 상면 스피커(31L,31R,32L,32R), 전자구동 유닛(14)에 보내지는 악음신호의 주파수특성이 아니라, 전면 트위터(33L,33R), 상면 스피커(31L,31R,32L,32R), 향판(11)에서 실제로 방사되는 음의 주파수특성을 측정한 것이다.
(10)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자구동 유닛(전자구동체)(14)는, 향판(11)의 아랫쪽, 오른쪽, 왼쪽, 우측 위 구석, 우측 아래 구석, 좌측 아래 구석, 좌측 위 구석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전자구동 유닛(14) 및 향판(11)은, 본 악음장치의 상면, 전면, 좌측면 또는 우측면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면 스피커(31L,31R,32L,32R)는, 본 악음장치의 전면, 배면, 좌측면 또는 우측면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전면 트위터(33L,33R)는, 본 악음장치의 상면, 배면, 좌측면 또는 우측면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전면 트위터(33L,33R), 상면 스피커(31L,31R,32L,32R)는 단수일 수 있으며, 보내지는 악음신호는 모노럴 신호일 수도 있다. 전자구동 유닛(14)은 복수일 수 있으며, 보내지는 악음신호는 스테레오 신호/음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 채널 신호일 수도 있다.
당접틀(3)이 생략되고 바닥판(2), 우측 아래 내측판(4), 좌측 아래 내측판(5), 중천판(7)의 후방 에지에 개재대(8)를 개재시켜서 향판(11)을 설치할 수도 있고, 또한 우측 외측판(24), 좌측 외측판(25) 등의 뒷 에지에 개재대(8)를 개재시켜서 향판(11)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당접체는 악음장치 본체의 일부일 수도 있다.
개재대(8)는, 가요성, 탄성 또는 쿠션성이 있으면 그 소재를 불문하며, 향판(11) 전면과 당접틀(3) 뒷면과는 일부 또는 전부가 중복되거나 전혀 중복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개재대(8)의 일부에 향판(11) 전면과 당접틀(3) 뒷면으로 끼워지지 않는 부분이 생긴다.
향판(11)은 악음장치 본체(바닥판(2), 당접틀(3), 우측 아래 내측판(4), 좌측 아래 내측판(5), 전면판(6), 중천판(7))에 전혀 접촉하지 않지만, 일부만 접촉할 수도 있다. 향판(11)의 전주(全周) 에지에는 개재대(8)가 일부 틈을 사이에 두고 개재될 수 있으며, 향판(11)의 전주(全周) 에지와 악음장치 본체와의 사이에는 틈이 약간 있어도 좋다.
상기 향판(11)이 설치될 악음장치 본체의, 향판(11)이 설치되는 측, 윗쪽, 아랫쪽, 오른쪽, 왼쪽의 일부에 틈이 있을 수도 있다. 향판(11)이 설치될 악음장치 본체의, 향판(11)이 설치되는 측과 반대측의 삽통공(9)은 생략될 수도 있다. 우측 아래 내측판(4) 및 좌측 아래 내측판(5) 또는 우측 외측판(24) 및 좌측 외측판(25)의 한편이 일부 또는 전부 생략될 수도 있다.
향판(11)의 틀봉(12)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향판(11)의 향봉(13…) 또는 틀봉(12)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향판(11)의 향봉(13…) 또는 틀봉(12)의 단면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반원형, 반월형, 부채형 등 가늘고 길면 어떤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향봉(13…) 또는 틀봉(12)의 굵기는 균일할 수 있고 굵기가 변화되어도 무방하며, 가늘고 굵음이 번갈아지거나 중앙이 가늘어지거나 굵어지거나, 끝이 굵거나 가늘어지거나, 똑바르거나 만곡되어 있어도 좋다.
향봉(13…)은, 등간격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수직방향/세로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수평방향/가로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향봉(13…)은 향판(11)의 외면/뒷면/배면이 아니라, 내면/전면/정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양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향판(11)의 곧은 결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지만, 곧은 결과 평행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곧은 결과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향봉(13…) 각각의 간격은, 전자구동 유닛(14)의 지름보다 작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구동 유닛(14)은 향봉(13…)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향봉(13…)의 1개 또는 복수개에 겹쳐져서 설치된다. 전자구동 유닛(14)은 향판(11)의 중심에 설치될 수도 있다. 향봉(13…) 각각의 간격은, 건반(22) 중 저음역의 악음이 출력 지시되는 측에 근접할수록 서서히 넓어질 수도, 좁아질 수도 있다.
악음장치 본체(바닥판(2), 당접틀(3), 우측 아래 내측판(4), 좌측 아래 내측판(5), 전면판(6), 중천판(7))은 상자 모양이지만, 팔면체, 12면체, 원통, 원주, 테이퍼 모양, 나팔 모양, 구형, 만곡 입체 등, 형상을 불문하다. 향판의 형상은 사각형 이외에, 원형, 다각형, 고리형상 등, 평탄하면 어떤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향판(11)은 평탄하지만, 오목한 형상으로 만곡해 있어도 좋고, 볼록한 모양으로 만곡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향판(11)에서 발생되는 악음의 파형은 평면파가 아니라, 구면파가 된다. 전자구동 유닛(전자구동체)(14)은, 스피커, 트위터 등과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를 설치할 악기는, 업라이트 피아노, 그랜드 피아노, 전자 피아노, 전자오르갠, 쳄발로, 전자 쳄발로, 피아니카, 전자 피아니카 등 건반만 있다면 어떤 악기라도 좋다. 이 경우, 향판(11)은 거의 수직방향/거의 세로 방향이 아니라 거의 수평방향/거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전자구동 유닛(14)도 거의 가로 방향/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게다가, 전자구동 유닛(14)의 설치 위치는, 향판(11)의 끝 부분이 아니라, 중앙에 가까운 곳 또는 중앙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전자구동 유닛(14)은, 1개의 향판(11)에 복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구동 유닛(14)은, 향판(11)의 양단부의 대칭 위치에 설치된다. 전자구동 유닛(14)에서는 저음이 아니라 고음, 중음 등이 출력될 수도 있다.
게다가, 상기 복수 종류의 악음으로 이루어지는 악음신호는, 복수 종류의 악기, 음색, 음고 또는/및 감촉의 악음 신호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폴리포닉으로 발 음되는 악음 신호이며, 저음, 중음, 고음의 각 주파수대역의 악음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악음신호에는, 악기의 현(弦) 자체, 관(管) 자체, 타(打) 자체 부분의 악음 신호 외에, 향판 부분의 악음 신호도 포함되지만, 현(弦) 자체, 관(管) 자체, 타(打) 자체 부분의 악음 신호만으로도 좋고, 실제 어쿠스틱 악기의 향판 부분의 악음 신호만으로도 좋고, 상기 복수 종류의 악음으로 이루어지는 악음 신호는 PCM 등 디지털 신호일 수도 있다.
도1은 악음장치의 배면을 나타낸다.
도2는 악음장치의 정면을 나타낸다.
도3은 악음장치의 종단면을 나타낸다.
도4는 악음장치의 종단면을 나타낸다.
도5는 악음장치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도6은 향판(11), 상면 스피커(31L,31R,32L,32R), 전면 트위터(33L,33R)의 주파수특성을 나타낸다.
도7은 악음장치의 상면을 나타낸다.
도8은 전자구동 유닛(14), 상면 스피커(31L,31R,32L,32R), 전면 트위터(33L,33R)의 구동회로(악음 제어회로)를 나타낸다.

Claims (23)

  1. 고음역으로부터 저음역까지, 음고가 서로 다른 복수의 악음 출력 지시를 행하는 건반과,
    건반 후방으로 음을 방사하는 후방 방음체와,
    이 건반 상방으로 상기 배면 방음체와 주파수대역이 다른 음을 방사하는 상방 방음체와,
    이 건반의 전방으로 상기 배면 방음체 및 상면 방음체와 주파수대역의 다른 주파수대역의 음을
    방사하는 전방 방음체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의 근방에 보면대가 설치되고,
    상기 상면방음체는 복수개 설치되고, 이들 복수의 상면방음체의 일부는 상기 보면대의 배후에 배치되고, 이 복수개의 상면방음체의 다른 일부는 상기 보면대의 앞쪽 또는 옆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악음장치의 배면에 벽이 접근되어 있음을 검출하여, 상기 상면방음체, 전면방음체 또는 배면방음체에서 방사되는 음의 주파수성분 중에서 고 음역, 중음역 또는 저음역의 성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방음체, 상면방음체 및 전면방음체의 적어도 1개는, 진동되면서 음을 방사하는 악기의 향판이며, 이 향판이 설치되는 측의 반대측에는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방음체, 상면방음체 및 전면방음체의 적어도 1개는, 진동되면서 음을 방사하는 악기의 향판과, 상기 향판에 설치되고 복수 종류의 악음으로 이루어지는 악음신호를 기계적 변화로 변환하여 상기 악기의 향판을 구동시켜서 음을 방사시키는 전자구동체로 구성되며, 다른 적어도 1개는 스피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방음체, 상면방음체 및 전면방음체의 적어도 1개는, 진동되면서 음을 방사하는 악기의 향판이며, 다른 적어도 1개는 복수의 스피커이며, 이 복수의 스피커에는 음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채널 신호가 각각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판이 설치되는 악음장치 본체의, 향판이 설치되는 측과 반대측의 내면과 향판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양쪽 내면을 연결하는 가늘고 긴 연결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8. 진동되면서 음을 방사하는 악기의 향판과, 복수 종류의 악음으로 이루어지는 악음 신호를 기계적 변화로 변환하고 상기 악기의 향판을 구동시켜서 음을 방사시키는 전자구동체에 있어서, 이 전자구동체가 상기 향판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향판의 표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늘고 긴 향봉에 있어서, 이 향봉 상호간의 간격은 불균일하며,
    상기 전자구동체는 이 각 향봉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장치는 고음역으로부터 저음역까지 서로 음고가 다른 복수의 악음의 출력을 지시하는 건반을 갖추고, 상기 전자구동체는 상기 향판상의 상기 건반에 있어서 약간 저음역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장치는 고음역으로부터 저음역까지 음고가 다른 복수의 악음의 출력을 지시하는 건반을 갖추고, 상기 향봉 상호간의 간격은 상기 건반의 저음역측에 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장치는 고음역으로부터 저음역까지 음고가 다른 복수의 악음의 출력을 지시하는 건반을 갖추고, 상기 전자구동체에서는 주로 저음역의 악음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향판이 설치되는 악음장치 본체의, 향판이 설치되는 측과 반대측의 내면과 향판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양쪽 내면을 연결하는 가늘고 긴 연결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구동체는, 상기 향판의 중심에서 윗쪽에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향판이 설치되어 있는 악음장치 본체의, 향판이 설치되는 측, 윗쪽, 아랫쪽, 오른쪽, 왼쪽이 틈 없이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향판이 설치되는 악음장치 본체의, 향판이 설치되는 측과 반대측에는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16. 진동되어서 음을 방사하는 악기의 향판과, 복수 종류의 악음으로 이루어지는 악음신호를 기계적 변화로 변환하고 상기 악기의 향판을 구동시켜서 음을 방사시키는 전자구동체와, 악음장치 본체에 설치된 상기 향판의 에지가 접촉하는 당접체와, 이 당접체와 상기 향판의 에지 사이에 끼워져 있는 가요성을 갖는 개재체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17. 진동되면서 음을 방사하는 악기의 향판과, 복수 종류의 악음으로 이루어지는 악음신호를 기계적 변화로 변환하고 상기 악기의 향판을 구동시켜서 음을 방사시키는 전자구동체와, 악음장치 본체에 설치된 상기 향판의 에지와 접촉하는 당접체와, 이 당접체와 상기 향판의 에지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는 가요성을 갖는 개재체와, 상기 향판은 악음장치 본체에 전혀 접촉하지 않는 상태이며, 상기 개재체, 당접체 및 향판에 틈이 없는 상태이며, 해당 개재체의 두께를 0.1% 내지 90% 압축하는 상태로 향판을 당접체에 접촉시켜 고정하는 고정기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향판의 전주(全周) 에지에는 상기 개재체가 틈 없이 개재되고, 해당 향판의 전주(全周) 에지와 악음장치 본체와의 사이가 틈 없이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향판이 설치되어 있는 악음장치 본체의, 향판을 설치하는 측, 윗쪽, 아랫쪽, 오른쪽, 왼쪽은 틈이 없고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향판이 설치되어 있는 악음장치 본체의, 향판을 설치하는 측과 반대측에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체는 상기 가요성 외에 탄성 또는/및 쿠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체의 두께는, 0.1% 내지 50%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장치는 건반악기이며, 상기 향판은 이 건반악기의 악음장치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악음장치의 정면측의 건반의 아랫쪽에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음장치.
KR1020070125626A 2006-12-05 2007-12-05 악음장치(樂音裝置) KR101473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28005 2006-12-05
JP2006328005A JP2008139746A (ja) 2006-12-05 2006-12-05 楽音装置
JPJP-P-2006-00353536 2006-12-28
JP2006353535A JP5037933B2 (ja) 2006-12-28 2006-12-28 楽音装置
JP2006353536A JP5037934B2 (ja) 2006-12-28 2006-12-28 楽音装置
JPJP-P-2006-00353535 2006-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450A true KR20080052450A (ko) 2008-06-11
KR101473001B1 KR101473001B1 (ko) 2014-12-15

Family

ID=3936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626A KR101473001B1 (ko) 2006-12-05 2007-12-05 악음장치(樂音裝置)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78988B2 (ko)
KR (1) KR101473001B1 (ko)
CN (2) CN102402978A (ko)
DE (1) DE1020070586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0505B2 (ja) * 2005-08-08 2010-05-12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鍵盤楽器
US7777122B2 (en) * 2008-06-16 2010-08-17 Tobias Hurwitz Musical note speedometer
JP5572945B2 (ja) * 2008-12-26 2014-08-20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鍵盤楽器
JP5444710B2 (ja) * 2008-12-26 2014-03-19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鍵盤楽器の音響発生装置
JP4930802B2 (ja) * 2009-05-18 2012-05-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楽器
KR101486119B1 (ko) * 2011-09-14 2015-01-23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음향 효과 부여 장치 및 어쿠스틱 피아노
US8962966B2 (en) * 2011-09-14 2015-02-24 Yamaha Corporation Keyboard instrument
JP5758774B2 (ja) 2011-10-28 2015-08-05 ローランド株式会社 効果装置
KR101607418B1 (ko) * 2011-12-15 2016-03-29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악기의 울림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그 설치 방법
US8735710B2 (en) * 2012-02-10 2014-05-27 Roland Corporation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having effect device
DE202012104814U1 (de) 2012-12-11 2013-01-04 Enzenauer Flügel-Manufaktur GmbH Resonanzboden für Klaviere mit Masseelement
JP6446896B2 (ja) * 2014-08-01 2019-01-09 ヤマハ株式会社 加振器の取付構造、及び、楽器
JP6442201B2 (ja) * 2014-09-08 2018-12-19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電子楽器
JP6378590B2 (ja) * 2014-09-09 2018-08-22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電子楽器
US20170094413A1 (en) * 2015-09-29 2017-03-30 Kawai Musical Instruments Manufacturing Co., Ltd. Soundboard speaker of digital piano
JP6939254B2 (ja) * 2017-08-25 2021-09-22 ヤマハ株式会社 楽器
KR102236569B1 (ko) * 2020-11-17 2021-04-06 주식회사 다이나톤 디지털 피아노를 활용한 두뇌 활동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4473A (en) * 1975-08-19 1978-04-18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Electric piano
JPS5369624A (en) 1976-12-03 1978-06-21 Nippon Gakki Seizo Kk Electric piano
JPS5930307A (ja) * 1982-08-12 1984-02-17 Mitsubishi Chem Ind Ltd 合成樹脂製パラボラ反射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150894A (ja) 1984-01-20 1985-08-08 Nishihara Environ Sanit Res Corp バツチ式活性汚泥処理装置
JPH0725832Y2 (ja) * 1989-09-29 1995-06-07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放音構造
JPH0456996A (ja) 1990-06-26 1992-02-24 Yamaha Corp ピアノの音量制御装置
JPH04156799A (ja) 1990-10-19 1992-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楽器
JPH0573039A (ja) 1991-02-21 1993-03-26 Yamaha Corp 楽器の音響効果制御装置
US5247129A (en) * 1991-06-10 1993-09-21 Yamaha Corporation Stringless piano-touch electric sound producer for directly driving a sound board on the basis of key actions
JPH0580748A (ja) 1991-09-18 1993-04-02 Yamaha Corp 鍵盤楽器
JP3063243B2 (ja) * 1991-06-10 2000-07-12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JPH0830264A (ja) * 1994-07-18 1996-02-02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響板およびピアノ
JPH08111896A (ja) 1994-10-12 1996-04-30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電気音響変換器
JPH08146949A (ja) 1994-11-17 1996-06-07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電子楽器の音源音響装置
JPH09179549A (ja) * 1995-12-22 1997-07-11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アップライトピアノ
US7002070B2 (en) * 2001-06-22 2006-02-21 Shelley Katz Electronic piano
JP4578108B2 (ja) * 2004-01-09 2010-11-10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電子楽器の共鳴音発生装置、電子楽器の共鳴音発生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6101961A (ja) * 2004-10-01 2006-04-20 Inax Corp 音発生機能を有する住宅設備機器
JP4460505B2 (ja) * 2005-08-08 2010-05-12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鍵盤楽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001B1 (ko) 2014-12-15
US7678988B2 (en) 2010-03-16
DE102007058619A1 (de) 2008-06-12
CN102394059A (zh) 2012-03-28
CN102394059B (zh) 2013-12-25
US20080127798A1 (en) 2008-06-05
CN102402978A (zh)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2450A (ko) 악음장치(樂音裝置)
JP5232639B2 (ja) エレキ式とアコースティック式の複合打楽器
JP5545083B2 (ja) スピーカ装置
JPH0150919B2 (ko)
JP2012230406A (ja) 楽音装置並びに楽音装置の生産方法及び改造方法
JP2008292739A (ja) 響板付き鍵盤楽器
JP5122193B2 (ja) 楽音装置並びに楽音装置の生産方法及び改造方法
JP4735662B2 (ja) 電子鍵盤楽器
CN101246682B (zh) 乐音装置
JP2008310055A (ja) 楽音装置並びに楽音装置の生産方法及び改造方法
JP2009003273A (ja) 電子鍵盤楽器
JP2008175866A (ja) 楽音装置及び楽音装置の生産方法
JP6610506B2 (ja) 音響装置
JP4468075B2 (ja) スピーカ
JP5037934B2 (ja) 楽音装置
JP6883816B2 (ja) 筒状スピーカー構造、スピーカー装置、オーディオシステム、スピーカー装置製造方法、およびスピーカー装置改造方法
US3365021A (en) Speaker enclosure
JP4210718B2 (ja) 響胴放射型スピーカ
JP5037933B2 (ja) 楽音装置
JP4851865B2 (ja) 楽音装置及び楽音制御方法
JP4816678B2 (ja) 電子鍵盤楽器
JP5028135B2 (ja) 楽音装置並びに楽音装置の生産方法及び加工方法
JP2008299082A (ja) 響板付き電子鍵盤楽器
US3319737A (en) Acoustical enclosures
JP4528280B2 (ja) 楽音装置及び楽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