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3723A - 세차기 - Google Patents

세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3723A
KR20080043723A KR1020070115557A KR20070115557A KR20080043723A KR 20080043723 A KR20080043723 A KR 20080043723A KR 1020070115557 A KR1020070115557 A KR 1020070115557A KR 20070115557 A KR20070115557 A KR 20070115557A KR 20080043723 A KR20080043723 A KR 20080043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pipe
nozzle
branch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2876B1 (ko
Inventor
다케시 히사노
다쓰야 야마모토
마사노부 마쓰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80043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블로어 장치로부터 톱 노즐과 사이드 노즐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로의 분기 부분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세차기를 제공한다.
블로어 장치로부터 토출한 바람을 톱 노즐측과 사이드 노즐측으로 분기시키는 분기관(51a)에, 유입구(57)와, 제1 및 제2 유출구(58,59)가 형성되고, 제1 덕트 호스(61a)의 일단측이 제1 유출구(58)에 접속되며 또한 타단측이 톱 노즐에 접속되고, 제2 덕트 호스(62a)의 일단측이 제2 유출구(59)에 접속되며 또한 타단측이 사이드 노즐에 접속되고, 제1 덕트 호스(61a)와 제1 유출구(58)의 접속 부분에, 직관 (直管)형상의 제1 평행관부(64a)가 형성되고, 제2 덕트 호스(62a)와 제2 유출구 (59)의 접속 부분에, 직관형상의 제2 평행관부(65a)가 형성되며, 양 평행관부 (64a,65a)가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다.

Description

세차기{Car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급유소에 설치되어, 세차에 사용되는 세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세차기로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형상의 세차기 본체(101)를 주행시키면서 피세정 차량(도시하지 않음)을 세차하는 이동식의 세차기(103)가 있다. 세차기 본체(101)에는, 피세정 차량에 세정수나 세제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도시하지 않음)과, 피세정 차량을 브러싱하는 브러시(도시하지 않음)와, 피세정 차량에 공기를 내뿜어 건조시키는 톱 노즐(104) 및 사이드 노즐 (105a,105b)과, 이들 건조용의 각 노즐(104,105a,105b)에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어 장치(106a,106b)가 설치되어 있다.
톱 노즐(104)은, 피세정 차량의 윗면에 공기를 내뿜어 건조시키는 것으로, 세차기 본체(101)에 1대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노즐(105a,105b)은, 피세정 차량의 양측면에 공기를 내뿜어 건조시키는 것이며, 세차기 본체(101)에 좌우 한 쌍(즉 합계 2대) 설치되어 있다. 블로어 장치(106a,106b)도 세차기 본체(101)에 좌우 한 쌍(즉 합계 2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세차기 본체(101)에는, 좌우 한쪽의 블로어 장치(106a)로부터 토출한 바람을 톱 노즐(104)측과 좌우 한쪽의 사이드 노즐(105a)측으로 분기시키는 한쪽의 분기관(107a)과, 좌우 다른쪽의 블로어 장치(106b)로부터 토출한 바람을 톱 노즐 (104)측과 좌우 다른쪽의 사이드 노즐(105b)측으로 분기시키는 다른쪽의 분기관 (107b)이 설치되어 있다.
도 11,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분기관(107a)에는, 한쪽의 블로어 장치(106a)로부터의 바람이 유입하는 유입구(109)와, 유입구(109)로부터 유입한 바람을 유출하는 제1 및 제2 유출구(110,111)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109)는 한쪽의 분기관(107a)의 후단에 형성되고, 제1 유출구(110)는 한쪽의 분기관(107a)의 내측단에 형성되고, 제2 유출구(111)는 한쪽의 분기관(107a)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109)에는, 한쪽의 블로어 장치(106a)의 토출구(112)가 접속되어 있다. 한쪽의 제1 송풍관(114a)의 일단이 제1 유출구(110)에 접속되고, 타단이 톱 노즐(10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제2 송풍관(115a)의 일단이 제2 유출구 (111)에 접속되고, 타단이 한쪽의 사이드 노즐(105a)에 접속되어 있다. 한쪽의 제1 송풍관(114a)과 한쪽의 제2 송풍관(115a)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한쪽의 분기관(107a)에 접속되어 있으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제1 송풍관 (114a)의 관축심(118)과 한쪽의 제2 송풍관(115a)의 관축심(119)이 한쪽의 분기관(107a)내에서 직교하고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제1 송풍관(114b)과 다른쪽의 제2 송풍관 (115b)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다른쪽의 분기관(107b)에 접속되어 있으며, 다른쪽의 제1 송풍관(114b)의 관축심(118)과 다른쪽의 제2 송풍관(115b)의 관축심 (119)이 다른쪽의 분기관(107b)내에서 직교하고 있다.
피세정 차량을 건조시킬 때, 양 블로어 장치(106a,106b)가 구동하여, 한쪽의 블로어 장치(106a)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한쪽의 분기관(107a)을 통과하여 한쪽의 제1 송풍관(114a)과 한쪽의 제2 송풍관(115a)으로 분기하여 흘러, 톱 노즐(104)과 한쪽의 사이드 노즐(105a)로 공급되는 동시에, 다른쪽의 블로어 장치(106b)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다른쪽의 분기관(107b)을 통과하여 다른쪽의 제1 송풍관(114b)과 다른쪽의 제2 송풍관(115b)으로 분기하여 흘러, 톱 노즐(104)과 다른쪽의 사이드 노즐(105b)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공기가 톱 노즐(104)과 양 사이드 노즐(105a, 105b)로부터 피세정 차량에 내뿜어져, 피세정 차량이 건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 송풍관(114a,114b)과 제2 송풍관(115a,115b)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분기관(107a,107b)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 특허 문헌 1에 나타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개평 1-116767호
그러나, 상기의 종래 형식에서는, 한쪽의 블로어 장치(106a)로부터 한쪽의 분기관(107a)을 통과하여 한쪽의 제1 송풍관(114a)에 흘러 들어가는 공기의 흐름 방향은 한쪽의 블로어 장치(106a)로부터 한쪽의 분기관(107a)을 통과하여 한쪽의 제2 송풍관(115a)에 흘러 들어가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한쪽의 분기관(107a)을 통과하여 한쪽의 제1 송풍관(114a)에 흘러들어가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한쪽의 분기관(107a)을 통과하여 한쪽의 제2 송풍관(115a)에 흘러들어가는 공기의 흐름 방향이 90° 다르고, 이에 따라 한쪽의 분기관(107a) 내에서 소음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한쪽의 분기관(107a)을 통과하여 한쪽의 제1 송풍관(114a)으로 흘러들어가는 공기의 유량과 한쪽의 분기관(107a)을 통과하여 한쪽의 제2 송풍관(115a)으로 흘러들어가는 공기의 유량을 균등하게 조절하는 것은 어렵고, 한쪽의 블로어 장치(106a)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한쪽의 분기관(107a)을 통과하여 한쪽의 제1 송풍관(114a)과 제2 송풍관(115a)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흐르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송풍 장치로부터 제1 건조용 노즐과 제2 건조용 노즐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로의 분기 부분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세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세차기는, 피세정 차량에 공기를 내뿜어 건조시키는 제1 및 제2 건조용 노즐과, 제1 및 제2 건조용 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 장치가 설치된 세차기로서,
송풍 장치로부터 토출한 바람을 제1 건조용 노즐측과 제2 건조용 노즐측으로 분기시키는 중공(中空) 구조의 분기체가 설치되고,
분기체에, 송풍 장치로부터의 바람이 유입하는 유입구와, 유입구로부터 유입한 바람을 유출하는 제1 및 제2 유출구가 형성되고,
제1 송풍관의 일단측이 제1 유출구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측이 제1 건조용 노즐에 접속되고,
제2 송풍관의 일단측이 제2 유출구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측이 제2 건조용 노즐에 접속되며,
제1 송풍관의 일단측과 분기체의 제1 유출구와의 접속 부분에 제1 평행관부가 형성되고,
제2 송풍관의 일단측과 분기체의 제2 유출구와의 접속 부분에 제2 평행관부가 형성되며,
제1 평행관부와 제2 평행관부가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열되고,
제1 유출구로부터 제1 평행관부를 흐르는 바람의 흐름 방향과 제2 유출구로부터 제2 평행관부를 흐르는 바람의 흐름 방향이 동일방향인 것이다.
이에 따르면, 피세정 차량을 건조시킬 때, 송풍 장치가 구동하여, 송풍 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유입구를 통과하여 분기체내에 유입하고, 그 일부가 분기체 내로부터 제1 송풍관을 통과하여 제1 건조용 노즐에 공급되는 동시에 나머지가 분기체내로부터 제2 송풍관을 통과하여 제2 건조용 노즐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1 건조용 노즐과 제2 건조용 노즐로부터 피세정 차량을 향하여 공기가 내뿜어진다.
이 때, 분기체내로부터 제1 송풍관으로 흐르는 공기는 제1 평행관부를 통과하고, 분기체내로부터 제2 송풍관으로 흐르는 공기는 제2 평행관부를 통과한다. 제1 평행관부와 제2 평행관부는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기 때문에, 분기체를 통과하여 제1 평행관부를 흐르는 바람의 흐름 방향과 분기체를 통과하여 제2 평행관부를 흐르는 바람의 흐름 방향이 동일방향이 되고, 이에 따라서, 분기체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세차기는, 제1 및 제2 건조용 노즐은 세차기 본체에 설치되고,
송풍 장치와 분기체가 세차기 본체의 천정부에 얹어 놓여지고,
제1 및 제2 유출구는 하향으로 설치되고,
제1 및 제2 평행관부는, 세차기 본체내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세차기는, 제1 건조용 노즐은 피세정 차량의 상면을 건조시키는 톱 노즐이고,
제2 건조용 노즐은 피세정 차량의 측면을 건조시키는 사이드 노즐이고, 톱 노즐은 1대 설치되며,
송풍 장치와 분기체와 사이드 노즐은 각각 좌우 한 쌍 합계 2대씩 설치되고,
한쪽의 분기체가 한쪽의 송풍 장치에 접속되고,
한쪽의 분기체와 톱 노즐이 한쪽의 제1 송풍관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한쪽의 분기체와 한쪽의 사이드 노즐이 한쪽의 제2 송풍관을 개재하여 접속되며,
한쪽의 제1 송풍관과 한쪽의 분기체와의 접속 부분에 한쪽의 제1 평행관부가 형성되고,
한쪽의 제2 송풍관과 한쪽의 분기체와의 접속 부분에 한쪽의 제2 평행관부가 형성되며,
다른쪽의 분기체가 다른쪽의 송풍 장치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분기체와 톱 노즐이 다른쪽의 제1 송풍관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다른쪽의 분기체와 다른쪽의 사이드 노즐이 다른쪽의 제2 송풍관을 개재하여 접속되며,
다른쪽의 제1 송풍관과 다른쪽의 분기체와의 접속 부분에 다른쪽의 제1 평행관부가 형성되고,
다른쪽의 제2 송풍관과 다른쪽의 분기체와의 접속 부분에 다른쪽의 제2 평행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제1 송풍관 및 제1 평행관부의 지름을 상기 각 제2 송풍관 및 제2 평행관부의 지름보다 작게 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피세정 차량을 건조시킬 때, 한 쌍의 송풍 장치가 구동하여, 한쪽의 송풍 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유입구를 통과하여 한쪽의 분기체내에 유 입하고, 그 일부가 한쪽의 분기체내로부터 한쪽의 제1 송풍관을 통과하여 톱 노즐에 공급되는 동시에 나머지가 한쪽의 분기체내로부터 한쪽의 제2 송풍관을 통과하여 한쪽의 사이드 노즐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송풍 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유입구를 통과하여 다른쪽의 분기체내에 유입하고, 그 일부가 다른쪽의 분기체내로부터 다른쪽의 제1 송풍관을 통과하여 톱 노즐에 공급되는 동시에 나머지가 다른쪽의 분기체내로부터 다른쪽의 제2 송풍관을 통과하여 다른쪽의 사이드 노즐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톱 노즐과 한쪽 및 다른쪽의 사이드 노즐로부터 피세정 차량을 향하여 공기가 내뿜어진다. 한편, 톱 노즐로부터의 공기 분출량은, 한쪽의 송풍 장치로부터 톱 노즐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과 다른쪽의 송풍 장치로부터 톱 노즐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서로 더한 양이 된다.
각 제1 송풍관 및 제1 평행관부의 지름을 상기 각 제2 송풍관 및 제2 평행관부의 지름보다 작게 하는 것에 의해서, 한쪽의 송풍 장치로부터 톱 노즐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이 한쪽의 송풍 장치로부터 한쪽의 사이드 노즐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보다 적어지는 동시에, 다른쪽의 송풍 장치로부터 톱 노즐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이 다른쪽의 송풍 장치로부터 다른쪽의 사이드 노즐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보다 적어진다.
이 때, 한쪽의 제1 및 제2 송풍관의 안지름과 한쪽의 제1 및 제2 평행관부의 안지름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한쪽의 송풍 장치로부터 한쪽의 제1 송풍관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량과 한쪽의 송풍 장치로부터 한쪽의 제2 송풍관으로 흐르는 공기 의 유량과의 비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제1 및 제2 송풍관의 안지름과 다른쪽의 제1 및 제2 평행관부의 안지름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다른쪽의 송풍 장치로부터 다른쪽의 제1 송풍관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량과 다른쪽의 송풍 장치로부터 다른쪽의 제2 송풍관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량과의 비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용이하게, 각 노즐로부터의 분출량을 균등하게 하거나 혹은, 톱 노즐로부터의 분출량을 각 사이드 노즐로부터의 각각의 분출량보다 많게 하거나, 반대로, 톱 노즐로부터의 분출량을 각 사이드 노즐로부터의 각각의 분출량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평행관부와 제2 평행관부는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기 때문에, 분기체를 통과하여 제1 평행관부를 흐르는 바람의 흐름 방향과 분기체를 통과하여 제2 평행관부를 흐르는 바람의 흐름 방향이 동일방향이 되고, 이에 따라, 분기체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된다.
[실시형태 1]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이동식의 세차기에 채택한 상태로 하여 도 1∼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차기 본체(10)는, 좌우 한 쌍의 측틀부(사이드 프레임)(11)와, 이들 측틀부(11)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윗틀부 (톱 프레임)(12)에 의해 문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차기 본체(10)는, 측틀부(11)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차륜(13)을 개재하여 바닥측의 레일(3)상에 얹어 놓여져 있으며, 주행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작동에 의해 전후방향 A의 일정 경로상에서 왕복 주행된다.
세차기 본체(10)측에는, 피세정 차량(보통 승용차 등)(5)의 세정수단의 일례로서, 제1 세정수 노즐(14)과, 제1 세제 노즐(15)과, 발수 코트제 노즐(16)과, 제2 세정수 노즐(17)과, 제2 세제 노즐(18)과, 왁스 노즐(19)이, 앞부분으로부터 뒷부분에 걸쳐, 그 순서대로 배열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노즐(14∼19)은, 예를 들어 아치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차기 본체(10)측에는, 피세정 차량(5)의 브러싱 수단의 일례로서, 사이드 브러시(20)나 로커 브러시(21)나 톱 브러시 (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세차기 본체(10)측에는, 승강이동이 자유롭도록 피세정 차량(5)의 윗면에 공기를 내뿜어 건조시키는 톱 노즐(25)(제1 건조용 노즐의 일례)과, 좌우 방향으로 가로이동(접근 이간이동)이 자유롭도록 피세정 차량(5)의 양 측면에 공기를 내뿜어 건조시키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노즐(28a,28b)(제2 건조용 노즐의 일례)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차기 본체(10)의 윗면상(천정부) 즉 측틀부(11)의 윗면(11a)상에는, 톱 노즐(25)과 좌우 한쪽의 사이드 노즐(28a)에 공기를 공급하는 한쪽의 블로어 장치(31a)(한쪽의 송풍 장치의 일례)와, 톱 노즐(25)과 좌우 다른쪽의 사이드 노즐(28b)에 공기를 공급하는 다른쪽의 블로어 장치(31b)(다른쪽 의 송풍 장치의 일례)와, 한쪽의 블로어 장치(31a)로부터 토출된 바람을 톱 노즐(25)측과 한쪽의 사이드 노즐 (28a)측으로 분기시키는 중공 구조의 한쪽의 분기관(51a)(한쪽의 분기체의 일례)와, 다른쪽의 블로어 장치(31b)로부터 토출한 바람을 톱 노즐(25)측과 다른쪽의 사이드 노즐(28b)측으로 분기시키는 중공 구조의 다른쪽의 분기관(51b)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향(下向)의 분출구(26)를 가진 톱 노즐(25)의 승강이동은, 세차기 본체(10)측에 설치된 승강이동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또한 내향(內向)의 분출구(29)를 가진 양 사이드 노즐(28a,28b)의 가로이동은, 세차기 본체(10)측에 설치된 가로이동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틀부(11)는, 전판(11A), 외측판(11B), 후판(11C), 천판(11D), 부분적인 내측판(11E) 등에 의해, 상하로 긴 상자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틀부(11)내에는, 전위 칸막이판(11F)이나 후위 칸막이판(11G) 등에 의해서, 사각통 모양의 공동부(11S)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공동부(11S)는 측틀부(11)의 하부에서 개방되고 있다. 한편, 천판(11D)의 윗면에 의해서 측틀부(11)의 윗면(1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동부(11S)의 상부는, 전판(11A)과 외측판(11B)과 내측판(11E)의 내면에 각각 흡음재(23)가 부착된 상태로 시공되는 것에 의해, 흡음 존(11Z)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블로어 장치(31a,31b)는 각각 흡음 박스(41)에 넣어지는 동시에 흡음 박스(41)는 측틀부(11)의 윗면(11a)상에 좌우 한 쌍 배치되어 있다. 즉, 도 4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블로어 장치(31a,31b)는 각각, 프레임(32)과, 이 프레임(32)에 지지되는 하위의 모터(33)와, 이 모터(33)의 상향의 모터축(34)에 부착된 상위의 날개체(35)와, 이 날개체(35)를 둘러싸는 케이스(36)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케이스(36)는, 날개체(35)의 아래쪽에 위치되는 저판부(36A)와, 날개체(35)의 측방을 둘러싸는 원호형상의 측판부(36b)와, 날개체(35)의 위쪽에 위치되는 상판부(36C)로 이루어지며, 원호형상의 소정 개소에는 토출구(36D)가 가로방향 덕트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판부(36C)의 중앙 부분에는 흡입구(36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32)에 대해서, 케이스(36)의 저판부(36A)가 위쪽으로부터 맞닿는 동시에, 모터(33)가 아래쪽으로부터 맞닿은 상태로, 이들 32, 36A, 33은 복수의 연결구(볼트·너트 등)(37)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화되고 있다. 또한 모터축 (34)을 삽입통과시키기 위해서, 저판부(36A)의 중앙 부분에는 관통부(36F)가 형성되는 동시에, 프레임(32)에도 관통부(32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흡음 박스(41)는 각각, 사각형 상자 형상이며 또한 아랫면이 개방된 바깥상자체(커버체)(42)와, 이 바깥상자체(42)의 내면에 부착된 상태로 시공된 흡음재(43)와, 상기 바깥상자체(42)의 하단에 연결된 하위틀부(가대)(44)로 이루어지며, 이 하위틀부(44)는, 저판부의 주변을 단면 C형의 사각형 틀모양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판부의 중앙 부분에 각 블로어 장치(31a,31b)에 대한 흡기구(45)가 각각 형성되고, 또한 바깥상자체(42)의 한측벽에 각 블로어 장치 (31a,31b)에 대한 배기구(4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기구(46)의 부분은 흡음재(43)가 결여되어 있다.
상기 하위틀부(44)는, 진동 흡수체(47)를 개재하여 천판(11D){측틀부(11)}의 윗면(11a)상에 얹어 놓여지고, 이 상태로 하위틀부(44)와 천판(11D))이 복수의 연결구(볼트·너트 등)(48)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양 흡음 박스(41)는 각각 측틀부 (11)의 윗면(11a)상에 배치된다. 그 때에 흡기구(45)는, 측틀부(11)내에 형성된 공동부(11S)의 상부, 즉, 흡음 존(11Z)에, 천판(11D))에 형성된 연통 구멍(11H)을 통하여 개방되어 있다.
이들 좌우 양 흡음 박스(41)에 상기 블로어 장치(31a,31b)가 넣어지고, 그리고 바깥상자체(42)의 측벽 내면과 프레임(32)의 양단과의 사이에 진동 흡수체(38)가 개재된 상태로, 바깥상자체(42)와 프레임(32)이 복수의 연결구(볼트·너트 등) (39)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양 블로어 장치(31a,31b)는 양 흡음 박스(41)측에 지지되고 있다. 그 때에 블로어 장치(31a,31b)의 지지 위치는, 모터(33)가 측틀부(11)내에 형성된 공동부(11S)를 향해서 위치되고, 그 하부가 흡기구(45)나 연통 구멍 (11H)을 통해 공동부(11S)내에 위치되는 동시에, 토출구(36D))가 배기구(46)에 연통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32)의 양단이 연결되는 부분은 흡음재(43)가 결여되어 있다.
도 1,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및 다른쪽의 분기관(51a,51b)은 각각, 단면이 사각형상이고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역L형상으로 구부려져 형성된 외관체(52)와, 이 외관체(52)의 내면에 부착된 상태로 시공된 흡음재(53)와, 외관체(52)의 가로방향의 시단(始端)부분에 연결된 사각형상의 연결용 링체(54)와, 외관체(52)의 하향의 종단 부분에 연결된 사각형상의 연결용 판체(5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4, 도 5,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분기관(51a)의 시단부분에는, 한쪽의 블로어 장치(31a)의 토출구(36D)로부터 토출된 바람이 후방으로부터 유입하는 유입구(57)가 형성되고, 종단 부분에는, 유입구(57)로부터 유입한 바람을 아래쪽으로 유출하는 하향의 제1 및 제2 유출구(58,59)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분기관(51b)의 시단부분에는, 다른쪽의 블로어 장치(31b)의 토출구(36D)로부터 토출된 바람이 후방으로부터 유입하는 유입구(57)가 형성되고, 종단 부분에는, 유입구(57)로부터 유입한 바람을 아래쪽으로 유출하는 하향의 제1 및 제2 유출구(58,5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결용 링체(54)를 바깥상자체(42)의 한측벽에 맞닿아 접속하는 것으로, 한쪽의 분기관(51a)의 유입구(57)가 한쪽의 블로어 장치(31a)의 토출구(36D)에 연통되는 동시에, 다른쪽의 분기관(51b)의 유입구(57)가 다른쪽의 블로어 장치 (31b)의 토출구(36D)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또한, 연결용 판체(55)를 측틀부(11)의 상면(11a)측에 맞닿아 연결하는 것에 의해, 한쪽 및 다른쪽의 분기관(51a,51b)은 각각 측틀부(11)측에 지지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분기관(51a)과 톱 노즐(25)은 한쪽의 제1 덕트 호스(61a)(한쪽의 제1 송풍관의 일례)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분기관(51a)과 한쪽의 사이드 노즐(28a)은 한쪽의 제2 덕트 호스(62a)(한쪽의 제2 송풍관의 일례)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다른쪽의 분기관(51b)과 톱 노즐(25)은 다른쪽의 제1 덕트 호스(61b)(다른쪽의 제1 송풍관의 일례)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른쪽의 분기관(51b)과 다른쪽의 사이드 노즐(28b)은 다른쪽의 제2 덕트 호스(62b)(다른쪽의 제2 송풍관의 일례)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상기 각 덕트 호스(61a,61b,62a,62b)는, 자유롭게 굴곡하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제1 덕트 호스(61a)의 일단측은 한쪽의 분기관(51a)의 제1 유출구(58)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측은 톱 노즐(2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제2 덕트 호스(62a)의 일단측은 한쪽의 분기관(51a)의 제2 유출구(59)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측은 한쪽의 사이드 노즐(28a)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한쪽의 제1 덕트 호스(61a)의 일단측과 한쪽의 분기관(51a)의 제1 유출구(58)의 접속 부분에는, 한쪽의 제1 평행관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제2 덕트 호스(62a)의 일단측과 한쪽의 분기관(51a)의 제2 유출구(59)의 접속 부분에는, 한쪽의 제2 평행관부(6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평행관부(64a)와 제2 평행관부(65a)는, 한쪽의 분기관(51a)의 종단 부분(저부)에 일체로 설치된 상하 방향의 직관이며, 서로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다. 이들 평행관부 (64a,65a)에 덕트 호스(61a,62a)가 체결용 밴드(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제1 덕트 호스(61b)의 일단측은 다른쪽의 분기관(51b)의 제1 유출구(58)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측은 톱 노즐(25)에 접속되어 있 다. 또한, 다른쪽의 제2 덕트 호스(62b)의 일단측은 다른쪽의 분기관(51b)의 제2 유출구(59)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측은 다른쪽의 사이드 노즐(28b)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쪽의 제1 덕트 호스(61b)의 일단측과 다른쪽의 분기관(51b)의 제1 유출구(58)의 접속 부분에는, 다른쪽의 제1 평행관부(6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쪽의 제2 덕트 호스(62b)의 일단측과 다른쪽의 분기관(51b)의 제2 유출구(59)의 접속 부분에는, 다른쪽의 제2 평행관부(6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평행관부 (64b)와 제2 평행관부(65b)는, 다른쪽의 분기관(51b)의 종단 부분(저부)에 일체로 설치된 상하 방향의 직관이며, 서로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다. 이들 평행관부(64b,65b)에 덕트 호스(61b,62b)가 체결용 밴드(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차기 본체(10)에 있어서의 우측의 측틀부 (11)의 앞면에는 조작 패널(68)이 설치되고, 그리고 조작 패널(68)의 이면측에는, 각부의 동작을 감독하는 제어장치(6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세차기 본체(10)내의 상부에는 차고(車高)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흡음재(23,43,53)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폼 등이 채택되고, 또한 진동 흡수체(38,47)로서는, 예를 들어 진동흡수고무 등이 채택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세차를 실시할 때에, 먼저 피세정 차량(5)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조작 패널(68)을 조작하고, 이로써 희망하는 하나의 세차 코스(세정 조 건)가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세차 스타트 스위치를 온 조작함으로써, 세차기 본체(10)를 전후방향 A로 왕복 주행시키면서, 회전에 의해 펼쳐진 각 브러시(20∼22)의 접근 이간이동, 세정수 노즐(14,17)을 통한 물(세정수)의 공급, 세제 노즐 (15,18)을 통한 세제의 공급, 발수 코트제 노즐(16)을 통한 발수 코트제의 공급, 왁스 노즐(19)을 통한 왁스의 공급, 및 각 노즐(25,28a,28b)로부터의 바람을 내뿜는 것(분출) 등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작동시키고, 이로써 피세정 차량(5)에 대한 소기의 기본적인 세정 공정과 건조 공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세차 공정을 수행할 때에, 차고센서나 적절한 검출 수단에 의해 차 높이나 차 길이 등이 검출되어 제어장치(69) 등을 통하여, 상술한 각 작동부가 바람직하게 작동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실선으로부터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톱 노즐(25)의 승강이동은, 차고센서의 검출에 기초하여, 제어장치(69)의 제어에 의해서 승강이동수단을 정역구동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고, 또한 양 사이드 노즐 (28a,28b)의 가로이동은, 차량 센서의 검출에 기초하여, 제어장치(69)의 제어에 의해서 가로이동 수단을 정역구동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세정 차량(5)의 윗면 형상을 따라서 톱 노즐(25)을 이동시키면서 분출구(26)로부터 바람을 분출시키고, 또한 피세정 차량(5)의 측면을 따라서 양 사이드 노즐(28a,28b)을 접근시켜 분출구(29)로부터 바람을 분출시켜, 이로써 낭비없는 바람직한 건조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소기의 세차를 행할 수 있는 것이며, 그 때에 건조 작업은, 양 블로어 장치(31a,31b)의 각 모터(33)를 구동하여 날개체(35)를 회전시킴으로써, 측 틀부(11)에 있어서의 하부의 공기를 공동부(11S)내에서 상승시켜, 흡음 존(11Z)으로부터 연통 구멍(11H), 흡기구(45)를 통하여 흡음 박스(41)내로 끌어들이고, 그리고 흡입구(36E)를 통하여 케이스(36)내에 흡입한 후, 토출구(36D)를 통해 각각의 분기관(51a,51b)의 유입구(57)에 토출한다.
이 중, 한쪽의 블로어 장치(31a)로부터 한쪽의 분기관(51a)내로 유입한 공기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분기관(51a)내로부터 한쪽의 제1 덕트 호스(61a)와 한쪽의 제2 덕트 호스(62a)로 분기하여 흐르고, 이들 덕트 호스 (61a,62a)를 통과하여 톱 노즐(25)과 한쪽의 사이드 노즐(28a)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블로어 장치(31b)로부터 다른쪽의 분기관(51b)내에 유입한 공기는, 다른쪽의 분기관(51b)내로부터 다른쪽의 제1 덕트 호스(61b)와 다른쪽의 제2 덕트 호스(62b)로 분기하여 흘러, 이들 덕트 호스(61b,62b)를 통과하여 톱 노즐(25)과 다른쪽의 사이드 노즐(28b)에 공급된다.
이러한 바람의 흐름시에,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블로어 장치 (31a,31b)를 각각 흡음 박스(41)에 넣어, 양 흡음 박스(41)를 세차기 본체(10)의 윗면(11a)에 배치함으로써, 블로어 장치(31a,31b)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소음을 흡음재(43)에 의해 흡음하고, 양 흡음 박스(41) 바깥으로의 유출 즉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양 흡음 박스(41)를, 진동 흡수체(47)를 개재하여 세차기 본체(10)의 윗면(11a) 상에 배치함으로써, 양 블로어 장치(31a,31b)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진동을 진동 흡수체(47)에 의해 흡수하고, 이 진동이 세차기 본체(10)측으로 전달되 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전판(11a), 외측판(11B), 후판(11C), 내측판(11E) 등의 진동에 의한 발생음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양 흡음 박스(41)와 양 블로어 장치(31a,31b)의 연결부에 진동 흡수체(38)를 개재함으로써, 양 블로어 장치(31a,31b)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진동을 진동 흡수체(38)에 의해 흡수하여, 이 진동이 양 흡음 박스(41)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진동에 의한 발생음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차기 본체(10)에 있어서의 공동부(11S)의 상부를 흡음 존(11Z)에 형성하고, 이 흡음 존(11Z)에 흡기구(45)를 개방한 것에 의해서, 소음이 커지는 흡기구{공기 취입구(45)}가 세차기 본체(10)내를 향하고 있으므로, 양 블로어 장치(31a,31b)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세차기 본체(10)내에서 차음(遮音) 및 흡음(吸音)할 수 있는 동시에, 흡음 존(11Z)에 의해서 흡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블로어 장치(31a)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한쪽의 분기관(51a)내에 유입하고, 이 공기의 일부(B1)가 한쪽의 분기관 (51a)내로부터 한쪽의 제1 덕트 호스(61a)를 통과하여 톱 노즐(25)에 공급되는 동시에 나머지의 공기(B2)가 한쪽의 분기관(51a)내로부터 한쪽의 제2 덕트 호스(62a)를 통과하여 한쪽의 사이드 노즐(28a)에 공급되고,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블로어 장치(31b)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다른쪽의 분기관(51b)내에 유입하고, 이 공기의 일부(B1)가 다른쪽의 분기관(51b)내로부터 다른쪽의 제1 덕트 호스(61b)를 통과하여 톱 노즐(25)에 공급되는 동시에 나머지의 공기(B2)가 다른쪽의 분기관(51b)내로부터 다른쪽의 제2 덕트 호스(62b)를 통과하여 다른쪽의 사이드 노즐(28b)에 공급된 다.
이때, 한쪽의 분기관(51a)내로부터 한쪽의 제1 덕트 호스(61a)로 흐르는 공기(B1)는 한쪽의 제1 평행관부(64a)를 통과하고, 한쪽의 분기관(51a)내로부터 한쪽의 제2 덕트 호스(62a)로 흐르는 공기(B2)는 한쪽의 제2 평행관부(65a)를 통과한다. 이들 한쪽의 제1 평행관부(64a)와 제2 평행관부(65a)는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의 분기관(51a)으로부터 제1 유출구(58)를 통과하여 한쪽의 제1 평행관부(64a)를 흐르는 바람(B1)의 흐름 방향과 한쪽의 분기관(51a)으로부터 제2 유출구(59)를 통과하여 한쪽의 제2 평행관부(65a)를 흐르는 바람(B2)의 흐름 방향이 동일방향이 되고, 이에 따라서, 한쪽의 분기관(51a)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된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분기관(51b)내로부터 다른쪽의 제1 덕트 호스(61b)로 흐르는 공기(B1)는 다른쪽의 제1 평행관부(64b)를 통과하여, 다른쪽의 분기관(51b)내로부터 다른쪽의 제2 덕트 호스(62b)로 흐르는 공기(B2)는 다른쪽의 제2 평행관부(65b)를 통과한다. 이들 다른쪽의 제1 평행관부(64b)와 제2 평행관부(65b)는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쪽의 분기관(51b)으로부터 제1 유출구(58)를 통과하여 다른쪽의 제1 평행관부(64b)를 흐르는 바람(B1)의 흐름 방향과 다른쪽의 분기관(51b)으로부터 제2 유출구(59)를 통과하여 다른쪽의 제2 평행관부(65b)를 흐르는 바람(B2)의 흐름 방향이 동일방향이 되고, 이것에 의해서, 다른쪽의 분기관(51b)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제1 덕트 호스(61a,61b)의 안지름(da)과 제1 평행관부(64a,64b)의 안 지름(db)을 제2 덕트 호스(62a,62b)의 안지름(DA)과 제2 평행관부(65a,65b)의 안지름(DB)보다 작게 하는 것에 의해서, 한쪽의 블로어 장치(31a)로부터 톱 노즐(25)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이 한쪽의 블로어 장치(31a)로부터 한쪽의 사이드 노즐(28a)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보다 적어지는 동시에, 다른쪽의 블로어 장치(31b)로부터 톱 노즐(25)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이 다른쪽의 블로어 장치(31b)로부터 다른쪽의 사이드 노즐(28b)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보다 적어진다.
예를 들면,
[식 1]
Figure 112007081341671-PAT00001
으로 했을 경우, 제1 덕트 호스(61a,61b)의 각각의 유로단면적이 제2 덕트 호스(62a,62b)의 각각의 유로단면적의 반(=1/2)이 되어, 제1 평행관부(64a,64b)의 각 유로단면적이 제2 평행관부(65a,65b)의 각각의 유로단면적의 반(=1/2)이 된다. 각 블로어 장치(31a,31b)의 단위시간당의 송풍량을 Q(m3/분)로 하면, 한쪽의 블로어 장치(31a)로부터 한쪽의 제1 덕트 호스(61a)를 흐르는 공기(B1)의 유량은 Q/3이 되고, 한쪽의 블로어 장치(31a)로부터 한쪽의 제2 덕트 호스(62a)를 흐르는 공기(B2)의 유량은 2Q/3이 된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블로어 장치(31b)로부터 다른쪽의 제1 덕트 호스(61b)를 흐르는 공기(B1)의 유량은 Q/3이 되고, 다른쪽의 블로어 장치(31b)로부터 다른쪽의 제2 덕트 호스(62b)를 흐르는 공기(B2)의 유량은 2Q/3이 된다.
이에 따라, 한쪽의 사이드 노즐(28a)로부터의 공기의 송풍량이 2Q/3이 되고, 다른쪽의 사이드 노즐(28b)로부터의 공기의 송풍량이 2Q/3이 된다. 또한, 톱 노즐 (25)로부터의 공기 분출량은 한쪽의 제1 덕트 호스(61a)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Q/3)과 다른쪽의 제1 덕트호스(61b)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Q/3)을 서로 더한 양(=2Q/3)이 되어, 각 노즐(25,28a,28b)로부터의 분출량이 균등해진다.
이와 같이, 각 덕트 호스(61a,61b,62a,62b)의 안지름(da,DA)와 각 평행관부 (64a,64b,65a,65b)의 안지름(db,DB)을 바꾸는 것에 의해서, 한쪽의 블로어 장치 (31a)로부터 한쪽의 제1 덕트 호스(61a)로 흐르는 공기(B1)의 유량과 한쪽의 블로어 장치(31a)로부터 한쪽의 제2 덕트 호스(62a)로 흐르는 공기(B2)의 유량과의 비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다른쪽의 블로어 장치(31b)로부터 다른쪽의 제1 덕트 호스(61b)로 흐르는 공기(B1)의 유량과 다른쪽의 블로어 장치(31b)로부터 다른쪽의 제2 덕트 호스(62b)로 흐르는 공기(B2)의 유량과의 비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용이하게, 상기의 예의 같이 각 노즐(25,28a,28b)로부터의 분출량을 균등하게 하거나 혹은, 톱 노즐(25)로부터의 분출량을 사이드 노즐 (28a,28b)로부터의 각각의 분출량보다 많게 하거나 반대로, 톱 노즐(25)로부터의 분출량을 사이드 노즐(28a,28b)로부터의 각각의 분출량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를 도 8,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설명한 실시형태 1에 대해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평행관부 (64a,64b,65a,65b)가 분기관(51a,51b)의 저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2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제1 평행관부(64a)가 한쪽의 제1 덕트 호스(61a)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한쪽의 제2 평행관부(65a)가 한쪽의 제2 덕트 호스(62a)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다른쪽의 제1 평행관부(64b)가 다른쪽의 제1 덕트 호스(61b)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다른쪽의 제2 평행관부(65b)가 다른쪽의 제2 덕트 호스(62b)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제1 덕트 호스(61a)의 일단{즉 한쪽의 제1 평행관부(64a)의 상단}이 한쪽의 분기관(51a)의 제1 유출구(58)에 접속되고, 한쪽의 제2 덕트 호스(62a)의 일단{즉 한쪽의 제2 평행관부(65a)의 상단}이 한쪽의 분기관(51a)의 제2 유출구 (59)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제1 덕트 호스(61b)의 일단{즉 다른쪽의 제1 평행관부(64b)의 상단}이 다른쪽의 분기관(51b)의 제1 유출구(58)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제2 덕트 호스(62b)의 일단{즉 다른쪽의 제2 평행관부(65b)의 상단}이 다른쪽의 분기관(51b)의 제2 유출구(59)에 접속되어 있다.
도 8,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차기 본체(10)내에는, 한쪽의 제1 평행관부(64a)와 제2 평행관부(65a)를 상하 방향의 직관형상으로 유지하는 한쪽의 유지판(73a)과, 다른쪽의 제1 평행관부(64b)와 제2 평행관부(65b)를 상하 방향의 직관형상으로 유지하는 다른쪽의 유지판(73b)이 설치되어 있다.
양 유지판(73a,73b)에는 각각 제1 유지구멍(74)과 제2 유지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제1 평행관부(64a)는 한쪽의 유지판(73a)의 제1 유지구멍(74)에 삽입통과되고, 한쪽의 제2 평행관부(65a)는 한쪽의 유지판(73a)의 제2 유지구멍 (75)에 삽입통과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제1 평행관부(64b)는 다른쪽의 유지판(73b)의 제1 유지구멍(74)에 삽입통과되고, 다른쪽의 제2 평행관부(65b)는 다른쪽의 유지판(73b)의 제2 유지구멍(75)에 삽입통과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쪽의 제1 평행관부(64a)가 한쪽의 분기관(51a)의 제1 유출구 (58)와 한쪽의 유지판(73a)의 사이에 직관형상으로 유지되고, 한쪽의 제2 평행관부 (65a)가 한쪽의 분기관(51a)의 제2 유출구(59)와 한쪽의 유지판(73a)의 사이에 직관형상으로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제1 평행관부(64b)가 다른쪽의 분기관(51b)의 제1 유출구(58)와 다른쪽의 유지판(73b)의 사이에 직관형상으로 유지되고, 다른쪽의 제2 평행관부(65b)가 다른쪽의 분기관(51b)의 제2 유출구(59)와 다른쪽의 유지판(73b)의 사이에 직관형상으로 유지된다.
이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양 분기관(51a,51b)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된다.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세차기 본체(10)만을 이동시킴으로써, 피세정 차량(5)과 세차기 본체(10)를 전후방향 A로 상대 이동시키면서, 세정 수단에 의해 피세정 차량(5)의 세정을 실시하는 동시에, 건조 수단에 의해 피세정 차량(5)의 건조를 실시하는 형식이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세차기 본체를 고정 상태로 하고, 롤러 컨베이어 등(차량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피세정 차량(5)을 전후, 또는 한쪽으로 이동시키고, 상대 이동하도록 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또한, 세차기 본체를, 세정 수단을 구비한 앞부분 본체와 건조 수단을 구비한 뒷부분 본체로 분리하여, 이들 앞부분 본체와 뒷부분 본체를 각 별개로 이동 가능하게 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차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차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차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세차기의 분기관 부착 부분의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세차기의 분기관 부착 부분의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세차기의 블로어 장치 부착 부분의 일부 절결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있어서의 X-X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세차기의 분기관과 제1 및 제2 덕트 호스와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세차기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세차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종래 세차기의 분기관과 제1 송풍관과 제2 송풍관의 접속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종래 세차기의 분기관과 제1 송풍관과 제2 송풍관의 접속 부분의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5 : 피세정 차량
10 : 세차기 본체
25 : 톱 노즐(제1 건조용 노즐)
28a : 한쪽의 사이드 노즐(제2 건조용 노즐)
28b : 한쪽의 사이드 노즐(제2 건조용 노즐)
31a : 한쪽의 블로어 장치(한쪽의 송풍 장치)
31b : 다른쪽의 블로어 장치(다른쪽의 송풍 장치)
51a : 한쪽의 분기관(한쪽의 분기체)
51b : 다른쪽의 분기관(다른쪽의 분기체)
57 : 유입구
58 : 제1 유출구
59 : 제2 유출구
61a : 한쪽의 제1 덕트 호스(한쪽의 제1 송풍관)
61b : 다른쪽의 제1 덕트 호스(다른쪽의 제1 송풍관)
62a : 한쪽의 제2 덕트 호스(한쪽의 제2 송풍관)
62b : 다른쪽의 제2 덕트 호스(다른쪽의 제2 송풍관)
64a : 한쪽의 제1 평행관부
64b : 다른쪽의 제1 평행관부
65a : 한쪽의 제2 평행관부
65b : 다른쪽의 제2 평행관부
da, db, DA, DB : 안지름

Claims (3)

  1. 피세정 차량에 공기를 내뿜어 건조시키는 제1 및 제2 건조용 노즐과, 제1 및 제2 건조용 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장치가 설치된 세차기로서,
    송풍 장치로부터 토출한 바람을 제1 건조용 노즐측과 제2 건조용 노즐측으로 분기시키는 중공 구조의 분기체가 설치되고,
    분기체에, 송풍 장치로부터의 바람이 유입하는 유입구와, 유입구로부터 유입한 바람을 유출하는 제1 및 제2 유출구가 형성되고,
    제1 송풍관의 일단측이 제1 유출구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측이 제1 건조용 노즐에 접속되고,
    제2 송풍관의 일단측이 제2 유출구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측이 제2 건조용 노즐에 접속되며,
    제1 송풍관의 일단측과 분기체의 제1 유출구와의 접속 부분에 제1 평행관부가 형성되고,
    제2 송풍관의 일단측과 분기체의 제2 유출구와의 접속 부분에 제2 평행관부가 형성되며,
    제1 평행관부와 제2 평행관부가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으며,
    제1 유출구로부터 제1 평행관부를 흐르는 바람의 흐름 방향과 제2 유출구로부터 제2 평행관부를 흐르는 바람의 흐름 방향이 동일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건조용 노즐은 세차기 본체에 설치되고,
    송풍 장치와 분기체가 세차기 본체의 천정부에 얹어 놓여지고,
    제1 및 제2 유출구는 하향으로 설치되고,
    제1 및 제2 평행관부는, 세차기 본체내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1 건조용 노즐은 피세정 차량의 상면을 건조시키는 톱 노즐이고,
    제2 건조용 노즐은 피세정 차량의 측면을 건조시키는 사이드 노즐이며,
    톱 노즐은 1대 설치되고,
    송풍 장치와 분기체와 사이드 노즐은 각각 좌우 한 쌍 합계 2대씩 설치되고,
    한쪽의 분기체가 한쪽의 송풍 장치에 접속되고,
    한쪽의 분기체와 톱 노즐이 한쪽의 제1 송풍관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한쪽의 분기체와 한쪽의 사이드 노즐이 한쪽의 제2 송풍관을 개재하여 접속되며,
    한쪽의 제1 송풍관과 한쪽의 분기체와의 접속 부분에 한쪽의 제1 평행관부가 형성되고,
    한쪽의 제2 송풍관과 한쪽의 분기체와의 접속 부분에 한쪽의 제2 평행관부가 형성되며,
    다른쪽의 분기체가 다른쪽의 송풍 장치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분기체와 톱 노즐이 다른쪽의 제1 송풍관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다른쪽의 분기체와 다른쪽의 사이드 노즐이 다른쪽의 제2 송풍관을 개재하여 접속되며,
    다른쪽의 제1 송풍관과 다른쪽의 분기체와의 접속 부분에 다른쪽의 제1 평행관부가 형성되고,
    다른쪽의 제2 송풍관과 다른쪽의 분기체와의 접속 부분에 다른쪽의 제2 평행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제1 송풍관 및 제1 평행관부의 지름을 상기 각 제2 송풍관 및 제2 평행관부의 지름보다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
KR1020070115557A 2006-11-14 2007-11-13 세차기 KR101252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07295 2006-11-14
JP2006307295A JP4752732B2 (ja) 2006-11-14 2006-11-14 洗車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723A true KR20080043723A (ko) 2008-05-19
KR101252876B1 KR101252876B1 (ko) 2013-04-09

Family

ID=3950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557A KR101252876B1 (ko) 2006-11-14 2007-11-13 세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752732B2 (ko)
KR (1) KR1012528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1884A (zh) * 2018-01-25 2018-09-07 青岛日森机电有限公司 一种框架式隧道洗车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65751T1 (de) * 1987-10-12 1991-08-15 Inventio Ag Fahrzeug-innenausbau.
US4862376A (en) * 1987-10-28 1989-08-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Bill of material interface to CAD/CAM environment
JPH01116767U (ko) * 1988-02-02 1989-08-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52732B2 (ja) 2011-08-17
KR101252876B1 (ko) 2013-04-09
JP2008120276A (ja) 200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5697A (ko) 공기중의 먼지 제거용 미스트 분사 차량
KR101252876B1 (ko) 세차기
JP7093216B2 (ja) 洗浄装置
JP6369395B2 (ja) 洗浄装置、それを用いた洗車機
JPH0939746A (ja) 洗車装置
JP2014231030A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洗浄装置
KR101234966B1 (ko) 세차기
JP6627719B2 (ja) 発泡装置及び発泡装置を備えた洗車機
JP6395552B2 (ja) 噴流ノズル及びそれを備えた車体洗浄装置
JP4752711B2 (ja) 洗車機
JP4752724B2 (ja) 洗車機
JP3669216B2 (ja) 洗車機の乾燥装置
KR20090053315A (ko) 세차기
KR20120033498A (ko) 기판의 건조장치
JP2965919B2 (ja) 台車枠の空中洗浄装置
JP4899815B2 (ja) 洗車機による洗車方法および洗車機
CN218684149U (zh) 一种用于清洁机的地刷模块及清洁机
JP4743088B2 (ja) 洗車機
JP2008149921A (ja) 洗車設備
CN219096665U (zh) 一种往复式龙门洗车机
JPH0592022U (ja) 移動式洗車機
JP6791062B2 (ja) 洗車機
JP4804245B2 (ja) 洗車機
JP4758258B2 (ja) 洗車機のトップノズル
JP4835419B2 (ja) 洗車機における洗車方法および洗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