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936A - 차량용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936A
KR20080042936A KR1020087008416A KR20087008416A KR20080042936A KR 20080042936 A KR20080042936 A KR 20080042936A KR 1020087008416 A KR1020087008416 A KR 1020087008416A KR 20087008416 A KR20087008416 A KR 20087008416A KR 20080042936 A KR20080042936 A KR 20080042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ing body
vehicle
airbag
longitudinal direction
peripheral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6908B1 (ko
Inventor
요시미츠 사토
히로유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2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Abstract

차량 위에서 본 평면도에 있어서, 후드외측패널(12)에 형성된 에어백펼침개구부(14)를 폐쇄하는 커버(20)는 세장형이고 아크 형상을 가진다. 상기 커버(20)의 차폭방향으로의 중앙부는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커버(20)의 힌지부(20E)는 차폭방향으로 양 단부 부근의 위치들에서 상기 커버(20)의 차량 후방측 에지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20)를 고정하는 각각의 클립(28)은 차폭방향으로 중앙부(20K)로부터 바깥쪽으로 오프셋된 위치에서 차량 전방측 에지(20J)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클립(28)이 에어백펼침개구부(14)를 통과하여 펼쳐진 에어백과 간섭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백장치{AIRBA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에어백이 엔진후드 등의 차체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여 펼쳐지는 차량용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허출원공보 제JP-A-7-125609호는 차량 충돌 시 충격자(impactor)를 보호하도록 엔진후드의 상부면 상에서 에어백이 펼쳐지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에어백펼침개구부(airbag deployment opening)가 차량의 전방에 제공된 엔진룸 상방 커버로서의 역할을 하는 엔진후드에 형성된다. 리드(lid)는 개구부를 커버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킨다.
일본특허출원공보 제JP-A-7-125609호에 개시된 구조에서는, 좌우 연장부가 리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플랜지의 양 단부 부근에 형성된다. 상기 좌우 연장부는 백업 플레이트의 측벽에 고정된다. 상기 연장부들은 리드가 개방될 때 힌지로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리드가 좌우 힌지 축을 중심으로 피봇되어 개방될 때, 길이방향으로의 리드의 중앙부가 펼쳐지는 에어백에 접근할 수도 있고, 펼쳐지는 에어백과 간섭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구부를 통과하여 펼쳐진 에어백이 리드와 같은 개구부에 핏팅된 커버링바디(covering body)에 제공되는 클립과 같은 홀딩부재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는 에어백, 커버링바디, 힌지부 및 홀딩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에어백은 차체 패널에 형성된 세장형 개구부를 통과한 다음 펼쳐진다. 세장형(elongate)인 커버링바디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시킨다. 상기 힌지부는 커버링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의 일(one) 주변 에지(peripheral edge)에 제공된다. 상기 홀딩수단은 커버링바디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링바디를 유지시킨다. 상기 홀딩수단은 힌지부가 제공되는 일(one) 주변 에지에 대향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의 또다른(another) 주변 에지에 배치된다. 상기 홀딩수단은 중앙부와 길이방향으로의 1이상의 단부 사이의 적어도 한 위치에서, 상기 중앙부와 길이방향으로의 단부들을 배제한 다른 주변 에지의 영역에 배치된다.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에어백이 개구부를 통과하여 펼쳐지는 경우, 차체 패널에 형성된 세장형 개구부를 폐쇄하는 세장형 커버링바디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의 일 주변 에지에 제공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피봇된다. 이 때, 커버링바디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링바디를 유지하는 홀딩수단은 힌지부가 제공된 일 주변 에지에 대향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의 다른 주변 에지에 제공된다. 상기 홀딩수단은 중앙부와 길이방향으로의 1이상의 단부 사이의 적어도 한 위치에서, 상기 중앙부와 길이방향으로의 단부들을 배제한 다른 주변 에지의 영역에 배치된다. 펼쳐지는 에어백과 중앙부간의 거리는 짧다.
따라서, 제1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에서는, 개구부를 통과하여 펼쳐진 에어백이 커버링바디에 제공된 홀딩수단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는 에어백, 커버링바디, 힌지부 및 홀딩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에어백은 차체 패널에 형성된 세장형 개구부를 통과한 다음 펼쳐진다. 세장형인 커버링바디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시킨다. 상기 힌지부는 커버링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의 일(one) 주변 에지에 제공된다. 상기 홀딩수단은 커버링바디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링바디를 유지시킨다. 상기 홀딩수단은 힌지부가 제공되는 일(one) 주변 에지에 대향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의 또다른(another) 주변 에지에 배치된다. 상기 홀딩수단은 커버링바디의 에어백접근부(airbag approach portion)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펼쳐지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접근부간의 거리는, 상기 커버링바디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피봇할 때, 상기 펼쳐지는 에어백과 길이방향으로의 상기 커버링바디의 여타의 부분간의 거리보다 짧다.
제2실시형태에 따르면, 에어백이 개구부를 통과하여 펼쳐지는 경우, 차체 패널에 형성된 세장형 개구부를 폐쇄하는 세장형 커버링바디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의 일 주변 에지에 제공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피봇된다. 이 때, 커버링바디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링바디를 유지하는 홀딩수단은 힌지부가 제공된 일 주변 에지에 대향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의 다른 주변 에지에 제공된다. 상기 홀딩수단은 커버링바디의 에어백접근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펼쳐지는 에어백과 에어백접근부간의 거리는, 상기 펼쳐지는 에어백과 길이방향으로의 상기 커버링바디의 여타의 부분간의 거리보다 짧다.
따라서, 제2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에서는, 개구부를 통과하여 펼쳐진 에어백이 커버링바디에 제공된 홀딩수단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힌지부의 피봇 중심축은 하나의 축에 위치되지 않고, 상기 피봇 중심축들은 서로 교차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백접근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의 다른 주변 에지의 피봇 궤적들간의 차이로 인하여 변형되는 부분일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에어백이 개구부를 통과하여 펼쳐지는 경우, 차체 패널에 형성된 세장형 개구부를 폐쇄하는 세장형 커버링바디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의 일 주변 에지에 제공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피봇된다. 이 때, 복수의 힌지부의 피봇 중심축들은 일 축 상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피봇 중심축들이 서로 교차된다. 커버링바디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링바디를 유지하는 홀딩수단은 힌지부가 제공된 일 주변 에지에 대향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의 다른 주변 에지의 피봇 궤적들간의 차이로 인하여 변형된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에서는, 개구부를 통과하여 펼쳐진 에어백이, 일 주변 에지에 대향하고 커버링바디의 다른 주변 에지의 피봇 궤적들간의 차이로 인해 변형된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된 홀딩수단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일 주변 에지는 구부러져 아크 형상 또는 V자 형상일 수도 있다.
제1실시형태 또는 제2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접근부는 길이방향으로의 상기 커버링바디의 다른 주변 에지의 중앙부일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에어백이 개구부를 통과하여 펼쳐지는 경우, 차체 패널에 형성된 세장형 개구부를 폐쇄하는 세장형 커버링바디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아크 형상을 갖는 상기 커버링바디의 일 주변 에지에 제공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피봇된다. 이 때, 커버링바디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링바디를 유지하는 홀딩수단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커버링바디의 다른 주변 에지의 중앙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된다. 다른 주변 에지는 커버링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힌지부가 제공되는 주변 에지에 대향한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에서는, 개구부를 통과하여 펼쳐진 에어백이, 길이방향으로 커버링바디의 다른 주변 에지의 중앙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된 홀딩수단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른 주변 에지는 아크 형상을 갖는 상기 일 주변 에지에 대향한다.
상술된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힌지부의 피봇 중심축은 차폭방향으로 양 단부들에서 개구부 및 커버링바디의 길이방향들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각각의 피봇 중심축들은 차폭방향으로의 각각의 피봇 중심축의 외측부가 상기 차폭방향으로의 각각의 피봇 중심축의 내측부보다 차량의 후방에 더욱 근접하도록 기울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또는 추가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들이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표시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차체의 앞쪽에서 비스듬하게 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후드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차체의 앞쪽에서 비스듬하게 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가 적용된 차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차체의 앞쪽에서 비스듬하게 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가 적용된 차체에서 에어백이 펼쳐지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4-4 선을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2의 5-5 선을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개방된 커버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7-7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및
도 8은 차체의 앞쪽에서 비스듬하게 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클립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장치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서, 화살표 UP은 차량의 상단을 가리키고, 화살표 FR은 차량의 전방을 가리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후드외측패널(이하, 간단히 "후드외측패널"이라고 함)(12)은 본 실시예에서 자동차의 바디(이하, "차체"라고 함)(10)의 전방부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후드외측패널(12)은 차체(10)(차체외측패널)의 주변부를 형성하는 차체 패널인 금속판으로 제조된다. 에어백펼침개구부(14)는 상기 후드외측패널(12)의 후방 에지(12A) 앞쪽 그리고 그 부근에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펼침개구부(14)는 차폭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에어백펼침개구부(14)의 길이방향은 차폭방향과 정합된다. 차량을 위에서 본 평면도에서는, 에어백펼침개구부(14)가 후방 에지(12A)를 따라 차폭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에어백펼침개구부(14)는 세장형으로 아크 형상을 가진다. 즉, 차폭방향으로의 에어백펼침개구부(14)의 중앙부는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shelf portion; 16)는 후드외측패널(12)에서 에어백펼침개구부(14)를 둘러싸도록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후드가 폐쇄되면, 선반부(16)는 차량의 저부를 향해 덴팅된다. 상기 선반부(16)는 프레싱 공정 등으 로 형성된다. 상기 선반부(16)는 수직벽(16A), 수평판(16B) 및 플랜지(16C)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벽(16A)은 후드외측패널(12)의 설계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2B)로부터 차량의 저부를 향해 구부러진다. 상기 수평판(16B)은 상기 수직벽(16A)의 하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에어백펼침개구부(14)의 내측면을 향해 구부러진다. 상기 플랜지(16C)는 상기 수평판(16B)의 내측 단부로부터 차량의 저부를 향해 구부러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바디로서의 역할을 하는 커버(20)는 후드외측패널(12) 내의 에어백펼침개구부(14)에 핏팅된다. 차량의 위에서 본 평면도에서는, 커버(20)가 세장형으로 아크 형상을 가진다. 상기 커버(20)는 후드외측패널(12)의 후방 에지(12A)를 따라 연장된다. 차폭방향으로의 커버(20)의 중앙부는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커버(20)는 전체 에어백펼침개구부(14)를 폐쇄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상기 후드외측패널(12)의 두께이다. 상기 커버(20)는 금속판으로 제조된다.
수직벽(20B)은 후드가 폐쇄될 때, 상기 커버(20)의 설계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부(20A)의 주변 에지로부터 차량의 저부를 향해 구부러지도록 형성된다. 하부판(20C)은 수직벽(20B)의 하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에어백펼침개구부(14)의 내측면을 향해 구부러지도록 형성된다. 오목부(20D)는 베이스부(20A)의 주변 에지, 수직벽(20B) 및 하부판(20C)에 의해 상기 커버(20)의 주변 에지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20)의 하부판(20C)은 후드외측패널(12)에서 에어백펼침개구부(14)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선반부(16)의 수평판(16B) 상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20E)들은 차폭방향으로 양 단부 부근의 위치들에서 상기 커버(20)의 차량 후방측 에지에 형성된다. 상기 차량 후방측 에지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20)의 주변 에지들 가운데 하나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의 각각의 힌지부(20E)는 상기 하부판(20C)의 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차량의 저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힌지부(20E)의 상부(20F)는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측단면(즉,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르는 수직 단면)을 가진다. 이 측단면에서는, 상부(20F)의 차량 후방측 부분이 개방된다. 즉, 상부(20F)가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측단면을 가진다. 상기 힌지부(20E)의 하부(20G)는 상부(20F)의 하부 후방단(20H)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저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하부(20G)는 브래킷(32)에 의해 내측 보강재(후술함)(62)에 고정된다. 상기 하부(20G)는 내측 보강재를 통해 후드(34)에 고정된다.
상기 힌지부(20E)의 하부(20G)에는 관통-구멍(36)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20E)의 하부(20G)는 브래킷(32)의 커버부착부(32A)와 중첩된다. 상기 커버부착부(32A)에는 관통-구멍(38)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멍(36, 38)에는 볼트(40)가 삽입된다. 상기 볼트(40)는 상기 브래킷(32)의 커버부착부(32A)의 후방면 상에 배치되는 너트(42) 안으로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에어백(73)이 펼쳐지면, 좌우 힌지부(20E)의 상부(20F)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또는 가소성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20)가 도 4의 2중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으로 개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가 개방될 때, 차폭방향으로의 커 버(20)의 양 단부들이 에어백펼침개구부(14) 안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힌지부(20E)의 힌지축(L1)과 좌측 힌지부(20E)의 힌지축(L2)은 차폭방향으로 양 단부 부근의 위치들에서 에어백펼침개구부(14) 및 개구부(20)의 길이방향(즉, 법선방향)들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힌지축(L1, L2)은 일 축(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상기 힌지축(L1, L2)들은 서로 교차한다. 즉, 좌우 힌지축(L1, L2)은 각각 L3 및 L4 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θ1 및 θ2(θ1 = θ2)로 대칭적으로 기울어진다. 상기 L3 및 L4 선은 차폭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힌지축(L1, L2)의 차폭외측부는 각각의 힌지축(L1, L2)의 차폭내측부보다 차량의 후방에 더 가깝다.
상기 "좌우 힌지축(L1, L2)이 일 축(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힌지축(L1, L2)이 서로 교차한다"는 어구는 상기 좌우 힌지축(L1, L2)으로부터 연장되는 선들이 서로 교차하거나 또는 상기 좌우 힌지축(L1, L2)으로부터 연장되는 선들이 서로 3차원적으로 교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커버(20)가 개방되면, (도 6의 화살표 A 및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폭방향으로의 커버(20)의 양 단부들이 좌우 힌지축(L1, L2)을 중심으로 피봇한다. 그러므로, 길이방향으로의 커버(20)의 중앙부가 힌지축(L1, L2)을 중심으로 하는 피봇 궤적들간의 차이로 인하여 (도 6의 화살표 C 및 D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L1, L2)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피봇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변형력이 차폭방향으로 커버(20)의 중앙부에 인가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는 예컨대 차폭방향으로의 좌우 힌지부(20E)의 내부 그리고 그 부근의 두 부분과 길이방향으로의 중앙부인 3개의 벤트부(23)에서 구부러진다. 길이방향으로의 커버(20)의 중앙부는 차량의 상단을 향해 변형된다. 차폭방향으로의 좌우 힌지부(20E)의 내부 그리고 그 부근의 부분들은 차량의 저부를 향해 변형된다. 피봇 궤적들간의 차이로 인해 변형되는 길이방향으로의 커버(20)의 차량의 전방측 에지(20J)의 중앙부를 "에어백접근부(21)"라고 한다. 에어백펼침개구부(14)를 통과하여 펼쳐지는 에어백(73)과 에어백접근부(21)간의 거리는 길이방향으로 커버(20)의 여타의 부분과 상기 에어백(73)간의 거리보다 짧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가 개방된 후, 에어백펼침개구부(14)를 통과하여 펼쳐지는 에어백(73)과 길이방향으로의 커버(20)의 중앙부간의 거리는 상기 에어백과 상기 길이방향으로의 커버(20)의 여타의 부분간의 거리보다 짧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부착부(20M)들은 차량의 전방측 에지(20J)의 위치(20L)들에 형성된다. 각각의 위치(20L)는 차폭방향으로 에어백접근부(21)로부터 바깥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오프셋된다. 홀딩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클립(28)은 클립부착부(20M)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의 각각의 클립부착부(20M)는 차량의 저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하부판(20C)의 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클립(28)의 베이스 단부(28A)는 리벳(30)에 의하여 상기 커버(20)의 각각의 클립부착부(20M)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클립(28)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상기 클립(28)은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의 측단면(즉,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V자 형 상의 수직 단면)을 가진다(도 8 참조).
상기 클립(28)의 베이스 단부(28A)에는 관통-구멍(29)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멍(29)은 리벳(30)을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좌우 클립(28)이 제공된다. 각각의 클립(28)은 차량의 전방측 에지(20J)의 위치(20L)에 고정된다. 각각의 위치(20L)는 차폭방향으로 에어백접근부(21)로부터 바깥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오프셋된다.
차폭방향으로 에어백접근부(21)로부터 바깥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오프셋되는 각각의 위치(20L)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가 폐쇄될 때의 상기 클립(28)의 하단부(28D)가 상기 커버(2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될 때의 에어백접근부(21)보다 높게 되지 않는 위치이다. 즉, 커버(20)가 개방되면, 에어백(73)과 각각의 위치(20L)간의 거리가 상기 에어백(73)과 에어백접근부(21)간의 거리보다 길다.
상기 커버(20)의 차량의 후방측 에지의 클립(28)들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클립(28)들은 차폭방향(즉, 커버(20)의 길이방향)으로 적절한 위치에서 상기 커버(20)의 차량의 후방측 에지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20)의 차량의 전방측 에지에도 배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28)은 밴드 형상을 갖는 리프(leaf)스프링을 구부려 형성된다. 상기 클립(28)의 단부(28B)는 후크 안으로 구부러지는 측단면(즉,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르는 수직 단면)을 가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28B)는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상기 후드외측패널(12)의 선반부(16) 의 플랜지(16C)와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커버(20)는 상기 후드외측패널(12)의 에어백펼침개구부(14)에 핏팅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부(28C)는 클립(28)의 단부(28B) 아래에 형성된다. 상기 벤트부(28C)는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삼각형 측단면(즉,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르는 수직 단면)을 가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트부(28C)는 플랜지(16C)의 하단부와 접촉한다. 상기 선단부(16)의 플랜지(16C)는 상기 클립(28)의 벤트부(28C)와 상기 커버(20)의 하부판(20C)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커버(20)의 차량의 전방측 에지에 핏팅된 각각의 클립(28)의 단부(28B)는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즉, 도 5의 화살표 A로 도시된 방향으로) 반동력이 탄성 변형으로 인해 선반부(16)의 플랜지(16C)에 인가된다. 또한, 상기 커버(20)의 차량의 후방측 에지에 핏팅된 각각의 클립(28)(도시안됨)의 단부(28B)도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즉, 도 5의 화살표 B로 도시된 방향으로) 반동력이 탄성 변형으로 인해 선반부(16)의 플랜지(16C)에 인가된다. 그 결과, 상기 커버(20)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반동력과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반동력에 의하여 후드외측패널(12)의 에어백펼침개구부(14) 상에 위치 및 고정된다.
에어백(73)이 펼쳐지면, 커버(20)는 상기 에어백(73)에 의해 차량의 상단을 향해 가압된다. 그 결과, 클립(28)들이 에어백펼침개구부(14)로부터 해제된다. 힌지부(20E)는 상기 힌지부(20E)가 힌지축(L1, L2)을 중심으로 피봇할 때 변형된다. 따라서, 커버(20)가 도 4의 2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으로 개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장치바디(52)는 전후방향으로 부착 브래킷(54)의 중앙부(54A)의 상부면 상에 고정된다. 상기 전후방향으로의 부착 브래킷(54)의 양 단부(54B)는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 부재(60)들에 의하여 후드내측패널(56)에 형성된 개구부(58)의 주변 에지(56A)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상기 후드내측패널(56) 내의 개구부(58)의 주변 에지(56A)는 내측 보강재(62)에 의해 보강된다. 상기 내측 보강재(62)는 차폭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내측 보강재(62)의 길이방향은 차폭방향과 정합한다. 상기 내측 보강재(62)는 차폭방향을 따라 볼 때 위쪽으로 개방되는 모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개구부(64)는 내측 보강재(62)의 하부판(62A)에 형성된다. 에어백장치바디(52)는 개구부(64)를 통해 삽입된다. 상기 부착 브래킷(54)은 체결 부재(60)에 의해 내측 보강재(62)의 하부판(62A)에서 개구부(64)의 주변 에지에 체결된다. 플랜지(62B)는 내측 보강재(62)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62B)는 접착제(68)에 의하여 후드외측패널(12)의 베이스부(12B)의 하부면(12C)에 고정된다. 수직벽(62C, 62D)은 내측 보강재(62)의 하부판(62A)과 플랜지(62B)를 연결시킨다. 후방측에 있는 수직벽(62C)의 전방면은 용접 등에 의하여 브래킷(32)의 부착 플랜지(32B)에 연결된다.
에어백장치바디(52)의 에어백케이스(70)는 박스 형상을 가진다. 실질적으로 원주 형상을 갖는 인플레이터(72)는 에어백케이스(70) 내부에 하우징된다. 상기 인플레이터(72)의 축방향은 후드폭방향(즉, 차폭방향)과 정합한다. 또한, 접힌 상태의 에어백(73)은 에어백케이스(70) 내부에 하우징된다. 예를 들어, 스퀴브(squib), 점화제, 발화제, 발기제(gas-generation agent), 냉각제, 필터 등이 상기 인플레이터(72) 내에 하우징된다. 복수의 가스-주입 구멍이 인플레이터(72)의 주변벽에 형성된다. 가스는 복수의 가스-주입 구멍을 통해 주입된다. 또한, 부착 볼트(76)는 축방향으로 복수의 위치(예컨대, 두 위치)에서 인플레이터(72)의 외주부 상에 배치된다. 상기 부착 볼트(76)는 체결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부착 볼트(76)은 인플레이터(72)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부착 볼트(76)의 축방향은 인플레이터(72)의 반경방향과 정합한다. 이에 따라, 볼트-삽입 구멍(78, 80)이 부착 브래킷(54) 및 에어백케이스(70)의 저부벽(70A)에 형성된다. 상기 부착 볼트(76)는 볼트-삽입 구멍(78, 80)을 통해 삽입된다. 인플레이터(72)는 부착 브래킷(82)에 의해 지지되지만, 상기 부착 볼트(76)는 볼트-삽입 구멍(78, 80)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부측 브래킷(54)의 하부면 상의 너트(84)가 체결된다. 따라서, 인플레이터(72)가 부착 브래킷(54)에 강하게 고정된다. 상기 에어백(73)은 인플레이터(72)의 가스-주입 구멍을 통해 주입되는 가스가 에어백(73) 안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인플레이터(72)를 중심으로 접혀 있다. 접힌 상태의 에어백(73)은 에어백케이스(70)에 하우징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효과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백장치바디(52)가 작동되어 에어백(73)이 차량 충돌 시에 펼쳐지는 경우, 에어백(73)에 의해 차량의 상단을 향해 커버(20)가 가압된다. 따라서, 후드외측패널(12)의 에어백펼침개구부(14) 상에 커버(20)를 고정시키는 클립(28)들이 해제되고, 상기 커버(20)는 차폭방향으로 커버(20)의 차량의 후 방측 에지의 양 단부 부근에 배치되는 힌지부(20E)를 중심으로 피봇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20)가 개방된다. 그 결과, 도 4의 2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73)이 에어백펼침개구부(14)를 통과하여 차량의 외부를 향해 펼쳐진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힌지부(20E)의 힌지축(L1) 및 좌측 힌지부(20E)의 힌지축(L2)은 차폭방향으로 양 단부 부근의 위치에서 에어백펼침개구부(14) 및 커버(20)의 길이방향(즉, 법선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좌우 힌지축(L1, L2)은 각각 L3 및 L4 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θ1 및 θ2(θ1 = θ2)로 대칭으로 기울어진다. 상기 L3 및 L4 선은 차폭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힌지축(L1, L2)의 차폭외측부는 각각의 힌지축(L1, L2)의 차폭내측부보다 차량의 후방에 더욱 근접한다.
그 결과, 커버(20)가 힌지축(L1, L2)을 중심으로 피봇하기 때문에,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폭방향으로의 커버(20)의 양 단부들이 큰 정도로 에어백펼침개구부(14) 안으로 떨어지는 것(falling into air bag deployment opening)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20)가 에어백(73)의 펼침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커버(20)가 펼쳐지면, (도 6의 화살표 A 및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폭방향으로의 커버(20)의 양 단부가 좌우 힌지축(L1, L2)을 중심으로 피봇한다. 그러므로, 길이방향으로의 커버(20)의 중앙부가 (도 6의 화살표 C 및 D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L1, L2)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피봇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변형력이 차폭방향으로 커버(20)의 중앙부에 인가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는 예컨대 차폭방향으로의 좌우 힌지부(20E)의 내부 그리고 그 부근의 두 부분과 길이방향으로의 중앙부인 3개의 벤트부(23)에서 구부러진다. 길이방향으로의 커버(20)의 중앙부는 차량의 상단을 향해 변형된다. 차폭방향으로의 좌우 힌지부(20E)의 내부 그리고 그 부근의 부분들은 차량의 저부를 향해 변형된다. 상기 커버(20)의 길이방향으로의 차량 전방측 에지(20J)의 중앙부는 "에어백접근부(21)"라고 한다. 에어백펼침개구부(14)를 통과하여 펼쳐지는 에어백(73)과 에어백접근부(21)간의 거리는, 길이방향으로의 상기 커버(20)의 여타의 부분과 에어백(73)간의 거리보다 짧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가 개방된 후, 에어백펼침개구부(14)를 통과하여 펼쳐지는 에어백(73)과 길이방향으로의 커버(20)의 중앙부간의 거리는 상기 에어백과 상기 길이방향으로의 커버(20)의 여타의 부분간의 거리보다 짧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립(28)은 차량의 전방측 에지(20J) 내의 위치(20L)에 핏팅된다. 각각의 위치(20L)는 차폭방향으로 에어백접근부(21)로부터 바깥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오프셋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20)의 차량 전방측 에지(20J)의 중앙부(20K)와 펼쳐지고 있거나 펼쳐진 에어백(73)간의 거리를 클립(28)이 더욱 줄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클립(28)이 에어백(73)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계의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이 각종 실시예들에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위쪽에서 본 평면도에서는, 각각의 에어백펼침개구부(14) 및 커버(20)가 후드외측패널(12)의 후방 에지(12A)를 따라 연장되고,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아크 형상을 가진다. 하지만, 차량의 위쪽에서 본 평면도에서의 에어백펼침개구부(14) 및 커버(20)의 형상이 아크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어백펼침개구부(14) 및 커버(20)는, 커버(20)가 힌지축(L1, L2)을 중심으로 피봇할 때, 상기 커버(20)가 에어백접근부(21)를 구비하고 에어백(73)과 에어백접근부(21)간의 거리가 상기 에어백(73)과 길이방향으로의 커버(20)의 여타 부분간의 거리보다 짧은 한, 차량 위에서 본 평면도에서 V자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클립(28)이 차량의 전방측 에지(20J)의 두 위치에 배치된다. 각각의 두 위치는 차폭방향으로 에어백접근부(21)로부터 바깥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오프셋된다. 하지만, 상기 클립(28)은 차폭방향으로 에어백접근부(21)로부터 바깥쪽으로 오프셋되는 차량의 전방측 에지(20J) 내의 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클립(28)은 차량의 전방측 에지(20J) 내의 3이상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는 데, 그 각각은 차폭방향으로 에어백접근부(21)로부터 바깥쪽으로 오프셋된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후드외측패널(12), 커버(20) 및 클립(28)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하지만, 후드외측패널(12), 커버(20) 및 클립(28)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가 금속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수지와 같은 여타의 재료들이 후드외측패널(12), 커버(20) 및 클립(28)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후드외측패널(12)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는 커버(2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와 상이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후드외측패널(12)이 차체 패널로 채택된다. 하지만, 차체 패널로서 루프 패널 등이 채택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외측 패널들이 차체 패널로서 채택될 수도 있다.
홀딩수단이 클립(28)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20)가 에어백펼침개구부(14)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홀딩수단이 커버(20)를 유지하는 한, 연결핀과 같은 다른 홀딩수단이 채택될 수도 있다.
커버(20)가 길이방향으로 직선 형상을 갖고, 복수의 힌지부가 일 축을 중심으로 피봇하는 경우에도, 길이방향으로의 상기 커버(20)의 중앙부 및 단부들은, 상기 커버(20)가 펼쳐지고 있는 에어백(73)으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으로 인해 개방될 때, 상기 커버(20)의 여타의 부분과 비교하여 큰 정도로 에어백(73)을 향해 변형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도, 중앙부와 길이방향으로의 단부들 가운데 하나 이상 사이의 1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중앙부와 길이방향으로의 단부들을 배제하는 상기 커버(20)의 차량의 전방측 에지(20J)의 영역에 1이상의 클립(28)이 배치될 수도 있다.

Claims (9)

  1. 차량용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차체 패널(12)에 형성된 세장형 개구부(14)를 통과한 다음 펼쳐지는 에어백(73);
    상기 개구부(14)를 폐쇄하는 세장형 커버링바디(20);
    상기 커버링바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20)의 일 주변 에지에 제공되는 힌지부(20E); 및
    상기 커버링바디(20)가 상기 개구부(14)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링바디(20)를 유지시키기 위한 홀딩수단(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홀딩수단(28)은, 상기 힌지부(20E)가 제공되는 일 주변 에지에 대향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20)의 또다른 주변 에지에 배치되며,
    상기 홀딩수단(28)은, 중앙부(20K)와 길이방향으로의 1이상의 단부 사이의 적어도 한 위치에서, 상기 중앙부(20K)와 길이방향으로의 단부들을 배제한 다른 주변 에지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
  2. 차량용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차체 패널(12)에 형성된 세장형 개구부(14)를 통과한 다음 펼쳐지는 에어백(73);
    상기 개구부(14)를 폐쇄하는 세장형 커버링바디(20);
    상기 커버링바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20)의 일 주변 에지에 제공되는 힌지부(20E); 및
    상기 커버링바디(20)가 상기 개구부(14)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링바디(20)를 유지시키기 위한 홀딩수단(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홀딩수단(28)은, 상기 힌지부(20E)가 제공되는 일 주변 에지에 대향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20)의 또다른 주변 에지에 배치되고,
    상기 홀딩수단(28)은 상기 커버링바디(20)의 에어백접근부(2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펼쳐지는 에어백(73)과 상기 에어백접근부(21)간의 거리는, 상기 커버링바디(20)가 상기 힌지부(20E)를 중심으로 피봇할 때, 상기 펼쳐지는 에어백(73)과 길이방향으로의 상기 커버링바디(20)의 여타의 부분간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힌지부(20E)의 피봇 중심축(L1, L2)은 하나의 축에 위치되지 않고, 상기 피봇 중심축들은 서로 교차하며,
    상기 에어백접근부(21)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20)의 다른 주변 에지의 피봇 궤적들간의 차이로 인하여 변형되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일 주변 에지는 구부러져 아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일 주변 에지는 구부러져 V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접근부(21)는 길이방향으로의 상기 커버링바디(20)의 다른 주변 에지의 중앙부(20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20E)의 피봇 중심축(L1, L2)은 차폭방향으로 양 단부에서 상기 개구부(14)와 상기 커버링바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피봇 중심축(L1, L2)은 각각 상기 차폭방향으로의 각각의 피봇 중심축(L1, L2)의 외측부가 상기 차폭방향으로의 각각의 피봇 중심축(L1, L2)의 내측부보다 차량의 후방에 더욱 근접하도록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백장치.
  8. 차량용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차체 패널에 형성된 세장형 개구부를 통과한 다음 펼쳐지는 에어백;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세장형 커버링바디;
    상기 커버링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의 일 주변 에지에 제공되는 힌지부; 및
    상기 커버링바디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링바디를 유지시키기 위한 홀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홀딩부는, 상기 힌지부가 제공되는 일 주변 에지에 대향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의 또다른 주변 에지에 배치되며,
    상기 홀딩부는, 중앙부와 길이방향으로의 1이상의 단부 사이의 적어도 한 위치에서, 상기 중앙부와 길이방향으로의 단부들을 배제한 다른 주변 에지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
  9. 차량용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차체 패널에 형성된 세장형 개구부를 통과한 다음 펼쳐지는 에어백;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세장형 커버링바디;
    상기 커버링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의 일 주변 에지에 제공되는 힌지부; 및
    상기 커버링바디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링바디를 유지시키기 위한 홀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홀딩부는, 상기 힌지부가 제공되는 일 주변 에지에 대향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커버링바디의 또다른 주변 에지에 배치되고,
    상기 홀딩부는 상기 커버링바디의 에어백접근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펼쳐지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접근부간의 거리는, 상기 커버링바디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피봇할 때, 상기 펼쳐지는 에어백과 길이방향으로의 상기 커버링바디의 여타의 부분간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
KR1020087008416A 2005-10-11 2006-10-10 차량용 에어백장치 KR100966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96572A JP4120673B2 (ja) 2005-10-11 2005-10-11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JP-P-2005-00296572 2005-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936A true KR20080042936A (ko) 2008-05-15
KR100966908B1 KR100966908B1 (ko) 2010-06-30

Family

ID=3765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416A KR100966908B1 (ko) 2005-10-11 2006-10-10 차량용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26433B2 (ko)
EP (1) EP1934074B1 (ko)
JP (1) JP4120673B2 (ko)
KR (1) KR100966908B1 (ko)
CN (1) CN101287628B (ko)
DE (1) DE602006014013D1 (ko)
WO (1) WO2007042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6023B2 (en) 1998-02-06 2017-03-07 Boston Scientific Limited Direct stream hydrodynamic catheter system
JP4291821B2 (ja) * 2006-01-25 2009-07-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JP4134328B2 (ja) * 2006-01-25 2008-08-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のフードへの組付け構造
JP2007196789A (ja) * 2006-01-25 2007-08-09 Takata Corp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US8303538B2 (en) 2007-12-17 2012-11-06 Medrad, Inc. Rheolytic thrombectomy catheter with self-inflating distal balloon
WO2009082669A1 (en) 2007-12-26 2009-07-02 Medrad, Inc. Rheolytic thrombectomy catheter with self-inflating proximal balloon with drug infusion capabilities
DE112009000700T5 (de) 2008-03-20 2011-02-10 Medrad, Inc. Hydrodynamisches Direktstrom-Kathetersystem
JP5077216B2 (ja) * 2008-12-12 2012-11-2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10254282A (ja) * 2009-04-01 2010-11-11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20100300792A1 (en) * 2009-05-28 2010-12-02 Liang-Yann Yuan Airbag apparatus for pedestrian protection
KR101526751B1 (ko) 2013-12-18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보행자 에어백
DE102016004110A1 (de) * 2016-04-05 2017-10-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 mit Fußgänger-Airba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5607A (ja) 1993-10-29 1995-05-16 Toyota Motor Corp 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JP3245489B2 (ja) 1993-10-29 2002-0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の防水構造
JP3791379B2 (ja) * 2001-10-02 2006-06-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US6923286B2 (en) * 2002-02-26 2005-08-02 Toyoda Gosei Co., Ltd. Pedestrian protecting device
JP3933547B2 (ja) * 2002-08-30 2007-06-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の展開方法
US20040262894A1 (en) * 2003-06-25 2004-12-30 Kempf Peter C. Hood airbag for pedestrian protection
CN100337860C (zh) * 2003-10-10 2007-09-19 杨铭域 行人碰撞保护装置
JP2005153851A (ja) * 2003-10-31 2005-06-16 Takata Corp 歩行者等の保護装置
US7243754B2 (en) 2004-03-17 2007-07-17 Toyoda Gosei Co., Ltd. Pedestrian airbag system
JP2006062488A (ja) * 2004-08-26 2006-03-09 Honda Motor Co Ltd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4589855B2 (ja) * 2005-07-26 2010-1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衝突物保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6014013D1 (de) 2010-06-10
JP2007106155A (ja) 2007-04-26
EP1934074B1 (en) 2010-04-28
CN101287628A (zh) 2008-10-15
US20090160170A1 (en) 2009-06-25
JP4120673B2 (ja) 2008-07-16
WO2007042908A1 (en) 2007-04-19
US7726433B2 (en) 2010-06-01
EP1934074A1 (en) 2008-06-25
CN101287628B (zh) 2010-12-01
KR100966908B1 (ko) 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908B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US7669884B2 (en) Air bag device
KR100956151B1 (ko) 에어백 장치
US8840136B2 (en) Mounting structures for front pillar trims
EP1937518B1 (en) Hood airbag device
EP2596996B1 (en) Arrangement structure for vehicle interior parts
JPH03279055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US7552939B2 (en) Airbag apparatus having support member attached to vehicle via easily-deformable brackets at both ends
US7128336B2 (en) Air bag door open structure of automobile
JP5271722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配設構造
JPH07125607A (ja) 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JP4089723B2 (ja)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JP4779640B2 (ja)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JP4089722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4120666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20070070314A (ko) 필러트림 결합구조
KR100503246B1 (ko)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
JP4075921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3356876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23157543A (ja) ニーエアバッグの取付構造
KR101585662B1 (ko) 에어백 도어
JP2007106156A (ja) 車体板材の開口部カバー固定構造
JP377599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H07186867A (ja) エアバッグリッド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