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177A -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177A
KR20080042177A KR1020087008267A KR20087008267A KR20080042177A KR 20080042177 A KR20080042177 A KR 20080042177A KR 1020087008267 A KR1020087008267 A KR 1020087008267A KR 20087008267 A KR20087008267 A KR 20087008267A KR 20080042177 A KR20080042177 A KR 20080042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reaction gas
supplying
filt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스 라이스터
베레나 휙커
Original Assignee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5042407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5042407A1/de
Application filed by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filed Critical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42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097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recycling of the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26Humidif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26Humidifying
    • H01M8/04141Humidifying by water containing exhaust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01M8/0687Reactant purification by the use of membranes or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26Humidifying
    • H01M8/04149Humidifying by diffusion, e.g. making use of membr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재순환 반응 가스(3)를 연료 전지(2)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1)는 습기가 공급될(3) 반응 가스용 제 1 인입구(5) 및 습기 캐리어(7)를 위한 제 2 인입구(6)를 가진 급습기(4)를 포함하고, 필터 설비(8)는 제 1 인입구(5) 및/또는 제 2 인입구(6)에 미리 접속된다.

Description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ARRANGEMENT FOR SUPPLYING A FUEL CELL WITH RECYCLED REACTION GAS}
본 발명은 습기가 공급될 반응 가스를 위한 제 1 인입구 및 습기 캐리어를 위한 제 2 인입구를 가진 급습기(humidifier)를 포함하는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었다. 예를들어 폴리머 전해질 막 연료 전지들(PEM 전지들) 같은 특정 종류의 연료 전지들의 경우, 연료 전지 막의 영구적 습기 공급은 최대 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습기 공급은 물로 연료 전지에 공급되는 가스를 풍부하게 함으로써 달성되고, 상기 풍부함은 급습기에 의해 발생한다. 급습기가 최적의 효율성에 도달하고 습기가 제어 가능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공급 흐름이 요구된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가스 전달 설비는 주로 급습기의 전면에 접속된다. 그러나, 서지시 동작하는 가스 전달 설비들은 현재, 급습기에 대한 공급 스트림이 균일하지 않도록 존재한다. 게다가, 압력 서지들은 너무 이른 마모 및 해어짐을 유도할 수 있다. 때때로, 단지 제한된 양의 구조적 공간이 이용 가능하여 급습기는 주로 바람직하지 않은, 예를들어 불균일 또는 비대칭 공급 스트림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급습기에 대한 공급 스트림을 개선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임무를 바탕으로 한다.
이 임무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터 설비는 제 1 인입구 및/또는 제 2 인입구에 미리 접속된다. 필터 설비는 예를들어 비직물 재료의 입자 필터 형태를 가지며, 흐름의 원할화를 발생시키는 압력 이퀄라이저(equaliser)를 형성한다. 이런 필터 설비는 모바일 연료 전지들이 동적으로 동작되고 결과적으로 동적으로 발생되는 압력 변동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동일한 것은 소형 상비 장비들에 적용할 수 있다. 미리 접속된 가스 전달 장비의 가능한 가스 서지들은 필터 장비에서 감쇄된다. 급습기로의 원할한 공급 스트림에 의해, 습기의 전달은 개선되어 작은 구조적 공간 요구가 달성될 수 있다. 필터 설비는 와이어 네팅(netting), 짜여진 구조, 관통된 격자 또는 격판들을 나타낼 수 있다. 이들 필터 설비들은 필터 설비에 대한 공급 효과를 가짐과 별개로 추가의 개선된 흐름을 유도한다. 바람직하게, 필터 설비는 입자 필터 형태를 가진다. 이것은 너무 이른 마모 및 해어짐 또는 급습기의 효율성 손실을 유도할 수 있는 입자들을 필터링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 경우, 캐소드 측 반응 가스로서 연료 전지에 공급되는 주변 공기는 한편으로 정화되고, 습기 캐리어를 형성하는 캐소드 오프 가스는 또한 다른 한편으로 정화될 수 있다. 캐소드 오프 가스는 정화된 캐소드 오프 가스가 급습기에 공급되도록 필터 설비에 유지된 연료 전지로부터의 오염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설비는 화학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 필터는 예를들어 산 및/또는 염기 가스들을 필터링하고 손상을 주는 가스들의 효과에 의한 급습기 및 연료 전지들의 너무 이른 마모 및 해어짐을 방지한다.
필터 설비는 활성화된 탄소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필터 설비는 입자 필터 및 하나의 필터 유니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될 수 있는 활성화된 탄소를 포함한다. 추가 필터 설비는 활성화된 탄소층을 포함한다. 이 경우, 활성화된 탄소는 장비에 따라 흡착 필터 및/또는 흡수 필터를 형성한다. 활성화된 탄소는 폭넓게 다른 화학 성분들 및 입자들을 필터링하기 위하여 적당하다. 활성화된 탄소 대신 또는 부가하여, 다른 흡수제들은 또한 추가 필터 설비에 제공될 수 있다. 이들 흡수제들은 또한 물리적 흡수 및/또는 화학적 흡수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예를들어 주입된 탄소, 실리콘 이산화물, 알루미노실리케이트들, 알루미늄 산화물들 또는 이온 교환기는 또한 고려할 수 있다.
필터 설비는 미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 필터에 의해, 미세 입자 및 액체 성분들은 정화될 매체로부터 필터될 수 있다. 활성화된 탄소 층은 하류쪽 미세 필터에 접속될 수 있고 활성화된 탄소 입자들을 유지한다.
필터 설비는 정전기적 효과 필터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 입자들은 저압 손실을 갖는 정전기적 효과 필터 재료로 필터될 수 있다. 정전기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구멍들은 비충전 필터 재료의 경우보다 동일한 필터 성능을 가지며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매체는 가스 스트림에서 간단한 수단에 의해 배열될 수 있고 쉽게 대체할 수 있다.
급습기는 막 급습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막 급습기들의 경우, 가스의 습기 스트림 및 습기가 공급될 가스의 스트림은 물에 침투성인 막에 의해 분리된다. 본래, 습기의 운송은 모세관 힘들 또는 확산 힘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양쪽 메카니즘들은 마주하는 오염물들에 민감하다. 막을 통한 운송 동안, 막의 인터페이스 현상은 매우 중요하다. 이런 인터페이스 현상은 표면의 오염물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예를들어, 막의 친수성 작용 및 습식 작용은 오염시 변화한다. 구멍들은 입자들에 의해 막힐 수 있다. 기능 그룹들은 오염물들 또는 유독 물질들에 의해 방해받을 수 있다. 막 급습기의 경우, 캐소드측의 물 함유 폐기 공기는 바람직하게 물의 독립된 공급이 생략될 수 있도록 습기 공급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개선된 노이즈 감소 효과는 흐름 설계 및 급습기의 주변 막들의 결과로서 필터 설비와 결합하여 얻어진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급습기는 스프레이 급습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프레이 급습기들은 애노드 가스가 산소, 예를들어 대기중 산소와 연관되어 반응하기 때문에, 만약 애노드 가스의 습기 공급이 발생하면 바람직하다. 스프레이 수분 공급의 경우, 수분 공급은 예를들어 노즐들을 통하여 액체 습기를 스프레잉함으로써 발생한다. 캐소드 오프 가스로부터 응축된 물은 상기 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액체 물을 사용할 때, 특히 캐소드 오프 가스로부터 얻어진 물을 사용할 때, 사전 정화는 오염물들로 인해 노즐들이 막힐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 주변 공기로부터 형성된 캐소드 가스에 습기 공급 중에, 주변 공기로부터의 오염물들이 자체적으로 노즐들 상에 증착하여 급습기의 동작에 혼란을 유도하기 때문에 정화는 또한 필요하다.
급습기는 중공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 섬유들은 매우 큰 표면을 가지므로, 높은 습기 공급 성능은 작은 공간을 요구하는 작은 수의 중공 섬유들로 달성될 수 있다. 중공 섬유들의 경우, 예를들어 가스의 습기 스트림은 섬유들 주변으로 통과되고, 다른 가스 스트림, 예를들어 습기가 공급될 스트림은 섬유들의 안쪽을 통과된다. 중공 섬유 급습기들의 경우, 사전 필터링은, 중공 섬유들이 내부를 관통하는 입자들에 의해 막히거나 파괴될 수 있는 작은 단면을 가지기 때문에 부가적으로 바람직하다.
상기 장치는 사전에 장착할 수 있는 유니트를 형성할 수 있다. 연료 전지들에 장착하기 전에 보다 필터 설비 및 급습기의 유니트가 결합되는 모듈 타입 구조는 보다 적은 부품들이 장착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연료 전지들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장치는 하우징 내에 배열될 수 있다. 필터 장치 및 급습기의 유니트는 하우징에 특히 컴팩트 방식으로 미리 장착되고, 그 결과 장착은 추가로 단순화된다. 필터 설비 및 급습기를 접속하기 위하여 접속부들, 예를들어 튜브들 및 호스들은 생략될 수 있다.
가스 전달 설비는 상기 장치의 전면에 접속될 수 있다. 가스 전달 설비에 의해, 가스 스트림의 압력 및 전달 증가는 발생한다. 가스 전달 설비의 장비에 따라, 압력 서지들은 발생할 수 있고 급습기의 전면에 접속된 필터 설비에서 감쇄된다. 막 펌프들은 전달될 매체가 이들의 경우 완전히 밀봉되기 때문에 가스 전달 설비들로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압력 맥동들은 급습기에 공급되는 흐름이 균일하도록 필터 설비에서 감쇄되고, 그 결과 최적의 효율성에 도달하고 만족스럽게 제어할 수 있다.
사전 필터는 공기 전달 설비의 전면에 접속될 수 있다. 사전 필터는 가스 전달 설비로 입자들의 침투를 방지하고 상기 장치가 너무 이르게 손상 및 해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사운드 흡수기는 공기 전달 설비의 전면에 접속될 수 있다. 가스 전달 설비에 의해 특히 발생되는 사운드 방출들은 사운드 흡수기에 의해 방지된다.
반응 가스는 연료 전지의 캐소드 가스를 형성할 수 있다. 산소 함유 매체, 예를들어 PEM 연료 전지들의 경우 주변 공기는 캐소드에 공급된다. 비록 캐소드측으로 물의 공급이 애노드 측쪽으로 공급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지만, 캐소드 폐기 공기가 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보다 간단하다.
반응 가스는 연료 전지의 애노드 가스를 형성할 수 있다. 연료, 일반적으로 수소는 애노드로 통과된다. PEM 연료 셀들의 경우, 건조가 막의 저항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성능의 손실을 유도하기 때문에 애노드 측에 습기를 공급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산소가 연료 전지의 파괴를 유도하는 수소-산소 반응 형태로 제어되지 않은 방식으로 수소와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반응 가스로 전달되지 않는 것이 보장될 필요가 있다.
필터 설비는 센서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설비에 의해, 필터 설비 상태는 모니터될 수 있고 측정된 파라미터들은 급습기 또는 연료 전지를 제어하기 위한 평가 유니트에 이용할 수 있다. 이런 처리 동안, 특히 온도, 습기 및 관통하여 흐르는 유체의 흐름 비율은 센서 설비에서 측정될 수 있다. 이들 파라미터들에 의해, 필터 설비의 감소하는 필터 성능 및 결과적으로 필터 설비의 필요한 대체는 신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몇몇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들에 의해 하기에 추가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들은 각각의 경우를 도시한다.
도 1은 캐소드 가스에 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캐소드 오프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부가적인 필터 설비를 가진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전면에 접속된 사전 필터 및 사운드 흡수기를 가진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캐소드 가스에 습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하우징에 사전 장착 가능한 유니트로서 하나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은 재순환된 반응 가스(3)를 연료 전지(2)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1)를 도시한다. 반응 가스(3)는 캐소드측에서 연료 전지(2)에 공급되는 설계의 경우 주변 공기이다. 장치(1)는 제 1 인입구(5) 및 제 2 인입구(6)를 가진 막 급습기로서 형성된 급습기(4)로 구성된다. 제 1 인입구(5)에서 급습기(3)에 공급될 반응 가스 및 제 2 인입구(6)에서 습기 캐리어(7)는 급습기(4)에 도입된다. 습기 캐리어 들(7)은 물 함유 캐소드 폐기 가스에 의해 형성된다. 이런 설계의 경우, 필터 설비(8)는 제 1 인입구(5)의 전면에 접속된다. 필터 설비(8)는 입자 필터로서 형성되고 편평한 표면으로서 형성된 비직물 재료로 구성된다. 필터 설비(8)는 비직물 재료 층에 부가하여, 활성화된 탄소(10) 층에 의해 형성된 화학 필터(9)를 나타낸다. 게다가, 필터 설비는 정전기 효과 필터 재료(12)에 의해 형성된 미세 필터(11)를 나타낸다. 막 펌프로서 형성된 가스 전달 설비(15)는 상기 장치(1)의 전면에 접속된다.
도 2에 따른 장치(1)는 도 1로부터의 장치(1)에 대응하고, 부가적인 필터 설비(8)는 이 설계의 경우 제 2 인입구(6)의 전면에 접속된다. 습기 캐리어(7)에 의해 형성된 캐소드 오프 가스는 부가적인 필터 설비에 의해 정화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장치(1)를 도시하고, 사전 필터(16)는 가스 전달 설비(15)의 전면에 접속되고, 사운드 흡수기(17)와 결합된다. 작은 공간 요구의 결과로서, 이런 장치는 특히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에 적당하다.
도 4는 재순환된 반응 가스(3)를 연료 전지(2)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1)를 도시한다. 이 설계의 경우, 반응 가스(3)는 애노드측상 연료 전지(2)에 공급되는 수소이다. 장치(1)는 제 1 인입구(5) 및 제 2 인입구(6)를 가진 막 급습기로서 형성된 급습기(4)로 구성된다. 습기가 공급될 반응 가스(3)는 제 1 인입구(5)에 공급되고 습기 캐리어(7)는 제 2 인입구(6)에서 급습기(4)에 도입된다. 습기 캐리어(7)는 물 함유 캐소드 폐기 공기에 의해 형성된다. 이런 설계의 경우, 필터 설비(8)는 제 2 인입구(6)의 전면에 접속된다.
도 5는 사전 장착 가능한 유니트로서 형성된 장치(1)를 도시한다. 필터 설비(8) 및 급습기(4)는 하우징(14) 내에 배열된다. 필터 설비(8)는 사전 필터(15) 및 플리트(pleat) 필터로서 형성된 입자 필터(16)를 포함한다. 활성화된 탄소 층에 의해 형성된 화학 필터(9)는 입자 필터(16) 하류에 접속된다. 미세 필터(11)를 형성하는 정전기 효과 필터 층(12)은 화학 필터(9) 하류에 접속된다. 필터 설비(8)의 하류에는 센서 설비(18)가 배열된다. 급습기(4)는 막 급습기 형태를 가지며, 다수의 물 침투성 중공 섬유들은 급습기(4) 내에 제공된다. 이런 장치(1)는 사운드 흡수기로서 동작한다.

Claims (16)

  1. 습기가 공급될 반응 가스(3)를 위한 제 1 인입구(5) 및 습기 캐리어(7)를 위한 제 2 인입구(6)를 가진 급습기(4)를 포함하는, 재순환된 반응 가스(3)를 연료 전지(2)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1)로서,
    필터 설비(8)는 제 1 인입구(5) 및/또는 제 2 인입구(6)의 전면에 접속되는,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설비(8)는 입자 필터를 포함하는,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설비(8)는 화학 필터(9)를 포함하는,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설비(8)는 활성화된 탄소 층(10)을 포함하는,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설비(8)는 미세 필터(11)를 포함하는,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설비(8)는 정전기 효과 필터 층(12)을 포함하는,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습기(4)는 막 급습기 형태를 가지는,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급습기(4)는 중공 섬유들(13)을 포함하는,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사전 장착 가능 유니트를 형성하는,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하우징(14) 내에 배열되는,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 전달 설비(15)는 장치(1)의 전면에 접속되는,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사전 필터(16)는 가스 전달 설비(15)의 전면에 접속되는,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사운드 흡수기(17)는 가스 전달 설비(15)의 전면에 접속되는,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가스(3)는 연료 전지(2)의 캐소드 가스를 형성하는,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가스(3)는 연료 전지(2)의 애노드 가스를 형성하는,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설비(8)는 센서 설비(18)를 포함하는,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KR1020087008267A 2005-09-06 2006-09-05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KR200800421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42407.4 2005-09-05
DE102005042407A DE102005042407A1 (de) 2005-09-06 2005-09-06 Anordnung zur Versorgung einer Brennstoffzelle mit aufbereitetem Reaktionsgas
US71492005P 2005-09-07 2005-09-07
US60/714,920 2005-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177A true KR20080042177A (ko) 2008-05-14

Family

ID=3760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267A KR20080042177A (ko) 2005-09-06 2006-09-05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117415A1 (ko)
EP (2) EP1935049A2 (ko)
JP (1) JP2009507350A (ko)
KR (1) KR20080042177A (ko)
CA (1) CA2621173A1 (ko)
WO (1) WO200702857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301A (ko) 2021-06-16 2022-12-23 양원석 헤어브러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43330A1 (de) * 2007-09-12 2009-03-19 Carl Freudenberg Kg Befeuchter
US9190685B2 (en) * 2011-10-27 2015-11-17 Bloom Energy Corporation SOFC system with selective CO2 removal
DE112013001600B4 (de) 2012-03-21 2023-10-26 Suzuki Motor Corporation Luftansaugvorrichtung für ein Brennstoffzellenfahrzeug
KR101447863B1 (ko) * 2012-08-23 2014-10-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
DE102015215201A1 (de) 2015-08-10 2017-02-16 Volkswagen Ag Brennstoffzellenstapel mit interner Partikelzurückhaltefunktion sowie Fahrzeug mit einem solchen Brennstoffzellenstapel
EP3905400A4 (en) * 2018-12-28 2022-10-19 Kolon Industries, Inc. MEMBRANE HUMIDIFIER FOR FUEL CELL
KR20210067366A (ko) * 2019-11-29 2021-06-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가습기의 카트리지 및 연료전지용 가습기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7702A (en) * 1967-02-15 1970-04-21 United Aircraft Corp Fuel cell system including cooling and humidifying means
DE19847985C1 (de) * 1998-10-17 2000-02-10 Dbb Fuel Cell Engines Gmbh Behälter zur Aufnahme eines Betriebsmittels für den Betrieb von Brennstoffzellen sowie dessen Verwendung
US20010001550A1 (en) * 1998-11-12 2001-05-24 Janusz Bryzek Integral stress isolation apparatus and technique for semiconductor devices
JP2003504805A (ja) * 1999-07-05 2003-02-04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高温型高分子電解質膜(htm)燃料電池、htm燃料電池設備、htm燃料電池及び/又は燃料電池設備の運転方法
JP3389544B2 (ja) * 1999-12-24 2003-03-24 三洋電機株式会社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2001216987A (ja) * 2000-01-31 2001-08-10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用加湿システム
DE10110419A1 (de) * 2000-03-08 2003-10-23 Honda Motor Co Ltd Brennstoffzellensystem
JP2001351654A (ja) * 2000-06-05 2001-12-21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の供給ガス加湿装置
JP3580236B2 (ja) * 2000-10-04 2004-10-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3662872B2 (ja) * 2000-11-17 2005-06-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電源装置
JP4801261B2 (ja) * 2001-01-23 2011-10-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US6780534B2 (en) * 2001-04-11 2004-08-24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assembly for intake air of fuel cell
US6797027B2 (en) * 2001-04-11 2004-09-28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assemblies and systems for intake air for fuel cells
JP3743339B2 (ja) * 2001-10-03 2006-02-08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およびその運転方法
US7122258B2 (en) * 2001-10-31 2006-10-17 Plug Power Inc. Fuel cell air system and method
JP2003151590A (ja) * 2001-11-08 2003-05-23 Toyo Roki Mfg Co Ltd 燃料電池用加湿システム
AU2003271440A1 (en) * 2002-09-23 2004-04-08 Hydrogenics Corporation A 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4199880A (ja) * 2002-12-16 2004-07-15 Matsushita Ecology Systems Co Ltd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発電装置
CN100423341C (zh) * 2003-03-03 2008-10-01 百拉得动力系统公司 环境压力下采用部分空气加湿的燃料电池系统的操作方法
CN1532972A (zh) * 2003-03-24 2004-09-29 ��̫ȼ�ϵ�ؿƼ��ɷ����޹�˾ 小功率气冷式燃料电池系统
JP2005011691A (ja) * 2003-06-19 2005-01-13 Yuasa Corp 直接液体型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5032653A (ja) * 2003-07-09 2005-02-03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燃料電池システム
CN1581554A (zh) * 2003-08-04 2005-02-16 上海神力科技有限公司 一种可以提高运行寿命的燃料电池
US20050056661A1 (en) * 2003-08-19 2005-03-17 Hydrogenic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hydrogen
JP2005071764A (ja) * 2003-08-22 2005-03-17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301A (ko) 2021-06-16 2022-12-23 양원석 헤어브러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28572A2 (en) 2007-03-15
EP1935049A2 (en) 2008-06-25
JP2009507350A (ja) 2009-02-19
WO2007028572A3 (en) 2007-11-08
CA2621173A1 (en) 2007-03-15
US20090117415A1 (en) 2009-05-07
EP2159865A1 (en)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2177A (ko) 재순환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US7449046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urifying gases fed to a fuel cell by removing operational unfavorable constituents
CN101258633A (zh) 用于对燃料电池供应再循环反应气体的装置
JP2006528431A5 (ko)
US6474628B1 (en) Air humidification
JP5202934B2 (ja) 超高純度空気の調製方法
JP4511938B2 (ja) 複数のフィルタユニットを設けた生物学的フィルタ装置
JP5297221B2 (ja) 水溶性有機化合物の除去システム
US20090087700A1 (en) Operation of a Fuel Cell
CN1997437A (zh) 结合空气输送装置的化学过滤设备
JP2006510488A (ja) 核生成と組み合わせた水性の泡を用いた空気流の濾過方法および装置
JP4615257B2 (ja) 燃料電池用ガス浄化器
JP3445093B2 (ja) 酸素濃縮装置
KR200293560Y1 (ko) 고효율 산소발생장치
JP4594581B2 (ja) 加湿装置
JP2012055838A (ja) 空気浄化装置
JP4168163B2 (ja) ガス不純物の除去システム
KR200284400Y1 (ko) 산소 발생장치
JP3891808B2 (ja) 省エネ型除湿システム
CN116853470B (zh) 一种用于潜艇舱室空气净化装置及使用方法
SA111320563B1 (ar) جهاز تهوية، وجهاز لإزالة الكبريت يشتمل على جهاز التهوية
JP3790380B2 (ja) 医療用酸素濃縮装置
JP3213754U (ja) ガスの処理装置
KR101933548B1 (ko) 가스 발생기용 흡착 베드
KR100543719B1 (ko) 기체중의 가스형태 오염물질의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