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611A - 부착보드 조립체 및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부착보드 조립체 및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611A
KR20080040611A KR1020070111747A KR20070111747A KR20080040611A KR 20080040611 A KR20080040611 A KR 20080040611A KR 1020070111747 A KR1020070111747 A KR 1020070111747A KR 20070111747 A KR20070111747 A KR 20070111747A KR 20080040611 A KR20080040611 A KR 20080040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adhesive layer
attachment board
board assembly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규호
Original Assignee
곽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규호 filed Critical 곽규호
Publication of KR20080040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10Files with adhesive strips for mounting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5/00Sheets and objec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Means therefor; Albu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06Handles; Grip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착보드 조립체는 부착보드와; 부착보드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된 접착층과; 접착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접착층을 세 구역 이상으로 구획하여 커버하는 스트립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대상물을 부착보드에 용이하게 정렬하고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부착보드 조립체, 부착보드, 스트립

Description

부착보드 조립체 및 부착방법{ATTACHING BOARD ASSEMBLY AND ATTACHING METHOD}
본 발명은 부착보드 조립체 및 부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을 부착보드에 용이하게 정렬하고 부착할 수 있는 부착보드 조립체 및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착보드 조립체는 사진, 게시물, 포스터 등을 부착보드에 부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부착보드 조립체는 포토앨범(Photo album), 폼 부착보드(Foam board) 및 액자 등에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부착보드 조립체(100)를 갖는 앨범을 도시한 도면이다. 부착보드 조립체는 부착보드(110)와, 부착보드(110)의 판면에 마련된 접착층(120)과, 접착층(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접착층(120)을 두 구역으로 구획하여 커버하는 제1스트립(131) 및 제2스트립(132)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부착보드 조립체(100)에 대상물을 부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제1스트립(131)을 제거하여 접착층(120)의 일부 영역을 노출 시킨다. 그리고, 대상물을 노출된 접착층(120)에 배열하고 부착시킨다. 그리고, 제2스트립(132)을 제거하여 접착층(120)을 완전히 노출시킨다. 그리고, 대상물을 가압하여 완전히 노출된 접착층(120)에 부착시킨다.
여기서, 제1스트립(131)을 제거하고 대상물을 정렬하는 과정에서 실수가 발생할 경우에 대상물의 재정렬을 위하여 대상물을 접착층(120)으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부착보드 조립체(100)는 제1스트립(131) 및 제2스트립(132)의 크기가 비슷하게 마련되므로, 대상물을 정렬하는 과정에서 대상물과 접착층(120)의 부착 면적이 크게 되어 대상물의 재정렬시 대상물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물을 부착보드에 용이하게 정렬하고 부착할 수 있는 부착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상물을 부착보드에 용이하게 정렬하고 부착할 수 있는 부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부착보드 조립체에 있어서, 부착보드와; 상기 부착보드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접착층을 세 구역 이상으로 구획하여 커버하는 스트립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스트립부는 제1스트립과, 제2스트립과, 제3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제1스트립은 상기 제2스트립 및 제3스트립 중 적어도 하나에 비하여 작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트립은 상기 제2스트립 및 제3스트립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트립은 상기 접착층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스트립의 길이 방향 측변은 상기 제2스트립 및 제3스트립 중 적어도 하나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트립은 대략 1/2인치(inch)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내지 제3스트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면 방향을 따라 상기 접착층의 외부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이 형성된 상기 부착보드의 일영역이 함몰된 대상물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부착보드 상에 소정 높이로 마련되는 매트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다른 목적은, 상기 제1스트립을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접착층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대상물을 정렬하고, 상기 노출된 접착층에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층이 더 노출되도록 제2스트립 및 제3스 트립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고, 상기 더 노출된 접착층에 상기 대상물을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층이 완전히 노출되도록 제2스트립 및 제3스트립 중 다른 하나를 제거하고, 상기 완전히 노출된 접착층에 상기 대상물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을 부착보드에 용이하게 정렬하고 부착할 수 있는 부착보드 조립체 및 부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착보드 조립체(1)의 제1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보드 조립체(1)는 부착보드(10)와, 부착보드(10)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된 접착층(20)과, 접착층(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접착층(20)을 세 구역 이상으로 구획하여 커버하는 스트립부(30)를 포함한다.
부착보드(10)는 부착 대상물(P)이 부착되어 지지되는 표면을 갖는 기재를 총체적으로 일컫는다. 본 발명에서 부착보드(10)는 앨범의 내지로서 양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자세히 설명하면, 부착보드(10)는 골판지, 하드보드지 등의 종이 재질의 패널로 마련될 수도 있고,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패널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서는 건물의 벽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부착보드(10)의 두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부착보드(10)는 경질의 재질로 하드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연질의 재질로 소프 트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부착보드(10)에 결합되는 대상물(P)은 사진, 문서, 포스터, 상장, 장식지, 게시문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접착층(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보드(10)의 양면에 마련된다. 그러나, 접착층(20)은 부착보드(10)의 일면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접착층(20)은 부착보드(10)의 판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부착보드(10)의 판면에 결합되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접착층(20)은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부착보드(10)의 일 영역에 마련되며, 부착보드(10)의 일 영역에 마련된다.
스트립부(30)는 접착층(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접착층(20)을 세 구역으로 구획하여 커버한다. 스트립부(30)는 제1스트립(31)과, 제2스트립(32) 및 제3스트립(33)을 포함한다. 스트립부(30)가 접착층(20)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접착층(20)과 접촉하는 스트립부(30)의 면에는 광택 처리가 되어 있다. 한편, 스트립부(30)는 접착층(20)을 네 구역 이상으로 구획하여 커버할 수도 있다.
제1스트립(31)은 제2스트립(32) 및 제3스트립(33) 사이에 배치된다. 제1스트립(31)은 제2스트립(32) 및 제3스트립(33)에 비하여 좁은 폭으로 마련되며, 부착보드(10)의 중앙영역에 배치된다. 제1스트립(31)은 부착보드(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길게 마련된다. 이 경우, 제2스트립(32)과 제3스트립(33)은 비슷한 폭을 가지고 제1스트립(31)의 양측에 배치된다. 한편, 제2스트립(32)과 제3스트립(33)이 각각 다른 폭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1스트립(31)이 제2스트립(32) 또는 제3스트립(33) 방향으로 편중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스트립(31)은 대략 0.5인치(Inch)의 폭을 갖도록 마련된다. 제1스트립(31)의 폭을 0.5인치에 비하여 작게 마련할 경우에는 대상물(P)의 정렬시 대상물(P)과의 접촉력이 약하며, 제1스트립(31)의 폭을 0.5인치에 비하여 크게 마련할 경우에는 대상물(P)의 정렬시 대상물(P)과의 접촉면적이 과도하게 커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접착층(20)의 접착 강도에 따라 제1스트립(31)의 폭을 0.5인치에 비하여 작게 형성할 수도 있고, 0.5인치에 비하여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스트립(31)의 길이방향이 부착보드(10)의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스트립(31)의 길이방향이 부착보드(10)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스트립(32) 및 제3스트립(33)은 제1스트립(31)의 상하에 각각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보드 조립체(1)는 각 스트립(31, 32, 33)의 판면 방향을 따라 접착층(20)의 외부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파지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40)는 제1스트립(31), 제2스트립(32) 및 제3스트립(33)의 단부 영역으로부터 판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파지부(41), 제2파지부(42) 및 제3파지부(43)를 포함한다. 각 파지부(41, 42, 43)는 각 스트립(31, 32, 33)의 일단에 마련될 수도 있고, 양단에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파지부(41, 42, 43)는 각 스트립(31, 32, 33)에 하나씩 마련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씩 마련될 수도 있다. 각 파지부(41, 42, 43)는 접착층(20)과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에, 사용자는 파지부(41, 42, 43)를 파지하고 당겨 각 스트립(31, 32, 33)을 부착보드(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보드 조립체(1)는 접착층(20)이 형성된 부착보드(10)에 함몰된 대상물 수용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상물 수용부(60)는 접착층(20)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대응하게 소정 높이로 부착보드(10)로부터 함몰 형성된다. 대상물 수용부(60)는 대상물(P)이 부착보드(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대상물(P)을 수용한다. 이에, 대상물(P)이 부착보드(10)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대상물 수용부(60)는 대상물(P)의 크기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대상물 수용부(60)는 대상물(P) 및 접착층(20)에 대응되는 크기 및 깊이를 가지고 부착보드(10)로부터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대상물 수용부(60)의 함몰 깊이는 대상물(P)과 접착층(20)의 높이의 합과 비슷하거나 더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파지부(40)는 대상물 수용부(6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상물 수용부(60)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대상물 수용부(60)는 하트 형상, 사각형상, 타원형상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보드 조립체(1)의 대상물 수용부(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보드(10)의 판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 부재(60)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매트 부재(60)는 접착층(20)의 외주연을 따라 부착보드(10) 상에 소정 높이로 마련된다. 매트 부재(60)는 부착보드(10)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마련된다. 매트 부재(60)는 부착보드(10)의 가장자리 전체 영역에 걸쳐 마련될 수도 있고, 부착보드(10)의 모서리 영역 등 일부 영역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매트 부재(60)는 대상물(P) 및 접착 층(20)에 대응되는 크기 및 높이를 가진다. 여기서, 매트 부재(60)의 높이는 대상물(P)과 접착층(20)의 높이의 합과 비슷하거나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파지부(40)는 대상물 수용부(6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보드 조립체(1)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각 스트립(31, 32, 33)의 형상 및 배치를 변경한 것이다. 이에,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스트립(31a)은 접착층(20)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스트립(32a)과 제3스트립(33a)은 제1스트립(31a)과 인접하게 상하로 배치된다.
본 설명에서는 부착보드 조립체(1)가 앨범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착보드 조립체(1)는 폼 보드(Foam board) 및 액자 등 다양한 물건에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부착보드 조립체(1)에 대상물(P)을 결합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제1파지부(41)를 잡아 당겨서 제1스트립(31)을 접착층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러면, 제1스트립(31)에 의해 커버되어 있던 접착층(20)의 일부 영역이 노출된다.
다음, 사용자는 대상물(P)을 정렬한다. 여기서, 대상물(P)은 제2스트립(32) 또는 제3스트립(33)을 기준으로 하여 정렬할 수 있다. 그러나, 대상물(P)은 부착보드(10)를 기준으로 정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스트립(32)이 부착보드(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대상물(P)을 정렬하기가 더욱 용이하다.
그리고, 사용자는 대상물(P)을 노출된 접착층(20)에 부착한다. 여기서, 대상물(P)을 부착하고 난 후, 대상물(P)이 정위치로 정렬되지 않은 것을 발견하면, 사용자는 대상물을 접착층(20)으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정렬 후 부착한다.
대상물(P)이 정렬되고 노출된 접착층(20)에 부착되면, 제2파지부(42)를 잡아 당겨 제2스트립(32)을 접착층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러면, 제2스트립(32)에 의해 커버되어 있던 접착층(20)이 더 노출된다.
다음, 사용자는 더 노출된 접착층(20)에 대상물(P)을 가압하여 부착한다. 이러한 부착과정에서 사용자는 대상물(P)과 접착층(20) 사이에 공기층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인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3파지부(43)를 잡아 당겨 제3스트립(33)을 접착층(20)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러면, 제3스트립(33)에 의해 커버되어 있던 접착층(20)이 노출되며 접착층(20)이 완전히 노출된다.
다음, 사용자는 완전히 노출된 접착층(20)에 대상물(P)을 가압하여 부착한다.
한편, 대상물(P)이 정렬되고 노출된 접착층(20)에 부착되면, 제3파지부(43)에 비하여 제2파지부(42)를 먼저 접착층(20)으로부터 분리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제3파지부(43)를 제2파지부(42)에 비하여 먼저 접착층(20)으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 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착보드 조립체(1)는 접착층(20)을 세 구역 이상으로 구획하여 커버하는 스트립부(30)를 마련함으로써, 대상물(P)을 부착보드(10)에 대하여 용이하게 정렬하고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부착보드 조립체가 적용된 앨범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보드 조립체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앨범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보드 조립체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앨범의 부분 절취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보드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부분 절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보드 조립체의 제1실시예에 대상물을 부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보드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보드 조립체의 제2실시예가 적용된 앨범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부착보드 조립체 10 : 부착보드
20 : 접착층 30 : 스트립부
40 : 파지부 50 : 대상물 수용부
60 : 매트 부재

Claims (9)

  1. 부착보드조립체에 있어서,
    부착보드와;
    상기 부착보드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접착층을 상호 구획하여 커버하는 적어도 제1, 제2 및 제3 스트립을 갖는 스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보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립은 상기 제2스트립 및 제3스트립 중 적어도 하나에 비하여 작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보드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립은 상기 제2스트립 및 제3스트립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보드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립은 상기 접착층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스트립의 길이 방향 측변은 상기 제2스트립 및 제3스트립 중 적어도 하나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보드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립은 대략 1/2인치(inch)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보드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스트립 중 적어도 하나의 판면 방향을 따라 상기 접착층의 외부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부착보드 조립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형성된 상기 부착보드의 일영역이 함몰된 대상물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보드 조립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부착보드 상에 소정 높이로 마련되는 매트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보드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착보드 조립체에 대상물을 부착하 는 부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립을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접착층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대상물을 정렬하고, 상기 노출된 접착층에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층이 더 노출되도록 제2스트립 및 제3스트립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고, 상기 더 노출된 접착층에 상기 대상물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층이 완전히 노출되도록 제2스트립 및 제3스트립 중 다른 하나를 제거하고, 상기 완전히 노출된 접착층에 상기 대상물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방법.
KR1020070111747A 2006-11-02 2007-11-02 부착보드 조립체 및 부착방법 KR200800406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158206A 2006-11-02 2006-11-02
US11/591,582 2006-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611A true KR20080040611A (ko) 2008-05-08

Family

ID=39648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747A KR20080040611A (ko) 2006-11-02 2007-11-02 부착보드 조립체 및 부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06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18699A1 (de) 2008-04-30 2009-12-10 Lg Electronics Inc. Heizteil und Maschine zum Behandeln von Textil- und Lederwaren mit dies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18699A1 (de) 2008-04-30 2009-12-10 Lg Electronics Inc. Heizteil und Maschine zum Behandeln von Textil- und Lederwaren mit dies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9823B2 (ja) 風呂蓋
KR20080040611A (ko) 부착보드 조립체 및 부착방법
KR101250080B1 (ko) 액정보호필름 설치기구 및 그 설치방법
EP2034107A2 (en) Floor plank with adhesive portion able to adjust the position
KR200427959Y1 (ko) 파티션의 시트 고정장치
JP3119040U (ja) 隠れ式樹脂マットの構造
JP2008095383A (ja) 養生ボード
JP3977537B2 (ja) 間仕切等におけるパネル構造及びパネルの製造方法
JP3752500B2 (ja) 建築途上又は引越し時における建築構造物の壁面養生パネルの起立保持具
JP3223334U (ja) 箱用シート
JP2003341267A (ja) 磁石付き紙片等の固定具
JP3005548U (ja) 両面テープ
JP3008228U (ja) 室内表装材
JP2553620Y2 (ja) 銅葺屋根の接合構造
JP2507518Y2 (ja) ブックカバ―
JP3073811U (ja) 紙製パネル材
KR200425967Y1 (ko) 양면 접착 테이프
JP2561471Y2 (ja) 置き敷き床材の固定用見切材
JPS6027018Y2 (ja) 紙類のコ−ナ押え具
JPH0217896Y2 (ko)
JP3101308U (ja) 台紙
JP2002106158A (ja) 床仕上材
JP3174894U (ja) 展示用紙製ボードのエッジカバー材および展示用紙製ボード
JP2004324339A (ja) 床仕上げ材及び床仕上げ材の施工方法
JPH10120293A (ja) 両面接着テープにおける保護ライナーの剥離方法および剥離用タブ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