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6135A - 2 층 구조 직물 및 그것을 사용한 내열 방호 의료 - Google Patents

2 층 구조 직물 및 그것을 사용한 내열 방호 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6135A
KR20080036135A KR1020087005503A KR20087005503A KR20080036135A KR 20080036135 A KR20080036135 A KR 20080036135A KR 1020087005503 A KR1020087005503 A KR 1020087005503A KR 20087005503 A KR20087005503 A KR 20087005503A KR 20080036135 A KR20080036135 A KR 20080036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iber
fibers
hea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0782B1 (ko
Inventor
도모히로 오쿠야
히로미 오자키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테크노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테크노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테크노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6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8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 A41D31/085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using layere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73Tensile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6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472Woven fabric including an additional woven fabric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472Woven fabric including an additional woven fabric layer
    • Y10T442/3602Three or more distinct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oven Fabric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원의 2 층 구조 직물은 직물의 표면을 구성하는 기포부와, 그 직물의 이면을 구성하고 그 직물 전체를 보강하는 보강포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들이 일체 구조를 형성하고 있고,
(a) 그 2 층 구조 직물의 기포부는, 한계 산소 지수 (LOI) 가 26 이상이고, 또한 그 인장 강도가 8cN/dtex 이하인 난연 섬유를 30중량% 이상 함유하는 경사 및 위사로 이루어지는 난연 직물이고,
(b) 그 2 층 구조 직물의 보강포부는, 인장 강도가 15cN/dtex 이상인 내열성 고강력 섬유를 주체로 하여 형성된 보강사로 이루어지는 경사 및 위사로 이루어지는 보강 직물이며,
(c) 또한, 상기 기포부의 경사 및/또는 위사에 의해 그 기포부와 상기 보강포부가 연결되어, 양자가 일체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2 층 구조 직물이 겉감층으로서 배치되고, 봉제에 의해 적층 봉착된 내열 방호 의료는, 양호한 표면 외관성을 유지하면서, 차열성·내마모성 등의 여러 성능이 더욱 개량되어 있다.

Description

2 층 구조 직물 및 그것을 사용한 내열 방호 의료 {WOVEN FABRIC OF TWO-LAYER STRUCTURE AND HEAT-RESISTANT PROTECTIVE GARMEN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열 난연성을 갖는 기포(基布)부가 보강포부에 의해 보강된 2 층 구조를 갖고, 내열 방호복의 겉감용 소재로서 바람직한 2 층 구조 직물 및 그것을 이용한 내열 방호 의료(衣料)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소방관 등이 사용하는 내열 방호복, 기계적 또는 화학적으로 위험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방호 작업복, 불꽃이나 전기 아크에 대하여 보호하기 위한 방호 의료 또는 폭발성 환경에서 사용하는 방호 의료 등의 인체 보호용 의료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신규 2 층 구조 직물, 그리고 그 2 층 구조 직물을 이용하여 구성한 내열 방호 의료에 관한 것이다.
인체 보호용 방호 의료 분야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타입의 직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강도, 내열성 등에 관한 요구 특성을 만족시킴으로써 각 의료 착용자에 대한 필요 충분한 보호를 확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소방관이 착용하는 소방복에 사용되는 난연성 직물에서는, 열적 성질 (방사성 및 대류성 열에 대한 내성, 열적 안정성, 난연성 등) 뿐만 아니라, 기계적 특성, 대전 방지 특성, 방수 특성 등도 고려되어야 한다. 또, 열에 노 출되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다른 내화성 직물에 대하여 요구되는 성능은, 주로 연소 전파 제한에 관련된 내성이며, 또, 대류성 및 방사성 열에 대한 내성이다. 마찬가지로, 용접 작업에서 사용되는 보호 의료에서는, 불연성과, 인열(引裂) 전파에 대한 내성과, 용융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작은 액이 튀는 것에 대한 내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상기 서술한 예는, 내열 방호 의료의 소재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안전과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열 방호 의료용 직물이 복수의 특성을 겸비할 필요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방호 의료용 직물에 요구되는 특성의 조합은 기계적 성능 (인장 강도 및 인열 강도), 내열 성능, 난연 성능, 화학적 안정 성능, 대전 방지 성능 등이다.
직물의 인열 전파를 개량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립스탑(ripstop)이라는 짜임법을 채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립스탑 직물에서는, 경사와 위사를 격자 형상으로 2 개씩 가지런히 하여 인열의 전파를 저지하고 있다. 이 짜임법으로, 인열 전파 내성을 약 30%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짜임법에서는, 표면측에 격자 형상의 모양 및 요철이 발생한다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는 직물의 마모를 앞당겨 버리기 때문에, 평직이나 능직과 같은 평활한 직물과 비교하여, 마모 내성이 작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립스탑 직물은, 예를 들어 능직과 같은 보다 평활한 짜임법과 비교하여, 항상 표면이 울퉁불퉁해져 있어 표면 외관이 불량하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직물의 기계적 특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른 수단은, 코어 얀 타입의 복합 방적사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그 방적사의 중심부 (심부) 에 고강력 섬유가 배치되고, 그 외주가, 기계적 특성은 낮지만 선명 착색성 및 대전 방지 특성의 향상을 초래하는 1 종 또는 복수의 섬유에 의해 피복되는 구조가 된다. 또, 자외선 및 마모에 대하여 약한 섬유를 그 방적사의 중심부에 배치시킴으로써, 물성의 열화·피브릴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코어 얀 타입의 방적사는 대부분의 경우, 실의 굵기가 제한됨과 함께, 실을 제조할 때 복잡한 기술을 필요로 한다는 결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방향족계 폴리이미드아미드 섬유 「KERMEL」 (등록 상표) 을 초(sheath)부로 하는 방적사의 경우, 기계적 성능이 우수한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 「테크노라」 (등록 상표) 를 심(core)부에 배치시킴으로써, 충분한 실 강도를 가져온다. 그리고, 「KERMEL」 (등록 상표) 을 초부에 배치시킴으로써, 제품의 선명 착색성과 심부 섬유의 보호를 양립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타입의 방적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수한 방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가는 번수의 코어 얀을 제조하는 것이 곤란하고, 제조 비용도 높아진다. 또, 심부의 섬유를 초부의 섬유로 완전히 피복시키기 위해서는, 심 비율을 35% 이상으로 하는 것은 곤란하고, 그 때문에 실의 강력도 그만큼 높일 수 없다. 이 때문에, 코어 얀 타입의 방적사는 외관, 물성, 경량화, 비용의 각 요소를 균형있게 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직물의 기계적 특성을 개량하기 위한 다른 수단은, 직물의 기본 구성을 변경 하지 않고, 내열성 고강력 섬유로 구성되는 실을 그 직물에 규칙적으로 삽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보다 큰 기계적 특성을 갖는 직물이 얻어지는 것으로 기대된다. 그 때, 새롭게 삽입되는 실로서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삽입사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 실은 사용시에 내광열화를 일으키고, 또 세탁을 반복함에 따라 백화된다는 결점을 피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직물 전체가 백색을 띠는 표면 외관인 것으로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4-530800호에는, 이중 구조의 직물로서, 기포의 이면에, 그 기포를 형성하고 있는 재료보다 기계적 특성이 큰, 기포 구성 섬유와는 상이한 성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사와 위사로 구성된 2㎜ 간격의 보강 그리드를 배치시키고, 이 보강 그리드가, 그 보강 그리드의 경사 및 위사에 의해, 상기 기포에 연결되어 일체 구조로 된 소방복용 직물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것은, 기포와 보강 그리드를 연결하고 있는 실이 보강사이고, 보강사에 이용되는 고강력 섬유는 마찰이나 세탁 등에 의해 피브릴화되기 쉬운 섬유이다. 또, 기포와 보강 그리드를 연결하고 있는 보강사는, 기포 표면에 도트 형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사용시에 내광열화를 일으키고, 또, 세탁을 반복함에 따라, 피브릴화에 의한 백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그 이중 구조 직물을 보강하고 있는 직물은, 보강사가 2㎜ 의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보강 효과가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종래품의 결점을 해소하여, 양호한 표면 외관을 유지하면서, 방호 의료용 직물로서의 특성을 충분히 발휘하고, 차열성·내마모성 등의 여러 성능이 더욱 개량된 2 층 구조 직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의 표면을 구성하는 기포부와, 그 직물의 이면을 구성하고 그 직물 전체를 보강하는 보강포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들이 일체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2 층 구조 직물로서,
(a) 그 2 층 구조 직물의 기포부는, 한계 산소 지수 (LOI) 가 26 이상이고, 또한 그 인장 강도가 8cN/dtex 이하인 난연 섬유를 30중량% 이상 함유하는 경사 및 위사로 이루어지는 난연 직물이고,
(b) 그 2 층 구조 직물의 보강포부는, 인장 강도가 15cN/dtex 이상인 내열성 고강력 섬유를 주체로 하여 형성된 보강사로 이루어지는 경사 및 위사로 이루어지는 보강 직물이며,
(c) 또한, 상기 기포부의 경사 및/또는 위사에 의해 그 기포부와 상기 보강포부가 연결되어, 양자가 일체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층 구조 직물, 및 상기 기재된 2 층 구조 직물이 겉감층으로서 배치되고, 봉제에 의해 적층 봉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방호 의료에 의해 달성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2 층 구조 직물에 대하여)
본 발명의 2 층 구조 직물은, 기본적으로 난연 섬유로 구성된 표면의 기포부와 내열성 고강력 섬유를 주체로 하는 보강사로 구성된 이면의 보강포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난연 섬유로 구성된 기포부의 경사 및 위사에 의해 보강포부가 기포부에 연결되어 일체 구조로 되어 있는 직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직물을 2 층 구조화함으로써 기포부와 보강부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이 공기층이 그 직물에 대하여 양호한 차열성을 부여한다. 이것은, 차열성이 요구되는 소방관용 방호 의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직물로서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2 층 구조 직물의 표면을 형성하는 기포부는, 한계 산소 지수 (LOI) 가 26 이상이며, 또한 섬유 강도가 8cN/dtex 이하인 난연 섬유 단독, 또는, 그 난연 섬유와 내열성 고강력 섬유의 혼합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용하는 한계 산소 지수 (LOI) 가 26 이상이며, 섬유 강도가 8cN/dtex 이하인 난연 섬유로는, 예를 들어,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 폴리아미드이미드 섬유, 폴리에테르이미드 섬유, 폴리벤조이미다졸 섬유, 노볼로이드 섬유, 폴리크랄 섬유, 난연 아크릴 섬유, 난연 레이온 섬유,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난연 면 섬유, 난연 울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난연 섬유 중에서도, 우수한 LOI 값을 갖는,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인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또는 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단위를 90 몰% 이상 함유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난연 섬유에 대하여 내열성 고강력 섬유가 혼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내열성 고강력 섬유로는, 예를 들어, 파라계 아라미드 (공중합체도 포함한다) 섬유,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폴리파라페닐렌벤조비스옥사졸 섬유, 탄소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직물 강도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내열성 고강력 섬유인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 즉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또는 이것에 제 3 성분을 공중합한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를 상기 난연 섬유에 혼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후자인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공중합체의 일례로는, 예를 들어 「테크노라」 (등록 상표) 라는 상품명으로 알려진 코폴리파라페닐렌-3,4'-옥시디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난연 섬유와 내열성 고강력 섬유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양자의 혼합 비율은, 난연 섬유를 최저 30중량% 이상 함유할 필요가 있고, 50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열성 고강력 섬유를 혼합하는 경우, 그 비율은 5중량% 이상 70중량% 미만이 적당하다. 내열성 고강력 섬유의 혼합 비율이 5중량% 미만이면, 불이 붙었을 때에 포백(布帛)이 수축될 우려가 있다. 또,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섬유는 피브릴화되기 쉽고, 내광성도 좋지 않기 때문에, 그 섬유가 70중량% 를 초과하면, 피브릴화 및 내광열화를 일으키기 쉬워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다.
난연 섬유 및 내열성 고강력 섬유는, 장섬유로 사용해도 되고 단섬유를 방적하여 사용해도 된다. 양자를 혼합하는 경우, 장섬유끼리를 혼섬 또는 교연해도 상관없는데, 질감, 혼합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단섬유로 이루어지는 방적사 (혼방사)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적사의 경우에는, 섬유의 종류, 섬도, 섬유 길이 등이 상이한 섬유끼리를 혼합하여 방적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이 기포부를 구성하는 직물은, 경사, 위사에 난연 섬유를 30중량% 이상 함유하는 실을 이용하여, 평직, 능직 또는 주자직으로 제직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2 층 구조 직물의 이면을 형성하는 보강포부는, 섬유 강도가 15cN/dtex 이상인 내열성 고강력 섬유를 주체로 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말하는 「내열성」이란, 통상적으로 330℃ 이상의 열분해 온도를 갖는 것을 말한다.
내열성 고강력 섬유 중에서도, 특히 보강 효과가 높은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 즉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또는, 이것에 제 3 성분을 공중합한 파라계 아라미드의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자인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의 일례로는, 「트와론」 (등록 상표) 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후자인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공중합체의 일례로는, 코폴리파라페닐렌-3,4'-옥시디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를 들 수 있고, 이러한 바람직한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는, 「테크노라」 (등록 상표) 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또한, 이들 내열성 고강력 섬유에 대하여 상기 난연 섬유를 소량, 즉 30중량% 미만과 같은 낮은 혼합 비율로 혼합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보강포부의 경사 및 위사의 적어도 일방이, 내열성 고강력 섬유와 난연 섬유로 이루어지는 전자의 비율이 70중량% 를 초과하는 혼방사이어도 된다.
보강포부를 구성하는 내열성 고강력 섬유는 사용 목적에 따라, 장섬유, 단섬유의 어느 하나를 선택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보다 높은 보강 효과를 얻는 목적인 경우에는, 장섬유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강 효과와 함께 다른 부가적인 효과 (예를 들어, 보다 높은 난연성을 부여하는 것) 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여러가지 타섬유와의 혼합 (혼방) 이 용이한 단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내열성 고강력 섬유와 다른 섬유와 혼합하는 경우라도, 내열성 고강력 섬유를 주체로 해야 하고, 내열성 고강력 섬유의 비율을 전체의 70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 보강포부를 구성하는 경위의 실 (본 발명에서는 「보강사」라고 생략하여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은, 기포부의 실을 구성하는 난연 섬유의 기계적 특성보다 큰 기계적 특성을 갖는 섬유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인열 강도 및 인열 전파라는 점에서, 또 직물의 치수 안정성이라는 점에서, 대폭적인 개량이 초래됨과 함께 파괴 개방 내성 (화염에 대한 장시간의 노출 결과, 직물이 파괴되어 구멍이 나는 것에 대한 내성) 을 증대시키고, 또한, 전기 아크에 의한 플래시에 대한 내성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이 타입의 구성인 2 층 구조 직물로 함으로써, 동일한 중량이어도 종래품에 비해 훨씬 큰 내성을 갖는 직물로 할 수 있다.
보강사의 굵기는 400dtex 이하, 특히 50 ∼ 330dtex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사가 400dtex 보다 굵어지면 2 층 구조 직물 전체의 중량이 무거워져, 경량으로 차열성이 양호한 방호 의료를 제조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 보강포부를 구성하는 직물은 평직, 능직 또는 주자직 타입의 어느 조직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2 층 구조 직물에 있어서, 보강포부를 구성하는 직물은 그 직물 제조시에 기포부에 대하여 연결되는데, 양쪽 부분은 기포를 구성하고 있는 경사 및/또는 위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의한 2 층 구조 직물에 있어서, 상기 보강포부는 경위로 배치된 보강사로 이루어지는 직물에 의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평직, 능직 또는 주자직을 형성하도록 조합된다. 또, 기포부와 보강포부를 연결시키는 실을 기포부를 구성하는 실로 함으로써, 기포부 전체가 모두 동일 소재로 구성된다. 이로써, 그 2 층 구조 직물의 표면, 즉 외면은 모두 동일 소재로 형성되고, 또한, 그 직물 이면의 보강포부는 보강사로 이루어지는 강인한 직물로 형성되고, 그 보강포부는 완전히 외면으로부터 보이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2 층 구조 직물은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종래의 립스탑 직물과 비교하여, 외면에 대하여 큰 마모 내성이 부여됨과 함께, 평활성 및 마찰 내성이 우수하고, 외관도 양호해진다. 또, 직물 표면이 평활하기 때문에, 프린트 등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한 2 층 구조 직물에 있어서의 기포부를 구성하는 실 (기포사) 과 보강사의 개수 비율은, 보강 효과와 은폐성을 여러모로 생각해 보면, 기포사 : 보강사 = 4 : 1 ∼ 1 : 1 로 해야 한다. 보강사의 비율이 지나치게 낮아지면 보강 효과가 낮아지고, 또 기포사보다 보강사의 비율이 높아지면 보강 효과는 크지만, 기포사가 보강포부를 완전히 덮어 가릴 수 없고, 이에 의해 보강사가 마모에 의한 피브릴화나, 자외선에 의한 강도 열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문제가 많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직물을 2 층 구조화함으로써, 기포부와 보강포부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또한 부가적인 두께를 가져오기 때문에, 직물의 차열성이 향상된다. 기포부와 보강포부의 수축차가 큰 경우에는, 화염에 노출되었을 때에, 직물 뒷측에 요철 구조를 형성한다. 이 요철 구조의 발현에 의해 차열성은 더욱 향상된다. 또, 이 2 층 구조에 의해, 자외선 조사, 마찰 등에 대하여 약한 소재라도, 보강사로서 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직물 강력과 우수한 외관을 겸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포부 및/또는 보강포부에, 예를 들어 도전성 실을 배치시킴으로써, 대전 방지 특성이나 도전성과 같은 부가적인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파라계 아라미드에 도전성 카본을 혼련시킨 도전성 필라멘트를 기포사 또는 보강사와 교연하여, 그 교연사를 적당한 간격으로 직경 방향으로 짜넣는, 도전성 섬유를 1 ∼ 3% 정도 혼방한 기포사 또는 보강사를 제조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통상과 같이 제직하는 등의 수단으로 대전 방지 특성이나 도전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면의 보강포부에 도전성 실을 배치시킴으로써, 표면의 양호한 외관을 유지시키면서, 그것과 함께, 필요한 전기적 특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보강포부 중에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탄소 섬유 필라멘트 등을 교연한 실을 배치시켜, 마찰에 대한 큰 내성을 갖도록 해도 되고, 또, 마이크로캡슐화된 제품이나 형상 변화 재료나 그래프트된 실과 같은 기타 재료를 삽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내열성 방호 의료에 대하여)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2 층 구조 직물을 이용하여, 내열성, 경량성, 차열성의 성능을 겸비한 내열성 방호 의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내열성 방호 의료는, 본 발명의 2 층 구조 직물을 겉감층으로 하는데, 이것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적층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다층 구조로는, 예를 들어 (a) 본 발명의 2 층 구조 직물로 이루어지는 겉감층, (b) 투습 방수성을 갖는 중간층, (c) 안감층으로서의 차열층을 이 순서로 중첩시킨 다층 구조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층 구조로 하는 경우, 상기 중간층으로는, 투습 방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타계 또는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포백에 투습 방수성 박막 필름을 적층시킨 것이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최적인 중간층으로서, 난연성 소재인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등의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포를 이용하여, 그 직포에 투습 방수성이 있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박막 필름을 라미네이트 가공한 것이 예시된다. 이와 같은 중간층의 삽입에 의해, 투습 방수성이나 내약품성이 향상되어, 착용자의 땀의 증산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착용자의 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안감의 차열층으로는, 공기량을 많이 함유하는 직편물을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고, 이와 같은 차열층을 배치시킴으로써 열전도성이 낮은 공기를 많이 함유한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차열층은 단층이어도 되고 2 ∼ 4 층과 같은 다층이어도 된다. 이 차열층은 예를 들어, 메타계 아라미드와 같은 난연성 섬유의 직물 또는 펠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내열 방호 의료용 포백은, 이와 같은 겉감층, 중간층, 차열층으로 구성되는 다층 구조를 갖는데, 각 층은 반드시 미리 적층체로서 서로 접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봉제 단계에서 중첩시켜 봉합한 것이면 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서의 각 물성은 다음의 방법으로 구하였다.
(1) 한계 산소 지수 (LOI)
JIS K 7201 에 준거한 방법에 따른다.
(2) 섬유 강도
JIS L 1013 에 준거한 방법에 따른다.
(3) 직물 단위 면적당 중량
JIS L 1096 에 준거한 방법에 따른다.
(4) 직물 두께
JIS L 1096 에 준거한 방법에 따른다.
(5) 인장 강도
JIS L 1096 A 법 (래블 스트립법) 에 준거한 방법에 따른다.
(6) 인열 강도
JIS L 1096 A-1 법 (싱글텅법) 에 준거한 방법에 따른다.
(7) 내광 견뢰도
JIS L 0842 제 3 노광법 (내광성 시험) 에 준거한 방법에 따른다.
(8) 마모 강도
JIS L 1096 A-1법 (유니버셜법) 에 준거한 방법에 따른다.
(9) 표면 외관
겉감층의 표면 외관을 육안으로 판정 (요철, 불균일이 있는 경우, 평가는 나 빠진다) 하여, 우수, 양호, 약간 불량, 불량의 4 랭크로 평가한다.
(10) 내세탁성
JIS L 0217 103 법에 준거한 방법으로, 세탁을 10 회 실시한 후의 직물 표면의 외관을 육안으로 판정하여, 우수, 양호, 약간 불량, 불량의 4 랭크로 평가한다.
(11) 차열성
ISO 9151 : 1995 (대류열), ISO 6942 : 1993 (복사열), ISO 17492 : 2003 (대류열과 복사열의 조합) 에 준거한 방법에 따른다.
차열성은 하기 측정값을 이용하였다.
·ISO 9151 : 1995
HTI24 : Heat Transfer Index
·ISO 6942 : 1993
t2 : time to level 2
·ISO 17492 : 2003
TPP Time : Heat-transfer burn time
차열성의 종합 판정은, 상기 측정 결과의 합계에 따라, 우수, 양호, 약간 불량, 불량의 4 랭크로 평가한다.
(12) ISO 9151 측정 후의 직물 이면 상태
ISO 9151 에 의한 화염 노출의 직물 이면 상태를 육안으로 판정 (요철 있음, 요철 없음) 한다.
실시예 1
(2 층 구조 직물의 제조)
2 층 구조 직물의 표면을 이루는 직물 (기포부) 은, 경사 및 위사로서,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섬유 (테이진 테크노 프로덕츠 주식회사 제조, 등록 상표 「코넥스」 : LOI = 32, 섬유 강도 = 4.0cN/dtex) 와, 코파라페닐렌-3,4'-옥시디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 (테이진 테크노 프로덕츠 주식회사 제조, 등록 상표 「테크노라」 : LOI = 25, 섬유 강도 = 22.0cN/dtex) 를 혼합 비율 (중량비) 95 : 5 의 비율로 혼방한 방적사 (번수 : 40 / 2 = 292dtex) 를 이용하여 2 / 1 의 능직으로 제직하였다.
이면을 이루는 보강 직물 (보강포부) 은, 코파라페닐렌-3,4'-옥시디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 (테이진 테크노 프로덕츠 주식회사 제조, 등록 상표 「테크노라」 : LOI = 25, 섬유 강도 = 22.0cN/dtex) 100% 로 이루어지는 방적사에서, 번수 : 40 / 2 (= 292dtex) 의 실을 경사로, 동일하게 번수 : 40 / 1 (= 146dtex) 의 실을 위사로 이용하여, 상기 표면의 직물 (기포부) 이면에 평직으로 제직하였다.
이 때, 상기 기포부를 구성하는 기포사 및 보강포부를 구성하는 보강사의 개수 비율은, 경사에서는 기포사 : 보강사 = 3 : 2 로 하고, 위사에서는 기포사 : 보강사 = 1 : 1 로 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직시에 2 층 구조를 형성하고, 기포사에 의해 상기 보강포부가 기포부에 연결되어 2 층 구조를 갖는 2 층 구조 직물 (단위 면적당 중량 : 265g/㎡) 을 얻었다.
(방호복용 포백의 제조 및 평가)
얻어진 2 층 구조 직물 (내열성 포백) 을 겉감층으로서 사용하고, 그 아래 (상기 보강포부의 아래) 에 중간층으로서,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섬유 (등록 상표 「코넥스」) 로 이루어지는 방적사 (번수 : 40 / 1 = 146dtex) 를 이용한 직포에 투습 방수성을 갖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제 투습 방수성 필름 (닛폰 고어텍스 제조) 을 라미네이트한 것 (단위 면적당 중량 : 105g/㎡) 을 배치시키고, 추가로 그 아래에 차열층 (안감) 으로서,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방적사 (번수 : 40 / 1 = 146dtex) 를 이용하여 허니콤 조직으로 제직한 직물 (직물 단위 면적당 중량 : 150g/㎡) 을 배치시켰다.
상기 겉감층, 중간층 및 차열층을 중첩시켜 봉제하여, 내열 방호복용 포백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내열 방호복용 포백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겉감층에는 기포사로서, 실시예 1 과 동일한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섬유 (등록 상표 「코넥스」) 와 코파라페닐렌-3,4'-옥시디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 (등록 상표 「테크노라」) 를 혼합 비율 (중량비) 이 60 : 40 이 되는 비율로 혼합한 내열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방적사 (번수 : 40 / 2 = 292dtex) 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것을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제직하였다.
얻어진 2 층 구조 직물 (내열성 포백) 을 겉감층으로 하여, 중간층 및 안감에는 각각 실시예 1 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중첩시켜 봉제하여, 내열성 방호복용 포백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내열 방호복용 포백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함께 나타낸다.
실시예 3
겉감층에는, 기포사로서, 실시예 1 과 동일한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섬유 (등록 상표 「코넥스」) 와 실시예 1 과 동일한 코파라페닐렌-3,4'-옥시디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 (등록 상표 「테크노라」) 를 혼합 비율 (중량비) 이 40 : 60 이 되는 비율로 혼방한 방적사 (번수 : 40 / 2 = 292dtex)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것을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제직하였다.
얻어진 2 층 구조 직물 (내열성 포백) 을 겉감층으로서 이용하고, 중간층 및 차열층 (안감) 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내열성 방호복용 포백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내열 방호복용 포백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함께 나타낸다.
비교예 1
기포사로서,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섬유 (LOI = 32, 섬유 강도 = 4.0cN/dtex) 와, 코파라페닐렌-3,4'-옥시디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 (LOI = 25, 섬유 강도 = 22.0cN/dtex) 를 혼합 비율 (중량비) 이 10 : 90 이 되는 비율로 혼방한 방적사 (번수 : 40 / 2 = 292dtex)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2 층 구조 직물을 제직하였다.
얻어진 2 층 구조 직물을 겉감층으로 하고, 중간층 및 안감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내열성 방호복용 포백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내열 방호복용 포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내열성 방호복의 겉감층으로서, 이하와 같은 2 층 구조 직물을 제조하였다. 즉, 그 2 층 구조 직물의 표면을 이루는 직물은,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섬유 (LOI = 32, 섬유 강도 = 4.0cN/dtex) 와 코파라페닐렌-3,4'-옥시디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 (LOI = 25, 섬유 강도 = 22.0cN/dtex) 를 혼합 비율 (중량비) 90 : 10 이 되는 중량비로 혼합한 방적사 (번수 : 40 / 2 = 292dtex) 를 이용하여 2 / 1 의 능직으로 제직하고, 이면을 이루는 보강 직물은 코파라페닐렌-3,4'-옥시디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 100% 방적사 (번수 : 40 / 2 = 292dtex) 를 이용하여, 상기 기포부 직물의 이면에 격자 형상으로 제직하고, 이 격자 형상의 보강 직물은 보강사에 의해 상기 표면 직물에 연결된 것으로 하였다.
표면을 이루는 직물의 실 (기포사) 과 보강사의 비율은, 경사에서는 기포사 : 보강사 = 6 : 1 로 하고, 위사에서는 기포사 : 보강사 = 5 : 1 로 하여, 2㎜ 그리드의 격자 형상 보강 직물로 하였다. 이와 같이 제직하여 이중 구조 직물 (단위 면적당 중량 : 230g/㎡) 을 얻었다.
얻어진 이중 구조 직물을 겉감층으로 하고, 중간층 및 안감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내열성 방호복용 포백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내열 방호복용 포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함께 나타낸다.
비교예 3
겉감층에는,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섬유 (LOI = 32, 섬유 강도 = 4.0cN/dtex) 와 코파라페닐렌-3,4'-옥시디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 (LOI = 25, 섬유 강도 = 22.0cN/dtex) 를 혼합 비율 (중량비) 이 90 : 10 이 되는 비율로 혼합 한 내열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방적사 (번수 : 20 / 2 = 584tex) 를 이용하여, 2 / 1 의 능직으로 제직한 직물 (직물 단위 면적당 중량 : 280g/㎡) 를 이용하였다.
얻어진 직물을 겉감층으로 하고, 중간층과 안감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내열성 방호복용 포백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내열 방호복용 포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함께 나타낸다.
비교예 4
겉감층에는,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섬유 (LOI = 32, 섬유 강도 = 4.0cN/dtex) 와 코파라페닐렌-3,4'-옥시디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 (LOI = 25, 섬유 강도 = 22.0cN/dtex) 를 혼합 비율 (중량비) 이 90 : 10 이 되는 비율로 혼합한 내열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방적사 (번수 : 20 / 2) 를 이용하여 평직 조직으로 짜넣어 경사·위사 모두 6㎜ 간격으로 상기 20 / 2 = 584tex 의 방적사를 2 개씩 가지런히 하여, 평직 조직의 립 구조 직물 (직물 단위 면적당 중량 : 245g/㎡) 를 이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내열성 포백을 겉감층으로 하고, 중간층과 안감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내열성 방호복용 포백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내열 방호복용 포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함께 나타낸다.
Figure 112008016405109-PCT00001
Figure 112008016405109-PCT00002
본 발명에 의하면, 양호한 표면 외관을 유지하면서, 방호 의료용 직물로서의 특성을 충분히 발휘하여, 차열성·내마모성 등의 여러 성능이 더욱 개량된 2 층 구조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그 2 층 구조 직물을 겉감층으로서 배치시키고, 봉제에 의해 적층 봉착한 내열 방호 의료는, 양호한 표면 외관성을 유지하면서, 차열성·내마모성 등의 여러 성능이 더욱 개량되어 있기 때문에, 소방관 등이 사용하는 내열 방호복, 기계적 또는 화학적으로 위험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방호 작업복, 불꽃이나 전기 아크에 대하여 보호하기 위한 방호 의료 또는 폭발성 환경에서 사용하는 방호 의료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직물의 표면을 구성하는 기포(基布)부와, 그 직물의 이면을 구성하고 그 직물 전체를 보강하는 보강포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들이 일체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2 층 구조 직물로서,
    (a) 그 2 층 구조 직물의 기포부는, 한계 산소 지수 (LOI) 가 26 이상이고, 또한 그 인장 강도가 8cN/dtex 이하인 난연 섬유를 30중량% 이상 함유하는 경사 및 위사로 이루어지는 난연 직물이고,
    (b) 그 2 층 구조 직물의 보강포부는, 인장 강도가 15cN/dtex 이상인 내열성 고강력 섬유를 주체로 하여 형성된 보강사로 이루어지는 경사 및 위사로 이루어지는 보강 직물이며,
    (c) 또한, 상기 기포부의 경사 및/또는 위사에 의해 그 기포부와 상기 보강포부가 연결되어, 양자가 일체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층 구조 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포부를 구성하는 경사와 위사의 굵기가 각각 400dtex 이하이며, 기포부와 보강포부에서의 구성사의 개수 비율이, 경사, 위사 모두 기포부 : 보강포부 = 4 : 1 ∼ 1 : 1 의 범위 내에 있는 2 층 구조 직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포부를 구성하는 난연 섬유가,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 폴리아미드이미드 섬유, 폴리에테르이미드 섬유, 폴리벤조이미다졸 섬유, 노볼로이드 섬유, 폴리크랄 섬유, 난연 아크릴 섬유, 난연 레이온 섬유,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난연 면 섬유, 난연 울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섬유인 2 층 구조 직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포부를 구성하는 경사 및/또는 위사가, 난연 섬유에 추가로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폴리파라페닐렌벤조옥사졸 섬유,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섬유를 포함하는 2 층 구조 직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포부를 구성하는 내열성 고강력 섬유가,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폴리파라페닐렌벤조옥사졸 섬유,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섬유인 2 층 구조 직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포부의 난연 직물이 평직, 능직 또는 주자직으로 제직되어 있는 2 층 구조 직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포부가 평직, 능직 또는 주자직으로 제직된 보강 직물인 2 층 구조 직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2 층 구조 직물이 겉감층으로서 배치되고, 봉제에 의해 적층 봉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방호 의료(衣料).
  9. 제 8 항에 있어서,
    2 층 구조 직물로 이루어지는 겉감층에, 추가로 투습 방수성 필름과, 난연 섬유를 포함하는 중간층과, 적어도 1 층의 차열층이 봉제에 의해 적층 봉합되어 있는 내열 방호 의료.
  10. 제 9 항에 있어서,
    차열층이 난연 섬유의 직물 또는 펠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내열 방호 의료.
KR1020087005503A 2005-08-09 2006-07-26 2 층 구조 직물 및 그것을 사용한 내열 방호 의료 KR1012707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30667 2005-08-09
JPJP-P-2005-00230667 2005-08-09
PCT/JP2006/315247 WO2007018082A1 (ja) 2005-08-09 2006-07-26 二層構造織物及びそれを用いた耐熱防護衣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135A true KR20080036135A (ko) 2008-04-24
KR101270782B1 KR101270782B1 (ko) 2013-06-04

Family

ID=37727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503A KR101270782B1 (ko) 2005-08-09 2006-07-26 2 층 구조 직물 및 그것을 사용한 내열 방호 의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90137176A1 (ko)
EP (1) EP1939339B1 (ko)
JP (1) JP4567738B2 (ko)
KR (1) KR101270782B1 (ko)
CN (1) CN101243220B (ko)
CA (1) CA2618266C (ko)
ES (1) ES2603840T3 (ko)
PT (1) PT1939339T (ko)
TW (1) TWI381075B (ko)
WO (1) WO200701808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553B1 (ko) * 2012-01-03 2013-07-01 남택욱 레이온 단섬유와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준 불연 방적사 및 이를 사용한 원단
KR101442720B1 (ko) * 2013-03-22 2014-09-19 한국니트산업연구원 방염성 원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460939B1 (ko) * 2014-03-04 2014-11-13 티씨케이텍스타일 주식회사 면/폴리에스테르 혼방사를 포함하는 방염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6581A (ko) * 2016-04-06 2018-11-27 내셔널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미시스” 내열성 고분자 섬유 직물 및 제품
KR102128105B1 (ko) * 2019-05-29 2020-06-29 삼성교역(주) 다양한 색상과 우수한 강도를 가지는 이중직 구조의 방호원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9487B1 (en) * 2007-05-24 2010-08-24 Robert Bitzer Glove with soft feel and high wear resistance
CN101766933A (zh) * 2009-01-06 2010-07-07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过滤材料及用途
JP5336243B2 (ja) * 2009-04-02 2013-11-06 帝人株式会社 耐熱性布帛および耐熱性防護服
JP2010255124A (ja) * 2009-04-21 2010-11-11 Teijin Techno Products Ltd 耐熱性防護服
CN102378835B (zh) * 2009-04-24 2013-12-18 日本毛织株式会社 防火性布料及使用了该布料的防火服
WO2011010483A1 (ja) * 2009-07-21 2011-01-27 日本毛織株式会社 防火性防水透湿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防火服
GB2472069A (en) * 2009-07-23 2011-01-26 Dyson Technology Ltd A flexible hose made of rip-stop fabric
GB2472070A (en) * 2009-07-23 2011-01-26 Dyson Technology Ltd A flexible hose
ES2370721B1 (es) * 2009-07-27 2012-09-10 Comersan S.A. Absorbente acústico.
JP5400530B2 (ja) * 2009-08-17 2014-01-29 帝人株式会社 耐熱性防護服
JP5390347B2 (ja) * 2009-11-19 2014-01-15 帝人株式会社 軽量耐熱防護服
JP5536423B2 (ja) * 2009-11-19 2014-07-02 帝人株式会社 耐熱性防護服
US20110138523A1 (en) * 2009-12-14 2011-06-16 Layson Jr Hoyt M Flame, Heat and Electric Arc Protective Yarn and Fabric
US20130118635A1 (en) * 2009-12-14 2013-05-16 International Global Trading Usa, Inc. Flame, Heat and Electric Arc Protective Yarn and Fabric
WO2011087125A1 (ja) * 2010-01-18 2011-07-21 帝人テクノプロダクツ株式会社 防護服用積層布帛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護服
GB201004692D0 (en) * 2010-03-19 2010-05-05 Toray Textiles Europ Ltd Fabric for personal protection garments
KR101009942B1 (ko) 2010-07-27 2011-01-20 이영우 방염복용 직물지
US9034777B2 (en) 2010-07-29 2015-05-19 Drifire, Llc Fire resistant woven fabrics and garments
JP2012036511A (ja) * 2010-08-04 2012-02-23 Kuraray Co Ltd 難燃性布帛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防護衣
DE202010011193U1 (de) * 2010-08-09 2010-11-04 Ibena Textilwerke Gmbh Gewebe für eine Schutzbekleidung und Schutzbekleidung
CN102963078A (zh) * 2010-09-03 2013-03-13 刘利钊 一种由多纤维层按规则排布复合的多功能面料及制造方法
IN2013DN02544A (ko) * 2010-10-20 2015-08-07 Teijin Ltd
US20120235433A1 (en) * 2011-03-18 2012-09-20 Southern Weaving Company Meta-, para-aramid fiber industrial webbing and slings
WO2012126102A1 (en) 2011-03-22 2012-09-27 Barrday Inc. Multilayer fabric platform designed for flame and thermal protection
DE102011090173B3 (de) * 2011-12-30 2013-05-08 Ibena Textilwerke Gmbh Gewebekombination
CN103255530A (zh) * 2012-02-16 2013-08-21 浙江七星纺织有限公司 复合弹力长丝休闲棉织物面料
DE102012101708A1 (de) 2012-03-01 2013-09-05 Rofa Bekleidungswerk GmbH & Co. KG Mehrfachgewebe für Schutzkleidung bei Arbeiten unter Spannung mit thermischen Gefahren durch Lichtbogen
CN103388223B (zh) * 2012-05-07 2016-01-20 上海市纺织科学研究院 一种高强芳纶1414长丝/阻燃棉纤维混纺面料及其制备方法
ITFI20120261A1 (it) * 2012-11-28 2014-05-29 Manifattura Pri Ma Tex S R L Tessuto per abbigliamento protettivo.
ITFI20120287A1 (it) * 2012-12-20 2014-06-21 Manifattura Pri Ma Tex S R L Articolo tessile tristrato a perforazione zero ad alta traspirabilita'.
JP6158602B2 (ja) * 2013-06-11 2017-07-05 帝人株式会社 伸縮性難燃布帛および繊維製品
CN103397535A (zh) * 2013-08-13 2013-11-20 苏州鑫汉纺纺织有限公司 一种新型耐高温面料
CN103526390A (zh) * 2013-09-27 2014-01-22 昆山培新服装有限公司 低通气性织物
CN103696075A (zh) * 2013-12-19 2014-04-02 吴江明敏制衣有限公司松陵分公司 一种排汗导湿的双层织物
CN103978743B (zh) * 2014-05-28 2017-01-04 浙江辰鸿纺织品科技有限公司 环保型阻燃窗帘
JP6388659B2 (ja) * 2014-09-03 2018-09-12 帝人株式会社 布帛および繊維製品
FR3030583B1 (fr) * 2014-12-23 2017-06-16 Europrotect France Sa Textile pour la fabrication de vetements de protection contre le feu
CN104544661B (zh) * 2015-01-29 2017-02-22 中国航天员科研训练中心 一种激光防护面料的制作方法
US10544527B2 (en) * 2015-03-24 2020-01-28 Toray Industries, Inc. Fabric and clothing having flame retardancy and high visibility
CN104878506B (zh) * 2015-05-29 2016-08-31 句容市申兔工艺针织厂 一种抗菌面料及其制备方法
JP2019508598A (ja) * 2016-01-14 2019-03-28 サザンミ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Southern Mills,Inc. 改善された難燃性熱ライナーおよびそれを用いて作製された衣類
JP6714074B2 (ja) * 2016-04-05 2020-06-24 帝人株式会社 布帛および多層構造布帛および繊維製品
CN109074716A (zh) * 2016-04-19 2018-12-21 帝人株式会社 具备警报系统的物品
CN105856703A (zh) * 2016-06-03 2016-08-17 海宁亚太化纤有限公司 一种多功能三层复合阻燃面料
JP6839999B2 (ja) * 2017-03-02 2021-03-10 帝人株式会社 織物および繊維製品
CN108166127B (zh) * 2018-02-28 2020-10-02 中原工学院 一种防孔洞开花高舒适性秋冬季节电焊服装面料织物及其织造方法
JP2019183299A (ja) * 2018-04-03 2019-10-24 帝人株式会社 布帛および繊維製品
US11326280B2 (en) 2018-05-23 2022-05-10 Inman Mills Woven fabric substrate for prevention of structural damage to functional yarns contained therein
JP2020016003A (ja) * 2018-07-27 2020-01-30 帝人株式会社 難燃生地および積層難燃生地および繊維製品
CN110396754B (zh) * 2019-07-25 2021-01-05 陕西元丰纺织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高tpp消防灭火组合面料及其制备方法
CN111691038A (zh) * 2020-06-23 2020-09-22 山东南山智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舒适透气阻燃防护毛精纺面料加工方法
US11510446B2 (en) 2020-07-02 2022-11-29 Saudi Arabian Oil Company Double-layered flame resistant garment
CN112450512A (zh) * 2020-12-25 2021-03-09 江南大学 一种基于综合定位技术的女性防狼服
CN116272129A (zh) * 2023-03-14 2023-06-23 江苏通盛滤袋有限公司 一种高强度滤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8494A (en) * 1974-09-30 1980-04-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timate fiber blend of poly(m-phenylene isophthalamide) and poly(p-phenylene terephthalamide)
JPS5253065A (en) * 1975-10-28 1977-04-28 Mitsubishi Rayon Co Fire retardent fabric
JP2581727B2 (ja) * 1988-01-22 1997-02-12 帝人株式会社 高弾性率繊維の捲縮方法
JPH01221537A (ja) * 1988-02-26 1989-09-05 Teijin Ltd 耐炎性繊維
US5050241A (en) * 1989-10-11 1991-09-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Garment for protection against hot liquids
TW213956B (en) * 1992-02-25 1993-10-01 Ind Tech Res Inst Acrylic fiber and its production method
JP3268656B2 (ja) * 1992-08-21 2002-03-25 三井化学株式会社 耐切創性にすぐれた防護具
DE29611356U1 (de) * 1996-06-29 1996-09-05 Handschuhfabrik Seiz Gmbh & Co Schutzhandschuh, insbesondere für Polizei und andere Sicherheitsdienste
JP3790862B2 (ja) * 1997-02-17 2006-06-28 株式会社川島織物セルコン 車両用難燃パイル布帛
WO2000018993A1 (en) * 1998-09-28 2000-04-0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ame resistant fabrics
JP2001214318A (ja) * 2000-02-01 2001-08-07 Teijin Ltd 耐熱性防護服
US6974785B1 (en) * 2000-03-02 2005-12-13 Bacou-Dailoz Protective Apparel Outer shell fabric for fire protective garments for firefighters and for workers exposed to risk of flash fire or electric arc
US6430754B1 (en) * 2000-03-03 2002-08-13 Lion Apparel, Inc. Firefighting garment
WO2002020887A2 (en) * 2000-09-07 2002-03-14 A W Hainsworth & Sons Ltd Fire resistant textile material
US7119036B2 (en) * 2001-02-09 2006-10-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tective apparel fabric and garment
FR2822855B1 (fr) * 2001-03-29 2003-06-20 Europrotect France Tissu renforce
JP3888861B2 (ja) * 2001-05-23 2007-03-07 帝人テクノプロダクツ株式会社 耐熱性防護服
JP4132862B2 (ja) * 2002-02-18 2008-08-13 株式会社ト−ヨ アーク対応難燃絶縁衣
US7013496B2 (en) * 2003-09-05 2006-03-21 Southern Mills, Inc. Patterned thermal liner for protective garments
JP2005146484A (ja) * 2003-11-19 2005-06-09 Toray Ind Inc 防護ニッ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553B1 (ko) * 2012-01-03 2013-07-01 남택욱 레이온 단섬유와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준 불연 방적사 및 이를 사용한 원단
KR101442720B1 (ko) * 2013-03-22 2014-09-19 한국니트산업연구원 방염성 원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460939B1 (ko) * 2014-03-04 2014-11-13 티씨케이텍스타일 주식회사 면/폴리에스테르 혼방사를 포함하는 방염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6581A (ko) * 2016-04-06 2018-11-27 내셔널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미시스” 내열성 고분자 섬유 직물 및 제품
KR102128105B1 (ko) * 2019-05-29 2020-06-29 삼성교역(주) 다양한 색상과 우수한 강도를 가지는 이중직 구조의 방호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939339T (pt) 2016-11-08
JP4567738B2 (ja) 2010-10-20
CN101243220A (zh) 2008-08-13
US20090137176A1 (en) 2009-05-28
CA2618266C (en) 2014-01-28
ES2603840T3 (es) 2017-03-01
TW200714760A (en) 2007-04-16
EP1939339A4 (en) 2011-03-30
JPWO2007018082A1 (ja) 2009-02-19
KR101270782B1 (ko) 2013-06-04
EP1939339A1 (en) 2008-07-02
EP1939339B1 (en) 2016-08-24
WO2007018082A1 (ja) 2007-02-15
CA2618266A1 (en) 2007-02-15
TWI381075B (zh) 2013-01-01
CN101243220B (zh)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782B1 (ko) 2 층 구조 직물 및 그것을 사용한 내열 방호 의료
KR101215713B1 (ko) 내열성 및 난연성 홑겹 직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 및 화염에 대한 보호 의류
JP4446274B2 (ja) 防護服用の布
US6974785B1 (en) Outer shell fabric for fire protective garments for firefighters and for workers exposed to risk of flash fire or electric arc
EP2630880B1 (en) Layered heat-resistant protective garment
US20060264136A1 (en) Fabric with high fire-resistant properties
US20150121612A1 (en) Heat resistant outershell fabric
JP2009263815A (ja) 耐熱性織物及びそれを用いた耐熱防護衣料
KR101210061B1 (ko) 다층, 통기성 직물
JP4447476B2 (ja) 洗濯耐久性の改善された織編物
EP3997264B1 (en) Fire resistant textile material
JP4180961B2 (ja) 耐熱性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からなる耐熱性防護服
US20210010172A1 (en) Fire resistant textile material
JP2022048630A (ja) 耐熱性防護服
JP2020084347A (ja) 耐熱防護服
JP2020026597A (ja) 二重織物および防護服
JP2004315993A (ja) 耐熱性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からなる耐熱性防護服
MXPA06011102A (en) Fabric for protective gar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