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1447A - 시야각 제어 시트 - Google Patents

시야각 제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1447A
KR20080031447A KR1020087004301A KR20087004301A KR20080031447A KR 20080031447 A KR20080031447 A KR 20080031447A KR 1020087004301 A KR1020087004301 A KR 1020087004301A KR 20087004301 A KR20087004301 A KR 20087004301A KR 20080031447 A KR20080031447 A KR 20080031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ing angle
angle control
control sheet
light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고또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1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6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 G02F1/133562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on the viewer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화면의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시야각 제어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인 렌즈부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렌즈부 사이의 쐐기형부에는 렌즈부와 동일 또는 다른 재료를 충전하고, 쐐기형부는 관찰자측에 선단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영상측에 바닥면을 설치하고, 또한 적어도 그 사면 부분을 렌즈부의 재료보다 낮은 굴절률의 재질로 형성한다.
시야각 제어 시트, 렌즈부, 쐐기형부, 영상측 베이스 시트, 관찰자측 베이스 시트

Description

시야각 제어 시트{VIEW ANGLE CONTROL SHEET}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이하에 있어서「OLED」라 함)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이하에 있어서「LCD」라 함) 등의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시야각 제어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OLED 디스플레이나 LCD 등에서는, 통상 관찰자가 어느 위치로부터 보더라도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시야각이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복수의 단위 렌즈를 일차원 또는 이차원 방향으로 형성하고, 단위 렌즈는 입사광의 일부가 그 내면에서 완전 반사하는 완전 반사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소정의 굴절률(N1)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단위 렌즈 사이는 소정의 굴절률(N2)을 갖는 재료가 충전되어 있는 광확산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예를 들어 통근 전차의 안에서 일을 하는 경우 등 주위의 사람으로부터 화면이 보이게 되어 난처한 경우가 있어, 이러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의 관찰자에게만 보여 타인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시야각의 제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구에 대해, 예를 들어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루버 타입의 시야각 제어 시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50307호 공보
그러나, 루버 타입의 시야각 제어 시트는 경사 방향의 영상광을 단순하게 커트되어 있어 화면의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화면의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시야각 제어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인 렌즈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동시에, 인접하는 상기 렌즈부 사이의 쐐기형부는, 상기 렌즈부와 동일 또는 다른 재료가 충전되고, 상기 쐐기형부는 관찰자측에 선단부를 갖는 동시에 영상측에 바닥면을 갖고, 또한 적어도 그 사면 부분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N2)과, 상기 렌즈부를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N1) 사이에
N2 ≤ N1
N2 / N1 = R
이라 할 때, 또한 상기 쐐기형부의 사면 부분이 출광면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도) 사이에,
-0.01 < R - cosθ < 0.02
가 되는 관계가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어 시트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청구의 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시야각 제 어 시트에 있어서 사면 부분이 출광면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도)가
3 ≤ θ ≤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시야각 제어 시트에 있어서 쐐기형부의 단면 형상은 대략 이등변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시야각 제어 시트에 있어서 쐐기형부의 두 개의 사면이 출광면의 법선과 이루는 각각의 각도는 한 쪽의 측이 다른 쪽의 측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시야각 제어 시트에 있어서 사면 부분이 관찰자 측면과 이루는 각이 영상측과 관찰자측에서 다르도록 곡선 및 또는 꺾은 선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6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시야각 제어 시트에 있어서 쐐기형부에 광흡수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7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시야각 제어 시트에 있어서 쐐기형부에 광흡수 입자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8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7항에 기재된 시야각 제어 시트에 있어서 광흡수 입자의 평균 입경이 1 ㎛ 이상이고, 바닥면 폭 길이의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9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7항에 기재된 시야각 제 어 시트에 있어서 광흡수 입자의 첨가량이 10 내지 50 체적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10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시야각 제어 시트에 있어서 적어도 일면측에 AR, AS, AG, 터치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복수의 부가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11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야각 제어 시트가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이다.
청구의 범위 제12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야각 제어 시트를 횡스트라이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이다.
청구의 범위 제13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야각 제어 시트가 영상원의 관찰자측에 1장, 또는 대략 직교하여 2장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이다.
청구의 범위 제14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3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닥면 폭 길이는 일화소의 크기의 1/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시야각 제어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야각 제어 시트에 따르면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작용 및 이득은 다음에 설명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로부터 명백해진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S1)의 일방향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에 있어서는 도면 좌측에 영상 광원이 배치되고, 도면의 우측에 관찰자가 위치하고 있다. 이 시야각 제어 시트(S1)는 영상측으로부터 관찰자 방향 순으로 영상측 베이스 시트(11), 렌즈부(12), 관찰자측 베이스 시트(13)가 부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렌즈부(12)는 굴절률이 N1의 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하로 인접하는 렌즈부(12, 12)의 사변에 협지된 단면 형상 삼각형의 부분은 렌즈부(12)의 굴절률(N1)보다 낮은 굴절률(N2)을 갖는 물질로 메워져 있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 저굴절률 물질로 메워져 있는 부분을「쐐기형부(14)」라 한다. 쐐기형부(14)는 관찰자측에 선단부, 영상측에 바닥면(17)을 구비하고 있다.
렌즈부(12)의 굴절률(N1)과, 쐐기형부(14)의 굴절률(N2)의 비는 시야각 제어 시트(S1)의 광학 특성을 얻기 위해 소정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쐐기형부(14)와 렌즈부(12)가 접하는 사변이 출광면의 법선(V)[상기 시야각 제어 시트(S1)에 대한 수직 입사광에 평행한 선]과 이루는 각도는 소정의 각도(θ1)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영상광을 쐐기형부의 사면부에서 완전 반사하고, 시야각을 좁 게 하기 위해 상기 θ1을 3 내지 20도의 범위로 하고 있다. 완전 반사면의 각도 설정은 결상면과 본 시야각 제어 시트와의 간격이나 영상의 해상도, 필요한 시야각 휘도 등에 의해 최적의 값이 다른 것이다. 고스트의 발생 등에 의한 해상도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θ1을 3 내지 5도 정도로 함으로써 완전 반사한 영상광과, 그 상태로 투과하는 영상광과의 위치적인 어긋남을 적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결상면과 본 시트와의 간격이 넓은 경우에도 고스트 등에 의한 해상도 저하가 현저해지므로, 마찬가지로 θ1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휘도 상승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θ1을 5 내지 20도 정도로 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시야각이나 결상면과, 본 시야각 제어 시트와의 간격을 적절하게 감안하여 설계함으로써 θ1로서의 최적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굴절률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광범위하게 휘도 상승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굴절률차를 크게 한다. 한편, 휘도 상승 효과는 정면 근방만 구하고, 그것보다도 고스트에 의한 해상도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굴절률차를 작게 하면 된다. 즉, 결상면과 본 시야각 제어 시트와의 간격이 넓은 경우, 해상도에 중점을 두는 경우에는 θ1을 작게, 굴절률차도 작게 하는 편이 유리하다. 한편, 그 역으로 휘도 상승 효과를 크고 넓은 범위로 얻고자 하는 경우, 결상면과 본 시야각 제어 시트와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θ1을 크게 하여 굴절률차를 크게 하는 편이 유리해진다.
이상의 고려를 종합적으로 본 경우, 통상 θ1은 3 내지 20도로 한다. θ1이 20도를 넘으면 정면에서의 충분한 휘도 상승 효과가 저하하여 해상도의 저하만이 현저한 것이 된다. 또한 고스트가 생기기 쉬워진다. θ1이 3도 미만이면 관찰자측 정면에 확산광이 도달하지 않아 휘도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다. 금형 제작의 난이도를 고려한 경우,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범위로서는 θ1은 5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θ1이 3 내지 5도 부근에서는 개구율을 크게 하여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θ1이 0도 근방의 확산광을 수렴하여 0도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는 약해진다. 즉, θ1이 3 내지 5도의 범위에서는 수렴 효과는 작아지므로 휘도 상승 효과는 약간 적어져 그 영향으로 고스트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θ1을 3 내지 5도의 범위 정도로 작게 해도 개구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정면 휘도는 약간밖에 저하되지 않는다. 그러나, 금형의 제작이나 렌즈 성형의 난이도를 고려한 경우 θ1은 5도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항에서의 θ1에 관한 설명은 이후 설명하는 θ2 내지 θ6에 대해서도 적합한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쐐기형부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 형상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쐐기형부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어 사다리꼴이라도 좋다.
쐐기형부(14)는 카본 등의 안료 또는 소정의 염료에 의해 소정 농도로 착색되어 있다. 또한, 영상측 베이스 시트(11) 및 관찰자측 베이스 시트(13)는 렌즈부(12)와 대략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관찰자측 베이스 시 트(13)의 외측면에는 관찰자측에 AR, AS, AG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AR」이라 함은 안티리플렉션의 약칭으로, 렌즈 표면에 입광하는 빛의 반사율을 억제하는 기능을 말한다. 또한,「AS」라 함은 안티스태틱의 약칭으로, 대전 방지의 기능을 말한다. 또한「AG」라 함은 안티글래어의 약칭으로, 렌즈의 방현성 기능을 말한다.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S1)에 있어서는 이들의 기능 중 하나만을 갖게 해도 좋고, 또한 복수의 기능을 아울러 갖게 해도 좋다.
다음에 시야각 제어 시트(S1)의 렌즈부(12) 내로 입광한 빛의 광로에 대해 도1을 참조하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1에 있어서 빛(L11 내지 L15)의 광로는 모식적으로 도시된 것이다. 지금, 영상 광원측으로부터 렌즈부(12)의 중앙부 부근으로 입사한 수직광(L11)은 그 상태로 시야각 제어 시트(S1)의 내부를 직진하고 통과하여 관찰자에게 이른다. 영상 광원측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갖고 렌즈부(12)의 단부 부근에 입사한 입사광(L12)은 굴절률(N1)의 렌즈부(12)와 굴절률(N2)의 쐐기형부(14)의 굴절률차에 의해 사변에서 완전 반사되어 관찰자측에 수직광으로서 출광된다. 영상 광원측으로부터 렌즈부(12)의 단부 부근에 큰 각도를 갖고 입사한 빛(L13)은 사변에서 완전 반사되고, 입사시와는 반대 방향의 작은 각도를 갖고 수직광에 가까운 각도가 되어 관찰자측으로 출광된다. 바닥면(17)으로부터 쐐기형부(14)에 직접 입사하는 빛(L14)은 쐐기형부(14)의 내부에 입광한다. 쐐기형부(14)는 착색되어 있으므로 빛(L14)은 쐐기형부(14)에서 흡수되어 관찰자측에 이르는 일은 없다. 또한 관찰자측으로부터 사변에 소정 이상의 큰 각도를 갖고 입사하는 외광(L15)은 렌즈부(12)와 쐐기형부(14)의 굴절률차에 의해서도 완전 반사되지 않고 쐐기형부(14)의 내부에 입광한다. 외광(L15)은 착색된 쐐기형부(14)에 흡수된다. 따라서 관찰자측으로부터의 시야에 의한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이렇게 하여 단면 방향으로 시야각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가 높은 시야각 제어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도2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S2)의 일방향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에 있어서도 도면 좌측에 영상 광원이 배치되고, 도면의 우측에 관찰자가 위치하고 있다.
이 시야각 제어 시트(S2)는 영상측으로부터 관찰자 방향 순으로 영상측 베이스 시트(21), 렌즈부(22), 관찰자측 베이스 시트(23)가 부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렌즈부(22)는 굴절률이 N1의 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하로 인접하는 렌즈부(22, 22)의 사변에 협지된 단면 형상 삼각형의 부분은 렌즈부(22)의 굴절률(N1)보다 낮은 굴절률(N2)을 갖는 물질로 메워져 있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 저굴절률 물질로 메워져 있는 부분을「쐐기형부(24)」라 한다. 쐐기형부(24)는 관찰자측에 선단부, 영상측에 바닥면(27)을 구비하고 있다.
렌즈부(22)의 굴절률(N1)과, 쐐기형부(24)의 굴절률(N2)의 비는 시야각 제어 시트(S2)의 광학 특성을 얻기 위해 소정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쐐기형부(24)와 렌즈부(22)가 접하는 사변이 출광면의 법선(V)[상기 시야각 제어 시 트(S2)에 대한 수직 입사광에 평행한 선]과 이루는 각도는 소정의 각도(θ2)로 형성되어 있다.
쐐기형부(24)는 카본 등의 안료 또는 소정의 염료에 의해 소정 농도로 착색되어 있다. 또한, 영상측 베이스 시트(21) 및 관찰자측 베이스 시트(23)는 렌즈부(22)와 대략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관찰자측 베이스 시트(23)의 외측면에는 관찰자측에 AR, AS, AG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이들의 기능 중 하나만을 갖게 해도 좋고, 또한 복수의 기능을 아울러 갖게 해도 좋다.
도시한 시야각 제어 시트(S2)는 그 바닥면(27)에 블랙 스트라이프[렌즈부(22)가 일차원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이차원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수의 원형의 흑색면임](BS)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쐐기형부(24)의 내부에는 렌즈부(22)의 굴절률(N1)보다 낮은 굴절률(N2)을 갖는 재료가 충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시야각 제어 시트(S2)에 의해서도 영상 광원측으로부터의 각 입사광(L21 내지 L2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S1)에 있어서의 입사광(L11 내지 L13)과 같은 광로를 따른다. 또한, 바닥면(27)의 블랙 스트라이프(BS)로 입사한 빛(L24)은 블랙 스트라이프(BS)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관찰자측으로부터 사변에 소정 이상의 큰 각도를 갖고 입사하는 외광(L25)은 렌즈부(22)와 쐐기형부(24)의 굴절률차에 의해서도 완전 반사되지 않고 쐐기형부(24)의 내부에 입광한다. 외광(L25)은 착색된 쐐기형부(24)에 흡수된다. 따라서 관찰자 측으로부터의 시야에 의한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따라서, 시야각 제어 시트(S2)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S1)와 같은 효과, 즉 단면 방향으로 시야각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휘도의 저하를 억제하여 콘트라스트가 높은 시야각 제어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시야각 제어 시트(S3)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시야각 제어 시트(S3)는 영상측으로부터 관찰자측 방향 순으로 영상측 베이스 시트(31), 렌즈부(32), 관찰자측 베이스 시트(33)가 부착되어 배치되어 있다. 렌즈부(32)는 고굴절률(N1)을 갖는 물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렌즈부(32, 32)의 사변에는 N1보다 작은 굴절률(N2)을 구비하여 투명한 물질에 의해 형성된 층(34)[이하「투명 저굴절률층(34)」이라 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렌즈부(32) 사이에 협지된 단면 형상 삼각형의 부분은 렌즈부(32)의 굴절률(N1)과 대략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물질이 충전되어 있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 단면 형상 삼각형의 부분을「렌즈 사이 부분(35)」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
렌즈부(32)의 굴절률(N1)과, 투명 저굴절률층(34)의 굴절률(N2)의 비는 시야각 제어 시트(S3)의 광학 특성을 얻기 위해 소정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투명 저굴절률층(34)과 렌즈부(32)가 접하는 사변이 출광면의 법선(V)[상기 시야각 제어 시트(S3)에 대한 수직 입사광에 평행한 선]과 이루는 각도는 소정의 각도(θ3)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에 대해 뒤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렌즈부(32)는 통상 전리(電離) 방사선 경화성을 갖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투명 저굴절률층(34)은 실리커 등 투명 수지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렌즈 사이 부분(35)은 카본 및 안료 또는 소정의 염료 등에 의해 소정 농도로 착색되어 있다. 또한, 영상측 베이스 시트(31) 및 관찰자측 베이스 시트(33)는 렌즈부(32)와 대략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관찰자측 베이스 시트(33)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S1)와 마찬가지로 관찰자측에 AR, AS, AG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시야각 제어 시트(S3)에 의해서도, 영상 광원측으로부터의 각 입사광(L31 내지 L3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S1)에 있어서의 입사광(L11 내지 L13)과 같은 광로를 따른다. 또한, 착색된 렌즈 사이 부분(35)의 바닥면(37)에 입사하는 빛(L34)은 착색된 렌즈 사이 부분(35)의 내부에 입광하고 흡수되어 관찰자측에 도달하는 일은 없다. 또한, 관찰자측으로부터 사변에 소정 이상의 큰 각도를 갖고 입사하는 외광(L37)은 렌즈부(32)와 투명 저굴절률층(34)의 굴절률차에 의해서도 완전 반사되지 않고 투명 저굴절률층(34)을 투과하고, 착색된 렌즈 사이 부분(35)의 내부에 입광하여 흡수된다. 따라서 관찰자측으로부터의 시야에 의한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S1)와 같은 효과, 즉 단면 방향으로 시야각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휘도의 저하를 억제하여 콘트라스트가 높은 시야각 제어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S4)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시야각 제어 시트(S4)는 영상측으로부터 관찰자의 방향 순으로 영상측 베이스 시트(41), 렌즈부(42), 관찰자측 베이스 시트(43)가 부착되어 배치되어 있다. 렌즈부(42)는 고굴절률(N1)을 갖는 물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렌즈부(42, 42)에 협입된 단면 형상 삼각형의 부분에는 N1보다 작은 굴절률(N2)을 구비한 투명한 물질[이하에 있어서「투명 저굴절률 물질(46)」이라 함] 중에 광흡수 입자(49)가 첨가된 재료로 충전되어 있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 투명 저굴절률 물질(46)이 충전되어 있는 부분을「쐐기형부(44)」라 부른다. 쐐기형부(44)는 관찰자측에 선단부, 영상측에 바닥면(47)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렌즈부(42)의 굴절률(N1)과, 투명 저굴절률 물질(46)의 굴절률(N2)의 비는 시야각 제어 시트(S4)의 광학 특성을 얻기 위해 소정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쐐기형부(44)와 렌즈부(42)가 접하는 사변이 출광면의 법선(V)[상기 시야각 제어 시트(S4)에 대한 수직 입사광에 평행한 선]과 이루는 각도는 소정의 각도(θ4)로 형성되어 있다.
렌즈부(42)는 통상, 전리 방사선 경화성을 갖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투명 저굴절률 물질(46)로서 통상, 전리 방사선 경화성을 갖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등의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광흡수 입자(49)는 시판의 착색 수지 미립자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영상측 베이스 시트(41) 및 관 찰자측 베이스 시트(43)는 렌즈부(42)와 대략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관찰자측 베이스 시트(43)의 관찰자측에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S1)와 마찬가지로 관찰자측에 AR, AS, AG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시야각 제어 시트(S4)의 렌즈부(42) 내에 입광한 빛의 광로에 대해 도4를 참조하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4에 있어서 빛(L41 내지 L44)의 광로는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지금, 도4에 있어서 영상 광원측으로부터 렌즈부(42)의 중앙부 부근에 입사한 수직광(L41)은 그 상태로 시야각 제어 시트(S4)의 내부를 직진하고 통과하여 관찰자에게 이른다. 영상 광원측으로부터 렌즈부(42)의 단부 부근에 비스듬히 입사한 빛(L42)은 렌즈부(42)와 투명 저굴절률 물질(46)의 굴절률차에 의해 사변에서 완전 반사되고, 수직광이 되어 관찰자측으로 출광된다. 영상 광원측으로부터 렌즈부(42)의 단부 부근에 더 큰 각도를 갖고 입사한 빛(L43)은 사변에서 완전 반사되고, 입사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입사시보다도 작은 각도를 갖고 수직광에 가까운 각도로 관찰자측으로 출광된다. 쐐기형부(44)의 바닥면(47)으로 입사하는 빛(L44)은 쐐기형부(44)의 내부에 입광하고, 광흡수 입자(49)로 흡수되어 관찰자측에 이르는 일은 없다. 또한, 관찰자측으로부터 사변에 소정 이상의 큰 각도를 갖고 입사하는 외광(L45)은 렌즈부(42)와 쐐기형부(44)와의 굴절률차에 의해서도 완전 반사되지 않고 쐐기형부(44)의 내부에 입광한다. 외광(L45)은 쐐기형부(44)의 광흡수 입자(49)에 흡수된다. 따라서 관찰자측으로부터의 시야에 의한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이렇게 하여 영상측으로부터 다양한 각도를 갖고 입사하는 빛이 관찰자측으로부터 출광면 법선 방향 혹은 그것에 가까운 방향으로 출광되므로, 시야각을 제어하면서 휘도의 저하를 억제하여 콘트라스트가 높은 시야각 제어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시야각 제어 시트(S5)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시야각 제어 시트(S5)도 영상측으로부터 관찰자 방향 순으로 영상측 베이스 시트(51), 렌즈부(52), 관찰자측 베이스 시트(53)가 부착되어 배치되어 있다. 렌즈부(52)는 고굴절률(N1)을 갖는 물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면에 있어서 상하로 인접하는 렌즈부(52, 52)의 사변에는 N1보다 작은 굴절률(N2)을 구비하여 투명한 물질에 의해 형성된 층(54)[이하「투명 저굴절률층(54)」이라 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렌즈부(52) 사이에 협지된 단면 형상 삼각형의 부분은 N2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물질(58) 중에 광흡수 입자(59)가 첨가된 재료가 충전되어 있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 단면 형상 삼각형의 부분을「렌즈 사이 부분(55)」이라 한다.
렌즈부(52)의 굴절률(N1)과 투명 저굴절률층(54)의 굴절률(N2)의 비는 시야각 제어 시트(S5)의 광학 특성을 얻기 위해 소정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투명 저굴절률층(54)과 렌즈부(52)가 접하는 사변이 출광면의 법선(V)[상기 시야각 제어 시트(S5)에 대한 수직 입사광에 평행한 선]과 이루는 각도는 소정의 각도(θ)로 형성되어 있는 렌즈부(52)는, 통상 전리 방사선 경화성을 갖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투명 저굴절률층(54)은 실리커 등 투명 수지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광흡수 입자(59)는 시판의 착색 수지 미립자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영상측 베이스 시트(51) 및 관찰자측 베이스 시트(53)는 렌즈부(52)와 대략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관찰자측 베이스 시트(53)의 관찰자측에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S1)와 마찬가지로 관찰자측에 AR, AS, AG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시야각 제어 시트(S5)의 렌즈부(52) 내에 입광한 빛의 광로에 대해 도5를 참조하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5에 있어서도 빛(L51 내지 L54)의 광로는 모식적으로 도시된 것이다. 도5에 있어서, 영상 광원측으로부터 렌즈부(52)의 중앙부 부근에 입사한 수직광(L51)은 그 상태로 시야각 제어 시트(S5)의 내부를 직진하고 통과하여 관찰자에게 이른다.
영상 광원측으로부터 렌즈부(52)의 단부 부근에 각도를 갖고 입사한 빛(L52)은 렌즈부(52)와 투명 저굴절률층(54)의 굴절률차에 의해 사변에서 완전 반사되고, 수직광이 되어 관찰자측으로 출광된다. 영상 광원측으로부터 렌즈부(52)의 단부 부근에 더 큰 각도를 갖고 입사한 빛(L53)은 사변에서 완전 반사되고, 입사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입사시보다 작은 각도를 갖고 수직광에 가까운 상태로 관찰자측으로 출광된다. 또한, 영상측으로부터 렌즈 사이 부분(55)에 입광한 빛(L54)도 광흡수 입자(59)에 흡수되고, 관찰자측에 반사광이 되어 출광되는 일이 없다. 또한, 관찰자측으로부터 사변에 소정 이상의 큰 각도를 갖고 입사하는 외광(L55)은 렌즈부(52)와 투명 저굴절률층(54)의 굴절률차에 의해서도 완전 반사되지 않고 렌즈 사이 부분(55)의 내부에 입광한다. 외광(L55)은 렌즈 사이 부분(55)의 광흡수 입 자(59)에 흡수된다. 따라서 관찰자측으로부터의 시야에 의한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이렇게 하여, 넓은 시야각을 갖고 휘도의 저하를 억제하여 콘트라스트가 높은 시야각 제어 시트(S5)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및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S4, S5)에 있어서의 광흡수 입자(49, 59)는 평균 입경이 1 ㎛ 이상이고, 쐐기형부(44)의 바닥면(47) 혹은 렌즈 사이 부분(55)의 바닥면(57) 폭 길이의 2/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흡수 입자(49, 59)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으면 충분한 광흡수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 광흡수 입자(49, 59)의 크기가 지나치게 크면 제조시에 바닥면(47, 57)으로부터 쐐기형부(44) 혹은 렌즈 사이 부분(55)의 내부에 충전하기 어려워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제4 실시 형태 및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S4, S5)에 있어서의 광흡수 입자(49, 59)는 쐐기형부(44) 혹은 렌즈 사이 부분(55)의 전체의 체적에 대해 10 내지 50 체적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율을 유지함으로써 충분한 광흡수 효과를 유지하면서 용이한 제조 조건을 부여할 수 있다.
도6은 시야각 제어 시트의 쐐기형부의 사면에서 반사한 빛이 관찰자측에 도달하는 상황을 예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상단, 중단 및 하단의 각 도면에 있어서 표시되어 있는 시야각 제어 시트(60A, 60B, 60C)는 도면 좌측이 영상측, 우측이 관찰자측으로 되어 있다. 각 시트에는 도면 좌측으로부터 영상측 베이스 시트(61), 렌즈부(62) 및 관찰자측 베이스 시트(63)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렌즈부(62)에는 그 선단부(정상점)를 관찰자측을 향해 쐐기형부(64)가 배치되어 있 다. 각 쐐기 형부(64)의 사면이 출광면 법선(V)과 이루는 각도는 θ6은 3 내지 20도로 형성되어 있다.
상단, 중단 및 하단의 각 도면에 있어서 표시되어 있는 시야각 제어 시트(60A, 60B, 60C)는 렌즈부를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N1)과, 사면 부분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N2)의 비의 대소에 의해, 3개의 경우에 대해 비교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단의 시야각 제어 시트(60A)는 R = N2 / N1의 값이 작은 경우, 즉 렌즈부(62)의 굴절률(N1)이 사면부의 굴절률(N2)보다 큰 정도가 이하에 설명하는 시야각 제어 시트(60B, 60C)보다 큰 경우이며, 도면의 A의 범위에서 완전 반사한다.
중단의 시야각 제어 시트(60B)는,
R - cosθ6 = 0
이 되는 경우이고, 완전 반사한 빛이 정면에 도달하는 경계이며, 도면의 B의 범위에서 완전 반사한다.
하단의 시야각 제어 시트(60C)는 R이 큰 값을 취하는 경우이며, 반사광이 정면까지 가지 않고 도면의 C의 범위에서 완전 반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용상의 특성을 가미한 후,
-0.01 < R - cosθ6 < 0.002
가 되는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고 있다.
(R - cosθ6)의 값이 -0.01 이하이면 완전 반사하는 광선이 많아져 넓은 각도에서 완전 반사광이 관찰되기 때문에, 특히 경사 방향으로부터 완전 반사광이 관 찰된 경우에는 고스트 화상과 실영상의 거리가 커진다. 이 결과, 고스트 화상이 매우 눈에 띄게 되어 영상 화질을 저하시킨다.
한편, (R - cosθ6)의 값이 0.002 이상이 되면 완전 반사하는 광선이 적고 유효 영상광이 관찰자에게 닿기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휘도의 상승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다음에, 도7 및 도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S3)의 단위 렌즈부(32)에 입사한 시야각 제어 시트(S3) 내의 모든 빛이 사변에서 완전 반사되는 조건에 대해 검토한다.
영상측으로부터 시트 내로의 입사각이 90도에 가까울수록 시야각 제어 시트(S3)의 사변에서 완전 반사가 되기 어렵게 된다. 그래서, 가장 얕은 입사각, 즉 영상측 입광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평행하게 가깝고 또한 시트 내에 입사한 빛이 사변에서 완전 반사될 수 있는 조건을 구하면, 그 이외의 입사광은 모두 사변에 있어서 완전 반사되게 된다.
도7은 시야각 제어 시트(S3) 내에 있어서, 시야각 제어 시트(S3)의 사변에서 반사한 빛(L32)이 출사면에 대해 수직으로 출사하는 경우의 광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에 있어서 영상 광원은 도면 하방에, 관찰자는 도면 상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영상측 베이스 시트(31) 및 관찰자측 베이스 시트(33)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고 있다(도8에 있어서 동일).
도7에 있어서, 사변에 입사한 빛(L32)이 사변의 A점에 있어서 완전 반사되기 시작하는 조건(경계 조건)은 스넬의 법칙에 의해,
sin(90°- θ3) = N2 / N1
이기 때문에, 수직광(L32)이 항상 완전 반사되기 위해서는,
(식1) sin(90°- θ3) ≥ N2 /N1
이 되는 조건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sin(90°- θ)의 값은 항상 1.0보다 작기 때문에, 식1은 실질적으로는
N2 ≤ N1
또한, 사변의 A점에서 완전 반사되는 빛(L32)이 입광면의 B점에 있어서 영상측 입광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평행하게 가깝고 또한 시트 내에 입사하는 빛의 조건(임계 조건)은 대기의 굴절률을 1로 한 경우, 스넬의 법칙에 의해,
sin2θ3 = 1 / N1
이기 때문에, B점으로부터 시트 내에 입사하는 빛은 모두,
(식2) sin2θ3 < 1 / N1
이 되는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다.
즉, 식1 및 식2가 시야각 제어 시트(S3)의 단위 렌즈부(32)에 입사한 시야각 제어 시트(S3) 내의 모든 빛이 사변에서 완전 반사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또한 참고를 위해 도8을 참조하면서, 시야각 제어 시트(S3)의 렌즈부에 입사하여 사변에 반사되고, 그 결과 출광면 법선에 대해 10°의 경사가 되는 빛(L35)의 광로에 대해 이하에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8에 있어서, 시야각 제어 시트(S3) 내에서 사변에 입사한 빛(L35)이 사변의 A점에 있어서 완전 반사되기 시작하는 조건(임계 조건)은 스넬의 법칙에 의해,
sin(80°- θ3) = N2 / N1
이기 때문에, 항상 완전 반사되기 위해서는,
(식3) sin(80°- θ3) > N2 / N1
이 되는 조건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빛이 입광면의 B점에 있어서 영상측 입광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평행하게 가깝고 또한 시트 내에 입사하는 빛의 조건(임계 조건)은 대기의 굴절률을 1로 한 경우, 스넬의 법칙에 의해,
sin(2θ3 + 10°) = 1 / N1
이기 때문에, B점으로부터 시트 내에 입광하는 빛은 항상,
sin(2θ3 + 10°) < 1 / N1
(식4) N1 < 1 / sin(2θ3 + 10°)
가 되는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다.
다음에 θ3이 제조 조건 등을 고려한 경우에 바람직한 범위가 되는 5°내지 20°로 하고, 그 범위에 있어서 더 구체적으로 N1과 N2의 값을 고찰한다. 5°<θ3 < 20°의 범위에 있어서는,
0.940 < sin(90°- θ3) < 0.996
이며, 식1에 의해 N2 / N1의 값은 이것보다 작기 때문에
(식5) N2 / N1 < 0.940
한편, 5°< θ3 < 20°의 범위에서는,
1.56 < 1/sin2θ3 < 5.76
이기 때문에, 식2로부터,
(식6) N1 < 1.56
또한, 입수할 수 있는 현실의 재료를 고려한 경우, N2의 최소치는 1.30이므로
N2 / N1 > 1.30/1.56 = 0.83
따라서 상기 식과 식6으로부터
(식7) 0.83 < N2 / N1 < 0.940
상기 식6 및 식7이 5°< θ < 20°의 범위에서, 영상측으로부터 시트 내에 입광한 모든 빛이 사변에 있어서 완전 반사되기 때문에 N2 / N1의 값을 취할 수 있는 범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시트의 제조 조건이나, 또한 실용상의 성질을 가미한 후,
0.80 < N2 / N1 < 0.98
로 규정하고 있다.
도9는 저굴절률부(4)의 형상의 여러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저굴절 률부(4)는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 렌즈(2, 2)의 사변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9의 (a)는 사변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사변과 출광면 법선과 이루는 각도(θ)는 사변 상의 어느 점에 있어서도 일정하다. 도9의 (b)는 사변이 매끄러운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9의 (c)는 사변이 2개의 직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의 경우, 사변과 출광면 법선과 이루는 각도(θ12 내지 θ14)는 사변 상의 위치에 의해 다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9의 (b)나 도9의 (c)의 경우와 같이 사변과 출광면 법선이 이루는 각도가 일정하지 않을 때에는, 사변의 길이의 90 % 이상에 있어서, 이상으로 설명해 온 식1 내지 식7의 각 조건을 만족시키면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0은 쐐기형부의 사면의 형상이 별도의 형태를 도시하는 시야각 제어 시트(70)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쐐기형부(74)의 단면 형상은 그 정상점을 관찰자측을 향한 예각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 예각 삼각형의 상측 사면과 출광면 법선(V1)이 이루는 각도는 0도이다. 한편, 예각 삼각형의 하측 사면과 출광면 법선(V2)이 이루는 각도(θ7)는 약 10도이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광면 법선에 대한 각도가 상측 사면보다 하측 사면의 쪽이 클 때, 쐐기형부를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횡스트라이프로 표시 장치를 구성함으로써(도11 참조), 통상 표시 장치에서는 약간 상방으로부터 보는 경우가 많으므로 영상원으로부터의 상방향의 빛에 대해 투과율이 높고, 관찰자측의 휘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11 내지 도13은 본 발명의 시야각 제어 시트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에 나타낸 시야각 제어 시트(S90)는 수직 단면 형상이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단위 렌즈(92)를 구비하고 있다. 영상측에는 베이스 시트(91)가, 관찰자측에는 베이스 시트(93)가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이해를 위해 이들 삼자가 떨어져 나타나 있지만, 실제로는 이들은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12에 나타낸 시야각 제어 시트(S10)는 수평 단면 형상이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단위 렌즈(2)를 구비하고 있다. 영상측에는 베이스 시트(101)가, 관찰자측에는 베이스 시트(10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13에 나타내고 있는 시야각 제어 시트(S11)에 있어서는 반절 원뿔 형상의 단위 렌즈가 수직 평면 상에 이차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단위 렌즈의 반절 원뿔의 정상부 평면은 동일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이 평면에 베이스 시트(111)가 접합되어 있다. 베이스 시트(111)와 단위 렌즈(112) 사이의 공극은 저굴절률의 재료로 메워져 있고, 저굴절률부(114)를 형성하고 있다. 도11 내지 도13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내고 있는 시야각 제어 시트(S9 내지 S11)의 구성에 의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를 구비한 표시 장치(12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14에 있어서, 지면 전방 좌측 하방향이 영상측이고, 지면 안쪽 우측 상방향을 관찰자측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120)는 영상측으로부터 차례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21)과, 렌즈부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시야각 제어 시트(122)와, 렌즈부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시야각 제어 시트(123)와, 프레넬 렌 즈(124) 및 AR, AS, AG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기능성 시트(12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시야각 제어 시트(122)와 시야각 제어 시트(123)의 배치를 교체해도 좋다. 도14에 있어서는 이들이 서로 떨어져 표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도면의 이해를 위해서이며 실제로는 이들은 서로 접하거나 또는 접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120)에 있어서, 시야각 제어 시트의 쐐기형부 바닥면의 폭은 표시 장치(120)의 일화소의 크기의 1/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율을 유지함으로써 모아레 모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시야각 제어 시트」라 함은 2장의 시야각 제어 시트(122)와 시야각 제어 시트(123)의 조합을 구성의 중핵으로 하지만, 도14에 있는 바와 같이 이들의 출광측에 프레넬 렌즈(124)나 기능성 시트(125) 등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프레넬 렌즈(124)나 기능성 시트(125)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1 실시예)
도9의 (c)에 있는 바와 같이, 쐐기형부를 갖는 시야각 제어 시트를 하기 수단으로 제작하였다.
그 시야각은 15°로 제어 가능하였다.
개구율 : 50 %[여기서의「개구율」은 입광면에 있어서의 전체 면적에 대한 광투과부(렌즈부) 면적의 비율을 말함]
θ13 = 8°
θ14 = 12°
렌즈 사이 피치 : 0.05 ㎜
렌즈부 재료(수지) 굴절률 : 1.56
쐐기형부 재료 굴절률 : 1.48
이상, 현 시점에 있어서 가장 실천적이고, 또한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본원 명세서 중에 개시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발명의 요지 혹은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며, 그러한 변경을 수반하는 시야각 제어 시트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시야각 제어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야각 제어 시트에 따르면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작용 및 이득은 다음에 설명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로부터 명백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의 일방향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의 일방향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의 일방향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의 일방향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시야각 제어 시트의 일방향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시야각 제어 시트의 쐐기형부의 사면에서 반사한 빛이 관찰자측에게 도달하는 상황을 예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7은 시야각 제어 시트로부터 수직으로 빛을 사출하도록 빛을 렌즈부로 입사시키는 조건을 검토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시야각 제어 시트로부터 10°의 경사를 갖고 사출되도록 빛을 렌즈부로 입사시키는 조건을 검토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는 저굴절률부의 형상의 여러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0은 쐐기형부의 사면의 형상이 별도의 형태를 도시하는 시야각 제어 시트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은 시야각 제어 시트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시야각 제어 시트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시야각 제어 시트의 구성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는 시야각 제어 시트를 구비한 표시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는 종래의 시야각 제한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S1, S2, S3, S4, S5, S9, S10, S11 : 시야각 제어 시트
11, 21, 31, 41, 51, 61, 71, 91 : 영상측 베이스 시트
12, 22, 32, 42, 52, 62, 72, 92 : 렌즈부
13, 23, 33, 43, 53, 63, 73, 93 : 관찰자측 베이스 시트
14, 24, 34, 44, 54 : 쐐기형부
35, 55 : 렌즈 사이 부분
17, 27, 37, 47, 57 : 바닥면
120 : 표시 장치
L11, 12, 13, 21, 22, 23, 31, 32, 33, 41, 42, 43, 51, 52, 53 : 광선
L14, 24, 34, 44, 54 : 바닥면으로 입사하는 빛
L15, 25, 37, 45, 55 : 외광

Claims (14)

  1.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인 렌즈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동시에, 인접하는 상기 렌즈부 사이의 쐐기형부는, 상기 렌즈부와 동일 또는 다른 재료가 충전되고,
    상기 쐐기형부는 관찰자측에 선단부를 갖는 동시에 영상측에 바닥면을 갖고, 또한 적어도 그 사면 부분을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N2)과, 상기 렌즈부를 구성하는 재료의 굴절률(N1) 사이에
    N2 ≤ N1
    N2 / N1 = R
    이라 할 때, 또한 상기 쐐기형부의 사면 부분이 출광면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도) 사이에,
    -0.01 < R - cosθ < 0.02
    가 되는 관계가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 부분이 출광면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도)가
    3 ≤ θ ≤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어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부의 단면 형상은 대략 이등변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어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부의 두 개의 사면이 출광면의 법선과 이루는 각각의 각도는, 한 쪽의 측이 다른 쪽의 측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어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 부분이, 관찰자 측면과 이루는 각이 영상측과 관찰자측에서 다르도록, 곡선, 및 또는 꺾은 선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어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부에 광흡수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어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부에 광흡수 입자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어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입자의 평균 입경이 1 ㎛ 이상이고, 상기 바닥면 폭 길이의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어 시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입자의 첨가량이 10 내지 50 체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어 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면측에, AR, AS, AG, 터치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복수의 부가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어 시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야각 제어 시트가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야각 제어 시트를 횡스트라이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야각 제어 시트가 영상원의 관찰자측에 1장, 또는 대략 직교하여 2장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폭 길이는 일화소의 크기의 1/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87004301A 2004-05-25 2005-04-26 시야각 제어 시트 KR200800314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54911 2004-05-25
JP2004154911A JP2005338270A (ja) 2004-05-25 2004-05-25 視野角制御シー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213A Division KR20060055476A (ko) 2004-05-25 2005-04-26 시야각 제어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447A true KR20080031447A (ko) 2008-04-08

Family

ID=3545100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301A KR20080031447A (ko) 2004-05-25 2005-04-26 시야각 제어 시트
KR1020087004299A KR20080031445A (ko) 2004-05-25 2005-04-26 시야각 제어 시트
KR1020057025213A KR20060055476A (ko) 2004-05-25 2005-04-26 시야각 제어 시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299A KR20080031445A (ko) 2004-05-25 2005-04-26 시야각 제어 시트
KR1020057025213A KR20060055476A (ko) 2004-05-25 2005-04-26 시야각 제어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686463B2 (ko)
JP (1) JP2005338270A (ko)
KR (3) KR20080031447A (ko)
CN (2) CN1806187A (ko)
WO (1) WO2005116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486B1 (ko) * 2004-09-15 2008-06-12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시야각 제어 시트 및 표시 장치
JP2006171701A (ja) * 2004-11-18 2006-06-29 Dainippon Printing Co Ltd 視野角制御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6171700A (ja) * 2004-11-18 2006-06-29 Dainippon Printing Co Ltd 視野角制御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100709985B1 (ko) * 2005-01-04 2007-04-23 삼성코닝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99252B1 (ko) 2005-12-30 2010-12-07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외광 차폐층, 이 외광 차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필터및 이 디스플레이 필터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19869B1 (ko) * 2006-05-31 2014-07-1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장치
WO2007139209A1 (en) * 2006-05-31 2007-12-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O2007148721A1 (ja) * 2006-06-22 2007-12-27 Pioneer Corporation 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タ
WO2007148411A1 (ja) 2006-06-22 2007-12-27 Pioneer Corporation 表示装置
KR100804276B1 (ko) * 2006-08-17 2008-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콘트라스트 향상용 필름, 이를 포함하는 pdp 필터 및디스플레이 장치
KR100876681B1 (ko) 2007-03-30 2009-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필터와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20271A (ko) * 2006-08-31 2008-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모아레 무늬 형성방지를 위한 콘트라스트 향상용 필름,이를 포함하는 pdp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8013807B2 (en) * 2006-09-14 2011-09-06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device
KR100964109B1 (ko) * 2006-09-29 2010-06-16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필터
JP4816395B2 (ja) 2006-10-12 2011-1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光拡散部材
KR100837160B1 (ko) 2006-10-25 2008-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WO2008069222A1 (en) * 2006-12-05 2008-06-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lasma display panel and field emission display
WO2008069163A1 (en) 2006-12-05 2008-06-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lasma display panel and field emission display
WO2008069221A1 (en) 2006-12-05 2008-06-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lasma display panel and field emission display
WO2008069162A1 (en) 2006-12-05 2008-06-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nti-reflection film and display device
CN101815965B (zh) * 2007-10-03 2012-01-25 夏普株式会社 光扩散片和液晶显示装置
WO2009044521A1 (ja) * 2007-10-03 2009-04-09 Sharp Kabushiki Kaisha 光拡散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830969B1 (ko) * 2007-10-16 2018-02-2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고투과 광 제어 필름
US8154692B2 (en) * 2007-11-22 2012-04-10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034909B2 (ja) * 2007-12-03 2012-09-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シート、及び表示装置
CN101903809B (zh) 2007-12-21 2012-02-29 3M创新有限公司 光控膜
CN101566701B (zh) * 2008-04-23 2011-08-31 谢生豪 反射光栅
GB2461907A (en) * 2008-07-17 2010-01-20 Sharp Kk Angularly restricted display
US20100079870A1 (en) * 2008-09-26 2010-04-01 Canon Kabushiki Kaisha Glare reduction film for display screens
JP2010096882A (ja) * 2008-10-15 2010-04-30 Sony Corp 反射板、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87140B2 (ja) * 2008-10-23 2013-09-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シート、及び映像表示装置
JP5277931B2 (ja) * 2008-12-16 2013-08-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シート、及び映像表示装置
US8797258B2 (en) * 2008-12-30 2014-08-05 Sipix Imaging, Inc. Highlight color display architecture using enhanced dark state
US8964282B2 (en) 2012-10-02 2015-02-24 E Ink California, Llc Color display device
US9251736B2 (en) 2009-01-30 2016-02-02 E Ink California, Llc Multiple voltage level driving for electrophoretic displays
KR101714807B1 (ko) 2009-06-18 2017-03-0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 제어 필름
JP4749483B2 (ja) * 2009-07-16 2011-08-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商品情報読取表示装置
WO2011043096A1 (ja) * 2009-10-05 2011-04-1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US8449166B2 (en) * 2009-12-25 2013-05-28 Dai Nippon Printing Co., Ltd. Image source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5851082B2 (ja) * 2010-03-02 2016-02-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着色インキ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視認性向上シート
US20110217639A1 (en) * 2010-03-02 2011-09-08 Sprague Robert A Electrophoretic display fluid
US9140952B2 (en) 2010-04-22 2015-09-22 E Ink California, Llc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enhanced contrast
US8538224B2 (en) * 2010-04-22 2013-09-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LED light extraction films having internal nanostructures and external microstructures
US8704756B2 (en) 2010-05-26 2014-04-22 Sipix Imaging, Inc. Color display architecture and driving methods
US9116412B2 (en) 2010-05-26 2015-08-25 E Ink California, Llc Color display architecture and driving methods
JP2012098664A (ja) * 2010-11-05 2012-05-24 Dainippon Printing Co Ltd 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12098667A (ja) * 2010-11-05 2012-05-24 Dainippon Printing Co Ltd 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6426470B2 (ja) 2011-05-25 2018-11-2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光制御フィルム
US8786935B2 (en) 2011-06-02 2014-07-22 Sipix Imaging, Inc. Color electrophoretic display
US9013783B2 (en) 2011-06-02 2015-04-21 E Ink California, Llc Color electrophoretic display
EP2724543B1 (en) * 2011-06-22 2015-10-07 Koninklijke Philips N.V.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8649084B2 (en) 2011-09-02 2014-02-11 Sipix Imaging, Inc. Color display devices
US8605354B2 (en) 2011-09-02 2013-12-10 Sipix Imaging, Inc. Color display devices
US8917439B2 (en) 2012-02-09 2014-12-23 E Ink California, Llc Shutter mode for color display devices
JP5365713B2 (ja) * 2012-03-02 2013-12-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シート
JP2013205696A (ja) * 2012-03-29 2013-10-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及び表示装置
WO2013151034A1 (ja) * 2012-04-02 2013-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4365093B (zh) * 2012-06-01 2017-09-22 皇家飞利浦有限公司 自动立体显示设备和驱动方法
CN102736145A (zh) * 2012-06-29 2012-10-17 南京第壹有机光电有限公司 增光膜、其制备方法及使用该增光膜的器件
US8797636B2 (en) 2012-07-17 2014-08-05 Sipix Imaging, Inc. Light-enhancing structure for electrophoretic display
US9360733B2 (en) 2012-10-02 2016-06-07 E Ink California, Llc Color display device
KR101977250B1 (ko) * 2012-11-30 2019-08-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EP2987024B1 (en) 2013-04-18 2018-01-31 E Ink California, LLC Color display device
TWI514063B (zh) 2013-05-17 2015-12-21 Sipix Imaging Inc 彩色顯示裝置
US9383623B2 (en) 2013-05-17 2016-07-05 E Ink California, Llc Color display device
WO2014186605A1 (en) 2013-05-17 2014-11-20 Sipix Imaging, Inc. Color display device with color filters
CN103454808B (zh) * 2013-09-06 2017-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彩膜基板和显示装置
TWI534520B (zh) 2013-10-11 2016-05-21 電子墨水加利福尼亞有限責任公司 彩色顯示裝置
PL3095007T3 (pl) 2014-01-14 2020-10-05 E Ink California, Llc Sposób sterowania warstwą wyświetlacza kolorowego
ES2893401T3 (es) 2014-02-19 2022-02-09 E Ink California Llc Método de accionamiento para un elemento de visualización electroforético a color
US20150268531A1 (en) 2014-03-18 2015-09-24 Sipix Imaging, Inc. Color display device
US10891906B2 (en) 2014-07-09 2021-01-12 E Ink California, Llc Color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s therefor
US10380955B2 (en) 2014-07-09 2019-08-13 E Ink California, Llc Color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s therefor
US10147366B2 (en) 2014-11-17 2018-12-04 E Ink California, Llc Methods for driving four particle electrophoretic display
US11256125B2 (en) * 2015-02-16 2022-02-22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sheet, image source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160238863A1 (en) * 2015-02-16 2016-08-18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sheet, image source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180128959A1 (en) * 2015-02-16 2018-05-10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sheet, image source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11635562B2 (en) * 2015-02-16 2023-04-25 Dai Nippon Printing Co., Ltd. Image source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751566B2 (ja) * 2016-02-15 2020-09-09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光透過方向制御シート
US10386567B2 (en) * 2016-05-16 2019-08-20 Keiwa Inc. Optical shee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of optical shee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7218716A1 (en) * 2016-06-14 2017-12-21 Tang Paul E Light ray concentrator
CN108735912A (zh) * 2017-04-18 2018-11-02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
TWI731139B (zh) * 2017-08-08 2021-06-21 日商信越聚合物股份有限公司 光透過方向控制片
CN107632446A (zh) * 2017-09-21 2018-01-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结构、方法及电子设备
CN107592759A (zh) * 2017-09-28 2018-01-16 南京宝丽晶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安装的可透视控制板
KR102520718B1 (ko) 2017-10-19 202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7643632A (zh) * 2017-10-30 2018-01-30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装置
TWI682787B (zh) 2017-11-14 2020-01-21 美商伊英克加利福尼亞有限責任公司 包含多孔導電電極層之電泳主動遞送系統
JP7087368B2 (ja) * 2017-12-13 2022-06-21 船井電機株式会社 空中像表示装置
CN108445673A (zh) * 2018-03-02 2018-08-24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光学膜结构及背光组件
KR20200058643A (ko) * 2018-11-19 2020-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CN109524568B (zh) * 2018-12-10 2021-09-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9445173B (zh) * 2019-01-02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防窥膜及其制作方法、显示模组
KR102418663B1 (ko) 2019-01-29 2022-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야각 보상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938214B2 (en) 2019-11-27 2024-03-26 E Ink Corporation Benefit agent delivery system comprising microcells having an electrically eroding sealing layer
KR102279017B1 (ko) * 2019-12-17 2021-07-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프라이버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1028676A (zh) * 2019-12-25 2020-04-17 业成光电(无锡)有限公司 触控屏、盖板及其制备方法
FR3111452B1 (fr) 2020-06-11 2023-01-06 Sangle Ferriere Bruno Procédé de protection automatique d’un objet, d’une personne ou d’une information ou œuvre visuelle vis-à-vis d’un risque d’observation non désirée
CN111969125B (zh) 2020-08-26 2022-1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车载显示器
US11934063B2 (en) 2022-02-07 2024-03-19 Apple Inc. Adaptive exterior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1898A (en) * 1983-03-17 1986-11-11 Allied Corporation Directional optical filter
US4573764A (en) * 1983-12-30 1986-03-04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Rear projection screen
JP3606636B2 (ja) * 1995-06-07 2005-01-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レンズシート、面光源及び表示装置
JP4212697B2 (ja) * 1998-12-18 2009-01-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用反射材及び反射型ディスプレイ装置
DE19923226A1 (de) * 1999-05-20 2000-11-23 Zumtobel Staff Gmbh Optisches Element mit Mikroprismenstruktur zur Umlenkung von Lichtstrahlen
US6822792B2 (en) * 2001-05-14 2004-11-23 Dai Nippon Printing Co., Ltd. Sheet for use for projection screen, light diffusion sheet and projection screen
JP4136339B2 (ja) 2001-08-06 2008-08-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JP2003057416A (ja) * 2001-08-10 2003-02-26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拡散シート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JP5027969B2 (ja) 2001-08-27 2012-09-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二次元視野拡大部材の製造方法
JP4170677B2 (ja) 2002-06-07 2008-10-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
JP2004110002A (ja) 2002-08-29 2004-04-08 Dainippon Printing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用の拡散シート及び透過型スクリーン
JP4142568B2 (ja) 2003-12-19 2008-09-0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光学素子および該光学素子を用いるカラー表示装置
WO2006030823A1 (ja) * 2004-09-15 2006-03-23 Dai Nippon Printing Co., Ltd. 視野角制御シート及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73076A (zh) 2011-05-25
JP2005338270A (ja) 2005-12-08
CN1806187A (zh) 2006-07-19
US20060245060A1 (en) 2006-11-02
WO2005116698A1 (ja) 2005-12-08
KR20080031445A (ko) 2008-04-08
KR20060055476A (ko) 2006-05-23
US7686463B2 (en) 2010-03-30
US20100002306A1 (en)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1447A (ko) 시야각 제어 시트
JP5471821B2 (ja) 視野角制御シート
JP4536626B2 (ja) 表示装置
JP4468121B2 (ja) 視野角制御シートおよび表示装置
JP4788314B2 (ja) 光拡散シート、透過型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8888303B2 (en) Optical sheet controlling external ligh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sheet
US20050237611A1 (en) Transmission screen
JP4481125B2 (ja) 表示装置
TWI676064B (zh) 顯示裝置
WO1996023245A1 (fr) Dispositif d&#39;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KR102118909B1 (ko) 광학 구조체 및 표시 장치
CN107065417A (zh) 拼接屏及背投影单元
WO2010140397A1 (ja) 光出射角調整シート、表示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光出射角調整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0122390A (ja) 光拡散シー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100837486B1 (ko) 시야각 제어 시트 및 표시 장치
JP2009288799A (ja) 表示装置
JP4481149B2 (ja) 表示装置
US6560025B2 (en) Translucent screen
JP5439786B2 (ja) 光拡散シート、液晶映像源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5208895B2 (ja) 表示装置
JP2011027764A (ja) 光拡散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US7440186B2 (en) Screen, a fresnel lens sheet used for the screen, a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creen
JP5169131B2 (ja) 光学シート、及び該光学シートを備える表示装置
JP5387754B2 (ja) 光学シート、及び該光学シートを備え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511

Effective date: 2011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