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1138A - 음향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31138A KR20080031138A KR1020070099481A KR20070099481A KR20080031138A KR 20080031138 A KR20080031138 A KR 20080031138A KR 1020070099481 A KR1020070099481 A KR 1020070099481A KR 20070099481 A KR20070099481 A KR 20070099481A KR 20080031138 A KR20080031138 A KR 200800311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plug
- output
- unit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5—Methods, e.g. algorithms; Devices
- G10K11/17857—Geometric disposition, e.g. placement of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10K11/1782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the input signals only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3—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handling or detecting of non-standard events or conditions, e.g. changing operating modes under specific operating conditions
- G10K11/17833—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handling or detecting of non-standard events or conditions, e.g. changing operating modes under specific operating conditions by using a self-diagnostic function or a malfunction prevention function, e.g. detecting abnormal output level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5—Methods, e.g. algorithms; Devices
- G10K11/17853—Methods, e.g. algorithms; Devices of the filter
- G10K11/17854—Methods, e.g. algorithms; Devices of the filter the filter being an adaptive filter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7—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 G10K11/17873—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using a reference signal without an error signal, e.g. pure feedforward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7—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 G10K11/17885—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additionally using a desired external signal, e.g. pass-through audio such as music or speech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08—Communication systems, e.g. where useful sound is kept and noise is cancelled
- G10K2210/1081—Earphones, e.g. for telephones, ear protectors or heads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음향 장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구비하는 다극 플러그를 지지하는 커넥터로서, 음성 집음부의 입력 단자와 노이즈 캔슬링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복수의 커넥터 단자를 갖고 있는 커넥터;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를 연결하는 음성 신호 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노이즈 캔슬링 신호 및 재생 음성 신호를 합성해서 생성된 합성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 상기 음성 신호 라인에 결선되어, 해당 음성 신호 라인을 통해서 음성 집음부에 기준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 라인의 전압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다극 플러그의 삽입 또는 이탈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다극 플러그의 이탈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의 출력을 억제하고, 상기 다극 플러그의 삽입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출력 억제를 해제하는 억제부를 구비한다.
데이터 기록 매체, 스위치 소자, 신호 처리부, 음성 집음부, 코드 접속부
Description
<관련 참고 문헌>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전문을 참조로서 인용하고 있는 2006년 10월 3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 출원 제JP 2006-272204호, 제JP 2006-272205호 및 제JP 2006-272206호에 관련된 서브젝트 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음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노이즈-캔슬링(noise-canceling) 장치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이 있다. 이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은 유저 주변의 노이즈를 집음하여 인버트(invert)한 다음 이를 드라이버 유닛으로부터 헤드폰에 제공하여 이 노이즈를 캔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02-330485호 참조).
이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은 플러그 단자가 위에 배치되어 있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있다.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와 스피커 출력 단자가 플러그-이탈 삽입(plug-pulling insertion)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면, 플러그가 커넥터로부터 이탈될 때 플러그측의 스피커 출력 단자가 커넥터 측의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 에 접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피커로부터의 출력의 일부가 마이크에 귀환하게 되기 때문에 발진(소위 하울링(howling))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이 연결되어 있는 음향 장치는 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스위치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음향 장치는 케이블 내의 신호 라인에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하며, 이 스위치의 막대 형상 스위치 레버는 플러그 이탈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플러그가 잭에 삽입될 때 스위치 레버의 선단부가 잭의 끝면에 맞닿는다. 플러그가 잭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이 끝면이 스위치 레버를 밀어내어 스위치가 개방된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H5-31161호 참조).
또한, 음향 장치는 헤드폰이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F-형 커넥터용 연결 검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음향 장치는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이 음향 장치에 연결될 때 다른 섹션에 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마이크로폰이 없는 일반 헤드폰이 음향 장치에 연결될 때 특정 섹션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06-164669호 참조).
그러나, 상기 스위치 시스템은 스위치용 스페이스와, 해당 스위치용 레버의 가동 스페이스를 포함하기 때문에, 음향 장치는 사이즈가 커질 수 있다.
한편, 헤드폰의 하우징 내에 노이즈를 캔슬링하기 위한 전자 회로를 포함하는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사이즈를 줄이기가 어렵다.
또한, F-형 커넥터용의 상기 연결 검출 시스템은 F-형 커넥터측의 부가적인 검출 단자와 검출 단자용의 검출 회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음향 장치의 사이즈가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음향 장치, 이 장치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헤드폰, 노이즈 저감 시스템, 입력 스위칭 장치 등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있어서, 음향 장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구비하는 다극(multipolar) 플러그를 지지하는 커넥터로서, 음성 집음부의 입력 단자와 상기 음성 집음부의 입력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에 대한 역위상의 노이즈 캔슬링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다수의 커넥터 단자를 갖는 커넥터;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를 연결하는 음성 신호 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노이즈 캔슬링 신호 및 재생 음성 신호를 합성해서 생성된 합성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 상기 음성 신호 라인에 결선되어, 해당 음성 신호 라인을 통해서 음 성 집음부에 기준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 라인의 전압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다극 플러그의 삽입 또는 이탈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및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다극 플러그의 이탈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의 출력을 억제하고, 상기 다극 플러그의 삽입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출력 억제를 해제하는 억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음성 집음부의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에 대한 역위상의 노이즈 캔슬링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다수의 커넥터 단자를 갖는 대응 커넥터에 대해서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구비하는 다극 플러그의 삽입 또는 이탈에 응답하여 음성 신호의 출력을 억제하는 출력 억제 방법은,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를 결선하는 음성 신호 라인에 결선되어, 해당 음성 신호 라인을 통해서 음성 집음부에 기준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 라인의 전압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다극 플러그의 삽입 또는 이탈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상기 검출 단계에서 상기 다극 플러그의 이탈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음성 신호 라인 위에 설치된 신호 증폭부로부터의 출력을 억제하고, 상기 다극 플러그의 삽입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해당 출력을 억제하지 않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음성 집음부의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에 대한 역위상의 노이즈 캔슬링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다수의 커넥터 단자를 갖는 대응 커넥터에 대해서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구비하는 다극 플러그의 삽입 또는 이탈에 응답하여 음성 신호의 출력을 억 제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를 결선하는 음성 신호 라인에 결선되어, 해당 음성 신호 라인을 통해서 음성 집음부에 기준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 라인의 전압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다극 플러그의 삽입 또는 이탈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상기 검출 단계에서 상기 다극 플러그의 이탈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음성 신호 라인 위에 설치된 신호 증폭부로부터의 출력을 억제하고, 상기 다극 플러그의 삽입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해당 출력을 억제하지 않는 제어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음성 집음부에 의해 집음된 노이즈 신호를 인버트시키고, 인버트된 저감 신호를 음성 출력부로부터 출력시켜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한 전기 회로를 구비한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헤드폰이,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전기 회로의 전기 특성의 변동을 조정하는 동안 상기 음성 집음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의 음향 특성의 변동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전자기기의 상기 전기 회로와 상기 음성 출력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노이즈 저감 시스템이 음성 집음부 및 음성 출력부를 구비하는 헤드폰; 및 상기 음성 집음부에 의해 집음된 노이즈 신호를 인버트하여 인버트된 저감 신호를 상기 음성 출력부로부터 출력시켜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한 전기 회로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전기 회로의 전기 특성의 변화를 조정하는 제1 조정부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헤드폰은 상기 음성 집음부와 상기 음성 출력부의 음향 특성의 변화를 조정하는 제2 조정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입력 스위칭 장치는, 다극 플러그를 지지하는 커넥터 상에 설치된 커넥터 단자들 중 입력 기기에 연결된 플러그 단자에 대응하는 커넥터 단자에 결선된 신호 입력 라인과, 상기 신호 입력 라인을 통해서 상기 입력 기기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 라인과의 사이에 설치된 저항; 상기 신호 입력 라인에 결선되어, 해당 신호 입력 라인의 전압변화를 관찰하여 상기 다극 플러그의 접속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전압 공급 라인측의 접속점과, 상기 전압 공급 라인에 배치된 상기 전압을 조정하는 조정 저항 사이에 설치된 개방 스위치; 및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다극 플러그의 접속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개방 스위치를 폐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입력 스위칭 방법은, 다극 플러그를 지지하는 커넥터에 배치된 복수의 커넥터 단자 중, 소정의 입력 기기에 접속되는 한 플러그 단자에 대응하는 커넥터 단자에 결선된 신호 입력 라인의 전압변화를 관찰해서 상기 다극 플러그의 접속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제어하는 검출 제어 단계; 및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응답하여, 전압 공급 라인으로부터 상기 신호 입력 라인을 통해서 상기 입력 기기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전압 공급 라인 상에 배치된 조정 저항과, 상기 전압 공급 라인 및 상기 신호 입력 라인간에 설치된 저항의 접속점으로 상기 전압 공급 라인측에 있는 접속점 사이에 설치된 개방 스위치를 폐쇄하는 개방 스위치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다극 플러그를 지지하는 커넥터에 배치된 복 수의 커넥터 단자 중, 소정의 입력 기기에 접속되는 한 플러그 단자에 대응하는 커넥터 단자에 결선된 신호 입력 라인의 전압변화를 관찰해서 상기 다극 플러그의 접속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제어하는 검출 제어 단계; 및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응답하여, 전압 공급 라인으로부터 상기 신호 입력 라인을 통해서 상기 입력 기기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전압 공급 라인상에 배치된 조정 저항과, 상기 전압 공급 라인 및 상기 신호 입력 라인간에 설치된 저항의 접속점으로 상기 전압 공급 라인측에 있는 접속점 사이에 설치된 개방 스위치를 폐쇄하는 개방 스위치 제어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음향 장치, 출력 억제 방법 및 이의 기록 매체에서는, 커넥터로부터 플러그가 이탈될 경우, 음성 신호 라인 위로 설치된 신호증폭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이 억제된다. 커넥터로부터 플러그가 이탈될 경우, 커넥터의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와 플러그의 스피커 출력 단자가 접촉한 경우에도, 음성 신호 라인으로부터의 출력이 귀환되지 않는다. 이 결과, 발진(소위 하울링)이 방지된다.
또, 플러그의 연결은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에 공급되는 전압변화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따라서, 스위치 레버를 설치하는 일 없이, 음성 신호 라인 위로 설치된 신호증폭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은 다극 플러그가 스위치 제어용의 임의 수단을 포함하지 않을지라도 플러그의 삽입 및 이탈을 검출해서 하울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 서, 음향 장치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헤드폰의 경우, 이 헤드폰은 음향 집음부와 음향 출력부의 음향 특성에 관한 변화를 조정하는 조정부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사이즈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와 헤드폰에 관한 변화는, 전자기기의 전자 회로와 음향 출력부 사이에 설치된 조정부에 의한 조정에 의해 완전히 억제된다. 이로 인해 노이즈 캔슬링 능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헤드폰을 이용하기가 쉬워진다.
상기 노이즈 저감 시스템의 경우, 전자기기의 전기 특성과 헤드폰의 음향 특성은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저감 시스템은 헤드폰이 임의 전자기기와 함께 이용될지라도 노이즈를 적절하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저감 시스템을 이용하기가 쉬워진다.
상기 입력 스위칭 장치, 입력 스위칭 방법 및 이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의 경우, 개방 스위치가 닫혀있지 않은 경우 저항을 통해서 전압 신호 라인으로부터 신호 입력 라인에 공급된 전압의 변화를 관측해서 다극 플러그의 연결을 검출한다. 한편, 개방 스위치가 닫혀 있는 경우, 신호 입력 라인과 전압 공급선 간의 저항 및 조정 저항이 전압을 나누어서 최종 기준 전압을 입력 기기에 제공하면 입력 기기는 입력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즉, 신호 입력 라인은 또한 다극 플러그의 연결을 검출하기 위한 라인의 역할도 한다. 따라서, 다극 플러그는 다극 플러그의 연결을 검출하기 위한 부가적인 단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입력 스위치 장치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속성, 원리 및 이용은 동일 부분에 동일한 참조 번호 및 문자가 병기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1) 제1 실시예
(1-1) 휴대 음악 플레이어의 외관 구성
도 1은 음향 신호(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록 매체로서 하드 디스크를 포함하는 휴대 음악 플레이어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다. 이 휴대 음악 플레이어(1)는 유저가 한 손으로 쥘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라운딩을 띤 직방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휴대 음악 플레이어(1)의 하우징 표면에는, 각종 조작 버튼이나 표시부(DP)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휴대 음악 플레이어(1)의 소정 위치에는 잭(JAK)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잭(JAK)에는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EP1 및 EP2)의 플러그(PLG)가 접속되어 있다. 플러그(PLG)는 코드(CD)를 통해 이어폰(EP1 및 EP2)에 접속되어 있다. 이어폰(EP1 및 EP2)은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이어폰(EP1 및 EP2)는 또한 "마이크로폰-부착 이어폰"이라 불리기도 한다).
마이크로폰-부착 이어폰(EP1 및 EP2)의 플러그(PLG)는 휴대 음악 플레이어(1)의 잭(JAK)에 삽입하거나 잭(JAK)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또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있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잭(JAK)에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다.
(1-2) 플러그 및 잭의 구성
플러그(PLG) 및 잭(JAK)을 표준 미니 플러그 규격에 기초해서 이하 설명한다.
(1-2-1) 플러그의 구성
플러그(PLG)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체(11), 제1 절연체(12), 제2 도체(13), 제2 절연체(14), 제3 도체(15), 제3 절연체(16), 제4 도체(17), 제4 절연체(18) 및 제5 도체(19)를 포함한다.
제1 도체(11), 제2 도체(13), 제3 도체(15), 제4 도체(17) 및 제5 도체(19)는 전기적으로 도전성이 높은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며, 제1 절연체(12), 제2 절연체(14), 제3 절연체(16) 및 제4 절연체(18)는 수지 재료 등의 도전성을 가지지 않는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제1 도체(11)는 좌(또는 우) 스피커의 단자로서 설계될 수 있는 한편, 제2 도체(13)는 우(또는 좌) 스피커의 단자로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3 도체(15)는 그라운드 단자로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4 도체(17)는 좌 (또는 우) 마이크로폰의 단자로서 설계될 수 있고, 제5 도체(19)는 우(또는 좌) 마이크로폰의 단자로서 설계될 수 있다.
제1 도체(11)는 거의 환 축(a circular rod)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체(11)는 대직경 전극부(11a)와 소직경의 끼워 맞춤부(mating section;11b)를 가지고 있다. 제1 도체(11)는 전극부(11a)와 끼워 맞춤부(11b)의 사이에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1c)를 포함한다. 끼워 맞춤부(11b)의 플랜지부(11c)와 반대 측의 끝 부분에는 코드 접속부(11d)가 설치되어 있다.
전극부(11a)의 외주면은 끼워 맞춤부(11b)에 접근함에 따라서 중심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11e)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11b)의 횡측은 길이가 전극(11a)보다 길다. 코드 접속부(11d)의 직경은 전극부(11a)의 직경보다 작고 끼워 맞춤부(11b)의 직경보다는 크게 되어 있다.
제1 절연체(12)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절연체(12)의 축방향의 일단부에 있는 대직경부(12a)의 직경은 소직경부(12b)보다 크다. 대직경부(12a)는 소직경부(12b)보다 두껍다. 소직경부(12b)의 축 방향의 다른 단부에 있는 돌출부(12c)는 외측에 약간 돌출되어 있다. 대직경부(12a)와 돌출부(12c)의 사이에 있어서의 소직경부(12b)의 외면측에는 얕은 끼워 맞춤 오목부(12d)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절연체(12)가 제1 도체(11)를 덮는 것과 같이, 제1 절연체(12)는 제1 도체(11)의 끼워 맞춤부(11b) 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대직경부(12a)의 외주면은 플랜지부(11c)의 외주면과 방사 방향으로 일치되어 있다. 제1 도체(11)의 전극부(11a), 플랜지부(11c) 및 코드 접속부(11d) 는 노출되어 있다.
제2 도체(13)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도체(13)는 대직경의 전극부(13a)와 소직경의 끼워 맞춤부(13b)를 가지고 있다. 제2 도체(13)는 전극부(13a)와 끼워 맞춤부(13b)를 연결하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13c)를 포함하고 있다. 제2 도체(13)는 그의 일 단부에 끼워 맞춤부(13b)와 연결부(13c)를 가지고 있는 한편 반대 측의 끝 부분에는 코드 접속부(13d)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도체(13)가 제1 절연체(12)를 덮도록 제2 도체(13)는 제1 절연체(12) 내 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제2 도체(13)는 대직경부(12a)의 일 단부가 노출되도록 대직경부(12a)를 커버하고 있다. 더구나, 끼워 맞춤부(13b) 및 연결부(13c)는 끼워 맞춤 오목부(12d)에 결합되어, 끼워 맞춤부(13b)의 외주면이 돌출부(12c)의 외주면과 방사 방향에 있어서 일치되어 있다. 따라서, 대직경부(12a)의 일부와 돌출부(12c)가 노출되어 있다.
제2 절연체(14)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절연체(14)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있는 대직경부(14a)의 직경은 소직경부(14b)의 직경보다 크다. 대직경부(14a)의 두께는 소직경부(14b)보다 크다. 대직경부(14a)의 반대측의 끝부 또는 소직경부(14b)의 다른 끝부에는 바깥으로 약간 돌출된 돌출부(14c)가있다. 대직경부(14a)와 돌출부(14c)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2 절연체(14)의 외면측에는 얕은 끼워 맞춤 오목부(14d)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절연체(14)가 제2 도체(13)를 덮는 것과 같이, 제2 절연체(14)는 제2 도체(13)의 끼워 맞춤부(13b) 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대직경부(14a)의 외주면이 전극부(13a)의 외주면과 방사 방향으로 일치되어 있다. 제2 도체(13)의 전극부(13a)와 코드 접속부(13d)는 노출되어 있다.
제3 도체(15)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도체(15)는 대직경의 전극부(15a)와 소직경의 끼워 맞춤부(15b)를 가지고 있다. 제3 도체(15)는 도체(15a)와 끼워 맞춤부(15b)를 연결하는 원환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15c)를 포함하고 있다. 제3 도체(15)는 끼워 맞춤부(15b)와 연결부(15c)를 한쪽 끝에 가지고 있는 한편, 반대측의 끝부에는 코드 접속부(15d)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도체(15)가 제2 절연체(14)를 덮도록 제3 도체(15)는 제2 절연체(14)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제3 도체(15)는 끼워 맞춤 오목부(14d)에 결합되어, 전극부(15a)의 외주면이 대직경부(14a)의 외주면과 방사 방향으로 일치되어 있고 끼워 맞춤부(15b)의 외주면이 돌출부(14c)의 외주면과 방사 방향으로 일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절연체(14)의 대직경부(14a)와 돌출부(14c)가 노출되어 있다.
제3 절연체(16)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절연체(16)는 제3 절연체(16)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 상의 대직경부(16a)와 대직경부(16a)에 인접하는 소직경부(16b)를 포함한다. 제3 절연체(16)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에는 소직경부(16b)보다 외부 직경이 큰 돌출부(16c)가 설치되어 있다. 대직경부(16a)와 돌출부(16c)는 소직경부(16b)보다 두께가 두껍다. 대직경부(16a)와 돌출부(16c)의 사이에는 제3 절연체(16)의 외면측상에 얕은 끼워 맞춤 오목부(shallow mating concave section:16d)가 형성되어 있다.
제3 절연체(16)는, 대직경부(16a)와 돌출부(16c)의 외주면이 전극부(15a)의 외주면과 방사 방향에 있어서 일치되도록 제3 도체(15)의 끼워 맞춤부(15b)에 삽입되어 있다. 그 결과, 제3 도체(15)의 전극부(15a)와 코드 접속부(15d)가 노출되어 있다.
제4 도체(17)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4 도체(17)는 전극부(17a)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극부(17a)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제4 도체(17)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으로 돌출하는 원환 형상의 돌기부(17b)가 있다. 전극부(17a)의 일부는 코드 접속부(17c)로서 설치되어 있다.
제4 도체(17)는 제3 절연체(16)의 끼워 맞춤 오목부(16d)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전극부(17a)의 외주면은 대직경부(16a)의 외주면 및 돌출부(16c)의 외주면과 방사 방향에 있어서 일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3 절연체(16)의 대직경부(16a)와 돌출부(16c)는 노출되어 있다.
제4 절연체(18)는 도체 부착부(20) 및 연장부(21)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도 4 및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 부착부(20)는 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체 부착부(20)는 본체부(20a)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부(20a)의 길이 방향의 한 단부에는 본체부(10a)의 짧은 방향을 따라서 양측에 돌출된 돌출부(20b 및 20b)가 있다. 본체부(20a)의 짧은 방향을 따라서는 도체 부착홈(20c)이 연장되어 있는 한편, 도체 부착홈(20c)이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는 본체부(20a)의 짧은 방향을 따라 끼워 맞춤 홈(20d)이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21)는 도체 부착부(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 면에서 돌출부(20b 및 20b)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4 절연체(18)는 제3 절연체(14)의 대직경부(14a)로부터 돌출부(14c)까지 걸치는 부분인 도체 부착부(20)의 외주 면의 일부에 부착되어 있다. 연장부(21)는 제3 도체(15)의 코드 접속부(15d)로부터 제1 절연체(12)의 돌출부(12c)까지 걸치는 부분인 도체 부착부(20)의 외주 면의 일부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끼워 맞춤 홈(20d)에는 제4 도체(17)의 돌기부(17b)가 끼워 맞춰져 있어, 도체 부착부(20)가 연장부(21)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제5 도체(19)는 긴 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5 도체(19)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규제 돌기(19a 및 19a)를 가지고 있다. 규제 돌기(19a 및 19a)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규제 돌기(19a 및 19a)는 기준으로서 존재하고 제5 도체(19)의 한 단부는 삽입부(19b)이고 다른 단부는 코드 접속부(19c)이다. 삽입부(19b)의 한 단부는 코드 접속부(19c)이며 그의 다른 단부는 삽입부(19b)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접속 돌기부(19d)를 가지고 있다.
제5 도체(19)의 삽입부(19b)는 도체 부착홈(20c)에 삽입된다. 이러한 식으로, 제5 도체(19)는 제4 절연체(18)에 부착된다(도 3). 또한, 규제 돌기(19a 및 19a)는, 코드 접속부(19c)가 연장부(21)의 외주 측으로부터 이격해서 위치되도록 본체부(20a)의 일단 면에 접한다(도 4).
이러한 식으로 플러그(PLG)가 구성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체(11)의 코드 접속부(11d), 제2 도체(13)의 코드 접속부(13d), 제3 도체(15)의 코드 접속부(15d), 제4 도체(17)의 코드 접속부(17c) 및 제5 도체(19)의 코드 접속부(19c)는, 대응하는 접속 코드(CDa, CDb, CDc, CDd 및 CDe)에 각각 접속되거나 납땜 접속된다.
접속 코드(CDa, CDb, CDc, CDd 및 CDe)의 타단은, 마이크로폰-부착 이어폰(EP1)(도 1)의 좌 스피커(SK1)(도 1), 마이크로폰-부착 이어폰(EP2)(도 1)의 우 스피커(SK2)(도 1), 마이크로폰-부착 이어폰(ER1 및 ER2)의 그라운드 단자(도시 생략), 마이크로폰-부착 이어폰(EP1)(도 1)의 좌 마이크로폰(MC1)(도 1), 및 마이크로폰-부착 이어폰(EP2)(도 1)의 우 마이크로폰(MC2)(도 1)에 각각 접속된다.
한편, 접속 코드(CDa, CDb, CDc, CDd 및 CDe)는, 제4 도체(17)의 돌기부(17b)로부터 제1 도체(11)의 코드 접속부(11d)에 까지 걸치는 커버(10)에 의해 덮여진다. 이러한 식으로, 코드 접속부(11d, 13d, 15d, 17c 및 19c)는 덮어진다( 도 2).
(1-2-2) 잭의 구성
다음에는 이 플러그(PLG)가 삽입되어 있는 잭(JAK)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잭(JAK)은 휴대 음악 플레이어(1)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하우징(24)을 갖고 있다.
하우징(24)은 한 단부가 개구된 플러그 삽입구(24a)를 갖고 있다. 플러그 삽입구(24a)의 다른 단부로부터는 5개의 단자편(25)이 돌출해 있다. 단자편(25)은 휴대 음악 플레이어(1)의 전자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4)의 내부에는, 제1 접속 단자(26), 제2 접속 단자(27), 제3 접속 단자(28), 제4 접속 단자(29) 및 제5 접속 단자(30)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속 단자(26)(도 9)는, 잭(JAK)의 내면에 따라 배치된 베이스부(26a)와, 베이스부(26a)가 플러그 삽입구(24a) 주위에서 절첩된 후 베이스부(26a)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단부(26b)와, 베이스부(26a)로부터 이격되게 베이스 단부(26b)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되어 있는 판 스프링부(26c)를 포함하고 있다. 판 스프링부(26c)의 상단에는 접속부(26d)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접속 단자(27)(도 10)는, 잭(JAK)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 단 부(27a)와, 잭(JAK)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베이스 단부(27a)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된 판 스프링부(27b)를 포함한다. 판 스프링부(27b)의 상단에는 접속부(27c)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27c)는 제1 접속 단자(26)의 접속부(26d)보다 플러그 삽입구(24a) 측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있다.
제3 접속 단자(28)(도 9 및 도 10)는, 잭(JAK)의 내면에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 단부(28a)와, 잭(JAK)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베이스 단부(28a)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된 판 스프링부(28b)를 포함한다. 판 스프링부(28b)의 상단에는 접속부(28c)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28c)는 제2 접속 단자(27)의 접속부(27c)보다 플러그 삽입구(24a)측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있다.
제4 접속 단자(29)(도 9 및 도 10)는, 잭(JAK)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 단부(29a)와, 잭(JAK)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베이스 단부(29a)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된 판 스프링부(29b)를 포함하고 있다. 판 스프링부(29b)의 상단에는 접속부(29c)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29c)는 제3 접속 단자(28)의 접속부(28c)보다 플러그 삽입구(24a) 측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있다. 즉, 접속부(29c)는 플러그 삽입구(24a)의 개구에 인접해 있다.
제5 접속 단자(30)(도 10)는, 잭(JAK)의 내면에 연장되는 베이스 단부(30a)와, 잭(JAK)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해당 베이스 단부(30a)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된 판 스프링부(30b)를 포함하고 있다. 판 스프링부(30b)의 상단에는 접속부(30c)가 설치되어 있다. 플로그 삽입구(24a) 내측의 접속부(30c)는 플러그 삽입구(24a)의 개구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다.
잭(JAK)의 내부에는 스톱퍼 벽(31)이 설치되어 있다(도 10). 스톱퍼 벽(31)은 제5 접속 단자(30)의 판 스프링부(30b)가 스톱퍼 벽(31)과 잭(JAK)의 내면 사이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잭(JAK)의 내부에는 유지용 절연 부재(32)가 설치되어 있다(도 9 및 도 10). 유지용 절연 부재(32)는 플러그 삽입구(24a)의 개구와 반대측의 끝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접속 단자(26), 제2 접속 단자(27), 제3 접속 단자(28), 제4 접속 단자(29) 및 제5 접속 단자(30) 각각의 일부는 유지용 절연 부재(32)에 매설되어서 유지되고, 단자편(25)에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제1 접속 단자(26), 제2 접속 단자(27), 제3 접속 단자(28), 제4 접속 단자(29) 및 제5 접속 단자(30)에는 단자편(25)을 통해서 휴대 음악 플레이어(1)의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1-2-3) 플러그 및 잭의 접속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PLG)가 잭(JAK)의 플러그 삽입구(24a)에 삽입되었을 경우, 제1 도체(11)의 전극부(11a), 제2 도체(13)의 전극부(13a), 제3 도체(15)의 전극부(15a), 제4 도체(17)의 전극부(17a) 및 제5 도체(19)의 접속용 돌기부(19a)는, 대응하는 좌 스피커용의 제1 접속 단자(26)의 접속부(26d), 우 스피커용의 제2 접속 단자(27)의 접속부(27c), 그라운드용의 제3 접속 단자(28)의 접속부(28c), 좌(또는 우) 마이크로폰용의 제4 접속 단자(29)의 접속부(29c) 및 우(또는 좌) 마이크로폰용의 제5 접속 단자(30)의 접속부(30c)에 접속된다.
플러그(PLG)는 제4 도체(17)의 돌기부(17b)가 플러그 삽입구(24a)의 개구의 외측 테두리에 접촉함과 함께 제5 도체(19)의 삽입부(19b)의 일 단면이 스톱퍼 벽(31)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이러한 식으로, 잭(JAK)의 위치가 삽입 방향으로 적절하게 설정된다.
접속부(26d, 27c, 28c, 29c 및 30c)는 베이스부(26b, 27a, 28a, 29a 및 30a)에 대하여 스프링력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어, 전극부(11a, 13a, 15a 및 17a)와 접속용 돌기부(19a)를 밀어낸다.
(1-3) 휴대 음악 플레이어의 회로 구성
다음에는, 휴대 음악 플레이어(1)의 회로 구성을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음악 플레이어(1)는 휴대 음악 플레이어(1)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50)는 조작부(51), 데이터 기록 매체(52), 플러그 검출부(53), 표시부(DP) 및 신호처리부(54)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각종 프로그램이나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ROM(Read Only Memory)과, 해당 CPU의 워크 메모리로서 이용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다.
제어부(50)는 조작부(51)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데이터와, ROM에 기억된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기록 매체(52), 표시부(DP) 및 신호처리부(54)를 제어하기 위해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조작부(51)는 휴대 음악 플레이어(1)의 하우징 표면에 설치된 각종 조작 버튼의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것을 제어부(50)에 송출한다.
데이터 기록 매체(52)는, 예를 들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이다. 데이터 기록 매체(12)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D1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표시부(DP)는, 예를 들면, FL(Fluorescent Lamp)로서 휴대 음악 플레이어(1)의 하우징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도 1). 표시부 DP는 제어부(50)에 의해 생성된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재생 내용, 현시점에서 지정되어 있는 재생 모드의 상태,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또는 헤드폰)이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 등에 대한 정보(문자나 도형 등)을 표시한다.
도 14는 표시부(DP)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에 관한 예를 나타낸다. 표시 화면의 좌단에는, 현 재생 음악에 관한 화상(IM) 또는 설정 데이터로서 ROM에 기억된 샘플 화상(도시 생략)이 표시된다. 표시 화면의 중앙 상단에는 현 재생 음악의 타이틀이 표시된다. 표시 화면의 중앙 중단에는 현 재생 음악의 아티스트 명이 표시된다. 표시 화면의 중앙 하단에는 현 재생 음악의 재생 시간이 표시된다. 표시 화면의 오른쪽에는 배터리 용량에 대한 현시점에서의 잔량이 표시된다.
전지 도형의 좌측에는, 리피트 재생 모드를 나타내는 도형 AC1 및 셔플(shuffle) 재생 모드를 나타내는 도형 AC2가 있다. 전지 도형의 상측에는, 서라운드 모드 및 그 모드 번호를 나타내는 도형 AC3가 있다. 유저가 모드를 지정했을 경우에 해당 도형이 표시된다.
한편, 도형 AC3의 상측에는,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또는 헤드폰)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형 AC4가 있다.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또는 헤드폰)이 접속 되었을 경우에, 도형 AC4는 다른 도형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식으로, 표시 화면은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또는 헤드폰)이 접속되어 있음을 주지시킨다.
플러그 검출부(53)는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또는 헤드폰)의 플러그(PLG)가 접속되어 있는지 유무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또는 헤드폰)의 플러그(PLG)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플러그 검출부(53)는, 잭(JAK)에 배치되는 각 접속 단자(26, 27, 28, 29 및 30(예를 들면, 도 9 및 도 10)) 중에서 우 마이크로폰(MC1)에 접속되는 플러그의 단자(18)에 대응하는 단자(마이크로폰 입력 단자)(30)를 통하여, 마이크로폰에 기준전압을 공급하는 신호 라인(이하, 이것을 "전압 공급 라인"이라 부른다)의 전압 변화를 검출한다.
한편,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없거나 또는 마이크로폰이 탑재되지 않은 이어폰(또는 헤드폰)의 표준 미니 플러그가 접속되었을 경우, 플러그의 단자는 잭(JAK)의 각 접속 단자(26, 27, 28, 29 및 30)(예를 들면 도 9 및 도 10) 중에서, 좌우 스피커용의 접속 단자(26 및 27)와 그라운드용의 접속 단자(28)에만 접속된다.
이 경우, 전압 공급 라인의 전압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플러그 검출부(53)는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또는 헤드폰)의 플러그(PLG)가 접속되어있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다.
플러그 검출부(53)는, 이 플러그(PLG)가 삽입 또는 이탈되었음을 검출했을 때, 음성 라인에 설치된 스위치(도시 생략)를 턴오프시켜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또는 헤드폰)으로부터 음성 신호의 입력을 강제적으로 차단한다.
신호처리부(54)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54A)에는 데이터 기록 매 체(52)로부터 재생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D1)가 입력된다. 잭(JAK)에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또는 헤드폰)의 플러그(PLG)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 노이즈 캔슬링 모드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제1 필터 계수가 설정 데이터로서 입력되고, 해당 플러그(PLG)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는 비-노이즈 캔슬링 모드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제2 필터 계수가 설정 데이터로서 입력된다.
DSP(54A)는 제1 또는 제2 필터 계수에 기초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D1)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실행한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D1)가 압축되어 있을 경우, DSP(54A)는 해당 압축 방식에 따른 신장 처리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DSP(54A)는 이 신호에 대해 D/A(Digital/Analog) 변환 처리를 실행하여 좌우 채널에 대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S1)를 생성하고 이를 합성부(54C)에 송출한다.
한편,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또는 헤드폰)의 플러그(PLG)가 잭(JAK)에 삽입되어 있을 경우, 신호처리부(54)의 노이즈 캔슬링 신호 생성부(54B)에는 해당 플러그(PLG)를 통하여 마이크로폰-부착 이어폰(EP1 및 EP2)의 마이크로폰(MC1 및 MC2)(도 1)으로부터 좌우 채널의 음성 신호(S2)가 입력된다.
노이즈 캔슬링 신호 생성부(54B)는 좌우 채널의 음성 신호(S2)를 인버트시키고 그 결과인 노이즈 캔슬링 신호(S1)를 합성부(54C)에 송출한다.
합성부(54C)는, DSP(54A)로부터 공급되는 좌 채널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S1)와 노이즈 캔슬링 신호 생성부(54B)로부터 공급되는 좌 채널의 노이즈 캔슬링 신호(S3)를 합성하고, DSP(54A)로부터 공급되는 우 채널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S1)는 노이즈 캔슬링 신호 생성부(54B)로부터 공급되는 우 채널 노이즈 캔슬링 신호(S3)와 합성한다. 합성된 음성 신호는 음성 출력 신호(S4)로서 신호 증폭부(54D)에 제공된다.
잭(JAK)에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없는 이어폰(또는 헤드폰)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 노이즈 캔슬링 신호 생성부(54B)는 노이즈 캔슬링 신호(S3)를 생성하여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DSP(54A)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S1)는 음성 출력 신호(S4)로서 신호 증폭부(54D)에 제공된다.
신호 증폭부(54D)는 조작부(51)로부터 공급되는 볼륨 제어 명령 데이터에 따라서 합성부(54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출력 신호(S4)를 증폭한다. 증폭된 신호는 잭(JAK)의 접속 단자(26 및 27)(예를 들면 도 9 및 도 10)에 제공된다.
(1-4) 플러그 검출부
(1-4-1) 플러그 검출부의 접속
다음에는 플러그 검출부(53)의 접속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 마이크로폰(MC2)의 플러그의 단자(19)에 대응하는 잭의 단자 (30)(또는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에 결선되는 음성 신호 라인(LNR)은 대응하는 노이즈 캔슬링 신호 생성부(54BR), 합성부(54CR) 및 신호 증폭부(54DR)에 각각 접속된다.
플러그 검출부(53)에 연결된 전압 공급 라인(LNX)은 잭의 단자(또는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30) 및 노이즈 캔슬링 신호 생성부(54BR) 사이의 음성 신호 라 인(LNR)에 결선된다.
좌 마이크로폰(MC1)의 플러그의 단자(17)에 대응하는 잭의 단자(또는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29)에 결선되는 음성 신호 라인(LNL)에는 대응하는 노이즈 캔슬링 신호 생성부(54BL), 합성부(54CL) 및 신호 증폭부(54DL)가 각각 접속된다.
잭의 단자(또는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29)와 노이즈 캔슬링 신호 생성부(54BL) 사이의 음성 신호 라인(LNL)에는 스위치 소자(SW)가 접속된다.
스위치(SW)는 플러그 검출부(53)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W)는 플러그(PLG)가 잭(JAK)에서 이탈하였을 때는 턴 오프되고 플러그(PLG)가 잭(JAK)에 삽입되어 있을 경우는 턴 온된다. 스위치(SW)는 플러그 검출부(53)에 의해 제어된다.
(1-4-2) 플러그 검출부의 구성
다음에는 플러그 검출부(53)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플러그 검출부(53)는 트랜지스터(TR)를 갖고 있으며, 해당 트랜지스터(TR)의 에미터는 전원공급 라인(LNX)에 접속되어 있고, 그의 콜렉터는 저항을 통해서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W)는 저항(R1)과 콜렉터의 사이에 있는 중점에 접속된다.
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저항(R2)을 통해서 에미터에 접속되고, 저항(R3)을 통해서 음성 신호 라인(LNR)에 접속된다.
(1-4-3) 플러그 삽입시에 있어서의 플러그 검출부의 동작
플러그(PLG)가 이탈되어 있을 때,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 및 콜렉터 간에는 전압차가 생기지 않는다. 이는 트랜지스터(TR)가 오프 상태임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전압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스위치(SW)에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스위치(SW)는 오프 상태이다.
잭(JAK)에 플러그(PLG)가 삽입될 때, 플러그(PLG)의 우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19)는 잭(JAK)의 대응 단자(30)에 접속된다. 이 경우, 플러그 검출부(53)에 베이스 전류가 공급되어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 및 콜렉터 간에 전압차가 생긴다. 이는 트랜지스터(TR)이 온 상태임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전압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스위치(SW)에 공급되므로, 스위치(SW)가 온 상태가 된다.
(1-4-4) 플러그 이탈시에 있어서의 플러그 검출부의 동작
플러그(PLG)를 잭(JAK)으로부터 빼어내면, 플러그(PLG)의 우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18)가 잭의 단자(30)로부터 이탈한다. 그 결과, 플러그 검출부(53)에 베이스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 및 콜렉터 간에 전압차가 없어진다. 이는 스위치(SW)가 개방 상태임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전압원으로부터의 전압이 스위치(SW)에 공급되지 않아, 스위치(SW)는 오프 상태가 된다.
(1-4-5) 플러그 검출부의 동작의 요약
이러한 식으로, 전원 공급 라인(LNX )에 결선된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와 컬렉터 간의 전압차가 있는 경우, 스위치(SW)는 폐쇄(즉 턴온)된다. 한편,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 및 콜렉터 간의 전압차가 없을 때, 스위치(SW)는 개방(턴오프)된다.
(1-5) 동작 및 효과
휴대 음악 플레이어(1)의 플러그 검출부(53)는 잭(JAK)의 플러그 삽입구(24a)(도 8)에 근접하는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30)(도 10등)에 접속된 음성 신호 라인(LNR)에 결선된 전압 공급 라인(LNX)의 전압 변화를 감시한다.
따라서, 잭(JAK)으로부터 플러그(PLG)가 이탈될 경우(도 11 및 도 12 참조),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30)로부터 플러그의 단자(18)가 먼저 분리된다. 따라서, 스위치(SW)(도 15)는, 플러그(PLG)의 이탈 직후에, 플러그 검출부(53)에 의해 개방되어, 음성 신호 라인(LNL)이 단락된다.
이에 따라, 잭(JAK)으로부터 플러그(PLG)가 이탈될 때(도 11 및 도 12 참조), 잭(JAK)의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29)가 플러그의 스피커 출력 단자(11 및 13)에 접촉하더라도, 대응하는 신호 라인(LNL)(도 15)으로부터 신호의 출력이 방지된다. 이는 발진(하울링)을 방지해 준다.
잭(JAK)에 플러그(PLG)가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30)는 대응하는 플러그의 단자(18)에 접속되지 않는다. 스위치(SW)는, 잭(JAK)에 대한 플러그(PLG)의 삽입 상태가 불완전할 경우에는, 플러그 검출부(53)에 의해 폐쇄되지 않기 때문에, 음성 신호 라인(LNL)은 단락된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잭(JAK)에 플러그(PLG)을 삽입할 때에(도 11 및 도 12 참조), 잭(JAK)의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29 및 30)와 플러그(PLG)의 스피커 출력 단자(11 및 13)가 접촉하더라도, 대응하는 신호 라인(LNL)(도 15)으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다시 귀환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결과, 발진(하울링)이 방지된다.
또한, 플러그 검출부(53)는 잭(JAK)의 플러그 삽입구(24a)(도 8)의 개구에 인접한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30)(도 10 등)에 공급되는 전압을 감시한다. 따라서, 휴대 음악 플레이어(1)는 스위치 레버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스위치(SW)를 온 오프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휴대 음악 플레이어(1)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검출부(53)(도 16)에서는, 전압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준 전압을 조정하는 조정 저항(R3)(구체적으로는 약 3 kΩ)을 통해서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와 콜렉터 간에 흐르는 베이스 전류에 따라서, 트랜지스터(TR)가 온 오프 동작하도록, 저항(R1 및 R2)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식으로, 조정 저항(R3)은 기준 전압을 조정할 뿐만 아니라 플러그 검출용의 저항으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그 회로구성을 소형화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잭(JAK)의 플러그 삽입구(24a)(도 8)에 인접한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30)에 공급되는 전압 변화를 관측하여, 플러그(PLG)가 삽입되었는지 또는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플러그(PLG)의 삽입 또는 이탈 여부에 응답해서 음성 신호 라인(LNL)이 단락된다. 따라서, 다극 플러그(PLG)는 플 러그(PLG)가 잭(JAK)에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별도의 플러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는 하울링을 방지해 준다. 또한, 휴대 음악 플레이어(1)를 소형화할 수 있다.
(1-6) 다른 실시 형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표준 미니 플러그 규격에 기초하여 플러그(PLG) 및 잭(JAK)이 설계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플러그 및 잭, 예를 들면, 어느 한쪽에 마이크로폰이 탑재된 이어폰(헤드폰)용의 핀 플러그 및 잭,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가 모노럴인(monophonic) 핀 플러그 및 잭 등에 적용될 수도 있다. 커넥터는 핀 대신에 다른 모양이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PLG)의 각 단자의 할당을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할 수 있다: 좌(또는 우) 스피커용의 제1 선(top) 단자, 우(또는 좌) 스피커용의 제2 단자, 그라운드용 제3 단자, 좌(또는 우) 마이크로폰용 제4 단자 및 우(또는 좌) 마이크로폰용 제5 단자(도 2).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러그(PLG)와 잭(JAK)의 단자는 다른 방식으로 할당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 입력이 2채널 이상인 경우, 플러그 검출부(53)는, 커넥터의 삽입구의 개구에 가까운 쪽의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 라인에 결선된 전압공급 라인에 연결되도록 하고, 스위치(SW)는, 커넥터의 삽입구의 개구에서 먼 쪽의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 라인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하면, 전술한 실시 형태인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신호 증폭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억제하는 억제 수단으로서, 음성 신호 라인 위에 설치된 스위치(SW)가 개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식으로, 신호 증폭부(54D)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하거나, 신호 증폭부(54D)에 대한 출력 레벨을 하울링 발생을 방지해 주는 소정 레벨까지 낮출 수도 있다.
더욱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검출부(53)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러그 검출부는 CPU, ROM 및 RAM을 포함하는 컴퓨터일 수 있다. 이 경우에, CPU는 ROM으로부터 읽어낸 프로그램,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한 프로그램 또는 인터넷으로 다운로드한 프로그램을 RAM에 로딩하여 다음과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CPU는 전압 공급 라인의 전압 변화를 관측하여 다극 플러그의 착탈여부를 검출하고, 다극 플러그의 이탈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음성 신호 라인 위에 설치된 신호증폭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억제하고, 다극 플러그의 삽입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억제를 해제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구성으로 휴대 음악 플레이어(1)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구성은 DVD player, MD(Mini Disk) player, CD player, 디지털 카메라,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비디오 카메라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 등의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에 대응하는 커넥터를 가지는 다른 장치들에 적용할 수 있다.
(2) 제2 실시예
(2-1) 노이즈 캔슬링의 기본 원리
도 17을 참조하여 노이즈 캔슬링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유저의 귀에 인접해 있는 마이크로폰(101)은 그 주위에 있는 노이즈(NZ)를 집음한 다음 노이즈(NZ)를 나타내는 노이즈 신호 S101를 필터(102)에 제공한다.
필터(102)는 노이즈 신호 S101의 위상을 인버트한 다음 인버트된 노이즈 신호를 노이즈 저감 신호 S102로서 누산기(103)를 통해서 증폭기(104)에 공급한다. 노이즈(NZ)를 제거하기 위해, 증폭기(104)는 노이즈(NZ)의 진폭 레벨에 따라서 노이즈 저감 신호 S102의 진폭을 증폭한 다음, 그 결과인 노이즈 저감 신호를 스피커(105)에 공급한다. 이는 노이즈(NZ)를 저감시킨다.
한편, 음성원(106)으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 S104는 누산기(103)에 의해서 노이즈 저감 신호 S102와 합성된다. 합성된 신호 S105는 스피커(105)에 공급되고 이 스피커는 저감된 노이즈(NZ)를 갖는 명료한 사운드를 출력한다.
(2-2)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의 전체 구성
상기 원리에 따라서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이 설계된다. 도 18에서, 참조 번호 20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노이즈 저감 시스템(또는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을 나타낸다. 노이즈 저감 시스템(200)은 헤드폰(201) 및 플레이어 장치(202)를 갖추고 있다.
헤드폰(201)은 우 스피커부(203R) 및 좌 스피커부(203L)를 갖고 있다. 우 스피커부(203R)는 우 스피커(SPR)를 갖고 있고 좌 스피커부(203L)는 좌 스피 커(SPL)를 갖고 있다. 우 스피커(SPR)의 하우징의 표면상에는 우 마이크로폰(MCR)이 배치되어 있다. 좌 스피커(SPL)의 하우징의 표면상에는 좌 마이크로폰(MCL)이 배치되어 있다. 우 및 좌 마이크로폰(MCR 및 MCL)은 그들 주위의 노이즈를 집음한다.
헤드폰(201)은 또한 헤드폰(201) 및 플레이어 장치(202)를 연결하는 연결 코드(205)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코드(205)는 분리부(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204)를 포함하며, 이 분리부에서 코드(105)가 2개로 분리되며, 그 중에서 하나는 우 스피커부(203R)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좌 스피커부(203L)에 연결된다. 헤드폰(201)은 유저가 헤드폰(201)을 썼을 때 유저의 가슴 전면에 분리부(204)가 놓이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식으로, 헤드폰(201)의 한 단부는 스피커부(203R) 및 좌 스피커부(203L)를 갖고 있다. 헤드폰(201)의 다른 단부는 연결 코드(205)의 단부에 있는 플러그(206)를 포함한다. 헤드폰(201) 및 플레이어 장치(202)는 플러그(206)를 플레이어 장치(202)의 잭에 삽입함으로써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식으로,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200)이 설계된다.
플레이어 장치(202)는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드 디스크를 포함하는 휴대 음악 플레이어이다. 플레이어 장치(202)의 하우징(202A)의 표면상에는, 예를 들어, 형광 디스플레이인 표시부(207)와, 재생 버튼 및 정지 버튼 등의 다양한 조작 버튼이 배치된다.
(2-3)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의 회로 구성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200)에는, 헤드폰(201)의 연결 코드(205)의 플러그(206)가 플레이어 장치(202)의 잭(2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러그(206)의 단자 T1 내지 T3는 잭(221)의 대응 단자 T4 내지 T6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헤드폰(201)은 플레이어 장치(202)에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헤드폰(201)이 플레이어 장치(2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200)은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는 헤드폰(201)의 우 스피커부(203R)에 관한 노이즈 캔슬링 처리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우 스피커부(203R)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는 좌 스피커부(203L)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헤드폰(201)의 우 마이크로폰(MCR)(좌 마이크로폰(MCL))은 그 주위의 노이즈를 집음하여 그 결과인 노이즈 신호 S201을 단자 T3 및 T4를 통해 플레이어 장치(202)의 필터(222)에 제공한다.
플레이어 장치(202)는 필터(222), 마이크로폰 증폭기(223), 누산기(227), 헤드폰 증폭기(228), 재생부(229), 표시부(217), 조작 버튼(218) 및 제어부(즉, CPU)(233)를 포함하고 있다. CPU(223)는 ROM으로부터 기본 프로그램 및 응용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시켜 다양한 처리를 행한다.
필터(222)는 노이즈 신호 S201를 인버트하여 인버트된 저감 신호 S202를 마이크로폰 증폭기(223)에 공급한다.
마이크로폰 증폭기(223)는 노이즈 저감 신호 S202를 소정 레벨로 증폭한 다음 그 결과인 노이즈 저감 신호 S203을 누산기(227)를 통해 헤드폰 증폭기(228)에 제공한다.
한편, 플레이어 장치(202)는 재생부(229)의 플래시 메모리(231)로부터 음악 데이터 D201를 재생하고 이를 아날로그 음악 재생 신호 S204로 변환하기 위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32)를 제어한다. 누산기(227)는 아날로그 음악 재생 신호 S204와 노이즈 저감 신호 S203을 합성한 다음, 합성된 신호 S205를 헤드폰 증폭기(228)에 제공한다.
헤드폰 증폭기(228)는 합성 신호 S205의 진폭이 노이즈 신호 S201의 진폭과 거의 같게 되도록 합성 신호 S205를 증폭하고, 그 결과인 합성 신호 S206을 잭의 단자 T5 및 플러그의 단자 T2를 통해 우 스피커(SPR)(좌 스피커(SPL))에 제공한다. 이는 노이즈 신호 S201를 저감시켜 준다. 따라서, 우 스피커(SPR)(좌 스피커(SPL))는 명료한 사운드를 유저에게 제공한다.
또한, 플레이어 장치(202)는 제어부(223)가 증폭기(226)의 이득을 디지털식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해주기 위해 마이크로폰 증폭기(223)의 이득 조정부(225)를 제어한다. 사실상, 이득 조정부(225)의 이득 조정 처리는 증폭기(226) 및 헤드폰 증폭기(228)의 이득의 변화를 억제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므로, 플레이어 장치(202)로부터 출력되는 합성 신호 S205를 소정 레벨에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레이어 장치(202)를 공장에서 제조할 때, 작업자는 제어부(233)와 이득 조정부(225)를 제어하여 합성 신호 S205의 이득이 소정 레벨에 유지되도록 이 득을 조정할 수 있다. 이 후에, 이 장치(202)를 구매한 유저는 표시부(217)를 보면서 조작부(218)를 눌러서 증폭기(226)와 헤드폰 증폭기(228)의 이득 변화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헤드폰(201)은 플레이어 장치(202)의 헤드폰 증폭기(228)와 우 스피커(SPR)(좌 스피커(SPL))의 코일(L1)의 사이에 프리-세트 저항(235)을 포함하고 있다. 이 플레이어 장치는 공장에서 제조될 때, 우 스피커(SPR)(좌 스피커(SPL))의 음향 특성과 우 마이크로폰(MCR)(좌 마이크로폰(MCL))의 감도 특성에 관한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 스크류 등으로 프리-세트 저항(235)을 조정한다.
다음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우 스피커(SPR)(좌 스피커(SPL))의 음향 특성과 우 마이크로폰(MCR)(좌 마이크로폰(MCL))의 감도 특성"은 "우 스피커(SPR)(좌 스피커(SPL)) 및 우 마이크로폰(MCR)(좌 마이크로폰(MCL))의 음향 특성"이라 칭하기도 한다.
헤드폰(201)의 프리-세트 저항(235)의 스크류는 유저가 조정을 바꿀 수 없게 스티커로 밀봉되어 있다.
이러한 식으로, 플레이어 장치(202)의 마이크로폰 증폭기(223)의 이득 조정부(225)는 증폭기(226)와 헤드폰 증폭기(228)의 이득의 변화를 조정하고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201)의 프리-세트 저항(235)은 우 스피커(SPR)(좌 스피커(SPL))및 우 마이크로폰(MCR)(좌 마이크로폰(MCL))의 음향 특성에 관한 변화를 조정하고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200)의 각 부는 그들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헤드폰(201)의 프리-세트 저항(235)은 우 마이크로폰(MCR)(좌 마이크로폰(MCL)), 마이크로폰 증폭기(223), 헤드폰 증폭기(228) 및 우 스피커(SPR)(좌 스피커(SPL))을 결선하는 연결 경로 내에 있으며 헤드폰 증폭기(228)와 우 스피커(SPR)(좌 스피커(SPL))와의 사이에 있다. 따라서, 프리-세트 저항(235)은 공장에서 조정할 때 플레이어 장치(202)와 헤드폰(201)의 전체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200)에서, 프리-세트 저항(235)은 플레이어 장치(202)와 헤드폰(201)의 전체 변화를 조정한다. 그 결과, 이는 플레이어 장치(202)의 필터(222)의 변화를 억제하여 헤드폰(201)의 우 스피커부(203R) 및 좌 스피커부(203L)의 음향 특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2-4) 프리-세트 저항의 배열
헤드폰(201)(도 20)에서, 프리-세트 저항(235)은 분기부(204) 내에 배치되어 있고, 이 분기부에서 연결 코드(205)는 우 스피커부(203R)와 좌 스피커부(203L) 용으로 나누어진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분기부(204)가 연결 코드(205)의 플러그(206)(또는 연결 코드(205)의 한 단부)와 좌우 스피커(SPR 및 SPL)의 하우징 표면에 배치된 좌우 마이크로폰(MCR 및 MCL) 사이에서 플러그(206)에 밀접해 있으면, 공장에서 작업자가 프리-세트 저항(235)을 조정할 때 노이즈 등의 영향이 강화되지 않는다.
헤드폰(201)을 착용하였을 때 분기부(204)가 유저의 가슴 앞에 놓이도록 헤드폰(201)이 설계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프리-세트 저항(235)을 조정하기가 용이하 다.
(2-5) 마이크로폰과 스피커의 결합
헤드폰(201)은 우 마이크로폰(MCR), 좌 마이크로폰(MCL), 우 스피커(SPR) 및 좌 스피커(SPL)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구성요소의 감도에 관한 변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 MCa 및 MCb가 있다: 마이크로폰 MCa는 약 0dB 내지 5dB의 감도 변화를 가지고 있는 한편 마이크로폰 MCb는 약 0dB 내지 10dB의 감도 변화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스피커 SPa 및 SPb가 있다: 스피커 SPa는 약 0dB 내지 5dB의 출력 변화를 가지며 스피커 SPb는 약 5dB 내지 10dB의 출력 변화를 갖는다. 헤드폰(201)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폰 MCa 및 MCb와 스피커 SPa 및 SPb 중에서 2개의 요소를 선택해야 한다.
헤드폰(201)의 프리-세트 저항(235)을 0 내지 15 dB의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는 경우, 고감도 마이크로폰 MCb와 고출력 스피커 SPb의 결합(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음)을 선택해서 헤드폰(201)을 생산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조정 범위는 20dB에 달하며, 이는 프리-세트 저항(235)의 조정 범위(15dB)를 넘어선다.
한편, 저감도 마이크로폰 MCa와 저출력 스피커 SPa의 결합(쇄선으로 표시되어 있음)을 선택해서 헤드폰(201)을 생산하면, 최대 조정 범위는 프리-세트 저항(235)의 조정 범위(15dB) 내에 있는 10dB이다.
그러나, 저감도 마이크로폰 MCa와 저출력 스피커 SPa의 결합을 선택하면 이용가능한 구성요소가 많지가 않다. 그 결과 헤드폰(201)을 제조하는 코스트가 낮 은 수득률로 인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폰을 프리-세트 저항(235)의 조정 범위 내에 유지하면서 수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저감도 마이크로폰 MCa와 고출력 스피커 SPb의 결합 또는 고감도 마이크로폰 MCb와 저출력 스피커 SPa의 결합을 선택하여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폰(201)을 생산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조정 범위는 프리-세트 저항(235)의 조정 범위(15dB) 이내인 5 내지 15dB가 된다.
이러한 식으로, 저감도 마이크로폰 MCa와 고출력 스피커 SPb의 결합 또는 고감도 마이크로폰 MCb와 저출력 스피커 SPa의 결합을 선택하여 제조에 이용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수를 증가시켜 수득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프리-세트 저항(235)은 스피커 SPa 및 SPb의 음향 특성과 마이크로폰 MCa 및 MCb의 감도 특성에 관한 변화를 억제한다.
사실, 헤드폰(201)은 저감도 우 마이크로폰(MCR)(좌 마이크로폰(MCL))과 고출력 스피커(SPR)(좌 스피커(SPL))의 결합 또는 고감도 우 마이크로폰(MCR)(좌 마이크로폰(MSL))과 저출력 우 스피커(SPR)(좌 스피커(SPL))의 결합이 선택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2-6) 동작 및 효과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200)은 플레이어 장치(202)의 증폭기(226)와 헤드폰 증폭기(228)의 이득의 변화를 조정 및 억제하는 마이크로폰 증폭기(223)의 이득 조정부(225)를 포함한다. 또한,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200)은 헤드폰(201)의 우 마 이크로폰(MCR)(좌 마이크로폰(MCL))과 우 스피커(SPR)(좌 스피커(SPL))의 음향 특성에 관한 변화를 조정 및 억제하는 프리-세트 저항(235)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식으로, 플레이어 장치(202)는 합성 신호 S206(플레이어 장치(202)로부터의 출력)의 이득을 소정 레벨에 유지하기 위해 조정부(225)를 조정하여 증폭기(226)와 헤드폰 증폭기(228)의 이득을 조정한다.
헤드폰(201)은 헤드폰(201)의 우 마이크로폰(MCR)(좌 마이크로폰(MCL))과 우 스피커(SPR)(좌 스피커(SPL))의 음향 특성에 관한 변화를 조정하기 위해 프리-세트 저항(235)을 이용한다.
따라서, 다량의 헤드폰 세트(201)를 제조하는 제조업자는 이 변화를 억제하여 음향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많은 쌍의 플레이어 장치(202)와 헤드폰(201)이 동시에 생산될지라도, 제조업자는 그들이 생산하는 모든 제품의 노이즈 캔슬링 능력을 보유해야 한다.
공장에서 헤드폰(201)이 플레이어 장치(202)에 연결되었을 때 헤드폰(201)의 프리-세트 저항(235)을 조정하면, 플레이어 장치(202) 및 헤드폰(201)에 관한 전체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제조업자가 많은 세트의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200)(헤드폰(201) 및 플레이어 장치(202))를 생산하더라도, 각 세트는 거의 동일 레벨의 노이즈 캔슬링 능력을 갖게 된다.
또한,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200)에 있어서, 증폭기(226)와 헤드폰 증폭기(228)의 이득(전기 특성)을 조정하는 이득 조정부(225)는 플레이어 장치(202)의 안쪽에 배치된다. 또한, 우 마이크로폰(MSR)(좌 마이크로폰(MCL))과 우 스피 커(SPR)(좌 스피커(SPL))의 음향 특성에 관한 변화를 조정하는 프리-세트 저항(235)은 헤드폰(201)의 분기부(214)에 배치된다. 이는 우 스피커부(203R) 및 좌 스피커부(203L)의 사이즈를 줄여주며 이 시스템의 외관이 노이즈 캔슬링 메카니즘에 대한 어떤 외관 모습을 갖추고 있지 않은 것 같이 된다.
다른 유저의 헤드폰(201)이 플레이어 장치(202)에 연결된다면, 노이즈 캔슬링이 잘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200)은 제어부(223)에 명령을 하달하는 플레이어 장치(202)의 조작 버튼(208)을 통해서 마이크로폰 증폭기(223)의 이득 조정부(225)를 유저가 조정할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다양한 헤드폰(201)이 플레이어 장치(202)에 연결되더라도,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200)의 사이즈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200)은 노이즈를 적절하게 줄일 수 있다. 더욱이,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200)은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2-7) 다른 실시 형태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전형적인 헤드폰(201)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귀걸이형 이어폰, 귀속 삽입형 이어폰, 헤드밴드 또는 넥밴드가 있는 헤드폰 등의 다른 유형의 헤드폰 및 이어폰이 적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 프리-세트 저항(235)은 분기부(204)의 안쪽 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리-세트 저항(235)은 전술한 실시 형태의 레이트와 동일한 레이트로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 플러그(206) 안쪽에 배치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노이즈를 특정 범위로 줄이기 위해 프리-세트 저항(235)을 우 또는 좌 스피커부(203R 또는 203L)의 하우징 내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플레이어 장치(202)는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200)의 일부인 전자기기로서 적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레이어 장치(202) 대신에, 기록 및 재생 장치, 라디오 수신기 또는 증폭 장치(재생부(229)를 포함하지 않는 것)가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노이즈 캔슬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필터(222), 누산기(227) 및 마이크로폰 증폭기(228) 등의 하드웨어 구성요소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터(222), 마이크로폰 증폭기(223), 누산기(227) 및 헤드폰 증폭기(228)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일 수도 잇다. 즉, 제어부(223)는 노이즈 캔슬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ROM으로부터 불러 온 노이즈 저감 프로그램 등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ROM으로부터 불러오는 대신에,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은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될 수 있고 또는 인터넷을 통해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 플레이어 장치(전자 장치)(202)는 이득 조정부(225)로서 마이크로폰 증폭기(223) 내의 이득 조정부(225)를 포함하고 있으며, 헤드폰(201)은 조정 수단 및 제2 조정 수단으로서 우 스피커(SPR)(좌 스피커(SPL)) 이 뒤에 있는 프리-세트 저항(235)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득 조정부(225) 및 프리-세트 저항(235)은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득 조정부(225)는 증폭기(226) 뒤에 있을 수 있고 프리-세트 저항(235)은 우 스피커(SPR)(좌 스피커(SPL)) 뒤에 있을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한다.
(3)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음악 플레이어의 외관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음악 플레이어(1)(도 1)의 외관 구성과 동일하다. 제3 실시 형태의 플러그 및 잭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플러그(PLG) 및 잭(JAK)(도 2 내지 12)의 구성과 동일하다.
(3-1) 휴대 음악 플레이어의 회로 구성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음악 플레이어(1)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도 23의 부분들에는 도 3의 대응 부분들과 동일한 참조 번호 및 도형이 병기되어 있다). 플러그 검출부(53)(도 1) 대신에, 휴대 음악 플레이어(1)는 플러그 검출부(300)를 포함하고 있다.
(3-2) 플러그 검출부의 구성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검출부(300)는 저항(301), 전압 검출 회로(302) 및 스위치(303)를 포함하고 있다.
저항(301)은 우 마이크로폰(MC2)으로부터 음악 신호가 공급되는 단자(마이크로폰 입력 단자)(30)에 연결된 음성 입력 라인(LN1)과, 음성 입력 라인(LN1)에 연 결되는 전압 공급 라인(LN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저항(301)은 전압 공급 라인(LN2) 상에 배치된 조정 저항(RX)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조정 저항(RX)는 우 마이크로폰(MC2)에 인가된 기준 전압을 조정한다.
전압 검출 회로(302)는 음성 입력 라인(LN1)에 연결되어 음성 입력 라인(LN1) 상의 전압 변화를 관측한다.
전압 공급 라인(LN2) 상에 있는 스위치(303)는 저항(301)의 접속점(P1)과 조정 저항(RX) 사이에 배치된다. 스위치(303)는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모드가 실행될 때 개방된다. 스위치(303)는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MC)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입력 모드가 실행될 때는 폐쇄된다.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플러그(PLG)가 접속되어 있지 않고 스위치(303)가 개방(즉, 검출 모드)이면, 단자(마이크로폰 입력 단자)(30)는 개방단이다. 그 결과, 전압은 휴대 음악 플레이어(1)의 전압원으로부터 접속점(P1) 및 저항(301)을 통해 전압 검출 회로(302)에 공급된다.
한편,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고 스위치(303)가 개방(즉, 검출 모드)인 경우, 단자(마이크로폰 입력 단자)(30)는 우 마이크로폰(MC2)에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전압은 휴대 음악 플레이어(1)의 전압원으로부터 접속점(P1), 저항(30) 및 우 마이크로폰(MC2)을 통해 그라운드에 제공된다. 따라서, 전압 검출 회로(302)에 공급되는 전압이 강하된다.
전압 검출 회로(302)는 전압이 하이 레벨(임계)을 초과하는지 또는 로우 레벨(임계) 아래로 떨어지는 여부를 검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전압 검출 회로(302)는, 전압 검출 회로(302)에 제공된 전압이 하이 레벨을 초과하였음을 검출하면,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한편, 전압 검출 회로(302)는, 이 회로에 제공된 전압이 로우 레벨 아래로 떨어졌음을 검출하면,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을 때(즉, 전압 검출 회로(302)에 공급된 전압이 로우 레벨 아래로 떨어졌을 때), 전압 검출 회로(302)는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제어부(50)에 통지하기 위해 연결 통지 데이터(D300)로서 포지티브 펄스(또는 네거티브 펄스)를 생성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저항(301)의 값이, 마이크로폰-부착 이어폰(MC2)의 값에 로우 레벨에 대한 하이 레벨의 비를 곱한 결과(전압 검출 회로(302)의 임계값) 이상이되고 전압 검출 회로(302)의 저항값을 이 레벨 비로 나눈 결과치 이하가 되도록 저항(301)의 값을 결정한다. 사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저항(301)의 값은 100㏀이고, 조정 저항(RX)는 3㏀이다.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을 때,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부착 이어폰(MC2)으로부터 단자(마이크로폰 입력 단자)(30)를 통해서 음성 입력 라인(LN1)에 공급될 수 있다. 그렇지만, 플러그 검출 회로(300)(또는 전압 검출 회로(302))는 음성 입력 라인(LN1)의 전압이 음성 신호 때문에 변할 수 있을 지라도 플러그(PLG)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 노이즈가 단자(마이크로폰 입력 단자)(30)를 통해서 입력될 수 있다. 그렇지만, 플러그 검출부(300)(또는 전압 검출 회로(302))는 음성 입력 라인(LN1)의 전압이 이 노이즈 때문에 변화될지라도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치(303)가 폐쇄되어 있을 때(즉, 음성 입력 모드), 휴대 음악 플레이어(1)의 전압원으로부터 공급된 전압은 저항(301)과 조정 저항(RX)에 의해 나뉘어져서 기준 전압이 마이크로폰-부착 이어폰(MC2)에 제공된다. 단자(마이크로폰 입력 단자)를 통해서 마이크로폰-부착 이어폰(MC2)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라인(LN1)을 통해서 노이즈 캔슬링 신호 생성부(54B)에 공급된다.
이러한 식으로, 검출 모드에서 실행되는 플러그 검출부(300)는 음성 입력 라인(LN1)을 통해서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3-3) 모드 스위치 처리
제어부(50)는 검출 모드를 음성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스위치 처리를 실행한다. 도 25는 모드 스위치 처리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전원이 온일 때, 제어부(50)는 모드 스위치 처리의 절차 RT1을 시작한다. 단계 SP1에서, 제어부(50)는 플러그 검출부(300)(도 24)의 스위치(303)을 개방하여 플러그 검출부(300)가 음성 입력 라인(LN1)(도 24)을 통해서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 의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는지(즉, 검출 모드)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해 준다.
제어부(50)는 계속해서 단계 SP2로 진행한다. 단계 SP2에서, 제어부(50)는 플러그(PLG)가 연결되었다는 사실을 플러그 검출부(300)(도 24)의 전압 검출 회로(302)에 의해 통지받을 때까지 대기한다.
플러그 검출 회로(300)로부터의 연결 통지 데이터(D300)에 기초해서, 제어부(50)는 플러그(PLG)가 연결되었음을 인지하고 다음 단계 SP3로 진행한다. 단계 SP3에서, 제어부(50)는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이 연결되었다는 사실을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해 다른 도형과는 다른 색으로 도형 AC4를 표시부(DP)(도 14) 상의 표시 화면의 소정 위치에 표시한다.
제어부(50)는 계속해서 단계 SP4로 진행한다. 단계 SP4에서, 제어부(50)는 데이터 기록 매체(52)에 저장된 디지털 음성 신호(D1)에 관한 재생 명령을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재생부(50)는, 조작부(51)(도 23)로부터 재생 명령을 수신한 후에, 단계 SP5로 진행하고 플러그 검출부(300)(도 24)의 스위치(303)를 폐쇄하여 음성 신호가 음성 입력 라인(LN1)을 통해 입력되게 해 준다(즉, 음성 입력 모드). 이때, 플러그 검출부(300)에 의한 검출 처리가 정지된다.
제어부(50)는 계속해서 단계 SP6로 진행한다. 단계 SP6에서, 제어부(50)는 DSP(54A)(도 23)에 설정된 디폴트 제2 필터 계수(비-노이즈 캔슬링 모드용임)를 제1 필터 계수(노이즈 캔슬잉 모드용임)로 대체한 다음 모드 스위치 처리의 절차 RT1을 종료한다.
이러한 식으로, 제어부(50)는 검출 모드로부터 음성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3-4) 동작 및 효과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음악 플레이어(1)는 다극 플러그(PLG)에 대응하는 잭(JAK)의 복수의 커넥터 단자(26, 27, 28, 29 및 30)(예를 들면, 도 9 및 도 10)를 포함한다. 저항(301)은 우 마이크로폰(MC2)에 연결된 플러그 단자에 대응하는 커넥터 단자(30)에 연결된 음성 입력 라인(L1)과, 음성 입력 라인(LN1)을 통해서 우 마이크로폰(MC2)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 라인(LN2)의 사이에 배치된다.
휴대 음악 플레이어(1)는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음성 입력 라인(LN1) 상의 전압 변화를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302)를 포함한다. 전압 검출 회로(302)는 음성 신호 라인(LN1)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303)는 전업 공급 라인(LN2)에 밀접해 있는 저항(301)의 한 단부인 접속점(P1)과, 전압 공급 라인(LN2) 상에 설치된 조정 저항(RX)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휴대 음악 플레이어(1)는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다극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전압 검출 회로(302)로부터 통보받고 조작부(51)로부터 재생 명령을 수신할 때까지 스위치(303)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스위치가 개방되어 있을 때, 휴대 음악 플레이어(1)의 전압 검출 회로(302)는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다극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저항(301)을 통해서 전압 공급 라인(LN2)으로부터 음성 입력 라 인(LN1)에 공급된 전압의 변화를 관측한다.
한편, 스위치가 폐쇄되어 있을 때, 저항(301)과 조정 저항(RX)는 전압 공급 라인(LN2)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나누어서, 우 마이크로폰(MC2)에 공급되는 기준 전압을 제공한다. 또한, 우 마이크로폰(MC2)은 음성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휴대 음악 플레이어(1)는 전압을 공급하고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다극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전압 공급 라인(LN2)를 이용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휴대 음악 플레이어(1)는 전압을 공급하고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다극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전압 공급 라인(LN2)를 이용한다. 따라서, 다극 플러그(PLG)는 연결을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단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결과, 휴대 음악 플레이어(1)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3-5) 다른 실시 형태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에서, 플러그(PLG)와 잭(JAK)는 표준 미니 플러그의 규격에 기초하여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핀 플러그 및 핀 잭이 적용될 수도 있다. 커넥터도 핀이 아닌 다른 모양이어도 좋다.
더욱이,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에서, 플러그(PLG)의 단자들의 할당은 다음 식으로 이루어진다: 좌(또는 우) 스피커용 제1 선 단자, 우(또는 좌) 스피커용의 제2 단자, 그라운드용의 제3 단자, 좌(또는 우) 마이크로폰용의 제4 단자 및 우(또는 좌) 마이크로폰용의 제5 단자(도 2).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러그(PLG)와 잭(JAK)의 단자들은 다른 식으로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에서, 스위치(303)(도 24)는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통보받고 조작부(51)로부터 재생 명령을 수신한 후에 폐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위치(303)는 통보받자마자 폐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노이즈가 캔슬된 음성 신호는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음악이 플레이 되고 있을지라도 플러그(PLG)의 대응 단자에 신속하게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플러그 삽입구(24a)(도 8)의 개구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진 단자(30)에 연결된 음성 입력 라인 상의 전압 변화를 검출하는 대신에, 플러그 검출부는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와 같이, 플러그 삽입구(24a)(도 8)의 개구에 비교적 밀접해 있는 단자(29)에 연결된 음성 입력 라인(LN1) 상의 전압 변화를 검출한다. 따라서, 플러그 검출부는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플러그(PLG)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에서, 플러그 검출부는 우 마이크로폰(MC2)에 연결된 플러그의 단자(19)에 대응하는 단자(30)에 연결된 음성 입력 라인의 변압 변화를 관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러그 검출부는 카메라에 연결된 플러그의 단자에 대응하는 단자에 연결된 비디오 입력 라인의 전압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플러그 검출부는 입력 기기의 플러그의 단자에 대응하는 단자에 연결된 입력 라인의 전압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에서, 제어부(50)는 ROM으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서 RAM에 로딩한 다음 이를 실행시켜 모드 스위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도 25).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프로그램은 CD, DVD,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부터 인스톨할 수 있고 또는 인터넷을 통해서 받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에서, 휴대 음악 플레이어(1)는 상기 구성으로 설치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구성은 DVD 플레이어, 미니 디스크(MD)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휴대 전화, PDA, 캠코더, 텔레비전 세트 등의 입력 기기의 플러그에 대응하는 커넥터를 갖추고 있는 다른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4) 제1 및 제3 실시 형태에서의 플러그 검출부
플러그 검출부(53)의 구성(제1 실시 형태)은 플러그 검출부(300)(제3 실시 형태)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결합된 플러그 검출부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도 26의 부분들에는 도 16 및 24의 대응 부분들과 동일한 참조 번호 및 도형이 병기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 음악 플레이어(10)의 제어부(50)는 하울링을 방지할 수 있고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의 플러그(PLG)의 연결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자동차 또는 비행기의 안쪽에서와 같이 노이즈 레벨이 높은 상황에서 이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첨부 청구항들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설계 필요조건 및 팩터에 따라서 다양한 수정, 컴비네이션, 서브-컴비네이션 및 변경을 기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휴대 음악 플레이어의 외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이다.
도 2는 플러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플러그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플러그의 확대 측면도(도 3에 도시된 것과 다른 측면)이다.
도 5는 플러그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플러그의 확대 단면도(도 5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부분)이다.
도 7은 제4 절연체와 제5 도체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잭의 확대 사시도다.
도 9는 IX-IX 선을 따른 잭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X-X 선을 따른 잭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플러그가 잭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플러그가 잭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도 11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부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음악 플레이어의 회로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표시 화면 예를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15는 플러그 검출부의 결선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16은 플러그 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다.
도 17은 노이즈 캔슬링의 기본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선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0은 미리 설정된 저항의 배열을 보여주는 개략 선도이다.
도 21은 마이크로폰과 스피커의 결합 패턴을 보여주는 개략 선도이다.
도 22a 및 22B는 마이크로폰과 스피커의 쌍에 관한 변화를 보여주는 개략 선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음악 플레이어의 회로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4는 플러그 검출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선도이다.
도 25는 모드 스위치 프로세스의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플러그 검출부들의 결합을 보여주는 개략 선도(제1 및 제3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휴대 음악 플레이어
50: 제어부
51: 조작부
52: 데이터 기록 매체
53: 플러그 검출부
53A: 저항
53B: 전압검출 회로
53C: 스위치 소자
54: 신호처리부
54A: DSP
54B: 노이즈 캔슬링 신호 생성부
54C: 합성부
54D: 신호 증폭부
DP: 표시부
AC1∼AC4: 도형
EP1, EP2: 마이크로폰부 이어폰
MC1, MC2: 마이크로폰
SK1, SK2: 스피커
R1∼R3: 저항
Claims (23)
- 음향 장치로서,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구비하는 다극 플러그를 지지하는 커넥터로서, 음성 집음부의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에 대한 역위상의 노이즈 캔슬링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복수의 커넥터 단자를 갖는 커넥터;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를 연결하는 음성 신호 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노이즈 캔슬링 신호 및 재생 음성 신호를 합성해서 생성된 합성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상기 음성 신호 라인에 결선되어, 상기 음성 신호 라인을 통해서 상기 음성 집음부에 기준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 라인의 전압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다극 플러그의 삽입 또는 이탈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다극 플러그의 이탈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의 출력을 억제하고, 상기 다극 플러그의 삽입이 검출되었을 때 출력 억제를 해제하는 억제부를 포함하는 음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신호 증폭부는 한 쌍의 상기 입력 단자와 대응하는 한 쌍의 출력 단자 를 연결하는 상기 음성 신호 라인 위에 설치되어 있고,상기 검출부는 다른 입력 단자보다도 상기 커넥터의 삽입구의 개구에 더 가까운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상기 음성 신호 라인에 결선된 상기 전압 공급 라인의 전압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상기 다극 플러그의 삽입 또는 이탈 여부를 검출하고,상기 억제부는 상기 커넥터의 삽입구의 개구로부터 더 먼 쪽의 상기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상기 음성 신호 라인에 설치된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의 출력을 억제하거나 또는 억제하지 않는 음향 장치.
- 제2항에 있어서,다른 입력 단자보다 상기 커넥터의 삽입구의 개구에 더 가까운 상기 입력 단자는 상기 커넥터 단자들 중 상기 커넥터의 삽입구의 개구에 가장 가까운 단자인 음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억제부는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신호 증폭부의 사이에 설치된 스위치이며,상기 스위치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다극 플러그의 이탈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개방 상태가 되고, 상기 다극 플러그의 삽입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폐쇄 상태가 되는 음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억제부는 상기 신호 증폭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음성 신호 라인에 있어서의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의 출력을 억제하는 음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억제부는 상기 신호 증폭부에 대한 출력 레벨을 소정 레벨 아래로 인하하여, 상기 음성 신호 라인에 있어서의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의 출력을 억제하는 음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검출부는 또한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서 상기 음성 집음부에 공급되는 기준 전압을 조정하는 조정 저항(an adjusting resistance)으로 역할을 하는 음향 장치.
- 음성 집음부의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에 대한 역위상의 노이즈 캔슬링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복수의 커넥터 단자를 갖는 대응 커넥터에 대한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구비하는 다극 플러그의 삽입 또는 이탈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신호의 출력을 억제하는 출력 억제 방법으로서,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를 결선하는 음성 신호 라인에 결선되어, 상기 음성 신호 라인을 통해서 음성 집음부에 기준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 라인의 전압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다극 플러그의 삽입 또는 이탈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상기 검출 단계에서 상기 다극 플러그의 이탈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음성 신호 라인에 설치된 신호 증폭부로부터의 출력을 억제하고, 상기 다극 플러그의 삽입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해당 출력을 억제하지 않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출력 억제 방법.
- 음성 집음부의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에 대한 역위상의 노이즈 캔슬링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복수의 커넥터 단자를 갖는 대응 커넥터에 대한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구비하는 다극 플러그의 삽입 또는 이탈에 응답하여 음성 신호의 출력을 억제하기 위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를 결선하는 음성 신호 라인에 결선되어, 상기 음성 신호 라인을 통해서 상기 음성 집음부에 기준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 라인의 전압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다극 플러그의 삽입 또는 이탈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상기 검출 단계에서 상기 다극 플러그의 이탈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음성 신호 라인에 설치된 신호 증폭부로부터의 출력을 억제하고, 상기 다극 플러그의 삽입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해당 출력을 억제하지 않는 제어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 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음성 집음부에 의해 집음된 노이즈 신호를 인버트시킨 다음, 인버트된 저감 신호를 음성 출력부로부터 출력시켜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한 전기 회로를 구비한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헤드폰으로서,상기 전기 회로의 전기 특성의 변동을 상기 전자기기에서 조정하는 동안, 상기 음성 집음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의 음향 특성의 변동을 조정하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기 전기 회로와 상기 음성 출력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헤드폰.
- 제10항에 있어서,고감도 음성 집음부와 저출력 음성 출력부의 조합 또는 저감도 음성 집음부와 고출력 음성 출력부의 조합이 적용되는 헤드폰.
- 노이즈 저감 시스템으로서,음성 집음부 및 음성 출력부를 구비하는 헤드폰; 및상기 음성 집음부에 의해 집음된 노이즈 신호를 인버트하여 인버트된 저감 신호를 상기 음성 출력부로부터 출력시켜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한 전기 회로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포함하며,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전기 회로의 전기 특성의 변화를 조정하는 제1 조정부 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헤드폰은 상기 음성 집음부와 상기 음성 출력부의 음향 특성의 변화를 조정하는 제2 조정부를 포함하는 노이즈 저감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제2 조정부는, 상기 헤드폰의 코드의 일 단에 연결된 플러그와 상기 음성 출력부의 하우징 근방에 설치된 상기 음성 집음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노이즈 저감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제2 조정부는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헤드폰을 접속하는 접속 코드의 분기점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기점은 상기 접속 코드를 둘로 나누는 노이즈 저감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제1 조정부는 외부로부터 조정가능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노이즈 저감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헤드폰은 고감도 음성 집음부와 저출력 음성 출력부의 조합 또는 저감도 음성 집음부와 고출력 음성 출력부의 조합을 포함하는 노이즈 저감 시스템.
- 입력 스위칭 장치로서,다극 플러그를 지지하는 커넥터 상에 설치된 커넥터 단자들 중 입력 기기에 연결된 플러그 단자에 대응하는 커넥터 단자에 결선된 신호 입력 라인과, 상기 신호 입력 라인을 통해서 상기 입력 기기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 라인과의 사이에 설치된 저항;상기 신호 입력 라인에 결선되어 상기 신호 입력 라인에서의 전압변화를 관찰하여 상기 다극 플러그의 접속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상기 저항의 전압 공급 라인측의 접속점과, 상기 전압 공급 라인에 배치된 상기 전압을 조정하는 조정 저항 사이에 설치된 개방 스위치; 및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다극 플러그의 접속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개방 스위치를 폐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력 스위칭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입력 기기의 저항값과, 상기 검출부에서 전압 변화에 관한 임계값으로서 설정된 로우(low) 레벨값에 대한 하이(high) 레벨값의 비를 곱한 결과값 이상이 되고, 상기 검출부의 저항값을 상기 비로 나눈 결과값 이하가 되도록 결정되는 입력 스위칭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신호 입력 라인은 음성 집음부가 접속되는 한 플러그 단자에 대응하는 커넥터 단자에 결선된 음성 입력 라인인 입력 스위칭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다극 플러그가 접속되었음이 검출되었을 때,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또는 헤드폰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입력 스위칭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다극 플러그의 접속이 검출되었을 때, 재생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에 대하여 노이즈 캔슬링을 위한 주파수 특성을 갖는 필터 계수를 설정하는 입력 스위칭 장치.
- 입력 스위칭 방법에 있어서,다극 플러그를 지지하는 커넥터에 배치된 커넥터 단자들 중, 소정의 입력 기기에 접속되는 한 플러그 단자에 대응하는 커넥터 단자에 결선된 신호 입력 라인의 전압변화를 관찰해서 상기 다극 플러그의 접속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제어하는 검출 제어 단계, 및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응답하여, 전압 공급 라인으로부터 상기 신호 입 력 라인을 통해서 상기 입력 기기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전압 공급 라인 상에 배치된 조정 저항과, 상기 전압 공급 라인 및 상기 신호 입력 라인간에 설치된 저항에서의 상기 전압 공급 라인측에 있는 접속점과의 사이에 설치된 개방 스위치를 폐쇄하는 개방 스위치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스위칭 방법.
-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서,다극 플러그를 지지하는 커넥터에 배치된 커넥터 단자 중, 입력 기기에 접속되는 한 플러그 단자에 대응하는 커넥터 단자에 결선된 신호 입력 라인의 전압변화를 관찰해서 상기 다극 플러그의 접속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제어하는 검출 제어 단계, 및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응답하여, 전압 공급 라인으로부터 상기 신호 입력 라인을 통해서 상기 입력 기기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전압 공급 라인상에 배치된 조정 저항과, 상기 전압 공급 라인 및 상기 신호 입력 라인간에 설치된 저항에서의 상기 전압 공급 라인측에 있는 접속점과의 사이에 설치된 개방 스위치를 폐쇄하는 개방 스위치 제어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6272204A JP4840060B2 (ja) | 2006-10-03 | 2006-10-03 | ヘッドホン、ノイズ低減処理システム及びノイズ低減処理方法 |
JPJP-P-2006-00272204 | 2006-10-03 | ||
JP2006272205A JP4935284B2 (ja) | 2006-10-03 | 2006-10-03 | 入力切換装置、入力切換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JP-P-2006-00272205 | 2006-10-03 | ||
JPJP-P-2006-00272206 | 2006-10-03 | ||
JP2006272206A JP5076430B2 (ja) | 2006-10-03 | 2006-10-03 | 音響装置、出力抑制方法及びプログラ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1138A true KR20080031138A (ko) | 2008-04-08 |
Family
ID=3953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9481A KR20080031138A (ko) | 2006-10-03 | 2007-10-02 | 음향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2) | US8335320B2 (ko) |
KR (1) | KR20080031138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12501B2 (en) | 2007-01-05 | 2011-03-22 | Apple Inc. | Audio I/O headset plug and plug detection circuitry |
JP5211053B2 (ja) * | 2007-07-31 | 2013-06-1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電子回路、電子機器及びゲイン制御方法 |
CN101414839A (zh) * | 2007-10-19 | 2009-04-22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便携式电子装置及其使用的噪音消除方法 |
JP5192901B2 (ja) * | 2007-10-29 | 2013-05-08 |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 ノイズキャンセルヘッドホン |
KR20090055359A (ko) * | 2007-11-28 | 2009-06-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4극 이어폰과 5극 이어폰 호환회로와 방법 및 이를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
US8861743B2 (en) * | 2008-05-30 | 2014-10-14 | Apple Inc. | Headset microphone type detect |
CN101630802B (zh) * | 2008-07-15 | 2013-06-05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耳机插孔结构 |
TWI416808B (zh) * | 2008-08-01 | 2013-11-21 | Chi Mei Comm Systems Inc | 耳機插孔結構 |
JP4710940B2 (ja) * | 2008-09-09 | 2011-06-29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
JP4760903B2 (ja) * | 2008-12-26 | 2011-08-31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
US8280038B2 (en) | 2009-04-22 | 2012-10-02 | Apple Inc. | Microphone line based detection of headset plug removal |
GB2469793B (en) * | 2009-04-24 | 2012-11-28 | Hearing Products Internat Ltd | A hearing assistance amplification device with headset and microphone detection |
US8432068B2 (en) * | 2009-04-29 | 2013-04-30 | Bose Corporation | Zero power drain pushbutton on switch |
EP2425637B1 (en) * | 2009-04-29 | 2013-06-12 | Bose Corporation | Intercom headset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
US8379873B2 (en) * | 2009-04-29 | 2013-02-19 | Bose Corporation | Adaptive headset connection status sensing |
US8841799B2 (en) * | 2009-04-29 | 2014-09-23 | Bose Corporation | Zero power drain pushbutton controls |
US8213625B2 (en) * | 2009-04-29 | 2012-07-03 | Bose Corporation | Intercom headset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detection |
US8222641B2 (en) * | 2009-04-29 | 2012-07-17 | Bose Corporation | Intercom headset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responses |
KR101591274B1 (ko) * | 2009-05-29 | 2016-02-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노이즈 제거 방법 및 장치 |
TW201101856A (en) * | 2009-06-17 | 2011-01-01 | Realtek Semiconductor Corp | Active noise cancellation earphone |
US7769187B1 (en) * | 2009-07-14 | 2010-08-03 | Apple Inc. | Communications circuits for electronic devices and accessories |
JP5499633B2 (ja) * | 2009-10-28 | 2014-05-21 | ソニー株式会社 | 再生装置、ヘッドホン及び再生方法 |
TWI426788B (zh) * | 2009-12-31 | 2014-02-11 | Inventec Appliances Corp | 聲音收發器及其偵測方法 |
US20130034239A1 (en) * | 2010-04-19 | 2013-02-07 | Doo Sik Shin | Ear microphone |
EP2395500B1 (en) * | 2010-06-11 | 2014-04-02 | Nxp B.V. | Audio device |
US9275621B2 (en) | 2010-06-21 | 2016-03-01 | Nokia Technologies Oy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djustable noise cancellation |
US8873774B2 (en) * | 2010-07-30 | 2014-10-28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Audio mixer |
JP5817113B2 (ja) * | 2010-12-24 | 2015-11-18 | ソニー株式会社 | 音声信号出力装置、音声出力システム、音声信号出力方法 |
JP6019553B2 (ja) | 2011-08-31 | 2016-11-02 | ソニー株式会社 | イヤホン装置 |
JP5919686B2 (ja) | 2011-08-31 | 2016-05-18 | ソニー株式会社 | 音響再生装置 |
CN102780949B (zh) * | 2012-06-13 | 2013-08-21 | 天地融科技股份有限公司 | 自动识别音频接口的麦克管脚和地管脚的方法及装置 |
CN102761804B (zh) * | 2012-06-14 | 2013-10-09 | 天地融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音频接口自适应方法、装置和电子签名工具 |
US9332339B2 (en) * | 2012-10-05 | 2016-05-03 | Qualcomm Incorporated | Multi-pin audio plug with retractable nub |
US9519602B2 (en) * | 2013-08-06 | 2016-12-13 |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 Audio jack system |
US9378723B2 (en) * | 2013-08-22 | 2016-06-28 | Qualcomm Incorporated |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configuration data |
US20150161979A1 (en) * | 2013-12-10 | 2015-06-11 | Merry Electronics (Shenzhen) Co., Ltd. |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and corresponding noise-canceling headphones |
KR20150110202A (ko) * | 2014-03-24 | 2015-10-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오디오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자 장치, 오디오 장치, 및 방법 |
US9537270B2 (en) | 2014-04-10 | 2017-01-03 | Nokia Technologies Oy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vity plug switch |
US9674598B2 (en) | 2014-04-15 | 2017-06-06 |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 Audio accessory communication with active noise cancellation |
US9888320B2 (en) | 2015-07-01 | 2018-02-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udio device and multimedia device including audio device |
EP3504691B1 (en) * | 2016-08-29 | 2021-03-31 | Johnson Controls Fire Protection LP | System and method for acoustically identifying gunshots fired indoors |
GB2567903A (en) * | 2017-10-27 | 2019-05-01 | Cirrus Logic Int Semiconductor Ltd | Socket monitoring |
WO2019236110A1 (en) * | 2018-06-08 | 2019-12-12 | Halfaker Alvin J | Noise reduction earmuffs system and method |
KR102406572B1 (ko) | 2018-07-17 | 2022-06-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
CN111556410A (zh) * | 2020-05-20 | 2020-08-18 | 南京中芯声学技术研究院 | 基于多工作模式麦克风的室内扩声系统工作模式切换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622038B1 (fr) | 1987-10-19 | 1990-01-19 | Thomson Semiconducteurs | Procede de programmation des cellules memoire d'une memoire et circuit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
JPH0236297A (ja) | 1988-07-26 | 1990-02-06 | Hideto Yoshida | 汚泥利用の土壌改良剤の製造方法 |
JPH0531161A (ja) | 1991-07-26 | 1993-02-09 | Osaka Prefecture | 器具に殺菌性及び抗かび性を与える方法 |
JP2658759B2 (ja) | 1992-08-28 | 1997-09-30 | 日本鋼管株式会社 | シールド・セグメントの二方向楔式継手構造 |
JPH08163686A (ja) | 1994-11-30 | 1996-06-21 | Sony Corp | 音響装置の入出力回路 |
JPH0937383A (ja) | 1995-07-20 | 1997-02-07 | Nec Corp | ハウリング防止回路 |
JPH10290128A (ja) | 1997-04-11 | 1998-10-27 | Sony Corp | マイクロフォン回路 |
JP3407622B2 (ja) | 1997-10-30 | 2003-05-19 | 株式会社デンソー | プラグ用給電装置 |
JPH11196488A (ja) | 1997-12-26 | 1999-07-21 | Canon Inc | 再生装置および方法 |
JP2000059876A (ja) * | 1998-08-13 | 2000-02-25 | Sony Corp | 音響装置およびヘッドホン |
JP3398699B2 (ja) | 1999-12-14 | 2003-04-21 |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 携帯端末装置 |
JP4396003B2 (ja) | 2000-07-06 | 2010-01-13 | ソニー株式会社 | 通信端末装置 |
JP2002141980A (ja) | 2000-10-31 | 2002-05-17 | Kyocera Corp | 携帯電話装置の信号系切替制御方法及び装置 |
JP2002330485A (ja) | 2001-04-27 | 2002-11-15 | Sony Corp | 音響装置及びノイズキャンセリングヘッドホン |
JP4165059B2 (ja) | 2001-12-04 | 2008-10-15 | ヤマハ株式会社 | 能動型消音装置 |
JP2004163875A (ja) * | 2002-09-02 | 2004-06-10 | Lab 9 Inc | フィードバック能動型ノイズ防止回路およびヘッドホン |
JP4182802B2 (ja) | 2003-04-25 | 2008-11-19 | ソニー株式会社 | 音響信号入出力装置、入出力回路切換方法 |
JP2005026868A (ja) * | 2003-06-30 | 2005-01-27 | Toshiba Corp | 音声信号記録装置 |
JP2005086417A (ja) | 2003-09-08 | 2005-03-3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イヤホンコード |
US7293122B1 (en) * | 2004-04-27 | 2007-11-06 | Apple Inc. | Connector interface system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a media player and accessories |
JP2006164669A (ja) | 2004-12-06 | 2006-06-22 | Sony Corp | コネクタ、接続検出システム、入力切換システム |
US8077872B2 (en) * | 2005-04-05 | 2011-12-13 | Logitech International, S.A. | Headset visual feedback system |
US7903826B2 (en) * | 2006-03-08 | 2011-03-08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Headset with ambient sound |
US20080137878A1 (en) * | 2006-12-12 | 2008-06-12 | Killion Mead C | Electronic method for reducing noise in the ear canal using feed forward techniques |
US7983427B2 (en) * | 2007-02-12 | 2011-07-19 | Bose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erving battery power |
-
2007
- 2007-09-21 US US11/859,237 patent/US8335320B2/en active Active
- 2007-10-02 KR KR1020070099481A patent/KR2008003113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
- 2012-03-23 US US13/429,011 patent/US894841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183160A1 (en) | 2012-07-19 |
US20080175402A1 (en) | 2008-07-24 |
US8335320B2 (en) | 2012-12-18 |
US8948413B2 (en) | 2015-0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31138A (ko) | 음향 장치 | |
CN101159991B (zh) | 音频设备 | |
JP5151100B2 (ja) | プラグ、音声入出力装置及びノイズキャンセルシステム | |
US9131309B2 (en) | Wired headset with integrated switch | |
US8260380B2 (en) | Headset with remote control | |
US9264823B2 (en) | Audio headset with automatic equalization | |
US7574187B2 (en) | Battery charger antenna, method and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 |
US20100177904A1 (en) | Noise Reducing Earphone | |
US20070286436A1 (en) | Sound output control device | |
CN112235692B (zh) | 音频切换电路、电子设备和音频切换方法 | |
JP5158593B2 (ja) | 携帯端末、オーディオ機器判別方法、オーディオ機器判別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 |
JP4935284B2 (ja) | 入力切換装置、入力切換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5076430B2 (ja) | 音響装置、出力抑制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12752188A (zh) | 外环境声音增强的智能蓝牙降噪耳机及其增强方法 | |
EP1414267A2 (en) | Miniaturized loudspeakers | |
KR101609194B1 (ko) |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 방식 액세서리 장치 및 전원공급방법과 호스트 장치 | |
CN215187290U (zh) | Anc耳机设备 | |
KR200292160Y1 (ko) | 이동단말기용 어댑터 | |
JP3109688U (ja) | 音声出力装置 | |
AU2011232790B2 (en) | Wired headset with integrated switch | |
WO2008029478A1 (fr) | Appareil de commande de sortie sonore | |
JP2020025204A (ja) | 音楽再生装置 | |
TW201234870A (en) | Wired headset with integrated swi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