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0474A - 봉금 수납고 - Google Patents

봉금 수납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0474A
KR20080030474A KR1020070090558A KR20070090558A KR20080030474A KR 20080030474 A KR20080030474 A KR 20080030474A KR 1020070090558 A KR1020070090558 A KR 1020070090558A KR 20070090558 A KR20070090558 A KR 20070090558A KR 20080030474 A KR20080030474 A KR 20080030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in
drawer
coins
bea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우에하라
미키토 이마이
코이치 니시다
히로시 토네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0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2Testing the dimensions, e.g. thickness, diameter; Testing the deform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6Devices for stacking or otherwise arranging coins on a support, e.g. apertured plate for use in counting coins

Abstract

봉금 동전을 수평방향으로 눕혀서 수납하도록 된 봉금 수납부를 복수로 가지는 형식의 것과 비교해서 폭 방향 치수를 작은 것으로 할 수가 있고, 설치 스페이스의 확보를 용이한 것으로 할 수가 있는 봉금 수납고를 제공한다.
봉금 수납고(1)는, 수납고 본체(1a)와, 수납고 본체(1a)에 대해 인출자재하게 설치된 봉금 서랍(11, 12, 13)을 구비하고 있다. 각 봉금 서랍(11, 12, 13)에는, 봉금 동전(B)의 축선을 연직방향으로 향해 당해 봉금 동전(B)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봉금 수납부(14)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봉금 수납고 {Storage for coin pack}
본 발명은, 봉금(棒金) 동전(동일 금종(金種)의 동전을 일정 매수만큼 봉상(棒狀)으로 정돈해서 포장한 것)을 금종별로 특정한 봉금 수납부에 수납하는 봉금 수납고(收納庫)에 관한 것으로, 특히 봉금 동전을 연직방향으로 세운 상태로 당해 봉금 동전을 수납할 수 있는 봉금 수납고에 관한 것이다.
봉금 동전을 금종별로 특정한 봉금 수납부에 수납하는 봉금 수납고로는,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평 11-250314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6-85332호 등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평 11-250314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6-85332호 등에 기재된 봉금 수납고는, 각각이 당해 봉금 수납고의 박스체(수납고 본체)로부터 수동(手動)으로 앞쪽으로 인출(引出)할 수 있는 복수 단(段)의 봉금 서랍을 갖고 있는바, 각 봉금 서랍은 통상적으로는 50매의 동전으로 된 봉금 동전을 수평한 폭 방향(횡방향)으로 눕히도록, 즉 당해 봉금 동전의 축선이 수평한 폭 방향으로 뻗도록 수납하기 위한 봉금 수납부를 복수로 갖고 있 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봉금 수납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봉금 수납고의 봉금 수납부는, 봉금 동전의 축선이 수평한 폭 방향으로 뻗도록 이 봉금 동전을 수납하고 있기 때문에, 수납고 본체의 폭 방향 치수가 커지게 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봉금 수납고를 동전 거스름기와 병설하는 경우에는, 즉 봉금 수납고와 동전 거스름기를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태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봉금 수납고와 동전 거스름기와의 조합체인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 전체의 폭 방향 치수가 커지게 되어, 이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져 버린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봉금 동전을 수평방향으로 눕혀 수납하도록 된 봉금 수납부를 복수로 갖는 형식으로 된 것에 비해 폭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어서,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기가 용이한 봉금 수납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용 효과에 더해, 봉금 서랍에서의 복수의 봉금 수납부에 수납된 각 봉금 동전의 금종을 단시간에 정확히 판정할 수가 있고, 이에 의해 봉금 동전의 재고 관리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봉금 수납고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수납고 본체와, 상기 수납고 본체에 대해 인출자재(引出自在)하게 설치되고, 봉금 동전의 축선을 연직방향을 향해 당해 봉금 동전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봉금 수납부가 설치된 봉금 서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금 수납고이다.
이와 같은 봉금 수납고에 의하면, 각 봉금 수납부에 대해 봉금 동전의 축선을 연직방향으로 향하고서 당해 봉금 동전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각 봉금 수납부에 대해 봉금 동전을 수평방향으로 눕혀 수납하도록 된 형식의 것과 비교해서 수납고 본체의 폭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봉금 수납고의 설치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하게 될 수가 있다. 그리고 봉금 수납고가 동전 거스름기와 병설되는 경우에는, 이들의 조합체인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 전체의 폭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봉금 수납고에서는, 상기 봉금 서랍은, 상기 수납고 본체에 대해 폐쇄위치와 인출위치와의 사이에서 수평인 종방향(縱方向)으로 수동으로 인출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봉금 수납고에 대한 봉금 동전의 출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가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봉금 수납고에서는, 상기 수납고 본체에 대한 상기 봉금 서랍의 종방향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 검출수단과, 상기 봉금 서랍이 출입하게 될 때 당해 봉금 서랍에 수용되는 봉금 동전이 통과해야 할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봉금 수납고 본체에 고정된 발광 유닛 및 수광 유닛을 가져, 봉금 동전에 의한 차광의 유무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봉금 직경 센서와, 상기 변위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봉금 서랍의 종방향 변위와 상기 봉금 직경 센서의 출력에 기해, 상기 봉금 서랍의 각 봉금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동전의 본수 및 금종을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봉금 수납고에 의하면, 수납고 본체에 대해 봉금 서랍을 수동으로 인출/밀어넣을 때에, 변위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한 봉금 서랍의 변위와, 봉금 동전에 의한 차광의 유무에 대응한 봉금 직경 센서의 출력에 기해, 판정수단이 봉금 서랍의 각 봉금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동전의 유무 및 금종을 판정하게 된다. 이 경우, 봉금 동전의 금종은, 봉금 서랍의 종방향 변위와 봉금 직경 센서의 출력에 기해 특정되는 봉금 동전의 직경을 기준으로 해서 판정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봉금 서랍의 종방향 변위를 이용함으로써, 수동으로 인출하고/밀어넣는 봉금 서랍에 다소의 속도 변동이 있다고 하여도, 그 영향을 받지 않고 봉금 동전의 직경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가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봉금 서랍을 수동으로 인출하고/밀어넣기만 하면, 복수의 봉금 수납부에 수납된 각각의 봉금 동전의 금종을 단시간에 정확하게 판정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종래와 같이 센서를 일정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도 필요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봉금 수납고의 제조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한편, 봉금 수납고에서의 봉금 동전의 재고 관리는, 특히 봉금 서랍을 밀어넣을 때의 판정에 기해 실시하면 된다.
본 발명의 봉금 수납고에서는, 상기 봉금 서랍의 각 봉금 수납부는 각각 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뻗음과 더불어 저면을 가진 원통형상의 것으로 되어 있고, 그 내경은 수납되어야 할 봉금 동전의 외경보다도 조금 크게 되어 있고, 그 저면에는 수납되어야 할 봉금 동전의 구멍의 유무에 대응해서 연직방향 위쪽으로 뻗은 돌기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에 의해, 잘못해서 직경이 큰 봉금 동전이 봉금 수납부에 수납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구멍 뚫린 동전의 봉금 동전이 수납되어야 할 봉금 수납부에 다른 종류의 구멍이 뚫리지 않은 동전으로 된 봉금 동전이 잘못 수납되려고 했을 때에는, 돌기부에 의해 이 봉금 동전을 수납할 수가 없어, 잘못한 봉금 동전의 수납을 다시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봉금 수납고에서는, 상기 봉금 서랍의 각 봉금 수납부는 각각 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뻗음과 더불어 저면을 가진 원통형상의 것으로 되어 있고, 그 내경은 수납되어야 할 봉금 동전의 외경보다도 조금 크게 되어 있고, 그 저면에는 수납되어야 할 봉금 동전의 외경보다도 조금 작은 외경의 원형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잘못해서 직경이 큰 봉금 동전이 봉금 수납부에 수납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더구나 직경이 작은 봉금 동전을 잘못해서 봉금 수납부에 수납한 때에는, 이 봉금 동전은 원형 개구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낙하해 버리기 때문에, 잘못해서 직경이 작은 봉금 동전이 봉금 수납부에 수납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봉금 수납고에 의하면, 봉금 동전을 수평방향으로 눕혀 수납하도록 된 봉금 수납부를 복수로 갖는 형식의 것과 비교해서 폭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어서, 설치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하게 될 수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봉금 수납고 및 이 봉금 수납고를 구비한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봉금 수납고의 1실시형태를,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에 조립한 상태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봉금 수납고 및 동전 거스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봉금 수납고의 일부분을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봉금 수납고에서의 1개의 봉금 서랍의 변위를 (a) 폐쇄위치, (b) 압입위치, (c) 검출 개시/종료위치, (d) 검출 종료/개시위치, (e) 인출위치의 각 위치에서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봉금 수납고에서의 각 봉금 서랍과 변위 검출수단과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봉금 수납고에서의 봉금 수납부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a)는 1엔(yen) 봉금 동전용, 10엔 봉금 동전용, 100 엔 봉금 동전용 또는 500엔 봉금 동전용 봉금 수납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b)는 5 엔 봉금 동전용 또는 50엔 봉금 동전용 봉금 수납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또, 도 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봉금 수납고에서의 봉금 수납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또, 도 8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봉금 수납고의 제어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해서, 본 실시형태의 봉금 수납고를 구비한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의 구성, 봉금 수납고의 구체적인 구성 및, 당해 시스템에서의 동전 거스름기의 구성,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및 변형 예를 순차로 설명한다.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의 구성]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봉금 수납고(1)는, 동전 거스름기(3) 및 POS 레지스터(금전등록기; 5)와 조합되어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을 구성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봉금 수납고(1)는, 동전 거스름기(3)와 상호 좌우방향으로 인접해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봉금 수납고(1)의 수납고 본체(1a)와 동전 거스름기(3)의 박스체(3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POS 레지스터(5)는, 동전 거스름기(3) 및 봉금 수납고(1)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봉금 수납고(1), 동전 거스름기(3) 및 POS 레지스터(5)는 각각 제어유닛(16, 36 및 50)을 갖고 있다. 그 중, 봉금 수납고(1)의 제어유닛(16)은 동전 거스름기(3)의 제어유닛(36)과 통신 접속되고, 동전 거스름기(3) 의 제어유닛(36)은 POS 레지스터(5)의 제어유닛(50)과 통신 접속되어 있다.
[봉금 수납고의 구성]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봉금 수납고(1)는, 수납고 본체(1a)와, 이 수납고 본체(1a)에 대해 각각 (수평한 종방향으로)전방에 수동으로 인출자재하게 부착된 3개의 봉금 서랍(11, 12, 13)을 갖고 있다. 이들 봉금 서랍(11, 12, 13)은 수평의 가로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각 봉금 서랍(11, 12, 13)에는 특정 금종의 봉금 동전(B)을 1본씩 수납할 수 있는 봉금 수납부(14: 도 2)가 복수로 설치되어 있다. 각 봉금 수납부(14)에서의 봉금 동전(B)의 수납 자세는, 봉금 동전(B)의 축선이 봉금 서랍(11, 12, 13)의 인출방향(수평의 종방향)과 직교하는 연직방향으로 세워진 자세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도 2에서의 가장 좌측의 봉금 서랍(11)에는, 8개의 1엔 봉금 동금용의 봉금 수납부(14)와, 2개의 5엔 봉금 동전용 봉금 수납부(14)가 마련되어 있다. 또, 도 2에서의 중앙 측의 봉금 서랍(12)에는, 8개의 10엔 봉금 동전용 봉금 수납부(14)와 2개의 50엔 봉금 동전용 봉금 수납부(14)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서의 가장 오른쪽의 봉금 서랍(13)에는, 8개의 100엔 봉금 동전용의 봉금 수납부(14)와, 2개의 500엔 봉금 동전용 봉금 수납부(14)가 마련되어 있다.
3개의 봉금 서랍(11, 12, 13)을 대표해서, 봉금 서랍(11)에 설치된 각 봉금 수납부(14)의 구성에 대해 도 6(a) 및 도 6(B)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6(a)는, 1엔 봉금 동전용, 10엔 봉금 동전용, 100엔 봉금 동전용 또는 500엔 봉금 동전용의 봉금 수납부(14)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6(b)는 5엔 봉금 동전용 또는 50엔 봉금 동전용의 봉금 수납부(14)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봉금 서랍(11)의 각 봉금 수납부(14)는, 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뻗음과 더불어 저면을 가진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각 봉금 수납부(14)의 내경은, 수납되어야 할 봉금 동전(B)의 외경보다도 조금만 크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잘못해서 직경이 큰 봉금 동전(B)이 봉금 수납부(14)에 수납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멍 뚫린 동전인 5엔 동전 및 50엔 동전의 봉금 동전(B)이 수납되어야 할 봉금 수납부(14)에는, 저면으로부터 연직방향 위쪽으로 뻗은 돌기부(14a)가 형성되어 있어서, 5엔 동전 또는 50엔 동전의 봉금 동전(B)이 봉금 수납부(14)에 수납될 때에 당해 봉금 동전(B)의 각 동전의 구멍이 돌기부(14a)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5엔 동전 또는 50엔 동전의 봉금 동전(B)이 수납되어야 할 봉금 수납부(14)에, 다른 종류의 구멍이 뚫리지 않은 동전으로 된 봉금 동전(B)이 잘못해서 수납되려 하였을 때에는, 돌기부(14a)에 의해 이 봉금 동전(B)을 안쪽까지 수납할 수가 없어, 잘못된 봉금 동전(B)의 수납을 다시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봉금 서랍(11)의 각 봉금 수납부(14)의 다른 구성으로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봉금 수납부(14)는, 그 내경이 수납되어야 할 봉금 동전(B)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되어 있고, 또 그 저면에는 수납되어야 할 봉금 동전(B)의 외경보다 조금 작은 외경의 원형 개구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잘못해서 직경이 큰 봉금 동전(B)이 봉금 수 납부(14)에 수납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더구나 직경이 작은 봉금 동전(B)을 잘못해서 봉금 수납부(14)에 수납했을 때에는 이 봉금 동전(B)이 원형 개구부(14b)로부터 아래쪽으로 낙하해 버리기 때문에, 잘못하여 직경이 작은 봉금 동전(B)이 봉금 수납부(14)에 수납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봉금 서랍(11)의 각 봉금 수납부(14)의 또 다른 구성으로는, 5엔 봉금 동전용 및 50엔 봉금 동전용의 봉금 수납부(14)를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돌기부(14a)를 가진 것으로 하고, 1엔 봉금 동전용, 10엔 봉금 동전용, 100엔 봉금 동전용 및 500엔 봉금 동전용의 봉금 수납부(14)를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원형 개구부(14b)를 가진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봉금 수납고(1)는, 봉금 서랍(11, 12, 13)의 각 봉금 수납부(14)마다 봉금 동전(B)의 유무 및 금종을 판정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계(18; 도 1)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검출계(18)는, 봉금 서랍(11, 12, 13)이 수납고 본체(1a)에 밀어넣어질 때 및 이 밀어넣어진 봉금 서랍(11, 12, 13)이 수납고 본체(1a)로부터 인출될 때의 양쪽의 경우에, 각 봉금 수납부(14)마다 봉금 동전(B)의 유무 및 금종을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봉금 수납고(1)의 제어유닛(16)은, 검출계(18)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해 특정한 봉금 서랍(11, 12, 13)의 각 봉금 수납부(14)에 수납된 봉금 동전(B)의 유무 및 금종을 판정하는 판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봉금 수납고(1)의 봉금 서랍(11, 12, 13)으로부터 (통상, 금전출납계원에 의해) 취출된 봉금 동전을 「취출 봉금 동전」이라고 칭한 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봉금 수납고(1)의 수납고 본체(1a)는, 각 봉금 서랍(11, 12, 13)을 앞에서 설명한 수평의 종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게 보유지지하는 프레임체(F)를 갖고 있다. 각 봉금 서랍(11, 12, 13)의 바닥부에는 투광부분(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광부분은, 각 봉금 서랍(11, 12, 13)에서의 복수의 봉금 수납부(14, 도 2)가 설치되는 범위에 걸쳐 뻗게 됨과 더불어, 맨앞의 봉금 수납부(14)보다 앞의 봉금 서랍 선단 부근까지 뻗어 있다. 또,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봉금 서랍(11, 12, 13)의 저면에는 종방향으로 뻗은 랙(rack; R)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는, 3개의 봉금 서랍(11, 12, 13)을 대표해서, 1개의 봉금 서랍(11)의 수납고 본체(1a)의 전면 패널(1c; 도 2 참조)을 기준으로 한 여러 가지 종방향 위치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4에서 :
(a)는, 봉금 서랍(11)의 전면 이 전면 패널(1c)과 대략 면 일치(面一致)되어진 「폐쇄위치」;
(b)는, 봉금 서랍(11)이 폐쇄위치로부터 다시 밀어넣어져, 봉금 서랍(11)의 전면(前面)이 전면 패널(1c)에서 조금 밀어넣어진 「압입위치」;
(c)는, 봉금 서랍(11)의 인출시에 검출계(18; 도 1)에 의한 검출이 개시되고, 봉금 서랍(11)을 밀어넣을 때에는 검출계(18)에 의한 검출이 종료되는 「검출 개시/종료위치;
(d)는, 봉금 서랍(11)의 인출시에 검출계(18)에 의한 검출이 종료되고, 봉 금 서랍(11)의 밀어넣을 때에는 검출계(18)에 의한 검출이 개시되는 「검출 종료/개시위치」;
(e)는, 봉금 서랍(11)의 모든 봉금 수납부(14; 도 2)에 대한 봉금 동전(B)의 수납/취출이 가능하게 되기까지 인출된 「인출위치」;
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4에는, 상기 검출계(18; 도 1)를 대표 해서, 하기의 봉금 직경 센서(S1)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 체(F)의 앞 부분에는 1개의 봉금 직경 센서(S1)와 3개의 봉금 구멍 센서(S21, S22, S23)가 설치되어 있다. 봉금 직경 센서(S1)는, 3개의 봉금 서랍(11, 12, 13)에 수납되어야 할 세움 상태의 봉금 동전(B)을 좌우로 두고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서 프레임(F; 수납고 본체(1a))에 고정된 발광유닛 및 수광유닛을 갖고 있다. 봉금 직경 센서(S1)는, 폐쇄위치(도 4(a))에 있는 각 봉금 서랍(11, 12, 13)의 맨 앞의 봉금 수납부(14)보다 전방의 위치를 광축이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또, 각 봉금 구멍 센서(S21, S22, S23)는, 각각 봉금 서랍(11, 12, 13)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각 봉금 구멍 센서(S21, S22, S23)는, 각각 대응하는 봉금 서랍(11, 12, 13)을 상하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서 프레임(F; 수납고 본체(1a))에 고정된 발광유닛 및 수광유닛을 갖고 있다. 각 봉금 구멍 센서(S21, S22, S23)는, 대응하는 봉금 서랍(11, 12, 13)에 수납되어 출입하게 되는 세움상태의 봉금 동전(B)의 축선을 광축이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F)의 바닥부 측방으로는 단일의 2상(二相) 로터리 인코더(E)가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로터리 인코더(E)는, 수평의 가로방향으로 뻗은 입력축(e1)을 갖고 있다. 입력축(e1)에는, 각 봉금 서랍(11, 12, 13)의 랙(R)에 대응하는 3개의 피니언(P)이 고정되어 있다. 각 봉금 서랍(11, 12, 13)의 랙(R)과, 대응하는 피니언(P)은, 적어도 당해 봉금 서랍(11, 12, 13)이 검출 개시/종료위치(도 4(c))와 검출 종료/개시위치(도 4(d))와의 사이(폐쇄위치(도 4(a))와 인출위치(도 4(e))와의 사이에서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에 필요한 범위 내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호 서로 맞물리고, 적어도 당해 봉금 서랍(11, 12, 13)이 폐쇄위치로 있을 때에는 상호 맞물리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터리 인코더(E)가 각 봉금 서랍(11, 12, 13)의 종방향 변위에 비례한 수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상의 로터리 인코더(E), 랙(R) 및 피니언(P)은, 수납고 본체(1a)에 대한 각 봉금 서랍(11, 12, 13)의 종방향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 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유닛(16)에는, 상기 검출계(18)를 구성하는 봉금 직경 센서(S1), 봉금 구멍 센서(S21, S22, S23) 및 로터리 인코더(E)가 접속되어 있다. 또, 제어유닛(16)에는, 메모리(기억수단; M) 및 통신 인터페이스(T)가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M)에는, 모든 봉금 서랍(11, 12, 13)에서의, 각 봉금 수납부(14)의 위치와, 각 봉금 수납부(14)에 수납되어야 할 봉금 동전(B)의 금종과의 대응 관계가 미리 기억되어져 있다. 또, 통신 인터페이스(T)는, 동전 거스름기(3; 도 1)의 제어유닛(36)과 제어유닛(16)을 통신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유닛(16)은, 로터리 인코더(E)의 출력으로부터 특정되는 어느 1개의 봉 금 서랍(11, 12, 13)의 종방향 변위와, 봉금 직경 센서(S1) 및 봉금 구멍 센서(S21, S22, S23)의 각 출력에 기해, 당해 봉금 서랍의 각 봉금 수납부(14)에 수납된 봉금 동전(B)의 유무 및 금종을 판정하는 판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납고 본체(1a)에 대해 봉금 서랍을 수동으로 인출할 때, 또는 수동으로 밀어넣을 때에, 로터리 인코더(E), 봉금 직경 센서(S1) 및 당해 봉금 서랍에 대응하는 봉금 구멍 센서(S21, S22, S23)는 각각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이들 출력신호 중 로터리 인코더(E)의 펄스 신호에 의해, 수납고 본체(1a)에 대한 봉금 서랍(11, 12, 13)의 종방향 변위가 특정이 되고, 그에 따라 각 봉금 수납부(14)의 각 봉금 센서(S1, S21, S22, S23)에 대한 종방향의 변위가 특정된다. 또, 각 봉금 센서(S1, S21, S22, S23)의 펄스 신호에 의해, 각 봉금 동전(B)의 반경방향 바깥 가장자리 및 안쪽 가장자리(5엔 및 50엔의 구멍 뚫린 동전 이외의 경우는 바깥 가장자리만)에 의한 투광/차광(차광의 유무)의 천이(遷移)가 특정된다.
이에 의해, 특정한 봉금 서랍(11, 12, 13)의 각 봉금 수납부(14)마다, 봉금 동전(B)의 유무뿐 아니라, 수납되어 있는 봉금 동전(B)의 직경 및 중심구멍의 유무도 특정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기해, 제어유닛(16)은, 각 봉금 수납부(14)에 존재하는 봉금 동전(B)이 본래 수납해야 할 금종의 봉금 동전(B)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동전 거스름기의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전 거스름기(3)는, 박스체(3a)의 앞쪽 에 형성된 투입구(30), 불출구(34) 및 표시조작패널(3b; 도 2)을 구비하고 있다. 또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전 거스름기(3)는, 식별수단(31), 선별수단(32) 및 금종별 수납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식별수단(31)은, 투입구(30)에 투입된 낱개 동전의 금종 및 매수를 식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선별수단(32)은, 식별수단(31)에 의해 식별된 낱개 동전을 금종마다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종별 수납부(33)는, 선별수단(32)에 의해 선별된 낱개 동전을 금종별로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동전 거스름기(3)는, 금종별 수납부(33)에 수납되어 있는 낱개 동전을 거스름돈의 불출 등의 필요에 따라 불출구(34)로 불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투입구(30)에 투입되는 낱개 동전으로는, 거스름돈용으로 보충되는 동전(전형적으로는 취출 봉금 동전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동전) 외에, 고객으로부터 받은 입금 동전도 포함되는바, 양자는 특히 구별되지 않고 금종별 수납부(33)에 수납되어 거스름돈으로서 이용된다.
동전 거스름기(3)의 제어유닛(36)에는, 봉금 수납고(1)의 제어유닛(16)으로부터 판정 결과가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유닛(36)은, 취출 봉금 동전의 포장을 해체에서 얻어진 낱개 동전이 투입구(30)에 투입되었을 때에, 식별수단(31)에 의해 식별된 당해 낱개 동전의 금종 및 매수와, 수신한 판정 결과에 기해 취출 봉금 동전의 금종 및 본 수를 비교해서, 양자 사이의 대응을 관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한편, 동전 거스름기(3)의 제어유닛(36)을 경유해서, 봉금 수납고(1)의 제어 유닛(16)으로부터 POS 레지스터(5)의 제어유닛(50)에도 판정 결과가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낱개 동전의 금종 및 매수와 취출 봉금 동전의 금종 및 본 수가 대응하고 있지 않다(동일 금종에서, 낱개 동전의 합계 매수가 봉금 동전 1본당의 동전 매수(통상 50매)와 본수를 곱함으로써 산출되는 취출 봉금 동전의 합계 매수와 일치하지 않은)고 판정된 경우에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의 로그 데이터(log data)에 플래그(flag)를 세우는 등의 대응이 취해진다. 이에 따라, 취출 봉금 동전과 거스름돈용으로서 보충된 낱개 동전과의 사이의 대응을 정확히 관리할 수가 있다. 한편, 동전 거스름기(3)의 제어유닛(36) 대신, POS 레지스터(5)의 제어유닛(50)이 그와 같은 대응 관계를 관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도 좋다.
한편, 봉금 수납고(1)에 수납되는 봉금 동전(B)은, 일본국 엔(yen)화의 동전을 50매씩의 봉상으로 정돈해서 포장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봉금 수납고(1)에 수납되는 대상으로 되는 봉금 동전이 미국이나 유로 등의 일본국 엔화 이외의 동전을 일정 매수만큼 봉상으로 정돈해서 포장한 것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미국의 동전으로 된 봉금 동전에 대해서는, 예컨대 1센트의 봉금 동전은 50매의 1센트 동전으로 이루어지고, 5센트의 봉금 동전은 40매의 5센트 동전으로 이루어지고, 10센트의 봉금 동전은 50매의 10센트 동전으로 이루어지고, 25센트의 봉금 동전은 40매의 25센트 동전으로 이루어지고, 50센트의 봉금 동전은 20매의 50센트 동전으로 이루어지고, 1달러의 봉금 동전은 20매의 1달러 동전으로 이루어진다.
또, 유로의 동전에 대해서는, 예컨대, 1센트의 봉금 동전은 50매의 1센트 동 전으로 이루어지고, 2센트의 봉금 동전은 50매의 2센트 동전으로 이루어지고, 5센트의 봉금 동전은 50매의 5센트 동전으로 이루어지고, 10센트의 봉금 동전은 40매의 10센트 동전으로 이루어지고, 20센트의 봉금 동전은 40매의 20센트 동전으로 이루어지고, 50센트의 봉금 동전은 20 매의 40센트 동전으로 이루어지고, 1유로의 봉금 동전은 25매의 1유로 동전으로 이루어지고, 2유로의 봉금 동전은 25매의 2 유로 동전으로 이루어진다.
봉금 수납고(1)에 수납되는 대상으로 되는 봉금 동전을 미국이나 유로 등의 일본국 엔 이외의 동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미국이나 유로 등의 봉금 동전 1본당의 동전의 매수에 관한 정보도 금종 마다 제어유닛(16)의 메모리(M)에 기억시켜 놓는다. 이에 의해, 봉금 수납고(1)의 제어유닛(16)이나 POS 레지스터(5)의 제어유닛(50)에서 봉금 수납고(1)에 수납된 봉금 동전(B)의 재고(금액의 총계)를 산출할 때에, 봉금 수납고(1)의 제어유닛(16)에 의해 산출된 봉금 동전(B)의 금종 및 본 수에 더해, 메모리(M)에 기억된 각 나라의 각 금종의 봉금 동전 1본당의 매수에 관한 정보를 감안함으써, 봉금 수납고(1)에 수납된 봉금 동전(B)의 재고를 자동적으로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작용 효과]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봉금 수납고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봉금 수납고(1)에 의하면, 각 봉금 수납부(14)에 대해 봉금 동전(B)의 축선을 연직방향으로 향하면서 당해 봉금 동전(B)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각 봉금 수납부(14)에 대해 봉금 동전(B)을 수평방향으로 눕혀서 수납하도록 된 형식의 것과 비교해서 수납고 본체(1a)의 폭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봉금 수납고(1)의 설치 스페이스의 확보를 용이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전 거스름기(3)와 병설되는 경우에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 전체의 폭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봉금 수납고(1)에 의하면, 수납고 본체(1a)에 대해 특정한 봉금 서랍(11, 12, 13)을 수동으로 인출할 때 또는 밀어넣을 때에, 변위 검출수단으로서의 로터리 인코더(E)의 출력에 의해 특정되는 당해 봉금 서랍(11, 12, 13)의 종방향 변위와, 봉금 동전(B)에 의한 차광의 유무에 대응한 봉금 직경 센서(S1) 및 봉금 구멍 센서(S21, S22, S23)의 각 출력에 기해, 판정수단으로서의 제어유닛(16)이 당해 봉금 서랍의 각 봉금 수납부(14)에 수납된 봉금 동전(B)의 유무 및 금종을 판정하게 된다. 이 경우, 봉금 동전(B)의 금종은, 봉금 서랍(11, 12, 13)의 종방향 변위와 봉금 직경 센서(S1)의 출력에 기해 특정되는 봉금 동전(B)의 직경 및, 봉금 구멍 센서(S21, S22, S23)의 출력에 기해 특정되는 봉금 동전(B)의 중심구멍의 유무를 기준으로 해서 판정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각 봉금 서랍(11, 12, 13)의 종방향 변위를 이용함으로써, 수동으로 인출하고/밀어넣는 봉금 서랍에 다소의 속도 변동이 있더라도, 그 영향을 받지 않고 봉금 동전(B)의 직경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가 있게 된다.
이 때문에, 특정한 봉금 서랍(11, 12, 13)을 수동으로 밀어넣는 것만으로, 당해 봉금 서랍의 복수의 봉금 수납부(14)에 수납된 각각의 봉금 동전(B)의 금종을 단시간에 정확하게 판정하여, 재고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센서를 일정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 등도 필요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봉금 수납고의 제조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복수의 봉금 서랍(11, 12, 13)의 종방향 변위를 단일의 로터리 인코더(E)로 각각 검출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변위 검출수단의 제조비용을 저감시키고, 나아가 봉금 수납고의 제조비용 삭감을 더욱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 의한 봉금 수납고(1)는 상기의 태양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가 있다.
예컨대, 상기의 태양에서는 봉금 수납고(1)의 제어유닛(16)이 판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진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그 대신, 동전 거스름기(3)의 제어유닛(36)이나 P0S 레지스터(5)의 제어유닛(50)이 판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각 피니언(P)이 로터리 인코더(E)의 입력축(e1)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각 피니언(P)은 입력축(e1)과 연동해서 회전하는 한 이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컨대, 각 피니언(P)과 입력축(e1)과의 사이에 다른 기어나 축이 개재되어 있어도 좋다.
또, 취급 대상의 봉금 동전(B)에 구멍 뚫린 동전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나, 금종 사이에서 봉금 동전(B)의 직경 차이가 충분히 커서 봉금 직경 센서(S1)의 출력만으로 충분히 금종의 판정이 가능한 경우에는 봉금 구멍 센서(S21, S22, S23)을 생략하여도 좋다.
또, 봉금 서랍(11, 12, 13)은 각각이 독립된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납고 본체(1a)나 다른 봉금 서랍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봉금 서랍을 3개 구비한 봉금 수납고(1)의 상태에서, 다시 봉금 서랍의 유닛 추가하거나, 또는 예컨대 봉금 서랍(13)의 유닛을 떼어내도록 하거나 하여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봉금 수납고의 1실시형태를, 거스름돈 보충 관리 시스템에다 조립한 상태에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봉금 수납고 및 동전 거스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봉금 수납고의 일부분을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봉금 수납고에서의 1개의 봉금 서랍의 변위를 (a) 폐쇄위치, (b) 압입위치, (c) 검출 개시/종료위치, (d) 검출 종료/개시 위치, (e) 인출위치의 각 위치에서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봉금 수납고에서의 각 봉금 서랍과 변위 검출수단과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봉금 수납고에서의 봉금 수납부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a)는 1엔 봉금 동전용, 10엔 봉금 동전용, 100엔 봉금 동전용 또는 500엔 봉금 동전용의 봉금 수납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b)는 5엔 봉금 동전용 또는 50엔 봉금 동전용의 봉금 수납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봉금 수납고에서의 봉금 수납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봉금 수납고의 제어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Claims (5)

  1. 수납고 본체와,
    상기 수납고 본체에 대해 인출자재하게 설치되고서, 봉금 동전의 축선을 연직방향으로 향해 당해 봉금 동전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봉금 수납부가 설치된 봉금 서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금 수납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금 서랍이, 상기 수납고 본체에 대해 폐쇄위치와 인출위치와의 사이에서 수평의 종방향으로 수동으로 인출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금 수납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고 본체에 대한 상기 봉금 서랍의 종방향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 검출수단과,
    상기 봉금 서랍이 출입하게 될 때에 당해 봉금 서랍에 수용되는 봉금 동전이 통과해야 할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봉금 수납고 본체에 고정된 발광유닛 및 수광유닛을 갖고서, 봉금 동전에 의한 차광의 유무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봉금 직경 센서와,
    상기 변위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봉금 서랍의 종방향 변위와, 상기 봉금 직경 센서의 출력에 기해, 상기 봉금 서랍의 각 봉금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동전의 본 수 및 금종을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금 수납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금 서랍의 각 봉금 수납부는 각각 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뻗음과 더불어 저면을 가진 원통형상의 것으로 되어 있고, 그 내경은 수납되어야 할 봉금 동전의 외경보다도 조금 크게 되어 있고, 그 저면에는 수납되어야 할 봉금 동전의 구멍의 유무에 대응해서 연직방향 위쪽으로 뻗은 돌기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금 수납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금 서랍의 각 봉금 수납부는 각각 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뻗음과 더불어 저면을 가진 원통형상의 것으로 되어 있고, 그 내경은 수납 되어야 할 봉금 동전의 외경보다도 조금 크게 되어 있고, 그 저면에는 수납되어야 할 봉금 동전의 외경보다도 조금 작은 외경의 원형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금 수납고.
KR1020070090558A 2006-09-28 2007-09-06 봉금 수납고 KR200800304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64467A JP2008084087A (ja) 2006-09-28 2006-09-28 棒金収納庫
JPJP-P-2006-00264467 2006-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474A true KR20080030474A (ko) 2008-04-04

Family

ID=3867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558A KR20080030474A (ko) 2006-09-28 2007-09-06 봉금 수납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78143A1 (ko)
EP (1) EP1909237A3 (ko)
JP (1) JP2008084087A (ko)
KR (1) KR20080030474A (ko)
CN (1) CN1011543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1361B2 (en) * 2003-07-21 2009-09-22 Corporate Safe Specialists, Inc. Horizontal coin dispenser
ES2545626T3 (es) * 2012-01-27 2015-09-14 Glp Systems Gmbh Cartucho de almacenamiento
JP5820742B2 (ja) * 2012-02-24 2015-11-24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現金管理装置
CN103824392B (zh) * 2012-11-16 2016-08-03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具有双开门的回收箱
JP5565492B2 (ja) * 2013-04-01 2014-08-06 富士電機株式会社 硬貨収納装置
JP5591974B2 (ja) * 2013-04-24 2014-09-1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管理装置
JP5696193B2 (ja) * 2013-10-10 2015-04-08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現金管理装置
JP6260447B2 (ja) * 2014-05-12 2018-01-1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引装置
JP6447265B2 (ja) * 2015-03-11 2019-01-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棒金収納装置
JP6594098B2 (ja) * 2015-08-18 2019-10-23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現金管理装置、及び、棒金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8925A (en) * 1954-01-22 1957-10-08 John J O'rielly Coin container
JPS51156891U (ko) * 1975-06-07 1976-12-14
US4553217A (en) * 1981-07-08 1985-11-12 Ball Corporation Glassware gauging system
FR2546649B1 (fr) * 1983-05-27 1986-06-20 Duplessy Christian Machine pour trier, encartoucher et distribuer des pieces de monnaie
JPH0337092Y2 (ko) * 1986-09-29 1991-08-06
JPH0713570Y2 (ja) * 1989-07-20 1995-04-05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ベッドにおける補助ガード手摺りの組付け構造
JPH0358296A (ja) * 1989-07-27 1991-03-13 Tokyo Electric Co Ltd キャッシュドロワー
US5392951A (en) * 1993-05-20 1995-02-28 Lionville Systems, Inc. Drawer operating system
US5902178A (en) * 1996-03-27 1999-05-11 Mag-Nif Incorporated Coin sorting apparatus
US6443829B1 (en) * 1997-02-12 2002-09-03 Jerzy Perkitny Coin sorting apparatus
JP2001034809A (ja) * 1999-07-22 2001-02-09 Sumio Tomita 棒金輸送箱
US20020108917A1 (en) * 2001-01-15 2002-08-15 Shoji Maruyama Tube rack and clamp system
US7591361B2 (en) * 2003-07-21 2009-09-22 Corporate Safe Specialists, Inc. Horizontal coin dispenser
JP4776904B2 (ja) * 2004-09-15 2011-09-2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釣銭補充管理方法、棒金収納庫、判定手段を備えた装置および管理システム
US20070212996A1 (en) * 2006-03-13 2007-09-13 Ryou Jeong S Manual coin sorter
US20070218822A1 (en) * 2006-03-20 2007-09-20 Kim Woon G Coin sorter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US7641544B2 (en) * 2006-09-15 2010-01-05 Mag-Nif Incorporated Coin bank
US8123026B2 (en) * 2007-04-20 2012-02-28 Depuydt Derek Coin inventory storag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78143A1 (en) 2008-04-03
JP2008084087A (ja) 2008-04-10
CN101154303A (zh) 2008-04-02
EP1909237A2 (en) 2008-04-09
EP1909237A3 (en)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0474A (ko) 봉금 수납고
JP4804949B2 (ja) 棒金収納庫
US7789212B2 (en) Change complement and control system
JP4832913B2 (ja) 棒金収納庫および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
KR20070114152A (ko)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 및 봉금 수납고
JP4795061B2 (ja) 硬貨補充管理システム
JP5025908B2 (ja) 棒金収納庫と棒金収納庫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4776904B2 (ja) 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釣銭補充管理方法、棒金収納庫、判定手段を備えた装置および管理システム
JP6923290B2 (ja)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4684710B2 (ja) 棒金収納庫
JP4804948B2 (ja) 棒金収納庫および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
JP4795060B2 (ja) 硬貨補充管理システム
JP2014119808A (ja) 貨幣処理システム、棒金収納装置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2011013882A (ja) 硬貨処理装置
JP5415487B2 (ja) 棒金収納庫および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
JP5632528B2 (ja) 棒金収納庫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棒金収納庫、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および棒金収納庫のための制御方法
JP4874429B2 (ja) 棒金収納庫
JP4311268B2 (ja) 紙幣識別装置
JP5005824B2 (ja) 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および棒金収納庫
JP5474918B2 (ja) 棒金収納庫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棒金収納庫、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および棒金収納庫のための制御方法
JP6571829B2 (ja) 貨幣処理システム
JP6329307B2 (ja) 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棒金収納装置
JP2018036995A (ja) 貨幣処理機、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6618784B2 (ja) 棒金収納装置および装着部
JP2017146692A (ja) 貨幣管理システム、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