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4152A -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 및 봉금 수납고 - Google Patents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 및 봉금 수납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4152A
KR20070114152A KR1020077020909A KR20077020909A KR20070114152A KR 20070114152 A KR20070114152 A KR 20070114152A KR 1020077020909 A KR1020077020909 A KR 1020077020909A KR 20077020909 A KR20077020909 A KR 20077020909A KR 20070114152 A KR20070114152 A KR 20070114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hardening
storage
coi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이치 다바타
히로시 도네
요시로 오이에
다카히로 와시즈
미키토 이마이
고이치 니시다
츠토무 이와타
가즈유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02577A external-priority patent/JP46847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02617A external-priority patent/JP5025908B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4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4Hand- or motor-driven devices for counting coi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1/00Coin dispensers

Abstract

관리시스템은, 봉금 수납고(1), 경화조전기(3) 및 POS 레지스터(5)를 구비한다. 수납고(1)의 제어유니트(16)는, 검출계(18)의 출력신호에 기초해서 각 드로어(11, 12, 13)의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함과 더불어, 그 검지결과를 경화조전기(3)로 송신한다. 조전기(3) 내지 레지스터(5)의 제어유니트(36 내지는 50)는 수납고(1)로부터 취출된 봉금 경화인 취출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가 투입구(30)로 투입된 때에, 다음과 같은 판정을 실행한다. 즉, 식별수단(31)에 의해 식별된 당해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와, 수납고(1)로부터 송신된 검지결과에 기초한 취출 봉금 경화의 금종 및 개수를 비교해서 양자간의 대응을 판정한다.

Description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 및 봉금 수납고 {CHANGE SUPPLEMENTATION MANAGEMENT SYSTEM AND COIN ROD CONTAINER}
본 발명은 봉금 경화(棒金硬貨: 동일 금종의 경화를 일정 매수만큼 봉모양으로 모아서 포장한 것)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를 조전(釣錢: 거스름돈)용으로서 경화조전기(硬貨釣錢機: 경화 거스름돈 기계)에 보충할 때의 관리를 실행하기 위한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봉금 경화를 금종별로 특정의 수납고에 수납해서 봉금 경화의 재고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봉금 수납고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개2003-263682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일본 특개2003-263682호 공보에 기재된 시스템은, 경화조전기를 포함하는 POS 레지스터와, 이 POS 레지스터에 통신접속된 포장경화 처리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포장경화 처리장치로부터 봉금 경화(포장경화)를 투출(投出)하고, 이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를 거스름돈용으로서 POS 레지스터에 보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포장경화 처리장치가 투출한 봉금 경화의 정보는 POS 레지스터로 송신되지만, 그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의 보충에 대한 정보는 점원 등에 의해 POS 레지스터로 수입력(手入力)될 뿐이다(일본 특개2003-263682호 공보 [0026]∼[0027]란 등을 참조). 이 때문에, 취출된 봉금 경화와, 거스름돈용으로서 보충된 낱개 경화 사이의 대응을 관리하는 관점으로부터는, 관리의 정확도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봉금 수납고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개평11-25031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일본 특개평11-250314호 공보에 기재된 봉금 수납고는, 복수개의 봉금 경화를 수납하는 카세트가 수납고 본체 내에 넣어진 상태에서, 카세트에 수납된 각 봉금 경화의 금종을 순차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납고 본체 내에 있어서, 카세트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배열방향에 따라 일정속도로 이동하는 반사형의 광학식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러한 이동에 따른 센서의 출력의 시간변화에 기초해서 각 봉금 경화의 직경 등으로부터 금종을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봉금 수납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봉금 경화가 수납된 카세트를 수납고 본체 내에 격납한 후, 상기와 같이 센서를 더 이동시켜 검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금종 검지에 시간이 걸린다. 또, 센서를 일정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 등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비용의 점에서도 불리하게 된다. 더욱이, 복수의 카세트에 대해 각각 봉금 경화의 금종 검지를 실행하고자 하면, 각 카세트마다 센서를 이동시키면서 검지할 필요가 있어 더욱 더 시간과 비용이 들게 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봉금 수납고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개2003-337969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일본 특개2003-337969호 공보에 기재된 봉금 수납고는, 복수개의 봉금 경화를 수납하는 카세트가 수납고 본체 내에 넣어진 상태에서, 카세트에 수납된 각 봉금 경화의 금종을 순차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납고 본체 내에 있어서, 카세트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배열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이미지 판독부[스캐너(scanner)]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캐너로 판독한 화상에 기초해서 각 봉금 경화의 금종을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카세트 내에 본래 수납해야 할 금종과는 다른 금종의 봉금 경화가 수납되어 있다(오수납)고 검지된 경우에는, 표시화면에 경고표시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이 경고표시에 기초해서 카세트 내의 오수납 경화를 바꾸어 넣은 후, 표시화면 상의 재조사 키를 누름으로써, 재차의 금종검지[리트라이(retry: 재시도)]가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봉금 수납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조작자는 봉금 경화가 수납된 카세트를 수납고 본체 내에 넣고, 상기와 같은 스캐너의 이동에 의한 금종검지가 실행된 후에, 표시화면에서 오수납의 유무를 확인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리트라이를 실행하는 경우에도, 카세트 내의 오수납 경화를 바꾸어 넣은 후, 재조사 키를 눌러 마찬가지의 수순이 실행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조작자가 오수납을 알아차리기까지 시간이 걸리고, 또 조작이 번잡하여 리트 라이를 즉시 실행할 수 없다. 또, 스캐너의 동작불량 등에 기인해서 오검지가 생긴 경우, 그대로는 봉금 수납고의 재고이상이 생길 가능성이 있지만, 그 대처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첫째로, 취출된 봉금 경화와 거스름돈용으로서 보충된 낱개 경화 사이의 대응을 정확히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둘째로, 드로어(drawer)에서의 복수의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금종을 단시간에 정확히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저비용의 봉금 수납고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셋째로, 조작자가 신속하게 오수납을 알아차림과 더불어, 즉시 리트라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봉금 수납고를 제공하는 것, 및 오검지에 의한 재고이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봉금 수납고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1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 금종의 봉금 경화를 수납가능한 봉금 수납고와,
이 봉금 수납고의 근방에 배설되어 당해 봉금 수납고와 통신접속된 경화조전기를 갖추고,
상기 봉금 수납고로부터 취출된 봉금 경화인 취출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의 상기 경화조전기로의 보충을 관리하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봉금 수납고가,
수납고 본체와,
이 수납고 본체에 대해 인출자재로 설치되고, 특정 금종의 봉금 경화를 각각 1개씩 수납가능한 복수의 봉금 수납부가 설치된 봉금 드로어,
이 봉금 드로어의 각 봉금 수납부마다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하는 봉금 검지수단 및,
이 봉금 검지수단에 의한 검지결과를 상기 경화조전기로 송신하는 검지결과 송신수단을 갖추고,
상기 경화조전기가,
거스름돈용으로서 보충되는 낱개 경화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이 투입구로 투입된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를 식별하는 식별수단 및,
상기 취출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가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때에, 상기 식별수단에 의해 식별된 당해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와, 상기 봉금 수납고로부터 송신된 검지결과에 기초한 상기 취출 봉금 경화의 금종 및 개수를 비교해서 양자간의 대응을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취출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가 경화조전기의 투입구로 투입된 때에, 경화조전기의 판정수단에 의해, 식별수단에 의해 식별된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와, 봉금 수납고에서의 봉금 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기초한 취출 봉금 경화의 금종 및 개수를 비교해서 양자간의 대응을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취출된 봉금 경화와, 거스름돈용으로서 보충된 낱개 경화 사이의 대응을 정확히 관리할 수 있다.
제1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
복수 금종의 봉금 경화를 수납가능한 봉금 수납고와,
이 봉금 수납고의 근방에 배설되어 당해 봉금 수납고와 통신접속된 경화조전기 및,
이 경화조전기의 근방에 배설되어 당해 경화조전기와 통신접속된 금전등록기를 갖추고,
상기 봉금 수납고로부터 취출된 봉금 경화인 취출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의 상기 경화조전기로의 보충을 관리하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봉금 수납고가,
수납고 본체와,
이 수납고 본체에 대해 인출자재로 설치되고, 특정 금종의 봉금 경화를 각각 1개씩 수납가능한 복수의 봉금 수납부가 설치된 봉금 드로어,
이 봉금 드로어의 각 봉금 수납부마다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하는 봉금 검지수단 및,
이 봉금 검지수단에 의한 검지결과를 상기 경화조전기로 송신하는 검지결과 송신수단을 갖추고,
상기 경화조전기가,
거스름돈용으로서 보충되는 낱개 경화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이 투입구로 투입된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를 식별하는 식별수단,
상기 봉금 수납고로부터 송신된 검지결과에 기초한 상기 취출 봉금 경화의 금종 및 개수를 상기 금전등록기로 송신하는 봉금정보 송신수단 및,
상기 취출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가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때에, 상기 식별수단에 의해 식별된 당해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를 상기 금전등록기로 송신하는 낱개 경화정보 송신수단을 갖추며,
상기 금전등록기는, 상기 경화조전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취출 봉금 경화의 금종 및 개수와 상기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를 비교해서 양자간의 대응을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취출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가 경화조전기의 투입구로 투입된 때에, 금전등록기의 판정수단에 의해, 봉금 수납고에서의 봉금 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기초한 취출 봉금 경화의 금종 및 개수와, 경화조전기의 식별수단에 의해 식별된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를 비교해서 양자간의 대응을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취출된 봉금 경화와, 거스름돈용으로서 보충된 낱개 경화 사이의 대응을 정확히 관리할 수 있다.
제2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납고 본체와,
이 본체에 대해, 적어도 폐쇄위치와 인출위치 사이에서 수평한 종방향으로 수동으로 인출자재로 부착되고, 특정 금종의 봉금 경화를 각각 1개씩 축선을 횡방향으로 향하여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봉금 수납부가 설치됨과 더불어, 적어도 상기 수납부가 설치되는 범위에 걸쳐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투광부분이 형성된 봉금 드로어,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검출수단,
상기 드로어의 투광부분을 상하에 끼워 넣고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된 발광유니트 및 수광유니트를 갖추고, 봉금 경화에 의한 차광의 유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봉금 직경센서 및,
상기 변위검출수단으로 검출한 상기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와, 상기 직경센서의 출력에 기초해서 상기 드로어의 각 봉금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하는 봉금 검지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금 수납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봉금 수납고에 의하면, 본체에 대해 봉금 드로어를 수동으로 인출/압입할(밀어 넣을) 때에, 변위검출수단으로 검출한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와, 봉금 경화에 의한 차광의 유무에 따른 직경센서의 출력에 기초해서, 봉금 검지수단이 드로어의 각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한다. 그 경우, 봉금 경화의 금종은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와 직경센서의 출력에 기초해서 특정되는 봉금 경화의 직경을 기준으로 해서 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를 이용함으로써, 수동으로 인출/압입되는 드로어에 다소의 속도변동이 있다고 해도, 그 영향을 받지 않고 봉금 경화의 직경을 정확히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봉금 드로어를 수동으로 인출/압입하는 것만으로, 복수의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금종을 단시간에 정확히 검지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센서를 일정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 등도 필요없게 된다. 이 때문에, 봉금 수납고의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봉금 수납고에서의 봉금 경화의 재고관리는, 특별히 봉금 드로어의 압입(밀어 넣음)시의 검지에 기초해서 실행하면 좋다.
제2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
수납고 본체와,
이 본체에 대해, 각각 적어도 폐쇄위치와 인출위치 사이에서 수평한 종방향으로 수동으로 인출자재로 부착된 복수의 봉금 드로어로서, 각 드로어에는 특정 금종의 봉금 경화를 각각 1개씩 축선을 횡방향으로 향하여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봉금 수납부가 설치됨과 더불어, 적어도 상기 수납부가 설치되는 범위에 걸쳐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투광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봉금 드로어,
상기 본체에 대한 각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검출수단,
상기 복수의 드로어의 투광부분을 상하에 끼워 넣고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된 발광유니트 및 수광유니트를 갖추고, 봉금 경화에 의한 차광의 유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봉금 직경센서 및,
상기 변위검출수단으로 검출한 특정의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와, 상기 직경센서의 출력에 기초해서 당해 드로어의 각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하는 봉금 검지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금 수납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봉금 수납고에 의하면, 수납고 본체에 대해 특정의 봉금 드로어를 수동으로 인출/압입할 때에, 변위검출수단으로 검출한 당해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와, 봉금 경화에 의한 차광의 유무에 따른 직경센서의 출력에 기초해서, 봉금 검지수단이 당해 드로어의 각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한다. 그 경우, 봉금 경화의 금종은 당해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와 직경센서의 출력에 기초해서 특정되는 봉금 경화의 직경을 기준으로 해서 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를 이용함으로써, 수동으로 인출/압입되는 드로어에 다소의 속도변동이 있다고 해도, 그 영향을 받지 않고 봉금 경화의 직경을 정확히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특정의 봉금 드로어를 수동으로 인출/압입하는 것만으로, 당해 드로어의 복수의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금종을 단시간에 정확히 검지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센서를 일정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 등도 필요없게 된다. 이 때문에, 봉금 수납고의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봉금 수납고에서의 봉금 경화의 재고관리는, 특히 봉금 드로어의 압입시의 검지에 기초해서 실행하면 좋다.
제3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납고 본체와,
이 본체에 대해, 적어도 폐쇄위치와 인출위치 사이에서 수평한 종방향으로 수동으로 인출자재로 부착되고, 특정 금종의 봉금 경화를 각각 1개씩 축선을 횡방향으로 향하여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봉금 수납부가 설치됨과 더불어, 적어도 상기 수납부가 설치되는 범위에 걸쳐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투광부분이 형성된 봉금 드로어,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검출수단,
상기 드로어의 투광부분을 상하에 끼워 넣고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된 발광유니트 및 수광유니트를 갖추고, 봉금 경화에 의한 차광의 유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봉금 직경센서,
상기 변위검출수단으로 검출한 상기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와, 상기 직경센서의 출력에 기초해서 상기 드로어의 각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하는 봉금 검지수단,
상기 드로어에서의 각 수납부의 위치와, 각 수납부에 수납되어야 할 봉금 경화의 금종의 대응관계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있던 상기 드로어를 상기 본체에 대해 밀어 넣는 드로어 압입시에, 상기 드로어의 상기 폐쇄위치로부터의 인출을 저지하기 위한 로크동작을 수행하는 로크수단 및,
상기 드로어 압입시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의 각 수납부에 대해 상기 봉금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금종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금종을 대비해서, 대비한 금종끼리가 일치하지 않는 수납부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로크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로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금 수납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봉금 수납고에 의하면, 드로어 압입시에, 변위검출수단으로 검출한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와, 봉금 경화에 의한 차광의 유무에 따른 직경센서의 출력에 기초해서, 봉금 검지수단이 드로어의 각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한다. 그 경우, 봉금 경화의 금종은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와 직경센서의 출력에 기초해서 특정되는 봉금 경화의 직경을 기준으로 해서 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를 이용함으로써, 수동으로 압입되는 드로어에 다소의 속도변동이 있다고 해도, 그 영향을 받지 않고 봉금 경화의 직경을 정확히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봉금 드로어를 수동으로 밀어 넣는 것만으로, 복수의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금종을 단시간에 정확히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오수납이 있는 경우에는, 드로어 압입시에 로크수단에 의한 로크가 되지 않음으로써, 수동으로 드로어를 밀어 넣고 있는 조작자에게 오수납이 있는 것을 알아차리게 할 수 있다. 또, 오수납을 알아차린 조작자는 드로어를 인출하여 오수납 경화를 바꾸어 넣은 후, 다시 드로어를 밀어 넣는 것만으로 리트라이(retry)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조작자가 신속하게 오수납을 알아차림과 더불어 즉시 리트라이를 실행할 수 있다.
제3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
수납고 본체와,
이 본체에 대해, 적어도 폐쇄위치와 인출위치 사이에서 수평한 종방향으로 수동으로 인출자재로 부착되고, 특정 금종의 봉금 경화를 각각 1개씩 축선을 횡방향으로 향하여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봉금 수납부가 설치됨과 더불어, 적어도 상기 수납부가 설치되는 범위에 걸쳐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투광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봉금 드로어,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에 비례한 수의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변위검출수단,
상기 드로어의 투광부분을 상하에 끼워 넣고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된 발광유니트 및 수광유니트를 갖추고, 봉금 경화에 의한 차광의 유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봉금 직경센서,
상기 변위검출수단의 출력으로부터 특정되는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와, 상기 직경센서의 출력에 기초해서, 상기 드로어의 각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하는 봉금 검지수단,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있던 상기 드로어를 상기 본체에 대해 밀어 넣는 드로어 압입시에, 상기 드로어의 상기 폐쇄위치로부터의 인출을 저지하기 위한 로크동작을 수행하는 로크수단 및,
상기 드로어 압입시에 있어서, 단위시간당 상기 변위검출수단이 출력하는 펄스신호의 수인 펄스속도가 소정의 제한속도를 넘은 경우, 또는 당해 펄스속도의 시간변화율인 펄스가속도가 소정의 제한가속도를 넘은 경우에는, 상기 로크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로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금 수납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봉금 수납고에 의하면, 드로어 압입시에, 변위검출수단의 출력으로부터 특정되는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와, 봉금 경화에 의한 차광의 유무에 따른 직경센서의 출력에 기초해서, 봉금 검지수단이 드로어의 각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한다. 그 경우, 봉금 경화의 금종은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와 직경센서의 출력에 기초해서 특정되는 봉금 경화의 직경을 기준으로 해서 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를 이용함으로써, 수동으로 압입되는 드로어에 다소의 속도변동이 있다고 해도, 그 영향을 받지 않고 봉금 경화의 직경을 정확히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수동으로 압입되는 드로어의 속도가 너무 크거나, 그 속도의 시간변화율(가속도)이 너무 큰 경우에는, 드로어의 수납부 내에서 봉금 경화가 움직이거나, 변위검출수단이 검출불량을 일으켜 오검지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드로어의 속도 및 가속도에 대응하는 펄스속도 또는 펄스가속도가 소정의 제한속도 또는 제한가속도를 넘은 경우에는, 드로어 압입시에 로크수단에 의한 로크가 되지 않음으로써, 수동으로 드로어를 밀어 넣고 있는 조작자에게 오검지의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아차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오검지의 가능성을 알아차린 조작자는 일단 드로어를 인출하고 나서 다시 밀어 넣는 것만으로 리트라이를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검지에 의한 재고이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봉금 수납고를 이용한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시스템의 봉금 수납고 및 경화조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봉금 수납고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a) 상측 사시도 및 (b) 하측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봉금 수납고에서의 1개의 봉금 드로어의 변위를 (a) 압입위치, (b) 폐쇄위치, (c) 검출개시/종료위치, (d) 검출종료/개시위치, (e) 인출위치의 각 부위에서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도 2에 나타낸 봉금 수납고에서의 각 봉금 드로어와 변위검출수단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2에 나타낸 봉금 수납고에서의 1개의 봉금 드로어와 대응하는 로크수단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2에 나타낸 봉금 수납고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도 3에 나타낸 엔코더 및 센서의 출력신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봉금 수납고를 이용한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도 8을 참조해서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의 구성, 봉금 수납고의 구체적 구성, 경화조전기의 구성, 본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및 변형례를 순차 설명한다.
[시스템의 구성]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은, 봉금 수납고(1), 경화조전기(3) 및 POS 레지스터(금전등록기; 5)를 갖추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금 수납고(1)는 경화조전기(3)와 서로 상하방향으로 인접하여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봉금 수납고(1)의 본체[광체(筐體); 1a]와 경화조전기(3)의 광체(3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POS 레지스터(5)는 경화조전기(3) 및 봉금 수납고(1)의 근방에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금 수납고(1), 경화조전기(3) 및 POS 레지스터(5)는 각각 제어유니트(16, 36, 50)를 가지고 있다. 그 중, 봉금 수납고(1)의 제어유니트(16)는 경화조전기(3)의 제어유니트(36)와 통신접속되고, 경화조전기(3)의 제어유니트(36)는 POS 레지스터(5)의 제어유니트(50)와 통신접속되어 있다.
[봉금 수납고의 구성]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금 수납고(1)는 수납고 본체(1a)와, 이 본체(1a)에 대해 각각 (수평한 방향으로) 전방으로 수동으로 인출(引出)자재로 부착된 3개의 봉금 드로어(11, 12, 13)를 가지고 있다. 각 봉금 드로어(11, 12, 13) 에는, 특정 금종의 봉금 경화를 각각 1개씩 수납가능한 복수의 봉금 수납부(14; 도 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수납부(14)에서의 봉금 경화의 수납 자세는 봉금 경화의 축선이 봉금 드로어(11, 12, 13)의 인출방향(종방향)과 직교하는 횡방향을 향한 수평자세이다.
예컨대, 상단의 봉금 드로어(11)에는 8개의 1엔 봉금 경화용의 수납부(14)와, 2개의 5엔 봉금 경화용의 수납부(14)가 설치된다. 또, 중단의 봉금 드로어(12)에는 8개의 10엔 봉금 경화용의 수납부(14)와, 2개의 50엔 봉금 경화용의 수납부(14)가 설치된다. 그리고, 하단의 봉금 드로어(13)에는 8개의 100엔 봉금 경화용의 수납부(14)와, 2개의 500엔 봉금 경화용의 수납부(14)가 설치된다.
또, 봉금 수납고(1)는 봉금 드로어(11, 12, 13)의 각 봉금 수납부(14)마다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계(18; 도 1)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봉금 수납고(1)의 제어유니트(16)는 검출계(18)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해서 특정의 드로어(11, 12, 13)의 각 수납부(14)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하는 봉금 검지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봉금 수납고(1)의 본체(1a) 전면에는, 봉금 검지수단으로서의 제어유니트(16)의 검지결과에 기초해서 각 금종의 봉금 경화의 FULL(가득참)/EMPTY(품절) 등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1b)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봉금 수납고(1)의 봉금 드로어(11, 12, 13)로부터 (통상, 레지스터 계원(cashier: 수납원)에 의해) 취출된 봉금 경화를 「취출 봉금 경화」라 칭한다.
도 3에는 봉금 수납고(1)의 본체(1a; 도 2) 내부에 설치된 프레임(틀; F)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 프레임(F)은, 각 봉금 드로어(11, 12, 13)를 상기 종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각 드로어(11, 12, 13)의 밑부분에는, 횡방향 중앙부를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투광부분(개구 내지 투광부분; 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광부분(15)은 각 드로어(11, 12, 13)에서의 복수의 수납부(14; 도 2)가 설치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됨과 더불어, 가장 앞쪽의 수납부(14)보다도 앞의 드로어 선단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5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드로어(11, 12, 13)의 좌측에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래크(rack; R)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는 3개의 드로어(11, 12, 13)를 대표하여 1개의 드로어(11)의 본체(1a)의 전면 패널(1c; 도 3 참조)을 기준으로 한 여러 가지 종방향 위치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4에 있어서,
(b)는 드로어(11)의 전면이 전면 패널(1c)과 거의 같은 면으로 된 「폐쇄위치」;
(a)는 드로어(11)가 폐쇄위치로부터 더 밀어 넣어져 드로어(11)의 전면이 전면 패널(1c)로부터 조금 인입된 「압입위치」;
(c)는 드로어(11)의 인출시에 검출계(18; 도 1)에 의한 검출이 개시되고, 드로어(11)의 압입시에는 검출계(18)에 의한 검출이 종료되는 「검출개시/종료위치」;
(d)는 드로어(11)의 인출시에 검출계(18)에 의한 검출이 종료되고, 드로어(11)의 압입시에는 검출계(18)에 의한 검출이 개시되는 「검출종료/개시위치」;
(e)는 드로어(11)의 모든 수납부(14; 도 2)에 대한 봉금 경화(B)의 수납/취출이 가능하게 될 때까지 인출된 「인출위치」
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상기 검출계(18; 도 1)를 대표하여 하기의 봉금 직경센서(S1)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F)의 앞부분에는 1개의 봉금 직경센서(S1)와, 3개의 봉금 구멍센서(S21, S22, S23)가 설치되어 있다. 직경센서(S1)는 3개의 드로어(11, 12, 13)의 투광부분(15)을 상하에 끼워 넣고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프레임(F; 본체(1a))에 고정된 발광유니트 및 수광유니트를 가지고 있다. 이 직경센서(S1)는, 폐쇄위치(도 4의 (b))에 있는 각 드로어(11, 12, 13)의 가장 앞쪽의 수납부(14)보다도 전방의 투광부분(15)을 광축이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또, 각 구멍센서(S21, S22, S23)는 각각 드로어(11, 12, 13)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각 구멍센서(S21, S22, S23)는 각각 대응하는 드로어(11, 12, 13)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고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프레임(F; 본체(1a))에 고정된 발광유니트 및 수광유니트를 가지고 있다. 각 구멍센서(S21, S22, S23)는 대응하는 드로어(11, 12, 13)에 수납되는 봉금 경화(B)의 중심에 대응하는 높이를 광축이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F)의 앞부분 좌측에는 상단의 드로어(11)에 거의 대응한 높이로 단일의 2상 회전식 엔코더(E)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회전식 엔코더(E)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입력축(e1)을 가지고 있다. 입력축(e1)에 는 각 드로어(11, 12, 13)의 래크(R)에 대응하는 3개의 피니언(pinion; P)이 고정되어 있다. 각 드로어(11, 12, 13)의 래크(R)와 대응하는 피니언(P)과는, 적어도 당해 드로어(11, 12, 13)가 검출개시/종료위치(도 4의 (c))와 검출종료/개시위치(도 4의 (d)) 사이[폐쇄위치(도 4의 (b))와 인출위치(도 4의 (e)) 사이에서 봉금 검지수단에 의한 검지에 필요한 범위 내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서로 맞물리고, 적어도 당해 드로어(11, 12, 13)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서로 맞물리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전식 엔코더(E)가 각 드로어(11, 12, 13)의 종방향 변위에 비례한 수의 펄스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상의 회전식 엔코더(E), 래크(R) 및 피니언(P)은 본체(1a)에 대한 각 드로어(11, 12, 13)의 종방향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도 6에는 3개의 드로어(11, 12, 13)를 대표하여 1개의 드로어(11)와 이에 대응하는 로크수단의 관계가 드로어(11)의 (a) 폐쇄위치 및 (b) 압입위치로 나타내어져 있다. 드로어(11)의 뒷부분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절판(11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사절판(11a)의 후방에는 드로어(11)에 대해 고정된 로크판(17) 및 차광판(19)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로크판(17) 및 차광판(19)에 대응해서, 각각 로크아암(lock arm; 20) 및 압입센서(S31)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아암(20) 및 압입센서(S31)는 도 3에 나타낸 프레임(F; 도 2에 나타낸 본체(1a)) 쪽에 부착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부재(26)가 프레임(F)에 대해 종방향으로 슬라이드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압입센서(S31)는 도 6의 (a)에 나타낸 드로어(11)의 폐쇄위치에 있어서, 차광판(19)을 횡방향으로 끼워 넣고서 서로 대향한 발광유니트 및 수광유니트를 가지고 있다. 또, 로크아암(20)은 로크판(17)의 전단과 계합(係合: 걸어 맞춤) 가능한 계합부분(21)과, 당해 아암(20)을 프레임(F)에 대해 회동(回動)자재로 부착하는 회동축(22)을 가지고 있다. 이 아암(20)에 대해서는, 풀형(pull-type)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장치(D1)와, 복귀 스프링(return spring; 23)이 연결되어 있다. 이들 구동장치(D1) 및 복귀 스프링(23)에 의해, 아암(20)을 계합부분(21)이 로크판(17)과 계합가능한 로크위치와, 계합부분(21)이 로크판(17)과 계합하지 않도록 퇴피시킨 해방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26)에는, 이것을 프레임(F)에 대해 전방(도 6의 오른쪽)으로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스프링(27)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의 (a)에 나타낸 드로어(11)의 폐쇄위치에 있어서 활성화 스프링(27)의 활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26)의 전단부가 사절판(11a)에 맞닿아 드로어(11)를 전방으로 약간 활성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드로어(11)를 도 6의 (a)의 폐쇄위치로부터 도 6의 (b)의 압입위치까지 수동으로 밀어 넣으면, 차광판(19)의 후퇴에 의해 센서(S31)의 출력이 차광으로부터 투광으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도 7에 나타낸 제어유니트(16)의 제어에 의해) 구동장치(D1)가 아암(20)을 해방위치로 회동시킨다. 그래서 드로어(11)를 밀어 넣고 있던 힘이 느슨해지면, 스프링(27)의 활성력에 의해 드로어(11)가 폐쇄위치로부터 약간 인출된 위치(폐쇄위치와 도 4의 (c)의 검출개시/종료위치 사이)까 지 전진한다. 이에 따라, 수동에 의한 드로어(11)의 인출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인출되어 있던 드로어(11)를 본체(1a)에 대해 밀어 넣는 「드로어 압입시」에는, 드로어(11)를 (스프링(27)의 활성력에 대항하여) 도 6의 (b)의 압입위치까지 밀어 넣음으로써, 센서(S31)의 출력이 차광으로부터 투광을 거쳐 다시 차광으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도 7에 나타낸 제어유니트(16)의 제어에 의해) 구동장치(D1)[스프링(23)]가 아암(20)을 로크위치로 회동시킨다. 그래서 드로어(11)를 밀어 넣고 있던 힘이 느슨해지면, 스프링(27)의 활성력에 의해 드로어(11)가 폐쇄위치까지 복귀한 지점에서 아암(20)의 계합부분(21)이 로크판(17)과 계합한다. 이렇게 해서, 각 드로어(11, 12, 13)에 대해 드로어 압입시에 당해 드로어(11, 12, 13)의 폐쇄위치로부터의 인출을 저지하기 위한 「로크동작」을 수행하는 로크수단이 구성되고 있다.
한편, 구동장치(D1)를, 통전시에만 아암(20)을 해방위치로 회동시키는 솔레노이드로 함으로써, 정전시에는 항상(드로어의 압입에 관계없이) 드로어의 폐쇄위치로부터의 인출을 저지하는 로크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봉금 수납고가 설치된 점포가 정전되어 점포 내가 어두워진 상태에서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유니트(16)에는 상기 검출계(18)를 구성하는 봉금 직경센서(S1), 봉금 구멍센서(S21, S22, S23) 및 회전식 엔코더(E)가 접속되어 있다(도 3 참조). 또, 제어유니트(16)에는 각 드로어(11, 12, 13)에 대응한 구동장치(D1, D2, D3) 및 압입센서(S31, S32, S33)가 접속되어 있다(도 6 참조). 그 밖에, 제어유니트(16)에는 표시패널(1b; 도 2 참조), 메모리(기억수단; M) 및 통신 인터페이스(T)가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M)에는 모든 드로어(11, 12, 13)에서의 각 수납부(14)의 위치와, 각 수납부(14)에 수납되어야 할 봉금 경화의 금종의 대응관계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 통신인터페이스(T)는 경화조전기(3; 도 1)의 제어유니트(36)와 제어유니트(16)를 통신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유니트(16)는 회전식 엔코더(E)의 출력으로부터 특정되는 어느 하나의 드로어(11, 12, 13)의 종방향 변위와, 봉금 직경센서(S1)의 출력에 기초해서, 당해 드로어의 각 수납부(14)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하는 봉금 검지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제어유니트(16)는 봉금 검지수단으로서의 검지결과를 (통신인터페이스(T)를 매개로 해서) 경화조전기(3)로 송신하는 검지결과 송신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납고 본체(1a)에 대해 봉금 드로어를 수동으로 인출/압입할 때에, 회전식 엔코더(E), 직경센서(S1) 및 당해 드로어에 대응하는 구멍센서(S21, S22, S23)는 각각 도 8에 (그것들의 일부를) 나타낸 바와 같은 신호(70, 72, 74)를 출력한다. 이들 출력신호 중 회전식 엔코더(E)의 펄스신호(70)에 의해, 당해 드로어(11, 12, 13)[각 수납부(14)]의 본체(1a)에 대한, 따라서 각 센서(S1; S21, S22, S23)에 대한 종방향의 변위가 특정된다. 또, 각 센서(S1; S21, S22, S23)의 신호(72; 74)에 의해, 각 봉금 경화의 반경방향 바깥 테두리 및 안쪽 테두리(5엔 및 50엔의 구멍이 뚫린 경화 이외의 경우는 바깥 테두리만)에 의한 투광/차광(차광의 유무)의 천이가 특정된다.
이에 따라, 특정의 봉금 드로어(11, 12, 13)의 각 수납부(14)마다, 봉금 경 화의 유무뿐만 아니라, 수납되어 있는 봉금 경화의 직경 및 중심구멍의 유무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기초해서, 제어유니트(16)는 각 수납부(14)에 존재하는 봉금 경화가 본래 수납해야 할 금종의 봉금 경화인지 아닌지를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제어유니트(16)는 어느 것인가 하나의 드로어(11, 12, 13)에 대한 드로어 압입시에 있어서, 당해 드로어의 각 수납부(14)에 대해 감지된 봉금 경화의 금종과 메모리(M)에 기억된 금종을 대비한다. 그리고, 제어유니트(16)는 대비한 금종끼리가 일치하지 않는 수납부(14)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로크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로크수단(이 경우는 구동장치(D1, D2, D3))를 제어하는 제1제어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각 드로어(11, 12, 13)의 드로어 압입시에 있어서, 단위시간당 회전식 엔코더(E)가 출력하는 펄스신호(70)의 수를 「펄스속도」라고 정의하고, 당해 펄스속도의 시간변화율을 「펄스가속도」라고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타이머 인터럽트 처리를 이용해서, 일정시간간격(Δt) 내의 펄스신호(70)의 수를 시간간격(Δt)으로 나눈 값을 「펄스속도」로 하고, 인접하는 2개의 시간간격(Δt)에 대한 펄스속도 사이의 차를 시간간격(Δt)으로 나눈 값을 「펄스가속도」로 하여, 각각 근사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유니트(16)는 펄스속도가 소정의 제한속도를 넘은 경우, 또는 펄스가속도가 소정의 제한가속도를 넘은 경우에는, 상기 로크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로크수단(구동장치(D1 D2, D3))을 제어하는 제2제어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제어유니트(16)는 제1 또는 제2제어수단으로서 로크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로크수단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그와 동시에 조작자에 대한 경고표시를 하도록 표시패널(표시수단; 1b)을 제어하는 제3제어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 경우의 경고표시로서는, 예컨대 당해 드로어에 대응하는 표시램프를 (통상의 점멸보다도 고속으로) 점멸시키는 등의 표시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경화조전기의 구성]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조전기(3)는 광체(3a)의 앞쪽에 형성된 투입구(30), 불출구(34) 및 표시·조작패널(3b; 도 2 참조)을 갖추고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조전기(3)는 식별수단(31), 선별수단(32) 및 금종별 수납부(33)를 갖추고 있다. 식별수단(31)은 투입구(30)에 투입된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를 식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선별수단(32)은 식별수단(31)에 의해 식별된 낱개 경화를 금종마다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종별 수납부(33)는 선별수단(32)에 의해 선별된 낱개 경화를 금종별로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화조전기(3)는 금종별 수납부(33)에 수납되어 있는 낱개 경화를, 거스름돈의 불출 등의 필요에 따라 불출구(34)로 투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투입구(30)로 투입되는 낱개 경화로서는, 거스름돈용으로서 보충되는 경화(전형적으로는 취출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 외에, 고객으로부터 수취한 입금 경화도 포함되지만, 양자는 특별히 구별하는 일없이 금종별 수납부(33)에 수납되어 거스름돈으로서 이용된다.
경화조전기(3)의 제어유니트(36)에는, 봉금 수납고(1)의 제어유니트(16)로부터 검지결과가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유니트(36)는 취출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가 투입구(30)로 투입된 때에, 식별수단(31)에 의해 식별된 당해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와, 수신한 검지결과에 기초한 취출 봉금 경화의 금종 및 개수를 비교해서 양자간의 대응을 판정하는 판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와 취출 봉금 경화의 금종 및 개수가 대응하고 있지 않다(동일 금종으로, 낱개 경화의 합계매수가 봉금 경화 1개당의 경화매수(통상 50매)×개수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의 로그 데이터에 플래그를 세우는 등의 대응이 취해진다. 이에 따라, 취출된 봉금 경화와, 거스름돈용으로서 보충된 낱개 경화 사이의 대응을 정확히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봉금 수납고(1)의 로크수단(도 6)과의 관계에서는, 부정방지의 관점으로부터는 제어유니트 36 및 16에 의해 다음과 같은 제어가 수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경화조전기(3)의 수납부(33) 내에 모든 금종에 대해 충분한 양의 경화가 존재하는 한, 봉금 수납고(1)에 있어서 항상(상기 제어와는 무관계로) 드로어의 폐쇄위치로부터의 인출을 저지하는 로크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봉금 수납고(1)로부터 경화조전기(3)로 경화의 보충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봉금 수납고(1)의 드로어를 인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작용·효과]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취출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가 경화조전기(3)의 투입구(30)로 투입된 때에, 경화조전기(3)의 판정수단(제어유니트(36))에 의해, 식별수단(31)에 의해 식별된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와, 봉금 수납고(1)에서의 봉금 검지수단(18)의 검지결과에 기초한 취출 봉금 경화의 금종 및 개수를 비교해서 양자간의 대응을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취출된 봉금 경화와, 거스름돈용으로서 보충된 낱개 경화 사이의 대응을 정확히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봉금 수납고(1)에 의하면, 본체(1a)에 대해 봉금 드로어(11, 12, 13)를 수동으로 인출/압입할 때에, 변위검출수단으로서의 회전식 엔코더(E)의 출력으로부터 판정되는 당해 드로어(11, 12, 13)의 종방향 변위와, 봉금 경화에 의한 차광의 유무에 따른 직경센서(S1) 및 구멍센서(S21, S22, S23)의 출력에 기초해서, 봉금 검지수단으로서의 제어유니트(16)가 당해 드로어의 각 수납부(14)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한다. 그 경우, 봉금 경화의 금종은 당해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와 직경센서(S1)의 출력에 기초해서 특정되는 봉금 경화의 직경, 및 구멍센서(S21, S22, S23)의 출력에 기초해서 특정되는 봉금 경화의 중심구멍의 유무를 기준으로 해서 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드로어(11, 12, 13)의 종방향 변위를 이용함으로써, 수동으로 인출/압입되는 드로어에 다소의 속도변동이 있다고 해도, 그 영향을 받지 않고 봉금 경화의 직경을 정확히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특정의 봉금 드로어(11, 12, 13)를 수동으로 밀어 넣는 것만으로, 당해 드로어의 복수의 수납부(14)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금종을 단시간에 정확히 검지해서 재고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센서를 일정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 등도 필요없게 된다. 이 때문에, 봉금 수납고의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복수의 드로어(11, 12, 13)의 종방향 변위를 단일의 회전식 엔코더(E)로 각각 검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변위검출수단의 비용을 절감시키고, 나아가서는 봉금 수납고의 더 한층의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드로어(11, 12, 13)의 어느 것인가의 수납부(14)에 본래 수납해야 할 금종과는 다른 금종의 봉금 경화가 수납되어 있다(오수납)고 검지된 경우에는, 드로어 압입시에 로크수단에 의한 로크가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수동으로 드로어(11, 12, 13)를 밀어 넣고 있는 조작자에게 오수납이 있는 것을 알아차리게 할 수 있다. 또, 오수납을 알아차린 조작자는 드로어(11, 12, 13)를 인출하여 오수납 경화를 바꾸어 넣은 후, 다시 드로어를 밀어 넣는 것만으로 재차의 금종검지(리트라이)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조작자가 신속하게 오수납을 알아차림과 더불어 즉시 리트라이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수동으로 압입되는 드로어(11, 12, 13)의 속도가 너무 크거나, 그 속도의 시간변화율(가속도)이 너무 큰 경우에는, 드로어의 수납부(14) 내에서 봉금 경화가 움직이거나, 변위검출수단으로서의 회전식 엔코더(E)가 검출불량을 일으켜 오검지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드로어(11, 12, 13)의 속도 및 가속도에 대응하는 펄스속도 또는 펄스가속도가 소정의 제한속도 또는 제한가속도를 넘은 경우에는, 드로어 압입시에 로크수단에 의한 로크가 되지 않도록 했다. 이 때문에, 수동으로 드로어(11, 12, 13)를 밀어 넣고 있는 조작자에게 오검지의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아차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오검지의 가능성을 알아차린 조작자는 일단 드로어(11, 12, 13)를 인출하고 나서 다시 밀어 넣는 것만으로 리트라이를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검지에 의한 재고이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상과 같이 로크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로크수단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동시에 표시패널(1b)에 의한 경고표시를 함으로써, 오수납이나 오검지의 가능성을 조작자의 시각에도 호소하여 보다 확실하게 리트라이를 촉구할 수 있다.
[변형례]
(1) 봉금 수납고(1)와 경화조전기(3)가 서로 인접하여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봉금 수납고(1)와 경화조전기(3)는 반드시 서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봉금 수납고(1)와 경화조전기(3)가 적어도 서로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봉금 수납고(1)로부터 경화조전기(3)로 거스름돈용의 경화의 보충을 즉시 실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얻어진다.
(2) 경화조전기(3)의 제어유니트(36)가 판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 대신 POS 레지스터(금전등록기; 5)의 제어유니트(50)가 판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그 경우, 경화조전기(3)의 제어유니트(36)가,
봉금 수납고(1)로부터 송신된 검지결과에 기초한 취출 봉금 경화의 금종 및 개수를 POS 레지스터(5)로 송신하는 봉금정보 송신수단 및,
취출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가 투입구(30)로 투입된 때에, 식별수단(31)에 의해 식별된 당해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를 POS 레지스터(5)로 송신하는 낱개 경화정보 송신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더 갖고,
판정수단으로서의 POS 레지스터(5)의 제어유니트(50)가, 경화조전기(3)로부터 송신된 취출 봉금 경화의 금종 및 개수와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를 비교해서 양자간의 대응을 판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취출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가 경화조전기(3)의 투입구(30)로 투입된 때에, 금전등록기(5)의 판정수단(50)에 의해 봉금 수납고(1)에서의 봉금 검지수단(18)의 검지결과에 기초한 취출 봉금 경화의 금종 및 개수와, 경화조전기(3)의 식별수단(31)에 의해 식별된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를 비교해서 양자간의 대응을 판정할 수 있다.
(3) 각 드로어(11, 12, 13)가 본체(1a)에 대해 압입위치(도 4의 (a))와 인출위치(도 4의 (e)) 사이에서 인출자재로 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드로어(11, 12, 13)의 폐쇄위치(도 4의 (b))에서 로크수단이 작동하도록 구성한 경우는, 각 드로어(11, 12, 13)가 본체(1a)에 대해 폐쇄위치(도 4의 (b))와 인출위치 사이에서 인출자재로 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4) 로크수단(도 6)이 광학식 센서(S31, S32, S33)의 출력에 기초해서 작동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광학식 이외의 전기적인 검지, 내지는 기계적인 검지에 기초해서 작동하도록 해도 좋다.
(5) 각 피니언(P)이 회전식 엔코더(E)의 입력축(e1)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각 피니언(P)은 입력축(e1)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한, 이것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컨대, 각 피니언(P)과 입력축(e1) 사이에 다른 기어나 축이 개재(介在)되어 있어도 좋다.
(6) 취급대상의 봉금 경화에 구멍이 뚫린 경화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는, 금종간에서 봉금 경화의 직경의 차가 충분히 커서 봉금 직경센서(S1)의 출력만으로 충분히 금종의 판정이 가능한 경우에는, 봉금 구멍센서(S21, S22, S23)를 생략해도 좋다.

Claims (9)

  1. 복수 금종의 봉금 경화를 수납가능한 봉금 수납고와,
    이 봉금 수납고의 근방에 배설되어 당해 봉금 수납고와 통신접속된 경화조전기를 갖추고,
    상기 봉금 수납고로부터 취출된 봉금 경화인 취출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의 상기 경화조전기로의 보충을 관리하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봉금 수납고가,
    수납고 본체와,
    이 수납고 본체에 대해 인출자재로 설치되고, 특정 금종의 봉금 경화를 각각 1개씩 수납가능한 복수의 봉금 수납부가 설치된 봉금 드로어,
    이 봉금 드로어의 각 봉금 수납부마다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하는 봉금 검지수단 및,
    이 봉금 검지수단에 의한 검지결과를 상기 경화조전기로 송신하는 검지결과 송신수단을 갖추고,
    상기 경화조전기가,
    거스름돈용으로서 보충되는 낱개 경화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이 투입구로 투입된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를 식별하는 식별수단 및,
    상기 취출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가 상기 투입구로 투입 된 때에, 상기 식별수단에 의해 식별된 당해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와, 상기 봉금 수납고로부터 송신된 검지결과에 기초한 상기 취출 봉금 경화의 금종 및 개수를 비교해서 양자간의 대응을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
  2. 복수 금종의 봉금 경화를 수납가능한 봉금 수납고와,
    이 봉금 수납고의 근방에 배설되어 당해 봉금 수납고와 통신접속된 경화조전기 및,
    이 경화조전기의 근방에 배설되어 당해 경화조전기와 통신접속된 금전등록기를 갖추고,
    상기 봉금 수납고로부터 취출된 봉금 경화인 취출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의 상기 경화조전기로의 보충을 관리하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봉금 수납고가,
    수납고 본체와,
    이 수납고 본체에 대해 인출자재로 설치되고, 특정 금종의 봉금 경화를 각각 1개씩 수납가능한 복수의 봉금 수납부가 설치된 봉금 드로어,
    이 봉금 드로어의 각 봉금 수납부마다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하는 봉금 검지수단 및,
    이 봉금 검지수단에 의한 검지결과를 상기 경화조전기로 송신하는 검지결과 송신수단을 갖추고,
    상기 경화조전기가,
    거스름돈용으로서 보충되는 낱개 경화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이 투입구로 투입된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를 식별하는 식별수단,
    상기 봉금 수납고로부터 송신된 검지결과에 기초한 상기 취출 봉금 경화의 금종 및 개수를 상기 금전등록기로 송신하는 봉금정보 송신수단 및,
    상기 취출 봉금 경화의 포장을 풀어 얻어진 낱개 경화가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때에, 상기 식별수단에 의해 식별된 당해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를 상기 금전등록기로 송신하는 낱개 경화정보 송신수단을 갖추며,
    상기 금전등록기는, 상기 경화조전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취출 봉금 경화의 금종 및 개수와 상기 낱개 경화의 금종 및 매수를 비교해서 양자간의 대응을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
  3. 수납고 본체와,
    이 본체에 대해, 적어도 폐쇄위치와 인출위치 사이에서 수평한 종방향으로 수동으로 인출자재로 부착되고, 특정 금종의 봉금 경화를 각각 1개씩 축선을 횡방향으로 향하여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봉금 수납부가 설치됨과 더불어, 적어도 상기 수납부가 설치되는 범위에 걸쳐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투광부분이 형성된 봉금 드로어,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검출수단,
    상기 드로어의 투광부분을 상하에 끼워 넣고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된 발광유니트 및 수광유니트를 갖추고, 봉금 경화에 의한 차광의 유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봉금 직경센서 및,
    상기 변위검출수단으로 검출한 상기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와, 상기 직경센서의 출력에 기초해서 상기 드로어의 각 봉금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하는 봉금 검지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금 수납고.
  4. 수납고 본체와,
    이 본체에 대해, 각각 적어도 폐쇄위치와 인출위치 사이에서 수평한 종방향으로 수동으로 인출자재로 부착된 복수의 봉금 드로어로서, 각 드로어에는 특정 금종의 봉금 경화를 각각 1개씩 축선을 횡방향으로 향하여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봉금 수납부가 설치됨과 더불어, 적어도 상기 수납부가 설치되는 범위에 걸쳐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투광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봉금 드로어,
    상기 본체에 대한 각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검출수단,
    상기 복수의 드로어의 투광부분을 상하에 끼워 넣고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된 발광유니트 및 수광유니트를 갖추고, 봉금 경화에 의한 차 광의 유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봉금 직경센서 및,
    상기 변위검출수단으로 검출한 특정의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와, 상기 직경센서의 출력에 기초해서 당해 드로어의 각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하는 봉금 검지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금 수납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변위검출수단이,
    입력축을 갖는 단일의 회전식 엔코더와,
    각 드로어에 설치된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래크 및,
    상기 엔코더의 입력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피니언으로서 각 드로어의 상기 래크에 각각 대응하는 피니언을 갖추고,
    각 드로어의 상기 래크와, 대응하는 상기 피니언은, 당해 드로어가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인출위치 사이에서 상기 봉금 검지수단에 의한 검지에 필요한 범위 내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서로 맞물리고, 적어도 당해 드로어가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서로 맞물리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금 수납고.
  6. 수납고 본체와,
    이 본체에 대해, 적어도 폐쇄위치와 인출위치 사이에서 수평한 종방향으로 수동으로 인출자재로 부착되고, 특정 금종의 봉금 경화를 각각 1개씩 축선을 횡방향으로 향하여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봉금 수납부가 설치됨과 더불어, 적어도 상기 수납부가 설치되는 범위에 걸쳐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투광부분이 형성된 봉금 드로어,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검출수단,
    상기 드로어의 투광부분을 상하에 끼워 넣고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된 발광유니트 및 수광유니트를 갖추고, 봉금 경화에 의한 차광의 유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봉금 직경센서,
    상기 변위검출수단으로 검출한 상기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와, 상기 직경센서의 출력에 기초해서 상기 드로어의 각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하는 봉금 검지수단,
    상기 드로어에서의 각 수납부의 위치와, 각 수납부에 수납되어야 할 봉금 경화의 금종의 대응관계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있던 상기 드로어를 상기 본체에 대해 밀어 넣는 드로어 압입시에, 상기 드로어의 상기 폐쇄위치로부터의 인출을 저지하기 위한 로크동작을 수행하는 로크수단 및,
    상기 드로어 압입시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의 각 수납부에 대해 상기 봉금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금종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금종을 대비해서, 대비한 금종끼리가 일치하지 않는 수납부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로크동작을 수행하지 않 도록 상기 로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금 수납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표시수단을 더 갖추고,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대비한 금종끼리가 일치하지 않는 수납부가 있는 경우에는, 조작자에 대한 경고표시를 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금 수납고.
  8. 수납고 본체와,
    이 본체에 대해, 적어도 폐쇄위치와 인출위치 사이에서 수평한 종방향으로 수동으로 인출자재로 부착되고, 특정 금종의 봉금 경화를 각각 1개씩 축선을 횡방향으로 향하여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봉금 수납부가 설치됨과 더불어, 적어도 상기 수납부가 설치되는 범위에 걸쳐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투광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봉금 드로어,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에 비례한 수의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변위검출수단,
    상기 드로어의 투광부분을 상하에 끼워 넣고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된 발광유니트 및 수광유니트를 갖추고, 봉금 경화에 의한 차광의 유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봉금 직경센서,
    상기 변위검출수단의 출력으로부터 특정되는 드로어의 종방향 변위와, 상기 직경센서의 출력에 기초해서, 상기 드로어의 각 수납부에 수납된 봉금 경화의 유무 및 금종을 검지하는 봉금 검지수단,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있던 상기 드로어를 상기 본체에 대해 밀어 넣는 드로어 압입시에, 상기 드로어의 상기 폐쇄위치로부터의 인출을 저지하기 위한 로크동작을 수행하는 로크수단 및,
    상기 드로어 압입시에 있어서, 단위시간당 상기 변위검출수단이 출력하는 펄스신호의 수인 펄스속도가 소정의 제한속도를 넘은 경우, 또는 당해 펄스속도의 시간변화율인 펄스가속도가 소정의 제한가속도를 넘은 경우에는, 상기 로크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로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금 수납고.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표시수단을 더 갖추고,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펄스속도가 상기 제한속도를 넘은 경우, 또는 상기 펄스가속도가 상기 제한가속도를 넘은 경우에는, 조작자에 대한 경고표시를 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금 수납고.
KR1020077020909A 2005-03-31 2006-03-15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 및 봉금 수납고 KR200701141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02577A JP4684710B2 (ja) 2005-03-31 2005-03-31 棒金収納庫
JPJP-P-2005-00102577 2005-03-31
JPJP-P-2005-00102617 2005-03-31
JP2005102617A JP5025908B2 (ja) 2005-03-31 2005-03-31 棒金収納庫と棒金収納庫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152A true KR20070114152A (ko) 2007-11-29

Family

ID=3708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909A KR20070114152A (ko) 2005-03-31 2006-03-15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 및 봉금 수납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896149B2 (ko)
EP (1) EP1879155B1 (ko)
KR (1) KR20070114152A (ko)
WO (1) WO20061094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4949B2 (ja) * 2006-02-15 2011-11-02 グローリー株式会社 棒金収納庫
JP5037073B2 (ja) * 2006-09-01 2012-09-2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機、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レジスタ
JP5009001B2 (ja) * 2007-02-07 2012-08-22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棒金保管庫
US20090184034A1 (en) * 2008-01-17 2009-07-23 Kazuhiro Doi Methods and systems for sorting bank notes, providing a change fund and balancing revenue
JP5367273B2 (ja) * 2008-02-13 2013-12-1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棒金収納庫
JP5374052B2 (ja) * 2008-02-14 2013-12-2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
JP5163267B2 (ja) * 2008-05-12 2013-03-13 富士電機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
GB2478794A (en) * 2010-03-19 2011-09-21 Supply Point Systems Ltd Storage system for supplying articles
US8983653B2 (en) 2011-07-15 2015-03-17 Advantage Pharmacy Services Llc Electromechanical latch and ejector
IN2014CN04098A (ko) * 2011-11-08 2015-10-23 Isish Healthcare System S L
JP2014010680A (ja) * 2012-06-29 2014-01-20 Glory Ltd 硬貨払出装置およびドロア
EP2908294B1 (de) * 2014-02-14 2021-12-15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Münzsortiereinrichtung mit Überlaufauffangeinrichtung
GB2523813B (en) * 2014-03-06 2016-01-27 Inventory Control Equipment Ltd System for secure storage of and controlled access to articles and apparatus therefor
JP2015215662A (ja) * 2014-05-08 2015-12-0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包装硬貨投出装置、貨幣処理機および包装硬貨投出方法
JP6653142B2 (ja) * 2015-08-20 2020-02-2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
JP6923290B2 (ja) * 2015-11-18 2021-08-18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6747118B2 (ja) 2016-07-11 2020-08-26 富士電機株式会社 金銭処理装置
JP2018180624A (ja) * 2017-04-04 2018-11-1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機、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82050B2 (en) * 1987-05-06 1989-03-09 Kabushiki Kaisha Sigma Coin exchanging machine
JP2851747B2 (ja) * 1992-04-27 1999-01-27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棒金払い出し機
JPH07249139A (ja) 1994-03-14 1995-09-26 Oki Electric Ind Co Ltd 棒金放出機
JP3297218B2 (ja) * 1994-09-29 2002-07-02 富士通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JP3456851B2 (ja) 1996-12-24 2003-10-14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棒金検知装置および棒金投出機
JPH11250314A (ja) 1998-03-03 1999-09-17 Toshiba Corp 棒金入出金装置
JPH11288479A (ja) * 1998-04-01 1999-10-19 Toshiba Corp 棒金処理装置および現金処理装置
JP3630556B2 (ja) * 1998-05-08 2005-03-16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JP3474446B2 (ja) * 1998-06-05 2003-12-08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釣銭作成装置
JP4053318B2 (ja) 2002-03-11 2008-02-2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釣銭補充システムおよび釣銭補充方法
JP3812738B2 (ja) 2002-05-17 2006-08-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棒金取扱装置
US7591361B2 (en) * 2003-07-21 2009-09-22 Corporate Safe Specialists, Inc. Horizontal coin dispenser
JP4804949B2 (ja) * 2006-02-15 2011-11-02 グローリー株式会社 棒金収納庫
JP4795056B2 (ja) * 2006-03-03 2011-10-1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
JP5009001B2 (ja) * 2007-02-07 2012-08-22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棒金保管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79155B1 (en) 2012-12-05
US20110127286A1 (en) 2011-06-02
US20090171498A1 (en) 2009-07-02
WO2006109400A1 (ja) 2006-10-19
US8127914B2 (en) 2012-03-06
US7896149B2 (en) 2011-03-01
EP1879155A1 (en) 2008-01-16
EP1879155A4 (en)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4152A (ko) 거스름돈 보충 관리시스템 및 봉금 수납고
JP5025908B2 (ja) 棒金収納庫と棒金収納庫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US7789212B2 (en) Change complement and control system
US7870942B2 (en) Coin-roll storage
JP4795061B2 (ja) 硬貨補充管理システム
US20080078143A1 (en) Coin-roll storing machine
JP4832913B2 (ja) 棒金収納庫および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
JP4684710B2 (ja) 棒金収納庫
JP2006085332A (ja) 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
JP4804948B2 (ja) 棒金収納庫および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
EP2315185B1 (en) Media handler and method of receiving a media cassette in a media handler
JP2014119808A (ja) 貨幣処理システム、棒金収納装置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2007249404A (ja) 硬貨補充管理システム
JP5632528B2 (ja) 棒金収納庫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棒金収納庫、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および棒金収納庫のための制御方法
JP4874429B2 (ja) 棒金収納庫
JP5474918B2 (ja) 棒金収納庫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棒金収納庫、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および棒金収納庫のための制御方法
JP5005824B2 (ja) 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および棒金収納庫
JP5470071B2 (ja) 現金管理装置
JP6329307B2 (ja) 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棒金収納装置
WO2017159013A1 (ja) 貨幣処理装置、貨幣管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2018133101A (ja) 棒金収納装置および貨幣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