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723A - 내붕산염 필름 - Google Patents

내붕산염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5723A
KR20080025723A KR1020087000301A KR20087000301A KR20080025723A KR 20080025723 A KR20080025723 A KR 20080025723A KR 1020087000301 A KR1020087000301 A KR 1020087000301A KR 20087000301 A KR20087000301 A KR 20087000301A KR 20080025723 A KR20080025723 A KR 20080025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onic acid
units
mol
methyl propane
mole per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차드 비카리
Original Assignee
셀라니즈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9525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2572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셀라니즈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셀라니즈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25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72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6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 C11D3/38672Granulated or coated 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39Coated compositions or coated components in the compositions, (micro)caps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11D17/041Compositions releasably affixed on a substrate or incorporated into a dispensing means
    • C11D17/042Water soluble or water disintegrable containers or substrates containing cleaning compositions or additives for clean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53Polyvinylalcohol; Ether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69(Co)polymerised monomers containing nitrogen, e.g. carbonamides, nitriles or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6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8Coated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Wrapper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제품을 포장하고 캡슐화하는데 유용한 수용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필름이 물에 용해될 때 포장 및 캡슐화된 제품이 방출된다. 상기 필름은 특정한 화합물, 특히 붕산염-함유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개선된 수 용해도 특징을 제공하는 분자량 및 단량체 혼입 수준으로 비닐 알코올 단위 및 설폰산 단위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필름은 세제 제품을 포장하고 효소와 같은 세제 성분을 캡슐화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Description

내붕산염 필름{BORATE RESISTANT FILMS}
본 발명은 필름 용해시에 방출될 수 있는 다양한 제품 및 화합물을 포장하거나 캡슐화(encapsulating)하는데 유용한 비닐 알코올 및 설폰산의 공중합체를 혼입시킨 수용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필름 형성 물질로서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중합체는 우수한 강도 및 수 용해도 특징을 갖는다. 폴리비닐 알코올 용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2가지 요인은 분자량 및 가수분해도이다. 시판되는 필름은 약 10,000 내지 100,000g/mole의 중량 평균분자량 범위이다. 상기 시판되는 수지의 가수분해 비율은 일반적으로 약 70 내지 100%이다. 비닐 아세테이트를 중합시키고 이어서 상기 중합체를 가수분해하여서 폴리비닐 알코올을 제조하기 때문에, 폴리비닐 알코올은 잔류 아세테이트 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그러하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될 때 "폴리비닐 알코올"이라는 용어는 비닐 알코올 및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용해도 목적을 위해서는, 높은 정도, 예컨대 95%의 가수분해는 필름을 물에 비교적 천천히 용해되게 한다. 보다 낮은 정도, 예컨 대 80 내지 95%의 가수분해는 용해 속도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알칼리성 환경에서, 상기 필름은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필름의 지속된 가수분해로 인해 비교적 불용성으로 된다. 고분자량 필름이 일반적으로 최고의 기계적 특성, 예컨대 충격 강도를 나타내지만, 용해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다양한 제품을 포장 및/또는 캡슐화하여서,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이 물에 용해될 때에 제품이 포장재 또는 캡슐로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폴리비닐 알코올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정한 화합물에 노출된 후에 용해되는 통상적인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이 갖는 문제점에 부딪쳐왔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양(Yang)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885,105호는 수용성 필름 용도에서 사용하기 위한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개시하여 왔다. 상기 필름은 비닐 아세테이트를 공단량체 2몰% 내지 6몰%와 공중합시켜서 제조된다. 카복실산 및 그의 염, 카복실산 에스테르, 아마이드, 이마이드, 아실 할라이드, 무수물 및 설폰에이트를 비롯한 광범위한 공단량체가 확인되었다. 열거된 적합한 공단량체중에서 불포화 설폰산이 확인되었다.
미야자키(Miyazaki)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6,166,117호는 농약 및 살균제와 같은 화학물질을 포장하는데 있어서 설폰산-개질된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미국특허 제6,166,117호는 폴리비닐 알코올 중합체가 비닐 에스테르와 설폰산을 공중합하거나 또는 설폰산 기를 함유한 화합물을 폴리비닐 알코올에 첨가하여서 개질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상기 미국특허 제6,166,117 호는 설폰산-개질된 폴리비닐 알코올 공중합체가 갈산 또는 C1-5 알킬 에스테르와 합쳐져서 설폰산-개질된 폴리비닐 알코올에 의해 제조된 필름이 물에 용해되게 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필름이 물에 용해되지 않을 것이라고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6,166,117호는 갈산 또는 C1 -5 알킬 에스테르가 0.05중량부 이상의 농도로 존재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필름은 물에 용해되지 않을 것이라고 개시하고 있다.
벡커(Becker) 등의 공개된 미국특허출원 제2002/0103095호는 세제 효소 과립을 코팅하는데 있어서 개질된 폴리비닐 알코올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은 폴리비닐 알코올과 친수성 산, 아민 또는 티올을 반응시켜서 다양한 잔기를 폴리비닐 알코올내에 치환시킴으로써 개질된다. 상기 출원은 코팅이 수용성이고 내가교결합성이어서 붕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알데하이드 및 특정 염료와 같은 특정한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수-불용성이 되도록 한다고 개시하고 있다. 설폰산을 비롯한 광범위한 잔기가 폴리비닐 알코올상에 치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출원은 비닐 단량체 및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와 대조적으로, 중합체의 진정 개질(true modification)로서 개질된 폴리비닐 알코올 중합체를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다양한 제품을 포장하고 캡슐화하는데 유용한 수용성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가 물 또는 수용액에 놓여서 용해된 후에, 포장되어 캡슐화된 제품이 포장재 또는 캡슐로부터 방출되도록 중합체가 디자인된다. 수용성 중합체 는 비닐 알코올 단위, 및 2-아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2-메타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및 그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설폰산 단위의 공중합체이다. 공중합체는 특정한 화합물, 특히 붕산염-함유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증가된 수 용해도 특징을 제공하는 분자량 및 단량체 혼입 수준에서 제조된다. 중합체는 세제 제품을 포장하고 효소와 같은 세제 성분을 캡슐화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세제 효소를 포장하는 경우, 중합체 용액은 효소 입자위에 분사되거나 분무되어서 입자를 캡슐화하는 중합성 코팅을 제공한다.
본원에 기재된 포장 및 캡슐화에 사용되는 중합체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선행 문헌에 개시된 중합체보다 우수하게 기능함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세제 및 세제 성분을 비롯한 다양한 제품을 포장하고 캡슐화하는데 유용한 수용성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 포장재가 물에 놓여서 용해된 후에, 포장되어 캡슐화된 제품이 포장재 또는 캡슐로부터 방출되도록 중합체가 디자인된다. 중합체는 비닐 알코올 단위, 및 2-아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2-메타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및 그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설폰산 단위의 공중합체이다. 특정한 화합물, 특히 붕산염-함유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증가된 수 용해도 특징을 제공하는 중합체가 제시된다. 중합체는 세제의 효소 성분을 포장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상기 효소 입자는 유동층 분사 코팅, 팬 코팅(pan coating), 미세유화액 캡슐화를 비롯한 각종 방법 및 입자상에 코팅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다른 방법에 의해 본원에 기재된 필름으로 캡슐화될 수 있다.
특정한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중합체는 포장재 또는 코팅 형태로 있을 수 있는 필름을 생성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필름은 비닐 알코올 단위, 및 2-아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2-메타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및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설폰산 단위로 구성된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제 1 성분 10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갈산, 갈산 염, C1 -5 알킬 에스테르 및 그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 2 성분 0.05중량부 미만을 포함한다.
비닐 알코올 단위 및 설폰산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비닐 알코올 단위를 포함하며 첨가에 의해 중합체 주쇄에 설폰산 기와 같은 다른 화학 잔기를 혼입시킨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구별된다. 상기 유형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공개된 미국특허출원 제2002/0103095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필름은 설폰산 기가 폴리비닐 알코올 중합체 쇄에 중합된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2-아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및 2-메타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단량체가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에 혼입시키기에 특히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알릴 설폰산 및 그의 염과 같은 설폰산 단량체가 유용하지 않은데, 생성된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지나치게 낮은 분자량이기 때문이다. 상기 공중합체는 기계적 특성이 불량한 코팅 및 필름을 제공한다. 비닐 설폰산과 같은 몇몇 다른 설폰산은 용해도 및 경제적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부적합하다. 2-아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및 2-메타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단량체를 혼입시킨 공중합체는 각종 분자량 및 단량체 수준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가수분해된다. 또한, 공중합체는 폴리비닐 알코올에 의해 나타나는 뛰어난 기계적 특성을 유지한다.
본원에 기재된 폴리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에 혼입된 설폰산 공단량체 이외에,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다른 공단량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추가의 공단량체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C1-C8 에스테르, 불포화 카복실산, 및 탄화수소 단량체를 포함한다. 에스테르의 예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다른 것은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하이드록시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단량체는 전형적으로 약 1몰% 내지 약 10몰%의 수준으로 혼입된다. 다른 양태에서, 추가적인 단량체는 전형적으로 약 2몰% 내지 약 8몰%의 수준으로 혼입된다. 다른 양태에서, 추가적인 단량체는 전형적으로 약 4몰% 내지 약 7몰%의 수준으로 혼입된다. 상기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비닐 알코올 및 설폰산 단위 이외에 추가적인 단량체 단위가 본원에 기재된 중합체에 혼입될 때, 중합체는 여전히 공중합체라고 지칭된다. 즉, 공중합체란 용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비닐 알코올 및 설폰산 단위를 혼입시킨 중합체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유형의 단량체 단위를 칭한다.
놀랍게도, 본원에 기재된 중합체는 파우치(pouch) 및 코팅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넓은 온도 범위에서 물에 신속하게 용해될 수 있으면서도, 보관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원에 기재된 필름은 세제 또는 세제 성분을 포장하거나 코팅하는데 사용될 때 세정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가장 상업적인 폴리비닐 알코올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본원에 기재된 필름용 공중합체는 전구체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전구체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합성은 용액, 슬러리, 현탁액 또는 유화액 유형의 중합반응에서 실시될 수 있다. 문헌[로드리게즈(Rodriguez), "중합체 시스템의 원리(Principles of Polymer Systems)", p98-101, 403, 405(맥그류-힐(McGraw-Hill), 뉴욕, 1970)]은 벌크 및 용액 중합방법, 및 유화액 중합방법의 세부사항을 기재하고 있다. 예컨대, 현탁액 중합방법에 의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를 제조할 때, 단량체는 전형적으로 폴리비닐 알코올과 같은 현탁화제(suspending agent)를 함유하는 물에 분산되고, 이어서 과산화물과 같은 개시제가 첨가된다. 반응하지 않은 단량체가 제거되고, 중합체가 여과되어 건조된다.
한 양태에서, 비닐 아세테이트 및 설폰산의 중합반응이 메탄올에서 실시되어, 아세테이트 기가 쉽게 알코올 기로 가수분해되어서 폴리비닐 알코올 분절을 생성시킬 수 있는 페이스트형(paste-like) 생성물을 발생시킨다. 비닐 아세테이트와 설폰산의 공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반응 온도는 통상적이다. 반응 온도는 촉매 첨가 속도에 의해, 그리고 발생되는 열 방산 속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온도를 약 50℃ 내지 약 85℃로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0℃ 정도로 낮은 온도가 이용될 수 있으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온도 하한값은 약 40℃이다.
반응 시간은 중합반응의 온도, 촉매 및 목적하는 정도와 같은 다른 변수에 따라 변한다. 일반적으로, 공단량체의 약 0.5% 미만이 반응하지 않은 채로 남을 때까지 반응을 지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경하에서, 약 6시간의 반응 시간이 완전한 중합반응에 일반적으로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으나, 약 2 내지 10시간의 반응 시간이 이용되어 왔으며, 다른 반응 시간도 필요하다면 이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가수분해는 폴리비닐 알코올에 전형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산 또는 염기 가수분해 또는 이들의 조합이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실시될 수 있다.
가수분해는 종종 여러 단계로 실시되는데, 제 1 단계는 수산화칼륨과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염기의 촉매량을 접촉시켜서 비닐 아세테이트 기를 가수분해하는 것을 포함한다.
폴리비닐 알코올 제조와 관련된 추가적인 세부사항에 대하여는, 문헌["폴리(비닐 알코올): 특성 및 용도(Poly(vinyl alcohol): Properties and Applications)", 씨.에이.핀치(C.A.Finch) 편집, 존 윌리 앤드 손즈(John Wiley & Sons), 뉴욕, 1973, p91-120; "폴리(비닐 알코올) 섬유(Poly(vinyl alcohol) Fibers)", 아이.소쿠루다(I.Sokuruda) 편집, 마르셀 덱커, 잉크(Marcel Dekker, Inc.), 뉴욕, 1985, p57-68]을 참고한다. 또한, 문헌[F.L.Marten in the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2nd ed., Vol. 17, p.167, 존 윌리 앤드 손즈, 뉴욕, 1989]을 참고한다.
한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폴리비닐 알코올 공중합체(가수분해된 비닐 아세테이트/설폰산 공중합체)중에 2-아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단량체, 2-메타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단량체 및 이들의 조합물의 혼입 수준은 설폰산 단위 약 1몰% 내지 약 20몰% 범위이다. 다른 양태에서, 설폰산 단위는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에 약 2몰% 내지 약 10몰%로 혼입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설폰산 단위는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에 약 3몰% 내지 약 10몰% 수준으로 혼입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설폰산 단위는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에 약 3몰% 내지 약 8몰% 수준으로 혼입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중 비닐 알코올 단위의 혼입 수준은 80몰% 내지 99몰%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비닐 알코올 단위는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에 약 90몰% 내지 약 98몰% 수준으로 혼입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비닐 알코올 단위는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에 약 92몰% 내지 약 97몰% 수준으로 혼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비닐 알코올 단위의 혼입 수준은 전술한 다양한 양태에서 설폰산 단위로부터 유도되지 않은 나머지 중합성 물질 100% 내지 전술한 바와 같은 추가적인 단량체 단위로부터 유도된 중합성 물질 약 10몰% 이하의 설폰산 단량체로부터 유도되지 않은 나머지 중합성 물질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중 비닐 알코올 단위의 혼입 수준이라 함은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에 남아있는 가수분해되지 않은 비닐 아세테이트 단위 및 비닐 알코올 단위의 총 합을 말한다.
특정한 양태에서, 비닐 아세테이트 단위의 비닐 알코올 단위로의 전환 수준은 약 75% 내지 약 100%이다. 다른 양태에서, 가수분해 수준은 약 80% 내지 100% 가수분해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가수분해 수준은 90% 내지 100%이다.
특정한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폴리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는 약 300 내지 약 4000의 중합도 및 약 13,300 내지 약 40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폴리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중합체는 약 1600 내지 약 2600의 중합도 및 약 70,000 내지 약 116,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폴리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중합체는 약 1000 내지 약 2000의 중합도 및 약 15,000 내지 약 8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한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는 약 3cps 내지 약 40cps의 점성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는 약 3cps 내지 약 20cps의 점성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는 약 3cps 내지 약 6cps의 점성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폴리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는 우수한 수용해도 특징을 나타내지만, 놀랍게도, 제품, 입자 또는 과립을 포장하거나 캡슐화하기 위해 필름 및 코팅으로 사용될 때 공중합체는 붕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및 다른 붕소-함유 화합물과 낮은 반응성을 나타내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특성은 설폰산 단위를 폴리비닐 알코올 주쇄에 첨가함으로써 생성된 중합체에 비해 우수하다. 이러한 특징은 상기 공중합체가 세제 조성물 및 세제 성분을 포장하는데 사용될 때 특히 유리하다. 많은 세제 조성물은 유리한 세정 특성을 위해 붕소-함유 화합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는, 물에 담겨져서 공중합체를 용해시킬 때 방출될 수 있는 세제 조성물 및 성분을 포장하거나 캡슐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의 하나의 예시적인 용도는 세제 효소 입자를 캡슐화하는 것이다. 아밀라아제, 셀룰라아제, 옥시다아제, 퍼옥시다아제, 프로테아제, 트랜스퍼라아제, 탈수소효소, 환원효소, 헤미셀룰라아제, 이성질화 효소 및 이들의 조합물과 같은 특정한 효소가 세제 조성물에 사용되어서 세제의 세정력을 증가시킨다. 특정한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는 프로테아제,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셀룰라아제 및 이들의 조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된 효소 입자를 코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각종 문제는 상기 효소를 취급하는 것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효소 입자는 상당히 작아서, 효소를 혼입시킨 세제 조성물 또는 효소 그 자체를 제조하거나 취급하거나 사용하는 사람에 의해 흡인될 수 있다. 효소에 노출되는 것과 관련된 잠재적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용성 중합체에 의해 효소 입자를 코팅하여서 효소 입자 표면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효소 입자를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이 세탁기에 채워진 물에 담겨지는 등으로 사용될 때와 같이 코팅된 입자가 물에 담겨질 때 캡슐화 코팅으로부터 효소가 방출된다.
효소 입자는 전형적으로 10nm 내지 1mm 크기의 범위이다. 입자는 유동층 분사 코팅기에 있는 공중합체 용액에 입자를 노출시킴으로써 본원에 기재된 폴리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공중합체는 또한 팬-코팅, 및 출발 코어 물질의 상부에 연속된 층을 추가하여서 입자를 누적시키는 다른 방법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코팅 방법 및 조건에 관련된 추가적인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아놀드(Arnold) 등의 미국특허 제5,324,649호를 참고한다. 공중합체는 약 5중량%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적용함으로써 코팅될 수 있다. 특정한 양태에서, 코팅 조성물은 공중합체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를 혼입시킨 수용액이다. 다른 양태에서, 코팅 조성물은 공중합체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를 혼입시킨 수용액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코팅 조성물은 공중합체 약 3중량% 내지 약 7중량%를 혼입시킨 수용액이다.
실험에 의한 평가
물 및 붕산염 용액중에서 공중합체의 성능을 비교함으로써 본원에 기재된 특정한 폴리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의 수용해도 및 내붕산염성을 평가하였다. 시험된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나트륨 염을 함유하지 않은 라디칼 중합반응에서 비닐 아세테이트를 2-아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과 중합하였다. 생성된 공중합체는 2-아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단량체 4몰%를 포함하고, 공중합체 4중량% 용액은 20℃에서 4 내지 5cps의 점성을 가졌다. 공중합체를 NaOH에 의해 97% 가수분해 수준까지 가수분해하였다.
공중합체의 다양한 두께의 필름을 하기 표 I 및 II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다양한 필름 두께중 2 x 3밀로 측정된 부분을 물 및 0.1%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 용액중에 놓았다. 각각의 필름이 각각의 용액에서 분해되고 용해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표 I 및 II에 기록하였다. 분해 시간이라 함은 필름이 처음 파괴되는 시간을 말한다. 용해 시간이라 함은 필름이 용해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Figure 112008000834984-PCT00001
Figure 112008000834984-PCT00002
표 I 및 II의 결과를 살펴보면, 물 및 0.1% 사붕산염 10수화물 용액에서 필름의 분해 및 용해 시간은 특히 2.0밀 두께의 필름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는 본원에 기재된 공중합체가 붕산염에 노출될 때에 내가교결합성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공중합체는 붕산염에 노출되지 않을 때만큼 자유롭게 용해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2-아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4몰%을 혼입시킨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필름을 5중량% 붕산 수용액중에서 평가하였다. 2.0밀 및 2.8밀 두께를 갖는 필름을 시험하였다. 셀라니즈 케미칼즈(Celanese Chemicals)에서 시판되는 완전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알코올 중합체인 셀볼(Celvol)TM 310으로부터 제조된 필름을 대조물로서 사용하였다. 비교 목적으로, 상기 필름을 또한 순수한 물에서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에 대한 상세내용을 하기 표 III에 기록하였다.
Figure 112008000834984-PCT00003
표 III에 기록된 결과는 공중합체 필름에서 겔화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았다.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은 내용해성으로 나타나는 것과 같이 유의한 겔화 징후를 나타내었다.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범위와 관련하여, 언급된 임의의 상한값은 선택된 하위범위의 임의의 하한값과 조합될 수 있다.
우선권 서류 및 시험 절차를 비롯하여 본원에서 언급된 모든 특허 및 공개공보는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본 발명 및 그의 이점이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나,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6)

  1. 비닐 알코올 단위, 및 2-아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2-메타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및 그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설폰산으로부터 유도된 설폰산 단위로 구성된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제 1 성분 100중량부를 포함하고, 갈산, 갈산 염, C1 -5 알킬 에스테르 및 그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 2 성분 0.05중량부 미만을 포함하는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공중합체가 비닐 알코올 단위 약 80몰% 내지 99몰% 및 설폰산 단위 약 1몰% 내지 약 20몰%을 포함하는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공중합체가 약 3cps 내지 약 20cps의 점성, 및 비닐 알코올 단위로 전환된 비닐 아세테이트 단위의 비율로 표기될 때 약 90% 내지 약 100% 범위의 가수분해도를 갖는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산 단위가 2-아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으로부터 유도 되는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중합체가 설폰산 단위 약 3몰% 내지 약 10몰%을 포함하는 필름.
  6. 제 5 항에 있어서,
    코팅 형태인 필름.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산 단위가 2-메타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으로부터 유도되는 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중합체가 설폰산 단위 약 3몰% 내지 약 8몰%을 포함하는 필름.
  9. 제 8 항에 있어서,
    코팅 형태인 필름.
  10. (i) 비닐 알코올 단위, 및 2-아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2-메타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및 그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설폰산으로부터 유도된 설폰산 단위로 구성된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제 1 성분 100중량부, 및
    (ii) 갈산, 갈산 염, C1 -5 알킬 에스테르 및 그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 2 성분 0.05중량부 미만
    을 포함하는 필름을 포함하는 수용성 포장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공중합체가 비닐 알코올 단위 약 80몰% 내지 약 99몰% 및 설폰산 단위 약 1몰% 내지 약 20몰%을 포함하는 수용성 포장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공중합체가 약 3cps 내지 약 20cps의 점성, 및 비닐 알코올 단위로 전환된 비닐 아세테이트 단위의 비율로 표기될 때 약 90% 내지 약 100% 범위의 가수분해도를 갖는 수용성 포장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산 단위가 2-아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수용성 포장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중합체가 설폰산 단위 약 3몰% 내지 약 10몰%을 포함하는 수용성 포장재.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산 단위가 2-메타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으로부터 유도된 수용성 포장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중합체가 설폰산 단위 약 3몰% 내지 약 8몰%을 포함하는 수용성 포장재.
  17. 비닐 알코올 단위, 및 2-아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2-메타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 및 그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설폰산으로부터 유도된 설폰산 단위로 구성된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제 1 성분 100중량부를 포함하는 필름에 의해 코팅된 입자.
  18. 제 17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효소로 구성된 입자인 입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갈산, 갈산 염, C1 -5 알킬 에스테르 및 그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 2 성분 0.05중량부 미만을 포함하는 입자.
  2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공중합체가 비닐 알코올 단위 약 80몰% 내지 99몰% 및 설폰산 단위 약 1몰% 내지 약 20몰%을 포함하는 입자.
  21. 제 20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효소가 프로테아제,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셀룰라아제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입자.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공중합체가 약 3cps 내지 약 20cps의 점성, 및 비닐 알코올 단위로 전환된 비닐 아세테이트 단위의 비율로 표기될 때 약 80% 내지 약 100% 범 위의 가수분해도를 갖는 입자.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산 단위가 2-아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입자.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중합체가 설폰산 단위 약 3몰% 내지 약 10몰%을 포함하는 입자.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산 단위가 2-메타크릴아마이도-2-메틸 프로페인 설폰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입자.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 중합체가 설폰산 단위 약 3몰% 내지 약 8몰%을 포함하는 입자.
KR1020087000301A 2005-06-07 2006-05-02 내붕산염 필름 KR200800257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47,831 2005-06-07
US11/147,831 US20060275567A1 (en) 2005-06-07 2005-06-07 Borate resistant fil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723A true KR20080025723A (ko) 2008-03-21

Family

ID=3695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301A KR20080025723A (ko) 2005-06-07 2006-05-02 내붕산염 필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60275567A1 (ko)
EP (1) EP1907524B1 (ko)
JP (1) JP5629056B2 (ko)
KR (1) KR20080025723A (ko)
CN (1) CN101268178B (ko)
AT (1) ATE550419T1 (ko)
BR (1) BRPI0610883A2 (ko)
CA (1) CA2609757C (ko)
MX (1) MX2007015460A (ko)
TW (1) TW200710219A (ko)
WO (1) WO20061327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2220B2 (en) * 2007-08-24 2014-07-08 Sekisui Specialty Chemicals America, Llc Chemical delivery product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GB0803165D0 (en) 2008-02-21 2008-04-02 Unilever Plc Encapsulated benefit agent
WO2012155957A1 (en) * 2011-05-16 2012-11-22 Statoil Petroleum As Method of replacing a flexible container provided inside a subsea storage tank, replaceable flexible container and method of installing a storage container on the seabed
DE102011106036A1 (de) * 2011-06-30 2013-01-03 Dechema Gesellschaft Für Chemische Technik Und Biotechnologie E.V.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kalischen Polymerelektrolyt-Membranen für galvanische Elemente
US10087401B2 (en) 2012-03-16 2018-10-02 Monosol, Llc Water soluble compositions incorporating enzymes, and method of making same
TWI548655B (zh) 2012-10-22 2016-09-11 積水特殊化學美國有限責任公司 用於嚴苛化學品包裝的聚乙烯吡咯啶酮(pvp)共聚物
EP2740785A1 (en) * 2012-12-06 2014-06-1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Use of composition to reduce weeping and migration through a water soluble film
KR101357225B1 (ko) * 2013-08-21 2014-02-11 (주)파라스 일회용 수용성 스틱세제
CN106029715B (zh) * 2013-12-25 2019-01-08 株式会社可乐丽 改性聚乙烯醇和含有其的水溶性膜
EP3146033B1 (en) 2014-05-22 2018-08-15 Unilever PLC Aqueous liquid detergent formulation comprising enzyme particles
HUE051754T2 (hu) * 2014-10-09 2021-03-29 Kuraray Co Gyanta készítmény és film
RU2675519C2 (ru) * 2014-10-13 2018-12-19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Изделия, содержащие водорастворимую пленку на основе смеси поливиниловых спиртов, и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TWI689547B (zh) 2014-10-13 2020-04-01 美商摩諾索公司 具有塑化劑摻合物的水溶性聚乙烯醇膜、相關方法及相關物品
CA2962807C (en) 2014-10-13 2021-08-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comprising water-soluble polyvinyl alcohol film with plasticizer blend and related methods
JP6978315B2 (ja) * 2014-10-13 2021-12-08 モノソ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水溶性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ブレンドフィルム、関連方法及び関連物品
TWI677525B (zh) 2014-10-13 2019-11-21 美商摩諾索公司 水溶性聚乙烯醇摻合物膜、相關方法及相關物品
WO2017043507A1 (ja) * 2015-09-11 2017-03-16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水溶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薬剤包装体、並びに水溶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7180883A1 (en) 2016-04-13 2017-10-19 Monosol, Llc Water soluble film, packets employing the fil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WO2017218414A1 (en) 2016-06-13 2017-12-21 Monosol, Llc Use of a first film and a second film to improve seal strength of a water-soluble
US10443024B2 (en) 2016-06-13 2019-10-15 Monosol, Llc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s made from a combination of different films
HUE062917T2 (hu) 2016-06-13 2023-12-28 Procter & Gamble Különbözõ filmek kombinációjából készült, vízoldható, háztartási tisztítókészítményeket tartalmazó egyadagos termékek
WO2017218443A1 (en) 2016-06-13 2017-1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s made from a combination of different films and containing household care compositions
JP7204488B2 (ja) 2016-06-13 2023-01-16 モノソ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水溶性パケット
CN109153950A (zh) 2016-06-13 2019-01-04 宝洁公司 由不同膜的组合制成的且含有家用护理组合物的水溶性单位剂量制品
CA3098544A1 (en) 2018-05-02 2019-11-07 Monosol, Llc Water-soluble polyvinyl alcohol blend film, related methods, and related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8744A (en) * 1981-11-10 1989-05-09 The Clorox Company Borate solution soluble polyvinyl alcohol films
US4885105A (en) * 1987-05-14 1989-12-05 The Clorox Company Films from PVA modified with nonhydrolyzable anionic comonomers
US5324649A (en) * 1991-10-07 1994-06-28 Genencor International, Inc. Enzyme-containing granules coated with hydrolyzed polyvinyl alcohol or copolymer thereof
DE4426008A1 (de) * 1994-07-22 1996-01-25 Cassella Ag Hydrophile, hochquellfähige Hydrogele
JP3609894B2 (ja) * 1996-04-05 2005-01-12 株式会社クラレ ホウ酸系物質包装用フィルム
DE69801547T2 (de) * 1997-06-11 2002-04-18 Kuraray Co Wasserlöslicher Folie
JP3784533B2 (ja) * 1997-06-11 2006-06-14 株式会社クラレ 水溶性フィルム
US6933141B1 (en) * 1999-10-01 2005-08-23 Novozymes A/S Enzyme granulate
DE60128123T2 (de) * 2000-10-27 2008-01-03 Genencor International, Inc., Palo Alto Teilchen beschichtet mit substituiertem polyvinylalkohol
JP3470892B2 (ja) * 2001-03-16 2003-11-25 敏之 山室 展性材料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4056859B2 (ja) * 2002-11-11 2008-03-05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水溶性フィルム
US7022656B2 (en) 2003-03-19 2006-04-04 Monosol, Llc. Water-soluble copolymer film packet
US6818709B1 (en) 2003-07-11 2004-11-16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duction of vinyl alcohol copolymers
JP2005139240A (ja) * 2003-11-04 2005-06-02 Japan Vam & Poval Co Ltd 水溶性フィルムおよび個別包装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50419T1 (de) 2012-04-15
JP5629056B2 (ja) 2014-11-19
WO2006132729A1 (en) 2006-12-14
TW200710219A (en) 2007-03-16
CA2609757A1 (en) 2006-12-14
CN101268178A (zh) 2008-09-17
MX2007015460A (es) 2008-02-25
BRPI0610883A2 (pt) 2010-08-03
CN101268178B (zh) 2012-10-03
EP1907524A1 (en) 2008-04-09
CA2609757C (en) 2013-04-09
EP1907524B1 (en) 2012-03-21
JP2008542521A (ja) 2008-11-27
US20060275567A1 (en)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9056B2 (ja) 耐ホウ酸塩フィルム
JP4825207B2 (ja) ビニルアルコールとイタコン酸のコポリマー、及びその使用
JP5409629B2 (ja) 会合性増粘剤分散液
JP4338117B2 (ja) アルカリ性物質包装用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
EP0587114B1 (en) Emulsion composition
JP4630396B2 (ja) 水溶性フィルム
JPH02196869A (ja) 防汚塗料
AU2003254725B2 (en) Tablet coating
US5549852A (en) Polymer composition as detergent builder
JPH1060207A (ja) 水溶性フィルム
CA1094747A (en) Vinyl halide polymerisation process and reactor therefor
JPH0665463A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フィルム
TW201120168A (en) Base paper for release paper
KR101349887B1 (ko) 유효성분 전달 수용성 포장체
JPH09324094A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耐水性組成物
JPS59136301A (ja) 懸濁重合安定剤
EP0140441B1 (fr) Compositions à base de polymères du fluorure de vinylidène comprenant du carbure de bore
CN111051446A (zh) 用于包装高碱性洗涤剂的冷水溶性聚合物膜
JP5970350B2 (ja) 防曇剤
JP4546024B2 (ja) 水性防曇コート剤及び防曇性の改良された材料
KR100946553B1 (ko) 필름형 오염제거제
JPH0517597A (ja) 冷水易溶性フイルム
JPH1036538A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
JP2023179809A (ja) 変性ビニルアルコール系重合体
JPS633151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