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135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5135A
KR20080025135A KR1020087000679A KR20087000679A KR20080025135A KR 20080025135 A KR20080025135 A KR 20080025135A KR 1020087000679 A KR1020087000679 A KR 1020087000679A KR 20087000679 A KR20087000679 A KR 20087000679A KR 20080025135 A KR20080025135 A KR 20080025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absorbent article
wall portion
wall part
em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965B1 (ko
Inventor
사토코 고나와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25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75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being not integral with the topsheet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Abstract

[과제]
피부에 맞닿는 면을 면상(面狀)으로 구성한 입체 개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피부에 맞닿는 면 전체를 피부에 밀착시키는 동시에, 쿠션성을 주어 피부에 닿는 감촉을 부드럽게 한다.
[해결수단]
입체 개더(BS)는, 기단부(基端部)로부터 기립하는 제1 벽부(21)와, 이 제1 벽부(21)의 상단부분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재(延在)하는 제2 내측 벽부(22a)와, 상기 제1 벽부(21)의 상단부분으로부터 분기되어 바깥쪽으로 연재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상기 제2 내측 벽부(22a)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2 외측 벽부(22b)와, 상기 제2 내측 벽부(22a)의 선단부와 상기 제2 외측 벽부(22b)의 선단부분에 의해 지지된 피부로의 맞닿는 면상부분(23)과,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23)에 생리대(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설(配設)된 복수의 탄성부재(24, 24…)와,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23), 상기 제2 내측 벽부(22a) 및 제2 외측 벽부(22b)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23)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중공부(M)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경혈이나 대하(帶下) 등을 흡수하기 위한 생리대,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신체로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쿠션성이 양호한 입체 개더(gather)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팬티라이너, 생리대,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폴리에틸렌 시트 또는 폴리에틸렌 시트 라미네이트 부직포 등의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와, 부직포 또는 액체 투과성 플라스틱 시트 등의 액체 투과성 탑 시트의 사이에 면상(綿狀)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를 개재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도 많은 개량이 거듭되어, 체액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여러 가지 강구되어 있다. 이들 체액 누출 방지 수단의 하나로서, 표면측 양측부에 옆으로 새는 것의 장벽이 되는 입체 개더를 형성하는 기술이 존재한다. 상기 입체 개더에 관해서도, 피부로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피부로의 맞닿는 면을 면상(面狀)으로 한 단면 T자상의 입체 개더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도 1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의 표면층(50)과,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층(51)과, 양 층간에 개재되는 액체 유지성의 흡수층(52)과, 상기 흡수층(52)의 좌우 양 측연(側緣) 각각의 근방으로부터 기립(起立)한 누출 방지벽(54)을 구비하고, 상기 흡수층(52)의 표면층측에 소정형상의 누출 방지홈(55)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N)에 있어서, 상기 누출 방지벽(54)이 기벽부(基壁部)(56)와, 상기 기벽부의 상방부(上方部)로부터 상기 흡수성 물품의 안쪽 및 바깥쪽 각각으로 튀어나오는 외방장출부(外方張出部)(57) 및 내방장출부(內方張出部)(58)를 가지고, 상기 외방장출부(57) 및 상기 내방장출부(58) 각각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부재(59)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외방장출부(57)를 상기 흡수층(52)의 위쪽이면서도 또한 상기 누출 방지홈(55)보다도 바깥쪽에 위치시킨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656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전술한 상기 특허문헌 1 기재의 발명은, 상기 탄성부재(59)에 신축력이 도입된 제품상태에서는, 도 1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기벽부(56)의 정부(頂部)를 기점으로서 내방장출부(58)의 선단 및 외방장출부(57)의 선단이 위쪽으로 들려 올라가, 양쪽 장출부(57, 58)가 이루는 단면형상이 V자상이 된다. 그 결과, 피부에 대해서 피트되기 어려워 간극이 생기기 쉬운 동시에, 피부에 닿는 감촉이 강해 장착자가 위화감을 느끼기 쉽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피부와 맞닿는 면을 면상으로 구성한 흡수성(吸收性) 물품의 입체 개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피부와 맞닿는 면 전체를 피부에 대해서 밀착시켜 간극을 발생시키기 어렵고, 또한 쿠션성을 주어 피부에 닿는 감촉을 부드럽게 하는 동시에, 쿠션성을 부여함으로써 아래쪽에 간극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구조의 입체 개더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 1의 본 발명으로서, 액체 투과성 탑 시트와 백 시트의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되고, 표면측 양측부에 각각 입체 개더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입체 개더는 기점 기단부(起点基端部)로부터 기립하는 제1 벽부와, 이 제1 벽부의 상단부분(上端部分)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재(延在)하는 제2 내측 벽부와, 상기 제1 벽부의 상단부분으로부터 분기되어 바깥쪽으로 연재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상기 제2 내측 벽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2 외측 벽부와, 상기 제2 내측 벽부의 선단부와 상기 제2 외측 벽부의 선단부분(先端部分)에 의해 지지된 피부로의 맞닿는 면상부분(面狀部分)과,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에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설(配設)된 복수의 탄성부재와,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 상기 제2 내측 벽부 및 제2 외측 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중공부(中空部)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의 입체 개더 구조에 있어서는, 특히 피부로의 맞닿는 면상부분이 제2 내측 벽부와 제2 외측 벽부의 두 군데에서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소위 T자 단면 입체 개더와 같이 탄성 신축력이 도입되어 V자 단면으로 되는 일이 없어, 맞닿는 면상부분의 전체가 균일하게 피부에 맞닿게 되므로, 간극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가 된다. 또한,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의 이면측에는 중공부가 존재하므로, 피부에 닿는 감촉이 부드러워지는 동시에, 쿠션성이 향상함으로써 아래쪽에 간극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것이 된다.
청구항 2의 본 발명으로서, 상기 제2 내측 벽부의 벽길이보다 상기 제2 외측 벽부의 벽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기립상태에서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의 내측연 높이 위치보다도 맞닿는 면상부분의 외측연 높이 위치가 높아지도록 한 청구항 1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제2 내측 벽부의 벽길이보다 상기 제2 외측 벽부의 벽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제2 외측 벽부측에서의 자유도가 커지므로, 탄성부재의 신축력이 작용한 상태에서는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의 내측연 높이 위치보다도 맞닿는 면상부분의 외측연 높이 위치가 높아진다. 따라서, 장착상태에서 맞닿는 면상부분이 외측으로 쓰러지는 경우가 없어져, 맞닿는 면을 확실하게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의 본 발명으로서,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은, 상기 제2 내측 벽부와의 결합부분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내측장출부(內側張出部)와, 상기 제2 외측 벽부와의 결합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외측장출부(外側張出部)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내측장출부의 측연 위치 및 상기 외측장출부의 측연 위치에 각각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1, 2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맞닿는 면상부분의 양 측연부분(側緣部分)에 각각 장출부를 설치하도록 하고, 또한 이 장출부의 측연에 탄성부재를 배치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맞닿는 면상부분의 측연부분이 들려 올라가기 쉬워져, 맞닿는 면상부 전체가 원호상 단면이 되므로, 피부로의 밀착도가 증가하여 누출이 한층 방지되게 된다.
청구항 4의 본 발명으로서, 상기 입체 개더의 외측 위치에 제2 입체 개더를 설치하여, 상기 제2 입체 개더의 기립 및 접촉에 의해 입체 개더와 맞닿는 면상부분의 외측부분을 기립 보조시키도록 되어 있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입체 개더의 외측 위치에, 제2 입체 개더를 설치하고, 이 제2 입체 개더의 기립작용 및 입체 개더와의 접촉작용에 의해 입체 개더 맞닿는 면상부분의 외측부분을 기립 보조시키도록 한 것으로, 제2 입체 개더에 의한 기립 보조에 의해 입체 개더 맞닿는 면상부분의 외측부분이 제대로 들려 올라가, 맞닿는 면상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중의 입체 개더에 의해 옆으로 새는 것을 한층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의 본 발명으로서, 상기 제1 벽부 및 제2 외측 벽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불투수성(不透水性) 필름을 개재시키고,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에는 불투수성 필름이 개재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벽부 및 제2 외측 벽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불투수성 필름을 개재시키고,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에는 불투수성 필름을 개재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벽부에 배설된 불투수성 필름에 의해 흡수체측부로부터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제2 외측 벽부에 의해 맞닿는 면상부분으로부터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투수성 필름은 맞닿는 면상부분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피부에 닿는 감촉이 나빠지는 일도 없다. 또한, 상기 불투수성 필름으로서는 통기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6의 본 발명으로서, 상기 불투수성 필름의 연재부분(延在部分)이 흡수체 측연부분을 상면측으로부터 덮고 있는 청구항 5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불투수성 필름의 연재부분이 흡수체 측연부분을 상면측으로부터 덮고 있는 구조로 하는 것으로, 이것에 의해 흡수체에 일단 흡수된 체액이 측연부분으로부터 외부로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본 발명으로서, 상기 불투수성 필름의 연재부분이 흡수체 측연부분을 말려들게 하면서 흡수체 이면측까지 연재하여 상기 흡수체 측연부분을 덮고 있는 청구항 5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불투수성 필름의 연재부분이 흡수체 측연부분을 말려들게 하도록 덮고 있는 구조로 하는 것으로, 이것에 의해 흡수체에 일단 흡수된 체액이 측연부분으로부터 외부로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와 맞닿는 면을 면상으로 구성한 흡수성 물품의 입체 개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피부와 맞닿는 면 전체를 피부에 대해서 밀착시킴으로써 간극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것이 된다. 또한, 맞닿는 면상부분의 이면측에 중공부를 설치함으로써 쿠션성이 양호해져 피부에 닿는 감촉이 부드러워지는 동시에, 쿠션성을 높임으로써 아래쪽에 간극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것이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생리대(1)의 기본 구조〕
도 1은 본 발명 제1 형태예의 생리대(1)의 전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 화살표방향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1의 Ⅲ-Ⅲ선 화살표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상기 생리대(1)는 폴리에틸렌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2)와, 경혈이나 대하 등을 신속하게 투과시키는 액체 투과성 탑 시트(3)와, 이들 양 시트(2, 3) 사이에 개장(介裝)된 면상 펄프 또는 합성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4, 6)와, 이 흡수체(4)의 형상 유지 및 확산성 향상을 위해서 상기 흡수체(4)를 둘러싸는 크레이프지(crepe papaer)(5)와, 상기 흡수체(4)의 대략 측연부를 기립 기단으로 하고, 또한 적어도 체액 배출부를 포함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구간 내에 있어 표면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입체 개더(BS, BS)로 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흡수체(4)의 주위에 있어서는, 그 상하 단연부(端緣部)에서는 상기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2)와 액체 투과성 탑 시트(3)와의 외연부(外緣部)가 핫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실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접합되고, 또한 그 양 측연부에서는 흡수체(4)보다도 측방으로 연출(延出)되어 있는 상기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2)와, 상기 입체 개더(BS)를 형성하고 있는 사이드 부직포(7)가 핫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실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접합되며, 이들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2)와 사이드 부직포(7)에 의한 적층시트부분에 의해 측방으로 돌출하는 날개형상 플랩(flap)(W, W)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보다도 둔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제2 날개형상 플랩(WB, WB)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 생리대(1)의 구조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면,
상기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2)는, 폴리에틸렌 등의 적어도 차수성(遮水性)을 갖는 시트재가 사용되나, 최근에는 통풍이 안 되어 습기가 차는 현상의 방지 관점에서 투습성(透濕性)을 갖는 것이 사용되는 경향에 있다. 이 차수·투습성 시트재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용융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축 또는 2축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다공성(微多孔性) 시트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2)의 비사용면측(바깥면)에는 1 또는 복수 조(條)의 점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신체로의 장착시에 생리대(1)를 속옷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2)로서는, 플라스틱 필름과 부직포를 적층시킨 폴리라미네이션 부직포를 사용해도 된다.
이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탑 시트(3)는, 유공(有孔) 또는 무공(無孔)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로 할 수 있고, 스판레이스법, 스판본드법, 서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 등의 적절한 가공법에 따라 얻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가공법 중, 스판레이스법은 유연성, 드레이프성이 풍부하다는 점에서 우수하고, 서멀본드법은 부피가 크고 소프트하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상기 액체 투과성 탑 시트(3)에 다수의 투공(透孔)을 형성한 경우에는, 경혈이나 대하 등(이하, 총칭하여 체액이라고 한다)이 신속하게 흡수되게 되어, 드라이 터치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상기 흡수체(4)로서는, 체액을 흡수·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통상은 플랩상 펄프 중에 수분 흡수성 폴리머 분말을 혼입한 것이 흡수 기능 및 가격의 측면에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흡수체(4)는 형상 유지 등을 위해서 크레이프지(5)에 의해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체(4)의 사용면측에는, 폭방향 중앙부에 생리대 길이방향으로 좁고 길게, 또한 둘레방향으로 폐합(閉合)하고 있는 엠보스(8)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사용면측에 높은 흡수체의 중고부(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고부(6)의 두께는, 너무 두껍게 하면 흡수체(4)의 강성(剛性)이 높아져 신체로의 밀착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3~20 mm, 바람직하게는 5~15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면측에는 상기 엠보스(8)와 함께, 엠보스(9, 10, 1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엠보스(8~11)에 대해서는 더욱 상세히 후술한다.
한편, 상기 액체 투과성 탑 시트(3)의 폭 치수는, 도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의 횡단면도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흡수체(4)의 폭보다도 약간 길게 되고, 흡수체(4)를 덮을 만큼에서 멈추며, 상기 입체 개더(BS)는 상기 액체 투과성 탑 시트(3)와는 별도의 사이드 부직포(7), 구체적으로는 경혈이나 대하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피부촉감을 높이는 등의 목적에 따라, 적절한 발수(撥水)처리 또는 친수(親水)처리를 실시한 부직포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이드 부직포(7)로서는,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재생섬유 등을 소재로서 적절한 가공법에 따라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빳빳한 느낌을 없애는 동시에, 통풍이 안 되어 습기가 차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평량(坪量)을 억제하여 통기성을 부여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평량을 18~23 g/㎡로 하여 제작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체액의 투과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 실리콘계, 파라핀계, 알킬크로믹 클로라이드계 발수제 등을 코팅한 발수처리 부직포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사이드 부직포(7)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폭방향 중간부보다 외측부분을 흡수체(4)의 내측 위치로부터 흡수체 측연을 약간 넘어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2)의 외연까지의 범위에 걸쳐 핫멜트 등의 접착제로 접착하고, 이들 상기 사이드 부직포(7)와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2)와의 적층시트부분에 의해, 거의 체액 배출부에 상당하는 흡수체 측부 위치에 좌우 한 쌍의 날개형상 플랩(W, W)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보다 둔부측 위치에 제2 날개형상 플랩(WB, WB)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날개형상 플랩(W, W) 및 제2 날개형상 플랩(WB, WB)의 바깥면측에는 각각 점착제층(12…, 13…)을 구비하고,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팬티(30)에 장착시, 상기 날개형상 플랩(W, W)을 접는선(RL) 위치에서 반대쪽으로 접어, 팬티의 크로치부분에 감아 붙여 지착(止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사이드 부직포(7)에 의해 형성되는 입체 개더(BS)는,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기단부로부터 기립하는 제1 벽부(21)와, 이 제1 벽부(21)의 상단부분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재하는 제2 내측 벽부(22a)와, 상기 제1 벽부(21)의 상단부분으로부터 분기되어 바깥쪽으로 연재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상기 제2 내측 벽부(22a)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2 외측 벽부(22b)와, 상기 제2 내측 벽부(22a)의 선단부와 상기 제2 외측 벽부(22b)의 선단부분에 의해 지지된 피부로의 맞닿는 면상부분(面狀部分)(23)과,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23)에 생리대(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설된 복수의 탄성부재(24, 24…)와,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23), 상기 제2 내측 벽부(22a) 및 제2 외측 벽부(22b)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23)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중공부(M)로 구성된 입체 개더이다. 상기 입체 개더(BS)는, 생리대(1)의 전후 단부에서는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접어 겹쳐 적층된 상태에서 흡수체(4)측에 접착된다.
상기 입체 개더(BS)의 구조를 도 4를 토대로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또한, 도면 중 ×표시는 접착 부위를 나타내는 부호이다. 또한, 안쪽이란 생리대(1)의 중심측을 말하고, 바깥쪽이란 생리대(1)의 외측을 말한다.
동일 도면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입체 개더(BS)는 접어 겹쳐진 2층의 사이드 부직포(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4(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부직포(7)는, 입체 개더 형성부분이 제1 적층부(S1), 제2 적층부(S2), 제3 적층부(S3), 제4 적층부(S4)의 4층 구조로 접어 겹쳐져 있다. 여기에서, 제3 적층부(S3), 제4 적층부(S4)의 안쪽이 약간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적층부(S1) 및 제2 적층부(S2)의 시트 내부에는 불투수성 필름(25)이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4 적층부(S4)에는 생리대(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탄성부재(24, 24…), 구체적으로는 양단부 및 중간부에 합계 5개의 탄성부재(24, 24…)가 배설되어 있다.
2층의 사이드 부직포(7)의 첩합(貼合)에 대해서는, 제3 적층부(S3) 부위에 있어서, 우단측(右端側)의 일부 A만이 접착제에 의해 첩합되고, 그 외 부분 B는 비접착이 된다. 또한, 제1 적층부(S1)~제4 적층부(S4)의 경계면의 접합에 대해서는, 제1 적층부(S1)와 제2 적층부(S2)의 경계면은 비접착으로 하고, 제2 적층부(S2)와 제3 적층부(S3)의 경계면은 안쪽끝의 일부를 제외하고 접착으로 하며, 제3 적층부(S3)와 제4 적층부(S4)의 경계면은 바깥쪽의 일부를 제외하고 접착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24, 24…)에 신축력이 도입되면, 도 4(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4 적층부(S4) 및 제3 적층부(S3)의 상층측 시트부분이 일체가 되어 들려 올라가는 동시에, 도 4(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1 적층부(S1)와 제2 적층부(S2)의 내측 접히는 부분이 기립한다.
이 도 4(C)의 상태에서, 제3 적층부(S3)의 하층 시트 및 제2 적층부(S2)로부터 위쪽으로 이간하여 들려 올라간 제4 적층부(S4) 및 제3 적층부(S3)의 상층측 시트부분이 맞닿는 면상부분(23)의 구성부가 되고, 제3 적층부(S3)의 내측 비접착 시트부분(단층)이 제2 내측 벽부(22a)의 구성부가 되며, 제3 적층부(S3)의 외측 상층 비접착 시트부분(단층) 및 제2 적층부(S2)의 외측부분이 제2 외측 벽부(22b)의 구성부가 되고, 또한 제1 적층부(S1)의 내측부분과 제2 적층부(S2)의 내측부분의 기립부분이 제1 벽부(21)의 구성부가 된다.
또한, 상기 제2 내측 벽부(22a)의 벽길이보다 상기 제2 외측 벽부(22b)의 벽길이가 길게 되어 있으므로, 제2 외측 벽부(22b)측 쪽이 자유도가 크므로 탄성부재(24, 24…)에 의한 기립 정도가 커지므로, 도 4(D)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기립상태에서는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面狀部分)(23)의 내측연 높이 위치보다도 맞닿는 면상부분의 외측연 높이 위치가 높아져 있다.
동일 도면 4(D)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23)은 상기 제2 내측 벽부(22a)와의 결합부분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내측장출부(23a)와, 상기 제2 외측 벽부(22b)와의 결합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외측장출부(23b)가 형성되는 동시에, 맞닿는 면상부분(23)의 양단부에 배치된 탄성부재(24, 24)의 신축력에 의해 양 측연부가 위쪽으로 들려 올라가, 맞닿는 면상부분(23)은 대략 원호상의 단면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벽부(21) 및 제2 외측 벽부(22b)의 일부(바닥면부분)에 개재되어 있는 불투수성 필름(25)에 의해 체액이 스며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 불투수성 필름(25)의 연재부분이 흡수체(4)의 측연부분을 상면측으로부터 덮고 있는 형태에서는, 맞닿는 면상부분(23)을 통과한 체액이 불투수성 필름(25)에 의해 블록되는 동시에, 표면 시트(3)의 윗면을 유하하는 체액 및 흡수체(4)에 흡수된 체액의 측연부로부터 스며나오는 것이 상기 제1 벽부(21)에 개재된 불투수성 필름(25)에 의해 블록되게 된다. 또한, 상기 불투수성 필름(25)은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흡수체(4)의 측연부분을 말려들게 하면서 흡수체(4)의 이면측까지 연재하여 상기 흡수체 측연부분을 덮도록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의 효과도 동일하다.
상기 입체 개더(BS)의 외측에는,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2 입체 개더(BS2)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제2 입체 개더(BS2)는, 사이드 부직포(7)로부터 연재한 이중 시트부분에 의해 구성되고, 그 내부에 적절한 개수의 탄성부재(26, 26…)가 배설됨으로써, 그 신축력에 의해 기립시키도록 한 것이며, 입체 개더(BS)에 근접하여 배치함으로써, 기립시에 맞닿는 면상부분(23)의 외측부분과 접촉하여 기립을 보조하도록 되어 있다.
〔엠보스 구조〕
본 생리대(1)에 있어서는, 상세하게는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폭방향 중앙부의 사용면측에 높은 흡수체의 중고부(6)를 갖는 동시에, 이 중고부(6)를 둘러싸듯이 생리대(1)의 길이방향으로 좁고 긴 엠보스(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엠보스(8)는, 앞부분쪽에서부터 순서대로, 전단부 엠보스(8a), 축소형상 엠보스(8b), 제1 팽출(膨出)형상 엠보스(8c), 중간 호상 엠보스(8d), 제2 팽출형상 엠보스(8e), 후부측 엠보스(8f)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각 엠보스는 분단(分斷)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둘레방향으로 폐합하고 있다.
상기 전단부 엠보스(8a)는, 대략 반원 호상으로 형성된 엠보스이고, 중고부(6)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거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각 좌우 한 쌍의 엠보스를 생리대 전단부에 있어서 곡선 라인으로 결합하는 엠보스이다.
상기 축소형상 엠보스(8b)는, 상기 전단부 엠보스(8a)에 연속하여 중고부(6)의 양측에, 생리대(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엠보스 라인이고, 거의 대퇴부의 앞쪽에 위치하는 동시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엠보스 이간폭의 축소 영역을 형성하도록, 양측의 엠보스 라인이 각각 생리대(1)의 바깥쪽에 곡률 중심을 갖는 곡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팽출형상 엠보스(8c)는, 상기 축소형상 엠보스(8b)에 연속하여 중고부(6)의 양측에, 거의 생리대(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엠보스 라인이며, 거의 대퇴부의 뒤쪽에 위치하는 동시에, 엠보스 이간폭의 확대 영역을 형성하도록, 양측의 엠보스 라인이 각각 생리대(1)의 중심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곡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 호상 엠보스(8d)는, 상기 제1 팽출형상 엠보스(8c)에 연속하여 중고부(6)의 양측에, 거의 생리대(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엠보스 라인이며, 상세하게는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곡률 중심의 위치가 반전하는 변곡점을 경계로 하여, 양측의 엠보스 라인이 각각 생리대(1)의 바깥쪽에 곡률 중심을 갖는 곡선에 의해 매우 짧은 구간에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팽출형상 엠보스(8e)는, 상기 중간 호상 엠보스(8d)에 연속하여 중고부(6)의 양측에, 거의 생리대(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엠보스 라인이고, 상세하게는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곡률 중심의 위치가 반전하는 변곡점을 경계로 하여, 양측의 엠보스 라인이 각각 생리대(1)의 중심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곡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팽출형상 엠보스(8e)는 상기 제1 팽출형상 엠보스(8c)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짧은 구간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부측 엠보스(8f)는, 상기 제2 팽출형상 엠보스(8e)에 연속하여 중고부(6)의 양측에, 거의 생리대(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엠보스 라인이며, 도시예에서는 조금씩 엠보스의 이간폭을 점차 좁히듯이 후부측까지 연장되고, 후부측에 있어서 원호상의 곡선 엠보스에 의해 양측의 엠보스가 결합되어 있다. 이 후부측 엠보스(8f)의 후부측에 가까운 중간 위치에는, 엠보스 이간폭을 확대 영역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엠보스가 생리대(1)의 중심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곡선에 의해 제3 팽출형상 엠보스(8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부측 엠보스(8f)의 외측에는, 상기 후부측 엠보스(8f)와 간격을 두고 생리대(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후부측 엠보스(10, 10)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이 제2 후부측 엠보스(10)는, 각각 생리대(1)의 외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호상 곡선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단부 엠보스(8a)의 앞쪽에는, 간격을 두고 대략 우산형상의 전단 독립 엠보스(9)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후부측 엠보스(8f)의 뒤쪽에는, 간격을 두고 대략 역(逆)우산형상의 후단 독립 엠보스(11)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형성되는 각종 엠보스(8~11)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팽출형상 엠보스(8c), 중간 호상 엠보스(8d) 및 제2 팽출형상 엠보스(8e)의 형성 영역에 있어서는, 상세하게는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 각 팽출형상 엠보스(8c, 8e)의 형성 영역은, 외측으로 팽출하는 엠보스 라인에 의해 생리대 폭방향의 라인을 가요축(可撓軸)(접는선)으로 하여 접히기 어려운 영역으로 되어 있으나, 이들 팽출형상 엠보스(8c, 8e)에 의해 끼인 중간 호상 엠보스(8d)는 엠보스 곡선이 반전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각각의 팽출형상 엠보스(8c, 8e)의 뒤틀림 억제력이 개방되므로, 상대적으로 생리대 폭방향의 라인(X1-X1)을 가요축으로 하여 접히기 쉽게 되어 있다.
한편, 생리대(1)가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팬티(30)에 장착되었다고 하면, 상기 축소형상 엠보스(8b), 제1 팽출형상 엠보스(8c)의 영역에서는, 대퇴부로부터의 내측 방향을 향해 압축력을 받게 됨과 아울러, 이 압축력은 흡수체(4)를 폭방향으로 압축하는 동시에, 생리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엠보스(8)에 의해 힘이 전달되어, 전부측 및 후부측에는 각각 안쪽을 향하는 작용력(F1, F2)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팬티(30)의 크로치부분이 신체쪽으로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 생리대(1)에는 세로방향 중심선(Y-Y)을 따라 가랑이 사이부에 내리누르는 듯한 누름힘을 받게 된다.
이상과 같은 작용력을 받는 것에 의해, Z1영역에 있어서는, 배혈구(排血口)에 상당하는 상기 제1 팽출형상 엠보스(8c) 부위에 제1 융기부(R1)가 형성되고, 이 융기부(R1)가 배혈구 부근에 밀착됨으로써 경혈 등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질구로부터 뒷쪽의 항문 부근에 걸친 회음부에 상당하는 상기 제2 팽출형상 엠보스(8e) 부위에는, X1-X1 가요축이 형성되는 중간 호상 엠보스(8d)를 개재하여 제2 융기부(R2)가 형성되고, 이 융기부(R2)가 회음부에 밀착됨으로써 배혈구 부근에서 흡수할 수 없었던 경혈 등을 확실하게 흡수하여, 체액이 뒤쪽으로 타고 흐르는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9(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중간 호상 엠보스(8d) 영역은 융기방향의 뒤틀림이 개방되는 동시에, 상기 X1-X1 가요축 때문에 그 전후에 위치하는 제1 팽출형상 엠보스(8c) 영역, 및 제2 팽출형상 엠보스(8e) 영역에는 2개의 산이 이어지도록 융기부(R1, R2)가 형성되도록 되고, 상기 융기부(R1)가 배혈구 부근에 밀착되어, 상기 융기부(R2)가 회음부 부근에 밀착됨으로써 경혈 등이 타고 흐르는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융기부(R2)는 팽출형상 엠보스(8e)의 형성 규모에 비례하여, 상기 융기부(R1)보다도 작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후부측 엠보스(8f) 영역에 있어서는, 중고부(6)의 양측에 각각 생리대(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후부측 엠보스(8f) 외에, 제2 후부측 엠보스(10)가 형성되고, 이들 합계 4조의 엠보스가 각각 가요축을 형성하므로, X2-X2를 따르는 방향의 휨성(flexibility)이 향상되고, 엉덩이 골부분에 대한 피트성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후부측 엠보스(8f)의 후부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제3 팽출형상 엠보스(8g)는, 변곡점 위치에 대응하는 횡단선(X3-X3, X4-X4) 각각의 위치에서 접히기 쉬워져 있는 동시에, 각 변곡점 위치에서 생리대의 세로방향 선(Y-Y) 방향의 뒤틀림이 분단되므로, 영역(Z2)이 부풀어 오르듯이 엉덩이 골에 피트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생리대(1)의 최전단(最前端)에 형성된 상기 대략 우산형상의 전단 독립 엠보스(9)는, 이것이 가요축이 되어 생리대(1)의 전단부를 접히기 쉽게 하고, 또한 뒤쪽에 형성된 상기 대략 역우산형상의 후단 독립 엠보스(11)는, 이것이 가요축이 되어 좌우의 제2 날개형상 플랩(WB, WB)을 접히기 쉽게 한다.
그러나, 생리대(1)에 있어서, 배혈구 위치는 일반적으로는 날개형상 플랩(W, W) 위치의 대응 개소로서 정해지는 것이나,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엠보스(8)의 축소형상 엠보스(8b) 영역이 상기 날개형상 플랩(W, W)에 대응시키는 위치가 되도록, 각종 엠보스(8~11)를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조금 옮겨서 형성해도 된다.
(기타 형태예)
(1) 상기 제1 팽출형상 엠보스(8c) 영역과 제2 팽출형상 엠보스(8e) 영역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요축(X1-X1) 위치에서 생리대(1)를 접히기 쉽게 하기 위해, 생리대(1)의 거의 폭방향을 따르는 보조 엠보스를 부여하도록 해도 된다. 도 11(A)는 상기 보조 엠보스로서, 폭방향 중앙부에 폭방향으로 배향(配向)된 호상 엠보스(14)를 형성한 예이며, 도 11(B)는 양측 엠보스를 연결하도록 폭방향으로 호상 엠보스(15)를 형성한 예이다.
(2) 상기 형태예에서는, 제2 후부측 엠보스(10, 10)를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했으나, 도 11(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후부측 엠보스(10, 10)와 후단 독립 엠보스(11)를 연속시키고, 대략 옆으로 누운 U자상의 연속 엠보스(16)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3) 또한 도 1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배혈부위를 포함하는 영역(Y1), 회음부 대응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Y2) 및 제3 팽출형상 엠보스(8g)를 포함하는 영역(Y3)의 중고부(6) 표면에, 작게 패인 모양의 도트 엠보스(18, 18…)를 다수 형성하는 것에 의해, 경혈 등의 흡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 도면의 예에서는, 가요축(X1-X1)의 인접 위치, 및 제3 팽출형상 엠보스(8g) 부위의 각각에 대해, 폭방향 중앙부에 폭방향으로 배향된 호상 엠보스(14, 17)를 형성하고 있다.
(4) 상기 형태예에서는, 엠보스(8)는 좌우 한 쌍의 엠보스 라인이 생리대의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폐합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좌우 한 쌍의 엠보스 라인을 전단부 및/또는 후단부에서 결합하지 않는 태양으로 형성해도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생리대(1)의 전개도이다.
도 2는 그 횡단면도(도 1의 Ⅱ-Ⅱ선 화살표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그 횡단면도(도 1의 Ⅲ-Ⅲ선 화살표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입체 개더(BS)의 형성 구조예를 나타내는 모식도(A)~(D)이다.
도 5는 입체 개더(BS)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변형예의 입체 개더(BS)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기타 변형예의 입체 개더(BS)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엠보스(8~11)의 설명도이다.
도 9의 (A)는 그 요부 확대도이고, (B)는 B-B선 화살표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엠보스(8~11)의 위치를 아래쪽으로 조금 옮긴 생리대(1)의 전개도이다.
도 11의 (A)~(C)는 각각 엠보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그 외의 엠보스 형성 태양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13은 생리대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T자상 입체 개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그 실제 기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생리대, 2…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 3…액체 투과성 탑 시트, 4…흡수체, 5…크레이프지(crepe paper), 6…중고부(中高部), 7…사이드 부직포, 8…엠보스, 8a…전단부(前端部) 엠보스, 8b…축소형상 엠보스, 8c…제1 팽출형상 엠보스, 8d…중간 호상(弧狀) 엠보스, 8e…제2 팽출형상 엠보스, 8f…후부측(後部側) 엠보스, 8g…제3 팽출형상 엠보스, 9…전단 독립 엠보스, 10…제2 후부측 엠보스, 11…후단 독립 엠보스, 21…제1 벽부, 22a…제2 내측 벽부, 22b…제2 외측 벽부, 23…맞닿는 면상부분, 24…탄성부재, 25…불투수성(不透水性) 필름, BS…입체 개더, W…날개형상 플랩(flap), WB…둔부측 날개형상 플랩

Claims (7)

  1. 액체 투과성 탑 시트와 백 시트의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되고, 표면측 양측부에 각각 입체 개더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입체 개더는 기단부(基端部)로부터 기립하는 제1 벽부와, 이 제1 벽부의 상단부분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재(延在)하는 제2 내측 벽부와, 상기 제1 벽부의 상단부분으로부터 분기되어 바깥쪽으로 연재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상기 제2 내측 벽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2 외측 벽부와, 상기 제2 내측 벽부의 선단부와 상기 제2 외측 벽부의 선단부분에 의해 지지된 피부로의 맞닿는 면상부분(面狀部分)과,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에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설(配設)된 복수의 탄성부재와,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 상기 제2 내측 벽부 및 제2 외측 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중공부(中空部)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측 벽부의 벽길이보다 상기 제2 외측 벽부의 벽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기립 상태에서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의 내측연(內側緣) 높이 위치보다도 맞닿는 면상부분의 외측연(外側緣) 높이 위치가 높아지도록 한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은, 상기 제2 내측 벽부와 의 결합부분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내측장출부(內側張出部)와, 상기 제2 외측 벽부와의 결합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외측장출부(外側張出部)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내측장출부의 측연 위치 및 상기 외측장출부의 측연 위치에 각각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개더의 외측 위치에 제2 입체 개더를 설치하여, 상기 제2 입체 개더의 기립 및 접촉에 의해 입체 개더 맞닿는 면상부분의 외측부분을 기립 보조시키도록 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 및 제2 외측 벽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불투수성(不透水性) 필름을 개재시키고, 상기 맞닿는 면상부분에는 불투수성 필름이 개재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수성 필름의 연재부분이 흡수체 측연부분을 상면측으로부터 덮고 있는 흡수성 물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수성 필름의 연재부분이 흡수체 측연부분을 말려들게 하면서 흡수체 이면측까지 연재하여 상기 흡수체 측연부분을 덮고 있는 흡수성 물품.
KR1020087000679A 2005-06-13 2008-01-10 흡수성 물품 KR101265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72319A JP4352027B2 (ja) 2005-06-13 2005-06-13 吸収性物品
JPJP-P-2005-00172319 2005-06-13
PCT/JP2006/311816 WO2006134904A1 (ja) 2005-06-13 2006-06-13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135A true KR20080025135A (ko) 2008-03-19
KR101265965B1 KR101265965B1 (ko) 2013-05-22

Family

ID=3753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679A KR101265965B1 (ko) 2005-06-13 2008-01-10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22706B2 (ko)
EP (1) EP1917939B1 (ko)
JP (1) JP4352027B2 (ko)
KR (1) KR101265965B1 (ko)
CN (1) CN101193614B (ko)
BR (1) BRPI0613248B8 (ko)
RU (1) RU2396931C2 (ko)
WO (1) WO20061349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927B1 (ko) * 2007-06-28 2015-01-21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개장 흡수성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31115D1 (de) 2003-02-12 2010-03-11 Procter & Gamble Saugfähiger Kern für einen saugfähigen Artikel
EP1982678B1 (en) 2003-02-12 2019-03-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mfortable diaper
JP4959436B2 (ja) * 2007-06-14 2012-06-20 白十字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CA2782533C (en) 2007-06-18 2014-1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and method
GB2454301B (en) 2007-06-18 2012-03-28 Procter & Gambl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ealed absorbent cor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JP5091698B2 (ja) * 2008-01-30 2012-12-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2014826A (zh) 2008-04-29 2011-04-13 宝洁公司 制造具有抗应变芯覆盖件的吸收芯的方法
JP5270292B2 (ja) * 2008-10-17 2013-08-21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US8771250B2 (en) * 2009-10-29 2014-07-08 Sca Hygiene Products Ab Inverse standing gathers for an absorbent article
EP2329803B1 (en) 2009-12-02 2019-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JP5631124B2 (ja) 2010-08-31 2014-11-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失禁用ライナー
JP5751774B2 (ja) * 2010-08-31 2015-07-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失禁用ライナー
DE102011010269A1 (de) * 2011-01-25 2012-07-26 Paul Hartmann Ag Damen- oder Inkontinezbinde
WO2012119353A1 (zh) * 2011-03-09 2012-09-13 小护士(天津)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弹力防侧漏卫生巾
CN102133146A (zh) * 2011-03-15 2011-07-27 杭州珂瑞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立体护围防漏成人尿裤
CN102133147A (zh) * 2011-03-15 2011-07-27 杭州珂瑞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立体护围防漏婴儿尿裤
PL2717823T5 (pl) 2011-06-10 2019-09-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truktura chłonna do wyrobów chłonnych
EP2532332B2 (en) 2011-06-10 2017-10-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reduced attachment between absorbent core and backsheet
EP2532329B1 (en) 2011-06-10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CN103607989B (zh) 2011-06-10 2017-05-24 宝洁公司 用于吸收制品的吸收结构
PL2532328T3 (pl) 2011-06-10 2014-07-31 Procter & Gamble Sposób i urządzenie do wytworzenia struktur chłonnych z materiałem chłonnym
RU2630211C1 (ru) 2011-06-10 2017-09-05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Одноразовые подгузники
MX2013014596A (es) 2011-06-10 2014-01-24 Procter & Gamble Centro de absorbente para articulos absorbentes desechables.
JP5897292B2 (ja) * 2011-09-29 2016-03-3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915898B2 (en) * 2012-03-05 2014-1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recessed body conforming structure
US8915899B2 (en) 2012-03-05 2014-1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raised body conforming structure
JP6193391B2 (ja) 2012-11-13 2017-09-0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チャネル及びシグナルを備えた吸収性物品
PL2740452T3 (pl) 2012-12-10 2022-01-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US8979815B2 (en) 2012-12-10 2015-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9216118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9216116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PL2740449T3 (pl) 2012-12-10 2019-07-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ykuł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JP6158520B2 (ja) * 2013-01-29 2017-07-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32198B2 (ja) * 2013-03-27 2017-11-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168181B2 (en) 2013-05-22 2015-10-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forming a containment system for an absorbent article
US9259362B2 (en) 2013-05-22 2016-02-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ontainment flaps
US9629757B2 (en) 2013-05-22 2017-04-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including containment flaps
PL3254656T3 (pl) 2013-06-14 2022-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i wkład chłonny tworzący kanały w stanie mokrym
JP6120324B2 (ja) * 2013-07-26 2017-04-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CN110013386B (zh) 2013-08-27 2021-10-01 宝洁公司 具有通道的吸收制品
US10292875B2 (en) 2013-09-16 2019-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EP2851048B1 (en) 2013-09-19 2018-09-0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P2886092B1 (en) 2013-12-19 2016-09-1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c-wrap seals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EP2905001B1 (en) 2014-02-11 2017-0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CN105310830A (zh) * 2014-06-16 2016-02-10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一次性吸收物品
JP6213878B2 (ja) * 2014-09-30 2017-10-1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7405223B (zh) 2015-03-16 2021-03-02 宝洁公司 具有改善的强度的吸收制品
GB2555016B (en) 2015-03-16 2021-05-12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s
CA2985807A1 (en) 2015-05-12 2016-1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ore-to-backsheet adhesive
WO2016196069A1 (en) 2015-05-29 2016-1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s and wetness indicator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EP3573588B1 (en) * 2017-01-24 2022-01-05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isposable hygiene article
BE1025887B1 (nl) * 2017-05-15 2019-08-07 Drylock Technologies Nv Absorberend voorwerp met vier kanalen
JP6286598B2 (ja) * 2017-05-23 2018-02-2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51792B2 (ja) * 2017-05-23 2018-07-0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0996868B (zh) * 2017-08-22 2022-04-12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一次性卫生物品
CN109833144A (zh) * 2017-11-24 2019-06-04 智邦(天津)卫生用品科技有限公司 卫生巾3d弹力贴身护围的制作工艺
CN108852628A (zh) * 2018-04-26 2018-11-23 广西舒雅护理用品有限公司 抗菌双芯药物卫生护垫
RU187445U1 (ru) * 2018-12-20 2019-03-06 Татьяна Степановна Абрамова Ежедневная гигиеническая прокладка
US11696858B2 (en) * 2019-05-15 2023-07-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7332436B2 (ja) * 2019-11-01 2023-08-2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9067A (ja) * 1995-02-28 1996-09-10 New Oji Paper Co Ltd おむつ
US5571096A (en) * 1995-09-19 1996-1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breathable side panels
US5624426A (en) * 1996-05-03 1997-04-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having an improved leg cuff
SE514291C2 (sv) * 1997-09-30 2001-02-05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engångsalster med hög uppsamlingsförmåga
JP3748023B2 (ja) * 1999-11-19 2006-0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2000653A (ja) * 2000-06-19 2002-01-08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3725008B2 (ja) 2000-06-21 2005-12-0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837879B2 (en) * 2001-10-31 2005-01-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ainment flaps for absorbent article
JP3919638B2 (ja) * 2001-12-20 2007-05-3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994377B2 (ja) * 2002-01-21 2007-10-1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421222B2 (ja) * 2003-06-09 2010-0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421224B2 (ja) * 2003-06-20 2010-0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927B1 (ko) * 2007-06-28 2015-01-21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개장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13248B1 (pt) 2018-03-13
WO2006134904A1 (ja) 2006-12-21
BRPI0613248A2 (pt) 2010-12-28
EP1917939B1 (en) 2017-01-18
US7922706B2 (en) 2011-04-12
US20090326502A1 (en) 2009-12-31
KR101265965B1 (ko) 2013-05-22
EP1917939A1 (en) 2008-05-07
JP4352027B2 (ja) 2009-10-28
CN101193614A (zh) 2008-06-04
BRPI0613248B8 (pt) 2021-06-22
EP1917939A4 (en) 2011-03-16
JP2006345909A (ja) 2006-12-28
CN101193614B (zh) 2011-02-16
RU2008101444A (ru) 2009-07-20
RU2396931C2 (ru)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965B1 (ko) 흡수성 물품
KR101211316B1 (ko) 흡수성 물품
JP4492957B2 (ja) 吸収性物品
KR101799614B1 (ko) 흡수성 물품
JP5305812B2 (ja) 吸収性物品
JP5727246B2 (ja) 吸収性物品
RU2406475C2 (ru) Верхний слой для абсорбирующего изделия
KR20110035863A (ko) 흡수성 물품
KR20110034605A (ko) 흡수성물품
JP4756588B2 (ja) 吸収性物品
JP5464822B2 (ja) 吸収性物品
JP4540107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124314B2 (ja) 吸収性物品
WO2020027051A1 (ja) 吸収性物品
JP5140320B2 (ja) 吸収性物品
JP6073619B2 (ja) 吸収性物品
JP5616185B2 (ja) 吸収性物品
JP5406963B2 (ja) 吸収性物品
JP4388404B2 (ja) 吸収性物品
JP4145692B2 (ja) 吸収性物品
JP4490153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2005287843A5 (ko)
JP5117203B2 (ja) 吸収性物品
JP2014188131A (ja) 吸収性物品
JP2021045382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