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9188A -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시스템, 공기 제균 장치 및공기 제균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시스템, 공기 제균 장치 및공기 제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188A
KR20080019188A KR1020070085350A KR20070085350A KR20080019188A KR 20080019188 A KR20080019188 A KR 20080019188A KR 1020070085350 A KR1020070085350 A KR 1020070085350A KR 20070085350 A KR20070085350 A KR 20070085350A KR 20080019188 A KR20080019188 A KR 20080019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electrolytic
electrolytic wat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5112B1 (ko
Inventor
가즈오 다까하시
요오이찌 우찌다
히로아끼 우스이
노부히로 오구라
고오지 나가에
데쯔야 야마모또
쯔요시 라꾸마
게이꼬 구로까와
다이스께 스즈끼
도시오 후꾸시마
다꾸로오 니시하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28753A external-priority patent/JP49560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3024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5145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3010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5145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30242A external-priority patent/JP49821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3010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51451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9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실내 공조를 행하기 위한 실내 유닛(2)을 구비하고, 이 실내 유닛(2)의 내부에는, 실내 열 교환기(21)와, 실내의 공기를 실내 유닛(2)의 내부로 도입함과 함께, 실내 열 교환기(21)로 열 교환한 공기를 실내에 송풍하는 송풍 팬(22)과,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해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5)과, 이 전해수 공급 수단(5)으로부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공급되고, 이 전해수를 도입한 공기에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4)을 구비하고, 전해수 공급 수단(5)이, 공기의 제균을 위해서 공기 제균 수단(4)에 공급하는 전해수보다 농도가 높은 전해수를 공기 제균 수단(4)에 공급하는 클리닝 운전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Figure P1020070085350
공기 제균 장치, 실내 열 교환기, 활성 산소종, 전해수, 기액 접촉 부재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시스템, 공기 제균 장치 및 공기 제균 시스템 {AIR CONDITIONING DEVICE, AIR CONDITIONING SYSTEM, AIR STERILIZATION DEVICE AND AIR STERILIZATION SYSTEM}
본 발명은, 공중 부유 미생물[세균, 바이러스, 진균류(이하, 단순히 「바이러스 등」이라고 한다.)]의 제거가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제균 장치 및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돗물 등을 전기 분해해서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과, 생성된 전해수가 공급되는 공기 제균 수단을 구비하고, 이 공기 제균 수단으로 전해수와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되는 유해 물질을 분해·제거 등 해서, 공기의 정화(제균)를 행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 제균 후의 공기를 공기 조화 장치에 공급하고, 유해 물질의 분해·제거를 한 공기에 대해서 냉난방, 제습 등을 행하여, 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3-250876호 공보).
한편, 공기 조화 장치의 내부에 가습기를 설치하여, 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공급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제 2714076호 공보). 이 가습기는, 친수성의 가습 엘리먼트를 구비하고 있고, 이 가습 엘리먼트에 물을 공급함과 함께, 공조되는 공기를 가습 엘리먼트에 통과시킴으로써, 가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 장치에는,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송풍 공기를 조화하는 열 교환기를 구비하고, 이 열 교환기의 하방에는, 드레인 팬이 배치되어 있고, 이 드레인 팬은, 열 교환기로부터 적하하는 결로수를 받아, 이 결로수를 드레인 팬의 내측에서 드레인수로서 저류한다. 이 드레인수는, 드레인 파이프를 통해, 적당히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4-93005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전해수 공급 수단에는, 전기 분해에 의해 생기는 스케일(예를 들면, 탄산 칼슘 등의 칼슘계 스케일, 탄산 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계 스케일 등)이 전극에 부착된다. 그 때문에, 전기 분해의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 전극으로부터 스케일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렇지만, 제거한 스케일은, 전해수와 함께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되어 버리기 때문에, 스케일이 공기 제균 수단에 부착되어 버려, 공기 제균 수단이 더러워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실내 유닛의 내부에 설치된 가습 엘리먼트(공기 제균 수단)에는, 운전에 의해 오염 물질이 부착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 공기 제균 수단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이용자 또는 메인테넌스자가 공기 제균 수단을 실내 유닛의 내부로부터 탈거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특히, 실내 유닛이 천장에 매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기 제균 수단의 탈거 작업이 힘들고, 세정하기가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드레인 팬에는 드레인수가 저류됨으로써 잡균이 번식하기 쉽고, 여기서 발생한 미생물(세균, 바이러스, 진 균류(이하, 단순히 「바이러스 등」이라고 한다.))가, 송풍 공기와 함께 피조화실에 분출될 우려가 있었다.
한편, 온도, 지역, 계절에 의해 수돗물 등에 포함되는 염화물 이온(염소 이온) 등의 이온종 농도가 변동하는 경우가 있다. 또, 우물물 등의 자연수는 이온종 농도가 낮은 경우가 많다.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염화물 농도가 낮은 경우, 전해수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공기 제균에 필요한 활성 산소종의 전해수 중의 농도는 희박하다(예를 들면, 차아염소산의 경우, 2 내지 10ppm 정도이다). 또, 활성 산소종의 농도는, 제균하는 바이러스 등에 따라서 적당히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해수 중에 포함되는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되도록 조정하려면, 전기 분해에 제공되는 수돗물 등의 수질(예를 들면, 염화물 이온 농도)에 따라서, 전해 조건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공기 제균에 이용하는 활성 산소종의 농도는 희박하고, 수돗물 등의 수질은 계절, 온도, 지역 등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전기 분해에 이용하는 수돗물 등의 수질의 변화에 따라서, 전해 조건을 엄밀하게 제어하여,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되도록 조정하는 것은 제어가 복잡하고, 전해수의 생성 효율에도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해수 공급 수단으로 제거한 스케일로 공기 제균 수단을 적극적으로 오염시키지 않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제균 수단의 세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레인 팬에 잡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이용해서 공기를 제균할 때에, 효율적으로 전해수를 생성함과 함께, 전해수 중의 활성 산소종의 농도의 조정이 용이한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시스템, 공기 제균 장치 및 공기 제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이온종 농도에 상관없이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효율적으로 생성하여, 공기를 제균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시스템, 공기 제균 장치 및 공기 제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는, 실내 공조를 행하기 위한 실내 유닛을 가지고, 이 실내 유닛의 내부에는, 실내 열 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상기 실내 유닛의 내부로 도입함과 함께, 상기 실내 열 교환기로 열 교환한 공기를 실내에 송풍하는 송풍 팬과,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해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과, 이 전해수 공급 수단으로부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공급되고, 이 전해수를 도입한 공기에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과,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의 전해수의 생성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해서, 공기의 제균을 행하기 위해서 공급하는 전해수보다 농도가 높은 전해수를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공기 제균 수단을 실내 유닛의 내부로부터 탈거하지 않고서, 고농도의 전해수를 공급하여 공기 제균 수단의 세정을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도가 높은 전해수를 소정 시간 또는 소정 간격으로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클리닝 운전 모드를 만들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일손을 개입시키지 않고서, 정기적으로 공기 제균 수단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도가 높은 전해수의 공급을, 상기 송풍 팬의 운전을 정지시켜 행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농도의 전해수가 발하는 악취를, 실내에 적극적으로 확산시키지 않고 공기 제균 수단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은 전기 분해를 행하는 전류치가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전류치에 근거해서 전해수의 농도를 조절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의 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운전 모드는, 상기 실내 유닛의 운전 정지중에, 소정 간격으로 농도가 높은 전해수의 공급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시간의 운전 정지에 의해 공기 제균 수단이 건조되어, 곰팡이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운전 모드는, 상기 실내 유닛의 연속 운전중에, 소정 시간에 농도가 높은 전해수의 공급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기 조화 장치가 24시간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도, 공기 제균 수단의 세정을 정기적으로 행할 수 있다.
한편, 실내로부터 도입된 공기를 실내 열 교환기로 열 교환한 후에 실내에 송풍하는 송풍 팬을 가지는 실내 유닛을 구비하고, 이 실내 유닛의 내부에는,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해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함과 함께, 전해수의 생성에 의해 생기는 스케일을 제거 가능한 전해수 공급 수단과, 이 전해수 공급 수단으로부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공급되고, 이 공급된 전해수와 도입된 공기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 제균 수단의 상류측에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으로 제거된 스케일을 배출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해수 공급 수단으로 제거된 스케일을,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지 않고 바이패스 유로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과 상기 공기 제균 수단의 사이에,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전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는, 스케일을 제거하는 경우에 해당 스케일이 상기 유로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스케일을 제거하지 않을 때에 상기 전해수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거한 스케일을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음과 함께, 전기 분해한 전해수를 바이패스 유로에 흐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공기 제균 수단의 드레인 팬 또는 상기 실내 열 교환기의 드레인 팬 중 어느 하나까지 연장되고, 이 중 어느 하나의 드레인 팬에 제거한 스케일을 배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거한 스케일을 어느 하나의 드레인 팬에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은 전기 분해를 행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전극을 가지고, 이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킴으로써, 전극에 부착된 스케일을 제거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극에 부착한 스케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조화하는 열 교환기와, 이 열 교환기로부터 유하한 드레인수를 저류하는 드레인 팬 과, 열 교환기의 하류 또는 상류에 배치되고,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침투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에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기액 접촉 부재를 구비하고, 해당 기액 접촉 부재로부터 유하한 전해수를 상기 드레인 팬에 유도하여, 해당 드레인 팬을 거쳐 외부로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기액 접촉 부재로부터 유하한 전해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전해수 트레이를 상기 드레인 팬의 상류에 구비하고, 이 전해수 트레이에 저류된 전해수를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환류시키는 순환 펌프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전해수 트레이로부터 상기 드레인 팬에 상기 전해수를 유도하는 경로에 전자 밸브를 설치하고, 해당 전자 밸브를 개폐시켜, 상기 전해수 트레이로부터 상기 드레인 팬에 유도되는 전해수의 양을 조절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전해수 트레이로부터 상기 드레인 팬에 상기 전해수를 유도하는 경로에, 상기 전해수 트레이에 저류된 전해수를 막는 댐부를 설치하고, 해당 댐부를 넘은 전해수가, 상기 드레인 팬에 유도되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를 개폐시켜, 전해수를 상기 드레인 팬에 간헐적으로 유도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물 또는 염소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해서 전해수를 생성하고, 생성한 전해수를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급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전해수 트레이에 저류된 전해수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하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수위 검지 수단과, 이 수위 검지 수단이 상기 소정 수위 이하라고 검지했을 때에, 상기 전해 수단에 물 또는 염소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는, 압축기, 사방 밸브, 실외 열 교환기 및 실내 열 교환기를 순차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냉매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 열 교환기를 실내 유닛에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에 공기를 도입해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실내에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실내 유닛에 도입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과,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상기 전해수를 생성해서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과,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에 공급되는 물에 상기 이온종을 첨가하는 이온종 첨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송풍 팬에 의해 실내 유닛에 도입된 공기는 실내 열 교환기에 의해 열 교환되어 실내에 송풍된다. 또, 이 송풍 팬에 의해 실내 유닛에 도입되는 공기는, 공기 제균 수단에 의해,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접촉되어 제균된다. 공기 제균 수단에는, 전해수 공급 수단에 의해 생성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공급된다. 이 전해수 공급 수단은 예를 들면, 수도관, 급수 탱크 등의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수돗물 등이나 우물물 등의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이 물에는 이온종 공급 수단에 의해 소정의 이온종이 첨가되므로, 전해수 공급 수단에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이온종 농도에 상관없이, 소정의 농도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이 공급되어, 효율적으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해서 공기를 제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시스템은, 압축기, 사방 밸브, 실외 열 교환기 및 실내 열 교환기를 순차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냉매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 열 교환기를 실내 유닛에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가지는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은, 상기 실내 유닛에 공기를 도입해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실내에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실내 유닛에 도입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과,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상기 전해수를 생성해서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을 케이스 내에 구비하고,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과, 외부의 급수원을 접속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배수 경로 중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통해서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에 공급되는 물에, 상기 이온종을 첨가하는 이온종 첨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송풍 팬에 의해 실내 유닛에 도입된 공기는 실내 열 교환기에 의해 열 교환되어 실내에 송풍된다. 또, 이 송풍 팬에 의해 실내 유닛에 도입되는 공기는, 공기 제균 수단에 의해,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접촉되어 제균된다. 공기 제균 수단에는, 전해수 공급 수단에 의해 생성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공급된다. 이 전해수 공급 수단은 배수관을 통해서, 예를 들면, 수도관, 급수 탱크 등의 급수원과 접속되어, 급수원으로부터 수돗물 등이나 우물물 등의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실내 유닛과 급수원의 사이에, 배수관의 배수 경로 중에 이온종 첨가 수단이 배치되어, 전해수 공급 수단에 공급되는 물에 이온종이 첨가되므로, 전해수 공급 수단에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이온종 농도에 상관없이,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이 공급되어, 효율적으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해서 공기를 제균할 수 있다. 또, 이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 유닛이 복수 구비되는 경우에, 이온종 첨가 수단을 각 실내 유닛마다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이온종을 첨가한 것을, 각 실내 유닛에 분배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온종 첨가 수단은, 상기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질을 저류하는 저류 탱크와, 상기 저류 탱크와 상기 배수관을 접속하는 배관과,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도전율을 검출하는 도전율 검출 수단과, 상기 도전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도전율에 근거해서,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되는 이온종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도전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도전율이 소정의 값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이온종을 첨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저류 탱크로부터 상기 배수관에 도입되는 이온종의 양을 조정하는 도입량 조정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도입량 조정 밸브의 밸브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되는 이온종의 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류 탱크는 실내의 낮 은 곳에 설치되어, 실내의 마루 근방에 배치된 상기 배수관의 일부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 의해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실내의 낮은 곳에 저류 탱크가 설치되므로, 저류 탱크에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질의 보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온종은 할로겐화물 이온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염화물 이온이다.
또,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활성 산소종은, 차아염소산,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은, 상기 실외 열 교환기를 구비하는 하나의 실외 유닛에 대해서 1개 또는 복수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급수원과 접속되는 공용 배관부와, 상기 공용 배관부로부터 분기해서 각 실내 유닛의 전해수 공급 수단에 물을 분배하는 분배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온종 첨가 수단은 상기 공용 배관부의 배수 경로 중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실내 유닛을 하나의 실외 유닛에 대해서 복수 설치하는 경우, 배수관을 수도관과 접속되는 공용 배관부와, 이 공용 배관부로부터 분기해서 각 장치에 물을 배수하는 분배관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온종 첨가 수단을 공용 배관부의 배수 경로 중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공용 배관부에 있어서 이온종을 첨가함으로써, 각 분배관부에 의해 각 실내 유닛의 전해수 공급 수단에 분배되는 물에 이온종이 첨가되어, 각 전해수 공급 수단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전해수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 복수의 실내 유닛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이온종 첨가 수단은 공용 배관부의 배수 경로 중에 배치되므로, 각 실내 유닛마다 이온종 첨가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해당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 이온종의 보충 등을 각 실내 유닛마다 행할 필요가 없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제균 장치는, 공기의 흡입구 및 분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분출구를 향해서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되는 송풍 경로 상에 배치되고, 해당 송풍 경로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과,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상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해서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과,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에 공급되는 물에 상기 이온종을 첨가하는 이온종 첨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제균 시스템은, 실내의 공기를 제균하는 공기 제균 장치를 1개 또는 복수 구비한 공기 제균 시스템에 있어서, 각 공기 제균 장치는, 공기의 흡입구 및 분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분출구를 향해서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되는 송풍 경로 상에 배치되고, 해당 송풍 경로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과,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상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해서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외부의 급수원과 접속되는 공용 배수관부와, 상기 공용 배수관부로부터 분기해서 각 공기 제균 장치의 전해수 공급 수단에 물을 분배하는 분배관부를 가지는 배수관과, 상기 공용 배수관부의 배수 경로 중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상기 이온종을 첨가하는 이온종 첨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는, 압축기, 사방 밸브, 실외 열 교환기 및 실내 열 교환기를 순차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냉매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 열 교환기를 실내 유닛에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에 공기를 도입해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실내에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실내 유닛에 도입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과, 상기 소정의 농도보다 고농도로 상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수를 생성하여, 해당 고농도 전해수를 외부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활성 산소종을 상기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조제해서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압축기, 사방 밸브, 실외 열 교환기 및 실내 열 교환기를 순차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냉매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 열 교환기를 실내 유닛에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송풍 팬에 의해, 실내 유닛에 공기가 도입되고, 실내 열 교환기에 의해 열 교환 후의 공기가 실내에 송풍된다. 또, 공 기 제균 수단에 의해, 활성 산소종을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이용해서, 송풍 팬에 의해 실내 유닛에 도입된 공기가 제균된다.
여기서, 공기 제균 수단에는, 전해수 공급 수단에 의해 활성 산소종을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가 공급된다. 전해수 공급 수단에서는,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해야 할 전해수보다 활성 산소종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이 고농도 전해수를 생성하고, 이 고농도 전해수를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여,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해서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해수 공급 수단에서는, 전기 분해를 효율적으로 행해서 고농도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고, 동시에 전극을 장기 수명화 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전해수 중에 포함되는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되도록 조정할 때도, 전해수를 생성할 때에, 전해수의 생성과 함께 생성되는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고농도 전해수 생성수단에 있어서 활성 산소종을 고농도로 생성한 전해수를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해 희석함으로써,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조정하고 있으므로,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전해수의 혼합비에 의해,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시스템은, 압축기, 사방 밸브, 실외 열 교환기 및 실내 열 교환기를 순차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냉매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 열 교환기를 실내 유닛에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가지는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은, 상기 실내 유닛에 공기를 도입해서 열 교환 후의 공기 를 실내에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실내 유닛에 도입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농도보다 고농도로 상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수를 생성하고,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상기 고농도 전해수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활성 산소종을 상기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조제해서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은, 상기 실외 열 교환기를 구비하는 하나의 실외 유닛에 대해서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에 의해, 각 실내 유닛의 공기 제균 수단에 상기 전해수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개의 실내 유닛마다 전해수 공급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장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은,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상기 고농도 전해수를 첨가하는 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되는 전해수의 활성 산소종 농도를 조정하는 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은, 상기 고농도 전해수를 첨가할 때에,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되는 전해수의 활성 산소종 농도를 조정하는 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은,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고, 도입된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에 도입되는 물에 소정의 이온종을 첨가하는 이온종 첨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온종 첨가 수단은, 상기 전해조 내에 도입되는 물의 도전율을 검출하는 도전율 검출 수단과, 상기 도전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도전율에 근거해서, 상기 전해조에 도입되는 물에 첨가하는 상기 이온종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온종은 할로겐화물 이온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염화물 이온이다.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활성 산소종은, 차아염소산,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공기 제균 장치는, 공기의 흡입구 및 분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분출구를 향해서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되는 송풍 경로 상에 배치되고, 해당 송풍 경로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과, 상기 소정의 농도보다 고농도로 상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수를 생성하여, 외부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상기 고농도 전해수를 첨가함 으로써 상기 활성 산소종을 상기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공기 제균 시스템은, 실내의 공기를 제균하는 공기 제균 장치를 복수 구비한 공기 제균 시스템에 있어서, 각 공기 제균 장치는, 공기의 흡입구 및 분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분출구를 향해서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되는 송풍 경로 상에 배치되고, 해당 송풍 경로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농도보다 고농도로 상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수를 생성하고,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상기 고농도 전해수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활성 산소종을 상기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조제해서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해서, 공기의 제균을 행하기 위해서 공급하는 전해수보다 농도가 높은 전해수를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농도가 높은 전해수로 공기 제균 수단을 세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기 제균 수단을 실내 유닛으로부터 탈거하지 않고서 세정할 수 있으므로, 세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도가 높은 전해수를 소정 시간 또는 소정 간격으로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클리닝 운전 모드를 구비함으로써, 정기적으로 공기 제균 수단을 세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일손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공기 제균 수단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송풍 팬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세정을 행함으로써, 전해수의 악취를 실내에 적극적으로 확산시키지 않는다. 그 때문에, 실내에 있어서의 거주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전기 분해의 전류치에 근거해서 전해수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농도 조절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해수 공급 수단과 공기 제균 수단의 사이에, 전해수 공급 수단으로 제거된 스케일을 배출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해수 공급 수단으로 제거한 스케일을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공기 제균 수단에 스케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 제균 수단을 필요 이상으로 오염시키는 일이 없어진다. 또, 간단한 구조로, 전해수 공급 수단으로 제거한 스케일을 공기 조화 장치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드레인 팬에 전해수가 공급되어, 드레인 팬에 잡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이온종 농도에 상관없이 효율적으로 전해수를 생성하여, 공기를 제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이용해서 공기를 제균할 때에, 효율적으로 전해수를 생성함과 함께, 전해수 중의 활성 산소종의 농도의 조정이 용이한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제균 장치 및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의 일렬로서 4방향 분출형의 천장 매입형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냉매 회로도이다. 이 냉매 회로로 나타내는 공기 조화 장치(100)는, 1대의 실외 유닛(1)에 2대의 실내 유닛(2)이 접속된 것이다. 또한, 이 조합은 일례이며, 1대의 실외 유닛(1)에 2대 이상의 실내 유닛(2)이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1대의 실외 유닛(1)에 1대의 실내 유닛(2)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실외 유닛(1)은, 실외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기(11), 어큐뮬레이터(12), 사방 밸브(13), 실외 열 교환기(14), 전동 팽창 밸브(15)를 구비하고, 이것들이 냉매 배관(10)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실외 유닛(1)은, 난방 운전시에는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냉매가 흐르게 되어 있고, 냉방 운전시에는 사방 밸브(13)를 절환함으로써, 도 중에 도시하는 파선 화살표 방향으로 냉매가 흐르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의 변경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내 유닛(2)은, 실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열 교환기(21), 송풍 팬(22), 공기 제균부(4), 전해 유닛(5)(전해수 공급 수단), 제어 장치(200)를 구비하고, 이것들이 냉매 배관(1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송풍 팬(22)은, 실내 유닛(2)에 흡입구(31)를 통해서 공기를 도입하고, 실내 열 교환기(21)에 의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분출구(32)를 통해서 실내에 송풍하는 것이다. 또, 공기 제균부(4)는, 송풍 팬(22)에 의해 실내 유닛(2)에 도입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해 유닛(5)은, 수돗물 등을 전기 분해해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하여 공기 제균부(4)에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전해 유닛(5)의 전기 분해의 전류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공기 제균부(4), 전해 유닛(5) 및 제어 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에 사용되는 실내 유닛이, 천장에 매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3은, 도2에 도시하는 실내 유닛(2)의 상하 방향을 반대로 해서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유닛(2)이 2대 있지만,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실내 유닛(2)은,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열 교환기(21)나 제어 장치(200) 등을 내포하는 케이스(20)와, 이 케이스(20)가 천장 공간(S)에 부착된 상태로, 케이스(20)의 하측에 배치되는 화장 패널(30)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20)는,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면(단, 도3에 있어서 상방)이 개구된 대략 사각형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20)의 네 귀퉁이에는,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다는 금구(103)가 부착되어 있다. 이 케이스(20)는, 건물 천장(101)에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천장 구멍(102)으로부터 천장(101)의 뒤쪽에 매입되고, 천장 뒤로부터 수하되는 매다는 볼트(104)에 매다는 금구(103)가 지착됨으로써, 천장 공간(S)에 매달리게 되어 있다.
화장 패널(30)은, 평면에서 봐서 대략 사각형(정방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화장 패널에 의해 케이스(20)의 하면 및 천장 구멍(102)이 덮여 있다. 이 화장 패널(30)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흡입구(31)와, 화장 패널(30)의 네 변의 근방에, 각각의 변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 분출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입구(31)의 뒤쪽에는 필터(33)가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내 유닛(2)은, 이 흡입구(31)로부터 실내의 공기를 케이스(20)의 내부에 흡입하여, 케이스(20) 내에서 공기의 열 교환을 행한 후, 4개의 분출구(32)로부터 실내를 향해서 공기를 4방향으로 분출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20)의 측판(20a)의 내면에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포 스티롤제 단열체(2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20)의 천판의 내측(20b)에는 모터(22a)가 고정되고, 이 모터(22a)의 샤프트에는 날개바퀴(22b)가 부착되어 있고, 이들 모터(22a) 및 날개바퀴(22b)로 송풍 팬(22)을 구성하고 있다. 이 송풍 팬(22)을 둘러싸도록, 케이스(20)의 측판(20a)을 따라서 대략 4각형상으로 구부러진 실내 열 교환기(21)가 상기 발포 스티롤제 단열체(2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3 참조). 이 실내 열 교환기(21)에는 송풍 팬(22)에 의해 흡입구(31)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공급되어, 실내 열 교환기(21)에 의해 열 교환된 공기가 4개의 분출구(32)로부터 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내 열 교환기(21)의 하방에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포 스티롤제의 드레인 팬(24)이 배치되어 있다. 이 드레인 팬(24)은, 외주면이 케이스(20)의 내면에 약설된 상태로 케이스(20) 내에 배치된다. 또한, 이 드레인 팬(24)에는, 화장 패널(30)의 흡입구(31) 및 분출구(32)에 대응하는 위치에 흡입 개구(25) 및 분출 개구(26)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개구(25)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드레인 팬(24)의 중앙에 평면에서 봐서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출 개구(26)는 드레인 팬(24)의 네 변을 따라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드레인 팬(24)에는, 실내 열 교환기(21)의 한 귀퉁이에 상당하는 위치에 드레인 펌프(27)(도3 참조)가 배치되고, 드레인 팬(24)에 저류된 드레인수는 드레인 펌프(27)에 의해 퍼 올려져, 실내 유닛(2)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4각형상으로 접어 구부러진 실내 열 교환기(21)의 한 변에는,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외 측에 공기 제균부(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0)의 측판(20a)으로서, 이 공기 제균부(4)가 배치된 측면의 측에는, 전해 유닛(5)이 외부 부착되어 있다. 이 공기 제균부(4)는, 실내 열 교환기(21)의 단부에 해당하는 변과 단열체(2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화장 패널(30)에 형성된 하 나의 분출구(32)로부터는, 공기 제균부(4)에 있어서 제균된 공기가 분출되게 된다. 또한, 하나의 분출구(32)뿐만 아니라, 복수의 분출구(32)로부터 공기 제균부(4)에 있어서 제균된 공기가 분출되도록 해도 된다.
이 공기 제균부(4)는, 도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수성이 높은 기액 접촉 부재(41)와, 이 기액 접촉 부재(41)의 상부에 배치되는 분산 접시(42)와, 기액 접촉 부재(41)의 하방에 배치되는 물받이 접시(43)를 구비하고 있다.
기액 접촉 부재(41)는, 예를 들면 아크릴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으로 제작된 부직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41)의 소재로서, 전해수에 대한 반응성이 적은 소재가 바람직하고, 그 밖에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 염화 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PTFE, PFA, ETFE 등), 셀룰로오스계 재료 또는 세라믹스계 재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기액 접촉 부재(41)는, 친수 처리를 실시하는 것 등에 의해, 전해수에 대한 친화성을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액 접촉 부재(41)의 전해수의 보수성(습윤성)이 유지되어, 전해수와 도입된 공기의 접촉이 장시간 지속된다.
분산 접시(42)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우측부에 접속구(42a)를 가지고, 이 접속구(42a)에 전해수 공급 배관(51)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분산 접시(42)의 저면에는, 전해수 공급 배관(51)을 통해서 공급된 전해수를 적하하여, 기액 접촉 부재(41)에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물받이 접시(43)는, 기액 접촉 부재(41)를 하방으로부터 유지함과 함께, 해당 기액 접촉 부재(41)를 통과한 전해수를 저류 가능하게 한다. 이 물받이 접 시(43)의 저면에는, 전해수를 드레인 팬(24)(도2 및 도3 참조)에 유도하는 드레인 관(44)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전해수를 기액 접촉 부재(41)에 공급하는 전해 유닛(5)은,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장상자(8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이 외장상자(80)가 케이스(20)의 측판(20a)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전해 유닛(5)에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원으로부터의 수돗물 등이 공급되는 전해조(52)(도4의 (B) 참조)와, 수돗물 등을 제어하는 개폐 밸브(64)와, 수돗물 역류 방지 밸브(6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전해조(52), 개폐 밸브(64), 수돗물 역류 방지 밸브(65)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 플레이트(66)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고, 이 부착 플레이트(66)에 공기 제균부(4)도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전해조(52)는, 그 내부에 적어도 한 쌍의 전극(53a, 53b)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전극(53a, 53b)은, 통전된 경우, 전해조(52)에 배수관(6)(도1 참조)을 통해서 공급된 소정의 이온종이 첨가된 수돗물 등을 전기 분해해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시키게 된다.
여기서, 활성 산소종이란, 통상의 산소보다 높은 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소 분자와, 그 관련 물질로서, 슈퍼 옥시드 음이온, 1중항산소, 히드록실래디컬, 또는 과산화수소라고 하는, 이른바 협의의 활성 산소에, 오존, 차아할로겐산 등이라고 하는, 이른바 광의의 활성 산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전해조(52)는 기액 접촉 부재(41)에 접근해서 배치되고, 전해수 공급 배관(51)을 통해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즉시 기액 접촉 부재(41)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극(53a, 53b)은, 예를 들면 베이스가 Ti(티탄)이고 피막층이 Ir(이리듐), Pt(백금)으로 구성된 2매의 전극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극(53a, 53b)에 의해 수돗물 등에 통전하면, 캐소드 전극에서는,
4H+ + 4e- + (4OH-) → 2H2 + (4OH-)
의 반응이 일어나고, 애노드 전극에서는,
2H2O → 4H+ + O2 + 4e-
의 반응이 일어남과 동시에, 수돗물 등에 원래 함유되는 염화물 이온 또는 약제 첨가부(7)에 의해 첨가된 염화물 이온 등이,
2Cl- → Cl2 + 2e-
와 같이 반응하고, 또한 이 Cl2는 물과 반응하여,
Cl2 + H2O → HClO + HCl
로 된다.
이 구성에서는, 전극(53a, 53b)에 통전함으로써, 살균력이 큰 HClO(차아염소산) 등이 발생하고, 이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공급된 기액 접촉 부재(41)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해당 기액 접촉 부재(41)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바이러스 등을 비활화 시켜, 공기를 제균할 수 있음과 함께, 이 기액 접촉 부재(41)에서 잡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악 취 등의 가스상 물질도 기액 접촉 부재(41)를 통과할 때에, 전해수에 용해되거나, 전해수 중의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과 반응하거나 해서, 공기 중으로부터 제거되어 탈취할 수 있다.
이 전극(53a, 53b)에 소정의 전류 밀도의 전류(예를 들면, 20mA/㎠ 등)를 통전하면, 소정량의 수돗물 등을 전기 분해해서, 소정의 농도의 활성 산소종(예를 들면, 유리 잔류 염소 농도 1㎎/ℓ등)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류치를 변경함으로써, 전류치를 작게 한 경우에는 전해수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낮게 할 수 있고, 전류치를 크게 한 경우에는 전해수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이 전류치의 변경은,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가변 저항을 이용해서 전극(53a, 53b)의 전류치를 변경하는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 가변 저항은, 제어 장치(200)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해서 저항값이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전해 유닛(5)에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관(6)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급수원에 접속됨과 함께, 전해수 공급 배관(51)을 통해서 공기 제균부(4)에 접속되어 있다.
이 급수원은, 배수관(6)을 통해서 전해 유닛(5)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배수관(6)을 수도관(도시 생략)에 접속하여, 수도관을 통해서 공급되는 시수(수돗물)를 급수원으로 해도 되고, 예를 들면, 배수관(6)을 급수조(도시 생략) 등으로 접속하여, 급수조 등에 저류된 물을 급수원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급수조 등에 저류되는 물은 수돗물 등과 같이, 염화물 이온 등의 이온종이 미리 함유되어 있는 물이어도 되고, 우물물 등의 이온종 농도가 희박한 물이어도 된다. 이하, 배수관(6)을 통해서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이 물들을 「수돗물 등」이라고 한다.
배수관(6)은, 급수원과 접속되는 급수원 접속관(61)(급수원 접속부)과, 급수원 접속관(61)으로부터 각 실내 유닛(2)에 분기해서 수돗물 등을 전해 유닛(5)에 분배하는 분배관(62)(분배부)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급수원 접속관(61) 및 분배관(62)에는, 개폐 밸브(63, 64)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 개폐 밸브(63, 64)를 개방함으로써 전해 유닛(5)에 수돗물 등의 공급이 행해진다.
또한, 급수원으로서, 저류 탱크(71)를 마루 위에 설치 가능한 형태로 배치하는 등 해서 마루 근방에 배치하고, 마루 밑 등에 배치된 급수원 접속관(61)에 배관(72)을 통해서 저류 탱크(71)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저류 탱크(71)를 높은 곳이 아니라, 마루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저류 탱크(71) 안으로의 약제의 공급 등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배수관(6)에는, 급수원 접속관(61)에 있어서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등에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약제를 첨가하는 약제 첨가부(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약제 첨가부(7)는,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약제를 저류하는 저류 탱크(71)와, 이 저류 탱크(71)와 급수원 접속관(61)을 잇는 배관(72)과, 이 배관(72)에 설치되는 유량 조정 밸브(73)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도전율을 검출하는 도전율계(74)와, 도전율계(74)에 의해 검출된 수돗물 등의 도전율에 근거해서 유량 조정 밸브(73)의 개방도를 조정하여, 수돗물 등에 첨가하는 약제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소정의 이온종은, 할로겐화물 이온(X-)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염화물 이온(Cl-)이다. 소정의 이온종으로서 염화물 이온을 수돗물 등에 첨가하는 경우, 약제로서 염화 나트륨(NaCl)을 이용할 수 있다. 염화 나트륨은, 식염 등을 이용해서 고체 상태로 수돗물 등에 첨가해도 되고, 식염수와 같이 수용액으로 조정한 상태로 수돗물 등에 첨가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농도로 조정한 식염수를 저류 탱크(71)에 저류시키는 구성이 적용된다. 식염수와 같이 수용액 상태로 소정의 이온종을 수돗물 등에 첨가함으로써, 소정의 이온종을 안전하면서도 간이하게 수돗물 등에 첨가할 수 있다.
도전율계(74)는, 급수원으로부터 배수관(6)에 유입되는 수돗물 등의 도전율을 검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수돗물 등의 도전율을 검출하는 것은, 수돗물 등 중의 이온종의 농도를 추정하기 위해서이다. 즉, 동일한 수량의 수돗물 등을 전해 유닛(5)에 공급하고, 동일한 전류 밀도의 전류를 전극 사이에 통전해도, 수돗물 등 중의 염화물 이온 농도 등에 의해 전해 유닛(5)에 있어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의 농도가 변동한다. 이 때문에, 수돗물 등에 포함되는 이온종의 농도에 따라서는, 효율적으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도전율에 근거해서 염화물 이온 농도 등의 이온종의 농도를 추정하고, 추정된 농도에 따라서 소정의 이온종을 첨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이온종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 이하(예를 들면, 염화물 이온에 있어서 30ppm 이하 등)인 경우에, 소정의 양의 이온종이 첨가되도록 유량 조정 밸브(73)의 변명도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전해 유닛(5)에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이온종의 농도가 소정의 값으로 되도록, 도전율의 변화에 따라서 유량 조정 밸브(73)의 밸브 개방도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급수원 접속부에 있어서 소정의 이온종이 첨가되어, 소정의 농도 이상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수돗물 등이 배수관(6)의 분배관(62)에 의해 각 실내 유닛(2)의 전해 유닛(5)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전해 유닛(5)에 공급되는 수돗물 등에는 소정의 이온종이 첨가되므로, 배수관(6)은 이들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수돗물 등에 내성이 있어, 녹 등의 배수관(6)의 열화를 초래하지 않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재의 배수관(6)으로서, 예를 들면, 플라스틱 관이나, 철제의 관 내부를 플라스틱으로 코팅한 복합관을 이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관으로서, 예를 들면, 염화 비닐관, 폴리에틸렌관, 폴리부텐관, 가교 폴리에틸렌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복합관으로서, 예를 들면, 염화 비라이닝 강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실내 유닛(2)에 설치된 제어 장치(200)는,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풍 팬(22), 전해 유닛(5), 및 개폐 밸브(63, 64)와 배선(201)으로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200)는, 송풍 팬(22)의 운전 개시/정지를 제어할 수 있음과 함께, 전해 유닛(5)의 전기 분해의 전류치를 변경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들 제어를 행함으로써 공기 제균부(4)를 세정하기 위한 클리닝 운전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클리닝 운전 모드란, 실내 유닛(2)의 운전중에는, 예를 들면, 약 2ppm의 농도의 전해수가 공기 제균부(4)에 공급되지만, 소정 조건의 경우에는, 이 공기 제균부(4)에 운전중의 전해수의 농도보다 높은 농도(예를 들면, 10ppm 이상)의 전해수를 공급하여, 공기 제균부(4)를 세정하는 모드를 말한다.
이 클리닝 운전 모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운전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1) 실내 유닛(2)이 운전 정지중인 경우
실내 유닛(2)의 운전이, 예를 들면 3시간 이상 계속해서 정지되어 있는 경우, 공기 제균부(4)에도 전해수가 공급되어 있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공기 제균부(4)가 건조되어 내부에 곰팡이 등이 발생하거나, 그 외의 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함과 함께 이것들을 효과적으로 세정하기 위해서, 공기 제균부(4)에 고농도의 전해수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200)는, 실내 유닛(2)의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여, 예를 들면, 3시간 걸러서 개폐 밸브(63, 64)를 개방함과 함께, 전해 유닛(5)으로 전기 분해하기 위한 전류치를 높게 설정하여, 고농도의 전해수를 생성시키고, 이 전해수를 공기 제균부(4)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클리닝 운전 모드에 의해, 공기 제균부(4)를 3시간 간격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의 시간 간격(3시간)은 예시이며, 다른 적합한 시간 간격으로 설정해도 된다.
(2) 실내 유닛(2)이 연속 운전중인 경우
실내 유닛(2)의 운전이, 예를 들면 24시간 연속 운전되는 경우, 공기 제균 부(4)에 오염 물질 등이 많이 부착되게 된다. 그 때문에, 정기적으로 공기 제균부(4)에 고농도의 전해수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200)는, 24시간 연속 운전되고 있는 것을 검출하여, 예를 들면, 심야의 시간대에 소정 시간만 송풍 팬(22)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전해 유닛(5)으로 전기 분해하기 위한 전류치를 높게 설정하여, 고농도의 전해수를 생성시키고, 이 전해수를 공기 제균부(4)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클리닝 운전 모드에 의해, 공기 제균부(4)를 소정 시간대에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제어 장치(200)는, 사방 밸브(13)의 절환, 유량 조정 밸브(73)의 관도의 제어 등, 이 공기 조화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와 겸용되어 있어도 된다.
도5는, 공기 제균부(4)와 전해 유닛(5)을 접속하는 배관 경로를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공기 제균부(4)와 전해조(52)를 접속하는 전해수 공급 배관(51)에는, 그 배관 경로의 도중부터 분기하는 바이패스 배관(바이패스 유로)(20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바이패스 배관(206)의 배출부(206a)는, 공기 제균부(4)의 물받이 접시(43)까지 연장되어 있어, 전해 유닛(5)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전해수나, 후술하는 스케일을 바이패스 배관을 통해서 물받이 접시(43)에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해수 공급 배관(51)에는, 바이패스 배관(206)으로 분기하는 위치보다 하류측의 위치에, 유량을 조절 가능한 개폐 밸브(202a)가 설치되어 있고, 바이패스 배관(206)에도, 유량을 조절 가능한 개폐 밸브(202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개폐 밸브(202a, 202b)는, 신호선(301, 302)을 통해서 제어 장치(200)에 접속되어, 제어 장치(200)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해서 유량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전해조(52)의 전극(53a, 53b)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장치(205)에 신호선(306)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 전원 장치(205)는, 배선(307)으로 전해조(52)의 전극(53a, 53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해조(52)는, 제어 장치(200)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해서, 전극(53a, 53b)의 플러스와 마이너스를 반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전해조(52)의 전극(53a, 53b)에 전압을 인가해서 전기 분해를 행하면, 전해수를 생성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수돗물 중에 포함되는 칼슘 이온 또는 마그네슘 이온에 의해 전극(53a, 53b)에 스케일(204)이 부착된다. 그 때문에, 이 스케일(204)을 전극(53a, 53b)으로부터 정기적으로 제거해서, 전해조(52)에서의 전해 성능 및 내구성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스케일의 제거는, 이하의 순서로 행해진다.
(1) 개폐 밸브(202a, 202b)의 제어
통상 운전시(전해수 공급시)에는, 개폐 밸브(202a)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202b)가 폐쇄되어 있음으로써, 전해조(52)에서 생성된 전해수는, 전해수 공급 배관(51)으로부터 공기 제균부(4)에 공급되고, 바이패스 배관(206)에는 흐르지 않게 되어 있다. 한편, 스케일(204)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개폐 밸브(202a)를 폐쇄하고, 개폐 밸브(202b)를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제거한 스케일(204)은, 전해수 공급 배관(51)을 흐르지 않고 바이패스 배관(206)을 통과하여, 물받이 접시(43)에 배출되게 된다.
(2) 전극(53a, 53b)의 극성의 반전
제어 장치(20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전극(53a, 53b)의 극성을, 전기 분해시의 극성과 반전시킨다. 스케일(204)은, 음극측의 전극에 형성되지만, 극성을 반전함으로써, 전극으로부터 박리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이것에 의해, 제거된 스케일(204)은, 바이패스 배관(206)을 통과하여, 물받이 접시(43)에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하면, 전해 유닛(5)으로 수돗물 등을 전기 분해할 때에, 전극(53a, 53b)에 인가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전기 분해된 전해수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기의 제균을 행하기 위해서 공급하는 전해수보다 농도가 높은 전해수를 공기 제균부(4)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이 농도가 높은 전해수로 공기 제균부(4)를 세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기 제균부(4)를 실내 유닛(2)의 내부로부터 탈거하지 않고서 세정할 수 있으므로, 세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근거해서, 공기 제균부(4)를 세정하기 위한 클리닝 운전 모드를 실시함으로써, 일손을 개입시키지 않고서, 정기적으로 공기 제균부(4)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제균부(4)의 세정 시에, 송풍 팬의 운전을 정지시킴으로써, 고농도의 전해수가 발하는 악취를, 실내측으로 적극적으로 확산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클리닝 운전 모드는, 실내 유닛(2)의 운전 정지중에, 예를 들면, 3시간 간격으로 농도가 높은 전해수를 공기 제균부(4)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공기 제균부(4)가 건조되는 것이나, 내부에 곰팡이 등의 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실내 유닛(2)의 내부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클리닝 운전 모드는, 실내 유닛(2)의 연속 운전중에, 예를 들면, 이용자가 적은 심야의 시간에 농도가 높은 전해수의 공급을 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24시간 연속 운전되는 공기 조화 장치여도, 공기 제균부(4)의 세정을 정기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실내 유닛(2)의 내부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공기 제균부(4)는, 실내 유닛(2)의 분출구(32)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공기 제균부(4)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은, 직접 실내 열 교환기(21)에 도입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에 의해 실내 열 교환기(21)가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하면, 전해수 공급 배관(51)의 도중부터 분기하는 바이패스 배관(206)을 설치한 것에 의해, 전해 유닛(5)(전해조(52))에서 생긴 스케일(204)을 바이패스 배관(206)에 흘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케일을 공기 제균부(4)에 공급하지 않도록 해서, 공기 제균부(4)를 스케일(204)로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밸브(202a, 202b)를 설치하여, 통상 운전시와 스케일 제거시에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제거한 스케일(204)을 확실하게 바이패스 배관(206)에 흘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케일을 공기 제균부(4)에 공급하지 않도록 해서, 공기 제균부(4)를 스케일(204)로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배관(206)의 배출부(206a)를, 공기 제균부(4)의 물받이 접시(43)까지 연장시킨 것에 의해, 배제한 스케일을, 공기 제균부를 통과한 후의 전해수와 함께 배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거한 스케일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 등을 공통화하여, 공기 조화 장치(100)의 부품 점수의 삭감이나,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밸브(202a, 202b), 전극(53a, 53b)의 극성의 반전을, 제어 장치(200)의 신호에 근거해서 행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스케일을 정기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스케일 제거 운전 등의 운전 모드를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100)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 기술했는데, 본 발명은 기술의 제1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근거해서 각종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해수의 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제어 장치(200)에 의해 전기 분해의 전류치를 제어하도록 했지만, 개폐 밸브(63, 64)를 유량 조정 밸브로 구성하여, 전해 유닛(5)에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유량을 조정/변경함으로써, 전기 분해되는 전해수의 농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유량 조정 밸브(73)에 의해 유량을 제어하여, 약제 첨가부(7)가 수돗물 등에 첨가하는 약제의 양을 조절/변 경함으로써, 전해수의 농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본원 발명과 마찬가지로, 농도가 높은 전해수로 공기 제균 수단을 세정할 수 있어, 세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른바 천장 매입형의 4방향 분출형의 실내 유닛(2)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닛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천장에 매다는 형태의 것이어도 되고, 벽걸이형의 것이어도 되고, 마루 설치 형태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실내 유닛(2)의 케이스(20) 내에 배치된 대략 4각형상으로 구부러진 실내 열 교환기(21)의 한 변과 단열체(23)의 사이에 공기 제균부(4)를 배치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하나 이상의 변을 따라서 공기 제균부(4)를 배치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공기 제균부(4)의 기액 접촉 부재(41)를 실내 열 교환기(21)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해도 되고, 경사지게 해서 배치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해수 공급 배관(51)으로부터 분기해서 바이패스 배관(206)을 설치하고 있지만, 바이패스 배관(206)은, 공기 제균부(4)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으면 상관없다. 예를 들면, 전해 유닛(5)(전해조(52))으로부터 전해수 공급 배관(51) 및 바이패스 배관(206)을 개개로 설치하여, 제거한 스케일을 바이패스 배관(206)으로부터 배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바이패스 배관(206)의 배출부(206a)를 공기 제균부(4)의 물받이 접시(43)에 연장시켜, 스케일(204)을 물받이 접시(43)에 배출하고 있지만, 실내 열 교환기(21)의 하측에 있는 드레인 팬(24)까지 연장시켜, 이 드레인 팬(24)에 스케 일(204)을 배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른바 천장 매입형의 4방향 분출형의 실내 유닛(2)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닛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천장에 매다는 형태의 것이어도 되고, 벽걸이형의 것이어도 되고, 마루 설치 형태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실내 유닛(2)의 케이스(20) 내에 배치된 대략 4각형상으로 구부러진 실내 열 교환기(21)의 한 변과 단열체(23)의 사이에 공기 제균부(4)를 배치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하나 이상의 변을 따라서 공기 제균부(4)를 배치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공기 제균부(4)의 기액 접촉 부재(41)를 실내 열 교환기(21)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해도 되고, 경사지게 해서 배치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의 일례로서 4방향 분출형의 천장 매입형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6에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5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제2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500)는, 실외 유닛(401)과 실내 유닛(402)를 구비한 분리형의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 장치이다. 실외 유닛(401)의 실외 냉매 배관(410)과 실내 유닛(402)의 실내 냉매 배관(434)이 연결 배관(435)을 통해서 연결되고, 이들 실외 유닛(401) 및 실내 유닛(402)은 제어 장치(408)에 의해 운전 제어된다.
실외 유닛(401)은, 실외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 냉매 배관(410)에 압축기(411)가 배치되고, 압축기(411)에는 그 흡입측에 어큐뮬레이터(412)가 접속되고, 그 토출측에는 사방 밸브(413)와 실외 열 교환기(414)와 전동 팽창 밸브(415)가 차례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외 유닛(401)에는, 실외 열 교환기(414)를 향해서 송풍하는 실외 팬(416)이 배치되어 있다.
실내 유닛(402)은, 피조화 실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의 흡입구(431) 및 분출구(432)를 구비한 케이스(420) 내에 실내 열 교환기(421)와, 공기의 흡입구(431)로부터 분출구(432)를 향해서 케이스(420) 내에 공기를 도통시키는 송풍 팬(송풍기)(422)과, 이 송풍 팬(422)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스(420) 내의 공기 도통 경로 내에 배치되어, 실내 열 교환기(421)에 의해 열 교환된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부(404)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408)는, 도시하지 않은 CPU와, ROM과, RAM을 구비하고 있다. CPU는, ROM 내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공기 조화 장치(500)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ROM은,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제어용 데이터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RAM은,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500)에서는, 사방 밸브(413)를 절환함으로써 냉매 회로(500a)를 흐르는 냉매의 흐름을 절환하여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을 절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냉방 운전시에는 도 중에 도시하는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냉매가 흐르고, 난방 운전시에는 파선 화살표 방향으로 냉매가 흐른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에 사용되는 실내 유닛이, 천장에 매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8은, 도7에 도시하는 실내 유닛(402)의 상하 방향을 반대로 해서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실내 유닛(402)은,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열 교환기(421)나 제어 장치(408) 등을 내포하는 케이스(420)와, 이 케이스(420)가 천장 공간에 부착된 상태로, 케이스(420)의 하측에 배치되는 화장 패널(430)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420)는,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면(단, 도8에 있어서 상방의 면)이 개구된 대략 사각형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420)는, 실내 열 교환기(421)에 접속되는 실내 냉매 배관(434) 등을 유도하기 위한 절삭 깊이가 형성된 하나의 측판(420e)과, 밀어 넣어졌을 때에 개구(420d)가 형성되는 녹아웃 홀부(420c)가 형성된 3개의 측판(420a)을 구비하고 있다. 녹아웃 홀부(420c)에 형성된 개구(420d)에는, 공기 제균부(404) 등이 부착된 제균 유닛(403)이 외측으로부터 삽입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실내 유닛(402)은, 하나의 녹아웃 홀부(420c)에만 개구(420d)가 형성되어, 하나의 제균 유닛(403)이 끼워 넣어지지만,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외의 녹아웃 홀부(420c)에 개구(420d)를 형성하여, 제균 유닛(403)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 새로운 제균 유닛(403B)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제균 유닛(403)은, 개구(420d)에 끼워 넣어져 이 개구(420d)를 폐쇄하는 판부(403a)를 구비하고, 이 판부(403a)의 내측에는, 공기 제균부(404)가 부착 금 구(461)를 통해서 부착되어 있다. 공기 제균부(404)는, 부착 금구(461)를 통해서 부착됨으로써, 판부(403a)와의 사이에 간격이 띄워진다. 판부(403a)의 내측의 측면에는, 발포 스티롤제 단열체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판부(403a)의 외측에는, 후단에 상술하는 전해 유닛(전해 수단)(405), 수돗물 제어 밸브(446), 역류 방지 밸브(447), 순환 펌프(449), 전장 기판(제어 수단)(440) 등이 부착되어 있다. 이 제균 유닛(403)은, 외측이 외장 커버(480)로 덮인다.
여기서, 전장 기판(440)은, 도시하지 않은 CPU와, ROM과, RAM을 구비하고, 제어 장치(408)에 접속되어 있다. CPU는, ROM 내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전해 유닛(405), 수돗물 제어 밸브(446), 순환 펌프(449) 등의 제어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전장 기판(440)은, 제어 장치(408)의 지시에 근거해서, 수돗물 제어 밸브(446)를 개폐해서 수돗물 유량을 조절하거나 전해 유닛(405)을 통전시켜서 전해수를 생성시키거나 순환 펌프(449)를 구동시켜 전해수를 순환시키거나 할 수 있다. ROM은,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제어용 데이터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RAM은,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또한, 케이스(420)의 네 귀퉁이에는, 매다는 금구(503)가 부착되어 있다. 이 케이스(420)는,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물 천장(501)에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천장 구멍(502)으로부터 천장(501)의 뒤쪽에 매입되고, 천장 뒤로부터 수하되는 매다는 볼트(504)에 매다는 금구(503)가 지착됨으로써, 천장 공간에 매달리게 되어 있다.
화장 패널(430)은, 평면에서 봐서 대략 사각형(대략 정방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화장 패널에 의해 케이스(420)의 하면 및 천장 구멍(502)이 덮여 있다. 이 화장 패널(430)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흡입구(431)와, 화장 패널(430)의 사방의 근방에, 각각의 변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 분출구(4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입구(431)의 내측, 즉 천장(501) 뒤쪽에는 필터(433)가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내 유닛(402)은, 이 흡입구(431)로부터 피조화 실내의 공기를 케이스(420)의 구멍 부분에 흡입하여, 케이스(420) 내에서 공기의 열 교환을 행한 후, 4개의 분출구(432)로부터 피조화 실내를 향해서 공기를 4방향으로 분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케이스(42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도6 내지 도8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케이스(420)의 측판(420a)의 내면에는,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포 스티롤제 단열체(4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420)의 천판의 내측(420b)에는 모터(422a)가 고정되고, 이 모터(422a)의 샤프트에는 날개바퀴(422b)가 부착되어 있고, 이것들이 송풍 팬(422)을 구성하고 있다. 이 송풍 팬(422)을 둘러싸도록, 케이스(420)의 측판(420a) 및 측판(420e)을 따라서 대략 4각형상으로 구부러진 실내 열 교환기(421)가 상기 발포 스티롤제 단열체(42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도8 참조). 이 실내 열 교환기(421)에는 송풍 팬(422)에 의해 흡입구(431)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공급되어, 실내 열 교환기(421)에 의해 열 교환된 공기가 각 분출구(432)로부터 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내 열 교환기(421)의 하방에는,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포 스 티롤제의 드레인 팬(424)이 배치되어 있다. 이 드레인 팬(424)은, 외주면이 케이스(420)의 내면에 약설된 상태로 케이스(420) 내에 배치된다. 또한, 이 드레인 팬(424)에는, 화장 패널(430)의 흡입구(431) 및 분출구(432)에 대응하는 위치에 흡입 개구(425) 및 분출 개구(426)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 개구(425)는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드레인 팬(424)의 중앙에 평면에서 봐서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출 개구(426)는 드레인 팬(424)의 네 변을 따라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드레인 팬(424)에는, 실내 열 교환기(421)의 한 귀퉁이에 상당하는 위치에 드레인 펌프(427)가 배치되고, 드레인 팬(424)에 저류한 드레인수는 드레인 펌프(427)에 의해 퍼 올려져, 실내 유닛(402)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4각형상으로 접어 구부러진 실내 열 교환기(421)의 측면의 일부에는, 외측에 공기 제균부(404)가 서로 이웃하도록, 제균 유닛(403)이 배치되어 있다. 공기 제균부(404)는, 실내 열 교환기(421)의 측면과, 단열체를 구비하는 제균 유닛(403)의 판부(403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실내 열 교환기(421)를 유통한 공기는, 공기 제균부(404)를 유통해서 제균된다. 이 제균된 공기는, 공기 제균부(404)와 판부(403a)의 사이를 하방으로 흘러, 화장 패널(430)에 형성된 분출구(432)로부터, 피조화실에 분출된다.
이 공기 제균부(404)는, 도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수성이 높은 엘리먼트(기액 접촉 부재)(441)와, 이 엘리먼트(441)의 상부에 배치되는 분산 접시(442)와, 엘리먼트(441)의 하방에 배치되는 전해수 트레이(443)를 구비한다. 엘 리먼트(441)는, 예를 들면 아크릴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으로 제작된 부직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엘리먼트(441)의 소재로서, 전해수에 대한 반응성이 적은 소재가 바람직하고, 그 밖에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 염화 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PTFE, PFA, ETFE 등), 셀룰로오스계 재료 또는 세라믹스계 재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엘리먼트(441)에 대해서 친수 처리를 실시하는 것 등에 의해, 전해수에 대한 친화성을 높이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먼트(441)의 전해수의 보수성(습윤성)이 유지되어, 전해수와 도입된 공기의 접촉이 장시간 지속된다.
분산 접시(442)는, 그 측면에 전해수 주입 튜브(451)가 접속되는 접속구(442a)가 형성됨과 함께, 해당 전해수 주입 튜브(451)를 통해서 공급된 전해수를 적하하여, 엘리먼트(441)에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상기 분산 접시(442)의 저면에 다수 형성되어 있다.
전해수 트레이(443)는, 엘리먼트(441)를 통과해서, 유하한 전해수를 저류 가능하게 한다. 이 전해수 트레이(443)의 저면에는, 전해수를 드레인 팬(424)(도7 및 도8 참조)으로 유도하는 드레인 관(444)이 접속되어 있다. 공기 제균부(404)는, 부착 금구(461)가 전해수 트레이(443)의 양단을 지지함으로써 판부(403a)에 부착된다.
한편, 전해수 주입 튜브(451)는, 전해 유닛(405), 수돗물 조정부(물 공급 수단)(406)(도10 참조) 등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급수원에 접속되어 있다. 이 급 수원은, 수돗물 조정부(406)를 통해서 전해 유닛(405)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수돗물 조정부(406)를 수도관(도시 생략)에 접속하여, 수도관을 통해서 공급되는 시수(수돗물)를 급수원으로 해도 되고, 예를 들면, 수돗물 조정부(406)를 급수조(도시 생략) 등으로 접속하여, 급수조 등에 저류된 물을 급수원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급수조 등에 저류되는 물은 수돗물 등과 같이, 염화물 이온 등의 이온종이 미리 함유되어 있는 물이어도 되고, 우물물 등의 이온종 농도가 희박한 물이어도 된다. 이하, 수돗물 조정부(406)를 통해서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이 물들을 「수돗물 등」이라고 한다.
전해수를 엘리먼트(441)에 공급하는 전해 유닛(405)은, 도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원으로부터의 수돗물 등이 공급되는 전해조(452)와, 이 전해조(452)의 내부에 적어도 한 쌍의 전극(453a, 453b)을 구비하고 있고, 이 전극(453a, 453b)은, 통전된 경우, 전해조(452)에 수돗물 조정부(406)를 통해서 공급된 소정의 이온종이 첨가된 수돗물 등을 전기 분해해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시킨다.
여기서, 활성 산소종이란, 통상의 산소보다 높은 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소 분자와, 그 관련 물질로서, 슈퍼 옥시드 음이온, 1중항산소, 히드록실래디컬, 또는 과산화수소라고 하는, 이른바 협의의 활성 산소에, 오존, 차아할로겐산 등이라고 하는, 이른바 광의의 활성 산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전해조(452)는 엘리먼트(441)에 접근해서 배치되고, 전해수 주입 튜브(451)를 통해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즉시 엘리먼트(441)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극(453a, 453b)은, 예를 들면 베이스가 Ti(티탄)이고 피막층이 Ir(이리듐), Pt(백금)으로 구성된 2매의 전극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극(453a, 453b)에 의해 수돗물 등에 통전하면, 캐소드 전극에서는,
4H+ + 4e- + (4OH-) → 2H2 + (4OH-)
의 반응이 일어나고, 애노드 전극에서는,
2H2O → 4H+ + O2 + 4e-
의 반응이 일어남과 동시에, 수돗물 등에 원래 함유되는 염화물 이온 또는 약제 첨가부(7)에 의해 첨가된 염화물 이온 등이,
2Cl- → Cl2 + 2e-
와 같이 반응하고, 또한 이 Cl2는 물과 반응하여,
Cl2 + H2O → HClO + HCl
로 된다.
이 구성에서는, 전극(453a, 453b)에 통전함으로써, 살균력이 큰 HClO(차아염소산) 등이 발생하고, 이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공급된 엘리먼트(441)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해당 엘리먼트(441)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바이러스 등을 비활화 시켜, 공기를 제균할 수 있음과 함께, 이 엘리먼트(441)에서 잡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악취 등의 가스상 물질도 엘리먼트(441)를 통과할 때에, 전해수에 용해되거나, 전해수 중의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과 반응하거나 해서, 공기 중으로부터 제거되어 탈취할 수 있다.
이 전극(453a, 453b)에 소정의 전류 밀도의 전류(예를 들면, 20mA/㎠ 등)를 통전하면, 소정량의 수돗물 등을 전기 분해해서, 소정의 농도의 활성 산소종(예를 들면, 유리 잔류 염소 농도 1㎎/ℓ등)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류치를 변경함으로써, 전류치를 작게 한 경우에는 전해수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낮게 할 수 있고, 전류치를 크게 한 경우에는 전해수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도10은, 공기 제균부(404)를 통과하는 전해수의 흐름을 도시하는 계통도이다. 또한, 도10에서는, 화살표(G)가 가리키는 방향을 아래 방향으로 한다.
전해 유닛(405)의 상류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돗물 조정부(406)가 접속되고, 이 수돗물 조정부(406)는, 수돗물 주입 배관(448)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급수원에 접속되어 있다.
수돗물 조정부(406)는, 접속관(450), 수돗물 제어 밸브(급수 밸브)(446) 및 역류 방지 밸브(447)를 구비하고 있다. 전해 유닛(405)은, 접속관(450)을 통해서 수돗물 제어 밸브(446)에 접속되어 있고, 수돗물 제어 밸브(446)는, 역류 방지 밸브(447)에 접속되어 있다. 이 역류 방지 밸브(447)에는, 수돗물 주입 배관(448)이 커넥터(459)를 통해서 접속되어, 급수원으로부터 수돗물이 공급된다.
수돗물 제어 밸브(446)는, 전장 기판(440)의 제어에 근거해서 개폐 동작을 행하여, 열려 있을 때,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수돗물 등이 전해 유닛(45)에 유입한다.
전해 유닛(405)으로부터 공기 제균부(4)에 공급된 전해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해수 트레이(443)에 저류된다. 이 전해수 트레이(443)는, 순환 펌프(449)의 흡입 노즐(449A)이 배치되어 있고, 순환 펌프(449)를 통해서 접속관(450)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순환 펌프(449)가 구동함으로써, 전해수 트레이(443)에 저류된 전해수를 전해 유닛(405)에 공급한다.
전해수 트레이(443)의 하부에 접속된 드레인 관(444)은, 전자 밸브인 유량 제어 밸브(전자 밸브)(445)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유량 제어 밸브(445)가 열렸을 때에, 전해수 트레이(443)에 저류된 전해수가, 드레인 관(444)을 유통한다. 이 드레인 관(444)은, 드레인 팬(42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드레인 관(444)을 유통한 전해수는, 드레인 관(444)의 하단으로부터 드레인 팬(424)에 유하한다.
또한, 전해수 트레이(443)에는, 저류된 전해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플로트 스위치(수위 검지 수단)(4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로트 스위치(454)는, 전장 기판(440)에 접속되어 있다. 전장 기판(440)은, 플로트 스위치(454)가 저수위(전해수를 순환시키는데 필요한 수위 이하)를 검지했을 때에, 수돗물 제어 밸브(446)를 열어, 수돗물 등을 전해 유닛(405)에 공급시킨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5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실내 리모콘(도시하지 않음) 등으로부터 운전 개시 지시가 입력되면,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408)는 운전 개시 지시에 의해 지시받은 운전 모드(냉방 운전 모드/난방 운전 모드)에 따라서, 실외 유닛(401)의 사방 밸브(413)를 냉방측 또는 난방측으로 절환하여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 등의 소정의 공기 조절 운전을 행한다.
여기서, 냉방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408)는 사방 밸브(413)를 냉방측으로 절환함으로써, 도6에 도시하는 파선 화살표와 같이, 냉매 회로(500a) 중에 냉매를 흘려, 실외 열 교환기(414)를 응축기로서 기능시키고, 실내 열 교환기(421)를 증발기로서 기능시킨다. 그리고 송풍 팬(422)을 동작시켜, 실내 유닛(402)에 있어서 흡입구(431)로부터 피조화 실내의 공기를 흡입시켜서 실내 열 교환기(421)에 의해 열 교환을 행하고, 냉각한 공기를 공기 제균부(404)(도10 참조)에 공급시킨다. 공기 제균부(404)에 공급된 공기는, 분출구(432)로부터 피조화 실내를 향해서 분출된다.
한편, 난방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408)는 사방 밸브(413)를 난방측으로 절환함으로써, 도6에 도시하는 실선 화살표와 같이, 냉매 회로(500a) 중에 냉매를 흘려, 실외 열 교환기(414)를 증발기로서 기능시키고, 실내 열 교환기(421)를 응축기로서 기능시킨다. 그리고, 송풍 팬(422)을 동작시켜, 실내 유닛(402)에 있어서 흡입구(431)로부터 피조화 실내의 공기를 흡입시켜서 실내 열 교환기(421)에 의해 열 교환을 행하고, 가온한 공기를 공기 제균부(404)(도10 참조)에 공급시킨다. 공기 제균부(404)에 공급된 공기는, 분출구(432)로부터 피조화 실내를 향해서 분출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 조절 운전이 행해짐과 함께, 전장 기판(440)은, 수돗물 제어 밸브(446)를 열어 수돗물 등을 전해 유닛(405)에 공급한다. 그리고, 전해 유닛(405)에 있어서 소정량의 이온종이 첨가된 수돗물 등을 전기 분해시켜, 차아염소산 등의 소정의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시키고, 전해수를 공기 제균부(404)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공기 제균부(404)에 공급된 전해수는, 엘리먼트(441)에 침투한다. 이 때, 공기 제균부(404)에 있어서, 엘리먼트(441)에 공급된 공기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에 접촉해서, 제균된다. 엘리먼트(441)에 침투한 전해수는, 전해수 트레이(443)에 유하하여, 저류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전장 기판(440)은, 수돗물 제어 밸브(446)를 닫아 전해 유닛(405)에의 수돗물 등의 공급을 정지한 경우여도, 순환 펌프(449)를 구동함으로써, 전해수 트레이(443)에 저류된 전해수를 전해 유닛(405)에 공급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해 유닛(405)이 정지하고 있어도, 공기 제균부(404)에 전해수가 공급된다. 이 때, 플로트 스위치(454)가 저수위를 검지하면, 전장 기판(440)은, 수돗물 제어 밸브(446)를 열어, 수돗물 등을 전해 유닛(405)에 공급시킨다.
전해수 트레이(443)에 저류된 전해수는, 전장 기판(440)의 제어에 근거해서, 유량 제어 밸브(445)가 열림으로써, 드레인 관(444)의 하단으로부터 실내 열 교환기(421)의 드레인 팬(424)에 유하한다. 여기서, 전장 기판(440)은, 사용자가 선택해서 설정함으로써, 전해수 트레이(443)에 저류된 전해수를, 간헐적(예를 들면, 1시간마다 등)으로 드레인 팬(424)에 유하시키거나, 상시 드레인 팬(424)에 유하시키거나 할 수 있다. 드레인 팬(424)에 유하한 전해수는, 드레인 팬(424)에 저류된 드레인수와 함께, 드레인 펌프(427)에 의해 외부로 배수된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해수 트레이(443)의 하부에 유량 제어 밸브(445)가 설치되고, 전해수 트레이(443)는, 유량 제어 밸브(445)를 통해서 실내 열 교환기(421)의 드레인 팬(424)의 상방에 설치된 드레인 관(444)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량 제어 밸브(445)가 열렸을 때에, 전해수 트레이(443)에 저류된 전해수가, 드레인 관(444)에 유통하여, 드레인 팬(424)에 유하한다. 이 때문에, 전해수 트레이(443)에 일정한 양의 전해수를 저류하면서, 드레인 팬(424)에 전해수를 공급하여, 드레인 팬(424)에 잡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엘리먼트(441)로부터 유하한 전해수를 저류하는 전해수 트레이(443)를 구비하고, 이 전해수 트레이(443)에 저류된 전해수를, 전해 유닛(405)을 통해서 공기 제균부(404)에 환류시키는 순환 펌프(449)를 구비하기 때문에, 전해 유닛(405)으로 생성한 전해수를 절약할 수 있어, 이 전해 유닛(405)에 공급되는 수돗물 등을 절수할 수 있다. 이 때, 전장 기판(440)의 제어에 근거해서, 전해수 트레이(443)에 저류된 전해수가 간헐적으로 드레인 팬(424)에 유하됨으로써, 드레인 팬(424)에 잡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기 제균부(404)에 순환시키기 위한 전해수를 절수할 수 있다. 이 때, 전해수 트레이(443)는 플로트 스위치(454)를 구비하고, 이 플로트 스위치(454)가 저수위를 검지하면, 전장 기판(440)은, 수돗물 제어 밸브(446)를 열어, 수돗물 등을 전해 유닛(405)에 공급시키기 때문에, 공기 제균부(404)에 순환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전해수가 부족한 일이 없이, 전해수의 수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균 유닛(403)은, 전장 기판(440)을 구비함으로써, 실내 유닛(402)에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고,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최대 3개의 제균 유닛(403)을 부착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11은, 제3 실시 형태의 공기 제균부(404)를 통과하는 전해수의 흐름을 도시하는 계통도이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500)는, 전해수 트레이(443) 및 유량 제어 밸브(445)를 구비한 드레인 관(444) 이외의 부분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엘리먼트(441)의 하방에 전해수 트레이(543)를 구비하고 있다.
전해수 트레이(543)는,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 평판(457)의 외주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부(458)가 설치되어 받이 접시 형상의 받이부(543A)가 형성되어 있다. 일부의 대향하는 벽부(458)끼리의 사이에는, 벽부(458)가 높이(h1)보다 낮은 높이(h2)의 댐부(455)가 형성되어 있다. 받이부(543A)는, 이 댐부(455)를 통해서 저수부(A)와 배수부(B)로 구분되어 있다.
저수부(A)는, 엘리먼트(441)로부터 전해수가 유하해서 저류하도록, 엘리먼트(441)의 바로 밑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수부(A)에는, 순환 펌프(449)의 흡입 노즐(449A)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순환 펌프(449)가 구동함으로써, 전해수 트레이(543)의 저수부(A)에 저류된 전해수가 전해 유닛(405)에 공급된다.
한편, 배수부(B)는, 평판(457) 상에, 배수구(4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수구(456)는, 실내 열 교환기(421)의 드레인 팬(424)에 흘러나온 전해수가 적하되어 받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배수부(B)에 유입한 전해수는, 이 배수구(456)를 유통하여, 드레인 팬(424)에 유하한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5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500)는,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공기 조절 운전을 행하고, 공기 조절 운전을 행함과 동시에, 전장 기판(440)은, 수돗물 제어 밸브(446)를 열어 수돗물 등을 전해 유닛(405)에 공급한다. 그리고, 전해 유닛(405)에 있어서 소정량의 이온종이 첨가된 수돗물 등을 전기 분해시켜, 차아염소산 등의 소정의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시키고, 전해수를 공기 제균부(404)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공기 제균부(404)에 공급된 전해수는, 엘리먼트(441)에 침투한다. 이 때, 공기 제균부(404)에 있어서, 엘리먼트(441)에 공급된 공기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에 접촉해서, 제균된다. 엘리먼트(441)에 침투한 전해수는, 전해수 트레이(543)의 저수부(A)에 유하하여, 저류된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전장 기판(440)은, 수돗물 제어 밸브(446)를 닫아 전해 유닛(405)에의 수돗물의 공급을 정지한 경우여도, 순환 펌프(449)가 구동함으로써, 전해수 트레이(543)의 저수부(A)에 저류된 전해수가 전해 유닛(405)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전해 유닛(405)이 정지하고 있어도, 전해수가 공기 제균부(404)에 공급된다. 이 때, 플로트 스위치(454)가 저수위를 검지하면, 전장 기 판(440)은, 수돗물 제어 밸브(446)를 열어, 수돗물 등을 전해 유닛(405)에 공급시킨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해수 트레이(543)에는, 벽부(458)보다 낮은 댐부(45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저류한 전해수의 수위(d)가, 댐부(455)가 높이(h2)에 이르면, 전해수가 새롭게 엘리먼트(441)로부터 저수부(A)에 유하되어 올 때마다, 전해수가 댐부(455)의 상부를 넘어 배수부(B)에 흘러넘친다. 즉, 저수부(A)의 저수 용량은, 댐부(455)가 높이(h2)로 정해지고, 이 저수 용량을 초과한 만큼의 전해수가, 배수부(B)에 흐른다. 이것에 의해, 배수부(B)에 흐른 전해수는, 배수구(456)를 유통하여, 실내 열 교환기(421)의 드레인 팬(424)에 유하한다. 이 드레인 팬(424)에 유하한 전해수는, 드레인 팬(424)에 저류된 드레인수와 함께, 드레인 펌프(427)에 의해 외부로 배수된다.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해수 트레이(543)가, 댐부(455)에 의해 저수부(A)와 배수부(B)로 나누어져 있고, 저수부(A)의 저수 용량을 초과했을 때에, 엘리먼트(441)로부터 유하한 전해수가 댐부(455)를 넘어 배수부(B)에 흐르고, 드레인 팬(424)에 유하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장 기판(440)이, 수돗물 제어 밸브(446)를 열어, 저수부(A)의 저수 용량을 초과하도록 전해수를 상시 공급함으로써, 드레인 팬(424)에 전해수를 상시 공급하거나, 또는, 수돗물 제어 밸브(446)를 간헐적으로 열어, 저수부(A)의 저수 용량을 초과하는 수량의 전해수를 간헐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저수부(A)에 일정한 양의 전해수를 저류하면서, 전해수를 드레인 팬(424)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해수 트레이(543)에 전자 밸브 등을 이 용하지 않고서, 드레인 팬(424)에 잡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엘리먼트(441)로부터 유하한 전해수를 저류하는 전해수 트레이(543)를 구비하고, 이 전해수 트레이(543)에 저류된 전해수를, 전해 유닛(405)을 통해서 공기 제균부(404)에 환류시키는 순환 펌프(449)를 구비하기 때문에, 전해 유닛(405)으로 생성한 전해수를 절약할 수 있어, 이 전해 유닛(405)에 공급되는 수돗물을 절수할 수 있다. 이 때, 전해수 트레이(543)는 플로트 스위치(454)를 구비하고, 이 플로트 스위치(454)가 저수위를 검지하면, 전장 기판(440)은, 수돗물 제어 밸브(446)를 열어, 수돗물 등을 전해 유닛(405)에 공급시키기 때문에, 공기 제균부(404)에 순환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전해수가 부족한 일이 없이, 전해수의 수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균 유닛(403)은, 전장 기판(440)을 구비함으로써, 실내 유닛(402)에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고,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최대 3개의 제균 유닛(403)을 부착할 수 있다.
이상, 제3 실시 형태에 근거해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활성 산소종으로서 차아염소산을 발생시키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활성 산소종으로서 오존(O3)이나 과산화수소(H2O2)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전극(453a, 453b)으로서 백금 탄탈 전극을 이용하면, 이온종이 희박한 물로부터라도, 전기 분해에 의해 고효율로 안정되게 활성 산소종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애노드 전극에서는,
2H2O → 4H+ + O2 + 4e-
의 반응과 동시에,
3H2O → O3 + 6H+ + 6e-
2H2O → O3 + 4H+ + 4e-
의 반응이 일어나서 오존(O3)이 생성된다. 또 캐소드 전극에서는,
4H+ + 4e- + (4OH-) → 2H2 + (4OH-)
O2 -+e-+2H+→H2O2
와 같이, 전극 반응에 의해 생성된 O2 -와 용액 중의 H+가 결합하여, 과산화수소(H2O2)가 생성된다.
이 구성에서는, 전극(453a, 453b)에 통전함으로써, 살균력이 큰 오존(O3)이나 과산화수소(H2O2)가 발생하고, 이들 오존(O3)이나 과산화수소(H2O2)를 포함하는 전해수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이 전해수 중에 있어서의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대상 바이러스 등을 비활화 시키는 농도로 조정하고, 이 농도의 전해수가 공급된 엘리먼트(441)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공기 중에 부유하는 대상 바이 러스 등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악취 등의 가스상 물질도 엘리먼트(441)를 통과할 때에, 전해수에 용해되거나, 전해수 중의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와 반응하거나 함으로써, 공기 중으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탈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저수부(A) 및 배수부(B)를 벽부(458)로 덮고, 저수부(A)로부터 댐부(455)를 넘어 배수부(B)에 유입한 전해수를, 배수부(B)에 형성된 배수구(456)를 유통시켜 드레인 팬(424)에 유하시키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배수부(B) 및 배수구(56)를 설치하지 않고서, 저수부(A)로부터 댐부(455)를 넘어 유출한 전해수를, 그대로 드레인 팬(424)에 유하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의 일례로서 4방향 분출형의 천장 매입형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한 방향이나 두 방향의 공기 조화 장치여도 되고, 또한, 천장 매입형이 아니어도 된다.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전해수 트레이(443)의 하부로부터 전해수를 드레인 관(444)에 유통시켜 드레인 팬(424)에 유하시키거나, 전해수 트레이(543)에 설치된 댐부(455)의 상부를 넘은 전해수를 드레인 팬(424)에 유하시키거나 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엘리먼트(441)에 공급되는 전해수가 드레인 팬(424)에도 공급되고, 예를 들면, 전해수 트레이에 저류된 전해수를, 펌프 등으로 강제적으로 드레인 팬(424)에 공급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2에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시스템(700)의 개략 구성을 ㄷ도시한다. 제4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시스템(700)은, 1대의 실외 유닛(601)에 복수대의 실내 유닛(602)이 접속된 이른바 멀티형의 공기 조화 장치(700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내 유닛(602)의 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대여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외 유닛(601)은, 실외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매 배관(610)에 압축기(611)가 배치되고, 압축기(611)에는 그 흡입측에 어큐뮬레이터(612)가 접속되고, 그 토출측에는 사방 밸브(613)와 실외 열 교환기(614)와 전동 팽창 밸브(615)가 차례로 접속되어 있다. 사방 밸브(613)를 절환함으로써, 냉방 운전시에는 도 중에 도시하는 파선 화살표 방향으로 냉매를 흘리고, 난방 운전시에는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냉매를 흘려,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의 변경을 한다.
실내 유닛(602)은, 실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실외 유닛(601)과 냉매 배관(610)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유닛(602)의 케이스(620) 내에는, 실내 열 교환기(621)와, 실내 유닛(602)에 흡입구(631)를 통해서 공기를 도입하고, 실내 열 교환기(621)에 의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분출구(632)를 통해서 실내에 송풍하는 송풍 팬(622)과, 이 송풍 팬(622)에 의해 실내 유닛(602)에 도입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유닛(604)(공기 제균 수단)과,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해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하여 공기 제균 유 닛(604)에 공급하는 전해 유닛(605)(전해수 공급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전해 유닛(605)은 배수관(606)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급수원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원은 배수관(606)을 통해서 전해 유닛(605)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배수관(606)을 수도관(도시 생략)에 접속하여, 수도관을 통해서 공급되는 시수(수돗물)를 급수원으로 해도 되고, 예를 들면, 배수관(606)을 급수조(도시 생략) 등으로 접속하여, 급수조 등에 저류된 물을 급수원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급수조 등에 저류되는 물은 수돗물 등과 같이, 염화물 이온 등의 소정의 이온종이 미리 함유되어 있는 물이어도 되고, 우물물 등의 이온종 농도가 희박한 물이어도 된다. 이하, 배수관(606)을 통해서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이 물들을 「수돗물 등」이라고 한다.
배수관(606)은, 급수원과 접속되는 공용 배관(661)(공용 배관부)과, 공용 배관(661)으로부터 각 실내 유닛(602)에 분기해서 수돗물 등을 전해 유닛(605)에 분배하는 분배관(662)(분배관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공용 배관(661) 및 분배관(662)에는 각각 개폐 밸브(663, 664)가 설치되고, 이들 개폐 밸브(663, 664)를 개폐함으로써 전해 유닛(605)에 수돗물 등의 공급이 행해진다. 또한, 분배관(662)에는 수돗물 등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665)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관(606)에는, 공용 배관(661)의 배수 경로 중에 이온종 첨가 유닛(607)(이온종 첨가 수단)이 설치된다. 이온종 첨가 유닛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등에 소정의 이온종을 첨가해서,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질을 저류하는 저류 탱크(671)와, 저류 탱크(671)와 공용 배관(661)을 접속하는 배관(672) 과, 이 배관(672)에 설치되는 유량 조정 밸브(673)(도입량 조정 밸브)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도전율을 검출하는 도전율계(674)와, 도전율계(674)에 의해 검출된 수돗물 등의 도전율에 근거해서 유량 조정 밸브(673)의 개방도 또는 유량을 조정하여, 수돗물 등에 첨가하는 이온종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67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 장치(675)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 공기 조화 시스템(700)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겸용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소정의 이온종은, 할로겐화물 이온(X-)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염화물 이온(Cl-)이다. 소정의 이온종으로서 염화물 이온을 수돗물 등에 첨가하는 경우, 이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질(전해질)로서, 예를 들면, 염화 나트륨(NaCl)이나 염화 칼륨(KCl)을 이용할 수 있다. 염화 나트륨을 이용하면, 시판의 식염 등을 이용할 수 있어, 염가이면서도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염화 나트륨등의 전해질은, 식염 등과 같이 고체 상태로 수돗물 등에 첨가해도 되고, 식염수와 같이 수용액으로 조정한 상태로 수돗물 등에 첨가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농도로 조정한 수용액 상태로 저류 탱크(671)에 저류시키는 구성이 적용된다. 식염수와 같이 수용액 상태로 소정의 이온종을 수돗물 등에 첨가함으로써, 소정의 이온종을 간이하게 수돗물 등에 첨가할 수 있다.
도전율계(674)는, 급수원으로부터 배수관(606)에 유입되는 수돗물 등의 도전율을 검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수돗물 등의 도전율을 검출하는 것은, 수돗물 등 중의 이온종의 농도를 추정하기 위해서이다. 즉, 동일한 수량의 수돗물 등을 전해 유닛(605)에 공급하고, 동일한 전류 밀도의 전류를 전극 사이에 통전해도, 수돗물 등 중의 염화물 이온 농도 등에 의해 전해 유닛(605)에 있어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의 농도가 변동한다. 이 때문에, 수돗물 등에 포함되는 이온종의 농도에 따라서는, 효율적으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도전율에 근거해서 염화물 이온 농도 등의 이온종의 농도를 추정하고, 또는 제어 장치(675) 등에 설정(기억·등록)한 이온종의 농도, 도전율에 따라서 소정의 이온종을 첨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이온종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 이하(예를 들면, 염화물 이온에 있어서 30ppm 이하 등)인 경우, 제어 장치(675)는 소정의 양의 이온종이 첨가되도록 유량 조정 밸브(673)의 밸브 개방도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전해 유닛(605)에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이온종의 농도가 소정의 값으로 되도록, 도전율에 근거해서, 도전율의 변화에 따른 밸브 개방도에 유량 조정 밸브(673)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공용 배관(661)에 있어서 소정의 이온종이 첨가되어, 소정의 농도 이상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수돗물 등이 배수관(606)의 분배관(662)에 의해 각 실내 유닛(602)의 전해 유닛(605)에 공급된다.
여기서, 전해 유닛(605)에 공급되는 수돗물 등에는 소정의 이온종이 첨가되므로, 배수관(606)은 이들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수돗물 등에 내성이 있어, 녹 등으로 배수관(606)의 열화를 초래하지 않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재의 배수관(606)으로서, 예를 들면, 플라스틱 관이나, 철제의 관 내부를 플라스틱으로 코팅한 복합관을 이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관으로서, 예를 들면, 염화 비닐관, 폴리에틸렌관, 폴리부텐관, 가교 폴리에틸렌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복합관으로서, 예를 들면, 염화 비라이닝 강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인테넌스의 관점으로부터, 예를 들면, 저류 탱크(671)를 마루 위에 설치 가능한 형태로 배치하는 등 해서 실내의 낮은 곳에 배치하고, 마루 밑 등에 배치된 공용 배관(661)에 배관(672)을 통해서 저류 탱크(671)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저류 탱크(671)를 높은 곳이 아니라, 실내의 낮은 곳에 배치함으로써, 저류 탱크(671) 안으로의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질의 공급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13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실내 유닛(602)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3 및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의 실내 유닛(602)은 이른바 천장 매입형의 4방향 분출형의 실내 유닛(602)이며, 건물 천장(701)에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천장 구멍(702)에 케이스(620)가 매입되어 있다. 케이스(620)는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면(단, 도14에 있어서 상방)이 개구된 대략 사각형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620)의 네 귀퉁이에는 매다는 금구(703)가 설치되고, 천장 뒤로부터 매달리는 매다는 볼트(704)에 지착되어, 케이스(620)가 천장 공간에 매달린다.
케이스(620)의 하면에는 평면에서 봐서 대략 사각형(정방형)으로 형성된 화 장 패널(630)이 설치되고, 이 화장 패널(630)에 의해 천장 구멍(702)이 덮인다. 화장 패널(630)에는 실내의 공기를 케이스(620) 내에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631)가 평면에서 봐서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이 흡입구(631)의 내측, 즉 천장(701) 뒤쪽에는 필터(633)가 장착된다. 또한, 화장 패널(630)의 사방에는 각각 변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 분출구(632)가 형성되어 있고, 실내에 대해서 이 4개의 분출구(632)로부터 4방향으로 공기가 분출된다.
다음에, 케이스(62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케이스(620)의 측판(620a)의 내면에는 발포 스티롤제 단열체(6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620)의 천판의 내측(620b)에는 모터(622a)가 고정되고, 이 모터(622a)의 샤프트에는 날개바퀴(622b)가 부착되어 있고, 이것들이 송풍 팬(622)을 구성하고 있다. 이 송풍 팬(622)을 둘러싸도록, 케이스(620)의 측판(620a)을 따라서 대략 4각형상으로 구부러진 실내 열 교환기(621)가 상기 발포 스티롤제 단열체(62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도14 참조). 이 실내 열 교환기(621)에는 송풍 팬(622)에 의해 흡입구(631)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공급되어, 실내 열 교환기(621)에 의해 열 교환된 공기가 각 분출구(632)로부터 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열 교환기(621)의 하방에는, 발포 스티롤제의 드레인 팬(624)이 배치되어 있다. 이 드레인 팬(624)은, 외주면이 케이스(620)의 내면에 약설된 상태로 케이스(620) 내에 배치된다. 또한, 이 드레인 팬(624)에는, 화장 패널(630)의 흡입구(631) 및 분출구(632)에 대응하는 위치에 흡입 개구(625) 및 분출 개구(626)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개구(625)는 도14에 도시 하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드레인 팬(624)의 중앙에 평면에서 봐서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출 개구(626)는 드레인 팬(624)의 네 변을 따라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드레인 팬(624)에는, 실내 열 교환기(621)의 한 귀퉁이에 상당하는 위치에 드레인 펌프(627)가 배치되고, 드레인 팬(624)에 저류한 드레인수는 드레인 펌프(627)(도14 참조)에 의해 퍼 올려져, 실내 유닛(602)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4각형상으로 접어 구부러진 실내 열 교환기(621)의 한 변에는, 그 외 측에 공기 제균 유닛(604)이 배치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열 교환기(621)의 단부에 해당하는 변과 단열체(623)의 사이에 공기 제균 유닛(604)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화장 패널(630)에 형성된 하나의 분출구(632)로부터는, 공기 제균 유닛(604)에 있어서 제균된 공기가 분출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이 공기 제균 유닛(604)은, 도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6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공기 제균 유닛(604)에 전해수를 공급하는 전해 유닛(605)은 케이스(620)의 외측에 부착되는 외장상자(628)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제균 유닛(604) 및 전해 유닛(605)은 설치 플레이트(620c)에 부착되어 일체화되어 있고, 이 설치 플레이트(620c)를 케이스(620)에 형성되는 개구(620d)에 부착하고, 외장상자(628)로 덮음으로써 실내 유닛(602)에 설치된다. 케이스(620)의 외주를 형성하는 네 변의 측판(620a) 중, 3변의 측판(620a)에는 녹아웃 홀부(620e)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녹아웃 홀부(620e)를 도드라지게 함으로써, 공기 제균 유닛(604) 등을 부착하기 위한 상기 개 구(620d)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실내 유닛(602)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공기 제균 유닛(604) 및 전해 유닛(605)의 배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고, 또한, 실내 유닛(602)에 복수의 공기 제균 유닛(604) 및 전해 유닛(605)을 설치할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
공기 제균 유닛(604)은, 도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수성이 높은 기액 접촉 부재(641)와, 이 기액 접촉 부재(641)의 상부에 배치되는 분산 접시(642)와, 기액 접촉 부재(641)의 하방에 배치되는 물받이 접시(643)를 구비한다. 기액 접촉 부재(641)는, 예를 들면 아크릴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으로 제작된 부직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641)의 소재로서, 전해수에 대한 반응성이 적은 소재가 바람직하고, 그 밖에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 염화 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PTFE, PFA, ETFE 등), 셀룰로오스계 재료 또는 세라믹스계 재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기액 접촉 부재(641)에 대해서 친수 처리를 실시하는 것 등에 의해, 전해수에 대한 친화성을 높이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액 접촉 부재(641)의 전해수의 보수성(습윤성)이 유지되어, 전해수와 도입된 공기의 접촉 성능이 장기간 지속된다.
분산 접시(642)는, 그 측면으로 전해수 공급 배관(651)이 접속되는 접속구(642a)가 형성됨과 함께, 해당 전해수 공급 배관(651)을 통해서 공급된 전해수를 적하하여, 기액 접촉 부재(641)에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상기 분산 접시(642)의 저면에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물받이 접시(643)는, 기액 접촉 부재(641)를 하방으로부터 유지함과 함께, 해당 기액 접촉 부재(641)를 통과한 전해수를 저류 가능하게 한다. 이 물받이 접시(643)의 저면에는, 전해수를 드레인 팬(624)(도13 및 도14 참조)에 유도하는 드레인 관(644)이 접속되어 있다.
전해수를 기액 접촉 부재(641)에 공급하는 전해 유닛(605)은, 도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해조(652)와, 적어도 한 쌍의 전극(653a, 653b)을 구비하고, 전극(653a, 653b)은, 통전된 경우, 전해조(652)에 배수관(606)을 통해서 공급된 소정의 이온종이 첨가된 수돗물 등을 전기 분해해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시킨다.
여기서, 활성 산소종이란, 통상의 산소보다 높은 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소 분자와, 그 관련 물질로서, 슈퍼 옥시드 음이온, 1중항산소, 히드록실래디컬, 또는 과산화수소라고 하는, 이른바 협의의 활성 산소에, 오존, 차아할로겐산 등이라고 하는, 이른바 광의의 활성 산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전해조(652)는 기액 접촉 부재(641)에 접근해서 배치되고, 전해수 공급 배관(651)을 통해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즉시 기액 접촉 부재(641)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극(653a, 653b)은, 예를 들면 베이스가 Ti(티탄)이고 피막층이 Ir(이리듐), Pt(백금)으로 구성된 2매의 전극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극(653a, 653b)에 의해 수돗물 등에 통전하면, 캐소드 전극에서는 다음의 반응이 일어난다.
4H+ + 4e- + (4OH-) → 2H2 + (4OH-)
또한, 애노드 전극에서는, 이하의 반응이 일어난다.
2H2O → 4H+ + O2 + 4e-
이 반응이 일어남과 동시에, 수돗물 등에 원래 함유되는 염화물 이온 또는 이온종 첨가 유닛(607)에 의해 첨가된 염화물 이온 등이 다음과 같이 반응한다.
2Cl- → Cl2 + 2e-
그리고, 생성된 Cl2는 물과 이하와 같이 반응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한다.
Cl2 + H2O → HClO + HCl
이 구성에서는, 전극(653a, 653b)에 통전함으로써, 살균력이 큰 차아염소산(HClO) 등이 발생하고, 이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공급된 기액 접촉 부재(641)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해당 기액 접촉 부재(641)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바이러스 등을 비활화 시켜, 공기를 제균할 수 있음과 함께, 이 기액 접촉 부재(641)에서 잡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악취 등의 가스상 물질도 기액 접촉 부재(641)를 통과할 때에, 전해수에 용해되거나, 전해수 중의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과 반응하거나 해서, 공기 중으로부터 제거되어 탈취할 수 있다.
이 전극(653a, 653b)에 소정의 전류 밀도의 전류(예를 들면, 20mA/㎠ 등)를 통전하면, 소정량의 수돗물 등을 전기 분해해서, 소정의 농도의 활성 산소종(예를 들면, 유리 잔류 염소 농도 1㎎/ℓ등)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에, 제4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실내 리모콘(도시하지 않음) 등으로부터 운전 개시 지시가 입력되면, 제어 장치(675)는 운전 개시 지시에 의해 지시받은 운전 모드에 따라서, 실외 유닛(601)의 사방 밸브(613)를 냉방측 또는 난방측으로 절환하여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 등의 소정의 공기 조절 운전을 행한다.
여기서, 냉방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675)는 사방 밸브(613)를 냉방측으로 절환함으로써, 도12에 도시하는 파선 화살표와 같이, 냉매 회로(700b) 중에 냉매를 흘려, 실외 열 교환기(614)를 응축기로서 기능시키고, 실내 열 교환기(621)을 증발기로서 기능시킨다. 그리고 송풍 팬(622)을 동작시켜, 실내 유닛(602)에 있어서 흡입구(631)로부터 실내의 공기를 흡입시켜서 실내 열 교환기(621)에 의해 열 교환을 행하고, 냉각한 공기를 공기 제균 유닛(604)에 공급시킨다.
한편, 난방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675)는 사방 밸브(613)를 난방측으로 절환함으로써, 도12에 도시하는 실선 화살표와 같이, 냉매 회로(700b) 중에 냉매를 흘려, 실외 열 교환기(614)를 증발기로서 기능시키고, 실내 열 교환기(621)을 응축기로서 기능시킨다. 그리고, 송풍 팬(622)을 동작시켜, 실내 유닛(602)에 있어서 흡입구(631)로부터 실내의 공기를 흡입시켜서 실내 열 교환기(621)에 의해 열 교환을 행하고, 가온한 공기를 공기 제균 유닛(604)에 공급시킨 다.
상기와 같이, 공기 조절 운전을 행함과 동시에, 제어 장치(675)는, 개폐 밸브(663, 664)를 열어 수돗물 등을 전해 유닛(605)에 공급한다. 이 때, 도전율계(674)에 의해,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도전율을 검출시키고, 검출된 도전율에 근거해서 추정되는 이온종의 농도가 소정의 값보다 낮은 경우, 유량 조정 밸브(673)의 개방도가 조정되어, 소정량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질)을 수돗물 등에 적하된다. 그리고, 전해 유닛(605)에 있어서 소정량의 이온종이 첨가된 수돗물 등을 전기 분해시켜, 차아염소산 등의 소정의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시킨다. 생성된 전해수는 공기 제균 유닛(604)에 공급된다. 공기 제균 유닛(604)에 있어서, 기액 접촉 부재(641)에 공급된 공기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에 접촉해서, 제균된다.
이상, 설명한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송풍 팬(622)에 의해 실내 유닛(602)에 도입된 공기는 실내 열 교환기(621)에 의해 열 교환되어 실내에 송풍된다. 또한, 이 송풍 팬(622)에 의해 실내 유닛(602)에 도입되는 공기는, 공기 제균 유닛(604)에 의해,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접촉되어 제균된다. 공기 제균 유닛(604)에는, 전해 유닛(605)에 의해 생성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공급된다. 이 전해 유닛(605)은 배수관(606)을 통해서, 예를 들면, 수도관, 급수 탱크 등의 급수원과 접속되어, 급수원으로부터 수돗물 등이나 우물물 등의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이온종을 첨가하는 이온종 공급 수단이 배수관(606)에 설치되므로, 전해 유닛(605)에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이온종 농도에 상관없이,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이 공급되어, 효율적으로 전해수를 생성해서 공기를 제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의 공기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침입한 경우, 그 감염에 필수의 해당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스파이크)을 활성 산소종이 파괴, 소실(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이것을 파괴하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해당 바이러스가 감염하는데 필요한 수용체(리셉터)가 결합하지 않게 되고, 이것에 의해 감염이 저지된다. 위생 환경 연구소와의 공동에 의한 실증 시험의 결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침입한 공기를 본 구성의 기액 접촉 부재(641)에 통과시킨 경우, 해당 바이러스의 감염력을 99%이상 제거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배수관(606)을 수도관과 접속되는 공용 배관(661)과, 이 공용 배관부로부터 분기해서 각 장치에 물을 분배하는 분배관(662)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온종 첨가 유닛(607)은 공용 배관(661)에 있어서 일괄해서 이온종을 첨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분배관(662)에 의해 각각의 실내 유닛(602)의 전해 유닛(605)에 분배되는 수돗물 등에는 소정의 농도 이상의 이온종이 첨가되어 있고, 각 전해 유닛(605)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전해수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시스템(700)에 있어서 하나의 실외 유닛(601)에 대해서 복수의 실내 유닛(602)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이온종 첨가 유닛(607)은 공용 배관(661)에 설치되므로, 각각의 실내 유닛(602)마다 이온종 첨가 유닛(607)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해당 공기 조화 시스템(700)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질의 보충 등을 각각의 실내 유 닛(602)마다 행할 필요가 없어, 메인테넌스가 용이하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시스템(700)과 같이, 송풍 팬(622)에 의해 흡입구(631)로부터 분출구(632)를 향해서 송풍 경로를 형성하고, 이 송풍 경로에 있어서 공기 제균 유닛(604)을 실내 열 교환기(621)에 대해서 하류측에 배치함으로써 다음의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제4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시스템(700)을 냉방 운전시킬 때에는, 실내 열 교환기(621)에 의해 냉각되어, 상대습도가 높아진 공기가 공기 제균 유닛(604)에 공급되고, 난방 운전시에는, 실내 열 교환기(621)에 의해 가온되어, 상대습도가 낮아진 공기가 공기 제균 유닛(604)에 공급된다. 따라서, 공기 제균 유닛(604)에 있어서 공급된 공기에 전해수를 접촉시켜도, 냉방 운전시는 이미 상대습도가 높은 공기가 공급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제균 후의 공기의 상대습도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난방 운전시에는 상대습도가 낮은 공기가 공급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제균 유닛(604)에 있어서 전해수에 접촉시킴으로써, 공기 제균 후의 공기의 상대습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습식으로 공기의 제균·정화를 행함과 함께, 사방 밸브(613)를 절환하여 운전을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을 절환하는 것만으로, 공기 조절의 부하를 증대시키지 않고서, 공기 조화 시의 가습량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실내의 공기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는, 공기 제균 유닛(604)에 있어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제균해서, 실내에 청정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공기 제균 유닛(604)에 공급되는 공기의 상대습도는 높기 때문에 전해수의 소비를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는, 공기 제균 유닛(604)의 하방에 배치된 물받이 접시(643)로부터 드레인 관(644)을 통해서 드레인 팬(624)에 배출된다. 이 때문에, 드레인 팬(624)에 모인 드레인수에 전해수가 혼입됨으로써, 해당 드레인수에 잡균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드레인 팬(624) 상에 슬라임의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드레인 팬(624)의 청소 및 메인테넌스의 빈도가 감소하여, 이들 청소 및 메인테넌스의 수고의 경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공기 제균 유닛(604)은, 실내 유닛(602)의 분출구(632)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공기 제균 유닛(604)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은, 직접 실내 열 교환기(621)에 도입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수분에 의해 실내 열 교환기(621)가 부식이 촉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4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이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량 조정 밸브(673)의 밸브 개방도를 수돗물 등의 도전율에 근거해서 조정하여, 수돗물 등에 첨가하는 이온종의 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수돗물 등에 있어서의 염화물 이온 등의 소정의 이온종의 농도 변화(도전율 변화)가 적은 경우에는, 설치시에 그 이온종의 농도를 계측해 두고, 이 농도에 대응하는 밸브 개방도로 미리 설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수돗물 등의 도전율의 검출은, 수돗물 등의 전기 분해를 개시할 때에 행해도 되지만, 수돗물 등의 도전율은, 하루 중에 크게 변동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매회 검출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수회에 한 번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이른바 천장 매입형의 4방향 분출형의 실내 유닛(602)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닛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천장에 매다는 형태의 것이어도 되고, 벽걸이형의 것이어도 되고, 마루 설치 형태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실내 유닛(602)의 케이스(620) 내에 배치된 대략 4각형상으로 구부러진 실내 열 교환기(621)의 한 변과 단열체(623)의 사이에 공기 제균 유닛(604)을 배치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하나 이상의 변을 따라서 공기 제균 유닛(604)을 배치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공기 제균 유닛(604)의 기액 접촉 부재(641)를 실내 열 교환기(621)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해도 되고, 경사지게 해서 배치해도 된다.
또한, 저류 탱크(671)를 마루 위에 설치 가능한 형태로 배치하는 등 해서 실내의 낮은 곳에 배치하고, 마루 밑 등에 배치된 공용 배관(661)에 배관(672)을 통해서 저류 탱크(671)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천장 매입형의 공기 조화 장치(700a)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천장 뒤 등에 저류 탱크(671)를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저류 탱크(671)의 이온종의 저류량을 예를 들면 1년간 또는 반년간 계속해서 공기 조화 장치(700a)의 운전이 가능한 양으로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실외 유닛(601)에 대해서 실내 유닛(602)을 복수 구비한 공기 조화 시스템(700)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16에 도시 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실외 유닛(601)에 대해서 복수의 실내 유닛(602)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부가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제균 장치(608)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16에 도시하는 공기 제균 장치(608)는, 공기의 흡입구(681) 및 분출구(682)를 구비하는 케이스(680)와, 상기 흡입구(681)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분출구(682)를 향해서 송풍하는 송풍 팬(683)과, 상기 송풍 팬(683)에 의해 상기 케이스(680) 내에 형성되는 송풍 경로 상에 배치되고, 해당 송풍 경로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684)과,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상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해서 상기 공기 제균 수단(684)에 공급하는 전해 유닛(685)(전해수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단, 도16에 있어서,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공기 제균 장치(608)가 구비하는 전해 유닛(685)에도, 공용 배관(661)으로부터 분기한 분배관(662)이 접속되어, 분배관(662)을 통해서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이온종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이온종 첨가 유닛(607)에 의해 소정의 이온종이 첨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분배관(662)에는 개폐 밸브(665)가 설치되어 있다.
도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실내 유닛(602)이나 공기 제균 장치(608)의 각각의 전해 유닛(605, 685)에 수돗물 등을 공급할 때에, 공용 배관(661)에 있어서 일괄해서 이온종을 첨가할 수 있고, 각 전해 유닛(605, 685)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전해수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실내 유닛(602) 및 공기 제균 장치(608)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이온종 첨가 유닛(607)은 공용 배관(661)에 설치되므로, 각각의 실내 유닛(602) 및 공기 제균 장치(608)마다 이온종 첨가 유닛(607)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해당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질)의 보충 등을 각각의 실내 유닛(602) 및 공기 제균 장치(608)마다 행할 필요가 없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700)(공기 제균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 유닛(602)에 대신해서, 복수의 공기 제균 장치(608)에 의해 구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단, 이 경우, 공기 제균 장치(608)가 구비하는 공기 제균 수단(684)이나 전해 유닛(685)은, 실내 유닛(602)에 설치되는 공기 제균 유닛(604)이나 전해 유닛(605)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유닛(602)을 하나만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되고, 공기 제균 장치(608)를 1대만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되는 것도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활성 산소종으로서 차아염소산을 발생시키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활성 산소종으로서 오존(O3)이나 과산화수소(H2O2)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전극(653a, 653b)으로서 백금 탄탈 전극을 이용하면, 이온종이 희박한 물로부터라도, 전기 분해에 의해 고효율로 안정되게 활성 산소종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온종 첨가 유닛(607)에 있어서 첨가하는 이온종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 애노드 전극에서는, 다음의 반응이 일어난다.
2H2O → 4H+ + O2 + 4e-
이 반응과 동시에, 이하의 두 식으로 나타내는 반응이 일어나서 오존이 생성된다.
3H2O → O3 + 6H+ + 6e-
2H2O → O3 + 4H+ + 4e-
또 캐소드 전극에서는, 이하의 반응이 일어난다.
4H+ + 4e- + (4OH-) → 2H2 + (4OH-)
O2 - + e- + 2H+ → H2O2
이와 같이, 전극(653a, 653b) 반응에 의해 O2 -가 생성한 O2 -와 용액 중의 H+가 결합하여, 과산화수소(H2O2)가 생성된다.
이 구성에서는, 전극(653a, 653b)에 통전함으로써, 살균력이 큰 오존(O3)이나 과산화수소(H2O2)가 발생하고, 이들 오존(O3)이나 과산화수소(H2O2)를 포함하는 전해수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이 전해수 중에 있어서의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대상 바이러스 등을 비활화 시키는 농도로 조정하고, 이 농도의 전해수 가 공급된 기액 접촉 부재(641)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공기 중에 부유하는 대상 바이러스 등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악취 등의 가스상 물질도 기액 접촉 부재(641)를 통과할 때에, 전해수에 용해되거나, 전해수 중의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와 반응하거나 함으로써, 공기 중으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탈취할 수 있다.
또한, 수돗물 등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극(653a, 653b) 상(캐소드)에 스케일이 퇴적한 경우, 전기 전도성이 저하하거나 전해면으로의 물의 흐름이 방해되거나 해서, 계속적인 전기 분해가 곤란해진다. 이 경우, 전극(653a, 653b)의 극성을 반전(전극(653a, 653b)의 플러스와 마이너스를 절환한다)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캐소드 전극을 애노드 전극으로서 전기 분해함으로써, 캐소드 전극 상에 퇴적한 스케일을 없앨 수 있다. 이 극성 반전 제어에서는, 예를 들면 타이머를 이용해서 정기적으로 반전시켜도 되고, 운전 기동할 때마다 반전시키는 등, 부정기적으로 반전시켜도 된다. 또한, 전해 저항의 상승(전해 전류의 저하, 또는 전해 전압의 상승)을 검출하고, 이 결과에 근거해서, 극성을 반전시켜도 된다.
(제5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7에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시스템(9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제5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시스템(900)은, 1대의 실외 유닛(801)에 복수대의 실내 유닛(802)이 접속된 이른바 멀티형의 공기 조화 장치(900a)를 구비하고 있다.
실외 유닛(801)은, 실외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 매 배관(810)에 압축기(811)가 배치되고, 압축기(811)에는 그 흡입측에 어큐뮬레이터(812)가 접속되고, 그 토출측에는 사방 밸브(813)와 실외 열 교환기(814)와 전동 팽창 밸브(815)가 차례로 접속되어 있다. 사방 밸브(813)를 절환함으로써, 냉방 운전시에는 도 중에 도시하는 파선 화살표 방향으로 냉매가 흐르고, 난방 운전시에는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냉매가 흘러, 이것에 의해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의 변경을 한다.
실내 유닛(802)은, 실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실외 유닛(801)과 냉매 배관(810)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도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유닛(802)의 케이스(820) 내에는, 실내 열 교환기(821)와, 실내 유닛(802)에 흡입구(831)를 통해서 공기를 도입하고, 실내 열 교환기(821)에 의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분출구(832)를 통해서 실내에 송풍하는 송풍 팬(822)과, 이 송풍 팬(822)에 의해 실내 유닛(802)에 도입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유닛(804)(공기 제균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각 실내 유닛(802)의 각 공기 제균 유닛(804)은 배수관(805)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급수원과 접속되어 있다. 이 배수관(805)의 배수 경로 중에 전해 유닛(806)이 설치된다. 전해 유닛(806)은, 활성 산소종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수를 생성하고,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여, 고농도 전해수와 물의 혼합비를 조정함으로써 활성 산소종을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조제하는 것이다. 운전 모드에 따라서 소정의 농도로 조정된 전해수가 배수관(805)을 통해서 공기 제균 유닛(804)에 공급된다.
배수관(805)은, 전해 유닛(806)이 설치됨과 함께 급수원과 접속되는 공용 배관(851)과, 공용 배관(851)으로부터 각 실내 유닛(802)에 분기해서 전해수를 각 공기 제균 유닛(804)에 분배하는 분배관(85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분배관(852)에는 각각 개폐 밸브(853)가 설치되고, 이들 개폐 밸브(853)를 개폐함으로써 공기 제균 유닛(804)에 전해수의 공급이 행해진다. 또한, 개폐 밸브(853)의 상류측에는 역류 방지 밸브(854)가 설치되어 있어, 전해수의 역류가 방지되고 있다.
여기서,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급수원으로서의 수도관에 배관을 접속하여, 시수(수돗물)가 공급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급수조 등을 급수원으로 해서, 급수조 등에 저류된 물이 공급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급수조 등에 저류되는 물은 수돗물 등과 같이, 염화물 이온 등의 소정의 이온종이 미리 함유되어 있는 물이어도 되고, 우물물 등의 이온종 농도가 희박한 물이어도 된다. 이하, 배수관(805)을 통해서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이 물들을 「수돗물 등」이라고 한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활성 산소종이란, 통상의 산소보다 높은 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소 분자와, 그 관련 물질로서, 슈퍼 옥시드 음이온, 1중항산소, 히드록실래디컬, 또는 과산화수소라고 하는, 이른바 협의의 활성 산소에, 오존, 차아할로겐산 등이라고 하는, 이른바 광의의 활성 산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배수관(805)에는 고농도 전해수가 첨가되기 때문에, 배수관(805)은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에 내성이 있어, 녹 등의 열화를 초 래하지 않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재의 배수관(805)으로서 예를 들면, 플라스틱 관이나, 철제의 관 내부를 플라스틱으로 코팅한 복합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관으로서, 예를 들면, 염화 비닐관, 폴리에틸렌관, 폴리부텐관, 가교 폴리에틸렌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복합관으로서, 예를 들면, 염화 비라이닝 강관 등을 들 수 있다.
전해 유닛(806)은, 도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쌍의 전극(861a, 861b) 및 수위 센서(861c)를 구비하는 전해조(861)와, 이온종 첨가 유닛(862)과, 고농도 전해수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해서 이 전해 유닛(806)에 있어서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863)를 구비하고 있다. 단, 이 제어 장치(863)는, 이 공기 조화 시스템(900)의 동작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겸용할 수 있다.
전해조(861)는 전극(861a, 861b)에 통전해서, 수돗물 등을 전기 분해해서 고농도 전해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급수관(864) 및 전해수 적하관(865)을 통해서 공용 배관(851)과 접속되어 있다. 급수관(864)에는 개폐 밸브(864a)가 설치되어 있고, 개폐 밸브(864a)를 개방함으로써 공용 배관(851)으로부터 전해조(861) 내에 수돗물 등이 도입된다. 또한, 전해수 적하관(865)에는 유량 조정 밸브(865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유량 조정 밸브(865a)의 밸브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공용 배관(851)의 배수 경로 중에 적하되는 고농도 전해수의 양이 제어된다.
전극(861a, 861b)은, 예를 들면 베이스가 Ti(티탄)이고 피막층이 Ir(이리듐), Pt(백금)으로 구성된 2매의 전극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극(861a, 861b)에 의해 수돗물 등에 통전하면, 캐소드 전극에서는,
4H+ + 4e- + (4OH-) → 2H2 + (4OH-)
의 반응이 일어나고, 애노드 전극에서는,
2H2O → 4H+ + O2 + 4e-
의 반응이 일어남과 동시에, 수돗물 등에 원래 함유되는 염화물 이온 또는 전해 유닛(806)에 의해 첨가된 염화물 이온 등이,
2Cl- → Cl2 + 2e-
와 같이 반응하고, 또한 이 Cl2는 물과 반응하여,
Cl2 + H2O → HClO + HCl
로 된다.
이 구성에서는, 전극(861a, 861b)에 통전함으로써, 살균력이 큰 차아염소산(HClO) 등이 발생하고, 이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공급된 공기 제균 유닛(804)에 있어서, 공기에 전해수를 접촉시킴으로써, 공기 중에 부유하는 바이러스 등을 비활화 시켜, 공기를 제균할 수 있음과 함께, 공기 제균 유닛(804)에 있어서 잡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중에 포함되는 악취 등의 가스상 물질도 전해수에 용해되거나, 전해수 중의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과 반응하거나 해서, 공기 중으로부터 제거되어 탈취할 수 있다.
이온종 첨가 유닛(862)은, 전해조(861) 내에 소정의 이온종을 첨가해서, 소 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질(전해질)을 저류하는 저류 탱크(862a)와, 저류 탱크(862a)와 전해조(861)를 접속하는 이온종 적하관(862b)과, 이 이온종 적하관(862b)에 설치되는 유량 조정 밸브(862c)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량 조정 밸브(862c)의 밸브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전해조(861) 내에 첨가되는 이온종의 양이 제어된다.
소정의 이온종은, 할로겐화물 이온(X-)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염화물 이온(Cl-)이다. 소정의 이온종으로서 염화물 이온을 수돗물 등에 첨가하는 경우, 이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질로서, 예를 들면, 염화 나트륨(NaCl)이나 염화 칼륨(KCl)을 이용할 수 있다. 염화 나트륨을 이용하면, 시판의 식염 등을 이용할 수 있어, 염가이면서도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염화 나트륨등의 전해질은, 식염수와 같이 수용액에 조제한 상태로 저류 탱크(862a) 내에 저류된다. 이와 같이 수용액 상태로 소정의 이온종을 수돗물 등에 첨가함으로써, 소정의 이온종을 간이하게 수돗물 등에 첨가할 수 있다.
다음에, 도18 내지 도20을 참조하여, 실내 유닛(802)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8 및 도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의 실내 유닛(802)은 이른바 천장 매입형의 4방향 분출형의 실내 유닛(802)이며, 건물 천장(901)에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천장 구멍(902)에 케이스(820)가 매입되어 있다. 케이스(820)는 도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면(단, 도19에 있어서 상방)이 개구된 대략 사각형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820)의 네 귀퉁이에 는 매다는 금구(903)가 설치되고, 천장 뒤로부터 매달리는 매다는 볼트(904)에 지착되어, 케이스(820)가 천장 공간에 매달린다.
케이스(820)의 하면에는 평면에서 봐서 대략 사각형(정방형)으로 형성된 화장 패널(830)이 설치되고, 이 화장 패널(830)에 의해 천장 구멍(902)이 덮인다. 화장 패널(830)에는 실내의 공기를 케이스(820) 내에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831)가 평면에서 봐서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이 흡입구(831)의 내측, 즉 천장(901) 뒤쪽에는 필터(833)가 장착된다. 또한, 화장 패널(830)의 사방에는 각각 변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 분출구(832)가 형성되어 있고, 실내에 대해서 이 4개의 분출구(832)로부터 4방향으로 공기가 분출된다.
다음에, 케이스(82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케이스(820)의 측판(820a)의 내면에는 발포 스티롤제 단열체(8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820)의 천판의 내측(820b)에는 모터(822a)가 고정되고, 이 모터(822a)의 샤프트에는 날개바퀴(822b)가 부착되어 있고, 이것들이 송풍 팬(822)을 구성하고 있다. 이 송풍 팬(822)을 둘러싸도록, 케이스(820)의 측판(820a)을 따라서 대략 4각형상으로 구부러진 실내 열 교환기(821)가 상기 발포 스티롤제 단열체(82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도19 참조). 이 실내 열 교환기(821)에는 송풍 팬(822)에 의해 흡입구(831)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공급되어, 실내 열 교환기(821)에 의해 열 교환된 공기가 각 분출구(832)로부터 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열 교환기(821)의 하방에는, 발포 스티롤제의 드레인 팬(824)이 배치되어 있다. 이 드레인 팬(824)은, 외주면이 케 이스(820)의 내면에 약설된 상태로 케이스(820) 내에 배치된다. 또한, 이 드레인 팬(824)에는, 화장 패널(830)의 흡입구(831) 및 분출구(832)에 대응하는 위치에 흡입 개구(825) 및 분출 개구(826)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 개구(825)는 도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드레인 팬(824)의 중앙에 평면에서 봐서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출 개구(826)는 드레인 팬(824)의 네 변을 따라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드레인 팬(824)에는, 실내 열 교환기(821)의 한 귀퉁이에 상당하는 위치에 드레인 펌프(827)가 배치되고, 드레인 팬(824)에 저류한 드레인수는 드레인 펌프(827)(도19 참조)에 의해 퍼 올려져, 실내 유닛(802)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4각형상으로 접어 구부러진 실내 열 교환기(821)의 한 변에는, 그 외측에 공기 제균 유닛(804)이 배치된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열 교환기(821)의 단부에 해당하는 변과 단열체(823)의 사이에 공기 제균 유닛(804)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화장 패널(830)에 형성된 하나의 분출구(832)로부터는, 공기 제균 유닛(804)에 있어서 제균된 공기가 분출된다. 단, 도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820)의 외주를 형성하는 네 변의 측판(820a) 중, 3변의 측판(820a)에는 공기 제균 유닛(804)을 부착하기 위한 녹아웃(820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 제균 유닛(804)은 실내 유닛(802)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녹아웃(820c)이 타출되어 형성된 구멍에, 이 구멍을 덮는 판재(820d)에 부착된 상태로 공기 제균 유닛(804)이 케이스(820) 내에 수용된다. 즉, 실내 유닛(802)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공기 제균 유닛(804)의 수용 위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고, 또한, 실내 유닛(802)에 복수의 공기 제균 유닛(804)을 수용할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
공기 제균 유닛(804)은, 도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수성이 높은 기액 접촉 부재(841)와, 이 기액 접촉 부재(841)의 상부에 배치되는 분산 접시(842)와, 기액 접촉 부재(841)의 하방에 배치되는 물받이 접시(843)를 구비한다. 기액 접촉 부재(841)는, 예를 들면 아크릴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으로 제작된 부직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841)의 소재로서, 전해수에 대한 반응성이 적은 소재가 바람직하고, 그 밖에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 염화 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PTFE, PFA, ETFE 등), 셀룰로오스계 재료 또는 세라믹스계 재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기액 접촉 부재(841)에 대해서 친수 처리를 실시하는 것 등에 의해, 전해수에 대한 친화성을 높이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액 접촉 부재(841)의 전해수의 보수성(습윤성)이 유지되어, 전해수와 도입된 공기의 접촉이 장시간 지속된다.
분산 접시(842)는, 그 측면으로 분배관(852)이 접속되는 접속구(842a)가 형성됨과 함께, 해당 분배관(852)을 통해서 공급된 전해수를 적하하여, 기액 접촉 부재(841)에 분산시키기 위한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상기 분산 접시(842)의 저면에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물받이 접시(843)는, 기액 접촉 부재(841)를 하방으로부터 유지함과 함께, 해당 기액 접촉 부재(841)를 통과한 전해수를 저류 가능하게 한다. 이 물받 이 접시(843)의 저면에는, 전해수를 드레인 팬(824)(도18 및 도19 참조)에 유도하는 드레인 관(844)이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5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시스템(9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실내 리모콘(도시하지 않음) 등으로부터 운전 개시 지시가 입력되면, 제어 장치(863)는 운전 개시 지시에 의해 지시받은 운전 모드에 따라서, 실외 유닛(801)의 사방 밸브(813)를 냉방측 또는 난방측으로 절환하여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 등의 소정의 공기 조절 운전을 행한다.
여기서, 냉방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863)는 사방 밸브(813)를 냉방측으로 절환함으로써, 도17에 도시하는 파선 화살표와 같이, 냉매 회로(900b) 중에 냉매를 흘려, 실외 열 교환기(814)를 응축기로서 기능시키고, 실내 열 교환기(821)을 증발기로서 기능시킨다. 그리고 송풍 팬(822)을 동작시켜, 실내 유닛(802)에 있어서 흡입구(831)로부터 실내의 공기를 흡입시켜서 실내 열 교환기(821)에 의해 열 교환을 행하고, 냉각한 공기를 공기 제균 유닛(804)에 공급시킨다.
한편, 난방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863)는 사방 밸브(813)를 난방측으로 절환함으로써, 도17에 도시하는 실선 화살표와 같이, 냉매 회로(900b) 중에 냉매를 흘려, 실외 열 교환기(814)를 증발기로서 기능시키고, 실내 열 교환기(821)을 응축기로서 기능시킨다. 그리고, 송풍 팬(822)을 동작시켜, 실내 유닛(802)에 있어서 흡입구(831)로부터 실내의 공기를 흡입시켜서 실내 열 교환기(821)에 의해 열 교환을 행하고, 가온한 공기를 공기 제균 유닛(804)에 공급시킨 다.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 또는 송풍 운전 시에, 공기 제균 모드를 중첩해서 설정할 수 있다. 공기 제균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공기 조절 후의 공기가 공기 제균 유닛(804)에 있어서 제균되고, 제균 후의 공기가 실내에 분출되게 된다. 이하, 공기 제균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공기 조절 운전을 행함과 동시에, 제어 장치(863)는 이하와 같이 해서 공기 제균 유닛(804)에 전해수를 공급하는 제어를 행한다. 우선, 제어 장치(863)는, 수위 센서(861c)에 의해 전해조(861) 내의 수위를 검출하고, 개폐 밸브(864a)를 개폐해서 전해조(861) 내에 수돗물 등의 수량이 소정의 양으로 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863)는, 전극(861a, 861b)을 이용해서 전극법에 의해 전해조(861) 내의 도전율을 검출하고, 검출된 도전율에 근거해서 유량 조정 밸브(862c)의 개방도를 조정하여, 전해조(861) 내의 이온종 농도가 수돗물 등의 전기 분해에 최적으로 되도록, 이온종의 첨가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이온종을 첨가할 때에, 수돗물 등의 도전율을 검출하는 것은, 수돗물 등 중의 이온종의 농도를 요구해 전해조(861) 내의 이온종 농도가 수돗물 등의 전기 분해에 최적으로 되는 첨가량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단, 전해조(861) 내의 도전율과 전해조(861) 내의 염화물 이온 등의 이온종 농도란, 예를 들면, 전해조(861) 내의 염화물 이온 농도가 3000ppm의 경우, 도전율은 약 10000μS/㎝등으로 되는 등, 미리 실험 등에 의해 데이터화 되어 있고, 제어 장치(863)가 구비하는 도 시하지 않은 ROM 등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고농도(예를 들면, 유리 잔류 염소 농도 30000㎎/ℓ등)의 활성 산소종이 생성되도록, 전극(861a, 861b)에 소정의 전류 밀도의 전류(예를 들면, 20mA/㎠ 등)를 소정 시간 통전한다. 여기서, 전해조(861)에 있어서 생성해야 할 활성 산소종의 농도는, 공기 제균 유닛(804)에 공급해야 할 전해수에 포함되는 활성 산소종의 농도(예를 들면, 공기 제균 모드의 경우, 2 내지 10ppm)에 대해서 약 100배 내지 5000배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863)는 유량 조정 밸브(865a)의 밸브 개방도를 조정하고, 전해수 적하관(865)을 통해서 수돗물 등에 첨가하는 고농도 전해수의 양을 제어하여, 공기 제균 유닛(804)에 활성 산소종을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단,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공용 배관(851)에 있어서의 수돗물 등의 급수량은 일정한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유량 조정 밸브(865a)의 밸브 개방도와, 공기 제균 유닛(804)에 공급되는 전해수의 활성 산소종 농도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대응지워져 있고, 제어 장치(863)는 운전 모드에 따른 밸브 개방도로 되도록 유량 조정 밸브(865a)의 밸브 개방도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활성 산소종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로 조정된 전해수는 분배관(852)에 의해 각 실내 유닛(802)의 공기 제균 유닛(804)에 공급된다. 그리고, 공기 제균 유닛(804)에 있어서, 기액 접촉 부재(841)에 공급된 공기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에 접촉해서, 제균되어 분출구(832)로부터 실내로 분출된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900a)는, 기액 접촉 부재(841)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 모드를 가지고 있고, 세정 모드가 설정된 경우는, 예를 들면, 전해수 중의 차아염소산 농도를 100ppm 등으로 조정한 것이 공기 제균 유닛(804)에 공급되도록, 제어 장치(863)는 유량 조정 밸브(865a)의 밸브 개방도를 조정한다.
이상, 설명한 제5 실시 형태에 의하면, 송풍 팬(822)에 의해 실내 유닛(802)에 도입된 공기는 실내 열 교환기(821)에 의해 열 교환되어 실내에 송풍된다. 또한, 이 송풍 팬(822)에 의해 실내 유닛(802)에 도입되는 공기는, 공기 제균 유닛(804)에 의해,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접촉되어 제균된다. 공기 제균 유닛(804)에는, 전해 유닛(806) 및 배수관(805) 등에 의해 구성되는 전해수 공급 수단에 의해 활성 산소종을 운전 모드에 따라서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가 공급된다. 전해조(861)에서는, 공기 제균 유닛(804)에 공급해야 할 전해수보다 활성 산소종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이 고농도 전해수를 생성하고, 이 고농도 전해수를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여,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해서 공기 제균 유닛(804)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5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 제균 유닛(804)에 공급해야 할 전해수에 포함되는 활성 산소종의 농도보다, 전해 유닛(806)에서는 약 100 내지 5000배의 고농도의 전해수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다. 전해 유닛(806)에 있어서, 고농도 전해수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전해조(861) 내에 도입되는 수돗물 등의 수질이 일정한 경우, 전극(861a, 861b) 사이에 흘리는 전류를 많게 해서, 전류 밀도를 높이는 방법과, 전기 분해를 행하는 시간을 길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렇지만, 전류 밀도를 높게 하면 전극의 소모가 격심해져, 전극의 수명이 짧아질 우려가 있다. 한편, 전기 분해를 행하는 시간을 길게 하면, 전극의 수명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이 짧아진다. 이 때문에, 염화물 이온이 희박한 수돗물 등이 전해조(861)에 도입된 경우 등, 전기 분해에 제공되는 수돗물 등의 수질에 따라서는 전극(861a, 861b)의 수명을 고려하면, 활성 산소종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하려면, 생성 가능한 활성 산소종 농도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렇지만,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이온종 첨가 유닛(862)을 설치하고, 전해조(861) 내에 소정의 이온종을 첨가하여, 전해조(861)에 도입된 수돗물 등의 이온종의 농도를 조정함으로써, 전해조(861)에 도입되는 수돗물 등의 수질에 상관없이, 활성 산소종의 생성에 필요한 이온종의 발생 효율을 높여, 전기 분해시에 있어서의 산소나 수소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전해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기 제균 유닛(804)에 공급하는 전해수 중에 포함되는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되도록 조정할 때도, 공기 제균 유닛(804)에 공급하는 전해수를 생성할 때에, 전해조(861)에 있어서 전해수의 생성과 함께 생성되는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전해조(861)에 있어서 활성 산소종을 고농도로 생성한 고농도 전해수를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해 희석함으로써,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조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해 유닛(806)에서는 공기 제균 유닛(804)에 공급해야 할 활성 산소종의 농도가 변화해도, 전해 유닛(806)측에서는 생성하는 전해수 중의 활성 산소종의 미리 설정된 소정의 농도로 생성하면 되고, 전해수의 생성에 있어서의 농도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전해수의 혼합비를 변화시킴으로써,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예를 들면, 실내의 공기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침입한 경우, 그 감염에 필수의 해당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스파이크)을 활성 산소종이 파괴, 소실(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이것을 파괴하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해당 바이러스가 감염하는데 필요한 수용체(리셉터)가 결합하지 않게 되고, 이것에 의해 감염이 저지된다. 위생 환경 연구소와의 공동에 의한 실증 시험의 결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침입한 공기를 본 구성의 기액 접촉 부재(841)에 통과시킨 경우, 해당 바이러스의 감염력을 99%이상 제거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상기 제5 실시 형태에서는, 배수관(805)을 수도관과 접속되는 공용 배관(851)과, 이 공용 배관(851)으로부터 분기해서 각 장치에 물을 분배하는 분배관(852)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전해 유닛(806)은 공용 배관(851)에 있어서 일괄해서 고농도 전해수를 첨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각의 실내 유닛(802)마다 전해 유닛(806)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해당 공기 조화 시스템(900) 및 공기 조화 장치(900a)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시스템(900)과 같이, 송풍 팬(822)에 의해 흡입구(831)로부터 분출구(832)를 향해서 송풍 경로를 형성하고, 이 송풍 경로에 있어서 공기 제균 유닛(804)을 실내 열 교환기(821)에 대해서 하류측에 배치함으로써 다음의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제5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시스템(900)을 냉방 운전시킬 때에는, 실내 열 교환기(821)에 의해 냉각되어, 상대습도가 높아진 공기가 공기 제균 유닛(804)에 공급되고, 난방 운전시에는, 실내 열 교환기(821)에 의해 가온되어, 상대습도가 낮아진 공기가 공기 제균 유닛(804)에 공급된다. 따라서, 공기 제균 유닛(804)에 있어서 공급된 공기에 전해수를 접촉시켜도, 냉방운전시에는 이미 상대습도가 높은 공기가 공급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제균 후의 공기의 상대습도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난방 운전시에는 상대습도가 낮은 공기가 공급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제균 유닛(804)에 있어서 전해수에 접촉시킴으로써, 공기 제균 후의 공기의 상대습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습식으로 공기의 제균·정화를 행함과 함께, 사방 밸브(813)를 절환하여 운전을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을 절환하는 것만으로, 공기 조절의 부하를 증대시키지 않고서, 공기 조화 시의 가습량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실내의 공기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는, 공기 제균 유닛(804)에 있어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제균해서, 실내에 청정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공기 제균 유닛(804)에 공급되는 공기의 상대습도는 높기 때문에 전해수의 소비를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 의하면,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는, 공기 제균 유닛(804)의 하방에 배치된 물받이 접시(843)로부터 드레인 관(844)을 통해서 드레인 팬(824)에 배출된다. 이 때문에, 드레인 팬(824)에 모인 드레인수에 전해수가 혼입됨으로써, 해당 드레인수에 잡균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고, 드레인 팬(824) 상에 슬라임의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드레인 팬(824)의 청소 및 유지 보수의 빈도가 감소하여, 이들 청소 및 메인테넌스의 수고의 경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공기 제균 유닛(804)은, 실내 유닛(802)의 분출구(832)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공기 제균 유닛(804)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은, 직접 실내 열 교환기(821)에 도입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에 의해 실내 열 교환기(821)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5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이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량 조정 밸브(865a)의 밸브 개방도를 조정하여, 전해수 적하관(865)을 통해서 수돗물 등에 첨가하는 고농도 전해수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공기 제균 유닛(804)에 공급하는 전해수에 포함되는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것으로 했지만, 고농도 전해수를 적하하는 양을 운전 모드 등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함과 함께, 공용 배관(851)에 유량 조정 밸브를 설치하여,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급수량을 변화시킴으로써, 고농도 전해수와 수돗물 등의 혼합비를 바꿔서 전해수 중의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온종을 첨가할 때에, 전해조(861) 내의 도전율을 검출하여, 전해조(861) 내의 이온종의 농도가 최적으로 되도록 이온종을 첨가하는 것으로 했지만,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등에 있어서의 염화물 이온 등의 이온종의 농도 변화(도전율 변화)가 적은 경우에는, 설치시에 그 이온종의 농도를 계측해 두고, 이 농도에 대응하는 밸브 개방도로 미리 설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수돗물 등의 도전율의 검출은, 수돗물 등의 전기 분해를 개시할 때에 행해도 되지만, 수돗물 등의 도전율은, 하루 중에 크게 변동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매회 검출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수회에 한 번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이른바 천장 매입형의 4방향 분출형의 실내 유닛(802)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닛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천장에 매다는 형태의 것이어도 되고, 벽걸이형의 것이어도 되고, 마루 설치 형태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실내 유닛(802)의 케이스(820) 내에 배치된 대략 4각형상으로 구부러진 실내 열 교환기(821)의 한 변과 단열체(823)의 사이에 공기 제균 유닛(804)을 배치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하나 이상의 변을 따라서 공기 제균 유닛(804)을 배치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공기 제균 유닛(804)의 기액 접촉 부재(841)를 실내 열 교환기(821)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해도 되고, 경사지게 해서 배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5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실외 유닛(801)에 대해서 실내 유닛(802)을 복수 구비한 공기 조화 시스템(900)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실외 유닛(801)에 대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 유닛(802)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900a)에 부가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제균장치(808)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21에 도시하는 공기 제균 장치(808)는, 공기의 흡입구(881) 및 분출구(882)를 구비하는 케이스(880)와, 상기 흡입구(881)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분출구(882)를 향해서 송풍하는 송풍 팬(883)과, 상기 송풍 팬(883)에 의해 상기 케이스(880) 내에 형성되는 송풍 경로 상에 배치되고, 해당 송풍 경로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유닛(884)을 구비하는 것이다. 단, 도21에 있어서, 상기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21에 도시한 경우, 이 공기 제균 장치(808)가 구비하는 공기 제균 유닛(884)에도, 공용 배관(851)으로부터 분기한 분배관(852)이 접속되어, 분배관(852)을 통해서 전해 유닛(806)으로부터 전해수가 공급된다. 분배관(852)에는 각각 유량 조정 밸브(855)가 설치되어,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해수 적하관(865)은 각각 공용 배관(851)이 아니라, 각 분배관(852)에 있어서 고농도 전해수를 적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 실내 유닛(802) 또는 공기 제균 장치(808)마다 개별적으로 고농도 전해수의 적하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각 실내 유닛(802) 또는 공기 제균 장치(808)마다 유량 조정 밸브(865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실내 유닛(802) 또는 공기 제균 장치(808)에 대해서, 각각 개별적으로 고농도 전해수의 적하량 및 급수원으로부터의 급수량을 제어함으로써,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각각 다른 소정의 농도로 조정한 전해수를 각 공기 제균 유닛(804, 884)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실내 유닛(802)이나 공기 제균 장치(808)의 각각의 공기 제균 유닛(804, 885)에 전해수를 공급할 때에, 전해조(861)에 효율적으로 고농도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고, 고농도 전해수를 수돗물 등으로 희석함으로써, 각 공기 제균 유닛(804, 885)에 소정의 활성 산소종 농도로 조정한 전해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운전 모드 등에 의해 각 실내 유닛(802) 또는 공기 제균 장치(808)에 공급해야 할 전해수의 활성 산소종 농도가 다른 경우에도, 각각 고농도 전해수의 적하량과 수돗물 등의 공급량 등을 제어하여, 혼합비를 변화시킴으로써 소정의 활성 산소종 농도의 전해수를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다. 각각의 실내 유닛(802) 및 공기 제균 장치(808)마다 전해 유닛(806)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해당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900)(공기 제균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 유닛(802)에 대신해서, 복수의 공기 제균 장치(808)에 의해 구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단, 이 경우, 공기 제균 장치(808)가 구비하는 공기 제균 유닛(884)이나 전해 유닛(885)은, 실내 유닛(802)에 설치되는 공기 제균 유닛(804)이나 공기 제균 유닛(804)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유닛(802)을 하나만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되고, 공기 제균 장치(808)를 1대만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되는 것도 물론이다.
또한, 실내 유닛(802)을 하나만 구비하는 구성 또는 공기 제균 장치(808)를 1대만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 전해 유닛(806)을 케이스(820, 880) 내에 수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5 실시 형태에서는, 활성 산소종으로서 차아염소산을 발생시키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활성 산소종으로서 오존(O3)이나 과산화수소(H2O2)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전극(861a, 861b)으로서 백금 탄탈 전극을 이용하면, 이온종이 희박한 물로부터라도, 전기 분해에 의해 고효율로 안정되게 활성 산소종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전해 유닛(806)에 있어서 첨가하는 이온종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 애노드 전극에서는,
2H2O → 4H+ + O2 + 4e-
의 반응과 동시에,
3H2O → O3 + 6H+ + 6e-
2H2O → O3 + 4H+ + 4e-
의 반응이 일어나서 오존(O3)이 생성된다. 또 캐소드 전극에서는,
4H+ + 4e- + (4OH-) → 2H2 + (4OH-)
O2 - + e- + 2H+ → H2O2
와 같이, 전극 반응에 의해 O2 -가 생성한 O2 -와 용액 중의 H+가 결합하여, 과산화수 소(H2O2)가 생성된다.
이 구성에서는, 전극(861a, 861b)에 통전함으로써, 살균력이 큰 오존(O3)이나 과산화수소(H2O2)가 발생하고, 이들 오존(O3)이나 과산화수소(H2O2)를 포함하는 전해수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이 전해수 중에 있어서의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대상 바이러스 등을 비활화 시키는 농도로 조정하고, 이 농도의 전해수가 공급된 기액 접촉 부재(841)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공기 중에 부유하는 대상 바이러스 등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악취 등의 가스상 물질도 기액 접촉 부재(841)를 통과할 때에, 전해수에 용해되거나, 전해수 중의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와 반응하거나 함으로써, 공기 중으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탈취할 수 있다.
또한, 수돗물 등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극(861a, 861b) 상(캐소드)에 스케일이 퇴적한 경우, 전기 전도성이 저하하거나 전해면으로의 물의 흐름이 방해되거나 해서, 계속적인 전기 분해가 곤란해진다. 이 경우, 전극(861a, 861b)의 극성을 반전(전극(861a, 861b)의 플러스와 마이너스를 절환한다)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캐소드 전극을 애노드 전극으로서 전기 분해함으로써, 캐소드 전극 상에 퇴적한 스케일을 없앨 수 있다. 이 극성 반전 제어에서는, 예를 들면 타이머를 이용해서 정기적으로 반전시켜도 되고, 운전 기동할 때마다 반전시키는 등, 부정기적으로 반전시켜도 된다. 또한, 전해 저항의 상승(전해 전류의 저하, 또는 전해 전압의 상승)을 검출하고, 이 결과에 근거해서, 극성을 반전시켜도 된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
도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실내 유닛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실내 유닛에 구비되는 주요 부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도4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제균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며, 도4의 (B)는 전해 유닛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
도5는 공기 제균부와 전해 유닛을 접속하는 배관 경로를 도시하는 개요도.
도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
도7은 제2 실시 형태의 실내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8은 제2 실시 형태의 실내 유닛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9의 (A)는 공기 제균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9의 (B)는 전해 유닛의 구성도.
도10은 공기 제균부를 통과하는 전해수의 흐름을 도시하는 계통도.
도11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제균부를 통과하는 전해수의 흐름을 도시하는 계통도.
도12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
도13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실내 유닛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14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실내 유닛에 구비되는 주요 부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도15의 (A)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제균 수단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며, 도15의 (B)는 전해 유닛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
도16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
도17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
도18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실내 유닛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19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실내 유닛에 구비되는 주요 부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도20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제균 수단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
도21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실외 유닛
2:실내 유닛
4:공기 제균부
5:전해 유닛
10:냉매 배관
11:압축기
12:어큐뮬레이터
13:사방 밸브
14:실외 열 교환기
15:전동 팽창 밸브

Claims (40)

  1. 실내 공조를 행하기 위한 실내 유닛을 갖고,
    상기 실내 유닛의 내부에는,
    실내 열 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상기 실내 유닛의 내부로 도입함과 함께, 상기 실내 열 교환기로 열 교환한 공기를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 팬과,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해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과,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으로부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공급되고, 이 전해수와 도입된 공기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과,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의 전해수의 생성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해서, 공기의 제균을 행하기 위해서 공급하는 전해수보다도 농도가 높은 전해수를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가 높은 전해수를 소정 시간 또는 소정 간격으로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클리닝 운전 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가 높은 전해수의 공급을, 상기 송풍 팬의 운전을 정지시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은 전기 분해를 행하는 전류치가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전류치에 근거해서 전해수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운전 모드는, 상기 실내 유닛의 운전 정지중에, 소정 간격으로 농도가 높은 전해수의 공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운전 모드는, 상기 실내 유닛의 연속 운전중에, 소정 시간에 농도가 높은 전해수의 공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7. 실내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실내 열 교환기로 열 교환한 후에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 팬을 갖는 실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실내 유닛의 내부에는,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해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 수를 생성함과 함께, 전해수의 생성에 의해 생기는 스케일을 제거 가능한 전해수 공급 수단과,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으로부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공급되고, 이 공급된 전해수와 도입된 공기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 제균 수단의 상류측에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으로 제거된 스케일을 배출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과 상기 공기 제균 수단의 사이에,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전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는, 스케일을 제거하는 경우에 상기 스케일이 상기 유로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스케일을 제거하지 않을 때에 상기 전해수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공기 제균 수단의 드레인 팬 또는 상기 실내 열 교환기의 드레인 팬 중 어느 하나까지 연장되고, 이 중 어느 하나의 드레인 팬에 제거한 스케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은 전기 분해를 행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전극을 가지고, 이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킴으로써, 전극에 부착된 스케일을 제거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1.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조화하는 열 교환기와, 상기 열 교환기로부터 유하한 드레인수를 저류하는 드레인 팬과, 열 교환기의 하류 또는 상류에 배치되고,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침투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에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기액 접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기액 접촉 부재로부터 유하한 전해수를 상기 드레인 팬에 유도하여, 상기 드레인 팬을 거쳐 외부로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접촉 부재로부터 유하한 전해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전해수 트레이를 상기 드레인 팬의 상류에 구비하고, 이 전해수 트레이에 저류된 전해수를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환류시키는 순환 펌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트레이로부터 상기 드레인 팬에 상기 전해수를 유도하는 경로에 전자 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전자 밸브를 개폐시켜, 상기 전해수 트레이로부터 상기 드레인 팬으로 유도되는 전해수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트레이로부터 상기 드레인 팬에 상기 전해수를 유도하는 경로에, 상기 전해수 트레이에 저류된 전해수를 막는 댐부를 설치하고, 상기 댐부를 넘은 전해수가, 상기 드레인 팬으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를 개폐시켜, 전해수를 상기 드레인 팬으로 간헐적으로 유도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물 또는 염소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하여 전해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해수를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급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전해수 트레이에 저류된 전해수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하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수위 검지 수단과,
    상기 수위 검지 수단이 상기 소정 수위 이하라고 검지했을 때에, 상기 전해 수단에 물 또는 염소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7. 압축기, 사방 밸브, 실외 열 교환기 및 실내 열 교환기를 순차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냉매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 열 교환기를 실내 유닛에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으로 공기를 도입해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실내에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실내 유닛으로 도입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과,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상기 전해수를 생성해서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과,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에 공급되는 물에 상기 이온종을 첨가하는 이온종 첨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8. 압축기, 사방 밸브, 실외 열 교환기 및 실내 열 교환기를 순차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냉매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 열 교환기를 실내 유닛에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에 공기를 도입해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실내에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실내 유닛에 도입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과,
    상기 소정의 농도보다도 고농도로 상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수를 생성하여, 상기 고농도 전해수를 외부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활성 산소종을 상기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조제해서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9. 압축기, 사방 밸브, 실외 열 교환기 및 실내 열 교환기를 순차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냉매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 열 교환기를 실내 유닛에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갖는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은,
    상기 실내 유닛으로 공기를 도입해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실내에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실내 유닛으로 도입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과,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상기 전해수를 생성해서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을 케이스 내에 구비하고,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과 외부의 급수원을 접속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배수 경로 중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통해서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에 공급되는 물에, 상기 이온종을 첨가하는 이온종 첨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종 첨가 수단은,
    상기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질을 저류하는 저류 탱크와,
    상기 저류 탱크와 상기 배수관을 접속하는 배관과,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도전율을 검출하는 도전율 검출 수단과,
    상기 도전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도전율에 근거해서,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되는 이온종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도전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도전율이 소정의 값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이온종을 첨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저류 탱크로부터 상기 배수관에 도입되는 이온종의 양을 조정하는 도입량 조정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도입량 조정 밸브의 밸브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되는 이온종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 탱크는 실내의 낮은 곳에 설치되어, 실내의 마루 근방에 배치된 상기 배수관의 일부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종은 할로겐화물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기 조화 시스템.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산소종은, 차아염소산,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은, 상기 실외 열 교환기를 구비하는 하나의 실외 유닛에 대해서 1개 또는 복수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급수원과 접속되는 공용 배관부와, 상기 공용 배관부로부터 분기해서 각 실내 유닛의 전해수 공급 수단에 물을 분배하는 분배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온종 첨가 수단은 상기 공용 배관부의 배수 경로 중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27. 압축기, 사방 밸브, 실외 열 교환기 및 실내 열 교환기를 순차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냉매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 열 교환기를 실내 유닛에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가지는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은,
    상기 실내 유닛에 공기를 도입해서 열 교환 후의 공기를 실내에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실내 유닛에 도입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소정의 농 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농도보다도 고농도로 상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수를 생성하고,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상기 고농도 전해수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활성 산소종을 상기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조제해서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은, 상기 실외 열 교환기를 구비하는 하나의 실외 유닛에 대해서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에 의해, 각 실내 유닛의 공기 제균 수단에 상기 전해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은,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상기 고농도 전해수를 첨가하는 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되는 전해수의 활성 산소종 농도를 조정하는 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은, 상기 고농도 전해수를 첨가할 때에,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되는 전해수의 활성 산소종 농도를 조정하는 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은, 각 실내 유닛의 각 공기 제균 수단에 대해서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상기 고농도 전해수를 첨가하는 양을 제어함으로써, 각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되는 전해수의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각 공기 제균 수단마다 조정하는 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은, 각 실내 유닛의 각 공기 제균 수단에 대해서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각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되는 전해수의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각 공기 제균 수단마다 조정하는 농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은,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고, 도입된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에 도입되는 물에 소정의 이온종을 첨가하는 이온종 첨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종 첨가 수단은,
    상기 전해조 내에 도입되는 물의 도전율을 검출하는 도전율 검출 수단과,
    상기 도전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도전율에 근거해서, 상기 전해조에 도입되는 물에 첨가하는 상기 이온종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종은 할로겐화물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36.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산소종은, 차아염소산,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37. 공기의 흡입구 및 분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분출구를 향해서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되는 송풍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 경로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과,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상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해서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과,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전해수 공급 수단에 공급되는 물에 상기 이온종 을 첨가하는 이온종 첨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38. 공기의 흡입구 및 분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분출구를 향해서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되는 송풍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 경로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과,
    상기 소정의 농도보다도 고농도로 상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수를 생성하여, 외부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상기 고농도 전해수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활성 산소종을 상기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39. 실내의 공기를 제균하는 공기 제균 장치를 1개 또는 복수 구비한 공기 제균 시스템에 있어서,
    각 공기 제균 장치는,
    공기의 흡입구 및 분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분출구를 향해서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되는 송풍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 경로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과,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상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해서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외부의 급수원과 접속되는 공용 배수관부와, 상기 공용 배수관부로부터 분기해서 각 공기 제균 장치의 전해수 공급 수단에 물을 분배하는 분배관부를 가지는 배수관과,
    상기 공용 배수관부의 배수 경로 중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상기 이온종을 첨가하는 이온종 첨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시스템.
  40. 실내의 공기를 제균하는 공기 제균 장치를 복수 구비한 공기 제균 시스템에 있어서,
    각 공기 제균 장치는,
    공기의 흡입구 및 분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분출구를 향해서 송풍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되는 송풍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 경로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농도보다도 고농도로 상기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수를 생성하고,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상기 고농도 전해수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활성 산소종을 상기 소정의 농도로 포함하는 전해수를 조정해서 상기 공기 제균 수단에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시스템.
KR1020070085350A 2006-08-25 2007-08-24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시스템, 공기 제균 장치 및공기 제균 시스템 KR100885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28753A JP4956092B2 (ja) 2006-08-25 2006-08-25 空気調和装置
JPJP-P-2006-00228753 2006-08-25
JPJP-P-2006-00230103 2006-08-28
JP2006230243A JP2008051453A (ja) 2006-08-28 2006-08-28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システム、空気除菌装置および空気除菌システム
JP2006230103A JP2008051450A (ja) 2006-08-28 2006-08-28 空気調和装置
JP2006230242A JP4982134B2 (ja) 2006-08-28 2006-08-28 空気調和システム
JPJP-P-2006-00230104 2006-08-28
JP2006230104A JP2008051451A (ja) 2006-08-28 2006-08-28 空気調和装置
JPJP-P-2006-00230243 2006-08-28
JPJP-P-2006-00230242 2006-08-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575A Division KR101326357B1 (ko) 2006-08-25 2008-12-29 공기 조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188A true KR20080019188A (ko) 2008-03-03
KR100885112B1 KR100885112B1 (ko) 2009-02-20

Family

ID=386983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350A KR100885112B1 (ko) 2006-08-25 2007-08-24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시스템, 공기 제균 장치 및공기 제균 시스템
KR1020080135575A KR101326357B1 (ko) 2006-08-25 2008-12-29 공기 조화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575A KR101326357B1 (ko) 2006-08-25 2008-12-29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891981A3 (ko)
KR (2) KR100885112B1 (ko)
CN (1) CN101709900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609B1 (ko) * 2008-08-05 2011-05-1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제균장치
KR101156121B1 (ko) * 2008-07-11 2012-06-2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제균장치
KR102152610B1 (ko) 2020-06-05 2020-09-07 주식회사 디에스이엔티 인쇄회로기판 수납용 바스켓 범용 이송장치
KR20220111415A (ko) * 2021-02-02 2022-08-09 (주)덕산코트랜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KR20220121537A (ko) * 2021-02-25 2022-09-01 (주)덕산코트랜 살균성능이 향상된 항온항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5757A1 (ja) * 2010-09-14 2012-03-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オゾンとイオン風を発生させるオゾン・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空気調和機
KR20160144636A (ko) * 2015-06-09 2016-12-19 탁승호 냉방장치의 결로부위에 결로된 물을 전기분해 한 수소로 결로부위 곰팡이를 살균하는 냉방 장치
KR102053759B1 (ko) 2017-02-20 2019-12-09 (주) 세종이엠씨 멸균기 및 멸균기 이용 환기장치.
CN111411367A (zh) * 2020-04-13 2020-07-14 深圳安吉尔饮水产业集团有限公司 自适应活氧浓度发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0637A (en) * 1991-04-25 1992-12-15 Norm Pacific Automation Corp. Air conditioner with oxygen generator
US5916490A (en) * 1997-07-21 1999-06-29 Electronic Descaling 2000, Inc. Humidifier and means for removing calcium carbonate from water
KR20000009824A (ko) 1998-07-29 2000-02-15 여광웅 동식물성 유기폐기물의 멸균장치
JP2000257913A (ja) * 1999-03-05 2000-09-22 Techno Ryowa Ltd 中性水を用いた除菌空調システム
CN2367949Y (zh) * 1999-03-07 2000-03-08 陈远新 多功能多用途除烟尘菌毒空气净化调节器
WO2001090001A1 (en) * 2000-05-19 2001-11-29 Watermaid Pty. Ltd. Cooling tower maintenance
JP2002181358A (ja) * 2000-10-04 2002-06-26 Denso Corp 加湿装置および加湿装置付き空調装置
US6843835B2 (en) * 2001-03-27 2005-0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ir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ir
CN2525414Y (zh) * 2002-01-28 2002-12-11 林卓敏 多功能健康型空调机
JPWO2005005892A1 (ja) * 2003-07-09 2006-08-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5164176A (ja) * 2003-12-05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浄化方法および浄化装置
JP4006394B2 (ja) * 2003-12-09 2007-11-1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7025809B2 (en) * 2003-12-11 2006-04-1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Dual-type air purification system
JP4471742B2 (ja) * 2004-03-26 2010-06-02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および電解水噴霧装置
JP4568058B2 (ja) * 2004-09-03 2010-10-27 三洋電機株式会社 天吊型空気調和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121B1 (ko) * 2008-07-11 2012-06-2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제균장치
KR101035609B1 (ko) * 2008-08-05 2011-05-1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제균장치
KR102152610B1 (ko) 2020-06-05 2020-09-07 주식회사 디에스이엔티 인쇄회로기판 수납용 바스켓 범용 이송장치
KR20220111415A (ko) * 2021-02-02 2022-08-09 (주)덕산코트랜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KR20220121537A (ko) * 2021-02-25 2022-09-01 (주)덕산코트랜 살균성능이 향상된 항온항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1981A3 (en) 2009-10-21
KR100885112B1 (ko) 2009-02-20
CN101709900A (zh) 2010-05-19
KR101326357B1 (ko) 2013-11-11
EP1891981A2 (en) 2008-02-27
KR20090006820A (ko) 2009-01-15
CN101709900B (zh)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357B1 (ko) 공기 조화 장치
KR100872243B1 (ko) 공기 제균 장치
KR101035609B1 (ko) 공기제균장치
KR100884879B1 (ko) 공기 제균 장치
KR20080012142A (ko) 공기 조화 장치
CN101629740B (zh) 空调装置
KR20080028297A (ko) 공기 제균 장치
JP2008045856A (ja) 空気除菌装置
KR20070078964A (ko) 공기 제균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08051420A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4731355B2 (ja) 空気除菌装置
JP2008051453A (ja)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システム、空気除菌装置および空気除菌システム
KR20080018115A (ko) 이물질 제거 기구를 갖는 공기 제균 장치
JP2009014250A (ja) 空気調和装置、空気除菌装置、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830314B1 (ko) 공기 조화 장치
JP2008051451A (ja) 空気調和装置
JP4982134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0845404B1 (ko)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JP4721921B2 (ja) 空気除菌装置
JP5335217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07143937A (ja)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JP2008175475A (ja) 空気調和装置
JP2008136980A (ja) 電解水供給装置および電解水供給システム
JP2008076041A (ja) 空気調和装置
JP2008051450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