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379A -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379A
KR20080014379A KR1020060075995A KR20060075995A KR20080014379A KR 20080014379 A KR20080014379 A KR 20080014379A KR 1020060075995 A KR1020060075995 A KR 1020060075995A KR 20060075995 A KR20060075995 A KR 20060075995A KR 20080014379 A KR20080014379 A KR 20080014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atidylserine
solid lipid
lipid nanoparticle
nanoparticle composi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8033B1 (ko
Inventor
이은옥
김윤식
김선기
고의찬
한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060075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033B1/ko
Publication of KR20080014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Solid lipid Nanoparticle)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포스파티딜세린 및 유지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형태로서, 상기 포스파티딜세린은 상기 유지에 둘러싸여 있고, 상기 유지에 둘러싸인 포스파티딜세린은 상기 수용액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녹는점이 25℃ 이상인 상기 유지는 상온에서 고체상태로 포스파티딜세린 주위에 막을 형성하여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이 수용액 상에 분산되었을 때에 포스파티딜세린과 물과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포스파티딜세린의 가수분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섭취 시에는 체온에 의해 유지가 녹아서 포스파티딜세린이 방출되어 몸 속에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포스파티딜세린을 용매에 용해시키는 제1단계; 검(gum), 다가알코올 또는 당류와 같은 안정제를 물에 용해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에 유지 및 유화제를 혼합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과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유화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및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포스파티딜세린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은 두뇌인지 력 저하를 예방하는 도움을 주는 포스파티딜세린 고유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물에서 장기간 안정적인 분산상태를 유지하여 식품, 특히 음료제형, 의약부외품등의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포스파티딜세린, 고체 지질 나노입자, 유지, 인지질

Description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Solid lipid nanoparticle composition containing phosphatidylserin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도 1은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에서의 포스파티딜세린 안정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포스파티딜세린(PS)의 가수분해물인 리소포스파티딜세린(LPS)의 생성 여부를 확인한 TLC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Solid lipid Nanoparticle)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포스파티딜세린 및 유지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형태로서, 상기 포스파티딜세린은 상기 유지에 둘러싸여 있고, 상기 유지에 둘러싸인 포스파티딜세린은 상기 수용액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 물을 함유하는 식품 및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PS)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인지질(Phospholipid)의 일종으로서, 1942년 조르디 폴크(Jordi Folch)에 의해 최초로 분리된 이후, 뇌 내 글루코스의 상승작용이나 기억 장해의 회복(J. Nutr. Sci. Vitaminol., 42, Sakai M. et al, 1996)을 포함하여 1997년까지 34건의 임상시험(맹검시험 17건 포함)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 결과 알츠하이머성 치매증의 개선 및 노화에 의한 뇌 기능 감퇴 개선에 있어서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뇌기능개선 효과 이외에도 간질에 대한 개선 효과, 스트레스 내성, 호르몬 분비 리듬의 회복 등의 기능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포스파티딜세린을 일일 100mg 내지 300mg을 섭취하여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데, 식품을통해서는 포스파티딜세린을 공급하는데 제약이 따르게 때문에 등록특허 제2001-0065038호(발명의 명칭 '유기용매에서 포스파티딜세린 및 리조포스파티딜세린의 제조방법')와 같이 제조방법에 대한 검토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포스파티딜세린은 최종 제품의 처리 과정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은 파우더 또는 과립 형태의 것이 많으며, 유지 및 물에 대한 용해성이 극히 낮아서 제품에 이용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었다. 공개특허 제2003-0058839호(발명의 명칭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포스파티딜세린을 불포화지방산 함유 유지에 용해시키는 경우 점도가 높아지거나 경화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쇄지방이 더 첨가된 액상 형 태의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연질캅셀 등의 형태로 건강식품 및 의약품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위 방법에 의한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액상 조성물은 물에 분산되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고체 상태인 유지로 포스파티딜세린을 둘러싸는 막을 형성하여 물에서 장기간 안정적인 분산상태를 유지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Solid lipid Nanoparticle)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세린을 용매에 용해시키는 제1단계; 검(gum), 다가알코올 또는 당류와 같은 안정제를 물에 용해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에 유지 및 유화제를 혼합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과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유화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세린 및 유지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형태로서, 상기 포스파티딜세린은 상기 유지에 둘러싸여 있고, 상기 유지에 둘러싸인 포스파티딜세린은 상기 수용액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티딜세린은 전체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스파티딜세린은 분말, 과립 또는 페이스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녹는점이 25℃ 이상인 식물성 유지, 동물성 유지 및 미생물 유래 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코코넛 버터(Coconut butter), 팜 스테아린(Palm stearin), 팜 핵유, 라드(Lard), 우지, 상온에서 액체인 식물성 유지의 에스테르 교환물, 이들의 경화유 및 분별 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에 있어서, 포스파티딜세린의 유지에 대한 비율은 0.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검(gum), 다가알코올 또는 당류와 같은 안정제는 총 중량의 10 내지 5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의 평균입경은 30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포스파티딜세린을 용매에용해시키는 제1단계; 검(gum), 다가알코올 또는 당류와 같은 안정제를 물에 용해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에 유지 및 유화제를 혼합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과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유화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티딜세린은 전체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스파티딜세린은 분말, 과립 또는 페이스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녹는점이 25℃ 이상인 식물성 유지, 동물성 유지 및 미생 물 유래 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코코넛 버터(Coconut butter), 팜 스테아린(Palm stearin), 팜 핵유, 라드(Lard), 우지, 상온에서 액체인 식물성 유지의 에스테르 교환물, 이들의 경화유 및 분별 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포스파티딜세린 대 유지 비율은 0.1 내지 1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gum), 다가알코올 또는 당류와 같은 안정제는 총 중량의 10 내지 5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의 평균입경은 300nm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및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에 있어서, 포스파티딜세린은 전체 조성물 중 0.1 내지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 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이는 포스파티딜세린 함량이 0.1중량%보다 적으면 최종 제품에 적용시 생리활성기능을 발휘하는 농도를 유지하기 어렵고, 20중량%보다 많으면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점성이 높아지고 유화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가능한 한 고순도의 포스파티딜세린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을 최종 제품에 적용시 포스파티딜세린의 유효한 효능이 효과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스파티딜세린은 분말, 과립 또는 페이스트 형태의 것을 유기용매에 녹여서 사용한다.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2-프로판올, 헥산, 클로로포름, 톨루엔 등 일반적인 유기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에 있어서, 유지는 식물성 유지, 동물성 유지 및 미생물 유래 유지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상온에서 고체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온에서는 고체상태인 유지가 포스파티딜세린 주위에 막을 형성하여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이 수용액 상에 분산되었을 때에 포스파티딜세린과 물과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포스파티딜세린의 가수분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섭취 시에는 체온에 의해 유지가 녹아서 포스파티딜세린이 방출되어 몸 속에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할 수 있는 유지의 예로는, 코코넛버터(Coconut butter), 팜 스테아린(Palm stearin), 팜 핵유 등의 식물성 유지, 라드(Lard), 우지 등의 동물성 유지,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액체인 식물성 유지를 에스테르 교환한 것, 이들의 경화 유 또는 분별 유지 등이고, 이것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하는 유지량은 포스파티딜세린의 유지에 대한 비율이 0.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파티딜세린의 유지에 대한 비율이 10을 초과하면 포스파티딜세린을 둘러싸는 막을 형성하지 못하여 제조방법 3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농축하여 용매 제거하는 과정에서 포스파티딜세린이 벽면에 석출될 수 있고, 비율이 0.1 미만이면 유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물에서 잘 분산되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에 있어서, 유지막에 둘러싸인 포스파티딜세린이 분산되어 있는 수용액 중 검(gum), 다가알코올 또는 당류와 같은 안정제는 전체 조성물 중 10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제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조성물의 안정성이 떨어져 포스파티딜세린 침전물이 발생하고, 50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유동성 감소로 음료나 기타 화장품 등 최종제품에 사용하기가 불편하기 때문이다.
사용할 수 있는 안정제의 예로는 아라비아검(Arabic gum), 구아검(Guar gum), 산탄검(Xanthan gum) 등의 검(gum) 류,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에리스리톨(erythritol) 등의 다가알코올 류, 또는 포도당, 과당, 유당, 카라기난, 소르비톨(Sorbitol), 만니톨(Mannitol) 등의 단당류, 이당류나 덱 스트린(Dextrin) 등의 다당류 등이고, 이것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포스파티딜세린을 용매에용해시키는 제1단계; 검(gum), 다가알코올 또는 당류와 같은 안정제를 물에 용해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에 유지 및 유화제를 혼합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과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유화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3단계에서 사용한 유화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자당 지방산 에스터, 레시친, 리소레시친 등 일반적인 식품용 유화제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6단계의 유화는 조성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고압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 등의 균질기를 이용하고 이외에도 초음파유화기, 호모믹서를 이용할 수 있다. 조성물을 보다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균질화 처리를 1회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평균 입경은 300nm 이하가 된다. 특히 평균 입경이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투명성이 좋아지며 조성물이 안정화되기 때문이다.
이하, 하기 구체 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포스파티딜세린(㈜두산의 DS-PS60SW 제품) 5g을 에탄올20ml에 녹인 후에 유화제 5g과 코코아 버터 5g을 첨가하고 감압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이와 별도로 글리세린 10g을 증류수 25ml에 용해시킨다. 상기 제조된 포스파티딜세린 혼합물에 글리세린 수용액을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초음파 처리하여 평균 입자크기 100nm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포스파티딜세린 5g을 에탄올 20ml에 녹인 후에 유화제 5g과 코코아 버터 1g을 첨가하고 감압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이와 별도로 글리세린 10g을 증류수 29ml에 용해시킨다. 상기 제조된 포스파티딜세린 혼합물에 글리세린 수용액을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초음파 처리하여 평균 입자크기 155nm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
포스파티딜세린 65g을 에탄올 300ml에 녹인 후에 유화제 35g과 팜핵유 50g을 첨가하고 감압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이와 별도로 글리세린 100g을 증류수 250ml에 용해시킨다. 상기 제조된 포스파티딜세린 혼합물에 글리세린 수 용액을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300bar에서 3회 고압 유화하여 평균 입자크기 93nm의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포스파티딜세린 5g을 증류수 45ml에 분산시킨 후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평균입경은 220nm이지만, 1일 이내에 침전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2>
포스파티딜세린 5g과 유화제 5g을 증류수 60ml에 분산시킨 후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평균입경 80nm의 투명한 조성물을 얻었지만, 1주일 이내에 침전이 발생하였다.
<시험예 1: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농도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을 상온에 보관하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입자 크기변화 및 침전형성을 조사하였다. 시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3 모두에서 침전은 발생하지 않았다. 입자크기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자세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입자 크기의 단위는 nm이다.
시료보존기간 (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0 99.1 154.9 93
30 100.7 165.5 106.2
60 110.6 169.8 111.4
<시험예 2: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에서의 포스파티딜세린 안정성실험>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고체 지질 나노입자를 상온에서 6개월간 저장한 후 TLC 및 HPLC로 분석하여 포스파티딜세린(PS)의 가수분해물인 리소포스파티딜세린(LPS) 생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도 1과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경우 포스파티딜세린의 가수분해물인 리소포스파티딜세린이 생성되지 않았으므로 수용액 상에서 포스파티딜세린이 안정함을 알 수 있다.
시료보존기간 (일) 실시예 1 (PS:LPS) 비교예 1 (PS:LPS) 비교예 2 (PS:LPS)
0 100:0 100:0 100:0
6개월 100:0 22:1 20:1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체 지질 나노입자는 포스파티딜세린뿐만 아니라 수용액에서 쉽게 가수분해되거나 변성이 일어나 기능을 상실하는 여러 가지 기능성 소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은, 상온에서 고체상태인 유지가포스파티딜세린을 막으로둘러싸서 포스파티딜세린의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여 가수분해를 방지하기 때문에, 물에서 고농도 포스파티딜세린의 장기간 안정적인 분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포스파티딜세린을 물에 장기간 보관하거나 저온 보관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포스파티딜세린의 침출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인지력 저하 예방, 스트레스 완화 등 포스파티딜세린 고유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포스파티딜세린을 식품, 의약부외품, 특히 음료 등에 고농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Claims (19)

  1. 포스파티딜세린 및 유지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형태로서,
    상기 포스파티딜세린은 상기 유지에 둘러싸여 있고;
    상기 유지에 둘러싸인 포스파티딜세린은 상기 수용액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티딜세린은 전체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티딜세린은 전체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이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녹는점이 25℃ 이상인 식물성 유지, 동물성 유지 및 미생물 유래 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코코넛 버터(Coconut butter), 팜 스테아 린(Palm stearin), 팜 핵유, 라드(Lard), 우지, 상온에서 액체인 식물성 유지의 에스테르 교환물, 이들의 경화유 및 분별 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포스파티딜세린의 유지에 대한 비율은 0.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포스파티딜세린의 유지에 대한 비율은 1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gum), 다가알코올 또는 당류와 같은 안정제는 총 중량의 10 내지 5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의 평균입경은 30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10.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포스파티딜세린을 용매에 용해시키는 제1단계; 검(gum), 다가알코올 또는 당류와 같은 안정제를 물에 용해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에 유지 및 유화제를 혼합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과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유화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티딜세린은 전체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티딜세린은 전체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이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녹는점이 25℃ 이상인 식물성 유지, 동물성 유지 및 미생물 유래 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코코넛 버터(Coconut butter), 팜 스테아 린(Palm stearin), 팜 핵유, 라드(Lard), 우지, 상온에서 액체인 식물성 유지의 에스테르 교환물, 이들의 경화유 및 분별 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포스파티딜세린의 유지에 대한 비율은 0.1 내지 1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포스파티딜세린의 유지에 대한 비율은 1 내지 5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gum), 다가알코올 또는 당류와 같은 안정제는 총 중량의 10 내지 5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의 평균입경은 300nm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1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및 화장품 조성물.
KR1020060075995A 2006-08-11 2006-08-11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0818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995A KR100818033B1 (ko) 2006-08-11 2006-08-11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995A KR100818033B1 (ko) 2006-08-11 2006-08-11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379A true KR20080014379A (ko) 2008-02-14
KR100818033B1 KR100818033B1 (ko) 2008-03-31

Family

ID=3934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995A KR100818033B1 (ko) 2006-08-11 2006-08-11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0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0839A2 (ko) * 2011-05-04 2012-11-08 주식회사 두산 포스파티딜세린의 마이크로캡슐화 방법
EP2777402A1 (en) * 2013-03-15 2014-09-17 DSM IP Assets B.V. Solid lipid nanoparticles (I)
KR101475110B1 (ko) * 2011-12-22 2014-12-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허수테논 화합물의 안정화를 위한 제형
CN109222109A (zh) * 2017-12-15 2019-01-18 理星(天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磷脂酰丝氨酸微丸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1936B (zh) * 2012-11-05 2014-04-23 上海相宜本草化妆品股份有限公司 负载红景天提取物的纳米脂质载体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507884B1 (ko) 2013-06-04 2015-04-07 한국콜마주식회사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이용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02138B1 (ko) 2014-11-21 2016-03-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염화칼슘 미세입자가 봉입된 온도 의존성 고체지질입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538B1 (ko) * 2001-05-07 2004-07-30 주식회사 두산 유기용매에서 포스파티딜세린 및 리조포스파티딜세린의제조방법
KR100848755B1 (ko) * 2002-01-02 2008-07-25 주식회사 두산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4154060A (ja) * 2002-11-06 2004-06-03 Nof Corp ホスファチジルセリン可溶化液、製造方法及び用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0839A2 (ko) * 2011-05-04 2012-11-08 주식회사 두산 포스파티딜세린의 마이크로캡슐화 방법
WO2012150839A3 (ko) * 2011-05-04 2013-01-03 주식회사 두산 포스파티딜세린의 마이크로캡슐화 방법
KR101475110B1 (ko) * 2011-12-22 2014-12-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허수테논 화합물의 안정화를 위한 제형
EP2777402A1 (en) * 2013-03-15 2014-09-17 DSM IP Assets B.V. Solid lipid nanoparticles (I)
CN109222109A (zh) * 2017-12-15 2019-01-18 理星(天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磷脂酰丝氨酸微丸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033B1 (ko) 2008-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6618B2 (en) Method for selective extraction of cannabinoids from a plant source
KR100818033B1 (ko)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US20220257510A1 (en) Compositions for Nanoemulsion Delivery Systems
EP2252267B1 (de) Lyophilisierte nanoemulsion
EP0570829B1 (de) Cyclosporin(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bereitung zur intravenösen Applikation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2012136552A (ja) エマルション様水溶性濃縮物
JP7282068B2 (ja) ステロール及び可溶化剤を含有するゲルカプセル
EP2355813B1 (de) Fettemulsion zur künstlichen ernährung von schwerkranken intensivpatienten
WO2009093650A1 (ja) プロスタグランジン含有脂肪乳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34789A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과, 이것을 포함하는 식품 및 음료
EP2586449A2 (en) Lipid emulsion having krill oil as an active ingredi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JP2009234951A (ja) 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0040236A1 (de) Taxane enthaltende stabile und sterile emulsio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101713219B1 (ko) 포스파티딜콜린 및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주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3132085B2 (ja) 脂肪乳剤
DE102009003980A1 (de) Propofol in triheptanoinhaltiger Trägeremulsion
JP4008965B2 (ja) レシチン含有脂肪乳剤の調製法
JP3611130B2 (ja) 脂肪乳剤の調製方法
WO2014033751A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propofol
CN114711320A (zh) 一种具有护眼功能的无糖软糖制作方法
JP2023522146A (ja) ホスファチジルコリンを含むヒマワリリン脂質組成物
CN103417539B (zh) 一种丁酸氯维地平药物组合物
JP5221114B2 (ja) ソフトカプセル剤
JP2012188602A (ja) 油脂組成物及び油脂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