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789A -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과, 이것을 포함하는 식품 및 음료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과, 이것을 포함하는 식품 및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789A
KR20200034789A KR1020207006149A KR20207006149A KR20200034789A KR 20200034789 A KR20200034789 A KR 20200034789A KR 1020207006149 A KR1020207006149 A KR 1020207006149A KR 20207006149 A KR20207006149 A KR 20207006149A KR 20200034789 A KR20200034789 A KR 20200034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mass
emulsion composition
water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5766B1 (ko
Inventor
히로유키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4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1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emulsifi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Cosme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아스타잔틴, 유성 성분, 효소 분해 레시틴, 자당 지방산 에스터, 수용성 차추출물, 및 물을 포함하며, 수용성 차추출물이, 수용성 차추출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차 폴리페놀을 20질량% 이상 함유하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한 아스타잔틴의 함유율이 0.1질량%~20.0질량%이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한 수용성 차추출물의 함유율이 0질량% 초과 20.0질량% 이하인,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그 응용.

Description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과, 이것을 포함하는 식품 및 음료
본 개시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과, 이것을 포함하는 식품 및 음료에 관한 것이다.
아스타잔틴은, 활성 산소를 소거하는 "항산화 작용"을 갖는 성분으로서 주목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건강 식품의 원료로서도 널리 유통되고 있다. 아스타잔틴은, 천연의 카로티노이드 색소의 일종이며, 자연계에 있어서도 널리 분포하고 있고, 예를 들면 연어, 참돔 등의 어류, 게, 새우, 크릴 등의 갑각류, 조류 등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아스타잔틴을 식품 원료로 한 경우, 물에 대한 용해성이 낮기 때문에 소화 흡수성이 나쁜 것 외에, 원료 유래의 특유의 냄새에 의한 상품의 기호성의 저하 등의 결점도 갖고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4163218호에는, 각종 식품에 적합하게 사용 가능한, 안정적이고, 또한 악취의 발생이 없으며, 장기간의 보존이 가능한, 헤마토코쿠스 조류 색소를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을 목적으로 하고, 헤마토코쿠스 조류 색소를 함유하는 오일과, 적어도 당해 오일을 유화할 수 있는 데에 충분한 양의 유화제와, 차추출물과 친수성 매체를 포함하는 유화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마토코쿠스 조류 색소 특유 냄새의 억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아스타잔틴의 원료 유래의 독특한 악취를 저감시킨, 기호성이 높은 식품 첨가용의 아스타잔틴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목적으로 하여 유화물을 제작한바, 일본 특허공보 제4163218호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유화 안정성이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아스타잔틴의 원료 유래의 악취를 억제하며, 또한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는, 아스타잔틴의 원료 유래의 악취를 억제하며, 또한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아스타잔틴, 유성 성분, 효소 분해 레시틴, 자당 지방산 에스터, 수용성 차추출물, 및 물을 포함하며, 수용성 차추출물이, 수용성 차추출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차 폴리페놀을 20질량% 이상 함유하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한 아스타잔틴의 함유율이 0.1질량%~20.0질량%이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한 수용성 차추출물의 함유율이 0질량% 초과 2.0질량% 이하인,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는, 이하의 실시형태가 포함된다.
[1] 아스타잔틴, 유성 성분, 효소 분해 레시틴, 자당 지방산 에스터, 수용성 차추출물, 및 물을 포함하며, 수용성 차추출물이, 수용성 차추출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차 폴리페놀을 20질량% 이상 함유하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한 아스타잔틴의 함유율이 0.1질량%~20.0질량%이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한 수용성 차추출물의 함유율이 0질량% 초과 20.0질량% 이하인,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2]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더 포함하는, [1]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3]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자당 지방산 에스터 및 효소 분해 레시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만을 함유하는, [1]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4]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함유하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의 함유율이 2질량% 이상 22질량% 이하의 범위인, [2] 또는 [3]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5] 수용성 차추출물이 수상에 포함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6] 자당 지방산 에스터는, 자당 지방산 에스터의 전체 질량에 대한 모노 치환체의 비율이 75질량% 이상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7] 자당 지방산 에스터를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8] 효소 분해 레시틴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0001질량% 이상 7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9] 글리세린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더 함유하는,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10] 수용성 차추출물이 수용성 차추출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차 폴리페놀을 80질량% 이상 함유하는,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11] 유성 성분이, 중쇄 지방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및 동식물성 유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12] 식품 첨가물 용도인,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13]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14]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음료.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의하면, 아스타잔틴의 원료 유래의 악취를 억제하며, 또한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아스타잔틴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의하면, 아스타잔틴의 원료 유래의 악취를 억제하며, 또한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아스타잔틴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그 목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을 더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나타난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솟값 및 최댓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본 개시 중에 단계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어느 수치 범위에서 기재된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다른 단계적인 기재의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으로 치환해도 된다. 또, 본 개시 중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어느 수치 범위에서 기재된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값으로 치환해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각 성분의 양은,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조성물 중에 복수 종 존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복수 종의 물질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2 이상의 바람직한 양태의 조합은, 보다 바람직한 양태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값"은, 성분으로서 시판품을 사용하고, 또한 시판품의 카탈로그 등의 문헌에 있어서, 그 시판품의 HLB값이 명확하게 나타나 있는 경우에는, 카탈로그 등의 문헌에 나타난 값을 채용한다.
사용하는 성분이 시판품이 아닌 경우, 혹은 시판이어도 HLB값이 카탈로그 등의 문헌에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HLB값으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카와카미식을 채용한다.
HLB=7+11.7log(Mw/M0)
여기에서, MW는 친수기의 분자량, M0은 소수기의 분자량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공정"이라는 말은, 독립적인 공정만이 아니라, 다른 공정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는 경우이더라도 그 공정의 소기의 목적이 달성되면, 본 용어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수상"이란, 용매의 종류에 관계없이 "유상"에 대한 말로서 사용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 중 하나는, 아스타잔틴, 유성 성분, 효소 분해 레시틴, 자당 지방산 에스터, 수용성 차추출물, 및 물을 포함하며, 수용성 차추출물이, 수용성 차추출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차 폴리페놀을 20질량% 이상 함유하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한 아스타잔틴의 함유율이 0.1질량%~20.0질량%이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한 수용성 차추출물의 함유율이 0질량% 초과 20.0질량% 이하인,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이하, 간단히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 중 하나는,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음료(이하, 간단히 "본 개시의 식품" 또는 "본 개시의 음료"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질량%~20.0질량%의 함유율인 아스타잔틴과, 유성 성분과, 효소 분해 레시틴과, 자당 지방산 에스터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질량% 초과 20.0% 이하의 함유율이며, 수용성 차추출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차 폴리페놀을 20질량% 이상 포함하는 수용성 차추출물과 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이다.
아스타잔틴은, 활성 산소를 소거하는 "항산화 작용"을 갖는 성분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또, 아스타잔틴은, 면역 활력, 피로 회복, 자립 신경의 밸런스 조정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고, 건강 식품 등의 원료로서 다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스타잔틴의 원료 유래의 악취에 의하여, 제품의 기호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여 분명해졌다. 이와 같은 현상은, 특히 기능성 표시 등을 목적으로 하여 아스타잔틴을 보다 고농도로 배합한 식품으로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개시에 의하면, 특정량의 아스타잔틴과, 유성 성분과, 효소 분해 레시틴과, 자당 지방산 에스터와, 특정량의 수용성 차추출물과, 물을 포함함으로써, 악취가 억제되고, 또한 유화 안정성(특히 실온 경시에 따른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실온이란 "25±3℃"를 나타낸다.
이 점에 대하여, 본 발명자는 이하와 같이 추측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추출물은, 냄새 제거 효과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아스타잔틴의 원료 유래의 악취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차추출물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함유시킨 경우, 실온 경시에 따른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안정성이 악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자가 검토를 거듭한바, 차추출물 중에서도 차 폴리페놀을 20질량% 이상 포함하는 수용성 차추출물을 특정량으로 포함하며, 추가로 유성 성분, 효소 분해 레시틴, 및 자당 지방산 에스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로 함으로써, 고농도의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면서도, 아스타잔틴의 원료 유래의 악취가 억제되고, 또한 우수한 유화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이 분명해졌다.
또한, 본 개시의 수중유형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냉장 보존한 경우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안정성도 우수한 것 외에, 고농도로 배합한 아스타잔틴에 의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점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수중유형 유화물로서의 제제 적성을 갖는다고 생각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냉장 보존이란, "1℃ 초과 10℃ 이하"의 분위기 온도에 있어서의 보존을 가리킨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 냉장 보존과 저온 보존은 동의이다.
또한, 상기의 추측은, 본 개시의 수중유형 조성물을 한정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일례로서 설명하는 것이다.
[아스타잔틴]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아스타잔틴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아스타잔틴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는,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아스타잔틴 및 그 유도체를 총칭하여 "아스타잔틴"이라고 한다. 즉,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서는, 아스타잔틴으로서 아스타잔틴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아스타잔틴의 유도체는, 아스타잔틴의 에스터 등을 포함한다.
아스타잔틴으로서는, 식물류, 조류, 갑각류, 박테리아 등의 천연물에서 유래하는 아스타잔틴 외에, 통상의 방법에 따라 얻어지는 아스타잔틴의 합성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아스타잔틴은, 적색 효모 파피아, 녹조 헤마토코쿠스, 해양성 세균, 크릴 등의 배양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품질 및 생산성의 관점에서는, 아스타잔틴으로서는, 헤마토코쿠스 조류로부터의 추출물(이하, "헤마토코쿠스 조류 추출물"이라고 칭함) 또는 크릴로부터의 추출물에서 유래하는 아스타잔틴이 바람직하고, 헤마토코쿠스 조류 추출물에서 유래하는 아스타잔틴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서는, 아스타잔틴은, 후술하는 유성 성분에 용해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아스타잔틴은, 유성 성분에 아스타잔틴을 함유시킨 아스타잔틴 함유유의 양태로,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헤마토코쿠스 조류의 구체예로서는, 헤마토코쿠스·플루비알리스(Haematococcus pluvialis), 헤마토코쿠스·라쿠스트리스(Haematococcus lacustris), 헤마토코쿠스·카펜시스(Haematococcus capensis), 헤마토코쿠스·드로에바겐시스(Haematococcus droebakensis), 헤마토코쿠스·짐바비엔시스(Haematococcus zimbabwiensi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헤마토코쿠스 조류로서는, 헤마토코쿠스·플루비알리스(Haematococcus pluvialis)가 바람직하다.
헤마토코쿠스 조류 추출물은, 상기의 헤마토코쿠스 조류를, 필요에 따라,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068585호 등에 개시된 방법에 의하여 세포벽을 파쇄하며, 아세톤, 에터, 클로로폼, 알코올(에탄올, 메탄올 등) 등의 유기 용제, 또는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 등의 추출 용제를 첨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헤마토코쿠스 조류 추출물로서는, 시판품을 이용해도 된다.
헤마토코쿠스 조류 추출물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후지필름(주)의 ASTOTS(등록 상표)-S, ASTOTS(등록 상표)-5O, ASTOTS(등록 상표)-10O 등, 후지 가가쿠 고교(주)의 아스타릴(등록 상표) 오일 50F, 아스타릴(등록 상표) 오일 5F 등, 도요 고소 가가쿠(주)의 BioAstin SCE7 등을 들 수 있다.
헤마토코쿠스 조류 추출물 중에 있어서의 아스타잔틴의 색소 순분으로서의 함유율은, 제조 시의 취급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01질량%~5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질량%~40질량%이다.
또한, 헤마토코쿠스 조류 추출물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049091호에 기재된 색소와 동일하게, 색소 순분으로서 아스타잔틴 또는 그 에스터체를 함유해도 된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아스타잔틴의 함유율은, 0.1질량%~20.0질량%이다.
아스타잔틴의 함유율은, 예를 들면 아스타잔틴을 포함함으로써 기대되는 효과를 충분히 얻는 관점에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4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아스타잔틴의 함유율은, 예를 들면 섭취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성 성분]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유성 성분을 함유한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유성 성분이란, 25℃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0.1질량% 미만(1g/L 미만)의 성분이다. 유성 성분은, 아스타잔틴을 용해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화합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아스타잔틴은,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성 성분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유성 성분으로서는, 아스타잔틴과의 친화성, 식품 위생법상의 관점에서는, 중쇄 지방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및 동식물성 유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쇄 지방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의 예로서는, 트라이글리세라이드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탄소수가 8~10인 중쇄 지방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를 들 수 있다.
동식물성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대두유, 유채유, 면실유, 해바라기유, 홍화유, 야자유, 밀배아유, 콘배아유, 올리브유, 쌀겨유, 코코넛유 등의 식물성 유지, 간유(肝油), 어유(魚油), 경유(鯨油) 등의 동물성 유지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유성 성분 중에서도, 중쇄 지방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가 바람직하고,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이 함유하는 유성 성분으로서는, 중쇄 지방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스타잔틴은, 유성 성분에 아스타잔틴을 함유시킨 아스타잔틴 함유유로서,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함유시켜도 되며, 후술하는 항산화제 B에서 유래하는 것이어도 된다. 아스타잔틴 함유유는, 유성 성분으로서 중쇄 지방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성 성분은,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도 된다.
유성 성분의 총 함유율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5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용성 차추출물]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질량% 초과 2.0질량% 이하의 함유율인 수용성 차추출물을 함유한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이용하는 수용성 차추출물은, 수용성 차추출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차 폴리페놀을 20질량% 이상 포함한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이용하는 수용성 차추출물은, 25℃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20질량% 이상(200g/L 이상)의 차추출물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수용성 차추출물은, 녹차, 우롱차, 및 홍차로부터 선택되는 차잎 중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것이며, 차 폴리페놀(카테킨류)을 수용성 차추출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0질량% 이상 포함한다. 추출에 이용하는 용제("추출 용제"라고도 함)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열수,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아세트산 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추출 용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추출 조작을 행함으로써, 수용성 차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액이 얻어진다.
추출액은 열수 추출의 경우는 그대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무 건조나 동결 건조 등에 의하여 물을 제거한 분말상의 것이 사용하기 쉽고, 덱스트린, 글리세린 등으로 제제화한 것도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수용성 차추출물은, 항산화제로서 기능한다. 이하, 본 개시에 관한 수용성 차추출물을 "항산화제 A"라고도 칭한다.
악취를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항산화제 A의 함유율의 하한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질량% 이상이다.
한편, 아스타잔틴에 의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점도를 저감시켜, 제조 적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항산화제 A의 함유율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유화 안정성의 관점에서는 20.0질량%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5.0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질량%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하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하이다.
항산화제 A로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선푸드(등록 상표) 100, CD, 수성, 말(30%)(이상, 상품명, 미쓰비시 케미컬 푸즈(주)제), 산페논(등록 상표) 30S-OP, EGCG-OP, BG-3, 90S, 90MB-OP(이상, 상품명, 다이요 가가쿠(주)제), 폴리페논(등록 상표)G, 70S, PF(이상, 상품명, 미쓰이 노린(주)), N테아푸란(등록 상표) 30A, 90S(이상, 상품명, (주)이토엔제), 산우롱(등록 상표, 상품명, 산토리(주)제)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제 A는, 악취의 저감 및 유화 안정성의 양립의 관점에서, 차 폴리페놀로서는, 플라반-3-올의 기본 구조를 갖는 카테킨류, 즉 에피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카테킨, 갈로카테킨, 카테킨갈레이트, 및 갈로카테킨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악취를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차 폴리페놀의 항산화제 A의 전체 질량에 대한 함유율은 4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70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식품 또는 음료에 적용할 때, 악취를 저감시키는 관점에서는, 차 폴리페놀이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또는 에피갈로카테킨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1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 특유의 쓴맛을 억제하면서, 충분한 악취 저감을 가능으로 하는 관점에서는, 상한은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수상 및 유상 중 적어도 한쪽이 항산화제 A를 함유하고 있으면 되지만, 보다 효과적으로 아스타잔틴의 원료 유래의 악취를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항산화제 A는 수상 중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 대하여, 본 발명자는, 항산화제 A가 수상 중에 포함되는 경우, 수중유형 조성물에 있어서, 유상의 계면에 존재하기 위하여, 연속상인 수상에 악취가 확산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 외의 항산화제)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상술한 수용성 차추출물(항산화제 A)과는 다른 항산화제(이하, "항산화제 B"라고도 칭함)를 적어도 1종 함유해도 된다.
항산화제 B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항산화제 B로서는, 예를 들면 아스코브산, 아스코브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 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 비타민 A, 레티노산, 레티놀, 아세트산 레티놀, 팔미트산 레티놀, 레티닐아세테이트, 레티닐팔미테이트, 레티노산 토코페릴,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카이네틴, 레티노인, 세사민, α-리포산, 코엔자임 Q10, 플라보노이드류, 에리토브산, 갈산 프로필, BHT(다이-n-뷰틸하이드록시톨루엔), BHA(뷰틸하이드록시아니솔), 트레티노인, 폴리페놀, SOD(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피트산(Phytic acid), 황기 엑기스, 대두 엑기스, 찔레꽃 엑기스, 로즈마리 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제 B로서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브산, 아스코브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 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 비타민 A, 레티노산, 레티놀과, 아세트산 레티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브산, 아스코브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이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항산화제 B의 함유량은, 아스타잔틴의 유화 안정성의 유지 등을 고려하여, 항산화제 B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항산화제 B의 함유량은, 아스타잔틴의 질량에 대하여, 0.1배량 이상 100배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배량 이상 10배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배량 이상 5배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항산화제 B로서, 아스코브산, 아스코브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 아스코브산 및 그 염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아스코브산, 아스코브산 나트륨, 아스코브산 칼륨, 아스코브산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또, 아스코브산 유도체 및 그 염으로서는, 아스코브산 인산 에스터 및 그 염, 아스코브산 황산 에스터 및 그 염, 팔미틴산 아스코브산 에스터 및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함유되는 항산화제 B의 적합한 양태는, 아스코브산, 아스코브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및/또는 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항산화제 B로서, 아스코브산, 아스코브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및/또는 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가 함유되는 경우, 그 총 함유율은,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5질량%~6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의 화합물의 저온에 있어서의 경시에 따른 석출을 억제하는 점에서, 0.5질량%~4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0.5질량%~3질량%가 더 바람직하다.
아스코브산, 아스코브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의 화합물, 및/또는 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도 된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아스타잔틴의 안정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항산화제 B는 유상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그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수용성 차추출물(항산화제 A) 이외에도 수용성 항산화제를 이용할 수 있지만, 항산화제 A 이외의 수용성 항산화제를 이용하지 않는 것이 유화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유화 안정성의 관점에서, 수용성 차추출물 및 항산화제 B의 함유량은, 합계하여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0.6질량% 이상 11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효소 분해 레시틴]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효소 분해 레시틴을 포함한다.
레시틴은, 포스파티딜콜린(PC) 등의 각종 인지질을 함유하는 혼합물의 일반적인 명칭이다. 효소 분해 레시틴(라이소레시틴이라고도 불림)은, 포스폴리파아제 등의 효소에 의하여, 포스파티딜콜린 분자가 갖는 하나의 지방산이 없어진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또한,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효소 분해 레시틴은, 수소 첨가 처리를 행하며, 결합 지방산을 포화 지방산으로 함으로써 산화 안정성을 향상시킨, 이른바 수소 첨가된 효소 분해 레시틴을 포함한다.
효소 분해 레시틴에 포함되는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의 농도는, 안정적인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얻는 관점에서, 18질량% 이상 7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8질량% 이상 6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8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효소 분해 레시틴의 함유율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0001질량% 이상 7질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01질량% 이상 5질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효소 분해 레시틴 유래의 맛을 억제하면서, 유화 안정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는, 효소 분해 레시틴의 함유량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하여 0.00001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효소 분해 레시틴은, 시판되고 있는 효소 분해 레시틴을 이용할 수 있다. 효소 분해 레시틴으로서는, 베네코트(등록 상표) BMI-40L(상품명, 가오사제), 레시마르(등록 상표) EL(상품명, 리켄 비타민사제), SLP-페이스트리조(상품명, 쓰지 세이유사제), SLP-화이트리조(상품명, 쓰지 세이유사제), SLP-화이트리조 H(상품명, 쓰지 세이유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자당 지방산 에스터]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자당 지방산 에스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자당 지방산 에스터를 포함함으로써, 아스타잔틴의 체내에서의 흡수성이 향상되고, 경시에 따른 유화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자당 지방산 에스터를 1종 단독으로 포함해도 되고, 2종 이상 조합하여 포함해도 된다.
자당 지방산 에스터의 HLB값은, 아스타잔틴의 체내에서의 흡수성의 관점에서, 1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이상이다.
또, 자당 지방산 에스터의 HLB값은, 양친매성을 나타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9 이하이다.
자당 지방산 에스터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탄소수는, 예를 들면 양친매성을 나타내는 관점에서, 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당 지방산 에스터의 구체예로서는, 자당 라우린산 에스터, 자당 미리스트산 에스터, 자당 팔미트산 에스터,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 자당 올레인산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자당 지방산 에스터의 시판품으로서는, 료토(등록 상표) 슈가 에스터 S1170(상품명,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 HLB값: 약 11(카탈로그값),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주)), 료토(등록 상표) 슈가 에스터 S1570(상품명,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 HLB값: 약 15(카탈로그값),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주)), 료토(등록 상표) 슈가 에스터 S1670(상품명,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 HLB값: 약 16(카탈로그값),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주)), 료토(등록 상표) 슈가 에스터 P1570(상품명, 자당 팔미트산 에스터, HLB값: 약 15(카탈로그값),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주)), 료토(등록 상표) 슈가 에스터 P1670(상품명, 자당 팔미트산 에스터, HLB값: 약 16(카탈로그값),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주)), 료토(등록 상표) 슈가 에스터 L1695(상품명, 자당 라우린산 에스터, HLB값: 약 16(카탈로그값)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저온에 있어서의 유화 안정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자당 지방산 에스터의 전체 질량에 대한 모노 치환체(모노에스터체라고도 함)의 비율이 7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에스터체의 비율은 100질량%(즉, 모든 자당 지방산 에스터가 모노에스터체)여도 된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당 지방산 에스터로서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를 함유한다.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에 있어서의 모노에스터체의 함유율은,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에 있어서의 모노에스터체의 함유율의 측정]
<시료의 조제>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를, 1mg/mL가 되는 양으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첨가하고, 용해하여 시료 용액을 얻는다.
<측정 조건>
사용 장치: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prominence(주식회사 시마즈 세이사쿠쇼)
검출 방법: 코로나 하전화 입자 검출
칼럼: Capcellpack C18 UG120 4.6mm×150mm(주식회사 시세이도)
칼럼 온도: 40℃
용리액: 0분~20분: 물/메탄올 50/50, 7mM 아세트산 암모늄; 20분~30분: 메탄올, 7mM 아세트산 암모늄
유량: 1mL/min
주입량: 10μL
<모노에스터체의 함유율 산출 방법>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 15분~30분에 있어서의 피크 총 면적에 대한 유지 시간 17분~22분에 있어서의 피크 면적의 비율을 산출하고, 이것을 모노에스터체의 함유율로 한다.
또한, 모노에스터체를 75질량%~100질량% 포함하는 자당 지방산 에스터는, 이하에 나타내는 시판품에 있어서, 모노에스터체의 함유량이 75질량% 이상인 것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이하의 시판품을 복수 혼합하여 모노에스터체의 함유량을 75질량% 이상으로 한 혼합물을 이용해도 되며, 모노에스터체의 함유량이 75질량% 미만의 시판품을 정제함으로써, 모노에스터체의 함유율을 75질량% 이상으로 높인 정제품을 사용해도 된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료토(등록 상표) 슈가 에스터 S-070, S-170, S-270, S-370, S-370F, S-570, S-770, S-970, S-1170, S-1170F, S-1570, S-1670(이상, 상품명,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주)제), DK 에스터(등록 상표) SS, F160, F140, F110, F90, F70, F50, F-20W, F-10, FA-10E, 코스메라이크, S-10, S-50, S-70, S-110, S-160, S-190(이상, 상품명,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주)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료토 슈가 에스터 S-1170, S-1170 F, S-1570, S-1670, DK 에스터 SS, F160, F140, F110, 코스메라이크 S-110, S-160, S-19 등이 바람직하다. 모노에스터체의 함유량의 비율이 높은 점에서, DK 에스터 SS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자당 지방산 에스터의 함유율은, 예를 들면 아스타잔틴의 체내에서의 흡수성의 관점에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자당 지방산 에스터의 함유율은, 예를 들면 유화 안정성의 관점에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포함한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로서는, 탄소수 10 이상의 포화 지방산 구조, 분기 지방산 구조 및 불포화 지방산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로서는, 평균 중합도가 바람직하게는 6~20, 보다 바람직하게는 8~16, 더 바람직하게는 8~10의 폴리글리세린과, 탄소수 10~22의 포화 지방산, 탄소수 8~22의 불포화 지방산 및 탄소수 8~22의 분기 포화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의 에스터를 들 수 있다. 또한, 탄소수 10~22의 포화 지방산에는, 탄소수 10~22의 직쇄상 포화 지방산 및 탄소수 10~22의 분기 불포화 지방산이 포함되며, 탄소수 8~22의 불포화 지방산에는, 탄소수 8~22의 직쇄상 불포화 지방산 및 탄소수 8~22의 분기 불포화 지방산이 포함된다.
폴리글리세린의 중합도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유화 안정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로서는, 탄소수 10~22의 포화 지방산 구조, 탄소수 8~22의 불포화 지방산 구조 및 탄소수 8~22의 분기 포화 지방산 구조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 구조를 갖는 에스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0~22의 포화 지방산 구조, 탄소수 16~22의 분기 지방산 구조 및 탄소수 16~22의 불포화 지방산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지방산의 에스터가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 10~20의 포화 지방산 구조, 탄소수 16~18의 분기 지방산 구조 및 탄소수 16~18의 불포화 지방산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지방산의 에스터가 더 바람직하다.
탄소수 10~22의 포화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을 들 수 있다.
탄소수 8~22의 불포화 지방산 및 탄소수 8~22의 분기 포화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올레인산, 리놀레산 및 아이소스테아르산을 들 수 있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는, 모노에스터체여도 되며, 다이에스터체여도 되지만, 모노에스터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는, 계면 활성능을 갖는다. 유화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HLB가 5 이상의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8 이상의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이상의 화합물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의 HLB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데카글리세린라우린산 에스터, 데카글리세린미리스트산 에스터, 데카글리세린팔미트산 에스터, 데카글리세린스테아르산 에스터, 헥사글리세린모노올레인산 에스터, 데카글리세린모노올레인산 에스터, 데카글리세린리놀레산 에스터, 데카글리세린아이소스테아르산 에스터, 헥사글리세린아이소스테아르산 에스터, 데카글리세린모노아이소스테아르산 에스터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데카글리세린라우린산 에스터, 데카글리세린미리스트산 에스터, 데카글리세린팔미트산 에스터, 데카글리세린스테아르산 에스터, 아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 및 올레인산 폴리글리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는 시판품을 이용해도 되며,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닛코 케미컬즈(주)제 NIKKOL(등록 상표) Decaglyn 1-ISV, NIKKOL Decaglyn 1-OV, NIKKOL Decaglyn 1-LN, NIKKOL Decaglyn 1-PVEX, NIKKOL Decaglyn 1-SVEX, NIKKOL Decaglyn 1-L, NIKKOL Decaglyn 1-M,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주)사제 료토폴리글리에스터 O-15D, O-50D, 다이요 가가쿠(주)사제 선소프트 Q-17S, 리켄 비타민(주)사제 포엠 J-0381V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데카글리세린모노라우린산 에스터, 데카글리세린스테아르산 에스터, 데카글리세린모노미리스트산 에스터, 데카글리세린팔미트산 에스터, 데카글리세린모노올레인산 에스터, 데카글리세린모노아이소스테아르산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1종만 포함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포함해도 된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의 함유율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질량%~22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22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어서, 균일하고 또한 미세한 유상 입자를 얻기 쉬우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저온에 있어서의 유화 안정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자당 지방산 에스터에 대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의 함유량은 2배량~13배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물은, 물을 포함한다.
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천연수, 정제수, 증류수, 이온 교환수, 순수, 초순수(Milli-Q수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Milli-Q수란, 머크 (주)머크밀리포어의 Milli-Q수 제조 장치에 의하여 얻어지는 초순수이다.
(유화제)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유화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화제로서는, 앞서 설명한, 효소 분해 레시틴, 자당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만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기대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다른 유화제를 함유해도 된다.
다른 유화제로서는, 천연물 유래의 유화제만을 이용하여 고압 유화를 행할 수 있는 것, 및 경시 안정성의 관점에서, 효소 분해 레시틴 이외의 레시틴, 사포닌, 스테롤 등을 함유해도 된다.
여기에서, "유화제로서 효소 분해 레시틴, 자당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만을 함유한다"란, 효소 분해 레시틴, 자당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이외의 다른 유화제의 함유율이,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질량%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다른 유화제의 함유율은, 0.001질량% 이상 1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질량% 이상 1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1질량% 이상 0.5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화제로서, 실질적으로 효소 분해 레시틴, 자당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만을 함유하는 경우, 효소 분해 레시틴:자당 지방산 에스터: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는 질량비로 0.00001:15:1~7:1: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 안정성의 관점에서, 다가 알코올로서는, 글리세린, 소비톨 및 환원 물엿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글리세린 또는 환원 물엿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글리세린>
글리세린은,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는 유화 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작게 하며, 또한 입자경을 작게 한 상태로 장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쉬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글리세린의 함유율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글리세린의 함유율은, 아스타잔틴의 질량에 대하여 1배량 이상 100배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배량 이상 50배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배량 이상 10배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환원 물엿>
환원 물엿은, 당알코올의 1종이며, 물엿을 환원(즉 수소 첨가)함으로써 합성된다. 환원 물엿은, 원료가 되는 물엿(즉 당류)의 조성을 변경함으로써 점도를 조정할 수 있고, 고당화 환원 물엿과 저당화 환원 물엿으로 분류된다.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는 유화 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작게 하며, 또한 입자경을 작게 한 상태로 장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쉬워지는 점에서, 저당화 환원 물엿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환원 물엿으로서는,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는 유화 입자의 입경을 유지하며, 또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내에서의 석출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올리고토스(직쇄 올리고당)를 환원한 물엿이 특히 바람직하다. 올리고토스의 유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말토트리오스(G3)를 주성분으로 하는 직쇄 올리고당인 것이 바람직하고, 말토트리오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직쇄 올리고당이며, 또한 포도당 및 고분자 덱스트린의 함유율이 낮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환원 물엿은, 시판품이어도 된다.
환원 물엿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올리고토스(산와 덴푼 고교(주)), 올리고토스(상품명, 붓산 푸드 사이언스(주)), ESWEE 30(상품명, 붓산 푸드 사이언스(주)), ESWEE 100(상품명, 붓산 푸드 사이언스(주)) 올리고토스 H-70(미쓰비시 가가쿠 푸즈(주)), 할로덱스(상품명, (주)하야시바라), 테트럽, 테트럽-H(상품명, (주)하야시바라), 펜트럽(상품명, (주)하야시바라), 커플링 슈가(상품명, (주)하야시바라), 커플링 슈가-S(상품명, (주)하야시바라) 등을 들 수 있다.
환원 물엿은, 고체(분말상), 또는 용매(예를 들면, 물 등)를 포함하는 액체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생산성의 관점에서 액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판품의 액체상의 환원 물엿은, 20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많지만, 원하는 효과가 얻어지는 한, 이 범위 이외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환원 물엿의 함유율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하여, 3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35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환원 물엿의 함유율"이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환원 물엿의 고형분의 질량 기준의 함유율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환원 물엿의 함유량은, 아스타잔틴의 질량에 대하여 1배량 이상 100배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배량 이상 50배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배량 이상 10배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로서, 글리세린 및 환원 물엿 이외의 다가 알코올은, 본 실시형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식품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의 성분]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상술한 각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임의의 다른 성분을,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영양 성분, 유효 성분, 약리 성분 등의 아스타잔틴 이외의 생리 활성 성분, 색소(아스타잔틴은 포함하지 않음), 산화 방지제, 물엿 등의 액당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음식품, 의약품에 사용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아스타잔틴 및 유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상 조성물과, 물, 자당 지방산 에스터 및 효소 분해 레시틴을 포함하는 수상 조성물을 혼합한 혼합액을 조제하며, 조제된 혼합액을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유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차추출물(항산화제 A)은 유상 조성물 및 수상 조성물 중 어느 쪽이 함유해도 되지만, 악취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 수상 조성물이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항산화제 A를 함유하기 때문에, 고농도의 아스타잔틴을 함유하면서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점도의 상승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적성이 우수하다.
유화에 제공되는 혼합액은, 유상 조성물 및 수상 조성물을 각각 별개로 조제한 후, 조제된 유상 조성물 및 수상 조성물을 조합하여 조제해도 되고, 유상 조성물 및 수상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을, 일괄로 혼합하거나 또는 순차 혼합하여 조제해도 된다.
유상 조성물 중에는, 아스타잔틴 및 유성 성분과 함께, 다른 임의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아스타잔틴의 안정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항산화제 A와는 다른 항산화제(항산화제 B)로서 아스코브산, 아스코브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상 조성물 중에는, 물, 효소 분해 레시틴, 및 자당 지방산 에스터가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항산화제 A가 포함된다. 수상 조성물은, 효소 분해 레시틴 및 자당 지방산 에스터를 다가 알코올에 용해한 용해액을 조제한 후, 이 용해액에 항산화제 A, 및 물을 첨가하여 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일 양태에서는, 예를 들면 a) 물과, 효소 분해 레시틴과, 자당 지방산 에스터와, 항산화제 A를 혼합하여 용해하며, 수상 조성물을 얻는, b) 아스타잔틴과, 유성 성분을 혼합하여 용해하고, 유상 조성물을 얻는, 그리고, c) 교반 하에서 수상 조성물과 유상 조성물을 혼합하여 혼합액으로 하며, 얻어진 혼합액에 대하여, 유화 분산을 행한다.
유화 분산 시에는, 예를 들면 스터러, 임펠러 교반, 호모 믹서, 또는 연속 유통식 전단 장치 등의 전단 작용을 이용하는 통상의 유화 장치를 이용하여 유화를 한 후, 고압 호모지나이저를 통하는 등의 방법으로 2종 이상의 유화 장치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 호모지나이저를 사용하는 경우, 유화 입자를 더 균일하게 가까운 입자경으로 정렬할 수 있다. 추가적인 입자경의 균일화를 도모할 목적으로, 유화 분산을 복수 회 행해도 된다.
고압 호모지나이저에는, 처리액의 유로가 고정된 챔버를 갖는 챔버형 고압 호모지나이저, 및 균질 밸브를 갖는 균질 밸브형 고압 호모지나이저가 있다.
균질 밸브형 고압 호모지나이저는, 처리액의 유로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작 시의 압력 및 유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그 조작 범위가 넓기 때문에,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조작의 자유도는 낮지만, 압력을 높이는 기구가 만들기 쉽기 때문에, 초고압을 필요로 하는 용도로는 챔버형 고압 호모지나이저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챔버형 고압 호모지나이저로서는,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마이크로플루이딕스사제), 나노마이저(요시다 기카이 고교(주)제), 얼티마이저((주)스기노 머신제) 등을 들 수 있다.
균질 밸브형 고압 호모지나이저로서는, 골린 타입 호모지나이저(APV사제), 라니어 타입 호모지나이저(라니어사제), 고압 호모지나이저(니로·소아비사제), 호모게나이저(산와 기카이(주)제), 고압 호모게나이저(이즈미 푸드 머시너리(주)제), 초고압 호모지나이저(이카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고압 호모지나이저의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50M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MPa 이상 250MPa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0MPa 이상 250MPa 이하이다.
얻어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챔버 통과 직후 30초 이내, 바람직하게는 3초 이내에 어떠한 냉각기를 통하여 냉각하는 것이, 유화 입자의 입자경 유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얻어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소프트 캡슐 제제용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로서 적용하는 경우에는, 소프트 캡슐의 팽창 등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탈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중의 특정 성분의 함유량)
아스타잔틴의 원료에서 유래하는 악취는, 복수의 물질에서 유래하며, 그 원인 물질 중 하나로서, 2,4-헵타다이에날을 들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악취를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2,4-헵타다이에날의 함유량 (A)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00ppb 이하가 바람직하고, 800ppb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500ppb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음료 등에 가공했을 때의 목넘김, 특히 조류 냄새(입에 넣은 후의 코로부터 흘러나오는 조류와 같은 비린내 또는 생선 비린내)가 경감되는 관점에서는, 하기의 식 (1)을 따라 산출하는 농도 1질량% 아스타잔틴 함유 수중유형 유화물 100질량부당 환산한 2,4-헵타다이에날의 함유량 (B)는 200ppb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ppb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80ppb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B)=(A)/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중의 아스타잔틴 함유율…식 (1)
2,4-헵타다이에날의 함유량을 저감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1) 아스타잔틴의 원료 그 자체를 공지의 탈취 방법으로 정제한 후, 정제한 아스타잔틴을 이용하여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조정하는 방법, 및
(2)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조정한 후에, 공지의 탈취 방법으로 정제하는 방법 등 어느 방법이어도 된다.
공지의 탈취 방법으로서는, 초임계 추출 방법, 활성탄 또는 실리카젤 등의 다공질 흡착제를 이용한 분리 정제 방법, 마스킹 방법, 오존 산화법, 촉매 연소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중의 2,4-헵타다이에날의 함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중의 2,4-헵타다이에날의 함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이 바람직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분석 또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중에 미량에 포함되는 2,4-헵타다이에날을 정확하게, 또한 비교적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헤드 스페이스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법, 퍼지&트랩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법 등을 보다 바람직한 방법으로서 들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2,4-헵타다이에날이란, 구조 이성체를 포함한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점도)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화 분산 등의 제조 적성의 관점에서, 600mPa·s 이하가 바람직하고, 500mPa·s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하한값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0mPa·s 이상을 들 수 있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점도는, JIS Z8803(2011)을 따라 측정하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25℃에서 측정한 값을 이용한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평균 입자경)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평균 입자경(체적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nm~2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양호한 투명성과 안정성의 관점에서는, 10nm~150nm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nm~120nm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평균 입자경(체적 평균 입자경)은, 시판 중인 입도 분포계 등으로 계측할 수 있다. 입도 분포 측정의 방법으로서, 광학 현미경법,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법, 전자 현미경법, 원자간력 현미경법, 정적 광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동적 광산란법, 원심 침강법, 전기 펄스 계측법, 크로마토그래피법, 초음파 감쇠법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경 측정은, 동적 광산란법에 의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적 광산란법을 이용한 시판 중인 측정 장치로서는, 나노 트랙 UPA(상품명, 닛키소(주)), 동적 광산란식 입경 분포 측정 장치 LB-550(상품명, (주)호리바 세이사쿠쇼), 농후계 입경 애널라이저 FPAR-1000(상품명, 오오쓰카 덴시(주)) 등을 들 수 있지만, 동적 광산란법의 원리에 근거하여, 입경 측정이 가능해지는 것이면, 측정 장치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평균 입자경은, 예를 들면 오오쓰카 덴시(주), 농후계 입경 애널라이저 FPAR1000(상품명)을 이용하여, 100배 희석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장치 내의 샘플 셀에 넣고, 25℃에서 측정한 값을 채용하며, 50% 누적 입자경으로 측정할 수 있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분말화)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건조함으로써, 분말화된 형태로 할 수 있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분말화할 때의 건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분무 건조, 혼련 조립(造粒), 동결 건조 등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분말화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물을 포함하는 용매에 현탁함으로써,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분말화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서는, 분말 형태에서의 유동성 및 현탁 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경우, 수상의 매체(즉, 물)는 가능한 한 제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상의 매체의 제거는, 스프레이 드라이에 의한 분무 건조 등의 가열 건조 수단에 의하여 행하면 된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분말화에 있어서는, 분말화에 필요한 당해 분야에서 공지의 물질, 예를 들면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감미제, 방부제, 코팅제, 안정화제, 유동화제, 점조제, 용해 보조제, 증점제, 완충제, 향료, 착색제, 유화제 등의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또, 분말화에 필요한 물질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분말화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바이닐피롤리돈 등의 고분자 물질; 아라비아 고무, 트라가칸트 고무, 젤라틴 등의 천연 고분자 물질; 분말 유당, 카세인, 미결정 셀룰로스, 전분, 소맥분, 덱스트린, 이산화 규소 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용도]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식품 또는 음료(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 건강 식품 또는 음료 등), 의약품, 의약 부외품, 화장품 등의 각종 용도에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고농도로 아스타잔틴을 함유하면서도, 아스타잔틴의 원료 유래의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식품 또는 음료에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특히 음료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이 적용되는, 식품, 의약품, 의약 부외품, 또는 화장품의 제형으로서는, 예를 들면 액체 제제 및 그것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고체 제제(산제, 과립제 등)를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액체 제제 및 그것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고체 제제, 예를 들면 하드 캡슐, 소프트 캡슐, 정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들의 제제는, 또한, 부형제, 붕괴제, 결합제, 활택제,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감미료, 교미제, 산미료 등을 제형에 따라 첨가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고형 제제는, 주지의 방법으로 코팅 또는 당의를 실시해도 된다.
(소프트 캡슐 제제)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적합한 적용 형태 중 하나는,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 제제이다. 즉, 본 개시의 소프트 캡슐 제제는,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내용물을 소프트 캡슐 피막에 봉입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개시의 소프트 캡슐 제제에 있어서의 내용물은, 소프트 캡슐 제제의 전체량에 대하여,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0.0001질량%~95질량%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 캡슐 피막(이하, 간단히 피막이라고도 칭함)을 형성하는 기재(이하, 피막 형성용 조성물이라고도 칭함)로서는, 한천, 젤라틴, 젤란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가, 피막의 투명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소프트 캡슐 피막은, 젤라틴을 피막용의 기재로 하는 경우, 젤라틴, 가소제, 및 물을 포함하는 젤라틴 피막액으로부터 조제된다. 이용되는 젤라틴으로서는, 젤라틴, 산성 젤라틴, 알칼리성 젤라틴, 펩타이드 젤라틴, 저분자 젤라틴, 젤라틴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소프트 캡슐 피막은, 가소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며, 가소제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등의 글라이콜류; 콘 시럽, 스크로스, 프룩토오스, 소비톨, 만니톨 등의 당류; 결정 셀룰로스, 전분류,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등의 물불용성 셀룰로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가소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가소제로서는, 글리세린이 바람직하다.
소프트 캡슐 제제(내용물 또는 피막)에는, 식품의 분야에 있어서 통상 이용되는 첨가 성분을, 본 개시의 소프트 캡슐 제제에 기대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적절히 배합해도 된다. 첨가 성분의 예로서는, 색소 또는 안료 등의 착색제, 보존료, 향료, 과즙, 각종 비타민류, 동식물 엑기스류, 아미노산류, 미네랄, 착색료, 증점제, pH 조정제, 방부제, 붕괴제, 계면활성제, 교미제, 교취제, 감미료, 유기산 등의 성분을 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성분으로부터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소프트 캡슐 제제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i) 캡슐의 내용물 및 피막 형성용 조성물을 각각 조제하는 것(이하, 조성물 조제 공정이라고 함), (ii) 얻어진 피막 형성용 조성물 내에, 내용물을 봉입하고, 성형, 건조하며, 중간체 제제를 얻는 것(이하, 성형 공정이라고 함), (iii) 얻어진 중간체 제제를 건조함으로써(이하, 건조 공정이라고 함) 적합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조성물 조제 공정에서는,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내용물, 및 피막 형성용 조성물을 각각 조제한다.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 피막 형성용 조성물은, 조성물에 함유되는 소정의 성분을 용해시킨 용액으로서 조제하면 된다.
성형 공정에서는, 피막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피막 내에,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내용물을 봉입하고, 성형, 건조하며, 중간체 제제를 얻는다.
본 개시의 소프트 캡슐 제제에 있어서, 피막 형성용 조성물에 대한 내용물의 봉입은, 종래 공지의 소프트 캡슐 제제의 제조법, 예를 들면 평판법 또는 로터리 다이법에 준하여 행할 수 있다.
건조 공정에서는, 성형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중간체 제제를 건조시킨다. 본 공정을 거침으로써, 완성품인 소프트 캡슐 제제가 얻어진다.
건조 공정에 적용되는 건조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텀블러 건조기(즉, 회전 드럼식 건조기) 등의 공지의 건조기를 사용할 수 있다.
건조 시의 온도, 시간 등의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 및 캡슐 피막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에 의하여,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소프트 캡슐 제제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타원(OVAL), 직사각형(OBLONG), 구상(ROUND) 등 어느 형상도 취할 수 있다. 이들 형상으로 하기 때문에, 당업계에서 주지의 방법 또는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음료)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물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희석하여 음료로 할 수 있다.
분말 등의 고체 제제로 한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물 등의 용매를 첨가하여 음료로 해도 된다.
음료로 하는 경우는, 음료의 전체량에 대하여,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바람직하게는 0.0001질량%~50질량%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질량%~20질량% 포함할 수 있다.
음료에는, 감미료, 향료, 산미료, 증점안정제, 산화 방지제 등을 배합함으로써, 음료로서의 맛 등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감미를 나타내는 재료이면 어떤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과즙, 당류 또는 고감미도 감미료 등을 들 수 있다. 당류로서, 포도당, 프룩토오스, 갈락토오스, 이성 과당 등의 단당류, 스크로스, 유당, 팔라티노스 등의 2당류, 프룩토 올리고당, 아이소말토 올리고당, 갈락토 올리고당, 팔라티노스 등의 올리고당류, 예를 들면 에리트리톨, 소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등의 단당 알코올류, 말티톨, 아이소말티톨, 락티톨 등의 2당 알코올류, 말토트라이이톨, 아이소말토트라이이톨, 파니톨 등의 3당 알코올류, 올리고당알코올 등의 4당 이상 알코올류 등의 당알코올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감미도 감미료로서, 스테비아, 아스파탐, 사카린, 글리시리진, 타우마틴, 수크랄로스, 아세설팜 K 등을 들 수 있다.
향료로서는, 예를 들면 천연 향료 및 합성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향료로서는, 예를 들면 초근, 목피, 꽃, 과실, 과피 또는 그 외 동식물을 소재로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조제된 향기 성분 함유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천연 향료로서는, 천연 소재를, 수증기 증류법, 압착법 또는 추출법 등에 의하여 처리하여 분리한 정유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향료로서는, 예를 들면 커피 유래 향료, 홍차 유래 향료, 녹차 유래 향료, 우롱차 유래 향료, 코코아 유래 향료, 허브 유래 향료, 스파이스 유래 향료, 프루츠 유래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음료는, 용기에 충전함으로써 용기캔 음료라고 해도 된다.
음료에 사용되는 용기로서는, 음료용 용기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PET 보틀, 종이 팩, 유리 용기, 알루미늄캔, 스틸캔 등을 들 수 있다.
음료의 pH는, 20℃에 있어서의 pH는 1.0~9.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5~7.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2.0~5.0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pH 1.0 이상이면 음용으로서 바람직하고, pH 9.0 이하이면, 음료로서의 풍미 안정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그들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 및 "부"는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조제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소프트 캡슐 제제, 식품(기능성 식품, 건강 식품, 음료 등), 의약품, 의약 부외품, 또는 화장품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1A~11A, 비교예 1A~4A]
1A.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각 성분을 각각 혼합하고, 용해하며, 수상 조성물 및 유상 조성물을, 각각 얻었다. 얻어진 수상 조성물 및 유상 조성물을, 마그네틱 스터러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혼합액을 얻었다.
또한 스터러로 교반을 계속하면서, 혼합액을 70℃로 30분간 가온한 후, TK 호모 믹서(프라이믹스 주식회사)를 이용하여 3000rpm(revolutions per minute, 이하 동일)으로 3분간 전단력을 부여하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조제했다.
얻어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고압 분산 장치인 스타 버스트 미니기((주)스기노 머신)로 200MPa의 압력으로 3회 처리함으로써, 실시예 1A~11A 및 비교예 1B~4B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얻었다.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각 성분의 상세는 이하와 동일하다.
·아스타잔틴: ASTOTS(등록 상표)-S(상품명, 헤마토코쿠스 조류 유래 아스타잔틴 함유유, 아스타잔틴 20질량% 함유, 중쇄 지방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 함유, 후지필름(주))
·트라이(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 O.D.O(상품명, 닛신 오일리오(주))
·효소 분해 레시틴: SLP-화이트리조(상품명, 쓰지 세이유(주))
·자당 지방산 에스터 1: DK 에스터 SS(상품명,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주))
·자당 지방산 에스터 2: 료토 슈가 에스터 S-1670(상품명,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주))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포엠 J-0381 V(상품명, 리켄 비타민(주))
·믹스 토코페롤(비타민 E 혼합물): 리켄 E 오일 800(상품명, 리켄 비타민(주))
·글리세린: 식품 첨가물 그레이드
·수용성 차추출물 1: 폴리페논 70S(상품명, 차 폴리페놀 80% 함유, 미쓰이 노린(주))
·수용성 차추출물 2: 선푸드 100(상품명,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주))
·수용성 항산화제: L-아스코브산 나트륨(미쓰비시 가가쿠 푸즈(주))
·유용성 차추출물: 선푸드 유성(상품명,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주))
·항산화제 B: 로즈마리 추출물(닛신 오일리오(주))
·물: 정제수
표 1 및 표 2 중의 각 성분에 대하여 나타내는 수치는, 각 성분의 함유율(질량%)을 나타낸다.
표 1 및 표 2 중, 각 성분의 함유량에 있어서의 "-"의 기재는, 해당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2A.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평가 A1
얻어진 각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2A-1.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악취
얻어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아스타잔틴의 농도가 6mg/100g이 되도록, 미네랄 워터에 용해시키고, 음료 조성물을 조제했다.
조제한 음료 조성물을 8명의 피험자로 음용하며, 조류 냄새(입에 넣고, 코로부터 흘러나오는 조류와 같은 비린내 또는 생선 비린내)에 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 단계의 수치로 평가했다. 얻어진 각각의 수치를 산술 평균한 평균값을, 이하에 나타내는 A, B 또는 C로 랭크를 부여하여, 평가 결과로 했다.
<평가 단계>
-2: 조류 냄새가 없고, 마시기 쉽다.
0: 조류 냄새가 약간 있지만, 마실 수 있다.
+2: 조류 냄새가 분명히 있고, 마실 수 없다.
<평균값>
A: -1.0점 이하
B: -1.0점 초과 0.5점 이하
C: 0.5점 초과 1.5점 이하
D: 1.5점 초과
2A-2. 실온에서의 유화 안정성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조제 후, 60℃에서 1주간 보존한 후, 육안으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침전의 유무를 관찰하며,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 기준에 의하여 평가했다.
여기에서, 60℃에서 1주간의 보존 기간은, 실온(25℃)에서 약 1년간 보존한 기간에 상당한다. 또한, A 및 B는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다.
<평가 기준>
A: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중에 침전은 확인되지 않는다.
B: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중 약간의 부유물이 확인된다.
C: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중에 석출, 침전이 확인되거나, 상분리가 확인된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실시예 1A~11A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모두 아스타잔틴의 원료 유래의 악취가 억제되며, 실온에서의 유화 안정성도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이었다.
3A.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평가 A2
실시예 1A~11A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3A-1.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점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조제 후, 진동식 점도계(제품 번호: VM-10A-L, 애즈원(주))를 이용하여 25℃에서의 점도(mPa·s)를 측정했다.
3A-2.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제조 적성
각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고압 유화 장치(스타 버스트 미니, 스기노 머신(주)제)에서 압력 200MPa, 구멍 직경 0.15μm의 분사 노즐을 이용한 노즐 분사 방식에 의하여 어떤 패스 처리 가능한지 확인했다.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 기준에 의하여 평가했다.
<평가 기준>
A: 3패스 이상 가능
B: 2패스 가능
C: 1패스는 가능하지만, 2패스 이상의 처리가 약간 어려움
3A-3. 저온에서의 유화 안정성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조제 후, 10℃에서 1개월 보존한 후, 육안으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침전의 유무를 관찰하며, 이하에 나타내는 기준에 의하여 평가했다. 또한, A 및 B는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다.
<평가 기준>
A: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중에 침전은 확인되지 않는다.
B: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중 약간의 부유물이 확인된다.
[표 3]
Figure pct00003
실시예 1A~11A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모두 저온에서의 유화 안정성도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이었다. 또, 실시예 1A~11A는 모두 고압 유화 처리가 가능하고, 제조 적성이 우수했다. 특히, 점도가 600mPa·s 이하의 실시예 3A~5A 및 7A~11A는 3패스 이상 처리가 가능하고, 입자경이 작은 수중유형 유화물을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B~12B, 비교예 1B]
1B.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4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각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용해하며, 수상 조성물 및 유상 조성물을, 각각 얻었다.
유상 조성물에 대해서는, 조제 후, 활성탄 처리를 실시했다. 활성탄 처리의 유무에 대해서는 표 4 중에 기재를 했다.
얻어진 수상 조성물 및 유상 조성물을, 마그네틱 스터러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혼합액을 얻었다.
또한, 스터러로 교반을 계속하면서, 혼합액을 70℃로 30분간 가온한 후, TK 호모 믹서(프라이믹스 주식회사)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3분간 전단력을 부여하여,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조제했다.
얻어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고압 분산 장치인 스타 버스트 미니기((주)스기노 머신)로 200MPa의 압력으로 3회 처리함으로써, 실시예 1B~12B 및 비교예 1B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얻었다.
표 4에 나타내는 각 성분의 상세는, 이하와 동일하다.
·헤마토코쿠스 조류 색소 1: ASTOTS(등록 상표)-S(상품명, 헤마토코쿠스 조류 유래 아스타잔틴 함유유, 색가 2000~5000, 아스타잔틴 20질량% 함유, 중쇄 지방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 함유, 2,4-헵타다이에날량의 함유량 A: 6.2mg/kg, 농도 1질량%아스타잔틴 함유 수중유형 유화물 100질량부당 환산한 2,4-헵타다이에날의 함유량 (B): 31.0mg/kg, 후지필름(주)).
·헤마토코쿠스 조류 색소 2: ASTOTS(등록 상표)-SS(상품명, 헤마토코쿠스 조류 유래 아스타잔틴 함유유, 색가 5000~7500, 아스타잔틴 35질량% 함유, 중쇄 지방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 함유, 2,4-헵타다이에날의 함유량 A: 4.5mg/kg, 농도 1질량%의 아스타잔틴 함유 수중유형 유화물 100질량부당 환산한 2,4-헵타다이에날의 함유량 (B): 12.9mg/kg, 후지필름(주))
·트라이(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 O.D.O(상품명, 닛신 오일리오(주))
·효소 분해 레시틴: SLP-화이트리조(상품명, 쓰지 세이유(주))
·자당 지방산 에스터 1: DK 에스터 SS(상품명,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주))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1: Nikkol Decaglyn1-M(상품명, 닛코 케미컬즈(주), 데카글리세린모노미리스트산 에스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2: Nikkol Decaglyn1-L(상품명, 닛코 케미컬즈(주), 데카글리세린모노라우린산 에스터)
·믹스 토코페롤(비타민 E 혼합물): 리켄 E 오일 800(상품명, 리켄 비타민(주))
·글리세린: 식품 첨가물 그레이드
·수용성 차추출물 1: 폴리페논 70S(상품명, 차 폴리페놀 함유량: 80%, 중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함유량: 20~30%, 미쓰이 노린(주))
·수용성 차추출물 2: N테아푸란 90S(상품명, 차 폴리페놀 함유량: 90%, 중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함유량: 40~50%, 이토엔(주))
·수용성 차추출물 3: 산페논 EGCG-OP(상품명, 차 폴리페놀 함유량: 95%, 중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함유량: 94% 이상, 다이요 가가쿠(주))
·물: 정제수
표 4 중의 각 성분에 대하여 나타내는 수치는, 각 성분의 함유율(질량%)을 나타낸다.
표 4 중, 각 성분의 함유량에 있어서의 "-"의 기재는, 해당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2B.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평가 B1
얻어진 각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2B-1.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악취
상술한 2A-1과 동일한 절차로 평가했다.
2B-2. 실온에서의 유화 안정성
상술한 2A-2와 동일한 절차로 평가했다.
3B.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평가 B2
실시예 1B~12B 및 비교예 1B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3B-1.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점도
상술한 3A-1과 동일한 절차로 평가했다.
3B-2.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제조 적성
상술한 3A-2와 동일한 절차로 평가했다.
3B-3. 저온에서의 유화 안정성
상술한 3A-3과 동일한 절차로 평가했다.
[표 4]
Figure pct00004
4B.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평가 B3
4B-1.2,4-헵타다이에날의 함유량
실시예 2B, 7B 및 비교예 1B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2,4-헵타다이에날의 함유량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1) 검량선의 제작
2,4-헵타다이에날 표준액(농도 1000ppm, 후지필름 와코 준야쿠(주))을, 2,4-헵타다이에날의 농도가, 10ppb, 50ppb, 250ppb, 500ppb가 되도록 하여 글리세린 40질량% 수용액(후지필름 와코 준야쿠(주))을 이용하여 희석하고, 검량선 제작용 시료 용액을 각각 조제했다.
이어서, 각 검량선 제작용 시료 용액 1mL를 채취하여 헤드 스페이스 바이얼에 봉입하여 검량선 제작용 샘플을 조정하고, 헤드 스페이스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 장치(HS/GC-MS: Head Space-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피크 면적을 측정했다. 측정 장치 및 측정 조건은 이하에 나타낸다.
계속해서, 각 검량선 제작용 샘플의 2,4-헵타다이에날의 농도에 대하여 대응하는 피크 면적을 플롯하고, 검량선을 제작했다.
<측정 장치>
HS부: HS-20, (주)시마즈 세이사쿠쇼
GC-MS부: GSMS-QP2020, (주)시마즈 세이사쿠쇼
<측정 조건>
·헤드 스페이스 조건
오븐 온도: 80℃
보온 시간: 30min
·GC/MS 조건
칼럼: 40℃(5min hold)→250℃(15min hold)
스플릿비: 10:1
검출: SIM 모드(m/z=81)
(2) 시료 중의 2,4-헵타다이에날의 함유량의 평가
실시예 2B, 7B 및 비교예 1B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각각 1mL 채취하여 헤드 스페이스 바이얼에 봉입하여 각 측정 샘플을 조정하며, (1)에서 기재한 측정 장치, 측정 조건에 따라, 헤드 스페이스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 장치로 피크 면적을 측정했다.
얻어진 피크 면적을 (1)에서 제작한 검량선에 내삽하고, 각 측정 샘플 중의 2,4-헵타다이에날의 함유량 (A)를 구했다.
계속해서, 식 (1)에 의하여, 농도 1질량% 아스타잔틴 함유 수중유형 유화물 100질량부당 환산한 2,4-헵타다이에날의 함유량 (B)를 구했다.
(B)=(A)/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중의 아스타잔틴 함유율…식 (1)
4-2.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한 악취의 평가
이하에 나타내는 패널 선정용 기준을 충족시키는 전문 패널리스트 12명에 의한, 실시예 2B, 실시예 7B 및 비교예 1B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악취의 평가를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2B, 실시예 7B 및 비교예 1B의 각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실온(25℃)에 방치하고 시료 온도를 실온으로 되돌린 후, 전문 패널리스트에게 음용시켜, 이하의 단계에서 평가하며, 산술 평균한 평균값을 이용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패널 선정용 기준>
패널 선정용 기준취[다이이치 야쿠힝 산교 주식회사]에 의하여 후각 정상자로 판단되고, 또한 0.4% 자당, 0.02% 시트르산, 0.13% 식염, 0.05% 글루타민산 나트륨 및 0.03% 카페인의 수용액의 맛이 올바르게 식별할 수 있는 자.
<평가 기준>
조류 냄새(입에 넣어, 코로부터 흘러나오는 조류와 같은 비린내 또는 생선 비린내)를 느끼는 정도의 강도를, 비교예 1B를 0점으로하여 이하와 동일하게 랭크를 부여했다.
3점: 매우 강함
2점: 강함
1점: 조금 강함
0점: 차가 없음
-1점: 조금 약함
-2점: 약함
-3점: 매우 약함
얻어진 채점 결과에 대하여, t검정에 의한 유의차의 평가를 확인한바, 모두 1% 유의 수준이 확인되었다.
[표 5]
Figure pct00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2,4-헵타다이에날 함유량 (A)를 저감시키고, 또한 차 폴리페놀을 20질량% 이상 함유하는 수용성 차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2B 및 실시예 7B에서는, 2,4-헵타다이에날 함유량 A를 저감시키지 않은 비교예 1B보다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한 악취 평가가 양호했다. 특히, 농도 1질량% 아스타잔틴 함유 수중유형 유화물 100질량부당 환산한 2,4-헵타다이에날의 함유량 (B)를 저감시킨 실시예 2B는 더 양호한 평가 결과였다.
또, 이상의 결과로부터, 2,4-헵타다이에날의 함유량과 인간이 감지하는 악취의 정도에는 상관성이 있는 것이 나타났다.
2017년 9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7-190995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하여 원용되는 것이 구체적이고 개개에 기재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하여 원용된다.

Claims (14)

  1. 아스타잔틴, 유성 성분, 효소 분해 레시틴, 자당 지방산 에스터, 수용성 차추출물, 및 물을 포함하며,
    수용성 차추출물이, 수용성 차추출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차 폴리페놀을 20질량% 이상 함유하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한 아스타잔틴의 함유율이 0.1질량%~20.0질량%이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한 수용성 차추출물의 함유율이 0질량% 초과 20.0질량% 이하인,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더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자당 지방산 에스터 및 효소 분해 레시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만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함유하며,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의 함유율이 2질량% 이상 22질량% 이하의 범위인,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차추출물이 수상에 포함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당 지방산 에스터는, 자당 지방산 에스터의 전체 질량에 대한 모노 치환체의 비율이 75질량% 이상인,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당 지방산 에스터를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효소 분해 레시틴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0001질량% 이상 7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리세린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더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차추출물이 수용성 차추출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차 폴리페놀을 80질량% 이상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성 성분이, 중쇄 지방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및 동식물성 유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품 첨가물 용도인,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음료.
KR1020207006149A 2017-09-29 2018-09-28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과, 이것을 포함하는 식품 및 음료 KR102445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0995 2017-09-29
JPJP-P-2017-190995 2017-09-29
PCT/JP2018/036573 WO2019066068A1 (ja) 2017-09-29 2018-09-28 水中油型乳化組成物、並びに、これを含む食品及び飲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789A true KR20200034789A (ko) 2020-03-31
KR102445766B1 KR102445766B1 (ko) 2022-09-20

Family

ID=6590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149A KR102445766B1 (ko) 2017-09-29 2018-09-28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과, 이것을 포함하는 식품 및 음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3) JPWO2019066068A1 (ko)
KR (1) KR102445766B1 (ko)
CN (1) CN111107754A (ko)
WO (1) WO2019066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555B1 (ko) * 2019-12-19 2022-02-09 주식회사 디네이쳐바이오랩스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960492A (zh) * 2019-12-30 2020-04-07 福建启元堂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虾青素冻干粉及其制备方法
JP7407643B2 (ja) * 2020-04-02 2024-01-04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中鎖脂肪酸トリグリセリドとアスコルビン酸とを含有する加熱殺菌済み容器詰め飲料
KR102431821B1 (ko) * 2021-11-22 2022-08-12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오일, 말토덱스트린 및 펙틴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246332B (zh) * 2021-12-22 2023-08-08 无锡江大百泰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增加食品营养保健功效的食品添加剂的制备方法
CN114246303B (zh) * 2021-12-27 2022-10-04 无锡江大百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蛋黄制品的食品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4577A (ja) * 2006-12-01 2008-07-10 Fujifilm Corp エマルション組成物、該エマルション組成物を含む食品及び化粧品
JP2008280257A (ja) * 2007-05-08 2008-11-20 Fujifilm Corp 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の凝集防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3218B2 (ja) * 2006-04-11 2008-10-08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ヘマトコッカス藻色素乳化組成物
JP2008245588A (ja) * 2007-03-30 2008-10-16 Nisshin Pharma Inc 乳化剤組成物及び水中油型エマルジョン
JP4910927B2 (ja) * 2007-07-26 2012-04-04 日油株式会社 アスタキサンチン含有乳化物、および製造方法
JP5675079B2 (ja) * 2009-10-29 2015-02-25 富士化学工業株式会社 安定な脂溶性成分含有エマルジョン組成物
EP3187181B1 (en) * 2014-08-29 2019-10-09 Fuji Chemical Industries Co., Ltd. Emulsion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4577A (ja) * 2006-12-01 2008-07-10 Fujifilm Corp エマルション組成物、該エマルション組成物を含む食品及び化粧品
JP2008280257A (ja) * 2007-05-08 2008-11-20 Fujifilm Corp 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の凝集防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07754A (zh) 2020-05-05
KR102445766B1 (ko) 2022-09-20
WO2019066068A1 (ja) 2019-04-04
JPWO2019066068A1 (ja) 2020-04-02
JP2021177782A (ja) 2021-11-18
JP2023086983A (ja)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5766B1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과, 이것을 포함하는 식품 및 음료
US8906424B2 (en) Licorice polyphenol preparation
EP2172223B1 (en) Composition containing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EP2172196B1 (en) Composition containing coenzyme q10
KR20140040754A (ko) 아스타크산틴 함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화장료
JPWO2006035900A1 (ja) コエンザイムq10含有乳化組成物
KR20090003258A (ko) 감초 폴리페놀 함유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JP2009142180A (ja) 容器詰飲料
JP2000229118A (ja) 消臭・酸化防止用茶抽出物含有組成物
EP3693415A1 (en) Defoaming and/or foam suppressing method for naturally derived water soluble colorant or substance including same
JP2018512879A (ja) ナノ粒子、ナノエマルション、及び混合室微粒子化によるそれらの形成
JPWO2018190203A1 (ja) 酸化防止剤分散物
JP5631941B2 (ja) 容器詰飲料
JP5878590B2 (ja) 容器詰飲料
JP2017186320A (ja) 乳化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ソフトカプセル製剤
JP2019135217A (ja) 粉状組成物、粉状組成物の製造方法、ドライアイ改善剤、肌質改善剤、飲食物、化粧品、及びペットフード
JP6317288B2 (ja) 飲料組成物
WO2013031949A1 (ja) ソフトカプセル製剤、ソフトカプセル製剤用組成物、及びソフトカプセル製剤の製造方法
JP7225374B2 (ja) 乳化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飲料
JP2012040018A (ja) 容器詰飲料
JP2018201344A (ja) 植物抽出物を含む水溶化粉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