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827A - 음성 신호 처리 장치, 음성 신호 처리 방법 및 음성 신호처리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음성 신호 처리 장치, 음성 신호 처리 방법 및 음성 신호처리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827A
KR20080013827A KR1020070080044A KR20070080044A KR20080013827A KR 20080013827 A KR20080013827 A KR 20080013827A KR 1020070080044 A KR1020070080044 A KR 1020070080044A KR 20070080044 A KR20070080044 A KR 20070080044A KR 20080013827 A KR20080013827 A KR 20080013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sound source
volume
volume balan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아끼 기미지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3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7Two-channel systems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72Voice signal separat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3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tereophonic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사이의 음량 밸런스를, 유저의 기호에 따르도록 자동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2)에서,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의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 등에 의해 미리 지시되는 음원의 제1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제2 음성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한 제1 음성 신호와 제2 음성 신호의 음량 밸런스를 측정하고, 이 측정 결과와,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의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따라서, 제1 음성 신호에 대한 음량의 조정값과, 제2 음성 신호에 대한 음량의 조정값을 특정하고, 이들을 이용해서, 처리 대상의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음성 신호와 제2 음성 신호의 음량 밸런스를 조정한다.
D/A 컨버터, 시스템 컨트롤러, 리모트 커맨더, ROM, RAM, CPU, EEPROM, 재생 장치, 마이크로폰, 기록 매체 드라이브

Description

음성 신호 처리 장치, 음성 신호 처리 방법 및 음성 신호 처리 프로그램{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PROCESSING AUDIO SIGNAL}
본 발명은, 임의의 각도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나 목적으로 하는 종류의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 음성 신호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장치, 방법,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CD(Compact Disc)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에 수록되는 콘텐츠나, TV(텔레비전) 방송프로 등의 콘텐츠에서의 음성 신호에는 다양한 종류의 음원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음악을 수록한 콘텐츠이면, 노래 소리나 악기의 음 등이라고 하는 음원이 포함된다. 또한, TV 방송프로로서의 콘텐츠이면, 출연자의 소리나 효과음, 웃음소리, 박수 등이라고 하는 음원이 포함된다.
이들 음원은, 수록시에는 각각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록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 경우에도 음성 신호 자체는 최종적으로는 2채널(2ch)이나 5.1채널(5.1ch) 등의 미리 정해진 채널수로 좁혀지게 된다. 이때, 믹싱 등이 행해짐으로써, 각각의 음원이 각각 대응하는 각도에 정위하도록 조정되게 된다. 또한, 이 명세서에서는, 「채널」이라고 하는 문언을 상기 괄호 안에 나타낸 바와 같이 「ch」라고 약 칭해서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복수의 음원이 혼합된 음성 신호로부터 복수의 음원의 음성 신호를 분리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이하의 특허 문헌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6-12115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6-080708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 2006-014220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음원이 혼합된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재생 장치나 TV 수상기측 등에서 재생(수신·복조)되면, 그 재생 음성에 포함되는 복수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각각이, 수록시에 조정된 정위 각도를 재현해서 얻어진다.
그러나, 유저의 기호 등에 의해, 제작측에서 의도한 음원의 정위감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임의의 각도에 정위하고 있는 임의의 주파수 범위의 음원의 음량을 추출하거나, 임의의 각도에 정위하고 있는 임의의 주파수 범위의 음원의 음량을 변경하는 등, 콘텐츠를 즐기는 방법의 폭을 넓히는 등의 궁리도 요청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자는, 선행 특허 출원(일본 특원 2005-327237(정리 번호 0590529003))에서, 임의의 각도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만을 추출하거나, 소거하거나, 음량을 조정하거나 하는 등, 정위 각도마다 음원의 조정을 행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이 방법은, 유저 자신이 조작을 행하면서 조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유저의 기호를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각 음원의 음성 신호의 음량은 콘텐츠마다·장면마다에 따라 서로 다르기 때문에, 또한, 임의의 각도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종류가 콘텐츠마다·장면마다에 따라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콘텐츠를 재생할 때에 다시 유저 자신이 조정할 필요가 있어 번거로운 경우가 있다.
이상의 것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미리 지시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사이의 음량 밸런스를, 유저를 빈번히 번거롭게 하지 않고, 유저의 기호에 따라서 자동 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음성 신호 처리 장치는, 처리 대상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 미리 지시되는 음원의 음성 신호인 제1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인 제2 음성 신호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서 분리되는 상기 제1 음성 신호와 상기 제2 음성 신호의 음량 밸런스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의 측정 결과와, 상기 제1 음성 신호와 상기 제2 음성 신호에 대한 미리 지시되는 목적으로 하는 음량 밸런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음성 신호에 대한 음량의 조정값과, 상기 제2 음성 신호에 대한 음량의 조정값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특정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제1 음성 신호에 대한 음량의 조정값과, 상기 제2 음성 신호에 대한 음량의 조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 대상의 음성 신호의 음량 밸런스를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음성 신호 처리 장치에 따르면, 처리 대상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 우선, 미리 지시되는 음원의 음성 신호(제1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제2 음성 신호)가,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다. 예를 들 면, 처리 대상의 음성 신호가, 사람의 소리의 음성 신호(제1 음성 신호)와, 사람의 소리 이외의 음성 신호(제2 음성 신호)로 분리된다. 그리고, 측정 수단에 의해, 제1 음성 신호와 제2 음성 신호의 음량 밸런스가 측정된다.
그리고, 측정 수단에 의한 측정 결과와, 미리 지시되는 제1 음성 신호와 제2 음성 신호에 대한 목적으로 하는 음량 밸런스(유저의 기호에 맞는 음량 밸런스)에 기초하여, 특정 수단에 의해, 제1 음성 신호에 대한 음량의 조정값과, 제2 음성 신호에 대한 음량의 조정값이 특정된다. 이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조정값에 기초하여, 조정 수단에 의해, 제1 음성 신호에 대한 음량과 제2 음성 신호에 대한 음량이 조정됨으로써, 제1 음성 신호와 제2 음성 신호의 음량 밸런스가 조정된다.
이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인 제1 음성 신호를 두드러지게 하고, 그 이외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는 두드러지지 않도록 하는 등의 음량 밸런스의 조정을, 유저를 빈번히 번거롭게 하지 않고, 유저의 기호에 따르도록 자동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음성 신호 처리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음성 신호 처리 장치로서, 상기 분리 수단은, 미리 지시되는 분리 각도 내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를 상기 제1 음성 신호로 하고, 상기 분리 각도 외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를 상기 제2 음성 신호로 하여, 상기 처리 대상의 음성 신호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음성 신호 처리 장치에 따르면, 분리 수단에 의해, 미리 지시된 방향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분리 각도 범위 내의 음성 신호)를 제1 음성 신호로 하고,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분리 각도 범위 외의 음성 신호)를 제2 음성 신호로 하여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방향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를 두드러지게 하고,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를 두드러지지 않도록 하는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음성 신호 처리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음성 신호 처리 장치로서, 상기 분리 수단은, 미리 지시되는 소정의 음원의 음성 신호를 상기 제1 음성 신호로 하고, 상기 소정의 음원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를 상기 제2 음성 신호로 하여, 상기 처리 대상의 음성 신호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음성 신호 처리 장치에 따르면, 분리 수단에 의해, 미리 지시된 음원의 음성 신호를 제1 음성 신호로 하고,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를 제2 음성 신호로 하여,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를 두드러지게 하고,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를 두드러지지 않도록 하는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지시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음량 밸런스를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항상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로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방법, 프로그램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재생 장치(10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하는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방법, 프로그램을 음성 신호의 재생 장치(이하, 간단히 재생 장치라고 함)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이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는, 미디어 재생부(1), 음성 신호 처리부(2), D/A 컨버터(Digital/Analog Converter)(3), 시스템 컨트롤러(4), 조작부(5), 커맨드 수신부(6)를 구비함과 함께, 리모트 커맨더(10)를 통해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미디어 재생부(1)는, 예를 들면 CD(Compact Disc)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혹은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등의 광 디스크 기록 매체나, MD(Mini Disc(등록 상표)) 등의 광 자기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를 내장한 기록 매체 등, 주어진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신호를 판독하여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미디어 재생부(1)가 대응하는 기록 매체에는, Lch(좌채널)과 Rch(우채널)에 의한 2계통의 음성 신호에 의한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미디어 재생부(1)로 재생된 이들 Lch, Rch의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처리부(2)에 공급된다.
음성 신호 처리부(2)는, 미디어 재생부(1)로부터의 Lch, Rch의 음성 신호와, 후술하는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의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 및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따라서, 지시된 각도 내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지시된 각도 외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 각각에 대해서 주어진 음성 신호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2)의 내부 구성 및 구체적인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음성 신호 처리부(2)에서, 주어진 음성 신호 처리가 실시된 Lch의 음성 신호 Lex와, Rch의 음성 신호 Rex는 D/A(Digital/Analog) 컨버터(3)에 공급된다.
D/A 컨버터(3)는, 음성 신호 처리부(2)로부터의 디지털 신호인 음성 신호 Lex를 아날로그의 Lch의 음성 신호 L로 변환하고, 음성 신호 처리부(2)로부터의 디지털 신호인 음성 신호 Rex를 아날로그의 Rch의 음성 신호 R로 변환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신호로 된 Lch의 음성 신호 L과 Rch의 음성 신호 R을 출력한다. 이에 의해, 음성 신호 처리부(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주어진 신호 처리가 실시된 Lch와 Rch의 음성 신호가 예를 들면 스피커에 공급되어 재생 음성을 스피커로부터 방음할 수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4)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PU(Central Processing Unit)(41), ROM(Read Only Memory)(42), RAM(Random Access Memory)(43),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44)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가 CPU 버스(45)를 통해서 접속되어 형성된 마이크로컴퓨터이며, 이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의 각 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시스템 컨트롤러(4)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5)와 커맨드 수신부(6)가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5)는, 해당 재생 장치(100)의 케이스 외부에 표출하도록 설치된 각종의 조작자를 구비한다. 조작부(5)는 각종의 조작자에 대한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고, 접수한 조작 입력에 따른 커맨드 신호를 생성하여, 이 커맨드 신호를 시스템 컨트롤러(4)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커맨드 수신부(6)는, 리모트 커맨더(10)로부터 발생한 예를 들면 적외선신호 등에 따른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고, 이것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시스템 컨트롤러(4)에 공급한다. 리모트 커맨더(10) 상에도 각종의 조작자가 설치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커맨드 수신부(6)는, 이들 리모트 커맨더(10) 상의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적외선 등의 커맨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해서 시스템 컨트롤러(4)에 공급한다.
시스템 컨트롤러(4)는, 조작부(5) 또는 커맨드 수신부(6)로부터의 커맨드 신호에 따라서, 이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의 각 부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재생 장치(100)에서는 유저의 조작 입력에 따른 동작이 실행된다. 예를 들면, 조작부(5)나 리모트 커맨더(10)에는 미디어 재생부(1)에 장전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재생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자가 구비되어 있다. 해당 조작자에 대한 조작에 따른 커맨드 신호가 입력되면, 시스템 컨트롤러(4)는 미디어 재생부(1)를 제어해서 콘텐츠의 재생 처리를 개시시킬 수 있다.
도 2는, 이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의 리모트 커맨더(10)의 외관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제1 실시 형태에서, 리모트 커맨 더(10) 상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방향 키(10a), 좌방향 키(10b), 상방향 키(10c), 하방향 키(10d)로 이루어지는 방향 지시를 위한 조작자와, 실행키(10e)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실시 형태에서, 유저는, 우방향 키(10a) 또는 좌방향 키(10b)를 조작함으로써, 재생 장치(100)에 대하여, 분리하는 정위 각도를 지시(지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상방향 키(10c) 또는 하방향 키(10d)를 조작함으로써, 재생 장치(100)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지시된 각도 내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지시된 각도 외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 각각의 음량 밸런스를 지시(지시 입력)할 수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4)는, 도 2에 도시한 리모트 커맨더(10)의 우방향 키(10a), 좌방향 키(10b)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따른 커맨드 신호의 입력에 따라서, 음성 신호 처리부(2)에 공급할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을 생성한다. 즉,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은, 우방향 키(10a), 좌방향 키(10b)를 통해서 접수한 유저로부터의 지시 입력(분리 각도 지시 정보)에 따라서 생성되는 분리 정위 각도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시스템 컨트롤러(4)는, 도 2에 도시한 리모트 커맨더(10)의 상방향 키(10c), 하방향 키(10d)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따른 커맨드 신호의 입력에 따라서, 음성 신호 처리부(2)에 공급할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를 생성한다. 즉,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는, 상방향 키(10c), 하방향 키(10d)를 통해서 접수한 유저로부터의 지시 입력(음량 밸런스 지시 정보)에 따라서 생성되는 음량 밸런스를 나 타내기 위한 정보이다.
이와 같이, 이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에서는, 미디어 재생부(1)에 장전된 기록 매체(미디어)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신호를 재생하기에 앞서, 시스템 컨트롤러(4)가,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를 생성하고, 음성 신호 처리부(2)에 공급한다. 여기에서, 시스템 컨트롤러(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리모트 커맨더(10)를 통해서 입력되는 유저로부터의 분리 각도 지시 정보, 음량 밸런스 지시 정보의 입력을 접수한다.
이에 의해, 재생 장치(100)는, 유저로부터의 분리 각도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를 받아, 지시된 각도 내(분리 각도 내(분리 각도 범위 내))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지시된 각도 외(분리 각도 외(분리 각도 범위 외))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 각각의 음량 밸런스를 판별한다. 그리고, 자동적으로 음량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매회 유저에 의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로 음성 신호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리 각도 지시 정보와 음량 밸런스 지시 정보의 입력은, 목적으로 하는 음성 신호를 재생할 때마다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미리 재생 장치(100)에 입력해 두고, 예를 들면, 시스템 컨트롤러(4)의 EEPROM(44)에 기억 유지해 두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해 둠으로써, 분리 각도 지시 정보와 음량 밸런스 지시 정보를 최초에 한번만 입력해 두면, 그 후에는 반복 입력할 필요는 없어진다. 즉, EEPROM(44)에 기억 유지한 분리 각도 지시 정보와 음량 밸런스 지시 정보를 이용하 여,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과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를 생성하고, 이것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매회 유저에 의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로 음성 신호의 재생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악곡 등의 재생 대상으로 되는 한 무리의 음성 데이터의 식별 정보와, 미리 입력하도록 한 분리 각도 지시 정보 및 음량 밸런스 지시 정보를 대응지어서 EEPROM(44)에 기억 유지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그에 의해,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마다 적절한 분리 각도 지시 정보와 음량 밸런스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음량 밸런스를 적절하게 조정하고, 재생되는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이 밖에, 분리 각도 지시 정보와 음량 밸런스 지시 정보를 복수 기억 유지하고, 음성 신호를 재생하기에 앞서,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에 맞추어, 어느 분리 각도 지시 정보와 어느 음량 밸런스 지시 정보를 이용할지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고, 지시된 분리 각도 지시 정보와 음량 밸런스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과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를 생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음성 신호 처리부(2)의 제1 구성예와 동작에 대해서]
도 3은, 이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의 음성 신호 처리부(2)의 제1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 예의 음성 신호 처리부(2)는, 처리 대상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 우선, 지시된 각도 내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지시된 각도 외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를 분리한다. 그 후 음량 밸런스를 측정하고, 지시된 음량 밸런스에 기초하여 음량 밸런스를 조정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예의 음성 신호 처리부(2)는, 분리 처리 회 로(21)와, 음량 밸런스 측정 회로(22)와,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를 구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 처리 회로(21)에는, Lch와 Rch의 좌우 2채널의 음성 신호와,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이 공급된다.
분리 처리 회로(21)는,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의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에 따라서, 공급된 Lch와 Rch의 음성 신호의 각각에 대해서, 지시된 각도 내(분리 각도 범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 Li, Ri(문자 i는, inner(내측)의 약자), 및, 지시된 각도 외(분리 각도 범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Lo, Ro(문자 o는, outer(외측)의 약자)로 분리한다. 그리고, 이들 4개의 신호의 각각을, 음량 밸런스 측정 회로(22) 및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에 출력한다.
또한, 분리 처리 회로(21)는,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에 따라서, 지시된 각도 내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지시된 각도 외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로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회로이면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일본 특원 2005-327237(정리 번호 0590529003)에 기재되어 있는 회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음량 밸런스 측정 회로(2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 처리 회로(21)에서 분리 처리된 Lch의 정위 각도 내(분리 각도 내)의 음성 신호 Li와, Rch의 정위 각도 내(분리 각도 내)의 음성 신호 Ri와, Lch의 정위 각도 외(분리 각도 외)의 음성 신호 Lo와, Rch의 정위 각도 외(분리 각도 외)의 음성 신호 Ro의 공급을 받아, 지정된 각도 내와 각도 외의 음량 밸런스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 시 스템 컨트롤러(4)로부터의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따라서, 분리 각도 내의 음성 신호와 분리 각도 외의 음성 신호가 적합한 음량 밸런스로 되도록, 분리 각도 내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i와, 분리 각도 외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를 결정하고, 이들을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에 공급한다.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처리 회로(21)에서 분리 처리된 Lch의 분리 각도 내의 음성 신호 Li와, Rch의 분리 각도 내의 음성 신호 Ri와, Lch의 분리 각도 외의 음성 신호 Lo와, Rch의 분리 각도 외의 음성 신호 Ro와, 음량 밸런스 측정 회로(22)로부터의 분리 각도 내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i와, 분리 각도 외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의 공급을 받고,하기 [수학식 1]에 따른 연산을 행하여, Lch의 출력 음성 신호 Lex와 Rch의 출력 음성 신호 Rex를 생성하고, 이들을 출력한다.
Figure 112007057821790-PAT00001
음량 밸런스 측정 회로(22)에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음량 밸런스를 측정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생각된다. 여기에서 그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Lch의 분리 각도 내의 음성 신호 Li와 Rch의 분리 각도 내의 음성 신호 Ri와의 합 신호(Li+Ri=sum_inner)와, Lch의 분리 각도 외의 음성 신호 Lo와 Rch의 분리 각도 외의 음성 신호 Ro와의 합 신호(Lo+Ro=sum_outer)를 예를 들면 각각 5초간 감시하고, 그동안의, 분리 각도 내의 합 신호(sum_inner)의 음량 피크값(peak_inner)과 분리 각도 외의 합 신호(sum_outer)의 음량 피크값(peak_outer)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산출한 분리 각도 내의 합 신호(sum_inner)의 음량 피크값(peak_inner)과 분리 각도 외의 합 신호(sum_outer)의 음량 피크값(peak_outer)의 비에 따라서, 처리 대상의 음성 신호에 대한 분리 각도 내와 분리 각도 외의 음량 밸런스를 파악한다. 그리고, 이 파악한 분리 각도 내와 분리 각도 외의 음량 밸런스와,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의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의해, 분리 각도 내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i와, 분리 각도 외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의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가, 분리 각도 내의 음성 신호와 분리 각도 외의 음성 신호의 음량비를 1:1(1대1)로 하는 것을 지시하고 있고, 또한, 분리 각도 내의 합 신호(sum_inner)의 음량 피크값(peak_inner)과 분리 각도 외의 합 신호(sum_outer)의 음량 피크값(peak_outer)의 비가 1:2(1대2)인 경우에는, 분리 각도 내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i를 「1.5」로 하고, 분리 각도 외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를 「0.75」로 한다. 이에 의해, 분리 각도 내의 합 신호(sum_inner)의 음량 피크값(peak_inner)과 분리 각도 외의 합 신호(sum_outer)의 음량 피크값(peak_outer)의 비가 1:1(1대1)로 된다.
이때,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에서, 「게인값 Gi=1.5」, 「게인값 Go=0.75」라고 하는 값을 이용하여, 즉시 음량 밸런스를 목적으로 하는 밸런스로 조정하여도 되지만, 음량 밸런스를 변화시키는 시간으로서 예를 들면 5초 등과 같 이 천이 시간을 설정하여, 그 동안에 서서히 음량 밸런스를 천이시킴으로써 음량 밸런스의 급격한 변화를 피하여, 유저에게 위화감을 안기게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분리 각도 내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i와, 분리 각도 외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를 결정할 때에는, 입력 신호 전체의 음량과 출력 신호 전체의 음량이 청감상 변화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 형태의 소프트웨어에서의 실장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구성의 음성 신호 처리부(2)가 이용되어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며, 본 발명을 소프트웨어로 실현한 경우의 예에도 대응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처리는, 조작부(5)나 리모트 커맨더(10) 및 커맨드 수신부(6)를 통해서 음성 신호의 재생 지시를 접수하고, 미디어 재생부(1)에 장전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신호를 재생한 경우에,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음성 신호 처리부(2)와 시스템 컨트롤러(4)가 협동해서 실행하는 처리이다.
우선, 재생 장치(100)의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음성 신호 처리부(2)를 제어하고,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가, 자체 기기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 형식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1). 예를 들면,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가 MP3(MPEG-1 Audio Layer 3) 등의 압축 방식에 의해 압축된 신호인 경우나, 상정하고 있는 신호 포맷 의 샘플링 주파수와 서로 다르도록 한 경우에는, 그대로의 신호 형식으로는 처리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처리 가능한 신호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하고 있다.
즉, 스텝 S101의 판단 처리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다음 스텝 S103으로 이행하는 것에 대해서, 스텝 S101의 판단 처리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는 음성 신호 처리부(2)가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스텝 S102의 처리로 이행한다.
따라서, 스텝 S101의 판단 처리에서,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가 자체 기기에서 그대로 처리 가능한 신호 형식의 것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음성 신호 처리부(2)를 제어하여,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를 처리 가능한 신호 형식의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스텝 S102).
스텝 S102의 처리 후에는, 또는, 스텝 S101의 판단 처리에서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가 자체 기기에서 그대로 처리 가능한 신호 형식의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음성 신호 처리부(2)에 대하여,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과,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를 공급하고, 음성 신호 처리부(2)에서,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에 의해 지시된 소정의 분리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 Li, Ri와, 지시된 소정의 분리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Lo, Ro로 분리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103). 이 스텝 S103에서의 처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음성 신호 처리부(2)의 분리 처리 회로(21)에서 행해지는 처리이다.
다음으로, 음성 신호 처리부(2)는, Lch와 Rch의 소정의 분리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 Li, Ri의 합 신호의 피크값(peak_inner)과, Lch와 Rch의 소정의 분리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Lo, Ro의 합 신호의 피크값(peak_outer)을 측정한다. 그리고, 이들 값과 시스템 컨트롤러(5)로부터의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따라서, Lch와 Rch의 소정의 분리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 Li, Ri에 대한 게인값 Gi, 및, Lch와 Rch의 소정의 분리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Lo, Ro에 대한 게인값 Go를 결정한다(스텝 S104). 이 스텝 S104에서의 처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음성 신호 처리부(2)의 음량 밸런스 측정 회로(22)에서 행해지는 처리이다.
그리고, 음성 신호 처리 회로 2는, 전술한 [수학식 1]에 나타낸 계산식을 이용하여, Lch의 소정의 분리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 Li, Lch의 소정의 분리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Lo, 소정의 분리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i, 소정의 분리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로부터 Lch의 출력 음성 신호 Lex를 구한다(코멘트: Li와 Lo와 Gi와 Go의 4개의 신호로부터 Lex를 구한다고 하는 의미임). 또한, Rch의 소정의 분리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 Ri, Rch의 소정의 분리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Ro, 소정의 분리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i, 소정의 분리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로부터 Rch의 출력 음성 신호 Rex를 구한다. 그리고, Lch의 출력 음성 신호 Lex와 Rch의 출력 음성 신호 Rex를 출력한다(스텝 S105). 이 스텝 S105에서의 처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음성 신호 처리부(2)의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에서 행해지는 처리이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되는 출력 음성 신호 Lex, Rex는, 지시된 분리 각도 내 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지시된 분리 각도 외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의 음량 밸런스가, 미리 지시되는 정보에 따라서 조정되어, 청취자의 기호를 반영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4)는, 계속해서 오디오 신호 처리부(2)에 입력되는 다음의 음성 신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06), 부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 처리를 행할 대상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도 4에 도시하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06의 판정 처리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이 는 다음으로 처리를 행할 다음의 음성 신호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어, 다시 스텝 S101로 되돌아가 해당 스텝 S1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구성을 갖는 음성 신호 처리부(2)와 시스템 컨트롤러(4)가 협동함으로써, 예를 들면, 유저로부터 미리 지시되는 분리 각도(분리 각도 범위)와 음량 밸런스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지시된 분리 각도 내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지시된 분리 각도 외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 각각의 음량 밸런스를 판별하여, 자동적으로 음량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매회 유저에 의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음성 신호 처리부(2)의 제2 구성예와 동작에 대해서]
도 5는, 이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의 음성 신호 처리부(2)의 제2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 예의 음성 신호 처리부(2)는, 본원 발명자의 선행 특허 출원인 일본 특허 출원 제2005-327237호(정리 번호 0590529003)에 서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음량 밸런스를 변경하는 방법이다. 즉, 일본 특허 출원 제2005-327237호에서는, 임의의 각도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의 음량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안했지만, 이 방법에 음량 밸런스를 조정하는 방법을 짜 넣음으로써 실현 가능하게 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예의 음성 신호 처리부(2)에는, Lch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Lch용의 분석 필터 뱅크(21L)와, Rch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Rch용의 분석 필터 뱅크(21R)가 구비된다. 이들 Lch용의 분석 필터 뱅크(21L)와, Rch용의 분석 필터 뱅크(21R)는, 입력 음성 신호를 미리 결정되는 대역폭을 갖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입력 신호 성분을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방법으로서는,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필터 뱅크, 웨이브릿 뱅크 필터, QMF(Quadrature Mirror Filter) 필터 뱅크 등의 필터 뱅크라고 불리는 방법이 있다. 필터 뱅크는, 분석 필터 뱅크와 합성 필터 뱅크의 1세트로 구성된다. 이 필터 뱅크의 방법은, 입력 신호를 각 주파수 대역마다 목적에 따라서 처리하는 경우 등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비가역 압축 등에서 널리 이용되어 있다.
이 예의 분석 필터 뱅크(21L)는, 입력되는 Lch의 음성 신호를 n개의 등대역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n개의 서브 밴드 신호(sub1-L, sub2-L, …, subn-L)를 생성한다. 이들 n개의 서브 밴드 신호 sub1-L 내지 subn-L의 개개는, 도시하는 n개의 게인기(23)(23(1) 내지 23(n)) 중 대응하는 첨자((1) 내지 (n))가 첨부되는 게인기(23)를 통한 후, 각각 합성 필터 뱅크(24L)에 공급된다.
합성 필터 뱅크(24L)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게인기(23(1) 내지 23(n))의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n개의 서브 밴드 신호(sub1- 내지 subn-L)를 합성해서 원래의 음성 신호의 형태(상태)로 재구성한다.
마찬가지로, 이 예의 분석 필터 뱅크(21R)는, 입력되는 Rch의 음성 신호를 n개의 등대역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n개의 서브 밴드 신호(sub1-R, sub2-R, …, subn-R)를 생성한다. 이 경우도, 이들 n개의 서브 밴드 신호 sub1-R 내지 subn-R의 개개는, 전술한 게인기(23)(23(1) 내지 23(n)) 중 대응하는 첨자((1) 내지 (n))가 첨부되는 게인기(23)를 통한 후, 각각 합성 필터 뱅크(24R)에 공급된다.
합성 필터 뱅크(24R)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게인기(23(1) 내지 23(n))의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n개의 서브 밴드 신호(sub1-R 내지 subn-R)를 합성해서 원래의 음성 신호의 형태(상태)로 재구성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분석 필터 뱅크(21L), 분석 필터 뱅크(21R)에 의해 입력 음성 신호를 등대역의 n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음성 신호를 비등대역의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도 물론 된다.
그리고, 분석 필터 뱅크(21L)에 의해 생성된 서브 밴드 신호 sub1-L 내지 subn-L의 개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n개의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1) 내지 22(n)) 중 대응하는 첨자가 첨부되는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에 대해서도 각각 분기되어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분석 필터 뱅크(21R)에 의해 생성된 서브 밴드 신호 sub1-R 내 지 subn-R의 개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1) 내지 22(n)) 중 대응하는 첨자가 첨부되는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에 대해서도 각각 분기되어 공급된다.
즉, 이에 의해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1) 내지 22(n))의 개개에는, 각각 대응하는 대역의 Lch의 서브 밴드 신호 sub-L과 Rch의 서브 밴드 신호 sub-R이 입력된다.
이들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1) 내지 22(n))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 입력되는 Lch의 서브 밴드 신호 sub-L과 Rch의 서브 밴드 신호 sub-R로부터 정위 각도 및 레벨을 산출하여, 게인 측정·조절 회로(25)에 공급한다.
즉,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1))에서는, 서브 밴드 신호 sub1-L, 서브 밴드 신호 sub1-R로부터 정위 각도 및 레벨을 산출하고,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2))에서는 서브 밴드 신호 sub2-L, 서브 밴드 신호 sub2-R로부터 정위 각도 및 레벨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1) 내지 22(n))에서는, 각각의 대역의 서브 밴드 신호 sub1-L 내지 subn-L, 서브 밴드 신호 sub1-R 내지 subn-R로부터 각 정위 각도 및 레벨이 산출되어, 각각 게인 측정·조절 회로(25)에 공급된다. 또한,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게인 측정·조절 회로(25)에서는,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1) 내지 22(n))로부터의 각 서브 밴드의 정위 각도 정보 및 레벨 정보와, 도 1에 도시한 시스템 컨트롤러(5)로부터의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 및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따라서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로 되도록, 각 게인기(23(1) 내지 23(n))에 공급하는 게인을 결정한다. 또한, 게인 측정·조절 회로(25)의 처리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게인기(23(1) 내지 23(n))의 개개는, 공급된 게인값에 기초하여, 각각 분석 필터 뱅크(21L)로부터의 서브 밴드 신호 sub-L, 분석 필터 뱅크(21R)로부터의 서브 밴드 신호 sub-R의 게인을 조정하고, 서브 밴드 신호 sub-L에 대해서는 합성 필터 뱅크(24L)에, 서브 밴드 신호 sub-R에 대해서는 합성 필터 뱅크(24R)에 각각 공급한다.
합성 필터 뱅크(24L, 24R)에서는, 전술한 바와도 같이 게인기(23(1) 내지 23(n))로부터 공급되는 서브 밴드 신호 sub1-L 내지 subn-L, 서브 밴드 신호 sub1-R 내지 subn-R을 합성해서 원래의 음성 신호의 형태(상태)로 재구성해서 출력한다.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의 구성예와 동작에 대해서]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이 제2 예의 음성 신호 처리부(2)의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의 구성예와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 예의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ch용의 푸리에 변환기(221L)와, Rch용의 푸리에 변환기(221R)와, 정위 각도 산출기(222)와, 레벨 산출기(223)를 구비한 것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한 분석 필터 뱅크(21L)로부터의 서 브 밴드 신호 sub-L은, 푸리에 변환기(221L)에 입력되고, 여기에서 예를 들면 FFT(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푸리에 변환 처리가 실시된다. 푸리에 변환 처리에 의해 얻어진 복소 서브 밴드 신호 csub-L은, 정위 각도 산출기(222)와 레벨 산출기(223)에 공급된다.
또한, 분석 필터 뱅크(21L)에서, 서브 밴드 신호 sub-L이 이미 복소 서브 밴드 형식으로 변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푸리에 변환기(221L)는 필요로 하지 않고, 서브 밴드 신호 sub-L이 직접 정위 각도 산출기(222)와 레벨 산출기(223)에 공급된다.
또한, 분석 필터 뱅크(21R)로부터의 서브 밴드 신호 sub-R은, 푸리에 변환기(221R)에 공급되어 푸리에 변환 처리가 실시되고, 마찬가지로 복소 서브 밴드 신호 csub-R로서 정위 각도 산출기(222)와 레벨 산출기(223)에 공급된다. 또한, 분석 필터 뱅크(21R)에서도 마찬가지로, 서브 밴드 신호 sub-R이 이미 복소 서브 밴드 형식으로 변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푸리에 변환기(221R)는 필요로 하지 않고, 서브 밴드 신호 sub-R이 직접 정위 각도 산출기(222)와 레벨 산출기(223)에 공급된다.
정위 각도 산출기(222)에서는, 복소 서브 밴드 신호 csub-L 및 복소 서브 밴드 신호 csub-R로부터 위상차 및 레벨비를 계산하고, 이들을 기초로 정위 각도를 구하고, 도 5에 도시한 게인 측정·조절 회로(25)에 공급한다.
레벨 산출기(223)에서는, 복소 서브 밴드 신호 csub-L 및 복소 서브 밴드 신호 csub-R로부터 그 신호의 음의 크기를 구하고, 도 5에 도시한 게인 측정·조절 회로(25)에 공급한다.
여기에서, 음의 크기를 구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생각되지만, 여기에서는 일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시간 ω에서의 복소 서브 밴드 신호 csub-L과 csub-R을 각각 L(ω), R(ω)로 한 경우, 시간 ω에서의 복소 서브 밴드 신호 csub-L과 복소 서브 밴드 신호 csub-R의 레벨 mag(ω)는,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주어진다. 단, Re(x)은 복소수 x의 실수부를, Im(x)은 x의 허수부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57821790-PAT00002
이와 같이 하여,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1) 내지 22(n))의 각각에서는, 공급되는 서브 밴드 신호 sub-L, sub-R에 기초하여, 정위 각도(분리 각도)와 신호 레벨이 구해진다.
[게인 측정·조절 회로(25)의 처리 방식에 대해서]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음성 신호 처리부(2)의 게인 측정·조절 회로(25)에서의 처리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게인 측정·조절 회로(25)에서는, 이하의 3개의 처리를 행한다. 그것들은,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의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과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기초하여, 지시된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레벨의 합(sum_inner)과 지시된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레벨의 합(sum_outer)을 구하는 처리와, 지시된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와 지시된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음량 밸런스 를 측정하고, 지시된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i 및 지시된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를 결정하는 처리와, 각 서브 밴드마다의 게인값을 결정하는 처리이다.
우선, 각각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1) 내지 22(n))로부터의 각 서브 밴드의 정위 각도 정보와 도 1에 도시한 시스템 컨트롤러(5)로부터의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에 의해, 각 서브 밴드 신호가 지시된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지시된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이면 각도 내의 음성 신호의 레벨의 합(sum_inner)에, 또한, 지시된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이면 각도 외의 음성 신호의 레벨 합(sum_outer)에, 해당하는 각각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1) 내지 22(n))로부터의 레벨값을 가산한다. 이 처리를 모든 서브 밴드의 정위 각도 정보 및 레벨 정보에 대하여 행함으로써, 지시된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레벨의 합(sum_inner)과 지시된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레벨의 합(sum_outer)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음량 밸런스를 측정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생각되지만, 여기에서는 첫번째의 내부 구성예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이용한다. 즉, 소정의 각도 내의 음성 신호의 레벨의 합(sum_inner), 소정의 각도 외의 음성 신호의 레벨의 합(sum_outer)을 예를 들면 각각 5초간 감시하고, 그동안의, 소정의 각도 내의 음성 신호의 레벨의 합(sum_inner)의 음량 피크값(peak_inner)과, 소정의 각도 외의 음성 신호의 레벨의 합(sum_outer)의 음량 피크값(peak_outer)을 산출한다.
그리고, 게인 측정·조절 회로(25)는, 소정의 각도 내의 음성 신호의 레벨의 합(sum_inner)의 음량 피크값(peak_inner)과 소정의 각도 외의 음성 신호의 레벨의 합(sum_outer)의 음량 피크값(peak_outer)의 비와, 도 1에 도시한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의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의해 소정의 각도 내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i 및 소정의 각도 외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를 결정한다.
이때, 즉시 음량 밸런스를 목적으로 하는 밸런스로 조정하여도 되지만, 음량 밸런스를 변화시키는 시간으로서 예를 들면 5초 등과 같이 천이 시간을 설정하여, 그동안에 서서히 음량 밸런스를 천이시킴으로써 음량 밸런스의 급격한 변화를 피하여, 유저에게 위화감을 안기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 제1 예의 음성 신호 처리부(2)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정위 각도 내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i와, 정위 각도 외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를 결정할 때에는, 입력 신호 전체의 음량과 출력 신호 전체의 음량이 청감상 변화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는 것도 제1 예의 음성 신호 처리부(2)와 마찬가지이다.
마지막으로, 서브 밴드 신호가 지시된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이면 게인값 Gi를, 지시된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이면 게인값 Go를 각 게인기(23(1) 내지 23(n))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인기(1) 내지 게인기(n)의 각각에서, 공급되는 서브 밴드 신호에 대하여, 지정되는 게인값이 승산되어, 게인 조정이 행해지고, 최종적으로 합성 필터 뱅크(24L, 24R)에서 통합되어, 소정의 각도 내와 각도 외에서 음량 밸런스가 조정된 출력 음성 신호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형태의 소프트웨어에 의한 다른 실장예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도 8은, 도 5,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을 소프트웨어로 실현한 경우의 예에도 대응하는 것이다.
도 7, 도 8에 도시하는 처리도 또한, 조작부(5), 리모트 커맨더(10), 및, 커맨드 수신부(6)를 통해서 음성 신호의 재생 지시를 접수하고, 미디어 재생부(1)에 장전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경우에, 음성 신호 처리부(2)와 시스템 컨트롤러(4)가 협동해서 실행하는 처리이다.
우선, 재생 장치(100)의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음성 신호 처리부(2)를 제어하여,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가, 자체 기기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 형식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1). 전술한 바와도 같이, 예를 들면,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가 MP3(MPEG-1 Audio Layer 3) 등의 압축 방식에 의해 압축된 신호인 경우나, 상정하고 있는 신호 포맷의 샘플링 주파수와 서로 다르도록 한 경우에는, 그대로의 신호 형식으로는 처리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처리 가능한 신호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하고 있다.
즉, 스텝 S201의 판단 처리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다음 스텝 S203으로 이행하는 것에 대해서, 스텝 S201의 판단 처리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스텝 S202의 처리로 이행한다.
부정 결과가 얻어지는 것은 음성 신호 처리부(2)가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에 대하여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스텝 S202의 처리로 이행한다.
따라서, 스텝 S201의 판단 처리에서,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가 자체 기기에서 그대로 처리 가능한 신호 형식의 것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음성 신호 처리부(2)를 제어하여,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를 처리 가능한 신호 형식의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스텝 S202).
스텝 S202의 처리 후에는, 또는, 스텝 S201의 판단 처리에서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가 자체 기기에서 그대로 처리 가능한 신호 형식의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음성 신호 처리부(2)에 대하여,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과,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를 공급함과 함께, 음성 신호 처리부(2)에서, Lch의 음성 신호와 Rch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 복수 밴드(복수의 주파수 대역)로 분할한다(스텝 S203).
즉, 스텝 S203의 처리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음성 신호 처리부(2)의 분석 필터 뱅크(21L), 분석 필터 뱅크(21R)가, 각각 입력되는 Lch의 음성 신호, Rch의 음성 신호를 n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각각 서브 밴드 신호 sub1-L 내지 subn-L, 서브 밴드 신호 sub1-R 내지 subn-R을 생성하는 동작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음성 신호 처리부(2)에서는, 분할한 Lch의 음성 신호와, Rch의 음성 신호를 푸리에 변환한다(스텝 S204). 즉, 이 스텝 S204의 처리는, 도 6에 도시한,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1) 내지 22(n)) 내의 푸리에 변환기(221L), 각 푸리에 변환기(221R)가, 각각 입력되는 서브 밴드 신호 sub-L, sub-R에 대해서 푸리에 변환을 실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 S203에서, 서브 밴드 신호 sub-L, sub-R의 각각이 이미 복소 서브 밴드 형식으로 변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04의 처리는 필요로 하지 않고, 스텝 S204의 처리를 바이패스해서 그대로 스텝 S205의 처리로 진행한다.
그리고, 음성 신호 처리부(2)에서, 분할된 밴드(주파수 대역)마다 Lch의 음성 신호와 Rch의 음성 신호의 정위 각도 및 레벨을 산출한다(스텝 S205). 즉, 이 스텝 S205의 처리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1) 내지 22(n))의 각각의 정위 각도 산출기(222)와, 레벨 산출기(223)에서, 각 서브 밴드 신호 sub-L, sub-R의 정위 각도와 신호 레벨을 산출하는 처리이다.
다음으로, 음성 신호 처리부(2)는, 밴드마다 구한 정위 각도와,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의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을 비교하여, 지시된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레벨의 합(sum_inner)과, 지시된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레벨의 합(sum_outer)을 구한다(스텝 S206). 이 스텝 S206의 처리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음성 신호 처리부(2)의 게인 측정·조절 회로(25)에서 행해지는 처리의 하나이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하는 스텝 S207의 처리로 진행하고, 음성 신호 처리부(2)는, 스텝 S206에서 구한, 지시된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레벨의 합(sum_inner)과 지시된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레벨의 합(sum_outer)과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의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따라서, 지시된 각도 내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i, 및, 지시된 각도 외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를 구한다(스텝 S207).
이 후, 음성 신호 처리부(2)는, 밴드마다 서브 밴드 신호 sub-L, sub-R이, 지시된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이면 게인값 Gi를, 지시된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이면 게인값 Go를 부여한다(스텝 S208). 이 스텝 S208의 처리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음성 신호 처리부(2)의 게인 측정·조절 회로(25)가 산출한 게인값 Gi, 또는, 게인값 Go를 게인기(23(1) 내지 23(n))에 대하여 공급하고, 서브 밴드 신호의 각각의 게인 조정을 행한다.
그리고, 음성 신호 처리부(2)는, 각 밴드의 Lch 신호, 각 밴드의 Rch 신호를 각각 합성해서 출력한다(스텝 S209). 즉, 도 5에 도시한 합성 필터 뱅크(24L)가 게인기(23(1) 내지 23(n))로부터 공급되는 각 밴드의 Lch 신호를 입력받아 이들을 합성해서 출력하고, 또한 합성 필터 뱅크(24R)가 게인기(23(1) 내지 23(n))로부터 공급되는 각 밴드의 Rch 신호를 입력받아 이들을 합성해서 출력한다.
이에 의해 합성 필터 뱅크(24L), 합성 필터 뱅크(24R)로부터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에 의해 지시된 각도 내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지시된 각도 외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의 음량 밸런스가 청취자의 기호를 반영한 것으로 하여 재현할 수 있는 음성 신호 Lex, 음성 신호 Rex가 출력된다.
이 후, 시스템 컨트롤러(4)는, 계속해서 오디오 신호 처리부(3)에 입력되는 다음의 오디오 신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10). 스텝 S210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 처리를 행할 대상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도 7, 도 8에 도시하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스텝 S210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 이는 다음으로 처리를 행할 다음의 오디오 신호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어, 시스템 컨트롤러(4)는, 다시 스텝 S201로 되돌아가 해당 스텝 S2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음성 신호 처리부(2)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구성을 갖는 음성 신호 처리부(2)와 시스템 컨트롤러(4)가 협동함으로써, 예를 들면, 유저로부터 미리 지시되는 분리 각도와 음량 밸런스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지시된 각도 내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지시된 각도 외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 각각의 음량 밸런스를 판별하여, 자동적으로 음량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매회 유저에 의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음성 신호 처리부(2)의 제1 구성예의 경우에는,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에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음량 밸런스의 조절을 행함으로써, Lch의 출력 음성 신호와, Rch의 출력 음성 신호를 생성해서 출력했지만, 이 이외의 음량 밸런스의 조절 방법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수학식 1]과는 서로 다른 계산식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음성 신호 처리부(2)의 제1 구성예의 경우에는, 분리 처리 회로(21)에서, 지시된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를 Li, Ri로 2채널에서 출력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채널 이상이면 몇 개라도 된다. 따라서, 1채널이어도 된다.
또한,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음성 신호 처리부(2)의 제1 구성예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5.1ch 입력으로서, 원래 지시된 분리 각도에 기초하여 입력 채널이 나뉘어져 있는 등의 경우, 분리 처리 회로는 필요 없기 때문에 이것을 생략하여도 된다.
또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음성 신호 처리부(2)의 제2 구성예의 경우에는, 레벨 산출기(223)에서,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음의 크기를 구했지만, 이 이외의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레벨 산출기(223)의 입력을 복소 서브 밴드 신호로 했지만, 서브 밴드 신호를 이용하여 음의 크기를 구하여도 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에서는, 음량 밸런스 조정 동작의 실현에 있어서, 음성 신호 처리부(2)를 도 4에 도시한 동작, 또는, 도 7, 도 8에 도시한 동작을 주로 하드웨어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도 같이, 도 4에 도시한 동작, 또는, 도 7, 도 8에 도시한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실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 경우, 전술한 바와도 같이, 주로 시스템 컨트롤러(4)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시스템 컨트롤러(4)가 음성 신호 처리부(2)를 제어해서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2)를 CPU, ROM, RAM을 구비한 마이크로컴퓨터의 구성으로 하고, 도 4에 도시한 대응하는 처리, 또는, 도 7, 도 8에 도시한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ROM에 저장해 두고, 이것을 음성 신호 처리부(2) 에서 실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음량 밸런스를 측정하기 위해서 임의의 시간(예를 들면 5초) 감시하고, 그 음량 피크값이나 [수학식 2]에 나타낸 레벨의 합을 이용해 왔지만, 음량 피크값이 아니라, 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데시벨의 평균값이나, PCM 신호의 경우 샘플값의 절대값을 평균한 값 등, 음량 피크값 이외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음량 밸런스를 변화시키는 천이 시간을 설정했지만(예를 들면 5초), 전술한 바와도 같이, 천이 시간은 반드시 설정할 필요는 없고, 즉석으로 목적으로 하는 밸런스로 조정하여도 된다. 또한, 천이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에도, 예를 들면 2분이라고 하는, 비교적으로 긴 천이 시간을 설정하여, 시간을 들여서 음량 밸런스를 천이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음성 신호, 출력 음성 신호도 2ch인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ch 이상이면 어떤 채널이어도 되며, 예를 들면 입력 2ch, 출력 4ch이라고 하는 것처럼, 입력과 출력도 역시 채널수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음량 밸런스를 조정하는 대신에, 소정의 정위 각도 범위 내의 신호를 유저에 가까운 위치에 정위하도록 신호 처리를 실시하도록 하거나, 소정의 정위 각도 범위 외의 신호를 유저로부터 먼 위치에 정위하도록 신호 처리를 실시하도록 하거나 하는 등, 어떠한 신호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청감상에서의 음량 밸런스의 조정을 실시하여도 된다. 또한, 이들을 조합하여도 된다.
또한, 소정의 정위 각도 범위 내의 신호와 소정의 정위 각도 범위 외의 신호의 음량 밸런스 정보를, 음성 데이터에 중첩시키거나, 혹은, 시간 정보와 함께 외부 데이터로서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가 기록된 기록 매체나, 혹은, 재생 장치(100)의 EEPROM에 기입하도록 해서 유지해 두고, 재생시에 이들 정보를 기초로 음량 밸런스의 조정을 행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 제1 재생 장치(100)는, 유저로부터의 분리 각도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를 받아, 지시된 각도 내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지시된 각도 외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 각각의 음량 밸런스를 판별하여, 자동적으로 음량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매회 유저에 의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 기능을 갖는 것이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2 실시 형태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방법, 프로그램을 음성 신호의 재생 장치(이하, 간단히 재생 장치라고 함)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한다.
[재생 장치(20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이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200)는, 유저로부터의 음원의 종류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를 받아, 지시된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각각의 음량 밸런스를 판별하여, 자동적으로 음량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매회 유저에 의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9는, 이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200)에서,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부분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즉,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200)는,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미디어 재생부(1), D/A 컨버터(Digital/Analog Converter)(3), 조작부(5), 커맨드 수신부(6), 화면 표시부(7)를 구비함과 함께, 리모트 커맨더(10)를 통해서 원격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실시 형태의 음성 신호 처리부(7)의 구성과 동작, 및, 시스템 컨트롤러(8)의 동작은,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의 음성 신호 처리부(2), 시스템 컨트롤러(4)와는 서로 다르다. 또한, 시스템 컨트롤러(8) 자체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의 시스템 컨트롤러(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CPU(41), ROM(42), RAM(43), EEPROM(44)이 CPU 버스(45)를 통해서 접속되어 형성된 마이크로컴퓨터이다.
그리고, 이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200)에서도, 미디어 재생부(1)를 통해서 재생된 Lch의 음성 신호와 Rch의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처리부(7)에 공급된다. 음성 신호 처리부(7)는, 미디어 재생부(1)로부터의 Lch의 음성 신호와 Rch의 음성 신호와, 후술하는 시스템 컨트롤러(8)로부터의 음원 종류 지시 신호 S3 및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따라서, 지시된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각각에 대해서 주어진 음성 신호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음성 신호 처리를 실시한 Lch의 음성 신호 Lex와 Rch의 음성 신호 Rex를 D/A 컨버터(3)에 공급한다. 또한, 이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200)의 음성 신호 처리부(7)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7)로부터의 음성 신호 Lex, Rex는, D/A 컨버터(3)에서 D/A변환이 실시되고,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된 Lch의 출력 음성 신호와 Rch의 출력 음성 신호가 출력되어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200)의 리모트 커맨더(10) 상에는,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의 리모트 커맨더(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방향 지시를 위한 조작자(10a, 10b, 10c, 10d)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200)에서도, 유저는, 우방향 키(10a), 또는, 좌방향 키(10b)를 조작함으로써, 재생 장치(1)에 대하여 분리하는 음원의 종류를 지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상기 상방향 키(10c), 또는, 하방향 키(10d)를 조작함으로써, 재생 장치(200)에 대하여 분리한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음량 밸런스를 지시 입력할 수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8)는, 리모트 커맨더(10)의 우방향 키(10a), 좌방향 키(10b)의 조작에 따라서, 해당 리모트 커맨더(10)로부터 송출되고, 커맨드 수신부(6)를 통해서 접수한 커맨드 신호에 따라서, 음성 신호 처리부(7)에 공급할 음원 종류 지시 신호 S3을 생성한다. 즉, 음원 종류 지시 신호 S3은, 우방향 키(10a), 좌방향 키(10b)의 조작에 의해 지시 입력되는 음원 종류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이 다.
또한, 시스템 컨트롤러(8)는, 리모트 커맨더(10)의 상방향 키(10c), 하방향 키(10d)의 조작에 따라서, 해당 리모트 커맨더(10)로부터 송출되고, 커맨드 수신부(6)를 통해서 접수한 커맨드 신호에 따라서, 음성 신호 처리부(7)에 공급할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를 생성한다. 즉,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는,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방향 키(10c), 하방향 키(10d)의 조작에 의해 지시 입력되는 음량 밸런스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이다.
이와 같이, 이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는, 유저로부터의 리모트 커맨더(10)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원 종류의 지시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에 기초하여, 지시된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각각의 음량 밸런스를 판별하여, 자동적으로 음량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매회 유저에 의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를 제공한다. 또한, 음원 종류의 지시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는, 시스템 컨트롤러(8)의 EEPROM 등의 기억 유지하고, 음성 신호의 재생시에 반복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음성 신호 처리부(7)의 구성예와 동작에 대해서]
다음으로, 이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200)의 음성 신호 처리부(7)의 구성예와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이 제2 실시 형태의 음성 신호 처리부(7)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도 10에 도시한 음성 신호 처리부(7)에서,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음성 신호 처리부(2)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 고, 그 부분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그리고, 이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200)에서 이용되는 음성 신호 처리부(7)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원 분리 처리 회로(71)와, 음량 밸런스 측정 회로(22)와,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를 구비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원 분리 처리 회로(71)에는, Lch의 음성 신호와 Rch의 음성 신호가 공급된다.
음원 분리 처리 회로(71)는, 도 9에 도시한 시스템 컨트롤러(8)로부터의 음원 종류 지시 신호 S3의 공급을 받고, 이에 따라서, 지정의 음원의 음성 신호 Li, Ri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Lo, Ro로 분리하여, 이들을 음량 밸런스 측정 회로(22) 및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에 출력한다.
음원 분리 처리 회로(71)는, 지정의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로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회로이면 어느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음원 종류로서 소리(사람의 소리)가 지정된 경우, 입력 신호로부터 음성(사람의 소리) 부분의 신호와 비음성(사람의 소리가 아님) 부분의 신호를 식별하는 음성-비음성 판별 기술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복수의 음성 모델 데이터를 음성 신호 처리부(7) 내, 혹은, 시스템 컨트롤러(8) 내의 메모리에 기억 유지해 둔다. 그리고, 입력 음성 신호(입력 음향 신호)와 음성 모델 데이터의 대조에 의해, 음성(사람의 소리)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스코어를 산출한다. 이 스코어를, 입력 음성 신호에 대한 추정한 S/N비(Signal to Noise Ratio)로 보정하고, 이 보정한 스코어를 이용 하여, 사람의 소리 부분인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별한다. 이에 의해, 입력 음성 신호에 대해서, 사람의 소리의 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으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남성의 이야기 음성의 음성 모델 데이터와 여성의 이야기 음성의 음성 모델 데이터를 준비해 둠으로써, 사람의 소리의 부분이어도, 남성의 소리의 부분과, 여성의 소리의 부분을 분리할 수도 있다.
또한, 사람의 소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악기 등에 대해서도, 다양한 음원 모델 데이터를 기억 유지해 두면, 재생 대상의 악곡 데이터(입력 음성 신호)와, 음원 모델 데이터를 대조하여, 목적으로 하는 악기 부분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악기의 음성 신호를 분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음원 모델 데이터를 기억 유지하는 메모리 수단과, 입력 음성 신호(입력 음향 신호)와, 음원 모델 데이터를 대조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대조 수단과, 산출한 유사도에 따라서 음성 신호의 분리 처리를 행하는 분리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음원 분리 처리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Lch의 음성 신호에서의 목적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 Li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Lo와, Rch의 음성 신호에서의 목적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 Ri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Ro가, 음량 밸런스 측정 회로(22)와,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에 공급된다.
음량 밸런스 측정 회로(22)는,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목적으로 하는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성 신호의 음량 밸런스를 측정하고, 시스템 컨트롤러(8)로부터의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따라서, 목적으로 하는 음성 신호에 대 한 게인값 Gi와, 목적으로 하는 음성 신호 이외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를 결정하여, 이들을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량 밸런스 측정 회로(22)는, 음원 분리 처리 회로(71)에서 분리 처리된 Lch의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 Li와, Rch의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 Ri와, Lch의 목적으로 하는 음원 이외의 음성 신호 Lo와, Rch의 목적으로 하는 음원 이외의 음성 신호 Ro의 공급을 받아,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음량 밸런스를 측정하고,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의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따라서고,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가 적합한 음량 밸런스로 되도록,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i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를 결정하여, 이들을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에 공급한다.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는,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목적으로 하는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성 신호의 각각에 음량 밸런스 측정 회로(22)로부터의 게인값 Gi, Go를 승산하여, 게인 조정하고, 게인 조정 후의 출력 음성 신호 Lex, Rex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2)는, 음원 분리 처리 회로(71)에서 분리 처리된 Lch의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 Li와, Rch의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 Ri와, Lch의 목적으로 하는 음원 이외의 음성 신호 Lo와, Rch의 목적으로 하는 음원 이외의 음성 신호 Ro와, 음량 밸런 스 측정 회로(22)로부터의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i와, 목적으로 하는 음원 이외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의 공급을 받아, 전술한 [수학식 1]에 따른 연산을 행하고, Lch의 출력 음성 신호 Lex와 Rch의 출력 음성 신호 Rex를 생성하여, 이들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유저로부터의 리모트 커맨더(10)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원 종류의 지시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에 기초하여, 지시된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각각의 음량 밸런스를 판별하여, 자동적으로 음량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매회 유저에 의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의 소프트웨어에 의한 실장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구성의 음성 신호 처리부(7)가 이용되어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200)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며, 본 발명을 소프트웨어로 실현한 경우의 예에도 대응하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처리는, 조작부(5)나 리모트 커맨더(10) 및 커맨드 수신부(6)를 통해서 음성 신호의 재생 지시를 접수하고, 미디어 재생부(1)에 장전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신호를 재생한 경우에,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음성 신호 처리부(7)와 시스템 컨트롤러(8)가 협동해서 실행하는 처리이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하는 스텝 S301, 스텝 S302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의 도 4에 도시한 스텝 S101, 스텝 S102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행해지는 처리이 다.
우선, 재생 장치(200)의 시스템 컨트롤러(8)는, 음성 신호 처리부(7)를 제어하고,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가, 자체 기기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 형식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1). 예를 들면,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가 MP3(MPEG-1 Audio Layer 3) 등의 압축 방식에 의해 압축된 신호인 경우나, 상정하고 있는 신호 포맷의 샘플링 주파수와 서로 다르도록 한 경우에는, 그대로의 신호 형식으로는 처리를 실행할 수 없다. 따라서, 음성 신호를 처리 가능한 신호 포맷으로 변환한다.
스텝 S301의 판단 처리에서,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가 자체 기기에서 그대로 처리 가능한 신호 형식의 것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시스템 컨트롤러(8)는, 음성 신호 처리부(7)를 제어하고,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를 처리 가능한 신호 형식의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스텝 S302).
스텝 S302의 처리 후에는, 또는, 스텝 S301의 판단 처리에서,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가 자체 기기에서 그대로 처리 가능한 신호 형식의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시스템 컨트롤러(8)는, 음성 신호 처리부(7)에 대하여, 음원 종류 지시 신호 S3과,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를 공급한다. 그리고, 음성 신호 처리부(7)에서, 음원 종류 지시 신호 S3에 의해 지시된 음원의 음성 신호 Li, Ri와, 지시된 음원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Lo, Ro로 분리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한다(스텝 S303). 이 스텝 S303에서의 처리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음성 신호 처리부(7)의 음원 분리 처리 회로(21)에서 행해지는 처리이다.
다음으로, 음성 신호 처리부(7)는, Lch와 Rch의 소정의 각도 내의 음원의 음 성 신호 Li, Ri의 합 신호의 피크값(peak_inner)과, Lch와 Rch의 소정의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Lo, Ro의 합 신호의 피크값(peak_outer)을 측정한다. 그리고, 이들 값과 시스템 컨트롤러(5)로부터의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따라서, Lch와 Rch의 소정의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 Li, Ri에 대한 게인값 Gi, 및, Lch와 Rch의 소정의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Lo, Ro에 대한 게인값 Go를 결정한다(스텝 S304). 이 스텝 S304에서의 처리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음성 신호 처리부(7)의 음량 밸런스 측정 회로(22)에서 행해지는 처리이다.
그리고, 음성 신호 처리 회로(7)는, 전술한 [수학식 1]에 나타낸 계산식을 이용하여, Lch의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 Li, Lch의 목적으로 하는 음원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Lo,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i, 목적으로 하는 음원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로부터 Lch의 출력 음성 신호 Lex를 구한다(코멘트: Li와 Lo와 Gi와 Go의 4개의 신호로부터 Lex를 구한다고 하는 의미임). 또한, Rch의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 Ri, Rch의 목적으로 하는 음원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Ro,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i, 목적으로 하는 음원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로부터 Rch의 출력 음성 신호 Rex를 구한다. 그리고, Lch의 출력 음성 신호 Lex와 Rch의 출력 음성 신호 Rex를 출력한다(스텝 S305). 이 스텝 S305에서의 처리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음성 신호 처리부(7)의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에서 행해지는 처리이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되는 출력 음성 신호 Lex, Rex는,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음량 밸런스가, 미리 지시되는 정보에 따라서 조정되어, 청취자의 기호를 반영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8)는, 계속해서 음성 신호 처리부(7)에 입력되는 다음의 음성 신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306), 부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 처리를 행할 대상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도 11에 도시하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306의 판정 처리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이는 다음으로 처리를 행할 다음의 음성 신호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어, 다시 스텝 S301에 되돌아가 해당 스텝 S3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 구성을 갖는 음성 신호 처리부(7)와 시스템 컨트롤러(8)가 협동함으로써, 예를 들면, 유저로부터 미리 지시되는 음원의 종류와 음량 밸런스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지시된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각각의 음량 밸런스를 판별하여, 자동적으로 음량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매회 유저에 의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200)는, 유저로부터의 음원의 종류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를 받아, 지시된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각각의 음량 밸런스를 판별하여, 자동적으로 음량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매회 유저에 의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 기능을 갖는 것이다.
[제3 실시 형태]
전술한 제1, 제2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음성 신호의 재생 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재생 장치뿐만 아니라 음성 신호의 기록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음성 신호의 기록 재생 장치(이하, 간단히 기록 재생 장치라고 함)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 설명하는 이 제3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는, 기록계에,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에 적용한 발명을 적용한다. 이에 의해, 집음해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음성 신호에 대해서, 유저로부터의 분리 각도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를 받아, 지시된 각도 내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지시된 각도 외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 각각의 음량 밸런스를 판별하여, 자동적으로 음량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매회 유저에 의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로 음성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도 12는, 이 제3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에서,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부분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제3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300)는, 좌우 2채널의 마이크로폰(301L, 301R)과, 앰프부(302)와, 기입 처리부(303)와, 기록 매체 드라이브(304)와, 판독 처리부(305)와, 재생 처리부(306)와, 조작부(307)와, 커맨드 수신부(310)과, 리모트 커맨더(310)와, 음성 신호 처리부(2)와, 시스템 컨트롤러(4)를 구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도 같이, 음성 신호 처리부(2)와, 시스템 컨트롤러(4)는,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의 대응하는 부분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마찬가지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조작부(307), 커맨드 수신부(308), 리모트 커맨더(310)도 또한,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에서의, 조작부(5), 커맨드 수신부(6), 리모트 커맨더(1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마찬가지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임과 함께, 음성 신호의 기록 지시나, 기록하는 음성 신호에 대한 다양한 조정 처리 등도 접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3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300)의 경우에도, 시스템 컨트롤러(4)는, 리모트 커맨더(310) 및 커맨드 수신부(308)를 통해서, 유저로부터의 분리 각도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 입력을 접수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신호의 기록 처리시에, 시스템 컨트롤러(4)는, 유저로부터의 이전의 지시 입력에 따라서,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과,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를 생성하여, 이들을 음성 신호 처리부(2)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좌우 2채널의 마이크로폰(301L, 301R)을 통해서 집음되어, 전기 신호로 변환된 Lch와 Rch의 음성 신호의 각각은, 앰프부(302)에 공급되고, 여기에서 증폭 처리된 후에, 음성 신호 처리부(2)에 공급된다.
음성 신호 처리부(2)는,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것에 공급되는 Lch와 Rch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에 따라서, 소정의 각도 내의 음성 신호와 소정의 각도 외의 음성 신호로 분리함과 함께, 소정의 각도 내의 음성 신호의 음량 레벨과 소정의 각도 외의 음성 신호의 음량 레벨을 측정한다.
그리고, 음성 신호 처리부(2)는, 측정한 소정의 각도 내의 음성 신호의 음량 레벨과 소정의 각도 외의 음성 신호의 음량 레벨과,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의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기초하여, 소정의 각도 내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i와 소정의 각도 외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를 결정한다.
이후, 음성 신호 처리부(2)는, 소정의 각도 내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는 게인값 Gi를 이용하여 게인 조정하고, 소정의 각도 외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는 게인값 Go를 이용하여 게인 조정한다. 이에 의해, Lch의 출력 음성 신호 Lex와 Rch의 출력 음성 신호 Rex를 생성해서 출력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2)로부터 출력되는 Lch의 출력 음성 신호 Lex와 Rch의 출력 음성 신호 Rex는, 기입 처리부(303)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형식의 신호 WS로 변환된 후에, 기록 매체 드라이브(304)에 공급되어, 기록 매체 드라이브(304)에 장전되어 있는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여기에서 기록 매체 드라이브(304)는, 다양한 기록 매체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D(Compact Disc)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혹은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등의 광 디스크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나, MD(Mini Disc(등록 상표)) 등의 광 자기 디스크를 이용하는 광 자기 디스크드라이브나,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를 이용하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나, 반도체 메모리를 내장한 반도체 메모리 드라이브 등이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제3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300)는, 마이크로폰(301L, 301R)을 통해서 집음한 음성 신호에 대해서, 지시된 정위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와, 지시된 정위 각도 외의 음성 신호에 대하여, 지시된 음량 밸런스 로 되도록 조정하고, 조정 후의 음성 신호를 기록 매체 드라이브(304)의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기록 매체 드라이브(304)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음성 신호는, 시스템 컨트롤러(4)에 제어되는 판독 처리부(305)의 기능에 의해, 해당 기록 매체가 판독할 수 있게 된다. 판독 처리부(305)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되는 음성 신호 RS는, 재생 처리부(306)에 공급되고, 여기에서, Lch의 음성 신호와 Rch의 음성 신호로 분리됨과 함께, 증폭 처리되는 등 해서 출력 음성 신호 L, R이 생성되어, 이들이 출력되고, 예를 들면 스피커에 공급되어, 출력 음성 신호 L, R에 따른 음성이 방음된다.
이 경우, 기록 매체 드라이브(34)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신호 처리부(2)에서, 시스템 컨트롤러(9)로부터의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따라서, 소정의 각도 내의 음성 신호와 소정의 각도 외의 음성 신호로, 유저의 기호에 맞도록 음성 밸런스가 조정되어 기록된 것이므로, 재생시에는 그대로 재생하는 것만으로, 유저의 기호에 맞도록 음성 밸런스가 조정된 음성 신호를 재생해서 청취할 수 있다. 즉, 재생시에서, 음성 밸런스의 조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이 제3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300)에서도, 음성 신호 처리부(2) 는,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고,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음성 신호 처리부(2)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음성 신호 처리부(2)와 시스템 컨트롤러(4)가 협동해서 행할 처리는,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2)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음성 신호 처리부(2)와 시스템 컨트롤러(4)가 협동해서 행할 처리는, 도 7,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제4 실시 형태]
이하에 설명하는 제4 실시 형태는,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 설명하는 이 제4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는, 그 기록계에, 도 9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200)에 적용한 발명과 마찬가지의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집음해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음성 신호에 대해서, 유저로부터의 음원의 종류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를 받아, 지시된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각각의 음량 밸런스를 판별하여, 자동적으로 음량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매회 유저에 의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로 음성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도 13은, 이 제4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4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3에서, 도 9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20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부분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도 13에서, 도 12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30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부분에도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부분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즉, 도 13에 도시하는 제4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400)는, 도 12에 도시한 기록 재생 장치(300)의 음성 신호 처리부(2)와 시스템 컨트롤러(4)를,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200)에서 이용한 음성 신호 처리부(7), 시스템 컨트롤러(8)에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좌우 2채널의 마이크로폰(301L, 301R)에서 집음한 음성 신호를 기록 매체 드라이브(304)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서, 시스템 컨트롤러(8)는, 리모트 커맨더(310), 커맨드 수신부(308)를 통해서 접수한 유저로부터의 음원 종류 지시, 음량 밸런스 지시에 기초하여, 음원 종류 지시 신호 S3과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를 생성하고, 음성 신호 처리부(7)에 공급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7)는, 시스템 컨트롤러(8)로부터의 음원 종류 지시 신호 S3에 기초하여, 좌우의 마이크로폰(301L, 301R)에 의해 집음되고, 앰프부(302)를 통해서 공급되는 Lch의 음성 신호와 Rch의 음성 신호의 각각에 대해서, 지시된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성 신호로 분리하여, 그들의 음량 밸런스를 측정한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8)는, 지시된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성 신호의 음량 밸런스의 측정 결과와, 시스템 컨트롤러(8)로부터의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따라서, 지시된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i와, 지시된 음원 이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값 Go를 특정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지시된 음원의 음성 신호와, 지시된 음원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각각에 대해서 게인 조정을 행함으로써, 지시된 음원의 음성 신호와, 지시된 음원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의 음량 밸런스를 유저의 기호에 맞도록 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음량 밸런스가 조정된, 지시된 음원의 음성 신호와 지시된 음원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는, 기입 처리부(303)를 통해서 기록 매체 드라이브(304)의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 드라이브(304)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3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300)의 경우 와 마찬가지로 해서 판독되어 재생된다. 이 경우, 기록 매체 드라이브(34)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신호 처리부(2)에서, 시스템 컨트롤러(9)로부터의 음원 종류 지시 신호 S3,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따라서, 소정의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로, 유저의 기호에 맞도록 음성 밸런스가 조정되어 기록된 것이므로, 재생시에는 그대로 재생하는 것만으로, 유저의 기호에 맞도록 음성 밸런스가 조정된 음성 신호를 재생해서 청취할 수 있다. 즉, 재생시에서, 음성 밸런스의 조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3, 제4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는, MD(Mini Disc(등록 상표))의 기록 재생 장치나 IC 레코더나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 등의 음성 신호의 기록 재생 장치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영상·음성 기록 재생 장치의 음성계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음성 신호 처리 기능을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저로부터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는 경우의 구체예1에 대해서]
전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의 장치에서는, 어떠한 경우에서도, 유저로부터의 분리 각도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 입력을, 혹은, 음원 종류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 입력을 접수할 필요가 생긴다. 여기에서는, 분리 각도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는 경우를 예로 해서, 유저에 대하여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례(구체예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구체예1은, 복수의 음원이 혼합된 2채널 이상의 음성 신호의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정위 각도마다의 음량값을, 색의 밝기에 의해 각각 주파수와 정위 각도를 2개의 축으로 한 2차원 평면상에 표현함과 함께, 이것을 참조하면서, 목적으로 하는 분리 각도(정위 각도)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 입력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에, 여기에서 설명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여기에서 설명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재생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재생 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한 재생 장치(100)의 시스템 컨트롤러(4)에 대하여, 화상 표시부(9)를 접속한 것이다.
그리고, 이 예의 음성 신호 처리부(2)는, 미디어 재생부(1)로부터의 Lch와 Rch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 미리 결정되는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정위 각도마다의 음량값을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후술하는 시스템 컨트롤러(4)에 공급할 수 있 는 것이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2)는, Lch와 Rch의 음성 신호를, 재생용의 음성 신호 Lex와 음성 신호 Rex로서, D/A 컨버터(3)에 공급한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2)에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2ch의 음성 신호로부터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정위 각도마다의 음량값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는 다양한 것이 알려져 있지만, 예를 들면, 이전에 제출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05-327237호(정리 번호 0590529003)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일본 특허 출원 제2005-327237호에서는, 음성 신호를 주파수 대역 분할 처리에 의해 소정의 주파수 대역마다 분할하고(예를 들면, 샘플링 주파수가 44.1kHz인 신호의 경우, 10.77Hz 폭으로, 4096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각각 주파수 대역 분할된 음성 신호의 정위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임의의 각도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만을 추출하거나, 혹은 없애거나, 혹은 음량을 조정하는 등, 정위 각도마다 음원의 조정을 행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정위 각도마다의 음량값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신호 처리부(2)로부터의 미리 결정되는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정위 각도마다의 음량값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각 음원에 대한 정보를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화면 표시부(9)에 공급한다.
화면 표시부(9)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CRT(Cathode Ray Tube) 등의 표시 소자와 그 컨트롤 회로를 구비하고,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의 표시 데이터의 공급을 받아, 이에 따라서 화상을 표시 소자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재생 장치(100)는, 조작부(5)나 리모트 커맨더(10)와 커맨드 수신부(6)를 통해서 미디어 재생부(1)에 장전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신호의 재생이 지시된 경우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미디어 재생부(1)를 제어하고, 목적으로 하는 음성 신호를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여, 음성 신호 처리부(2), D/A 컨버터(3)를 통해서 재생한다.
그리고, 동시에,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음성 신호 처리부(2)로부터의 미리 결정되는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정위 각도마다의 음량값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각 음원에 대한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화면 표시부(9)에 공급함으로써,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각 음원에 대한 정보를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5는,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각 음원에 대한 정보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구체적으로는, 미리 결정된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정위 각도마다 존재하는 음원에 대한 음량값을 색의 밝기로 나타낸 경우의 예이다. 그리고, 도 15에서, 외부 프레임은,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9G)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표시 화면(9G)에는,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각 음원에 대한 정보의 표시 영역인 음량 표시부(91)가 설치된다.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9G)에 표시되는 음량 표시부(91)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축이 각 음원의 음상의 정위 각도를, 종축은 주파수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횡축의 정위 각도는, 중앙을 0°(0도)로 하고, 좌우로 60°(60도)씩의 120°(120도)의 범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종축의 주파수는, 0Hz 내지 8000Hz의 범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한 예의 경우, 음량 표시부(91)에서 흑색의 영역은 음량이 작은 성분의 부분이며, 백색의 영역은 음량이 큰 성분의 부분이다. 또한, 음량 표시부(9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횡축은 정위 각도를 나타내고 있고, 좌측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의 음량값을 좌측에, 우측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의 음량값을 우측에, 중앙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의 음량값을 중앙에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음량 표시부(9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있고, 고주파 대역의 음량값을 상측에, 저주파 대역의 음량값을 하측에, 중주파 대역의 음량값을 중앙에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음량 표시부(91)에서, 오른쪽 아래의 영역은 우측에 정위하고 있는 저주파 대역의 음량값을 나타낸다. 즉, 음량 표시부(91)에서, 횡축 및 종축 및 색의 밝기라고 하는 3개의 요소를 이용하여 정위 각도 및 주파수 및 음량값의 3개의 성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5에서, 표시 92, 93, 94는, 대응하는 주파수의 값을 나타내고, 표시 95, 96, 97은, 대응하는 정위 각도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5의 예의 경우에는, 「0°」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60°(± 60°)의 범위로서, 주파수가 4000Hz 이하인 부분에, 보다 특징적으로는, 좌우로 30°(±30°)의 범위로서, 주파수가 2000Hz 이하인 부분에, 음량값이 큰 음원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예의 재생 장치(100)의 시스템 컨트롤러(4)는,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따라서, 분리 각도 지시 신호(정위 각도 범위 지시 신호) S1과,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를 생성하고, 이들 지시 신호 S1, S2를 음성 신호 처리부(2)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시스템 컨트롤러(4)는,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조작부(5)를 통하거나, 혹은, 리모트 커맨더(10)와 커맨드 수신부(6)를 통해서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여기에서는,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리모트 커맨더(10)와 커맨드 수신부(6)를 통해서 접수하는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리모트 커맨더(10)는,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로부터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자가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도 같이, 재생 장치(100)에서는, 유저는,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9G)에 표시되는 음원에 대한 정보의 표시를 확인하면서, 리모트 커맨더(10)에 설치되어 있는 방향 지시를 위한 조작자나 결정을 위한 조작자를 이용하고, 분리 각도(분리 각도 범위)를 지시함과 함께, 음량 밸런스를 지시한다.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이들 지시를 접수하고, 접수한 지시에 따라서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과,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를 생성하고, 이들을 음성 신호 처리부(2)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음성 신호 처리부(2)에서는, 지시된 분리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하여,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도 고려해서 결정된 게인을 곱하고, 또한, 지시된 분리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도 고려해서 결정된 게인을 곱하여, 유저의 지시에 따라서 게인 조정한 음성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이하, 음량 밸런스를 변화시키는 분리 각도를 설정하는 수순과, 지정의 범위 내 및 지정의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를 변경하는 수순을, 리모트 커맨더(10)에 대한 조작과, 이에 따라서 변화되는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9G)의 표시 화상을 대응지으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6, 도 17의 분리 각도를 지정하는 경우에서의 표시 화상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1 단계로서, 음성 신호의 재생 처리의 실행을 개시하고,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9G)의 표시 화상이 도 15에 도시한 상태에 있을 때에,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시점, 종료점을 지시하기 위한 포인터(지시자) P를 표시시키고, 우방향 키(10a), 좌방향 키(10b)를 조작하여, 선택하는 분리 각도의 범위(이하, 분리 각도 범위라고 함)의 개시점 S로 될 위치에 포인터 P를 위치 결정하고, 실행키(10e)를 압하함으로써, 개시점 S를 결정한다. 이 예에서, 분리 각도 범위는, 도 15의 음량 표시부(91)에서, 그 가로 방향으로 나타내도록 되어 있는 음상의 정위 각도 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범위이다.
즉, 우방향 키(10a)를 조작함으로써 정위 각도 범위의 개시점 S를 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좌방향 키(10b)를 조작함으로써 정위 각도 범위의 개시점 S를 좌방향 으로 이동하고, 실행키(10e)를 조작함으로써 정위 각도 범위의 개시점 S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P를, 음량 표시부(91)의 표시 영역 위에 겹쳐서 표시함으로써 개시점 S의 지시를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개시점 S를 결정한 후, 제2 단계로서, 또한 우방향 키(10a), 좌방향 키(10b)를 조작함으로써,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 P를 이동시킴으로써, 선택하는 분리 각도 범위(정위 각도 범위)의 종료점 E를 지시하고, 실행키(10e)를 조작하여 그 종료점 E를 결정한다.
즉, 우방향 키(10a)를 조작함으로써 정위 각도 범위의 종료점 E를 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좌방향 키(10b)를 조작함으로써 정위 각도 범위의 종료점 E를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실행키(10e)를 조작함으로써 정위 각도 범위의 종료점 E를 설정한다.
이때, 시스템 컨트롤러(4)가 유저로부터의 지시 입력에 따라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화면 표시부(9)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택한 개시점 S를 포함하는 세로선 및 지시하고 있는 종료점 E를 포함하는 세로선을 음량 표시부(91) 위에 겹쳐서 표시하고, 지시되어 있는 분리 각도 범위(정위 각도 범위)를 시각을 통해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컨트롤러(4)가, 음성 신호 처리부(2)를 제어하고, 지시된 범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만을 출력함으로써, 지시되어 있는 정위 각도 범위를 청각을 통해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유저가 행하는 종료점 E의 지시를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분리 각도 범위(정위 각도 범위)의 개시점 및 종료 점을 설정한 후, 제3 단계로서, 이들 개시점 S, 종료점 E에서 지시된 정위 각도 범위 내와 그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를, 리모트 커맨더(10)의 상방향 키(10c), 하방향 키(10d)를 조작함으로써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현재의 개시점 S, 종료점 E에서 지정된 범위 내와 그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 설정값이 1:1인 경우에, 상방향 키(10c)를 조작함으로써, 그 음량 밸런스값이 1.1:0.9로 되고, 또한, 예를 들면, 현재의 개시점 S, 종료점 E에서 지정된 범위 내와 그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값이 1:1인 경우에, 하방향 키(10d)를 조작함으로써, 그 음량 밸런스값이 0.9:1.1로 된다고 하는 상태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단계부터 제3 단계까지의 일련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재생 장치(100)의 유저는, 특정한 분리 각도(정위 각도 범위)를 선택하고, 그 선택 범위 내와 선택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를 조정하는 기능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특정한 정위 각도 범위를 선택하고, 그 선택 범위 내와 선택 범위 외와 한쪽 혹은 양쪽의 음량 조정을 행함으로써, 양쪽 범위의 음량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예의 소프트웨어에서의 실장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 도 19는, 이 예의 재생 장치(100)에서 행해지는 분리 각도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 입력의 접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며, 본 발명을 소프트웨어로 실현한 경우의 예에도 대응하는 것이다.
도 18, 도 19에 도시하는 처리는, 예를 들면, 리모트 커맨더(10) 및 커맨드 신호 수신부(6)를 통해서 음성 신호의 재생 지시를 접수하고, 미디어 재생부(1)에 장전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신호를 재생한 경우에, 음성 신호 처리부(2)와 시스템 컨트롤러(4)와 화면 표시부(9)가 협동해서 실행하는 처리이다.
우선, 재생 장치(100)의 시스템 컨트롤러(4)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음성 신호 처리부(2)를 제어하고,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가, 자체 기기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 형식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01).
스텝 S501의 판단 처리에서,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가 자체 기기에서 그대로 처리 가능한 신호 형식의 것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음성 신호 처리부(2)를 제어하고,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를 처리 가능한 신호 형식의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스텝 S502).
스텝 S502의 처리 후에는, 또는, 스텝 S501의 판단 처리에서,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가 자체 기기에서 그대로 처리 가능한 신호 형식의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리모트 커맨더(10) 및 커맨드 수신부(6)를 통해서, 유저에 의한 음량 밸런스를 조정하는 범위의 개시점 S의 설정 조작을 접수하고 있는 중인지의 여부, 즉, 개시점 설정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03).
스텝 S503의 판단 처리에서, 개시점 설정중이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커맨드 수신부(6)를 통해서 접수하는 리모트 커맨더(10)로부터의 커맨드 신호에 따라서, 내부에 유지하고 있는 개시점 S의 위치(위치 정보)를 갱신하고, 이에 따라서 포인터 P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화면 표시부(9)에 공급함으로써 포인터 P의 표시 위치를 변경한다(스텝 S504). 이 후, 시스템 컨트롤러(4)는, 후술하는 도 19의 스텝 S509의 처리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504의 처리에서, 리모트 커맨더(10)로부터 실행키(10e)가 압하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커맨드 신호가 송신되어 왔을 때에는, 그 때의 포인터 P의 위치가, 개시점 S로서 설정되고, 종료점 E의 설정 조작을 접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모트 커맨더(10)로부터 실행키(10e)가 압하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커맨드 신호가 송신되어 올 때까지는, 개시점 S의 설정 조작을 반복하여 행하게 된다.
또한, 스텝 S503의 판단 처리에서, 개시점 설정중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리모트 커맨더(10) 및 커맨드 수신부(6)를 통해서, 유저로부터 음량 밸런스를 조정하는 범위의 종료점 E의 설정 조작을 접수하고 있는 중인지의 여부, 즉, 종료점 설정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05).
스텝 S505의 판단 처리에서, 종료점 설정중이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커맨드 수신부(6)를 통해서 접수하는 리모트 커맨더(10)로부터의 커맨드 신호에 따라서, 종료점 E의 위치를 갱신하고, 이에 따라서 포인터 P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화면 표시부(9)에 공급함으로써 포인터 P의 표시 위치를 변경한다(스텝 S506). 이 후, 시스템 컨트롤러(4)는, 후술하는 도 19의 스텝 S509의 처리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506의 처리에서, 리모트 커맨더(10)로부터 실행키(10e)가 압하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커맨드 신호가 송신되어 왔을 때에는, 그 때의 포인터 P의 위치가, 종료점 E로서 설정되고, 음량 밸런스값의 변경 조작을 접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시점 S의 설정 후에는, 리모트 커맨더(10)로부터 실행키(10e)가 압하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커맨드 신호가 송신되어 올 때까지는, 종료점 E의 설정 조작을 반복하여 행하게 된다.
또한, 스텝 S505의 판단 처리에서, 종료점 설정중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리모트 커맨더(10) 및 커맨드 수신부(6)를 통해서, 유저로부터의 음성 밸런스의 조정 조작을 접수하였는지의 여부, 즉, 음성 밸런스가 변화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07).
스텝 S507의 판단 처리에서, 음성 밸런스가 변화되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커맨드 수신부(6)를 통해서 접수하는 리모트 커맨더(10)로부터의 커맨드 신호에 따라서, 지정된 범위 내, 범위 외의 음성 신호에 대한 내부에 유지하고 있는 음성 밸런스값을 갱신한다(스텝 S508). 이후, 시스템 컨트롤러(4)는, 후술하는 도 19의 스텝 S509의 처리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508의 처리에서, 리모트 커맨더(10)로부터 실행키(10e)가 압하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커맨드 신호가 송신되어 왔을 때에는, 변경된 음성 밸런스값이 결정값으로서 설정된다. 또한, 종료점 S의 설정 후에는, 리모트 커맨더(10)로부터 실행키(10e)가 압하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커맨드 신호가 송신되어 올 때까지는, 음성 밸런스값의 설정 조작을 반복하여 행하게 된다.
또한, 스텝 S507의 판단 처리에서, 음성 밸런스가 변화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또한, 전술한 바와도 같이, 스텝 S504, 스텝 S506, 스텝 S508의 각 처리 후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도 19에 도시하는 스텝 S509의 처리로 진행한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음성 신호 처리부(2)를 제어하여, 각각 음성 신호로부터,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지정된 분리 각도 범위(정위 각도 범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는,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설정된 음량 밸런스 설정값도 고려해서 결정한 게인값을 곱하고,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설정된 정위 각도 범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는,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설정된 음량 밸런스 설정값도 고려해서 결정한 게인값을 곱하고,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정위 각도마다의 음량값을 측정하고, 게인 조정 후의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를 D/A 컨버터(3)에 공급하여 재생한다(스텝 S509).
이후,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음성 신호 처리부(2)로부터,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에 대한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정위 각도마다의 음량값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각 음원에 대한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화면 표시부(9)에 공급하고,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각 음원에 대한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510).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4)는, 계속해서 음성 신호 처리부(2)에 입력되는 다음 음성 신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11). 스텝 S511의 판단 처리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 이는 다음으로 처리를 행할 음성 신호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시스템 컨트롤러(4)는, 다시, 스텝 S50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도록 한다. 또한, 스텝 S511의 판단 처리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 처리를 행할 대상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이 도 18, 도 19 에 도시한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이 예의 재생 장치(100)는, 2채널 이상의 음성 신호의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정위 각도마다의 음량값을, 색의 밝기에 의해 각각 주파수와 정위 각도를 2개의 축으로 한 2차원 평면상에 표현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2차원 평면에서, 유저 조작에 의해 특정한 범위를 선택하고, 선택 범위 내 및 선택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를 조정하는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저 조작에 의해 특정한 분리 각도 범위(특정한 정위 각도 범위)를 선택하고, 선택 범위 내 및 선택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가 음악의 음성 신호인 경우에는, 목적으로 하는 악기의 음을 두드러지게 하도록 하거나, 노래 소리를 두드러지게 하고, 연주를 두드러지지 않게 하거나 한다고 하는 것처럼, 콘텐츠의 즐기는 방법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변형예]
도 14에 도시한 재생 장치(100)에서는, 리모트 커맨더(10)를 통해서 분리 각도 범위(정위 각도 범위)의 설정을 행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9G)에 터치 패널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설정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0은, 표시 화면(9G)에 터치 패널(9TP)이 첨부된 화면 표시부(9)의 해당 표시 화면(9G)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9G)의 전면에는, 터치 패널(9TP)이 첨부되 고, 표시 화면(9G)에 표시되는 화상과 터치 패널(9TP)에 의해,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즉, 시스템 컨트롤러(4)는, 표시 화면(9G)의 어느 위치에 어떤 표시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있다. 또한, 터치 패널(9TP)에의 터치 펜이나 손가락 등에 의한 접촉이 행해지면, 터치 패널(9TP)은, 접촉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서 시스템 컨트롤러(4)에 공급한다. 또한, 소위 드래그 조작(끄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시시각각 변화되는 접촉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데이터를 터치 패널(9TP)은 전기 신호로서 시스템 컨트롤러(4)에 공급한다.
시스템 컨트롤러(4)는, 터치 패널(9TP)로부터의 좌표 데이터와, 그 좌표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지는 표시 화면(9G)상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할 처리를 결정하고, 그 결정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터치 패널(9TP)에 대한 조작에 의해, 정위 각도 범위를 지정하고, 또한 음량 밸런스를 변화시키도록 하는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변형예의 경우에도,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9G)에는,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각 음원에 대한 정보의 표시 영역인 음량 표시부(91)가 설치된다. 도 20에서, 표시 92, 93, 94는, 대응하는 주파수의 값을 나타내고, 표시 95, 96, 97은, 대응하는 정위 각도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즉, 이 음량 표시 영역(91)에는,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낸 음량 표시 영역(9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횡축이 각 음원의 음상의 정위 각도를, 종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각 음원의 음량의 크기를 색의 밝기로 나타내도록 하고 있다. 따 라서, 횡축 및 종축 및 색의 밝기라고 하는 3개의 요소를 이용하여, 정위 각도 및 주파수 및 음량값의 3개의 성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음량 표시부(91) 위에 첨부된 터치 패널(9TP)에 대하여, 터치 펜이나 손가락 등을 접촉시켜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분리 각도 범위(정위 각도 범위)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유저가 음량 표시부(91) 위에 첨부된 터치 패널(9TP) 위의 한점에 터치 펜이나 손가락 등을 접촉시켜, 접촉시킨 채의 상태로 접촉 위치를 다른 한점으로 이동하여, 접촉을 해방한다.
또한, 도 20에서, 슬라이더(901), 버튼(902) 및 버튼(903)의 각 표시는 음량 표시부(91)에 표시하는 주파수의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즉, 유저가 슬라이더(901)의 부위 중, 현재의 슬라이더의 위치보다도 상측의 부위에 닿으면 슬라이더(901)의 위치가 상측으로 변화되고, 그 위치의 변화에 맞춰 음량 표시부(91)에 표시되는 주파수의 범위가 상측으로 어긋난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901)의 위치가 중심에 있던 경우에 표시하는 주파수의 범위가 0Hz부터 8000Hz까지의 범위인 경우에, 슬라이더(901)의 위치를 전체의 1/4(4분의 1) 정도 상측으로 어긋나게 하면,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음량 표시부(91)의 주파수 범위를, 2000Hz부터 10000Hz까지의 범위로 어긋나게 한다고 하는 상태이다.
또한, 유저가, 터치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버튼(902)의 표시 위의 터치 패널(9TP)에 닿은 경우에는, 음량 표시부(91)에 표시하는 주파수의 범위가 좁아진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하는 주파수의 범위가 0Hz부터 8000Hz 까지의 범위인 경우에, 유저가, 터치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버튼(902)의 표시 위의 터치 패널(9TP)에 닿은 경우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음량 표시부(91)의 주파수 범위를, 0Hz부터 4000Hz까지의 범위로 좁게 한다고 하는 상태이다.
또한, 유저가, 터치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버튼(903)의 표시 위의 터치 패널(9TP)에 닿은 경우에는, 음량 표시부(91)에 표시하는 주파수의 범위가 넓어진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하는 주파수의 범위가 0Hz부터 8000Hz까지의 범위인 경우에, 유저가, 터치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버튼(903)의 표시 위의 터치 패널(9TP)에 닿은 경우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음량 표시부(91)의 주파수 범위를, 0Hz부터 16000Hz까지의 범위로 넓힌다고 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더(901), 버튼(902) 및 버튼(903)을 이용하여 음량 표시부(91)에 표시하는 주파수의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조작에 의해 주파수의 범위가 변경되었을 때, 표시 92, 93, 94의 주파수의 값도 변경된다.
또한, 도 20에서, 슬라이더(904), 버튼(905) 및 버튼(906)의 각 표시는 음량 표시부(91)에 표시하는 정위 각도의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즉, 유저가 슬라이더(904)의 부위 중, 현재의 슬라이더의 위치보다도 좌측의 부위에 닿으면 슬라이더의 위치가 좌측으로 변화되고, 그 위치의 변화에 맞춰 음량 표시부(91)에 표시하는 정위 각도의 범위가 좌측으로 어긋난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904)의 위치가 중심에 있던 경우에 표시하는 정위 각도의 범위가 -60°부터 +60°까지의 범위인 경우에, 슬라이더(904)의 위치를 전체의 1/4(4분의 1) 정도 좌측으로 어긋나게 하면, 시스템 컨 트롤러(4)는, 음량 표시부(91)의 정위 각도의 범위를, -90°부터 +30°까지의 범위로 어긋나게 한다고 하는 상태이다.
또한, 유저가, 터치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버튼(905)의 표시 위의 터치 패널(9TP)에 닿은 경우에는, 음량 표시부(91)에 표시하는 정위 각도의 범위가 좁아진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하는 정위 각도의 범위가 -60°부터 +60°까지의 범위인 경우에, 유저가, 터치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버튼(906)의 표시 위의 터치 패널(9TP)에 닿은 경우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음량 표시부(91)의 정위 각도의 범위를, -30°부터 +30°까지의 범위로 좁게 한다고 하는 상태이다.
또한, 유저가, 터치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버튼(906)의 표시 위의 터치 패널(9TP)에 닿은 경우에는, 음량 표시부(91)에 표시하는 정위 각도의 범위가 넓어진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하는 정위 각도의 범위가 -60°부터 +60°까지의 범위인 경우에, 유저가, 터치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버튼(906)의 표시 위의 터치 패널(9TP)에 닿은 경우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음량 표시부(91)의 정위 각도의 범위를, -120°부터 +120°까지의 범위로 넓힌다고 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더(904), 버튼(905) 및 버튼(906)을 이용하여 음량 표시부(91)에 표시하는 정위 각도의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조작에 의해 정위 각도가 변경되었을 때, 표시 95, 96, 97의 정위 각도의 값도 변경된다.
또한, 도 20에서, 슬라이더(908)는, 유저 조작에 의해 지정된 정위 각도 범 위 내의 음량 밸런스값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유저가 슬라이더(908)의 부위 중, 현재의 슬라이더의 위치보다도 상측의 부위에 닿으면 슬라이더(908)의 위치가 상측으로 변화되고, 그 위치의 변화에 맞춰 지정 범위 내의 음량 밸런스값이 증가한다.
또한, 도 20에서, 슬라이더(909)는, 유저 조작에 의해 지정된 정위 각도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값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유저가 슬라이더(909)의 부위 중, 현재의 슬라이더의 위치보다도 상측의 부위에 닿으면 슬라이더(909)의 위치가 상측으로 변화되고, 그 위치의 변화에 맞춰 지정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값이 증가한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908) 및 슬라이더(909)의 위치가, 변경 가능한 범위의 중심에 있던 경우, 이 경우의 지정된 정위 각도 범위 내와 그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값이 1:1이라고 하면, 슬라이더(908)의 위치를 전체의 1/4(4분의 1) 정도 상측으로 변화시키면, 시스템 컨트롤러(4)는, 지정된 정위 각도 범위 내와 그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값을 1.5:1로 변화시키게 된다. 이 상태로 더 슬라이더(909)의 위치를 전체의 1/4(4분의 1) 정도 하측으로 변화시키면, 시스템 컨트롤러(4)는, 지정된 정위 각도 범위 내와 그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값을 1.5:0.5로 변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음성 신호 처리부(2)를 제어하고, 각각 음성 신호로부터,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지정된 분리 각도(정위 각도 범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는,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설정된 음량 밸런스 설정값도 고려해 서 결정한 게인값을 곱하고,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설정된 정위 각도 범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는,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설정된 음량 밸런스 설정값도 고려해서 결정한 게인값을 곱하여, 게인 조정 후의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를 D/A 컨버터(3)에 공급해서 재생한다.
이와 같이, 표시 화면에 터치 패널을 설치함으로써, 리모트 커맨더(10)의 조작자를 빈번하게 조작하는 등의 일없이, 분리 각도의 지정이나 음량 밸런스의 지정을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유저로부터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는 경우의 구체예2에 대해서]
도 14 내지 도 20을 이용하여 전술한 유저로부터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는 경우의 구체예1의 경우에는, 유저로부터의 분리 각도(정위 각도)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여, 지시된 분리 각도 범위 내와 분리 각도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를 조정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리 각도 범위에 부가하여, 주파수 범위도 지시할 수 있도록 하고, 지시된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가 중복하는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 내와 지정 범위 외에서, 음량 밸런스를 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여,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가 중복하는 지정 범위 내와 외의 음량 레벨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를 예로 해서, 유저에 대하여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다른 일례(구체예2)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 설명하는 구체예2의 경우에도, 기본적으로는 구체예1의 경우 와 마찬가지로, 도 14에 도시한 구성의 재생 장치(100)에 적용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구체예2의 경우에도, 전술한 구체예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음원이 혼합된 2채널 이상의 음성 신호의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정위 각도마다의 음량값을, 색의 밝기에 의해 각각 주파수와 정위 각도를 2개의 축으로 한 2차원 평면상에 표현해서 유저에 제공하고, 이를 참조하면서, 목적으로 하는 분리 각도 범위 및 주파수 범위의 지시 입력과, 음량 밸런스의 지시 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하에 설명하는 구체예2의 설명에서도, 필요에 따라서, 구체예1에서 이용한 도 14, 도 15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도 같이, 분리 각도 범위의 지정에 부가하여, 주파수 범위의 지정도 가능하게 하는 이 구체예2의 유저 인터페이스도 또한, 도 14를 도시한 재생 장치(100)에 적용된다.
이 구체예2의 경우에도, 음성 신호 처리부(2)는, 미디어 재생부(1)로부터의 Lch와 Rch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 미리 결정되는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정위 각도마다의 음량값을 조사하고, 그 측정 결과를 후술하는 시스템 컨트롤러(4)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2)는, Lch와 Rch의 음성 신호를, 재생용의 음성 신호 Lex와 음성 신호 Rex로서, D/A 컨버터(3)에 공급한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신호 처리부(2)로부터의 미리 결정되는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정위 각도마다의 음량값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각 음원에 대한 정보를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화면 표시부(9)에 공급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도 같이, 재생 장치(100)는, 조작부(5)나 리모트 커맨더(10)와 커맨드 수신부(6)를 통해서 미디어 재생부(1)에 장전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신호의 재생이 지시된 경우에는, 시스템 컨트롤러(4)는, 미디어 재생부(1)를 제어하고, 목적으로 하는 음성 신호를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여, 음성 신호 처리부(2), D/A 컨버터(3)를 통해서 재생한다.
동시에, 시스템 컨트롤러(4)는, 음성 신호 처리부(2)로부터의 미리 결정되는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정위 각도마다 음량값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각 음원에 대한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화면 표시부(9)에 공급함으로써,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각 음원에 대한 정보를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9G)에 표시되는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각 음원에 대한 정보는,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정위 각도마다 존재하는 음원에 대한 음량값이 색의 밝기로 나타내어진다. 그리고, 이 구체예2의 경우, 조작부(5) 혹은 리모트 커맨더(10)를 통해서,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와 음량 밸런스값의 입력을 접수하여, 시스템 컨트롤러(4)에 공급한다.
이 구체예2에서, 시스템 컨트롤러(4)는, 접수한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는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과, 접수한 음량 밸런스값을 포함하는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를 음성 신호 처리부(2)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이 구체예2 에서, 시스템 컨트롤러(4)는, 분리 각도 범위 및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는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과, 음량 밸런스값을 포함하는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를 생성하고, 이들을 음성 신호 처리부(2)에 공급하고 있다.
그리고, 분리 각도 범위 및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는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과, 음량 밸런스값을 포함하는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의 공급을 받아, 분리 각도 범위의 지정뿐만 아니라,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에 의한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의 지정(설정)도 가능하게 하고,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의 내부와 외부에서 음량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이 구체예2에서의 재생 장치(100)의 음성 신호 처리부(2)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의 음성 신호 처리부(2)와는 서로 다른 것이다.
도 21은, 이 구체예2의 경우의 재생 장치(100)의 음성 신호 처리부(2)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1과 도 3을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1에 도시한 이 구체예2가 적용된 재생 장치(100)의 음성 신호 처리부(2)는, 분리 처리 회로(21), 음량 밸런스 측정 회로(22),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에 부가하여, 필터 계수 생성 회로(24)와, 필터부(25)와, 가산 회로(26, 27)가 설치된 것이다. 또한, 필터부(25)는, 2개의 밴드 엘리미네이션 필터(이하, BEF라고 약칭함)와 2개의 밴드 패스 필터 (이하, BPF라고 약칭함)로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그리고,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의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는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은, 분리 처리 회로(21)와 필터 계수 생성 회로(24)에 공급된다. 분리 처리 회로(21)는,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에 포함되는 분리 각도 범위에 기초하여, 전술한 바와도 같이, 좌우 2채널Lch, Rch의 각각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 지시된 분리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 Li, Ri, 및, 지시된 분리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Lo, Ro로 분리하고, 지시된 분리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 Li, Ri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채널에서 서로 다른 BEF와 BPF에 공급된다. 또한, 지시된 분리 각도 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Lo, Ro는, 좌우의 채널에서 서로 다른 가산 회로(26, 27)에 공급된다.
한편, 필터 계수 생성 회로(24)는,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 공급되는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에 포함되는 주파수 범위에 기초하여, 필터부(25)의 2개의 BEF와 2개의 BPF의 각각에 설정하는 필터 계수를 구하고, 구한 필터 계수를 목적으로 하는 필터에 공급해서 설정한다.
즉, 필터부(25)의 2개의 BPF는, 지시된 분리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 Li, Ri로부터, 또한 지시된 주파수 범위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때문에, 필터부(25)의 2개의 BPF에 대해서는, 지시된 주파수 범위의 신호만을 통과 시키도록 하기 위한 필터 계수가 설정된다.
또한, 필터부(25)의 2개의 BEF는, 지시된 분리 각도 내의 음원의 음성 신호 Li, Ri로부터, 지시된 주파수 범위의 신호만을 삭제하고, 지시된 분리 각도 내의 음원 신호 Li, Ri의 내로부터 지시된 주파수 범위 외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때문에, 필터부(25)의 2개의 BEF에 대해서는, 지시된 주파수 범위 외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도록 하기 위한 필터 계수가 설정된다.
이에 의해, 필터부(25)의 2개의 BPF로부터는, 지시된 분리 각도 내(분리 각 도 범위 내)의 신호이며, 또한, 지시된 주파수 범위 내의 신호 Lii, Rii가 출력된다. 바꾸어 말하면, 필터부(25)의 2개의 BPF로부터는, 지시된 분리 각도 범위와 지시된 주파수 범위가 중복하는 부분의 음성 신호(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에서 규정되는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 내의 음성 신호) Lii, Rii가 출력된다.
한편, 필터부(25)의 2개의 BEF로부터는, 지시된 분리 각도 내의 음성 신호이지만, 지시된 주파수 범위 외의 음성 신호가 출력된다. 2개의 BEF로부터의 출력된 음성 신호의 각각은 대응하는 가산 회로(26, 27)에 공급된다. 이들 가산 회로(26, 27)에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채널의 지시된 분리 각도 외의 음성 신호 Lo, Ro가 공급되어 있고, 가산 회로(26, 27)로부터는, 지시된 분리 각도 범위 외의 음성 신호이며, 또한, 지시된 주파수 범위 외의 음성 신호 Loo, Roo가 출력된다.
이에 의해, 필터부(25)의 2개의 BPF로부터는, 좌우 2채널의 각각의 신호 중, 지시된 분리 각도 범위 내이며, 또한, 지시된 주파수 범위 내인 목적으로 하는 범위 내의 음성 신호 Lii, Rii가 출력되고, 가산 회로(26, 27)로부터는, 좌우 2채널의 각각의 음성 신호 중, 해당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 외의 음성 신호 Loo, Roo가 출력된다. 이들, 좌우 2채널의 각각의 음성 신호에 대한,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 내의 음성 신호 Lii, Rii와,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 외의 음성 신호 Loo, Roo가,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량 밸런스 측정 회로(22)와,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에 공급된다.
그리고, 음량 밸런스 측정 회로(22)에서는, 이것에 공급된 좌우 2채널의 목 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 내의 음성 신호 Lii, Rii와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 외의 음성 신호 Loo, Roo의 음량 레벨과,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의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에 포함되는 음량 밸런스값에 기초하여,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 내의 음성 신호 Lii, Rii와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 외의 음성 신호 Loo, Roo의 음량 밸런스를 측정하고, 시스템 컨트롤러(4)로부터의 음량 밸런스값에 따라서,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 내의 음성 신호 Lii, Rii와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 외의 음성 신호 Loo, Roo가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로 되도록,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 내의 음성 신호 Lii, Rii에 대한 게인값 Gi와,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 외의 음성 신호 Loo, Roo에 대한 게인값 Go를 결정하고, 이들을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에 공급한다.
음량 밸런스 조절 회로(23)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것에 공급된 좌우 2채널의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 내의 음성 신호 Lii, Rii와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 외의 음성 신호 Loo, Roo와,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 내의 음성 신호 Lii, Rii에 대한 게인값 Gi와,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 외의 음성 신호 Loo, Roo에 대한 게인값 Go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전술한 [수학식 1]에 따른 연산을 행하여, Lch의 출력 음성 신호 Lex와 Rch의 출력 음성 신호 Rex를 생성하고, 이들을 출력한다. 또한, [수학식 1]에서는, Li=Lii, Ri=Rii, Lo=Loo, Ro=Roo로서 연산하게 된다. 물론, 전술한 [수학식 1] 이외의 연산식을 이용하여 목적으로 하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도 21에 도시한 구체예2의 경우의 재생 장치(100)의 음성 신호 처리부(2)의 구성예의 경우에는, 분리 처리 후에, 설정된 주파수 범위에 따른 밴드 패스 필터(BPF)를 지시된 분리 각도 범위 내의 음성 신호 성분 Li, Ri에 곱함으로써, 분리 각도 범위 내이며, 또한, 주파수 범위 내인 목적으로 하는 범위 내의 음성 신호 성분 Lii, Rii를 생성하고 있다.
또한, 설정된 주파수 범위에 따른 밴드 엘리미네이션 필터(BEF)를 지시된 분리 각도 범위 내의 음성 신호 성분 Li, Ri에 곱함으로써 분리 각도 범위 내의 음성 신호 성분 Li, Ri로부터 주파수 범위 외의 음성 신호 성분을 생성하고, 이를 분리 각도 범위 외의 음성 신호 성분 Lo, Ro에 더함으로써 의해 설정된 분리 각도 범위 외이며, 또한, 설정된 주파수 범위 외의 음성 신호 성분 Loo, Roo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필터부(25)를 구성하는 각 BPF, 각 BEF의 필터 계수는, 지정된 주파수 범위에 따라서 필터 계수 생성 회로(24)에서 정적(모든 주파수 범위 패턴의 계수를 유지) 또는 동적(계산에 의해 구함)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25)를 구성하는 BPF 및 BEF는 FIR 필터(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로도, IIR 필터(In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로도 구성 가능하다.
다음으로, 이 구체예2의 경우에서, 음량 밸런스를 변화시키는 분리 각도 범위 및 주파수 범위를 설정하는 수순과,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에 의해 지정되는 목적으로 하는 범위 내 및 목적으로 하는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를 변경하는 수순을, 리모트 커맨더(10)에 대한 조작과, 이에 따라서 변화되는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9G)의 표시 화상을 대응시키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22, 도 23의 분리 각도 범위 및 주파수 범위를 지정하는 경우에서의 표시 화상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1 단계로서, 음성 신호의 재생 처리의 실행을 개시하도록 하면, 이 구체예2의 경우에서도 전술한 구체예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9G)에,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 표시 화상이 표시된다. 이 도 15에 도시한 상태에 있을 때에,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시점, 종료점을 지시하기 위한 포인터(지시자) P를 표시시켜, 우방향 키(10a), 좌방향 키(10b), 상방향 키(10c), 하방향 키(10d)를 조작하여, 목적으로 하는 범위의 개시점 S로 되어야 할 위치에 포인터 P를 위치 결정하고, 실행키(10e)를 압하함으로써, 개시점 S를 결정한다. 이 예에서, 목적으로 하는 범위는, 전술한 바와도 같이 분리 각도 범위(음상의 정위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범위이다.
즉, 우방향 키(10a)를 조작함으로써 분리 각도 범위의 개시점 S를 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좌방향 키(10b)를 조작함으로써 분리 각도 범위의 개시점 S를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방향 키(10c)를 조작함으로써 주파수 범위의 개시점 S를 고주파 대역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방향 키(10d)를 조작함으로써 주파수 범위의 개시점 S를 저주파 대역 방향으로 이동하고, 실행키(10e)를 조작함으로써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에 의해 결정되는 목적으로 하는 범위의 개시점 S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P를, 음량 표시부(91)의 표시 영역 위에 겹쳐서 표시함으로써 개시점 S의 지시를 하기 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개시점 S를 결정한 후, 제2 단계로서, 또한 우방향 키(10a), 좌방향 키(10b), 상방향 키(10c), 하방향 키(10d)를 조작함으로써,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 P를 이동시킴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범위의 종료점 E를 지시하고, 실행키(10e)를 조작해서 그 종료점 E를 결정한다.
즉, 우방향 키(10a)를 조작함으로써 분리 각도 범위의 종료점 E를 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좌방향 키(10b)를 조작함으로써 분리 각도 범위의 종료점 E를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방향 키(10c)를 조작함으로써 주파수 범위의 종료점 E를 고주파 대역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방향 키(10d)를 조작함으로써 주파수 범위의 종료점 E를 저주파 대역 방향으로 이동하고, 실행키(10e)를 조작함으로써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에 의해 결정되는 목적으로 하는 범위의 종료점 E를 설정한다.
이때, 시스템 컨트롤러(4)가 유저로부터의 지시 입력에 따라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화면 표시부(9)에 공급함으로써,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택한 개시점 S 및 지시하고 있는 종료점 E를 대각선상의 정점으로 한 직사각형을 음량 표시부(91) 위에 겹쳐서 표시함으로써, 지시하고 있는 목적으로 하는 범위(분리 각도 범위 및 주파수 범위가 중복하는 범위)를 시각을 통해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4)가, 입력된 개시점 S, 종료점 E의 좌표 위치로부터 분리 각도 범위(도 23에서, 개시점 S와 종료점 E로 나타내지는 횡축 방향의 범위)와, 주파수 범위(도 23에서, 개시점 S와 종료점 E로 나타내지는 종축 방향의 범위)가 특정되고, 이들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는 분리 각도 지시 신호 S1이 형성되어, 음성 신호 처리부(2)에 공급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고,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에 의해 지시되는 목적으로 하는 범위의 개시점 및 종료점을 설정한 후, 제3 단계로서, 이들 개시점 S, 종료점 E를 대각선상의 정점으로 한 직사각형으로 둘러싸인 범위 내와 그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를, 리모트 커맨더(10)의 상방향 키(10c), 하방향 키(10d)를 조작함으로써 변화시킨다.
즉, 시스템 컨트롤러(4)는, 리모트 커맨더(10)의 상방향 키(10c), 하방향 키(10d)를 통해서 음량 밸런스에 대한 지시 입력을 접수하고, 이 접수한 지시 입력에 따른 음량 밸런스값을 포함하는 음량 밸런스 지시 신호 S2를 생성하여, 음성 신호 처리부(2)에 공급함으로써, 도 21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지시된 목적으로 하는 범위 내와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현재의 개시점 S, 종료점 E에서 지정된 범위 내와 그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 설정값이 1:1인 경우에, 상방향 키(10c)를 조작함으로써, 그 음량 밸런스값이 1.1:0.9로 되고, 또한, 예를 들면, 현재의 개시점 S, 종료점 E에서 지정된 범위 내와 그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값이 1:1인 경우에, 하방향 키(10d)를 조작함으로써, 그 음량 밸런스값이 0.9:1.1로 된다고 하는 상태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단계부터 제3 단계까지의 일련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재생 장치(100)의 유저는,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가 중복하는 범위인 목적으로 하는 범위를 지정하고, 그 지정한 범위 내와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특정한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 고, 그 선택 범위 내와 선택 범위 외의 한쪽 혹은 양쪽의 음량 조정을 행함으로써, 양쪽 범위의 음량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체예2의 경우에도, 주로 시스템 컨트롤러(4)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는, 도 18,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 구체예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해지게 된다. 즉, 기본적으로는, 개시점 S, 종료점 E를 지정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범위를 지정하고, 이 목적으로 하는 범위 내와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의 조정 지시를 부여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범위 내와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를 지시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체예2의 경우에도,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부(9)의 표시 화면(9G)에 터치 패널(9TP)이 설치된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구체예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개시점 S, 종료점 E를 지시함으로써, 이 구체예2의 경우에는,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가 중복하는 부분인 목적으로 하는 범위를 지정하여, 음량 밸런스를 지정하고, 목적으로 하는 범위 내와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구체예2의 경우에는, 음성 신호 처리부(2)의 구성을 도 21에 도시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에 의해 결정되는 지정 범위 내와 범위 외에서, 음량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음성 신호 처리부(2)의 구성을 도 5,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에 의해 결정되는 지정 범위 내와 범위 외에서, 음량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체예1은 분리 각도 범위를 지정하는 경우의 예이며, 구체예2는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에서 결정되는 지정 범위를 지정하는 경우의 예다. 그리고, 전술한 제2,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목적으로 하는 음성 신호의 종류를 지정하는 경우에는, 지정 가능한 음성 신호의 종류를 미리 재생 장치나 기록 재생 장치에 등록해 두고, 그 중에서 목적으로 하는 음성 신호의 종류를 선택하는 등, 다양한 양태의 선택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체예1은 분리 각도 범위를 지정하는 경우의 예이며, 구체예2는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에서 결정되는 지정 범위를 지정하는 경우의 예이다. 이 이외에, 예를 들면, 주파수 범위만을 지정하여, 이 주파수 범위 내와 범위 외에서 음량 밸런스를 조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변형예]
또한, 전술한 제1,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미디어 재생부(1)로서는, 기록 매체로부터 음성 신호(및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디어 재생부(1) 대신에, AM(Amplitude Modulation) 방송 신호, FM(Frequency Modulation) 방송 신호, 텔레비전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등의 다양한 방송 신호 등을 수신·복조해서 음성 신호(및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 장치를 이용한 구성의 재생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미디어 재생부(1)나 튜너 장치를 구비한 재생 장치가 아니라, 예를 들면 앰프 장치 등으로서, 외부에서 재생(수신)된 음성 신호의 공급을 받아, 이 입력 음성 신호에 대하여 음성 신호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음성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 여,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AM(Amplitude Modulation) 방송 신호, FM(Frequency Modulation) 방송 신호, 텔레비전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등의 다양한 방송 신호 등을 수신·복조해서 음성 신호(및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 장치부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수신 선국한 방송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나 기록 재생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4 내지 도 20, 도 22,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 부분에서는,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9G)에 표시하는 음량 표시부(91)에는, 음량의 크기가 클수록 백색으로 되고, 음량의 크기가 작을수록 흑색으로 되도록 표시시켰지만, 반대의 경우이어도 된다. 즉, 음량이 큰 경우에 흑색으로 되고 음량이 작은 경우에 백색으로 된다고 하는 형태이다.
또한,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9G)에 표시하는 음량 표시부(91)에의 표시는, 컬러 표시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된 분리 각도(정위 각도)의 범위마다 표시색을 바꾸도록 하여, 색이 짙을수록 음량 레벨은 크고, 색이 옅을수록 음량 레벨은 낮다고 하는 것처럼 나타내거나, 반대로, 색이 옅을수록 음량 레벨은 크고, 색이 짙을수록 음량 레벨은 낮다고 하는 것처럼 나타내거나 할 수도 있다. 물론, 미리 결정된 분리 각도(정위 각도)이며, 또한, 미리 결정된 주파수 대역마다도, 표시색을 바꾸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9G)에 표시하는 음량 표시부(91)에의 표시는, 음량의 크기를 색으로 나타낼 뿐만 아니라 3차원 형식에 의해 표시하여도 된 다. 또한, 평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입체 화면에 3차원에 의해 표현하여도 된다. 또한, 종축과 횡축의 표현이 반대이어도 된다. 즉, 종축을 정위 각도, 횡축을 주파수로 하여도 된다.
또한, 도 14 내지 도 20을 이용하여 전술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체예1에서는, 리모트 커맨더(10)의 우방향 키(10a), 좌방향 키(10b), 상방향 키(10c), 하방향 키(10d), 실행키(10e)를 조작함으로써, 임의의 분리 각도 범위(정위 각도 범위)를 선택하고, 선택 범위 내 및 선택 범위 외의 음량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했지만, 이 이외의 수순, 및 이 이외의 방식으로 범위의 지정을 하여도 된다. 또한, 마우스, 터치 패널 등 리모트 커맨더 이외의 조작 기기나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범위의 지정을 행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마우스이면 마우스 버튼을 압하함으로써 개시점을 설정하고, 그대로 압하하면서 드래그(마우스의 조작을 행하여 마우스 커서의 위치를 이동함)해서 종료점까지 이동하고, 마우스 버튼을 해방함으로써 종료점을 설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도 14 내지 도 20을 이용하여 전술한 변형예에서는, 분리 각도 범위(선택가능한 정위 각도 범위)를 1개만으로 했지만, 이 선택 범위를 복수로 하여, 각각의 음량 밸런스를 변경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또한, 도 21∼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체예2에서는, 임의의 분리 각도 범위(정위 각도 범위) 및 주파수 범위를 설정할 때에 개시점 및 종료점을 대각선상의 정점으로 하는 직사각형으로 했지만, 원이나 타원의 형상 으로 하여, 그 내측의 범위를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범위를 지정할 때에, 개시점을 중심으로 하여 종료점을 반경으로 하는 원의 형상의 내측을 지정 범위로 하여도 된다. 또한, 임의의 주파수 범위 및 정위 각도 범위를 설정할 때에, 유저가 마우스나 터치 패널 등으로 그린 폐곡선의 내측을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로 하여도 된다. 즉, 범위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한 수순, 방식, 기기이면 어떤 형태이어도 된다.
또한, 도 21 내지 도 23을 이용하여 전술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체예2에서는,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에 의해 지정하는 목적으로 하는 범위의 지정을 1개만으로 했지만, 이 선택 범위(지정 범위)를 복수로 하여, 각각의 음량 밸런스를 변경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도 24, 도 25는, 목적으로 하는 지정 범위(분리 각도 범위 및 주파수 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범위)를 설정하는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의 A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1개의 점 x를 지정하면, 그 점 x를 중심으로 하여, 분리 각도 범위, 주파수 범위를 미리 결정된 분만큼 확보하고, 분리 각도 범위 및 주파수 범위를 설정한다.
도 24의 A의 경우에는, 최초로 지정된 점 x를 중심으로 하여, 분리 각도 범위를 좌우로 10°씩 취하고, 주파수 범위를 상하로 2000Hz씩 취하고,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범위 X를 자동적으로 설정한다. 이 범위 X는, 예를 들면, 도 24의 A에서, 화살표 a, b, c, d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4변의 각각을 이 동시켜, 사방으로 축소하거나, 확대하거나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4의 B의 경우에는, 1개의 점을 지정함으로써 설정되는 최초의 범위(초기 범위)를 타원에 의해 형성한 경우의 예이다. 이 도 24의 B의 예의 경우에도, 도 24의 A에 도시한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점 x를 지정함으로써, 그 점 x를 중심으로 하여 예를 들면 세로로 긴 종형의 타원의 범위를 설정하고, 이 범위를 도 24의 B에서 화살표 e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대하거나, 반대로 축소하거나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는, 타원에 의해 주파수 범위 및 정위 각도 범위를 설정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도 같이, 원을 이용하거나, 혹은, 반원을 이용하거나, 그 밖의 다양한 형상의 범위를 지정하여, 그 범위를 변형함으로써, 유저가 목적으로 하는 범위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4의 B에서, 범위 91a, 91b, 91c, 91d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분리 각도 범위(주파수 범위 및 정위 각도 범위)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지정된 범위 91a, 91b, 91c, 91d의 각각과, 그 이외의 부분의 음량 밸런스를 지정함으로써, 각 지정된 범위 91a, 91b, 91c, 91d의 각각과, 그 이외의 부분의 음량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범위 91a, 91b, 91c, 91d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성 신호의 음량 밸런스값을 크게 하고, 그 이외의 악기나 노이즈 음의 음량 밸런스값을 작게 하는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는 반대로, 지정된 범위 91a, 91b, 91c, 91d의 각각의 음원의 음량 밸런스를 작게 하고, 그 이외의 부분의 음원의 음량 밸런스 를 크게 한다고 하는 것처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음성 콘텐츠에 포함되는 각 음원에 흩어짐에 대응하여, 목적으로 하는 음원이 속하는 범위를 설정하고, 음량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바꾸어 말하면, 어떤 범위(주파수 범위나 음상의 정위 각도 범위, 혹은, 그 양쪽에 의해 특정되는 분리 각도 범위)에 존재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 어떻게 밸런스 조정할지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량 표시부(91) 자체의 형상을 부채형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도 2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채형의 개방각을 정위 각도 범위에 일치시키고, 또한, 원호의 양끝의 반경 부분에서의 해당 반경 방향을 주파수 범위로 함으로써,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위치를, 부채형의 중심(α)을 청취자의 위치에 두드러지게 하여, 보다 직감적으로 알기 쉬운 양태로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청취자의 좌측에 음상이 정위하고 있는 음원이 속하는 범위를 지정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2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심으로부터 좌측의 목적으로 하는 부분에 범위 91e를 설정하고, 이 범위를 축소하거나, 확대하거나, 또한, 그 위치를 변경하거나 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음원이 속하는 주파수 범위 및 정위 각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음량 표시부(91)의 형상은, 4각형이나 부채형에 한정되는 아니며, 원, 타원, 마름모꼴,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 각각의 악기의 주파수 특성이나 배음 성분 등으로 부터 악기를 판별하고, 악기의 화상이나 명칭을 화면 표시부(9)의 음량 표시부(91) 등에 표시하고,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종류를 지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도 같이, 음성 신호의 재생 장치, 기록 장치, 기록 재생 장치 외, 방송 신호의 수신 복조 기능을 구비한 수신 장치, 음악이나 영상 등의 재생 기능을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 음성 신호의 공급을 받아 증폭 처리 등의 음성 신호 처리를 행하는 파워 앰프 장치 등의 음성 신호 처리 장치 등, 음성 신호나, 동기를 취해서 재생할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로 이루어지는 소위 AV(Audio/Visual) 신호 등으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신호를 처리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정되는 분리 각도와 음량 밸런스, 혹은, 음원 종류와 음량 밸런스에 대해서, 처리 대상의 콘텐츠의 식별 ID를 관련지어, 예를 들면, 시스템 컨트롤러(4) 내의 메모리에 기억 유지시켜 둠으로써, 그 콘텐츠가 재생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지정된 지정 범위 내와 지정 범위 외의 한쪽 또는 양쪽에 대해서, 지정되도록 음성 신호의 게인 조정을 행하여, 유저가 원하는 양태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신호 등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지정되는 분리 각도와 음량 밸런스, 혹은, 음원 종류와 음량 밸런스를 부가해 둠으로써, 예를 들면, 다른 기기 등에 제공한 경우에는, 해당 다른 기기에서도, 그 지정된 주파수 범위 및 정위 각도 범위와, 그 범위 내와 범위 외의 한쪽 또는 양쪽에 대한 게인값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음성 신호 등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지정되는 분리 각도와 음량 밸런스에 따른 조정을, 혹은, 음원 종류와 음량 밸런스에 따른 조정을 콘텐츠 데이터의 전체에 적용하거나, 혹은, 콘텐츠 데이터의 소정의 일부분에만 적용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전체에 적용하는 것을 지시하거나, 선두로부터 몇 십초 경과한 위치로부터 몇십초간분의 기간, 혹은, 선두로부터 몇 프레임째부터 몇 프레임째까지의 기간이라고 하는 것처럼, 시간이나 프레임수, 그 밖의 콘텐츠상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를 이용하여, 적용 기간을 지정하거나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저로부터의 분리 각도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를 받아, 지시된 각도 내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와 지시된 각도 외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 각각의 음량 밸런스를 판별하여, 자동적으로 음량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매회 유저에 의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로 콘텐츠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저로부터의 음원의 종류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를 받아, 지시된 음원의 음성 신호와 그 이외의 음원의 음성 신호 각각의 음량 밸런스를 판별하여, 자동적으로 음량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매회 유저에 의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로 콘텐츠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도 같이, 유저로부터 입력되어 기기의 메모리에 기억 유지되어 있거나, 혹은, 메타 정보로서 음성 신호(음성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거나 하는 분리 각도 지시 정보, 음원 종류 지시 정보, 음량 밸런스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으로 하는 사람의 소리나 목적으로 하는 악기의 음 등을 두드러지게 하고, 그 이외의 음을 두드러지지 않도록 하거나, 혹은, 음성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기계적 소음이나 바람소리 등, 목적으로 하는 음원의 음성 신호를 알아듣기 어렵게 하고 있는 음원의 음성 신호를 두드러지지 않도록 하거나 하는 등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저로부터의 분리 각도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나, 음원의 종류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를 받음으로써, 매회 유저에 의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바람직한 음량 밸런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적용된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리모트 커맨더(10)의 외관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재생 장치(100)의 음성 신호 처리부(2)의 제1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구성의 음성 신호 처리부(2)가 이용된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재생 장치(100)의 음성 신호 처리부(2)의 제2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정위 각도·레벨 산출 회로(22)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도 5,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 음성 신호 처리부(2)가 이용된 제1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100)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8은 도 7에 계속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적용된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재생 장치(200)의 음성 신호 처리부(7)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구성의 음성 신호 처리부(7)가 이용된 제2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200)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적용된 제3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적용된 제4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4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4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체예1이 적용된 재생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5는 화면 표시부(9)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재생 대상의 음성 신호에 포함되는 각 음원에 대한 정보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분리 각도를 지정하는 경우에서의 표시 화상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분리 각도를 지정하는 경우에서의 표시 화상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분리 각도와 음량 밸런스의 지시 입력의 접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9는 도 18에 계속되는 플로우차트.
도 20은 표시 화면(9G)에 터치 패널(9TP)이 첨부된 화면 표시부(9)의 해당 표시 화면(9G)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체예2를 실현하기 위한 음성 신호 처리부(2)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를 지정하는 경우에서의 표시 화상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분리 각도 범위와 주파수 범위를 지정하는 경우에서의 표시 화상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분리 각도 범위(주파수 범위 및 정위 각도 범위)를 설정하는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는 분리 각도 범위(주파수 범위 및 정위 각도 범위)를 설정하는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미디어 재생부
2: 음성 신호 처리부
3: D/A 컨버터
4: 시스템 컨트롤러
5: 조작부
6: 커맨드 수신부
7: 음성 신호 처리부
8: 시스템 컨트롤러
9: 화면 표시부
9G: 표시 화면
91: 음량 표시부
10: 리모트 커맨더
100: 재생 장치
200: 재생 장치
301L, 301R: 마이크로폰
302: 앰프부
303: 기입 처리부
304: 기록 매체 드라이브
305: 판독 처리부
306: 재생 처리부
307: 조작부
308: 커맨드 수신부
310: 리모트 커맨더
300: 기록 재생 장치
400: 기록 재생 장치

Claims (18)

  1.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유저에 의해 지시되는 제1 오디오 신호와, 그 제1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2 오디오 신호의 음량 밸런스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유저에 의해 지시되는 음량 밸런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에 대한 음량의 조정값과, 상기 제2 오디오 신호에 대한 음량의 조정값을 산출하여, 상기 처리 대상의 오디오 신호의 음량 밸런스를 조정하는 조정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유저에 의해 지시되는 분리 각도 내에 정위하고 있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로 하고, 그 분리 각도 외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로 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유저에 의해 지시되는 음원 종류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로 하고, 그 음원 종류를 포함하지 않는 음원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 2 오디오 신호로 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에 의해 음량 밸런스가 조절된 상기 제1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음성 모델 데이터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리부는, 사람의 소리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로 하고, 사람의 소리가 아닌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로 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악기 모델 데이터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리부는, 악기 부분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로 하고, 악기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로 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7.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유저에 의해 지시되는 제1 오디오 신호와, 그 제1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와,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2 오디오 신호의 음량 밸런스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와,
    유저에 의해 지시되는 음량 밸런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에 대한 음량의 조정값과, 상기 제2 오디오 신호에 대한 음량의 조정값을 산출하여, 상기 처리 대상의 오디오 신호의 음량 밸런스를 조정하는 조정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계는, 유저에 의해 지시되는 분리 각도 내에 정위하고 있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로 하고, 그 분리 각도 외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로 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계는, 유저에 의해 지시되는 음원 종류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로 하고, 그 음원 종류를 포함하지 않는 음원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로 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단계에 의해 음량 밸런스가 조절된 상기 제1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음성 모델 데이터를 유지하는 유지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리 단계는, 사람의 소리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로 하고, 사람의 소리가 아닌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로 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악기 모델 데이터를 유지하는 유지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리 단계는, 악기 부분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로 하고, 악기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로 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13.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유저에 의해 지시되는 제1 오디오 신호와, 그 제1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와,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2 오디오 신호의 음량 밸런스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와,
    유저에 의해 지시되는 음량 밸런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에 대한 음량의 조정값과, 상기 제2 오디오 신호에 대한 음량의 조정값을 산출하여, 상기 처리 대상의 오디오 신호의 음량 밸런스를 조정하는 조정 단계
    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프로그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계는, 유저에 의해 지시되는 분리 각도 내에 정위하고 있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로 하고, 그 분리 각도 외에 정위하고 있는 음원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로 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프로그램.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계는, 유저에 의해 지시되는 음원 종류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로 하고, 그 음원 종류를 포함하지 않는 음원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로 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프로그램.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단계에 의해 음량 밸런스가 조절된 상기 제1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단계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 오 신호 처리 프로그램.
  17. 제13항에 있어서,
    복수의 음성 모델 데이터를 유지하는 유지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리 단계는, 사람의 소리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로 하고, 사람의 소리가 아닌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로 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프로그램.
  18. 제13항에 있어서,
    복수의 악기 모델 데이터를 유지하는 유지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리 단계는, 악기 부분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로 하고, 악기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로 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프로그램.
KR1020070080044A 2006-08-09 2007-08-09 음성 신호 처리 장치, 음성 신호 처리 방법 및 음성 신호처리 프로그램 KR200800138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16820 2006-08-09
JP2006216820A JP5082327B2 (ja) 2006-08-09 2006-08-09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および音声信号処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827A true KR20080013827A (ko) 2008-02-13

Family

ID=3908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044A KR20080013827A (ko) 2006-08-09 2007-08-09 음성 신호 처리 장치, 음성 신호 처리 방법 및 음성 신호처리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30918A1 (ko)
JP (1) JP5082327B2 (ko)
KR (1) KR20080013827A (ko)
CN (1) CN101123830B (ko)
DE (1) DE1020070375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396A (ko) * 2016-05-30 2022-11-22 소니그룹주식회사 영상 음향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9933A1 (en) * 2000-12-19 2006-06-15 Sparkpoint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authoring and playback
JP4602204B2 (ja) 2005-08-31 2010-12-22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および音声信号処理方法
JP4637725B2 (ja) * 2005-11-11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
CN106125048B (zh) * 2016-07-11 2019-05-24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声源定位方法及装置
JP4894386B2 (ja) 2006-07-21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および音声信号処理プログラム
JP4835298B2 (ja) 2006-07-21 2011-12-14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オーディオ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9051132A1 (ja) * 2007-10-19 2009-04-23 Nec Corporation 信号処理システムと、その装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GB0725117D0 (en) * 2007-12-21 2008-01-30 Wolfson Microelectronics Plc Frequency control based on device properties
US8274611B2 (en) * 2008-06-27 2012-09-25 Mitsubishi Electric Visual Solutions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s for television with integrated sound projection system
JP2010187363A (ja) * 2009-01-16 2010-08-26 Sanyo Electric Co Ltd 音響信号処理装置及び再生装置
JP5577787B2 (ja) * 2009-05-14 2014-08-27 ヤマハ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
JP4621792B2 (ja) 2009-06-30 2011-01-26 株式会社東芝 音質補正装置、音質補正方法及び音質補正用プログラム
JP5651338B2 (ja) * 2010-01-15 2015-01-14 ローランド株式会社 楽音信号処理装置
JP5651328B2 (ja) * 2009-12-04 2015-01-14 ローランド株式会社 楽音信号処理装置
JP5736124B2 (ja) * 2010-05-18 2015-06-17 シャープ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2001898A1 (ja) * 2010-07-02 2012-0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指向性マイクロホン装置及びその指向性制御方法
US8483397B2 (en) * 2010-09-02 2013-07-09 Hbc Solutions, Inc. Multi-channel audio display
US10162316B2 (en) * 2010-09-08 2018-12-2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daptive user interface on an electronic appliance
US8792647B2 (en) * 2010-12-17 2014-07-29 Dalwinder Singh Sidhu Circuit device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sound system
JP5760442B2 (ja) * 2011-01-13 2015-08-12 ヤマハ株式会社 定位解析装置および音響処理装置
JP5703807B2 (ja) * 2011-02-08 2015-04-22 ヤマハ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
JP2012163861A (ja) * 2011-02-08 2012-08-30 Yamaha Corp 信号処理装置
JP5754367B2 (ja) * 2011-12-20 2015-07-29 ヤマハ株式会社 音響処理装置および音響システム
KR20150024650A (ko) * 2013-08-27 201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사운드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300268B2 (en) * 2013-10-18 2016-03-29 Apple Inc. Content aware audio ducking
JP6355049B2 (ja) * 2013-11-27 2018-07-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音響信号処理方法、及び音響信号処理装置
US9972357B2 (en) * 2014-01-08 2018-05-15 Adobe Systems Incorporated Audio and video synchronizing perceptual model
KR101903535B1 (ko) 2014-07-22 2018-10-0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입력 오디오 신호를 조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U2016279775A1 (en) 2015-06-17 2018-01-0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Loudness control for user interactivity in audio coding systems
CN106506437B (zh) * 2015-09-07 2021-03-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音频数据处理方法,及设备
US10013996B2 (en) * 2015-09-18 2018-07-03 Qualcomm Incorporated Collaborative audio processing
CN105632508B (zh) * 2016-01-27 2020-05-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音频处理方法及音频处理装置
CN105933542B (zh) * 2016-06-28 2019-10-2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功放的调整方法及系统
CN105959438A (zh) * 2016-07-06 2016-09-2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频多通路输出扬声器的处理方法、系统及手机
US10341795B2 (en) * 2016-11-29 2019-07-02 The Curators Of The University Of Missouri Log complex color for visual pattern recognition of total sound
EP3528509B9 (en) 2018-02-19 2023-01-11 Nokia Technologies Oy Audio data arrangement
CN109036455B (zh) * 2018-09-17 2020-11-06 中科上声(苏州)电子有限公司 直达声与背景声提取方法、扬声器系统及其声重放方法
CN112331204B (zh) * 2020-11-24 2024-02-20 珠海市杰理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语音识别方法及设备、装置和存储介质
CN112866896B (zh) * 2021-01-27 2022-07-15 北京拓灵新声科技有限公司 一种沉浸式音频上混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02320A (en) * 1971-10-25 1975-08-06 Sansui Electric Co Decoder for use in 4-2-4 matrix playback system
US3783192A (en) * 1971-12-30 1974-01-01 Sansui Electric Co Decoder for use in matrix four-channel system
JPS5235282B2 (ko) * 1972-09-09 1977-09-08
JPS58203483A (ja) * 1982-05-22 1983-11-2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オ−デイオ信号の信号レベル表示装置
JPH0247624Y2 (ko) * 1984-10-31 1990-12-14
US4941177A (en) * 1985-03-07 1990-07-10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Variable matrix decoder
US4747142A (en) * 1985-07-25 1988-05-24 Tofte David A Three-track sterophonic system
US5208860A (en) * 1988-09-02 1993-05-04 Qsound Ltd. Sound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JPH03236691A (ja) * 1990-02-14 1991-10-22 Hitachi Ltd テレビジョン受信機用音声回路
US5386082A (en) * 1990-05-08 1995-01-31 Yamaha Corporation Method of detecting localization of acoustic image and acoustic image localizing system
JP2971162B2 (ja) * 1991-03-26 1999-11-02 マツダ株式会社 音響装置
JP2630699B2 (ja) * 1991-11-07 1997-07-16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US6490359B1 (en) * 1992-04-27 2002-12-03 David A. Gibs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visual images to mix sound
US5555310A (en) * 1993-02-12 1996-09-10 Kabushiki Kaisha Toshiba Stereo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stereo signal coding/decoding apparatus, echo canceler, and voice input/output apparatus to which this echo canceler is applied
JPH06311511A (ja) * 1993-04-27 1994-11-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複数画像ウィンドウを備えた画像・音声出力装置
EP0666556B1 (en) * 1994-02-04 2005-02-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und field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US5537435A (en) * 1994-04-08 1996-07-16 Carney; Ronald Transceiver apparatus employing wideband FFT channelizer with output sample timing adjustment and inverse FFT combiner for multichannel communication network
EP0762804B1 (en) * 1995-09-08 2008-11-05 Fujitsu Limited Three-dimensional acoustic processor which uses linear predictive coefficients
US6130949A (en) * 1996-09-18 2000-10-10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source, program recorded medium therefor,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sound source zone, and program recorded medium therefor
US6078669A (en) * 1997-07-14 2000-06-20 Euphonics, Incorporated Audio spatial loc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s
WO1999008380A1 (en) * 1997-08-08 1999-02-18 Hearing Enhancement Company, L.L.C. Improved listening enhancement system and method
US6072878A (en) * 1997-09-24 2000-06-06 Sonic Solutions Multi-channel surround sound mastering and reproduction techniques that preserve spatial harmonics
JPH11178100A (ja) * 1997-12-10 1999-07-02 Nec Corp 電子バランス調整回路
FI116505B (fi) * 1998-03-23 2005-11-30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suunnatun äänen käsittelemiseksi akustisessa virtuaaliympäristössä
US6920223B1 (en) * 1999-12-03 2005-07-19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ethod for deriving at least three audio signals from two input audio signals
JP4005293B2 (ja) * 2000-02-29 2007-11-0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ンピュータ、その制御方法、記録媒体及び伝送媒体
EP1310139A2 (en) * 2000-07-17 2003-05-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tereo audio processing device
JP3670562B2 (ja) * 2000-09-05 2005-07-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ステレオ音響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ステレオ音響信号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EP1233509A1 (en) * 2001-02-14 2002-08-21 Thomson Licensing S.A. Digital audio processor
US7123728B2 (en) * 2001-08-15 2006-10-17 Apple Computer, Inc. Speaker equalization tool
JP3712647B2 (ja) * 2001-09-14 2005-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音量調整方法、音量調整装置、音量調整プログラム、及び音量調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244800A (ja) * 2002-02-14 2003-08-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像定位装置
KR20050047085A (ko) * 2002-07-31 2005-05-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오디오 처리 시스템
CA2498392C (en) * 2003-01-23 2014-06-17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Audio system with balance setting based on information addresses
JP2005099559A (ja) * 2003-09-26 2005-04-14 Roland Corp 電子楽器
US7929708B2 (en) * 2004-01-12 2011-04-19 Dts, Inc. Audio spatial environment engine
JP3912386B2 (ja) * 2004-02-24 2007-05-09 ヤマハ株式会社 ステレオ信号の特性表示装置
WO2005101898A2 (en) * 2004-04-16 2005-10-27 Dublin Institute Of Technology A method and system for sound source separation
JP2005341384A (ja) * 2004-05-28 2005-12-08 Sony Corp 音場補正装置、音場補正方法
JP2006100869A (ja) * 2004-09-28 2006-04-13 Sony Corp 音声信号処理装置および音声信号処理方法
JP2006135489A (ja) * 2004-11-04 2006-05-25 Dimagic:Kk 再生バランス調整方法、プログラム及び再生バランス調整装置
JP4602204B2 (ja) * 2005-08-31 2010-12-22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および音声信号処理方法
JP4479644B2 (ja) * 2005-11-02 2010-06-09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JP4637725B2 (ja) * 2005-11-11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20070135952A1 (en) * 2005-12-06 2007-06-14 Dts, Inc. Audio channel extraction using inter-channel amplitude spectra
JP4894386B2 (ja) * 2006-07-21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および音声信号処理プログラム
JP4835298B2 (ja) * 2006-07-21 2011-12-14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オーディオ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80253592A1 (en) * 2007-04-13 2008-10-16 Christopher Sanders User interface for multi-channel sound pan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396A (ko) * 2016-05-30 2022-11-22 소니그룹주식회사 영상 음향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902704B2 (en) 2016-05-30 2024-02-13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audio processing, and program for separating an object sound corresponding to a selected video o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23830B (zh) 2010-10-06
JP5082327B2 (ja) 2012-11-28
CN101123830A (zh) 2008-02-13
DE102007037598A1 (de) 2008-03-27
JP2008042721A (ja) 2008-02-21
US20080130918A1 (en)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2327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および音声信号処理プログラム
US10932075B2 (en) Spatial audio processing apparatus
US10080094B2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JP4894386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および音声信号処理プログラム
US10635383B2 (en) Visual audio processing apparatus
JP4637725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844622B2 (ja) 音量補正装置、音量補正方法、音量補正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音響装置
JP4840421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
WO2012029790A1 (ja) 映像提示装置、映像提示方法、映像提示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8050222A (ja) フィルタ生成装置、フィルタ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71215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audio signal to be reproduced by plurality of speakers
JP2024028526A (ja) 音場関連レンダリング
JP5690082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736124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8100232A1 (en) Distributed audio capture and mixing
JP5316560B2 (ja) 音量補正装置、音量補正方法および音量補正プログラム
JP2007116363A (ja) 音響空間制御装置
JPWO2019016905A1 (ja) 音響処理装置及び音響出力装置
JP2015065551A (ja) 音声再生システム
JP2013051686A (ja) 映像提示装置、映像提示方法、映像提示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WO2008090899A1 (ja) 音響調整装置、音響装置及び音声編集プログラム
JP2018019154A (ja) パラメトリックイコライザ装置、オーディオ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