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873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873A
KR20080012873A KR1020077026565A KR20077026565A KR20080012873A KR 20080012873 A KR20080012873 A KR 20080012873A KR 1020077026565 A KR1020077026565 A KR 1020077026565A KR 20077026565 A KR20077026565 A KR 20077026565A KR 20080012873 A KR20080012873 A KR 20080012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carriage
lighting unit
light emitting
stroller
arrange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이시쿠라
Original Assignee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2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05Safety means for traffic, e.g. lights, reflectors, mirrors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4Safety guards for children, e.g.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4Safety guards for children, e.g. harness
    • B62B9/245Removable front guards, e.g. with a t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3자에 의한 시인성(視認性)을 높여 사용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유모차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영유아를 승차시키는 좌석부(110)와, 좌석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120)와, 이동시에 회동하는 바퀴부(130)와, 프레임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핸들부(140)를 가지며, 유모차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폭방향 배치부재(160)가 형성되고, 폭방향 배치부재는 그 중앙영역이 유모차의 진행방향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폭방향 배치부재의 양단부 영역은, 중앙부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각각 발광체(164)를 갖는 조명부(163)가 형성되어 있는 유모차(100)이다.

Description

유모차{BABY CAR}
본 발명은 예컨대 영유아 등을 태우고 보호자 등이 밂으로써 영유아 등을 이동시킬 수 있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영유아 등을 승차시키는 유모차가 제안되어 왔다(가령, 특허문헌 1). 즉, 특허문헌 1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는 앞바퀴쪽 바퀴부 및 뒷바퀴쪽 바퀴부가 각각 좌우로 2곳씩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옆으로 구르는 등의 우려가 없이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2-200901호(도 1 등)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모차는 그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좌우로 소정의 길이만큼 떨어져 있어 두 군데에 앞바퀴쪽 바퀴부 등이 배치되어 있다. 뒷바퀴쪽 바퀴부도 마찬가지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호자가 영유아 등을 유모차에 태우고 도로를 이동하려고 하면, 유모차가 도로상에서 소정의 폭을 점유하고서 이동하게 되어, 같은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 등에 근접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저녁 무렵부터 밤중, 그리고 이른 아침, 우천시, 흐린 날 등에는 주위가 어두워지기 때문에, 자동차 등의 운전자가 도로상의 유모차를 명확히 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운 환경이 되어 위험성이 높 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 3자에 의한 시인성(視認性)을 높여 사용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영유아를 승차시키는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이동시에 회동하는 바퀴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핸들부를 갖는 유모차로서, 상기 유모차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폭방향 배치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폭방향 배치부재는 그 중앙영역이 상기 유모차의 진행방향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폭방향 배치부재의 양단부 영역은, 중앙부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각각 발광체를 갖는 조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폭방향 배치부재는 유모차의 진행방향을 향해 돌출하도록 가령 U자 형상이나 V자 형상, 윗변이 짧은 사다리꼴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양단부 영역은 외측을 향한 경사면이 되고, 여기에 형성된 조명부는 각각 유모차의 전후방향에 대하여 외측을 향해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조명부는 유모차의 폭보다 폭방향으로 확대되는 방향으로, 그 빛을 조사(照射)하므로, 가령, 같은 도로를 마주 향하여 주행하거나 우회전 등을 해오는 자동차나 이륜차 등이 유모차의 존재를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유모차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의 유모차 진행방향에서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각각 팔꿈치 걸이부가 배치되고, 상기 팔꿈치 걸이부의 선단측에는, 이들 팔꿈치 걸이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폭방향 배치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폭방향 배치부재는 전체가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폭방향 배치부재의 양단부 영역에 상기 조명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폭방향 배치부재는 전체가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폭방향 배치부재의 양단부 영역에 조명부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부의 빛의 조사방향은, 양단부에서의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넓은 범위로 조사되며, 폭방향 배치부재의 만곡정도를 크게 함으로써 조명부의 발광체 조사범위도 넓어진다.
이 때문에, 폭방향 배치부재의 만곡된 형상의 곡률에 따라서, 조명부의 최적의 조사범위를 적절한 범위로 확대하도록 용이하게 설정할 수가 있다.
더욱이, 유모차는 영유아가 승차하는 것이므로, 모서리부가 없는 만곡된 형상으로 폭방향 배치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영유아에 대하여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폭방향 배치부재가 팔꿈치 걸이부의 선단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도로를 마주 향하여 주행하는 자동차 등에 의해 눈으로 쉽게 확인될 수 있는 높이이면서, 또한 영유아가 위치하는 높이와 조명부의 높이가 거의 동등해지기 때문에, 자동차 등이 영유아를 태운 유모차로서의 존재를 파악하기가 용이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이 눈으로 확인하기가 용이한 폭방향 배치부재에 조명부를 배치함으로써, 조명부로부터의 빛에 대한 확인의 용이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 배치부재는 상방으로도 중앙영역이 돌출하는 방향의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폭방향 배치부재를 상방으로도 중앙영역이 돌출하는 만곡된 형상의 3차원적인 형상으로 함으로써, 조명부에 의한 조명이 노면보다 약간 상방을 향하게 되어, 팔꿈치 걸이부보다 높은 자동차나 이륜차, 성인 보행자의 시야에 들기 쉬워져 인식시키기가 용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며, 상기 조명부에서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전면(前面)측에는, 투명부재로 이루어진 곡면형상의 확산커버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상기 발광체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는데, 확산커버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의 빛을 확산시키므로, 빛의 조사범위가 보다 확대되어, 마주 향하여 주행하는 자동차 등에 의한 시인성(視認性)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확산커버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의 빛이 확산되므로, 설령 직시(直視)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협각(狹角)의 지향성을 갖는 고휘도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도, 유모차에 타고 있는 영유아뿐만 아니라 가까이에 있는 다른 유아 등의 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4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발광 다이오드가 점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조명부의 발광 다이오드가 점멸하기 때문에, 마주 향하여 주행하는 자동차 등에 대한 주의환기가 더욱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4 또는 5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을 일정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을 일정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유모차를 사용하고서 일정 시간, 가령 1시간이 경과했을 때 조명부가 소등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조명부의 발광을 끄는 것을 잊어도 자동으로 소등되므로, 전지의 소모를 막을 수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장시간 연속하여 영유아가 유모차에 탄 자세를 계속 유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유모차의 연속사용시간으로서는 1시간 정도를 기준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조명부가 1시간 정도에서 소등됨으로써, 이용자에게 연속사용시간이 도과되었음을 알려, 안아 올리는 등 휴식시간을 갖도록 촉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제 3자에 의한 시인성을 높여, 사용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유모차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드부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명부 등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발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유모차 110 : 좌석부
120 : 프레임부 130a : 앞바퀴부
130b : 뒷바퀴부 140 : 핸들부
150a,150b : 팔꿈치 걸이부 160 : 가드부재
163a,163b : 조명부 164 : LED
170 : 덮개부 190 : 발판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 등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구체예이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각종 한정이 부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한다는 뜻의 기재가 없는 한, 이하의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유모차(100)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100)는 영유아를 태우기 위한 좌석부(110)와, 좌석부(11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120)와, 땅에 접하며 이동시에 회동하는 4개의 바퀴부로서의 앞바퀴부(130a), 뒷바퀴부(130b)를 갖는다.
또한, 프레임부(120)의 도면에서 상방에는, 영유아의 보호자가 유모차를 미는 등의 경우에 사용하는 핸들부(140)가, 프레임부(120)와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다.
좌석부(110)의 유모차(100) 진행방향(도 1의 화살표 R)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각각 팔꿈치 걸이부(150a,150b)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팔꿈치 걸이부(150a 등)는 좌석부(110)에 탄 영유아가 팔 등을 올려놓는 부분인 동시에, 유모차(100)의 이동중에 자신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기도 하다.
팔꿈치 걸이부(150a 등)는 구체적으로는 프레임부(12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팔꿈치 걸이부(150a,150b)의 선단측에는, 이들 팔꿈치 걸이부(150a 등)를 연결하도록 폭방향 배치부재의 하나인, 가령, 가드부재(160)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가드부재(160)는 유모차(10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가드부재(16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유모차(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부(110)를 덮도록 덮개부(170)가 배치되어 있다. 덮개부(170)는 폴딩(folding)에 의한 개폐가 가능한 구 조로 되어 있으며, 햇빛이 강할 때에는 덮개부(170)를 전개하여 펼칠 수가 있다. 이로써, 좌석부(110)에 앉아 있는 영유아를 강한 햇빛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부(110)에 영유아가 앉으면, 그 다리를 놓을 수 있는 발판(190)이 프레임부(120)에 지지되어 배치되어 있다.
(앞바퀴부(130a) 등에 대하여)
유모차는 크게 저월령용(가령, 바퀴지름이 φ180mm 정도로 큰 것)과 고월령용(가령, 바퀴지름이 φ120mm로 작은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저월령용은 아직 혼자 앉을 수 없는 영유아를 주된 대상으로 하는 유모차이고, 고월령용은 이미 혼자 앉을 수 있는 영유아를 주된 대상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따라서, 영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바퀴지름이 작은 유모차로 갈아탈 필요가 있어, 영유아의 보호자는 경제적 부담이 증대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의 앞바퀴부(130a) 등을, 바퀴지름이 큰 다른 바퀴(도시생략)가 되도록, 바퀴부를 구성하는 바퀴유닛마다 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바퀴유닛에서는 바퀴지름뿐만 아니라, 저월령용으로서는 서스펜션에 의한 충격흡수성을 높여 영유아에 대한 충격을 저감시키도록 구성하고, 고월령용으로서는 서스펜션을 약간 단단하게 함으로써 조작감을 향상시켜, 영유아의 상태에 맞는 사양으로 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앞바퀴부(130a) 등이 부착된 상태에서는, 고월령용으로서 조작감이 높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저월령용의 유모차로 하려면 저월령용의 바퀴유닛으로 교체함으로써, 영유아에 대한 충격을 억제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유모차(100)는 바퀴의 교환에 의해 저월령용 및 고월령용에 적합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 저월령 및 고월령 겸용형의 유모차(100)이다. 본 실시형태의 바퀴는 모두 쌍륜(雙輪)을 사용한다.
(가드부재(160) 등에 대하여)
도 2는 도 1의 가드부재(160)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드부재(160)의 중앙부에는 가드 중앙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가드 중앙부(161)의 표면에는, 예컨대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등의 부드러운 소재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드 중앙부(161)에는 도 2에 도시된 가드커버(162)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가드커버(162)는 전체가 두꺼운 쿠션재로 되어 있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 일면에 면(面) 패스너(雄)(162a)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 쪽 타면에 면 패스너(雌)(16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드커버(162)는 오염되어도 세탁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드커버(162)를 가드 중앙부(161)에 감아 면 패스너(雄)(162a)와 면 패스너(雌)를 서로 맞붙임으로써, 가드커버(162)는 가드 중앙부(161)에 확실히 감겨 고정되게 된다.
이때, 가드커버(162)가 배치되는 가드 중앙부(161)는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양자의 사이에서 마찰저항이 높아져 가드커버(162)가 가드 중앙 부(161) 상에서 도면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렵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모차(100)에 탄 영유아가 가드커버(162)를 잡고 움직여도 좌우방향으로 잘 벗어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급정차로 인해 유모차(100)에 타고 있는 영유아가 가드 중앙부(161)에 머리 등을 세게 부딪혔을 때, 가드커버(161)가 벗어나 있어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는 사태가 잘 발생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조명부를 덮게 되는 경우도 막는다. 또, 가드 중앙부(161)와 가드커버(162)는, 마찰저항뿐만 아니라 각각에 걸림결합부를 형성하여 걸림결합시킴으로써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부재(160)는 그 중앙영역이 유모차(100)의 진행방향(화살표 R)을 향해 돌출하는 동시에, 상방(도 1에 나타낸 화살표 T)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가드부재의 양단부 영역에는 각각 발광체인, 예컨대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 163)를 갖는 2개의 조명부(163a,16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드부재(160) 전체가 전방 및 상방으로 돌출되는 연속된 만곡형상을 이루며, 가드부재(160)의 양단부 영역에 조명부(163a 등)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가드부재(160)는 팔꿈치 걸이부(150) 선단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어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 2와 같이 가드부재(160)의 도면 좌측에는 조명부(163a 등)의 LED(164)를 점등시키기 위한 스위치(169)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조명부(163a 등)는, 유모차(100)의 폭보다 폭방향으로 넓게 그 LED(164)의 빛을 조사하므로, 같은 도로를 마주 향하여 주행하는 자동차 등이 유모차(100)의 존재를 용이하게 보고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드부재(160)는 상방으로도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 상방을 향하도록 빛이 조사되므로, 가드부재(160)보다 시점(視點)이 높은 마주 향해 오는 자동차 등의 운전자에 의한 시인성이 높다.
또한, 조명부(163a 등)의 LED(164)빛의 횡방향으로의 조사방향은, 가드부재(160)의 양단부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약 90도의 각도를 포함하는 넓은 방향으로 된다.
즉, 도 2에 나타낸 LED(164)의 지향특성을 근거로 한 조사방향(S)에서의 좌우 외측 조사영역을 베이스측에서 연결시킨 가상선(L,L')의 교점(θ)의 각도가 80도 내지 150도로 되어 있다.
때문에, 가드부재(160)의 만곡정도를 크게 할수록 조명부(163a 등)의 조사범위도 확대되게 되는데, 진행방향(R)과 평행하게 마주 향해오는 사람에 의한 시인성을 가장 높게 할 필요가 있다.
가드부재(160)의 만곡된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조명부(163a 등)의 최적의 조사범위를 확대시킬 수가 있다. 특히 유모차(100)의 안전을 위해서는 유모차(100)로부터 전방을 향해 적어도 90도의 범위를 조사할 것이 요구되는데, 본 실시형태에 의해, 조명부(163a 등)의 조사범위를 이러한 범위로 설정하기가 용이해진다. 물론, 조명부(163)의 각도를 미세조정할 수 있도록 각도조정수단을 설치할 수 도 있다.
또한, 가드부재(16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팔꿈치 걸이부(150a 등)의 선단측이면서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도로를 마주 향하여 주행하는 자동차 등에서 확인하기가 용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확인이 용이한 가드부재(160)에 조명부(163a 등)를 배치함으로써 조명부(163a 등)에 대한 확인의 용이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조명부(163a 등)에 대하여)
도 3은 도 2의 조명부(163a 등)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조명부(163a 등)는, 도 3과 같이 가드부재(16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거의 돌출되지 않는 형태로 되어 있다.
가드부재(160)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조명부(163a,163b) 내에는 각각 LED(164)가 2개씩 배치되어 있다.
상기 LED(164)의 전면측에는 수지 등의 투명부재로 이루어진 곡면형상의 확산커버(16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확산커버에는, 렌즈커트에 의한 패턴이나 주름가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공이 실시됨에 따라, LED(164)의 빛이 확산되어 조명부(163a 등)의 조명범위가 보다 확대되므로, 마주 향하여 주행하는 자동차 등에 의한 시인성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가공이 실시됨에 따라, 가령, 직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협소한 각도의 지향성을 갖는 고휘도의 LED(164)를 사용하여도, 유모차(100)에 타고 있는 영유아 등의 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 과도 거둔다.
또, 각 조명부(163a,163b)의 LED(164)를 점멸시킬 수도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마주 향하여 주행하는 자동차 등에 의한 시인성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또, 이러한 점멸과 통상적인 점등을 스위치에 의해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형태와 달리, 각 조명부(163a,163b)가 각각 갖는 2개의 LED(164) 중 각각의 조명부(163a 등)의 외측에 상당하는 LED(164)를 덮는 확산커버(165)를 선명하게 렌즈커트에 의해서만 구성하고, 내측에 상당하는 LED(164)의 확산커버(165)를 황색의 반(半) 투과소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LED(164)는 조명부(163a 등)의 외측과 내측에서 보이는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마주 향하는 자동차 등에 의한 시인성이 향상된다.
그 밖에, 조명부(163a 등) 내측의 LED(164)와 외측의 LED(164)의 색을, 가령, 황색과 적색으로 바꾸어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달리, 조명부(163a 등) 내측의 LED(164)와 외측의 LED(164)의 점멸 타이밍을 바꿀 수도 있다. 가령, 외측의 LED(164)를 점멸시킨 후에 내측의 LED(164)를 점멸시킨다.
또, 2개의 조명부(163a 등)의 LED(164)를, 가령, 선택적으로 좌측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순서대로 점멸시킴으로써, 방향지시기(윙커)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시인성(視認性)을 높이도록 각종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여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용자가 유모차(100)를 사용하기 위해, 도 2의 스위치(169)를 조작하여 스위치를 ON으로 하면, 도시되지 않은 타이머가 작동하여 1시간이 경과한 후에 LED(164)의 발광이 정지되어, 조명부(163a 등)가 소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영유아가 장시간 연속하여 유모차에 탄 자세를 계속 유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유모차(100)의 연속사용시간으로는 1시간 정도를 기준으로 할 필요가 있으나, 실제로는 1시간 이상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이용자가 유모차(100)의 조명부(163a 등)를 점등시키고 1시간이 경과하면, 조명부(163a 등)가 자동으로 소등됨으로써 이용자에게 유모차(100)의 사용시간이 도과하였음을 알려, 안아 올리는 등 휴식시간을 갖도록 촉구할 수가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드부재(160) 내에는 LED(164)의 전원부인 전지(도시생략)를 배치하기 위한 전지배치영역(16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지배치영역(165)에 전지를 배치하였을 경우, 전지를 지지하기 위한 전지커버(166)가 설치되어 있다.
전지커버(167)에는, 나사용 개구(166a)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3의 나사(168)를 통해 가드부재(163a)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 LED(164)나 전지배치영역(166) 등은 도시되지 않은 배선을 통해 기판에 연결되어 있다. 기판은 수지코팅 등에 의해 빗물이 침입했을 경우에도 장해가 잘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적절히 패킹 등을 배치하여 조명 부(163a)를 방수사양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169)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차한 영유아가 잘못 조작하지 않도록, 팔꿈치 걸이부(150)에 탈부착이 가능한 가드부재(160)의 탈부착부(169a)에 배치하고, 장착시에는 탈부착부(169a)가 팔꿈치 걸이부(150)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본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위치(169)를 2개의 조명부(163a,163b) 쌍방측에 설치하거나, 핸들부(140) 상에 원격조작이 가능한 스위치를 배치하여 이용자가 상술한 바와 같은 윙커 등의 움직임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스위치(169)를 설치하지 않고, 조도(照度)센서 등을 사용하여 소정의 암도를 검지한 단계에서 조명부(163)가 점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발판(190) 등에 대하여)
도 4는 도 1의 발판(190) 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판(190)은 PP(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진 경질재(191)와 엘라스토머 등으로 이루어진 연질재(192)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발 올림대로서의 강성(剛性)과 미끄러짐 방지기능을 겸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질재(192)는, 경질재(191)에 개구를 형성하여 그 개구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발판 프레임(194)에 고정되는 하측의 경질재와, 발이 맞닿는 경질재(191)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연질재(192)와 경질재(192)를 고정시키는 특별한 구성이 불필요하게 되며, 연질 재(192)를 확실히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모차(100)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판(190)의 중앙영역이 유모차(100)의 진행방향(화살표 R)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진 양단부 영역이 되는 도 4의 조명부 배치가능영역(193a,193b)에 조명부(163a,163b)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가드부재(160)의 조명부(163a 등)와 함께 제 3자에 의한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킨 유모차(100)가 된다.
또, 가드부재(160)와 발판(190) 중 어느 하나에만 조명부(163)를 배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원을 전지로 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바퀴부(130 등)의 회전에 의한 발전수단이나, 태양광을 축전하는 등의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가드부재(160)만 유모차(100)의 부품으로서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드부재(160)의 조명부(162a 등)에 고장 등이 발생한 경우에 고장부분만 교환할 수도 있고, 주거환경의 변화 등에 따라 위험성을 느꼈을 경우에만 옵션부품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어, 가드부재(160) 이외의 유모차(100)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명부(163a 등)를 가드부재(160)에 배치하였는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덮개부(170)의 양단부, 좌석부(110)의 양단부, 핸 들부(140)의 손잡이부분 양단부, 나아가 유모차(100)의 배면측 양단부나 좌석부(110)의 선단측 등이어도 되며, 복수의 조명부를 조합할 수도 있다.
가령, 핸들부(140) 상단 근방의 양측 가장자리 근방에 조명부를 배치하여, 접어개는 조작 등에 있어서의 조작 손잡이의 일부 등에 스위치를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모차는 저월령 전용품이나 고월령 전용품일 수도 있고, 바퀴부(130)가 3륜인 3륜 형태나 어린이 등을 돌보기 위한 어시스트용 승용물일 수도 있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는 서로 조합하여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Claims (6)

  1. 영유아를 승차시키는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이동시에 회동하는 바퀴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핸들부를 갖는 유모차로서,
    상기 유모차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폭방향 배치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폭방향 배치부재는 그 중앙영역이 상기 유모차의 진행방향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폭방향 배치부재의 양단부 영역은, 중앙부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각각 발광체를 갖는 조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의 유모차 진행방향에서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각각 팔꿈치 걸이부가 배치되고,
    상기 팔꿈치 걸이부의 선단측에는, 이들 팔꿈치 걸이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폭방향 배치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폭방향 배치부재는 전체가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폭방향 배치부재의 양단부 영역에 상기 조명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 배치부재는 상방으로도 중앙영역이 돌출하는 방향의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며,
    상기 조명부에서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전면(前面)측에는, 투명부재로 이루어진 곡면형상의 확산커버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발광 다이오드가 점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을, 일정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077026565A 2005-06-09 2006-06-07 유모차 KR200800128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69733A JP4895250B2 (ja) 2005-06-09 2005-06-09 ベビーカー
JPJP-P-2005-00169733 2005-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873A true KR20080012873A (ko) 2008-02-12

Family

ID=3749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565A KR20080012873A (ko) 2005-06-09 2006-06-07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95250B2 (ko)
KR (1) KR20080012873A (ko)
CN (1) CN101171164A (ko)
WO (1) WO2006132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6871B2 (ja) * 2010-03-04 2015-04-08 達也 松田 車椅子の照明装置
CN103241275A (zh) * 2013-04-25 2013-08-14 马俊 一种婴儿小推车前护栏防刮擦手侧垫
CN104176099A (zh) * 2014-09-12 2014-12-03 张丽明 具有闪光功能的儿童手推车
KR101682288B1 (ko) * 2015-02-02 2016-12-0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JP6943573B2 (ja) * 2017-01-31 2021-10-06 株式会社マキタ 手押し式運搬車
JP6954666B2 (ja) * 2019-10-04 2021-10-27 コンビ株式会社 子供座席、子供座席付き自転車およびガー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3556Y2 (ja) * 1992-10-27 1997-01-2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保護枠
JP3376117B2 (ja) * 1994-07-29 2003-02-1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胴ガード連結機構
JPH09277937A (ja) * 1996-04-11 1997-10-28 Kawajiyun Kk ショッピングカート
JPH10165444A (ja) * 1996-12-16 1998-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椅子
JPH11311956A (ja) * 1998-02-27 1999-11-09 Yoshimitsu Suda 表示器具
JP2000116719A (ja) * 1998-10-16 2000-04-25 Aichi Mach Ind Co Ltd 電動車椅子
JP2002177335A (ja) * 2000-12-12 2002-06-25 Purodesse:Kk 社会的交通弱者の安全な移動のための警告灯
JP4668409B2 (ja) * 2000-12-28 2011-04-13 ピジョン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4674891B2 (ja) * 2004-12-09 2011-04-20 ピジョン株式会社 ベビーカー及び発光手段
JP4173481B2 (ja) * 2004-12-27 2008-10-29 ピジョン株式会社 ベビー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71164A (zh) 2008-04-30
JP4895250B2 (ja) 2012-03-14
JP2006341747A (ja) 2006-12-21
WO2006132267A1 (ja)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2873A (ko) 유모차
EP1871652B1 (fr) Voiture d'enfant
TWI359764B (en) Straddle-type vehicle
JP6993362B2 (ja) 補助照明装置を有するオートバイ
JP6985305B2 (ja) 駐車操作用の補助照明装置を有するオートバイ
ES2237247B1 (es) Estructura de carroceria de vehiculo.
JP4529629B2 (ja) 小型電動車両の方向指示装置
CN205417913U (zh) 一种安全的儿童电动车
JP4674891B2 (ja) ベビーカー及び発光手段
JP6801316B2 (ja) 小型電動車両
JP4360683B2 (ja) ベビーカー
CN211023582U (zh) 一种智能代步轮椅
CN211156779U (zh) 一种智能代步轮椅
CN105774994A (zh) 一种安全的儿童电动车
KR200449891Y1 (ko) 어린이용 자전거의 보호대
JP2011031712A (ja) 作業車の照明装置
CN211167205U (zh) 一种智能代步轮椅
JP3088938U (ja) ベビーカー、遊戯具等の照明装置
JP3767228B2 (ja) 電動車両の方向指示装置
CN206856771U (zh) 婴儿车
JP4173481B2 (ja) ベビーカー
CN202743391U (zh) 机车安全护罩
JP4225309B2 (ja) 電動車両の方向指示装置
CN110664556A (zh) 一种智能代步轮椅
TWI525010B (zh) Straddle type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