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465A - 광섬유 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 - Google Patents

광섬유 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465A
KR20080003465A KR1020077029504A KR20077029504A KR20080003465A KR 20080003465 A KR20080003465 A KR 20080003465A KR 1020077029504 A KR1020077029504 A KR 1020077029504A KR 20077029504 A KR20077029504 A KR 20077029504A KR 20080003465 A KR20080003465 A KR 20080003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plug
plastic optical
container
fib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와따나베
다까시 쯔까모또
쯔요시 히사노
가쯔노리 기따가와
겐지 후루후지
야스스께 히오끼
미끼오 호조
가쯔유끼 나까노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산와 덴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산와 덴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3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8Protection from over-extension or over-compre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6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 G02B2006/4297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having protection means, e.g. protecting humans against accidental exposure to harmful laser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75Protection from bending or twi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JIS 규격에 따른 3개의 모듈에 부착가능한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 및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고, 이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은, 플러그 입구 포트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자동 개방이 가능한 포트 커버,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과 연결되는 용기,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유지하는 인장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플러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용기와 결합하는 결합부, 및 하우징에 형성되고 탄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또는 탄성 구조를 갖는 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ASSEMBLY INCLUDING AN OPTICAL FIBER SOCKET AND AN OPTICAL FIBER PLUG}
본 발명은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 및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JIS 규격에 적합한 범용성을 갖고, 방진 구조(dust-proofing structure)를 제공하고, 취급하기 용이하고, 설치하기 용이하며,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높은 전송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 및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한 광통신 장치를 통해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비가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가 개발되었다.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일 방법으로서, 벽 뒤 또는 바닥 아래에 설치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커넥터를 통해 정렬되어 플라스틱 광섬유용 소켓(이후로, "광소켓"이라고 함)에 연결된 선단부를 갖고, 이 광소켓이 커넥터를 통해 정렬되어 다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연결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 제 A 9-127369 호, 제 A 1-189617 호, 및 제 A 1-297604 호 에는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는 광소켓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특허 제 A 9-127369 호에 개시된 광섬유는, 부착 프레임 및 연결 유닛이 특정한 목적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범용성을 갖지 않고 또한 직접 설치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의 개수도 많으며 설치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먼지의 침입으로 인해 광소켓 또는 광 커넥터의 전송 성능이 감소하기 때문에, 먼지의 침입이 최소로 될 필요가 있다. 광소켓이 JIS 규격에 따른 3개의 모듈에 부착가능하기 때문에 일본특허 제 A 1-297604 호에 개시된 광소켓이 범용성을 갖는다 하더라도, 부품 개수의 감소 및 구조의 단순성으로 인해 광소켓이 광 커넥터의 연결 유닛을 덮는 어떠한 부재도 갖지 않기 때문에 이 광소켓은 방진 구조의 부족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러그가 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광소켓은 플러그가 크게 돌출하고 광섬유 케이블이 외부 영향을 받기 쉽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일본특허 제 A 1-189617 호에 개시된 광소켓은, JIS 규격에 따른 1개 또는 2개의 모듈 형태로 제공되고, 또한 방진 포트 커버가 설치된 커넥터를 구비한다. 포트 커버가 수동으로 개폐되고 또한 커넥터내에 수용되는 구조를 광소켓이 갖는다 하더라도, 포트 커버가 취급하기에 너무 작고 또한 포트 커버의 개폐 동작과 플러그의 연결 동작이 개별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는 작동성의 문제점을 광소켓이 갖는다. 특히, 광소켓이 일반적으로 벽면 등의 코너에 설치되기 때문에, 불량 한 작동성은 치명적인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플러그가 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광소켓은 플러그가 크게 돌출하고 광섬유 케이블이 외부 영향을 받기 쉽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기술에 개시된 광소켓은 플러그가 광소켓(광 커넥터)속으로 단순히 삽입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광소켓은 느슨한 연결로 인해 플라스틱 광 섬유 케이블이 함께 확실히 결합되지 않는다는 문제점도 갖는다. 특히, 벽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광소켓(광 커넥터)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플러그의 중량으로 인해 피연결부가 느슨해지기 때문에 높은 전송 성능을 유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에서 명확하게 설명하는 광소켓 및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이후로, 몇몇 경우에 단순히 "조립체"라고 함)를 제공하는 것이다.
1) JIS 규격에 따른 3개의 모듈에 부착가능하고, 기존의 배선 부속물에 적용가능하여 범용성을 갖도록 제공되어, 이에 의해 소켓의 적용 범위가 확대되는 광소켓.
2) 플러그를 용기에 연결하는 방향은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설치되는 벽면에 평행하도록 위치되어, 이에 의해 벽면으로부터의 플러그의 돌출이 최소화될 수 있고, 플라스틱 광섬유는 가구 등에 의한 외부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서 전송 성능이 유지되는 광소켓 및 플러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광선이 아래 방향(바닥쪽 방향)으로 향하고, 사람이 광소켓을 들여다보기 어렵고, 이에 의해 플러그가 분리되는 경우라도 안전이 보장될 수 있고,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소켓.
3)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권장 최소 반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케이블 가이드를 인장 리테이너(tensile retainer)가 갖고, 이에 의해 케이블은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권장 최소 반경보다 더 작은 반경으로 굴곡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송 성능이 유지되는 광소켓.
4) 용기 연결 포트의 테이퍼 형상에 일치하는 경사각으로 포트 커버가 제공 되고, 이에 의해 포트 커버와 용기 사이의 간극이 제거되어 먼지의 침입이 방지될 수 있는 광소켓.
5) 포트 커버는 본체 상면보다 하부 위치에 제공된 안내면을 갖고, 이에 의해 포트 커버의 안내면이 확인될 수 있고, 포트 커버는 용이하게 또한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광소켓.
6) 포트 커버의 안내면의 양측면에는 플러그의 빔 선단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포트 커버의 개폐 조작이 매끄럽고 균형이 잘 맞춰져서 수행될 수 있고, 방진 구조가 제공될 수 있는 광소켓.
7) 본체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권장 최소 반경과 일치하는 반경을 갖는 원호와 접촉하는 표면에 의해 형성된 테이퍼 형상을 갖고, 이에 의해 벽면으로부터의 본체의 돌출이 감소되어 외관이 개선될 수 있고, 필요한 부품의 개수가 감소되어 비용 성능이 개선될 수 있는 광소켓.
8) 본체는 연결 후에 플러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이 제공된 플러그 입구 포트를 갖고, 이에 의해 플러그는 플러그의 삽입 후에 지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고, 광소켓은 안정한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는 광소켓. 플러그가 외부 영향을 받는다 하더라도, 플러그는 지지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섬유 케이블은 직접 외부 영향을 받기가 어려운 광소켓 및 플러그.
9) 지지면은 플러그를 용기에 연결하는 방향으로 모따기된 전방 가장자리를 갖고, 이에 의해 플러그는 걸림없이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고, 장식판으로부터의 본체의 돌출이 감소되어 외관이 개선될 수 있는 광소켓 및 플러그.
10) 본체의 후면에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권장 최소 반경으로 형성된 케이블 가이드가 있고, 이에 의해 케이블은 설치중에 권장 최소 반경보다 더 작은 반경으로 굴곡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송 성능이 유지되는 광소켓.
11) 케이블 가이드는 용기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고, 이에 의해 용기속으로 삽입된 플라스틱 광섬유는 흔들리는 것이 억제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섬유에 대한 외부 영향이 방지되는 광소켓.
12) 본체의 후면에는 용기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결합 부재가 제공되어 있고, 이에 의해 용기는 용이하게 부착 및 분리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설치가 더 용이해지는 광소켓.
13) 인장 리테이너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끼우기 위한 고정부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돌기를 갖고, 이에 의해 고정부로서의 돌기는 설치중에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송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광소켓.
14) 본체 및 인장 리테이너는 본체와 인장 리테이너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결합 부재를 갖고, 이에 의해 인장 리테이너는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벽 뒤의 간극이 좁은 위치에서 설치가 실시되는 경우에도 설치가 더 용이해지고 적용 범위가 확대되는 광소켓. 설치중에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안정시키고 또한 전송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인장 리테이너가 단단히 보유될 수 있는 광소켓.
15) 인장 리테이너는 벽 매몰 박스(wall-embeded box)보다 더 좁은 폭을 갖 는 후방판을 포함하고, 이 인장 리테이너는 그의 후방판 주위에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신장한 상태에서 벽 매몰 박스에 수용되고, 이에 의해 케이블은 설치중에 벽 매몰 박스에 용이하게 수용되어 설치가 더 쉽게 실시될 수 있는 광소켓.
16) 탄성을 갖는 가요성 원통 부재 (부츠) 에 의해 정렬된 단부를 갖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연결되는 용기가 사용되고, 이에 의해 조작성이 개선되고, 굴곡중에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가해진 응력이 분산되어 플라스틱 광섬유가 보호될 수 있는 광소켓.
17) 플러그와 결합가능한 결합 공간을 갖는 용기 하우징, 및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연결될 커넥터를 갖고 또한 상기 용기 하우징보다 축소되도록 형성된 후방 하우징을 포함하는 용기가 사용되고, 이 용기는 본체에 단단히 설치될 수 있고, 용기는 플러그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는 광소켓.
18) 용기 하우징은 플러그의 빔 및 빔의 선단부와 결합가능하도록 연결 포트의 양 외측(용기의 측벽과 본체의 플러그 입구 포트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갖고, 이에 의해 플러그의 빔과 용기 사이의 연결이 단단해지고, 이에 의해 연결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플러그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는 광소켓 및 플러그.
19) 용기 하우징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 포트를 갖고, 이에 의해 포트 커버와 용기 사이의 간극이 제거되어 먼지의 침입이 방지될 수 있는 광소켓.
20) 후방 하우징은 테이퍼형 가이드 및 그 위에 형성된 결합 견부를 갖고, 이에 의해 용기의 설치 방향 착오가 방지될 수 있는 광소켓.
21) 후방 하우징은 크기 증가율이 서로 상이한 플랜지를 갖고, 이에 의해 용 기의 설치 방향 착오가 방지될 수 있는 광소켓.
22) 용기는 후방 하우징의 축소부에서 플러그의 빔 선단부 및 결합 걸쇠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이에 의해 용기는 본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고, 용기와 플러그 사이의 연결이 보장될 수 있는 광소켓 및 플러그.
23) 빔은 선단부를 갖고, 각각의 빔은 결합부보다 더 길고 또한 이 빔은 선단 가장자리쪽으로 테이퍼링된 돌출부를 갖고, 이에 의해 상기 빔은 연결중에 안내되어 연결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단단히 고정하고, 또한 플러그의 결합부를 보호할 수 있는 플러그.
24) 상기 플러그의 하우징은 그 외면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서 실질적으로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 리브를 갖고, 이에 의해 상기 리브는 본체의 지지면과 접촉하여 플러그의 삽입 후에 지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플러그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플러그.
25) 상기 플러그는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를 포함하고, 이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 단면의 장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도록 U-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이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의 양 측벽에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인장 부재를 끼우기 위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는 또한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섬유 케이블 고정기 수용 홈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플러그가 외부 영향을 받는다 하더라도 결합부가 보호될 수 있기 때문에 섬유는 외부의 영향을 직접 거의 받지 않는 플러그.
26)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 수용 홈은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끼우기 위해 케이블 지지 돌출부가 형성된 후방부를 갖고, 이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더 단단히 보유될 수 있는 플러그.
27) 용기 하우징의 결합 공간은 플러그의 결합 부재와 결합가능하도록 비대칭으로 형성된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의 결합부는, 길이 방향 측면중 하나의 측면에서 그 측면을 따라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돌기를 갖는 결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의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중앙부에서 선단부에 형성된 결합 커버 고정 홈을 갖고, 상기 결합 커버 고정 홈은 결합 커버상의 돌기와 결합가능하도록 측면중 하나의 측면을 따라 신장하고, 이에 의해 연결 방향(연결 측면)의 착오를 방지할 수 있는 플러그.
1) 본 발명은 JIS 규격에 따른 3개의 모듈에 부착가능한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 및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은,
플러그 입구 포트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자동 개방이 가능한 포트 커버,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연결되는 용기,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유지하는 인장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용기와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탄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또는 탄성 구조를 갖는 빔을 구비한다.
2) 본 발명은 JIS 규격에 따른 3개의 모듈에 부착가능한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 및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은,
플러그 입구 포트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자동 개방이 가능한 포트 커버,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연결되는 용기,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유지하는 인장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용기와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탄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탄성 구조를 갖는 빔을 구비하고,
용기와 플러그의 연결 방향은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이 설치되는 벽에 평행하다.
3) 본 발명은 JIS 규격에 따른 3개의 모듈에 부착가능한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 및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은,
플러그 입구 포트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자동 개방이 가능한 포트 커버,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연결되는 용기,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유지하는 인장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인장 리테이너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권장 최소 반경으로 형성된 케이블 가이드를 갖고,
상기 플러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용기와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탄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또는 탄성 구조를 갖는 빔을 포함하고,
용기와 플러그의 연결 방향은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이 설치되는 벽에 평행하다.
4) 본 발명은 1) 내지 3)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포트 커버는 용기의 연결 포트의 테이퍼 형상과 일치하는 경사각으로 본체에 제공된다.
5) 본 발명은 1) 내지 4)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포트 커버는 본체의 상면보다 하부 위치에 형성된 안내면을 갖는다.
6) 본 발명은 5)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포트 커버의 안내면의 양측면에는 플러그의 빔 선단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다.
7) 본 발명은 1) 내지 6)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본체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권장 최소 반경에 일치하는 반경을 갖는 원호와 접촉하는 표면에 의해 형성된 테이퍼 형상을 그의 길이 방향 후방부에서 갖는다.
8) 본 발명은 1) 내지 7)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본체는 연결 후에 플러그를 지지하기 위해 플러그 입구의 전방에 형성된 지지면을 갖는다.
9) 본 발명은 8)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지지면은 플러그와 용기의 연결 방향으로 모따기된 전방 가장자리를 갖는다.
10) 본 발명은 1) 내지 9)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권장 최소 반경으로 형성된 케이블 가이드가 배치되어 있다.
11) 본 발명은 10)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케이블 가이드는 용기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제공된다.
12) 본 발명은 1) 내지 11)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용기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결합 부재가 제공되어 있다.
13) 본 발명은 1) 내지 12)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인장 리테이너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끼우기 위해 돌기를 갖는 고정기를 구비한다.
14) 본 발명은 1) 내지 13)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본체 및 인장 리테이너는 본체와 인장 리테이너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결합 부재를 갖는다.
15) 본 발명은 1) 내지 14)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인장 리테이너는 벽 매몰 박스보다 더 좁은 폭을 갖는 후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 리테이너는 그의 후방판 주위에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신장한 상태에서 벽 매몰 박스에 수용된다.
16) 본 발명은 1) 내지 15)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용기는, 탄성을 갖는 가요성 원통 부재 (부츠) 에 의해 정렬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연결된다.
17) 본 발명은 1) 내지 16)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용기는,
플러그와 결합가능한 결합 공간을 갖는 용기 하우징, 및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연결될 커넥터를 갖고 또한 상기 용기 하우징보다 축소되도록 형성된 후방 하우징을 포함한다.
18) 본 발명은 17)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용기 하우징은, 플러그의 빔 및 빔의 선단부와 결합가능하도록 연결 포트의 양 외측(용기의 측벽과 본체의 플러그 입구 포트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갖는다.
19) 본 발명은 17) 또는 18)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용기 하우징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 포트를 갖는다.
20) 본 발명은 17) 내지 19)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후방 하우징은 테이퍼형 가이드 및 그 위에 형성된 결합 견부를 갖는다.
21) 본 발명은 17) 내지 20)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후방 하우징은 크기 증가율이 서로 상이한 플랜지를 갖는다.
22) 본 발명은 17) 내지 21)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후방 하우징은 본체의 결합 부재 및 플러그의 빔 선단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축소부를 갖는다.
23) 본 발명은 1) 내지 22)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빔은 선단부를 갖고, 각각의 빔은 결합부보다 더 길고 또한 이 빔은 선단 가장자리쪽으로 테이퍼링된 돌출부를 갖는다.
24) 본 발명은 1) 내지 23)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하우징은 그 외면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서 실질적으로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 리브를 갖는다.
25) 본 발명은 1) 내지 24)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플러그는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를 더 포함하고, 이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 단면의 장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도록 U-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이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의 양 측벽에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인장 부재를 끼우기 위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를 그 내부에 수용 및 고정하도록 형성된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 수용 홈을 갖는다.
26) 본 발명은 25)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 수용 홈은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끼우기 위해 케이블 지지 돌출부가 형성된 후방부를 갖는다.
27) 본 발명은 1) 내지 26)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조립체를 제공하고, 상기 용기 하우징의 결합 공간은 플러그의 결합 부재와 결합가능하도록 비대칭으로 형성된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의 결합부는, 길이 방향 측면중 하나의 측면에서 그 측면을 따라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돌기를 갖는 결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의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중앙부에서 선단부에 형성된 결합 커버 고정 홈을 갖고, 상기 결합 커버 고정 홈은 결합 커버상의 상기 돌기와 결합가능하도록 측면중 하나의 측면을 따라 신장한다.
본 발명은 JIS 규격에 적합하고, 범용성 및 방진 구조를 가지며, 취급하기 용이하며, 설치하기 용이하고,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높은 전송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 및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하의 장점을 갖는 광소켓 및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 장점은,
1) JIS 규격에 따른 3개의 모듈에 부착가능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용 소켓은 기존의 배선 부속물에 적용가능하고 또한 범용성을 가지며, 이에 의해 소켓의 적용 범위가 확대된다.
2) 플러그를 용기에 연결하는 방향이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설치되는 벽 면과 평행하기 때문에, 벽면으로부터의 플러그의 돌출은 최소화될 수 있고, 플라스틱 광섬유는 가구 등에 의한 외부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전송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플러그가 분리된다 하더라도,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이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광선이 아래 방향(바닥쪽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이고, 또한 사람이 광소켓을 들여다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3) 인장 리테이너가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권장 최소 반경에 일치하도록 형성된 케이블 가이드를 갖기 때문에, 케이블은 설치중에 권장 최소 반경보다 더 작은 반경으로 굴곡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정되어서 이에 의해 전송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4) 용기 연결 포트의 테이퍼 형상에 일치되는 경사각으로 포트 커버가 제공되는 경우, 포트 커버와 용기 사이의 간극이 제거되어 먼지의 침입이 방지된다.
5) 포트 커버가 본체 상면보다 하부 위치에 제공된 안내면을 갖는 경우, 포트 커버의 안내면이 확인될 수 있어, 포트 커버는 용이하게 또한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6) 포트 커버의 안내면의 양 단부에 플러그의 빔 선단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홈이 형성된 경우, 포트 커버의 개폐 조작은 매끄럽고 균형이 잘 맞춰져서 수행될 수 있고, 방진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7)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권장 최소 반경과 일치하는 반경을 갖는 원호와 접촉된 표면에 의해 형성된 테이퍼 형상을 본체가 갖는 경우, 벽면으로부터의 본체의 돌출이 감소되어 외관이 개선될 수 있고, 필요한 부품의 개수가 감소되어 비용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8) 연결 후에 플러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이 제공된 플러그 입구 포트를 본체가 갖는 경우, 플러그는 플러그의 삽입후에 지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고, 광소켓은 안정된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플러그가 외부 영향을 받는다 하더라도, 플러그는 지지면에 의해 지지되어 섬유 케이블이 직접 외부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된다.
9) 플러그를 용기에 연결하는 방향으로 모따기된 전방 가장자리를 지지면이 갖는 경우, 플러그는 걸림없이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고, 장식판으로부터의 본체의 돌출이 감소되어 외관이 개선될 수 있다.
10)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권장 최소 반경에 일치하도록 후면에 제공된 케이블 가이드를 본체가 갖는 경우, 케이블은 설치중에 권장 최소 반경보다 더 작은 반경으로 굴곡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정되어 이에 의해 전송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11) 용기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케이블 가이드가 제공되는 경우, 용기속으로 삽입된 플라스틱 광섬유가 흔들리는 것이 억제되고, 이에 의해 섬유에 대한 외부 영향이 방지된다.
12) 용기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후면에 제공된 결합 부재를 본체가 갖는 경우, 용기는 용이하게 부착 및 분리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설치가 더 용이해진다.
13)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끼우기 위한 고정부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돌기를 인장 리테이너가 갖는 경우, 고정부로서의 돌기에 의해 플라스틱 케이블은 설치중에 뽑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이에 의해 전송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14) 본체와 인장 리테이너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본체와 인장 리테이너가 결합 부재를 갖는 경우, 인장 리테이너는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벽 뒤의 간극이 좁은 곳에서 설치가 실시되는 경우에 설치가 더 용이해지고 적용 범위가 확대된다. 인장 리테이너가 고착되어 설치중에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안정되고 또한 전송 성능이 유지된다.
15) 벽 매몰 박스보다 더 좁은 폭을 갖도록 제공된 후방판을 인장 리테이너가 갖는 경우, 또한 인장 리테이너의 후방판 주위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신장한 상태에서 인장 리테이너가 벽 매몰 박스에 수용되는 경우, 케이블은 설치중에 벽 매몰 박스에 쉽게 수용되어 설치가 더 용이해질 수 있다.
16) 탄성을 갖는 가요성 원통 부재 (부츠) 에 의해 정렬된 단부를 갖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연결되는 용기가 사용되는 경우, 작업성이 개선되고, 굴곡중에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가해진 응력이 분산되어 플라스틱 광섬유가 보호될 수 있다.
17) 플러그와 결합가능한 결합 공간을 갖는 용기 하우징, 및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연결될 커넥터를 갖고 또한 상기 용기 하우징보다 축소되도록 형성된 후방 하우징을 포함하는 용기가 사용되는 경우, 용기는 본체에 단단히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용기는 플러그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18) 플러그의 빔 및 빔의 선단부와 결합가능하도록 연결 포트의 양 외측(용기의 측벽과 본체의 플러그 입구 포트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용기 하우징이 갖는 경우, 플러그의 빔과 용기 사이의 연결은 단단해지고, 이에 의해 연결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플러그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19) 용기 하우징의 연결 포트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포트 커버와 용기 사이의 간극은 제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먼지의 침입이 방지된다.
20) 용기의 후방 하우징이 테이퍼형 가이드 및 결합 견부를 갖는 경우, 용기의 장착 방향 착오가 방지될 수 있다.
21) 크기 증가율이 서로 상이한 플랜지를 용기의 후방 하우징이 갖는 경우, 용기의 장착 방향 착오가 방지될 수 있다.
22) 후방 하우징의 축소부에 플러그의 빔 선단부 및 결합 걸쇠를 수용하도록 용기가 형성되는 경우, 용기는 본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고, 용기와 플러그 사이의 연결이 보장될 수 있다.
23) 플러그의 빔이 결합부보다 더 긴 경우, 또한 빔이 선단 가장자리쪽으로 테이퍼링된 돌출부를 갖는 선단부를 구비하는 경우, 빔은 연결중에 안내될 수 있어 더 용이하게 연결이 이루어지고,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단단히 고정되며, 또한 플러그의 결합부가 보호될 수 있다.
24) 플러그의 하우징이 외면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실질적으로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 리브를 갖는 경우, 리브가 본체의 지지면과 접촉함으로써, 플러그의 삽입 후에 지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플러그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25) 광섬유 케이블 단면의 장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도록 U-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또한 인장 부재가 끼워지도록 슬릿이 형성된 양 측벽을 갖는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 및 이 고정기를 수용하기 위한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 수용 홈을 플러그가 포함하는 경우, 플러그는 더 작게 제조될 수 있다. 플러그가 외부 영향을 받는다 하더라도, 결합부가 보호될 수 있기 때문에 섬유는 외부의 영향을 직접 거의 받지 않는다.
26) 플러그에서 보호되도록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 수용 홈의 후방부에 케이블 지지 돌출부가 제공되는 경우,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은 더 단단히 보유될 수 있다.
27) 플러그의 결합 부재와 결합가능하도록 비대칭으로 형성된 결합 홈을 용기 하우징의 결합 공간이 갖는 경우, 또한 세로 측면을 따라 연장하도록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 선단 가장자리의 측면의 세로 측면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돌기를 갖는 결합 커버를 결합부가 포함하는 경우, 또한 결합 커버의 돌기와 결합가능하도록 플러그 하우징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의 선단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측벽을 따라 형성된 커버 고정 홈을 하우징이 갖는 경우, 연결 방향(연결면)의 착오가 방지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광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가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고로 하여 순서대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을 나타낸다.
광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의 이하의 설명은, 그 내부에 제공된 2개의 플라스틱 광섬유 및 그 섬유의 양측에 제공된 인장 부재로서 2개의 보강 배선을 갖고 수지 재료료 제조된 수지 피복 케이블에 의해 덮이는 평평한 이중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소켓과 플러그가 연결되는 경우에 이루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광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의 적용은 이러한 경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광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는 임의 형태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다. 광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는, 그 내부에 제공된 2개 이상의 플라스틱 광섬유 및 그 내부에 제공된 2개 이상의 인장 부재를 갖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용으로 사용되는 광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일 수 있다.
본 발명은, JIS 규격에 따른 3개의 모듈에 부착가능한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 및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은, 플러그 입구 포트를 갖는 본체, 자동으로 개방가능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포트 커버,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연결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용기, 및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유지하기 위해 본체와 결합되는 인장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하우징, 용기와 결합하도록 하우징에 고정되는 결합부, 및 하우징에 형성되고 탄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또는 탄성 구조를 갖는 빔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소켓과 광섬유 플러그가 어떻게 연결되어 조립체를 형성하는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면 부호 1은 광소켓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2는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3은 장식판을 나타내며, 도면 부호 400은 플러그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400)를 광소켓(1)에 연결하는 방향은 광소켓(1)이 부착되는 벽면에 평행하다. 이러한 연결 구조에 의해, 벽면으로부터의 플러그의 돌출이 최소화될 수 있고, 또한 가구 등이 플라스틱 광섬유에 외부적으로 영향을 끼치기가 어렵게 됨으로써 전송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플러그(400)가 우연히 분리되는 경우라도, 인체에는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이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광선이 아래 방향(바닥쪽 방향)으로 방출되고, 사람이 광소켓을 들여다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2는 광소켓(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서, 도면 부호 2는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4는 판 프레임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5는 판 부착 나사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6은 부착 프레임을 나타낸다.
광소켓(1)은, 판 프레임(4)에 부착가능하도록 성형된 부착 프레임(6), 이후에 설명될 장식판(3)과 부착 프레임(6)을 결합하는데 사용되며 JIS 규격에 따른 벽-매몰 박스(도시되지 않음)에 부착가능하도록 성형된 판 프레임(4), 장식판(3), 및 벽에 매설된 플라스틱 광 케이블(600)과 다른 플라스틱 광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2)를 포함한다. 커넥터(2)와 부착 프레임(6)은 결합 돌출부(62)와 결합 슬롯(61)에 의해 결합된다. 광소켓은, 판 부착 나사(5)에 의해 부착 프레임(6)을 판 프레임(4)에 결합시키고 그 후에 결합 견부(63) 및 탄성 결합 걸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장식판(3)을 판 프레임(4)과 결합시켜서 장식판(3)을 부착 프레임(6)에 결합시킴으로써 조립된다. 소켓이 JIS 규격에 따른 벽 매몰 박스에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배치에 의해 광소켓(1)은 범용적으로 될 수 있고 또한 적용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체(10)가 설명될 것이다.
도 2에서, 도면 부호 2는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10은 본체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11은 포트 커버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20은 플러그 입구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21은 안내면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22는 안내 홈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25는 지지면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27은 상면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28은 경사면을 나타내며, 도면 부호 30은 플러그 입구 포트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도면 부호 11은 포트 커버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12는 스프링을 나타내며, 도면 부호 13은 후방 커버를 나타낸다.
커넥터(2)는 플러그(400)용 플러그 입구(20)를 갖는 주 부품으로서의 본체(10), 스프링(12)과 후방 커버(13)에 의해 본체(10)에 장착되는 플러그 입구(20)용 포트 커버(11), 및 본체(10)의 후방측에 제공되며 벽속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과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의 선단 가장자리를 유지하기 위한 인장 리테이너(200)를 보유하는 용기(100)를 구비한다.
본체(10)의 플러그 입구(20)는 포트 커버(11) 및 플러그 입구 포트(30)로 이루어지는데, 안내 홈(22)을 갖는 안내면(21)이 상기 포트 커버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플러그 입구 포트는 보유된 경사면(28)을 갖는 상면(27)과 지지면(25)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10)의 포트 커버(11)는, 포트 커버(11), 스프링(12) 및 후방 커버(13) 를 이 순서대로 커버 용기(14)속에 삽입시켜서 후방 커버(13)의 탄성 결합 걸쇠(도시되지 않음)를 본체(10)의 결합 견부(15)와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된다. 포트 커버(11)는 개폐 조작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안내편(17)을 통해 본체 삽입부(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된다. 플러그(400)의 선단부가 안내면(21)과 접촉하면서 지지면(25)쪽으로 눌러지면, 포트 커버(11)가 본체(10)의 상면(27)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안내면(21)을 갖기 때문에, 포트 커버(11)는 스프링(12)의 압축에 의해 개방되어 플러그(400)가 플러그 입구(20)속으로 수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포트 커버(11)가 자동으로 개폐되어 광소켓과 광섬유 플러그 사이의 연결 작업이 용이해지고, 또한 단일 작용에 의해 포트 커버(11)의 개폐 조작 및 연결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소켓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외부로부터 용기(100)를 보호하기 위해 포트 커버(11)는 스프링(12)의 가압력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어 방진 구조가 제공된다. 그 결과,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높은 전송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포트 커버(11)는, 본체(10)에 장착될 용기(100)의 연결부(105)와 동일한 각도(동일한 테이퍼 형상)로 상면(27)으로부터 지지면(25)쪽으로 연장하도록 제공된 게이트면(16)(나중에 설명됨)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포트 커버(11)와 용기(100)의 연결부(105) 사이의 간극이 제거되어 먼지의 침입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또한 포트 커버의 개폐 조작이 매끄럽고 균형이 잘 맞춰져서 연결중에라도 방진 구조가 제공된다.
포트 커버(11)가 완전히 개방된다 하더라도, 포트 커버(11)의 안내면(21)은 지지면(25)(나중에 설명됨)과 접촉하여 위치되어 있고, 안내면(21)은 본체(10)에 완전히 수용되지 않는다(안내면(21)은 지지면(25)상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포트 커버의 개폐 조작이 매끄럽고 균형이 잘 맞춰질 수 있다.
본체(10)는 플러그 입구(20)가 제공된 길이 방향 정면 단부를 갖는데, 이 플러그 입구는 포트 커버(11) 및 지지면(25)을 포함한다.
포트 커버(11)는 안내면(21)이 형성된 상단부를 갖는데, 이 안내면은 본체(1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플러그의 선단부를 안내하고, 또한 이 안내면은 지지면(25)과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본체(10)의 상면(27)보다 하부 위치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면(27)은 경사면(28)이 형성된 플러그 입구(20)에 가깝게 단부를 갖는데, 이 경사면은 포트 커버(11)가 쉽게 보이도록 하고, 또한 이 경사면은 플러그(400)가 안내면(21)에 놓여진 후에 플러그(400)의 선단부(411)가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부적당하게 앞뒤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안내면(21)의 양 단부에는 안내 홈(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안내홈에는 플러그(400)의 선단부(411)가 놓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광소켓과 플러그 사이의 연결이 용이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광소켓과 플러그와의 연결중에 플러그의 선단부(411)가 앞뒤로 부적당하게 이동하여 선단부(411)가 안내면(21)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연결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플러그 입구(20)는 그에 형성된 지지면(25)을 갖고, 이 지지면(25)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포트 커버(11)의 안내면(21)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도 4 참조). 플러그(400)를 지지하기 위해 플러그의 돌출 리브(420)(나중에 설명 됨)(안내면(21)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돌출함)와 지지면(25)이 접촉하기 때문에, 플러그(400)는 지지면(25)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억제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높은 전송 성능이 유지된다. 플러그 입구 포트의 길이 방향 정면 단부(26)는 용기(100)와 플러그(400)의 연결 방향으로 모따기되어 있어서 플러그(400)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도 4는 본체(10)내에 형성된 플러그 입구 포트(30)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도면에서는 포트 커버(11)가 개방되어 있다.
도 4에서, 도면 부호 21은 포트 커버(11)의 안내면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30은 플러그 입구 포트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101은 용기의 상부벽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102는 용기의 하부벽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103 및 104는 용기의 측벽을 나타낸다.
본체(10)의 설치 공간에 수용된 용기(100)는, 양 측벽(103, 104)으로부터 연장하여 플러그 입구 포트(30)의 양 단부면과 함께 간극(31)을 형성하는 상부벽(101) 및 하부벽(102)(나중에 설명됨)을 갖는다. 각각의 간극(31)은 플러그(400)의 각각의 빔(410)을 수용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플러그(400)의 삽입중에 플러그(400)의 선단부(411)가 본체(10)속으로 안내될 수 있고, 또한 광섬유 커넥터와 플러그 사이의 연결을 단단하게 하도록 플러그(400)의 빔(410)이 간극(31)속으로 삽입되어 단단히 고정되어 플러그(400)가 연결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억제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높은 전송 성능이 유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길이 방향 정면 단부로부터 본체의 길이 방향 길이의 약 2/3 떨어진 곳에서부터 길이 방향 후방 단부까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테이퍼 형상은, 본체(10)내에 수용되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의 권장 최소 반경에 일치하는 반경을 갖는 원호(케이블 가이드(40)의 외주면)와 접촉되는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체(10)의 길이 방향 후방부(테이퍼면)에 먼지가 쌓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강제 굴곡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손상(굴곡)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또한 본체(10)가 잘못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후방면)는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커넥터(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면 부호 40은 케이블 가이드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41은 돌기를 나타낸다.
본체(10)내의 길이 방향 후방 단부에 가깝고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 중심부에 가까운 위치에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유지하기 위한 케이블 가이드(40)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가이드(40)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권장 최소 반경에 일치하는 반경을 갖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가이드(40)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 단면의 장반경과 동일한 폭을 가져서 양 벽 사이에서 연장한다. 케이블 가이드(40)는 용기(100)를 수용하기 위한 부분에 가까운 단부에 형성된 돌기(41)를 갖는데, 이 돌기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케이블 가이드(40)(또는, 용기(100)를 수용하기 위한 부분에 가까운 단부)는, 용기(100)를 설치하기 위한 부분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이 강제 굴곡에 의해 손상(굴곡)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과 용기(100) 사이의 연결 길이에서 자유도가 제공되어 광소켓의 설치 작업이 용이해진다.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권장 최소 반경은 25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는 내부에 설치된 탄성 결합 걸쇠(42)를 갖는데, 이 걸쇠는 용기(100)에 형성된 결합 견부(123)와 결합되고, 본체는 용기(100)를 수용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체(10)와 용기(100)가 반복적으로 부착 및 분리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설치 작업 또는 유지 작업에 있어서 작업성이 개선된다.
이제, 인장 리테이너(200)가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에서, 도면 부호 200은 인장 리테이너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201은 후방판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210은 케이블 가이드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230은 고정부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231 및 232는 돌기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235는 샌드위치형 공간을 나타낸다.
인장 리테이너(200)는, 본체(10)의 케이블 가이드(40)와 짝을 이루는 케이블 가이드(210),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30), 본체(10)와 결합하는 탄성 결합 걸쇠(220), 결합 리세스(221), 및 인장 리테이터(200)의 폭 방향으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 주위로 연장하도록 제공된 측벽(240)을 갖는 후방판(201)을 포함한다. 이들 부품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인 장 리테이너(200)를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성형될 수 있고 또한 인장 리테이너(200)를 형성하도록 함께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210)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의 권장 최소 반경에 일치하는 반경을 갖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권장 최소 반경은 25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가이드(210)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 단면의 장반경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용 고정부(230)는 후방판(201)에 가까운 케이블 가이드(210)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230)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 단면의 단반경(더 작은 두께)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극을 갖는 샌드위치형 공간(235)을 형성하도록 U-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샌드위치형 공간(235)에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231)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을 끼우기 위해 샌드위치형 공간(235)의 길이 방향(케이블 가이드(210)에 수직 방향)으로 제공된다. 샌드위치형 공간(235)에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이 케이블 가이드(2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232)는 후방판(20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케이블 가이드(210)의 길이 방향)으로 또한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케이블 가이드(210)는 본체(10)의 케이블 가이드(40)와 짝을 이루어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실질적으로 반원형으로 고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강제 굴곡에 의해 손상(굴곡)되는 것이 방지된다.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은, 길이 방향으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가해진 장력에 의해 발생된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인장 리테이너(200)는 후방판(201)을 포함하는데, 이 후방판은 인장 리테이너(200)의 폭 방향으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 주위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이 후방판은 벽 매몰 박스보다 더 좁은 폭을 갖는다. 후방판(201)은 측벽(240)을 갖는다.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강제적으로 굴곡되어 광소켓(벽 매몰 박스)에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손상을 입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광소켓의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인장 리테이너(200)는, 양 측벽(240)의 하부에 제공된 결합 리세스(221) 및 탄성 결합 걸쇠(220)를 본체(10)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제공된 볼록부(50) 및 결합 돌출부(51)와 결합시킴으로써 본체(1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설치 작업 및 유지 작업에 있어서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인장 리테이너는 설치후에 안정하게 광섬유 케이블을 보유하도록 단단히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케이블의 전송 성능이 유지된다.
도 5는 용기(100)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연결 포트(105)의 테이퍼 형상이 과장되게 도시된 도면이다.
도 5에서, 도면 부호 100은 용기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101은 상부벽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102는 하부벽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103 및 104는 측벽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105는 연결 포트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110은 용기 하우징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120은 후방 하우징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122는 테이퍼형 가이드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123은 결합 견부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124는 플랜지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130은 결합 공간을 나타낸다.
용기(100)는 용기 하우징(110) 및 후방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용기 하우징(110)은 중공형의 직사각형 평행육면체 부재이고, 또한 이 용기 하우징은, 상부벽(101), 하부벽(102) 및 측벽(103, 104)에 의해 형성된 결합 공간(130), 상부벽(101)의 돌출부, 하부벽(102)의 돌출부 및 플러그의 빔(나중에 설명됨)과 결합하는 양 측벽(103, 104)에 의해 형성된 공간(간극(31)), 및 후방 하우징(120)과 결합가능한 결합 견부(106)를 포함한다. 결합 공간(130)은, 플러그(400)의 결합부(415)(나중에 설명됨)와의 결합에 의해 용기(100)와 플러그(4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하는 공간이다. 결합 공간(130)에는, 플러그 결합부(415)의 결합 커버(460)에 비대칭으로 형성된 돌기(465)와 결합하도록 결합 홈이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플러그와의 연결이 더 단단하게 실시될 수 있고, 또한 연결 방향의 착오(특히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극성)가 방지된다.
공간(간극(31))은 플러그(400)의 빔(410)을 수용하도록 플러그(400)의 선단부(411)를 안내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빔이 단단히 그 안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광섬유 커넥터와 플러그 사이의 연결이 단단해질 수 있고, 연결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플러그(400)가 흔들리는 것이 억제되며, 이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높은 전송 성능이 유지된다.
용기 하우징(110)의 연결 포트(105)는, 포트 가장자리가 상부벽(101)으로부터 하부벽(102)으로 가까와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포트 커버(11)의 설치 각과 동일한 각도로 테이퍼링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방진 구조가 제공될 수 있고, 또한 부적당한 방식으로 용기(100)가 본체(10)에 설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테이퍼 형상은 포트 커버(11)의 매끄러운 개폐를 제공할 수 있다.
후방 하우징(120)은 직방체형의 중공 부재인데, 이 후방 하우징은 용기 하우징(110)의 양 측벽(103, 104)으로부터 축소되고, 또한 이 후방 하우징은 벽면 뒤에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을 수용하여 결합하기 위한 커플러(도시되지 않음), 용기 하우징(110)과 결합된 탄성 결합 걸쇠(121), 테이퍼형 가이드(122), 본체(10)의 탄성 결합 걸쇠(42)와 결합가능한 결합 견부(123), 및 플랜지(124)를 포함한다. 후방 하우징(120)이 용기 하우징(110)에 대해 축소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후술하는 플러그의 빔 선단부(411)에 형성된 돌출부의 후방 가장자리는 플러그(400)와 용기(100)를 단단히 연결하기 위해 용기 하우징(110)과 확실히 결합될 수 있다. 테이퍼형 가이드(122) 및 결합 견부(123)가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용기는 본체(10)에 확실히 설치될 수 있다. 본체의 탄성 결합 걸쇠(42)와 테이퍼형 가이드(122)가 서로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수직 방향으로의 용기(100)의 부적당한 설치(특히,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로부터 유도된 용기(100)의 극성)가 방지될 수 있다.
후방 하우징(120)은 플랜지(124)가 형성된 후방 단부를 갖는데, 이 후방 단부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가깝게 위치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는 상부벽으로부터 하부벽으로 돌출부로서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양 측벽(125)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는 크기 증가율(돌출 정도)이 서로 상이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용기 하우징(110)과 후방 하우징(120) 사이의 결합이 일방향으로만 제한되어 부적절한 결합(특히,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로부터 유도된 하우징(110, 120)의 극성)이 방지될 수 있다.
후방 하우징(120)의 측벽(125)은, 본체(10)의 탄성 결합 걸쇠(42) 및 후술할 플러그(400)의 빔 선단부(411)를 정확하게 수용하도록 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체(10)와의 결합 및 플러그와의 연결을 느슨하게 하지 않고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함께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후방 하우징(120)과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은 용기 부츠(150)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예를 들어 폐룰(ferrule)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부츠(15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가요성 중공 부재이고, 이 부츠는 선단부로부터 말단부쪽으로 가면서 축소되는 직경을 갖는다. 부츠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게 설정된 선단부 내경, 및 플라스틱 광섬유용 케이블 피복의 내경보다 약간 더 작게 설정된 선단부 외경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각의 부츠(150)는 소정의 길이만큼만 케이블 피복속으로 삽입된다. 부츠는 페룰 홀더의 직경보다 약간 더 작게 설정된 말단부 내경, 전체적으로 약 0.5 mm로 설정된 벽 두께, 및 약 30 mm로 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도 12는 용기와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어떻게 함께 연결되는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에서, 도면 부호 100은 용기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150은 부츠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600은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나타낸다.
용기와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은, 테이퍼형 선단부로부터 각각의 플라스틱 광섬유속으로 부츠(150)를 도입하여 그 선단부를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 피복속으로 삽입함으로써 함께 연결된다. 그 후에, 플라스틱 광섬유는 페룰을 통과하고, 부츠(150)의 말단부가 홀더속으로 압입 끼워맞춤되어 부츠가 지지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은 구속되어 정렬된 단부를 갖고, 그 정렬된 단부는 용기(100)의 후방 하우징에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가요성을 갖지 않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에 의해 단부를 구속하여 정렬시키는 방법과는 다르게 본 발명에 사용된 부츠(150)가 고무, 엘라스토머 등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과 후방 하우징(120) 사이의 자유도는 더 커지게 되어 우수한 작업성이 제공된다. 부츠(150)는 굴곡중에 섬유를 보호하기 위해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로부터 돌출하는 노출 섬유에 응력이 집중된다 하더라도, 부츠(150)를 사용함으로써 응력이 분산되어 섬유가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플러그는 도 6 내지 도 8 및 도 11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상부 하우징(401) 및 하부 하우징(402)을 결합 견부(430) 및 탄성 결합 걸쇠(431)와 결합시킴으로써 조립된 플러그(400)의 정면도이고, 도 7은 상부 하우징(401)의 내부의 정면도이고, 도 8은 하부 하우징(402)의 내부의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 및 도 11에서, 도면 부호 400은 플러그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401은 상부 하우징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402는 하부 하우징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410은 빔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411은 선단부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415는 결 합부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420은 돌출 리브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435는 결합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436은 결합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홈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440은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 수용 홈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443은 케이블 지지 돌출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400)는 상부 하우징(401), 하부 하우징(402), 플라스틱 광섬유용 결합부(415) 및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450)를 포함한다.
도 11은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플러그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이 없는 단순 구조를 갖는다 하더라도, 플러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15)보다 더 긴 길이의 빔(410)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빔(410)이 제공됨으로써, 결합부(415)가 보호되어 플러그와 광소켓(용기(100)) 사이가 단단히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선단부(411)에 의해 용기(100)가 안내됨으로써 연결이 용이해진다.
각각의 빔(410)은 돌출부가 형성된 선단부(411)를 갖는데, 이 돌출부는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어 가장자리쪽으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감소된 돌출 높이를 갖는다. 플러그(400)가 용기(100)에 연결되는 경우에 용기(100) 및 플러그 입구 포트(30)에 의해 형성된 간극(31)에서 선단부(411)가 간극의 벽면을 따라 미끄럼가능하게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구성에 의해 용이하고 확실하게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플러그(400)의 길이 방향 양 측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원호 형상의 파지부(421; gripper)가 있다. 플러그(400)의 상부 하우징(401) 및 하부 하우 징(402)의 외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돌출 리브(420)가 있는데, 이 리브는 포트 커버(11)의 안내면(21)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실질적으로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401)의 돌출 리브(420)는 광소켓(1)과의 연결 방향 (표면)을 가리키는 표시부를 갖는다. 플러그(400)의 선단부가 광소켓(1)속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돌출 리브(420)가 포트 커버(11)의 안내면(21)을 넘어서 본체(10)의 지지면(25)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직 방향(안내면(25)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플러그의 흔들림없이 확실한 연결이 보장될 수 있다.
이제 도 7 및 도 8을 참고로 하여 상부 하우징(401) 및 하부 하우징(402)이 설명될 것이다.
플러그(400)는 상부 하우징(401)과 하부 하우징(402)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된 케이싱이고, 상부 하우징(401)과 하부 하우징(402)은 결합 견부(430)와 탄성 결합 걸쇠(431)를 서로 결합시키고 결합 구멍(441)과 압입 끼워맞춤 핀(442)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이제, 상부 하우징(401)만을 설명할 것이고, 하부 하우징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상부 하우징(401)은 빔(410), 결합 커버 고정 돌출부(435), 결합 커버 고정용 홈(436),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용 고정기를 수용하기 위한 홈(440), 케이블 지지 돌출부(443), 결합 견부(430), 및 결합 구멍(441)을 포함한다.
커버 고정 돌출부(435)는, 플러그(400)의 길이 방향 중앙부의 선도측에서 한 쌍의 돌출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결합 커버(460)(나중에 설명됨)의 고정 구멍(466)과 결합하여 상하부 하우징(401, 402)과 결합 커버를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킨다. 돌출부는, 용기(100)가 플러그(400)에 연결된 후에 결합 커버(460)가 플러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상부 하우징(401)은, 상부 하우징(401)의 측벽(412)중 하나의 측벽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실질적으로 중앙부의 선도측에 형성된 홈(436)을 갖는다. 홈(436)은 결합 커버(460)에 형성된 돌기(465)와 결합되어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된다. 상부 하우징의 일측벽 및 결합 커버(460)의 하나의 측면에 홈(436) 및 돌기(465)가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 커버(460)를 상하부 하우징(401, 402)에 고정시키는 방향은 단일 방향으로 자동으로 설정되며, 이에 의해 고정 방향으로의 착오(특히,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로부터 유도된 결합 커버(460)의 극성)가 방지된다(도 10 및 도 11 참조). 결합 공간(130)의 하나의 측면부에만 형성된 돌기(465)와 짝을 이루는 결합 홈이 용기(100)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방향으로의 착오(특히,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로부터 유도된 결합 커버(460)와 용기(100) 사이의 극성)가 방지될 수 있다(도 10 및 도 11 참조).
상부 하우징(401)은, 인장 부재를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나중에 설명됨)에 고정하기 위한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450)를 수용하기 위해 후방측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형성된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 수용 홈(440)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단단히 고정되어, 결합부(415)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 수용 홈(440)은 케이블 지지 돌출부(443) 및 결합 구멍(441)이 형성된 후방부를 갖는다. 양 하우징(401, 402)의 케이블 지지 돌출부(443)는 케이블의 상부면 및 편평한 하부면으로부터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의 피복 재료를 끼워넣기 위해 실질적으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 커버(460) 및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 등이 단단하게 고정된다.
이제 도 9를 참고로 하면,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가 설명될 것이다.
도 9는 고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9에서, 도면 부호 450은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451은 고정기의 측벽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452는 슬릿을 나타낸다.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450)는 광섬유 케이블 단면의 장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도록 U-형 단면 형상으로 성형된다. 각각의 측벽(451)은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형성된 슬릿(452)을 갖고, 이 슬릿은 인장 부재를 그 내부에 삽입 및 고정하기 위해 인장 부재의 직경보다 약간 더 좁은 폭을 갖는다.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의 인장 부재를 특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케이블(600) 단면의 장반경에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인장 부재의 절단부를 굴곡시켜, 그 굴곡부를 슬릿(452)속으로 삽입하여 인장 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진다. 인장 부재의 굴곡부를 슬릿(452)속으로 삽입시킨 후에, 슬릿(452)은 인장 부재를 그 내부에 더 단단히 끼워넣기 위해 개방 가장자리 주위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케이블(600)과 고정기(450)가 일체형 구조로 단단히 통합되어, 케이블(600)이 길이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에도 섬유가 플러그에서 손 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고정기(450)는 소형 구조이다. 고정기(450)는 단일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2개의 인장 부재를 고정할 수 있고, 또한 플러그(400)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용기(100)와 결합하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415)는 결합 커버(460), 및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연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결합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결합 부품의 예는 페룰, 스프링, 하우징, 및 원통 부재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은 스프링 또는 또 다른 부품에 의해 가압되면서 페룰내에 보유된다. 실시형태가 MU 커넥터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다른 종류의 커넥터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이제 도 10을 참고로 하면, 결합 커버(460)가 설명될 것이다.
도 10은 결합 커버(460)의 사시도이다. 도 10에서, 도면 부호 460은 결합 커버를 나타내고, 도면 후보 465는 결합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돌기를 나타낸다.
결합 커버(460)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과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외면에 설치되고, 이 결합 커버의 형상은 특정한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결합 커버는 플러그(400)와 결합 부재를 단단히 고정 및 보유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 커버(460)는 스토퍼 홈(461), 돌기(465), 및 고정 구멍(466)을 포함한다.
스토퍼 홈(461)은 결합 커버(4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 스토퍼 홈(461)은, 결합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소정의 범위내에서 결합 부재의 돌출부와 함께 유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플러그(400)와 용기(100)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 피연결부가 가압되어 연결이 확실히 이루어진다.
돌기(465)는, 결합 커버(460)의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결합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커버의 일측면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결합 커버(460)와 양 하우징(401, 402) 사이의 고정 방향 및 결합 커버(460)와 용기(100) 사이의 결합 방향으로의 착오(특히,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로부터 유도된 결합 커버(460), 양 하우징(401, 402) 및 용기(100)의 극성)가 방지될 수 있다.
결합 커버(460)의 길이 방향 말단부 부근에는 고정 구멍(466)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 구멍은 플러그(400)의 양 하우징(401, 402)에 있는 커버 고정 돌출부(435)와 결합되어 결합 커버를 양 하우징(401, 402)에 고정한다.
각각의 커넥터(2), 판 프레임(4), 장식판(3), 포트 커버(11), 후방 커버(13) 및 인장 리테이너(200)는 ABS 수지로 사출성형될 수 있고, 부착 프레임(6)은 변성 PPO 수지로 사출성형될 수 있고, 용기 하우징(110) 및 후방 하우징(120) 각각은 PPS 수지로 사출성형될 수 있고, 상부 하우징(401), 하부 하우징(402) 및 결합 커버(460) 각각은 PBT 수지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이들 부재의 재료는 상술한 재료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러그(400)의 빔(410)은 탄성 재료, 특히 유리가 혼합된 PBT 수지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탄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빔은 벨로우즈 형태의 탄성 구조를 갖는 루트를 구비할 수 있다.
부츠(150)는 각종 고무, 엘라스토머 등, 특히 실리콘 고무로 제조될 수 있지만, 부츠의 재료는 상술한 재료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기(450)는 냉간압연 강판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고정기의 재료는 상술한 재료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광소켓 및 플러그를 어떻게 연결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먼저, 벽 뒤에 설치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은 벽으로부터 인출되고,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의 선단부의 피복 재료를 벗겨서 플라스틱 광섬유 및 인장 부재를 노출시키고, 피복 재료의 단부 부근에서 인장 부재를 절단한다. 개개의 플라스틱 광섬유는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테이퍼형 부츠(150)를 통과하고, 부츠의 선단 가장자리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 피복속으로 삽입된다. 그 후에, 플라스틱 광섬유는 페룰 홀더를 통해 삽입되고, 부츠(150)의 말단부는 홀더속으로 압입 끼워맞춤되어 그 내부에 보유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단부가 정렬된다.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정렬된 단부는 용기(100)의 후방 하우징에 설치 및 연결되어 있다.
커넥터(2) 및 부착 프레임(6)은 미리 결합되었다.
용기(100)는 탄성 결합 걸쇠(42)와 용기(100)의 결합 견부(123)를 결합함으 로써 본체(10)내의 용기 설치 공간속으로 수용된다.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은 본체(10)의 케이블 가이드(40)속으로 삽입되고, 케이블(600)의 단부 피복 재료는 케이블 가이드(40)의 돌기(41)와 접촉하여 그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인장 리테이너(200)의 결합 리세스(221)는 본체(10)의 결합 볼록부(50) 부근에 위치되어 있고, 결합 리세스(221)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쪽으로(본체(10)의 길이 방향 후단부) 가압되어 결합 리세스(221)와 결합 볼록부(50)가 결합되며 본체(10)의 결합 돌출부(51)와 인장 리테이너(200)의 탄성 결합 걸쇠(220)가 결합되어 인장 리테이너(200)가 본체(10)에 고정된다. 이 때에, 본체(10)의 케이블 가이드(40)의 선단 가장자리는 인장 리테이너(200)의 케이블 가이드(210)의 하부 가장자리와 정렬되어 실질적으로 반원형 케이블 가이드가 제공된다.
그 후에,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은 인장 리테이너(200)의 케이블 가이드(210)에 위치되고, 또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은 고정부(230)의 개방 단부로부터 케이블 가이드(210)의 말단부에 형성된 고정부(230)속으로 가압되어 고정부에서 끼워진다.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이 긴 경우,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은 인장 리테이너(200)의 후방판(201)의 측벽(240) 주위에 권취된다.
따라서, 벽 뒤에 설치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을 본체(10)에 연결하는 것이 완료된다.
내부에 보유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갖는 인장 리테이너(200)는 JIS 규 격에 따른 벽 매몰 박스에 수용되고, 부착 프레임(6)은 설치 방법(나사 체결)에 의해 벽 매몰 박스에 설치되고, 그리고 나서 판 프레임(4)은 판 부착 나사(5)에 의해 부착 프레임(6)에 고정된다. 광소켓(1)의 연결 작업 및 조립 작업은, 장식판(3)의 설치를 위해 판 프레임(4)의 결합 견부(63)와 장식판(3)의 탄성 결합 걸쇠를 결합시킴으로써 완료된다.
다음으로, 플러그의 조립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광소켓(1)에 연결될 다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선단부의 피복 재료를 벗겨 플라스틱 광섬유 및 인장 부재를 노출시키고, 페룰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각각의 플라스틱 광섬유에 설치된다. 페룰은 결합부(415)를 정렬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커버(460)로 단단히 덮여 있다. 각각의 노출된 인장 부재는 케이블 단면의 장반경에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피복 재료의 선단부로부터 굴곡되고, 노출된 인장 부재의 굴곡부는 고정기(450)의 측벽(451)에 형성된 슬릿(452)속으로 삽입되어 그 곳에 끼워진다. 고정기에 대한 연결 작업은 인장 부재가 플러그에 수용될 수 있도록 인장 부재의 선단부를 절단함으로써 완료된다.
결합 커버(460)의 고정 구멍(466)은 상부 하우징(401) 및 하부 하우징(402)의 커버 고정 돌출부(435)와 결합하고, 결합 커버(460)의 돌기(465)는 상부 하우징(401) 및 하부 하우징(402)의 커버 고정 홈(436)과 결합하고, 섬유 케이블 고정기(450)는 케이블 고정기 하우징 홈(440)에 수용되며,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피복 재료는 케이블 지지 돌출부(443) 사이에 끼워진다. 플러그의 조립은 상부 하우징(401)의 결합 견부(430)와 하부 하우징(402)의 탄성 결합 걸쇠(431)를 결합하고, 또한 상부 하우징(401)의 결합 구멍(441)과 하부 하우징(402)의 압입 끼워맞춤 핀(442)을 결합함으로써 완료된다.
플러그를 광소켓에 연결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연결될 플러그의 적절한 방향(적절한 측)은 플러그상에 제공된 돌출 리브(420)상의 표시부에 기초하여 체크한다. 손가락으로 파지부(421)를 잡아서 플러그를 광소켓(1)의 본체(10) 부근에 위치시킨다. 먼저, 플러그(400)의 선단부(411)는 포트 커버(11)의 안내면(21)에 위치된다. 본체(10)는 경사면(28)이 형성된 상면(27)을 갖는다. 상면(27)은 안내면(21)을 가리키는 표시를 가져서 이에 의해 안내면(21)이 쉽게 보일 수 있다. 안내면(21)의 안내 홈(22)과 빔 선단부(411)는 정렬되고, 스프링(12)에 의해 가압된 포트 커버(11)는 스프링에 의해 가압력에 대항하여 벽쪽으로 눌린다. 포트 커버(11)가 완전히 눌리는 경우, 용기(100)의 연결 포트(105)가 보이게 된다.
포트 커버(11)가 눌린 상태에서 플러그(400)가 본체(10)쪽으로 이동하면, 플러그(400)의 선단부(411)는 용기(100)의 측벽(103, 104)과 접촉한다. 플러그(400)가 더 이동하면, 테이퍼형 선단부(411)는 측벽(103, 104) 및 다른 부재에 의해 형성된 간극(31)속으로 삽입된다. 이 때에, 탄성 재료로 제조된 빔(410)은 외부로 팽창한다. 플러그(400)가 더 이동하면, 선단부(411)는 용기(100)의 측벽(103, 104)의 외면상에서 미끄러지면서 플러그의 삽입을 안내한다. 선단부(411)가 측벽(103, 104)상에서 미끄러져서 축소된 후방 하우징(120)에 도달하면, 팽창된 선단부(411)는 내부로 수축하여 후방 하우징(120)의 측벽(125)과 접촉하게 되고, 선단부(411)상의 돌출부의 후방 가장자리는 용기 하우징(110)과 결합하고 이에 의해 광소켓(1)과 플러그(400) 사이의 연결이 완료된다.
설명한 바와 같이, 광소켓(1)과 플러그(400)의 조립 및 이 광소켓과 플러그의 연결이 실시된다.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자체의 극성을 갖기 때문에(2개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극성은 서로 다르다), 2개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양 케이블의 극성을 서로 일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0), 용기 하우징(110), 후방 하우징(120), 결합 공간(130), 상부 하우징(401), 하부 하우징(402) 및 결합 커버(460)에 있어서, 구성 부품은 극성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로 조립 또는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치수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벽 뒤에 설치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의 극성은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용기(100)의 후방 하우징(120)에 연결되기 전에 검사된다. 광소켓(1)의 연결 및 조립이 상술한 바와 같이 완료되는 경우, 벽 뒤에 설치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의 극성은 광소켓(1)의 용기(100)의 극성에 대해 유지될 수 있다.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600)에 결합될 다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극성이 검사된 후에 결합부(415)를 형성하도록 결합 커버(460)의 설치가 실시되는 경우, 다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극성은 결합부(415)에 대해 유지될 수 있다. 용기(100)와 결합부(415)가 서로 결합할 때마다, 양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극성은 반드시 일치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극성이 서로 일치되는 방향 으로만 용기와 결합부가 서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개개의 구성 부품이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로부터 유도된 특징(극성 구조)을 갖기 때문에, 케이블이 연결 및 조립될 때마다 작업 지점에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극성이 검사될 필요가 있다 하더라도, 잘못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작업을 더 간단히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연결 작업에 필요한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광소켓(1)과 플러그(400)는 본체(10)의 반대 방향으로 플러그(400)를 잡아당김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빔(410)의 선단부(411)상의 돌출부의 후방 가장자리 및 용기(100)의 용기 하우징(110)은 소정의 당김력(drawing force)보다 더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결합부에서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즉, 소정의 당김력보다 더 큰 힘에 의해 플러그(400)가 잡아당겨지는 경우, 광소켓(1)과 플러그(400) 사이의 연결은 해제된다. 광소켓(1)과 플러그(400) 사이의 연결이 완전히 해제된 경우, 스프링(12)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개방된 포트 커버(11)는 스프링(12)의 가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되어 이에 의해 방진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고로 하여 순서대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광소켓과 플러그가 어떻게 함께 연결되는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광소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플러그 입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플러그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상부 하우징 내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하부 하우징 내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광섬유 케이블 고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결합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용기가 어떻게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연결되는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Claims (1)

  1. JIS 규격에 따른 3개의 모듈에 부착가능한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 및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로서,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은,
    플러그 입구 포트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자동 개방이 가능한 포트 커버,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연결되는 용기,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유지하는 인장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용기와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탄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또는 탄성 구조를 갖는 빔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광섬유 소켓 및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
KR1020077029504A 2001-09-21 2002-09-20 광섬유 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 KR200800034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88747 2001-09-21
JP2001288747A JP4197588B2 (ja) 2001-09-21 2001-09-21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用コンセントおよびプラグを含む組立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505A Division KR20040044874A (ko) 2001-09-21 2002-09-20 광섬유 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465A true KR20080003465A (ko) 2008-01-07

Family

ID=191113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504A KR20080003465A (ko) 2001-09-21 2002-09-20 광섬유 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
KR10-2004-7003505A KR20040044874A (ko) 2001-09-21 2002-09-20 광섬유 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505A KR20040044874A (ko) 2001-09-21 2002-09-20 광섬유 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13395B2 (ko)
EP (1) EP1438621B1 (ko)
JP (1) JP4197588B2 (ko)
KR (2) KR20080003465A (ko)
CN (1) CN1300615C (ko)
AT (1) ATE316253T1 (ko)
AU (1) AU2002337500A1 (ko)
DE (1) DE60208811T2 (ko)
TW (1) TW571138B (ko)
WO (1) WO200302773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1709B2 (ja) * 2004-04-14 2011-03-16 神保電器株式会社 光コンセント
US7150635B2 (en) * 2005-03-15 2006-12-19 Infocus Corporation Electrical device having an electrical component safety apparatus
JP4886299B2 (ja) * 2006-01-17 2012-02-2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ー用コンセント
CN201252167Y (zh) * 2008-06-26 2009-06-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跳线装置及具有该跳线装置的线缆连接器组件
CN101900856B (zh) * 2009-05-28 2012-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光纤插座
JP2013522691A (ja) * 2010-03-19 2013-06-13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装置用の光ファイバインタフェース装置
US8727636B2 (en) * 2010-03-19 2014-05-20 Corning Incorporated Fiber optic interface device with positionable cleaning cover
US8596881B2 (en) 2010-12-09 2013-12-03 Microsoft Corporation Power and data connector
CN102789028A (zh) * 2011-05-18 2012-11-21 深圳市博特光通讯设备有限公司 一种u型塑料光纤锁定装置及锁定方法
CN102789030A (zh) * 2011-05-18 2012-11-21 深圳市博特光通讯设备有限公司 一种f型塑料光纤锁定装置及光纤锁定方法
US9188747B2 (en) 2011-05-23 2015-11-17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True one piece housing fiber optic adapter
CN102308238B (zh) * 2011-07-20 2013-08-14 华为技术有限公司 光适配器光口保护组件及光适配器安装盒
US9360649B2 (en) 2013-05-22 2016-06-07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Cable guide for fiber optic cables
US9274287B2 (en) * 2014-05-13 2016-03-01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Optical fiber connector and ferrule
WO2017066022A1 (en) * 2015-10-12 2017-04-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waveguide positioning feature in a multiple waveguides connector
US10732362B1 (en) * 2019-06-11 2020-08-04 Honeywell Federal Manufacturing & Technologies, Llc Optical fiber receptacle cov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1887A (en) * 1983-02-24 1986-09-16 Amp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and wall outlet thereof
US5166995A (en) * 1984-06-08 1992-11-24 Amp Incorporated Polarized connector
JP2571810B2 (ja) 1988-01-26 1997-01-16 松下電工株式会社 光コンセント
JP2731535B2 (ja) 1988-05-26 1998-03-25 松下電工株式会社 埋込型光コンセント
US5030120A (en) * 1990-07-02 1991-07-09 Hughes Aircraft Company Dust cover and locking assembly for electrical or fiber optic connector
US5243678A (en) * 1992-06-29 1993-09-07 Amp Incorporated Alignment cover for a fiber optic receptacle
DE4412571C1 (de) * 1994-04-13 1995-06-08 Framatome Connectors Int Kombinierter LWL-/Metallkabel-Steckverbinder
ATE231245T1 (de) * 1994-04-18 2003-02-15 Yasuhiro Koike Optisches harz mit brechungsindexverteilung und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US5760139A (en) * 1994-04-18 1998-06-02 Yasuhiro Koike Graded-refractive-index optical plastic material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US5664955A (en) * 1995-09-26 1997-09-09 Lucent Technologies Inc. Protective hood
JP3360996B2 (ja) * 1995-11-06 2003-01-07 株式会社日興電機製作所 光コンセント
JP4036912B2 (ja) * 1996-12-05 2008-01-2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JP3207159B2 (ja) * 1998-06-05 2001-09-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シャッタ付き光コネクタ
EP1072918B1 (de) * 1999-07-26 2005-03-30 Diamond SA Steckerteil für eine optische Steckverbindung
US6419399B1 (en) * 1999-12-01 2002-07-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ber connector system
ATE425472T1 (de) 2000-06-06 2009-03-15 Asahi Glass Co Ltd Faseroptisches kab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13395B2 (en) 2005-07-05
DE60208811T2 (de) 2006-09-28
KR20040044874A (ko) 2004-05-31
CN1300615C (zh) 2007-02-14
EP1438621B1 (en) 2006-01-18
US20030068135A1 (en) 2003-04-10
WO2003027733A3 (en) 2003-12-04
CN1556933A (zh) 2004-12-22
JP2003098383A (ja) 2003-04-03
JP4197588B2 (ja) 2008-12-17
WO2003027733A2 (en) 2003-04-03
TW571138B (en) 2004-01-11
EP1438621A2 (en) 2004-07-21
AU2002337500A1 (en) 2003-04-07
ATE316253T1 (de) 2006-02-15
DE60208811D1 (de)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8703B2 (en) System for terminating optical fibers in a fiber optic connector
US9312676B2 (en) Cable sealing and retaining device
US6796721B2 (en) Optical connector
KR20080003465A (ko) 광섬유 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
KR101422991B1 (ko) 광 커넥터
US8297850B2 (en) Opt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optical connector
US7853112B2 (en) Fiber optic splitter module
US5909526A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US20100092137A1 (en) Optical fiber cable equipped with optical connector, method for introducing optical fiber cable, towing tool used in introducing method, and optical connector
JP4800136B2 (ja) 光レセプタクルハウジング、光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及び光機器
KR20080064954A (ko) 광커넥터의 조립 방법 및 광커넥터
JPH07318755A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接続コネクタ
JP2007240943A (ja) 光コネクタ
JP4087046B2 (ja) 光ケーブル用アダプタ又はコネクタ及びその取付部材
JP2016164600A (ja) プラグ側光コネクタ、光コネクタシステム及びコネクタ付き光ケーブル
JP4270255B2 (ja) 光ファイバー用コンセント
JP2008233466A (ja) 光ローゼット
JP5690005B1 (ja) 光コネクタ
JP7089485B2 (ja) 光コネクタ
JP4047104B2 (ja) 光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2003344665A (ja) 光ケーブル接続具
JP5671174B1 (ja) 光コネクタ
JP4822368B2 (ja) 光コンセント
JP2005156603A (ja) 光ファイバーアダプタ
KR20080006637U (ko)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