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637U -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 - Google Patents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637U
KR20080006637U KR2020070010426U KR20070010426U KR20080006637U KR 20080006637 U KR20080006637 U KR 20080006637U KR 2020070010426 U KR2020070010426 U KR 2020070010426U KR 20070010426 U KR20070010426 U KR 20070010426U KR 20080006637 U KR20080006637 U KR 200800066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nnector
main line
coupling member
tool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한
김명완
권오준
양진성
박찬우
김성호
한호석
김용헌
서지훈
Original Assignee
노바옵틱스 (주)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바옵틱스 (주),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filed Critical 노바옵틱스 (주)
Priority to KR2020070010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637U/ko
Publication of KR200800066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63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8Tools, e.g. handheld; Tuning wrenches; Jigs used with connectors, e.g. for extracting, removing or inserting in a panel, for engaging or coupling conne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mponents within the connector, for applying clips to hold two connectors together or for crimp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16Holders, macro size fixtures for mechanically holding or positioning fibres, e.g. on an optical ben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 G02B6/3879Linking of individual connector plugs to an overconnector, e.g. using clamps, clips, common housings comprising several individual connector plu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광커넥터를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도록 된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는 하우징(100)과 플러그(200), 상기 플러그(200)에 체결됨과 더불어 페룰 주선(A)과 광케이블의 주선(B)을 상호 정렬하여 결합하기 위한 주선 결합부재(300) 및 상기 주선 결합부재(30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600)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광커넥터를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치공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10)와, 상기 주선 결합부재(3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주선 결합부재(300)를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밀착 결합시키는 클립(30) 및, 상기 본체(10)와 클립(30)을 연결하는 연결바(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커넥터, 조립장치, 치공구

Description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Optical connector assembling jig}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광커넥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치공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치공구를 광커넥터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치공구와 광커넥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7a-7b은 상술한 치공구를 사용하여 광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는 상기한 조립 과정을 통해 조립된 광커넥터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본체, 20 : 연결바, 30 : 클립, 100 : 하우징,
200 : 플러그, 300 : 주선 결합부재,
310 : 페룰, 400 : 고정부재,
A : 페룰 주선, B : 광케이블 주선,
본 고안은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광커넥터를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도록 된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댁내까지 광케이블을 연결해 방송, 통신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FTTH(Fiber To The Home) 시스템이 제안되어 신축 아파트 등에 적용 설치되고 있다.
상기 FTTH 시스템에서 광케이블은 예컨대 댁내의 벽면까지 연결되고 그 끝단은 커넥터 형태로 마감되어 벽면에 설치된다. 이때, FTTH 설치자는 광케이블의 길이가 댁내까지 충분히 연결될 수 있도록 실측 길이보다 일정 길이 이상 길게 설정하여 댁내로 유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설치자는 시공현장, 즉 댁내에서 광케이블을 필요한 길이 만큼 절단하고, 그 종단에 광커넥터를 조립한 후 이를 광어댑터에 연결시켜 댁내 벽면에 설치하게 된다.
즉, 설치자는 댁내로 유입된 광섬유를 필요한 위치에서 절단 후, 일정 길이의 광섬유 재킷을 벗겨내 코어와 클래드로만 이루어진 주선을 만든다.
그런 다음 설치자는 이 주선을 광커넥터에 체결하는 조립과정을 실행하게 된다. 이때, 설치자는 광케이블의 주선과 광커넥터의 페룰 주선이 정확하게 맞닿도록 광커넥터를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광커넥터에 있어서는 광케이블의 주선을 광커넥터에 삽입한 상태에서 후단의 고정부재를 삽입할 때 페룰 주선과 광케이블의 주선 간의 정렬이 흐트러지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광케이블을 조립할 때 페룰 주선과 광케이블의 주선을 안정적이면서도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를 제공함에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광커넥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해주는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는 하우징과 플러그, 상기 플러그에 체결됨과 더불어 페룰 주선과 광케이블의 주선을 상호 정렬하여 결합하기 위한 주선 결합부재 및 상기 주선 결합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광커넥터를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치공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주선 결합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주선 결합부재를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밀착 결합시키는 클립 및, 상기 본체와 클립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립은 일측이 개구된 원형의 결합홈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본체와의 결합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와 클립 및 연결부재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립은 주선 결합부재에 고정부재가 삽입 결합 됨에 있어 고정부재에 의해 주선 결합부재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광커넥터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는 구성 요소들을 감싸며 보호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에 이동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플러그(200), 페룰(310)이 장착됨과 더불어 내부에 주선 삽입을 위한 주선 삽입홈이 구비되는 주선 결합부재(300), 결합부재 고정캡(400) 내에서 주선 결합부재(300)를 일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500), 플러그(200)에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주선 결합부재(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결합부재 고정캡(400), 결합부재 고정캡(400)에 체결됨과 더불어 주선 결합부재(300)를 압착하는 고정부재(600) 및, 고정부재(600)의 자유단을 감싸며 밀봉하는 고정클립(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하우징(100)과 고정캡(400)에는 주선 결합부재(300)에서 페룰 주선(A)과 광케이블 주선(B)이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관통구멍(130)이 형성된다.
상기 광커넥터는 작업자가 주선 결합부재(300)의 주선 삽입홈으로 광케이블의 주선(B)을 삽입하여 페룰 주선(A)과 광케이블의 주선(B)을 광학적으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600)와 고정클립(700)을 주선 결합부재(300)에 체결하는 방식으 로 조립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일부 광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주선 결합부재(300)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페룰 주선(A)과 광케이블의 주선(B) 간의 결합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광커넥터를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의 구성 및 조립과정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실용신안출원 제2006-103925호 및 제2007-21295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광커넥터에 적용되어 작업자가 광커넥터를 조립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치공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광커넥터 이외에 주선 결합부재(300)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결합하도록 된 어떠한 형태의 광커넥터에 대하여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이하에 예시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치공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치공구는 광커넥터의 하우징(100)에 대하여 본 치공구(1)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본체(10)와 광커넥터의 주선 결합부재(300)를 임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3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광커넥터의 하우징(10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체(100)는 내부에 하우징(10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홀(11)이 구비되고 일측면이 개구된다. 본체(100)의 상면에는 하우징(100) 상면의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홈(12)이 형성됨과 더불어 전면에는 광커넥터의 페룰(310)과 대응하는 위치에 페룰홈(13)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10)의 다른 측면에는 연결바(20)가 결합되면서, 이 연결바(20)의 종단에는 그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클립(30)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바(20)는 본체(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 연결바(20)는 예컨대 합성 수지 등의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본체(10)와의 연결 부위가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클립(30)이 그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신축성 있게 가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클립(30)은 연결바(2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클립(30)은 광커넥터의 주선 결합부재(300)를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조여서 밀착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홈(3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결합홈(31)의 일측은 개구되면서 그 개구면이 V자 형상의 경사면(32)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치공구를 광커넥터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치공구와 광커넥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상술한 치공구는 광커넥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특히 페룰 주선(A)과 광케이블 주선(B)을 정밀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치공구를 이용하여 광커넥터를 조립하는 경우, 우선 치공구의 본체(10)에 하우징(100)을 결합한 다음, 하우징(100)에 플러그(200)를 삽입 체결하고, 플러그(200)에 고정캡(400)을 이용하여 주선 결합부재(300)를 고정적으 로 체결한다. 다른 방법으론 하우징(100)에 플러그(200)를 삽입 체결하고, 플러그(200)에 고정캡(400)을 이용하여 주선 결합부재(300)를 고정적으로 체결한 상태에서 하우징에 치공구를 결합한다.
도 7a-7b은 상술한 치공구를 사용하여 광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케이블(S)의 재킷과 얀 및 소선(C)의 피복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광케이블(S)의 단부를 주선(B)과 소선(C) 상태로 설정한다.
광케이블(S)을 고정부재(600)와 고정클립(700)을 통과시키고, 주선(B)과 소선(C)을 주선 결합부재(300)의 삽입홈내로 삽입하여 페룰 주선(A)과 광케이블 주선(B)을 정밀하게 정렬한다.
특히, 이때 관통공(130)을 통해 상기 양 주선(A, B)의 정렬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정렬 작업을 실행한다. 이때, 주선 결합부재(300)는 그 자유단이 고정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서, 즉 광케이블 주선(B)를 삽입할 수 있는 틈이 벌어져 있는 상태이다.
페룰 주선(A)과 광케이블 주선(B) 간의 정렬 작업이 종료되면, 클립(30)을 주선 결합부재(300)에 끼움 결합하여 주선 결합부재(300)를 고정한다. 이때, 클립(30)은 하우징 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 된다.
상기와 같이 클립(30)의 결합홈(31)에 광커넥터의 주선 결합부재(300)가 삽입되면, 결합홈(31)에 의해 주선 결합부재(300)가 조여져서 밀착 고정되므로 주선 결합부재(300) 내측의 양 주선(A, B)간의 정렬 상태가 안정되게 고정 유지된다.
그리고, 클립(20)이 주선 결합부재(300)에 결합 되어 페룰 주선(A)과 광케이블 주선(B)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정부재(600)를 주선 결합부재(300)에 삽입 결합시킨다.
우선, 고정부재(600)가 주선 결합부재(300)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클립(30)의 고정 위치에 도달되면, 고정부재(600)에 의해 주선 결합부재(300)가 밀착 고정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클립(30)이 주선 결합부재(300)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주선 결합부재(300) 내측의 양 주선(A, B)간의 정렬 상태는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된다.
이어, 고정부재(600)를 주선 결합부재(300)측으로 보다 더 삽입하게 되면, 주선 결합부재(300)에 경사지게 결합 된 클립(30)이 고정부재(600)에 의해 내측으로 밀리면서 클립(30)이 주선 정렬부재(300)로부터 이탈되고, 이에 따라 고정부재(600)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주선 결합부재(30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600)가 결합 된 다음 고정클립(700)으로 고정부재(600)와 주선 정렬부재(300) 및 주선(S)을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광커넥터의 조립 동작이 종료되면, 광커넥터를 치공구로부터 인출한다. 도 9는 상기한 조립 과정을 통해 조립된 광커넥터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치공구를 이용하여 광커넥터를 조립하게 되면, 페룰 주선(A)과 광케이블 주선(B)을 정밀하면서도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고, 또한 주선(A)과 광케이블 주선(B)이 정렬된 상태에서는 클립(30)를 이용하여 그 주선 결합부 재(300)를 고정한 상태에서 이후의 조립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안정적이고 신속하면서도 정밀하게 광커넥터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에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광커넥터를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는 광커넥터용 치공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하우징과 플러그, 상기 플러그에 체결됨과 더불어 페룰 주선과 광케이블의 주선을 상호 정렬하여 결합하기 위한 주선 결합부재 및 상기 주선 결합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광커넥터를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치공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주선 결합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주선 결합부재를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밀착 결합시키는 클립 및,
    상기 본체와 클립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일측이 개구된 원형의 결합홈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본체와의 결합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클립 및 연결부재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주선 결합부재에 고정부재가 삽입 결합 됨에 있어 고정부재에 의해 주선 결합부재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
KR2020070010426U 2007-06-25 2007-06-25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 KR200800066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426U KR20080006637U (ko) 2007-06-25 2007-06-25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426U KR20080006637U (ko) 2007-06-25 2007-06-25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637U true KR20080006637U (ko) 2008-12-31

Family

ID=4929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426U KR20080006637U (ko) 2007-06-25 2007-06-25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63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6813A (ja) * 2015-12-25 2017-06-29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コネクタ用分解治具および光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6813A (ja) * 2015-12-25 2017-06-29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コネクタ用分解治具および光コネク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7543B1 (ko) 광커넥터
US8297850B2 (en) Opt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optical connector
KR101105664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JP5481576B2 (ja) 光コネクタ、ピンクランプおよ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US9383521B2 (en) Cable fixture assembly for fastening at least one cable at a cable carrier as well as a splitter comprising such cable fixture assembly
JP6122291B2 (ja)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KR101114289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US8985876B2 (en) Ferrule holder
CN109901268A (zh) 一种可现场拼接的光纤连接器
JP4197588B2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用コンセントおよびプラグを含む組立体
KR101041953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20110004240A (ko)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JP2005195654A (ja) 光コネクタ用アウトレット
KR200422298Y1 (ko) 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KR20080006637U (ko) 광커넥터 조립용 치공구
KR101132835B1 (ko) 광 커넥터
JP2007240856A (ja) コネクタ接続用ケース
KR100669947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US10359581B2 (en) Clamp member, opt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connector
KR20080105216A (ko) 광커넥터용 광케이블 고정클립 및 이를 위한 개방기구
JP4255803B2 (ja) 光コネクタ
JP2005084140A (ja) 光コネクタ
KR100875760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0870637B1 (ko) 현장 조립용 광섬유 일체형 광어댑터
JP2005128327A (ja) 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