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665A - 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665A
KR20080001665A KR1020070064882A KR20070064882A KR20080001665A KR 20080001665 A KR20080001665 A KR 20080001665A KR 1020070064882 A KR1020070064882 A KR 1020070064882A KR 20070064882 A KR20070064882 A KR 20070064882A KR 20080001665 A KR20080001665 A KR 20080001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disc
lifting frame
lead piece
diameter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2659B1 (ko
Inventor
신이치 후지사와
Original Assignee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1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대경 디스크만을 드라이브 가능하도록 한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 및 대소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디스크를 드라이브 가능하도록 한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슬롯으로부터 삽입된 디스크를 자동 로딩하는 데 있어서, 디스크의 삽입 방향의 선단이 아랫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저지하도록 하고, 클램프 헤드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여, 확실한 자동 로딩이 가능하게 되도록 한다. 클램프 헤드를 구비한 턴테이블 및 스핀들 모터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드라이브 기구를 설치한 승강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클램프 헤드에 의한 디스크의 중심구멍의 클램프 또는 클램프의 해제가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동시에, 디스크의 외주 테두리를 지지하여 반송 가능하도록 한 복수의 암에 의한 자동 로딩에 의해 삽입된 디스크를 장치 내부에 반입하거나, 또는 장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디스크를 장치 외부로 반출하도록 한 디스크 장치로서, 디스크의 반입 방향이며 턴테이블의 측부에 선단부가 연장하는 리드편을 승강 프레임에 설치하고, 이 리드편의 선단부를 승강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높이 방향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승강 프레임이 강하했을 때 리드편의 선단부가 클램프 헤드의 정상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하여, 슬롯으로부터 삽입되는 디스크의 아래쪽으로의 경사를 저지한다.
디스크 장치, 클램프, 턴테이블, 스핀들 모터, 자동 로딩

Description

디스크 장치{DISK DEVICE}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크 장치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크 장치의 구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로딩 슬라이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로딩 슬라이더와 가이드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동력전달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기어 디스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랙 슬라이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대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1행정도이다.
도 10은 대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2행정도이다.
도 11은 대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3행정도이다.
도 12는 대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4행정도이다.
도 13은 대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5행정도이다.
도 14는 대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6행정도이다.
도 15는 대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7행정도이다.
도 16은 대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1행정도이다.
도 17은 대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2행정도이다.
도 18은 대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3행정도이다.
도 19는 대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4행정도이다.
도 20은 대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5행정도이다.
도 21은 대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6행정도이다.
도 22는 대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7행정도이다.
도 23은 소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1행정도이다.
도 24는 소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2행정도이다.
도 25는 소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3행정도이다.
도 26은 소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4행정도이다.
도 27은 소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5행정도이다.
도 28은 소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6행정도이다.
도 29는 소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7행정도이다.
도 30은 소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1행정도이다.
도 31은 소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2행정도이다.
도 32는 소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3행정도이다.
도 33은 소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4행정도이다.
도 34는 소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5행정도이다.
도 35는 소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6행정도이다.
도 36은 소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7행정도이다.
도 37은 승강 프레임이 상승하는 행정을 설명하는 행정도이다.
도 38은 승강 프레임이 가공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행정도이다.
도 39는 기어 디스크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0은 대경 디스크의 반송시의 암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행정도이다.
도 41은 로딩 암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행정도이다.
도 42는 로딩 슬라이더와 종동 핀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행정도이다.
도 43은 락 레버가 기능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행정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5는 도 44의 디스크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46은 도 44의 디스크 장치의 주요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47은 도 45의 기구에 있어서의 토오크의 발생 상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48은 도 44의 디스크 장치의 주요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49는 도 44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적합치 않은 상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1은 도 50의 디스크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2는 링크 암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3은 링크 암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54는 가압수단의 기능을 설명하는 제1행정도이다.
도 55는 가압수단의 기능을 설명하는 제2행정도이다.
도 56은 가압수단의 기능을 설명하는 제3행정도이다.
도 57은 디스크 지지 암의 기능을 설명하는 행정도이다.
도 58은 디스크 지지 암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을 실시한 디스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디스크의 클램프 상태의 해제를 설명하는 행정도이다.
도 62는 본 발명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64는 본 발명에 의해 디스크를 클램프 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행정도이다.
도 6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6은 종래의 디스크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7은 종래의 디스크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장치 2 : 샤시 케이스
3 : 프론트 베젤 6 : 베이스 패널
7 : 승강 프레임 8 : 완충 지지구조
9 : 클램프 헤드 10 : 턴테이블
11 : 스핀들 모터 12 : 광픽업
13 : 캐리어 블록 14 : 가이드 샤프트
15 : 가이드 샤프트 16 : 스레드 모터
17 : 기어 트레인 18 : 스크류 샤프트
19 : 디스크 지지암 21 : 홀더
22 : 로딩 암 24 : 링크 레버
25 : 가이드 암 27 : 가이드 암
29 : 가이드 암 31 : 인장코일 스프링
33 : 링크 레버 35 : 가이드 암
37 : 락 레버 39 : 와이어 스프링
40 : 스포터 41 : 리드 와이어
42 : 레버 암 43 : 로딩 슬라이더
45 : 제 1요동 부재 47 : 제 2요동 부재
48 : 종동 슬라이더 49 : 가이드 플레이트
51 : 제3요동 부재 52 : 링크 와이어
53 : 인장코일 스프링 54 : 링크 암
55 : 연결 부재 56 : 인장코일 스프링
59 : 기어 디스크 60 : 리밋 스위치
62 : 롤러 지지판 63 : 인장코일 스프링
64 : 더블 롤러 65 : 랙 슬라이더
66 : 로딩 모터 67 : 웜 기어
71 : 클램프 해제핀 72 : 리드 편
81 : 비틀림 스프링 90 : 가압 수단
D1 : 대경 디스크 D2 : 소경 디스크
본 발명은, 각종 컴퓨터 시스템 등의 정보기기에 있어서, 대량의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의 광디스크(예를 들면CD-R/RW, DVD-R/-RW/RAM/+R/+RW등)를 드라이브하는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한다)등에 내장되어 있는 디스크 장치는, 통상, 디스크를 장전하는 디스크 트레이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디스크 트레이가 전진 후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트레이에 장전된 디스크는, 디스크 장치본체 내에서 드라이브 되어,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진다.
한편, 디스크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서, 소위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도 많이 채용되는 경향에 있으며, PC의 박형화, 소형화에 적합하다. 이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는, 장치본체로의 디스크의 반입(로드)/반출(언로드)에 디스크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조작자가 디스크의 절반 이상을 슬롯에 꽂 아 넣으면, 이후, 장치 본체의 로딩 기구가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반입되도록 하고 있다.
도 66 및 도 67은, 종래의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로딩 기구의 구성 및 동작 양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는, 디스크 D를 조작자가 삽입하면, 디스크 D는 제1 요동체(100)의 선단의 핀(100a) 및 좌우의 가이드체(101·102), 그리고 중간부터 제2 요동체(103)의 선단의 핀(103a)에 의해 높이 방향과 좌우 위치가 규제되면서 도 66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도달한다.
이 때, 제1 요동체(100)는 디스크 D에 의해 선단의 핀(100a)이 눌려 화살표 100A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제2 요동체(103)도 디스크 D에 의해 선단의 핀(103a)이 눌려 화살표 103A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스위치 레버(104)가 제2 요동체(103)의 단부에 눌려 화살표 104A 방향으로 회전하고, 검출 스위치(105)를 작동한다.
상기 검출 스위치(105)가 작동하면 구동수단(106)이 시동하고, 제1 슬라이드 부재(107)의 화살표 107A 방향으로의 이동이 개시된다. 이 제1 슬라이드 부재(107)와 제2 슬라이드 부재(108)는, 각 선단이 슬라이드 연결부재(109)로 연결되어, 이 슬라이드 연결부재(109)가 핀(110)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피벗되므로, 제1 슬라이드 부재(107)의 후퇴에 동기하여 제2 슬라이드 부재(108)가 화살표 108A 방향으로 전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슬라이드 부재(107)가 후퇴를 시작하면, 이 슬라이드 부재(107)에 한쪽 지지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제1 요동체(100)는 제1 슬라이드 부재(107)의 캠 홈(107a)에서 종동 핀(100b)이 안내되기 때문에, 지점(100c)을 중심으로 화살표 100B방향으로 요동체(10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 요동체(100)의 선단의 핀(100a)이 디스크 D를 디스크 위치 결정 부재(111)의 핀(111a ·111b)에 접촉할 때까지 화살표 107A 방향으로 반송한다.
이 때, 제2 요동체(103)의 핀(103a)은 화살표 103A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2 요동체(103)의 핀(103a)은, 제1 요동체(100)의 선단의 핀(100a)과 동기하여 디스크 D를 지지한 채 화살표 103A 방향으로 이동하고, 디스크 D가 디스크 위치 결정 부재(111)의 핀(111a ·111b)에 접촉한 후는, 디스크 D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상은 장치 내부에 디스크 D를 반입할 경우의 로딩 기구의 동작 양태이지만, 디스크 D를 장치 외부로 반출할 경우의 로딩 기구는, 상기와 반대의 동작양태가 된다. 즉, 도 6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D가 장치 내부에서 정위치에 있을 때, 반출 지시에 의거하여, 구동수단(106)이 역 회전 방향으로 시동되면, 제1 슬라이드 부재(107)가 화살표 107B방향으로 전진을 시작하고, 슬라이드 연결부재(109)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슬라이드 부재(108)가 동기하여 화살표 108B방향으로 후퇴를 시작한다. 이에 따라 제1 요동체(100)는 화살표 100A 방향으로, 그리고 제2 요동체(103)는 화살표 103B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각각의 선단의 핀(100a ·103a)에 의해 디스크 D가 지지되어 장치 외부로 반출되게 된다.
또한, 장치 내부에 반입된 디스크 D는, 정위치에서 상하 이동하는 클램프 헤 드(112)에 클램프 되도록 되어 있다. 이 클램프 헤드(112)는, 스핀들 모터(114)의 구동축에 고정된 턴테이블(113)과 일체화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스핀들 모터(114)는, 프레임 부재(도시 생략)에 설치되고, 이 프레임 부재를 승강 기구에 의해 상하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2-117604호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의 대상으로 하는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도, 디스크를 드라이브시키기 위한 초기 조작은, 당연히 조작자가 프론트 베젤의 슬롯으로부터 디스크를 삽입하는 것이다. 이 때, 삽입되는 디스크는 그 외주 테두리가 지지되지 않는 불안정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반드시 수평상태라고는 할 수 없고 삽입 방향의 선단이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가 경사 상태로 삽입되면, 그 외주 테두리에서 장치 내부의 기구를 파손하거나, 디스크의 기록면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특히 디스크와 클램프 헤드와의 접촉은 디스크의 기록면의 손상을 크게 하여, 디스크의 드라이브가 불가능하게 되는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작된 디스크 장치에서는, 삽입된 디스크의 수평성을 유지하기 위한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그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승강 프레임의 프론트 베젤측의 기초부에 디스크의 반입 방향을 향해서 상승 사면의 융 기부를 형성하고, 이 융기부에 디스크의 외주 테두리가 접촉하여 아랫쪽으로의 경사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섀시 케이스의 천판면에 장치 내부로 돌출하는 융기부를 형성하여, 디스크가 윗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은, 일반적으로 12cm 디스크로 통칭 되는 대경 디스크에 대하여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직경이 작은 8cm 디스크로 통칭 되는 소경 디스크에 대하여는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대경 디스크만을 드라이브 가능하게 하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잘못하고 소경 디스크가 삽입되면, 이 소경 디스크가 장치의 내부기구로 진입하여 그 기록면을 손상하거나, 내부기구를 파손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디스크의 반송을 주관하는 디스크 지지 암의 홀더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소경 디스크의 진입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대경 디스크 및 소경 디스크 모두 드라이브 가능하도록 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디스크 장치에서는, 소경 디스크도 대경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확실하게 자동 로딩으로 이끌어, 드라이브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프론트 베젤의 슬롯으로부터 삽입되는 디스크가 아랫쪽으로 경사져 클램프 헤드에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은, 대경 디스크만을 드라이브 가능하도록 한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 및 대소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디스크를 드라이브 가능하도록 한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베젤의 슬롯으로부터 삽입된 디스크를 자동 로딩하는 데 있어서, 디스크의 삽입 방향의 선단이 아랫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저지하도록 하여, 클램프 헤드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확실한 자동 로딩이 가능하 게 되도록 한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하에 서술하는 수단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했다. 즉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척킹 위치에 있는 디스크를 회전시켜서, 기록/재생을 행하는 디스크 장치이며, 로딩에서는 케이스의 슬롯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디스크가 베이스 패널 위에 배치한 복수의 암으로 상기 척킹 위치로 운반되고, 언 로딩에서는, 상기 척킹 위치에 있는 상기 디스크가, 상기 슬롯으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일부가 밖으로 돌출한 이젝트 위치로 운반되는 상기 디스크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개구 안에 배치되어, 디스크 회전 가능위치를 경유하여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승강 프레임으로서, 상기 디스크 회전 가능 위치가 상기 상승위치에서 약간 내려가 있는 승강 프레임과, 상기 승강 프레임에 부착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으로서,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상승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척킹 위치에 세트된 상기 디스크를 척킹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디스크의 척킹을 해제하고, 그리고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디스크 회전 위치에 세트된 사이에 척킹되어 있는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과, 상기 슬롯으로부터 삽입된 디스크의 리딩측을 윗쪽에 들어올리기 위한 슬로프를 형성하는 리드편으로서, 상기 승강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의 가로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크의 삽입방향으로 연장한 선단부를 가지고, 이 선단부가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승강 프레임의 윗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리드편을 구비한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슬롯에 가까운 전단측을 지점으로 하여,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이 부착된 후단측이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하강 위치에서는, 상기 승강 프레임의 후단측이 상기 베이스 패널보다도 낮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2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 유닛은, 상기 승강 프레임에 고정된 스핀들 모터와, 상기 스핀들 모터의 구동축에 부착된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돌출하고 있고, 상기 디스크의 중심구멍을 척킹하는 척킹 헤드로서,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상승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중심 구멍으로 들어가고,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중심 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구성된 척킹 헤드를 구비한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3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디스크 회전 가능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리드편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디스크의 밑면으로부터 멀어진다.
청구항 5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4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척킹 헤드는 상기 베이스 채널보다도 높고, 그리고 상기 리드 편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척킹 헤드와 거의 같거나 높다.
청구항 6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5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편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디스크의 중심 구멍의 주변에 있는 비기록 영역에 대면하도록 상기 턴테이블을 따라 연장하고 있다.
청구항 7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5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편의 선단부에는, 상기 디스크의 밑면과의 접촉 면적을 작게하도록, 위로 부풀어 오른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8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5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편은, 상기 슬롯측의 기단부가, 상기 승강 프레임과 거의 동일 평면이 되도록, 상기 승강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청구항 9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3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디스크 회전 가능 위치로부터 상기 하강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리드편의 상기 선단부를 받아 그 이동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드편의 상기 선단부를 상기 척킹 헤드와 거의 같은 높이 이상으로 유지하고,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승강 프레임이 디스크 회전 가능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리드편에 작용을 주지 않고, 상기 선단부의 높이가 상기 턴테이블 보다도 낮아지는 것을 허용한다.
청구항 10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9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척킹 해제핀이며,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디스크 회전 가능위치로부터 상기 하강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리드편 의 상기 선단부에서 디스크의 밑면을 받아, 상기 디스크의 중심 구멍을 상기 컥킹 헤드로부터 빠져나간다.
청구항 11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9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스핀들 모터가 배치된 프레임 개구를 가진다.
청구항 12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1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편의 상기 선단부는 아래쪽으로 절곡한 설편과, 이 설편 앞을 절곡한 걸어 고정하는 단을 가지고,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디스크 회전 가능 위치에서 상기 하강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고정부재로 상기 리드편의 선단부를 받은 상태에서, 상기 걸어 고정하는 단을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개구의 테두리부에서 밀어내리고, 상기 슬로프가 위로 노출하도록 매끄럽게 만곡시킨다.
청구항 13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5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가장자리를 유지하는 홈이 형성된 선단부를 가지는 슬라이딩이 자유로운 디스크 지지 암을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 지지암은, 상기 로딩에서는, 상기 슬롯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디스크의 가장자리를 상기 홈에 받아 넣고, 그리고 상기 디스크를 상기 척킹 위치로 운반하며, 상기 언로딩에서는 상기 디스크를 상기 척킹 위치로부터 상기 이젝트 위치로 운반한다.
청구항 14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3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지지암은, 그 밑면에 돌기를 구비하고, 이 돌기는, 상기 디스크 지지암이 상기 슬롯으로부터의 디스크 삽입을 대기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개구 내에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로딩 중에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 패널 위에 올라 앉아 상기 홈을 높은 위치로 상승시킨다.
청구항 15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4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이 상기 턴테이블 위를 통과할 때,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 패널 위로 올라 앉는다.
청구항 16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5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편의 상기 선단부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설편을 가지고, 이 설편의 단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청구항 17기재의 발명에서는, 슬롯을 거쳐 디스크를 바깥으로 출입하는 복수의 암과,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장치로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은, 척킹 헤드가 돌출한 턴테이블과, 이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가지며, 상기 디스크 장치는, 상기 스핀들 모터를 고정한 승강 프레임으로서, 이 승강 프레임이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기 척킹 헤드가 상기 디스크의 중심 구멍을 척킹하거나 또는 척킹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승강 프레임과, 상기 승강 프레임에 부착된 리드편으로서, 상기 승강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의 반입 방향이며 상기 턴테이블의 측부로 연장하는 선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선단부가, 상기 승강 프레임이 하강했을 때 상기 승강 프레임이 윗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유지되고, 상기 슬롯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디스크가 그 리딩측을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한 경사를 저지하도록 구성된 리드편을 구비한다.
청구항 18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7에 기재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 서, 상기 리드편은, 상기 선단부로터 매달려 있는 설편과, 이 설편이 형성된 걸어 고정하는 단부를 가지고,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강에 따라, 상기 승강 프레임의 프레임 개구의 단부에서 상기 걸어 고정하는 단부가 밀려 내려갔을 때, 상기 선단부에 완만한 원호 형상의 슬로프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소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디스크를 드라이브 가능하도록 한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를 실시예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요지가 되는 구성은 대경 디스크만을 드라이브하는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에도 채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한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실드 상태로 구성된 섀시 케이스(2)의 천판의 중앙에 개구(2a)가 형성되고 있고, 이 개구(2a)의 가장자리부분에 내부로 돌출하는 볼록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섀시 케이스(2)의 전단에는 프론트 베젤(3)이 고정되고 있으며, 이 프론트 베젤(3)에는, 12cm디스크(이하, 대경 디스크라고 한다) D1 및 8cm 디스크 (이하, 소경 디스크라고 한다) D2를 삽입하는 슬롯(3a)과, 이머전시 해제를 위한 통과 구멍(3b·3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베젤(3)에는, 수용되어 있는 대경 디스크 D1 또는 소경 디스크 D2를 장치 외부로 반출시키기 위한 푸쉬 버튼(4) 및 디스크 장치(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5)를 구비한다.
도 2는, 상기 섀시 케이스(2)의 천판 부분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이 섀시 케이스(2)안에는 베이스 패널(6)이 배치되고 있으며, 그 중앙에서 비스듬히 아래쪽으로의 배치 상태에서 대경 디스크 D1 및 소경 디스크 D2의 구동 유닛 A가 설치된다. 이 구동 유닛 A는, 대경 디스크 D1 및 소경 디스크 D2의 중심구멍 D1a·D2a를 클램프 또는 클램프 되어 있는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프론트 베젤(3)측을 지지축으로 하여 장치중앙에 위치하는 후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 승강 프레임(7)이 기존의 완충 지지구조(8)에 의해 복수 개소에서 베이스 패널(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승강 프레임(7)의 선단에는, 반입되어 정지한 대경 디스크 D1 또는 소경 디스크 D2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클램프 헤드(9)가 배치된다. 이 클램프 헤드(9)는 턴테이블(10)과 일체로 구성되어, 바로 아래에 배치한 스핀들 모터(11)의 구동축에 고정되고 있으며, 이 스핀들 모터(11)에 의해 클램프 헤드(9)의 척 갈고리(9a)에 클램프 된 대경 디스크 D1 또는 소경 디스크 D2를 회전 구동하여 드라이브 하고,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진다.
부호 B는 승강 프레임(7)에 지지된 헤드 유닛이며, 광픽업(12)을 대경 디스크 D1, 소경 디스크 D2의 직경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캐리어 블록(13)은 그 양단을 승강 프레임(7)에 고정된 가이드 샤프트(14·15)에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블록(13)은, 기어 트레인(17)으로부터 스크류 샤프트(18)에 전달된 스레드 모터(16)의 구동력에 의해 전진 후퇴한다(도 3 참조).
다음에, 대경 디스크 D1, 소경 디스크 D2의 반입 및 반출을 주관하는 복수의 암은, 베이스 패널(6)의 평면위에 상기 승강 프레임(7)을 둘러싸는 상태로 배치되 어,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 배치된 구동기구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암 중에서, 디스크의 반입 및 반출에 있어서 중추적 기능을 달성하는 것이 디스크 지지 암(19)이며, 리벳 핀(20)을 지점으로 요동하여, 대경 디스크 D1, 소경 디스크 D2의 후단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반송 행정에 있어서의 높이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선단에 홀더(21)를 구비하고, 이 홀더(21)의 유지 홈(21a)으로 대경 디스크 D1, 소경 디스크 D2의 후단측이 유지된다.
부호 22는 대경 디스크 D1을 장치 내부로 반입하기 위한 로딩 암이며, 피벗 핀(23)으로 연결된 링크 레버(24)에 견인되어 요동하고, 그 로딩 롤러(22a)로 삽입된 대경 디스크 D1의 중심보다 전방의 측부에서 가압이 개시되어, 대경 디스크 D1을 장치 내부로 유인하는 기능을 한다.
가이드 암(25)은 베이스 패널(6)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피벗 핀(26)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고, 그 선단에 아래로 내려뜨린 상태로 고정된 지지부재(25a)에 의해 반송되는 소경 디스크 D2의 측부를 지지하여 정위치로 이끄는 기능을 한다. 또한 가이드 암(27)은 리벳 핀(28)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고, 그 선단에 아래로 내려뜨린 상태로 고정된 지지부재(27a)에 의해 반송되는 대경 디스크 D1의 측부를 지지하여 정위치로 이끄는 기능 및 소경 디스크 D2의 측부를 지지하여 정위치로 이끄는 기능을 한다. 이 가이드 암(27)은, 그 기단부의 피벗 핀(27b)에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서 제3요동 부재(51)의 단부와 인장 코일 스프링(53)의 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 암(29)은 리벳 핀(30)을 지점으로 요동하고, 그 선단에 기립한 상태 로 고정된 지지부재(29a)에 의해 반송되는 소경 디스크 D2의 측부를 지지하여 정위치로 이끄는 기능 및 대경 디스크 D1의 측부를 지지하여 정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인장 코일 스프링(31)에 가압되어, 리벳 핀(32)을 지점으로 요동하는 링크 레버(33)의 작용 핀(33a)이 상기 가이드 암(29)의 슬릿(29e)에 끼워맞춰지고 있으므로, 가이드 암(29)의 선단은 항상 구심방향으로 가압된 상태가 된다. 상기 가이드 암(29)의 후단부의 가이드홈(29c)에 종동 핀(35b)에 의해 연결된 가이드 암(35)은, 리벳 핀(36)을 지점으로 요동하고, 그 선단에 기립한 상태로 고정된 지지부재(35a)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 및 소경 디스크 D2의 측부를 지지하여 정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부호 37은 락 레버이며, 리벳 핀(38)을 지점으로 요동하고, 선단에 형성한 앵글(37a)이 상기 가이드 암(29)의 선단에 구비한 설편(29b)을 걸어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 락 레버(37)는 와이어 스프링(39)에 의해 선단의 앵글(37a)이 항상 구심방향으로 가압되고 있지만, 통상은 스토퍼(40)가 기능하여 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부호 41은 리드 와이어이며, 프론트 베젤(3)의 밑변을 따라 배치되어, 그 단부가 상기 락 레버(37)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있으며, 걸어 고정하는 단부(41a)가 기립 상태로 절곡되어, 프론트 베젤(3)의 슬롯(3a)을 향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대경 디스크 D1을 슬롯(3a)으로부터 삽입하면, 대경 디스크 D1의 외주 테두리에서 상기 걸어 고정하는 단부(41a)가 눌리기 때문에, 이 리드 와이어(41)는 프론트 베젤(3)에 평행하게 횡 이동한다. 이에 따라 락 레버(37)가 견인되어, 그 선단의 앵 글(37a)이 원심방향으로 요동하므로, 가이드 암(29)의 설편(29b)의 결합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패널(6)의 평면 위에 노출하는 기구요소에 있어서, 부호 42a는 레버 암(42)(도 3 참조)의 결합 설편이며, 가이드 암(27)의 위치제어의 기능을 하는 것이지만, 그 동작 양태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부호 71은 대경 디스크 D1 및 소경 디스크 D2가 클램프 헤드(9)로 클램프 되어 있는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클램프 해제 핀이다.
이상과 같이 베이스 패널(6)의 평면위에 구성된 각 가이드 암 등을 작동하기 위해, 이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 구성된 기구요소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1)는, 장치 내부의 측부에 도 3의 가상 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배치한 로딩 슬라이더(43)의 전진 후퇴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과 소경 디스크 D2의 반송에 따른 동작 제어의 전부를 완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으며, 기구요소의 중추가 되는 로딩 슬라이더(43)의 구성 및 이 로딩 슬라이더(43)에 동작 제어되는 각 기구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로딩 슬라이더(43)가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부감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딩 슬라이더(43)는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전단부분에 랙 기어(43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후단부분에는, 상단 수평부(43b-1)와 하단 수평부(43b-2) 및 중간에 단차를 구비한 수직부(43b-3)가 연통하는 가이드홈(4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단 수평부(43b-1)에는 리벳 핀(44)을 지점으로 요동하는 제1요동 부 재(45)의 종동 핀(45a)을 장착하고, 수직부(43b-3)에는 리벳 핀(46)을 지점으로 요동하는 제2요동 부재(47)의 종동 핀(47a)이 장착된다. 그리고, 이 제2요동 부재(47)의 작용 핀(47b)은, 종동 슬라이더(48)의 단부 통과 구멍(48a)에 장착된다.
로딩 슬라이더(43)의 중간 위치부에는 그 양측에 가이드홈(43c-1) 및 가이드홈(43c-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43c-1)의 후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있고, 가이드홈(43c-2) 앞후단도 경사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암(29)의 종동 핀(29d)은 로딩 슬라이더(43)가 더욱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43c-2)의 후단 경사부의 개구 부분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부호 43d는 로딩 암(22)을 대경 디스크 D1의 반송에 동기하여 작동하도록 링크 레버(24)를 견인하는 유도 홈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유도 홈(43d)에 겹쳐지는 위치의 베이스 패널(6)에 고정된 가이드 플레이트(49)에 가이드 슬릿(49a)이 형성되고 있고, 유도 홈(43d)과 가이드 슬릿(49a)에 링크 레버(24)의 선단에 고정한 종동 핀(24a)을 꽂아 넣은 상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전진 후퇴하는 유도 홈(43d)에 대하여 정위치에 있는 가이드 슬릿(49a)이 서로 작용하여, 상기 종동 핀(24a)의 동작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로딩 슬라이더(43)의 승강 프레임(7)에 면하는 측부에 이 승강 프레임(7)의 승강을 주관하는 종동 핀(7a)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캠 홈(43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 홈(43e)은 승강 프레임(7)을 낮은 위치로 유지하는 낮은 위치부(43e-1), 승강 프레임(7)을 상승 또는 강하시키는 경사부(43e-2), 승강 프레임(7)을 높은 위치로 유지하는 높은 위치부(43e-3)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장치 내부의 후부에 구성된 동력전달기구를 이면으로부터 부감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며, 종동 슬라이더(48)의 승강 프레임(7)의 승강을 주관하는 종동 핀(7b)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캠 홈(48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 홈(48c)은 승강 프레임(7)을 낮은 위치로 유지하는 낮은 위치부(48c-1), 승강 프레임(7)을 상승 또는 강하시키는 경사부(48c-2), 승강 프레임(7)을 높은 위치로 유지하는 높은 위치부(48c-3)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동 슬라이더(48)의 단부 통과 구멍(48b)에는, 리벳 핀(50)을 지점으로 요동하는 제3요동 부재(51)의 작용 핀(51a)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용 핀(51a)에는 링크 와이어(52)의 단부(52a)가 장착되고, 다른 쪽의 단부(52b)는, 제1요동 부재(45)의 통과 구멍(45b)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제3요동 부재(51)는 인장 코일 스프링(53)에 의해 동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지만, 작용 핀(51a)이 링크 와이어(52)에 의해 그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정위치에 정지한다. 또한 상기 단부 통과 구멍(48b)의 측부에는, 레버 암(42)을 작동하기 위한 작용편(48d)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1요동 부재(45)와 후술하는 기어 디스크(59) 사이에 연결되는 링크 암(54)은, 제1요동 부재(45)에 연결부재(55)에 의해 연결된 제1링크 암(54a)과 인장 코일 용수철(56)에 의해 가압된 제2링크 암(54b)의 조합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대경 디스크 D1 및 소경 디스크 D2의 반송시에 있어서의 기구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도 7은, 상기 제2링크 암(54b)의 단부의 구성을 장치이면으로부터 부감한 사 시도이며, 제2링크 암(54b)의 통과 구멍(54b-1), 디스크 지지 암(19)의 회전 기판(19a)의 통과 구멍(19b), 기어 디스크(59)의 통과 구멍(59a)이 동시에 피벗 핀(57)에 의해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축지지되고 있다. 한편, 디스크 지지 암(19)의 회전 기판(19a)의 중심구멍(19c)과 기어 디스크(59)의 중심구멍(59b)은, 일단을 베이스 패널(6)에 고정한 리벳 핀(20)으로 동시에 축지지되어, 상기 회전 기판(19a)의 계지편(19d)이 기어 디스크(59)의 걸어 고정하는 창(59c)을 향해, 일체가 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기어 디스크(59)의 섀시 케이스(2)의 측면에 대향하는 외주 테두리의 일부에는 기어(59d)가 형성되고, 이것과 마주하는 외주 테두리에는 스위치 기동 단부(59e·59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기동 단부(59e·59f)에 의해 입접되는 리밋 스위치(60)는, 섀시 케이스(2)의 저면위에 배치한 배선 기판(도시 생략)에 실장되고, 스위치 노브(60a)는 상기 스위치 기동 단부(59e·59f)에서 작동된다.
전술한 레버 암(42)은, 리벳 핀(61)을 지점으로 요동하도록 고정되어, 그 결합 설편(42a)을 베이스 패널(6)의 개구로부터 베이스 패널(6)의 표면을 향함과 동시에, 스프링편(42b)의 선단을 베이스 패널(6)의 개구벽(6a)에 접촉시켜, 선단부의 롤러(42c)에 원심방향으로의 가압력이 발생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레버 암(42)은, 롤러(42c)가 종동 슬라이더(48)의 측벽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 있을 때는 정위치에 정지하고 있지만, 종동 슬라이더(48)가 슬라이드 하면 그 작용편(48d)에 롤러(42c)가 눌리는 것으로 리벳 핀(61)을 지점으로 요동하고, 결합 설편(42a)이 원심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가이드 암(25)을 요동시키기 위한 기구를 설명한다. 이 가이드 암(25)은 그 요동의 지점이 되는 기단의 피벗 핀(26)이 베이스 패널(6)의 배면에 연장 설치되고, 그 단부에 롤러 지지판(62)이 고정되어 있다. 이 롤러 지지판(6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장 코일 스프링(63)이 길게 설치되고 있으므로, 동 도면에 있어서 시계회전 방향의 가압력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가이드 암(25)이 구심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롤러 지지판(62)에 배치된 더블 롤러(64)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경부(64a)와 소경부(64b)가 동 축에 구성된 것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섀시 케이스(2)의 측벽 내면을 따라 배치된 랙 슬라이더(65)는, 기어 디스크(59)의 기어(59d)에 맞물리는 랙 기어(65a)를 구비하고, 기어 디스크(59)의 회전에 동기하여 전진 후퇴한다. 랙 슬라이더(65)의 중간부의 밑변에는 낮은 위치 가이드편(65b), 윗변에는 높은 위치 가이드편(65c)이 형성되고 있으며, 낮은 위치 가이드편(65b)이 상기 더블 롤러(64)의 대경부(64a)를 안내하고, 고위 가이드편(65c)이 소경부(64b)를 안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구요소는, 로딩 슬라이더(43)의 전진 후퇴에 의해 작동되지만, 이 구동기구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이면의 모퉁이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기구의 동력원이 되는 로딩 모터(66)의 출력 축의 웜 기어(67)의 회전력이 더블 기어(68·69·70)에 의한 기어 트레인에 의해 순차로, 소경 기어에서 대경 기어로 감속되면서 전달된다. 그리고, 로딩 슬라이더(43)의 랙 기어(43a)에 맞물리고 있는 더블 기어(70)의 소경 기어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어, 로딩 슬라이더(43)가 전진 후퇴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스크 장치(1)의 동작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1)에서는 대경 디스크 D1 및 소경 디스크 D2의 반송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고 있지만, 우선, 대경 디스크 D1의 반송의 양태를 도 9 내지 도 22에 의거하여 설명하고, 소경 디스크 D2의 반송의 양태를 도 23 내지 도 3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5는, 베이스 패널(6)의 표면에 노출하는 구성의 주요부를 실선으로 회화한 평면도이며, 이 때의 베이스 패널(6)의 이면의 구성의 주요부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16 내지 도 22는, 베이스 패널(6)의 이면으로 노출하는 구성의 주요부를 실선에 의해 회화한 저면도이며, 이 때의 베이스 패널(6)의 표면의 구성을 파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9 내지 도 15에 있어서, 캠 홈(43e·48c) 및 종동 핀(7a·7b)은 원래 동 도면에 도시하지 않는 것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이것을 도시하여, 이해가 용이하도록 했다.
도 9 및 도 16은, 대경 디스크 D1이 프론트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며, 각 암은 초기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 때, 가이드 암(25)은,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 있어서 상기 피벗 핀(26)에 고정된 롤러 지지판(62)의 롤러(64)의 대경부(64a)가, 도 8 및 도 16과 같이, 랙 슬라이더(65)의 낮은 위치 가이드편(65b)에 접촉하고 있으며, 가이드 암(25)은, 구심방향에 더욱 회전한 위치보다도 소정량만 원심방향으로 회전한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이것은, 가이드 암(25)이 구심방향으로 더욱 요동한 위치에 정지하여, 디스크의 삽입을 대기하는 구성으로 했을 경우, 소경 디스크 D2를 장치의 좌측에 대어 삽입했을 때, 소경 디스크 D2가 지지부재(25a)의 좌측으로 들어가게 되어, 소경 디스크 D2를 반송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가이드 암(25)을 구심방향으로 더욱 요동한 위치보다도 소정량만 원심방향으로 요동한 위치에서 정지시켜, 디스크의 삽입을 대기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가이드 암(27)은, 그 기단부가 인장 코일 스프링(53)으로 가압되고 있으므로, 선단의 지지부재(27a)가 구심방향으로 요동하는 힘이 항상 작용하지만, 피벗 핀(27b)에 연결된 제3요동 부재(51)가 정위치에 정지하고 있으므로, 이 가이드 암(27)은 도 9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것은, 정지 상태에 있는 제1요동 부재(45)와 제3요동 부재(51)의 작용 핀(51a) 사이에 부착된 링크 와이어(52)가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하여, 제3요동 부재(51)의 요동을 저지하는 것에 의한다.
마찬가지로 로딩 슬라이더(43)의 이동에 따라 동력이 전달되는 디스크 지지 암(19), 가이드 암(29), 가이드 암(35), 로딩 암(22)도 도 9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또한 로딩 슬라이더(43)의 캠 홈(43e)으로 안내되는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a)은, 이 캠 홈(43e)의 낮은 위치부(43e-1)에 있으며, 한편, 종동 슬라이더(48)의 캠 홈(48c)으로 안내되는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b)은, 이 캠 홈(48c)의 낮은 위치부(48c-1)에 있기 때문에, 승강 프레임(7)은 도 3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욱 강하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도 10 및 도 17은, 프론트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대경 디스크 D1이 조작자에 의해 삽입되고, 이 대경 디스크 D1의 삽입 방향의 전단측이 디스크 지지 암(19)의 홀더(21) 및 가이드 암(29)의 지지부재(29a)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대경 디스크 D1은 가이드 암(25)의 선단의 지지부재(25a)를 누르고, 가이드 암(25)은 도 10에 가상 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원심방향으로 요동한다. 또한, 대경 디스크 D1의 측부는, 리드 와이어(41)의 걸어 고정하는 단부(41a)를 눌러 동 도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리드 와이어(41)를 슬라이드 한다. 이에 따라 락 레버(37)가 리드 와이어(41)로 견인되고, 그 선단의 앵글(37a)이 동 도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요동하므로, 가이드 암(29)의 선단의 설편(29b)을 걸어 고정하는 범위에서 벗어난다.
도 11 및 도 18은, 상기의 상태로부터 대경 디스크 D1이 조작자에 의해 더욱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대경 디스크 D1에 눌려 디스크 지지 암(19), 가이드 암(25) 및 가이드 암(29)은 원심방향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디스크 지지 암(19)의 기초부는 리벳 핀(20)을 지점으로 도 39a의 위치에서 도 39b의 위치까지 회전하고, 리밋 스위치(60)은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단부(59e)에서 작동된다. 또한, 이 때 기어 디스크(59)에 맞물리고 있는 랙 슬라이더(65)는 약간 전진한다.
상기 스위치 기동 단부(59e)에 의해 작동한 리밋 스위치(60)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이 시점에서 로딩 모터(66)에 저전위의 전류가 흐른다. 이에 따라 로딩 슬라이더(43)가 후퇴하여 링크 레버(24)를 견인하고, 로딩 암(22)이 도 11 및 도 18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요동하여, 선단의 로딩 롤러(22a)가 대경 디스크 D1의 측부에 접촉하여 정지한다.
이 시점에서 대경 디스크 D1의 반입에 필요한 큰 토오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고전위의 전류를 흐르게 하면, 반송 기구에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즉, 도 11에 있어서, 로딩 롤러(22a)의 가압에 의한 분력 F1a와 가이드 암(25)의 지지부재(25a)의 가압에 의한 분력 F1b는 대경 디스크 D1의 거의 중심부근에 있기 때문에, 그 합력은 극히 작으며, 대경 디스크 D1을 반입 방향으로 추진하는 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가이드 암(29)의 선단의 구심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지지부재(29a)가 대경 디스크 D1의 뒤측부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대경 디스크 D1을 반송하는 데 필요한 고전위의 전류를 로딩 모터(66)에 통하게 하면, 로딩 암(22)은 대경 디스크 D1을 끼운 채로 정지하여 반입 동작이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가 계속되었을 경우, 예를 들면 반송 기구의 기어 트레인의 파손, 혹은 로딩 모터(66)의 소손 등의 위험에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피하기 위해, 이 시점에서는 저전위의 전류를 로딩 모터(66)에 흐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저전위의 전류를 로딩 모터(66)에 흐르게 하고 있는 상기 상태에 있어서는, 로딩 모터(66)의 구동력만으로는 대경 디스크 D1이 부하가 되어서 로딩 암(22)이 회동하지 않기 때문에, 대경 디스크 D1의 반송 동작이 행해지지 않고, 조작자가 대경 디스크 D1을 눌렀을 때, 로딩 모터(66)의 구동력과 조작자의 삽입력이 가해져, 대경 디스크 D1의 반송 동작이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도 12 및 도 19는, 상기의 상태로부터 대경 디스크 D1이 조작자에 의해 더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디스크 지지 암(19)의 기초부의 기어 디스크(59)가 더 회전한다. 이에 따라 링크 암(54)이 견인되어, 제1요동 부재(45)가 리벳 핀(44)을 지점으로 요동하고, 종동 핀(45a)이 후퇴하므로, 저전위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로딩 모터(66)의 구동력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 있는 로딩 슬라이더(43)도 후퇴한다.
이러한 동작에 이르면, 가이드 암(29)이 원심방향으로 요동하여 지지부재(29a)에 의한 대경 디스크 D1의 지지가 해제된다. 이것은, 도 11의 상태에서 로딩 슬라이더(43)의 가이드홈(43c-1)의 후단부의 경사면위에 위치한 가이드 암(29)의 종동 핀(29d)이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따라 상기 경사면의 작용을 받는 것에 의한 것이다.
상기에 의한 제1요동 부재(45)의 요동에 따라, 링크 와이어(52)에 의해 요동이 규제되어 있는 제3요동 부재(51)가 인장 코일 스프링(53)의 작용에 의해 리벳 핀(50)을 지점으로 요동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암(27)이 구심방향으로 요동하고, 그 선단의 지지부재(27a)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의 뒤측부가 지지된다. 이 때,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의해 링크 레버(24)가 견인되므로, 로딩 암(22)이 구심방향으로 요동하고, 선단의 로딩 롤러(22a)가 대경 디스크 D1 앞측부에 접촉하여 지지한다. 또한,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a)은, 캠 홈(43e)의 낮은 위치부(43e-1)를 횡이동하는 상태이므로, 이 승강 프레임(7)은 도 37a의 위치에 머무른다.
한편, 디스크 지지 암(19)의 기초부의 기어 디스크(59)는, 도 39c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회전하고, 스위치 기동 단부(59f)가 리밋 스위치(60)의 스위치 노 브(60a)를 반전 작동한다. 이 때의 리밋 스위치(60)의 신호에 의해 로딩 모터(66)에 흐르는 전류를 고전위로 전환하고, 대경 디스크 D1의 반입에 필요한 토오크가 발생하도록 한다. 그리고, 로딩 롤러(22a)의 가압에 의한 분력 F1a 및 가이드 암(25)의 지지부재(25a)의 가압에 의한 분력 F1b가 커지는 것으로 반입 방향으로 추진하는 합력 F2가 발생하고, 로딩 모터(66)에 의한 자동 로딩이 개시된다.
도 13 및 도 20은, 로딩 모터(66)에 의한 자동 로딩이 개시되어, 대경 디스크 D1이 반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의 상태로부터 로딩 슬라이더(43)가 더욱 후퇴하면, 가이드 암(29)의 종동 핀(29d)이 로딩 슬라이더(43)의 경사부로부터 가이드홈(43c-1)으로 진입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암(29)이 원심방향으로 더욱 요동하고, 선단의 지지부재(29a)가 대경 디스크 D1의 측부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도 40a∼도 40d에 가이드 암(29)의 동작의 양태를 연속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의해, 링크 레버(24)가 견인되어, 로딩 암(22)의 구심방향으로의 요동을 개시한다. 도 41a∼도 41d는, 로딩 암(22)의 요동 상태를 연속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2에 나타내는 로딩 암(22)의 상태는, 도 41a의 초기 상태에서 도 41b로 이행한 상태에 상당한다.
상기 로딩 암(22)의 요동을 주관하는 링크 레버(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 레버(24)의 선단에 고정한 종동 핀(24a)이 로딩 슬라이더(43)의 유도 홈(43d)과 가이드 플레이트(49)의 가이드 슬릿(49a)에 꽂히게 되므로, 로딩 슬라이더(43)가 후퇴하면, 종동 핀(24a)은 유도 홈(43d) 후단의 경사면과 가이드 슬릿(49a)의 측벽 에서 끼워지는 상태가 되어,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따라 종동 핀(24a)도 후퇴하고, 링크 레버(24)가 견인되어 로딩 암(22)이 요동한다.
로딩 슬라이더(43)가 도 13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후퇴하면, 이에 따라, 가이드홈(43b)의 상단 수평부(43b-1)가 제1요동 부재(45)의 종동 핀(45a)을 밀어 올려, 리벳 핀(44)을 지점으로 이 제1요동 부재(45)를 요동하고, 링크 암(54)을 통해 기어 디스크(59)를 회전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 지지 암(19)은 원심방향으로 요동, 즉, 대경 디스크 D1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홀더(21)가 대경 디스크 D1의 반입에 동기하여 후퇴한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제2요동 부재(47)의 종동 핀(47a)은 가이드홈(43b)의 수직부를 슬라이드 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2요동 부재(47)는 정지한 상태이며, 종동 슬라이더(48)도 정지한 상태에 있다.
도 12부터 도 13의 상태로 이행하는 행정에 있어서 인장 코일 스프링(53)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가이드 암(27)은, 그 선단의 지지부재(27a)가 대경 디스크 D1의 반입에 따라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귀되어, 레버 암(42)의 결합 설편(42a)에 접촉하여 정지한다. 이 때, 제3요동 부재(51)는 약간 요동하므로, 그 작용 핀(51a)은 정지하고 있는 종동 슬라이더(48)의 단부 통과 구멍(48b)내를 구심방향으로 이동하고, 링크 와이어(52)는 약간 휘는 상태가 된다.
한편, 가이드 암(25)의 지지부재(25a)는 대경 디스크 D1의 앞측부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기어 디스크(59)의 회전에 의해 전진한 랙 슬라이더(65)의 고위 가이드편(65c)은 더블 롤러(64)의 소경부(64b)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다. 또한, 이 때,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a)은, 캠 홈(43e)의 낮은 위치부(43e-1)를 횡이 동하는 상태이며, 종동 슬라이더(48)는 정지하고 있으므로, 승강 프레임(7)은 여전히, 도 37a의 위치에 머무른다.
도 14 및 도 21은, 도 13 및 도 20의 상태로부터 로딩 슬라이더(43)가 더욱 후퇴하여 링크 레버(24)가 견인되고, 로딩 암(22)이 도 41c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요동하여, 반입된 대경 디스크 D1의 중심구멍 D1a의 중심과 클램프 헤드(9)의 중심이 일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가이드 암(29)의 종동 핀(29d)은 로딩 슬라이더(43)의 가이드홈(43c-1)을 직진하는 상태가 되므로, 가이드 암(29) 및 가이드 암(35)은 도 14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 때, 지지부재(29a) 및 지지부재(35a)가 대경 디스크 D1의 외주 테두리를 받아 위치 결정함으로써, 대경 디스크 D1의 중심구멍 D1a와 클램프 헤드(9)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한다.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따라, 제1요동 부재(45)의 종동 핀(45a)이 상단 수평부(43b-1)로 밀어 올려, 수직부(43b-3)로 이행하므로, 이 제1요동 부재(45)가 동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요동하고, 링크 암(54)에 의한 기어 디스크(59)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 지지 암(19)도 원심방향으로 요동한다. 상기 기어 디스크(59)의 회전은, 랙 슬라이더(65)를 더욱 전진시켜, 더블 롤러(64)의 소경부(64b)가 고위 가이드편(65c)으로 올라 앉기 때문에, 가이드 암(25)은 원심방향으로 크게 요동하고, 그 지지부재(25a)에 의한 대경 디스크 D1의 외주 테두리의 지지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암(25)은, 승강 프레임(7)의 옆쪽으로 대피하여, 승강 프레임(7)위에 연장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상승하는 승강 프레임(7)과 가이드 암(25)이 충돌할 우려는 없다.
이 때, 대경 디스크 D1은, 가이드 암(27)의 지지부재(27a)를 누르고 있지만, 이 지지부재(27a)는 레버 암(42)의 결합 설편(42a)에 접촉하여 정지 위치가 확정되므로, 이 시점에서 대경 디스크 D1의 클램프 헤드(9)에 대한 수평방향의 중심이 일치하게 된다. 한편, 대경 디스크 D1의 클램프 헤드(9)에 대한 수직방향의 중심은,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정지한 디스크 지지 암(19)의 홀더(21)와 로딩 암(22)의 로딩 롤러(22a)에 의해 확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대경 디스크 D1의 자동 로딩이 개시되어 도 14의 상태에 이르기까지, 이 대경 디스크 D1의 외주 테두리의 적어도 3개소가 전술한 복수의 암에 의해 지지되어, 장치 내부로 반입되고 클램프 헤드(9)에 의한 중심구멍 D1a의 클램프가 가능하게 되는 위치에 정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 13부터 도 14에 이르는 행정에 있어서, 로딩 슬라이더(43)의 캠 홈(43e)의 후퇴에 의해,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a)이 낮은 위치부(43e-1)에서 경사부(43e-2)로 이행하여 상승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제2요동 부재(47)의 종동 핀(47a)이 로딩 슬라이더(43)의 수직부(43b-3)로부터 하단 수평부(43b-2)에 도달하고, 이 제2요동 부재(47)가 원심방향으로 요동하므로, 작용 핀(47b)이 종동 슬라이더(48)를 수평 이동시킴에 따라 캠 홈(48c)이 수평이동한다. 이에 따라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b)은 낮은 위치부(48c-1)에서 경사부(48c-2)로 이행하여 상승하는 상태가 되고, 승강 프레임(7)은 도 3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을 시작한다.
도 15 및 도 22는, 클램프 헤드(9)가 대경 디스크 D1의 중심구멍 D1a를 클램프 하고, 대경 디스크 D1의 드라이브가 가능하게 되는 최종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다. 이 상태에 이르기 위해서는, 대경 디스크 D1을 지지하고 있는 디스크 지지 암(19), 로딩 암(22), 가이드 암(27)이 약간 원심방향으로 요동하여 디스크의 지지를 종료하고, 대경 디스크 D1의 회전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즉, 도 14의 상태에서 로딩 슬라이더(43)가 더욱 후퇴하여 정지한 위치에서, 링크 레버(24)의 종동 핀(24a)은 유도 홈(43d)의 후부의 수직방향의 편심부분에서 가이드 슬릿(49a)의 후단의 기구에 눌리므로, 도 4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레버(24)가 견인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약간 복귀하고, 로딩 암(22)이 약간 원심방향으로 요동하여, 이 로딩 롤러(22a)에 의한 대경 디스크 D1의 외주 테두리의 지지를 종료한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제1요동 부재(45)의 종동 핀(45a)이 가이드홈(43b)의 수직부(43b-3)의 중간 위치에 형성된 경사부에서 약간 요동되므로, 이 요동이 링크 암(54)을 통해 기어 디스크(59)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 지지 암(19)이 약간 원심방향으로 요동하고, 이 디스크 지지 암(19)에 의한 대경 디스크 D1의 외주 테두리의 지지를 종료한다.
한편, 로딩 슬라이더(43)의 가이드홈(43b)의 하단 수평부(43b-2)는 제2요동 부재(47)의 종동 핀(47a)을 크게 밀어 올린다. 이에 따라 작용 핀(47b)이 원심방향으로 요동하고, 종동 슬라이더(48)를 수평이동하여 단부 통과 구멍(48b)이 제3요동 부재(51)의 작용 핀(51a)을 견인하므로, 이 제3요동 부재(51)가 약간 요동하는 동시에, 작용편(48d)이 레버 암(42)의 롤러(42c)를 밀어 올린다. 이에 따라 가이드 암(27)의 지지부재(27a)가 접촉하고 있는 레버 암(42)의 결합 설편(42a)이 후퇴하 므로, 가이드 암(27)이 약간 원심방향으로 요동하고, 이 가이드 암(27)에 의한 대경 디스크 D1의 외주 테두리의 지지를 종료한다.
이 때, 로딩 슬라이더(43)의 가이드홈(43c-1)의 단부가 가이드 암(29)의 종동 핀(29d)을 누르는 것에 의해 가이드 암(29)이 약간 요동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암(29)의 지지부재(29a)가 원심방향으로 요동하여 대경 디스크 D1의 외주 테두리의 위치 결정을 종료한다. 또한 가이드 암(29)의 가이드홈(29c)에 종동 핀(35b)에 의해 연결된 가이드 암(35)이 약간 요동함으로써, 지지부재(35a)도 원심방향으로 요동하여 대경 디스크 D1의 외주 테두리의 위치 결정을 종료한다.
또한, 도 14에서 도 15에 이르는 행정에 있어서,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동기하여 종동 슬라이더(48)는 수평이동하지만,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a)은 로딩 슬라이더(43)의 캠 홈(43e)의 경사부(43e-2)에서 높은 위치부(43e-3)로 이행하고, 종동 핀(7b)은 종동 슬라이더(48)의 캠 홈(48c)의 경사부(48c-2)에서 높은 위치부(48c-3)로 이행한다.
이 행정에 있어서의 승강 프레임(7)의 거동은, 경사부(43e-2·48c-2)에 의해 상승하는 종동 핀(7a ·7b)에 의해 승강 프레임(7)이 상승하여, 도 3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헤드(9)의 척 갈고리(9a)가 대경 디스크 D1의 중심구멍 D1a에 접촉하여 이 대경 디스크 D1을 밀어 올리고, 중심구멍 D1a의 가장자리가 섀시 케이스(2)의 볼록부(2b)에 접촉한다.
상기 상태로부터 종동 핀(7a ·7b)이 경사부(43e-2·48c-2)의 정상부에 도달하면, 도 3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헤드(9)가 대경 디스크 D1의 중심구멍 D1a에 끼워 넣어서 척 갈고리(9a)에 의한 클램프를 완료하고, 턴테이블(10)위에 대경 디스크 D1이 고정된다. 그리고, 종동 핀(7a ·7b)이 높은 위치부(43e-3·48c-3)로 이행함으로써, 승강 프레임(7)은 도 37e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강하하여, 대경 디스크 D1의 드라이브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1)에 의한 대경 디스크 D1의 반입시에 있어서의 각 기구의 동작 양태를 설명했지만, 반출시는, 각 기구가 로딩 슬라이더(43)의 전진에 따라 전술한 반입시와는 반대 순서의 동작 양태가 된다. 즉, 대경 디스크 D1의 반출이 개시되어, 로딩 슬라이더(43)가 전진을 시작하면, 승강 프레임(7)은 도 38a∼도 38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 상승하고나서 초기 위치까지 강하한다. 이 사이에 대경 디스크 D1은 도 3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해제 핀(71)으로 뚫리게 되어, 클램프 헤드(9)에 의한 클램프가 해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대경 디스크 D1의 클램프가 해제될 때까지의 행정에 있어서, 디스크 지지 암(19), 로딩 암(22), 가이드 암(27)은 구심방향으로의 동작을 시작하여, 대경 디스크 D1의 외주 테두리가 지지된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고, 이후, 디스크 지지 암(19)의 구심방향으로 요동하는 힘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을 반출하여, 그 전단부를 프론트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노출시켜 정지한다.
또한,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따르는 종동 핀(24a ·29d·45a ·47a)의 동작의 양태를 도 42a∼ 도 42f에 연속적으로 나타낸다.
다음에,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에 의해 소경 디스크 D2를 반송할 경우의 동작 양태를 도 23 내지 도 29의 평면도와, 이것에 대응하는 도 30 내지 도 36에 나 타내는 저면도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도 23 내지도 29에 있어서, 캠 홈(43e·48c) 및 종동 핀(7a ·7b)은 본래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것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이것을 도시하여, 이해가 용이하도록 했다.
도 23 및 도 30은, 소경 디스크 D2가 프론트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며, 각 암은 초기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 때, 가이드 암(25)은,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 있어서 상기 피벗 핀(26)에 고정된 롤러 지지판(62)의 롤러(64)의 대경부(64a)가, 도 8 및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랙 슬라이더(65)의 낮은 위치 가이드편(65b)에 접촉하고 있으며, 가이드 암(25)은, 구심방향으로 더욱 요동한 위치보다도 소정량만 원심방향으로 요동한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이것은, 가이드 암(25)이 구심방향으로 더욱 요동한 위치에 정지하고, 디스크의 삽입을 대기하는 구성으로 했을 경우, 소경 디스크 D2를 장치의 좌측에 맞추어 삽입했을 때, 소경 디스크 D2가 지지부재(25a)의 좌측으로 들어가게 되어, 소경 디스크 D2를 반송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가이드 암(25)을 구심방향으로 더욱 요동한 위치보다도 소정량만 원심방향으로 요동한 위치에서 정지시키고, 디스크의 삽입을 대기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23 및 도 30에 나타내는 소경 디스크 D2를 대기하고 있는 상태는, 도 9 및 도 16에 나타내는 대경 디스크 D1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 일치하는 것이다.
다음에, 가이드 암(27)은, 그 기단부가 인장 코일 스프링(53)으로 가압되고 있으므로, 선단의 지지부재(27a)가 구심방향으로 요동하는 힘이 항상 작용하지만, 피벗 핀(27b)에 연결된 제3요동 부재(51)가 정위치에 정지하고 있고, 이 가이드 암(27)은 도 23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것은, 정지 상태에 있는 제1요동 부재(45)와 제3요동 부재(51)의 작용 핀(51a) 사이에 부착된 링크 와이어(52)가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하여, 제3요동 부재(51)의 요동을 저지하는 것에 의한다.
마찬가지로 로딩 슬라이더(43)의 이동에 따라 동력이 전달되는 디스크 지지 암(19), 가이드 암(29), 가이드 암(35), 로딩 암(22)도 도 23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또한 로딩 슬라이더(43)의 캠 홈(43e)에 안내되는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a)은, 이 캠 홈(43e)의 낮은 위치부(43e-1)에 있으며, 한편, 종동 슬라이더(48)의 캠 홈(48c)에 안내되는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b)은, 이 캠 홈(48c)의 낮은 위치부(48c-1)에 있기 때문에, 승강 프레임(7)은 도 3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욱 강하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도 24 및 도 31은, 프론트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소경 디스크 D2가 조작자에 의해 삽입되고, 이 소경 디스크 D2의 전단측이 디스크 지지 암(19)의 홀더(21)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시점의 소경 디스크 D2의 슬롯(3a)으로의 삽입에 있어서, 소경 디스크 D2가 도 24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치우친 경우에는, 소경 디스크 D2의 전단 좌측부가 가이드 암(25)의 지지부재(25a)에 접촉하여 복귀되므로, 소경 디스크 D2가 반송로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경 디스크 D2의 삽입 조작에 있어서, 소경 디스크 D2의 전단 우측부가 도 4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암(29)의 지지부재(29a)를 눌러 원심방향 으로 요동시켰을 경우, 동 도면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편(29b)이 요동하지 않고 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락 레버(37)의 앵글(37a)에서 걸려 고정되므로, 이 경우도 소경 디스크 D2가 반송로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가이드 암(25)의 지지부재(25a)와 가이드 암(29)의 지지부재(29a)에 의해 소경 디스크 D2가 안내되어, 장치중앙으로 이끄는 것이다.
도 25 및 도 32는, 상기의 상태로부터 소경 디스크 D2가 조작자에 의해 더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소경 디스크 D2에 눌려 디스크 지지 암(19)이 원심방향으로 요동하는 동시에, 이 디스크 지지 암(19)의 요동에 연동하는 가이드 암(25)의 지지부재(25a)와 가이드 암(29)의 지지부재(29a)가 소경 디스크 D2의 측부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소경 디스크 D2는 상기 지지부재(25a ·29a)와 디스크 지지 암(19)의 홀더(21)의 3점으로 지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디스크 지지 암(19)의 기초부는 리벳 핀(20)을 지점으로 도 39a의 위치에서 도 39b의 위치까지 회전하고, 리밋 스위치(60)가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단부(59e)에서 작동된다. 상기 스위치 기동 단부(59e)에 의해 작동한 리밋 스위치(60)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로딩 모터(66)에 저전위의 전류가 흐른다. 이 때, 가이드 암(29)의 지지부재(29a)의 가압에 의한 분력 F1a 및 가이드 암(25)의 지지부재(25a)의 인장 코일 스프링(63)의 작용에 의한 가압에 의한 분력 F1b가 크게 작용하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소경 디스크 D2를 반입 방향으로 추진하는 합력 F2가 생기고, 이 로딩 모터(66)에 의한 자동 로딩이 개시된다.
도 26 및 도 33은, 로딩 모터(66)에 의한 자동 로딩이 개시되어, 소경 디스 크 D2가 반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5의 상태에서 로딩 슬라이더(43)가 더욱 후퇴하면, 가이드 암(29)의 종동 핀(29d)이 로딩 슬라이더(43)의 가이드홈(43c-2)으로 진입한다. 이 때 가이드홈(43c-2)의 경사부에서 지지부재(29d)가 안내되어 그 경사거리만큼 이동하고, 소경 디스크 D2를 반입하면서 지지부재(29a)가 동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요동한다. 이 때, 가이드 암(25)도 또한 인장 코일 스프링(63)의 작용에 의해, 소경 디스크 D2를 반입하면서 동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요동한다. 이 때, 디스크 지지 암(19)의 기초부의 기어 디스크(59)는 도 39c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회전하므로, 리밋 스위치(60)의 스위치 노브(60a)가 스위치 기동 단부(59f)에서 반전 작동되어, 로딩 모터(66)에 흐르는 전류가 고전위로 전환 된다.
로딩 슬라이더(43)가 도 26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후퇴하면, 이것에 따라, 가이드홈(43b)의 상단 수평부(43b-1)가 제1요동 부재(45)의 종동 핀(45a)을 밀어 올려, 리벳 핀(44)을 지점으로 이 제1요동 부재(45)를 요동하고, 링크 암(54)을 통해 기어 디스크(59)를 회전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 지지 암(19)은 원심방향으로 요동, 즉, 소경 디스크 D2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홀더(21)가 소경 디스크 D2의 반입에 동기하여 후퇴한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제2요동 부재(47)의 종동 핀(47a)은 가이드홈(43b)의 수직부를 슬라이드 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2요동 부재(47)는 정지한 상태이며, 종동 슬라이더(48)도 정지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제1요동 부재(45)의 요동에 따라, 제3요동 부재(51)가 인장 코일 스프링(53)의 작용에 의해 요동하므로, 가이드 암(27)이 리벳 핀(28)을 지점으로 요 동하여 그 지지부재(27a)가 소경 디스크 D2에 접촉한다. 또한, 이 때,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a)은, 캠 홈(43e)의 낮은 위치부(43e-1)를 횡이동하는 상태이며, 종동 슬라이더(48)는 정지하고 있으므로 승강 프레임(7)은 여전히, 도 37a의 위치에 머무른다.
도 27 및 도 34는, 도 26 및 도 33의 상태로부터 로딩 슬라이더(43)가 더욱 후퇴하여 소경 디스크 D2의 반입이 계속되고 있는 상태이며, 가이드 암(29)은 요동을 정지하고 있지만, 로딩 슬라이더(43)의 이동량에 따라, 디스크 지지 암(19)이 원심방향으로, 가이드 암(25·27)이 구심방향으로 요동하여, 소경 디스크 D2를 지지한다.
도 28 및 도 35는, 도 27 및 도 34의 상태로부터 로딩 슬라이더(43)가 더욱 후퇴하여 소경 디스크 D2의 중심구멍 D2a의 중심과, 클램프 헤드(9)의 중심이 일치하여 정지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따라, 디스크 지지 암(19)은 원심방향으로 크게 요동하여 소경 디스크 D2의 외주 테두리의 지지를 종료하는 동시에, 이 요동에 의해 기어 디스크(59)가 랙 슬라이더(65)를 전진시킨다. 이에 따라 더블 롤러(64)의 소경부(64b)가 랙 슬라이더(65)의 고위 가이드편(65c)으로 올라타므로, 가이드 암(25)은 원심방향으로 크게 요동하여, 소경 디스크 D2의 외주 테두리의 지지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암(25)은 승강 프레임(7)의 옆쪽으로 대피하여, 승강 프레임(7)위에 연장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상기 상태에서는, 소경 디스크 D2의 외주 테두리는 가이드 암(27)의 지지부 재(27a), 가이드 암(29)의 지지부재(29a), 가이드 암(35)의 지지부재(35a)의 3점에서 지지되지만, 이 상태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 가이드 암(27)의 지지부재(27a)의 인장 코일 스프링(53)에 따른 작용으로 인한 가압력이 작용하여, 소경 디스크 D2의 반입이 계속되게 된다.
또한 도 27에서 도 28에 이르는 행정에 있어서, 로딩 슬라이더(43)의 캠 홈(43e)의 후퇴에 의해,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a)이 낮은 위치부(43e-1)에서 경사부(43e-2)로 이행하여 상승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제2요동 부재(47)의 종동 핀(47a)이 로딩 슬라이더(43)의 수직부(43b-3)에서 하단 수평부(43b-2)에 도달하고, 이 제2요동 부재(47)가 원심방향으로 요동하므로, 작용 핀(47b)이 종동 슬라이더(48)를 수평 이동시킴에 따라 캠 홈(48c)이 수평이동한다. 이에 따라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b)은 낮은 위치부(48c-1)에서 경사부(48c-2)로 이행하여 상승하는 상태가 되고, 승강 프레임(7)은 도 3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을 시작한다.
도 29 및 도 36은, 클램프 헤드(9)가 소경 디스크 D2의 중심구멍 D2a를 클램프 하여, 소경 디스크 D2의 드라이브가 가능하게 되는 최종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상태에 이르기 위해서는, 가이드 암(27·29·35)이 요동하여 소경 디스크 D2의 지지를 종료하고, 소경 디스크 D2의 회전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즉, 도 28의 상태로부터 로딩 슬라이더(43)가 더욱 후퇴하여 정지한 위치에서, 종동 핀(47a)이 하단 수평부(43b-2)에서 밀려 올라가고, 제2요동 부재(47)가 원심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에 따라 종동 슬라이더(48)의 단부 통과 구멍(48b)에 연결되어 있는 작용 핀(51a)이 견인되어, 제3요동 부재(51)가 구심방향으로 요동하 고, 이에 따라 가이드 암(27)이 원심방향으로 요동되어 소경 디스크 D2의 지지를 종료한다.
한편, 가이드 암(29)은, 그 종동 핀(29d)이 로딩 슬라이더(43)의 가이드홈(43c-2)의 종단의 경사부에 이르기 위해서 약간 원심방향으로 요동하고, 지지부재(29a)에 의한 소경 디스크 D2의 지지를 종료한다. 또한 이 가이드 암(29)의 요동에 의해, 그 가이드홈(29c)에 연결되어 있는 종동 핀(35b)을 작용하고, 가이드 암(35)이 약간 원심방향으로 요동하여 소경 디스크 D2의 지지를 종료한다.
또한, 도 28에서 도 29에 이르는 행정에 있어서,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동기하여 종동 슬라이더(48)는 수평이동하지만,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a)은 로딩 슬라이더(43)의 캠 홈(43e)의 경사부(43e-2)로부터 높은 위치부(43e-3)로 이행하고, 종동 핀(7b)은 종동 슬라이더(48)의 캠 홈(48c)의 경사부(48c-2)로부터 높은 위치부(48c-3)로 이행한다.
이 행정에 있어서의 승강 프레임(7)의 거동은, 경사부(43e-2·48c-2)에 의해 상승하는 종동 핀(7a ·7b)에 의해 승강 프레임(7)이 상승하고, 도 3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헤드(9)의 척 갈고리(9a)가 소경 디스크 D2의 중심구멍 D2a에 접촉하여 이 소경 디스크 D2를 밀어 올리고, 중심구멍 D2a의 가장자리가 섀시 케이스(2)의 볼록부(2b)에 접촉한다.
상기 상태로부터 종동 핀(7a ·7b)이 경사부(43e-2·48c-2)의 정상부에 달하면, 도 3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헤드(9)가 소경 디스크 D2의 중심구멍D2a에 끼워져 척 갈고리(9a)에 의한 클램프를 완료하고, 턴테이블(10)위에 소경 디 스크 D2가 고정된다. 그리고, 종동 핀(7a ·7b)이 높은 위치부(43e-3·48c-3)로 이행함으로써, 승강 프레임(7)은 도 37e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강하하고, 소경 디스크 D2의 드라이브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1)에 의한 소경 디스크 D2의 반입시에 있어서의 각 기구의 동작 양태를 설명했지만, 반출시는, 각 기구가 로딩 슬라이더(43)의 전진에 따라 전술한 반입시와는 역순의 동작 양태가 된다. 즉, 소경 디스크 D2의 반출이 개시되어, 로딩 슬라이더(43)가 전진을 시작하면, 승강 프레임(7)은 도 3 8a∼도 38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 상승하고나서 초기 위치까지 강하한다. 이 동안에 소경 디스크 D2는 도 3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해제 핀(71)으로 뚫려, 클램프 헤드(9)에 의한 클램프가 해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소경 디스크 D2의 클램프가 해제될 때까지의 행정에 있어서, 가이드 암(25·27·29)이 구심방향으로 요동하여 소경 디스크 D2의 외주 테두리를 지지하는 도 28의 상태가 되고, 계속해서 도 27∼도 24까지의 역 순을 더듬는 동작에 있어서 디스크 지지 암(19)의 구심방향으로 요동하는 힘에 의해 소경 디스크 D2를 반출하고, 그 전단부를 프론트 베젤(3)의 슬롯(3a)에서 노출시켜 정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1)는, 로딩 슬라이더(43)의 전진, 후퇴에 동기하여 작동되는 복수의 암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 소경 디스크 D2의 외주 테두리의 3개소를 지지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암을 요동시키는 로딩 방식에 있어서 직경이 다른 디스크의 자동 로딩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프론트 베젤의 슬롯으로부터 디스크를 삽입했을 때, 디스크 지지 암을 확실하게 초기 동작하여 자동 로딩으로 이끌도록 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실시 대상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1)는, 12cm의 대경 디스크 D1과 8cm의 소경 디스크 D2를 자동 로딩하여 드라이브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지만, 전술한 구성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프론트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특히 소경 디스크 D2를 삽입했을 때, 소경 디스크 D2의 가로방향의 위치 규제를 겸하는 가이드 암(29)의 지지부재(29a)를 설치한 선단부분에 기계적 부하가 집중한다.
즉,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경 디스크 D2가 프론트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삽입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소경 디스크 D2가 도 24에 있어서 좌측으로 기운 경우에는, 소경 디스크 D2의 전단 좌측부가 가이드 암(25)의 지지부재(25a)에 접촉하여 복귀되므로, 소경 디스크 D2가 반송로에서 벗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소경 디스크 D2의 전단 우측부가 도 4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암(29)의 지지부재(29a)를 눌러 원심방향으로 요동시켰을 경우, 동 도면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편(29b)이 요동하지 않고 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락 레버(37)의 앵글(37a)에서 걸려고정되므로, 이 경우도 소경 디스크 D2가 반송로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은, 가이드 암(29)이 원심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락 레버(37)의 앵글(37a)에서 강제적으로 저지하는 것으로, 탄성지지 하는 구성으로 되 어 있지 않다. 따라서, 소경 디스크 D2의 삽입에 의해 가이드 암(29)의 지지부재(29a)가 눌려지면, 설편(29b)과 락 레버(37)의 앵글(37a)과의 접촉시에 기계적 부하가 발생한다.
이 기계적 부하는 설편(29b)과 앵글(37a)이 점접촉 상태의 부분에 발생하므로, 이 부분에 큰 충격이 집중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한 기계적 부하는 가이드 암(29) 및 앵글(37)을 통해 이것에 연결된 각 기구에 전달한다. 이러한 기계적 부하의 영향을 반복해서 받음으로써 기구상의 정밀 오차가 생기고, 자동 로딩을 정확하게 할 수 없게 되는 등의 고장이 발생하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의 대상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에서는 소경 디스크 D2를 삽입했을 때, 이 소경 디스크 D2를 완충 지지하도록 하여 가이드 암(29)에 기계적 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락 레버(37)를 채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가이드 암(29)은 소경 디스크 D2가 슬롯(3a)으로부터 삽입되었을 때, 반송로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소경 디스크 D2의 가로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그래서, 락 레버(37)를 채용하지 않고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소경 디스크 D2가 반송로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압력을 가이드 암(29)에 부여하여 소경 디스크 D2를 완충 지지하도록 했다. 그러나, 가이드 암(29) 및 이것에 연결하는 각 기구의 원활한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소경 디스크 D2의 삽입시의 필요한 범위에서 가이드 암(29)에 주는 가압력이 높아지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우선,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실시한 구성을 이하에 설명 한다.
도 44는, 이러한 조건에 의거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이드 암(29)을 가압하는 링크 레버(33)의 인장 코일 스프링(31)을 없애고, 비틀림 스프링(81)을 채용하도록 했다. 도 45는, 가이드 암(29), 링크 레버(33) 및 비틀림 스프링(81)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동 도면에 있어서 비틀림 스프링(81)은 섀시 케이스(2)에 세워 설치한 리벳 핀(82)에 고리 형상부를 장착하고, 한쪽의 암(81a)을 섀시 케이스(2)에 형성한 스토퍼(2c)에 걸어 고정하는 한편, 다른 쪽의 암(81b)을 링크 레버(33)의 후단부의 걸어고정하는 갈고리(33b)에 건다. 또한, 상기 암(81b)은 링크 레버(33)의 후단부에 고정하지 않고,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걸어고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틀림 스프링(81)의 탄성에 의한 가압력 Fa는 링크 레버(33)를 통해 가이드 암(29)으로의 가압력 Fb로서 전달되고, 가이드 암(29)의 선단이 구심방향을 향하는 가압력 Fc로서 나타난다. 상기 가압력 Fa의 크기는 비틀림 스프링(81)의 토오크 Ts에 비례하고, 가압력 Fb는 리벳 핀(32)을 중심으로 링크 레버(33)에 발생하는 토오크 Tm에 비례하고, 가압력 Fc는 리벳 핀(30)을 중심으로 가이드 암(29)에 발생하는 토오크 Ta에 비례한다. 또한, 링크 레버(33)의 작용 핀(33a)이 가이드 암(29)의 슬릿(29e)에서 걸려고정되므로, 가이드 암(29)은 도 45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정지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발생하는 토오크 Tm 및 토오크 Ta는, 역학 일반의 공식을 적용하여 구할 수 있다. 즉, 회전축으로부터 힘의 작용점까지의 길이가 R이며, 힘의 크기를 F로 하고, 길이 방향에 대한 힘이 이루는 각도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토오크 T는, T=R·F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공식에 의거하여, 토오크 Tm을 구하면, Tm= (Ts/Rs)Rma가 된다. 여기에서, Ts는 비틀림 스프링(81)에 의한 토오크이며, Rs는 비틀림 스프링(81)의 중심에서 암(81b)의 선단 거는 부까지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Rma는 비틀림 스프링(81)의 암(81b)의 선단 거는 부에서 리벳 핀(32)의 중심까지의 길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여 토오크 Tm이 구해지는 것으로부터, 토오크 Ta는, Ta= (Tm/Rmb)Ra= (Rma·Ra/Rmb·Rs) Ts로 구할 수 있다. 여기에서, Rmb는 리벳 핀(32)의 중심으로부터 작용 핀(33a)까지의 길이를 나타내고, Ra는 작용 핀(33a)의 중심으로부터 리벳 핀(30)의 중심까지의 길이를 나타낸다. 그런데, 가이드 암(29)의 리벳 핀(30)의 중심으로부터 선단의 지지부재(29a)까지의 길이를 d로 하면, 이 길이는 일정하므로, 토오크 Ta는, Ta=d· Fc가 된다.따라서, Fc= Ta/d가 성립되고, 가압력 Fc는 토오크 Ta에 동조하여 변화되게 된다.
도 47은, 각 길이Rma, Ra, Rmb, Rs의 변화를 도 46a, 도 46b, 도 46c에 나타내는 상태에 대응하여 모식적으로 도식화한 것으로, 각 란 내에 있어서의 플롯 위치의 고저가 각 길이Rma, Ra, Rmb, Rs의 장단을 나타낸다. 그래서, 각 길이Rma, Ra, Rmb, Rs의 장단의 정도를 토오크 Ta를 구하는 식, Ta= (Rma·Ra/Rmb·Rs) Ts에 적용하면, 도 46a의 상태로부터 도 46b의 상태를 향해서 점차 토오크 Ta가 증가하고, 도 46b의 상태, 즉, 가이드 암(29)의 요동 범위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토오크 Ta는 최대가 되고, 이에 따라 가 압력 Fc가 최대가 된다. 그리고, 도 46b의 상태로부터 도 46c의 상태를 향해서 점차 토오크 Ta가 감소한다. 또한, 가이드 암(29)의 요동 범위에 있어서 상기의 식에 있어서의 분자(Rma, Ra)의 변화에 반하도록 분모(Rmb, Rs)가 변화되므로, 토오크 Ta의 변화는 급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4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암(29)이 초기 상태에 있을 때, 그 선단의 가압력 Fc는 상대적으로 작고, 이러한 상태에서 가이드 암(29)이 원심방향으로 요동하면, 가압력 Fc는 점차 증가하여, 도 4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암(29)의 요동 범위의 대략 중앙에서 가압력 Fc가 가장 커지고, 이 증대한 가압력 Fc에 의해 소경 디스크 D2의 가로방향 위치의 규제가 가능하게 된다.
즉,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경 디스크 D2가 프론트 베젤(3)의 슬롯(3a)의 오른쪽에 치우쳐서 삽입되고, 소경 디스크 D2가 진입하는 힘 Fd에 의해 가이드 암(29)이 가상 선으로 나타낸 초기 위치에서 원심방향으로 요동하면, 가이드 암(29)의 가압력 Fc가 증대하여, 소경 디스크 D2를 되미는 힘이 되고, 소경 디스크 D2로 진입하는 힘 Fd와의 합력 Fcd가 발생하여, 소경 디스크 D2가 반송로 방향으로 이끌리거나 또는 진입하는 힘 Fd가 작은 경우에는 반출 방향으로 되밀린다.
이와 같이, 가이드 암(29)이 요동 범위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가압력 Fc가 더욱 커지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81)의 탄성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고, 소경 디스크 D2의 가로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기능 및 디스크에 대한 완충 기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소경 디스크 D2는 원래부터, 대경 디스크 D1의 슬롯(3a)으로의 삽입시의 안내를 가이드 암(29)만의 간소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리드 와이어(41) 및 이것에 연동하는 락 레버(37)등의 기구요소가 모두 불필요하여, 기계적 부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경 디스크 D1을 슬롯(3a)으로부터 삽입할 경우, 조작자에 의한 삽입 조작에 의해 도 11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대경 디스크 D1이 진입하므로, 도 46b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가이드 암(29)이 요동되고, 이후의 자동 로딩의 과정에 있어서는 도 46b에서 도 46c로 이행하므로 가압력 Fc는 감소하여, 반송 동작의 부하가 되지 않는다. 또한 대경 디스크 D1의 반출시는, 가압력 Fc가 증가하기 이전에 반송 동작이 완료하므로, 이 경우도 반송 동작의 부하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경 디스크 D2가 진입하는 힘 Fd가 경사 방향에 발생하고, 소경 디스크 D2가 동 도면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부터 가상 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진입하면, 디스크 지지 암(19)의 홀더(21)는 소경 디스크 D2의 외주 테두리의 접선을 따라 접촉하는 상태가 되므로, 소경 디스크 D2의 외주 테두리에서 홀더(21)를 누르는 힘이 저하하고, 동 도면의 가상 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소경 디스크 D2가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소경 디스크 D2의 삽입에 따라 디스크 지지 암(19)을 요동한다는 초기 동작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자동 로딩이 개시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지지 암(19)을, 대경 디스크 D1 또는 소경 디스크 D2를 반출하는 가상 선으로 나타내는 최종과정의 위치부터 디스크의 반입 방향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약간 복귀하여, 소경 디스크 D2가 경사 방향으로부터 삽입된 경우에 있어서도 그 외주 테두리에서 홀더(21)가 눌려, 디스크 지지 암(19)을 요동시키는 초기 동작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도 50의 가상 선으로 나타낸 위치부터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의 디스크 지지 암(19)의 요동 범위는, 디스크의 반입시에 있어서 로딩 슬라이더(43)에 의한 동작 제어의 범위 외가 되므로, 이 디스크 지지 암(19)을 강제적으로 요동시키는 가압수단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랙 슬라이더(65)의 후단부에 도 50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가압수단(90)을 배치하고 있다.
이 가압수단(90)은, 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홈 모양의 슬릿(91a ·91b)을 형성하고, 전단에 가압편(91c)을 구비한 슬라이딩 판(91)을 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 판(91)은, 그 슬릿(91a ·91b)을 섀시 케이스(2)의 바닥판에 일단을 고정한 리벳 핀(92·9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한다. 따라서, 리벳 핀(92·93)으로 규제되는 슬릿(91a ·91b) 길이의 범위에서 슬라이딩 판(91)의 슬라이딩 범위가 규제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판(91)의 훅편(91d)과 리벳 핀(92)사이에 인장 코일 스프링(94)을 걸어 고정하고, 이에 따라 가압편(91c)으로 랙 슬라이더(65)의 후단부를 눌러 가압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가압수단(90)의 인장 코일 스프링(94)의 가압력이 실제로 작용하는 것은, 링크 암(54)의 짧은 길이 상태를 유지하는 록 기구가 작동된 순간에 동기하므로, 이하에 링크 암(54)의 구체적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2는, 링크 암(5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동 도면에 있어서 디스크 지지 암(19)을 직접 구동하는 제2링크 암(54b)은, 통과 구멍(54b-1)이 피벗 핀(57)에 의해 기어 디스크(59)에 연결된 다.
상기 제2링크 암(54b)은, 그 중간부분 폭방향의 양측에 돌출하는 스토퍼(54b-2)가 형성되고, 이 스토퍼(54b-2)의 부분으로부터 길이 방향의 양측에 락 스프링(54c)의 직경보다 약간 높은 플랜지(54b-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락 스프링(54c)은, 탄성 선재를 구부려 형성한 것으로, 일단에 걸어고정하는 부(54c-1)가 형성되고, 타단에 락부(54c-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락 스프링(54c)의 걸어고정하는 부(54c-1)가 제2 링크 암(54b)에 형성된 훅편(54b-4)에 결합됨으로써, 락 스프링(54c)이 제2링크 암(54b)내에 수용된다. 이 때, 락 스프링(54c)은, 그 구부림 형성부(54c-3)에 의한 스프링력이 발생하고, 락부(54c-2)에 바깥 방향의 가압력이 발생한다.
한편, 제1링크 암(54a)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ㄷ자형의 가이드홈(54a-1)이 형성되고 있으며, 이 가이드홈(54a-1)에 제2링크 암(54b)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한다. 제1링크 암(54a)과 제2링크 암(54b)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도 5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홈(54a-1)의 종단부(54a-2)에서 락 스프링(54c)의 락부(54c-2)가 외부를 향하고 있는 상태일 때, 링크 암(54)은 짧은 길이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락부(54c-2)가 가이드홈(54a-1)안에 있는 도 53b의 상태에서는 짧은 길이 상태가 해제되고 있으며, 링크 암(54)은 긴 상태가 된다.
로딩 슬라이더(43)의 전진 후퇴에 따라 요동하는 제1요동 부재(45)에는 작용편(45c)이 형성되고 있으며, 링크 암(54)의 짧은 길이 상태가 유지되는 도 53a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이 작용편(45c)이 락 스프링(54c)의 락부(54c-2)를 누르 면, 링크 암(54)의 짧은 길이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또한, 제1링크 암(54a)의 스프링 거는 부(54a-3)와 제2링크 암(54b)의 스프링 거는 부(54b-5), 또는 섀시 케이스의 바닥판에 형성한 거는 훅과의 사이에 인장 코일 용수철(56)이 걸려 있으며, 링크 암(54)이 짧은 길이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링크 암(54)의 짧은 길이 상태의 해제와 동시에 가압수단(90)의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54는, 디스크 지지 암(19)의 구심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 또는 소경 디스크 D2의 반출 과정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2 및 도 26에 나타내는 상태에 해당한다.
도 54의 상태로부터 디스크의 반출이 더욱 진행하고, 로딩 슬라이더(43)의 전진에 따라, 디스크 지지 암(19)이 디스크를 반출하는 최종과정에 이르면, 도 5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요동 부재(45)의 작용편(45c)이 락 스프링(54c)의 락부(54c-2)를 눌러 링크 암(54)의 짧은 길이 상태를 유지하는 락이 해제된다.
이 때, 즉, 도 54부터 도 55에 이르는 과정에서 기어 디스크(59)에 의해 랙 슬라이더(65)가 후퇴하므로 가압수단(90)의 슬라이딩 판(91)이 도 5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려 올라가, 인장 코일 스프링(94)의 인장 방향의 탄성이 증대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링크 암(54)의 짧은 길이 상태를 유지하는 락이 해제되면, 이것과 동시에 인장 코일 스프링(94)의 가압력이 발생하므로, 슬라이딩 판(91)의 가압편(91c)이 랙 슬라이더(65)를 되 밀고, 이에 따라 기어 디스크(59)가 회전하여 디스크 지지 암(19)을 원심방향으로 요동하여, 홀더(21)가 도 55의 위치에서 도 56 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약간 되돌아가 정지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슬라이딩 판(91)이 그 가압편(91c)으로 랙 슬라이더(65)를 되 미는 거리는 슬라이딩 판(91)의 슬릿(91a ·91b)의 길이에 의해 정해진다.
이와 같이, 디스크 지지 암(19)이 디스크를 반출하는 최종과정에서는,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지지 암(19)이, 일단, 가상 선의 위치까지 요동하여 디스크의 반출을 완료하고, 그 후에 실선의 위치까지 되돌아와서 정지하는 동작 양태가 된다. 이에 따라 프론트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삽입된 소경 디스크 D2는 디스크 지지 암(19)의 홀더(21)를 눌러, 확실하게 자동 로딩으로 이끌리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소경 디스크 D2가 삽입되었을 경우의 위치의 규제 및 디스크 지지 암(19)의 확실한 작동을 확보할 수 있지만, 이것은 디스크 지지 암(19)이 디스크의 반입 방향으로 약간 복귀하는 것에 의한 홀더(21)의 후퇴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 44와 도 50의 대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크의 반입 방향의 선단의 외주 테두리는 클램프 헤드(9)에 접근하고, 디스크가 아래쪽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삽입되면, 디스크가 디스크 지지 암(19)의 홀더(21)의 하측으로 들어갈 염려가 있으며, 그 경우, 디스크는 클램프 헤드(9)에 접촉하여, 기록면을 손상시키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 발생을 막기 위해, 새로운 구상에 의거하는 가이드 기구를 설치하여, 대경 디스크 D1 및 소경 디스크 D2 모두 클램프 헤드(9)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확실하게 디스크 지지 암(19)의 홀더(21)로 이끌어, 자동 로딩이 개시되도록 했다.
본 발명의 가이드 기구는 디스크 지지 암(19)의 동작과 함께 기능하므로, 우선, 이 디스크 지지 암(19)의 동작 양태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지지 암(19)은 그 선단에 대경 디스크 D1 및 소경 디스크 D2의 외주 테두리를 유지 홈(21a)에서 지지하는 홀더(21)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지지 암(19)에는 도 5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을 향해 아래로 기울어지는 오목한 부(19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아래로 기울어지는 형성은 디스크 지지 암(19)의 이면에 별도 부재를 고정하여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 지지 암(19)에 오목한 부(19e)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오목한 부(19e)가 작용하여 홀더(21)의 상하방향의 요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즉, 디스크 지지 암(19)이 대경 디스크 D1 또는 소경 디스크 D2가 슬롯(3a)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홀더(21)의 유지 홈(21a)에 대경 디스크 D1 또는 소경 디스크 D2가 도 5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되고, 디스크 지지 암(19)이 원심방향으로 요동을 시작하면, 도 57a, 도 57b, 도 5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한 부(19e)가 베이스 패널(6)에 올라 앉아 홀더(21)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 홀더(21)는 도 58의 가상 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서 클램프 헤드(9)위를 통과하고, 대경 디스크 D1 및 소경 디스크 D2가 안내되어서 반송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가이드 기구는, 도 5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의 반입 방향이며 턴테이블(10)의 측부에 선단부(72a)가 연장하는 리드편(72)에 의해 구성된다. 이 리드편(2)은 승강 프레임(7)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박판 강 판 등의 가요성 소재에 의해 별도의 부재로서 도 60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리드편(2)은 기단부에 고정편(72b)을 구비하고, 그 통과 구멍(72c)에 삽입한 납작하고 평평한 접시 나사(73)를 승강 프레임(7)의 나사구멍 (7d)에 나사고정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리드편(2)의 슬로프가 형성되는 부분의 표면에 볼록하게 돌출하는 리브(72d)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디스크와의 접촉이 최대한 작아지도록 배려했으므로,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또한 리드편(2)의 기초부에 형성된 배출 구멍(72e)은 이 부분의 강성을 저하시켜, 가요성을 향상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리드편(2)의 기단부의 고정편(72b)은, 승강 프레임(7)에 고정되므로 광픽업(12)의 전진 후퇴시키는 캐리어 블록(14)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리드편(2)은 그 선단으로부터 수직 하강하는 설편(72f)의 선단에 걸어고정하는 단부(72g)가 형성되고 있으며, 고정편(72b)이 승강 프레임(7)에 고정되면, 리드편(2)의 선단부가 클램프 해제 핀(71)의 정상부에서 항상 지지되어, 걸어고정하는 단부(72g)가 승강 프레임(7)의 개구부의 이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리드편(2)은 승강 프레임(7)에 한쪽 지지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리드편(2)의 선단이 승강 프레임(7)으로부터 떨어져서 높이 방향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승강 프레임(7)이 강하했을 때, 리드편(2)의 선단은 클램프 해제 핀(71)으로 지지되어 정위치를 멈추고, 클램프 헤드(9) 및 턴테이블(10)이 리드편(2)의 선단부 이하로 강하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승강 프레임(7)의 강하에 따라 리드편(2)이 기능하는 상태를 도 6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1a는, 대경 디스크 D1 또는 소경 디스크 D2가 클램프 헤드(9)로 클램프 되어, 턴테이블(10)위에 고정되고, 승강 프레임(7)이 더욱 상승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것은 디스크의 드라이브가 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 때, 리드편(2)은 수평상태에 있으며, 대경 디스크 D1 또는 소경 디스크 D2의 기록면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크의 반출이 개시되면, 승강 프레임(7)이 강하를 시작하고, 도 61b의 상태에 이르면 클램프 해제 핀(71)에 의해 정위치에 있는 리드편(2)의 리브(72d)에 대경·소경 디스크 D1·D2의 중심구멍 D1a·D2a의 가장자리가 접촉한다. 그리고, 승강 프레임(7)이 더욱 강하하여 도 61c에 나타내는 상태에 이르면, 대경·소경 디스크 D1·D2의 중심구멍 D1a·D2a의 가장자리를 밀어올려, 클램프 헤드(9)에 의한 대경·소경 디스크 D1·D2의 클램프가 해제된다.
그리고, 승강 프레임(7)이 더욱 강하하여 도 61d에 나타내는 최종위치에 이르면, 승강 프레임(7)의 개구부(7c)의 플랜지(7e)가 리드편(2)의 걸어고정하는 단부(72g)를 밀어내린다. 이에 따라 리드편(2)이 클램프 해제 핀(71)의 정상부를 지점으로 하여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간 만곡하여 완만한 원호 모양의 슬로프가 형성되고, 클램프 헤드(9)의 정상부가 리드편(2)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 6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 프레임(7)이 더욱 강하한 상태 에 있어서, 대경·소경 디스크 D1·D2가 슬롯(3a)으로부터 삽입되어, 자동 로딩에 이르는 과정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62는, 대경·소경 디스크 D1·D2가 삽입되는 과정을 가로방향에서 나타낸 것으로, 평면방향을 도 63에 나타낸다. 도 62 및 도 63에 있어서, 슬롯(3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진 상태로 대경·소경 디스크 D1·D2가 삽입되어, 위치 P1에 도달해 더욱 진입하면, 대경·소경 디스크 D1·D2의 삽입 방향의 전단부가 리드편(2)의 리브(72d)에 의해 형성된 슬로프에 타 올라 위치P2까지 진입한다.
그리고, 또한 대경·소경 디스크 D1·D2가 전진하면, 그 외주 테두리가 위치P2의 전방위치 P3에 대기하고 있는 디스크 지지 암(19)의 홀더(21)의 유지 홈(21a)으로 이끌리게 된다. 위치 P3에 도달한 대경·소경 디스크 D1·D2는 그 후에 위치P4까지 홀더(21)를 밀어 내려 디스크 지지 암(19)이 원심방향으로 요동하고, 이에 따라 전술한 동작 양태에 의거하는 자동 로딩이 개시되게 된다.
또한, 위치 P3에 있어서 홀더(21)의 유지 홈(21a)에 유지된 대경·소경 디스크 D1·D2는 도 57a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고 있으며, 디스크 지지 암(19)이 원심방향으로 요동하여 위치 P4에 달하면, 그 오목한 부(19e)가 도 5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패널(6)에 올라앉는다. 따라서, 홀더(21)는 위치 P3에서 위치 P4에 이르는 동안에 도 58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상승하고, 대경·소경 디스크 D1·D2가 클램프 헤드(9)에 접촉하지 않도록 이끌 수 있다.
도 6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안내되어, 자동 로딩 된 대경·소경 디스크 D1·D2가 클램프 헤드(9)에 의해 클램프 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64a는, 대경·소경 디스크 D1·D2가 슬롯(3a)으로부터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자동 로딩이 완료하면, 대경·소경 디스크 D1·D2는 도 6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중심구멍 D1a·D2a의 중심이 클램프 헤드(9)의 중심과 일치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러한 상태에 이르면, 승강 프레임(7)이 상승을 시작하고, 도 6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헤드(9)의 척 갈고리(9a)가 대경·소경 디스크 D1·D2의 중심구멍 D1a·D2a에 접촉하여 밀어 올린다(도 37 참조). 이 때, 승강 프레임(7)의 개구부(7c)의 플랜지(7e)가 리드편(2)의 걸어고정하는 단부(72g)으로부터 이격되므로, 리드편(2)은 만곡 상태로부터 해방된다. 그리고, 승강 프레임(7)이 더 상승하면, 도 6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헤드(9)가 대경·소경 디스크 D1·D2의 중심구멍 D1a·D2a에 끼워 넣어서 클램프를 완료하고, 앞서 서술한 로딩 슬라이더(43)의 동작에 의거하여 승강 프레임(7)이 약간 강하하여, 도 64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경·소경 디스크 D1·D2의 드라이브가 가능하게 된다.
도 65는, 대경 디스크 D1만을 드라이브 가능하도록 한 디스크 장치에 전술한 본 발명의 가이드 기구를 실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대경 디스크 D1에 대한 기능 및 작용은 상기와 동일하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리드편(2)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 및 소경 디스크 D2의 반입 방향의 선단의 아래쪽으로의 경사를 저지할 수 있고, 클램프 헤드(9)와의 접촉을 회피하여 확실하게 대경 디스크 D1 및 소경 디스크 D2를 디스크 지지 암(19)의 홀더(21)로 이끌어, 자동 로딩을 개시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존의 클램프 해제 핀(71)을 이용하여, 그 정상부에서 리드편(2)의 선단부(72a)를 지지하도록 하고, 리드편(2)이 디스크의 클램프 해제 기능을 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리드편(2)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 및 소경 디스크 D2의 반입 방향의 선단의 아래쪽으로의 경사를 저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예를 들면 리드편(2)의 선단부(72a)를 장치 내부에 별도 설치한 돌출부재로 지지하여 정위치에 유지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리드편(2)의 선단으로부터 수직 하강하는 설편(72f)을 섀시 위까지 연장하여, 걸어고정하는 단부(72g)를 섀시 위에 고정하는 것으로, 리드편(2)의 선단부(72a)를 정위치에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결국, 승강 프레임(7)이 강하했을 때, 클램프 헤드(9) 및 턴테이블(10)이 리드편(2)의 선단부 이하로 강하하는 구성이면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특히 대경 디스크 D1과 소경 디스크 D2 모두 드라이브 가능하도록 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대경 디스크 D1로부터 자동 로딩이 곤란한 소경 디스크 D2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기능하여, 장치 동작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디스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경 디스크만을 자동 로딩하여 드라이브 가능하도록 한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 및 대소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디스크를 자동 로딩하여 드라이브 가능하도록 한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프론트 베젤의 슬 롯의 어떤 방향에서 디스크가 삽입되어도, 이 디스크가 클램프 헤드에 접촉하지 않고 자동 로딩으로 이끌어, 디스크의 기록면의 손상 및 장치 내부의 기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8)

  1. 척킹 위치에 있는 디스크를 회전시켜서, 기록/재생을 행하는 디스크 장치이며, 로딩에서는 케이스의 슬롯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디스크가 베이스 패널 위에 배치한 복수의 암으로 상기 척킹 위치로 운반되고, 언 로딩에서는, 상기 척킹 위치에 있는 상기 디스크가, 상기 슬롯으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일부가 밖으로 돌출한 이젝트 위치로 운반되는 상기 디스크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개구 안에 배치되어, 디스크 회전 가능위치를 경유하여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승강 프레임으로서, 상기 디스크 회전 가능 위치가 상기 상승위치에서 약간 내려가 있는 승강 프레임과,
    상기 승강 프레임에 부착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으로서,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상승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척킹 위치에 세트된 상기 디스크를 척킹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디스크의 척킹을 해제하고, 그리고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디스크 회전 위치에 세트된 사이에 척킹되어 있는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과,
    상기 슬롯으로부터 삽입된 디스크의 리딩측을 윗쪽에 들어올리기 위한 슬로프를 형성하는 리드편으로서, 상기 승강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의 가로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크의 삽입방향으로 연장한 선단부를 가지고, 이 선단부가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승강 프레임의 윗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리드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슬롯에 가까운 전단측을 지점으로 하여,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이 부착된 후단측이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하강 위치에서는, 상기 승강 프레임의 후단측이 상기 베이스 패널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 유닛은,
    상기 승강 프레임에 고정된 스핀들 모터와,
    상기 스핀들 모터의 구동축에 부착된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돌출하고 있고, 상기 디스크의 중심구멍을 척킹하는 척킹 헤드로서,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상승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중심 구멍으로 들어가고,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중심 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구성된 척킹 헤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디스크 회전 가능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리드편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디스크의 밑면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척킹 헤드는 상기 베이스 채널보다도 높고, 그리고 상기 리드 편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척킹 헤드와 거의 같거나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편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디스크의 중심 구멍의 주변에 있는 비기록 영역에 대면하도록 상기 턴테이블을 따라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편의 선단부에는, 상기 디스크의 밑면과의 접촉 면적을 작게하도록, 위로 부풀어 오른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편은, 상기 슬롯측의 기단부가, 상기 승강 프레임과 거의 동일 평면이 되도록, 상기 승강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디스크 회전 가능 위치로부터 상기 하강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리드편의 상기 선단부를 받아 그 이동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드편의 상기 선단부를 상기 척킹 헤드와 거의 같은 높이 이상으로 유지하고,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승강 프레임이 디스크 회전 가능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리드편에 작용을 주지 않고, 상기 선단부의 높이가 상기 턴테이블 보다도 낮아지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척킹 해제핀이며,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디스크 회전 가능위치로부터 상기 하강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리드편의 상기 선단부에서 디스크의 밑면을 받아, 상기 디스크의 중심 구멍을 상기 컥킹 헤드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스핀들 모터가 배치된 프레임 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편의 상기 선단부는 아래쪽으로 절곡한 설편과, 이 설편 앞을 절곡한 걸어 고정하는 단을 가지고,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디스크 회전 가능 위치에서 상기 하강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고정부재로 상기 리드편의 선단부를 받은 상태에서, 상기 걸어 고정하는 단을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개구의 테두리부에서 밀어내리고, 상기 슬로프가 위로 노출하도록 매끄럽게 만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가장자리를 유지하는 홈이 형성된 선단부를 가지는 슬라이딩이 자유로운 디스크 지지 암을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 지지암은, 상기 로딩에서는, 상기 슬롯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디스크의 가장자리를 상기 홈에 받아 넣고, 그리고 상기 디스크를 상기 척킹 위치로 운반하며, 상기 언로딩에서는 상기 디스크를 상기 척킹 위치로부터 상기 이젝트 위치로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지지암은, 그 밑면에 돌기를 구비하고, 이 돌기는, 상기 디스크 지지암이 상기 슬롯으로부터의 디스크 삽입을 대기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개구 내에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로딩 중에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 패널위에 올라 앉아 상기 홈을 높은 위치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홈이 상기 턴테이블 위를 통과할 때,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 패널 위 로 올라 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편의 상기 선단부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설편을 가지고, 이 설편의 단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7. 슬롯을 거쳐 디스크를 바깥으로 출입하는 복수의 암과,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을 구비한 디스크 장치로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은, 척킹 헤드가 돌출한 턴테이블과, 이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를 가지며,
    상기 디스크 장치는,
    상기 스핀들 모터를 고정한 승강 프레임으로서, 이 승강 프레임이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기 척킹 헤드가 상기 디스크의 중심 구멍을 척킹하거나 또는 척킹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승강 프레임과,
    상기 승강 프레임에 부착된 리드편으로서, 상기 승강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의 반입 방향이며 상기 턴테이블의 측부로 연장하는 선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선단부가, 상기 승강 프레임이 하강했을 때 상기 승강 프레 임이 윗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유지되고, 상기 슬롯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디스크가 그 리딩측을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한 경사를 저지하도록 구성된 리드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편은, 상기 선단부로터 매달려 있는 설편과, 이 설편이 형성된 걸어 고정하는 단부를 가지고,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강에 따라, 상기 승강 프레임의 프레임 개구의 단부에서 상기 걸어 고정하는 단부가 밀려 내려갔을 때, 상기 선단부에 완만한 원호 형상의 슬로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KR1020070064882A 2006-06-29 2007-06-29 디스크 장치 KR100892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79766A JP4882547B2 (ja) 2006-06-29 2006-06-29 ディスク装置
JPJP-P-2006-00179766 2006-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665A true KR20080001665A (ko) 2008-01-03
KR100892659B1 KR100892659B1 (ko) 2009-04-15

Family

ID=3887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882A KR100892659B1 (ko) 2006-06-29 2007-06-29 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14508B2 (ko)
JP (1) JP4882547B2 (ko)
KR (1) KR100892659B1 (ko)
CN (1) CN101097752B (ko)
TW (1) TWI3486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2547B2 (ja) * 2006-06-29 2012-02-22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2008165890A (ja) * 2006-12-27 2008-07-17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装置
JP4349448B2 (ja) * 2007-07-30 2009-10-21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TWI372386B (en) * 2008-09-23 2012-09-11 Quanta Storage Inc Lift device of slot-in disk drive
CN101751955B (zh) * 2008-12-05 2011-07-20 谷林电器(深圳)有限公司 能监视光盘状态的光盘播放器
CN101958131B (zh) * 2009-07-17 2013-03-20 广明光电股份有限公司 吸入式光盘机防卡装置
TW201216256A (en) * 2010-10-14 2012-04-16 Quanta Storage Inc Detecting method for limit switch of optical disk drive
KR101744099B1 (ko) * 2011-01-04 201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로딩장치
JP2012155793A (ja) * 2011-01-26 2012-08-16 Pioneer Digital Design And Manufacturing Corp ディスク搬送装置及びディスク装置
CN103295602B (zh) * 2012-02-24 2015-10-28 谷林电器(深圳)有限公司 光碟播放装置
WO2021200608A1 (ja) 2020-03-30 2021-10-07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光ディスクドライブ及び電子機器
WO2021200606A1 (ja) * 2020-03-30 2021-10-07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光ディスクドライブ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1955B2 (ja) * 1996-08-08 2006-01-05 シンワ株式会社 ディスク着脱装置およびディスクプレーヤ
JP3280297B2 (ja) * 1997-11-29 2002-04-30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4041569B2 (ja) * 1997-12-26 2008-01-30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US6252839B1 (en) * 1999-03-01 2001-06-26 Behavior Tech Computer Corp. CD-ROM reader mechanism
JP3685047B2 (ja) * 1999-12-03 2005-08-17 ティアック株式会社 記録媒体装着装置
JP3772667B2 (ja) * 1999-12-03 2006-05-10 ティアック株式会社 記録媒体装着装置
EP1174873B1 (en) * 2000-07-21 2009-01-21 Sony Corporation Disk drive apparatus
JP3743276B2 (ja) 2000-10-11 2006-02-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4218204B2 (ja) * 2000-11-14 2009-02-0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6839898B2 (en) * 2001-04-27 2005-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drive
JP2003077198A (ja) * 2001-09-04 2003-03-14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再生機のディスク搬送装置
JP4045157B2 (ja) * 2002-09-30 2008-02-1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4093118B2 (ja) * 2003-06-02 2008-06-04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4103744B2 (ja) * 2003-09-11 2008-06-1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103742B2 (ja) * 2003-09-11 2008-06-1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452056B2 (ja) * 2003-10-20 2010-04-2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搬送装置
JP2005129106A (ja) * 2003-10-22 2005-05-19 Alpine Electronics Inc ディスク装置
TWM254697U (en) * 2003-12-17 2005-01-01 Lite On It Corp Slot-in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100691641B1 (ko) 2004-02-24 2007-03-09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장치
JP4165418B2 (ja) * 2004-03-08 2008-10-1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フレーム、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セット、電子機器
JP4529800B2 (ja) * 2004-06-01 2010-08-2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229012B2 (ja) * 2004-06-01 2009-02-2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123223B2 (ja) * 2004-11-17 2008-07-23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4325568B2 (ja) * 2005-02-18 2009-09-02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US7770190B2 (en) * 2005-02-18 2010-08-03 Teac Corporation Disk unit having at least one limit switch for detecting a size of an inserted disk
JP2006260719A (ja) * 2005-03-18 2006-09-28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装置
JP4265596B2 (ja) * 2005-11-14 2009-05-20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4687566B2 (ja) * 2006-05-24 2011-05-2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4882547B2 (ja) * 2006-06-29 2012-02-22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48687B (en) 2011-09-11
US20080005753A1 (en) 2008-01-03
JP2008010075A (ja) 2008-01-17
KR100892659B1 (ko) 2009-04-15
JP4882547B2 (ja) 2012-02-22
CN101097752B (zh) 2010-04-21
CN101097752A (zh) 2008-01-02
TW200809776A (en) 2008-02-16
US7814508B2 (en) 201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659B1 (ko) 디스크 장치
KR20070113117A (ko) 디스크 장치
KR100742687B1 (ko) 디스크 장치
KR100719056B1 (ko) 디스크 장치
KR100691638B1 (ko) 디스크 장치
KR20050009142A (ko) 디스크장치
KR100779957B1 (ko) 디스크 장치
JP2007293981A (ja) ディスク装置
JP4277809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900951B1 (ko) 디스크 장치
KR100863321B1 (ko) 디스크 장치
JP4325564B2 (ja) ディスク装置
JP4687688B2 (ja) ディスク装置
JP4155191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866939B1 (ko) 디스크 장치
JP4259474B2 (ja) ディスク装置
JP4315108B2 (ja) ディスク装置
JP4052246B2 (ja) 交換型ディスク再生装置
JP4315112B2 (ja) ディスク装置
JP4356802B2 (ja) ディスク装置
JP4136968B2 (ja) ディスク装置
JP2003217214A (ja) ディスク装置のカートリッジ位置決め機構
JP2003249000A (ja) ディスク装置のローディング方法および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