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099B1 - 디스크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099B1
KR101744099B1 KR1020110000528A KR20110000528A KR101744099B1 KR 101744099 B1 KR101744099 B1 KR 101744099B1 KR 1020110000528 A KR1020110000528 A KR 1020110000528A KR 20110000528 A KR20110000528 A KR 20110000528A KR 101744099 B1 KR101744099 B1 KR 101744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loading lever
lever
diameter loading
slid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9301A (ko
Inventor
박준태
이정락
설영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0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099B1/ko
Priority to EP11193368.5A priority patent/EP2472516A3/en
Priority to US13/328,376 priority patent/US8572637B2/en
Priority to JP2011288197A priority patent/JP5764487B2/ja
Priority to CN201210011849.XA priority patent/CN102592624B/zh
Publication of KR20120079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2Servo control
    • G11B17/0404Servo control with parallel drive roll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15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adapted for discs of different siz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11B25/04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using rot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로딩장치는, 인입되는 디스크의 크기에 따라 선회 각도가 변화하는 디스크 선별유닛과, 디스크 선별유닛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에 의해 선회하는 한 쌍의 가이드 암과, 디스크 선별유닛에 의해 위치 결정되며, 한 쌍의 가이드 암 중의 한 개의 가이드 암에 의해 회전하는 소경 로딩레버와, 한 쌍의 가이드 암에 의해 이동하는 대경 로딩레버와, 소경 로딩레버 또는 대경 로딩레버에 의해 이동하는 슬라이드 캠 유닛,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암과 상기 디스크 선별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디스크를 고정하는 척 유닛을 포함한다. 소경 로딩레버와 대경 로딩레버는 한 쌍의 가이드 암 상측으로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다.

Description

디스크 로딩장치{Disk lo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와 같은 디스크 매체를 수납 및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 매체를 이송, 척킹하는 디스크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롯-인(slot-in) 방식이라고 불리는 디스크장치는 디스크 매체(이하, 디스크라 함)를 트레이에 탑재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수납 및 배출한다. 이와 같은 디스크장치의 내부에는 디스크를 척킹 위치로 이동시켜 척킹하는 디스크 로딩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 디스크 로딩장치는 지름이 다른 여러 종류의 디스크를 이송하여 척킹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로딩장치(10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로딩되는 디스크(101)가 지름이 8cm인 소경 디스크인 경우 소경 디스크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푸시레버(110)와 안내레버(120)에 의해 상부 슬라이더(130)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푸시레버(110)의 일단은 상부 슬라이더(130)와 P1 지점에서 접촉하고 있다. 상부 슬라이더(130)가 도 1의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상부 슬라이더(130)와 일체로 조립된 슬라이더 캠(140)이 동일방향으로 이동하여 디스크(101)를 척킹시킨다.
한편, 디스크(101)로서 지름이 12cm인 대경 디스크가 로딩되는 경우, 디스크 선별유닛(150)에 의해 푸시레버(110)의 일단이 상부 슬라이더(130)의 P2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대경 디스크가 인입되면, 대경 디스크의 외주면에 의해 밀리는 푸시레버(110)와 안내레버(120)에 의해 상부 슬라이더(130)가 도 1의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상부 슬라이더(130)가 이동하면, 슬라이더 캠(140)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디스크(101)를 척킹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로딩장치(100)는 슬라이더 캠(140)을 이동시켜 디스크(101)를 척킹하는데 사용되는 푸시레버(110), 안내레버(120), 디스크 선별유닛(150)의 링크(151)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층 구조를 이루고 있어, 디스크 로딩장치(100)의 높이가 높다. 따라서, 디스크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로딩장치(100)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푸시레버(110)가 픽업유닛이 이동하는 영역(Z)과 간섭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픽업유닛()과 푸시레버(110)가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공간적인 제약이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해 픽업유닛과 푸시레버(110)가 충돌하여 픽업유닛이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디스크장치의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2층 구조로 형성된 디스크 로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픽업유닛과 디스크 로딩장치의 부품 사이에 간섭 또는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디스크 로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입되는 디스크의 크기에 따라 선회 각도가 변화하는 디스크 선별유닛; 상기 디스크 선별유닛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에 의해 선회하는 한 쌍의 가이드 암; 상기 디스크 선별유닛에 의해 위치 결정되며, 한 쌍의 가이드 암 중의 한 개의 가이드 암에 의해 회전하는 소경 로딩레버;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암에 의해 이동하는 대경 로딩레버; 상기 소경 로딩레버 또는 상기 대경 로딩레버에 의해 이동하는 슬라이드 캠 유닛;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암과 상기 디스크 선별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디스크를 고정하는 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소경 로딩레버와 상기 대경 로딩레버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암 상측으로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는 디스크 로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로딩장치는, 상기 디스크 선별유닛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암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디스크 선별유닛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이송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롤러는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된 한 쌍의 테이퍼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크 선별유닛은,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일단을 갖는 한 쌍의 선별레버; 상기 한 쌍의 선별레버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선별레버의 선회에 따라 일측으로 이동하는 중간링크; 및 상기 소경 로딩레버와 상기 한 쌍의 선별레버 중 한 개의 선별레버 사이에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선별레버의 동작을 상기 소경 로딩레버로 전달하는 연결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가 소경이면, 상기 선별레버와 상기 연결링크에 의해 상기 소경 로딩레버는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과 간섭되는 제1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크가 대경이면, 상기 소경 로딩레버는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과 간섭되지 않는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암의 각각의 일단은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암의 각각의 타단은 상기 대경 로딩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디스크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암의 일단을 가압하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암은 상기 대경 로딩레버를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암 중 제1가이드 암과 상기 대경 로딩레버가 연결되는 제1암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암 중 제2가이드 암과 상기 대경 로딩레버가 연결되는 제2암 연결부는 상기 제1가이드 암의 회전중심과 제2가이드 암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쪽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은, 상기 소경 로딩레버와 접촉하는 소경 접촉부; 및 상기 대경 로딩레버와 접촉하는 대경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경 접촉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대경 로딩레버에는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는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가 대경 디스크이면, 상기 대경 로딩레버가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을 직선 이동시키고, 상기 디스크가 소경 디스크이면, 상기 소경 로딩레버가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을 직선 이동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암 중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에 인접한 가이드 암에는 상기 슬라이드 캠과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암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톱 돌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톱 돌기는 상기 디스크가 소경 디스크일 때,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암의 선회 각도를 제한하고, 상기 디스크가 대경 디스크일 때는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과 접촉하지 않아 상기 가이드 암의 선회를 제한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경 로딩레버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암 중 적어도 한 개의 가이드 암 사이에는 상기 대경 로딩레버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암이 면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선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가 상기 디스크 로딩장치로 인입되기 전에는 상기 소경 로딩레버는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과 간섭되는 위치에 있고, 상기 대경 로딩레버는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로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디스크 로딩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크 로딩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디스크장치에서 분리하여 디스크 로딩장치만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디스크 로딩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도 4의 디스크 로딩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도 4의 디스크 로딩장치에 대경 디스크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서 대경 디스크가 한 쌍의 가이드 암에 접촉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서 대경 디스크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암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대경 디스크에 의해 대경 로딩레버가 슬라이드 캠 유닛을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슬라이드 캠 유닛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암의 암 돌기가 대경 디스크에서 이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4의 디스크 로딩장치에 소경 디스크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에서 소경 디스크가 한 쌍의 가이드 암에 접촉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에서 소경 디스크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암이 회전하며, 소경 로딩레버가 슬라이드 캠 유닛을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4에서 우측 가이드 암의 회전이 슬라이드 캠 유닛에 의해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6은 도  15에서 슬라이드 캠 유닛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암의 암 돌기가 소경 디스크에서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로딩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크 로딩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디스크장치에서 디스크 로딩장치만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디스크 로딩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디스크 로딩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크장치(1)는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와 같은 디스크 매체(이하, 디스크라 함)를 수납 및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케이스(3), 디스크 로딩장치(5), 및 픽업유닛(7,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3)는 디스크 로딩장치(5)를 지지하며, 내측에 척유닛(70) 및 픽업유닛(7)이 설치된다. 케이스(3)의 전면에는 디스크(SD, LD)가 삽입되는 슬롯 형상의 인입구(9)가 형성된다. 케이스(3)는 다른 부품들의 조립 편의을 위해 상부 케이스(3b)와 하부 케이스(3a)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크 로딩장치(5)는 케이스(3)의 인입구(9)로 인입되는 디스크를 척 유닛(7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이동시킨 후 척 유닛(70)이 디스크를 척킹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디스크 로딩장치(5)는 이송유닛(10), 디스크 선별유닛(20), 한 쌍의 가이드 암(30), 소경 로딩레버(40), 대경 로딩레버(50), 슬라이드 캠 유닛(60), 및 척 유닛(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유닛(10)은 인입구(9)로 인입된 디스크를 자동으로 척 유닛(70)의 상부까지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이송유닛(10)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송유닛(10)은 지지부재(11)와 한 쌍의 이송롤러(12)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1)는 케이스(3)의 내측으로 인입구(9)에 근접하여 디스크 선별유닛(20)의 하측에 설치되며, 한 쌍의 이송롤러(12)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한 쌍의 이송롤러(12)는 서로 마주 보도록 회전축(13)에 설치된다. 회전축(13)의 일단에는 이송기어(14)가 설치되어 있다. 이송기어(14)는 슬라이드 캠 유닛(60)의 안쪽으로 설치된 이송구동기어(91)와 맞물려 있다. 지지부재(11)에는 한 쌍의 이송롤러(12)의 테이퍼에 대응되는 테이퍼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송롤러(12)는 디스크의 크기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인입된 디스크를 한 쌍의 가이드 암(30) 쪽으로 이송시킨다.
디스크 선별유닛(20)은 인입되는 디스크의 크기를 기계적으로 감지하여 디스크 로딩장치(5)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디스크 선별유닛(20)으로는 본 실시예와 달리 센서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디스크 선별유닛(20)은 한 쌍의 선별레버(21,22), 중간링크(25), 및 연결링크(29)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선별레버(21,22)는 삽입되는 디스크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측 선별레버(21)는 제1선별 회전축(2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우측 선별레버(22)는 제2선별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제1 및 제2선별 회전축(21-2,22-2)은 지지부재(11) 또는 다른 브라켓에 의해 케이스(3)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우측 선별레버(22)에는 디스크 선별유닛(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 스위치(81)를 동작시키는 도그(28)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 스위치(81)는 척 스위치(83)와 함께 스위치 기판(80)에 설치된다. 구동 스위치(81)가 온 되면 구동모터(M)가 회전하고, 그 회전력이 이송구동기어(91)를 통해 이송기어(14)로 전달되어 이송롤러(12)가 회전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선별레버(21,22)의 각각의 선단에는 하측으로 돌기(21-1,22-1)가 형성된다. 케이스(3)의 인입구(9)로 인입되는 디스크의 외주면은 한 쌍의 선별레버(21,22)의 돌기(21-1,22-1)에 접촉하게 된다.
중간링크(2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선별레버(21,22)의 사이에 설치되며, 한 쌍의 선별레버(21,22)의 선회에 따라 일측으로 이동한다. 중간링크(25)의 제1단은 좌측 선별레버(21)에 연결되며, 중간링크(25)의 제2단은 우측 선별레버(22)에 연결된다. 이때, 한 쌍의 선별레버(21,22)가 디스크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중간링크(25)가 동일한 방향, 즉 도 4에서 좌측방향(화살표 A)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이를 위해 중간링크(25)의 제1단과 좌측 선별레버(21)가 연결되는 제1연결부(26)와 중간링크(25)의 제2단과 우측 선별레버(22)가 연결되는 제2연결부(27)는 제1 및 제2선별 회전축(21-2,22-2)을 연결하는 직선(L1)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중간링크(25)의 제1단과 좌측 선별레버(21)가 연결되는 제1연결부(26)는 제1선별 회전축(21-2)과 좌측 선별레버(21)의 돌기(21-1) 사이에 제1선별 회전축(21-2)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중간링크(25)의 제2단과 우측 선별레버(22)가 연결되는 제2연결부(27)는 제2선별 회전축(22-2)에서 우측 선별레버(22)의 돌기(22-1)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22-3)에 형성된다. 제1연결부(26)는 좌측 선별레버(21)에 형성된 제1핀(26a)과 중간링크(25)의 제1단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26b)으로 형성된다. 제2연결부(27)는 우측 선별레버(22)에 형성된 제2핀(27a)과 중간링크(25)의 제2단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27b)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관통공(26a,27b)은 제1 및 제2핀(26a,26b)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및 우측 선별레버(21,22)는 중간링크(25)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연결링크(29)는 한 쌍의 선별레버(21,22)에 연동하여 이동하여 소경 로딩레버(40)의 위치를 결정한다. 즉, 연결링크(29)는 소경 디스크(SD)가 인입되면, 소경 로딩레버(40)가 슬라이드 캠 유닛(60)과 간섭되는 제1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소경 로딩레버(40)가 슬라이드 캠(61)과 간섭되는 위치가 원위치인 경우에는 원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대경 디스크(LD)가 인입되면, 연결링크(29)는 소경 로딩레버(40)가 슬라이드 캠 유닛(60)과 간섭되지 않는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연결링크(29)는 케이스(3)에 의해 지지되며 우측 선별레버(22)에 의해 직선 이동만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연결링크(29)의 제1단 부근에는 관통홀(29-1)이 형성되고, 제2단 부근에는 제2안내홈(29-2)이 형성된다. 관통홀(29-1)은 우측 선별레버(22)의 도그(28) 아래 쪽에 형성된 연결돌기(28-1)가 삽입되어, 우측 선별레버(22)가 최대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연결돌기(28-1)가 연결링크(29)를 디스크 삽입방향(즉, 도 4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관통홀(29-1)은 우측 선별레버(22)가 소경 디스크(SD)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에는, 즉 최대로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결링크(29)를 상측으로 이동시키지 않도록 형성된다. 연결링크(29)의 제2안내홈(29-2)은 소경 로딩레버(40)의 제2안내핀(41)이 삽입되며, 연결돌기(28-1)에 의해 연결링크(29)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소경 로딩레버(40)를 도 4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소경 로딩레버(40)가 슬라이드 캠(61)과 간섭되지 않는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제2안내홈(29-2)은 제1안치부(B1, 도 7 참조), 제2안치부(B2, 도 7 참조), 및 제1안치부(B1)와 제2안치부(B2)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소경 로딩레버(40)의 제2안내핀(41)이 제1안치부(B1)에 있으면 소경 로딩레버(40)의 노우즈(43-1, 도 8 참조)가 슬라이드 캠(61)과 간섭되는 제1위치에 있게 되고, 제2안내핀(41)이 제2안치부(B2)에 위치하면 노우즈(43-1)가 슬라이드 캠(61)과 간섭되지 않는 제2위치에 있게 된다.
한 쌍의 가이드 암(30)은 로딩되는 디스크에 의해 소경 로딩레버(40) 및 대경 로딩레버(50)를 작동시켜 슬라이드 캠(61)이 직선 이동하도록 한다. 한 쌍의 가이드 암(30)은 척 유닛(70)의 위쪽에 설치되며, 좌측 가이드 암(31)과 우측 가이드 암(32)을 포함한다. 좌측 가이드 암(31)은 케이스(3)에 고정되는 제1암 회전축(31-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좌측 가이드 암(31)의 일단에는 디스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암 돌기(31-1)가 형성된다.
우측 가이드 암(32)은 케이스(3)에 고정되는 제2암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1 및 제2암 회전축(31-2,32-2)은 척 유닛(70)의 중심선(CL)에 대해 대칭으로 설치된다. 우측 가이드 암(32)의 일단에는 디스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암 돌기(32-2)가 형성된다. 좌측 및 우측 가이드 암(31,32)의 암 돌기(31-1,32-1)는 동시에 디스크에 접촉하도록 척 유닛(70)의 중심선(CL)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좌측 및 우측 가이드 암(31,32)의 상측 표면에는 대경 로딩레버(50)와의 마찰을 최소로 하기 위해 선형 돌기(39)를 형성할 수 있다. 우측 가이드 암(32)에는 소경 로딩레버(40)를 작동시키는 제1안내홈(35)이 형성된다. 또한, 우측 가이드 암(32)에는 제2암 회전축(32-2)과 제2암 연결부(57)를 연결하는 직선과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직선상에 스톱 돌기(37)가 설치된다. 우측 가이드 암(32)의 스톱 돌기(37)는 슬라이드 캠(61)의 스톱 벽(69)과 접촉하여 소경 디스크(SD)의 위치를 규제한다. 소경 디스크(SD)가 스톱 돌기(37)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 경우, 소경 디스크(SD)의 중심과 척 유닛(70)의 중심이 일치하여 센터링이 완료된다. 그러나, 대경 디스크(LD)가 삽입되어 한 쌍의 가이드 암(30)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스톱 돌기(37)는 슬라이드 캠(61)의 스톱 벽(69)과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우측 가이드 암(32)의 스톱 돌기(37)가 슬라이드 캠(61)의 제2이격홈(65)에 삽입되면, 우측 가이드 암(32)이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더 회전하게 된다.
소경 로딩레버(40)는 한 쌍의 가이드 암(30)과 디스크 선별유닛(20) 사이에 우측 가이드 암(32)의 상측으로 설치된다. 소경 로딩레버(40)의 일단은 한 쌍의 가이드 암(30) 중의 한 개의 가이드 암(32)에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한 쌍의 가이드 암(30) 중 우측 가이드 암(32)에 연결되어 있다. 소경 로딩레버(40)의 일단에는 제1안내핀(42)이 형성되고, 제1안내핀(42)은 우측 가이드 암(32)에 형성된 제1안내홈(35)에 삽입되어 있다. 소경 로딩레버(40)의 타단은 직선 이동할 수 있는 연결링크(29)에 연결되어 있다. 소경 로딩레버(40)의 타단에는 연결링크(29)의 제2안내홈(29-2)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제2안내핀(41)이 형성된다. 또한, 소경 로딩레버(40)의 타단에는 제2안내핀(41)에 인접한 곳에 슬라이드 캠(61)의 소경 접촉부(62)를 가압할 수 있는 제1가압돌기(43)가 하측으로 돌출되는 노우즈(43-1)가 형성된다. 제1가압돌기(43)로는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롤러 형상의 부시 또는 보스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안내홈(35)은 소경 로딩레버(40)의 제1안내핀(42)을 안내하여 소경 로딩레버(40)가 우측 가이드 암(32)의 회전에 따라 제2안내핀(4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크가 인입되어 한 쌍의 가이드 암(30)을 회전시키면, 소경 로딩레버(40)도 제2안내핀(41)을 중심으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대경 로딩레버(50)는 한 쌍의 가이드 암(30) 상측에 설치된다. 대경 로딩레버(50)는 소경 로딩레버(40)와 동일 높이, 즉 동일한 평면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로딩장치(5)는 2층 구조로 형성된다. 즉, 연결링크(29), 한 쌍의 가이드 암(30)이 1층을 형성하고, 소경 로딩레버(40) 및 대경 로딩레버(50)가 한 쌍의 가이드 암(30)의 상측에 위치하여 2층을 형성한다. 또한, 디스크 선별유닛(20)의 중간링크(25)와 도그(28)는 대경 로딩레버(50) 및 소경 로딩레버(40)와 동일한 평면상에 설치된다.
대경 로딩레버(50)는 한 쌍의 가이드 암(30)의 회전에 의해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가이드 암(30)에 연결된다. 따라서, 한 쌍의 가이드 암(30)의 각각의 일단은 디스크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한 쌍의 가이드 암(30)의 각각의 타단은 대경 로딩레버(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대경 디스크(LD)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암(30)의 일단을 가압하면, 한 쌍의 가이드 암(30)은 대경 로딩레버(50)를 슬라이드 캠 유닛(60) 쪽으로 이동시킨다.
한 쌍의 가이드 암(30)이 디스크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도 대경 로딩레버(50)가 한쪽 방향, 즉 도 4에서 우측방향(화살표 D)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이를 위해 대경 로딩레버(50)의 제1단과 좌측 가이드 암(31)이 연결되는 제1암 연결부(56)와 대경 로딩레버(50)의 제2단과 우측 가이드 암(32)이 연결되는 제2암 연결부(57)는 제1 및 제2암 회전축(31-2,32-2)을 연결하는 직선(L2)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대경 로딩레버(50)의 제1단과 좌측 가이드 암(31)이 연결되는 제1암 연결부(56)는 제1암 회전축(31-2)과 인접한 부근에 형성된다. 대경 로딩레버(50)의 제2단과 우측 가이드 암(32)이 연결되는 제2암 연결부(57)는 제2암 회전축(32-2)에 인접한 부근에 상기 제1암 연결부(56)와 반대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제1암 연결부(56)는 좌측 가이드 암(31)에 형성된 제1핀(56a)과 대경 로딩레버(50)의 제1단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56b)으로 형성된다. 제2암 연결부(57)는 우측 가이드 암(32)에 형성된 제2핀(57a)과 대경 로딩레버(50)의 제2단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57b)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관통공(56b, 57b)은 제1 및 제2핀(56a, 57a)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및 우측 가이드 암(31,32)은 대경 로딩레버(5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슬라이드 캠 유닛(60)과 인접한 대경 로딩레버(50)의 제2단에는 제2가압돌기(51)가 형성된다. 제2가압돌기(51)는 슬라이드 캠(61)의 대경 접촉부(64)와 접촉하도록 대경 로딩레버(50)의 제2단 부근에서 아래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슬라이드 캠(61)의 대경 접촉부(64)와의 마찰을 최소로 하기 위해 제2가압돌기(51)는 롤러 형상의 부시 또는 보스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캠 유닛(60)은 슬라이드 캠(61)과 캠 지지부재(99, 도 3 참조)를 포함한다. 캠 지지부재(99)는 슬라이드 캠(61)이 대경 로딩레버(50) 또는 소경 로딩레버(40)에 의해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캠 지지부재(99)는 케이스(3)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캠 지지부재(99)에는 슬라이드 캠(61)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구동모터(M)의 동력을 이송롤러(14)로 전달하는 기어열(90)이 설치되며, 기어열(90)의 끝단에는 이송유닛(10)의 이송기어(14)와 맞물리는 이송구동기어(91)가 설치된다.
슬라이드 캠(61)은 대경 로딩레버(50) 또는 소경 로딩레버(40)에 의해 이동하여, 스위치 기판(80)에 설치된 척 스위치(83)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드 캠(61)의 측면에는 기어열(90)의 캠 기어(96)와 치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랙 기어(66)가 형성된다. 슬라이드 캠(61)의 상면에는 소경 로딩레버(40)와 접촉하는 소경 접촉부(62)와 대경 로딩레버(50)와 접촉하는 대경 접촉부(64)가 형성된다. 대경 접촉부(64)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대경 로딩레버(50)의 제2가압돌기(51)가 경사면을 밀 때, 슬라이드 캠(61)은 약 2mm 정도 이동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대경 접촉부(64)의 뒤쪽으로는 슬라이드 캠(61)과 나란하게 우측 가이드 암의 스톱 돌기(37)와 제2가압돌기(51)가 삽입될 수 있는 제2이격홈(65)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 가이드 암(32)의 스톱돌기(37)가 제2이격홈(65)에 삽입되면, 한 쌍의 가이드 암(30)의 암 돌기(31-1,32-1)가 디스크에서 이격된다. 또한, 소경 접촉부(62)의 뒤쪽으로 슬라이드 캠(61)과 나란하게 소경 로딩레버(40)의 제1가압돌기(43)가 삽입될 수 있는 제1이격홈(63)이 형성되어 있다. 소경 로딩레버(40)의 제1가압돌기(43)가 제1이격홈(63)에 삽입되면 한 쌍의 가이드 암(30)의 암 돌기(31-1,32-1)가 디스크에서 이격된다.
슬라이드 캠(61)의 선단에는 이송유닛(10)의 회전축(13)을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축 가압부(67)가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캠(61)이 이동하여 축 가압부(67)가 회전축(13)을 가압하면 회전축(13)이 축 가압부(67)를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송롤러(12)가 디스크로부터 이격된다.
척 유닛(70)은 슬라이드 캠(61)에 의해 척 스위치(83)가 온 되면, 척 유닛(70)과 센터링된 디스크를 척킹한다. 척 유닛(70)은 마그네틱 척킹 방식에 의해 디스크를 척킹할 수 있다. 여기서 척 유닛(70)은 마그네틱 척킹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크를 척킹할 수 있는 방식이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크 로딩장치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로딩장치(5)는 2 종류의 디스크를 로딩할 수 있다. 즉, 소경 디스크(SD)(예를 들면, 지름 8cm의 디스크)와 대경 디스크(LD)(예를 들면, 지름 12cm의 디스크)의 2 종류의 디스크를 척 유닛(70)의 중심에 센터링하여 척킹할 수 있다.
먼저, 디스크 로딩장치(5)가 대경 디스크(LD)를 로딩하는 동작에 대해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는 대경 디스크(LD)를 삽입하기 전의 디스크 로딩장치(5)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소경 로딩레버(40)는 슬라이드 캠(61)과 간섭되는 제1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디스크 선별유닛(20)의 우측 선별레버(22)의 도그(28)는 구동 스위치(81)와 접촉하고 있으며, 이송유닛(10)의 이송롤러(12)는 정지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LD)를 삽입하면, 좌측 및 우측 선별레버(21,22)가 회전하게 된다. 우측 선별레버(22)가 회전하면 도그(28)가 회전하여 구동 스위치(81)를 벗어나게 된다. 그러면, 구동 스위치가 온 되어 구동모터(M)가 동작하게 된다. 구동모터(M)가 동작하면 기어열(90)을 통해 이송유닛(10)의 이송롤러(12)가 회전하게 된다. 이송롤러(12)가 회전하면, 삽입된 디스크(LD)는 이송롤러(12)에 의해 자동으로 척 유닛(70)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디스크(LD)가 이동하여 디스크(LD)의 중심부(즉, 디스크(LD)의 최대폭)가 한 쌍의 선별레버(21,22)의 돌기(21-1,22-1)와 접촉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선별레버(21,22)는 최대로 회전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연결링크(29)의 관통홀(29-1)에 삽입되어 있는 도그(28)의 연결돌기(28-1)가 연결링크(29)를 디스크 삽입방향(화살표 B)으로 이동시킨다. 연결링크(29)가 디스크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링크(29)의 제2안내홈(29-2)의 제1안치부(B1)에 삽입되어 있는 소경 로딩레버(40)의 제2안내핀(41)이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여 제2안내홈(29-2)의 제2안치부(B2)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소경 로딩레버(40)가 좌측방향(화살표 C)으로 이동하여, 노우즈(43-1)가 슬라이드 캠(61)과 간섭되지 않는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LD)가 이동하면, 도 9와 같이 디스크(LD)의 외주면이 한 쌍의 가이드 암(30)의 암 돌기(31-1,32-1)와 접촉하게 된다. 계속해서 디스크(LD)가 이동하면, 한 쌍의 가이드 암(30)이 디스크(LD)에 의해 제1 및 제2암 회전축(31-2,3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 쌍의 가이드 암(31,32)이 회전하면, 도 10과 같이 대경 링크레버(50)가 우측 방향(화살표 D)으로 이동한다. 대경 링크레버(5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대경 링크레버(50)의 제2가압돌기(51)가 슬라이드 캠(61)의 대경 접촉부(64)와 접촉하게 된다. 대경 링크레버(50)가 계속 우측으로 이동하면, 제2가압돌기(51)에 의해 슬라이드 캠(61)이 디스크 삽입방향과 반대방향(화살표 E, 도 10의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드 캠(61)의 이동거리는 대경 링크레버(50)와 대경 접촉부(64)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슬라이드 캠(61)은 약 2mm 정도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대경 로딩레버(50)가 최대로 이동한 상태가 되면 대경 디스크9LD)의 중심이 척 유닛(70)의 중심과 일치하게 된다.
슬라이드 캠(61)이 2mm 정도 이동하면, 슬라이드 캠(61)의 랙 기어(66)가 기어열(90)의 캠 기어(96)와 맞물리게 된다. 그러면, 슬라이드 캠(61)은 구동모터(M)의 동력에 의해 계속 도 10의 아래 방향(화살표 E)으로 이동하여, 가압부(68)가 척 스위치(83)를 작동시키게 된다. 척 스위치(83)가 작동하면, 척 유닛(70)이 작동하여 디스크(LD)를 척킹한다. 그 후, 우측 가이드 암(32)의 스톱 돌기(37)가 슬라이드 캠(61)의 제2이격홈(65)에 삽입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암(30)이 소정 각도 더 회전하여 암 돌기(31-1,32-1)가 디스크(LD)의 외주면에서 이격된다. 또한, 슬라이드 캠(61)의 축 가압부(67)에 의해 이송롤러(12)의 회전축(13)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어 디스크(LD)와 이송롤러(12)가 이격된다. 그러면, 디스크(LD)는 척 유닛(70)에 의해 간섭없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픽업유닛(7, 도 4 참조)이 한 쌍의 가이드 암(30)의 회전영역과 간섭되지 않는 영역(Z)에서 이동하므로 픽업유닛(7)이 한 쌍의 가이드 암(30)에 의해 간섭되거나 충돌할 염려가 없다.
다음으로, 디스크 로딩장치(5)가 소경 디스크(SD)를 로딩하는 동작에 대해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에는 소경 디스크(SD)를 삽입하기 전의 디스크 로딩장치(5)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소경 로딩레버(40)는 슬라이드 캠(61)과 간섭되는 제1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경 로딩레버(50)는 슬라이드 캠(61)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있으며, 디스크 선별유닛(20)의 우측 선별레버(22)의 도그(28)는 구동 스위치(81)와 접촉하고 있으며, 이송유닛(10)의 이송롤러(12)는 정지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SD)를 삽입하면, 좌측 및 우측 선별레버(21,22)가 회전하게 된다. 우측 선별레버(22)가 회전하면 도그(28)가 회전하여 구동 스위치(81)를 벗어나게 된다. 그러면, 구동 스위치(81)가 온 되어 구동모터(M)가 동작하게 된다. 구동모터(M)가 동작하면 기어열(90)을 통해 이송유닛(10)의 이송롤러(12)가 회전하게 된다. 이송롤러(12)가 회전하면, 삽입된 디스크(SD)는 이송롤러(12)에 의해 자동으로 척 유닛(70)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디스크(SD)가 이동하여 최대 폭을 갖는 디스크(SD)의 중심부가 한 쌍의 선별레버(21,22)의 돌기(21-1,22-1)와 접촉하여도 한 쌍의 선별레버(21,22)는 작은 각도만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소경 디스크(SD)의 중심부가 한 쌍의 선별레버(21,22)의 돌기(21-1,22-1)와 접촉하여도 한 쌍의 선별레버(21,22)는 척 유닛(70)의 중심선(CL)에 대해 대략 평행한 위치까지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우측 선별레버(22)가 척 유닛(70)의 중심선(CL)에 대략 평행한 정도로만 회전하면, 도그(28)에 형성된 연결돌기(28-1)는 연결링크(29)의 관통홀(29-1) 내에서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우측 선별레버(22)가 소경 디스크(SD)에 의해 회전하여도 연결링크(29)가 디스크 삽입방향(화살표 B)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연결링크(29)가 이동하지 않으므로, 소경 로딩레버(SD)도 슬라이드 캠(61)과 간섭되는 제1위치에 그대로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SD)가 이동하면, 도 13과 같이 디스크(SD)의 외주면이 한 쌍의 가이드 암(30)의 암 돌기(31-1,32-1)와 접촉하게 된다. 계속해서 디스크(SD)가 이동하면, 한 쌍의 가이드 암(30)이 디스크(SD)에 의해 제1 및 제2암 회전축(31-2,3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 쌍의 가이드 암(30)이 회전하면, 도 14와 같이 우측 가이드 암(32)의 제1안내홈(35)에 삽입된 소경 로딩레버(40)의 제1안내핀(42)에 의해 소경 로딩레버(40)가 제2안내핀(41)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소경 로딩레버(40)의 제1가압돌기(43)가 슬라이드 캠(61)의 소경 접촉부(62)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캠(61)이 디스크 삽입방향의 반대방향(화살표 E)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 암(30)에 의해 대경 링크레버(50)가 우측 방향(화살표 D)으로 이동한다.
디스크(SD)의 삽입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암(30)이 더 회전하면, 우측 가이드 암(32)에 형성된 스톱 돌기(37)가 슬라이드 캠(61)의 스톱 벽(69)과 접촉하게 되어 한 쌍의 가이드 암(30)의 회전이 차단된다. 이때, 소경 디스크(SD)의 중심이 척 유닛(70)의 중심과 일치하게 된다.
슬라이드 캠(61)의 이동거리는 소경 링크레버(40)의 회전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소경 링크레버(40)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캠(61)이 약 2mm 정도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드 캠(61)이 2mm 정도 이동하면, 슬라이드 캠(61)의 랙 기어(66)가 기어열(90)의 캠 기어(96)와 맞물리게 된다. 그러면, 슬라이드 캠(61)은 구동모터(M)의 동력에 의해 계속 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하여 척 스위치(83)를 작동시키게 된다. 척 스위치(83)를 작동시킨 후의 동작은 상술한 대경 디스크(LD)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로딩장치(5)에 의하면, 디스크의 크기에 따라 슬라이드 캠(61)을 동작시키는 대경 로딩레버(50)와 소경 로딩레버(40)가 한 쌍의 가이드 암(30)의 상측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설치되므로, 디스크를 로딩하는 구조가 대경 로딩레버(50)와 소경 로딩레버(40)가 위치한 층과 한 쌍의 가이드 암(30)이 위치하는 층으로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로딩장치(100)의 3층 구조에 비해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로딩장치(5)는 픽업유닛(7)이 이동하는 영역(Z)에 픽업유닛(7)과 간섭되는 위치에 디스크 로딩장치(5)의 구성요소가 없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1; 디스크 장치 3; 케이스
5; 디스크 로딩장치 9; 인입구
10; 이송유닛 11; 지지부재
12; 이송롤러 20; 디스크 선별유닛
21,22; 선별레버 25; 중간링크
28; 도그 29; 연결링크
30,31,32; 가이드 암 35; 제1안내홈
37; 스톱 돌기 40; 소경 로딩레버
41; 제2안내핀 42; 제1안내핀
43; 제1가압돌기 50; 대경 로딩레버
51; 제2가압돌기 60; 슬라이드 캠 유닛
61; 슬라이드 캠 62; 소경 접촉부
64; 대경 접촉부 66; 랙 기어
70; 척 유닛 80; 스위치 기판
90; 기어열

Claims (16)

  1. 인입 디스크의 크기에 대응하는 선회 각도로 회전하는 디스크 선별유닛;
    상기 디스크 선별유닛과 이격되며, 상기 인입 디스크에 의해 접촉될 때 선회하는 좌측 및 우측 가이드 암;
    상기 우측 가이드 암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소경 로딩레버;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암의 이동에 의해 이동하는 대경 로딩레버;
    상기 소경 로딩레버 또는 상기 대경 로딩레버의 이동에 의해 이동하는 슬라이드 캠 유닛;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암과 상기 디스크 선별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인입 디스크를 척킹하는 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소경 로딩레버와 상기 대경 로딩레버는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암 상측으로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선별유닛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인입 디스크를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암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디스크 선별유닛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인입 디스크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는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된 한 쌍의 테이퍼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선별유닛은,
    상기 인입 디스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1단과 제2단을 각각 포함하는 좌측 및 우측 선별레버;
    상기 좌측 및 우측 선별레버 각각의 제2단에 연결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선별레버의 선회에 따라 일측으로 이동하는 중간링크; 및
    상기 소경 로딩레버와 상기 우측 선별레버 사이에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우측 선별레버의 동작을 상기 소경 로딩레버로 전달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디스크가 소경 디스크이면, 상기 선별레버와 상기 연결링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소경 로딩레버는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과 간섭되는 제1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인입 디스크가 대경 디스크이면, 상기 소경 로딩레버는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과 간섭되지 않는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가이드 암의 제1단과 상기 우측 가이드 암의 제1단은 각각 상기 인입 디스크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상기 좌측 가이드 암의 제2단과 상기 우측 가이드 암의 제2단은 각각 상기 대경 로딩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인입 디스크가 상기 좌측 가이드 암의 제1단과 상기 우측 가이드 암의 제1단을 가압하면,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암은 상기 대경 로딩레버가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 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가이드 암과 상기 대경 로딩레버가 연결되는 제1암 연결부와 상기 우측 가이드 암과 상기 대경 로딩레버가 연결되는 제2암 연결부는, 상기 좌측 가이드 암의 회전중심과 상기 우측 가이드 암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은,
    상기 소경 로딩레버와 접촉하는 소경 접촉부; 및
    상기 대경 로딩레버와 접촉하는 대경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 접촉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대경 로딩레버는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디스크가 대경 디스크이면, 상기 대경 로딩레버가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을 직선 이동시키고,
    상기 인입 디스크가 소경 디스크이면, 상기 소경 로딩레버가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을 직선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가이드 암은 스톱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톱 돌기가 상기 슬라이드 캠과 접촉하면, 상기 스톱 돌기는 상기 가이드 암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디스크가 소경 디스크일 때, 상기 스톱 돌기는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우측 가이드 암의 선회 각도를 제한하고,
    상기 인입 디스크가 대경 디스크일 때, 상기 스톱 돌기는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과 접촉하지 않아 상기 우측 가이드 암의 선회를 제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 로딩레버와 상기 우측 가이드 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대경 로딩레버와 상기 우측 가이드 암이 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선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크가 상기 디스크 로딩장치로 인입되기 전에는, 상기 소경 로딩레버는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과 간섭되는 위치에 있고, 상기 대경 로딩레버는 상기 슬라이드 캠 유닛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6. 인입 디스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1단을 각각 포함하는 좌측 및 우측 선별 레버를 포함하는 디스크 선별유닛;
    상기 인입 디스크에 의해 접촉될 때 선회하는 좌측 및 우측 가이드 암;
    상기 우측 가이드 암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소경 로딩레버;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암의 이동에 의해 이동하는 대경 로딩레버;
    상기 우측 선별 레버와 상기 소경 로딩레버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암과 상기 연결 링크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상기 소경 로딩레버와 상기 대경 로딩레버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KR1020110000528A 2011-01-04 2011-01-04 디스크 로딩장치 KR101744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528A KR101744099B1 (ko) 2011-01-04 2011-01-04 디스크 로딩장치
EP11193368.5A EP2472516A3 (en) 2011-01-04 2011-12-13 Disk loading apparatus
US13/328,376 US8572637B2 (en) 2011-01-04 2011-12-16 Disk loading apparatus with small and large diameter loading levers
JP2011288197A JP5764487B2 (ja) 2011-01-04 2011-12-28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CN201210011849.XA CN102592624B (zh) 2011-01-04 2012-01-04 盘装载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528A KR101744099B1 (ko) 2011-01-04 2011-01-04 디스크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301A KR20120079301A (ko) 2012-07-12
KR101744099B1 true KR101744099B1 (ko) 2017-06-07

Family

ID=4531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528A KR101744099B1 (ko) 2011-01-04 2011-01-04 디스크 로딩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72637B2 (ko)
EP (1) EP2472516A3 (ko)
JP (1) JP5764487B2 (ko)
KR (1) KR101744099B1 (ko)
CN (1) CN102592624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4857A1 (en) 2005-09-26 2007-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disc loading apparatus of optical disc player
US20080229338A1 (en) 2007-03-12 2008-09-18 Takashi Yamanaka Clamping apparatus for a disc play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892952A (fr) * 1982-04-23 1982-08-16 Staar Sa Dispositif automatique pour tourne-disques de mise en position operative d'un disque.
KR100437111B1 (ko) * 2002-06-22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US6944873B2 (en) * 2003-10-08 2005-09-13 Ya Hong Electronics Co., Ltd. Slot-in type optical disk-loading apparatus usable with optical disks of two different standardize diameters
TWI267824B (en) * 2003-12-12 2006-12-01 Lite On It Corp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c loading operation in an optical disc drive
KR20060014612A (ko) * 2004-08-11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JP2006120278A (ja) * 2004-10-25 2006-05-11 Alpine Electronics Inc ディスク装置
US7634781B2 (en) * 2004-10-29 2009-12-15 Pioneer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driving device
JP2007157190A (ja) * 2005-11-30 2007-06-21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751892B2 (ja) * 2005-12-27 2011-08-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US7840972B2 (en) * 2006-02-16 2010-11-23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 Optical dis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882547B2 (ja) * 2006-06-29 2012-02-22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TWI325580B (en) * 2006-12-01 2010-06-01 Lite On It Corp Slot-in type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4857A1 (en) 2005-09-26 2007-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disc loading apparatus of optical disc player
US20080229338A1 (en) 2007-03-12 2008-09-18 Takashi Yamanaka Clamping apparatus for a disc p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2516A2 (en) 2012-07-04
EP2472516A3 (en) 2013-10-09
JP5764487B2 (ja) 2015-08-19
CN102592624B (zh) 2016-05-25
JP2012142073A (ja) 2012-07-26
US8572637B2 (en) 2013-10-29
CN102592624A (zh) 2012-07-18
US20120185882A1 (en) 2012-07-19
KR20120079301A (ko)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415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KR101106642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JP2003257109A (ja) ディスクのセンタリング装置
KR101744099B1 (ko) 디스크 로딩장치
US8127317B2 (en) Disc changer
EP1884945B1 (en) Loading mechanism and disk playback device using the loading mechanism
KR100598050B1 (ko) 디스크 로딩장치 및 디스크 로딩방법
KR100461297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US20230154495A1 (en) Optical disc drive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230154496A1 (en) Optical disc drive and electronic equipment
JP4201769B2 (ja) 光ディスク装置
US8499314B2 (en) Disc loading device to load different size discs
JP4278453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4232736B2 (ja) スロットイン型ディスク装置
KR20060014610A (ko) 디스크 이격장치 및 이를 포함한 디스크 플레이어
JP4936475B2 (ja) ディスク記録媒体処理装置
US8819709B2 (en) Disk loading apparatus for optical disk drive
JP5014275B2 (ja) ディスク検知機構
JP5929750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2011048891A (ja) 搬送中のディスクによって間隔が広げられる摺動部材を有するディスク装置
KR20060011144A (ko) 디스크 로딩어셈블리
JP2005302211A (ja)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2005302217A (ja) ディスク案内装置
JP2014130661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5302216A (ja) ディスク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