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687B1 - 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687B1
KR100742687B1 KR1020060014994A KR20060014994A KR100742687B1 KR 100742687 B1 KR100742687 B1 KR 100742687B1 KR 1020060014994 A KR1020060014994 A KR 1020060014994A KR 20060014994 A KR20060014994 A KR 20060014994A KR 100742687 B1 KR100742687 B1 KR 100742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diameter disk
small diameter
stat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040A (ko
Inventor
신이치 후지사와
사토루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42952A external-priority patent/JP42778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42973A external-priority patent/JP4315112B2/ja
Application filed by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15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adapted for discs of different siz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4Head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디스크의 어느 쪽도 자동 로딩해서 드라이브 가능해지도록 한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소직경 디스크의 반출시에 이 소직경 디스크가 베젤의 슬롯으로부터 노출해서 정지하는 위치를 크게 전진시키고, 이에 따라 소직경 디스크의 회수 조작이 용이해지고, 더군다나, 장착 대상이 되는 정보기기 등의 기구설계를 제한하지 않는 디스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디스크의 외주연을 지지해서 반송 가능해지도록 한 복수의 암에 의해 삽입된 디스크를 장치 내부에 반입하고, 또는 장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디스크를 장치 외부에 반출하도록 한 자동 로딩기구를 구비한 디스크 장치이며, 장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소직경 디스크의 자동 로딩기구에 의한 반출을 종료한 후, 상기 자동 로딩기구를 재차 작동시킴으로써, 소직경 디스크가 반출되어서 정지하는 위치를 전진시키도록 한다.
디스크 장치, 자동 로딩, 베젤, 슬롯, 암, 디스크

Description

디스크 장치{DISC DEVICE}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한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크 장치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디스크 장치의 구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로딩 슬라이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로딩 슬라이더와 가이드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동력전달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기어 드럼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랙 슬라이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대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1 행정도,
도 10은 대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2 행정도,
도 11은 대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3 행정도,
도 12는 대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4 행정도,
도 13는 대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5 행정도,
도 14는 대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6 행정도,
도 15는 대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7 행정도,
도 16은 대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1 행정도,
도 17은 대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2 행정도,
도 18은 대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3 행정도,
도 19는 대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4 행정도,
도 20은 대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5 행정도,
도 21은 대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6 행정도,
도 22는 대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7 행정도,
도 23은 소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1 행정도,
도 24는 소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2 행정도,
도 25는 소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3 행정도,
도 26은 소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4 행정도,
도 27은 소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5 행정도,
도 28은 소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6 행정도,
도 29는 소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7 행정도,
도 30은 소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1 행정도,
도 31은 소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2 행정도,
도 32는 소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3 행정도,
도 33은 소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4 행정도,
도 34는 소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5 행정도,
도 35는 소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6 행정도,
도 36은 소직경 디스크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제7 행정도,
도 37은 승강 프레임이 상승하는 행정을 설명하는 행정도,
도 38은 승강 프레임이 가공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행정도,
도 39는 기어 드럼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0은 대직경 디스크의 반송시의 암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행정도,
도 41은 로딩 암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행정도,
도 42는 로딩 슬라이더와 종동 핀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행정도,
도 43은 록 레버가 기능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행정도,
도 44는 반출시에 디스크의 정지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5는 본 발명을 실시한 디스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6은 본 발명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47은 본 발명을 실시한 디스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8은 대직경 디스크의 로딩에 있어서의 신호 생성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9는 소직경 디스크의 로딩에 있어서의 신호 생성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0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1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2는 종래의 디스크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3은 종래의 디스크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4는 불량 발생시의 신호 생성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삭제
1: 디스크 장치 2: 섀시 케이스
3: 베젤 6: 베이스 패널
7: 승강 프레임 8: 완충 지지구조
9: 클램프 헤드 10: 턴테이블
11: 스핀들 모터 12: 광 픽업
13: 캐리어 블록 14: 가이드 샤프트
15: 가이드 샤프트 16: 스레드 모터
17: 기어 트레인 18: 스크류 샤프트
19: 디스크 지지 아암 21: 홀더
22: 로딩 암 24: 링크 레버
25, 27, 29: 가이드 암 31: 인장 코일스프링
33: 링크 레버 35: 가이드 암
37: 록 레버 39: 와이어 스프링
40: 스토퍼 41: 리드 와이어
42: 레버 암 43: 로딩 슬라이더
45: 제1 회전부재 47: 제2 회전부재
48: 종동 슬라이더 49: 가이드 플레이트
51: 제3 회전부재 52: 링크 와이어
53: 인장 코일스프링 54: 링크암
55: 연결부재 56: 인장 코일스프링
60: 리미트 스위치 62: 롤러 지지판
63: 인장 코일스프링 64: 더블 롤러
65: 랙 슬라이더 66: 로딩 모터
67: 웜 기어 71: 클램프 해제핀
D1: 대직경 디스크 D2: 소직경 디스크
LS1 : 리미트 스위치 LS2: 리미트 스위치
본 발명은, 각종 컴퓨터 시스템 등의 정보기기에 있어서, 대량의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매체로서의 광 디스크(예를 들면, CD-R/RW, DVD-R/-RW/RAM/+R/+RW 등)을 드라이브하는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스널 컴퓨터(이하, 퍼스컴이라고 함) 등에 내장되어 있는 디스크 장치는, 보통, 디스크를 장전하는 디스크 트레이를 구비하고 있고, 이 디스크 트레이가 전진 후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트레이에 장전된 디스크는, 디스크 장치 본체내에서 드라이브되어,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진다.
한편, 디스크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서, 소위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도 많이 사용되는 경향에 있고, 퍼스컴의 박형화, 소형화에 적합한 것으로 되고 있다. 이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는, 장치 본체에의 디스크의 반입(로드)/반출(언로드)에 디스크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조작자가 디스크의 과반을 슬롯에 삽입하면, 이후, 장치본체의 로딩기구가 작동해서 자동적으로 반입되도록 하고 있다.
도 52 및 도 53은, 종래의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에서의 로딩기구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디스크 D를 조작자가 삽입하면, 디스크 D는 제1 회전체(100)의 선단의 핀(100a) 및 좌우의 가이드체(101,102), 그리고 도중에 제2 회전체(103)의 선단의 핀(103a)에 의해 높이방향과 좌우 위치가 규제되면서 도 52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도달한다.
이 때, 제1 회전체(100)는, 디스크 D에 의해 선단의 핀(100a)이 눌려서 화살표 100A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제2 회전체(103)도 디스크 D에 의해 선단의 핀(103a)이 눌려서 화살표 103A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스위치 레버(104)가 제2 회전체(103)의 단부에 눌려서 화살표 104A 방향으로 회전하고, 검출 스위치(105)를 작동한다.
상기 검출 스위치(105)가 작동하면 구동 수단(106)이 시동하고, 제1 슬라이드 부재(107)의 화살표 107A 방향으로의 이동이 개시된다. 이 제1 슬라이드 부재(107)와 제2 슬라이드 부재(108)는, 각 선단이 슬라이드 연결 부재(109)로 연결되어, 이 슬라이드 연결 부재(109)가 핀(110)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1 슬라이드 부재(107)의 후퇴에 동기해서 제2 슬라이드 부재(108)가 화살표 108A 방향으로 전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슬라이드 부재(107)가 후퇴를 시작하면, 이 슬라이드 부재(107)에 한쪽 지지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제1 회전체(100)는 제1 슬라이드 부재(107)의 캠 홈(107a)에서 종동 핀(100b)이 안내되므로, 지점(100c)을 중심으로 화살표 100B 방향으로 회전체(10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 회전체(100)의 선단의 핀(100a)이 디스크 D를 디스크 위치 결정 부재(111)의 핀(111a,11lb)에 접촉할 때까지 화살표 107A 방향으로 반송한다.
이 때, 제2 회전체(103)의 핀 103a는 화살표 103A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2 회전체(103)의 핀 103a는, 제1 회전체(100)의 선단의 핀 100a와 동기해서 디스크 D를 지지한 채 화살표 103A 방향으로 이동하고, 디스크 D가 디스크 위치 결정 부재(111)의 핀 111a, 111b에 접촉한 후는, 디스크 D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상은 장치 내부에 디스크 D를 반입할 경우의 로딩기구의 동작 형태이지만, 디스크 D를 장치 외부에 반출할 경우의 로딩기구는, 상기와 역동작 형태가 된다. 즉, 도 5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크 D가 장치 내부에서 정위치에 있을 때, 반출의 지시에 의거하여, 구동 수단(106)이 역전 방향으로 시동되면, 제1 슬라이드 부재(107)가 화살표 107B 방향으로 전진을 시작하고, 슬라이드 연결 부재(109)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슬라이드 부재(108)가 동기해서 화살표 108B방향으로 후퇴를 시작한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체(100)는 화살표 100A 방향으로, 그리고 제2 회전체(103)는 화살표 103B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각각의 선단의 핀(100a,103a)에 의해 디스크 D가 지지되어서 장치 외부에 반출되게 된다.
이때, 장치 내부에 반입된 디스크 D는, 정위치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클램프 헤드(112)에 클램프 되도록 하고 있다. 이 클램프 헤드(112)는, 스핀들 모터(114)의 구동축에 고정된 턴테이블(113)과 일체화되고 있어, 또한 상기 스핀들 모터(114)는, 프레임 부재(도시 생략)에 설치되고, 이 프레임 부재를 승강 기구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 2002-117604호 공보
이렇게 구성된 디스크 장치에서는, 제1 회전체(100)와 제2 회전체(103)가 협동적으로 동작하도록 하기 때문에, 제1 슬라이드 부재(107)와 제2 슬라이드 부재(108)를 슬라이드 연결 부재(109)로 연결하고, 그 전진 후퇴가 동기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제1 회전체(100)와 제2 회전체(103)의 각각의 선단의 핀(100a,103a)의 반송과정에서의 위치는, 특정한 직경의 디스크의 외주연을 기준으로 하여서 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디스크 장치에서 사용되는 규격으로 정해져 있는 디스크는, 12cm 디스크와 8cm 디스크로 일반적으로 호칭되고, 12cm가 가장 범용성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 트레이 방식의 디스크 장치에서 이러한 직경이 다른 디스크의 드라이브는, 디스크 트레이에 형성된 홈에 대응하는 디스크를 장전하는 것만으로 가능해지지만,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기구의 디스크 장치는, 제1 회전체(100)와 제2 회전체(103)의 회전 범위는, 12cm 디스크의 반송에 대응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8cm 디스크의 반송은 전혀 불가능해서, 이것을 드라이브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디스크의 드라이브가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고, 더군다나, 반출시에 소직경 디스크의 회수 조작성을 향상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종류의 디스크 중 어느 쪽이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추고, 더군다나, 소직경 디스크의 반송에 따르는 불량을 해결하도록 한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하에 서술하는 각 수단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했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디스크의 외주연을 지지해서 반송 가능해지도록 한 복수의 암에 의해 삽입된 디스크를 장치 내부에 반입하고, 또는 장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디스크를 장치 외부에 반출하도록 한 자동 로딩기구를 구비한 디스크 장치이며, 장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소직경 디스크의 자동 로딩기구에 의한 반출을 종료한 후, 상기 자동 로딩기구를 재차 작동시킴으로써, 소직경 디스크가 반출되어서 정지하는 위치를 전진시키도록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디스크의 외주연을 지지해서 반송 가능해지도록 한 복수의 암에 의해 삽입된 디스크를 자동 로딩에 의해 장치 내부에 반입하고, 또는 장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디스크를 장치 외부에 반출하도록 한 디스크 장치이며, 대직경 디스크 또는 소직경 디스크를 베젤의 슬롯으로부터 삽입할 때, 상기 디스크의 외주연에 가압되어서 연동하는 암에 의해 작동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 상태에 의거해서 대직경 디스크 또는 소직경 디스크가 삽입된 것을 판단한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 상태에 의거하여, 대직경 디스크를 반입할 경우와 소직경 디스크를 반입할 경우로, 자동 로딩의 시작의 조건을 다르게 하도록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디스크의 외주연을 지지해서 반송 가능해지도록 한 복수의 암에 의해 삽입된 디스크를 자동 로딩에 의해 장치 내부에 반입하고, 또는 장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디스크를 장치 외부에 반출하도록 한 디스크 장치이며, 대직경 디스크 또는 소직경 디스크를 베젤의 슬롯으로부터 삽입할 때, 상기 디스크의 외주연에 가압되어서 연동하는 암에 의해 작동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 상태에 의거해서 소직경 디스크의 자동 로딩의 가부를 판단한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소직경 디스크의 자동 로딩을 계속하는 조건에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 상태가 일치하지 않을 때, 자동 로딩을 담당하는 기구를 역전하고, 소직경 디스크를 장치 외부에 반출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요지에 관련되는 구성을 포함시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한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실드 상태로 구성된 섀시 케이스(2)의 천장판의 중앙에 개구(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2a)의 가장자리 부분에 내부로 돌출하는 볼록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섀시 케이스(2)의 전단에는 베젤(3)이 고정되어 있고, 이 베젤(3)에는, 12cm 디스크(이하, 대직경 디스크라고 한다) D1 및 8cm 디스크(이하, 소직경 디스크라고 한다) D2를 삽입하는 슬롯(3a)과, 이머전시 해제를 위한 통공(3b,3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젤(3)에는, 수용되어 있는 대직경 디스크 D1 또는 소직경 디스크 D2를 장치 외부에 반출시키기 위한 푸쉬 버튼(4) 및 디스크 장치(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5)를 구비한다.
도 2는, 상기 섀시 케이스(2)의 천장판 부분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로, 이 섀시 케이스(2)내에는 베이스 패널(6)이 설치되어 있고, 그 중앙으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으로의 배치 상태에서 대직경 디스크 D1 및 소직경 디스크 D2의 구동 유닛 A가 설치된다. 이 구동 유닛 A는, 대직경 디스크 D1 및 소직경 디스크 D2의 중심구멍 D1a, D2a를 클램프 또는 클램프되어 있는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프론트 베젤(3)측을 지축으로 하여 장치 중앙에 위치하는 후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해지도록 한 승강 프레임(7)이 기지의 완충 지지구조(8)에 의해 복수의 부분에서 베이스 패널(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승강 프레임(7)의 선단에는, 반입되어서 정지한 대직경 디스크 D1 또는 소직경 디스크 D2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클램프 헤드(9)가 배치된다. 이 클램프 헤드(9)는 턴테이블(10)과 일체로 구성되고, 바로 아래에 배치한 스핀들 모터(11)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있고, 이 스핀들 모터(11)에 의해 클램프 헤드(9)의 척 갈고리(9a)에 클램프 된 대직경 디스크 D1 또는 소직경 디스크 D2를 회전 구동해서 드라이브하고,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진다.
부호 B는 승강 프레임(7)에 지지된 헤드 유닛이며, 광 픽업(12)을 대직경 디스크 D1, 소직경 디스크 D2의 직경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캐리어 블록(13)이, 그 양단을 승강 프레임(7)에 고정된 가이드 샤프트(14·15)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블록(13)은, 기어 트레인(17)으로부터 스크류 샤프트(18)에 전달된 스레드 모터(16)의 구동력에 의해 전진 후퇴한다(도 3 참조).
다음에, 대직경 디스크 D1 및 소직경 디스크 D2의 반입 및 반출을 담당하는 복수의 암은, 베이스 패널(6)의 평면상에 상기 승강 프레임(7)을 둘러싸는 상태로 배치되고,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 설치된 구동기구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 되어 있다. 이 복수의 암 중에서, 디스크의 반입 및 반출에 있어서 중추적 기능을 달성하는 것이 디스크 지지 암(19)이고, 리벳 핀(20)을 지점으로 회전하고, 대직경 디스크 D1, 소직경 디스크 D2의 후단측을 지지함과 아울러 반송 행정에서의 높이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선단에 홀더(21)를 구비하고, 이 홀더(21)의 오목 홈(21a)에서 대직경 디스크 D1, 소직경 디스크 D2의 후단측이 보유된다.
부호 22는 대직경 디스크 D1을 장치 내부에 반입하기 위한 로딩 암이며, 피벗 핀(23)으로 연결된 링크 레버(24)에 견인되어서 회전하고, 그 로딩 롤러(22a)로 삽입된 대직경 디스크 D1의 중심보다 전방의 측부로부터 가압이 개시되어, 대직경 디스크 D1을 장치 내부에 유인하는 기능을 한다.
가이드 암(25)은 베이스 패널(6)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피벗 핀(26)을 지점으로 해서 회전하고, 그 선단에 수직 하강한 상태에서 고정된 지지 부재(25a)에 의해 반송되는 소직경 디스크 D2의 측부를 지지해서 정위치에 이끄는 기능을 한다. 또한, 가이드 암(27)은 리벳 핀(28)을 지점으로 해서 회전하고, 그 선단에 수직 하강한 상태에서 고정된 지지 부재(27a)에 의해 반송되는 대직경 디스크 D1의 측부를 지지해서 정위치에 이끄는 기능, 및 소직경 디스크 D2의 측부를 지지해서 정위치에 이끄는 기능을 한다. 이 가이드 암(27)은, 그 기단부의 피벗 핀(27b)에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서 제3 회전부재(51)의 단부와 인장 코일스프링(53)의 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암(29)은 리벳 핀(30)을 지점으로 회전하고, 그 선단에 기립한 상태에서 고정된 지지 부재(29a)에 의해 반송되는 소직경 디스크 D2의 측부를 지지해서 정위치에 이끄는 기능, 및 대직경 디스크 D1의 측부를 지지해서 정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달성한다. 이때, 인장 코일스프링(31)에 가압되어, 리벳 핀(32)을 지점으로 회전하는 링크 레버(33)의 작용 핀(33a)이 상기 가이드 암(29)의 슬릿(29e)에 걸어 맞추어져 있으므로, 가이드 암(29)의 선단은 항상 구심방향으로 가압된 상태가 된다. 상기 가이드 암(29)의 후단부의 가이드 홈(29c)에 종동 핀 (35b)에 의해 연결된 가이드 암(35)은, 리벳 핀(36)을 지점으로 회전하고, 그 선단에 기립한 상태에서 고정된 지지 부재(35a)에 의해 소직경 디스크 D2의 후단측을 지지해서 정위치에 이끄는 기능, 및 소직경 디스크 D2의 측부를 지지해서 정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부호 37은 록 레버이며, 리벳 핀(38)을 지점으로 회전하고, 선단에 형성한 앵글(37a)이 상기 가이드 암(29)의 선단에 구비한 혀 편(29b)을 걸리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하고 있다. 이 록 레버(37)는 와이어 스프링(39)에 의해 선단의 앵글(37a)이 항상 구심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지만, 보통은 스토퍼(40)가 기능해서 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부호 41은 리드 와이어로, 베젤(3)의 하변을 따라 설치되어, 그 단부가 상기 록 레버(37)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걸림 단부(41a)가 기립 상태로 구부려져, 베젤(3)의 슬롯(3a)을 향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대직경 디스크 D1을 슬롯(3a)으로부터 삽입하면, 대직경 디스크 D1의 측부에서 상기 걸림 단부(41a)가 가압되기 때문에, 이 리드 와이어(41)는, 베젤(3)에 평행하게 횡이동한다. 이에 따라, 록 레버(37)가 견인되고, 그 선단의 앵글(37a)이 원심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가이드 암(29)의 혀 편(29b)의 걸림을 회피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패널(6)의 평면 상에 나타나는 기구요소에 있어서, 부호 42a는 레버 암(42)(도 2, 도 3 참조)의 걺 혀편으로, 가이드 암(27)의 위치제어의 기능을 달성하는 것이지만, 그 동작 형태의 상세 내용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부호 71은 대직경 디스크 D1 및 소직경 디스크 D2가 클램프 헤드(9)로 클램프 되어 있는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클램프 해제핀이다.
이상과 같이 베이스 패널(6)의 평면상에 구성된 각 가이드 암 등을 작동하기 위해서, 이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 구성된 기구요소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1)는, 장치 내부의 측부에 도 3의 가상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한 로딩 슬라이더(43)의 전진 후퇴에 의해 대직경 디스크 D1과 소직경 디스크 D2의 반송에 관련되는 동작 제어의 전부를 완결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기구요소의 중추가 되는 로딩 슬라이더(43)의 구성 및 이 로딩 슬라이더(43)에 동작 제어되는 각 기구요소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로딩 슬라이더(43)가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부터 내려다 본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딩 슬라이더(43)는 기둥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전단부분에 랙 기어(43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후단부분에는, 상단수평부(43b-1)와 하단수평부(43b-2) 및 중간에 단차를 구비한 수직부(43b-3)가 연통하는 가이드 홈(4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단수평부(43b-1)에는 리벳 핀(44)을 지점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부재(45)의 종동 핀(45a)을 장착하고, 수직부(43b-3)에는 리벳 핀(46)을 지점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부재(47)의 종동 핀(47a)이 장착된다. 그리고, 이 제2 회전부재(47)의 작용 핀(47b)은, 종동 슬라이더(48)의 단부 통공(48a)에 장착된다.
로딩 슬라이더(43)의 중위부에는 그 양측에 가이드 홈 43c-1 및 가이드 홈 43c-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 43c-1의 후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 고, 가이드 홈 43c-2 전후단도 경사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암(29)의 종동 핀(29d)이, 로딩 슬라이더(43)가 가장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홈(43c-2)의 후단경사부의 개구부분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부호 43d는 로딩 암(22)을 대직경 디스크 D1의 반송에 동기시켜서 작동하도록 링크 레버(24)를 견인하는 유도 홈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유도 홈(43d)에 중합하는 위치의 베이스 패널(6)에 고정된 가이드 플레이트(49)에 가이드 슬릿(49a)이 형성되어 있고, 유도 홈(43d)과 가이드 슬릿(49a)에 링크 레버(24)의 선단에 고정한 종동 핀(24a)을 삽입했던 상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전진 후퇴하는 유도 홈(43d)에 대하여 정위치에 있는 가이드 슬릿(49a)이 상호 작용하여, 상기 종동 핀(24a)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로딩 슬라이더(43)의 승강 프레임(7)에 접하는 측부에 이 승강 프레임(7)의 승강을 담당하는 종동 핀(7a)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 홈(43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 홈(43e)은 승강 프레임(7)을 저위치에 유지하는 저위부(43e-1), 승강 프레임(7)을 상승 또는 강하시키는 경사부(43e-2), 승강 프레임(7)을 고위치에 유지하는 고위부(43e-3)가 일련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장치 내부의 뒷부분에 구성된 동력전달기구를 이면으로부터 내려다 본 상태의 분해 사시도로, 종동 슬라이더(48)의 승강 프레임(7)의 승강을 담당하는 종동 핀(7b)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 홈(48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 홈(48c)은 승강 프레임(7)을 저위치에 유지하는 저위부(48c-1), 승강 프레임(7)을 상승 또는 강하시키는 경사부(48c-2), 승강 프레임(7)을 고위치에 유지하는 고위부 (48c-3)가 일련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동 슬라이더(48)의 단부 통공(48b)에는, 리벳 핀(50)을 지점으로 회전하는 제3 회전부재(51)의 작용 핀(51a)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용 핀(51a)에는 링크 와이어(52)의 단부(52a)가 장착되고, 다른쪽의 단부(52b)는, 제1 회전부재(45)의 통공(45b)에 걸린다. 상기 제3 회전부재(51)는 인장 코일스프링(53)에 의해 동 도면에서 반 시계회전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지만, 작용 핀(51a)이 링크 와이어(52)에 의해 그 움직임이 제한되기 때문에, 장치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위치에 정지한다. 또한, 상기 단부 통공(48b)의 측부에는, 레버 암(42)을 작동하기 위한 작용편(48d)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1 회전부재(45)와 후술하는 기어 디스크와의 사이에 연결되는 링크암(54)은, 제1 회전부재(45)에 연결 부재(55)에 의해 연결된 제1 링크암(54a)과 인장 코일스프링(56)에 의해 가압된 제2 링크암(54b)의 조합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대직경 디스크 D1 및 소직경 디스크 D2의 반송시 기구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도 7은, 상기 제2 링크암(54b)의 단부의 구성을 장치 이면으로부터 내려다 본 사시도로, 제2 링크암(54b)의 통공(54b-1), 디스크 지지 암(19)의 회전 기판(19a)의 통공 19b, 기어 디스크(59)의 통공 59a가 동시에 피벗 핀(5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디스크 지지 암(19)의 중심구멍 19c와 기어 디스크(59)의 중심구멍 59b는, 일단을 베이스 패널(6)에 고정한 리벳 핀(20)으로 동시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 기판(19a)의 걸림 편(19d)이 기어 디스크(59)의 걸림 창(윈도우)(59c)을 향하여, 일체가 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기어 디스크(59)의 섀시 케이스(2)의 측면에 대향하는 외주연의 일부에는 기어(59d)가 형성되고, 이것과 상대하는 외주연에는 스위치 기동 계단부(59e·59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기동 계단부(59e·59f)에 의해 입접되는 리미트 스위치(60)는, 섀시 케이스(2)의 바닥면 위에 설치한 배선 기판(미도시됨)에 설치되고, 그 스위치 손잡이(60a)가 상기 스위치 기동 계단부(59e·59f)로 작동한다.
전술한 레버 암(42)은, 리벳 핀(61)을 지점으로 회전하도록 고정되고, 그 걸림 혀편(42a)을 베이스 패널(6)의 개구로부터 베이스 패널(6)의 표면에 향하게 함과 아울러, 스프링편(42b)의 선단을 베이스 패널(6)의 개구벽(6a)에 접촉시켜, 선단부의 롤러(42c)에 원심방향으로의 가압력이 발생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레버 암(42)은, 롤러(42c)가 종동 슬라이더(48)의 측벽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 있을 때는 정위치에 정지하고 있지만, 종동 슬라이더(48)가 슬라이드 하면 그 작용편(48d)에 롤러(42c)가 가압됨으로써 리벳 핀(61)을 지점으로 회전하고, 걸림 혀편(42a)이 원심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가이드 암(25)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를 설명한다. 이 가이드 암(25)은 그 회전의 지점이 되는 기단의 피벗 핀(26)이 베이스 패널(6)의 배면에 연장하여 설치되고, 그 단부에 롤러 지지판(62)이 고정되어 있다. 이 롤러 지지판(62)에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장 코일스프링(63)이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동 도면에서 시계회전 방향의 가압력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가이드 암(25)이 구심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된다. 상기 롤러 지지판(62)에 설치된 더블 롤러(64)는,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직경부(64a)와 소직경부(64b)가 동축에 구성된 것이다.
동 도면에서, 섀시 케이스(2)의 측벽 내면을 따라 설치된 랙 슬라이더(65)는, 기어 디스크(59)의 기어(59d)에 맞물리는 랙 기어(65a)를 구비하고, 기어 디스크(59)의 회전에 동기해서 전진 후퇴한다. 랙 슬라이더(65)의 중간부의 하변에는 저위 가이드편(65b), 상변에는 고위 가이드편(65c)이 형성되어 있고, 저위 가이드편(65b)이 상기 더블 롤러(64)의 대직경부(64a)를 안내하고, 고위 가이드편(65c)이 소직경부(64b)를 안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구요소는, 로딩 슬라이더(43)의 전진 후퇴에 의해 작동되지만, 이 구동기구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장치 이면의 각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기구의 동력원이 되는 로딩 모터(66)의 출력 축의 웜 기어(67)의 회전력이 더블 기어(68·69·70)에 의한 기어 트레인에 의해 순차로, 소직경 기어로부터 대직경 기어로 감속되면서 전달된다. 그리고, 로딩 슬라이더(43)의 랙 기어(43a)에 맞물려 있는 더블 기어(70)의 소직경 기어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어, 로딩 슬라이더(43)가 전진 후퇴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1)의 동작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1)에서는 대직경 디스크 D1 및 소직경 디스크 D2의 반송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우선, 대직경 디스크 D1의 반송의 상태를 도 9 내지 도 22에 의거하여 설명하고, 소직경 디스크 D2의 반송의 상태를 도 23 내지 도 36에 의거하여서도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5는, 베이스 패널(6)의 표면에 드러나는 구성의 주요부를 실선으로 그린 평면도로, 이 때의 베이스 패널(6)의 이면의 구성의 주요부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16 내지 도 22는,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 나타나는 구성의 주요부를 실선으로 그린 저면도로, 이 때의 베이스 패널(6)의 표면의 구성을 파선으로 나타낸다. 이때, 도 9 내지 도 15에서, 캠 홈(43e·48c) 및 종동 핀(7a·7b)은 원래 동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것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이것을 도시하여, 이해가 용이해지도록 했다.
도 9 및 도 16은, 대직경 디스크 D1이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며, 각 암은 초기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 때, 가이드 암(25)은,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서 상기 피벗 핀(26)에 고정된 롤러 지지판(62)의 롤러(64)의 대직경부(64a)가, 도 8 및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랙 슬라이더(65)의 저위 가이드편(65b)에 접촉하고 있고, 가이드 암(25)은, 구심방향으로 가장 회전된 위치보다도 소정량만큼 원심방향으로 회전된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이것은, 가이드 암(25)이 구심방향으로 가장 회전된 위치에 정지하고, 디스크의 삽입을 대기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소직경 디스크 D2를 장치의 좌측에 맞춰서 삽입했을 때에, 소직경 디스크 D2가 지지 부재(25a)의 좌측에 들어가버려, 소직경 디스크 D2를 반송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 암(25)을 구심방향으로 가장 회전된 위치보다도 소정량만큼 원심방향으로 회전된 위치에서 정지시켜, 디스크의 삽입을 대기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가이드 암(27)은, 그 기단부가 인장 코일스프링(53)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선단의 지지 부재(27a)가 구심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항상 작용하지만, 피벗 핀(27b)에 연결된 제3 회전부재(51)가 정위치에 정지하고 있으므로, 이 가이드 암(27)은 도 9에 나타낸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것은, 정지 상태에 있는 제1 회전부재(45)와 제3 회전부재(51)의 작용 핀(51a)과의 사이에 장착된 링크 와이어(52)가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하고, 제3 회전부재(51)의 회전을 저지하고 있는 것에 의한다.
마찬가지로, 로딩 슬라이더(43)의 이동에 따라 동력이 전달되는 디스크 지지 암(19), 가이드 암(29), 가이드 암(35), 로딩 암(22)도 도 9에 나타낸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또한, 로딩 슬라이더(43)의 캠 홈(43e)에 안내되는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a)은, 이 캠 홈(43e)의 저위부(43e-1)에 있고, 한편, 종동 슬라이더(48)의 캠 홈(48c)에 안내되는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b)은, 이 캠 홈(48c)의 저위부(48c-1)에 있기 때문에, 승강 프레임(7)은, 도 3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장 강하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도 10 및 도 17은,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대직경 디스크 D1이 조작자에 의해 삽입되어, 이 대직경 디스크 D1의 전단측이 디스크 지지 암(19)의 홀더(21) 및 가이드 암(29)의 지지 부재(29a)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대직경 디스크 D1은 가이드 암(25)의 선단의 지지 부재(25a)를 가압하고, 도 10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원심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대직경 디스크 D1의 측부는, 리드 와이어(41)의 걸림 단부(41a)를 가압하여 동 도면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이에 따라, 록 레버(37)가 리드 와이어(41)로 견인되어, 그 선단의 앵글(37a)이 동 도면 화살표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가이드 암(29)의 선단의 혀편(29b)이 걸리는 범위로부터 벗어난다.
도 11 및 도 18은, 상기한 상태로부터 대직경 디스크 D1이 조작자에 의해 더욱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대직경 디스크 D1에 가압되어서 디스크 지지 암(19), 가이드 암 25 및 가이드 암 29는 원심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디스크 지지 암(19)의 기초부는 리벳 핀(20)을 지점으로 도 39a의 위치로부터 도 39b의 위치까지 회전하고, 리미트 스위치(60)가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e)로 작동된다. 또한, 이 때, 기어 디스크(59)에 맞물려 있는 랙 슬라이더(65)는 약간 전진한다.
상기 기어 디스크(59)에 의해 작동된 리미트 스위치(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A1·A2와, 후술하는 구성인 도 45 내지 도 4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 LS1·LS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B·C의 생성 상태를 판단해서 자동 로딩을 시작하는 타이밍을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도 48에 대직경 디스크 D1의 반송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각 신호의 생성 상태를 나타내고, 도 49에 소직경 디스크 D2의 반송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각 신호의 생성 상태를 나타낸다.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e)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60)가 작동되어, 신호 A1이 도 4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ON으로부터 OFF로 되었을 때, 이것 이전에 작동되어 있는 리미트 스위치 LS1의 신호 B가 OFF로부터 ON으로 되어 있고, 리미트 스위치 LS2의 신호 C가 OFF라고 하는 조건으로부터 대직경 디스크 D1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 시점에서는 자동 로딩을 시작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조작자에 의해 대직경 디스크 D1이 더욱 삽입된 도 12 및 도 19에 나타낸 상태로 되면, 디스크 지지 암(19)의 기초부의 기어 디스크(59)가 또 도 39c에 나타낸 위치까지 회전하고, 디스크 기동 계단부(59f)가 리미트 스위치(60)의 스위치 손잡이(60a)를 반전 동작한다. 이 때의 리미트 스위치(60)의 신호 A2가 OFF로부터 ON으로 되고, 이 시점에서 로딩 모터(66)에 구동 전류를 흘리고, 자동 로딩을 시작한다. 이에 따라, 로딩 슬라이더(43)가 후퇴하고, 종동 핀(45a)도 후퇴하기 때문에, 제1 회전부재(45)가 리벳 핀(44)을 지점으로 회전하고, 링크암(54)의 제1 링크암(54a)이 제2 링크암(54b)을 향하여 전진한다.
상기 상태에 이르면, 가이드 암(29)이 원심방향으로 회전해 지지부재(29a)에 의한 대직경 디스크 D1의 지지가 해제된다. 이것은, 도 11의 상태에서 로딩 슬라이더(43)의 가이드홈(43c-1)의 후단부의 경사면 상에 위치한 가이드 암(29)의 종동 핀(29d)이,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따라 상기 경사면의 작용을 받게 된 것이다.
상기에 의한 제1 회전부재(45)의 회전에 따라, 링크 와이어(52)에 의해 회전이 규제되어 있는 제3 회전부재(51)가 인장 코일스프링(53)의 작용에 의해 리벳 핀(50)을 지점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암(27)이 구심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선단의 지지 부재(27a)에 의해 대직경 디스크 D1의 후측부가 지지된다. 이 때,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의해 링크 레버(24)가 견인되므로, 로딩 암(22)이 구심방향으로 회전하고, 선단의 로딩 롤러(22a)가 대직경 디스크 D1 앞측부에 접촉해서 지지한다. 이때,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a)은, 캠 홈(43e)의 저위부(43e-1)를 횡 이동하는 상태이므로, 이 승강 프레임(7)은 도 37a의 위치에 머무른다.
도 13 및 도 20은, 로딩 모터(66)에 의한 자동 로딩이 개시되어, 대직경 디스크 D1이 반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의 상태로부터 로딩 슬라이더(43)가 더욱 후퇴하면, 가이드 암(29)의 종동 핀(29d)이 로딩 슬라이더(43)의 경사부로부터 가이드 홈(43c-1)에 진입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암(29)이 원심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고, 선단의 지지 부재(29a)가 대직경 디스크 D1의 측부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또한, 도 40a∼도 40d에 가이드 암(29)의 동작의 상태를 연속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의해, 링크 레버(24)가 견인되어, 로딩 암(22)의 구심방향으로의 회전을 시작한다. 도 41a∼도 41d는, 로딩 암(22)의 회전의 상태를 연속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2에 나타낸 로딩 암(22)의 상태는, 도 41a의 초기 상태로부터 도 41b로 이행한 상태에 해당한다.
상기 로딩 암(22)의 회전을 담당하는 링크 레버(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 레버(24)의 선단에 고정한 종동 핀(24a)이 로딩 슬라이더(43)의 유도 홈(43d)과 가이드 플레이트(49)의 가이드 슬릿(49a)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로딩 슬라이더(43)가 후퇴하면, 종동 핀(24a)은 유도 홈(43d)의 후단의 경사면과 가이드 슬릿(49a)의 측벽에서 끼워 둔 상태가 되고,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따라 종동 핀(24a)도 후퇴하여, 링크 레버(24)가 견인되어 로딩 암(22)이 회전한다.
로딩 슬라이더(43)가 도 13에 나타낸 위치까지 후퇴하면, 이것에 따라, 가이드 홈(43b)의 상단수평부(43b-1)가 제1 회전부재(45)의 종동 핀(45a)을 밀어 올리고, 리벳 핀(44)을 지점으로 그 제1 회전부재(45)를 회전하고, 링크암(54)을 통해 기어 디스크(59)를 회전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 지지 암(19)은 원심방향으로 회전, 즉 대직경 디스크 D1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홀더(21)가 대직경 디스크 D1의 반입과 동기하여 후퇴한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제2 회전부재(47)의 종동 핀(47a)은 가이드 홈(43b)의 수직부를 슬라이드 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2 회전부재(47)는 정지한 상태이고, 종동 슬라이더(48)도 정지한 상태에 있다.
도 12로부터 도 13의 상태로 이행하는 행정에 있어서, 인장 코일스프링(53)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가이드 암(27)은, 그 선단의 지지 부재(27a)가 대직경 디스크 D1의 반입에 따라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눌려 복귀되어, 레버 암(42)의 걸림 혀편(42a)에 접촉되어서 정지한다. 이때, 제3 회전부재(51)는 약간 회전하므로, 그 작용 핀(51a)은 정지하고 있는 종동 슬라이더(48)의 단부 통공(48b) 내를 구심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링크 와이어(52)가 약간 휜 상태가 된다.
한편, 가이드 암(25)의 지지 부재(25a)는 대직경 디스크 D1 앞측부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기어 디스크(59)의 회전에 의해 전진한 랙 슬라이더(65)의 고위 가이드편(65c)은 더블 롤러(64)의 소직경부(64b)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다. 또한, 이때,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a)은, 캠 홈(43e)의 저위부(43e-1)를 횡이동하는 상태이고, 종동 슬라이더(48)는 정지하고 있으므로, 승강 프레임(7)은 그대로 도 37a의 위치에 머무른다.
도 14 및 도 21은, 도 13 및 도 20의 상태로부터 로딩 슬라이더(43)가 더욱 후퇴하고, 링크 레버(24)가 견인되어, 로딩 암(22)이 도 41c에 나타낸 위치까지 회전하고, 반입된 대직경 디스크 D1의 중심구멍 D1a의 중심과 클램프 헤드(9)의 중심이 일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가이드 암(29)의 종동 핀(29d)은 로딩 슬라이더(43)의 가이드 홈(43c-1)을 직진하는 상태가 되므로, 가이드 암 29 및 가이드 암 35는 도 14에 나타낸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때, 지지 부재 29a 및 지지 부재 35a가 대직경 디스크 D1의 외주연을 받아내서 위치 결정함으로써, 대직경 디스크 D1의 중심구멍 D1a과 클램프 헤드(9)와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한다.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따라, 제1 회전부재(45)의 종동 핀(45a)이 상단수평부(43b-1)에 밀어 올려져, 수직부(43b-3)로 이행하기 때문에, 이 제1 회전부재(45)가 동 도면에 나타낸 위치까지 회전하고, 링크암(54)에 의한 기어 디스크(59)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 지지 암(19)도 원심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기어 디스크(59)의 회전은, 랙 슬라이더(65)를 더욱 전진시켜, 더블 롤러(64)의 소직경부(64b)가 고위 가이드편(65c)에 올라 앉기 때문에, 가이드 암(25)은 원심방향으로 크게 회전하고, 그 지지 부재(25a)에 의한 대직경 디스크 D1의 외주연의 지지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암(25)은, 승강 프레임(7)의 옆쪽으로 대피하고, 승강 프레임(7) 상에 연장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상승하는 승강 프레임(7)과 가이드 암(25)이 충돌할 우려는 없다.
이때, 대직경 디스크 D1은, 가이드 암(27)의 지지 부재(27a)를 가압하고 있지만, 이 지지 부재(27a)는 레버 암(42)의 걸림 혀편(42a)에 접촉해서 정지 위치가 확정되므로, 이 시점에서 대직경 디스크 D1의 클램프 헤드(9)에 대한 수평방향의 중심이 일치하게 된다. 한편, 대직경 디스크 D1의 클램프 헤드(9)에 대한 수직방향의 중심은, 도 14에 나타낸 상태에서 정지한 디스크 지지 암(19)의 홀더(21)와 로딩 암(22)의 로딩 롤러(22a)에 의해 확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대직경 디스크 D1의 자동 로딩이 개시되어서 도 14의 상태에 이르기까지, 이 대직경 디스크 D1의 외주연의 적어도 3군데가 전술한 복수의 암에 의해 지지되어, 장치 내부에 반입되어 클램프 헤드(9)에 의한 중심구멍 D1a의 클램프가 가능해지는 위치에 정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 13으로부터 도 14에 이르는 행정에 있어서, 로딩 슬라이더(43)의 캠 홈(43e)의 후퇴에 의해,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a)이 저위부(43e-1)로부터 경사부(43e-2)로 이행해서 상승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제2 회전부재(47)의 종동 핀(47a)이 로딩 슬라이더(43)의 수직부(43b-3)로부터 하단수평부(43b-2)에 이르고, 이 제2 회전부재(47)가 원심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작용 핀(47b)이 종동 슬라이더(48)를 수평 이동시키는 것에 따라, 캠 홈(48c)이 수평이동한다. 이에 따라,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b)은 저위부(48c-1)로부터 경사부(48c-2)로 이행해서 상승하는 상태가 되고, 승강 프레임(7)은 도 3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승을 시작한다.
도 15 및 도 22는, 클램프 헤드(9)가 대직경 디스크 D1의 중심구멍 D1a를 클램프 하고, 대직경 디스크 D1의 드라이브가 가능해지는 최종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상태에 이르기 위해서는, 대직경 디스크 D1을 지지하고 있는 디스크 지지 암(19), 로딩 암(22), 가이드 암(27)이 약간 원심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크의 지지를 종료하고, 대직경 디스크 D1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즉, 도 14의 상태로부터 로딩 슬라이더(43)가 더욱 후퇴해서 정지한 위치에서, 링크 레버(24)의 종동 핀(24a)은 유도 홈(43d)의 뒷부분의 수직방향의 편심부분에서 가이드 슬릿(49a)의 후단의 횡홈에 눌려 들어가므로, 도 41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링크 레버(24)가 견인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약간 되돌아가, 로딩 암(22)이 약간 원심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로딩 롤러(22a)에 의한 대직경 디스크 D1의 외주연의 지지를 종료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1 회전부재(45)의 종동 핀(45a)이 가이드 홈(43b)의 수직부(43b-3)의 가운데 위치에 형성된 경사부에서 약간 회전되기 때문에, 이 회전이 링크암(54)을 통해 기어 디스크(59)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 지지 암(19)이 약간 원심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디스크 지지 암(19)에 의한 대직경 디스크 D1의 외주연의 지지를 종료한다.
한편, 로딩 슬라이더(43)의 가이드 홈(43b)의 하단수평부(43b-2)는 제2 회전부재(47)의 종동 핀(47a)을 크게 밀어 올린다. 이에 따라, 작용 핀(47b)이 원심방향으로 회전하여, 종동 슬라이더(48)를 수평이동해서 단부 통공(48b)이 제3 회전부재(51)의 작용 핀(51a)을 견인하기 때문에, 이 제3 회전부재(51)가 약간 회전함과 동시에, 작용편(48d)이 레버 암(42)의 롤러(42c)를 밀어 올린다. 이에 따라, 가이드 암(27)의 지지 부재(27a)가 접촉하고 있는 레버 암(42)의 걸림 혀편(42a)이 후퇴하기 때문에, 가이드 암(27)이 약간 원심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가이드 암(27)에 의한 대직경 디스크 D1의 외주연의 지지를 종료한다.
이때, 로딩 슬라이더(43)의 가이드 홈(43c-1)의 단부가 가이드 암(29)의 종동 핀(29d)을 누름으로써, 가이드 암(29)이 약간 회전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암(29)의 지지 부재(29a)가 원심방향으로 회전해서 대직경 디스크 D1의 외주연의 위치 결정을 종료한다. 또한, 가이드 암(29)의 가이드 홈(29c)에 종동 핀(35b)에 의해 연결된 가이드 암(35)이 약간 회전함으로써, 지지 부재(35a)도 원심방향으로 회전해서 대직경 디스크 D1의 외주연의 위치 결정을 종료한다.
이때, 도 14로부터 도 15에 이르는 행정에 있어서,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동기해서 종동 슬라이더(48)는 수평이동하지만,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a)은 로딩 슬라이더(43)의 캠 홈(43e)의 경사부(43e-2)로부터 고위부(43e-3)로 이행하고, 종동 핀(7b)은 종동 슬라이더(48)의 캠 홈(48c)의 경사부(48c-2)로부터 고위부(48c-3)로 이행한다.
이 행정에서의 승강 프레임(7)의 거동은, 경사부(43e-2·48c-2)에 의해 상승하는 종동 핀(7a·7b)에 의해 승강 프레임(7)이 상승하고, 도 37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 헤드(9)의 척 갈고리(9a)가 대직경 디스크 D1의 중심구멍 D1a에 접촉해서 이 대직경 디스크 D1을 밀어 올리고, 중심구멍 D1a의 가장자리가 섀시 케이스(2)의 볼록부(2b)에 접촉한다.
상기 상태로부터 종동 핀(7a·7b)이 경사부(43e-2·48c-2)의 꼭대기부에 이르면, 도 37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 헤드(9)가 대직경 디스크 D1의 중심구멍 D1a에 끼워 넣고, 척 갈고리(9a)에 의한 클램프를 완료하고, 턴테이블(10) 위에 대직경 디스크 D1이 고정된다. 그리고, 종동 핀(7a·7b)이 고위부(43e-3·48c-3)로 이행함으로써, 승강 프레임(7)은 도 37e에 나타낸 위치까지 강하하고, 대직경 디스크 D1의 드라이브가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1)에 의한 대직경 디스크 D1의 반입시의 각 기구의 동작 상태를 설명했지만, 반출시는, 각 기구가 로딩 슬라이더(43)의 전진에 따라 전술한 반입시와는 역순의 동작 형태가 된다. 즉, 대직경 디스크 D1의 반출이 개시되어, 로딩 슬라이더(43)가 전진을 시작하면, 승강 프레임(7)은 도 38a∼도 38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단 상승하고나서 초기위치까지 강하한다. 이 동안에 대직경 디스크 D1은, 도 38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 해제핀(71)으로 밀어 올려져, 클램프 헤드(9)에 의한 클램프가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대직경 디스크 D1의 클램프가 해제될 때까지의 행정에 있어서, 디스크 지지 암(19), 로딩 암(22), 가이드 암(27)은 구심방향으로의 동작을 시작하고, 대직경 디스크 D1의 외주연이 지지된 도 14에 나타낸 상태가 되고, 이후, 디스크 지지 암(19)의 구심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에 의해 대직경 디스크 D1을 반출하고, 그 전단부를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드러나게 해서 정지한다.
이때,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따른 종동 핀(24a·29d·45a·47a)의 동작의 상태를 도 42a∼도 42f에 연속적으로 나타낸다.
다음에,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에 의해 소직경 디스크 D2를 반송할 경우의 동작 상태를 도 23 내지 도 29의 평면도와, 이것에 대응하는 도 30내지 도 36에 나타낸 저면도에 의해 설명한다. 이때, 도 23 내지 도 29에 있어서, 캠 홈(43e·48c) 및 종동 핀(7a·7b)은 원래 동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설명의 편의상, 이것을 도시하여, 이해가 용이해지도록 하였다.
도 23 및 도 30은, 소직경 디스크 D2가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며, 각 암은 초기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때, 가이드 암(25)은,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 있어서 상기 피벗 핀(26)에 고정된 롤러 지지판(62)의 롤러(64)의 대직경부(64a)가, 도 8 및 도 3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랙 슬라이더(65)의 저위 가이드편(65b)에 접촉하여 있고, 가이드 암(25)은, 구심방향으로 가장 회전한 위치보다도 소정량만큼 원심방향으로 회전한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이것은, 가이드 암(25)이 구심방향으로 가장 회전한 위치에 정지하고, 디스크의 삽입을 대기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소직경 디스크 D2를 장치의 좌측에 맞춰서 삽입했을 때, 소직경 디스크 D2가 지지 부재(25a)의 좌측에 넣어진 후, 소직경 디스크 D2를 반송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가이드 암(25)을 구심방향으로 가장 회전한 위치보다도 소정량만큼 원심방향으로 회전한 위치에서 정지시켜, 디스크의 삽입을 대기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도 23 및 도 30에 나타낸 소직경 디스크 D2를 대기하고 있는 상태는, 도 9 및 도 16에 나타낸 대직경 디스크 D1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와 일치한다.
다음에, 가이드 암(27)은, 그 기단부가 인장 코일스프링(53)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선단의 지지 부재(27a)가 구심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항상 작용하지만, 피벗 핀(27b)에 연결된 제3 회전부재(51)가 정위치에 정지하고 있고, 이 가이드 암(27)은 도 23에 나타낸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것은, 정지 상태에 있는 제1 회전부재(45)와 제3 회전부재(51)의 작용 핀(51a)과의 사이에 장착된 링크 와이어(52)가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하고, 제3 회전부재(51)의 회전을 저지하고 있는 것에 의한다.
마찬가지로, 로딩 슬라이더(43)의 이동에 따라 동력이 전달되는 디스크 지지 암(19), 가이드 암 29, 가이드 암 35, 로딩 암(22)도 도 23에 나타낸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또한, 로딩 슬라이더(43)의 캠 홈(43e)에 안내되는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a)은, 이 캠 홈(43e)의 저위부(43e-1)에 있고, 한편, 종동 슬라이더(48)의 캠 홈(48c)에 안내되는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b)은, 이 캠 홈(48c)의 저위부(48c-1)에 있기 때문에, 승강 프레임(7)은 도 3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장 강하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도 24 및 도 31은,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소직경 디스크 D2가 조작자에 의해 삽입되어, 이 소직경 디스크 D2의 후단측이 디스크 지지 암(19)의 홀더(21)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시점의 소직경 디스크 D2의 슬롯(3a)에의 삽입에 있어서, 소직경 디스크 D2가 도 24에서 좌측 방향으로 치우친 경우에는, 소직경 디스크 D2의 후단 좌측부가 가이드 암(25)의 지지 부재(25a)에 접촉해서 눌려 복귀되기 때문에, 소직경 디스크 D2가 반송로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소직경 디스크 D2의 삽입 조작에 있어서, 소직경 디스크 D2의 후단 우측부가 도 4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암(29)의 지지 부재(29a)를 가압하여서 원심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이 도 4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혀편(29b)이, 회전하지 않고 정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록 레버(37)의 앵글(37a)로 걸리므로, 이 경우도 소직경 디스크 D2가 반송로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가이드 암 25의 지지 부재 25a와 가이드 암 29의 지지 부재 29a에 의해 소직경 디스크 D2가 안내되어, 장치 중앙으로 이끌어진다.
도 25 및 도 32는, 상기 상태로부터 소직경 디스크 D2가 조작자에 의해 더욱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소직경 디스크 D2에 가압되어 디스크 지지 암(19)이 원심방향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이 디스크 지지 암(19)의 회전에 연동하는 가이드 암 25의 지지 부재 25a와 가이드 암 29의 지지 부재 29a가 소직경 디스크 D2의 측부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소직경 디스크 D2는, 상기 지지 부재(25a·29a)와 디스크 지지 암(19)의 홀더(21)의 3점으로 지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디스크 지지 암(19)의 기초부는, 리벳 핀(20)을 지점으로 도 39a의 위치로부터 도 39b의 위치까지 회전하고, 리미트 스위치(60)가 기어 드럼(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e)로 작동되고, 신호 A1이 도 48에 나타낸 것처럼 ON으로부터 OFF로 되었을 때, 이전에 리미트 스위치 LS1이 작동되고 있는 것에 의한 그 신호 B가 OFF의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조건으로부터 소직경 디스크 D2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 시점에서 로딩 모터(66)로의 구동전류를 흘려서 자동 로딩을 시작한다. 이때, 가이드 암 29의 지지 부재 29a의 가압에 의한 분력 F1a 및 가이드 암 25의 지지 부재 25a의 인장 코일스프링(63)의 작용에 의한 가압에 의한 분력 F1b이 크게 작용하는 상태에 있으므로, 소직경 디스크 D2를 반입 방향으로 추진하는 합력 F2가 생기고, 이 로딩 모터(66)에 의한 자동 로딩이 개시된다.
도 26 및 도 33은, 로딩 모터(66)에 의한 자동 로딩이 개시되어, 소직경 디스크 D2가 반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5의 상태로부터 로딩 슬라이더(43)가 더욱 후퇴하면, 가이드 암 29의 종동 핀 29d가 로딩 슬라이더(43)의 가이드 홈(43c-2)에 진입한다. 이때, 가이드 홈(43c-2)의 경사부에서 지지 부재 29d가 안내되어 그 경사거리만큼 이동하여, 소직경 디스크 D2를 반입하면서 지지 부재29a가 동 도면에 나타낸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때, 가이드 암(25)도 또한 인장 코일스프링(63)의 작용에 의해, 소직경 디스크 D2를 반입하면서 동 도면에 나타낸 위치까지 회전한다.
로딩 슬라이더(43)가 도 26에 나타낸 위치까지 후퇴하면, 이것에 따라, 가이드 홈(43b)의 상단수평부(43b-1)가 제1 회전부재(45)의 종동 핀(45a)을 밀어 올리고, 리벳 핀(44)을 지점으로 이 제1 회전부재(45)를 회전하고, 링크암(54)을 통해 기어 드럼(59)을 회전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 지지 암(19)은, 원심방향으로 회전하고, 즉 소직경 디스크 D2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홀더(21)가 소직경 디스크 D2의 반입에 동기해서 후퇴한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제2 회전부재(47)의 종동 핀(47a)은 가이드 홈(43b)의 수직부를 슬라이드 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2 회전부재(47)는 정지한 상태이며, 종동 슬라이더(48)도 정지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제1 회전부재(45)의 회전에 따라, 제3 회전 암(51)이 인장 코일스프링(53)의 작용에 의해 회전하므로, 가이드 암(27)이 리벳 핀(28)을 지점으로 회전해서 그 지지 부재(27a)가 소직경 디스크 D2에 접촉한다. 또한, 이때,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a)은, 캠 홈(43e)의 저위부(43e-1)를 횡이동하는 상태이며, 종동 슬라이더(48)은 정지하고 있으므로 승강 프레임(7)은, 그대로 37a의 위치에 머무른다.
도 27 및 도 34는, 도 26 및 도 33의 상태로부터 로딩 슬라이더(43)가 더욱 후퇴해서 소직경 디스크 D2의 반입이 계속되고 있는 상태이며, 가이드 암(29)은 회전을 정지하고 있지만, 로딩 슬라이더(43)의 이동량에 따라서, 디스크 지지 암(19)이 원심방향으로, 가이드 암(25·27)이 구심방향으로 회전하고, 소직경 디스크 D2를 지지한다.
도 28 및 도 35는, 도 27 및 도 34의 상태로부터 로딩 슬라이더(43)가 더욱 후퇴해서 소직경 디스크 D2의 중심구멍 D2a의 중심과, 클램프 헤드(9)의 중심이 일치해서 정지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 이르는 과정에서,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따라, 디스크 지지 암(19)은 원심방향으로 크게 회전해서 소직경 디스크 D2의 외주연의 지지를 종료함과 아울러, 이 회전에 의해 기어 드럼(59)이 랙 슬라이더(65)을 전진시킨다. 이에 따라, 더블 롤러(64)의 소직경부(64a)가 랙 슬라이더(65)의 고위 가이드편(65c)에 올라 앉으므로, 가이드 암(25)은 원심방향으로 크게 회전하고, 소직경 디스크 D2의 외주연의 지지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암(25)은 승강 프레임(7)의 옆쪽으로 대피하고, 승강 프레임(7) 상에 연장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상기 상태에서는, 소직경 디스크 D2의 외주연은 가이드 암 27의 지지 부재 27a, 가이드 암 29의 지지 부재 29a, 가이드 암 35의 지지 부재 35a의 3점으로 지지되게 되지만, 이 상태에 이르는 과정에서 가이드 암 27의 지지 부재 27a의 인장 코일스프링(53)에 의한 작용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하여, 소직경 디스크 D2의 반입이 계속되게 된다.
또한, 도 27로부터 도 28에 이르는 행정에 있어서, 로딩 슬라이더(43)의 캠 홈(43e)의 후퇴에 의해,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a)이 저위부(43e-1)로부터 경사부(43e-2)로 이행해서 상승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제2 회전부재(47)의 종동 핀(47a)이 로딩 슬라이더(43)의 수직부(43b-3)로부터 하단수평부(43b-2)에 이르고, 이 제2 회전부재(47)가 원심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작용 핀(47b)이 종동 슬라이더(48)를 수평 이동시킴에 따라, 캠 홈(48c)이 수평이동한다. 이에 따라,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7b)은 저위부(48c-1)로부터 경사부(48c-2)로 이행해서 상승하는 상태가 되고, 승강 프레임(7)은 도 3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을 시작한다.
도 29 및 도 35는, 클램프 헤드(9)가 소직경 디스크 D2의 중심구멍 D2a를 클램프 하고, 소직경 디스크 D2의 드라이브가 가능해지는 최종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 이르기 위해서는, 가이드 암(27·29·35)이 회전해서 소직경 디스크 D2의 지지를 종료하고, 소직경 디스크 D2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즉, 도 28의 상태로부터 로딩 슬라이더(43)가 더욱 후퇴해서 정지한 위치에서, 종동 핀(47a)이 하단수평부(43b-2)로 밀어 올려져, 제2 회전부재(47)가 원심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종동 슬라이더(48)의 단부 통공(48b)에 연결되어 있는 작용 핀(51a)이 견인되어, 제3 회전부재(51)가 구심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가이드 암(27)이 원심방향으로 회전되어 소직경 디스크 D2의 지지를 종료한다.
한편, 가이드 암(29)은, 그 종동 핀(29d)이 로딩 슬라이더(43)의 가이드 홈(43c-2)의 종단의 경사부에 이르기 때문에 약간 원심방향으로 회전하고, 지지 부재(29a)에 의한 소직경 디스크 D2의 지지를 종료한다. 또한, 이 가이드 암(29)의 회전에 의해, 그 가이드 홈(29c)에 연결되어 있는 종동 핀(35b)을 작용시키고, 가이드 암(35)이 약간 원심방향으로 회전해서 소직경 디스크 D2의 지지를 종료한다.
이때, 도 28로부터 도 29에 이르는 행정에 있어서, 로딩 슬라이더(43)의 후퇴에 동기해서 종동 슬라이더(48)는 수평이동하지만, 승강 프레임(7)의 종동 핀 7a는 로딩 슬라이더(43)의 캠 홈 43e의 경사부 43e-2로부터 고위부(43e-3)로 이행하고, 종동 핀 7b는 종동 슬라이더(48)의 캠 홈 48c의 경사부 48c-2로부터 고위부 48c-3로 이행한다.
이 행정에서의 승강 프레임(7)의 거동은, 경사부(43e-2·48c-2)에 의해 상승하는 종동 핀(7a·7b)에 의해 승강 프레임(7)이 상승하고, 도 37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 헤드(9)의 척 갈고리(9a)가 소직경 디스크 D2의 중심구멍 D2a에 접촉해서 이 소직경 디스크 D2를 밀어 올리고, 중심구멍 D2a의 가장자리가 섀시 케이스(2)의 볼록부(2b)에 접촉한다.
상기 상태로부터 종동 핀(7a·7b)이 경사부(43e-2·48c-2)의 꼭대기부에 이르면, 도 37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 헤드(9)가 소직경 디스크 D2의 중심구멍 D2a에 끼워 넣고, 척 갈고리(9a)에 의한 클램프를 완료하고, 턴테이블(10) 상에 소직경 디스크 D2가 고정된다. 그리고, 종동 핀(7a·7b)이 고위부(43e-3·48c-3)에 이행함으로써, 승강 프레임(7)은 도 37e에 나타낸 위치까지 강하하고, 소직경 디스크 D1의 드라이브가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1)에 의한 소직경 디스크 D2의 반입시의 각 기구의 동작 상태를 설명했지만, 반출시는, 각 기구가 로딩 슬라이더(43)의 전진에 따라 전술한 반입시와는 역순의 동작 형태가 된다. 즉, 소직경 디스크 D2의 반출이 개시되어, 로딩 슬라이더(43)가 전진을 시작하면, 승강 프레임(7)은 도 38a∼38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단 상승하고나서 초기위치까지 강하한다. 이 동안에, 소직경 디스크 D2는 도 38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 해제핀(71)으로 밀어 올려져, 클램프 헤드(9)에 의한 클램프가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해서 소직경 디스크 D2의 클램프가 해제될 때까지의 행정에 있어서, 가이드 암(25·27·29)이 구심방향으로 회전해서 소직경 디스크 D2의 외주연을 지지하는 도 28의 상태가 되고, 계속하여 도 27∼도 24까지의 역순을 따라가는 동작에 있어서 디스크 지지 암(19)의 구심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에 의해 소직경 디스크 D2를 반출하고, 그 전단부를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드러나게 하여 정지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요지가 되는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4는, 전술한 디스크 장치(1)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대직경 디스크 D1과 소직경 디스크 D2가 장치 내부로부터 반출되어서 정지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대직경 디스크 D1 및 소직경 디스크 D2의 어느 쪽도, 반출되어서 베젤(3)로부터 전단부를 노출해서 정지하는 위치는, 디스크 지지 암(19)이 구심방향으로 가장 회전해서 정지한 위치로 정해지기 때문에, 대직경 디스크 D1이 그 과반을 노출하는 것에 대해, 소직경 디스크 D2는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단부의 약간의 부분을 노출할 뿐이다.
이러한 상태가 되는 소직경 디스크 D2를 조작자가 장치로부터 추출할 경우, 소직경 디스크 D2의 선단의 약간의 부분을 손가락으로 집어 뽑아내게 된다. 그렇지만, 디스크 장치를 설치하는 각 종의 정보기기 등에서, 예를 들면 베젤(3) 위에 액정 모니터 등이 덮어 덮이는 상태로 설치되면 베젤(3) 부분의 공간이 좁아지게 되고, 소직경 디스크 D2를 뽑아내는 것이 점점 더 곤란해진다. 이것을 회피하려고 하면, 디스크 장치를 설치하는 정보기기 등의 기구설계상의 융통성을 향상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의 디스크 장치(1)에서의 소직경 디스크 D2의 반출시에, 소직경 디스크 D2의 전단부를 정상상태 보다 많이 베젤(3)로부터 노출하도록 하여, 소직경 디스크 D2의 회수시의 조작성을 향상하고, 어떤 정보기기에도 설치가 가능해지도록 했다. 즉, 소직경 디스크 D2를 반출하는 경우만 보충적 반출 동작을 부가하도록 했으므로, 소직경 디스크가 장전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는 구성을 필요로 한다.
도 45는, 전술한 디스크 장치(1)에 리미트 스위치 LS1·LS2을 부설한 것으로, 이 부분을 확대한 상태를 도 46에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더블 롤러(64)의 소직경부(64b)로부터 연장하여 설치한 작용 핀(64c)에 대하여, 그 회전에 의해 스위치 손잡이가 작동되는 리미트 스위치 LS1·LS2이 설치된다. 도 4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직경 디스크 D1이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삽입되어, 자동 로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리미트 스위치 LS1이 작동되고 있고, 소직경 디스크 D2가 삽입되어, 자동 로딩되어 있는 도 47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리미트 스위치 LS2가 작동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 LS1·LS2 및 리미트 스위치(60)의 작동 상태에 의해, 삽입된 디스크가 대직경 디스크 D1인지, 소직경 디스크 D2인지를 판단하도록 했다. 즉, 도 48에 있어서, 리미트 스위치(60)가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e)로 작동되었을 때의 신호를 A1로 하고, 스위치 기동 계단부(59f)로 작동되었을 때의 신호를 A2로 한다. 또한, 리미트 스위치 LS1이 작동되었을 때의 신호를 B로 하고 리미트 스위치 LS2이 작동되었을 때의 신호를 C로 한다.
그리고, 각 리미트 스위치에 의한 신호의 생성 상태를 자동 로딩의 시작 시점에서 판단하고, 미리 정한 일치 조건과 비교하도록 하고 있다. 도 48은, 대직경 디스크 D1이 삽입되어 자동 로딩에 이르는 과정의 신호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대직경 디스크 D1이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삽입되면, 가이드 암(25)이 원심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리미트 스위치 LS1이 작동되어, 신호 B가 OFF로부터 ON이 된다. 또한 대직경 디스크 D1이 삽입되었을 경우, 가이드 암(25)이 구심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으므로 리미트 스위치 LS2는 작동되지 않고, 그 신호 C는 OFF의 상태로 계속된다.
한편, 디스크 지지 암(19)의 원심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기어 디스크(59)의 회전에 의해, 그 스위치 기동 계단부(59e)에서 리미트 스위치(60)가 작동되면, 그 신호 A1이 ON으로부터 OFF로 되고, 이로부터 이전에 작동한 리미트 스위치 LS1의 신호 B가 ON인 것으로부터 대직경 디스크 D1이 삽입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또 기어 디스크(59)가 회전해서 스위치 기동 계단부(59f)에서 리미트 스위치(60)가 다시 작동되면, 그 신호 A2가 OFF로부터 ON으로 된다. 이 상태를 검지해서 로딩 모터(66)에 고전위의 전류가 흘러, 대직경 디스크 D1의 자동 로딩이 개시된다.
다음에, 도 47에 나타낸 소직경 디스크 D2를 자동 로딩하는 경우에 각 신호의 생성 상태를 도 49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직경 디스크 D2는,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e)에서 리미트 스위치(60)가 작동되었을 때의 신호 A1로 자동 로딩이 개시된다. 이 때, 가이드 암(25)은 구심방향으로 회전하고, 원심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으므로, 리미트 스위치 LS1로부터의 신호 B는 항상 OFF가 된다.
그리고, 이 자동 로딩의 과정에서, 리미트 스위치 LS2가 작동되어, 그 신호 C가 OFF로부터 ON으로 되고, 또한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f)에 의해 작동된 리미트 스위치(60)로부터의 신호 A2가 OFF로부터 ON으로 된다. 이상의 신호의 생성 상태가, 소직경 디스크 D2가 정상으로 자동 로딩되어 있는 상태라고 판단하여, 이후의 자동 로딩이 계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즉 리미트 스위치 LS2이 작동되어, 그 신호 C가 OFF로부터 ON으로 된 것에 의거해서 소직경 디스크 D2가 삽입되었다고 판단하고, 이것을 전기적 제어를 행하는 시스템에 기억한다. 이때, 삽입된 디스크의 종류의 판단을 전술한 바와 같은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핀들 모터(1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감시하여, 구동 전류 혹은 정속회전에 이르기까지의 시간폭으로부터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소직경 디스크 D2를 인식해서 드라이브하고 있는 디스크 장치(1)가 이 소직경 디스크 D2의 반출의 지시를 받으면, 로딩 슬라이더(43)가 전진하고, 각 가이드 암의 반입시와는 역동작에 의해 소직경 디스크 D2를 도 44에 나타낸 위치까지 반출하여, 소직경 디스크 D2가 정지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이루어진 대직경 디스크 D1 및 소직경 디스크 D2의 자동 로딩의 상태를 설명한다. 또한, 대직경 디스크 D1의 자동 로딩이 시작하고, 도 11에 나타낸 리미트 스위치(60)가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e)에서 작동된 시점에 설정한 경우, 로딩 롤러(22a)의 가압에 의한 분력F1a와 가이드 암(25)의 지지 부재(25a)의 가압에 의한 분력 F1b는 삽입 방향 상에서 대직경 디스크 D1의 거의 중심부근에 있기 때문에, 그 합력은 극히 작고, 로딩 동작을 충분히 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대직경 디스크 D1의 자동 로딩의 시작은, 리미트 스위치(60)가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f)에서 반전 작동된 시점에 설정하고 있다.
한편, 소직경 디스크 D2일 경우, 소직경 디스크 D2의 전체를 장치 내부에 밀어 넣어도 디스크 지지 암(19)의 회전량이 적고, 리미트 스위치(60)가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f)에서 반전 작동된 상태까지 이르지 않는다. 따라서, 소직경 디스크 D2의 자동 로딩의 시작은, 리미트 스위치(60)가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e)에서 작동된 시점에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삽입되는 디스크가 대직경 디스크 D1일 경우에는, 이 대직경 디스크 D1이 충분히 삽입된 단계, 즉 디스크 지지 암(19)이 크게 회전한 단계에서 자동 로딩을 시작하고, 삽입되는 디스크가 소직경 디스크 D2일 경우에는, 디스크 삽입의 초기단계, 즉 디스크 지지 암(19)의 작은 회전의 단계에서 자동 로딩을 시작하고 있다.
전술한 동작에 의해 시스템이 소직경 디스크 D2의 통상의 반출을 종료했다고 판단하고, 로딩 모터(66)를 구동시킴으로써 자동 로딩기구를 재차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구심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이드 암 25의 지지 부재 25a 및 가이드 암 29의 지지 부재 29a가 소직경 디스크 D2의 후측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소직경 디스크 D2는 도 50에 나타낸 위치까지 전진하게 된다.
즉, 가이드 암(29)의 종동 핀(29d)이 로딩 슬라이더(43)의 가이드 홈(43c-2)의 경사부에 안내되어서 가이드 암(29)이 회전함으로써, 가이드 암(29)의 지지부재(29a)가 구심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랙 슬라이더(65)가 전진함으로써, 롤러 지지판(62)의 롤러의 대직경부(64a)가 랙 슬라이더(65)의 저위 가이드편(65b)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 롤러 지지판(62)이 인장 코일스프링(63)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하고, 롤러 지지판(62)에 고정된 가이드 암(25)의 지지부재(25a)가 구심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후, 후퇴하고 있었던 로딩 슬라이더(43)가 초기위치까지 전진하므로, 각 가이드 암은 도 51에 나타낸 디스크를 대기하는 상태에서 정지한다. 이 결과, 소직경 디스크 D2의 전단부가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크게 노출하게 된다.
이상의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 도 44에 나타낸 1회째의 로딩 동작 완료시의 소직경 디스크 D2의 위치는, 도 25에 나타낸 자동 로딩 개시시의 위치보다 반출 방향측의 위치에 있고, 도 44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로딩기구를 작동시킨 경우, 가이드 암 25의 지지 부재 25a 및 가이드 암 29의 지지 부재 29a는, 소직경 디스크 D2 중, 디스크 중심보다도 삽입 방향측의 위치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가이드 암에 의해 대직경 디스크와 소직경 디스크의 어느 쪽도 자동 로딩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장치 내부에 수용된 소직경 디스크의 반출시에, 베젤의 슬롯으로부터 이 소직경 디스크를 크게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회수 조작이 용이해지고, 또한 짜 넣는 대상이 되는 정보기기 등의 기구설계를 제한하지 않고, 융통성이 높은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요지가 되는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5는, 전술한 디스크 장치(1)에 리미트 스위치 LS1·LS2을 부설한 것으로, 이 부분을 확대한 상태를 도 46에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더블 롤러(64)의 소직경부(64b)로부터 연장하여 설치한 작용 핀(64c)에 대하여, 그 회전에 의해 스위치 손잡이가 작동되는 리미트 스위치 LS1·LS2이 설치된다. 도 4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직경 디스크 D1이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삽입되어, 자동 로딩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리미트 스위치 LS1이 작동되어 있고, 소직경 디스크 D2이 삽입되어, 자동 로딩되어 있는 도 47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리미트 스위치 LS2이 작동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 LS1·LS2 및 리미트 스위치 60의 작동 상태에 의해, 삽입된 디스크가 대직경 디스크 D1인지, 소직경 디스크 D2인지를 판단하도록 했다. 즉, 도 48에 있어서, 리미트 스위치(60)가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e)로 작동되었을 때의 신호를 A1으로 하고 스위치 기동 계단부(59f)로 작동되었을 때의 신호를 A2로 한다. 또한, 리미트 스위치 LS1이 작동되었을 때의 신호를 B로 하고 리미트 스위치 LS2이 작동되었을 때의 신호를 C로 한다.
그리고, 각 리미트 스위치에 의한 신호의 생성 상태를 자동 로딩의 시작 시점에서 판단하고, 미리 정한 일치 조건과 비교하도록 하고 있다. 도 48은, 대직경 디스크 D1이 삽입되어 자동 로딩에 이르는 과정의 신호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대직경 디스크 D1이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삽입되면, 가이드 암(25)이 원심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리미트 스위치 LS1이 작동되어, 신호 B이 OFF로부터 ON으로 된다. 또한, 대직경 디스크 D1이 삽입되었을 경우, 가이드 암(25)이 구심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없으므로 리미트 스위치 LS2는 작동되지 않고, 그 신호 C는 OFF의 상태에서 계속된다.
한편, 디스크 지지 암(19)의 원심방향에의 회전에 따른 기어 디스크(59)의 회전에 의해, 그 스위치 기동 계단부(59e)로 리미트 스위치(60)가 작동되면, 그 신호 A1이 ON으로부터 OFF로 되지만, 이전에 작동한 리미트 스위치 LS1의 신호 B가 OFF로부터 ON으로 되어 있는 조건으로부터 대직경 디스크 D1의 삽입이라고 판단하고, 이 시점에서는 로딩 모터(66)에 구동 전류를 흘리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또한 기어 디스크(59)가 회전해서 스위치 기동 계단부(59f)로 리미트 스위치(60)가 다시 작동되면, 그 신호 A2가 OFF로부터 ON으로 된다. 이 조건에 이르면 로딩 모터(66)에 구동 전류가 흘려지고, 대직경 디스크 D1의 자동 로딩이 개시된다.
다음에, 도 47에 나타낸 소직경 디스크 D2를 자동 로딩할 경우에 각 신호의 생성 상태를 도 49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직경 디스크 D2는,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e)로 리미트 스위치(60)가 작동되었을 때의 신호 A1으로 자동 로딩이 개시된다. 이 때, 가이드 암(25)은 구심방향으로 회전하고, 원심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없으므로, 리미트 스위치 LS1으로부터의 신호 B는 항상 OFF가 된다.
그리고, 이 자동 로딩 과정에 있어서, 리미트 스위치 LS2가 작동되어, 그 신호 C이 OFF로부터 ON이 되고, 또한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f)에 의해 작동된 리미트 스위치(60)로부터의 신호 A2가 OFF로부터 ON으로 된다. 이상의 신호의 생성 상태가, 소직경 디스크 D2가 정상적으로 자동 로딩되어 있는 상태라고 판단하여, 이후의 자동 로딩이 계속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이루어진 대직경 디스크 D1 및 소직경 디스크 D2의 자동 로딩의 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대직경 디스크 D1의 자동 로딩이 시작하고, 도 11에 나타낸 리미트 스위치(60)가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e)로 작동된 시점에 설정한 경우, 로딩 롤러(22a)의 가압에 의한 분력 F1a와 가이드 암(25)의 지지 부재(25a)의 가압에 의한 분력 F1b는 삽입방향상에서 대직경 디스크 D1의 거의 중심부근에 있기 때문에, 그 합력은 극히 작고, 로딩동작을 충분하게 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대직경 디스크 D1의 자동 로딩의 시작은, 리미트 스위치(60)가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f)로 반전 작동된 시점에 설정하고 있다.
한편, 소직경 디스크 D2의 경우, 소직경 디스크 D2의 전체를 장치 내부에 눌러 넣어도 디스크 지지 암(19)의 회전량이 적고, 리미트 스위치(60)가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f)로 반전 작동된 상태까지 이르지 않는다. 따라서, 소직경 디스크 D2의 자동 로딩의 시작은, 리미트 스위치(60)가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e)로 작동된 시점에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삽입되는 디스크가 대직경 디스크 D1일 경우에는, 이 대직경 디스크 D1이 충분히 삽입된 단계, 즉 디스크 지지 암(19)이 크게 회전한 단계에서 자동 로딩을 시작하고, 삽입되는 디스크가 소직경 디스크 D2일 경우에는, 디스크 삽입의 초기단계, 즉 디스크 지지 암(19)의 작은 회전의 단계에서 자동 로딩을 시작하고 있다.
다음에, 도 54는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소직경 디스크의 자동 로딩을 계속할 수 없게 된 경우의 신호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그 요인으로서 자동 로딩에 관련되는 기구요소의 불량, 혹은 조작자가 반입되는 소직경 디스크 D2를 되돌리는 조작을 한 경우를 상정하고, 장치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한 것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경우에서도, 소직경 디스크 D2가 삽입되면 기어 디스크(59)의 스위치 기동 계단부(59e)로 리미트 스위치(60)가 작동되었을 때의 신호 A1이 ON으로부터 OFF로 됨으로써 자동 로딩이 개시된다. 이 시점에서, 예를 들면 소직경 디스크 D2를 반출 방향으로 되돌리는 힘이 가해지면, 가이드 암(25)의 구심방향으로의 회전이 정지 또는 반대로 원심방향으로 회전되게 되어, 리미트 스위치 LS2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 이르면, 신호 A2가 OFF로부터 ON이 된 시점에 ON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안되는 리미트 스위치 LS2의 신호 C가 OFF의 상태이며, 미리 설정한 신호조건과 상이하기 때문에, 시스템은 즉시 이상상태라고 판단한다. 이렇게 하여 이상상태가 검출되면, 그것까지 소직경 디스크를 반입 방향으로 자동 로딩하도록 구동되어 있었던 구동기구는, 시스템으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반전 구동을 시작하고, 소직경 디스크 D2의 반출을 시작하고, 불량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가이드 암에 의해 대직경 디스크와 소직경 디스크의 어느 쪽도 자동 로딩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아울러, 삽입된 디스크가 대직경 디스크인지 소직경 디스크인지를 판별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소직경 디스크의 자동 로딩에 따라 발생하는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기구적 신뢰성을 향상한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디스크의 어느 쪽도 자동 로딩해서 드라이브 가능해지도록 한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소직경 디스크의 반출시에 이 소직경 디스크가 베젤의 슬롯으로부터 노출해서 정지하는 위치를 크게 전진시키고, 이에 따라 소직경 디스크의 회수 조작이 용이해지고, 더군다나, 부착 대상이 되는 정보기기 등의 기구설계를 제한하지 않는 디스크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삽입된 디스크가 대직경 디스크인지 소직경 디스크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소직경 디스크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반입 불능이 되었을 때, 이 상태를 판단해서 소직경 디스크를 강제적으로 장치외부에 반출하도록 했으므로 장치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기구적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Claims (5)

  1.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디스크의 외주연을 지지해서 반송 가능해지도록 한 복수의 암에 의해 삽입된 디스크를 장치 내부로 반입하고, 또는 장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디스크를 장치 외부로 반출하도록 한 자동 로딩기구를 구비한 디스크 장치로서,
    상기 자동 로딩기구는, 장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디스크를 장치 외부로 반출하는 작동을 한 후, 상기 디스크가 소직경 디스크의 경우에 재차 작동하고, 상기 소직경 디스크가 반출되어서 정지하는 위치를 반출하는 방향으로 더 전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디스크의 외주연을 지지해서 반송 가능해지도록 한 복수의 암에 의해 삽입된 디스크를 자동 로딩에 의해 장치 내부에 반입하고, 또는 장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디스크를 장치 외부에 반출하도록 한 디스크 장치로서,
    상기 대직경 디스크 또는 소직경 디스크를 베젤의 슬롯으로부터 삽입할 때, 상기 디스크의 외주연에 가압되어서 연동하는 암에 의해 각각 작동하는 1쌍의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 상태에 의거해서 대직경 디스크 또는 소직경 디스크가 삽입된 것을 판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 상태에 의거하여, 대직경 디스크를 반입할 경우와 소직경 디스크를 반입할 경우로, 자동 로딩의 시작의 조건을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4.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디스크의 외주연을 지지해서 반송 가능해지도록 한 복수의 암에 의해 삽입된 디스크를 자동 로딩에 의해 장치 내부에 반입하고, 또는 장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디스크를 장치 외부에 반출하도록 한 디스크 장치로서,
    상기 대직경 디스크 또는 소직경 디스크를 베젤의 슬롯으로부터 삽입할 때, 상기 디스크의 외주연에 가압되어서 연동하는 암에 의해 각각 작동하는 1쌍의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 상태에 의거해서 대직경 디스크 또는 소직경 디스크를 자동 로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 디스크의 자동 로딩 개시 후, 그 자동 로딩을 계속하는 조건에 상기 1쌍의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 상태가 일치하지 않을 때, 자동 로딩을 담당하는 기구를 역전시키고, 소직경 디스크를 장치 외부에 반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KR1020060014994A 2005-02-18 2006-02-16 디스크 장치 KR100742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42973 2005-02-18
JP2005042952A JP4277809B2 (ja) 2005-02-18 2005-02-18 ディスク装置
JPJP-P-2005-00042952 2005-02-18
JP2005042973A JP4315112B2 (ja) 2005-02-18 2005-02-18 ディス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040A KR20060093040A (ko) 2006-08-23
KR100742687B1 true KR100742687B1 (ko) 2007-07-25

Family

ID=3708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994A KR100742687B1 (ko) 2005-02-18 2006-02-16 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70190B2 (ko)
KR (1) KR100742687B1 (ko)
TW (1) TWI3273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3118B2 (ja) * 2003-06-02 2008-06-04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TWI320924B (en) * 2005-02-02 2010-02-21 Teac Corp Disc device
US7770190B2 (en) 2005-02-18 2010-08-03 Teac Corporation Disk unit having at least one limit switch for detecting a size of an inserted disk
JP4265596B2 (ja) * 2005-11-14 2009-05-20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4687566B2 (ja) 2006-05-24 2011-05-2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4882547B2 (ja) * 2006-06-29 2012-02-22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4784415B2 (ja) * 2006-07-06 2011-10-0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TWI325580B (en) * 2006-12-01 2010-06-01 Lite On It Corp Slot-in type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JP5158329B2 (ja) * 2007-07-23 2013-03-06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CN101847425B (zh) * 2009-03-26 2012-07-25 飞利浦建兴数位科技股份有限公司 具可调整退片距离机制的吸入式光驱
JP2011060343A (ja) * 2009-09-07 2011-03-24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電子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786A (ko) * 1993-08-23 1995-03-21 배순훈 미니디스크 클램핑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JP2002117604A (ja) * 2000-10-11 2002-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2023A (en) 1987-06-23 1991-06-04 Sony Corporation Disc drive arrangement for CD player and the like capable of loading different size discs
DE4004562B4 (de) * 1989-02-16 2008-05-08 Pioneer Electronic Corp. In ein Fahrzeug eingebauter Plattenspieler
KR920002327Y1 (ko) * 1989-07-15 1992-04-09 다나신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디스크형 기록매체 장전장치
US5150349A (en) * 1989-10-19 1992-09-22 Clarion Co., Ltd. Disc loading structure
US5195077A (en) * 1990-01-31 1993-03-16 Clarion Co., Ltd. Disc loading mechanism for large and small disks
JP3638655B2 (ja) * 1995-03-03 2005-04-1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US6243350B1 (en) 1996-05-01 2001-06-05 Terastor Corporation Optical storage systems with flying optical heads for near-field recording and reading
JPH10162466A (ja) 1996-11-26 1998-06-19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再生装置
JPH10289514A (ja) 1997-04-15 1998-10-27 Nakamichi Corp ディスク移送装置
JP3725321B2 (ja) 1997-04-24 2005-12-0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3725322B2 (ja) 1997-04-24 2005-12-0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CN1129131C (zh) 1997-04-24 2003-11-26 阿尔派株式会社 磁盘装置
JPH1166677A (ja) 1997-08-26 1999-03-09 Hitachi Ltd ディスク装置
JPH11120657A (ja) 1997-10-14 1999-04-30 Hitachi Ltd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US6480442B1 (en) * 1998-09-28 2002-11-12 Clarion Co., Ltd. Disk player capable of detecting different sizes of optical disks
JP2001056994A (ja) 1999-08-19 2001-0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US6542453B1 (en) * 1999-10-08 2003-04-01 Pioneer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read device
JP3685047B2 (ja) * 1999-12-03 2005-08-17 ティアック株式会社 記録媒体装着装置
JP2002170309A (ja) 2000-11-30 2002-06-14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JP2002279716A (ja) 2001-03-15 2002-09-27 Toshiba Corp ディスク装置及び方法
CN100397518C (zh) 2001-04-27 2008-06-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盘装置
TW556158B (en) * 2001-11-23 2003-10-01 Lite On It Corp Method for determining the radius of compact disk and the compact disk data access device
JP3845576B2 (ja) * 2001-12-07 2006-11-15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3816010B2 (ja) * 2002-01-30 2006-08-30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3845590B2 (ja) * 2002-02-28 2006-11-15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のセンタリング装置
JP2005085449A (ja) * 2003-09-11 2005-03-31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452056B2 (ja) * 2003-10-20 2010-04-2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搬送装置
JP4315067B2 (ja) 2003-12-05 2009-08-19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20050198656A1 (en) * 2003-12-05 2005-09-08 Sony Corporation Disc drive device
JP2005190555A (ja) 2003-12-25 2005-07-14 Teac Corp ディスク装置
JP4196928B2 (ja) 2004-10-18 2008-12-17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2006127680A (ja) 2004-10-29 2006-05-18 Pioneer Electronic Corp 記録媒体駆動装置
US7770190B2 (en) 2005-02-18 2010-08-03 Teac Corporation Disk unit having at least one limit switch for detecting a size of an inserted dis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786A (ko) * 1993-08-23 1995-03-21 배순훈 미니디스크 클램핑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JP2002117604A (ja) * 2000-10-11 2002-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30960A (en) 2006-09-01
TWI327307B (en) 2010-07-11
KR20060093040A (ko) 2006-08-23
US20060230412A1 (en) 2006-10-12
US7770190B2 (en) 201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687B1 (ko) 디스크 장치
JP4687566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719056B1 (ko) 디스크 장치
KR100892659B1 (ko) 디스크 장치
KR20060041799A (ko) 디스크장치
JP2007293981A (ja) ディスク装置
JP4277809B2 (ja) ディスク装置
JP4265596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863321B1 (ko) 디스크 장치
JP4325564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900951B1 (ko) 디스크 장치
JP4259474B2 (ja) ディスク装置
JP4315112B2 (ja) ディスク装置
JP4687688B2 (ja) ディスク装置
JP4356802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866939B1 (ko) 디스크 장치
JP4315108B2 (ja) ディスク装置
JP4136968B2 (ja) ディスク装置
JP2006155690A (ja) 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