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199A -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199A
KR20080000199A KR1020060057796A KR20060057796A KR20080000199A KR 20080000199 A KR20080000199 A KR 20080000199A KR 1020060057796 A KR1020060057796 A KR 1020060057796A KR 20060057796 A KR20060057796 A KR 20060057796A KR 20080000199 A KR20080000199 A KR 20080000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voltage
driving chip
sourc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246B1 (ko
Inventor
곽윤희
문승환
장종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7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246B1/ko
Priority to CN200710000477XA priority patent/CN101097322B/zh
Priority to US11/734,150 priority patent/US7965285B2/en
Priority to JP2007163560A priority patent/JP5148178B2/ja
Publication of KR20080000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배선저항을 줄이기 위한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표시 기판은 소스 배선들, 게이트 배선들, 출력패드부, 팬 아웃부 및 제1 전압배선부를 포함한다. 소스 배선들은 표시영역에 형성되고, 게이트 배선들은 소스 배선들과 교차하여 형성된다. 출력패드부는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주변영역에 형성되고, 구동 칩의 출력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팬 아웃부는 상기 출력패드부와 소스 배선들을 연결한다. 제1 전압배선부는 팬 아웃부와 교차되어 연장되고, 구동 칩이 실장되는 실장영역의 중앙에서 실장영역의 양측 단부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압배선부를 기울여 형성하여 팬 아웃부와 중첩시킴으로써 팬 아웃부의 배선저항 및 배선저항 차를 줄임으로써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배선저항, 중첩, 전압배선, 팬 아웃부

Description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기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a는 비교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쇄회로기판 200 : 표시 기판
300 : 대향 기판 400 : 표시 패널
500 : 연성인쇄회로기판 510 내지 560 : 신호배선부
210 : 직선부 220 : 사선부
230 : 팬 아웃부 240 : 제1 전압배선부
250 : 제2 전압배선부 260 : 연결배선부
610, 620 : 게이트 구동부 CA : 실장영역
본 발명은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저항을 줄이기 위한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투과율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게이트신호와 데이터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및 소스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부들을 포함하고, 각 화소부에는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연결된 액정 캐패시터가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는 상기 스위칭 소자를 턴-온 시키는 상기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소스 구동회로는 상기 액정 캐패시터를 구동시키는 상기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
최근 액정표시장치의 경박단소화에 따라서 칩 형태의 상기 소스 구동회로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직접 실장하는 COG(Chip On Glass)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COG 구조에서는 소스 구동 칩의 입력신호들 및 출력신호를 전달되는 금속배선들이 서로 다른 금속층으로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직접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각각의 금속배선이 갖는 배선저항에 의해 상기 금속배선으로 전달되는 신호의 지연 등에 의한 표시 품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선저항을 줄이기 위한 표시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판은 소스 배선들, 게이트 배선들, 출력패드부, 팬 아웃부 및 제1 전압배선부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 배선들은 표시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배선들은 상기 소스 배선들과 교차하여 형성된다. 상기 출력패드부는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주변영역에 형성되고, 구동 칩의 출력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팬 아웃부는 상기 출력패드부와 상기 소스 배선들을 연결한다. 상기 제1 전압배선부는 상기 팬 아웃부와 교차되어 연장되고, 상기 구동 칩이 실장되는 실장영역의 중앙에서 상기 실장영역의 양측 단부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게이트 구동부, 소스 구동칩, 팬 아웃부 및 제1 전압배선부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표시영역의 게이트 배선들에 게이트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소스 구동칩은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주변영역에 실장되고, 상기 게이트 배선들과 교차하는 소스 배선들에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팬 아웃부는 상기 소스 구동칩과 상기 표시영역의 소스 배선들을 연결한다. 상기 제1 전압배선부는 상기 팬 아웃부와 교차되어 연장되고, 상기 소스 구동칩의 중앙부분에서 양측 에지부분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패널 상에 직접 형성된 상기 제1 전압배선부를 기울여 형성하여 상기 팬 아웃부와 중첩시킴으로써 상기 팬 아웃부의 배선저항 및 배선저항 차를 줄임으로써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인쇄회로기판(100), 표시 패널(400) 및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0)에는 메인구동회로(110)가 실장된다. 상기 메인구동회로(110)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원시제어신호 및 원시구동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패널(300)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구동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표시 패널(400)은 표시 기판(200)과, 상기 표시 기판(200)과 결합하여 액정층(미도시)을 수용하는 대향 기판(30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4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DA)과 상기 표시영역(DA)을 둘러싸는 제1, 제2 및 제3 주변영역(PA1, PA2, PA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영역(DA)에는 서로 교차하는 소스 배선들(DL) 및 게이트 배선들(GL)이 형성되고, 상기 소스 배선들(DL) 및 게이트 배선들(GL)에 의해 복수의 화소부들(P)이 정의된다. 각 화소부(P)에는 스위칭 소자(TFT), 액정 캐패시터(CLC)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주변영역(PA1)에는 상기 소스 배선(DL)에 아날로그의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소스 구동칩들이 실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주변영역(PA1) 중 좌측 에는 소스 구동칩들(LD1, LD2, LD3, LD4)이 실장되고, 상기 제1 주변영역(PA1) 중 우측에는 소스 구동칩들(RD1, RD2, RD3, RD4)이 실장된다.
상기 제1 주변영역(PA1)에는 각 소스 구동칩(LD1)과 상기 소스 배선들(D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팬 아웃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팬 아웃부(230)는 직선으로 형성된 직선부(210)와 사선으로 형성된 사선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주변영역(PA1)에는 상기 소스 구동칩들(LD1,..,RD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제1 전압배선부(240), 제2 전압배선부(250) 및 연결배선부(26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는 상기 게이트 배선(GL)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소스 구동칩들(LD1,..,RD4)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전압배선부(240)는 상기 소스 구동칩들(LD1,..,RD4)에 제1 구동전압인, 제1 전원전압(VDD1) 및 제1 접지전압(VSS1)을 공통으로 인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는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로 전달되는 상기 제1 구동전압의 전압 강하(Voltage Drop)를 줄이기 위해 상기 팬 아웃부(230)와 교차하여 일부영역이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는 각 소스 구동칩(LD1)이 실장되는 실장영역에 대응하여 완만한 V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와 중첩되는 상기 팬 아웃부(230)의 배선저항을 줄인다.
상기 제2 전압배선부(250)는 상기 게이트 배선(GL)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소스 구동칩들(LD1,..,RD4) 위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전압발생부(250)는 상기 소스 구동칩들(LD1,..,RD4)에 제2 구동전압인, 제2 전원전압(VDD2) 및 제2 접 지전압(VSS2)을 공통으로 인가한다.
상기 연결배선부(260)는 상기 소스 구동칩(LD3)에 데이터신호 및 감마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연결배선부(260)를 통해 서로 인접한 소스 구동칩들(LD1, LD2) 간에 캐스캐이드(CASCADE)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신호 및 감마신호가 전달한다.
상기 제2 및 제3 주변영역(PA2, PR3)에는 상기 게이트 배선(GL)에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부들(610, 620)이 집적되거나, 칩 형태로 실장된다. 각 게이트 구동부(610)는 상기 게이트 배선들(G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 배선들(GL)에 게이트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는 게이트 구동부들(610, 620)이 제2 및 제3 주변영역(PA2, PA3), 즉, 상기 표시영역(DA) 양측에 형성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제2 주변영역(PA2)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500)에는 신호배선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00)과 표시 패널(4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신호배선부들(510, 520, 530, 540, 550, 560)은 상기 메인구동회로(110)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 및 구동신호들을 상기 표시 패널(40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제1 신호배선부(510)는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에 제1 구동전압을 전달하고, 상기 제2 신호배선부(520)는 상기 제2 전압배선부(250)에 제2 구동전압을 전달한다. 상기 제1 및 제2 신호배선부(510, 520)는 좌측의 첫 번째 소스 구동칩(LD1)과 우측의 첫 번째 소스 구동칩(RD1) 사이의 상기 제1 및 제2 전압배선부(240, 250)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다.
제3 신호배선부(530)는 상기 제1 주변영역(PA1) 중 좌측에 실장된 상기 소스 구동칩들(LD1, LD2, LD3, LD4)에 제공되는 상기 데이터신호 및 감마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배선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신호배선부(530)는 상기 좌측의 첫 번째 소스 구동칩(LD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좌측의 소스 구동칩들(LD1, LD2, LD3, LD4)에 캐스캐이드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신호 및 감마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제4 신호배선부(540)는 상기 제1 주변영역(PA1) 중 우측에 실장된 상기 소스 구동칩들(RD1, RD2, RD3, RD4)에 제공되는 상기 데이터신호 및 감마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배선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4 신호배선부(540)는 상기 우측의 첫 번째 소스 구동칩(RD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우측의 소스 구동칩들(RD1, RD2, RD3, RD4)에 캐스캐이드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신호 및 감마신호를 전달한다.
제5 신호배선부(550)는 상기 제2 주변영역(PA2)에 형성된 제1 게이트 구동부(610)에 게이트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배선들을 포함하고, 제6 신호배선부(560)는 상기 제3 주변영역(PA3)에 형성된 제2 게이트 구동부(620)에 게이트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배선들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기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주변영역(PA1)은 소스 구동칩이 실장되는 실장영역(CA)과 서로 인접한 상기 실장영역(CA)들 사이에 정의된 이격영역(IA)으로 구분된다. 상기 실장영역(CA) 및 이격영역(IA)에는 제1 전압배선부(240) 및 제2 전압배선부(250)가 제1 도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격영역(IA)에는 연결배선부(260)가 제2 도전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는 상기 제1 주변영역(PA1)의 하부에 상기 게이트 배선들(GL)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된 제1 전원배선(241)과 제1 접지배선(24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전압배선부(250)는 상기 제1 주변영역(PA1)의 상부에 상기 게이트 배선들(GL)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된 제2 전원배선(251)과 제2 접지배선(25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압배선부(240, 250)는 배선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주변영역(PA1)이 허용하는 가능한 큰 선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층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전압배선부(240, 250)는 전압 강하(Voltage Drop)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른 도전층, 예컨대, 제2 도전층과 중첩되도록 형성한다.
예컨대,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는 제2 도전층으로 형성된 상기 팬 아웃부(230)와 일부분이 교차하여 중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 전압배선부(250)는 상기 제2 도전층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배선부(260)와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실장영역(CA)에는 상기 소스 구동칩의 입력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패드부(IP)와, 상기 소스 구동칩의 출력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패드부(OP)가 제3 도전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입력패드부(IP)는 복수의 입력패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배선부(260)의 신호배선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출력패드부(OP)는 복수의 출력패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팬 아웃부(230)의 출력배선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팬 아웃부(230)는 직선으로 연장된 직선부(210)와 사선으로 연장된 사선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패드들에 대응하여 복수의 출력배선들(OL1,.,OLC,..,OLM)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은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와 교차하며, 상기 교차 부분에서 서로 중첩된다.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는 상기 팬 아웃부(230)의 배선저항을 줄이기 위해 상기 실장영역(CA)에 대응하여 V자 형상으로 완만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는 상기 실장영역(CA)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중앙(C)에서 양측 에지들(E1, E2)로 일정각도(θ) 완만하게 기울어져 형성된다.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의 경사각도(θ)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첫째,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가 형성되는 제1 주변영역(PA1)의 여유 공간을 고려해야 하며, 둘째,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도전층의 물질 특성에 따른 제1 전원배선(241)과 제1 접지배선(242)과의 최소한의 이격 마진을 고려해야 한다.
상기 첫째 및 둘째 사항이 고려되면, 셋째, 상기 중앙의 출력배선(OLC)과 에지 출력배선(OL1 or OLM) 간의 배선저항 차가 최소가 되어야 하며, 넷째,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가 직선(기울기각=0도)으로 형성된 경우의 출력배선들(OL1,.,OLC,..,OLM)의 배선저항 보다 작도록 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의 상기 경상각도(θ)가 설정되며, 상 기 설정된 경사각도로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를 기울여 형성한다.
상기 절곡된 제1 전압배선부(240)에 의해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 의 배선저항 차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은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와 중첩됨에 따라서 배선저항이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중앙의 출력배선(OLC)은 직선부(210)로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와 중첩되는 면적이 작으며, 에지의 출력배선(OL1 or OLM)은 직선부(210)와 사선부(220)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와 중첩되는 면적이 크다. 즉, 상기 에지의 출력배선(OL1 or OLM)이 중앙의 출력배선(OLC) 보다 저항이 크다.
따라서,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를 중앙(C)을 중심으로 양측 에지측(E1, E2)으로 기울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과 중첩되는 면적을 차등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의 배선저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의 배선저항을 줄임으로써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신호의 지연에 의한 세로줄 불량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기재하여 설명하고,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주변영역(PA1)은 소스 구동칩이 실장되는 실장영역(CA)과 서로 인접한 상기 실장영역(CA)들 사이에 정의된 이격영역(IA)으로 구분된다.
상기 실장영역(CA)에는 상기 소스 구동칩의 출력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패드부(OP)가 형성된다. 상기 출력패드부(OP)는 복수의 출력패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팬 아웃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팬 아웃부(230)는 직선부(210)와 사선부(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패드들에 대응하여 복수의 출력배선들(OL1,.,OLC,..,OLM)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은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와 중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는 상기 실장영역(CA)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는 상기 실장영역(CA)의 중앙(C)에서 양측 에지들(E1, E2)로 일정각도(θ) 완만하게 기울어져 형성된다.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에 의해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과 중첩면적을 최소화하여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의 배선저항을 줄인다.
한편,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의 직선부(210)에는 지그재그패턴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중앙의 출력배선(OLC)은 직선부(210)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지의 출력배선(OL1 or OLM)은 직선부(210)와 사선부(220)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상기 중앙의 출력배선(OLC)의 길이는 상기 에지의 출력배선(OL1 or OLM)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다. 따라서, 상기 중앙의 출력배선(OLC)의 길이와 상기 에지의 출력배선(OL1 or OLM)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조절하기 위해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의 직선부(210)에 지그재그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지그재그패턴의 절곡 횟수를 조절하여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 간의 배선저항 차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직선부(210)에 지그재그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의 배선저항 차를 줄인다. 또한, 상기 제1 전압배선부(240)를 경사각이 완만한 V자 형상으로 절곡시켜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과 중첩되는 면적을 줄여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의 배선저항을 줄인다. 결과적으로,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의 배선저항 차 및 배선저항을 줄인다.
따라서, 상기 팬 아웃부(230)의 상기 출력배선들(OL1,.,OLC,..,OLM)의 배선저항에 의한 표시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도 4a는 비교예에 따른 개념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전압배선들(VDL, VSL) 위에는 복수의 출력 배선들을 포함하는 팬 아웃부(OF)가 중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는, 출력배선들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된 1번째부터 240번째까지의 출력배선들(OL1,..,OL240)과 상기 출력배선들(OL1,..,OL240)과 중첩된 전압배선들(VDL, VSL)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출력배선들(OL1,..,OL240)은 직선부 및 사선부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240번째 출력배선(OL240)은 직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선부에는 지그재그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240번째 출력배선(OL240)은 상기 전압배선들(VDL, VSL)과 중첩된다. 1번째 출력배선(OL1)은 직선부(OL11)와 사선부(OL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선부(OL11)에는 상기 지그재그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직선부(OL11)는 상기 전압배선(VDL)과 중첩되고 상기 사선부(OL12)는 상기 접지배선(VSL)과 중첩된다.
도 4a는 상기 전압배선들(VDL, VSL)의 기울기가 0인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40번째 출력배선(OL240)은 상기 전압배선들(VDL, VSL)과 제1 면적이 중첩된다. 한편, 상기 1번째 출력배선(OL1)의 직선부(OL11)와 사선부(OL12)는 제2 면적이 상기 전압배선들(VDL, VSL)과 중첩된다.
도 4b는 상기 전원배선(VDL)과 접지배선(VSL)의 기울기가 일정각도(θ) 기울어진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40번째 출력배선(OL240)은 상기 전압배선들(VDL, VSL)과 제3 면적이 중첩된다. 상기 1번째 출력배선(OL1)의 직선부(OL11)와 사선부(OL12)는 제4 면적이 상기 전압배선들(VDL, VSL)과 중첩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교예의 1번째 출력배선(OL1)의 사선부(OL12)는 제1 길이(a)가 중첩되고, 상기 실시예의 1번째 출력배선(OL1)의 사선부(OL12)는 상기 제1 길이(a) 보다 짧은 제2 길이(b)가 중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압배선들(VDL, VSL)을 일정각도(θ)로 기울여 형성하는 경우 상기 출력배선들(OL1,OL240)과 중첩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배선저항을 줄일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전압배선들(VDL, VSL)과 출력배선들(OL1, OL240)간의 중첩면적에 따른 커패시턴스(Cap)와 RC-delay 차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6045561090-PAT00001
도 4a 및 도 4b,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압배선들(VDL, VSL)을 기울기가 0도인 직선으로 형성하는 경우(비교예), 1번째 출력배선(OL1)과 240번째 출력배선(OL240)의 상기 전압배선들(VDL, VSL)과 중첩면적에 의한 커패시턴스는 약 1 : 2의 비율이며, RC-delay 차는 약 1 : 15 의 비율이었다.
반면, 상기 전압배선들(VDL, VSL)을 선폭을 최대로 유지하면서 배선저항을 차등적으로 줄이기 위해 일정각도로 기울여 형성한 경우(실시예), 1번째 출력배선(OL1)과 240번째 출력배선(OL240)의 상기 전압배선들(VDL, VSL)과 중첩면적에 의한 커패시턴스는 약 1 : 2의 비율이며, RC-delay 차는 약 1 : 5 의 비율이었다.
상기 비교예와 실시예를 비교해 볼 때, 상기 출력배선들(OL1, OL240)과 전압배선들(VDL, VSL)의 중첩면적에 의한 커패시턴스(Cap)는 서로 비슷하였으나, RC-delay 차는 비교예 보다 실시예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팬 아웃부와 중첩되는 전압배선을 일정각도로 기울여 형성함으로써, 팬 아웃부와 중첩되는 면적을 줄여 상기 팬 아웃부의 배선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아웃부의 직선부에 지그재그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팬 아웃부의 배선저항 차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팬 아웃부의 배선저항 및 배선저항 차를 줄여 상기 팬 아웃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신호의 지연에 의한 세로줄 불량 등과 같은 표시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표시영역에 형성된 소스 배선들;
    상기 소스 배선들과 교차하는 게이트 배선들;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주변영역에 형성되고, 구동 칩의 출력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출력패드부;
    상기 출력패드부와 상기 소스 배선들을 연결하는 팬 아웃부; 및
    상기 팬 아웃부와 교차되어 연장되고, 상기 구동 칩이 실장되는 실장영역의 중앙에서 상기 실장영역의 양측 단부로 기울어져 형성된 제1 전압배선부를 포함하는 표시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배선부는 상기 실장영역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V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배선부는 제1 전원전압을 상기 구동 칩에 인가하는 제1 전원배선과, 제1 접지전압을 상기 구동 칩에 인가하는 제1 접지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아웃부는 직선으로 연장된 직선부와, 사선으로 연장된 사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부에는 지그재그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 칩의 입력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입력패드부; 및
    서로 인접한 입력패드부들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배선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기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선부와 중첩되어 연장되는 제2 전압배선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기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배선부는 제2 전원전압을 상기 구동 칩에 인가하는 제2 전원배선과, 제2 접지전압을 상기 구동 칩에 인가하는 제2 접지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압배선부는 상기 게이트 배선들과 동일한 제1 도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팬 아웃부 및 연결배선부는 상기 소스 배선들과 동일한 제2 도전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9. 표시영역의 게이트 배선들에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주변영역에 실장되고, 상기 게이트 배선들과 교차하는 소스 배선들에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소스 구동칩;
    상기 소스 구동칩과 상기 표시영역의 소스 배선들을 연결하는 팬 아웃부; 및
    상기 팬 아웃부와 교차되어 연장되고, 상기 소스 구동칩의 중앙부분에서 양측 에지부분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제1 전압배선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배선부는 상기 소스 구동칩의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V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팬 아웃부는 직선으로 연장된 직선부와, 사선으로 연장된 사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부에는 지그재그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구동칩의 입력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입력패드부;
    서로 인접한 입력패드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소스 구동칩에 데이터신호를 캐스캐이드 방식으로 전달하는 연결배선부; 및
    상기 연결배선부와 중첩되어 연장되는 제2 전압배선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배선부는 상기 소스 구동칩에 제1 전원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전원배선과, 제1 접지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접지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압배선부는 상기 소스 구동칩에 제2 전원전압을 인가하는 제2 전원배선과, 제2 접지전압을 인가하는 제2 접지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압배선부는 상기 게이트 배선들과 동일한 제1 도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팬 아웃부 및 연결배선부는 상기 소스 배선들과 동일한 제2 도전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60057796A 2006-06-27 2006-06-27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249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796A KR101249246B1 (ko) 2006-06-27 2006-06-27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N200710000477XA CN101097322B (zh) 2006-06-27 2007-02-26 显示基板及具有该显示基板的显示装置
US11/734,150 US7965285B2 (en) 2006-06-27 2007-04-11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7163560A JP5148178B2 (ja) 2006-06-27 2007-06-21 表示基板、及びそれを具備した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796A KR101249246B1 (ko) 2006-06-27 2006-06-27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199A true KR20080000199A (ko) 2008-01-02
KR101249246B1 KR101249246B1 (ko) 2013-04-01

Family

ID=3887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796A KR101249246B1 (ko) 2006-06-27 2006-06-27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65285B2 (ko)
JP (1) JP5148178B2 (ko)
KR (1) KR101249246B1 (ko)
CN (1) CN10109732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911B1 (ko) * 2009-09-25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게이트 구동회로
KR20190070489A (ko) * 2017-12-13 2019-06-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893B1 (ko) * 2005-08-24 201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09192923A (ja) * 2008-02-15 2009-08-27 Nec Electronics Corp データ線駆動回路、表示装置及びデータ線駆動方法
KR101627245B1 (ko) * 2009-05-11 2016-06-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팬아웃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258260B1 (ko) * 2010-04-16 2013-04-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30031559A (ko) 2011-09-21 2013-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KR101910340B1 (ko) * 2011-10-12 2018-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내로우 베젤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30076399A (ko) * 2011-12-28 2013-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15479A (ko) * 2014-07-30 2016-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4166284B (zh) * 2014-08-27 2018-01-0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其扇形区域
KR102367954B1 (ko) 2014-12-19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839733B2 (en) 2015-09-21 2020-11-17 Apple Inc. Display having gate lines with zigzag extensions
US10288963B2 (en) 2015-09-21 2019-05-14 Apple Inc. Display having gate lines with zigzag extensions
CN106169456A (zh) 2016-08-22 2016-11-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扇出线结构和包括其的显示装置以及扇出线布线方法
CN106205540B (zh) * 2016-08-31 2019-02-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改善显示亮度均一性的液晶显示面板与液晶显示器
KR102631839B1 (ko) * 2016-09-07 2024-01-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652929B (zh) * 2016-10-18 2019-11-0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及液晶显示屏
JP2018136567A (ja) * 2018-04-23 2018-08-30 レイセオン カンパニー 蛇行抵抗器を有する適応光学液晶アレイデバイス
KR20200086770A (ko) 2019-01-09 2020-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9658891B (zh) * 2019-01-30 2020-08-18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驱动电路、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9830207A (zh) * 2019-03-27 2019-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致发光显示面板的调整方法及装置
KR20200115925A (ko) * 2019-03-29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14265A (ko) * 2019-07-29 2021-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738968A (zh) * 2019-11-29 2020-01-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覆晶薄膜及显示装置
CN115472098A (zh) * 2019-12-30 2022-12-1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338136B (zh) * 2020-03-13 2023-03-2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7288B2 (ja) * 1993-11-12 2007-10-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素子の実装構造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237679B1 (ko) * 1995-12-30 2000-01-15 윤종용 저항 차를 줄이는 팬 아웃부를 가지는 액정 표시 패널
JP3296299B2 (ja) * 1998-08-03 2002-06-24 日本電気株式会社 引き出し配線のレイアウト方法および高密度配線を有する表示装置
JP3964546B2 (ja) * 1998-08-04 2007-08-2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3005670A (ja) * 2001-06-20 2003-01-08 Toshiba Corp 平面表示装置
JP2003140181A (ja) * 2001-11-02 2003-05-14 Nec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831235B1 (ko) * 2002-06-07 2008-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KR100840330B1 (ko) * 2002-08-07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에 사용하는 구동 집적 회로
KR20060004320A (ko) * 2004-07-09 2006-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전송필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0775827B1 (ko) * 2005-12-22 200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균일한 저항값을 갖는 스캔 라인을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소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911B1 (ko) * 2009-09-25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게이트 구동회로
US8913045B2 (en) 2009-09-25 2014-12-16 Lg Display Co., Ltd. Gate drive circuit for display device
KR20190070489A (ko) * 2017-12-13 2019-06-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97322A (zh) 2008-01-02
CN101097322B (zh) 2011-03-30
JP5148178B2 (ja) 2013-02-20
KR101249246B1 (ko) 2013-04-01
US7965285B2 (en) 2011-06-21
JP2008009429A (ja) 2008-01-17
US20070296659A1 (en)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246B1 (ko)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820382B1 (ko) 협액자 디스플레이 모듈 및 데이터 출력 장치
KR100453306B1 (ko) 표시 소자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US20170343877A1 (en) Horizontal stri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70120229A (ko)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681937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cluding two PGB for outputting signals to the same conductive wires and a repair line
JP4593904B2 (ja) 液晶表示装置
CN111142295B (zh) 显示装置
KR20080001975A (ko)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136159B1 (ko) 집적회로 및 그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050162581A1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for a display
US8189161B2 (en) Chip-on-glass panel device
KR100293982B1 (ko) 액정패널
JP4526415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用ガラス基板
US11145681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applying the same
US20080018849A1 (en) Display element
USRE48706E1 (en) Driving circui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2004109969A (ja) 液晶表示装置
JP2005266394A (ja) 表示装置
US1152020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037956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回路
KR20060125450A (ko) 구동회로필름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2022040465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999010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JP2008040510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