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4320A - 신호전송필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신호전송필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4320A
KR20060004320A KR1020040053399A KR20040053399A KR20060004320A KR 20060004320 A KR20060004320 A KR 20060004320A KR 1020040053399 A KR1020040053399 A KR 1020040053399A KR 20040053399 A KR20040053399 A KR 20040053399A KR 20060004320 A KR20060004320 A KR 20060004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onductive
resin
ed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준
안양석
윤관식
박희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4320A/ko
Priority to US11/176,543 priority patent/US20060007086A1/en
Priority to TW094123261A priority patent/TW200624966A/zh
Priority to JP2005202086A priority patent/JP2006023756A/ja
Priority to CNA200510092233XA priority patent/CN1725077A/zh
Publication of KR20060004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3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Abstract

신호 전송 필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신호 전송 필름은 레진 및 마이크로 도전볼을 포함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과 접촉되는 도전 패턴을 포함한다. 도전 패턴 및 이방성 도전 필름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의 레진의 배출을 촉진하기 위한 레진 배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레진 배출부는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하다. 도전 패턴에 형성된 레진 배출부는 도전 패턴의 단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홈 또는 개구이거나, 도전 패턴의 단부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홈 또는 개구일 수 있다. 이로서, 표시장치를 이루는 구성 부품을 보다 감소 및 향상된 표시 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전송필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SIGNAL TRANSMISSION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신호 전송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 1 레진 배출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신호 전송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C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진 배출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된 복수개의 화소 중 하나의 화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D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접합된 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접합된 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접합된 후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신호전송필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신호가 인가 또는 신호가 출력되는 도전 패턴의 박리, 부식 및 단락을 억제한 신호전송필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장치(display device)는 정보처리장치(information processing device)에서 출력된 전기적 포맷을 갖는 신호를 영상으로 컨버팅 하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표시장치의 하나인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는 전계에 의하여 광의 투과율을 변경시키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액정층에 포함된 액정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소오스 인쇄회로기판, 데이터 인쇄회로 기판, 표시패널과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게이트 인쇄회로기판을 제거하여 생산성 및 부품수를 보다 감소시킨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9-0013650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그를 포함한 액정 표시패널 어셈블리, 그를 채용한 액정표시 장치 및 이들의 조립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발명은 통합 인쇄회로기판에서 게이트 구동 신호 및 데이터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게이트 구동 신호를 표시패널 상에 형성된 신호 전송 패턴을 매개로 게이트 라인에 인가한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신호 전송 패턴들 중 전원이 인가되는 신호 전송 패턴의 전기적 저항에 의하여 영상이 왜곡되거나, 영상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신호 전송 패턴이 박리 및 부식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구동신호가 인가 또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전송 패턴이 박리 또는 부식되는 것을 억제하여 영상의 표시품질을 보다 향상시킨 신호 전송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신호 전송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신호 전송 필름은 레진 및 마이크로 도전볼을 포함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에 접촉되는 부분에 레진의 배출을 촉진하기 위한 레진 배출부가 형성된 도전 패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신호 전송 필름은 제 1 에지 및 제 1 에지와 대향하는 제 2 에지를 갖는 베이스 기판, 베이스 기 판에 형성되며, 복수개가 제 1 에지로부터 베이스 기판의 중앙 부분까지 병렬 방식으로 배치된 제 1 도전 패턴들, 제 1 에지로부터 베이스 기판의 중앙 부분까지 병렬 방식으로 배치되고, 제 1 에지 부분에 제 1 레진 배출구가 형성된 제 2 도전 패턴들, 제 1 도전 패턴들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제 1 단자들, 제 2 도전 패턴들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제 2 단자들을 포함하는 구동 IC 및 구동 IC를 우회(bypass)하여 제 1 에지에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가 배치되며, 제 1 및 2 단부들에 제 2 레진 배출구가 형성된 제 3 도전 패턴들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신호 전송 필름은 제 1 에지 및 제 1 에지와 대향하는 제 2 에지를 갖는 베이스 기판, 베이스 기판에 형성되며, 복수개가 제 1 에지로부터 베이스 기판의 중앙 부분까지 병렬 방식으로 배치된 제 1 도전 패턴들, 베이스 기판에 형성되며, 복수개가 제 2 에지로부터 중앙 부분까지 병렬 방식으로 배치되고, 제 2 에지 부분에 적어도 1 개의 레진 배출구가 형성된 제 2 도전 패턴들 및 제 1 도전 패턴들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제 1 단자들, 제 2 도전 패턴들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제 2 단자들을 포함하는 구동 IC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제 1 구동신호 및 제 2 구동신호를 함께 발생하는 통합 인쇄회로기판, 기판, 제1구동신호를 인가 받는 제1신호선, 제2구동신호를 인가 받으며 제1신호선과 교차되는 제2신호선, 제2구동신호에 의하여 제1구동신호를 인가 받는 화소, 제2구동신호를 기판을 매개로 상기 제2신호선과 인접한 곳으로 전송하는 제1전송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기판, 레진 및 도전볼을 포함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에 의하여 제1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신호전송필름, 이방성 도전 필름과 오버랩 되어 제1전송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도전 패턴, 제2구동신호를 처리하는 구동 IC, 제2구동신호를 제2신호선으로 인가하기 위해 이방성 도전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제2신호전송필름 및 이방성 도전 필름과 오버랩 된 제 1 도전 패턴 및 제1전송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레진을 배출하기 위한 레진 배출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호 전송 필름에 형성된 도전 패턴에 연결되는 이방성 도전 필름에 포함된 레진의 배출을 촉진하기 위한 레진 배출구를 형성하여 신호 전송 필름에 의하여 전송되는 신호가 차단되거나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여 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신호 전송 필름
본 발명에 의한 신호 전송 필름은 레진 및 마이크로 도전볼을 포함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과 접촉되는 도전 패턴을 포함한다. 도전 패턴 및 이방성 도전 필름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의 레진의 배출을 촉진하기 위한 레진 배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레진 배출부는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전 패턴에 형성된 레진 배출부는 도전 패턴의 단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홈 또는 개구이거나, 도전 패턴의 단부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홈 또는 개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신호 전송 필름은 플랙시블하게 제작할 수 있고, 신호 전송 필름의 도전 패턴은 외부에서 신호가 인가되는 신호 입력 패턴 또는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 패턴일 수 있으며, 도전 패턴에는 신호를 처리하는 반도체 칩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신호 전송 필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신호 전송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바람직하게, 신호 전송 필름(100)은 베이스 기판(110), 제 1 도전 패턴(120)들, 제 2 도전 패턴(130)들, 구동 IC(140) 및 제 3 도전 패턴(15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0)은, 예를 들어, 두께가 얇고 플랙시블한 연성 기판으로,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판(110)은 플랙시블한 직육면체 쉬트(sheet) 형상을 갖는다.
베이스 기판(100)은 제 1 면(111), 제 2 면(112) 및 예를 들어, 복수개의 측면(113, 114, 115, 116)들을 포함한다.
제 1 면(111) 및 제 2 면(112)은 상호 대향하며, 측면(113, 114, 115, 116)들은 제 1 면(111) 및 제 2 면(112)을 상호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면(111)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짐으로, 제 1 면(111)에는 4 개의 에지가 형성된다. 이하, 제 1 면(111)에 형성된 4 개의 에지를 각각 제 1 에지(111a), 제 2 에지(111b), 제 3 에지(111c) 및 제 4 에지(111d)로 정의하기로 한다. 제 1 에지(111a) 및 제 2 에지(111b)는 상호 대향하며, 제 3 에지(111c) 및 제 4 에지(111d)는 상호 대향한다.
제 1 도전 패턴(120)들은 베이스 기판(100)의 제 1 면(111) 상에 배치된다. 제 1 도전 패턴(120)들은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고, 제 1 도전 패턴(120)들은 제 1 면(111)의 제 1 에지(111a)로부터 제 2 에지(111b)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1 도전 패턴(120)들은 제 1 면(111)의 중앙 부분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제 1 도전 패턴(120)들은, 예를 들어, 약 256개로 이루어지고, 제 1 도전 패턴(120)들은 상호 나란하게 병렬 배치된다. 제 1 도전 패턴(120)들 중 제 1 에지(111a)에 인접한 일부는 제 1 에지(111a)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도전 패턴(120)들은, 예를 들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베이스 기판(100)의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2 도전 패턴(130)들은 베이스 기판(100)의 제 1 면(111)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제 2 도전 패턴(130)들은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고, 제 2 도전 패턴(130)들은 제 1 에지(111a)로부터 제 2 에지(111b)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도전 패턴(130)들은 제 1 도전 패턴(110)과 쇼트 되지 않도록 제 1 도전 패턴(110)과 상호 이격 되어 배치되며, 바람직하게, 제 2 도전 패턴(130)들은 제 4 에지(111d)와 인접한 곳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도전 패턴(130)들은, 예를 들어, 외부에서 처리된 구동 신호를 베이스 기판(100)에 배치된 구동 IC(140)로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구동 신호는 제 1 전압 레벨을 갖는 제 1 구동 신호 및 제 1 전압 레벨보다 낮은 제 2 전압 레벨을 갖는 제 2 구동 신호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구동 신호들을 각각 구동 IC(140)로 전송하기 위해 제 2 도전 패턴(130)들은 제 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 1 서브 패턴(132) 및 제 2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 2 서브 패턴(13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서브 패턴(132)에 인가된 제 1 구동 신호의 제 1 전압 레벨은 제 2 서브 패턴(133)에 인가된 제 2 구동 신호의 제 2 전압 레벨보다 높기 때문에, 제 1 서브 패턴(132)의 평면적은 제 2 서브 패턴(133)의 평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제 3 도전 패턴(150)들은 베이스 기판(100)의 제 1 면(111) 상에 형성된다. 제 3 도전 패턴(150)들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 전송 필름(100)이 표시패널에 적어도 2 개 이상 적용될 경우, 어느 하나의 신호 전송 필름으로부터 인접한 다른 신호 전송 필름으로 구동신호를 릴레이 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 3 도전 패턴(150)들은 베이스 몸체(110)의 제 1 면(111) 상에 배치된다. 제 3 도전 패턴(150)들은 제 1 도전 패턴(120) 및 제 2 도전 패턴(130)과 전기적으로 쇼트 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3 도전 패턴(150)들은 제 2 에지(111b), 제 3 에지(111c) 및 제 4 에지(111d)를 따라 형성되며, 후술될 구동 IC(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우회한다.
제 3 도전 패턴(150)들은 제 1 단부(151) 및 제 2 단부(152)를 갖고, 제 1 단부(151) 및 제 2 단부(152)는 각각 제 1 에지(111a)에 근접한 곳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3 도전 패턴(150)들은, 예를 들어, 구동 신호를 베이스 기판(100)에 배치된 구동 IC(140)를 경유하지 않고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3 도전 패턴(150)에 인가된 구동 신호는 제 1 전압 레벨을 갖는 제 1 구동 신호 및 제 1 전압 레벨보다 낮은 제 2 전압 레벨을 갖는 제 2 구동 신호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구동 신호들을 각각 구동 IC(140)로 전송하기 위해 제 3 도전 패턴(150)들은 제 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 1 서브 패턴(152) 및 제 2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 2 서브 패턴(153)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서브 패턴(152)에 인가된 제 1 구동 신호의 제 1 전압 레벨은 제 2 서브 패턴(153)에 인가된 제 2 구동 신호의 제 2 전압 레벨보다 높기 때문에, 제 1 서브 패턴(152)의 평면적은 제 2 서브 패턴(153)의 평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구동 IC(140)는 베이스 몸체(110)의 제 1 면(111) 상에 배치된다. 구동 IC(140)는 제 2 도전 패턴(130)을 통해 인가된 구동 신호를 처리하여 제 1 도전 패턴(120)으로 출력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구동 IC(140)는 제 1 도전 패턴(120)에 연결되는 제 1 단자(141) 및 제 2 도전 패턴(130)에 연결되는 제 2 단자(14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신호 인가 필름(100)의 제 1 도전 패턴(120), 제 2 도전 패턴(130) 및 제 3 도전 패턴(150)은 배선 폭 및 배선 간 간격이 수십∼ 수백 ㎛에 불과함으로, 이들을 쇼트 없이 다른 도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 1 도전 패턴(120), 제 2 도전 패턴(130) 및 제 3 도전 패턴(150)은 레진(resin) 및 레진에 혼합된 마이크로 도전볼(micro conductive ball)을 포함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에 부착된다.
그러나, 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하여 상기 제 1 서브 패턴(132)과 상기 제 1 서브 패턴(152)들을 전기적으로 연결 및 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하여 상기 제 2 서브 패턴(133)과 상기 제 2 서브 패턴(153)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경우, 후자의 전기적 결합 특성이 전자의 전기적 결합 특성보다 열세하다.
이는 제 1 서브 패턴(132) 및 제 1 서브 패턴(152)의 평면적이 제 2 서브 패턴(133) 및 제 2 서브 패턴(153)들의 평면적보다 크고, 이 결과, 제 1 서브 패턴(132) 및 제 1 서브 패턴(152)들의 사이에 개재된 이방성 도전 필름의 레진의 배출 특성이 나쁘고, 따라서 마이크로 도전볼 및 제 2 도전 패턴(130)의 제 1 서브 패턴(132) 및 제 3 도전 패턴(150)의 제 1 서브 패턴(152)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에지(111a)의 주변에 배치된 제 2 도전 패턴(130)의 제 1 서브 패턴(132)의 단부는 레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1 레진 배출구(132a)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레진 배출구(132a)는 제 1 서브 패턴(132)의 단부에 적어도 1 개 이상이 형성된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 개구이다. 제 1 서브 패턴(132)에 형성된 제 1 레진 배출구(132a)는 레진이 제 1 레진 배출구(132a)를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이 결과 레진에 포함된 마이크로 도 전볼은 제 2 도전 패턴(130)의 제 1 서브 패턴(132)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레진 배출구(132a)는 제 2 도전 패턴(130)의 제 1 서브 패턴(132)의 단부로부터 제 2 에지(111b)를 향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1개가 형성된 개구이고, 따라서 제 1 서브 패턴(132)의 단부는, 예를 들어, 포크(fork)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제 1 레진 배출구(132a)는 제 1 에지(111a)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에지(111a)의 주변에 배치된 제 3 도전 패턴(150)의 제 1 서브 패턴(152)의 단부에는 레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2 레진 배출구(152a)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레진 배출구(152a)는 제 1 서브 패턴(152)의 단부에 적어도 1 개 이상이 형성된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 개구이다. 제 1 서브 패턴(152)에 형성된 제 2 레진 배출구(152a)는 레진이 제 2 레진 배출구(152a)를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이 결과 레진에 포함된 도전볼은 제 3 도전 패턴(150)의 제 1 서브 패턴(152)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레진 배출구(152a)는 제 3 도전 패턴(150)의 제 1 서브 패턴(152)의 단부로부터 제 2 에지(111b)를 향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1개가 형성된 포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2 레진 배출구(152a)는 제 1 에지(111a)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 1 레진 배출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레진 배출구(132a)는 제 2 도전 패턴(130)의 제 1 서브 패턴(132)에 적어도 1 개가 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레진 배출구(132a)는 제 2 도전 패턴(130)의 제 1 서브 패턴(132) 및 제 1 에지(111a)가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 1 레진 배출구(132a)는 제 1 에지(111a)에 대하여 0°∼ 90°의 범위에 속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제 1 레진 배출구(132a)는 나뭇잎의 줄기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레진 배출구(132a)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제 2 도전 패턴(130)의 제 1 서브 패턴(132)으로부터 레진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도 2에 도시된 제 1 레진 배출구(132a)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도 3에 도시된 제 3 도전 패턴(150)의 제 1 서브 패턴(152)에 형성된 제 2 레진 배출구(152a)를 사선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레진 배출구가 스트라이프 형상 및 사선 형상을 갖지만, 이외에도 레진을 배출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신호 전송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 신호 전송 필름(200)은 베이스 기판(210), 제 1 도전 패턴(220)들, 제 2 도전 패턴(230)들, 구동 IC(2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0)은, 예를 들어, 두께가 얇고 플랙시블한 연성 기판이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판(210)은 플랙시블한 직육면체 쉬트(sheet) 형상을 갖는다.
베이스 기판(210)은 제 1 면(211), 제 2 면(212) 및 예를 들어, 복수개의 측면(213, 214, 215, 216)들을 포함한다. 제 1 면(211) 및 제 2 면(212)은 상호 대향하며, 측면(213, 214, 215, 216)들은 제 1 면(211) 및 제 2 면(212)을 상호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면(211)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짐으로, 제 1 면(211)에는 4 개의 에지가 형성된다. 이하, 제 1 면(211)에 형성된 4 개의 에지를 각각 제 1 에지(211a), 제 2 에지(211b), 제 3 에지(211c) 및 제 4 에지(211d)로 정의하기로 한다. 제 1 에지(211a) 및 제 2 에지(211b)는 상호 대향하며, 제 3 에지(211c) 및 제 4 에지(211d)는 상호 대향한다.
제 1 도전 패턴(220)들은 베이스 기판(200)의 제 1 면(211)에 배치된다. 제 1 도전 패턴(220)들은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고, 제 1 도전 패턴(220)들은 제 1 면(211)의 제 1 에지(211a)로부터 제 2 에지(211b)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1 도전 패턴(220)들은 제 1 면(211)의 중앙 부분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제 1 도전 패턴(220)들은, 예를 들어, 약 256개로 이루어지고, 제 1 도전 패턴(220)들은 상호 나란하게 병렬 배치된다. 제 1 도전 패턴(220)들 중 제 1 에지(211a)에 인접한 일부는 제 1 에지(211a)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도전 패턴(220)들은, 예를 들어, 구동 신호를 베이스 기판(200)의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2 도전 패턴(230)들은 베이스 기판(200)의 제 1 면(211)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제 2 도전 패턴(230)들은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고, 제 2 도전 패턴(230)들은 제 2 에지(211b)로부터 제 1 에지(211a)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도전 패턴(230)들은 제 1 도전 패턴(210)과 쇼트 되지 않도록 제 1 도전 패턴(210)과 상호 이격 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도전 패턴(230)들은, 예를 들어, 구동 신호를 베이스 기판(200)에 배치된 구동 IC(240)로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구동 신호는 제 1 전압 레벨을 갖는 제 1 구동 신호 및 제 1 전압 레벨보다 낮은 제 2 전압 레벨을 갖는 제 2 구동 신호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구동 신호들을 각각 구동 IC(240)로 전송하기 위해 제 2 도전 패턴(230)들은 제 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 1 서브 패턴(232) 및 제 2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 2 서브 패턴(23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서브 패턴(232)에 인가된 제 1 구동 신호의 제 1 전압 레벨은 제 2 서브 패턴(233)에 인가된 제 2 구동 신호의 제 2 전압 레벨보다 높기 때문에, 제 1 서브 패턴(232)의 평면적은 제 2 서브 패턴(233)의 평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구동 IC(240)는 베이스 몸체(210)의 제 1 면(211)에 배치된다. 구동 IC(240)는 제 2 도전 패턴(230)을 통해 인가된 구동 신호를 처리하여 제 1 도전 패턴(220)으로 출력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구동 IC(240)는 제 1 도전 패턴(220)에 연결되는 제 1 단자(241) 및 제 2 도전 패턴(230)에 연결되는 제 2 단자(24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신호 인가 필름(200)의 제 1 도전 패턴(220), 제 2 도전 패턴(230)은 배선 폭 및 배선 간 간격이 수십∼ 수백 ㎛에 불과함으로, 이들을 쇼트 없이 다른 도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 1 도전 패턴(220), 제 2 도전 패턴(230)은 레진 및 레진에 혼합된 도전볼을 포함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에 부착된다.
그러나, 제 2 도전 패턴(230)의 제 1 서브 패턴(232)과 다른 도전체,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 결합 특성은 제 2 도전 패턴(230)의 제 2 서브 패턴(133) 및 다른 도전체,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 결합 특성보다 열세하다.
이는 제 2 도전 패턴(230)의 제 1 서브 패턴(232)의 평면적이 제 2 도전 패턴(230)의 제 2 서브 패턴(233)들의 평면적보다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도전 패턴(230)의 제 1 서브 패턴(232)들에 위치한 이방성 도전 필름에 포함된 레진을 배출하는 것이 배출이 제 2 도전 패턴(230)의 제 2 서브 패턴(232)들에 위치한 이방성 도전 필름에 포함된 레진을 배출하는 것보다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도전볼 및 제 2 도전 패턴(130)의 제 1 서브 패턴(132)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게 된다.
도 6은 도 1의 C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에지(211b)의 주변에 배치된 제 2 도전 패턴(230)의 제 1 서브 패턴(232)의 단부는 레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레진 배출구(232a)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레진 배출구(232a)는 제 1 서브 패턴(232) 의 단부에 적어도 1 개 이상이 형성된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 개구이다. 제 1 서브 패턴(232)에 형성된 레진 배출구(232a)는 레진이 레진 배출구(232a)를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이 결과 레진에 포함된 도전볼은 제 2 도전 패턴(230)의 제 1 서브 패턴(232)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진 배출구(232a)는 제 2 에지(211b)로부터 제 1 에지(211a)를 향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1개가 형성된 포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레진 배출구(232a)는 제 2 에지(211b)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진 배출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레진 배출구(232a)는 제 2 도전 패턴(230)의 제 1 서브 패턴(232)에 적어도 1 개가 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진 배출구(232a)는 제 2 도전 패턴(230)의 제 1 서브 패턴(232) 및 제 2 에지(211b)가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레진 배출구(232a)는 제 2 에지(211a)에 대하여 0°∼ 90°의 범위에 속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예를 들면, 레진 배출구(232a)는 나뭇잎의 줄기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진 배출구(232a)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제 2 도전 패턴(230)의 제 1 서브 패턴(232)으로부터 레진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표시장치
실시예 3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통합 인쇄회로기판(300), 표시기판(400), 제 1 신호 전송 필름(500), 제 2 신호 전송 필름(600) 및 레진 배출부(7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통합 인쇄회로기판(300)은 외부 정보처리장치, 예를 들면, 컴퓨터 등으로부터 인가된 영상 신호를 구동 신호로 컨버팅 한다. 통합 인쇄회로기판(300)에서는 게이트 구동 신호 및 데이터 구동 신호가 함께 발생된다.
표시기판(40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410), 컬러필터 기판(420) 및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410)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투명 기판(410a), 예를 들어, 유리 기판 및 화소를 포함한다.
도 9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된 복수개의 화소 중 하나의 화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410)의 화소는 게이트 라인(411), 데이터 라인(412), 박막 트랜지스터(413) 및 화소전극(414)을 포함한다.
게이트 라인(411)은 투명 기판(410a)에 도 8에 정의된 제 1 방향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표시기판(400)의 해상도가 1024 ×768일 경우, 게이트 라인(411)은 투명 기판(410a)에 768개가 제 2 방향을 따라서 병렬 배치된다. 게이트 라인(411)들은 약 256개가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 되는 바, 256개의 게이트 라인을 이하 게이트 채널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따라서, 해상도가 1024 ×768인 표시기판의 경우, 약 4 개의 게이트 채널을 갖는다.
데이터 라인(412)은 투명 기판(410a)에 도 8에 정의된 제 2 방향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 2 방향은 제 1 방향과 직교한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라인(412) 및 게이트 라인(411)은 상호 절연된다. 바람직하게, 표시기판(400)의 해상도가 1024 ×768일 경우, 게이트 라인(411)은 투명 기판(410a)에 1024 ×3개가 제 1 방향을 따라서 병렬 배치된다. 따라서, 데이터 라인(412) 및 게이트 라인(411)은 격자 형태로 배치된다. 데이터 라인(412)들은 약 256개가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 되는 바, 256개의 데이터 라인을 이하 채널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따라서, 해상도가 1024 ×768인 표시기판의 경우, 약 12 개의 데이터 채널을 갖는다.
박막 트랜지스터(413)는 게이트 라인(411) 및 데이터 라인(412)이 교차하는 부분에 1 개씩 배치된다. 박막 트랜지스터(413)는 게이트 라인(4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게이트 전극(G), 게이트 전극(G)과 절연된 채널층(C), 데이터 라인 및 채널층(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오스 전극(S) 및 소오스 전극(S)과 이격 되며 채널층(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한다.
화소전극(414)은 게이트 라인(411)들 및 데이터 라인(412)들이 교차되어 형성된 영역마다 형성되며, 화소전극(414)은 투명하면서 도전성인 산화 주석 인듐 박막, 산화 아연 인듐 박막, 아몰퍼스 산화 주석 인듐 박막 등을 패터닝 하여 형성된다. 화소전극(414)은 드레인 전극(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통합 인쇄회로기판(300)에서 발생된 게이트 구동 신호는 각 게이트 채널로 인가되고, 통합 인쇄회로기판(300)에서 발생된 데이터 구동 신호는 각 데이터 채널로 인가된다.
각 데이터 채널로 통합 인쇄회로 기판(300)에서 발생한 데이터 구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서,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00)는 이방성 도전 필름(510)을 매개로 각 데이터 채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방성 도전 필름(510)은 절연물질을 포함하는 레진 및 레진에 포함된 마이크로 도전볼들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도전볼은 압력 및 열에 의하여 상호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00)는 통합인쇄회로 기판(300)의 게이트 구동신호 출력단(미도시) 및 데이터 채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 결과 통합 인쇄회로기판(300)에서 발생된 데이터 구동신호는 각 데이터 채널의 데이터 라인(412)으로 인가된다. 이때,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00) 중 어느 하나에는 통합 인쇄회로 기판(300)에서 출력된 게이트 구동 신호를 후술될 제 1 전송 패턴(430)으로 인가하기 위한 게이트 도전 패턴(520)이 더 형성된다.
한편, 통합 인쇄회로 기판(300)에서 발생한 게이트 구동 신호는 직접적으로 게이트 채널로 인가될 수 없기 때문에, 각 게이트 채널로 게이트 구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서는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600) 및 제 1 전송 패턴(430)을 필요로 한다.
제 1 전송 패턴(43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410)의 투명 기판(410a)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다. 제 1 전송 패턴(43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410)을 통해 게이트 구동 신호를 통합 인쇄회로 기판(300)으로부터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600)로 전달한다.
제 1 전송 패턴(430)은 바람직하게, 게이트 채널의 개수만큼 마련된다.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600)는 베이스 몸체(620), 제 1 도전 패턴(630), 제 2 도전 패턴(640), 제 3 도전 패턴(650) 및 구동 IC(660)을 포함한다.
베이스 몸체(620)에는 구동 IC(660)가 배치되고, 구동 IC(660)의 출력단에는 제 1 도전 패턴(6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도전 패턴(630)은 바람직하게 게이트 채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 1 도전 패턴(630)들은 각 게이트 채널에 속한 게이트 라인(411)에 각각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도전 패턴(640)은 구동 IC(660)의 입력단 및 제 1 전송 패턴(43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로 인해 게이트 도전 패턴(520) 및 제 1 전송 패턴(430)을 통하여 출력된 게이트 구동 신호는 제 2 도전 패턴(640)을 통하여 구동 IC(660)로 인가된다.
제 3 도전 패턴(640)은 통합 인쇄회로기판(300)에서 발생된 게이트 구동 신호를 인접한 게이트 채널로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 3 도전 패턴(640)들은 베이스 몸체(620) 상에서 구동 IC(660)을 우회하여 배치된다. 제 3 도전 패턴(640)은 제 1 전송 패턴(430)들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참조부호 670은 제 2 전송 패턴으로 제 3 도전 패턴(640)에서 출력된 게이트 구동 신호를 인접한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680)의 제 2 도전 패턴(685)으로 인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600)는 이방성 도전 필름(610)을 매개로 게이트 채널에 포함된 게이트 라인(411), 제 1 전송 패턴(430), 제 2 전송 패턴(6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제 1 전송 패턴(430)은 전기적 저항이 높은 유리 기판에 매우 미세한 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기적 저항이 높고, 이로 인해 통합 인쇄회로기판(300)에서 발생한 게이트 구동 신호는 제 1 전송 패턴(430)을 통과하면서 신호의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D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접합된 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전송 패턴(430)에 의하여 게이트 구동 신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전송 패턴(430)에 인가된 게이트 구동 신호 중 신호 레벨이 상대적으로 높은 전원 신호가 인가되는 전원 인가 패턴(433)의 평면적은 신호 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은 타이밍 신호가 인가되는 타이밍 신호 인가 패턴(435)의 평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전원 인가 패턴(433)의 평면적을 증가시킬 경우, 전기적 저항은 감소시킬 수 있는 반면, 전원 인가 패턴(433) 및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600)의 사이에 개재된 이방성 도전 필름(610)의 레진의 배출이 어려워, 제 2 도전 패턴(640), 전원 인가 패턴(433)과 마이크로 도전볼의 전기적 접촉이 불량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전송 패턴(430)의 전원 인가 패턴(433)의 단부에 이방성 도전 필름(610)의 레진의 배출을 촉진시키는 레진 배출구(433a)가 형성된다. 레진 배출구(433a)는 전원 인가 패턴(433) 및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600)의 사이에 개재된 이방성 도전 필름(610)이 압력에 의하여 압축될 때 이방성 도전 필름(610)에 포함된 레진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이방성 도전 필름(610)에 포함된 마이크로 도전볼이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600)의 제 2 도전 패턴(640) 및 전원 인가 패턴(4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레진 배출구(610)는 이방성 도전 필름(610)에 포함된 레진을 배출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진 배출구(610)는 포크(fork) 형상을 갖거나, 나뭇잎의 줄기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접합된 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방성 도전 필름(610)에 의하여 제 1 전송 패턴(4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610)의 제 2 도전 패턴(640)은 앞서 설명한 제 1 전송 패턴(430)의 전원 인가 패턴(4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서브 패턴(642) 및 타이밍 신호 인가 패턴(43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서브 패턴(64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 인가 패턴(433)과 접촉되는 제 1 서브 패턴(642)에는 레진 배출구(642a)가 형성된다.
레진 배출구(642a)는 전원 인가 패턴(433) 및 제 1 서브 패턴(542)의 사이에 개재된 이방성 도전 필름(610)이 압력에 의하여 압축될 때 이방성 도전 필름(610)에 포함된 레진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이방성 도전 필름(610)에 포함된 마이크로 도전볼이 제 2 도전 패턴(640)의 제 1 서브 패턴(642) 및 전원 인가 패턴(4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접합된 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방성 도전 필름(610)에 의하여 제 1 전송 패턴(4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610)의 제 2 도전 패턴(640)은 앞서 설명한 제 1 전송 패턴(430)의 전원 인가 패턴(4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서브 패턴(642) 및 타이밍 신호 인가 패턴(43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서브 패턴(64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 인가 패턴(433)과 접촉되는 제 1 서브 패턴(642)에는 제 1 레진 배출구(433a)가 형성되고, 제 1 서브 패턴(642)에는 제 2 레진 배출구(642a)가 형성된다.
제 1 레진 배출구(433a) 및 제 2 레진 배출구(642a)는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제 1 레진 배출구(433a) 및 제 2 레진 배출구(642a)는 전원 인가 패턴(433) 및 제 1 서브 패턴(642)의 사이에 개재된 이방성 도전 필름(610)이 압력에 의하여 압축될 때 이방성 도전 필름(610)에 포함된 레진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 록 하여, 이방성 도전 필름(610)에 포함된 마이크로 도전볼이 제 2 도전 패턴(640)의 제 1 서브 패턴(642) 및 전원 인가 패턴(4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레진 및 마이크로 도전볼을 포함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는 도전 패턴의 단부에 레진 배출구를 형성하여 도전 패턴 및 마이크로 도전볼의 전기적 접촉 불량을 방지하여 영상의 표시품질을 보다 향상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레진 및 마이크로 도전볼을 포함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에 접촉되는 부분에 상기 레진의 배출을 촉진하기 위한 레진 배출부가 형성된 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 배출부는 상기 도전 패턴의 단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1 개의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 배출부는 상기 도전 패턴의 단부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1 개의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 중 상기 레진 배출부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레진 배출부에 의하여 적어도 2 개 이상으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필름.
  5. 제 1 에지 및 상기 제 1 에지와 대향하는 제 2 에지를 갖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에 형성되며, 복수개가 상기 제 1 에지로부터 상기 베이스 기판의 중앙 부분까지 병렬 방식으로 배치된 제 1 도전 패턴들;
    상기 제 1 에지로부터 상기 베이스 기판의 중앙 부분까지 병렬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에지 부분에 제 1 레진 배출구가 형성된 제 2 도전 패턴들;
    상기 제 1 도전 패턴들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제 1 단자들, 상기 제 2 도전 패턴들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제 2 단자들을 포함하는 구동 IC; 및
    상기 구동 IC를 우회(bypass)하여 상기 제 1 에지에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2 단부들에 제 2 레진 배출구가 형성된 제 3 도전 패턴들을 포함하는 신호전송필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진 배출구 및 제 2 레진 배출구는 상기 제 1 에지 부분에 배치된 상기 제 2 및 제 3 도전 패턴들의 단부에 스트라이프 형태로 형성된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형성 방향은 상기 제 1 에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필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형성 방향은 상기 제 1 에지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필름.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 패턴들은 제 1 전압 레벨을 갖는 제 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 1 서브 패턴, 상기 제 1 전압 레벨보다 낮은 제 2 전압 레 벨을 갖는 제 2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 2 서브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진 배출구는 상기 제 1 서브 패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필름.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도전 패턴들은 제 1 전압 레벨을 갖는 제 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 1 서브 패턴, 상기 제 1 전압 레벨보다 낮은 제 2 전압 레벨을 갖는 제 2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 2 서브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레진 배출구는 상기 제 1 서브 패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필름.
  11. 제 1 에지 및 상기 제 1 에지와 대향하는 제 2 에지를 갖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에 형성되며, 복수개가 상기 제 1 에지로부터 상기 베이스 기판의 중앙 부분까지 병렬 방식으로 배치된 제 1 도전 패턴들;
    상기 베이스 기판에 형성되며, 복수개가 상기 제 2 에지로부터 상기 중앙 부분까지 병렬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에지 부분에 적어도 1 개의 레진 배출구가 형성된 제 2 도전 패턴들; 및
    상기 제 1 도전 패턴들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제 1 단자들, 상기 제 2 도전 패턴들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제 2 단자들을 포함하는 구동 I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필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 배출구는 상기 제 2 에지에 대응하는 제 2 도전 패턴들의 단부로부터 스트라이프 형태로 형성된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 호전송필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형성 방향은 상기 제 2 에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필름.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형성 방향은 상기 제 2 에지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필름.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 패턴들은 타이밍 신호가 인가되는 제 3 도전 패턴들, 전원 신호가 인가되는 제 4 도전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레진 배출구는 상기 제 4 도전 패턴들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필름.
  16. 제 1 구동신호 및 제 2 구동신호를 함께 발생하는 통합 인쇄회로기판;
    기판, 상기 제1구동신호를 인가 받는 제1신호선, 상기 제2구동신호를 인가 받으며 상기 제1신호선과 교차되는 제2신호선, 상기 제2구동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를 인가 받는 화소, 상기 제2구동신호를 상기 기판을 매개로 상기 제2신호선과 인접한 곳으로 전송하는 제1전송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기판;
    레진 및 도전볼을 포함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에 의하여 상기 제1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신호전송필름;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오버랩 되어 상기 제1전송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 된 제 1 도전 패턴, 상기 제2구동신호를 처리하는 구동 IC, 상기 제2구동신호를 상기 제2신호선으로 인가하기 위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제2신호전송필름; 및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오버랩 된 상기 제 1 도전 패턴 및 제1전송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레진을 배출하기 위한 레진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전송필름에는 상기 통합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제 2 구동신호를 상기 전송패턴으로 인가하기 위한 제 2 전송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 배출부는 상기 레진의 배출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도전 패턴에 적어도 1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 배출부는 상기 레진의 배출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전송패턴에 적어도 1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 배출부는 상기 레진의 배출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전송패턴에 형성된 제 1 레진 배출부 및 상기 제 1 도전 패턴에 형성된 제 2 레진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진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40053399A 2004-07-09 2004-07-09 신호전송필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60004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399A KR20060004320A (ko) 2004-07-09 2004-07-09 신호전송필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11/176,543 US20060007086A1 (en) 2004-07-09 2005-07-07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ignal transmission film,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TW094123261A TW200624966A (en) 2004-07-09 2005-07-08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ignal transmission film,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JP2005202086A JP2006023756A (ja) 2004-07-09 2005-07-11 液晶表示装置とこれに用いるフレキシブル回路フィルム及び信号伝送フィルム、並びに表示装置
CNA200510092233XA CN1725077A (zh) 2004-07-09 2005-07-11 液晶显示装置和信号传输膜以及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399A KR20060004320A (ko) 2004-07-09 2004-07-09 신호전송필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320A true KR20060004320A (ko) 2006-01-12

Family

ID=3592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399A KR20060004320A (ko) 2004-07-09 2004-07-09 신호전송필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04320A (ko)
CN (1) CN17250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229B1 (ko) * 2007-11-28 2014-07-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044619A (ko) * 2014-10-15 2016-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드라이버,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246B1 (ko) * 2006-06-27 2013-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5068067B2 (ja) * 2006-11-22 2012-11-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および平面型表示装置
CN107608104B (zh) * 2017-11-03 2020-09-11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应用的显示装置
CN109634003B (zh) * 2019-02-21 2021-12-07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311610B (zh) * 2021-06-07 2023-02-2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229B1 (ko) * 2007-11-28 2014-07-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044619A (ko) * 2014-10-15 2016-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드라이버,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5077A (zh) 200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2566B1 (ko)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 표시 장치
US4721365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anels with electrical alignment means
JP5274564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および電気回路構造体
US6835896B2 (en) Packaging structure of a driving circu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ackaging method of a driving circu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624868B1 (en) Chip-on-glass (COG) structure liquid crystal display (LCD)
CN112562552A (zh) 显示装置
US7342180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WO2005067398A2 (en) Driver chip and display apparatus
KR10162155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04320A (ko) 신호전송필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2003022759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0536739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1154560A (ja) Ic実装方法、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20170242A1 (en) Circuit board, connecting structure of circuit boards, and display panel assembly
TWI289716B (en) Panel module for an LCD module
KR20070102048A (ko) 액정표시장치
US6775149B1 (en) Multichip mounted structure, electro-optical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50110935A1 (en) Semiconductor chip, tape carrier package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tape carrier package
US7456475B2 (en) Display panel
CN217822793U (zh) 电子装置
US5654730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644846B1 (ko) 다층 배선을 갖는 칩 온 플랙시블 서킷 및 이를 적용한액정표시모듈
JP3365305B2 (ja) 半導体チップ、その実装構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5301161A (ja) 表示装置
JPH05173166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