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2394A -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2394A
KR20070122394A KR1020070062124A KR20070062124A KR20070122394A KR 20070122394 A KR20070122394 A KR 20070122394A KR 1020070062124 A KR1020070062124 A KR 1020070062124A KR 20070062124 A KR20070062124 A KR 20070062124A KR 20070122394 A KR20070122394 A KR 20070122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paper
control unit
paper sheets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0771B1 (ko
Inventor
야스또모 고스기
유끼히로 마부찌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2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지엽류의 수취 또는 불출에 사용되는 입출금구와, 수취된 또는 불출의 대상이 되는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고와, 입출금구와 수납고와의 사이를 연결하여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반송로 상에 배치되어 지엽류의 종별 및 진위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담당자에 대해 통지하는 수단과, 각 부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수납고로부터 조출되어 식별부에 있어서의 판정에 의해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었던(리젝트) 지엽류를, 반송로를 통해 입출금구로 반송하도록 제어하고, 통지 수단에 의해 지엽류의 불출시 리젝트가 발생한 것을 담당자에게 통지한다.
입출금구, 수납고, 반송로, 지엽류 취급 장치, 식별부

Description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시스템 {PAPER SHEET HANDLING DEVICE AND SYSTEM}
도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창구 단말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의 외관도.
도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지엽류 취급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지엽류 취급 장치의 제어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4는 일 실시예(제1 실시예)에 의한 수표 불출 업무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5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젝트 발생시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6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젝트권이 발생한 경우의 수표의 취급을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젝트 발생시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8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젝트 발생시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9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젝트 발생시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젝트 발생시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젝트권을 반환구로 반송한 경우의 수표의 취급을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젝트 발생시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창구 단말 장치
2 : 지엽류 취급 장치
3 : 통신선
4 : 개시 버튼
5 : 입금구
6 : 출금구
7 : 반환구
8 : 불출 점유 램프
10 : 업무 처리부
11 : 반송 처리부
20 : 반송로
21 : 게이트
22 : 식별부
23 : 수표 수납고
24 : 지폐 수납고
25 : 회수고
26 : 일시 보류부
27 : 트레이부
28 : 통과 센서
29 : 빠짐 검지 센서
30 : 인출 검지 센서
90 : 장해 램프
91 : 예입 점유 램프
92 : 표시기
101 : 업무 처리 주 제어부
102 : 상위 통신 제어부
103 : 버튼 제어부
104 : 버저 제어부
105 : 램프 제어부
106 : 표시기 제어부
107 : 하위 통신 제어부
108 : 시계 제어부
109 : 기억부
151 : 표시 장치
152 : 입력 장치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22478호 공보
본 발명은 지엽류(紙葉類) 취급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융 기관 등의 창구에 설치되고, 담당자의 조작에 의해 수표나 지폐 등의 지엽류를 취급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및 그것을 제어하는 창구 단말 장치를 갖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은행 업무의 노동력 절약화를 위해, 1대의 지엽류 취급 장치로 지폐의 입출금 및 수표를 취급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22478호 공보에는, 지폐 환류 장치에 수표의 발행 기능을 부가하여, 효율화를 도모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수표의 불출시에 리젝트가 발생한 경우, 리젝트가 발생한 지엽(리젝트권이라 함)을 회수고로 반송하여 보관하고 있다. 그런데, 수표에 번호가 미리 인쇄되어 있어, 일련 번호로 취급해야 하는 수표의 불출 업무의 경우, 리젝트가 발생할 때마다 창구의 담당자는 장치 내의 회수고로부터 리젝트된 수표를 취출하여, 그 리젝트권과 출금구로 나온 수표를 대조하여, 번호가 연속하는 것을 확인한 후 고객에게 전달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표의 불출시 리젝트권이 발생한 경우의 처치에 대한 담당자의 수고를 줄이고, 장치의 가동률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지엽류 취급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지엽류의 수취 또는 불출을 행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지엽류의 수취 또는 불출에 사용되는 제1 취급구와, 수취한 또는 불출의 대상이 되는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고와, 제1 취급구와 수납고와의 사이를 연결하여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반송로 상에 배치되어 지엽류의 종별 및 진위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담당자에 대해 통지하는 수단과, 각 부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제어부는, 수납고로부터 조출되고, 식별부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었던(리젝트) 지엽류를 반송로를 통해 제1 취급구로 반송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통지 수단에 의해 지엽류의 불출시 리젝트가 발생한 것을 담당자에게 통지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지엽류 취급 장치는, 바람직한 다른 예에 따르면 지엽류의 수취 또는 불출을 행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지엽류의 수취 또는 불출에 사용되는 제1 취급구와, 지엽류의 반환을 위해 사용되는 제2 취급구와, 수취한 또는 불출의 대상이 되는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고와, 제1 취급구 및 제2 취급구와 수납고와의 사이를 연결하여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반송로 상에 배치되어 지엽류의 종별 및 진위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담당자에 대해 통지하는 수단과, 각 부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제어부는, 식별부에서 정상이라고 판정된 지엽류를 제1 취급구로 반송하고, 식별부에서 리젝트라고 판정된 지엽류(리젝트권)를 그 후속의 지엽류가 있을 경우에는 후속의 지엽류도 포함하여 제2 거래구로 반송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통지 수단에 의해 지엽류의 불출시 리젝트가 발생한 것을 담당자에게 통지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구성된다.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통지 수단은 지엽류 취급 장치에 구비된 장해 발생을 알리는 램프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지엽류의 불출시 매수 과다가 된 지엽류를 제1 취급구에 투입할 수 있어, 상기 제어부는 제1 취급구로부터 투입된 지엽류를 수납고로 반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리젝트가 발생한 경우, 리젝트권은 상기 수납부로 복귀되고, 소정의 처리 동작을 행한 후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를 소등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또한, 지엽류 취급 시스템으로서도 파악된다.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지엽류의 수취 또는 불출을 행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와, 지엽류 취급 장치에 접속되고, 담당자에 의해 조작되는 창구 단말 장치를 갖는 지엽류 취급 시스템에 있어서, 지엽류 취급 장치는 지엽류의 수취 또는 불출에 사용되는 제1 취급구와, 수취한 또는 불출의 대상이 되는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고와, 제1 취급구와 수납고와의 사이를 연결하여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반송로 상에 배치되어 지엽류의 종별 및 진위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담당자에 대해 통지하는 수단과, 각 부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제어부는, 수납고로부터 조출되고, 식별부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었던(리젝트) 지엽류를 반송로를 통해 제1 취급구로 반송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통지 수단에 의해 지엽류의 불출시 리젝트가 발생한 것을 담당자에게 통지하는 것이며, 창구 단말 장치는 지엽류의 불출시 리젝트권이 발생한 경우, 담당자를 위해 그 취지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제1 취급구로 배출된 지엽류의 매수 또는 그 금액을, 담당자에 의해 입력하는 입력 장치를 갖는 지엽류 취급 시스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해 지엽류의 불출시 매수 과다가 된 지엽류의 투입 매수 또는 그 금액을 입력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1 취급구로부터 투입된 매수 과다가 된 지엽류를 수납고로 반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지 수단은 창구 단말 장치의 표시 장치에 장해 발생을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1 내지 도22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창구 단말 장치의 개관도이다. 부호 1은 담당자가 고객 정보나 거래 정보 등을 취급하기 위한 창구 단말 장치, 2는 수표나 지폐 등의 지엽류의 불출이나 예입을 행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이다. 2대의 창구 단말 장치(1)와 지엽류 취급 장치(2)는 통신선(3)에 의해 접속된다. 부호 4는 예입을 개시할 때에 담당자가 누르는 개시 버튼, 5는 담당자가 지엽류를 예입할 때에 지엽류 취급 장치(2) 내에 지엽류를 취입하기 위한 입금구, 6은 담당자가 지엽류를 불출할 때에 지엽류 취급 장치(2) 내로부터 지엽류를 취출하기 위한 출금구, 7은 예입시에 발생한 리젝트권을 담당자에 반환하기 위한 반환구이다.
또한, 부호 8은 불출 점유 상황을 담당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불출 점유 램프, 90은 장해 발생을 담당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장해 램프, 91은 예입 점유 상황을 담당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예입 점유 램프, 92는 담당자나 보수원에게 장해 내용 등의 문언을 표시하여 통지하는 표시기이다.
창구 단말 장치(1)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이며, 수표나 지폐 입출금에 수반되는 여러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프로세서), 표시 장치(151) 및 입력 장 치(152)를 구비하고 있다.
도2는 지엽류 취급 장치(2)의 개략 측면도이다.
부호 20은 지엽류 취급 장치(2) 내의 각 부위로 수표나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 21은 수표나 지폐를 반송하는 방향을 절환하는 게이트, 22는 수표나 지폐의 종류 및 진위 등의 식별을 행하는 식별부, 23은 수표의 조출과 수납이 가능한 수표 수납고, 24는 지폐의 조출과 수납이 가능한 지폐 수납고, 25는 회수하는 수표나 지폐를 수납하는 회수고, 26은 입금된 수표나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일시 보류부, 27은 수표 수납고(23)나 지폐 수납고(24)를 취출할 때에 인출할 수 있는 트레이부이다. 본 예에서는 화폐 종류별로 3개의 지폐 수납고(24)를 장비하고 있다. 부호 28은 지엽류가 통과하는 것을 검출하는 통과 센서, 29는 지엽류가 빠졌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빠짐 검지 센서, 30은 트레이부(27)가 인출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트레이부 인출 검지 센서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1개의 수표 수납고(23)를 갖고 있지만, 복수개 장비해도 좋다. 또한, 반환구(6)와 출금구(7)를 겸하여 1개의 출구로 구성해도 좋다.
도3은 지엽류 취급 장치(2)의 제어 블록도이다.
지엽류 취급 장치(2)는, 제어부로서 업무 처리부(10)와, 반송 처리부(11)를 갖는다. 업무 처리부(10)에 있어서, 부호 101은 2대의 창구 단말 장치(1)의 배타 제어나 각 부위를 제어하는 업무 처리 주 제어부, 12는 창구 단말 장치(1)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상위 통신 제어부, 103은 버튼 제어부, 104는 버저 제어부, 105는 램프 제어부, 106은 표시기 제어부, 107은 반송 처리부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하위 통신 제어부, 108은 시계 제어부, 109는 업무 처리부의 설정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이다.
반송 처리부(11)에 있어서, 부호 110은 지폐의 반송을 제어하는 반송 처리 주 제어부, 111은 업무 처리부(10)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상위 통신 제어부, 112는 센서 제어부, 113은 게이트 제어부, 114는 반송 모터 제어부, 115는 반송로 이동량 계수부, 116은 수표나 지폐의 판별을 행하는 식별 처리부, 117은 입금구 제어부, 118은 출금구 제어부, 119는 수납고 제어부, 120은 일시 보류고 제어부, 121은 반송 처리부의 설정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이다.
다음에,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수표의 불출 업무를 행하는 예(제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1 내지 도3도 적절하게 참조한다.
담당자는 수표의 불출 업무를 행하는 경우, 창구 단말 장치(1)에서 수표의 불출 업무를 선택하고, 불출할 수표의 매수(예를 들어 8매)를 입력한다(S201). 창구 단말 장치(1)는 통신선(3)을 통해 입력된 매수 정보를 지엽류 취급 장치(2)에 통지한다(S202). 업무 처리 주 제어부(101)는 수표의 불출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가능하면 불출 점유 램프(8)를 점등하도록 램프 제어부(105)에 지시하고(S203), 하위 통신 제어부(107)를 통해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에 수표를 8매 조출하도록 지시한다.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출금구(6)에 수표를 반송하는 방향으로 게이트(21)를 절환하도록 게이트 제어부(113)에 지시하고(S204), 반송로(20)를 이동시키도록 반송 모터 제어부(114)에 지시한다(S205).
다음에,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수납고 제어부(119)에 수표 수납고(23) 로부터 수표를 조출하도록 지시하고(S206), 지엽류가 통과하는 것을 복수의 통과 센서(28)로 감시한다. 그리고, 수표가 통과할 때마다 식별부(22)는 수표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출금구(6)로 수표를 반송한다. 식별부(22)에서 리젝트라 판정된 지폐가 없어, 지정 매수 조출이 완료되면(S208),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수납고 제어부(119)에 수표 수납고(23)로부터 수표를 조출하는 것을 정지하도록 지시한다(S209). 그리고, 반송로(20)를 반송하는 수표가 없어지는 것을 기다린 후(S210),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반송 모터 제어부(114)에 반송로(20)를 정지하도록 지시한다(S211).
그 후, 업무 처리 주 제어부(101)는 상위 통신 제어부(12)를 통해 수표 8매 불출이 종료한 것을 통지한다(S212). 창구 단말 장치(1)는 수표의 불출이 성공한 것을 표시하여 담당자에 통지한다(S213).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출금구 제어부(118)에 출금구(6)를 개방하도록 지시한다(S214). 담당자에게 출금구(6)로부터 수표를 빼내도록 재촉하기 위해, 업무 처리 주 제어부(101)는 불출 점유 램프(8)를 점멸시키도록 램프 제어부(105)에 지시한다(S215).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출금구(6)로부터 수표가 빠졌는지를, 빠짐 센서(209)로 감시한다(S216). 출금구(6)로 반송된 8매의 수표를 담당자가 빼내고(S217), 빠짐 센서(209)가 그것을 검출하면(S216),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출금구 제어부(118)에 출금구(6)를 폐쇄하도록 지시한다(S218).
마지막으로, 업무 처리 주 제어부(101)는 기억부(109)에 기억하고 있는 수표의 잔고를 갱신하고(S219), 불출 점유 램프(8)를 소등하도록 램프 제어부(105)를 제어한다(S220). 담당자는 불출된 수표를 고객에게 전달하고(S221), 수표의 불출 업무를 종료한다.
여기서, 수납고의 조정 불량이 있었거나, 수표의 수납 상태가 나쁜 경우, 수표가 복수매 겹친 상태로 반송로로부터 조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식별부(22)는 수표라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어, 리젝트권이라 판정한다(S207). 리젝트권 발생시의 처리 동작(A)은, 도5에 나타낸다.
다음에 도5를 참조하여 리젝트권의 처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8매의 수표를 불출하는 요구에 대해, 5매째에서 리젝트권이 발생한 경우,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수납고 제어부(119)에 수표 수납고(23)로부터 수표를 조출하는 것을 정지하도록 지시한다(S301). 통상, 연속해서 반송되는 후속의 수표가 수표 수납고(23)로부터 조출되어 버리고 있으므로,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반송로(20) 상을 이동하는 수표가 모두 없어지는 것을 감시한다(S302). 연속해서 반송되는 모든 수표가 출금구(6)로 보내져, 반송로 상에 수표가 없어진 것이 확인되면,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반송 모터 제어부(114)를 제어하여 반송로(20)의 이동을 정지한다(S303). 그리고, 업무 처리 주 제어부(101)는 램프 제어부(105)를 제어하여 장해 램프(9)를 점등하고(S304), 리젝트가 발생한 것을 창구 단말 장치(1)에 통지한다(S305).
리젝트의 발생이 통지되면, 창구 단말 장치(1)의 표시 장치(151)에는 수표의 불출을 실패한 취지, 및 불출 수표를 수표 수납고(23)로 복귀시키는 취지의 안내(G01)가 표시되고, 장해에 대응할 것을 담당자에게 알린다(S306). 담당자가 확 인 버튼(G02)을 조작하면,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출금구 제어부(118)를 제어하여 출금구(6)의 셔터를 개방한다(S307). 또한, 담당자에게 출금구(6)로부터 수표를 빼낼 것을 재촉하기 위해, 업무 처리 주 제어부(101)는 출금구 빼냄 요구를 발하여 램프 제어부(105)를 제어하여 불출 점유 램프(8)를 점멸한다(S308).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출금구(6)로부터 수표가 빠지는 것을 감시하고, 담당자가 출금구(6)로부터 6매의 수표를 빼내는 것을 검출하면(S309), 출금구 제어부(118)를 제어하여 출금구(6)의 셔터를 폐쇄한다(S311).
담당자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엽류 취급 장치(2)의 출금구(6)로부터 취출한 수표에 인쇄되어 있는 번호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올림차순으로 재배열한다(S312). 그리고, 지엽류 취급 장치(2)의 트레이부(27)를 앞쪽으로 인출한다(S313).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트레이부(27)가 인출되면, 트레이부(27)가 다시 세트되었는지 여부를 검지 센서(30)에 의해 감시한다(S314). 담당자는 트레이부(27)로부터 수표 수납고(23)를 취출하고(S315), 수표를 수표 수납고(23)에 세트하고(S316), 수표 수납고(23)를 트레이부(27)로 다시 복귀시키고(S317), 트레이부(27)를 지엽류 취급 장치(2) 내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트레이부 인출 검지 센서(30)에 의해 트레이부(27)가 세트된 것을 검출하면(S314), 초기화 동작을 실행한다(S320). 업무 처리 주 제어부(101)는, 램프 제어부(105)를 제어하여 장해 램프(9)를 소등한다(S320). 담당자는 지엽류 취급 장치(2)에서 불출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수표의 불출 업무를 다시 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담당자는 수표의 불출에 있어서 리젝트권이 발생한 경우에 출금구(6)로부터만 수표를 취출하면 되므로, 장해로부터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어, 장치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7 내지 9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예는, 수표의 불출에 있어서 리젝트가 발생하였을 때에 불출된 매수에 따라서 운용하는 경우의 처리 동작예이다. 또한, 도7에 있어서 스텝 S311까지의 처리 동작은, 도5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담당자는 출금구(6)로부터 수표를 빼내고(S310), 수표의 매수를 확인하여 대응을 결정한다. 담당자는 취출한 수표의 매수를 세어 확인하고(S412), 불출의 요구 매수에 대해 부족한지(S413), 지나치게 많지 않은지를 확인한다(S414). 확인 결과, 과부족이 없으면 담당자는 불출 매수 혹은 금액과 수표 불출을 종료할 것을 창구 단말 장치(1)에 입력한다(S415). 지엽류 취급 장치(2)의 업무 처리 주 제어부(101)는 기억부(109)에 기억하고 있는 수표의 잔고를 갱신하고(S416), 램프 제어부(105)를 제어하여 불출 점유 램프(8) 및 장해 램프(9)를 소등한다(S417). 마지막으로, 담당자는 지엽류 취급 장치(2)로부터 불출된 수표를 고객에게 전달하고 본건 처리를 종료한다(S418). 그 후, 다른 업무로 이행할 수 있다.
스텝 S413의 처리에 있어서, 불출의 요구 매수에 대해 실제로 불출된 매수가 적은 경우, (B) 처리의 처리로 이행한다(도8 참조). 도8에 있어서, 담당자는 불출 매수와 수표 불출이 부족했던 것을 창구 단말 장치(1)에 입력한다(S501). 그러면, 업무 처리 주 제어부(101)는 기억부(109)에 기억하고 있는 수표의 잔고를 갱신하 고(S502), 램프 제어부(105)로 제어하여 장해 램프(9)를 소등한다(S503). 담당자는 부족분의 매수를 창구 단말 장치(1)에 입력하고,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수표의 불출을 계속해서 행한다.
또한, 상기 스텝 S414에 있어서 불출의 요구 매수에 대해 실제로 불출된 매수가 많은 경우, (C) 처리의 처리로 이행한다(도9 참조). 도9에 있어서, 담당자는 실제로 불출된 수표 중, 요구 매수분의 수표를 고객에게 전달하고(S601), 과다분의 수표에 인쇄되어 있는 번호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올림차순으로 재배열한다(S602). 그리고, 트레이부(27)를 앞쪽으로 인출한다(S603).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트레이부(27)가 인출되면, 트레이부(27)가 다시 세트되었는지 여부를 검지 센서(30)로 감시한다(S604). 담당자는, 트레이부(27)로부터 수표 수납고(23)를 취출하고(S605), 수표를 수표 수납고(23)에 세트한다(S606). 그리고 수표 수납고(23)를 트레이부(27)로 다시 복귀시키고(S607), 트레이부(27)를 지엽류 취급 장치(2)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S608).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검지 센서(30)에 의해 트레이부(27)가 세트된 것을 검출하면(S604), 초기화 동작을 실행한다(S609). 업무 처리 주 제어부(101)는 램프 제어부(105)를 제어하여 장해 램프(9)를 소등한다(S610). 담당자는 불출 매수와 수표의 불출이 과다가 된 것을 창구 단말 장치(1)에 입력한다(S611). 그리고, 업무 처리 주 제어부(101)는 기억부(109)에 기억하고 있는 수표의 잔고를 갱신하고(S612), 램프 제어부(105)를 제어하여 불출 점유 램프(8)를 소등한다(S613). 담당자는 업무를 재개하고, 다른 업무로 이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담당자가 불출 매수를 확인하여 운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담당자가 불출 금액을 입력함으로써 불출 금액을 확인하여 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수표의 불출에 있어서 리젝트가 발생한 경우에, 고객에게 수표를 전달하기 전에, 담당자가 트레이부(27)를 인출하여 수표를 재세트하는 일이 없으므로, 고객을 장시간 기다리게 하는 일이 없다.
다음에, 도10 내지 11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예는, 리젝트권이 발생한 경우, 제1 실시예와 같이 수표를 모두 출금구(6)로 반송하는 것이 아니라, 리젝트권과 그 후속의 수표를 반환구(7)로 반송하는 예이다. 즉, 리젝트권이 발생한 경우에, 수표의 불출을 출금구(6)와 반환구(7)로 나누어 행하는 예이다.
또한, 도10에 있어서 도7과 동일한 스텝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예를 들어, S307 내지 311, S412 내지 418). 그들 동작은, 제2 실시예와 중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수납고 제어부(119)에 수표 수납고(23)로부터 수표를 조출하는 것을 정지하도록 지시하고(S701), 리젝트권이 출금구(6) 앞쪽의 게이트(21)에 도달하는 것을 감시한다(S702). 리젝트권이 출금구(6) 앞쪽의 게이트(21)에 도달하면,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게이트 제어부(113)를 제어하여, 반환구(7)의 방향으로 게이트(21)의 방향을 절환한다(S703). 게이트(21)가 절환되면, 리젝트권과 그 이후의 수표는 반환구(7)의 방향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반송로(20) 상을 이동하는 수표가 모두 없어지는 것을 감시한다(S704).
리젝트권 발생 이후의 수표를 반환구(7)로 반송한 후,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반송 모터 제어부(114)를 제어하여 반송로(20)를 정지한다(S705). 그리고, 업무 처리 주 제어부(101)는 램프 제어부(105)를 제어하여 장해 램프(9)를 점등하고(S706), 리젝트가 발생한 것 및 출금구(6)로 반송한 매수를 창구 단말 장치(1)에 통지한다(S707). 창구 단말 장치(1)는 수표의 불출을 실패한 것, 및 출금구(6)에 불출한 매수를 표시한다(S708). 예를 들어, 도11의 표시(G03)와 같이, 불출 매수 또는 금액「X」가 표시된다.
그리고,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출금구 제어부(118)를 제어하여 출금구(6)의 셔터를 개방하고(S307), 담당자에게 출금구(6) 및 반환구(7)로부터 수표를 빼내도록 재촉하기 위해, 업무 처리 주 제어부(101)는 램프 제어부(105)를 제어하여 불출 점유 램프(8)를 점멸시킨다.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출금구(6)로부터 수표가 빠지는 것을 감시하고 있고, 담당자가 출금구(6)로부터 6매의 수표를 빼내면(S709), 그것을 검출하고(S308),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출금구 제어부(118)를 제어하여 출금구(6)의 셔터를 폐쇄한다(S311). 담당자는 반환구(7)로부터 리젝트권이 된 수표를 빼낸다(S710).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당자는, 반환구(7)로부터 취출한 수표의 매수(Y)와 창구 단말 장치(1)에 표시된 매수(X)를 합산하여, 불출 요구 매수에 대해 부족한지(S413), 지나치게 많지 않은지를 확인한다(S414). 과부족이 없으면, 담당자는 완료 버튼(G04)을 조작하여, 불출 매수와 수표 불출을 종료할 것을 창구 단말 장치(1)에 입력한다(S415). 이후, 업무 처리 주 제어부(101)가, 기억부(109)에 기억하고 있는 수표의 잔고를 갱신하는(S416) 등의 이후의 처리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출금구(6)로 불출된 수표의 매수는 확정되어 있고, 담당자는 반환구(7)로 반송된 리젝트권만을 확인하면 되므로, 담당자가 수표를 확인하는 노동력을 경감할 수 있다.
다음에, 도12를 참조하여 제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예는, 수표의 불출에 있어서 과다가 된 수표를 복귀시킬 때에, 담당자가 트레이부(27)에 인출하여 세트하는 것이 아니라, 입금구(5)로부터 투입하여 수표를 수표 수납고(23)로 복귀시키는 예이다. 또한, 담당자가 리젝트권을 손에 넣을 때까지의 처리는 상술한 예와 동일하다.
담당자는, 지엽류 취급 장치(2) 내로 복귀시키는 수표의 매수 또는 금액을 확인하여, 창구 단말 장치(1)에 입력한다(S801). 창구 단말 장치(1)는 담당자에게 올림차순으로 정렬된 수표를 입금구(5)에 1매씩 투입하도록 표시한다(S802). 업무 처리 주 제어부(101)는 램프 제어부(105)를 제어하여, 예입 점유 램프를 점등한다(S803).
담당자는, 입금구(5)에 1매의 수표를 투입하고, 지폐 반송 장치(2)의 개시 버튼(4)을 누른다(S804). 그러면, 반송로(20)의 이동이 개시된다(S805).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입금구 제어부(117)를 제어하고, 입금구(5)로부터 수표를 1매 씩 조출한다. 입금구(5)로부터 조출된 수표는 식별부(22)를 통과하고, 그곳에서 정상인 수표인지 여부가 판별된다(S807). 판별 결과, 지엽류 취급 장치(2)에서 취급할 수 있는 수표라 판정된 경우,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게이트 제어부(113)를 제어하여 게이트를 절환하고, 수표를 수표 수납고(23)로 반송한다. 한편, 취급 불가라 판정된 수표는, 반환구(7)로 반송하여 반환된다.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반송로(20) 상을 이동하는 수표가 없어지는 것을 감시하고 있다(S809). 수표를 수표 수납고(23)에 수납하고, 반송로(20) 상에 수표가 없어진 것을 검지하면, 반송 처리 주 제어부(110)는 반송 모터 제어부(114)를 제어하여 반송로(20)를 정지한다(S810). 창구 단말 장치(1)는 수표 수납고(23)로 복귀시키는 매수, 또는 일정 금액이 될 때까지, S802로부터 S811까지를 반복하여 완료한다(S811).
담당자가 입력한 매수, 혹은 금액만큼의 수표를 수표 수납고(23)로 복귀시켜 종료하면, 업무 처리 주 제어부(101)는 램프 제어부(105)를 제어하여 예입 점유 램프를 소등한다(S812). 그리고, 창구 단말 장치(1)는 리젝트권 복귀 업무가 완료한 것을 표시한다(S813). 그 후, 담당자는 다른 업무 처리로 이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담당자는 트레이부(27)를 인출하여 수표 수납고(23)를 취출하는 일 없이, 수표 수납고(23)에 수표를 용이하게 보충할 수 있어, 담당자의 노동력을 경감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엽류 취급 장치(2)는, 담당자가 고객으로부터 수표를 수취하여 장치 내에 회수할 수도 있다. 이하, 수표를 회수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담당자는, 창구 단말 장치(1)에 있어서 수표의 예입 거래를 선택하고, 수표를 입금구(5)에 투입하고, 개시 버튼(4)을 누른다. 지엽류 취급 장치(2)는 반송로(20)를 동작시키고, 입금구(5)로부터의 조출을 개시한다. 입금구(5)로부터 조출된 수표는, 식별부(22)에서 판별된다. 판별 결과, 정상인 수표는 일시 보류부(26)에 수납된다. 한편, 취급 불가라 판별된 수표는, 반환구(7)로 반환된다. 입금구(5)에 수표가 없어지거나, 반환구(7) 혹은 일시 보류부(26)가 가득 찬 것이 검출되면, 지엽류 취급 장치(2)는 입금구(5)로부터의 조출 및 반송로(20)의 반송 동작을 정지한다. 그 후, 담당자는 입금 결과를 확인하면, 지엽류 취급 장치(2)는 일시 보류부(26)에 보유되어 있던 수표를 조출하여 회수고(25)로 반송하여 수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표의 불출시 리젝트권이 발생한 경우 리젝트권을 출금구 또는 반환구로 반송하도록 하였으므로, 담당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고, 장치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지엽류의 수취 또는 불출을 행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지엽류의 수취 또는 불출에 사용되는 제1 취급구와,
    수취한 또는 불출의 대상이 되는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고와,
    상기 제1 취급구와 상기 수납고와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지엽류의 종별 및 진위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담당자에 대해 통지하는 수단과,
    각 부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고로부터 조출되고, 상기 식별부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었던(이하, 리젝트라 함) 지엽류(이하, 리젝트권이라 함)를, 상기 반송로를 통해 상기 제1 취급구로 반송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통지 수단에 의해 상기 지엽류의 불출시 리젝트가 발생한 것을 담당자에게 통지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2. 지엽류의 수취 또는 불출을 행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지엽류의 수취 또는 불출에 사용되는 제1 취급구와,
    상기 지엽류의 반환을 위해 사용되는 제2 취급구와,
    수취한 또는 불출의 대상이 되는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고와,
    상기 제1 취급구 및 상기 제2 취급구와 상기 수납고와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지엽류의 종별 및 진위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담당자에 대해 통지하는 수단과,
    각 부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부에서 정상이라고 판정된 지엽류를 상기 제1 취급구로 반송하고, 상기 식별부에서 리젝트라고 판정된 지엽류(이하, 리젝트권이라 함)를, 그 후속의 지엽류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후속의 지엽류도 포함하여 상기 제2 거래구로 반송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통지 수단에 의해 상기 지엽류의 불출시 리젝트가 발생한 것을 담당자에게 통지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에 구비된 장해 발생을 알리는 램프인 지엽류 취급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에 구비된 장해 발생을 알리는 램프인 지엽류 취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의 불출시 매수 과다가 된 지엽류를 상기 제1 취급구에 투입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취급구로부터 투입된 상기 지엽류를 상기 수납고로 반송하도록 제어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의 불출시 매수 과다가 된 지엽류를 상기 제1 취급구에 투입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취급구로부터 투입된 상기 지엽류를 상기 수납고로 반송하도록 제어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의 불출시 매수 과다가 된 지엽류를 상기 제1 취급구에 투입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취급구로부터 투입된 상기 지엽류를 상기 수납고로 반송하도록 제어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리젝트가 발생한 경우, 리젝트권은 상기 수납부로 복귀되고, 소정의 처리 동작을 행한 후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를 소등하도록 제어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9. 지엽류의 수취 또는 불출을 행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와,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에 접속되고, 담당자에 의해 조작되는 창구 단말 장치를 갖는 지엽류 취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는, 지엽류의 수취 또는 불출에 사용되는 제1 취급구와,
    수취한 또는 불출의 대상이 되는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고와,
    상기 제1 취급구와 상기 수납고와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지엽류의 종별 및 진위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담당자에 대해 통지하는 수단과,
    각 부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고로부터 조출되고, 상기 식별부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었던(이하, 리젝트라 함) 지엽류(이하, 리젝트권이라 함)를, 상기 반송로를 통해 상기 제1 취급구로 반송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통지 수단에 의해 상기 지엽류의 불출시 리젝트가 발생한 것을 담당자에게 통지하는 것이며,
    상기 창구 단말 장치는 지엽류의 불출시 리젝트권이 발생한 경우, 담당자를 위해 그 취지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제1 취급구로 배출된 지엽류의 매수 또는 그 금액을, 담당자에 의해 입력하는 입력 장치를 갖는 지엽류 취급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해 지엽류의 불출시 매수 과다가 된 지엽류의 투입 매수 또는 그 금액을 입력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취급구로부터 투입된 매수 과다가 된 지엽류를 상기 수납고로 반송하도록 제어하는 지엽류 취급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창구 단말 장치의 상기 표시 장치에 장해 발생을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지엽류 취급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창구 단말 장치의 상기 표시 장치에 장해 발생을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지엽류 취급 시스템.
KR1020070062124A 2006-06-26 2007-06-25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시스템 KR100880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74996A JP4914654B2 (ja) 2006-06-26 2006-06-26 紙葉類取扱装置及びシステム
JPJP-P-2006-00174996 2006-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2394A true KR20070122394A (ko) 2007-12-31
KR100880771B1 KR100880771B1 (ko) 2009-02-02

Family

ID=39004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124A KR100880771B1 (ko) 2006-06-26 2007-06-25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914654B2 (ko)
KR (1) KR100880771B1 (ko)
CN (1) CN101097639B (ko)
SG (1) SG138549A1 (ko)
TW (1) TW2008201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041B1 (ko) * 2008-07-03 2012-03-16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지폐 처리기 및 그것을 사용한 창구 거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3640B2 (ja) * 2008-10-27 2013-06-1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処理プログラム
JP5286028B2 (ja) * 2008-10-29 2013-09-1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JP5355364B2 (ja) * 2009-12-02 2013-11-2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5543295B2 (ja) * 2010-08-05 2014-07-0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システム
JP6171736B2 (ja) * 2013-08-28 2017-08-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整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5937B2 (ja) * 1989-05-10 1999-01-13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商品券払出管理システム
JPH0922478A (ja) * 1995-07-06 1997-01-21 Hitachi Ltd 紙幣還流装置
JP3395541B2 (ja) * 1996-09-30 2003-04-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取引装置
JP3902402B2 (ja) * 2000-12-25 2007-04-0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金自動取引装置
JP3990888B2 (ja) * 2001-10-10 2007-10-1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窓口サポート用装置および取引システム
JP4102647B2 (ja) * 2002-11-05 2008-06-1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類取引装置
JP4419527B2 (ja) * 2003-11-13 2010-0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小切手処理装置用ホストコンピュータ、小切手処理システム及び小切手処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041B1 (ko) * 2008-07-03 2012-03-16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지폐 처리기 및 그것을 사용한 창구 거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03988A (ja) 2008-01-10
CN101097639A (zh) 2008-01-02
CN101097639B (zh) 2012-11-14
SG138549A1 (en) 2008-01-28
TWI334584B (ko) 2010-12-11
JP4914654B2 (ja) 2012-04-11
TW200820137A (en) 2008-05-01
KR100880771B1 (ko)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254B1 (ko) 현금 관리 시스템
JP4418207B2 (ja) 紙幣取扱装置
KR100880771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시스템
KR100832508B1 (ko) 현금처리장치
JP2008027023A (ja) 現金処理装置
JP5505466B2 (ja) 現金管理システム、及び現金データ管理装置
JP7405631B2 (ja) 貨幣処理装置、貨幣処理システム及び貨幣処理方法
JP2532671B2 (ja) 現金入出金処理装置
JP2532672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5100348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取扱方法
JP2019021058A (ja) 貨幣処理システム、釣銭機、金銭登録機及び貨幣処理方法
JP2503081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614330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568279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773916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548391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773435B2 (ja) 現金自動取扱装置
JPH0831171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6584630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2598519B2 (ja) 現金入出金装置の一括収納庫
JPS58127268A (ja) 取引処理装置
JP2535647B2 (ja) 入出金機の初期補充制御処理装置
KR20200037684A (ko) 지폐 처리 장치
WO2017029837A1 (ja) 現金処理装置
JPH054407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