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2220A - 회전등 - Google Patents

회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2220A
KR20070122220A KR1020077024195A KR20077024195A KR20070122220A KR 20070122220 A KR20070122220 A KR 20070122220A KR 1020077024195 A KR1020077024195 A KR 1020077024195A KR 20077024195 A KR20077024195 A KR 20077024195A KR 20070122220 A KR20070122220 A KR 20070122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reflection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오 노바야시
타카시 우치다
Original Assignee
아로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30278A external-priority patent/JP4553829B2/ja
Application filed by 아로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로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2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2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4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6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flashing, e.g. with rotating reflector or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회전등은, 기체와, 기체에 장착되고, 투광성을 갖는 글로브와, 기체 내에 설치된 축부(3)와, 축부(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부재(19)와, 회전부재(1g)의 윗면상에 배치되고, 광의 반사면(5a)이 포물면으로 구성되는 주반사 미러(5)와, 발광 다이오드와, 회전부재(19)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21)를 구비하고, 발광 다이오드의 광축과, 주반사 미러(5)의 반사면(5a)이 교차함에 의해, 반사 효율을 향상시켜서, 회전등으로부터의 광을 먼측까지 도달시킬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회전등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등{ROTATING LIGHT}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회전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전등으로서는, 광원에 백열전구를 이용한 회전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백열전구를 이용한 회전등은, 단기에 전구가 끊어진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소비 전력도 크고, 유지 관리에 많은 수고가 드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근래, 회전등의 광원으로서 LED 광원 소자가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원으로서 LED 광원 소자가 사용된 회전등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2-163903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회전등이 알려져 있다.
이 일본 특개2002-163903호 공보에 기재된 회전등은, 원판형상 홀더의 상하면에 방사선형상으로 복수의 LED 발광 소자를 배열하여 광원으로 하고, 이 광원의 주위에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반사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등에서는, LED 발광 소자에 의해 구성된 광원의 주위를 반사기가 회전함에 의해, LED 발광 소자로부터 발하여진 광을 수평 방향으로 반사한다.
반사기에서 반사된 광은, 개략 평행광이기 때문에, 반사광을 광범위하게 도달시키기 위해, 반사광 경로의 단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로부터 반사기의 개구부는, 소정의 크기로 되어 있다. 이로써, 복수의 LED 발광 소자 중, 반사기의 개구부측에 위치하는 LED 발광 소자의 수도 많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수반하여, LED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 중, 직접 바깥쪽으로 방사되는 광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2-163903호 공보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회전등에서는, 반사기가 LED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효율이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LED 발광 소자의 광은, 지향성이 높은 것이지만, 먼측에서는, 퍼지는 경향에 있기 때문에, 반사기의 반사 효율이 낮으면, 먼측까지 회전등의 광이 도달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반사 효율을 향상시켜서, 회전등으로부터의 광을 먼측까지 도달시킬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회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회전등은, 기체와, 기체에 장착되고, 투광성을 갖는 글로브와, 기체 내에 설치된 축부와,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의 윗면상에 배치되고 포물면 형상의 반사면을 적어도 일부가 구성되는 반사 미러와,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회전부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발광 다이오드의 광축과, 반사 미러의 반사면이 교차하도록 발광 다이오드와 반사 미러를 배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평행광을 반사면에 조사한 때의 초점 위치에 배치되고, 반사 미러는, 발광 다이오드의 후방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재되고, 또한 발광 다이오드의 윗측을 경유하여 발광 다이오드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재의 윗면상에 배치되고, 반사 미러에 대해 대향 배치된 보조 반사 미러를 또한 구비하고, 보조 반사 미러와 반사 미러 사이에,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반사 미러중 반사 미러와 대향하는 면은, 원호형상으로 만곡하는 만곡면이 되고, 만곡면은,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됨과 함께, 만곡면의 둘레 방향의 길이가 점차 길어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발광기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고리형상 부재와, 고리형상 부재의 둘레 방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한쪽의 단부가 고리형상 부재의 안쪽에 배치된 판형상 부재를 또한 구비하고, 판형상 부재는, 고리형상 부재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연재되는 연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발광기가 마련된 프린트 기판과, 프린트 기판과 축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또한 구비하고, 축부와, 프린트 기판과, 연결 부재를 금속을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재와 축부를 지지하는 평판형상의 지지판을 또한 구비하고, 지지판을 금속을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글로브의 상벽에 고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하는 열을 외부로 발산 가능한 방열부를 또한 구비하고, 방열부를 통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글로브의 상벽에 고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열부는, 표면상에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되는 프린트 기판과, 표면상에 프린트 기판이 부착되는 방열판을 포함하고, 방열판을 글로브의 상벽에 고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리드선을 또한 구비하고, 글로브의 내표면에 따르도록 리드선을 배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 미러는, 포물면 형상의 제 1 반사면과, 제 1 반사면의 양측에 배치된 제 2와 제 3 반사면을 포함하고, 제 2 반사면은,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을 제 1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보다도, 기체측을 향하여 반사하고, 상기 제 3 반사면은, 반사광보다도, 반사 미러의 상단부측을 향하여 반사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반사면 및 제 3 반사면은, 기체측으로부터 반사 미러의 상단부측에 걸쳐서 복수 형성되고, 기체측에 위치하는 제 2 반사면의 면적은, 반사 미러의 상단부측에 위치하는 제 2 반사면의 면적보다 작고, 반사 미러의 상단부측에 위치하는 제 3 반사면의 면적은, 기체측에 위치하는 제 3 반사면의 면적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을 유도하는 광도부를 또한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광도부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을 집광하여, 광도부에 공급하는 집광부를 또한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도부는, 발광 다이오드상에 세워지도록 마련되고, 광을 산란시키는 산란부를 선단부에 갖는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회전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등의 Ⅱ-Ⅱ선에서의 측단면도.
도 3은 프린트 기판과, 발광기와, 주치차의 사시도.
도 4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회전등의 발광기의 상면도.
도 5는 발광 다이오드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배선도.
도 6은 발광기(1)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2의 Ⅶ-Ⅶ선에서의 단면도.
도 8은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회전등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회전등의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의 X-X선에서의 단면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회전등의 측단면도.
도 12는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회전등의 상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회전등의 측단면도.
도 14는 회전등의 측단면도이고, 발광기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효율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회전등의 측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XⅥ-XⅥ선에서의 단면도.
도 17은 본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회전등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XⅧ-XⅧ선에서의 단면도.
도 19는 반사 미러 및 주치차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파워 LED로부터의 광의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본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회전등의 일부를 단면으로 본 측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회전등의 방열부 부근의 단면도.
도 23은 본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회전등의 정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회전등의 측단면도.
도 25는 파워 LED로부터의 광의 경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6은 반사 미러의 일부를 단면으로 본 회전등의 평면도.
도 27은 반사 미러의 확대 단면도.
도 28은 본 실시의 형태 6에 관한 회전등의 정면도.
도 29는 회전등의 측단면도.
도 30은 회전등의 반사 미러의 일부를 단면으로 본 평면도.
도 31은 광도부의 확대 단면도.
도 32는 반사 미러의 일부를 단면으로 본 회전등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광기 2 : 프린트 기판
3 : 축부 4 : 섀시(지지판)
5 : 반사 미러 5a : 반사면
7 : 플랜지(연결 부재) 8 : 주치차
9 : 중간 치차 10 : 피니언 치차
11 : 모터 20 : 받침대
20a : 윗면 21 : 구동부
31 : 리드 프레임 33 : 하우징(고리형상 부재)
34 : 발광 다이오드 35 : 연재부
50 : 보조 반사 미러 50c : 부반사면
60 : 파워 LED
도 1부터 도 32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회전등(100)의 사시도이다. 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등(100)은, 투명성을 갖는 글로브(12)와 보디(기체)(13)를 포함하는 본체(16)를 구비하고 있다. 글로브(12)는, 개략 중공 원주형상으로 되어 있다. 글로브(12)의 하면은, 바깥쪽에 개구한 개구부(12a)로 되어 있고, 이 개구부(12a)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보디(13)는, 개략 중공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13)의 윗면은, 바깥쪽에 개구한 개구부(13a)로 되어 있고, 이 개구부(13a)의 외주면상에는, 개구부(12a)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결합한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13a)와 개구부(12a)에 형성된 나사부가 서로 나사결합하고, 글로브(12)와 보디(13)가 일체로 되고 본체(16)가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12a, 13a)의 부근에는,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받침대(20)가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등의 Ⅱ-Ⅱ선에서의 측단면도이고, 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등(100)은, 보디(13) 내에 배치된 축부(3)와, 축부(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부재(19)와, 회전부재(19)의 윗면상에 배치되고, 광의 반사면(5a)이 포물면으로 구성된 반사 미러(5)와, 발광기(1)와, 회전부재(19)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전등(100)은, 회전부재(19)와, 축부(3)를 지지한 평판형상의 섀시(지지판)(4)를 구비하고 있다.
섀시(4)는, 보디(13)의 개구부(13a)를 덮는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고, 원형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섀시(4)는, 금속을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섀시(4)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섀시(4)의 중심부의 윗면측에는, 통상의 축부(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축부(3)의 하단부에는, 섀시(4)의 하면측에서 너트(15)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섀시(4)에는, 회전부재(19)를 구동하는 구동부(21)가 마련되어 있다.
축부(3)는, 통부(3a)와, 이 통부(3a)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바깥쪽을 향하여 팽출한 팽출부(3b)를 구비하고 있다. 통부(3a) 내에는, 도시되지 않은 전선이 배치되어 있다. 이 축부(3)는, 금속을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3)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축부(3)의 통부(3a)의 외주면측에는, 회전부재(19)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부재(19)는, 받침대(20)와, 받침대(20)의 하면측에 배치된 주치차(8)를 구비하고 있다. 받침대(20)는, 원형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윗면(20c)과, 이 윗면(20c)의 외주연부에서 현수한 주벽부(20b)를 구비하고 있다. 윗면(20c)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개구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주치차(8)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통부(8b)와, 이 통부(8b)의 상단부측에 형성된 원형형상의 원판부(8a)와, 원판부(8a)의 외주연부에 설치되고 윗측을 향하여 형성된 주벽부(8d)와, 이 주벽부(8d)의 상단부에 형성된 부착부(8c)를 구비하고 있다. 부착부(8c)는, 주벽부(8d)의 상단부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지름 확장하고 있고, 부착부(8c)의 상단부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치차(8)는, 중공상에 형성되어 있고, 주치차(8)의 내부에는, 수납부(8c)가 형성되어 있다. 주치차(8)와 받침대(20)는, 부착부(8c)에 나사결합된 나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원판부(8a)의 외주연부 및 주벽부(8d)의 외주면상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이가 형성되어 있다.
주치차(8) 내에는, 발광기(1)와, 발광기(1)가 설치된 평판형상의 프린트 기판(2)과, 프린트 기판(2)과 축부(3)를 연결한 플랜지(연결 부재)(7)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7)의 상단부는, 나사에 의해 프린트 기판(2)에 고정되어 있고, 하단부가 축부(3)의 팽출부(3b)에 매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축부(3)와, 플랜지(7)와, 프린트 기판(2)과 발광기(1)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발광기(1)는, 프린트 기판(2)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축부(3)의 중심축 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7)는, 금속을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구리 또는 알루미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21)는, 지지축(18)과, 이 지지축(18)에 지지된 중간 치차(9)와, 중간 치차(9)에 맞물리는 피니언 치차(10)와, 피니언 치차(10)를 회전 구동한 모터(11)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축(18)은, 섀시(4)의 윗면상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부재(19)로부터 섀시(4)의 외주연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모터(11)는, 이 지지축(18)으로부터 섀시(4)의 외주연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축(18)은, 섀시(4)의 윗면상에 설치된 대경부(18a)와, 이 대경부(18a)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대경부(18a)로부터 소경의 소경부(18b)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지축(18)의 중간부분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치차(9) 내에는, 지지축(18)이 꽂혀지고 있고, 지지축(1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중간 치차(9)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원판부(9a)와, 이원판부(9a)의 윗면상에 형성된 통부(9b)를 구비하고 있다. 통부(9b)의 외주면상에는, 주치차(8)에 형성된 이와 맞물리는 이가 형성되어 있고, 원판부(9a)의 외주연부에도, 복수의 이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11)는, 섀시(4)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이 모터(11)의 구동축(11a)은, 섀시(4)의 하면에서 윗면에 상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축(11a)의 상단부에는, 피니언 치차(10)가 마련되어 있다. 이 피니언 치차(10)의 외주면상에는, 중간 치차(9)의 원판부(9a)에 형성된 이에 맞물리는 이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프린트 기판(2)과, 발광기(1)와, 주치차(8)의 사시도이고, 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치차(8)에 설치된 부착부(8c)는, 주벽부(8d)의 상단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4곳 형성되어 있다. 이 4개의 부착부(8c)의 내측에는, 프린트 기판(2)이 배치되어 있다. 이 프린트 기판(2)은, 금속재료를 포함하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동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발광기(1)의 상면도이고, 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기(1)는, 링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고리형상 부재)(33)과, 이 하우징(3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이상 배치되고, 한쪽의 단부가 하우징(33)의 안쪽에 배치된 리드 프레임(판형상 부재31)과, 리드 프레임(31)의 단부에 설치된 발광 다이오드(34)를 구비하고 있다.
리드 프레임(31)은, 하우징(33)의 둘레 방향에 8곳 마련되어 있고, 이러한 리드 프레임(31)중, 한 쌍이 대향한 리드 프레임(31)을 제외하는, 6개의 리드 프레임(31)의 선단부에 발광 다이오드(3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3개의 인접한 발광 다이오드(34)는, 배선(32)에 의해 직렬로 접속되고 1 쌍으로 되고, 2 쌍의 발광 다이오드(34)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리드 프레임(31)은, 장척인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단부가 하우징(33)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리드 프레임(31)에는, 하우징(33) 내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연재되는 연재부(35)가 마련되어 있다.
도 5는, 발광 다이오드(34)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배선도이고, 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발광 다이오드(34)가 직렬로 접속되고, 이 직렬로 접속된 발광 다이오드(34)가 2조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발광 다이오드(34)가 복수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발광기(1)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2)의 중앙부에 1개의 파워 LED(Light Emitting Diode)(60)가 배치된 발광기(1)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파워 LED(60)로부터의 발광량은 많기 때문에, 1개라도 회전등의 광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반사 미러(5)는, 받침대(20)의 윗면(20c)에 설치되어 있고, 이 반사 미러(5)는, 개구부(20a)의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발광기(1)는, 개구부(20a)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포물면 형상의 반사 미러(5)는, 발광기(1)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사 미러(5)는, 도 4에 도시된 발광 다이오드(34)의 후방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재되고, 또한 발광 다이오드(34)의 윗측을 경유하여, 발광 다이오드(34)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반사면(5a)의 포물면의 축(P)은, 받침대(20)의 윗면(20c)에 대해 평행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13)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것에 의해, 축(P)도 수평 방향으로 향해진다.
각 발광 다이오드(34)의 광축(Q)과 반사 미러(5)가 교차하도록, 각 발광 다이오드(34)의 광축(Q)은, 반사 미러(5)의 회전축 선상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즉, 광축(Q)은, 축부(3)의 중심축 선상 또는, 축부(3)의 중심축선의 부근에 배치되어 있고, 축부(3)의 중심축선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의 광은, 원추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의 광은, 축부(3)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고 거의 대칭적으로 방사되어 있다.
그 한편으로, 반사 미러(5)와 발광 다이오드(34)의 광축(Q)h은, 교차함과 함께, 반사 미러(5)는, 축부(3)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반사 미러(5)가 축 부(3)를 중심으로 회동한 때에도,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 반사 미러(5) 내에 조사되고 광의 조사 상황의 변동이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반사 미러(5)가 축부(3)를 중심으로 회전해도,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의 광이 반사 미러(5)에 닿는 각도가 거의 변동하지 않고, 반사 미러(5)의 반사 상태가 거의 변동하지 않고, 반사 미러(5)가 회전해도 정상인 반사광이 바깥쪽으로 방사된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발광 다이오드(34)의 광의 방사각도는, 170°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34)와 반사 미러(5)의 하단부를 연결한 선분과, 받침대(20)의 윗면(20c)과의 이루는 각도는, 10°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반사 미러(5)의 상단부와 초점(O)을 연결하는 선분과, 초점(O)과 반사 미러(5)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선분과의 이루는 교차 각도 θ은, 90°이상 120°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사 미러(5)의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의 전면에 걸쳐서, 발광기(1)로부터의 광이 조사된다. 또한, 여기서, 초점(O)이란, 개략 포물면상에 형성된 반사 미러(5)에, 이 반사 미러(5)의 축선과 평행한 평행광이 닿아진 때에, 그 반사광이 수속한 점을 의미한다.
또한, 교차 각도 θ를 90°보다 작게 설정하면, 발광 다이오드(34)의 방사각도 170°정도인 것으로, 반사 미러(5)의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효율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교차 각도 θ를 120°보다 크게 하는 데는, 반사 미러(5)의 선단부를 더욱 늘림에 의해, 반사 미러(5)가 커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반사 미러(5)에, 반사 미러(5)의 포물면의 축(P)과 평행한 평행광이 조사되면, 그 반사광은, 1점에 수속한다. 이 반사광이 수속한 점에 발광 다이오 드(34)를 배치하고 있다. 즉, 발광 다이오드(34)는, 평행광을 반사 미러(5)의 반사면(5a)에 조사한 때의 초점(O)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초점(O)은, 축부(3)의 중심축 선상 또는 그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등(100)에 의하면, 모터(11)가 피니언 치차(10)를 회전 구동한다. 피니언 치차(10)가 구동축(11a)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피니언 치차(10)에 맞물리고 있는 중간 치차(9)가 지지축(18)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중간 치차(9)가 지지축(18)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중간 치차(9)와 맞물리는 회전부재(19)가 축부(3)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19)가 축부(3)를 중심으로 회동하면, 받침대(20)의 윗면에 설치된 반사 미러(5)가 축부(3)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축부(3)의 중심축 선상에 초점(O)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 미러(5)가 회동한 때에도, 반사면(5a)의 초점의 위치는, 변동하는 일 없이, 축부(3)의 중심축 선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34)의 광축(Q)이 받침대(20)의 윗면(20c)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의 원추형상의 광은, 방사각도가 약 170° 정도의 확산으로써, 윗측을 향하여 출사된다. 그 한편으로, 반사 미러(5)는, 반사 미러(5)의 상단부와 초점(O)을 연결하는 선분과, 초점(O)과 반사 미러(5)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선분과의 이루는 각도 θ이, 90° 이상 120° 이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34)의 방사각도가(θ-90°)×2보다 작은 경우에는, 반사 미러(5)의 반사 효율은, 100%로 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의 광의 방사 각도가(θ-90°)×2보다 큰 경우에도, 발광 다이오드(34)의 광축(Q)과 반사 미러(5)가 교차함과 함께, 반사 미러(5)는, 발광 다이오드(34)의 윗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 미러(5)의 반사 효율은, 적어도 50% 이상이 확보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광의 방사각도가 170°정도의 발광 다이오드(34)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광의 방사각도의 큰 발광 다이오드(34)에서도, 광축(Q) 부근의 광의 광도가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34)의 광축(Q)은, 반사 미러(5)와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의 원추형상의 광 중, 광도가 높은 부분은, 반사 미러(5)에 의해 확실하게 반사된다.
반사 미러(5)의 전면에 발광기(1)로부터의 광이 조사되고, 조사된 광은 반사면(5a)에서 반사된다. 여기서, 반사면(5a)의 포물면의 축(P)은, 수평 방향으로 향해지고 있고, 발광 다이오드(34)가 초점(O)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면(5a)에서의 반사광은, 수평 방향을 향하여 반사된다. 즉, 반사면(5a)의 하단부측에서 상단부측에 걸쳐서, 반사광의 진행 방향은, 수평 방향으로 되어 있고, 반사면(5a)의 축(P)과 평행으로 진행한다.
도 7은, 도 2의 Ⅶ-Ⅶ선에서의 단면도이고, 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5a)이 포물면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발광 다이오드(34)가 초점(O)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기(1)로부터의 광은, 반사면(5a)에서 평행으로 반사된다. 이때, 반사면(5a)의 한쪽의 단부측에서 다른 쪽의 단부측에 걸쳐서, 반사광은, 반사면(5a)의 축을 따라 평행으로 반사된다. 이와 같이, 발광기(1)로부터의 광은, 반사 미러(5)에 의해, 반사면(5a)의 축(P)을 따라 평행으로 반사된다. 이 때문에, 반사된 광은, 넓어지기 어렵고, 먼측까지 도착하는 것이 된다.
또한, 반사 미러(5)가 축부(3)를 중심으로 회전한 때에도,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의 광이, 반사 미러(5)에 조사된 조사 상황이 변동하지 않기 때문에, 반사 미러(5)가 회동한 때에도, 반사 미러(5)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은, 평행광으로 하여 반사된다. 이 때문에, 반사 미러(5)에 의해 반사된 광은, 먼측까지 출사된다.
여기서, 회전등(100)이 장시간 구동하면, 발광 다이오드(34)에 열이 생긴다. 그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프레임(31)은, 하우징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연재되는 연재부(3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34)에 생긴 열은, 우선, 리드 프레임(31)의 연재부(35)에 전해짐과 함께, 연재부(35)에서 바깥쪽으로 방열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34)를 구비한 발광기(1)와, 프린트 기판(2)과, 플랜지(7)와 축부(3)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4에 도시되는 발광 다이오드(34)에 생긴 열 및 리드 프레임(31)에 전달된 열은, 도 2에 도시되는 프린트 기판(2)과, 플랜지(7)와, 축부(3)에 순차적으로 전달됨과 함께, 외부를 향하여 방열된다. 여기서, 이 축부(3)와, 플랜지(7)와, 프린트 기판(2)과는, 금속을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호하게 열이 전달됨과 함께, 열이 양호하게 방열된다. 또한, 축부(3)와 플랜지(7)와, 프린트 기판(2)이, 구리 또는 알루미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열률이 높고, 양호하게 열이 외부에 방열된다.
또한, 섀시(4)도 금속을 포함하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축 부(3)에 까지 전달된 열이 섀시(4)에도 양호하게 전달되고, 바깥쪽에 양호하게 방열된다. 또한, 섀시(4)가 구리 또는 알루미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또한 양호하게 열이 섀시(4)에 전달되고 외부에 방열된다.
게다가, 발광기(1)는, 회전부재(8) 내 또는, 반사면(5a)의 중앙부보다도, 아랫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의 열을 방열한 기구를 회전부재(8) 내에 수납할 수 있고, 프린트 기판(2) 등에 의해, 반사면(5a)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프린트 기판(2) 등에 의해 차단된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발광기(1)를 회전부재(8)측에 배치함에 의해, 발광기(1)의 바로 아래에 프린트 기판(2) 등의 방열부재를 배치할 수 있고, 반사광을 차단하는 일 없이,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의 열을 양호하게 방열시킬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회전등(100)에 의하면,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의 광 중 0° 이상 θ°이하의 방사각도의 부분에 관해서는, 반사 미러(5)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 미러(5)의 반사 효율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의 광의 대부분을 평행광으로 변환할 수 있고, 확실하게 광을 먼측까지 도달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회전등(100)에는,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 출사된 원추형상의 광 중, 광도가 높은 부분을 확실하게 반사할 수 있기 때문에, 광도가 강한 평행광을 출사할 수 있다.
또한, 이 회전등(100)에서는, 발광 다이오드(34)에 생기는 열을 바깥쪽으로 방열할 수 있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34)의 장수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8부터 도 16을 이용하여, 실시의 형태 2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회전등(200)의 사시도이다. 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등(200)은, 반사 미러(5)와 대향 배치된 보조 반사 미러(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보조 반사 미러(50)는, 받침대(20)의 윗면(20c)에 고정된 지지부(50a)와, 이 지지부(50a)의 선단부에 설치된 부반사부(50b)를 구비하고 있다.
보조 반사 미러(50)와 발광기(1)는, 모두, 반사면(5a)의 축(P)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발광기(1) 내의 발광 다이오드(34)는, 반사 미러(5)와 보조 반사 미러(5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회전등(200)의 측단면도이고, 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반사 미러(50)중, 반사 미러(5)와 대향 배치된 부반사면(50c)은, 원호형상으로 만곡하는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이 만곡면으로 된 부반사면(50c)은, 초점(O)으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점차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한다. 여기서, 초점(O)에는, 발광 다이오드(34)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반사면(50c)은,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점차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또한, 보조 반사 미러(50)는, 축(P)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초점(O)으로부터 윗면(20c)의 외주연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은, 도 9의 X-X선에서의 단면도이고, 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반사 미러(50)의 부반사면(50c)은, 초점(O)으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점차 둘레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반사면(50c)을 윗면에서 보면, 부반사면(50c)은, 초점(O)을 중심으로 부채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반사면(50c)의 안쪽에는, 발광기(1)가 배치되어 있고, 부반사면(50c)의 하단부는, 발광기(1)의 외주연부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부반사면(50c)은, 반사면(5a)의 축(P)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부반사면(50c)의 각도는, 약 90°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부반사면(50c)의 각도는, 약 90°정도로 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회전등(200)의 측단면도이고, 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반사부(50b)는, 받침대(20)의 윗면(20c)으로부터 윗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반사부(50b) 및 부반사면(50c)의 높이(H)는, 부반사부(50b)의 상단부에서 받침대(20)의 윗면(20c) 과의 거리로 한다.
도 12는, 본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회전등(200)의 상면도이고, 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기(1)로부터의 광이, 반사 미러(5)에 의해 반사되면, 평행광으로 되고, 바깥쪽에 반사된다. 도 13은, 회전등(200)의 측단면도이고, 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기(1)로부터의 광이 반사 미러(5)에 의해 반사되면, 반사광은, 수평 방향으로 출사된다. 즉, 본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회전등(200)에서도,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발광기(1)로부터의 광이 반사 미러(5)에 의해 반사되면, 반사면(5a)의 축(P)에 평행한 평행광으로서 반사된다.
도 14는, 회전등(200)의 측단면도이고, 발광기(1)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 사 효율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기(1)로부터의 광 중, 초점(O)과 부반사면(50c)의 상단부를 통과한 선분과, 초점(O)과 부반사면(50c)의 하단부를 통과한 선분을 따라 끼워진 영역이, 부반사면(50c)에 의해 반사된다. 이 부반사면(50c)에 의해 반사된 역반사 영역은, 부반사면(50c)의 높이(H)에 의해 변동하고, 부반사면(50c)의 높이(H)가 높은 만큼, 영역이 폭넓어진다. 그 한편으로,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의 광 중, 부반사면(50c)의 하단부와, 개구부(20a)의 외주연부와의 사이를 통과한 부분은, 부반사면(50c)에 의해 반사되는 일 없이, 바깥쪽으로 방사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34)의 광 중, 부반사면(50c)의 상단부와, 반사 미러(5)의 상단부와의 사이를 통과한 광은, 직접 바깥쪽으로 방사된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34)가 광을 방사한 총 방사각도를 β로 하고, 초점(O)과 부반사면(50c)의 상단부와 부반사면(50c)의 하단부와의 이루는 각도중, 초점(O)에 있어서 각도를 α1로 한다. 또한, 반사 미러(5)가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의 광을 반사한 영역의 초점(O)의 각도를 α2로 한다. 또한, ν1을, 부반사면(50c)의 하단부와 개구부(20a)의 외주연부와의 사이를 통과한 발광 다이오드(34)의 광의 초점(O)에 있어서의 각도로 하고, 또한, 부반사면(50c)의 상단부와 반사 미러(5)의 상단부와의 사이를 통과한 발광 다이오드(34)의 광의 초점(0)에 있어서의 각도 ν2로 한다.
여기서, ν1은, 부반사면(50c)의 하단부와 개구부(20a)의 외주연부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발광 다이오드(34)의 광의 초점(O)에 둘 수 있는 각도이고, 작은각도이다. 또한, ν2는, 부반사면(50c)의 상단부와 반사 미러(5)의 상단부와의 사이를 통과한 발광 다이오드(34)의 광의 초점(O)에 있어서의 각도이고, 작은 각도로 된 다. 그 한편으로, 발광기(1)로부터 방사된 총 방사각(β)중, 바깥쪽을 향하여 직접 방사된 것은, ν1+ν2로 되기 때문에, 직접 바깥쪽으로 방사된 광은, 작게 억제되어 있다.
즉, 보조 반사 미러(50)에 의해, 본래 직접 바깥쪽에 출사되어 있던 발광 다이오드(34)의 광을 이용할 수 있고, 반사 효율이 향상되어 있다.
도 15는, 회전등(200)의 측단면도이고, 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기(1)로부터의 광 중, 반사 미러(5)중 하단부측을 향하여 조사된 광은, 우선, 반사 미러(5)에 의해 수평 방향을 향하여 반사된다. 그리고, 반사 미러(5)의 하단부에서 반사된 발광기(1)로부터의 광은, 부반사면(50c)에 의해 반사 미러(5)를 향하여 반사된다. 이 부반사면(50c)으로부터의 반사광은, 반사 미러(5)에 의해서도 반사된다. 그리고, 이 반사 미러(5)에 의해 다시 반사된 광은, 수평 방향으로부터 아랫측을 향하여 출사된다.
이와 같이, 발광기(1)로부터의 광 중, 부반사면(50c)과 반사면(5a) 사이에서 왕복한 광은, 측방으로부터 보면, 수평 방향으로부터 아랫측을 향하여 출사된다. 즉, 부반사면(50c)의 높이(H)가 높아지는 민큼, 수평 방향으로부터 아랫측을 향하여 출사된 광의 양이 많아진다. 그 한편으로, 반사 미러(5)에 의해 평행광으로 되고, 바깥쪽을 향하여 출사된 평행광의 양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이 부반사면(50c)의 높이(H)는, 회전등(200)의 용도, 설치장소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한다.
즉, 회전등(200)으로부터의 광을 먼측까지 도착할 필요성이 큰 경우에는, 부 반사면(50c)의 높이(H)를 낮게 설정한다. 또한, 예를 들면, 회전등(200)을 사람의 시점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 아랫측에서 시인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큰 경우에는, 부반사면(50c)의 높이(H)를 높게 설정한다.
도 16은, 도 15의 XⅥ-XⅥ선에서의 단면도이고, 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기(1)로부터 출사된 광은, 반사광으로서, 반사 미러(5)를 향하여 진행한다. 그리고, 발광기(1)로부터의 광은, 반사 미러(5)에 의해, 축(P)에 평행한 평행광으로서 반사된다. 이 평행광은, 부반사면(50c)에 의해 반사되고, 그 후 일단 수속하고, 그리고, 확산한다. 이 부 반사면(50c)로부터의 반사광은, 반사 미러(5)에 의해 반사된다. 이 반사 미러(5)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은, 반사 미러(5)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수속하도록 진행한다.
본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회전등(200)에 의하면, 발광기(1)로부터의 광을, 반사 미러(5)가 반사하고, 그리고, 이 반사광을 보조 반사 미러(50)가 반사하고, 또한, 이 보조 반사 미러(50)로부터의 반사광을 반사 미러(5)가 반사함에 의해, 발광기(1)로부터의 광을 아랫측을 향하여 출사할 수 있고, 아랫측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반사 미러(50)는, 발광기(1)로부터 반사 미러(5)를 향하지 않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반사 미러(5)를 향하여 반사할 수 있고, 반사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도, 발광기(1)로부터 직접 반사 미러(5)에 의해 반사된 광은, 평행광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회전등(200)으로부터의 광을 먼측까지 도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회전등(200)도,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회전등과 같은 구성을 갖기 때문에,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회전등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17부터 도 20을 이용하여, 본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회전등(300)에 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회전등의 사시도이다. 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등(300)은, 본체(16)와, 이 본체(16) 내에 배치된 광원으로서의 파워 LED(60)와, 파워 LED(60)가 배치된 프린트 기판(2)과, 프린트 기판(2)을 통하여 파워 LED(60)가 장착된 방열부(62)와, 반사 미러(61)와, 전원 공급부(67)를 구비하고 있다.
글로브(12)는,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상벽(12b)과, 이 상벽(12b)의 주연부에 형성된 주벽부(12c)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보스(63)에 의해 상벽(12b)에는, 방열부(62)가 직접 고정되어 있다. 방열부(62)는, 원형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벽(12b)으로부터 약간 이간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방열부(62)의 표면중, 본체(16)의 안쪽측의 표면에는, 프린트 기판(2)이 분류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2)의 대략 중앙부에는, 파워 LED(60)가 고정되어 있다.
전원 공급부(67)와, 프린트 기판(2) 사이에는, 리드선(66)이 마련되어 있다. 이 리드선(66)은, 전원 공급부(67)로부터 파워 LED(6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다. 이 리드선(66)은, 한쪽의 단부가 프린트 기판(2)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 고, 리드선(66)은, 프린트 기판(2)으로부터 글로브(12)의 주벽부(12c)를 향하여 연재되어 있고, 그 도중에 리드선 지지부(65)에 의해, 상벽(12b)측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리드선(66)은, 주벽부(12c)의 상단부로부터 주벽부(12c)의 하단부를 향하여, 주벽부(12c)의 내벽면을 따라 대략 늘어져 있다. 그리고, 리드선(66)은, 하단부에서 전원 공급부(6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리드선(66)은, 절연 재료가 피복된 배선이고, 리드선(66)의 지름은,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광원으로서의 파워 LED(60)가 방열부(62)를 통하여, 상벽(12b)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방열부(62) 및 파워 LED(60)를 보디(13)측에서 지지한 지지부 등을 배치할 필요가 없고, 반사면(61a)으로부터의 반사광의 진행을 저해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도 18은, 도 17의 XⅧ-XⅧ선에서의 단면도이다. 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4)의 윗면상에는, 축부(3)가 배치되어 있고, 이 축부(3)에는, 주치차(主齒車)(8)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주치차(8)에 대(臺)(20)가 고정되어 있다. 이 받침대(20)의 윗면측에 반사 미러(61)가 고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 3에서는, 반사 미러(61)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와, 광원으로서의 파워 LED(60)가 분리되어 있다.
그리고, 광원을 냉각하는 방열부(62)가, 구동 기구 내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구동 기구라고 이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방열부(62)의 배치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즉, 구동 기구를 보디(13)측에 배치함과 함께, 방열부(62)를 상벽(12b)측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방열부(62)가 상벽(12b)의 거의 전면(全面)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즉, 상벽(12b)에는, 방열부(62) 이외의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방열부(62)를 구성하는 판형상 부재의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반사면(61a)으로부터의 반사광 및,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은, 상벽(12b)을 통과하는 것이 아니고, 방열부(62)를 상벽(12b)의 전면에 배치하여도, 파워 LED(60)로부터의 광 및 반사광의 진행을 저해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파워 LED(60)의 아랫측에는, 반사 미러(61)가 배치되어 있다. 반사 미러(61)는,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61a)을 구비하고 있다. 반사 미러(61)의 이 반사면(61a)은, 글로브(12)의 개구부(12a)의 부근부터, 안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벽(12b)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반사면(61a)은, 대략 포물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반사면(61a)은, 포물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고, 파워 LED(60)는, 이 반사면(61a)의 초점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회전등(300)에 의하면, 반사면(61a)은, 상벽(12b)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사 미러(61)는, 파워 LED(60)의 후방부터, 파워 LED(60)의 광축(Q)측의 윗측을 경유하여 파워 LED(60)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광원으로서의 파워 LED(60)와 구동 기구를 별개 독립으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구동 기구가 컴팩트하게 구성되고, 모터(11) 등이 축부(3)의 부근에 배치됨과 함께, 구동 기구의 높이가 낮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받침대(20)보다 윗측에 넓은 공간이 확보됨과 함께, 주벽부(12c)의 부근에도 넓은 공간이 확보된다. 그리고, 반사 미러(61)의 하단부가 받침대(20)의 윗면보다 아랫측에 배치되어 있고, 반사 미러(61)는, 받침대(20)의 윗측에 형성된 넓은 공간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사 미러(61)의 반사면(61a)의 면적이 넓게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파워 LED(60)의 광축(Q)은, 아랫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반사면(61a)과 교차하고 있다. 또한, 파워 LED(60)의 광축(Q)은, 축부(3)의 중심축선상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도 19는, 반사 미러(61) 및 주치차(8)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미러(61)의 폭은, 받침대(20)측으로부터 윗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넓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사 미러(61)의 상단부는, 가장 넓게 형성되어 있다. 즉, 반사 미러(61)의 상단부측은, 도 18에 도시된 파워 LED(60)의 측방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0은,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의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LED(60)는, 반사면(61a)의 초점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파워 LED(60)의 광이 반사면(61a)에서 반사되면, 평행광으로 된다. 여기서,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은, 광축(Q)을 중심으로 원추형상으로 출사된다. 그리고, 반사 미러(61)의 상단부는, 파워 LED(60)로부터의 광 중, 광축(Q)과의 교차 각도가 가장 큰 위치를 통과하는 광의 경로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사 미러(61)의 대략 중앙부는, 파워 LED(60)의 광축(Q)상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되어 있고, 이 반사 미러(61)의 하단부는, 또한, 받침대(20)의 하면측까지 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사면(61a)은,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을 광범위하게 걸쳐서 반사하고 있다. 또한, 반사면(61a)은, 파워 LED(60)의 부근부터 받침대(20)의 하면측까지에 걸 쳐서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면(61a)으로부터의 반사광 경로의 단면적은, 넓게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파워 LED(60)가 장시간 발광하면, 파워 LED(60)에 열이 생긴다. 이 파워 LED(60)에 생긴 열은, 우선, 프린트 기판(2)에 전열된다. 프린트 기판(2)은, 전열성이 좋은 금속재료를 포함하는 재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이 양호하게 바깥쪽으로 방열됨과 함께, 방열부(62)에 전열된다. 여기서, 프린트 기판(2)의 하면의 거의 전면과, 방열부(62)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2)으로부터 방열부(62)에 열이, 양호하게 전해진다. 방열부(62)는, 상벽(12b)의 전면을 덮는 정도의 판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넓고, 또한, 전열성이 좋은 금속재료를 포함하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이 양호하게 바깥쪽으로 방열된다. 또한, 방열부(62)는, 상벽(12b)으로부터 약간 이간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벽(12b)측에서의 표면으로부터도 열이 양호하게 방열된다. 이와 같이, 파워 LED(60)의 열이 양호하게 프린트 기판(2) 및 방열부(62)가 바깥쪽으로 방열되면, 파워 LED(60)에 열이 축적되기 어렵게 되고, 파워 LED(60)가 고온으로 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회전등(300)에 의하면, 반사면(61a)의 면적이 넓게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의 반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면(61a)의 면적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면(61a)으로부터의 반사광의 경로의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방열부(62)와 프린트 기판(2)의 접촉 면적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파워 LED(60)의 열을 양호하게 방열부(62)에 전할 수 있고, 방열 효율이 좋은 방열부(62)에서 열을 바깥쪽으로 방열하기 위해, 파워 LED(60)를 양호하게 냉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광원으로서의 파워 LED(60)의 장수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도 21, 도 22를 이용하여 본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회전등(400)에 관해 설명한다.
도 21은, 본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회전등(400)의 일부를 단면으로 본 측면도이다. 이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4에서도, 방열부(62)와, 반사 미러(61)를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는, 별개로 배치되어 있다. 즉, 방열부(62)는, 글로브(12)의 상벽(12b)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회전등의 방열부(62) 부근의 단면도이다. 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62)는, 상벽(12b)의 내벽면에 고정된 방열판(62a)과, 방열판(62a)의 하면에 배치되고, 방열판(62a)보다 면적이 작은 방열판(62b)과, 이 방열판(62b)의 하면에 배치되고 방열판(62b)보다 면적이 큰 방열판(62c)을 구비하고 있다. 즉, 방열부(62)는, 면적이 다른 판형상 부재를 서로 중첩하여 형성되어 있고,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방열판(63c)은, 프린트 기판(2)과 거의 같은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가장 상벽(12b)측에 배치된 방열판(62a)은, 상벽(12b)으로부터 약간 이간한 상태에서 상벽(12b)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방열부(62)는, 상벽(12b)을 덮는 정도의 방열판(62a, 62c)과, 이 방열판(62a, 62c)보다 면적이 작은 방열판(62b)을 또한 적층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상 기 구성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 3에 기재된 회전등과 같은 구성이고,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등(400)에 의하면, 파워 LED(60)의 열은, 프린트 기판(2)에 전해진다. 그리고, 프린트 기판(2)에 전달된 열은, 프린트 기판(2)의 윗면의 거의 전면에서 방열판(62b)에 전해진다. 그리고, 방열판(62b)에 전달된 열은, 방열판(62c)의 하면의 거의 전면에서 방열판(62c)에 전달된다. 또한, 방열판(62c)에 전달된 열은, 방열판(62c)의 윗면의 거의 전면에서 방열판(62a)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열의 전달은, 방열판(62c)의 표면을 통하여 행하여지기 때문에, 방열판(62c)으로부터 방열판(62a)에의 전열이나, 방열판(62b)으로부터 방열판(62c)에의 전열은,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회전등(400)에 의하면, 방열부(62)의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방열부(62)로부터 바깥쪽으로의 방열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파워 LED(60)를 양호하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파워 LED(60)에 생긴 열은, 방열판(62a 내지 62c)에 양호하게 전달되고, 각 방열판(62a 내지 62c)에서 바깥쪽으로 양호하게 방열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
도 23부터 도 27을 이용하여, 본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회전등(500)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회전등(100)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은, 본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회전등(500)의 정면도이다. 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등(500)의 반사면(5a) 의 거의 전면에, 오목부(5A)와 볼록부(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5A)와 볼록부(5B)는, 반사 미러(5)의 회전축선과, 교차하도록 연재되고, 예를 들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목부(5A)와, 볼록부(5B)는, 반사 미러(5)의 회전축선 방향을 향하여, 교대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사면(5a)의 표면에는, 복수의 요철부(5A, 5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워 LED로부터의 광이, 반사면(5a)에 닿으면, 여러가지의 방향으로 반사된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회전등(500)의 측단면도이다. 이 도 24에서 반사면(5a)에 형성된 오목부(5A)의 표면에 위치하는 반사면(제 1 반사면)(5a1)은, 포물면으로 되어 있고, 볼록부(5B)의 표면에 위치하는 반사면(5b)은, 이 포물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파워 LED(60)를 갖는 발광기(1)는, 포물면이 되는 반사면(5a1)의 초점(O)에 배치되어 있다. 도 25는,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의 경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6은, 반사 미러(5)의 일부를 단면으로 본 회전등(500)의 평면도이고, 모두, 발광기(1)로부터의 광의 반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13)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은, 방사형상으로 퍼지고, 그리고, 오목부(5A)의 반사면(5a1)에 닿으면, 수평 방향으로 평행광으로서 반사된다.
그 한편으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이 볼록부(5B)의 반사면(5b)에 닿으면, 반사면(5a1)의 반사광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된다. 이 때문에,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이, 반사 미러(5)에 의해 반사되면, 평행광 및 이 평행광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도 반사되기 때문에, 회전등(500)의 정면 및 정면에서 다소 어긋난 위치에서도, 회전등(500)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7은, 반사 미러(5)의 확대 단면도이고,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5a)은, 포물면 형상의 반사면(5a1)과, 이 반사면(5a1)의 양측에 배치된 반사면(5a2)과, 반사면(5a3)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반사면(5a1), 반사면(5a2), 반사면(5a3)은, 모두, 도 25에 도시하는 기체(13)측으로부터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에 걸쳐서, 각각 순차적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반사면(5a2) 및 반사면(5a3)은, 볼록부(5B)의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고, 반사면(5a2)은, 반사면(5a1)에 대해, 반사면(5a3)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반사면(5a2)은, 도 25에 도시하는 기체(13)측으로부터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인접하는 반사면(5a1)보다도, 파워 LED(60)측을 향하여 경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사면(5a2)은,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을 반사면(5a1)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보다도, 도 25에 도시하는 기체(13)를 향하여 반사한다. 즉, 기체(13)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반사면(5a2)으로부터의 반사광은, 수평 방향보다 아랫측을 향하여 반사된다. 이 때문에, 회전등(500)이, 관찰자의 시선보다도 윗측의 위치에 배치되었다고 하여도, 아랫측에서의 회전등(500)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기체(13)측으로부터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반사 면(5a2)의 기체(13)측으로부터 반사 미러(5)측을 향하는 방향의 폭은,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반사면(5a3)의 폭은,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25에 도시하는 기체(13)측에 위치하는 반사면(5a2)의 면적은,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에 위치하는 반사면(5a2)의 면적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에 위치하는 반사면(5a3)의 면적은, 기체(13)측에 위치하는 반사면(5a3)의 면적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에 수반하여, 아랫측을 향하는 반사광이, 도 25에 도시하는 회전부재(8) 및 기체(13)에 의해 차폐되는 것이 억제되고, 양호하게 아랫측을 향하여 반사광을 방사할 수 있다. 또한, 평행광보다도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을 향하는 반사광은, 반사 미러(5)의 기체(13)측에 넓게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등(500)의 윗측에서의 시인성도 확보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반사면(5a1)의 기체(13)측으로부터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을 향하는 방향의 폭은, 반사면(5a)의 위치에 관계없이,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사면(5a)의 상단부측으로부터 기체(13)측까지의 거의 전면에서 개략 균등하게, 평행광이 방사된다. 이 평행광은, 먼측까지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등(500)의 정면에서의 시인성을 먼측에서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6)
도 28부터 도 32를 이용하여, 본 실시의 형태 6에 관한 회전등(600)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회전등(100)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8은, 본 실시의 형태 6에 관한 회 전등(600)의 정면도이다. 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등(600)은, 글로브(12) 내에 배치된, 투명한 광도부(7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광도부(70)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 수지 소재나, 비(非)플라스틱 투명 소재인 유리 등의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도부(70)가 투명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면(5a)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이, 광도부(70)에 의해, 차폐된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반사면(5a)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한 회전등(600)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9는, 회전등(600)의 측단면도이고, 도 30은, 회전등(600)의 반사 미러(5)의 일부를 단면으로 본 평면도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도부(70)는, 받침대(20)의 윗면상에 고정되고, 파워 LED(60)를 향하여 연재되는 고정부(74)와, 이 고정부(74)에 마련되고, 파워 LED(60)의 윗면상에 배치된 목부(72)와, 이 목부(72)의 하단부에 형성된 집광부(73)와, 목부(72)의 선단부에 마련된 산란부(71)를 구비하고 있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란부(71)는, 반원형상으로 연재되어 있고, 목부(72)의 선단부로부터, 반사면(5a)과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이 산란부(71)의 표면중, 반사면(5a)측에 형성된 반사면(71a)은, 반원추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31은, 광도부(70)의 확대 단면도이고, 이 도 31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부(73)의 표면중, 파워 LED(60)와 대향하는 표면은, 예를 들면, 볼록 렌 즈(73a)로 되어 있고, 이 집광부(73)는, 파워 LED(60)의 광축(Q)에 대해, 반사면(5a)과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집광부(73)는, 파워 LED(60)로부터 방사되는 광 중, 반사면(5a)에 닿지 않는 광을 집광할 수 있고, 파워 LED(60)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볼록 렌즈(73a)는,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을, 목부(72) 및 산란부(71)를 향하여 굴곡시킨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집광부(73)의 표면중, 파워 LED(60)와 대향하는 표면을 볼록 렌즈로 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을, 목부(72) 또는 산란부(71)를 향하여 굴곡시키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라면, 평면형상이라도 좋고, 오목 렌즈라도 좋다.
목부(72)에 공급된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은, 목부(72) 내를 반사 등을 하면서, 산란부(71)측으로 유도된다. 반사면(71a)의 경사 각도는, 목부(72)로부터의 광을 전반사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고, 광도부(70)를 구성하는 부재에 의해, 적절히 설정되어 있다.
산란부(71)의 표면중, 반사면(71a)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표면에는, 복수의 볼록 렌즈(7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 렌즈(71b)는, 반사면(71a)에 의해 반사된 광을, 산란시켜서, 도 29에 도시되는 반사면(5a)에 의해 반사된 평행광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방사한다. 이와 같이, 산란부(71)에서,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을 산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회전등(600)의 정면에서의 시인성뿐만 아니라, 아랫측 및 윗측에서의 시인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광도부(70)는, 파워 LED(60)로부터 세워지도록 마련되어 있고, 산란부(71)는, 받침대(20)보다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등(600)의 정면뿐만 아니라, 아랫측에서도, 산란부(71)를 시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아랫측에서 회전등(600)을 본 경우에도, 양호하게 산란부(71)로부터의 광을 시인할 수 있고, 아랫측에서의 시인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여기서, 관찰자는, 광도부(70)를 통하여, 파워 LED(60)를 보게 되지만, 관찰자에게는, 마치, 산란부(71) 자체가 광을 발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광을 산란시키는 렌즈(71b)는, 기체(13)측으로부터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을 향하여 복수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산란부(71)에 정확하게 보이는 광원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렌즈(71b)는, 기체(13)측으로부터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도 29에 도시되는 반사 미러(5)와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사면(71a)이, 기체(13)측으로부터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반사 미러(5)와 반대측을 향하여, 경사하기 때문에, 산란부(71)의 수평 방향의 두께는, 기체(13)측으로부터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에 걸쳐서, 큰 차가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산란부(71)의 두께에 차가 생기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도부(70)를 압출성형 등의 수법에 의해 제조할 때에, 위치에 따라 냉각된 속도에 큰 차가 생기기 어려워져서, 양호하게 광도부(70)를 제조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도부(70)의 목부(72)는, 광축(Q)에 대해, 반 사면(5a)과 반대측을 향하여 경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목부(72)가 경사시켜짐에 의해, 반사면(5a)에 형성되는 광도부(70)의 그림자를 반사면(5a)의 상단부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파워 LED(60)와, 광도부(70)의 직선상에 위치하는 반사면(5a)에는,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은, 광도부(70)에 의해 차폐되어,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이 희박하게 되어 있고, 이 부분의 반사광은 약한 것으로 된다. 그래서, 이와 같이, 반사광이 약한 부분을 반사 미러의 상단부측에 위치시킴에 의해, 이 반사광이 약한 부분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파워 LED(60)와 반사 미러(5)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평면과, 반사면(5a)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보다도, 광도부(70)를 반사 미러(5)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시킴에 의해, 반사면(5a)에 광도부(70)의 그림자가 비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반사면(5a)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약한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도부(70)를 도 29에 도시하는 축부(3)의 중심선상에 배치하고, 연재시킴에 의해, 회전등(600)이 구동한 때에, 광도부(70)는 일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목부(72)도, 원추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평 방향의 폭이, 기체(13)측으로부터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에 걸쳐서, 개략 일정하게 된 반원통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이, 목부(72)의 수평 방향의 두께가, 기체(13)측으로부터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에 걸쳐서 균등하게 되도록, 형성함에 의해, 광도부(70)를 제조할때에, 위치에 따라 냉각 속도가 크게 다른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양호하게 광도부(70)를 제조할 수 있다.
도 32는, 반사 미러(5)의 일부를 단면으로 본 회전등(600)의 평면도이고,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면으로 본 때에는, 광도부(70)를 통하여, 산란되는 파워 LED(60)로부터의 광은, 파워 LED(60)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상으로 방사되고, 방사각도는, 180°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산란부(71)로부터의 광은, 상하 방향으로도 산란하기 때문에, 회전등(600)으로부터의 광은, 평면으로 본 때에, 약 180°정도의 범위이고, 상하 방향으로도 방사되기 때문에, 여러가지의 위치에서 산란부(71)로부터의 광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평면으로 본 때에, 산란부(71) 및 목부(72)가 파워 LED(60)의 주위를 덮는 영역은, 파워 LED(60)를 중심으로 하여, 180°정도가 되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영역으로 한정되지 않고, 180° 이상 또는 180° 이하로 되어도 좋다. 또한, 윗면으로 본 때에 반사면(5a)은, 파워 LED(60)의 주위 중 광도부(70)와는 반대측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파워 LED(60)의 주위를 약 180° 덮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각도로 한정되지 않고, 파워 LED(60)의 주위를 여러가지 각도의 범위로 덮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즉, 광도부(70)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산란부(71) 및 목부(72)가 파워 LED(60)의 주위를 덮는 각도를 크게 하는 한편, 반사 미러(5)가 파워 LED(60)의 주위를 덮는 각도를 작게 하여도 좋고, 이들, 광도부(70) 및 반사 미러(5)가 파워 LED(60)의 주위를 덮는 각도는, 광도부(70)에 의한 시인성 및 반사 미러(5)에 의한 시인성과의 밸런스에 의해 적절히 변경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을 행하였지만, 이번에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회전등에 적합하며,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회전등에 의하면, 광을 먼측까지 도달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기체(13)와,
    상기 기체(13)에 장착되고, 투광성을 갖는 글로브(12)와,
    상기 기체(13) 내에 설치된 축부(3)와,
    상기 축부(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부재(19)와,
    상기 회전부재(19)의 윗면상에 배치되고 포물면 형상의 반사면을 적어도 일부가 구성되는 반사 미러(5)와,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발광 다이오드(34)와,
    상기 회전부재(19)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21)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34)의 광축(Q)과, 상기 반사 미러(5)의 상기 반사면(5a)이 교차하도록 상기 발광 다이오드(34)와 상기 반사 미러(5)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34)는, 평행광을 상기 반사면에 조사한 때의 초점 위치(0)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 미러(5)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34)의 후방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재되고, 또한 발광 다이오드(34)의 윗측을 경유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34)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19)의 윗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 미러(5)에 대해 대향 배치된 보조 반사 미러(50)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보조 반사 미러(50)와 상기 반사 미러(5) 사이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34)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반사 미러(50)중 상기 반사 미러(5)와 대향하는 면은, 원호형상으로 만곡하는 만곡면으로 되고,
    해당 만곡면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됨과 함께, 상기 만곡면의 둘레 방향의 길이가 점차 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등.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34)를 갖는 발광기(1)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고리형상 부재(33)와,
    상기 고리형상 부재(33)의 둘레 방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한쪽의 단부가 상기 고리형상 부재(33)의 안쪽에 배치된 판형상 부재(33)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판형상 부재(33)는, 상기 고리형상 부재(33)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연재되는 연재부(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등.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1)가 마련된 프린트 기판(2)과,
    상기 프린트 기판(2)과 상기 축부(3)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7)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축부(3)와, 상기 프린트 기판(2)과, 상기 연결 부재(7)를 금속을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등.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19)와 상기 축부(3)를 지지하는 평판형상의 지지판(4)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4)을 금속을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등.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34)를 상기 글로브(12)의 상벽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등.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34)에서 발하는 열을 외부로 발산 가능한 방열부(62)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방열부(62)를 통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34)를 상기 글로브(12)의 상벽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등.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표면상에 발광 다이오드(34)가 실장되는 프린트 기판(2)과,
    표면상에 상기 프린트 기판(2)이 부착되는 방열판(62a)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을 상기 글로브(12)의 상벽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등.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3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리드선(66)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글로브(12)의 내표면에 따르도록 상기 리드선(66)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등.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미러(5)는, 상기 포물면 형상의 제 1 반사면(5a1)과, 해당 제 1 반사면(5a1)의 양측에 배치된 제 2와 제 3 반사면(5a2, 5a3)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반사면(5a2)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의 광을 상기 제 1 반사면(5a1)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보다도, 상기 기체(13)측을 향하여 반사하고,
    상기 제 3 반사면(5a3)은, 상기 반사광보다도, 상기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을 향하여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등.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사면(5a2) 및 상기 제 3 반사면(5a3)은, 상기 기체(13)측으로부터 상기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에 걸쳐서 복수 형성되고,
    상기 기체(13)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반사면(5a2)의 면적은, 상기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반사면(5a2)의 면적보다 작고,
    상기 반사 미러(5)의 상단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3 반사면(5a3)의 면적은, 상기 기체(13)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3 반사면(5a3)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등.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의 광을 유도하는 광도부(70)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등.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부(70)는, 상기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등.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34)로부터의 광을 집광하여, 상기 광도부(70)에 공급하는 집광부(73)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등.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부(70)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34)상에 세워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광을 산란시키는 산란부를 선단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등.
KR1020077024195A 2005-04-15 2006-02-21 회전등 KR200701222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18703 2005-04-15
JPJP-P-2005-00118703 2005-04-15
JP2005330278A JP4553829B2 (ja) 2004-12-22 2005-11-15 回転灯
JPJP-P-2005-00330278 2005-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2220A true KR20070122220A (ko) 2007-12-28

Family

ID=37114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195A KR20070122220A (ko) 2005-04-15 2006-02-21 회전등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19538B2 (ko)
KR (1) KR20070122220A (ko)
CN (1) CN101696772A (ko)
WO (1) WO200611213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6720A1 (ko) * 2013-06-05 2014-12-11 한국광기술원 Led등명기
KR20170018700A (ko) * 2015-08-10 2017-0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2307086B1 (ko) * 2021-07-15 2021-09-30 주식회사 쓰리지 몰드방폭 조명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8513B2 (en) * 2005-03-03 2010-02-09 Dialight Corporation LED illumination device with a highly uniform illumination pattern
US20080266531A1 (en) * 2007-04-24 2008-10-30 Himax Display, Inc.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reflective mirror module
JP4835605B2 (ja) * 2008-02-19 2011-12-14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ES2446591T3 (es) * 2008-04-18 2014-03-10 Bae Systems Plc Mejoras en LIDARS
CN101639609B (zh) * 2008-08-01 2012-03-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SE532761C2 (sv) * 2008-12-04 2010-04-06 Skaeret Ab Lågenergilampa
US7963683B2 (en) * 2008-12-22 2011-06-21 Federal Signal Corporation Rotating light
JP2010192284A (ja) * 2009-02-19 2010-09-02 Seiko Epson Corp 光源装置、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光源装置の製造方法
US8398271B2 (en) * 2010-01-05 2013-03-19 Pak Ming Daniel Chan Heat dissipating light reflecting device
US8636379B2 (en) * 2010-02-19 2014-01-28 Federal Signal Corporation Warning light assembly; components; and, methods
FR2991642B1 (fr) * 2012-06-07 2014-11-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Indicateur lateral de direc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US8911102B2 (en) 2012-06-29 2014-12-1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ow-profile lighting system
US20150078002A1 (en) * 2013-09-18 2015-03-19 Tseng-Lu Chien Led light has more than one optics means to project light
JP6588432B2 (ja) * 2013-11-20 2019-10-09 シグニファイ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多光源照明ユニットの照明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FR3029601B1 (fr) * 2014-12-03 2019-07-26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mobile au demarrage/arret d’un vehicule automobile
US9671082B2 (en) * 2014-12-04 2017-06-06 Chih-Chiang Huang Warning lamp assembly
ITMI20150539A1 (it) * 2015-04-15 2016-10-15 Clay Paky Spa Proiettore scenografico
CN110832246A (zh) * 2017-05-12 2020-02-21 帕齐戴蒙德工程有限公司 用于灯具的光源
CN108730879B (zh) * 2018-06-08 2021-01-08 宁波亿鑫诚电器有限公司 调光大功率led太阳能路灯及调光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89159U (de) 1959-02-09 1959-05-21 Gerhard Seiffert Warnblinkleuchte.
US3266014A (en) * 1964-01-21 1966-08-09 Mallory & Co Inc P R Rotating beacon lantern
JPS4322006Y1 (ko) 1965-12-11 1968-09-17
US3764799A (en) * 1972-05-30 1973-10-09 Rau Swf Autozubehoer Flashing warning light
US4054791A (en) * 1975-02-06 1977-10-18 Shane Harold P Du Portable lantern with high speed rotatory beam
US4229781A (en) * 1979-01-05 1980-10-21 Sasaki Electric Manufac. Co. Ltd. Beam-rotary lamp
AU4980085A (en) 1984-11-12 1986-05-22 Quentron Electronics Pty. Ltd. Navigation lantern
JPH0624086Y2 (ja) * 1988-08-18 1994-06-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光源装置
JPH0380910A (ja) 1989-08-24 1991-04-05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フイルタ装置
JPH0722005Y2 (ja) * 1989-09-06 1995-05-17 株式会社佐々木電機製作所 Led式回転灯
DE4032872C1 (ko) 1990-10-17 1992-01-02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e
JPH0498209U (ko) * 1991-01-23 1992-08-25
JP3509122B2 (ja) 1993-04-30 2004-03-22 株式会社パトライト 積層式回転灯
JP3622224B2 (ja) 1994-02-16 2005-02-23 株式会社パトライト 信号表示灯の光源構造
US5517388A (en) * 1995-01-26 1996-05-14 Dominion Automotive Group, Inc. Rotating light beacon including low-profile stepper motor
JPH11111014A (ja) 1997-10-07 1999-04-23 Koito Mfg Co Ltd ランプ
US6183100B1 (en) * 1997-10-17 2001-02-06 Truck-Lite Co., Inc. Light emitting diode 360° warning lamp
EP1077344A3 (de) 1999-08-16 2004-01-28 FER Fahrzeugelektrik GmbH Leuchte
JP2001332768A (ja) * 2000-05-22 2001-11-30 Mitsubishi Cable Ind Ltd 発光ダイオード照明具
JP2002162626A (ja) 2000-11-22 2002-06-07 Sony Corp 液晶表示用光源の放熱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63903A (ja) 2000-11-27 2002-06-07 Hironichi Kogyo Kk 回転灯
JP2002237204A (ja) 2001-02-13 2002-08-23 Patoraito:Kk 回転標示灯
JP2005038605A (ja) * 2002-02-12 2005-02-10 Daisei Denki Kk 照明器具
JP2004055168A (ja) * 2002-07-16 2004-02-19 Ichikoh Ind Ltd Ledランプモジュール
US6945672B2 (en) * 2002-08-30 2005-09-20 Gelcore Llc LED planar light source and low-profile headlight constructed therewith
JP2004354493A (ja) 2003-05-27 2004-12-16 Nec Viewtechnology Ltd 投射型表示装置の光源装置
DE20311169U1 (de) 2003-07-21 2003-10-09 Hella KG Hueck & Co., 59557 Lippstadt Signalleucht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6720A1 (ko) * 2013-06-05 2014-12-11 한국광기술원 Led등명기
KR101470388B1 (ko) * 2013-06-05 2014-12-30 한국광기술원 Led 등명기
KR20170018700A (ko) * 2015-08-10 2017-0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2307086B1 (ko) * 2021-07-15 2021-09-30 주식회사 쓰리지 몰드방폭 조명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67152A1 (en) 2009-03-12
CN101696772A (zh) 2010-04-21
WO2006112131A1 (ja) 2006-10-26
US7819538B2 (en) 201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22220A (ko) 회전등
JP4553829B2 (ja) 回転灯
JP5010010B2 (ja) 発光装置
US10414329B2 (en) LED fog lamp
US10443819B2 (en) Lighting device, ligh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light distributor
US9291322B2 (en) Locomotive LED/optics headlight assembly
EP3097348B1 (en) Lighting device and luminaire
EP2290421B1 (en) Light emitting device
JP5216113B2 (ja) 発光装置
US200401555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fficient collection and distribution of light for illumination
US20060176702A1 (en) Warning lamp
EP2698578A1 (en) Anti-glare led spotlight
CN101936466A (zh) 发光二极管灯具
JP6416547B2 (ja) 照明器具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シャープナー
JP6106872B2 (ja) バルク型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発光体並びに照明装置
JP2008159380A (ja) 回転灯
US20110080728A1 (en) Light emitting device
JP6180709B2 (ja) 灯具ユニット
WO2016009798A1 (ja) 光束制御部材、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4614351B2 (ja) 車輌用灯具
JP5489338B2 (ja) 照明器具
KR102689541B1 (ko) 등명기용 렌즈유닛과 이를 이용한 램프조립체
CN213177921U (zh) 一种新型铝塑led泛光灯
KR100889803B1 (ko) 광 경로 방향성을 가진 렌즈 및 그를 사용한 경광등
JP5146738B2 (ja) 回転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