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700A - 자동차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700A
KR20170018700A KR1020150112653A KR20150112653A KR20170018700A KR 20170018700 A KR20170018700 A KR 20170018700A KR 1020150112653 A KR1020150112653 A KR 1020150112653A KR 20150112653 A KR20150112653 A KR 20150112653A KR 20170018700 A KR20170018700 A KR 20170018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xis
axis adjusting
plate
rotation guide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4208B1 (ko
Inventor
원용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2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2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18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1757
    • F21S48/12
    • F21S48/1305
    • F21S48/32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W2101/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광축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광원이 생성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상하좌우로 회전시켜서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광축을 조절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방에 설치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에는 야간 또는 터널 통과시와 같이 시계가 확보되지 않을 시에, 전방을 환하게 비추어 자기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헤드램프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은 자기차량의 운전자에게는 시계를 확보함과 아울러, 선행차 및 대향차의 운전자에게는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은 법규화되어 있으며, 광축의 상하 위치 및 좌우 위치가 자기차량의 운전자에게는 시계를 확보함과 아울러 선행차 및 대향차의 운전자에게는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는 특정한 곳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상기 헤드램프 모듈 전체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서 광축을 보정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상기 헤드램프 모듈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품수가 증가되고, 이로 인해 광축 보정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광축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빛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가지는 조명모듈과, 상기 조명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리플렉터를 상하좌우로 회전시켜서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광축을 조절하는 광축조절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빛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광원에서 생성한 열을 방열하는 히트싱크와, 상기 히트싱크에 결합되고 상기 리플렉터를 상하좌우로 회전시켜서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광축을 조절하는 광축조절유닛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광원이 생성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상하좌우로 회전시켜서, 간단한 구조로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광축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광축조절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광축조절 볼트 및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리플렉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의 상하 광축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의 좌우 광축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조명모듈(100)과 조명모듈(100)에 결합되어 조명모듈(100)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광축을 조절하는 광축조절유닛(200)을 포함한다.
조명모듈(100)은 빛을 생성하는 광원(미도시)과, 상기 광원이 생성하는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10)와, 상기 광원이 생성한 열을 방열하는 히트싱크(20)와, 리플렉터(10)가 반사하는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렌즈(30)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로 형성되어, 상기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가 인쇄된 기판(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히트싱크(20)에 접촉된 채로 히트싱크(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광원은 히트싱크(20)의 내부에 배치되어, 리플렉터(10) 및 렌즈(30)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전후로는 리플렉터(10) 및 렌즈(30) 사이에 배치된다.
렌즈(30)는 히트싱크(20)의 전단에 결합되고, 리플렉터(10)가 반사하는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부분이 히트싱크(20)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된다.
리플렉터(10)는 렌즈(30)의 후방에서 히트싱크(20)의 상측에 배치된다. 리플렉터(10)는 렌즈(30)를 향하는 면에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렌즈(30)로 반사하는 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반사부는 렌즈(30)를 향하는 리플렉터(10)의 면에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알루미늄 재질이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히트싱크(20)는 열전달이 우수한 재질인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외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핀(22)이 형성될 수 있다.
광축조절유닛(200)은 히트싱크(20)의 상측에 결합되어, 리플렉터(10)를 상하좌우로 회전시켜서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광축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가 리플렉터(10)를 내부에 수용하고, 전방에 렌즈(30)가 결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경우, 광축조절유닛(200)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리플렉터(10)를 상하좌우로 회전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리플렉터(10)를 상하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광축조절유닛(200)의 결합위치는 조명모듈(100) 중 히트싱크(20)일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일 수도 있다. 이하, 광축조절유닛(200)은 조명모듈(100)의 히트싱크(20)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광축조절유닛(200)은, 조명모듈(100)의 히트싱크(20)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40)와, 고정 플레이트(40)에 상하좌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리플렉터(10)가 고정되는 광축조절 플레이트(50)와, 광축조절 플레이트(50)를 관통하여 고정 플레이트(40)에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광축조절 볼트(60)와, 고정 플레이트(40) 및 광축조절 플레이트(50) 사이에 배치되어 광축조절 플레이트(50)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70)를 포함한다. 탄성부재(70)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광축조절 볼트(60)가 관통하고, 하단이 고정 플레이트(40)에 지지된 채로 상단이 광축조절 플레이트(50)의 하측에 접촉되어 광축조절 플레이트(50)를 항시 상측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플레이트(40)는 평평한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 플레이트(40)의 하측에는 안착돌기(41)가 돌출 형성되고, 히트싱크(20)의 상측에는 안착돌기(41)가 삽입되는 안착홀(21)이 형성된다. 고정 플레이트(40)가 히트싱크(20)의 상측에 안착되면, 안착돌기(41)가 안착홀(21)에 삽입된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40)에는 제1 체결홀(43)이 형성된다. 제1 체결홀(43)은 두 개가 형성되고, 이 두 개의 제1 체결홀(43) 중 하나는 안착돌기(41)의 좌측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안착돌기(41)의 우측에 형성된다. 조명모듈(100)의 히트싱크(20)에는 제1 체결홀(4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체결홀(23)이 형성된다. 제2 체결홀(23)도 두 개가 형성되고, 이 두 개의 제2 체결홀(23) 중 하나는 안착홀(21)의 좌측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안착홀(21)의 우측에 형성된다. 두 개의 체결부재(1)가 제1 체결홀(43) 및 제2 체결홀(23)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40)는 조명모듈(100)의 히트싱크(20)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40)에는 광축조절 볼트(60)가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볼트 체결홀(45)이 형성된다. 볼트 체결홀(45)은 안착돌기(41)의 상측에 형성되어 안착돌기(41)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40)의 상측에는 광축조절 플레이트(50)가 상하좌우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는 원형의 제1 회전 가이드돌기(47)가 형성된다. 제1 회전 가이드돌기(47)는 볼트 체결홀(45)로부터 전방에 형성된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40)의 상측면에는 회전 가이드홈(49)이 형성된다. 회전 가이드홈(49)은 두 개가 형성되고, 이 두 개의 회전 가이드홈(49)은 중 하나는 제1 회전 가이드돌기(47)의 좌측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제1 회전 가이드돌기(47)의 우측에 형성된다. 광축조절 플레이트(50)의 하측면에는 두 개의 회전 가이드홈(49)에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제2 회전 가이드돌기(59)가 형성된다. 광축조절 플레이트(5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에 제2 회전 가이드돌기(59)는 회전 가이드홈(49)을 따라 이동되면서 안내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광축조절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광축조절 플레이트(50)는 평평한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 플레이트(40) 위에 안착된다. 광축조절 플레이트(50)에는 고정 플레이트(40)에 형성된 제1 회전 가이드돌기(47)가 삽입되는 제1 회전 가이드홀(57)이 형성된다. 광축조절 플레이트(50)가 고정 플레이트(40) 위에 안착된 상태이면, 제1 회전 가이드돌기(47)는 제1 회전 가이드홀(57)로 삽입된다. 제1 회전 가이드홀(57)은 제1 회전 가이드돌기(47)와 대응되는 형상인 원형으로 형성되며, 광축조절 플레이트(50)가 상하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1 회전 가이드홀(57)의 직경은 제1 회전 가이드돌기(47)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광축조절 플레이트(50)에는 광축조절 볼트(60)가 관통하는 제2 회전 가이드홀(55)이 형성된다. 제2 회전 가이드홀(55)은 제1 회전 가이드홀(57)의 후방에서 볼트 체결홀(45)과 대응되는 상측에 형성된다. 제2 회전 가이드홀(55)은 고정 플레이트(40)에 형성된 볼트 체결홀(45)보다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광축조절 볼트(60)가 제2 회전 가이드홀(55) 및 볼트 체결홀(45)에 삽입된 상태에서, 광축조절 플레이트(5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좌우방향 광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광축조절 볼트(60)가 제2 회전 가이드홀(55) 및 볼트 체결홀(45)에 삽입된 상태에서 광축조절 플레이트(5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2 회전 가이드홀(55) 및 회전 가이드홈(49)은, 광축조절 플레이트(50)의 좌우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휘어져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광축조절 플레이트(50)는 제1 회전 가이드홀(57)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부(52)와, 제2 회전 가이드홀(55)이 형성된 제2 플레이트부(54)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부(52)는 평평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플레이트부(54)는 제1 플레이트부(52)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평평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플레이트부(52)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광축조절 볼트 및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광축조절 볼트(60)는 머리부(62)와, 머리부(6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나사부(64)를 포함한다. 광축조절 볼트(60)는 나사부(64)가 제2 회전 가이드홀(55)을 관통하여 볼트 체결홀(45)로 삽입되어, 머리부(62)는 광축조절 플레이트(50)의 상측에 배치되고, 나사부(64)는 볼트 체결홀(45)에 체결된다. 광축조절 볼트(60)의 머리부(62)를 회전시키면 광축조절 볼트(60)의 상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고정 플레이트(40)에는 볼트 체결홀(45)을 형성하는 부분에 나사부(64)의 나선과 맞물리는 나선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70)는 하단이 볼트 체결홀(45)에 삽입 배치되어 고정 플레이트(40)에 의해 지지되고, 상단은 광축조절 플레이트(50)의 하측면 중 제2 회전 가이드홀(55) 부근에 접촉되어, 광축조절 볼트(60)가 회전되는 경우 광축조절 플레이트(50)의 후방부가 탄성부재(70)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광축조절 볼트(60)의 머리부(62)는 광축조절 플레이트(50)의 상측에 접촉된 채로 배치되어, 광축조절 볼트(60)가 체결되면서 볼트 체결홀(45)로 삽입될수록 광축조절 플레이트(50)의 후방부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탄성부재(70)는 광축조절 볼트(60)의 나사부(64)가 관통하여서 나사부(64)의 외측 둘레면에 배치된다.
탄성부재(70)는 광축조절 플레이트(50)에 상단이 접촉된 채로 배치되어, 광축조절 플레이트(5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70)는 광축조절 플레이트(50)가 자동차의 진동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광축조절 플레이트(50)를 충분한 탄성력으로 가압할 수 있는 탄성계수를 가지는 것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리플렉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리플렉터(10)는 평평하게 형성되어 광축조절 플레이트(50)의 상측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수평부(12)와, 수평부(12)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14)를 포함한다. 경사부(14)는 전방면이 오목하고 후방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렌즈(30)를 향하는 전방면에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상기 반사부가 형성된다.
리플렉터(10)의 수평부(12)는 광축조절 플레이트(50)의 제1 플레이트부(52) 위에 안착된다. 광축조절 플레이트(50)의 제1 플레이트부(52)에는 리플렉터(10)의 수평부(12)와 결합되기 위한 제3 체결홀(53)이 형성되고, 리플렉터(10)의 수평부(12)에는 제3 체결홀(5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4 체결홀(13)이 형성된다. 제3 체결홀(53)은 두 개가 형성되고, 제1 플레이트부(52)의 후방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제4 체결홀(13)은 두 개의 제3 체결홀(53)과 대응되는 개수인 두 개로 형성된다. 수평부(12)의 상측에서 체결부재(3)가 제4 체결홀(13) 및 제3 체결홀(53)로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수평부(12) 및 제1 플레이트부(52)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리플렉터(10)는 광축조절 플레이트(50)에 고정된다.
또한, 광축조절 플레이트(50)의 제1 플레이트부(52)에는 결합 가이드홈(51)이 형성된다. 결합 가이드홈(51)은 두 개가 형성되고, 제1 플레이트부(52)의 전방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그리고, 리플렉터(10)의 수평부(12)의 하측에는 결합 가이드홈(51)에 삽입되는 제1 결합 가이드돌기(11)가 형성된다. 제1 결합 가이드돌기(11)는 결합 가이드홈(51)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인 두 개가 형성된다.
또한, 리플렉터(10)의 수평부(12)의 하측에는 제1 플레이트부(52)에 형성된 제1 회전 가이드홀(57)에 삽입되는 제2 결합 가이드돌기(17)가 돌출 형성된다. 리플렉터(10)의 수평부(12)가 광축조절 플레이트(50)의 제1 플레이트부(52)에 안착된 상태이면, 제1 결합 가이드돌기(11)가 결합 가이드홈(51)에 삽입되고, 제2 결합 가이드돌기(17)가 제1 회전 가이드홀(57)에 삽입된다. 제2 결합 가이드돌기(17)가 제1 회전 가이드홀(57)에 삽입된 상태이면, 고정 플레이트(40)에 형성된 제1 회전 가이드돌기(47)는 제2 결합 가이드돌기(17)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결합 가이드돌기(17)에는 제1 회전 가이드돌기(47)가 삽입되는 홀(17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의 광축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의 상하 광축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광축조절 볼트(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광축조절 볼트(60)는 고정 플레이트(40)에 형성된 볼트 체결홀(45)로부터 인출되면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 때, 탄성부재(70)의 상단은 광축조절 플레이트(50)의 하측면에 접촉된 채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70)는 광축조절 플레이트(50)의 후방부를 상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광축조절 플레이트(50)는 제1 회전 가이드돌기(47) 및 광축조절 볼트(60)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전되고, 이로 인해 광축조절 플레이트(50)에 결합된 리플렉터(10)는 경사부(14)가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광축이 하측으로 옮겨가게 된다.
또한, 광축조절 볼트(6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광축조절 볼트(60)는 고정 플레이트(40)에 형성된 볼트 체결홀(45)로 삽입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광축조절 볼트(60)의 머리부(62)는 광축조절 플레이트(50)의 상측면에 접촉된 채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광축조절 플레이트(50)는 광축조절 볼트(60)의 머리부(62)에 의해 가압되면서 하측으로 이동되고, 탄성부재(70)의 상단은 광축조절 플레이트(50)의 하측면에 접촉된 채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70)는 하측으로 이동되는 광축조절 플레이트(50)에 의해 압착된다. 즉, 광축조절 볼트(6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광축조절 플레이트(50)는 제1 회전 가이드돌기(47) 및 광축조절 볼트(60)를 기준으로 하측으로 회전되면서 탄성부재(70)를 압착하게 된다. 따라서, 광축조절 플레이트(50)에 결합된 리플렉터(10)는 경사부(14)가 후방을 향해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광축이 상측으로 옮겨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의 좌우 광축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광축을 좌우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광축조절 플레이트(50)가 탄성부재(70)에 의해 가압되어도 회전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광축조절 볼트(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광축조절 볼트(60)가 고정 플레이트(40)에 형성된 볼트 체결홀(45)로부터 상측으로 충분히 돌출되도록 하여, 탄성부재(70)가 광축조절 플레이트(50)를 가압하는 힘을 약하게 함으로써, 광축조절 플레이트(50)가 작업자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광축조절 볼트(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광축조절 플레이트(50)가 작업자에 의해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작업자가 광축조절 플레이트(5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광축조절 플레이트(50)는 제1 회전 가이드돌기(47) 및 광축조절 볼트(60)를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된다. 이는 광축조절 플레이트(50)에 형성된 제2 회전 가이드홀(55)이 볼트 체결홀(45)보다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해 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축조절 플레이트(50)가 좌우로 회전되면, 광축조절 플레이트(50)에 결합된 리플렉터(10)는 경사부(14)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광축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옮겨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10)를 상하좌우로 회전시켜서, 간단한 구조로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광축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리플렉터 20: 히트싱크
23: 제2 체결홀 30: 렌즈
40: 고정 플레이트 43: 제1 체결홀
45: 볼트 체결홀 47: 제1 회전 가이드돌기
49: 회전 가이드홈 50: 광축조절 플레이트
51: 결합 가이드홈 53: 제3 체결홀
55: 제2 회전 가이드홀 57: 제1 회전 가이드홀
59: 제2 회전 가이드돌기 60: 광축조절 볼트
70: 탄성부재 100: 조명모듈
200: 광축조절유닛

Claims (12)

  1. 빛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가지는 조명모듈; 및
    상기 조명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리플렉터를 상하좌우로 회전시켜서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광축을 조절하는 광축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축조절유닛은,
    상기 조명모듈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상하좌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리플렉터가 고정되는 광축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광축조절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광축조절 볼트와,
    상기 광축조절볼트가 관통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광축조절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축조절 플레이트에는 제1 회전 가이드홀 및 제2 회전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회전 가이드홀로 삽입되는 제1 회전 가이드돌기와, 상기 제2 회전 가이드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광축조절 볼트는 상기 제2 회전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 체결홀에 체결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볼트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단이 상기 광축조절 플레이트에 접촉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가이드홀 및 상기 제1 회전 가이드돌기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 가이드홀은 상기 볼트 체결홀보다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광축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회전 가이드돌기 및 상기 광축조절 볼트를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되어 상기 리플렉터를 좌우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1 회전 가이드돌기 및 상기 광축조절 볼트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되어 상기 리플렉터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광축조절 플레이트의 하측면에는 제2 회전 가이드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측면에는 상기 제2 회전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회전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가이드홀 및 상기 회전 가이드홈은, 상기 광축조절 플레이트의 좌우회전방향으로 휘어져서 형성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축조절 플레이트에는 결합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리플렉터에는 상기 결합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1 결합 가이드돌기와, 상기 제1 회전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제2 결합 가이드돌기가 더 형성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명모듈에는 상기 제1 체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체결홀이 형성되며, 체결부재가 상기 제1 체결홀 및 상기 제2 체결홀로 삽입되어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조명모듈에 고정되고,
    상기 광축조절 플레이트에는 제3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플렉터에는 상기 제3 체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4 체결홀이 형성되며, 체결부재가 상기 제3 체결홀 및 상기 제4 체결홀로 삽입되어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광축조절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10. 빛을 생성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
    상기 광원에서 생성한 열을 방열하는 히트싱크; 및
    상기 히트싱크에 결합되고, 상기 리플렉터를 상하좌우로 회전시켜서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광축을 조절하는 광축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축조절유닛은,
    상기 히트싱크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상하좌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리플렉터가 고정되는 광축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광축조절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광축조절 볼트와,
    상기 광축조절볼트가 관통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광축조절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에 결합되고, 상기 리플렉터가 반사하는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렌즈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20150112653A 2015-08-10 2015-08-10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2414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653A KR102414208B1 (ko) 2015-08-10 2015-08-10 자동차의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653A KR102414208B1 (ko) 2015-08-10 2015-08-10 자동차의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700A true KR20170018700A (ko) 2017-02-20
KR102414208B1 KR102414208B1 (ko) 2022-06-28

Family

ID=5826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653A KR102414208B1 (ko) 2015-08-10 2015-08-10 자동차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2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432U (ko) * 2017-12-07 2019-06-1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90001683U (ko) * 2017-12-26 2019-07-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901A (ja) * 1992-06-29 1994-01-21 Koito Mfg Co Ltd プロジェクタランプのリフレクタ駆動機構
JP2001158288A (ja) * 1999-12-03 2001-06-12 Ichikoh Ind Ltd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KR20010062099A (ko) * 1999-12-03 2001-07-07 모치마루 마모루 자동차용 헤드램프
JP2007005090A (ja) * 2005-06-22 2007-01-11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KR20070122220A (ko) * 2005-04-15 2007-12-28 아로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회전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901A (ja) * 1992-06-29 1994-01-21 Koito Mfg Co Ltd プロジェクタランプのリフレクタ駆動機構
JP2001158288A (ja) * 1999-12-03 2001-06-12 Ichikoh Ind Ltd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KR20010062099A (ko) * 1999-12-03 2001-07-07 모치마루 마모루 자동차용 헤드램프
KR20070122220A (ko) * 2005-04-15 2007-12-28 아로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회전등
JP2007005090A (ja) * 2005-06-22 2007-01-11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432U (ko) * 2017-12-07 2019-06-1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90001683U (ko) * 2017-12-26 2019-07-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208B1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9606B2 (en) Vehicle lamp
JP6182212B2 (ja) 自動車用照明装置
US10183612B2 (en) Vehicle lamp having rotatable lamp unit and protrusions as fulcrum
JP6129995B2 (ja) 車両投光装置用のライトモジュール
JP6453549B2 (ja) 照明器具
CN111076136B (zh) 灯具单元以及车辆用灯具
KR102460854B1 (ko) 차량의 램프
US9227554B2 (en) Vehicular lamp
WO2011145425A1 (ja) 照明器具
KR20170018700A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JP2014165150A (ja) 車両用灯具
US20160312971A1 (en) Vehicle lighting fixture
CN209819436U (zh) 车辆用灯具
WO2020027128A1 (ja) 車両用灯具
KR102224433B1 (ko) 차량용 램프
JP6592217B2 (ja) 照明器具
JP2019220398A (ja) ランプユニット
JP6550186B2 (ja) 照明器具
JP7234542B2 (ja) 車両用灯具
KR20190001432U (ko) 차량용 램프
JP2021097011A (ja) 車両用前照灯
JP6176150B2 (ja) 照明装置
KR102363786B1 (ko)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JP2019212644A (ja) 照明器具
KR20160028911A (ko) 차량의 램프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