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786B1 -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786B1
KR102363786B1 KR1020150066503A KR20150066503A KR102363786B1 KR 102363786 B1 KR102363786 B1 KR 102363786B1 KR 1020150066503 A KR1020150066503 A KR 1020150066503A KR 20150066503 A KR20150066503 A KR 20150066503A KR 102363786 B1 KR102363786 B1 KR 102363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optical module
mount
base plate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674A (ko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6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78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3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5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mov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는 광원과 연결부를 구비하는 광학모듈, 상기 광학모듈이 안착되고,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는 마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트를 관통하는 상기 연결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와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광학모듈을 에이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Aiming Divice of Head Lamp}
본 발명은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피봇 구동을 통하여 상하 좌우 에이밍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헤드램프는 일반 벌브를 사용하여 야간에 조명을 제공하였으나, 최근에는 반영구적이고 조명능력이 우수한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벌브 대신 사용하며, 복수의 광학 모듈을 이용한 조명방식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헤드램프는 광학모듈이 헤드램프 하우징에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광학모듈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되는데, 광학모듈에는 조향각의 조절을 위한 에이밍 장치가 구비된다.
에이밍(Aiming)이란, 광학모듈의 조사각도를 좌우방향으로 또는 상하방향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그런데 복수의 광학모듈을 이용한 매트릭스 헤드램프에서, 설계자가 의도한 바와 같이 빛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광학모듈 각각의 에이밍이 필수적이다.
기존의 단일 광학 모듈을 이용한 헤드램프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수의 스크류와 볼 조인트를 생성하고, 볼 조인트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피벗을 구동하여 에이밍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을 복수의 광학모듈에 적용할 경우, 스프링과 미세조정 나사 등 필요 부품 수가 많아지고, 제작공정이 복잡해져 양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공개공보 제2014-0268843호.
PCT 공개공보 제2014-009185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필요부품을 생략하여 제작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는, 광원과 연결부를 구비하는 광학모듈; 상기 광학모듈이 안착되고,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는 마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트를 관통하는 상기 연결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와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광학모듈을 에이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마운트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광학모듈의 좌우방향을,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광학모듈의 상하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광학모듈의 좌우방향을, 상기 제2 관통홀이 상기 광학모듈의 상하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마운트의 상하 및 좌우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관통공의 일 방향 직경은 상기 제2 관통공의 같은 방향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관통공은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관통공 내측과 닿는 적어도 일면의 평면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면은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나사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는 너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풀림 방지용 워셔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모듈 각각에는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관통공은 사각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관통공은 장공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에 의하면, 상하 또는 좌우 에이밍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부품을 생략하여 원가 절감 및 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마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광학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100)는 광학모듈(10), 베이스 플레이트(30), 마운트(50) 및 고정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모듈(10)은 빛이 조사되는 광원이 구비되며, 광학모듈(10)의 일영역에 연결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0)와 마운트(50)를 연결하는 연결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은 헤드램프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벌브나 LED(Light Emitted Diode)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부(14)는 광학모듈(10)을 베이스 플레이트(30) 및 마운트(50)와 연결한다. 연결부(14)는 막대의 형상으로 일측이 광학모듈(10)에 고정되며, 베이스 플레이트(30) 및 마운트(50)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0)는 차량의 헤드램프 내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광학모듈(10)을 고정한다. 일실시예로, 베이스 플레이트(30)는 복수의 광학모듈(10)이 안착되며, 광학모듈(10)의 안착면(32)은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30)는 광학모듈(10)의 연결부(14)가 관통한다.
마운트(50)는 연결부(14)가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고정되며,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접촉하는 마운트 접촉면(52)은 베이스 플레이트(30)의 곡률에 따라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70)는 베이스 플레이트(30)와 마운트(50)를 관통하는 연결부(14)를 고정한다. 일실시예로, 고정부(70)는 베이스플레이트에 광학모듈(10)과 마운트(50)를 관통하는 연결부(14)를 고정한다. 고정부(70)는 연결부(14)의 고정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고정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광학모듈(10)과 마운트(5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너트가 사용되거나 필요에 따라 풀림 방지용 와셔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베이스 플레이트(30)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모듈(10)이 안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0)는 복수의 광학모듈(10)이 장착되기 위해 계단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광학모듈(10)이 안착되는 안착면(32)에는 연결부(14)가 관통되기 위한 제1 관통공(34)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일면에는 마운트(50)가 연결될 수 있으며, 마운트(50)의 움직임을 제한 및 가이드하기 위한 돌출부(36)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36)는 마운트(50)의 장착위치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30)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36)는 마운트(50)의 상하 및 좌우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며, 마운트(5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돌출부(36)는 사각의 리브(rib)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36)의 형상은 마운트(50)의 형상에 따라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마운트(5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그루브(groove)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안착면(32)은 광학모듈(10)의 에이밍을 위하여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안착면(32)의 곡률은 설계자의 설계 및 램프 법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1 관통공(34)은 연결부(14)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다. 제1 관통공(34)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관통공(34)에서 연결부(14)가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마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마운트(50)는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접촉하며, 연결부(14)가 관통하는 제2 관통공(54)이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접촉하는 마운트 접촉면(52)은 베이스 플레이트(30)의 곡률에 따라 변형실시될 수 있다.
제2 관통공(54)은 마운트(50)의 이동방향에 따라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14)의 움직임을 가이드하여 광학모듈(10)을 에이밍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마운트(5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제2 관통공(54)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관통공(54)은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연결부(14)가 삽입되는 제2 관통공(54)은 적어도 한 면의 평면을 구비할 수 있다.
마운트(50)는 베이스 플레이트(30)에 연결시 광학모듈(10)이 장착되는 면과 동일한 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광학모듈(10)이 장착되는 면과 반대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 관통공(34) 및 제2 관통공(54)의 형상에 따른 광학모듈(10)의 에이밍에 대해 설명한다.
마운트(50)와 제2 관통공(54)은 연결부(14)의 좌우 및 상하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마운트(50)가 광학모듈(10)의 좌우 방향을 가이드하는 경우 제2 관통공(54)이 광학모듈(10)의 상하 방향을 가이드 하게 되며, 마운트(50)가 광학모듈(10)의 상하 방향을 가이드하는 경우 제2 관통공(54)이 좌우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관통공(34)은 사각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제2 관통공(54)은 장공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관통공(34)은 연결부(14)가 베이스 플레이트(30)를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제2 관통공(54)은 장공의 형상으로 연결부(14)가 삽입되며 연결부(14)의 좌우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광학모듈(10)이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일측에 연결되며, 연결부(14)가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제1 관통공(34)을 관통한다. 마운트(50)는 베이스 플레이트(30)의 타측에 연결되며, 마운트(50)에 형성되는 제2 관통공(54)을 관통하는 연결부(14)는 고정부(70)에 의해서 고정된다.
연결부(1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 마운트(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돌출부(36)에 의해서 마운트(50)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또한, 연결부(14)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 마운트(50)는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제2 관통공(54)을 따라 연결부(14)가 이동하여 헤드램프를 에이밍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100)에 따르면, 헤드램프의 에이밍 방향을 좌우 혹은 상하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관통공(34)의 일 방향 직경은 제2 관통공(54)의 같은 방향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4)가 제2 관통공(54)에서 이동시 제1 관통공(34)의 내측과 닿아 조절 좌표점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실시예로, 베이스 플레이트(30)에 마운트(50)가 연결시, 마운트(50)의 제2 관통공(54)은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제1 관통공(34)의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광학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광학모듈(10)은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접촉하는 광학모듈 접촉면(12)에 연결부(14)가 구비된다.
광학모듈 접촉면(12)은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안착면(32)의 곡률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연결부(14)는 광학모듈(10)과 마운트(50)를 베이스 플레이트(30)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부(14)는 기둥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고정부(70)가 결합한다.
일실시예로 연결부(14)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4b)이 형성될 수 있으며, 너트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나사산(14b)이 형성되는 연결부(14)는 적어도 일면의 평면(14a)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마운트(50)에 삽입시 제2 관통공(54)의 일면과 닿아 광학모듈(1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실시예로, 연결부(14)는 마운트(50)와 닿는 두 면이 평면(14a)으로 구비되어 광학모듈(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100)에는 구동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헤드램프를 에이밍하기 위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실시예로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구동부는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연결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0) 전체를 구동할 수 있으며, 광학모듈(10) 각각에 구비되어 개별적으로 에이밍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100)는 차량의 상태 및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에 의하면, 상하 또는 좌우 에이밍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부품을 생략하여 원가 절감 및 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광학모듈 12 : 광학모듈 접촉면
14 : 연결부 14a : 평면
14b : 나사산
30 : 베이스 플레이트 32 : 안착면
34 : 제1 관통공 36 : 돌출부
50 : 마운트 52 : 마운트 접촉면
54 : 제2 관통공
70 : 고정부
100 :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Claims (13)

  1. 광원과 연결부를 구비하는 광학모듈;
    상기 광학모듈이 안착되고,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는 마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트를 관통하는 상기 연결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와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광학모듈을 에이밍하고,
    상기 제2 관통공은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관통공 내측과 닿는 적어도 일면의 평면을 구비하는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마운트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광학모듈의 좌우방향을,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광학모듈의 상하방향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광학모듈의 좌우방향을,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광학모듈의 상하방향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마운트의 상하 및 좌우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공의 일 방향 직경은 상기 제2 관통공의 같은 방향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7. 삭제
  8. 광원과 연결부를 구비하는 광학모듈;
    상기 광학모듈이 안착되고,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는 마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트를 관통하는 상기 연결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와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광학모듈을 에이밍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면은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나사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는 너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풀림 방지용 워셔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구동부가 구비되는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모듈 각각에는 구동부가 구비되는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13. 광원과 연결부를 구비하는 광학모듈;
    상기 광학모듈이 안착되고,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는 마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트를 관통하는 상기 연결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와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통해 상기 광학모듈을 에이밍하고,
    상기 제1 관통공은 사각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관통공은 장공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020150066503A 2015-05-13 2015-05-13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02363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503A KR102363786B1 (ko) 2015-05-13 2015-05-13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503A KR102363786B1 (ko) 2015-05-13 2015-05-13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674A KR20160133674A (ko) 2016-11-23
KR102363786B1 true KR102363786B1 (ko) 2022-02-16

Family

ID=5754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503A KR102363786B1 (ko) 2015-05-13 2015-05-13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7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9803A (ja) * 2008-06-25 2010-01-14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
KR101490939B1 (ko) 2013-08-07 2015-0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에이밍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1302B2 (ja) * 1994-06-08 2000-06-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における係合部材の固定構造
JPH10228810A (ja) * 1997-02-14 1998-08-25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前照灯装置
AT512586B1 (de) 2012-02-24 2014-06-15 Zizala Lichtsysteme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Fahrzeugscheinwerfer
DE102012106314A1 (de) 2012-07-13 2014-01-16 Hella Kgaa Hueck & Co. Modulbaugruppe mit verschwenkbaren Halbleiterlichtmodulen für einenScheinwerfer
TWD166604S (zh) * 2014-04-23 2015-03-11 巨鎧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頭燈的部分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9803A (ja) * 2008-06-25 2010-01-14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
JP5225765B2 (ja) 2008-06-25 2013-07-0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KR101490939B1 (ko) 2013-08-07 2015-0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에이밍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96241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674A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350B1 (ko) 차량용 전조등
KR100989390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구조
JP6239512B2 (ja) 光モジュール及び、光モジュールの光軸の調整方法
US10183612B2 (en) Vehicle lamp having rotatable lamp unit and protrusions as fulcrum
US20170292668A1 (en) Vehicle lamp
KR102460854B1 (ko) 차량의 램프
KR20160149143A (ko) 차량용 조명 장치
KR102396900B1 (ko)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02363786B1 (ko)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WO2021010271A1 (ja) 航空機用灯具
KR20140039884A (ko) 차량용 헤드 램프
JP2016100231A (ja) 多灯式車両用灯具
US20160312971A1 (en) Vehicle lighting fixture
US10434931B2 (en) Light distribution switching device of head lamp
KR102492468B1 (ko) 램프 유닛 및 램프 에이밍 장치
KR102414208B1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KR200483426Y1 (ko) 차량용 램프
KR102224433B1 (ko) 차량용 램프
KR101369976B1 (ko) 차량용 램프의 진동 방지 장치
KR102377542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200480824Y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JP6134144B2 (ja) 投影レンズおよび灯具ユニット
KR102345318B1 (ko) 에이밍 보정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
KR102328408B1 (ko)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02132880B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