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432U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432U
KR20190001432U KR2020170006285U KR20170006285U KR20190001432U KR 20190001432 U KR20190001432 U KR 20190001432U KR 2020170006285 U KR2020170006285 U KR 2020170006285U KR 20170006285 U KR20170006285 U KR 20170006285U KR 20190001432 U KR20190001432 U KR 201900014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base plate
light source
light
sour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644Y1 (ko
Inventor
이준형
신진섭
이석진
전호찬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6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644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4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4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에이밍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출사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리플렉터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리플렉터가 초기 위치 방향으로 복원하도록 상기 리플렉터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리플렉터의 틸팅 각도를 변경하는 에이밍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에이밍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들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로우빔/하이빔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방향 지시 램프(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지션 라이트(Position Light)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각종의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광도, 빛의 색상, 배광 범위 등이 법규화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로우빔 램프에서 출사되는 로우빔은 대항 차량 또는 선행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하기 위해 소정의 컷오프 라인을 넘어서지 않도록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로우빔 램프의 경우 헤드 램프 내에 장착된 후에 로우빔 램프에서 출사되는 로우빔이 컷오프 라인을 넘지 않도록 광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에이밍이 요구된다.
종래의 에이밍이 가능한 램프 구조는, 에이밍 스크류를 조작하면 광원 모듈이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가 움직여 광의 조사 방향이 조정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구조로는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복수의 광원 모듈이 장착될 경우, 각 광원 모듈을 독립하여 움직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복수의 광원 모듈이 장착되더라도, 각 광원 모듈에서 조사되는 광의 조사 방향을 독립하여 조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일본특허공보 제2778270호 (1998.05.08)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된 복수의 광원 모듈에서 조사되는 광을 독립하여 에이밍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출사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리플렉터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리플렉터가 초기 위치 방향으로 복원하도록 상기 리플렉터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리플렉터의 틸팅 각도를 변경하는 에이밍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복수의 장착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장착 베이스 각각에 상기 광원 모듈, 상기 리플렉터,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에이밍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리플렉터를 조정하여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된 복수의 광원 모듈에서 조사되는 광을 독립하여 에이밍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복수의 광원 모듈을 이용하여 일치된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절단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나타낸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 2, 3)는 차량 전방 양측에 설치되며,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차량이 야간에 운행하거나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차량용 램프(1, 2, 3)는 주간 주행 램프, 포그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 2, 3)는 헤드 램프로서, 차량 전방의 원거리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 2, 3)는 대향 차량이나 선행 차량과 같은 전방 차량이 존재할 때 전방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거나 조사되는 광의 광량을 감소시켜 암영대(Shadow area)를 형성함으로써,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adaptive driving beam(ADB)를 구현하는 램프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차량 전방 양측 중 우측에 설치되는 차량용 램프(1, 2, 3)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좌측도 설치 위치에서 일부 차이가 있을 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베이스 플레이트(10), 광원 모듈(20), 히트 싱크(30), 리플렉터(40), 힌지부(50), 에이밍 부재(60), 및 탄성부재(7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차량용 램프(1)의 다른 구성 부품들이 장착되는 플레이트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에는 광원 모듈(20) 및 리플렉터(40)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히트 싱크(3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1)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측에 광원 모듈(20) 및 리플렉터(40)가 장착되고, 하측에 히트 싱크(30)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측에 히트 싱크(30)가 장착되고, 하측에 광원 모듈(20) 및 리플렉터(40)가 장착될 수 있다.
광원 모듈(20)은 광원(22) 및 회로기판(21)을 포함한다. 광원(22)은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원(22)은 Light Emitting Diode(LED), Laser Diode(LD) 등의 반도체 발광 소자가 광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광원 모듈(20)은 광원(22)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21)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22)은 광원 모듈(20)의 후방에 위치하는 리플렉터(40)에 의해 전방으로 광이 반사될 수 있도록 후방 상측으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이때, 광원(22)으로부터 후방 상측으로 광이 발생된다는 것은 광원(22)의 발광면의 중심을 수직하게 지나는 광축이 후방 상측을 향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회로기판(21)에 의해 광원(22)에 인가되는 전류가 조절되어,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광원(22)이 소등되거나 출사되는 광량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방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광이 조사되지 않거나 조사되는 광의 광량이 감소되어 암영대가 형성될 수 있다.
히트 싱크(30)는 광원 모듈(20) 및 리플렉터(40)가 광이 발생될 때 함께 발생되는 고온의 열로 인한 성능 저하나 열 변형 등이 광원 모듈(20) 및 리플렉터(40)에 발생하지 않도록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구성 요소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히트 싱크(30)와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일체로 구성되나, 히트 싱크(3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독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히트 싱크(30)는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방열핀을 포함한다. 복수의 방열핀은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광원 모듈(20)에서광이 발생될 때 함께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효율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리플렉터(40)는 광원 모듈(20)로부터 출사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리플렉터(40)가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킨다는 것은 본 고안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며, 보 고안의 차량용 램프(1)가 설치되는 위치나 방향에 따라 전방이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리플렉터(40)는 광원 모듈(20)로부터 출사된 광이 전방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발광면을 향하는 반사면(41)을 포함한다.
리플렉터(4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대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수직한 평면을 따라 틸팅할 수 있도록 힌지부(5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리플렉터(40)가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수직한 평면을 따라 틸팅하는 것은, 리플렉터(40)의 어느 한 점이 틸팅한 궤적이 이루는 평면이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수직하도록 틸팅하는 것을 의미한다.
힌지부(50)는 리플렉터(4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51) 및 회전부(51)를 고정하는 고정부(52)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부(51)는 리플렉터(40)에 구비되고, 고정부(52)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구비된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회전부(51)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구비되고, 고정부(52)는 리플렉터(40)에 구비될 수 있다.
에이밍 부재(60)는 리플렉터(4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 요소이다. 에이밍 부재(6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형성된 개구부(11)와 리플렉터(40)에 형성된 홀(42)에 삽입되도록 장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형성된 개구부(11)는 홀 또는 홈의 개구부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형성된 개구부(11)가 홀의 개구부인 경우로 가정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에이밍 부재(60)는 볼트로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구부(11)를 형성하는 홀의 내측면에는 볼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나선홈이 내어질 수 있다. 에이밍 부재(60)를 회전시켜 에이밍 부재(60)가 개구부(11)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리플렉터(40)의 틸팅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탄성부재(70)는 리플렉터(40)가 초기 위치로 복원하도록 리플렉터(40)를 지지하는 구성 요소이다. 즉, 탄성부재(70)는 에이밍 부재(60)에 의해 틸팅되기 이전의 초기 위치 방향으로 복원되도록 리플렉터(40)를 지지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재(70)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된다. 판스프링의 상면(71)이 리플렉터(40)에 장착된다. 리플렉터(40)에 장착된 판스프링의 하면(72)은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접하게 된다. 이 경우, 판스프링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판스프링의 하면(72)이 베이스 플레이트(10)를 따라 슬라이드 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판스프링의 하면(72)이 리플렉터(40)에 접하도록, 판스프링의 상면(71)이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판스프링의 상면(71)이 리플렉터(40)에 장착되고, 판스프링의 하면(72)이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판스프링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상면(71)과 하면(72) 사이의 판이 휘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판스프링의 하면(72)이 리플렉터(40)에 장착되고, 판스프링의 상면(71)이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리플렉터(40)를 틸팅 각도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절단선 A-A'를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가 절단된 절단도, 그리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절단선 A-A'를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가 절단된 절단도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에이밍 부재(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형성된 개구부(11)에 삽입되는 길이(61)를 증가시키면, 에이밍 부재(60)가 아래로 움직이면서 리플렉터(40)에 아래 방향(M1)으로 힘을 가하여, 리플렉터(40)의 반사면이 M2 방향으로 틸팅하게 된다. 에이밍 부재(60)를 일방향으로 더 많이 회전시킬수록,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형성된 개구부(11)에 삽입되는 길이(61)가 증가하게 되고, 에이밍 부재(60)가 아래로 더 많이 움직이면서, 리플렉터(40)의 틸팅 각도가 증가하게 된다.
에이밍 부재(6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형성된 개구부(11)에 삽입되는 길이(61)를 감소시키면, 에이밍 부재(60)가 위로 움직이게 된다. 탄성부재(70)는 리플렉터(40)가 초기 위치로 복원하도록 힘(M3)을 지속적으로 가하고 있으므로, 리플렉터(40)의 틸팅 각도는 탄성부재(70)에 의해 감소하게 된다.
리플렉터(40)의 틸팅 각도가 변화함에 따라, 광원 모듈(20)에서 출사된 빛(23)이 리플렉터(40)에서 반사되는 방향이 변경되게 된다. 따라서 광원 모듈(20)로부터 출사되는 빛(23)의 조사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와 비교하였을 때, 탄성부재(70)를 포함하지 않고, 에이밍 부재(60)가 너트(6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다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의 에이밍 부재(60)는 볼트(62)와 너트(63)로 구성된다. 볼트(62)와 너트(63)는 에이밍 부재(60)가 리플렉터(40)에 고정되도록 조립된다. 리플렉터(40)는 볼트(62)와 너트(63)에 의해 에이밍 부재(60)와 결합되므로, 에이밍 부재(60)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하게 된다. 따라서 에이밍 부재(60)가 아래로 움직이면, 리플렉터(40)는 에이밍 부재(60)와 연동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근접하게 틸팅하게 된다. 또한 에이밍 부재(60)가 위로 움직이면, 리플렉터(40)는 에이밍 부재(60)와 연동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멀어지게 틸팅하게 된다.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 2)와 달리 에이밍 부재(60)와 탄성부재(70)는 리플렉터(40)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상과 다른 형상의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 등 다른 종류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70)는 스프링 외에도 댐퍼 등 탄성력을 갖는 다른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40)가 걸리는 에이밍 부재(60)의 단차의 위치에 따라 리플렉터(40)의 틸팅 각도가 조정되도록, 에이밍 부재(60)는 복수의 단차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탄성부재(70)를 베이스 플레이트(10) 또는 리플렉터(40)에 대해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탄성부재(70), 베이스 플레이트(10), 및 리플렉터(40)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15)는 제1 장착 베이스(12), 제2 장착 베이스(13), 제3 장착 베이스(14)를 포함한다. 히트 싱크(31)는 베이스 플레이트(15)와 일체로 구성된다. 이와 다르게 히트 싱크(31)는 베이스 플레이트(15)와 독립된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장착 베이스(12)에는 제1 광원 모듈(24), 제1 리플렉터(43), 제1 힌지부(53), 및 제1 에이밍 부재(64)가 장착된다. 제2 장착 베이스(13)에는 제2 광원 모듈(25), 제2 리플렉터(44), 제2 힌지부(54), 및 제2 에이밍 부재(65)가 장착된다. 제3 장착 베이스(14)에는 제3 광원 모듈(26), 제3 리플렉터(45), 제3 힌지부(55), 및 제3 에이밍 부재(66)가 장착된다.
제1 장착 베이스(12), 제2 장착 베이스(13), 및 제3 장착 베이스(14)에 장착되는 상기 부품들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와 동일한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리플렉터(43), 제2 리플렉터(44), 및 제3 리플렉터(45)는 각각 독립하여 움직이도록 독립한 부품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리플렉터(43)의 틸팅 각도는 제1 에이밍 부재(64)에 의해 조절되고, 제2 리플렉터(44)의 틸팅 각도는 제2 에이밍 부재(65)에 의해 조절되고, 제3 리플렉터(45)의 틸팅 각도는 제3 에이밍 부재(66)에 의해 조절된다.
즉, 복수의 리플렉터(43, 44, 45)의 틸팅 각도는 복수의 에이밍 부재(64, 65, 66)에 의해 독립하여 변경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리플렉터(43, 44, 45)의 틸팅 각도가 독립하여 변경됨에 따라, 복수의 광원 모듈(24, 25, 26)에서 출사되는 빛의 조사 방향이 독립하여 조절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배광 패턴(81)은 제1 광원 모듈(24)에서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된 배광 패턴을, 제2 배광 패턴(82)은 제2 광원 모듈(25)에서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된 배광 패턴을, 제3 배광 패턴(83)은 제3 광원 모듈(26)에서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된 배광 패턴을 나타낸다.
도 9에 따르면, 제1 배광 패턴(81), 제2 배광 패턴(82), 및 제3 배광 패턴(83)은 목표 배광 패턴(80)과 일치하지 않는다. 보다 자세히, 제1 배광 패턴(81), 제2 배광 패턴(82), 및 제3 배광 패턴(83)은 목표 배광 패턴(80)과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배광 패턴(81)이 목표 배광 패턴(80)과 일치하려면, 아래로 이동해야 하고, 제2 배광 패턴(82)이 목표 배광 패턴(80)과 일치하려면 위로 이동해야 하고, 제3 배광 패턴(83)이 목표 배광 패턴(80)과 일치하려면 제2 배광 패턴(82)보다 더 많은 거리를 위로 이동해야 한다.
그런데,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에 따르면, 각 광원 모듈(24, 25, 26)에서 출사된 빛의 조사 방향을 독립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플렉터(43, 44, 45)는 베이스 플레이트(15)와 수직한 평면을 따라 틸팅하므로, 제1 배광 패턴(81), 제2 배광 패턴(82), 및 제3 배광 패턴(83)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에 따르면 제1 배광 패턴(81), 제2 배광 패턴(82), 및 제3 배광 패턴(83)을 독립하여 상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1 배광 패턴(81), 제2 배광 패턴(82), 및 제3 배광 패턴(83)은 목표 배광 패턴(80)과 일치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는 복수의 광원 모듈(24, 25, 26)이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15)에 장착되더라도,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배광 패턴(81, 82, 92)을 목표 배광 패턴(80)과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 3: 차량용 램프 10, 15: 베이스 플레이트
11: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부 12: 제1 장착 베이스
13: 제2 장착 베이스 14: 제3 장착 베이스
20: 광원 모듈 21: 회로기판
22: 광원 23: 광
24: 제1 광원 모듈 25: 제2 광원 모듈
26: 제3 광원 모듈 30: 히트 싱크
40: 리플렉터 41: 반사면
42: 리플렉터에 형성된 홀 43: 제1 리플렉터
44: 제2 리플렉터 45: 제3 리플렉터
50: 힌지부 51: 회전부
52: 고정부 53: 제1 힌지부
54: 제2 힌지부 55: 제3 힌지부
60: 에이밍 부재 61: 에이밍 부재가 삽입된 길이
62: 볼트 63: 너트
64: 제1 에이밍 부재 65: 제2 에이밍 부재
66: 제3 에이밍 부재 70: 탄성 부재
80: 목표 배광 패턴 81: 제1 배광 패턴
82: 제2 배광 패턴 83: 제3 배광 패턴

Claims (7)

  1.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출사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리플렉터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리플렉터가 초기 위치 방향으로 복원하도록 상기 리플렉터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리플렉터의 틸팅 각도를 변경하는 에이밍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 부재는 상기 리플렉터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는, 차량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각도는 상기 에이밍 부재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조절되는, 차량용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 부재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는 길이는 상기 에이밍 부재를 회전하여 조절되는, 차량용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리플렉터가 상하방향으로 틸팅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 코일스프링,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차량용 램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에이밍 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에이밍 부재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KR2020170006285U 2017-12-07 2017-12-07 차량용 램프 KR200495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285U KR200495644Y1 (ko) 2017-12-07 2017-12-07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285U KR200495644Y1 (ko) 2017-12-07 2017-12-07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432U true KR20190001432U (ko) 2019-06-17
KR200495644Y1 KR200495644Y1 (ko) 2022-07-14

Family

ID=6700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285U KR200495644Y1 (ko) 2017-12-07 2017-12-07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4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8270B2 (ja) 1991-03-07 1998-07-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走行方向表示装置
CN104061511A (zh) * 2013-03-18 2014-09-24 法雷奥照明公司 机动车辆信号指示和/或照明装置
KR20170018700A (ko) * 2015-08-10 2017-0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8270B2 (ja) 1991-03-07 1998-07-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走行方向表示装置
CN104061511A (zh) * 2013-03-18 2014-09-24 法雷奥照明公司 机动车辆信号指示和/或照明装置
KR20170018700A (ko) * 2015-08-10 2017-0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644Y1 (ko)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5871B2 (en) Lamp
US8708539B2 (en) Vehicular lamp
US7244057B2 (en) Headlight
JP4343720B2 (ja) 灯具
AU2014232757B2 (en) Modular headlamp assembly for producing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JP4144381B2 (ja) ヘッドランプ
KR101975459B1 (ko) 차량용 램프
CN111076136B (zh) 灯具单元以及车辆用灯具
US20130141930A1 (en) Vehicular headlamp
JP6508924B2 (ja) 車輌用灯具
KR101959805B1 (ko) 차량용 램프
US20160312971A1 (en) Vehicle lighting fixture
KR101486817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90001432U (ko) 차량용 램프
KR102224433B1 (ko) 차량용 램프
KR200495392Y1 (ko) 차량용 램프
KR102414208B1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KR20140133063A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CN111237715B (zh) 光学组件、照明和/或信号装置和车辆
KR20160148354A (ko) 차량용 램프
CN111556945A (zh) 车辆用前照灯
JP2005209537A (ja) 灯具
CN209926250U (zh) 用于车辆的前照灯
KR20200002499A (ko) 차량용 램프
WO2020031880A1 (ja) 光源ユニット及び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